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들의 지혜를 담은 그릇: 토기, 청자, 백자 /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3,803

YTN 사이언스

YTN 사이언스

6 жыл бұрын

생활과 가장 가까이 닿아 있는 생활용품, 그릇.
그릇은 시대를 막론하고 삶의 시작부터 끝까지 매일을 함께 한다.
삼국시대의 토지, 고려의 청자, 조선의 백자로 이어지는 우리 그릇의 역사를 알아본다.
인류 최초의 그릇인 토기는 흙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그릇을 만드는 방식은 시대를 거듭하며 조금씩 발전했고,
그릇을 굽는 온도 및 유약 사용의 유무에 따라 이를 토기·도기·자기로 구분하기에 이르렀다.
송나라의 영향으로 청자를 만들게 된 고려는 그 빛깔부터가 송과 달라 높은 칭송을 받게 된다.
특히 불교의 영향으로 청자의 찻잔과 조리도구는 민가보다는 왕실용 그릇으로 정착하여 사치품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고려 말, 왜구를 피해 내륙으로 이동한 도공들은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거친 흙으로 도자기를 구울 수밖에 없었다.
이 당시 만들어진 분청사기들은 주로 완벽과는 거리가 멀다.
이후 세종은 왕실그릇으로 백자를 선택했고 이에 고품격의 백자를 생산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조선 중기, 도자기 전쟁으로도 불리는 임진왜란의 발발로 사기장들이 일본으로 끌려갔다.
일본의 도자기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는 계기였다.
이처럼 우리 생활에 가깝게 밀접해 있는 그릇에도 우리가 몰랐던 신비한 과학이 숨겨져 있다.
거칠고 투박하지만 다양하게 쓰이는 옹기, 쇠그릇 중에서도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유기그릇에 숨겨진 놀라운 과학의 비밀을 파헤친다.
단순한 생활용품이 아닌 이제는 역사와 문화를 품고 있다고 얘기할 수 있는 우리의 그릇.
과거의 행적을 밟아가며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찾아보자.
-
과학 좋아하는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
YTN사이언스의 다양한 채널을 만나보세용! :)
홈페이지 ▶ science.ytn.co.kr/
페이스북 ▶ / ytnscience
네이버밴드 ▶ band.us/band/68281794
네이버포스트 ▶ post.naver.com/my.nhn?memberN...

Пікірлер: 14
@user-cw5vl5qi9o
@user-cw5vl5qi9o 3 жыл бұрын
이걸 어떻게 다봐요ㅜㅜㅜㅜ 요약 없나여ㅠㅠㅜ
@YCG0326
@YCG0326 2 жыл бұрын
나중에 수능이나 모의고사는 어케 보실려고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2 жыл бұрын
5:12 이게 청자? 푸르지 않은데... 바로 다음에 나오는 건 녹색을 띠는데 이전 것은 갈색과 어두운 베이지색을 띤다. 오랜 시간이 지나서 색이 바랬다고 해도 너무 색이 다른데.... 8:34 청자가 푸른빛을 띠는 자기라는 뜻 아님? 토기 도기 자기에 대한 설명은 나왔으니 알겠는데 정확히 청자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은 없네. 색도 칙칙하고 대칭도 안 맞는 어설프게 새김질한 그릇보다는 민무늬여도 새하얗고 깨끗해보이는 백자가 더 낫지! 나름 의미 부여하기에도 좋고 새하야니까 어떤 음식을 올려도 먹음직스럽고 그릇만 넉넉히 보급되면 일반에서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고 괜히 금속 낭비할 필요도 없고 여러 모로 좋았겠다. 비록 일반에 보급된 건 조선 후기지만... 16:01 토크멘터리 식사에 나오셨던 분이시네~! 잘 계시는지...
@jonctmaga1486
@jonctmaga1486 5 жыл бұрын
삼국시대 옹기의 역사는 쏙빼고 송나라에서 청자의 유입부터 설명하네..어이 없음. 청자가 송나라의 영향인지 아닌지 어떻게 아냐. 그저 중국측의 주장일뿐. 오래전부터 옹기를 굽고 거기에 장을 담아 먹은 그림이 고구려 벽화에도 남아있는데... 우리의 옹기기술이 발달하면서 사기기술도 발달하는데 ... 아마도 동아시아에서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청자의 유행이 확산되고 고려가 주도하지 않았을까.
@gatsbyjay1707
@gatsbyjay1707 5 жыл бұрын
도기와 자기를 구분 못해서 생기는 무식한 발언.
@jonctmaga1486
@jonctmaga1486 4 жыл бұрын
@@gatsbyjay1707 옹기와 사기라고 해야하지 옪을까요 우리는 도기라고 안하고 옹기라고 해왔고 지금 도기라는 말은 일본이 쓰느 용어고 일본의 도기는 우리 옹기를 훙내낸 거지만 옹기에 담고 저장할 음식이나 조리법이 없다보니 색깔만 훙내내서 겨우 전골같은 음식에 쓴다 이 영상이 옹기가 아니고 도기라고 하는것도 진짜 웃기네요 지 역사를 중국과 일본의 설명을 그대로 갖다 쓰는 건 이유가 말까요 역사에서 남는 건 언어 즉 용어라는 걸 한국인들이 알았으면 함 전공자들이 언어의 기원부터 따지지않고 그저 남이 말해놓은 걸 외워 얘기하는 건 연구가 아님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4 жыл бұрын
이런 멍청한 인간들이 무조건 적인 국뽕으로 본질 흐림... 청자는 중국에서 시작된거 맞고...고려청자는 그러한 청자기술을 한차원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거다.. ㅉㅉ
@drk9788
@drk9788 Жыл бұрын
@@gatsbyjay1707 니가 무식하지...친일,혐한 댓글알바야....
@drk9788
@drk9788 Жыл бұрын
@@user-jm8km6zl4d 니가 무식하지...친일,혐한 댓글알바야....
자연을 담은 도자, 분청사기 / YTN 사이언스
41:4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87 М.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8 МЛН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흙과 불의 혼 - 사기장 서광수
47:05
경기문화재단
Рет қаралды 50 М.
자연재해에 맞선 선조들의 지혜 / YTN 사이언스
45:49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3 М.
[특집다큐] 아라가야 - 2부 바다를 건너 부활을 꿈꾸다
44:15
흙과 불의 예술, 가마 / YTN 사이언스
46:20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46 М.
고려청자, 비색翡色의 유혹 (KBS_2009.10.04.방송)
57:14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23 М.
Gizli Apple Watch Özelliği😱
0:14
Safak Novruz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iPhone 12 socket cleaning #fixit
0:30
Tamar DB (mt)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Неразрушаемый смартфон
1:00
Status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