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의 거짓, 유저마다 평가가 극명하게 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P의 거짓 플레이 후기]

  Рет қаралды 374,726

중년게이머 김실장

중년게이머 김실장

8 ай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 100
@중년게이머김실장
@중년게이머김실장 8 ай бұрын
PD) 10월 13일(금) 오후 7시부터 다크소울2 맛보기 방송합니다. 많관부...
@test-driver
@test-driver 8 ай бұрын
스꼴라!
@sayanything-fx3xd
@sayanything-fx3xd 8 ай бұрын
와! 우주 갓겜!
@ff.290
@ff.290 8 ай бұрын
왜 스스로 고통의 구덩이로 들어가십니까
@user-ui5jf5uw6w
@user-ui5jf5uw6w 8 ай бұрын
넘 재밌겠다
@214125t6at
@214125t6at 8 ай бұрын
@theeluwin
@theeluwin 8 ай бұрын
저는 기가막히게 모든 부분에서 취향이 딱 맞아서 아주 재밌게 5회차씩 하고 있는 유저인데요 여러가지 면에서 호불호 선택을 했다고 느꼈고 그래서 모든 사람이 만족하긴 어렵겠다 생각했습니다.. 다만 저처럼 모든 면에서 만족하는 경우도 꽤 있을거라 생각해요. 플레이스타일은 퍼펙트가드=체간쌓기, 그로기공격=인살이라고 여기고 나머지 빈틈은 블본처럼 해서 세 게임이 적절히 섞인, 약간 연속적인 세키로처럼 플레이 했습니다.
@breadpitt131
@breadpitt131 8 ай бұрын
그냥 BM이 어떻니 운영이 어떻니 얘기하는게 아닌 게임이 나와줘서 너무 재밌게 했고 좋았다.
@lesmizerable78
@lesmizerable78 8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매번 돈을 어찌 버니 확률이 어떻니 이런 얘기가 많은 한국게임판에 이렇게 게임의 분석을 하면서 좋다 아쉽다 하니 너무 좋네요.
@suejl
@suejl 8 ай бұрын
와,,, 이게 맞다 BM외적으로 이렇게 극명하게 갈리는 게임이 나왔다는것만으로도 너무 좋다
@tirads
@tirads 8 ай бұрын
한국게임계의 등불...
@WisdomCleo
@WisdomCleo 8 ай бұрын
이게맞지.....
@nadol4635
@nadol4635 8 ай бұрын
이게 진짜 베스트 리플이다. 올리자
@char6226
@char6226 8 ай бұрын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소감은 재밌었어요. 전에 소울을 많이 경험해보지 못해서 상대적으로 이게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부분을 덜 느꼈을 수도 있구요. 피드백 많이 받아서 다음에 더 개선된 멋진 작품 기대합니다.
@ska90980
@ska90980 8 ай бұрын
말씀하시는 내용을 보면 사람들이 십년 이상 비교 없이 소울류를 학습했던 상황에서 다른 게임사가 차별화된 게임성을 제공하려 고심하던 요소가 추가되면서 발생한 것 같긴 하네요. DLC나 대규모 업데이트 등으로도 수정하거나 개선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지금까지 쌓은 노하우를 가지고 앞으로 어떻게 더 네오위즈만의 색을 살릴지 궁금하기도 하구요.
@hgm252
@hgm252 8 ай бұрын
첫 술에 모든것을 만족할 수 없는게 세상만사지만 이정도면 만족할 수 있는 게임이라 생각합니다. 라운드8 스튜디오가 다음작품도 좋은 작품을 만들기를 기원합니다.
@tirads
@tirads 8 ай бұрын
국산 게임 리뷰를 하며.. BM이 아닌 게임성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좋네요 저는😂
@ggom_woong
@ggom_woong 8 ай бұрын
​@@tirads진짜 공감합니다...
@rechuptv6575
@rechuptv6575 8 ай бұрын
"무슨 일이든, 첫술에 배부른 법은 없는 것이오" - 박헌영,
@RoyalMadrid1920
@RoyalMadrid1920 4 ай бұрын
중국 게임이였으면 그냥 카피라고 했을듯
@soridalpangyi
@soridalpangyi 8 ай бұрын
처음 만드는건데도 이정도였다면 다음 시리즈도 엄청 기대되요 dlc 떡밥도 기대되고 듣기론 dlc 말고 후속작 개발준비도 들어간다는거 같은데 잘됐으면 좋겠네요
@Aris_s_
@Aris_s_ 8 ай бұрын
7:15 진짜 제가 스꼴라 소리 보면서 진짜 이해가 안됐었는데 그걸 이렇게 말씀해주시니 제가 다 속이 사원하네요 정말 맵에 있어서는 프롬 본가와 비교해서 진짜 불쾌함을 덜어내고 덜어내서 전투에 집중시켰다는 느낌이었는데
@soultree8845
@soultree8845 8 ай бұрын
와... 실장님 멘트에 공감이 가는 게 너무 많네요. 정말 핵심적인 요소를 딱딱 캐치해 주신 것 같습니다. 첫 술에 배부를 수가 없다는 게 맞는 것처럼 국내에서 처음 소울라이크 장르의 게임을 낸 것 치고는 정말 훌륭한 게임이었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이번 작품을 발판 삼아 후속작은 더 많이 성공했으면 좋겠습니다.
@nos_173
@nos_173 8 ай бұрын
많은 부분에서 공감이 가는 영상이네요. 인형의 왕까지는 톱날+부스터 글래이브자루로 플레이하다가 폭군 단검의 치명타 소리가 좋아서 단검 플레이로 바꿔 남은 보스들을 클리어 했는데 이 때부터 난이도가 급상승하게 되더군요. 단검 날 특성상 가드 감소율이 높아야 40퍼 정도밖에 안되서 사실상 일반 가드 플레이는 막히고 회피+퍼가플레이를 하게되는데 회피로 대부분을 피하자니 무지성 연타or히트박스 남는 다단히트 패턴을 대응하기는 역부족이고 그렇다고 어느정도 위험을 감수하고 퍼가를 섞어 그로기를 쌓아보자는 선택지도 단검 특성상 보스 체력 거의 다 빠져있는 상태가 되서야 그로기가 한번 터지는 상황이 벌어지다보니 과연 단검무기쪽이 가지는 이점이 무엇인지 의문이 가게 되더군요. 말씀하신대로 가드 감소율 높은 대형날+빠른 손잡이무기조합으로 일반 가드하고 퍼가나 공격으로 남은 리게인 체력을 채우는 게 훨씬 나으니 말이죠… 퍼가시 그로기도 소형날 보다 잘 터지기도 하구요. 만약 가드 감소율 낮은 무기로 퍼팩트가드 시에는 그로기가 잘 터지는 기믹같은게 있었다면 소형날과 대형날의 차별점이 더 두드러지지 않았을까 싶기도 합니다.
@ik8319
@ik8319 8 ай бұрын
소울러들은 가드하고 회피만 하느라 입문자들한테 추천 안하는데, 정작 이걸로 소울류 처음 접한 입문자들은 본인들 방식대로 깨서 어렵지 않게 깨는 특이한 겜임ㅋㅋㅋㅋ
@R.Nye.1122
@R.Nye.1122 8 ай бұрын
이게 맞는거 같음 피의 거짓을 온전히 피의 거짓으로 받아들여야 쉽게가는듯
@user-hm8uf2qb6o
@user-hm8uf2qb6o 8 ай бұрын
세키로도 처음나왔을때 망자들이 오히려 더 허덕였던거같은데 ㅋㅋ
@ik8319
@ik8319 8 ай бұрын
@@R.Nye.1122 누가 1회차에서 푸오코를 폭탄12개+페이블아츠 한 대로 클리어 한 게 충격이었습니다ㅋㅋ 정답은 찾기 나름ㅎ
@moontee3516
@moontee3516 8 ай бұрын
격겜 좋아하는 분들도 잘하실듯 ㅋㅋㅋ
@user-di2sv9tu1v
@user-di2sv9tu1v 8 ай бұрын
ㄹㅇ히려 기존 망자들이 틀에 박힌 관념 땜에 더 힘들게 깼음.
@user-uh5iu6gu7k
@user-uh5iu6gu7k 8 ай бұрын
김실장님의 이야기가 지금까지 제가 본 P의 거짓 영상중 가장 정리가 잘 된 분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왜 게임을 하면 할 수록 기분이 나쁠까... 하는 생각이 계속 남아있었는데 오늘에서야 정리가 되네요.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개발팀도 계속 응원하겠습니다.
@user-my2zo8pz5d
@user-my2zo8pz5d 8 ай бұрын
100%에서 뭔가 추가되는게아니고 캐릭터 반불구만들어서 기상회피 이런거도 다 빼둔걸 자원써서 올려야하는것고 아차싶은데 전조모션2초 찍다가 실제 공격모션은 2~4프레임만든게 에바였음 물론 ost는 ㅆㅅㅌㅊ
@bluerationality
@bluerationality 8 ай бұрын
@@user-my2zo8pz5d 데모랑 달리 회피 업글 안 해도 성능 충분해서 개인적으로는 전혀 반불구로 안 느껴지더라구요. 기상 회피가 아쉬웠던건 손에 꼽을 정도고 인형의 왕 2페이즈 모든 공격도 업글 전혀 안 한 회피로 충분히 다 보고 피할 수 있어서
@user-tl8ll1il8c
@user-tl8ll1il8c 8 ай бұрын
3회차까지 깨면서 수집요소 다 모았고 보스전, 맵파밍, 음악, 스토리 전부 만족스러웠습니다 불만 포인트가 없는 건 아니지만... 아니 사실 꽤 되지만 첫 개발작임을 고려하면 정말 다음이 기대되는 게임이라 생각해요... 이번에 꼭 잘 팔려서 DLC랑 차기작 개발까지 순조롭게 진행됐으면 좋겠습니다
@bluerationality
@bluerationality 8 ай бұрын
비 올 때 서서히 옷이 젖어서 셔츠가 투명해진다든지 사람들이 쉽게 안 보는 여러 아트나 효과에 힘 쓴 부분들이 많더라구요. 이런 것도 좋았고 개인적으로는 소울이나 블본 한 사람들이 비교에 좀 스스로 얽메이고 예전 그 게임들에서 성장한 자신의 실력에 대한 기억 때문에 피 거짓 플레이도 같은 식으로 해서 적응이 좀 어려운 부분도 있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예로 플레이의 다양성을 강조해서 회피로만 플레이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혹은 막기로만 플레이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든가....
@Colter_Stevens
@Colter_Stevens 8 ай бұрын
저도 3회차 진행중인데 내용에서 이해가는 부분도 있고, 쉽게 하려고 하면 한없이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보니 피로감을 느끼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해가 안가는 부분들도 있긴합니다. 보스를 좀더 강하게 하고 패턴을 줄이는것도 하나의 방법이겠죠,, 뭐 다 좋은 게임이다보니 아쉬운 부분이 있어서 그런거라 생각되고, 이번의 경험을 통해서 좀더 발전하는 게임이 됬으면 하네요. 영상에서 좀 추가했으면 하는 것은 그로기 상태일때 접근할 수가 없다 라는것은 [투포환]을 던지면 해결됩니다. 그리고 손잡이 부분에는 페이블아츠1칸짜리 방어가 있는데 생각보다 괜찮아요.
@jshan3435
@jshan3435 8 ай бұрын
재밌게 즐겼습니다ㅋㅋ 회차할때마다 플레이 전략을 바꿔가면서 하는거 재밌더라구요 저도 처음엔 그냥, 2회차는 퍼가 위주, 3회차는 회피 위주로 세팅해놓고 하는데 나름 꿀잼
@jaesoonkim8957
@jaesoonkim8957 8 ай бұрын
4일동안 너무 행복하게 라이브 함께했습니다 좋은 분석영상 감사합니다 피거짓 DLC도 잘나왓음 좋겟네요 잘볼게요~
@Aranbee
@Aranbee 8 ай бұрын
예전 김실장님의 엘든링 리뷰영상에서 엔딩을 보고도 스토리를 이해하지 못해 프롬뇌를 굴려야만 하는게 rpg인게 맞는지 모르겠다 라고 댓글을 달았었는데 그런 관점에서 P의거짓은 직관적인 스토리, 게임내 문서들과 퀘스트로 이해되는 케릭터들의 스토리가 너무 좋았습니다. 더불어 영상에도 나온 얘기지만 저도 길치라 프롬소프트의 게임을 사놓고도 10시간도 즐기지 못하고 헤매다가 늘 포기한 사람인데 피의거짓은 가까스로 리미트에 걸리는 맵 구조라 저도 2회차 플레이로 도전과제를 모두 완료할 수 있었네요. 장르 자체가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리는 장르이다보니 평가가 갈리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고, 입체적이고 복잡한 맵구조를 줄이고 직관적인 스토리라인을 전개하고, 유저들의 불만을 듣고 빠르게 패치하는 부분 등을 보면 네오위즈의 방향성은 좀 더 많은 유저가 즐길 수 있는 게임인 것 같습니다. 다만.. 그런 것 치고는 너무 의미없는 통수가 많아서 다음 작이나 dlc에서는 개선될거라 생각합니다.
@gidugi1004
@gidugi1004 8 ай бұрын
그냥 이런거 저런거 다 떠나서 전투자체가 재미있었음. 프롬본가 겜 빼고 타제작사 소울류겜들중 이정도로 프롬 느낌비슷하게 전투를 만든겜이 없었달까 프롬소울류자체 느낌을 잘살린것만으로도 높은 점수를 주고싶고 단순하고 뻔한듯 하면서도 멋지게 표현한 스토리도 좋았음. 결국. 메인부터 서브스토리까지 여러종류의 사랑이야기라는게 너무좋았었음. 그걸받쳐주는 음악도 좋았고 그러니 어서 빨리 DLC,후속작 만들어라!!
@user-eg7fm6cc2x
@user-eg7fm6cc2x 8 ай бұрын
닼소,엘든링 전부 가드 패링 거의 안하고 회피 위주로 했는데, 피의 거짓은 퍼펙트가드랑 가드 위주로 플레이하게 되더라고요 새로운 재미였음. '필드에 함정이 너무 많다' 는 의견이 많은데, 전 오히려 함정들이 뻔해서 거의 발견하면서 간 듯. 영상보니까 이번엔 회피를 오히려 거의 안 써서 다들 쉽다는걸 어렵게 깨고 어렵다는걸 쉽게 깼나보네요 ㅋㅋㅋㅋ
@final_psd
@final_psd 8 ай бұрын
김실장님의 피거짓 팀 인터뷰 컨텐츠로 게임을 포기했다가 다시(?)하게 되어서 리뷰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하시는 모든 말씀에 다 공감되네요ㅋㅋㅋㅋ 소울 컨텐츠는 확실히 좋아하시는게 느껴져서 언제봐도 재밌습니다!
@kaizers799
@kaizers799 8 ай бұрын
p의 실험맨을 여기서보네요
@final_psd
@final_psd 8 ай бұрын
@@kaizers799 ㅋㅋㅋㅋㅋ아 망자들끼리의 만남ㅋㅋㅋㅋ
@rino0108
@rino0108 8 ай бұрын
앜ㅋ가끔 보던분이네ㅋㅋ
@final_psd
@final_psd 8 ай бұрын
@@rino0108 ㅋㅋㅋㅋ고마워요! 유튜브 알고리즘!!
@rino0108
@rino0108 8 ай бұрын
@@final_psd 영상 재밌게 보고 있어요!
@JHlee-xj4lw
@JHlee-xj4lw 8 ай бұрын
1회차 재미있게 플레이하고..2회차, 3회차 하면서 알수없는 불편함들이 느껴졌는데..그것들을 정확하게 짚어내고 풀어주는 내용에 놀랐습니다. 역시 아무리 잘 따라하고 나름 역량이 뛰어나 차별화를 두며 잘 만들었어도, 그 노하우..시간과 결과들이 쌓아준 노하우만은 그냥 터득하는것이 아니라는 사실도 다시 한번 깨닫게 되는군요..게임 개발진이 이 영상을 꼭 보고, 그 노하우를 쌓아가시길 바라겠습니다. 정말 나오는 게임 다 사줄테니까.. 응원합니다! (근데 스콜라 다시 안할거야 열받어)
@gwfhegel9
@gwfhegel9 8 ай бұрын
드디어!! 너무 기다렸어요 ㅠㅠ
@leoy3104
@leoy3104 8 ай бұрын
오오 퇴근하자마자 영상에 라이브라니!!! 감사합니다 ^^ 서새봄님이랑 같이 스트리머 관련 컨텐츠 하나 해도 좋겠네요 ^^ 서로 간에 살짝씩 관여도 있으시니 ... (우마무스메 뽑기라던가 ...)
@choiseit4302
@choiseit4302 8 ай бұрын
전 너무 재미있게했어요. 다들 시스템적인 부분을 얘기하느라 잘 언급이 안되는 부분인데 을씨년스러운 분위기와 그래픽이 너무좋았어요. 불쾌한 부분이 없었다고 하면 거짓말이지만 전체적으로 너무 만족 😊
@100soondol9
@100soondol9 8 ай бұрын
완전 공감가는 내용입니다 다른 소울시리즈 엔딩본사람이 이게 어려워서 접는다고?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오로지 퍼펙트가드만 열심히 할려는거 같더라고요 함정도 거의 없고 그냥 평범하게 적당히 회피하다 공격하고 가끔 퍼펙트가드하고 투척물 던지고하면 프롬소울시리즈보다 훨씬 쉬운게임인데
@theehwan
@theehwan 8 ай бұрын
초대석 영상부터 기대 많이했고 그 영상 덕분에 엘든링도 입문한 유저로서 너무 만족스럽게 잘 플레이했어요 특히 2회차 플레이 중에나 맵 구조가 조금 단순하다 생각헀지 1회차 때는 어딜가든 벌벌 떨면서 진행했던 그 긴장감이 너무 좋았네요 특히 유저를 잘 유도하는 맵 디자인이나 아이템 배치는 구석구석 탐험하는 걸 좋아하는 저에게 무척 잘 맞았습니다 분명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도 있겠지만 DJ MAX부터 헀던 저로서는 OST도 너무 좋았고 무척 아름다운 게임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모든 시작을 열어준 김실장님의 초대석 영상에 감사드리고 개발진들에게도 무한한 경의와 감사를 표합니다 차기작도 기대할게요!
@user-yv9re5of6r
@user-yv9re5of6r 8 ай бұрын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 참 재미있게 했어요. 뭔가 내가 아는 익숙한 맛 + 국산겜 이라는 버프 효과가 있어서 그런 거 같긴 하지만요. 아쉬운 게 없었다면 거짓말이겠지만 "에이 첫술에 배부르겠어" 생각하며 그냥 했습니다 ㅋㅋ 네오위즈 쪽에서도 여러 피드백을 받고 있을테니까요. 이어지는 DLC와 다른 후속작은 훨씬 더 좋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일에 부딪히고 넘어지시겠지만 결코 앞으로 가는 걸음을 멈추지는 말아주세요. 소울을 좋아하는 유저로서 또 국내 게임의 부흥을 바라는 한명의 유저로서 항상 응원합니다.
@gamevocation
@gamevocation 8 ай бұрын
fgt도 참가하고 출시후 4회차까지 달리고 모든컨텐츠를 다 핥아먹었는데 제가 느낀 것들이랑 놀랍도록 비슷하네요 ㅋㅋ 역시 이 게임은 딱 부족한점이 확실한거같습니다 회피/퍼가/가드 등등 방어기믹들을 여러가지로 이용하는거에 대한 호불호는 둘째치더라도 이거를 유저들한테 자연스럽고 설득력있게 학습시키는 즉 레벨디자인이 됐어야 하는 부분인데 그게 맵이든 보스든 잡몹이든 성장시스템이든 뭘로했든 좀 더 노하우가 필요했던 그런 게임인거같아요 물론 다 포함해서 종합적으로 상당히 훌륭한 게임이고 무엇보다 그 부족한점들은 회차진행하면 다 사라지는 부분들이고 그래서 소울류중에서 회차를 제일 재밋게한 그런 게임이었습니다
@smoon999
@smoon999 8 ай бұрын
데모 플레이 영상보고 아트스타일이 너무 맘에들어 p의거짓으로 소울 입문을 하게됐네요. 망자들의 우려와는 달리 소울 쌩뉴비지만 재밌게 했습니다. 다른 무기 써보고 싶고 p기관 업글 다 해보고 싶어서 3회차까지 알차게 했습니다. 그러다 문득 1회차 시작무기를 처음과는 다른 레이피어를 들고 하면 어떨까 궁금해 다시 시작했는데 거의 노가드 회피플레이로 하게 되니까 이게 또 다른 재미가 있네요. 아쉬운점도 있지만 저한테는 올해 가장 재밌게 한 게임입니다. 후속작 응원하겠습니다.
@bulsaharam
@bulsaharam 8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구르기보다 가드가 더 강렬한 1대1 싸움이 되는 느낌이라 페링이 좀 더럽다고 해도 전 오히려 좋았습니다. 무협지에서도 원래 땅 구르는 건 수치스러운 거다 이말이야
@user-nb5gm9ve4l
@user-nb5gm9ve4l 8 ай бұрын
??? : 하지만 낭만 뒤졌죠
@user-us7yr7fb6k
@user-us7yr7fb6k 8 ай бұрын
어맛 하람님이닷 반가워용
@deptofbiochem1143
@deptofbiochem1143 8 ай бұрын
나려타곤 비웃는 애들이 꼭 나려타곤 쓰는 주인공한테 쳐맞던데..
@user-du7wg5er1v
@user-du7wg5er1v 8 ай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tubeyou1490
@tubeyou1490 8 ай бұрын
주변 반응이 왜이리 갈리나 이해가 잘 안됐는데 좋은 분석 덕분에 이해가 좀 되는거 같네요. 심지어 소울류를 스콜라까지 다 해본 사람들 사이에서도 피의 거짓 하고 나서 스트레스 엄청 받는 사람이 있고 재밌게 잘 하는 사람으로 완전 갈려서 왜 이러지 이해가 안됐었거든요. 영상에서 짚어주신 몇몇 요소들이 그런 현상을 만든거 아닌가 이해가 되는거 같아서 좋네요.
@user-jo8zf6pq3d
@user-jo8zf6pq3d 8 ай бұрын
저두요
@user-yz3hu1zh1s
@user-yz3hu1zh1s 7 ай бұрын
오늘 1회차 엔딩 봤어용 닼소1,2,3 세키로 엘든링 인왕 외 기타등등 소울류 다해보고 재밌는건 다회차 할만큼 닳고 닳은 망자인데 갠적으로 소울류 중에 충분히 어려운 축에 속한다고 생각해요 각종 엇박. 낚시패턴. 난해하고 다채롭고 긴 패턴의 보스들. 후반엔 잡몹들도 난사하는 퓨리어택 등등 어려운 요소로 범벅.. 퓨리어택 자체는 좀 열받는 시스템이지만 보스 하나하나 정성들여 주옥같이 만들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어여 암튼 보스러시좀 빨리 출시했으면 좋겠당 이제 2회차 하러 가야지~~~
@user-zm7td1zo8v
@user-zm7td1zo8v 8 ай бұрын
피의거짓 제작진에 대한 애정과 소울매니아의 소울 넘치는 강의 크흐~ 역시 분석력 짱짱
@user-ji4rl6qb4f
@user-ji4rl6qb4f 8 ай бұрын
라이브 보고봐야겠다 ㅋㅋ 기대되네요
@user-lg3kw3zc8r
@user-lg3kw3zc8r 8 ай бұрын
지금 3회차 진행 중인데... 퓨리어택+퍼펙트 가드 시스템에 적응을 잘 못해서 처음엔 아 따로 놓고 보면 다 괜찮은 시스템인데 이게 섞이면 왜 다 따로 노는거 같지? 란 생각을 자주 했는데 이 영상 보니까. 내가 시스템을 잘못 이해 하고 있었구나 란 생각이 드네요. 걍 쳐맞다 보니 펄스전지 빨생각만 하고 펄스전지 다 떨어지면 x됐다 싶어서 회피하다가 죽으니 맞는거 자체를 두려워 해서 퍼펙트가드에 의존 하는데 퍼펙트 가드가 만병통치약이 아니었다는걸 이해를 못했네요. 저는 전투시스템이 좀 맘에 안드는거 빼곤 괜찮은 게임이라고 생각 했는데 전투 시스템을 좀 더 파봐야 할거 같습니다. 거의 가드나 퍼가 위주로 게임을 했는데 회피도 좀 해보고 회차 플레이를 좀 더 해봐야 할거 같네요. 좋은 영상 이었습니다.
@user-zj1vr4oq3s
@user-zj1vr4oq3s 8 ай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P의거짓으로 소울류 게임에 처음 접해봤는데 역시 뉴비랑은 느끼는 점이 다르군요. 전투에 대한 학습에 대한 이야기는 인상깊었습니다. 저는 이 게임이 소울류게임에 처음이기에 전투에 대한 학습에 대한 생각은 전혀 없었고 보스의 불합리한 패턴도 나도 불합리하게 투포환 같은 투척류, 리전암, 조력자 ,조력자큐브 등 쓸 수 있는 것은 모두 다 써보며 클리어했습니다. 거의 몬스터헌터월드와 비슷하게 플레이를 하게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와달리 소울류를 즐기는 다른 친구는 리전암이나 투척무기를 비롯한 부가적인 것들은 사용치않고 오로지 가드와 회피 공격으로 클리어하였습니다. 이렇듯 첫작품이 소울류 입문자나 경험자 모두 즐겁게 할 수 있게 게임을 만들 었다는게 대단하다고 생각되네요. 차기작이 기대됩니다
@jaesoonkim8957
@jaesoonkim8957 8 ай бұрын
영상 꼼꼼히 보고나서 하고싶은 말이 생겻는데 난이도 완화를 위한 컨텐츠 배치를 조금만 바꿔도 훨씬 좋은 경험을 했을것 같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어쩌면 이정도는 아쉽게 햇다가 풀어줘야 소울이지 라고 일부러 그렇게 했을수 있어요 그런데 그 영역이나 타이밍을 잘 조절하지 못했던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거 없어도 잘 깨는 사람은 별문제가 없엇고 그런게 필요햇던 유저는 불합리함을 너무 많이 느낀것 같아요 그 외에도 후반 성장곡선이 너무 느린것도 어렵고 답답하게 느껴지는 원인중 하나인거 같아요 이번 피드백이 차기작에 도움이 많이 되었으면 하네요
@user-mx4xt5qk2h
@user-mx4xt5qk2h 8 ай бұрын
소울류 게임 플스로만 할 수 있는 데몬즈 소울이랑 블러드본 빼고 8회차 플레이 까지 다해봤는데 소울류 겜에서 제가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는 부분은 길찾기 였습니다 특히 엘든링을 하면서 느낀건 어디로 진행을 해야할지 도저히 모르겠어서 공략을 찾아봐야 할때의 불편함과 게임 길치인 제가 닼소 1,2를 하며 불합리한 맵과 함정에 스트레스를 느끼다 보니 세키로와 p의 거짓의 선형적인 맵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고 저의 소울류 게임의 최대 즐거움중 하나가 빡빡하고 속도감있는 전투를 좋아하기 때문에 패링을 쓰는 세키로나 닼소 3을 좋은아하기도 했던 저로서는 p의 거짓을 매우 재밌게 플레이 했던 것 같습니다.
@trlee9110
@trlee9110 8 ай бұрын
이러니 저러니 해도 결국 잘 만든 게임이니까 기대에 못 미치는 부분에 대한 아쉬움도 느껴져서 한마디씩 더 하는 것 같아요ㅎㅎ 원래 망겜은 다들 망한지도 모른다고 하잖아요ㅋㅋ 저도 소울류 하나도 안 했다가 P의 거짓으로 맛보기만 해봤는데ㅋㅋ 게임 컨셉이나 철학이 좋은 것 같아서 잘 되서 P의 거짓 후속작도, 다른 장르의 게임도 나오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jsy9664
@jsy9664 8 ай бұрын
​ @dml-kf7xo 뭐 그럼 새로운 장르 개척이라도 하라는 거임? 뭐든 너무 새롭고 낯설면 막상 안 팔린다.
@richk6188
@richk6188 8 ай бұрын
​@dml-kf7xo 베끼기 타령할거면 소울라이크를 하지 말아야지
@heavyrain9823
@heavyrain9823 8 ай бұрын
@dml-kf7xo 이게 그 겜안분인가 ㅋㅋ
@user-oi3qu9dr8q
@user-oi3qu9dr8q 8 ай бұрын
@dml-kf7xo 레이싱게임들도 배낀거, 횡스크롤도 배낀거, 대전격투도 배낀거, 슈팅게임도 배낀거, 미연시도 배낀거 FPS도 배낀거, 턴제RPG도 배낀거 에라이씨 당신이 만들던가
@user-yb3gx4ck8z
@user-yb3gx4ck8z 8 ай бұрын
@dml-kf7xo 니 논리라면 김밥도 처먹지 말아야지 ㅋㅋㅋㅋㅋㅋㅋ일본 마키에서 가저왔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카레는 ?ㅋㅋㅋㅋㅋㅋㅋ
@miroticpower
@miroticpower 8 ай бұрын
'보고 반응하는게' 어려운 점도 초반에 욕먹는데 한몫했습니다. 적의 공격 시작 모션과, 타격이 인정되는 최종 프레임 사이에 중간 모션 프레임이 상대적으로 다른게임보다 짧아요. 액션적으로 멋지고 박진감넘치게 하려고 그랬는지는 모르겠지만, 공격해오는 중간 모션 프레임이 없으니까, 공격을 본다는 느낌보다는 머리로 외워서 반응한다는 느낌으로 게임하게 됩니다. 이게 굉장히 불쾌한거예요. 일단 무조건 맞아봐. 모르면 무조건 맞아야해. 라는 인식이 깔려있었던거 같습니다. 보스의 공격이 확 날아올때 끝까지 보고 우---왓 하면서 피하거나 가드를 딱 눌러 막는게 쾌감이 있는데 이 게임은 그게 아니고 타이밍을 외워서 '하나 둘 셋 이때다!' 하면서 구르기/퍼펙트가드를 누르도록 강요하는 게임이거든요. 욕하면서 1회차 깼고, 그 뒤로는 기능과 아이템 해금으로 게임이 확 쉬워졌고, 게임사도 초반에 욕먹던 것들을 많이 패치해서 게임이 쉬워졌다는 느낌은 들지만, 여전히 모르면 맞아야지 라는 방식의 적의 공격 프레임은 마음에 안 듭니다.
@user-dp7yy5qn6h
@user-dp7yy5qn6h 8 ай бұрын
이거 저도 동의합니다. 이 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소울류를 하던 기존 팬들이겠지만 플레이 경험이 있다고 해서 모두가 동일한 실력을 갖고 있는건 아님에도 이런 피지컬적인 반응을 너무나 당연하게 요구하는 부분들은 좀 불쾌했죠.
@JICHULKIM-zo6ze
@JICHULKIM-zo6ze 8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이게임의 가장 문제가 공격준비동작은 쓸데없이 길면서 실제 공격프레임 자체는 거의 없어서 공격준비 - 공격이 날아오는거 - 타격이 아니라 공격준비 - 타격 임 그러다 보다 공격을 보고 피하거나 막는게 아니라 그냥 정박, 엇박에 맞춰서 미리 누르는 방식이여서 개인적으로는 전투가 제미없고 짜증만 나더라구요.
@judahee
@judahee 8 ай бұрын
반대로 그 부분이 오히려 오리지널리티 해서 좋았음
@user-vi3oo9qe4c
@user-vi3oo9qe4c 8 ай бұрын
@@judahee 결국 오리지널리티로 넣었다는 부분은 다들 공감 하는 것 같은데.. 문제는 그 부분이 장점 보다는 단점이 더욱 부각되는 문제가 있다 보니 불만을 가지는 것 같더라구요. 마치 바로 직진하면 5분 거릴 거리를 차별을 둔다고 둘러서 10분 걸리는 방법을 선택한 경우처럼..
@judahee
@judahee 8 ай бұрын
@@user-vi3oo9qe4c 공감하는 말이 어디에?
@MrJAM-np7go
@MrJAM-np7go 8 ай бұрын
사람마다 플레이 스타일과 상황이 다르니까 소울 접근법이 다른 게 재밌네요. 저는 입문을 블러드본으로 했고, 시간을 오래 못 쓰다보니 최대한 패턴을 덜 보는 플레이를 하는 쪽으로 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방패 없는 플레이가 익숙해서 닼소 3도 한대 더 맞고 더 때리자는 마인드로 용쌍 들고 깼고, 엘든링도 마찬가지로 방패 없이 산쌍으로 깼습니다. 근데 실장님이 스꼴라 하는 걸 보니 확실히 가드 없이 나대는 그런 플레이는 필드에서 죽음을 자초하는 행위더군요 ㅋㅋㅋㅋ. P의 거짓은 플레이 요소가 다양하다보니까 사람마다 제각각으로 하면서 맞으면 슉슉 풀리고, 안 맞으면 시간이 오래 걸릴거란 이야기가 참 와닿았습니다.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Leon-zv5dr
@Leon-zv5dr 8 ай бұрын
결론적으로 게임을 냈기 때문에 노하우를 쌓을 수 있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어딘가를 탁 치고 갑니다. 아쉬움이 있었지만 여전히 곱씹어봐도 다른 스타일로 잘 만든건 맞고, 세부적인 부분에서 여러 유저들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노하우들은 앞으로 쌓아 가면 되는거겠죠. 아주 오래전 고전게임과 달리 요즘은 패치도 용이한 부분이니, 패치와 DLC로 개선해나가면 좋을거 같습니다. 초기엔 버그나 깔았다 소리 듣던 사펑2077도, 이게 게임이냐 소리를 듣다가 요즘엔 스타필드보다 나은거 아니냐 소리 듣는 노 맨즈 스카이도 있듯이, P의 거짓도 피드백을 기반으로 패치와 DLC를 잘 기획해서 더 좋은 모습으로 변화해갔으면 좋겠습니다.
@abusemachine1945
@abusemachine1945 8 ай бұрын
이번작도 전반적으로 평가가 좋고, 후속작도 나올 모양이니 후속작은 조금 더 보완해서 더 멋진 게임이 되길 기원합니다
@turtleLuck
@turtleLuck 8 ай бұрын
전 예전에 다크소울을 하다 전투는 재밌는데 길찾거나 가는데 빡쳐 접었던 사람으로 이번 p의 거짓은 길이 쉽게 되있어 좋았네요. 전투는 더 난해하고 어렵긴한거같은데 오히려 그래서 재밌었구요 ㅎㅎ 한국게임사라 한번해봤는데 매우 만족했습니다!
@user-rn7cy5rx5z
@user-rn7cy5rx5z 8 ай бұрын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재밌게만 플레이 했는데 이렇게 분석해주시는 거 보니까 불합리하거나 재미없다고 느끼는 사람들의 심정도 이해가 가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Tomatofantasy
@Tomatofantasy 8 ай бұрын
좋은 분석 감사합니다. 회피 가드 등 선택지가 많아서 p의거짓은 다회차플레이를 해봐야 게임이 진가가 발휘되는 거 같아요 1회차로는 여러 가지 무기를 써본다던가 플레이를 하는 데에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고 그게 잘못된 선택지면 한없이 어려워지고 불합리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는 게 참 아쉬운 점 같아요. 무기 조합 시스템과 강화 재료의 언밸런스도 아쉬운 점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강화석 획득 난이도를 낮추고 획득량을 늘려서 여러 무기 사용의 제한을 완화해주면 좋을 거 같습니다. 그리고 보스에 따른 어떤 연마석을 무엇을 쓰느냐에 따라 데미지 차이가 극명한데 이런 것도 소울류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아예 안쓰거나 잘못된 속성으로 공략을 해서 난이도를 높이는 데에 한몫을 하는 거 같아요 예를 들어 소울류 망자들은 보스전 앞에서 불의 연마석을 자연스럽게 얻게됨으로써 '아 이제 불약점 몹이 등장하겠구나' 상상이라도 가능한데 일반인들은 이걸 깨닫기가 무척 힘들답니다 이렇게 아쉬운 점도 있었지만 그래도 수작임에는 틀림없다고 생각합니다 시원시원한 액션과 ost 등 좋은 점도 많았거든요. 차기작이 정말 기대될 정도의 퍼포먼스는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
@user-zd6sm6vk3t
@user-zd6sm6vk3t 8 ай бұрын
솔직히 p의 거짓만 만들고 끝난다고 했으면 모르겠는데 일단 후속작 암시가 있었고.... 앞으로 발전할거라고 생각합니다 딱 p의 거짓만 놓고 평가하기엔 이미 소울류가 많이 발전된 상황이고 p의 거짓은 이제 막 도전을 시작한거라.... 평가가 극명하게 나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Goodgurling
@Goodgurling 8 ай бұрын
게임의 문법을 플레이어가 학습하는게 어려웠다는게 문제라면 그걸 해결할 열쇠는 '분류'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세키로도 위험공격이 하단 찌르기 잡기 이런걸로 '분류'가 되어있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각 동작별 대응법을 학습해서 대응할수 있었죠. 그런식의 해결이 차기작에서는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user-wo5bb3ej5x
@user-wo5bb3ej5x 8 ай бұрын
그거야말로 오히려 정답지가 정해진 플레이아닌가요?
@user-yb9ex8yt8t
@user-yb9ex8yt8t 8 ай бұрын
세키로가 보스 배치보면 엄청 적절하긴 함 처음에 패링을 배우다가 적귀 만나면서 피해야하는 점프 익히고 다시 할매 잡으러 가면서 간파하기 배우고 겐붕이한테 종합 세트로 시험치르고
@user-fromsoft_game_v8lh3gb1n
@user-fromsoft_game_v8lh3gb1n 8 ай бұрын
@@user-wo5bb3ej5x 분류가 되어있어도 몇몇은 패리로 대응 가능하고 투척이나 기술도 가능해요. 그리고 사실 P의 거짓도 리스크가 말도 안되게 크거나 리턴이 없는 시점에서 이미 분류를 해놓은 거라는 생각은 안드시나요?
@monnnnnnnnn
@monnnnnnnnn 8 ай бұрын
소울 잘 못 하는 사람인데(블러드본만 엔딩 봤음) P의거짓 데모는 6시간 정도 해서 엔딩을 봤었어요! 두 번째 보스 트라이 시간만 2~3시간 됐던 것 같네요. 트라이하면서 말씀해 주신 회피 동작 정답 맞추기 게임이라는 게 크게 와닿았던 게 기억 나요. 팔을 빙빙 휘두르다 내리치는 공격은 퍼펙트 가드가 편했고, 돌진 공격은 회피로 피하면 때릴 수 있는 빈틈이 많아져서 좋았어요. 중간에 페이즈가 바뀌고서는 같은 공격에 다른 동작으로 반응해야 하는 게 당황스러웠지만 그것도 일종의 재미였고요. 지금은 오랜 트라이가 너무 부담이 돼서 포기했지만,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다시 플레이해 보고 싶은 게임이네요! 좋은 리뷰 감사합니다~
@seowooo_
@seowooo_ 8 ай бұрын
게임 내에 수많은 오브젝트와 무브먼트 등에서 디테일이 굉장히 좋은 게임이었습니다. 다음이 너무 기대됩니다. 전투, 무기 조합 등에서 아쉬운 부분은 실장님이 말씀하신 것과 같은 생각입니다. _+a.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회피의 판정이 너무 좋았고, '퓨리어택 회피 가능' 아뮬렛까지 쓰면 무림 고수 마냥 회피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_
@user-ry7ow3ci6u
@user-ry7ow3ci6u 8 ай бұрын
분명 스콜라가 연상되는 함정이나 배치들이 있긴한데 p의 거짓의 억까식 함정이나 배치들은 당해도 딱히 치명적이지 않게 설계되어있어서 대부분 즉사하지도 않고 설령 죽더라도 다시 거기까지 가는데에 대한 막대한 스트레스를 유발하지도 않음, 거의 스콜라향 0.003%첨가 같은 수준인데 이거 스콜라 라이크다 하는건 저도 공감이 안되더라고요
@user-jj5yi1xn5v
@user-jj5yi1xn5v 8 ай бұрын
정말 재밌었던점이 내가 보스에 박을때마다 보스가 쉬워진다는게 느껴졌던것같아요. 이해를 할 수록 쉬워진다는 부분이 재밌었습니다.
@Yoonthree
@Yoonthree 8 ай бұрын
어제 김실장채널 p의 거짓 영상 정주행하고 평을 듣고싶었는데 올라왔네요 너무 재밌어요
@user-ns9xu9jd8v
@user-ns9xu9jd8v 8 ай бұрын
소울류 게임을 시청만 해본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줘서 굉장히 흥미롭게 영상 즐겼습니다. 이 정도면 게임계의 교양수업이라고 봐도 좋을 것 같아요 :D
@crizark
@crizark 8 ай бұрын
이런 수준의 게임이 나왔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굉장히 기분이 좋았습니다
@inimini3499
@inimini3499 8 ай бұрын
세키로다 닼소다 다 찍먹하다가 에휴 못하겠다 하고 접은게 수두룩 하고 와룡도 여포전에서 막혀서 에잉 안해 했는데 처음으로 엔딩 봤어요 1회차 진엔딩 진짜 이름없는 인형이랑 그 늪지대 녹색 잡을때 미쳐버리는줄 알았는데 다 깨고 나니 성취감은 있네요 성검이든 킹짱장군님 칼이든 낫이든 그냥 마구잡이 강화해서 보스마다 다르게 쓰면서 한게 그나마 엔딩 보게 해준 원동력 같아요 한무기로만 했으면 진즉 때려쳤을듯 이제 2회차 달리는데 잼있었어요~ 다만 정답이 있는 플레이는 다음 DLC나 후속작에서는 좀 줄여줬음 좋겠어요 그때 그때 직감으로 플레이 해도 돌파 할 수 있는 그런 재미도 느끼고 싶어요 ㅎㅎ
@94wogns
@94wogns 8 ай бұрын
보스의 패턴마다 정답이 정해져 있다. 이게 진짜 와닿습니다.
@donwa_
@donwa_ 23 күн бұрын
오늘에서야 P의거짓 엔딩을 봤는데 7개월전 실장님이 말씀해주신 내용이 공감이 가는걸 보면 크게 달라진 건 없는 것 같네요ㅠㅠㅠ 그럼에도 진짜 재밌게 잘 플레이했고 가드리게인 시스템덕에 재미 많이 봤습니다! ㅎㅎㅎ '가드 리게인이 남아있는데 이걸 안쳐?' 라는 생각때문에 오히려 무리하다가 죽는 경우도 있었고 반대로 가드리게인 덕에 사는 경우도 있어서 되게 재밌게 플레이 했던거 같아요! 문득 이 영상 보다가 오늘 P의거짓 막보스가 생각났습니다
@YIN7676
@YIN7676 8 ай бұрын
다른 프롬 게임들은 회피든 가드든 한 가지만 잘 하면 되는데 P의거짓은 회피, 가드, 퍼가, 패링을 전부 할 줄 알아야 하는 게 상대적으로 힘들 게 느껴지는 요소인 것 같긴 하네요
@nelghoul
@nelghoul 8 ай бұрын
피부로 느꼈던걸 글로 잘 정리해둔거 보니 정말 좋네요 인형의 왕 1페이즈 휘두르며 백스텝 뛰는게 디게 짜증나는 패턴이라고 생각했는데 개발자 : 이 공격은 퍼가가 아니라 구르기 파고들기로 대응하세용 이라고 의도하고 하는 메시지였다고 생각하니까 지금까지 욕했던 모든 패턴들에 담긴 진짜 메시지가 뒤늦게 해석됐음 막 미친듯이 난타하다가 마지막에 쎄게 치는 패턴 당할때 "이 자식들은 걍 많이 치면 다 재밌게 어려운줄 알아!!" 하면서 화냈는데 알고보니 '쭈욱 가드하다가 마지막에만 퍼가하세용^^' 하던거라던지... 내가 에르고 파장 분석기가 없어서 개발자의 메시지를 못 알아듣던거였다니...흑흑
@user-fromsoft_game_v8lh3gb1n
@user-fromsoft_game_v8lh3gb1n 8 ай бұрын
그런 의도를 잘 담아서 유저들이 자연스럽게 눈치챌 수 있게끔 하는 게 당연한건데.. 도구가 너무 많아서 의도를 알아차리기 힘들어지네요. 차라리 물새마냥 아무것도 못했으면 의도 알기가 편했으려나..?
@brachio664
@brachio664 8 ай бұрын
저는 조력자를 위한 시스템이 있어서 좋았어요. 조력자의 체력을 채워준다거나 일시적으로 죽지않게한다던가... 그래서 쿼츠로 강화할 수 있는 부분에서 소원석을 빨리쓰게하는거랑 소원석 횟수증가가 있는것도 좋았습니다. 쿼츠에서 이거 보자마자 딴거안보고 횟수증가랑 빨리사용하기 강화했어요 ㅋㅋ 조력자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사람으로서 말해보자면 이런부분은 입문자들을 위한 시스템같아서 마음에 들었습니다 다음에dlc나오면 당장 구매할거에요 너무재밌음..
@jaeker777
@jaeker777 8 ай бұрын
많이 공감됩니다. 소울을 이걸로 처음 접했는데 퍼펙트가드가 너무 리스크 대비 리턴이 적게 느껴져서 1챕터 이후로는 11챕터 보스까지 노가드 온리 회피로 플레이 했거든요. 그런데 11챕테 락사시아 2페 개막만큼은 퍼펙트가드가 없으면 딜타임이 너무 안 나오고 진엔딩보스 2페도 공격이 너무 빠르고 많아서 온리 회피는 리스크가 지나치게 커서 결국 퍼펙트가드와 가드를 섞었습니다. 각 보스마다 요구하는 모범답안이 분명 존재하는 것 같았어요.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부분 때문에 소울 입문자로서 어렵기도 했지만 실전압축 속성과외를 받은 느낌도 있습니다.
@Halfmoon001
@Halfmoon001 8 ай бұрын
피의 거짓은 보스 전투 자체가 일종의 퍼즐이죠. 얼마나 이해하고 최적화 시키느냐에 따라서 난이도가 확 달라집니다. 잘 이야기 해주신 거 같아서 좋네요.
@user-se1pl4fv3i
@user-se1pl4fv3i 8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각각 패턴에 맞게 가드, 퍼가, 회피, 무빙 등을 알맞게 고르고 때릴때도 타이밍에 맞게 회피 약공, 약공, 강공, 약공 2대, 차지강공 등을 정해서 하다보니까 재밌게 즐겼네요. 소울겜의 액션을 리듬퍼즐액션 이라고 생각하는데 여기에 상당히 부합하는 게임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u-jungkim5353
@u-jungkim5353 8 ай бұрын
몬가 P의거짓 비판 영상인데 설명을 잘해주셔서 그런가 겜한번 해보고 싶어짐ㅋㅋㅋㅋ 소울류 한번도 안했는데 함 해볼까
@user-mx3te7ty2s
@user-mx3te7ty2s 8 ай бұрын
초반에는 개인적으로 격투게임 + 리듬게임 하는기분 프레임이 삭제된 모션이 너무많고 보고 피하기보다는 외워서 가드를 해야하는게 단점, 그리고 무기내구도 시스템을 달아놔서 보스에 완전한 집중이 어려움... 그거 빼면 재밌긴함 ㅇㅇ 무기 조합 시스템도 참신하고...보스디자인 + 파밍시스템 매우 긍정적임
@user-jo8zf6pq3d
@user-jo8zf6pq3d 8 ай бұрын
김실장님~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디테일한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마지막멘트 심금을 울립니다.ㅎㅎㅎ
@user-rk3xl5jc4b
@user-rk3xl5jc4b 6 ай бұрын
여러 리뷰를 봤지만 깊이있고 객관적인 리뷰는 김실장님리뷰인것같습니다. 블본닮았다.스콜라같다라는 말을 하시는 분들은 이게임의 어떤부분을 말하는지 전혀이해가 안가더라고요. 보스나 잡몹이나 모든게임들에서 유사성이 있던데.. 전투호흡과 전투시킬이 너무 다르고 실장님말씀대로 선택해야할 포인트가 너무 많아서 전투가 너무 색다르고 어려웠습니다만 결국 수십번 죽으면서 습득하게 되더라고요. 리게인과 그로기를 통한 페이탈어택. 그리고 이어지는 페이블아츠가 전투의 기승전결이더라고요. 너무 어렵게 재밌게 잘 만든게임이지만 개발자들이 유저를 배려한 시스템들이 보여서 흐믓하게 짜릿하게 즐기고 있습니다. 40대 후반 소울빅팬 아줌마유저의 생각입니다~
@user-qz7yn9tk5x
@user-qz7yn9tk5x 8 ай бұрын
보스 전투가 어렵게 느껴지는 점에서는 무기 내구도 문제?도 포함되는 것 같습니다. 보스가 피통이 많고 2페이즈도 죄다 가지는 게임이라 칼갈이 하려고 딜타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았던..
@user-hl4kx5cu4p
@user-hl4kx5cu4p 5 ай бұрын
P의 거짓 영상을 봤는데 소울류 게임의 전반적인 공부도 같이 한 기분이네요. 전에 세키로는 왜 잘 만든 게임인가에 대한 김실장 영상을 봐서 학습이 직관적이지 못하달까.. 유저가 깨닫기 어렵게 되어있는 건 확실히 아쉽다고 느껴지네요 재밌게 봤습니다!
@tohavetobe
@tohavetobe 8 ай бұрын
저는 소울라이크 입문을 P의거짓으로 했는데, 깨고나서 그다음에 프롬꺼 세키로랑 엘든링 해보니까 P의거짓 안좋은 평가하는 부분 이해가 되더라구요. 개인적으로 P의거짓은 맵 진행하면서, 특정 몇몇 보스전에서 불쾌한 경험을 많이 했던거 같습니다. 그게 다 깨고 나서도 좋은평가 주기 주저하는 가장 큰 요인이었어요
@ShinGamJa
@ShinGamJa 8 ай бұрын
프롬의 소울라이크 시리즈는 전부 클리어 했고 P의 거짓 5회차 했는데 각 게임의 시스템 적인 분석에 무릎을 탁 치면서 잘 봤습니다. 특히 아래 의견들은 정말 공감합니다. 1. P의 거짓은 플레이어가 전투 시스템 학습을 언제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서 달라지는 난이도 2. 시스템적으로 늦은 초기화 기능 도입(푸오코 클리어 후 초기화 가능했어야 봄) 그런데 이런 분석 영상에 본편의 히든 영상인 도로시 부분을 넣은건 좀 당황스럽네요. 🤦‍♂
@214125t6at
@214125t6at 8 ай бұрын
2분전! 선댓글 후감상! 3:15 맞아요 제가 이거 때문에 다크소울1에서 소울에 빠져 다크소울1,2,3 엘든링 업적100% 했습니다. 플레이 스타일은 공략 없이 모든 맵 다 체크하고 지나가기 2회차는 공략 보면서 내가 놓친 부분까지 전부 체크하고 지나가기 3회차는 남은 업적 깨면서 다양한 무기 음미하기~ 그래서 이것 때문에 쓰꼴라가 제일 싫은 쓰리즈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라고 했는데 32:02 라고 하시네요.. 다른 작품들에선 32:12이게 쫄깃한 두근거림으로 다가왔다는데 쓰꼴라는 그저 역겨움의 연속이었어요.. 피의거짓도 아마 그런 역겨움이 느껴져서 사람들이 그렇게 평가한게 아닐까 싶네요.. 저도 이 부분 때문에 플레이를 망설였었는데 실장님 말씀을 보니 생각보다 전투의 불합리 함 때문이지 맵이나 몹 배치 같은 부분은 아니었나 보네요! 언젠가 플레이 할 예정이긴한데 조금 안심이 됩니다! 아무튼 쓰꼴라 하신다고 하니 너무 방송 기대 돼네요! ㅋㅋ 진국인 dlc까지 싹다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barryallen7910
@barryallen7910 8 ай бұрын
실장님 건강은 나중에 챙기시고 영상부터 올려주세여♡♡♡
@user-ly4ox7kc5h
@user-ly4ox7kc5h 8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재미있게 게임했습니다 ㅋㅋ 쉽지 않았지만 스토리에 푹 빠져서 엔딩이 어떻게 될까 너무 궁금했습니다 ㅋㅋ 그리고 엔딩 이외에도 2회차 3회차를 플레이 해야할 이유가 확실해서 좋았네요^^
@ssonie81
@ssonie81 8 ай бұрын
아쉬운것도 있고, 잘만든 부분도 있고, 여러가지가 산재하지만. 단 하나. '첫번째 작품'이라는 말 한마디로 모든 아쉬운점 이해 할 수 있음. 그리고 전투만큼은 진짜 재밌음.
@every_ever
@every_ever 8 ай бұрын
게임이나왔으니 피드백을 받는다 라는 부분이 제작진에대한 위로와 응원처럼들리네요 왈가왈부 말이 많지만 확실히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은거같아요 뭔가 쫌만더 쫌만더 잘할수있을거같다는 한국게임계의 희망처럼 보여서 ㅎ
@user-en1nw8zo2w
@user-en1nw8zo2w 8 ай бұрын
인형의 왕에서 불합리를 많이 느꼈었는데 실장님 말 듣고 불합리하기만 한 보스는 아니라는 걸 배웠네요. 유익한 영상이였습니다!!
@user-uu5kk5rm4s
@user-uu5kk5rm4s 8 ай бұрын
무기 조합에서 날에 너무 성능이 치우쳤다는데 동감. 자루에서 사거리 말고 주는 매리트가 없어서 아쉬웠어요
@user-my2zo8pz5d
@user-my2zo8pz5d 8 ай бұрын
ㄹㅇ 가드율 리치체감은 날에서 다 오니깐 결국 손잡이는 모션좋은거만 쓰게됨
@MySeraph0
@MySeraph0 8 ай бұрын
게임 하면서 2회차 엔딩 본 최초의 게임.... 일단 전투가 너무 재밌음... 이겜은 후에 더 고평가 받을거임
@user-rp5wt2dn4t
@user-rp5wt2dn4t 8 ай бұрын
엄청 공감되는 리뷰네요 잘 만들었고 전투에서 고민되게 하는 그 점이 전 너무좋았습니다 그런데 배치는 좀 아쉽죠 하지만 다음작이 너무 기대되는 게임이었습니다
@PHERONS
@PHERONS 8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영상 본 것중에 실장님이 제일 즐기면서 했던 것 같은 느낌이네요.
@yourang1
@yourang1 8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소울류 2회차는 한적이 없는데 p의 거짓은 3회차까지 하고 있습니다. 똥손인데도 쉽게 깨려고 하면 얼마든지 쉽게 깰수 있어서 여러번 하게 되네요.
@ji-hyeongyim6830
@ji-hyeongyim6830 8 ай бұрын
중구난방이 그리 심하지 않았다..라는 점에선 합격점 아닐까 싶어요. 닼소 시리즈, 블본, 세키로 등등 참고할 수 있는 작품들은 많았다보니 거기서 하나 하나 떼올 요소들을 정립했을텐데 그것들이 잘 매듭지어졌냐 물으면 이건 평이 확 갈리지만 그래도 첫 작품이니 이정도면 준수하다고 볼 수 있지요. 나중에 나올 DLC 때 분명히 한 번 크게 전체 시스템을 손 보던가 혹은 이렇게 나오는 피드백 들을 반영해서 DLC 콘텐츠에 피드백을 적극 반영한 것을 집어넣든가 할 거 같은데 이게 개발기간을 얼마나 잡을지 몰라도 되도록이면 후자가 나을거 같습니다. DLC가 어디까지 변경을 줄 지 몰라도 게임 전반의 시스템을 손 본다면 본편의 콘텐츠가 훼손될 수 있기에 이거 밸런스 잡는데도 아마 많이 갈려나갈 것 같네요..
@user-yp4tb9fx1j
@user-yp4tb9fx1j 6 ай бұрын
와 P의 거짓을 플레이하지도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영상의 몰입력이 지려서 끝까지 다 봤네요.... ㄷㄷ
@ryanserious8095
@ryanserious8095 8 ай бұрын
항상 재밋게 보고 있습니다
@user-pd9ct3jh7n
@user-pd9ct3jh7n 8 ай бұрын
거지같은 부분이 없는건 아닌데 재밌는 부분 잘만든부분도 많아서 특히 전투템포와 타격감은 난 본가보다 좋았음. 정신차리니 100시간 박았더라
@user-bc1df7kv3m
@user-bc1df7kv3m 8 ай бұрын
내가 한게임을 오래하는건가 난 재밌는게임만 골라서 하는 라이트유저인데도 게임마다 500시간~수천시간은하네요
@ssammu
@ssammu 3 ай бұрын
@@user-bc1df7kv3m그건 라이트가 아니라 슈퍼헤비 유저죠 ㅋㅋㅋ 보통 트리플a라고 불리는 게임들의 플탐(스토리만 봤을때)이 20~60이니까요
@hilljun2822
@hilljun2822 8 ай бұрын
난 만족했음. 여태까지 나온 소울류중에서 그것도 프롬이 아닌곳에서 만든 게임중에 가장 프롬에 가까웠음. 어떤사람들은 베꼈네 뭐네하는데 기존게임들은 프롬을 따라할려고 베끼는것조차 못했음. 반대로 말하자면 프롬에 가까울정도의 기술력을 가지고있다라는 얘기가된다고 생각함. 그리고 난 스토리도 나쁘지않았음 이런류의 RPG게임들은 스토리를 따지는데 갠적으로 마음에 들었음. 도로시에 관련된 스토리도 기대가 됨
@LimdIN
@LimdIN 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영상의 마지막... TIG 김실장팀 화이팅입니다
@brunifrozen
@brunifrozen 8 ай бұрын
P의거짓 너무 재밌게 플레이 했지만 약간 아쉽게 생각하는 부분들이 머리속에 정리되지 않고 있었는데 실장님 분석영상 보니까 하나하나 너무 공감가는 부분이 많네요 그래도 첫작품에 이정도 퀄리티로 나온건 너무 대단한거 같고 다음작이 기대가 됩니다
@mggy984
@mggy984 8 ай бұрын
다크소울3, 세키로하고 바로 p구라까지했는데 쉽지 않더군요... 회피의 애매함, 세키로보다 빡빡한 퍼가 판정땜에 고생 좀 했습니다. 근데도 3회차까지 꽤 재밌게 했습니다. 다양한 무기, 필드 브금, 직관적인 스토리텔링 등 꽤 인상적인 장점들이 많았기에 가능했던거 같네요
@user-tb2td6oh9s
@user-tb2td6oh9s 8 ай бұрын
닼소3 세키로 많이 해보고 엘든링 처음했을땐 너무 쉬워서 새로움은 못 느껴서 아쉬웠음 근데 피는 패링과 회피 세키로보다 빡빡하고 보스 모션이 프롬겜보다 조금 달라서 새로운 방식의 전투가 더 새롭게 다가와서 오히려 재미가 있었다고 생각함
@mggy984
@mggy984 8 ай бұрын
@@user-tb2td6oh9s 맞습니다. 블러드본에서 리게인 시스템이 있기는 했지만 p구라는 나름의 독창적인 시스템으로 소화한 느낌이라 새롭긴했네요. 이번 작을 기반으로 앞으로 더 발전해 만족스러운 차기작들이 나온다면 p구라는 한국 콘솔게임 역사상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남지 않을까 싶네요
@U-Da-Hee
@U-Da-Hee 8 ай бұрын
실장님이 "반박시 님말이 맞음"을 시전하시다니ㅎㅎ P의 거짓.. 비록 아쉬운 점들은 있었지만 첫 작품 치고는 나름 수작인거 같아요 앞으로 더 개선되고 발전되서 레전드가 되기를🙏 그 와중에 스꼴라를 진짜로 라방에서 직접 찍먹한 피디님과 실장님은 도덕책..ㅎㅎ 오늘 방송 넘나 재밌었다구요! 엔딩 볼 때까지 해줘잉~😉❤찡긋
@user-nq2pz6pu9i
@user-nq2pz6pu9i 8 ай бұрын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는 작품이었습니다
@HideD62
@HideD62 8 ай бұрын
P의 거짓과 다른 소울의 맛은 라이브 영상에서 바로 보여주니 좋더라구요... 스콜라랑 P의 거짓은 정말 많이 달랐군요.
@yangmil
@yangmil 8 ай бұрын
소울은 엘든링으로 입문해서 p의 거짓은 두 번째 소울류 게임이었는데 자연스럽게 좋은 무기 찾고 편한 방법 찾다보니까 그냥 성검들고 강공찌르기 패턴은 대충 가드로 막으면서 하니까 겜이 너무 쉽다고 느껴지더라구요 소울식 전투에 대한 이해가 거의 없어서 그냥 패턴 보면서 외우고 하는데 원래 소울 하셨던 분들이 더 어려워하시는 거 같더라구요. 거리 재면서 한 대 두 대 깔짝하면 보스 피 리게인이 너무 불합리해서
@heme0117
@heme0117 8 ай бұрын
선택지가 너무 많고 엇박, 공격 프레임이 너무 짧음 등이 문제로 보고 반응하기가 너무 어려워졌어요 기존 소울과는 퍼팩트가드 타이밍도 미묘하게 다르고 물론 소울류가 패턴을 익히고 공부해서 적절하게 반응해서 깬다는건 맞지만 이번작은 극단적으로 패턴을 다 암기해서 깬다는게 스트레스였네요
@yl9139
@yl9139 6 ай бұрын
가드리게인이 있어서 훨씬 적극적으로 싸워야 해요. 보스랑 눈치보기 할 때도 그냥 달려들어 공격하는게 보스 깨기 더 쉬웠어요. 이거 생 초보자라면 버려진 파수꾼 내려찍기 패턴에서 바로 익힐 수 있는 건데 실장님은 거기서 퍼가를 쳐야 한다고 생각해서 눈 치를 못 채신 듯. 한 팔 내려찍기 가드 후에 공격하면 피 깍인 거 거의 다 채워져요.
@source.of.income
@source.of.income 8 ай бұрын
가드 회피 섞어쓰라는게 정말 정확한게 락사시아 하면 25:27 이걸 다 퍼가 치라고? 하겠지만 락사 기준 오른아래->왼쪽위 다음은 반대로, 그다음은 또 반대로 하는데 첫타 가드 오른쪽 반시계 회피 하면 락사가 p 위치로 살짝씩 전진하면서 때리다가 마지막 3연타중 마지막 2타는 호밍으로 때리다보니 뒤만 쫒아다니면서 등짝 깨도되고 옆구리 쑤시다가 마지막 2타만 막으면 됩니다 근데 보통 여태껏 보스들 호밍 성능이 등 뒤에있어도 찍어버릴정도로 지나치다보니 가드위주로 하게되고 가드리게인 높은 대검류를 많이 찾게 되는거 같네요 소울 입문작으로 플레이 했었지만은 시간가는줄 모르고 했습니다 dlc와 차기작이 기대되는 게임사네요
@user-et9fx3vp9b
@user-et9fx3vp9b 8 ай бұрын
저건 첫타만 파가안칠생각하면 다음은 쉬운데요 어짜피 퍼가 치면 피 회복되니까 탕 탕탕 에서 탕만 그냥가드 탕 탕 탕 탕 탕 탕 에서 첫 탕만 그냥 가드 마지막 횡베기가 좀 애매해서 그거 그냥 가드하고 끝나고 가서 때리면 풀피임ㅋㅋ 저게 그로기 쌓기 좋은 패턴이라ㅠㅠ
@yl9139
@yl9139 20 күн бұрын
락사시아는 데미지 경감률이 높아서 연타 패턴에 패링쳐주는게 이득이 높아요
@zoooc
@zoooc 8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raccoonpark4514
@raccoonpark4514 8 ай бұрын
소울라이크 겜은, 피의거짓만 해봤는데, 되게 어려웠거든요. 이영상보니 다른것들도 해보고 싶네요. 피의거짓이 명작이라 부를수 있는게 저같은 소울 입문자를 꽤 많이 양산했다는거???
세키로를 만들며 프롬소프트가 극복해야 했던 숙제
29:50
중년게이머 김실장
Рет қаралды 162 М.
엘든링에 대한 엇갈린 평가? 경험과 기대에 대한 이야기
29:21
중년게이머 김실장
Рет қаралды 591 М.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78 МЛН
[P의 거짓팀 초대석#1] 소울라이크가 재미있는 이유
30:57
중년게이머 김실장
Рет қаралды 373 М.
[RU] BLAST Spring Groups 2024 - Day 5
4:46:21
RLG PARI RU
Рет қаралды 34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