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으로 보는 조와 종의 차이점 [사료읽기] 36화

  Рет қаралды 3,344,242

사학도TV

사학도TV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 100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종이 아닌 조가 붙은 이유 0:52 태조 2:00 세조 7:35 선조 9:47 인조 12:00 영조 13:10 정조 14:15 순조 *03:03 예기의 법제 편이 아니라, 제법(祭法)편입니다. *12:08 연도 표기에 오류가 있습니다. 고종26년은 1899년이 아니라 1889년입니다 *13:32 고종의 한자 표기가 잘못되었습니다. 高祖를 高宗으로 바로잡습니다 `
@정정박-y2r
@정정박-y2r 2 жыл бұрын
.
@이호봉-m8z
@이호봉-m8z 2 жыл бұрын
역사공부잘했습니다
@고삼천-c3m
@고삼천-c3m 2 жыл бұрын
1
@tony2kim2
@tony2kim2 2 жыл бұрын
0
@권순완-g4x
@권순완-g4x 2 жыл бұрын
ㄴㅂ
@walkholic3
@walkholic3 Жыл бұрын
항상 헷갈렸고 제대로 알려주는 분이 없었는데 감사합니다
@jejuman5420
@jejuman5420 2 жыл бұрын
명확한 해설 감사합니다. 개국왕만 조를 붙인 고려시대가 더 잘한 것 같습니다. (논란 없음)
@해경-k9n
@해경-k9n 2 жыл бұрын
사학도님반갑습니다.1년전역사이야기만들을수있었는데오늘역사이야기는곳바로들을수있어서너무좋아요.항상마음이1년전건데보아도되나하는부담도있었지만옷끝동으로인하여역사가궁금했기에계속시청하게되었답니다.오늘도잘듣고영상도잘보았습니다.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용이0624
@김용이0624 2 жыл бұрын
우리 가족들이 어느 명절날 조와 종에 대해 열띤 토론을 했는데 끝은 흐지부지 ㅎㅎㅎ 가방끈이 긴 사람들도 잘 몰랐음ᆢ 귀에 쏙쏙 설명 넘 감사 드립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박진영-d1s1h
@박진영-d1s1h 2 жыл бұрын
햐...유익하다, 유익해. 유튜브로 예능만 봤는데 눈이 번쩍 뜨인 느낌이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승승장구 하세요.
@세종대왕신문
@세종대왕신문 2 жыл бұрын
충실한 자료 제시와 차분하고 물흐르는 듯한 유연한 설명, 감사한 마음으로 시청했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부족한 부분도 많은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hewoleen1776
@hewoleen1776 2 жыл бұрын
28살 역사에관심이 많았지만..여건상 공대를 진학하여 엔지니어로 일하고있는 사람입니다. 사학도tv를 뒤늦게 알게되어 하나하나 책 읽듯이 정독 하고있는데 어릴적 역사책을 다시 읽는 기분입니다..ㅎㅎ 항상 좋은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영상을 좋게 봐주셔서 저도 감사합니다. 제가 인문학을 공부해서 그런지, 이공계 공부하시는 분들을 평소에 존경하고 있습니다. ㅎㅎ
@서경진-r4b
@서경진-r4b 2 жыл бұрын
주말이라 영상 많이 시청해서 행복합니다!!! 이땅에 살다가신 선조들을 생각하면 애잔하기도 하고, 명석해서 나라 백성을 위하신분들 생각하니 존경스럽고 그반대이신분들은 화가나고 그렇습니다!~ 흥미진진한 역사공부하는 시간~ 늘 유익하고 감사합니다 ^^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저도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ykcho9775
@ykcho9775 2 жыл бұрын
사학도님 몰랐던것 배우고갑니다 그냥궁금해도 지나가는것 세세히가르쳐 주셔서 감사드리고 우리의 역사스승님이시네요^^ 항상반듯한 모습 자세 늘 변함없이 함께하길빕니다 건강하시고 축복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시고 따뜻한 말씀까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선생님께서도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moeraki4511
@moeraki4511 2 жыл бұрын
조와종의 차이를 상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온가족이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laurakang4921
@laurakang4921 2 жыл бұрын
설명 잘 듣고 갑니다. 여지것 참 궁금했어요. 솔직 담백한 멘트도 좋아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석원-g3n
@김석원-g3n 2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내용을 친절히 설명해 주시네요. 잘 보았습니다. 구독하고 자주 강의 들으러 오겠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부족한 부분이 많은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미영-t6k5h
@김미영-t6k5h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항상 궁금해서 찾아보기도하고 아들한테 물어보기도 했던 부분인데 이번에 사학도님께서 잘 정리해 주시네요. 그런데 그 옛날에는 안되는것도 많고 이래저래 탈도 많고 말도 많고 복잡하게 살았네요. 사학도님 어찌 이리 복잡한 역사공부를 공부하셨는지 대단하십니다. 항상 유익한 강의내용 감사드립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저도 복잡한 건 싫어하는데 지금까지 하고 있는 걸 보면 적성에 맞는 것같습니다. ㅎㅎ 시청해주시고 따뜻한 말씀 항상 주셔서 감사합니다
@화이불치-s5s
@화이불치-s5s 2 жыл бұрын
@@TV-eu6vy 1
@inyeobseo9369
@inyeobseo9369 Жыл бұрын
@@하마하마-h2r 인조는 열조였습니다. 부인들도 인열왕후, 장렬왕후의 시호를 받았어요. 2대왕 정종은 공정대왕이라 칭하다가 1681년 정종 묘호를 받습니다.
@역덕후-z1y
@역덕후-z1y Жыл бұрын
젊은 사학도께서 역사 내공이 깊으시네요. 조와 종의 차이점과 묘호 결정에 있어서 후대 왕들의 논거를 명료하게 잘 설명해주셔서 한 수 배우고 갑니다^^
@샤프란-m4x
@샤프란-m4x 2 жыл бұрын
사학도님의 정감있는 목소리로 자세한 설명을 들으니 새로운 역사지식이 또 쌓이네요 오늘도 잘 들었습니다 담 시간도 잘 부탁드려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시고 따뜻한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GoodKoo
@GoodKoo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사람이 사람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언제나 변함없는 마음입니다🎁 행복하고 좋은 일만 가득 하시길 바랍니다🍀 홧팅👍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soyoungyoon5891
@soyoungyoon5891 2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잊었던 역사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켜 주는 콘텐츠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태기-i3l
@이태기-i3l 2 жыл бұрын
88ㅇ
@jadec5593
@jadec5593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세종대왕님이 제일 위대하시네요.
@kfkoreafarmertv9635
@kfkoreafarmertv9635 2 жыл бұрын
먼저 구독 좋아요 부터 누르고 감상할께요. 반갑습니다. 사학도님의 역사 영상을 감상하며 금요일 밤을 맞이 합니다. 좋은 밤 되시길...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aguchi2
@saguchi2 2 жыл бұрын
70년대 80년대 힘들었던 시절에 소주한잔하면서 들었던 음악들입니다 지금은 나이가 60대 중반입니다 ㅎㅎ 7080추억님께 감사드립니다 =천안사람=올림
@이경철-m1q4h
@이경철-m1q4h 2 жыл бұрын
60살 넘도록 항상 궁금했는데 이제야 알고나니 속이시원하네요!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hpark1747
@jhpark1747 2 жыл бұрын
국사 교과서에도 없고, 국사 선생님 설명도 없는 좋은 내용 잘 보았습니다. 👍🏻😊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김지연-p2l3o
@김지연-p2l3o 2 жыл бұрын
사극을볼때마다 조와종이 무슨이유일까 궁굼했는데 정말유익한 역사공부를했네요 그러니까 임금이 돌아가신다음대에 조와종을 가리는군요 사람은 그래서 죽을때까지 배워가며 살아야하네요 궁금증을 풀어줘서 정말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좀쌔한개
@좀쌔한개 2 жыл бұрын
선조에 조를 붙인건 참 너무 했다 싶네요. 백성을 버리고 명나라 망명까지 하려 했고, 혁혁한 공을 세운 신하를 칭찬해주기는 커녕 시기질투나 했던 선조에게 조를 붙이다니.... 말처럼 선조를 선군으로 해도 무방할 듯 싶네요. 그리고 고종도 종으로 칭하는 것 조차 아까운 왕이죠. 나라 국고를 탄탄히 해도 모랄 판국에 부인이 국고를 탕진하는데 아무런 행동도 않취하고 그냥 무능한 왕인데...
@러키-j6j
@러키-j6j 2 жыл бұрын
예전 봉건제도는 지금 생각해 보면 디게 웃겨 능력이 없든 있든 혈족들 지들끼리 돌아가며 왕을 해 먹는다는게
@kevinjung2624
@kevinjung2624 2 жыл бұрын
결론은 조든 종이든 다 코에 붙이면 코걸이 귀에 걸치면 귀걸이..당시 왕권의 힘이나 신하들의 힘에 따라서 죽은 왕이 조가되냐 종이되냐가 달려있었다!
@산골아주머니
@산골아주머니 2 жыл бұрын
저는 지방국립대역사학과를 나왔논데 너무 창피하네요ㆍ 잘배우고 갑니다 내 나이 61살에 궁금했던 과제를 명확히 정리했읍니다 감사합니댜
@lee90782000
@lee90782000 2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한 지식을 얻었습니다.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영숙-v8e
@조영숙-v8e 2 жыл бұрын
궁금 했는데 오늘에야 풀리네요 감사합니다
@skeptic3254
@skeptic3254 2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때 역사 선생님이 시험에도 안나오는 조종공덕 알려주실 때 재미있게 들었던 기억이 나는데 실록에나 나오는 디테일까지 알려주시니 이야기가 훨씬 풍부해지는군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_b_ba
@_b_ba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적에 궁금했던 내용이었다가 알려주는 곳도 없고, 물을 곳도 없어 지나쳤던 내용이었는데 여기서 이유를 알게되어 감사함을 느낍니다. 고맙습니다. ^^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차애자-t2i
@차애자-t2i 2 жыл бұрын
@차애자-t2i
@차애자-t2i 2 жыл бұрын
@dinganga5189
@dinganga5189 Жыл бұрын
역사에 나름 관심이 많고 좋아하는 일인으로 정말 물흐르듯 설명해주시는데 감탄이 절로 나오네요.. 앞으로도 계속 활동해주세요..
@TV-eu6vy
@TV-eu6vy Жыл бұрын
과분하고 따뜻한 말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우리 역사를 알리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정자장-d9k
@정자장-d9k 2 жыл бұрын
사학도님 반갑읍니다 평상시에 잘보고있읍니다 건강하세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도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바람소리-g8e
@바람소리-g8e 2 жыл бұрын
가장 궁금한 사항 이었는데... 깔끔하게 해결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서풍-n5v
@서풍-n5v 2 жыл бұрын
조와종의 차이가 궁금했던 게 40년 가까이 됐는데 이제야 궁금증이 풀렸네요.감사합니다 ~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BonnevilleBobber
@BonnevilleBobber Жыл бұрын
40년동안 문제해결을 하지 못하고 궁금하기만 하면 너무 무능력한거 아니세요?
@서풍-n5v
@서풍-n5v Жыл бұрын
@@BonnevilleBobber 너 잘났어요~~
@keepachivinwonderz
@keepachivinwonderz 9 ай бұрын
​@@BonnevilleBobberㅋㅋㅋㅋㅋ
@kingjava337
@kingjava337 3 ай бұрын
정신병 있으신가 별걸 다 시비를 거네
@이재원-c4o4q
@이재원-c4o4q 2 жыл бұрын
와 그냥 왕들을 조나 종으로 불렀구나 생각했지 무슨 기준으로 나눈건가 의심한적은 없었는데 덕분에 귀중한 정보를 재밌게 배워가네요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dahandayoutube237
@dahandayoutube237 2 жыл бұрын
궁금했던점이었는데, 참으로 명쾌하게 사료를 토대로 확실히 설명해주셨네요. 네번이나 다시듣기 했답니다. 감사합니다. 종종 배우러 노크하겠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시고 따뜻한 말씀까지 남게주셔서 감사합니다^^
@빅토리아-i8q
@빅토리아-i8q 2 жыл бұрын
사학도님께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저도 감사합니다 ^^
@gigiwischmeyer9546
@gigiwischmeyer9546 2 жыл бұрын
와~! 놀랍습니다! 학교 선생님들도 이렇게 설명 안해주었고 우리학생들도 그려러니 하고 질문도 없었는데요. 역사의 한부분 공부잘했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gigiwischmeyer9546
@gigiwischmeyer9546 2 жыл бұрын
@@TV-eu6vy 님; 몰랐던 역사 모르고 지냈던것들 알게되었다는것에 기쁨을 아십니까. 사학도님께 감탄을 하고 있습니다.저의 부모님께서 늘 하신말씀 “배워서 남주냐 제발 공부좀해라.”이말씀이 생각 나네요. 그런데 사학도 선생님께서는 배워서 우리에게 나누어 주시잖아요. 저는 고마운 마음을 나누어 드리겠습니다. 계속 잘 배우겠습니다.
@이서니-g2v
@이서니-g2v 2 жыл бұрын
이런 사실이 있는지 몰랐네요 유익한 또하나의 사료 정보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오랫동안 꾸준히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경희-o9x1t
@한경희-o9x1t 2 жыл бұрын
선조와인조는무능한임금같은데.뭔조.?
@박행복-t3z
@박행복-t3z Ай бұрын
자세한 얘기 감사합니다 👍
@subkorea
@subkorea 2 жыл бұрын
공부잘하고 갑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가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Earth-Ground
@Earth-Ground 2 жыл бұрын
인조,선조,순조는 종도 아깝다.... 인군,선군,순군 으로 격하해야 할 듯.... 광해군은 광종으로 승격해야 함.....
@Stas-r3o
@Stas-r3o 2 жыл бұрын
그건 개쌉 소리임
@제세이화홍익인간
@제세이화홍익인간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용니-b5o
@용니-b5o 2 жыл бұрын
@@Stas-r3o 개쌉소리
@김모리-g6j
@김모리-g6j 2 жыл бұрын
인정^^
@sws9195
@sws9195 2 жыл бұрын
매국의왕 고종 을 빼면 섭하지요
@장자-y4r
@장자-y4r 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김미경-x4b7i
@김미경-x4b7i 26 күн бұрын
좋은 가르침감사합니다
@스위밍S
@스위밍S 2 жыл бұрын
영조 정조는 정말 공이 있어 붙은줄 알았는데 ,,,그냥 후대에 갈수록 인플레가 심하다 보니 붙은 것 이었군요. 좋은 지식 잘 보았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체셔-c2b
@체셔-c2b Жыл бұрын
늘 이해안가고 궁금했던 조 와 종.. 이렇게 자세히 알려준분은 처음이네요. 넘감사합니다.
@yongjakim6226
@yongjakim6226 2 жыл бұрын
아 그렇군요 ~ 늘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했었는데... 이제사 이해를 했네요.^^ 개인적으로 선조와 인조는 동의하기 어렵군요.역사상 그시절의 백성들이 제일 불행 했을것같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ppetite4214
@appetite4214 2 жыл бұрын
순조도 마찬가지이죠. 아버지 정조의 정치를 계승하지도 않았고, 건강이 나빠다 해도 세도정치를 시작하게 한 실정이 있는데도 조가 붙었으니
@pulgacsi
@pulgacsi 2 жыл бұрын
그니까 결국은 자기들의 필요논리에 따라 붙인거네요 예전에는 임금이 듣기싫은 말이라도 바른말을 하는 곧은 신하가 잇엇는데 요즘은 그런사람이 있는지..
@fubaeungye2533
@fubaeungye2533 2 жыл бұрын
세조이인간때문에 그리고조선이계속내리막길로가게된이유도세조때문임
@lincecum2580
@lincecum2580 2 жыл бұрын
세조 아들인 예종이 선례를 잘못 만든거 같아요
@소방은퇴캠핑TV
@소방은퇴캠핑TV 2 жыл бұрын
구독 클릭했습니다. 좋아요 도 클릭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세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pjj4816
@pjj4816 2 жыл бұрын
한국사를 배운아들한테서 들은기억이 있는데 다시한번정확하게 잘들었습니다 강의감사 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감사합니다
@정빼나
@정빼나 Жыл бұрын
설명 너무 쉽게 근거를 들어 잘해주시네요 재미나고 유익하게 들었습니다~~~ 구독하고 가요!
@TV-eu6vy
@TV-eu6vy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lovely_yep
@lovely_yep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허나 나라가 허구한 날 침략받는데 군사력 강화에 전념해도 모자랄 판국에 저런 기준도 모호한 논의가 뭣이 중한지 참.. 덕분에 후세들은 저걸 외운다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나 하게됐네
@소래산호랑이-p7r
@소래산호랑이-p7r 2 жыл бұрын
에휴 지금도 똑같네요. 과학, 기술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에 정치싸움만~
@랙홀-k5k
@랙홀-k5k 26 күн бұрын
예전부터 궁금했던 건데 이렇게 자세하게 잘 알려주셔서 감사드려요^^
@kephas7772
@kephas7772 2 жыл бұрын
선조와 인조는 祖자가 붙기엔 정말 이해가 안 되는 인물들임...
@seeds9990
@seeds9990 2 жыл бұрын
순조는 이해가 되셔요?
@저글링-n4l
@저글링-n4l 2 жыл бұрын
원래 논리라는게 그래요.. 틀린전제로 풀어나가니 논리적으로 보여도 이해 안가는경우가 생기는겁니다.
@user-v385bad38glj
@user-v385bad38glj 2 жыл бұрын
@@seeds9990 선조 인조 이 두 개 아들들에 비하면
@guyoungtan
@guyoungtan 2 жыл бұрын
종은 더 이해가 안가고 왕이라는 건 더 이해가 안가고 그나마 조지 인조는 쿠데타 국가 재조 선조는 그나마 국난국복 백성버리고 도망 갔다지만 안잡히고 명나라 원조 받게 했으니 그나마 전쟁 이긴거지
@KingHenryKorea
@KingHenryKorea 2 жыл бұрын
선조, 인조....가장 답답한 왕들이죠...
@장석규-i3d
@장석규-i3d 2 жыл бұрын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목소리가 너무 좋습니다. 광해군 때 중립 외교를 만들어 전쟁을 막아낸 장만장군 역사도 설명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광해군에 대해서도 꼭 다루겠습니다
@이한종-z5k
@이한종-z5k 2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역사에 흥미를느낍니다. 알수록 챔나네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드립니다
@동물모음영상
@동물모음영상 Жыл бұрын
궁금했던 역사였는데 자세히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TV-eu6vy
@TV-eu6vy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이선영-u4k
@이선영-u4k 2 жыл бұрын
궁금하기만 했던 의문에 대한 해소를 잘 들었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haah_go
@haah_go Ай бұрын
이런 의미가 있었군요 좋은 정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월누나-w3q
@오월누나-w3q 2 жыл бұрын
제가 막연하게 짐작하고 있었던 이유와 완전 다른 이유였네요! 너무 재밌게 잘봤습니다.
@김정희-c3u6i
@김정희-c3u6i 2 жыл бұрын
헛~. 막연하게 어떻게 짐작하셨는지요.
@jiwonjimin5375
@jiwonjimin5375 2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보게되었는데 넘 유익합니다 구독하고갑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방랑한량
@방랑한량 2 жыл бұрын
50년동안 궁금해햇던것을 잘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전 초3때부터 궁금햇엇거든요. 선생님마다 설명이 달라서 늘 의아햇엇는데~~귀에 쏘오옥 들어오는 설명이네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기쁩니다. ^^
@머드럭
@머드럭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풀렸네요 😂🎉
@76stewartrd99
@76stewartrd99 2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궁금했었는데 이제야 ....재미있어요~
@퍼플레인-q3s
@퍼플레인-q3s Жыл бұрын
아주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BoramSon
@BoramSon 2 жыл бұрын
생각지 않던 것을 알게 되었을때의 즐거움을 주시네요.. 조종의 차이를 생각해본적도 없었는데 알고보니 이런 스토리가 있네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석규장-i6l
@석규장-i6l 2 жыл бұрын
사학도님 강의 정말로 유익하게 잘들었습니다. 장만장군 역사 도 한번 강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중립외교 를 성공시킨 중요한 인물인데 너무도 알려지지 못했습니다.
@세네카-n7q
@세네카-n7q 2 жыл бұрын
오늘 강의 매우 유익하였습니다. 궁금증이 해소됫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대식민
@대식민 2 жыл бұрын
알만한분 한테 질문해도명쾌한답을 못들었는데 속시원한 시간입니다
@꽃길따라역사여행
@꽃길따라역사여행 5 күн бұрын
논란의 여지를 없애는 논리적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ChrisTennis
@ChrisTennis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전 그동안 종이 조보다 다 좋은걸로 알았었네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박순애-u7g
@박순애-u7g 2 жыл бұрын
저도요.그렇게 알고있었는데 이제야 알았내요 감사합니다
@and-end-8293
@and-end-829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나 지금이나 쓸때없는것에 집착하는건 똑같네. 설명은 잘 보았습니다 😮
@龍宮孝秀-i8k
@龍宮孝秀-i8k 2 жыл бұрын
사학도님은 어찌이리도 반듯해보일까 우리아들 과 비슷한나이같은데… 항상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틸라-x8p
@아틸라-x8p Жыл бұрын
와 귀에 쏙들어오면서 이해가 확되네요 대박 설명입니다
@TV-eu6vy
@TV-eu6vy Жыл бұрын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빵후니-m3h
@빵후니-m3h 2 жыл бұрын
저는 여태 조는 큰아들 종은 큰아들이 아닌 사람으로 알고있었는데 전혀 아니었군요... 강의 감사합니다!
@이준원-g3q
@이준원-g3q 2 жыл бұрын
구독합니다 배울것이 많아요.
@세실리아-b4s
@세실리아-b4s 2 жыл бұрын
.몰라던 역사를 잘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빠랑낚시갈래
@아빠랑낚시갈래 2 жыл бұрын
82년생입니다. 어릴때 유도선수를 하다보니 하필이면 국사시간에 운동을 나갔습니다.중학교3년 고등학교3년 내내 국사 공부 1시간을 못들어봤습니다.희안하게도 국사시간이 저희반만 5교시6교시였습니다.선수들은 4교시 공부 후 운동하러 갔거든요...그러다보니 사극을보면 무슨말인지 뭔지 하나도 재미없고 지긋지긋했었습니다..저런 드라마를.왜 보나 싶었거든요..그러다 아이도 초등학교 들어가고 최소한 국사 근현대사는 알아야할것 같아 최근 다시 공부하고 았습니다.세상에...국사나 근현대사가 이렇게나 재미있고 신나는 공부인지 첨 알았네요..실화공포면 더 재미난것처럼 실화라 그런걸까요?ㅎㅎ 너무 재밌고 유익하게 잘 봤습니다.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Priya-c5e5l
@Priya-c5e5l 2 ай бұрын
궁금했던 내용을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HOPE-er6kh
@HOPE-er6kh 2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이 내 뇌까지 분석하나 오늘 갑자기 궁금했던 건데 유툽에 뜸 ㅋㅋㅋㅋㅋㅋㅋㅋ 검색도 안했는데 ㅋㅋㅋ 무튼 유익하게 잘 배워갑니다:)
@user-vm3md7yh2w가을아
@user-vm3md7yh2w가을아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역사공부 열심히 하겠습니다. 옛날 시험치면 국어, 사회는 백점이었었는데 70나이에 다시 새롭게....
@sml6559
@sml6559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궁금한부분이었는데 감사합니다❤
@kyj8105
@kyj8105 2 жыл бұрын
내용이 정말 유익하고 좋네요~~ 😊😀👍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부족한 부분도 많은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선희-g6u
@박선희-g6u 2 жыл бұрын
잘배워읍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ov7cn1cp9uu
@user-ov7cn1cp9uu 2 жыл бұрын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곰스크-c2c
@곰스크-c2c 2 жыл бұрын
조 종...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이번 영상으로 더 잘 알게됐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감사합니다
@까르르까르르-w5l
@까르르까르르-w5l 2 жыл бұрын
저도 종과 조의 호칭이 늘 궁금했었는데 이제서야 확실히 알게 되었어요 고맙습니다 사학도님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북두칠성-m2s
@북두칠성-m2s 2 жыл бұрын
조,종 벌로 들었는데 공부 잘하고 한번더 새겨봅니다
@알콩달콩-w6q
@알콩달콩-w6q Жыл бұрын
전주이씨 남편을 만나^^ 전주이씨 일가가 된 사람입니다 역대 조선왕들의 계보도 훓어보았고 ~정쟁으로 얼룩진 모습들이 안타깝기도 했고 ~ 오늘날까지 이어져오는 정쟁의 모습은 더 안타깝지만 한걸음씩 나아가기위항 진통이라 생각한답니다 ㅎ ㅠ ^^~ 또 조와종이 어떻게 정해지는지 궁금한적이 있었죠 오늘 시원하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어 기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차영창-u3f
@차영창-u3f 2 жыл бұрын
중종 순조 철종 고종 빼고 정통이면 종 ! 방계나 정통 아니면 조 로 기억하는게 좋을듯하네요
@지피지기-k1d
@지피지기-k1d 6 ай бұрын
중종은성종의유일한정실부인의아들인 진성대군으로 연산군을 왕으로인정하지않기때문에 성종의대를이어받았다고보고宗으로정한것임
@박카스-g6x
@박카스-g6x Жыл бұрын
간단 명료▪︎명쾌한 설명 세계 최고 강의 대단히 유익하였습니다. World Best ! I think you do your very well . Thank you so much .
@TV-eu6vy
@TV-eu6vy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초심 잃지 않고 우리 역사를 알리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나팔꽃-h2z
@나팔꽃-h2z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배우고갑니다~건강하시고 다음시간 기다리겠습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선생님께서도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백명기-s7i
@백명기-s7i Жыл бұрын
그동안 늘 궁금했던 것들을 속시원히 알게 되었습니다. 왜 세종은 조가 안붙고 영조 정조 심지어 순조까지 조가 되었는지....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고 기쁩니다. 감사합니다 ^^
@안소리-j1y
@안소리-j1y 2 жыл бұрын
다른 왕들은 그렇다 치고 심대부의 말처럼 선조와 인조는 받아들이기 힘드네요 나라를 아작 낸 임금에게 조라니 가당치 않다고 생각되네요
@막달려-b4o
@막달려-b4o 2 жыл бұрын
멸조 치조 이정도가 옳겠습니다
@이정진-l1c
@이정진-l1c 2 жыл бұрын
@@막달려-b4o 조선 멸망의 시작은 선조 부터 시작입니다. 그 마감을 1: 민비 2:고종 3: 대원군..이완용 이는 독박 쓴 겁니다.
@Maple684
@Maple684 2 жыл бұрын
걍 태조빼고 다 말이 안되져 심대부 원리로는
@이선비-c1q
@이선비-c1q 2 жыл бұрын
여태 알듯모를듯 살았는데, 오늘 확실하게 알고 이해를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조블랙-c4t
@조블랙-c4t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내용였어요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oreanoasis
@koreanoasis 2 жыл бұрын
배우고 익힙니다 ^^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piesunny
@piesunny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ssp-0101
@ssp-0101 2 жыл бұрын
궁금증이 해소 됐습니다. 감사^^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billiejean_is_not_my_lover
@billiejean_is_not_my_lover 2 жыл бұрын
작년 가을 친구들과 남한산성길을 돌면서 조와 종이 붙는 차이에 대해 이야기를 하며 트레킹을 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대강 조는 왕조를 세우거나 새로운 시대를 연 왕에게 붇인다 정도로 생각했는데 사실은 왕의 의지가 결정했다고 보는게 맞군요. 그러고 보니 명분을 중시했던 조선왕조가 실은 고려만도 못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조와 종으로 티격대격해온 역사라는 점에서 말이죠!
@대한포기협회
@대한포기협회 Жыл бұрын
진짜 이해잘되게 잘알려주시네요. 덕분에하나배워갑니다❤
@TV-eu6vy
@TV-eu6vy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시고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lifejs8442
@lifejs8442 2 жыл бұрын
오 이영상 대박났네요 앞으로도 흥하십쇼!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wewoori
@wewoori 2 жыл бұрын
궁금했는데 귀에 쏙쏙 잘 들어오게 설명해주셨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이정희-l3g4g
@이정희-l3g4g 2 жыл бұрын
궁금했는데 알게되어 감사합니다.
@TV-eu6vy
@TV-eu6vy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o Brawl AND BEYOND!
00:51
Brawl Stars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Сестра обхитрила!
00:17
Victoria Portfolio
Рет қаралды 958 М.
Что-что Мурсдей говорит? 💭 #симбочка #симба #мурсдей
00:19
토.사.구.팽! 태종이 공신을 다루는 천재적인 방법!
15:07
역주행-한국사,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386 М.
15분간 옛이야기 듣듯 정리하는 '고려 역사 500년'
16:57
쏨작가의지식사전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To Brawl AND BEYOND!
00:51
Brawl Stars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