이름도 존재도 위치도 전혀 몰랐던 생소한 나라 "Korea"을 위해 목숨까지 받쳤던 해외참전용사들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cinemory Жыл бұрын
요청 재편집본입니다. 보신 분들은 안보셔도 됩니다.^^
@dal22 Жыл бұрын
항상 고맙습니다 ❤️ 😊 💕
@모유천사유리 Жыл бұрын
나이따~♡❤😂
@kunufelix3 ай бұрын
이번 개막식에 나온 자멜 드부즈가 주인공으로 나온 영화입니다.
@미제드론 Жыл бұрын
수원 지지대고개 프랑스군 참전 기념비 가보면 전사자들 이름이 적혀 있는데 보면 무하마드 같은 프랑스인 같지 않은 이름들이 제법 보입니다.
@user-sd8fe8ij7l4 ай бұрын
한국전쟁때 프랑스는 터키처럼 자국민말고 식민지군인들을 내세웠으니까
@editor5919 Жыл бұрын
결과적으로 드골이 나중에 에비앙 협정을 통해서 어떤 의미에선 약속을 지켜주기는 했습니다. 물론 거기에 이르기까지는 또다시 수백만에 가까운 사람들의 피가 더 흐르고 말았지만... 식민지 근대화론이니 식민지 수혜론이니, 그 주장의 논거와 지표적 분석을 떠나서 결국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숙명과 굴레는 변할 수 없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습니다. 잘봤습니다.
@dlstoddmlqlc Жыл бұрын
식민지 근대화론은 사실 어느정도 맞습니다만..영~~~원한 2등시민으로 사는거죠........내나라가 있고 그 나라가 잘나가야 어디를 나가도 대접받습니다...
@wbinzester2721 Жыл бұрын
식근론 식수론 씨부리는것들보면 가불기로 조져야 민낯 쉽게까는데
@max_7344 Жыл бұрын
@user-ul8up9nm2c한국이 고대부터 근대 이전까지 열도에 문명화 시켜줬는데 그건 모르는 것 같더라
@lalalalalalala753 Жыл бұрын
@@max_7344 근대 이전이면 고대~근세까지고 근세는 1631년~1899년까진데 임진왜란이 1592년 즉 르네상스 시기에 일어나지 않음?? 도대체 누가 누굴 문명화 시켜줬다는거임?? 아니면 근대가 시기적으로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명명 하는 줄도 모르고 그냥 말하고 보는 건가??
@max_7344 Жыл бұрын
@@lalalalalalala753 일본이 개항하고 급속도로 흥한게 조선 도공 끌고가서임. 그때부터 심수관부터 시작해서 도자기 칠기 등등 공예품 서구에다 팔아서 경제가 급격히 상승했단다. 조선에서 개밥그릇이 그쪽 건너가서 다완이라고 환장하고 떠받들던게 다이묘들이었고 도쿠가와 막부까지도 통신사 보내달라고 앙망하던게 열도였다. 곤고구미부터 굵직한 기반기업들 대부분이 조선계이고. 그 전까지 열도 수준은 끽해봐야 허접한 하니와 정도가 최선이었다
@hellcat3721 Жыл бұрын
다시 보는 것임에도 "자랑만 하고 그냥 갑니다.."에서 또 쓰러졌습니다..ㅎㅎ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됩니다.. 식민지 청년들이 하나가 되어 싸우는 모습.....이 어디서 본듯하기도 하고 씨네모리님 덕분에 그동안 놓친 생각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woongjinchang9652 Жыл бұрын
프랑스인들은 똘레랑스하다느니, 서울역에서 기차 타고 파리 가고 싶다느니 하는 양반들은 싫어할 영화 같더군요.
@누렁이-d4p8 ай бұрын
전범기업 싫다면서 밴츠끌고싶어하는 양반들 같은 느낌이죠
@jaehokang1891 Жыл бұрын
남의 일이 아니네요 같은 시기 우리의 할아버지, 할머니들도 같은 일을 겪으셨다는 ㅠㅠ
@vecyl Жыл бұрын
끌려가서 싸워줬던 나라가 이겼느냐, 졌느냐로 맥락이 달라진 것 뿐이죠
@HotSoil510 Жыл бұрын
알제리와 조선은 다름.
@gomdorij3213 Жыл бұрын
씨네모리님~~~ '영광의 날들' 리뷰 고맙습니다^^* 그래도 프랑스는 제국주의 시절의 만행을 영화로 제작하는군요.... ( 감독이 프랑스 본토 출신은 아니지만..)
@윤상현-e1d Жыл бұрын
감사하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kuwait_park Жыл бұрын
세계대전 후 프랑스가 무려 핵실험을 한 아프리카 영토 알제리..
@꽁지쓰 Жыл бұрын
씨네모리님 만의 영화해석 너무 좋습니다 영화속에 역사가 있다 최고~👍
@myrmoi Жыл бұрын
이 영화보고 많이 열받았던 기억이... 이후 알제리 독립을 다룬 영화가 66년 Battle of Algier죠. 이 알제리 독립 전쟁을 막기 위해 투입 된 것은 프랑스 레지스탕스로 활동했던 이였고 이 사람은 나치가 프랑스 레지스탕스를 소탕했던 전술들을 그대로 알제리에 선보인 인간이죠. 스페인은 자국이 더이상 식민지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남은 식민지 마저 모두 독립시키거나 이전 국가에 반환하는데 반해 프랑스는 끝까지 자신들의 식민지를 유지하려 이런 전쟁 범죄를 저질 렀죠. 프랑스가 알제리에 공식적으로 식민지배를 사과 했지만, 다 말뿐이고 아직까지 어떤 행동을 취한 적은 없습니다. 때문에 프랑스내에서 끝없는 아랍인들의 테러와 폭력 사태가 일어나는 것은 스스로 만든 굴레라고 봅니다.
@kunufelix3 ай бұрын
이번 개막식에서 지단에게 성화를 건네 주는 자멜 드부즈라는 배우가 주연한 '영광의 날들. 시라크 정부가 자신들의 치부를 고백하고 참전 용사의 예우를 다시 강화하게 된 계기를 만들었어요.
@겐쥬로-m2n Жыл бұрын
모리님 오늘도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MyPlaus Жыл бұрын
프랑스는 알제리 병사에게 연금을 지급하라
@siriul Жыл бұрын
프랑스는 선진국 명예만 있는 ㅆ거렁뱅이 국가임 자국민 연금도 버거워서 힘들어 죽을라함 근데 참전용사들까지?? 배째라할듯
@user-hd3pm3fk9r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idealist_87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믿었던 조국은 없다. 조국은 우리를 버렸다. 라는 문구가 정말 와닿을 수 밖에 없었을 알제리인들....결국 이것이 영화 친밀한 적, 라스페기로 이어지는 프랑스와 FLN의 지난하고 피비린내나는 알제리독립전쟁으로 이어지게 된 것은...프랑스의 원죄겠죠..
@화이트제플린 Жыл бұрын
평일에 보는 씨네모리와 함께하는 역사공부
@rlee4805 Жыл бұрын
영상 해설 감사합니다
@루카치-u3m Жыл бұрын
그리고 훗날 저 식민지 알제리인들은 프랑스의 계속된 차별 억압 정책에 폭발하여 '친밀한 적'이 되고 맙니다....
@truth1472 Жыл бұрын
👍 를 안할수가 없네요!
@vinniekim6899 Жыл бұрын
ㅎ 어떻게 이런 표현을 ㅎㅎ 대단합니다.
@Han_Ji_Ye Жыл бұрын
이거 보고 든 생각은 줄만 잘 타면 이미지세탁 깔끔하게 된다는 거.
@davidkim4527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식민지 중에는 프랑스와 정말 멀리 떨어져 있어서 독일과 맞서도 되는데, 독일과 한편 먹은 곳도 많습니다. 프랑스의 국민성이 그런거 같더군요. ㅎㅎ
@오중-z6s Жыл бұрын
일단 추천후 재감상.(이왕 재업하시는 김에 일본야쿠자영화도 재업해주세요. 동영상리스트에 없더라구요)
@레이오트 Жыл бұрын
배틀필드 V 싱글플레이 챕터 중에 프랑스군 소속 식민지군 소속 병사의 고생담을 다룬 챕터가 생각나는군요.
@jisuw2747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배틀필드 5에서도 유사한 내용 다루기도하죠... 진짜 영국, 프랑스, 그리고 소련(러시아) 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이라는 타이틀이 달려 있을 뿐이지 이들 국가들 나치 독일 만큼이나 더러운 짓 은근히 많이 했었죠... 그저 추축국 트리오의 전범 행위만 더 부각되면서 가려 졌을 뿐이지..
@파버카스텔 Жыл бұрын
혐성 엘랑
@음파-o3i Жыл бұрын
외근나가려던 참인데 고마워 형
@truth1472 Жыл бұрын
알제리의 독립은 프랑스의 차별이었군요! 지금도 프랑스와 많이 닮은 나라랍니다.
@ShineStoneIIIShine Жыл бұрын
오늘은 수요일인데...? 굳!
@rladbsrua0 Жыл бұрын
지단 아버지도 알제리 식민지군인 출신
@ioy5147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가을에폭풍 Жыл бұрын
내가 다 열불나네... 그러니까 순진한 알제리 청년들이 전쟁중에 이용만 당하고 버려진거 아닌가?
@klausfeuermann3825 Жыл бұрын
돌발 감사
@오어우잉 Жыл бұрын
벌써 일요일이야??
@맛있는귤-i5r Жыл бұрын
와우!!!오늘 일요일인줄 알았습니다ㅋㅋㅋㅋ
@오태화-h8c Жыл бұрын
에휴.. 참 지들나라 해방시켜줬는데 차별하네
@sformld Жыл бұрын
식민지 세뇌 교육의 무서움...
@chei-ga0_0blife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또 본다!
@sungkchun6 ай бұрын
So, as expected in history, French charles de gaulle evilishily lied…
@d.h.s3978 Жыл бұрын
엘랑은 진심 .. 영국보다 더 한거 같음 ㅋㅋ
@obokee2305 Жыл бұрын
씨네모리님, 최근에 베트남전쟁 영화 올렸던데 백튜더퓨처의 마이클 J 폭스 형님의 월남전 영화 < 전쟁의 사상자들> 부탁드립니다.
@Hextech-md3uj Жыл бұрын
억울하긴 하겠군. 전쟁도 엿 같은데. 차별까지 있네.
@lollollollol-vd8us Жыл бұрын
쟤들은 2차세계대전 동안이나 엘랑비탈(반자이 돌격) 고수했다는데 ㅋㅋ
@ru2188 Жыл бұрын
내로남불의 근본 프랑스. 독일한테 털릴때 생각 못하고 베트남, 알제리에서 한짓 보면 일본 보다 100배 더 악랄함
@grapenuts100 Жыл бұрын
영화 그린베레 신청합니자
@이형근-t8h Жыл бұрын
알제리 독립도 소개해주세요
@환혼동각 Жыл бұрын
앗! 기습작전이네요^^
@cyy756 Жыл бұрын
일요일인줄 ㅋㅋㅋ
@히지-v1s Жыл бұрын
씨.네.모.리.조.아.
@youngone99929 күн бұрын
알제리인들아, 니들 싸움 더 잘하네, 니들이 프랑스를 니들 식민지로 만들어
@truth1472 Жыл бұрын
알제리는 지금도 자신들을 프랑스인이라고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답니다.
@vinniekim6899 Жыл бұрын
아마 다수의 프랑스인들이 이주했기 때문이 아닐까합니다. 프랑스는 식민지로 이주하여 지배하는 방법을 취했습니다.
@rokivulovicgood Жыл бұрын
굳
@dfay3614 Жыл бұрын
오늘은 일요일이 아니라 수요일인데..?? 아무튼 이게 본건가 안본건가 가물..😮😮😮
@천공카이 Жыл бұрын
프랑스의 침략국은 독일 이지만 알제리의 침략국은 프랑스이네. 독립의 약속은 물거품 처럼 사라지고 프랑스 독립을 위해 싸운 알제리 병사는 귀국후 알제리 독립을 위해 싸우지만 프랑스인들은 독일인보다 더 악질적으로 억압하는 모습은 ...... 프랑스인들은 프랑스를 침략한 독일인을 욕할 처지가 아닌것 같다 왜 독일인보다 더 악독했으니.
@pkm287 Жыл бұрын
교훈따위는 개나 줘버리고 전후 베트남, 알제리에서 하는 짓거리를 보면 내로남불 전형이죠.
@user-gn2xh4vw9u Жыл бұрын
난 프랑스가 좋아 알량한 도덕적 허영심으로 훈수는 그만해라
@user-gn2xh4vw9u Жыл бұрын
반영감정 반프감정 반일감정 반미감정 등은
@user-gn2xh4vw9u Жыл бұрын
연변족들이나 할법한 인식이다
@user-gn2xh4vw9u Жыл бұрын
시나공산당이 의화단 전쟁에서 미국 유럽에 걍간 당한 울분따위를 한국이 왜 공감해줘야 하노 시나인은 항상 자신들 기준으로 모든걸 평가하는데 시나공산당식 반미 반일 반유럽 반백인의 인식 따위는 한국인에겐 아무런 가치도 없다
@cateyeden2875 Жыл бұрын
진짜 엘랑 하는 짓은 가슴이 웅장해진다 ㅋㅋㅋ
@와참재밌다-g2t Жыл бұрын
알제리 독립전쟁에서 2차대전 참전한 알제리 군인들이랑 프랑스군이랑 싸움
@jhlee53 Жыл бұрын
오늘 수요일인데😮
@kunufelix3 ай бұрын
드골은 제4공화국이 수립되자마자 정치를 은퇴합니다. 알제리 학살과 드골은 무관해요.
@dlstoddmlqlc Жыл бұрын
중국 팔로군이나 소련 적군이 항일운동할때 조선인들 맨 앞에 총알받이 시켰다고 하든데..그게 떠오르네요....그래서 중국항일 운동 사망자의 90프로인가가 총알받이로 죽은 조선인이라고.......또 일본군에 징집된 카미카제도...내 나라가 없으면 핍박받아요..영원한 2등시민
@user-ql2ko9fm7t Жыл бұрын
프랑스, 영국은 알면 알수록 점점 비호감임. 물론 그 두 국가가 6.25전쟁당시 우리나라에 참전하여 큰 도움을 준 국가이긴하지만…. 참 이런거보면 있던정이 다 털리긴함
@짱구애비-f6h Жыл бұрын
지단이 알제리출신아님?
@박세정-k8c Жыл бұрын
응 응
@rickyoo9211 Жыл бұрын
알제리군인 들이 전장속에서 힘들었을겁니다 프랑스가 제국주의 시절에 악명이 높았습니다 .
@영환안-d1q Жыл бұрын
역시 세계사 문제는 일단 영국 욕을한다음 프랑스 욕을하면 99프로는 맞다는 말이 진리네
@HotSoil510 Жыл бұрын
무식 폭로?
@유튜브까마귀 Жыл бұрын
@@HotSoil510거울 봤누 게이야 ㅋㅋㅋㅋ 대영제국.프랑스 제국 식민지가 얼마나 많았는지 보고 말해라
@HotSoil510 Жыл бұрын
@@유튜브까마귀 영국 프랑스에게 식민지 사람들은 "민주주의" "민족주의" 를 배웠고 근대문물을 접하게 됨..... 역사문제는 러시아, 중국이 악의 축 세계인민의 빌런이라고 욕을 하면 99% 맞음.
@SSSSSS-kt7in9 ай бұрын
인종 차별이 없었으면 알제리는 프랑스에 정말로 통합 될 수 있었을까?
@에라이-t9r2 ай бұрын
오스만투르크 지배도 받았는데 프랑스 지배받는게 어때서요 프랑스가 미친짓만 안했어도 알제리는 프랑스땅입니다 차별이 이래서 나쁜겁니다
@선각자프라이모디얼 Жыл бұрын
진짜 제국주의 국가들 전부다 양심이 없응
@최영식-d4g25 күн бұрын
선진국강대국은 없었다 약소국만 있었다
@카이-z7s2b25 күн бұрын
단ᆢ
@Kuaumidess Жыл бұрын
군복이 왜이렇게 통일이안되어있나요??
@차가운가을비 Жыл бұрын
엘랑스가 엘랑스한...
@Kevin-ps9yf Жыл бұрын
9:40 결국엔 저런것 때문에 알제리는 독립하고 자연스럽게 소련 쪽으로 기울어졌죠.. 6:33
@carrbdc5851Ай бұрын
역시 유럽의 중국 프랑스 ㅎㅎ
@좌빨박멸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즉 조선이 제국주의 국가였으면 더 착했을까요?
@user-mz3ho4cm8v Жыл бұрын
우린 곧 정의 입니다!한족은 곧 불의입니다.
@좌빨박멸 Жыл бұрын
@@user-mz3ho4cm8v 우리도 잔인합니다. 착한 나라도 있나요?
@옥희-h6r Жыл бұрын
결론은 다른 나라 침략한거는 독일이나 프랑스나 또이또이
@janghannae Жыл бұрын
너무하네 진짜..
@nickn1991 Жыл бұрын
역사적으로 항상 독일어를 사용하던 엘자스-로트링겐을 알자스 로렌이라는 끔찍한 이름을 갖다넣고 세계인들을 기만한 프랑스군보단 독일군에 동정을 느낀다.
@미국테레비 Жыл бұрын
도이치계이긴 했지만 프랑스가 차지할 루이14세 당시 독일 즉 도이칠란드 라는 나라는 없었습니다 알고서 말씀하시는 거죠? 도이치계는 네덜란드 벨기에에도 많죠 무슨 내셔널러티가 있는 것처럼 말씀하시네요 도이치 프렌치는 어떤 언어를 사용하느냐에서 갈리는 거지 동양처럼 무슨 민족 개념이랑은 틀립니다 물론 알고서 말씀하시는거라 생각합니다
@leechunbae Жыл бұрын
그냥 독뽕이잖아
@체리슈-c6r Жыл бұрын
어떤 바보들 프랑스 박애의 나라라고 떠드냐
@JayKimJr Жыл бұрын
이 영화 때문이 아니라 살면서 느끼는데 프랑스 정말 비호감임
@koleanan1001 Жыл бұрын
사실 히틀러가 저지른 유태인 학대가 영국과 프랑스가 저지른 식민지인 학대와 오십보백보입니다만 역사가 승리자의 입장에서 쓰이는게 현실이라서 후자가 묻힌게 현실이지요.
@퍼거슨-d8k Жыл бұрын
유대인들이 힘이 있어서 에요. 지금도 유대인 핍박에 대한 영화와 드라마가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죠. 미국을 지배하고 있는 유대계의 힘이죠. 일본의 잔학상에 대한 영화와 드라마도 우리나라가 간간히 제작하는 게 고작입니다. 서구에서 제작하는 건 별로 없고 있어도 일본군을 인간적으로 그리거나 무사도를 강조하죠.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입장만 보여주고 다른 이들의 고통엔 관심없습니다. 선민의식 탓이죠. 어치피 자기들 외에는 짐승과 다를 바 없다 생각하니까요.
@퍼거슨-d8k Жыл бұрын
유대인이 미국에서 힘을 얻기 전에는 세계 여러 곳에서 핍박을 받았죠. 작품 속에서도 유대인들은 비열하고 야비한 짓만 골라하는 자들로 그려집니다. 그러나 유대자본이 미국을 지배하고, 2차대전 후 미국이 패권을 쥐자 작품 속 유대인들의 이미지가 확 바뀌어요. 대부분 순수하고 남을 배려하며 착하죠. 그럼에도 나치나 다른 이들이 선량한 유대인을 핍박하는 걸로 그려져요.
@나자-u4n Жыл бұрын
학살을 학대로 보는것도 대단하네
@KoreanSpy1997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추측군 제외하고 영국하고 프랑스가 가장 역겨운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대구갈매기-q8t Жыл бұрын
프랑스어 야비함이 잘보이는 영화네요 우리나라krx기술도입때 지들이 빼앗이간 국보급유울들 돌려준다해놓고 20여년이 넘어서 임대조건으로 돌려주는 나라가저런애들입니다 ㅋㅋ
@tempest4009 Жыл бұрын
프랑스보면 참... 알제리, 베트남 죄다 프랑스... 영국을 그렇게 혐성국 혐성국 하지만, 영국이 훨씬 나은듯.
@shibasuki503 Жыл бұрын
영국이 들으면 억울할 말이네. 괜히 혐성국 소리 듣는 게 아닌데...
@박희수-t8d Жыл бұрын
영국은 본토인구에 비해서 너무 많은 식민지를 점령했던지라 관리인력이 모자라서 현지인들을 고용하고 불안해서 서로 이간질하여 싸우게 만든 것이고 만약 적당한 선에서 식민지 점령을 멈췄다면 마찬가지였겠죠. 더불어 식민지 점령하면서 학살한 면에서는 전혀 다른 면모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kyunghunkim5601 Жыл бұрын
힘든 밸런스게임이다.. 영국 프랑스... ㅋㅋㅋ
@박종찬-o1z Жыл бұрын
드골과 프랑스 진짜 역겹네
@jeongminpark483 Жыл бұрын
프랑스는 독일한테 좀 쳐맞었야했다ㅉㅉ 독일한테 쳐맞고 베트남에 화풀이할려다가 쳐맞고
@woonya32 Жыл бұрын
오랜식민치하 끝에 결국 정신적으로 일본에 감화되고 일본이 연합군이었다면 일본을 위해 피를 흘리고 좋아하고있을 조선출신 청년들로 상상해보니 소름이 돋는다
@보리임금 Жыл бұрын
프랑스 개쐑끼 😊😊😊
@american_jinseng8 ай бұрын
한국이 일본 식민지였으면 생겼을 일이네...
@tank_boy-p1w Жыл бұрын
프랑스가 해방할 가치가 있었나 ㅋㅋㅋ 지들이 히틀러랑 뭐가 다른데 ㅋㅋ 뭐? 자유의 나라? ㅋㅋㅋㅋㄲ
@truth1472 Жыл бұрын
미국 다음으로 민주주의를 시작한 나라죠.
@user-ls2lk5xe1p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는 프랑스가 먼전데 뭔소리고ㅋㅋ 인권선언 모르냐? 그 마인드면 이탈리아 어디 공국 아니면 그리스가 먼저 민주주의 먼저한거다 ㅋㅋㅋㅋ
@tayoungkim3715 Жыл бұрын
@@user-ls2lk5xe1p 그 인권선언에 영향을 준게 미국독립선언서 인데요? 오늘날의 간접 민주주의를 최초로 제도화 한게 미국이 맞습니다만??
@낭만하늘성8 ай бұрын
프랑스의 민주주의는 나폴레옹 정권때부터 근간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건 알고서 떠드는 건가. 적당히 빨아야지 ㅅㅂ ㅋㅋㅋ 프랑스도 ㅈ같은 짓 많이 했던 제국주의 국가일 뿐이다.
@gogibap Жыл бұрын
유럽 짱개 프랑스 ㅋㅋ
@신사-s9r Жыл бұрын
프랑스군에 지원했다는 자체가 어이상실😂
@톹돝 Жыл бұрын
나치는 어찌보면 모두를 구하려고 한거였다.
@truth1472 Жыл бұрын
나찌들의 기준으로는 우리는 독일산 세퍼드보다 아래입니다. 나찌는 유대인만 싫어한게 아니고 아리안족이 아닌 슬라브족도 싫어했고 피부색이 다른 우리나 아프리카인들은 두말을 할 필요도 없습니다. 나찌가 전쟁에 승리를 했으면 우리 조상님들은 개스실행입니다.
@user-mz3ho4cm8v Жыл бұрын
그럼에도 우리에겐 나찌가 필요합니다.
@독립테러리스트 Жыл бұрын
대일본제국만세
@이인철-x7k Жыл бұрын
알제리인에 역사적 고통을 우리가 더 아프게 느끼는건 그당시 우리에 조상들은 일본군에 끌려가 전장에서 노동력으로 성노예로 고생 했다는것이죠. 약한민족,희생을 하지 않는 민족 에게는 미래는 없습니다. 아프칸이 그랬고 베트남이 그랬죠? 영상을 보면서 답답함 분노를 느끼는건 저분만이 아니겠죠? 영상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