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홀로 전쟁을 준비하다, 남명 조식선생

  Рет қаралды 5,118

역사여행 사적돌 KoreaHistoryTravel

역사여행 사적돌 KoreaHistoryTravel

4 ай бұрын

#산청 #남명조식 #조식 #산천제 #묘소 #덕천서원 #북인 #동인 #남명학파 #산청여행
#역사 #여행 #역사이야기 #사적돌 #답사 #답사여행
#문화재 #국가유산 #역사여행 #한국사
#korea #travel #history #korean historical places
#south korea history #south korea tourism
#south korea documentary history
#south korea travel #rural korea #seoul countryside
#ancient korean history #korea history
▬▬▬▬▬▬▬▬▬▬▬▬▬▬▬▬▬
* 대부분의 영상자료는 자체 촬영 및, 획득한것입니다.
* 드론 촬영의 경우 반드시 비행허가, 촬영허가를 득한것입니다.
* 요청지는 가능한 방문합니다, 순서는 출장에따라 아주 다를수 있습니다.
* 공식명칭, 공식용어를 기본으로 하되, 쉽게 풀이한 단어를 사용하겠습니다.
* 발굴상황, 정보공개, 저작권, 등 제반 여건에 따라 제작이 불가한 경우가 있습니다.
* 상기한 이유로 고증과 일치하지않는 자료, 소수의견, 해석 등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 차별, 혐오 욕설 등 다른 구독자분들께 폐를 끼칠수 있는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됩니다 😌
* 즐겨 시청해 주심 감사드립니다. 관리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
사용된자료
해당 유적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민족대백과사전
국사편찬위원회 사서자료
사용된지도
국토지리정보원 www.ngii.go.kr/kor/content.do...
구글맵스 www.google.co.kr/maps/?hl=ko
구글어스 www.google.co.kr/intl/ko/earth/
사용된이미지
문화재청 www.cha.go.kr/main.html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site/main/home
위키미디어 commons.wikimedia.org/wiki/대문...
사용된음악
Kevin MacLeod의 Mesmerize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
아티스트: incompetech.com/
Kevin MacLeod의 Almost in F - Tranquillity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
아티스트: incompetech.com/
사용된소스
[Video Source Support]
KZbin channel "freeticon" : / freeticon
▬▬▬▬▬▬▬▬▬▬▬▬▬▬▬▬▬

Пікірлер: 63
@joshuacho1200
@joshuacho1200 4 ай бұрын
의가 없고 인이 넘치는 사회에 대한 아쉬움에 대한 선생님의 의견에 동시대를 사는 사람으로 공감합니다. 잘 봤습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적어도 정의를 말하면 비웃음 당하지 않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le9dy5qy2e
@user-le9dy5qy2e 4 ай бұрын
동감이요.
@gatsbyjay1707
@gatsbyjay1707 4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painfield6022
@painfield6022 4 ай бұрын
남명 조식같은 분이 지금같은 시대에 제일 필요한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꼭 필요한 분이지요😌
@rasta79
@rasta79 4 ай бұрын
산청 큰들 마당극 남명 보고 인상깊었는데 덕분에 더 자세히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산청이 참 좋은 고장이지요😄
@Ryan-ub1ov
@Ryan-ub1ov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170..5
@170..5 4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이황 이이 만큼 조명받고 교과서에도 조금 더 언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조식선생을 빼고 조선의 성리학과 정치를 논할수 있을까 싶습니다😌
@user-le9dy5qy2e
@user-le9dy5qy2e 4 ай бұрын
어 남명조식 이사람 머어어싯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남명학파가 살아남아서 한축이 되었어야했지요🤔
@hoyoungseo5453
@hoyoungseo5453 4 ай бұрын
통영/진주 가는 길에 표지판만 보았던 산청군인데…이렇게 남명 조식선생과 함께 설명해주시는 새롭게 보입니다. 겨울이 가고 봄이 오고 있습니다. 우리네 삶도 추운 바람이 가고 산들산들 봄바람이 불기를 희망하는 순간입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환절기 장마같은 하늘이 어색합니다, 건강 조심하시고, 봄볕이 멀지 않았음을 느낍니다😌
@user-cj7se8gt8o
@user-cj7se8gt8o 4 ай бұрын
공경[敬]과 의로움[義] 즉 이론과 실천을 겸비해야 한다고 하셨기에 많은 제자들이 의병장으로 활동한 훌륭한 분입니다. ᆢ 좋은 프로 만들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user-qt1gx6rc3y
@user-qt1gx6rc3y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후원 감사드립니다😌 출장비로 요긴하게 사용하여 더욱 알찬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sunugreen1094
@sunugreen1094 4 ай бұрын
남명선생에 대한 과거의 평가는 매우 거칠었는데, 오늘 들은 내용은 아주 좋았습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당시 유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단시하는 의견도 있었다고 합니다. 생각을 많이하게되네요😌
@AlphaCastor
@AlphaCastor Ай бұрын
3월 초에 산천재 매화 보러 덕산에 갔습니다. 덕천서원에 갔더니 해설사분이 사투리를 심하게 쓰시면서 '남멩' 선생의 '겡이' 사상을 열심히 설명해주시더군요 ㅎㅎ
@사적돌
@사적돌 Ай бұрын
재미있네요😄 지방답사의 묘미입니다
@user-rn3xg7cg1v
@user-rn3xg7cg1v 4 ай бұрын
지리산 옛 이름은 유두류산 입니다 조식 선생은 유두류산 유랑기 있습니다 조식선생은 유두류산 올라 남해안 두루두루 보았지요 전란 예언 했을까 남해안 지형을 파악 하여 제자들에게 많은 가르침 주었지요 조식선생 돌아 가신 뒤 정확히 20년 후 임진왜란(1592년 4월13일) 입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오 덧글 감사드립니다😄 혜안이 있던 분이었습니다😌
@user-rn3xg7cg1v
@user-rn3xg7cg1v 4 ай бұрын
@@사적돌 네~ㅋㅋㅋ
@user-se8xx1zh5i
@user-se8xx1zh5i 4 ай бұрын
실천 유학이 무언지 보여주신 조식선생에 대해 더 깊이 알게 되어 기뻣습니다. 좋은 영상 알찬 내용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다른 선인들도 대단하신분들이지만 조식선생도 대단하신듯합니다😌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rn3xg7cg1v
@user-rn3xg7cg1v 4 ай бұрын
방울(성성자)와 칼(경의검)를 든 선비 조식선생 입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확실히 다른 유학자들과 다른것 같습니다😌
@user-rn3xg7cg1v
@user-rn3xg7cg1v 4 ай бұрын
@@사적돌 네~맞습니다 ^^
@user-yo4om3ol6b
@user-yo4om3ol6b 4 ай бұрын
제가 잘 모르는걸지도 모르지만 영상 볼때마다 느끼는건.. 국내에 제대로 본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건축 문화제가 많이 없어서 너무 아쉽습니다
@user-yf4ph9py4e
@user-yf4ph9py4e 4 ай бұрын
관리 측면도 보완할 점이 있겠지만 일제강점기와 6.25때 워낙 풍파를 거치다보니😢
@user-hj5dg1ti3e
@user-hj5dg1ti3e 4 ай бұрын
지리산둘레길 코스에 속해서 산천재는 저도 가본 적이 있네요. 그 위에 조식선생의 묘가 있는 줄은 몰랐지만. 아무튼 오늘도 좋은 이야기 덕분에 개인적 추억에 재미있는 살이 더해졌습니다. 감사해요~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오 산천재에서 조식선생의 모든것을 느낄수 있지요😄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ve6yh9mw6w
@user-ve6yh9mw6w 4 ай бұрын
조식 선생의 남명(南冥)이란 호가 《장자》 소요유에서 따온 것이지요. 호에서 보듯이 꽉 막힌 성리학자가 아니라 칼을 차고 다닐 정도로 열린 분이었지요. 주자학 일변도의 조선에서 너무나 아쉬운 일이었지요. 그 여파가 지금도 이어지고 있으니...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균형을 이룰수 있는 좋은 계기였는데... 유학자들 사이에서는 이단이라는 해석도 있다하니 우리 생각 이상으로 성리학이라는것이 종교적 색채도 가지고 있었나봅니다🤔
@user-bt2lj3zi6x
@user-bt2lj3zi6x 4 ай бұрын
문정왕후 및 그 도당들이 조식 선생의 항명을 보고 "어깨 위 조식의 머리는 9개 이상이 있나?" 하고 아연실색 했을 듯 합니다. 그리고 인과 의가 거의 같은 의미인 줄 알고 있었는데, 둘이 다름을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어이가 없었을것 같습니다😅 실제로 명종도 그냥 안넘어가려했는데 대신들이 모두 반대했다고하지요, 지방 사림들과 통로가 끊어질것을 염려했다합니다😌
@JuveSup
@JuveSup 4 ай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역대급으로 여운이 깊네요. 인이 아니라 의를 강조하던 사회였다면 확실히 국가의 존망을 다루는 위기 속에서 왕과 관료들이 좀더 정의로운 선택을 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지금도 나라에는 겉으로 보기에 어질고 사고 안친 스펙을 갖춘 인재만 고집하는것 같고 흠이 좀 있어도, 다른 건 양보하고 살아도, 자기 소신만큼은 밀어부칠 줄 아는 인재는 싫어하는 사회 같아 말씀하신 부분에 아쉬움이 있는것 같습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정답이 없는 문제이긴하지요🤔 그래도 좀더 모습이 뚜렷하게 남아있었다면 우리사회가 좀더 균형있는사회가 되지않았을까 싶습니다😌
@jkd6010
@jkd6010 4 ай бұрын
좋은 글과 영상..잘 봤습니다..그 유명한 단성소 이야기를 여기서 잡하게 되는군요..정인홍등 광해군 당시 북인정권의 정치력과 안목의 부족으로 인한 몰락이 아쉽기만 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정말 아쉽지요, 정치력에 경을 좀 더 보완했더라면..🤔
@user-pw5rz1wl7u
@user-pw5rz1wl7u 4 ай бұрын
당파 알기쉽게 말하자면 부먹 Vs 찍먹으로 파벌갈린게 된거임 탕수육이 맛있고 먹겠다는 지향점은 같았음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thekinghoona
@thekinghoona 4 ай бұрын
내명자경 외단자의 안에서 밝히는건 경이고, 밖에서 결단하는것의 의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오 덧글 감사드립니다😌
@user-mf2dd9eq3j
@user-mf2dd9eq3j 4 ай бұрын
지금도 남명조식파 이어지는 하죠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오 그렇지요😌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gu4kv7zl3o
@user-gu4kv7zl3o 4 ай бұрын
요샌 사회의 많은 부분에서 선비라는 개념을 부정적으로 쓰고 있어서 참 안타깝습니다. 성숙한 지성과 이성적 논리로 입바른 소리를 하는 것보다 순식간에 결과를 내는 칼잡이들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헌데 그런 칼잡이들은 죄다 저급한 놈들이라서... 나라꼴이 개판... 칼잡이가 권력자가 되니, 다시 칼잡이를 고용해서 사냥개짓 시키고... 도처에서 문제들이 터져나오고 있네요.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사회를 관통하는 기준이 물질화하면서 그렇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합니다🤔
@user-vv7px4ug1h
@user-vv7px4ug1h 4 ай бұрын
문은 무를 억압하므로서 조선은 힘없는 나라 돠었지 무가 조선을 부흥했어야 했다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조선왕조자체가 쿠데타를 무척 두려워해서 군사적으로 많은 제약을 두었었지요, 그게 너무 심하다보니 외적의 침략에도 제대로 대응이 안됐고요😞
@kimjohn4937
@kimjohn4937 4 ай бұрын
하여간 유교가 문제다. 맨날 엉터리 이론으로 싸우기만 하는것들이 무슨일을 제대로 하겠는가?
@thekinghoona
@thekinghoona 4 ай бұрын
지금의 시각으로 과거를 보니 문재가 있는거죠.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Full] 다큐영화 길 위의 인생- 권 씨네 만물트럭
45:51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Which one is the best? #katebrush #shorts
00:12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조선의 첫 궁궐 경복궁의 비밀/ YTN 사이언스
41:40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KBS역사스페셜 - 묵서지편의 증언, 석가탑이 무너진 까닭은?
47:50
입암산성에 왜 물을 가뒀나? / YTN 사이언스
40:36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61 М.
서라벌, 천년왕궁을 찾아서..|포항MBC 특집다큐
45:42
[평택] 정도전과 정몽주의 비교리즘(서평)
17:58
역사여행 사적돌 KoreaHistoryTravel
Рет қаралды 6 М.
[하남] 한성백제 하남 위례성?, 일단 이성산성
14:27
역사여행 사적돌 KoreaHistoryTravel
Рет қаралды 1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