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전력 너무 싸게줘서 한전 적자 커지는걸 가정용까지 덤터기쓰네 가정용은 지금도 충분히 전기 절약하고있다 미국에서 한국 산업전력 너무 싸다고 한국 철강재 반덤핑관세 얻어맞는데 산업전력 요금 현실화가 먼저다
@unanswered98 Жыл бұрын
팩트: 우리나라의 산업용 전기의 가격은 2019년 기준으로 94.8$/MWh로 OECD 평균에 살짝 못미치는 정도였고, 가정용 전기 요금은 102.4$/Mwh로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이다. OECD 회원국 중 가정용 전기 요금이 대한민국보다 싼 나라는 멕시코밖에 없으며, 누진세를 적용해서 계산하여도 우리나라보다 가정용 전기 요금이 싼 나라는 찾기 쉽지가 않다. 산업용 전기요금이 OECD 평균보다 싼 것은 맞지만, 제조업 수출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서 산업용 전기가 비교적 저렴한 것은 너무나 당연한 현상이며 오히려 가정용 전기 요금이 한전 적자를 이끄는 주요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나는고양이다-l4g Жыл бұрын
@@unanswered98 23년 5월 16일 한전 요금표에 가정용 301~400kWh 구간의 kw 당 요금은 214.6원임 400kwh 넘기면 kw 당 307.3원 산업전력 저압은 봄가을 기준 kw당 85.9원임 팩트? 거짓선동하네
@coffeelakelife Жыл бұрын
@@unanswered98다른 나라는 모르겠고 미국은 전압이 높을수록 사용량이 많을수록 싸요. 그 이유는 원가가 적게 들기 때문이죠. 하지만 한국은 가정용에만 누진세라는 괴물을 붙여줍니다. 하물며 농수산용은 반값이라 농부들이 하우스 전기 빼돌려 에어컨 빵빵하게 트는 집들도 있다는 슬픈 얘기가 전해집니다. 아는 강화의 어느 농민은 여름에 24시간 틀고지냄.
@김기현-g9n Жыл бұрын
반덤핑이건 뭐건 내수는 직격당하잖슴..
@smartha3 Жыл бұрын
@@unanswered98팩트 : 아무리 팩트로 떠들어봐야 전기 의료 수도 통신 경찰 소방 등등 국민이 21세기를 살아가야하는 최소한의 산업을 국가차원에서 컨트롤하지 못하면 그건 나라 또는 정부라고 할수 없다 다른데 비싸니까 우리도 비싸지자가 아니고 좋은건 놔두자
@ckdrua2197 Жыл бұрын
가정에서 저렇게 아껴봐야 한전 적자폭 줄이는거 간에 기별도 안감.산업용 전기료 올리던가 한전이 민간 발전소에 전기를 비싸게 안사던가 해야지 저런식으로 국민들에게 전기를 아끼라는건 해결책 이 아님.
@bulgogi2002 Жыл бұрын
산업용 전기료 올리면 기업은 가만히 있나 물가 존...내 올려버리지 답없는 이 나라
@김기현-g9n Жыл бұрын
아마 산업용 전기료 오른것의 몇배 비율로 우리한테 물가상승으로 떨어지게 될거임. 그렇게 물가오르면 경기도 확 얼어붙을거고. 사람들이 민주당식 갈라치기에 익숙해져서 뭐만하면 옆에있는 놈한테 눈흘기는데 별로 안좋음 그런거
@godfiredragon1 Жыл бұрын
한전적자줄이는법...자회사 다통합해서 먹어버리면된다
@user-pg8yueh7v Жыл бұрын
한전 적자가 왜나와
@masaibujok Жыл бұрын
한전적자 주요 원인중 하나가 민간전기를 말도 안되는 가격으로 구매하는데 이 과정을 민간기업이 슈킹하듯 뺴먹습니다
@85minsoo85 Жыл бұрын
에어컨은 왜 연간으로 계산을 하셨나요? 그리고 연간 141시간이면 6,7,8월 계산하면 하루에 2시간도 안쓰는걸로 계산하셨네요.
@tiasyn6072 Жыл бұрын
아직 우리나라는 모름? 아껴쓴다고 그 만큼 돈이 세이브 되는게 아님. 그냥 남들 쓰는 만큼만 쓰면 됨.. 더 아끼려하거나 절약하지 말라는 뜻.. 우리나라 전력사용량은 산업용이 거의 다씀.. 가정용은 전력사용량이 별로 안됨. 가정용 전력을 아껴써봐야 아껴쓴 만큼 산업용이 다 가져가서 써버려서 한전 전기생산비용은 똑같거나 상승하는건 똑같음. 오히려 가정에서 전력 아껴쓰고 전기요금이 줄어들만 한전 수익감소로 이어져서 결국 가정에서 전력 아껴쓴 만큼 전기요금 인상해버림... 전기를 아껴쓰고 아껴쓴 만큼 요금이 세이브 되야 의미있는거지 정작 전기를 아껴썼는데 돌아오는건 전기요금 이상이면 전기 아껴쓴 의미가 없는거...
@django2859 Жыл бұрын
전기는 저장 안되는거 알고 계시죠? 산업용은 사용량이 거의 정해져있기때문에 값싼 원자력등으로 수요를 예측하여 전기를 만들수 있지만 가정용은 수요예측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바로 태워 발전이 가능하지만 비싼 화력 발전 or 낙수로 바로 전기를 공급하지만 더비싼 수력 발전을 이용하는거죠. 그래서 정부에서는 아껴 써달라고 얘기하는거구요. 맘대로 쓰면 쓸수록 수요를 예측 할수 없어 더비싼 전기를 쓰게 되는겁니다.
@isin369 Жыл бұрын
뉴스 자체가 가스라이팅이네.. 아니 울나라 국민처럼 전기아꺼 쓰는데가 어딨다고 전기요금이 왜 이렇게 된건지를 따져야지..
냉장고 세탁기 밥통 청소기 만써도 1단계 누진구간 넘어갑니다 2단계부터는 외국과 비교해도 비싼요금이고 3단계는 지구상에서 가장비쌉니다 현대사회에 한국에서 일어나는 일입니다
@dae_han_min_guk Жыл бұрын
우선 유익한 정보 알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발음이 잘못된 곳이 많은 듯해서 말씀드리고 싶은데 있습니다. "밥솥입니다." -> "밥쏘심니다." 가 아니라 "밥쏘침니다" , "밥솥에" -> "밥쏘세" 가 아니라 "밥쏘테", "밥솥은" ->"밥쏘슨"이 아니라 "밥쏘튼", "밥솥을" -> "밥쏘슬" 이 아니라 "밥쏘틀" 이라고 발음해야 되는건 아닌가요? "그리고 전력을 많이 소비하시는" 이 아니라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으로 물건에는 존댓말 표현을 쓰면 안됩니다. 일반인들도 바르게 발음하면 좋겠지만 적어도 뉴스에서만은 제대로 된 발음으로 방송해주셔서 일반인들도 그렇게 배울 수 있도록 신경 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작년에는 요금 안 오를 테니까 더위 조심하시라고 하더니만 올해는 전기 아껴 쓰는 방법 알려주네
@Live-bn5vh Жыл бұрын
밥솥은 연간 791 이고 에어컨은 여름한철 333 이면 에어컨이 더빡세지...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평균의 함정에 안빠짐?
@가끔정상인 Жыл бұрын
밥을 많이해서 퍼먹지 말고 한끼 먹을만큼만 해서 보온시간을 없애는게 답
@sideplanet4723 Жыл бұрын
돈 더 들어요. 대량으로 한번 해서 식힌다음 반은 냉동실 반은 냉장실에 넣으세요
@papillon6233 Жыл бұрын
설거지 매번 하느라 물,세제 더 사용하고 일단 사람이 골병 든다
@mins3551 Жыл бұрын
가정용 전기세 줄이기는 한계가 있지 냉장고랑 밥솥 안쓸수있나...? 민간 전력회사에서 전기 사오는 돈을 현실적으로 바꿔라 그럼 그게 제일 크게 적자줄어들거다. 산업용 상업용 농업용 전기세도 좀 올리고.
@designy7677 Жыл бұрын
찬밥 먹는게 더 맛있지..보온한밥 진짜 맛없지 않나요. 저는 그냥 보온 기능 없는 밥통 씁니다. 너무 차가우면 조금만 전자렌지 하구요.
@gimoon26 Жыл бұрын
한전의 잘못된 운영으로 시민 모두의 전기갑이 오르는데 사람들이 참 잘 참는것겉아요. 다들 절략한다고 따라하는거 보면 착한거같기도하고
@강덕영-r5s Жыл бұрын
그럼어찌할까요.
@암욜맨-j9t Жыл бұрын
한전이 뭘 잘못했나요? 진짜 누가 좀 알려주세요
@음-x7t Жыл бұрын
문가놈의 탈원전
@ninek7523 Жыл бұрын
참지말고 먼저 나서주세요
@김-y9w Жыл бұрын
탈원전 이후 급격한 적자에 시달렸는데 탈원전 외치던 그놈 잘못아님?
@돈매달 Жыл бұрын
밥 많이해서 냉동해 둬야겠어요.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말이쉽지 귀찮음
@행복-c9h Жыл бұрын
@@userganada 숨쉬는건 안귀찮으신지~~
@별빛이내린다샤라랄 Жыл бұрын
밥솥 취사 끝나고 밥 소분해서 열 식힌 다음에 냉장 보관해도 3일 이상은 먹을 수 있어요.
@cooking- Жыл бұрын
저는 밥 한번 할때마다 많이해서 뜨거울때 밥 전용 용기 담아 뜨거울때 뚜껑 닫아 식으면 냉장 보관해서 전자레인지 2분돌려 먹어요 일주일 넘어서도 변질 없었어요 참고하세요 🍀 (뜨거울때 뚜껑닫아 식혀 냉장 보관요)
@serulove Жыл бұрын
요즘에 진짜 그렇게 많이 하더라구요^^
@yghh5719 Жыл бұрын
혹시 비닐랩에 밥싸고 전자렌지 돌리나요? 그건 좀
@cooking- Жыл бұрын
@@yghh5719 만약 비닐랩에 보관 하셨더라도 전자레인지 돌릴땐 밥공기에 옮겨 담아 데우시는걸 권합니다 감사합니다 🍀
@CK-jl5fx Жыл бұрын
2:13 열을 내는 가전들이 전력을 제일 많이 소모하시면 된다고 봅니다....?! ㅋㅋㅋㅋㅋ자연스러웠어ㅋㅋㅋ
@ejJ-zp4bk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LORDNINE333 Жыл бұрын
전기세가 그렇게 걱정되면 그냥 집에서 밥도해먹지 말고 매끼니 밥을 사먹어라 그리고 티비든 셋텁박스든 전기 아까우면 코드 다뽑고 그냥 핸드폰으로 유투브나 보고 살어라 그리고 형광등도 전기 아까우니까 촛불키고 살고 에어컨도 틀지말고 선풍기도 틀지말고 그냥 문 다열어놓고 살고 더우면 냉수마찰 하고 살어라.. 그럼 되잖여? ㅋㅋㅋ
@이제나도100억 Жыл бұрын
한전은 성과급 800 만원씩 쏘면서 국민들 전기세 올려서 쏘는거냐 ??
@namastekim2433 Жыл бұрын
영업,가게들이 더 문제지
@애옹이멍멍 Жыл бұрын
매끼니때마다 밥을 해먹는게 맛있음 아니면 조금 부족하게 만들고 메인반찬으로 조절하거나...
@김현배-x1r Жыл бұрын
밥하자 마자 얼리고 렌지 돌림 그나마 햇반 비슷해요 ㅎㅎ
@jjinjaU Жыл бұрын
공감. 밥 잘 안 해 먹지만 귀찮아도 먹을 땐 그렇게 함. 해둔 밥 데워 먹는게 건강에 안 좋다고 함..
@KK-el8nk Жыл бұрын
그냥 전기밥솥 보온을 하는게 나아보여요. 밥을 소분해서 냉장고에 넣으면 개수만큼 일회용 비닐(미세 플라스틱)이 필요하고, 해동하기 위해서 전자레인지(전기)를 사용을 해야 합니다. 그냥 에어컨을 정말 더울 때 말고 선풍기를 사용한다거나 과도한 난방 대신 가정 내에서도 내복을 입어서 절약을 하는게 낫겠어요. 전기밥솥 전기 절약하려다가 미래 세대에 전가 될 환경오염 처리 비용이 더 들겠어요.
@강든든 Жыл бұрын
에너지 효율 등급에 따라서도 다를텐데... 동급으로 지정하고 실험한거 맞겠죠?
@ターニャ-c8w Жыл бұрын
밥솥은 취사시 1600w 보온시 550w를 사용하는데 밥이 남아 있는 한 계속 켜두고 있으니 전기세가 많이 나갑니다. 1인 가구는 전기밥솥보다 햇반 210g 짜리 세일할때 대량으로 사서 비축해서 먹는게 좋습니다
@박경희-c4g Жыл бұрын
부자들 세금 왕창 깎아 주고 서민들 올려 올려 올려
@좋은사람들-d4f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네요
@gearbist Жыл бұрын
일반가구 절약말고 공기업 기관 절약 안내 바란다
@user-jjjjjjjs Жыл бұрын
왜보온으로 쓰냐 그냥 냉동시켜두고 먹을때 오븐돌려 먹으면되지 그리고 대기전력차단이 답이다 24시간 대기전력 쓰는건 냉장고 ㆍTV뿐
@수하다-c1c Жыл бұрын
저는 그래서 밤에 촛불 커요 3개만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
@loveyourself4593 Жыл бұрын
전기료도 전기료지만 난 아무리 좋은밥솥 새밥솥에다가 밥해도 하루 이상 보온해 놓으면 그 특유의 밥통냄새에 머리가 다 아플지경이어서 몇년전부터 한꺼번에 많이 해서 바로 냉동시켜놓고 먹을때마다 해동해서 마이크로웨이브에 돌려먹으니 막지은 밥처럼 맛있더라..
@해품달-w2e Жыл бұрын
오~~이제 밥하면 보온하지말고 낸동실에 보관해야 겠네요
@노래강-l6c Жыл бұрын
지금보다 더 아끼기 힘든데
@슈랑-g7k Жыл бұрын
미국 유럽 동아시아 통툴어 우리나라가 가정전력사용량 평균치 아주 낮은거 알고는있나? 언제까지 국민들만 절약하고, 당해야하냐? 정치인들과 기업만 잘살면 되는 나라라서 근가??
@추워진사람 Жыл бұрын
난 이번달부터 틀기시작해서 작년엔 10월까지 에어컨틀었는데 연 141시간 기준이 맞나싶다
@저녁은물만먹자 Жыл бұрын
10인용으로 가득 밥을 한 후 작은용기로 소분해서 냉장고에 두었다가 먹을때 전자렌지에 돌려서 먹는것이 밥맛도 좋고 전기사용량도 줄일 수 있습니다
@박영은-q7y Жыл бұрын
없는듯 ㅡㅡ막 쓰시다 에어컨 청소 1년에 한번 하시는게 좋을듯.청소 할때 보시면 기가 차요.곰팡이 곰팡이😢좋은 업체 알아 보셔서 꼭 청소 하세요.😊
@다윈-t2n Жыл бұрын
그럼 냉온 정수기는요??
@sunlim3553 Жыл бұрын
원료 싸게 민간업테 발전소에 주고 만든 전기 비싸게 산다던데 그게 적자의 중심이라는데 왜 이런 말은 기사에 안나오나요
전기는 가정집만 아끼라고 나오는데 얼마나 더 쥐어짜서 아끼냐! 글구 산업용 전기료나 올려라 사용량에 비하면 무진장 싸다! 전기세 많이 나온다고 나사는 아파트 단지에 에어컨 켜는 집들도 거의 없다.이런데도 더 아끼라니 어이없군. 글구 집의 전기 폭탄은 전기밥솥 글구 정수기인데 정수기는 왜 빼냐.나도 전기밭솥 쓰다가 풍년 압력밥솥으로 사용하고 출근할때는 정수기 코드 뽑아 놓고 밤에만 켜놓으니 전기세가 만원이 넘게 줄더라
@chaostar88 Жыл бұрын
가족들이 모여 살면 많이 쓰는게 당연한건데..... 인당 사용율이 차이나는 것도 아니고 도대체 누진세를 왜 내야 돼? 전기 많이 쓰는 회사들이나 누진세로 초토화 시켜라.....
@Koshi-xg1pr Жыл бұрын
냉장고는 얼마 안드네
@MEXCHUOBIBYBIT Жыл бұрын
밥 냉동시킨다고 냉동실에 넣으면 온도 올라가서 냉동실 온도 내린다고 전기 더 많이 쓰는거 아님? 그냥 코드 뽑아서 보온기능만 안켜고 밥 다 식으면 냉장고에 넣는게 낫지않을까
@bulgogi2002 Жыл бұрын
누가 밥을 뜨거운 상태로 바로 냉장고에 넣나 식혀서 넣어야지
@즐거운마음-p8w Жыл бұрын
@@jinsiva9224 식은밥얼린거도 돌릴때 2분씩 끈어서 뒤집어가며 돌리면 괜찮아요 한번에 돌려버리면 부분적으로 돌덩이가 되는거죠 말라서 ㅋㅋ
@샬라라-q9t Жыл бұрын
식혀서 냉장고 넣고 꺼내서 바로 햇반처럼 전저레인지에 3분 돌리면 따딱하거나 그러지 않는데요;; 전 계속 전기밥솥 안 좋아해서 밥솥 처분하고 압력솥에 밥해서 소분해서 먹은지 오래됐거든요
@엘리자퀸 Жыл бұрын
밥할때만 전기밥솥쓰고 냉동밥 데워먹는게 편함
@Black_bean76 Жыл бұрын
밥만따로하고 일인그릇에 냉장고보관 전자렌지에 돌려먹음
@노니-f9k Жыл бұрын
TV 나 냉장고 이런건 전기 많이 안먹음. 잠깐씩 전기를 사용하는게 많이먹음 예를들면 청소기, 전자렌지,드라이기,커피포트 등등 그리고 전기제품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것도 방법임.(예를들면 세탁기 돌리면서 청소기 돌리기)
@이영주-o3b Жыл бұрын
의미없다....필요하면 쓰고 살아야지...
@리환씨 Жыл бұрын
드라이기 안쓰고 밥은 한번에 많이 해두고 조금씩 데워서 먹으면 됨
@coco_jerry Жыл бұрын
림월드처럼 총 사용W 한눈에 볼수있음 좋겠다~ 요즘 다 디지털시댄데 왜 멀티탭은 w사용량 안알려줘~~~~
@쌰롯트 Жыл бұрын
그냥 햇반이 더 좋겟는데
@김무-k1r6 ай бұрын
산업용 전기료 특혜 주면 주택용 누진세 없애야 합니다.
@kang48600 Жыл бұрын
산업 전기는 펑펑 주면서 맨날 서민만 아끼라한다. 가정에서 얼마나 쓴다고. 국민들이 흥청망청 쓰는척
@박지우-h8w Жыл бұрын
산업용전기! 너무 싸다는거 국민들 다 알고 있는데... 문 열고 에어컨 켜는 상가가 에너지 다 잡아먹는거 시정해야함
@keumokkang9835 Жыл бұрын
킬로와트시.. 라는 단위가 맞는 건가요? 그건 시간당의 소모전력 아닌가요?
@AndyAlone Жыл бұрын
밥 냉동시키는 거 일석이조임. 밥을 9시간 냉장에 두면 gi지수가 낮아져 다이어트 보조효과 있음. 바로 냉동에 넣으면 효과는 낮아지지만, 도움은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