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공개] 그것이 알고 싶다☞ 왕의 호칭 ′조′, ′종′, ′군′의 차이는? 차이나는 클라스(jtbclecture) 121회

  Рет қаралды 439,002

차클 플러스

차클 플러스

4 жыл бұрын

왕 관련 강의할 때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은 바로
왕의 호칭 ′조′,′종′,′군′의 차이
하지만
조선의 왕은 생전에 자신의 호칭을 알 수 없었다?!
왕이 죽은 후 종묘에 신주를 모실 때
붙여지는 이름 ′묘호′
폐위된 왕은 묘호 없이
왕자 시절 호칭으로 부름(연산군, 광해군)
그런데, 묘호를 후대에서 바꾸는 일이 발생!
(* 원칙은 나라를 창업한 왕은 ′조′ 그 외는 ′종′)
′종′과 ′조′가 헷갈릴 수밖에 없는 이유
☞ 조선 후기, 추숭 작업으로 인한 산물
8월 14일 수요일 밤 9시 30분 <차이나는 클라스>

Пікірлер: 441
@gc909
@gc909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지식 감사합니다!
@user-gf8zu7zd6j
@user-gf8zu7zd6j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이네요..조가 왜케 많은가 했는데...
@user-tt1op6fe4t
@user-tt1op6fe4t 2 жыл бұрын
학교수업때랑 똑같이 얘기하시네 교수님 화이팅
@user-ii3bw1wm4b
@user-ii3bw1wm4b 2 жыл бұрын
대춭 졸린다는 말이군요
@user-qj9ie5ko5z
@user-qj9ie5ko5z 2 жыл бұрын
‘종宗’이나 ‘조祖’ 앞에 붙는 명칭은 대개 선왕先王 치적治績의 특징에 따라 붙였는데 글자마다 뜻이 정해져 있었다. 대개 ‘조祖’는 나라를 처음 일으킨 왕이나 나라의 정통正統이 중단된 것을 다시 일으킨 왕에게 쓰고, ‘종宗’은 정통正統으로 왕위王位를 계승繼承한 경우에 붙였다. 또는 ≪예기禮記≫「제법祭法」에 “조공종덕祖功宗德”이라는 말에 따라 ‘조祖’를 공功이 있는 왕에게, ‘종宗’을 덕업德業이 있는 왕에게 붙인다고 해석하기도 했다. ≪공자가어孔子家語≫「변물辨物」에 따르면, 공자孔子께서 진陳나라 혜공惠公에게 “예禮에 조祖는 공功이 있을 때 붙이는 이름이며, 종宗은 덕德이 있는 임금에게 붙이는 이름입니다[子曰 禮 祖有功而宗有德].”고 하셨다. ≪공자가어孔子家語≫「묘제廟制」에도 이와 유사한 말이 보인다.
@trinity-s5666
@trinity-s5666 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때문에 조든종이든 아무 의미없음 세종이 넘사벽이라ㅋㅋ
@super_rlaehdn
@super_rlaehdn 2 жыл бұрын
정조대왕은?
@user-pq9cb8gd2t
@user-pq9cb8gd2t 2 жыл бұрын
ㅈㄹ
@Arsnal0304
@Arsnal0304 Жыл бұрын
정조도 넘사벽인데
@Orca88888
@Orca88888 9 ай бұрын
정조도 정종이었음
@user-wm1fv8tr3e
@user-wm1fv8tr3e 8 ай бұрын
냅둬라 원래 아는만큼 보이는거임ㅋㅋㅋ
@user-hu2xd9kn6e
@user-hu2xd9kn6e Жыл бұрын
창업이나 덕을 많이쌓거나 업적이 클때는 조 부자지간 대를 이을때 종
@renoacine
@renoacine 2 жыл бұрын
저기 나오는 패널들 질문하고 답하고 하는게 다 방송시작 전에 대본으로 다 짜놓고 하는거임 진짜 그때 뭐 궁금해져서 묻고 그런게 아니고
@avataruser1214
@avataruser1214 2 жыл бұрын
당연한거 아니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iq7rf3hd3o
@user-iq7rf3hd3o 2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진짜 슬픈왕이죠 임진왜란 정유재란 2번 전쟁으로 힘든시기에 청과 함께 명과 독둑히 지내려고 했던기록은 광해군이 폐위가 된직후 명은 광해군을 다시 올리지않으면 군대를 보내겠다 라고 했으며 청은 형제처럼 지낸 이를 패위하다니 우리가 내러가기전에 다시 올려 놓으라 라고 (원래 명나라에 군사를 보낸 광해군이라서 칭찬을 보낼줄알았는데 이건 외교를 대단하게 잘했다는것임) 했는데 인조가 계속 도발적인 언사를 외교문서로 보내니 병자호란이 생긴것이죠
@user-om5ud4hq2r
@user-om5ud4hq2r 2 жыл бұрын
그건 반만 맞는 말임. 인조가 아니었어도 청나라는 경제사정때문에 쳐들어왔을것임. 다만 인조의 인사실패로 병자호란에 제대로 대처를 못했을 뿐… 광해군은 당시 기준에서 국내정치적인 실책을 정권 후반기에 너무 많이 저질렀음. 노무현때 정권 차원에서 외교정책과 맞물려서 올려치기 된 감이 있는데 그렇게 완벽한 사람은 아님.
@user-om5ud4hq2r
@user-om5ud4hq2r 2 жыл бұрын
청나라는 당시 경제적 목적을 가지고 침탈을 위해 들어왔습니다. 인조의 태도는 명분이었고… 너무 침략자 입장에서 사건을 이해하는거 같아서요. 사회경제적 맥학도 중요하게 살피면 좋겠습니다.
@carpediem6374
@carpediem6374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의 뛰어난 외교술은 인정하는데 내치는 약했음. 폐모살제,친명배금 아니어도 인조반정이 일어날만 했던게 몇년동안 관직임명도 제대로못하고 북인의 공포정치 방관하고 무리한 궁궐공사, 정작 인조반정이 일어났을때도 미리 언질을 들었어도 실체조차 제대로 파악못한게 광해군임. 대동법도 사실상 이원익 작품이고. 그럼에도 조선같이 외교가 중요한나라에서 쓸대없는 명분보다 실리를 위한 외교를 했다는게 광해군의 공이기도함.
@user-mw3jy1ch5m
@user-mw3jy1ch5m 11 ай бұрын
병자호란때는 금나라였죠 후금 경제적 이유가 아니라 군사목적으로 쳐들어왔고요 명나라와 전면전을 해야하는데 후방에 있는 조선이 친명배금 정책을 하니 금나라에선 어르고 달래도 듣지 않아 군사를 일으킨 거였죠
@wavewook
@wavewook 2 жыл бұрын
보통은 나라에 사변이 일어난 때는 조가 붙는 경우가 많음. 세조(계유정란), 인조(인조반정), 선조(임진왜란) 등등...
@user-cj8ck7xh5j
@user-cj8ck7xh5j Жыл бұрын
조든 종이든 어느왕이 역사적인 면에서 존경 받냐? 그렇지 않냐? 가 중요하다고 봅니 다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여기에서 상위로 바뀌는 경우에는 이씨가 성씨로 바뀌는 경우이고 , 나머지는 이씨를 유지하는 경우 등 다양함. 다라서 이성계와 세종은 성씨임.
@cd-xi3sb
@cd-xi3sb 2 жыл бұрын
가장 묘호의 자격이 없는 인조..... 찬탈자인데다가 암군이기까지 했는데 그런 놈이 유교 국가 제일의 묘호인 어질 인이 왠말이야 진짜....
@user-ig8et2lr1x
@user-ig8et2lr1x 2 жыл бұрын
인조는 불쌍하기라도 하지 무능한데다 찌질하기까지 했던 건 선조가 갑이죠
@user-rx7ws5ns3t
@user-rx7ws5ns3t 2 жыл бұрын
@@user-ig8et2lr1x 도망도 못가서 붙잡힌놈보단 도망이라도 잘가서 싸울시간 번놈이 났다고봄
@user-ig8et2lr1x
@user-ig8et2lr1x 2 жыл бұрын
@@user-rx7ws5ns3t ㅋㅋㅋ그것두 일리있는 말이네요 (났이 아니라 낫입니다 속닥속닥)
@user-yr2eb1ul6w
@user-yr2eb1ul6w 2 жыл бұрын
인조나 선조 못지않게 세조 역시 모호의 자격이 없습니다. 수도없이 많은 사람들을 죽이면서 왕위를 찬탈했으니..... P.S : 근데 세조는 모호를 한 단계 낮추면 세종과 겹치는 아이러니한 문제가 생기네요 세조는 그냥 수양대군으로 불리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saigyel
@saigyel 4 жыл бұрын
조와종 차이점이 궁금했는데 이제 알게되었네요
@user-bw8tr9ed4c
@user-bw8tr9ed4c 4 жыл бұрын
저두용 ㅎㅎ
@lsw0407
@lsw0407 2 жыл бұрын
단순히 '공조덕종' 인 줄 알았는데, 이런 일들이 있었군요... [뜻] '공(功)'이 있는 자는 '조(祖)'를 붙이고, '덕(德)'이 있는 자는 '종(宗)'을 붙인다는 것을 말한다.
@koreabye9529
@koreabye9529 2 жыл бұрын
문산군 ㅎㅎ
@htjh2678
@htjh2678 2 жыл бұрын
광해군은 군으로 끝날정도의 왕은아니었는데.. 그래도 광해군이 효자였네요 자기를 그렇게 개무시했는데 아버지 묘호를 선조로..
@sw1860
@sw1860 2 жыл бұрын
역시 한국사는 늘 알면 알수록 흥미롭습니다.ㅎㅎ 참고로 저도 한국사1급ㅎ 보유자ㅎ
@Lee_Joonsik
@Lee_Joonsik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세종하고 세조하고 묘호가 바뀌어야 맞돨🐕
@u21c8sdt8o
@u21c8sdt8o 2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이해했네요 ㅋㅋ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2 жыл бұрын
제가 볼땐 족보와 관련있다고 봄니다 조는 할아버지 즉 선조를 뜻하고 종은 그의 자손 종손이란 의미로 즉 계승을 뜻하는 바 태조 이성계의 직계인 단종까지 종이라하고 세조는 그 직계를 거슬러 숙부인 자신이 새룹게 계승을 한다 즉 이씨혈통이지만 가지가 다른 시조 라는 뜻의 할아버지 조를 사용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다 왕조 중반부터는 태조라는 의미로만 사용돼다보니 복잡해졌다고 보여집니다.원인은 섬기던 중국왕조가 망하고 청 명나라로 국호도바뀌며 유교사상도 폭망했던 시기로 우리도 속국에서 벗어나 우리마음대로 호칭을 쓸수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중국왕조로 부터 책봉을 받아왔고 유교사상을 숭상했었죠 근데 지금은속국이었던 역사를 수치로 여겨 해석을 다르게 하려는건 아닌가 생각이듭니다 역사는 역사고 지금은 지금인데~~~
@user-rv1pu1eb5e
@user-rv1pu1eb5e 2 жыл бұрын
브금 웅장하시네 ㅋㅋ
@sg.k7580
@sg.k7580 2 жыл бұрын
창업군주에게는 조를 왕조를 유지한 왕에겐 조를 붙이는게 원칙임 태조는 건국군주 태종은 창업군주에버금가는 왕조의 기틀을 닦은 왕에게 붙이는 묘호다 세종은 왕조의 전성기를 연 왕의 묘호로 태조, 태종과 위상이 비슷한 위상을 가진 특별한 묘호임 세조는 노산군(후에 단종으로 복위)이후라 왕조를 다시 세운것이나같다고 조를 세종의 정신을 이었다고 세를 그걸 합쳐 세조로 결정했는데 묘호만으로는 태조와 세종을 합친거라 최고라고할수있다 조선시대엔 후대로 갈수록 묘호의 원칙이 지켜지지않았다
@user-ng5jq1dh9q
@user-ng5jq1dh9q 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더 알려드리자면 광해군은 왕자 시절의 군호지만 연산군은 왕자 시절 연산군이란 군호를 받은 적이 없습니다. 이는 적장자계승을 통해 세자로 책봉되어 왕위를 이은 까닭으로 연산군이란 군호는 사후에 지어진 겁니다.
@kkw2401
@kkw2401 2 жыл бұрын
세자한테는 군호가 안 내려가나요?
@user-ng5jq1dh9q
@user-ng5jq1dh9q 2 жыл бұрын
@@kkw2401 아예 없지는 않은데, 이 경우는 군호를 받았다가 나중에 세자가 되어 왕위를 이은 경우 입니다. 예종의 경우 본래 해양대군이었지만 형 의경세자가 죽자 세자가 되었고, 효종의 경우 본래 봉림대군이었지만 형 소현세자가 죽자 세자가 되었습니다.
@g.dragon9591
@g.dragon9591 2 жыл бұрын
@@kkw2401 조선은 적장승계가 원칙입니다.(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적장자가 왕위계승한건 7명뿐) 그래서 왕위계승이 가능한 적장자들은 군호가 없습니다. 적장자를 제외하고 둘째부터 군호를 내려주죠. 왕중에 OO세자,OO대군 이렇게 불렸던 왕은 적장자가 아니었으나 왕이된 경우 또는 왕이되지못하고 죽어서입니다. 그래서 단종과 연산군은 군호가없었는데 둘다 폐위되면서 군호를 받았고, 세종,세조,예종,성종,중종,명종,선조,인조,효종,철종등은 왕임에도 군호가 있습니다.
@jjme4493
@jjme4493 2 жыл бұрын
@@user-ng5jq1dh9q 한우임다님 연산군은 원래 적자인데 나중에 내려진 군호가 연산대군이 아니라 연산군인건 아무래도 폐위된 왕 그것도 폭군이라서 그런걸까요? 생각해보니 친어머니도 폐비인 마당에 굳이 대군의 명분도 없군요?
@phdogy
@phdogy 2 жыл бұрын
@@jjme4493 군으로 강등된거임다 노산군(단종)처럼
@jshwang9052
@jshwang9052 2 жыл бұрын
의외로 욕 먹을 만한 왕들이 '조'가 많이 붙은 아이러니 ㅋㅋㅋㅋㅋㅋㅋ
@user-lo2yh1vk8y
@user-lo2yh1vk8y 2 жыл бұрын
? 딱히 그렇지도 않는데 조로 끝나는 왕들 특히나 영조와 정조는 가장 위대한 성군들인데
@user-nm4ue6vl2s
@user-nm4ue6vl2s 2 жыл бұрын
세조 선조 인조ㅋㅋ
@user-vp6co2eb2o
@user-vp6co2eb2o Жыл бұрын
세조가 김종서 죽이고 단종의 왕위찬탈은 잘못된거지만 세조만큼 정치질 잘한 왕이 몇 없어요 왕권강화하며 나라에 안정을 준 왕이죠. 왕권강화로 서민들의 삶이 좋아지진 않았으나 은퇴한 관리들의 녹을 중단하기도 하고, 재정과 군대를 재정비하면서 일은 정말 잘한 왕이죠. 성군이라고는 못해도 조선왕중 다섯손가락안에 드는 왕입니다 심지어 명에 반항하기도 햇던 왕이죠
@user-vp6co2eb2o
@user-vp6co2eb2o Жыл бұрын
선조, 인조는 진짜 조선최악의 왕 인정합니다. 인간자체만으로도 루저라고 생각하는게 선조구요. 인조는 반정을 일으켰으면 잘하던가 무엇을 위해 반정을 한지도 모르겠어요 중종의 반정때는 기반이 없이 반정을 해서 왕권이 약했지만 인조는 기반도 다지고 왕권도 강해서 뭐를 해도 했을텐데 너무 무능햇죠
@AA-dk5cw
@AA-dk5cw Жыл бұрын
@@user-lo2yh1vk8y 영조랑 정조가 뭘 했는데
@user-dg6je2qn7i
@user-dg6je2qn7i 2 жыл бұрын
조는 대다수가 업적이 크게 있는 사람인 것 같고 그 이외는 종이고 왕이다가 반정에 의한 폐위당한 왕은 군이라고 쓰는 게 독특하네요 ㅎㅎ
@user-yr2eb1ul6w
@user-yr2eb1ul6w 2 жыл бұрын
업적으로 치면 세종이 꽤 크지 않나요?
@koyukiny
@koyukiny 2 жыл бұрын
@@user-yr2eb1ul6w 꽤 큰 정도가.아니라 우리민족을 구한 성군이죠. 세종대왕은 한글창제 딱 한가지.업적만로도 나라를 구한 성군이죠. 근데 그게 수십가지 업적중 단 한개일뿐이라는게 더 대단한것이고. 세종대왕 없었으면 우린 아직도 중국문자쓰면서 중국인들에게 속국취급받으며 개무시당하고 있었을겁니다. 그거 생각하면 소름끼침
@user-rs7sm1bu6r
@user-rs7sm1bu6r 2 жыл бұрын
조는 칼부림이 일어났거나 정변으로 왕이 된거고 종은 정상적인 경로입니다 대체적으로요 그냥 상식입니다 그리고 조 붙는 왕이 7의 배수입니다 흥미롭게 ㅎㅎ
@user-ip7sg9eo4n
@user-ip7sg9eo4n 2 жыл бұрын
신은 3정행이라는 것과 이는 셋으로 나뉜것이 통합 되었다는 의미이고 이러한 상황에서 상단전의 운영에 대한 상황이 만들어 지고, 도학의 나라가 도래하게 되었다라고 보면 됨,
@user-uw3yq6lc9z
@user-uw3yq6lc9z 2 жыл бұрын
문산군
@user-gc1sb7dl7e
@user-gc1sb7dl7e 4 ай бұрын
祖:시조 > 宗:제사 으뜸 기본> 君:친구 친근 ※신랑ㅇㅇㅇ君 ※王의 死後붙힌 이름 文종:글 학문 肅종:엄숙 成종:개혁하여 이룸 端短종:수명이 짧음)
@sss-dw8ss
@sss-dw8ss 2 жыл бұрын
어찌보면 그냥 의미부여해서 바꾼거넹..
@diebesten621
@diebesten621 2 жыл бұрын
근데 정조가 정종이었다가 고종때 묘호가 정조로 된거면 조선 2대왕 정종이랑 묘호가 겹쳤던건가요?
@hammoon4544
@hammoon4544 2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바뀌기 전까지는 겹쳤었다고 들었습니다.
@user-cb7ph9zx9u
@user-cb7ph9zx9u 10 ай бұрын
한자가 다르니 뭐
@water4607
@water4607 4 жыл бұрын
세종은 충녕대군이었고 영조는 연잉군이었는데 군이랑 대군은 어떻게 다른가요?
@jobchowiki
@jobchowiki 4 жыл бұрын
대군은 적자이고 군은 서자를 말합니다. 세종은 원경왕후가 낳은 적자이고, 영조는 무수리 숙빈이 낳은 서자입니다.
@user-cb7tn2vm6t
@user-cb7tn2vm6t 3 жыл бұрын
공주와 옹주의 차이도 그것이죠 중전이 낳으면 공주 후궁이 낳으면 옹주
@icyvo3593
@icyvo3593 3 жыл бұрын
엄마가 누구냐에 따른 것
@jaeokpark9696
@jaeokpark9696 2 жыл бұрын
어머니가 비 냐 빈이냐에 따라서 바꿉니다
@user-zc7fr8gb1v
@user-zc7fr8gb1v 2 жыл бұрын
처와첩에 차이 처자식은대군 첩자식은군
@hahakim3893
@hahakim3893 2 жыл бұрын
와 내가 알고 있는 거랑은 다르네 뭔개 개혁적이 업무를 이룬 왕은 조를 붙였고 그 외에 나라를 잘 이끌거나 무탈하게 다스린 왕을 종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오늘 배워가네요~
@phdogy
@phdogy 2 жыл бұрын
그게기본이고 효도하느라 고친경우가많음 특히 정조계열강조하느라 고종이 4대를추숭함
@pandoong2
@pandoong2 2 жыл бұрын
처음 언제 배워서 나도 그런것으로 알았는데 나중에 공부할때 조는 나라를 세운사람 그 이후론 종이고 정치적이해관계로 조로 추존된거라고 다시 알겠됐음 ㅋㅋ
@user-mw6ts4se6x
@user-mw6ts4se6x Жыл бұрын
선조,인조,순조는 문제가 많은것 같음...지금이라도 종으로 낮추어야 합니다.
@user-le6sl4bc9h
@user-le6sl4bc9h Жыл бұрын
낮추긴 뭘 낮춰 어차피 역적 쓰레기 핏줄인데
@user-zg2xp9sy9r
@user-zg2xp9sy9r Жыл бұрын
@@user-le6sl4bc9h 선조는 학계에서 재평가 의견이 나오기는 합니다
@Orca88888
@Orca88888 9 ай бұрын
이 나라가 조선도 아닌데 뭔 상관임
@user-ur7nf5ed2t
@user-ur7nf5ed2t 2 жыл бұрын
권력층들 입맛에 맞게 바꾼 것이죠 원래 조 라는 묘호는 정말 아무나 못 받는건데.. 특히 세조부터 해서 조 붙은 임금 치고 제대로 된 임금님 하나도 없음. 기껏해야 영조와 정조 정도? 한국사에서 뛰어난 임금님 많아도 보편적으로 대왕님 소리 듣는 임금님은 광개토대(태)왕과 세종대왕님뿐..
@user-vy6kj6wp7x
@user-vy6kj6wp7x 2 жыл бұрын
세종도 노비관련 해서는 아주 안좋았다고 들었던것같은.. 신하도 80살까지던가 부려먹고.. 업적은 으뜸..인성은.. 피는 못속입니다..
@user-sx9fh9fd7u
@user-sx9fh9fd7u 2 жыл бұрын
@@user-vy6kj6wp7x 노비 관련해서 뭐가 안좋았다는거죠? 본인도 솔직히 정확히 모르죠? 식민사관에서 일제 식민지를 정당화하기위해 세종대왕님 업적까지 까내리기 시작했고 거기에 노비 문제로 물고 늘어지는겁니다.
@gipsy77
@gipsy77 2 жыл бұрын
@@user-vy6kj6wp7x 세상에...그냥 신하 아니고..황희정승이요 영의정까지오른 황희...
@user-vy6kj6wp7x
@user-vy6kj6wp7x 2 жыл бұрын
@@user-sx9fh9fd7u노비종부법에서 노비종모법으로 세종때 다시 변경되서 뿌리박힌걸로 알고있습니다만. 그래서 노비가 급격하게 늘어나기 시작하고.
@user-vy6kj6wp7x
@user-vy6kj6wp7x 2 жыл бұрын
@@gipsy77 황희정승만 퇴직을 안시켜준게 아닙니다. 황희정승이 제일 길게했을뿐 몇몇 더있습니다. 그들을 통틀어 신하라고 한거구요. 영의정은 신하 아닌가요? 군신 아닌가? 잘난척 나대지 마세요.
@user-gy8oq4qg2n
@user-gy8oq4qg2n 2 жыл бұрын
앞 부분 나라를 건국하면 붙는 조 칭호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이후에 조 와 종 에 대한 의미가 무분별 해지자 해석함을 계체지군칭종 선왕의 적자로서 부자간의 왕위를 계승한 임금은 종이라 칭하고 입승왈조 왕위 계승권 밖에 있는자가 들어와서 임금이되면 조를 붙히자 라고 해석된다고 알고있어요
@user-ug2eh3nr3e
@user-ug2eh3nr3e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학교 다닐 때 국사샘에게 그렇게 배움
@mirinaei
@mirinaei 2 жыл бұрын
이 분글이 맞음. 다들 잘 못 알고 있음.
@user-bg5cj9pp9c
@user-bg5cj9pp9c 2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적장자 왕은 딱 7명입니다 적장자가 아닌 적자로 친다해도 그 방식으로는 종이 되어야할 정조 순조가 설명이 안되고 조가 되어야할 고종이 설명이 안됩니다
@mirinaei
@mirinaei 2 жыл бұрын
@@user-bg5cj9pp9c 결론은 그래서 조선은 사대부들이 설쳐서 개판이되는 나라이라는 것입니다.
@user-bg5cj9pp9c
@user-bg5cj9pp9c 2 жыл бұрын
@@mirinaei 안타깝다... 난독증에 피해망상증까지 ㅠㅠ
@user-q389
@user-q389 Жыл бұрын
근데왜 세종은 역대왕중 짱인데 후손들이 조 않붙여줬냐?
@user-kd7mh1bp5u
@user-kd7mh1bp5u 7 ай бұрын
왕의 묘호로써 가장 최고의 묘호는 세조 입니다 . 세조 는 동아시아 제왕의 묘호 중 하나로, 왕조의 창업자거나 왕조 성립이전 이미 창업의 기틀을 마련한 제왕 또는 창업에 가까운 업적을 세운 왕에게 드리는 묘호입니다. 많은 동아시아 제왕 중 세조 란 묘호를 받은 제왕 중 에서 조선 왕조 7대왕 이였던 세조 의 경우 사후 신하들이 신종 , 예종, 성종의 묘호를 추천했으나, 8대왕 예종이 부왕이 나라를 중흥한 공 과 세종과 문종 치세와 버금과는 치세를 하였다 하여 세조 로 묘호를 올림으로 세조가 되었습니다
@user-ki2uk7hj4h
@user-ki2uk7hj4h 5 ай бұрын
꺼무위키 끄세용 그거 가장 최고아닙니다.
@user-rn7ck9up1d
@user-rn7ck9up1d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보니 단번에 이해함 ㅋㅋ 다 말이 틀린 이유가 있었네 그냥 지들맘대로였어 ㅋㅋㅋ
@user-bg5cj9pp9c
@user-bg5cj9pp9c 2 жыл бұрын
무식하기는...
@user-mz8fj8ls4o
@user-mz8fj8ls4o 2 жыл бұрын
어진임금 인조.....
@nukaskim2438
@nukaskim2438 2 жыл бұрын
그냥 당파싸움에서 그 당시 살아남은 자들이 지었구만(?) 그 전세대에 자기나 자기파벌이 힘좀 냈고,지금도 힘이살아있으면 조... 우세파가 새롭게집권했으면 종
@user-pc7qy2zw4b
@user-pc7qy2zw4b 2 жыл бұрын
아직까진 확실히 나뉘는 규준을 명확히 말할수없음 학자들도 가지각색으로 말하는데 추측만할뿐 정확한 답은 지금도없음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2 жыл бұрын
지말은요 지 주장 워때유
@yoojus82
@yoojus82 2 жыл бұрын
결국 '조'로 하고 이유를 만든거네...
@LL-yo3ik
@LL-yo3ik 4 жыл бұрын
중국 황제 묘호에도 ~조 많이 있는걸로 아는데 그 황제들은 왜 그렇게 불리운건지 궁금하네요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4 жыл бұрын
중국황제들은 창업주들은 태조나 고조가 붙습니다. 그리고 창업주의 조상들을 조祖로 추숭하고 다 종宗자를 붙이죠. 그리고 이민족이면서 중국을 차지하거나, 망한왕조를 다시 일으킨 황제는 세조世祖의 묘호를 붙입니다. 세조라는 묘호는 정말 엄청난 묘호인데 조선 세조때문에 뭔가 그렇죠... 그다음에 성조 聖祖 成祖등 창업주의 위상을 뛰어넘고 대규모 정복사업을 벌인다거나 할때 붙입니다. 조자 중에 태조, 고조, 세조, 성조, 열조, 장조 등 중국황제 중에 조의 묘호를 받은 군주들 살펴보면 엄청난 능력의 황제들임을 알수있죠
@LL-yo3ik
@LL-yo3ik 4 жыл бұрын
@@user-mx8sq2nj7t 오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강희제가 괜히 성조가 아니네요ㅎㅎ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4 жыл бұрын
@@LL-yo3ik 강희황제는 재위 61년간 청조를 엄청나게 확장시켜놓고, 삼번의난, 갈단, 대만 등 정복사업에 모두 성공합니다. 영토까지 명나라 말기의 1.6 1.7배가까이 늘려놓고, 강희자전을 편찬하는등 문화사업에도 열중하죠. 17세기 소빙하기시기에 전세계가 대기근에 휩쓸려 굶어죽는사람이 많은와중에도 경제를 회복시키는등 엄청난 능력자였습니다. 묘호도 聖祖가 괜히 붙여진게 아니죠...
@user-wd5rf9ey8t
@user-wd5rf9ey8t 3 жыл бұрын
@@user-mx8sq2nj7t 왕비의
@user-mx8sq2nj7t
@user-mx8sq2nj7t 3 жыл бұрын
@@user-wd5rf9ey8t 네?
@user-xt3sk3ce9s
@user-xt3sk3ce9s 2 жыл бұрын
나는 이 부문 중학교 국사시간에 배웠는데 중 고등다닐때 국사공부만 열심히하면 궁금할거 별로 없을걸요
@hughchoi4709
@hughchoi4709 2 жыл бұрын
역시 조선은 왕의 나러가 아니라 신하의 나라...
@chilk-chulp
@chilk-chulp 2 жыл бұрын
세조가 없었으면 세종대왕이 세조였겠네
@user-vm5jg4on7r
@user-vm5jg4on7r 2 жыл бұрын
조를 붙인 왕 중엔 그래도 정조 하나는 제대로 한거네. 제일 파묘해서 뼈까지 갈아버려야할 왕은 선조지.
@user-jc5tq6vx3v
@user-jc5tq6vx3v 2 жыл бұрын
어허~ 인조 빼면 섭하지요 ㅋㅋㅋ
@user-pr8qm3pk6o
@user-pr8qm3pk6o 2 жыл бұрын
인조가 울겄네
@TV-bc3bz
@TV-bc3bz 2 жыл бұрын
조우종은?
@avataruser1214
@avataruser1214 2 жыл бұрын
조우종 ㅇㅈㄹ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nadooya7799
@nadooya7799 2 жыл бұрын
빈센조..당신은 대체..
@hammoon4544
@hammoon4544 2 жыл бұрын
조선8대왕 예종이 유일하게 자신의 묘호를 유언으로 남겼다고 오래전에 어디서 읽은적이 있습니다.
@user-vp6co2eb2o
@user-vp6co2eb2o Жыл бұрын
예종이 급식의 혈기를 못다스려 독살 됐다는 설이 있죠... 어린나이에 강단있고 거침없다고 하던데 아버지보고 장, 단점 다 배웠을듯 물론 세조가 한명회, 신숙주에게 예종을 맡겼으나 한명회가 예종을 죽였다는게 역사학계의 정설이죠
@user-eu4mw3gg3x
@user-eu4mw3gg3x 2 жыл бұрын
0:40 왕이 죽은후 종묘에 신주를 모길때 붙여지는 이름, 묘호 조,종,군 9:49 폐위된 왕은 묘호가 없이 왕자 시절의 호칭으로 부름
@sharf_round
@sharf_round 2 жыл бұрын
3:40초짜리영상인데요?
@user-oy2kb7em4g
@user-oy2kb7em4g 2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500년이나 왕조를 이어온것은 대단하긴함 근데 개인적으론 왕 별로 안좋아함 아직까지 왕이 잇는 국가도 좀 이상해보임
@thomas6470
@thomas6470 Жыл бұрын
딘조는 무슨... 그냥 딘딘군이겠지.
@user-jd4fk2hx2t
@user-jd4fk2hx2t 3 жыл бұрын
선조 는 암군인데 조
@user-gn2nm3no9t
@user-gn2nm3no9t 2 жыл бұрын
세조 선조 인조 순조
@gracus7
@gracus7 2 жыл бұрын
선조는 유교탈레반의 시대를 열었기때문에.. 선조의무덤이름을 따서 목릉성세라고 당대 유학자들이 불렀답니다. 니미럴
@user-dj9ix3yp6y
@user-dj9ix3yp6y 2 жыл бұрын
결국 서로 잘났다고 조로 바꾼거구만
@user-oy6et8kn1l
@user-oy6et8kn1l 4 жыл бұрын
영조와 정조는 업적이 엄청나서 조로 했지만 조선 최고 성군인 세종이 조가 아닌 건 이미 세조가 있기에 그냥 세종으로.... 뭐 어차피 세종대왕으로 붙였으니
@user-cb7tn2vm6t
@user-cb7tn2vm6t 3 жыл бұрын
고종광무제가 황제로 등극하면서 종묘에 모신 선 대왕들을 황제로 추존합니다.종묘에 가보시면 (1대)태조고황제 (2대)정종대왕~(21대)영조까지는 대왕으로 칭하고 (22대) 정조선황제,(23대)순조숙황제 문조익황제(효명세자 황제로 추존)(24대)헌종성황제(25대)철종장황제 (26대)고종태황제(27대)순종효황제 입니다. 조선왕조실록은 모두 대왕으로 칭합니다.(태조강헌대왕실록)(세종장헌대왕실록) (고종태황제실록)
@Heinr
@Heinr 3 жыл бұрын
@박진서 대왕이라 함은 왕을 높이고 추존하는 호칭이기 때문에 조선왕들은 후대사람들 때문에 대왕호칭을 추존받아 붙게 되어있어요. 중국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선대 황제를 높이기 위해 태황제라고 추존하고요
@korsapiens523
@korsapiens523 2 жыл бұрын
이미 세조가 있다고? 세종이 세조 아버진데 뭔 쌉소리지?
@bavan4744
@bavan4744 2 жыл бұрын
세종은 원칙을 잘 지킨거고 그 이후 근본없는 놈들이 열등감에 조를 붙인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네요. 이상한 임금에게 조를 붙인 게 너무하는 것 같아서 붙여준 게 영조 정조
@user-ij5zb3wu7l
@user-ij5zb3wu7l 2 жыл бұрын
@@korsapiens523 먼저 세조가 '조'를 붙였으니 세종에게 '조'를 붙일수 없었다는 이야기인듯...그래서 세종의 뒤에 대왕이라는 호칭을 붙여준거라는 이야기인듯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2 жыл бұрын
그때그때 달랐다는거넹
@won589
@won589 2 жыл бұрын
정조 인정. 인조 웩! 선조 웩! 백성버리고 튄놈들에게 무슨 ㅡㅡ;;;;. 광해군 그리괴롭혔는제 뭐하러 ㅠㅠ😭
@TheSanghyuk77
@TheSanghyuk77 2 жыл бұрын
제 추측으로는 광해군이 집권 후반기에 실정을 저질렀던 것이 자기 아버지인 선조가 계속 스트레스를 줘서 그 영향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진짜 선조.. 암군 중의 암군이었음..ㅡㅡ;;
@user-rs6nn5uy9o
@user-rs6nn5uy9o 2 жыл бұрын
잘한건 아니지만ㅎㅎ 선조가 잘도망가서 이순신장군형님께서 잘싸울수 있으신거니까요ㅎ
@user-rs6nn5uy9o
@user-rs6nn5uy9o 2 жыл бұрын
선조 칭찬은 아니에요ㅎ 오해 없으시길ㅎ
@TheSanghyuk77
@TheSanghyuk77 2 жыл бұрын
@@user-rs6nn5uy9o 역으로 선조 디스하신듯.. ㅋㅋㅋ
@user-rx7ws5ns3t
@user-rx7ws5ns3t 2 жыл бұрын
인조는 도망도 못가서 선조는 도망이라도 잘가서 다른데서 지킬 시간이라도 벌었지..
@h.y980
@h.y980 2 жыл бұрын
내가 배울때는 덕이 많은 왕은 종을 붙이고 국외업적이 있는 왕은 조를 붙인다고 배웠는데 잘못 배웠네 걍 계파싸움 권력 힘싸움이었구먼..
@user-oy6et8kn1l
@user-oy6et8kn1l 2 жыл бұрын
분명 유교국가로서 신분제도가 철저했을텐데 왕위찬탈을 가장 많이 했군...
@user-xm6dn7zl2c
@user-xm6dn7zl2c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신라는 유교국가는 아니죠!!
@park56935
@park56935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그럼 삼한이가 유교에 한해서 말했는데 왜 신라가 나오지?
@park56935
@park56935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찾아봐
@park56935
@park56935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뭔 말인지도 모르고.....
@park56935
@park56935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어린늠이 센스가.....
@SSONGTAEWON
@SSONGTAEWON 10 ай бұрын
원래 '조' 묘호는 공이 있는 군주에게 주는 묘호였는데 예종대왕이 지 아버지인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해서 종묘사직을 안정화시킨 공이 있는 거 아니냐는 희대의 개논리를 시전해서 억지로 세조라는 묘호를 올림 세조라는 묘호는 세종보다 더 윗급이기 때문에 지금 관점으로 보면 너무 말이 안 되는 일이죠 근데 또 사람들이 의외로 세조라고 안 부르고 수양대군이라고 부르니 왕위찬탈의 업보라고 생각합니다
@bowzer8357
@bowzer8357 2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따지면 세종대왕은 왜 종인가???
@user-ps8kk2yh3x
@user-ps8kk2yh3x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말했잖아요 조로 처음 바꾼게 세조였다고 세종은 그 이전이니깐 후대에 따로 바꾸려고 안 했으면 원래대로 처음 정한 종으로 이어진거겠지요
@StarShevron
@StarShevron 4 ай бұрын
조계종
@jsp650
@jsp650 2 жыл бұрын
근데 조선 역사보면 태조 뺴고 정통성 문제 있는 왕들은 죄다 "조"자 붙임
@ykp239
@ykp239 2 жыл бұрын
@폭행몬스터 단종은 세종의 장손이며 문종의 맏아들이기 때문에 장자계승 측면에서 문제 없음. 원래 세조 때 사사되었을 당시에는 연산군, 광해군과 같이 '노산군'으로 불렸지만 숙종대에 이르러 '노산대군'으로 한 번 복위되었다가 '단종'이라는 묘호를 받게 됨
@user-rh1dp9iy9y
@user-rh1dp9iy9y 2 жыл бұрын
@@ykp239 단종은 문제가 없는 수준이 아니라 조선 왕중 정통성 끝판왕이 단종이죠
@user-yr2eb1ul6w
@user-yr2eb1ul6w 2 жыл бұрын
정조도 정통성은 문제 없지 않나요?
@drm818
@drm818 Жыл бұрын
@@user-yr2eb1ul6w 문제 없는거 맞아요. 인조도 폭군을 몰아내고 왕이 된거라 명분과 정통성에서 문제 없는 것도 맞습니다.
@user-oo1hn1tn5w
@user-oo1hn1tn5w 2 жыл бұрын
인조 선조는 빼야지ㅋㅋㅋㅋ
@user-fu9me5vu6w
@user-fu9me5vu6w 2 жыл бұрын
순조도 마찬가지
@gracus7
@gracus7 2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조이든 종이든 의미없음.. 세종대왕 정조대왕처럼 위대하다고 느끼면 대왕칭호를 붙이면됨
@Orca88888
@Orca88888 2 жыл бұрын
@@user-xl9gz4mw7y 행정력 이야기 나와서 그런데 선조가 대체 뭘 함? 의주로 도망가고도 세금 받으려고 했고 이순신이랑 나머지 장군이랑 백성들이 지켜낸 곡창지대인 전라도에 걷지 못 하는 세금도 전가시킴. 거기다가 임란 중에 훈련도감 만드는데 훈련도감에 드는 세금도 새로 거둠 ㅋㅋㅋㅋ 광해는 목숨 걸고 군인, 의병, 백성들 독려하면서 강원도까지도 가는데 선조는 뭘 했냐 이거야 ㅋㅋㅋㅋ 궁궐이 불탄 것도 일본이 태운 게 아니라 왕이 도망가지 않겠다고 구라치고 도망가서 백성들이 개빡쳐서 불 지른 건데 대체 선조는 뭘 했나 ㅋㅋㅋ 오죽하면 나중에 영조가 도망 안 치겠다고 약속하겠냐고여 ㅋㅋㅋㅋ
@user-nt6rl5te9c
@user-nt6rl5te9c 2 жыл бұрын
@@user-xl9gz4mw7y 선조가 했던 그 모든일은 나라를 위한게 아니라 한나라의 군주로서 군주가 해야할 일을 망각하고 단순히 자신의 안위만을 생각했다는 것에 충분히 욕먹을 만 합니다
@user-nt6rl5te9c
@user-nt6rl5te9c 2 жыл бұрын
@@user-xl9gz4mw7y 그리고 군주로서 당연히 뭘 했다는건지... 이순신 진급시킨거 1개? 고작 천거받아서 잘 할지 못할지 알 수 없는 장군 한명 고속승진 시킨게 왕 최고 업적이라고 하기엔 너무 옹졸한거 아님?
@user-lo2yh1vk8y
@user-lo2yh1vk8y 2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어쩌다 어른에서 설민석이 설명해줬었는데
@user-ht6gh2ut2o
@user-ht6gh2ut2o 2 жыл бұрын
선조ㅋ 인조ㅋ 내가 콧구멍이 두 개니까 아직 숨을 쉬고 사는거지 한 개였음 콧방귀 뀌느라 숨도 못 쉬었을듯. 선조ㅋㅋ 인조ㅋㅋ
@wilhelmiikaiser4436
@wilhelmiikaiser4436 2 жыл бұрын
근데 사실 한쪽 코로 숨쉼
@Samsunggalaxy58372
@Samsunggalaxy58372 3 жыл бұрын
근데 단종도 페위인데 왜 군이안붙는거지
@hgkang-wk7ir
@hgkang-wk7ir 3 жыл бұрын
단종은 숙종 때에 노산군에서 단종으로 추존됐습니다.
@user-ic5dx5pl9d
@user-ic5dx5pl9d 3 жыл бұрын
숙종때 조선판 역사 바로세우기 하면서 세조도 복원 시키실려고 했다 명분을 만들면서 노산군에서 단종으로 추존 노산군일기에서 단종실록으로 개칭 포쇄하였습니다 그러나 겉표지만 단종실록이고 노산군이라고 되있습니다
@user-hs9ub5yv3c
@user-hs9ub5yv3c 3 жыл бұрын
@@user-ic5dx5pl9d 실록내용은 고칠수 없어 단종실록이라 겉표지만 바뀌고 내용은 그대로인데 숙종실록에는 단종이라고 기록되어 있고, 단종에 대한 기록의 절반이상은 숙종실록에 더 많이 있습니다.
@user-ic5dx5pl9d
@user-ic5dx5pl9d 3 жыл бұрын
@@user-hs9ub5yv3c 알고 있어요 그런 내용은 사학 전공이라
@user-cs2bo3cf4o
@user-cs2bo3cf4o 2 жыл бұрын
단종은 다시 복원되었으니까요.
@muybien9453
@muybien9453 2 жыл бұрын
설명은 잘해주시는데 손동작이 너무 많아서 정신 사나움..
@user-hg6qd5kf6o
@user-hg6qd5kf6o 3 жыл бұрын
시간이 지난지금은 조보다 종이 낫더라
@user-ex6hc9ze6x
@user-ex6hc9ze6x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니까 젊은이들은 물론이고 어린 초등학생으로 보이는데 강의 내용이 왜곡(歪曲)된 부분이 상당히 보인다. 조선의 왕들 중에 조(祖)와 종(宗)에 대해 논하자면 공조(功祖) 덕종(德宗)이라고 하는데, 조선의 왕 27명 중에 조(祖)로 호칭(呼稱)되는 왕이 태조(太祖), 세조(世祖), 선조(宣祖), 인조(仁祖), 영조(英祖), 정조(正祖), 순조(純祖)로 7명이고 군(君)은 연산군(燕山君), 광해군(光海君)이다. 연산군(燕山君)과 광해군(光海君)은 반정으로 쫓겨난 왕이기도 하지만, 중국으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고 즉위를 했기 때문에 군(君)의 호칭을 받는다. 조(祖)와 종(宗)에 대해서는 이 영상에서 강의를 하는 분과 내가 학창시절에 국사 선생님에게 배운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조선의 왕 중에 종(宗)인 왕들은 정실왕비(正室王妃) 소생(所生)이고, 조(祖)인 왕들은 태조(太祖)를 제외하고 반정(反正)으로 왕위(王位)에 올랐거나, 후궁(後宮)의 소생(所生)들이다. 그리고 조선시대(朝鮮時代)에서 가장 무능(無能)했던 왕이 선조(宣祖)와 인조(仁祖)다. 선조(宣祖)는 중신들이 일본에 파견한 통신사들의 보고에 따라 국방을 튼튼히 해야 한다고 간언을 했는데도 소홀히 해서 임진왜란을 당해 나라는 초토화가 되었고, 인조(仁祖)는 선조(宣祖)보다 더 무능한 왕이었다. 외교역량(外交力量)도 없어 청나라를 오랑캐로만 업신여기다가 청나라 20만 대군의 침략으로 강화도에서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 앞에서 삼궤구고두례(三跪九叩頭禮)라는 치욕(恥辱)을 당했다. 삼궤구고두례(三跪九叩頭禮)를 행하는 방식은 궤(跪)의 명령을 듣고 무릎을 꿇고, 일고두(一叩頭), 재고두(再叩頭), 삼고두(三叩頭)의 호령에 따라 양 손을 땅에 댄 다음에 이마가 땅에 닿을 듯 머리를 조아리는 행동을 3차례 하고, 기(起)의 호령에 따라 일어선다. 이와 같은 행동을 3회 반복하는 굴욕(屈辱)을 당하면서 항복(降伏)했던 것이다. 청나라는 인조의 항복을 받고 돌아가면서 소현세자(昭顯世子)와 봉림대군(鳳林大君)을 인질로 데려갔고, 조선의 젊은 부녀자들을 얼마나 많이 인질로 데려가서 노리개 감으로 삼았던가. 그리고 고려시대(高麗時代)의 王들은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제외하고 종(宗)으로 호칭을 한다고 했는데, 고려시대(高麗時代)의 王은 34명이다. 이 중 종(宗)은 24代 王인 원종(元宗)까지이고, 25代 충렬왕(忠烈王)부터는 王이라고 호칭(呼稱)을 했다. 참고로 고려시대의 왕을 소개한다. 1대 태조(太祖), 2대 혜종(惠宗), 3대 정종(定宗), 4대 광종(光宗), 5대 경종(景宗), 6대 성종(成宗), 7대 목종(穆宗), 8대 현종(顯宗), 9대 덕종(德宗), 10대 정종(靖宗), 11대 문종(文宗), 12대 순종(順宗), 13대 선종(宣宗), 14대 헌종(獻宗), 15대 숙종(肅宗), 16대 예종(睿宗), 17대 인종(仁宗), 18대 의종(毅宗), 19대 명종(明宗), 20대 신종(神宗), 21대 희종(熙宗), 22대 강종(康宗), 23대 고종(高宗), 24대 원종(元宗), 25대 충렬왕(忠烈王), 26대 충선왕(忠宣王), 27대 충숙왕(忠肅王), 28대 충혜왕(忠惠王), 29대 충목왕(忠穆王), 30 충정왕(忠定王), 31대 공민왕(恭愍王), 32대 우왕(禑王), 33대 창왕(昌王), 34대 공양왕(恭讓王),[고려 마지막 왕]
@8p718
@8p718 7 ай бұрын
학창시절 국사 선생님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하시고 역사학자셨나요? 어린시절 선생님을 너무 맹신하는건 아닌가요
@jhpark7825
@jhpark7825 2 жыл бұрын
그냥 뚜렷한 기준과 일관성 없이 그냥 후대의 사적인 판단에 따라 붙인거임
@anktks1143
@anktks1143 2 жыл бұрын
다른왕들은몰라도..인조의묘호?의뜻은이해가안감..(호란일어나게하고아들며느리랑손자들죽인왕이어질인仁자를쓴다는게..)
@phdogy
@phdogy 2 жыл бұрын
효종의 효도임 그래야정통성을 세울수있었음(효종은 적차남)
@user-ut6ik2rk9b
@user-ut6ik2rk9b 2 жыл бұрын
정조가 조가 되기전 정종이었다면,,, 2대왕도 정종인데, 두분의 정종이었나요?
@thomas6470
@thomas6470 Жыл бұрын
漢字가 다르잖아, 病身아.
@ihaveactually32subscribers66
@ihaveactually32subscribers66 2 жыл бұрын
펀드니 주식이니 코인이니 다필요없는거같음 어렵기만하고 ㅠ 파다 사워 리 는 1도없음 진짜 너무 편하고 빠르고 ...ㄷㄷ
@Vince-ob8vz
@Vince-ob8vz 2 жыл бұрын
역대 무능했던 조선
@sleepingguy3148
@sleepingguy3148 2 жыл бұрын
3:34 교수표정 썩음 ㅋㅋ
@user-tz1sp9po3q
@user-tz1sp9po3q 2 жыл бұрын
선조는..
@user-vb8xf3uc6j
@user-vb8xf3uc6j 2 жыл бұрын
조ㆍ중ㆍ동의 차이?
@erscvjitddbnkobvzd
@erscvjitddbnkobvzd 2 жыл бұрын
허나 세종 빼곤 다 개풀이라는....
@dreamfreeker
@dreamfreeker 2 жыл бұрын
정조도 위대한 임금이셨죠
@AA-dk5cw
@AA-dk5cw Жыл бұрын
@@dreamfreeker 정조가 뭘 했는데
@user-wf3hw1zt2i
@user-wf3hw1zt2i 2 жыл бұрын
우매한 왕과 간신들의 행적 ! 역사의 증거.
@boringman8388
@boringman8388 2 жыл бұрын
관례대로 안하니 망할수밖에ㅋㅋ
@raymonddodo
@raymonddodo 2 жыл бұрын
중종도 반정했는데 왜 조가 못됐을까
@user-xv3tz2mm6i
@user-xv3tz2mm6i 2 жыл бұрын
세조나 인조에 비해 젤 명분있는 반정이었으니 굳이 정당성 찾으러 조를 붙일 이유가 없었던건 아닐까 싶네요
@AA-dk5cw
@AA-dk5cw Жыл бұрын
중종은 반정의 중심이 아니였거든 그냥 자다 일어나보니까 왕된거여서
@woojinlee9816
@woojinlee9816 2 жыл бұрын
선조ㅡ인조는 빼자ㅡ.민족의 수치다.
@samarovleite
@samarovleite 2 жыл бұрын
내진 설계가 잘 된 집은 태풍과 지진에 잘 견딥니다. 풍파를 견디는 것은 건물에게 중요한 조건입니다. 조선 왕조가 끝날 때까지, 시대의 풍파를 뚫고 왕조를 이어갔던 그들 존재 자체만으로 인정합시다. 조선 왕조는 끝이 났지만, 한반도의 역사는 왕조들과 민족들의 역사를 넘어 계속 이어져 가고 있습니다. 후대의 누군가 댓글 다는 당신에게 민족의 수치라고 하면 어떤 기분일까요? 역지사지라는 말이 있습니다. 구체적인 비판은 할 수 있겠지만 원색적인 비난을 하지는 맙시다. 자기 얼굴에 침뱉는 것입니다.
@woojinlee9816
@woojinlee9816 2 жыл бұрын
@@samarovleite 뭔 말씀이신지요? 선조 ㅡ인조는..... 국민들의 내진설계가 그나마 되었기에 그 똥 치운 것입니다. 풍파를 견디며 한반도를 지켜낸 수많은 사람 중에 이 둘은 빼자구요. 부끄러워도 역사는 그대로...분칠하지 맙시다.
@samarovleite
@samarovleite 2 жыл бұрын
빼고 생각한다... 존재를 인정하지 않겠다.. 학습할 필요도 없을까요.. 역사를 잊는 민족에게 미래는 없습니다.. 치욕스럽다하여 잊어버리면 같은 역사를 반복하게 될 것입니다.. 계속 기억하면서 비평해야하지 않을까요. 호불호를 떠나 존재 자체를 인정하기에 학교는 청년들에게 역사를 교육하고 있습니다.
@samarovleite
@samarovleite 2 жыл бұрын
미워도, 쓸모없어 보여도, 조상의 일부라는 것은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비판받아 마땅하지만 그들이 있었기에 그나마 조선이 멸망하지 않았네요.
@samarovleite
@samarovleite 2 жыл бұрын
종묘에 가보셨나요? 정전 19개, 영녕전 16개의 제왕의 위패가 모셔져 있습니다. 국뽕 이런 것을 떠나서 그 현장에서 서서 직접 진지하게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 지울 수 있는 역사라.. 그러면 왜 사관들은 치욕의 역사를 지우지 않았을까요? 그들이 멍청해서일까요?
@user-nz1ob6bp5s
@user-nz1ob6bp5s 2 жыл бұрын
조선 후기에 저러고 있으니 나라가 망하짘ㅋㅋㅋㅋ
@user-dl7qo2kb6g
@user-dl7qo2kb6g 2 жыл бұрын
@동해안오징어 상관이 없지는 않음. 철종 때 대비가 저렇게 설치는 게 바로 세도정치이니...
@wdfs2
@wdfs2 2 жыл бұрын
대왕 말고는 다 볼품없는 칭호 조 붙으면 거의대부분 왕위찬탈이나 왕권이 강해서 붙은 칭호 종은 조의 아들이나 왕의권력 약화 군은 왕이 되지못한 세자나 서자이게 붙는 칭호
@wilhelmiikaiser4436
@wilhelmiikaiser4436 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묘호라는게 원래 황제들이 쓰는거임
@phdogy
@phdogy 2 жыл бұрын
조선은외왕내제임 명과청에서는 왕이라는제후의 시호를줌 공식외교문서엔 그~ 왕 으로기재 조선내에선 조,종으로올려종묘에봉안
@user-ur7nf5ed2t
@user-ur7nf5ed2t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묘호 자체가 황제만 쓸 수 있는건데.. 한반도 왕조들이 유교체제에 대해 잘 알고 있어서 훔쳐쓴거죠. 중국도 물론 알았지만 그런 작은 거로 시비 털진 않았을 뿐.. 진짜 속국이였다면 난리쳤을텐데~ 적어도 중원천하 세계관에서 신라와 발해, 고려, 조선은 2인자급 취급은 해줬죠. 농경국가 + 유교국가로 이데올로기와 정체성도 큰 이질감이 없고.. 그나마 말이 통하고 노략질 안 하니까 2인자 취급..
@user-sx9px4zx2r
@user-sx9px4zx2r 2 жыл бұрын
딘조~ㅋ
@ilovejunyeop
@ilovejunyeop 2 жыл бұрын
단종은 쫓겨나는데 왜 군이아니죠?
@user-yr2mx9jc9n
@user-yr2mx9jc9n 2 жыл бұрын
책봉 관계아닌가 단종이 그래도 적통자로 왕이 됐다가 찬탈당한거니 중국 황제가 봉을 하사한 것이 아닐까
@master-perfect
@master-perfect 2 жыл бұрын
원래 노산군이었는데 숙종 때 복원되서
@kkh1395
@kkh1395 2 жыл бұрын
지들 꼴리는대로 달아버리니 아무의미가 없다는.왕놈이 거기서 거기지 무신.
@AN-ct7rv
@AN-ct7rv 2 жыл бұрын
이건 각 역사학자 마다 견해가 다 다르네. 누구는 직계는 종, 방계는 조라고 하고, 누구는 나라를 세울 만큼의 큰 업적을 이루거나 국란을 극복한 왕을 조라고 하고, 누구 말이 맞는거야?
@jwoo1644
@jwoo1644 2 жыл бұрын
저도 직,방계로 알고 있었는데 그러기엔 안맞는 부분들이 있더라구요. 본 영상 설명이 맞는거 같아요.
@user-zr5wo8ph4i
@user-zr5wo8ph4i 2 жыл бұрын
인조는 능양군으로
@user-oy7ov7rp6o
@user-oy7ov7rp6o 2 жыл бұрын
묘호라는게 중국문화가 오리지널이니까 원류를 알고싶으면 한나라 묘호보면되자나 딱 두명있네 한나라 창업한 태조 고제 유방 그리고 신나라 진압하고 후한 건립한 세조 광무제 유수 오리지널은 조 = 창업군주에게만 주는 묘호인데 조선에서는 그냥 당대에 치적이 뛰어나다고 평가받으면 붙여주는걸로 변형된거지
@gengenini
@gengenini 2 жыл бұрын
모를수도있자나 모르고물어볼수도있는거지
@blackangel1000
@blackangel1000 2 жыл бұрын
선군 인군 고군 순군 수양군 군 자 붙여야할 놈들 많네 ㅋㅋㅋㅋㅋ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2 жыл бұрын
선조의 경우 군 격하만으로는 부족함. 선군? ㄴㄴ 오~ 몽진군 좋다. 짝짝짝. 인조는 역량도 없는데 쓸데없이 개기다가 국치를 자초했으니, 만용군?
@user-rh1dp9iy9y
@user-rh1dp9iy9y 2 жыл бұрын
@@user-wz6un4bn7p 선조는 임진왜란만 없었으면 평균~평균이상까지는 했을 왕입니다. 인재 발굴하는 재주랑 신하를 다루는 솜씨는 정말 뛰어났어요. 당장 이순신에 대한 파격적인 인사에 신하들이 뒤집어지며 반대했지만 그 인사를 밀어붙인건 선조의 뜻이었습니다. 전란중에 도망친걸로 비난하지만 이것까지는 참작해줄 수 있습니다. 왕조국가에서 왕이 잡히면 끝인걸요. 단순히 몽진한 것 만으로 까려면 홍건적의 난 당시 안동으로 피신한 공민왕도 까여야 합니다. 이 양반이 진짜 비난받아야 하는건 도망을 친건 그렇다고 쳐도 여차하면 명나라까지 도망치려고 했다는 점과 전란이라는 상황이 주는 공포와 불안감에 이기적인 본인 성격까지 겹치면서 빚어낸 전란중의 온갖 삽질들을 까야 합니다. 당장 전국이 초토화 된 전쟁이었는데 조선이 망하지 않은 것 자체가 전후의 수습 자체는 성공했다는 증거죠. 능력 자체는 뛰어난 인간 맞았어요. 근데 인조는 빼박입니다. 이 양반은 도망치는 것 마저도 제대로 못해서 개박살난 양반에 기본 정치능력도 떨어지는 암군이었거든요.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2 жыл бұрын
@@user-rh1dp9iy9y 공으로 과를 덮을 순 없습니다. 초ㆍ중기의 행적은 성군감이나, 말년에 혼군 된 자들이 동서고금 널려있죠. 몽진군이 잘한 것도 많으나, 몽진 이후 행보는 혼군, 암군 다 갖다 붙여도 모자랍니다. 누가 도망만 갔다고 깔까요? 그 인재 보는 눈으로 발탁한 이순신을 나중에 가서는 핍박하고 푸대접한 게 누구죠? 그리고 의주에서 아예 정치고 나라고 뭐고 혼자 명으로 망명 시도까지 한 것도 "왕 잡히면 끝"이라는 논리로 실드가 됩니까? 마지막으로 이 모든 걸 다 떠나서, "임란만 없었으면"이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단명하지만 않았으면 어마어마했을 거란 소리 듣는 왕도 많은 등 "~~으면"이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마지막이라고 했지만 덧붙이자면, 고려 현종의 사례를 들이대면, "임란만 없었으면"이 아니라, 임란이 몽진군에게 있어서는 능력을 발휘할 시험대이기도 했다는 점 간과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user-rh1dp9iy9y
@user-rh1dp9iy9y 2 жыл бұрын
@@user-wz6un4bn7p 그때 이순신을 핍박한건 사실 조선신하들 거의 모두가 마찬가지였습니다. 심지어 류성룡마저 이순신의 파직에 동조하는 말을 했을 정도니까요. 국가 지도자가 변방 장군의 사정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지금과는 다른 시대입니다. 이순신이 찍혔던건 "명령불복종" 때문입니다. 압니다 이순신 입장에선 당연히 억울하죠. 근데 정말 엿같은 사실이지만 그건 이순신의 사정이고 선조나 중앙 신료들 입장에선 이순신에 대한 의심이 이미 커지고 있던거죠. 적어도 선조는 새로 재발굴되는 점이 은근히 많은 왕입니다. 적어도 광해군처럼 궁궐 다시 짓는다고 소란떨지도 않았고 류성룡등의 의견을 받아들여서 대공수미법을 시행해 공납의 폐단을 잡으려고 하는등 전후 처리를 위해서 노력은 했던 양반이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당장 전국을 휩쓴 전쟁에서 그만큼 피해를 봤는데도 조선이 망하지 않았다는게 이를 보여주죠. 그런 의미에서 이 양반은 인조보다는 낫다는겁니다. 그 도망마저 제대로 못치면서 안목도 없었으니까요.(선조는 나름 누르하치를 경계하고 있었고 이를 명에 알리기도 했었습니다.) 물론 전 이 왕이 좋은 왕이란 소리를 하는건 아닙니다. 다만 이 양반이 까여야할건 왕으로써의 능력이 아니라 계산적이고 이기적인 쫌팽이같은 인간성이라는 의미죠.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2 жыл бұрын
@@user-rh1dp9iy9y네, 저도 그거로 까고 있는 겁니다.
@user-vu1sf2gl3r
@user-vu1sf2gl3r 2 жыл бұрын
나 중학생 땐 할아버지 조를 써서 오래 산 왕에게 조를 붙인거라고 우기는 놈이 있었음
@user-gl8lq4ov5j
@user-gl8lq4ov5j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손동작을 조금 줄이면 좋을듯 가끔 아이들 손흔드는듯한 모습도 보이네요 ㅋ
@emiyamulzomdaojom
@emiyamulzomdaojom 2 жыл бұрын
내가 조선의 왕일세 하면서 명함팠다는거네
@sooki1
@sooki1 2 жыл бұрын
정조가 원래 정종이엇으면 태조 다음 정종이랑 동명임?
@sooki1
@sooki1 2 жыл бұрын
@폭행몬스터 그래두 동발음이엇넹.. 같은 표기 안하는줄 알앗어요 왕들은
@unknownidea9281
@unknownidea9281 2 жыл бұрын
조공종덕의 례를 따라......
@vieneoaltan
@vieneoaltan Жыл бұрын
딘자이크 하자
@user-cs2bo3cf4o
@user-cs2bo3cf4o 2 жыл бұрын
딘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78 МЛН
I’m just a kid 🥹🥰 LeoNata family #shorts
00:12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Luck Decides My Future Again 🍀🍀🍀 #katebrush #shorts
00:19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쿤달리니란 무엇인가?
8:44
명상하는 작가, 김유래 Origin kim
Рет қаралды 23 М.
KBS 역사스페셜 - 불국사, 그 이름에 담긴 비밀 / KBS 20070610 방송
57:38
ОНА НЕ ДОЛЖНА БЫЛА ЭТОГО ДЕЛАТЬ
0:27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