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스페셜] 천년의 빛 부안 고려청자| KBS 네트워크 기획 2010.12.01(수) | 재미 PLAY

  Рет қаралды 44,755

KBS Jeonju

KBS Jeonju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34
@bluezip7
@bluezip7 Жыл бұрын
내 어렸을적 살던 곳 부안 거기서도 줄포, 보안 그곳이 천년의 빛 고려청자 최전성기 작품을 만드는 산실이었다니 너무도 감개무량하게 생각하며 보고 갑니다.
@임유진-o3k
@임유진-o3k 2 жыл бұрын
내고향부안 이름만들이도 좋아라 부안에역사를보게해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안군 살아나라 화이팅!!!♡
@찬태랑
@찬태랑 Жыл бұрын
나도 부안인데
@Stella_ray
@Stella_ray 7 ай бұрын
​@@찬태랑 ㆍㆍ 우리 조상님ㆍ 시조도 부안 ㆍ ( 홍 연 ) 임 ㆍㆍ ㆍ ㅎ ㅎ ㆍㆍㆍ 감사합니다 ㅎㅎ 다시 돌아가 ㆍ 부활 재생 ㆍ ( 세계로 ㆍㆍ ㆍ ) 영원할게요 경기도는 넘 무 들이 판치고 있어 ㆍㆍ 도망 ? ㆍㆍㆍ 다시 글 루 ~ 태안 ㆍ부안 줄포 유천 ㆍ언제나 보안 ~ 세계로 ~~~ 영원하라 ㆍㆍㆍ 🎉 ~ 나도 가아겠습니다 ㅎ
@사라공방
@사라공방 Ай бұрын
고려청자의 그 비색이 신비로울만큼 아름답다 중국 역사서에도 고려의 고려청자는 세계 제일이라고 씌어있다
@찬태랑
@찬태랑 Жыл бұрын
부안이 참으로 좋은땅이요, 인재가 많은곳,수산물과 농산물이 훌륭한곳
@msk806
@msk806 7 ай бұрын
Beautiful ❤ "we are all just shards in the sand"
@rns7996
@rns7996 Жыл бұрын
엄청난 하이테크 제품, 고려청자
@piesunny
@piesunny Жыл бұрын
고려청자 대한민국 전라남도 부안군 유천리 상감 청자 (13세기 초 ~ 14세기 말) 대한민국 전라남도 강진군 비색 청자 (11세기 ~ 12세기 말) 다큐멘터리 좋은 영상 잘봤어요
@이경애-c7z
@이경애-c7z 4 ай бұрын
이런 프로그램 이젠 볼수없어 이런 유튜브 로 보네요 넘 아쉽고 또 아쉽네요
@오우림-g2l
@오우림-g2l Жыл бұрын
15 :00검은색 자토 흰색 백토
@안녕-c7m1e
@안녕-c7m1e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곰소 염전에 사금파리가 깔린건가? 옆에 그런자기 조각이 많아서
@붉은태양-b1t
@붉은태양-b1t Жыл бұрын
중국 기록책의 기준으로 본다면 12세기, 13세기 고려 청자는 14세기 고려 청자의 절정기에 비하여 제작 기술 수준이 낮아서 저 평가 되었던 부분인것 같고, 14세기 고려 말 청자 제작 기술의 절정기 때 제작된 청자들은 높게 평가를 받았다고 봐야할듯 합니다.
@붉은태양-b1t
@붉은태양-b1t Жыл бұрын
즉, 조선 왕조가 1392년 시작이 되었으니까 14세기 중, 후반까지 제작되었던 청자들은 수준이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청자 제작 기술의 절정기라고 보면 맞을 것 같습니다.
@polyonomata
@polyonomata 3 ай бұрын
14세기면 원간섭기입니다. 고려청자의 전성기는 12-13세기가 맞습니다. 현존하는 국보급 유물들도 이 시대 것들이고, 원간섭기 이후로는 분청사기가 등장하기 시작하고 조선왕조가 들어선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까지 분청사기가 전성기를 맞지요. 원간섭기때는 중국에서도 청자가 몰락하고 서서히 백자가 부각되기 시작합니다. 일단 몽골인들부터가 흰색을 숭상했고, 쿠빌라이칸때 궁 내의 그릇들을 백자로 하라는 명령을 내렸지요. 현재는 극히 드물게 남아있지만 고려백자 유물들도 원간섭기 이후에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양병만-z7k
@양병만-z7k 10 ай бұрын
😂❤
@이경애-c7z
@이경애-c7z 4 ай бұрын
이때는 중국과 나쁘지 않을때네요 모택동시대니까 아직 멀었네요 등소평도 있으니까 시진핑은 아직 멀었네요
@dsmhan5289
@dsmhan5289 11 ай бұрын
과거 천민이 만들었는데 요즘말로 명품??? 일본에 잡혀간 도공들 상류층 대접 받았는데 이삼평은 사후에도 사당을 지어 도자기 신으로 추앙 받는데 한국은 기술자 노동자 아직 하급으로 대우가 저렴?한듯 국민 정서 의식 같음~~~
@군침이싸악도노-q2b
@군침이싸악도노-q2b 11 ай бұрын
원래 징더가 원나라가 처들어 오기전에 고려영토였으니깐
@오우림-g2l
@오우림-g2l Жыл бұрын
20
@imperator8108
@imperator8108 2 жыл бұрын
ㅋㅋ
@무삼-l2u
@무삼-l2u Жыл бұрын
경덕진은 대형 도자기가 없었다.
@air5210
@air5210 Жыл бұрын
매병 받침과 뚜껑은 어디다.. 팔아먹고...몸통만 보여주나...
@air5210
@air5210 Жыл бұрын
일본 사람들 중엔 예술작품의 가치에 대한 심미안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괜히 오타쿠의 나라가 아니다. 우리나란 극소수의 장인들이 미쳐서 에술을하지만... 예술 문화라는걸 크게 인정하거나 대우하는 문화가없다. 나라가작고..자원이 부족하고..인구가 적어서 그런건지... 한국에서 예술가는 밥먹고살기 힘들다. 중국의 인구빨로 밀어부치니... 기상천외한것들도만든다. 예술성을 떠나 기능적으로 아주 재밌지...
@blacktiger4693
@blacktiger4693 Жыл бұрын
임진왜란 전후로 왜로 끌려간 도공의 수가 10만~40만 이라고 한다.
@air5210
@air5210 Жыл бұрын
@@blacktiger4693 10만,40만은 개소리고... 끽해야 몇만이다. 다 도자업에 종사하며 잘 살았지...장인대우받으며.... 조선에 남아 있던 관요도공들은... 춘곤기에 배고파 떼죽음이나 당하고...천대받고..
@dsmhan5289
@dsmhan5289 11 ай бұрын
지금도 기술자들 해외로 다빠져 나가고 한국은 처우 대우가 매우 저렴함~~~국민 정서 의식임~~~
@air5210
@air5210 Жыл бұрын
중국으로 간 청자가 최상품들이고...국내용은 찌끄레기들....
@blacktiger4693
@blacktiger4693 Жыл бұрын
그대신 아주 비싸게 팔아 먹었겠지.
@air5210
@air5210 Жыл бұрын
@@blacktiger4693 중국에 조선자기 비싸게 돈주고 샀다는 기록이라도 있다면 모를까.대부분 .상납용으로 갔을거다.
@사라공방
@사라공방 Ай бұрын
중국 역사기록에 도자기는 고려청자가 세계 최고라 기록되어있다
@박노마-q4u
@박노마-q4u Ай бұрын
간송선생님의 안목으로 지킨 국보가
KBS 역사스페셜 - 800년의 타임캡슐, 태안 마도선
57:31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黑天使被操控了#short #angel #clown
00:40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Don’t stop the chances.”
00:4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小丑女COCO的审判。#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53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黑天使只对C罗有感觉#short #angel #clown
0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자연을 담은 도자, 분청사기 / YTN 사이언스
41:41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92 М.
흙으로 돈 번다! 중국 도자기 도시, 이싱 (KBS_2008.12.12.방송)
13:08
KBS 중국 어제와오늘
Рет қаралды 39 М.
黑天使被操控了#short #angel #clown
00:40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