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들이 집착한 건물의 공통점은? 독재자의 건축 분석하기

  Рет қаралды 277,667

셜록현준

셜록현준

4 ай бұрын

#건축 #역사 #세계사
독재자들이 집착한 건물의 공통점은? 독재자의 건축 분석하기

Пікірлер: 182
@user-gs8ik4hm2p
@user-gs8ik4hm2p 2 ай бұрын
히틀러의 조명 이용은 진짜...짜증나도록 지혜롭고 교묘하네요...그 비상한 잔머리를 좋은 데에 쓰지...
@user-sn9gx4kx5g
@user-sn9gx4kx5g 3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게 이런게 교양수업이라는거임ㅋㅋㅋ 이런 영상 두세번씩 돌려보고 자기생각으로 만들면 그게 대학수업이 되어버리는거임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포브스(아님)선정 밥먹을때 보기 가장 좋은 채널 셜록현준
@starrystarryworld
@starrystarryworld 4 ай бұрын
우와 하늘로 빛의 기둥을 쏜 연출 보고 소름이 돋네요. 그동안 와 멋지다 크다 이렇게만 보던 건축물의 정치적 의도를 들으니 달리 보입니다. 짧지만 엄청 유익한 영상이었어요!
@thisisanacount
@thisisanacount 3 ай бұрын
이우환 선으로부터 연작의 현실 버전인 것 같네요 영향을 받았을지도
@Werewolf_IX
@Werewolf_IX 4 ай бұрын
밤에는 인간의 의도대로 조명을 조종할 수 있다는 부분이 인상적이네요
@user-uv5ng7ox7g
@user-uv5ng7ox7g 3 ай бұрын
이번꺼 너무너무 재밋어요
@getbol95
@getbol95 4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들을수록 빠져드네요. :)
@kimguguxx
@kimguguxx 4 ай бұрын
오늘도 흥미로운 지식 전파 감사합니다!
@user-nowhere
@user-nowhere 4 ай бұрын
역시나 오늘도 너무 재밌네요. 특히 히틀러의 기둥과 빛을 함께 이용한 방식은 대단합니다. 현대의 무대연출가 못지않은 대단한 방식이네요. 저도 그자리있었다면 홀랑 넘어갔을듯....😮😮
@Jamureable
@Jamureable 4 ай бұрын
오늘 주제 많이 흥미로웠던 거 같아요. 그리고 잊고 있던 주제를 다시금 리마인드 하는 효과도 있었어요. 루이 14세, 무솔리니, 아돌프 히틀러, 스탈린 이런 독재자의 시대가 다시 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 투표가 제대로 작동해야 되는데, 정치에 너무 관심을 갖는 것도 위험하고 너무 수수방관 하자니 그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정치적인 이야기는 이쯤 하구여. 요즘 북아프리카나, 남미 쪽 잉카 문명의 건축에 관하여 관심이 점차 생기고 있는데, 언젠가 시간이 되시면 다뤄 주시면 대단히 좋은 시간이 될 듯 합니다. 오늘 대단히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user-lm2tt3kw2k
@user-lm2tt3kw2k 4 ай бұрын
맹우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좋은지식 얻어갑니다. 꾸벅.
@user-kg9ch6el1m
@user-kg9ch6el1m 3 ай бұрын
영상 내용이 정말 재미있네요 덕분에 모르고 살 수도 있는 좋은 지식을 많이 알게 된 거 같아요. 영상 감사합니다.
@jaeypupo8121
@jaeypupo8121 4 ай бұрын
볼 수있는 시각을 알려주는... ^^ 못보던 못보고지나쳣던 많은것들을 볼수 있게... 생각하게 상상하게 만드는... ^^
@bobo-wr9zm
@bobo-wr9zm 3 ай бұрын
확실히 웅장함이 있어야 독재자들의 힘이 나타낼 수 있으니 확실히 굉장하다 라고 느끼게되고 멋있어 보이긴 하는것 같아요
@YELLOWSOCKSMAFIA
@YELLOWSOCKSMAFIA 4 ай бұрын
세계 여러 독재자들의 동상을 분석하고 아카이빙한 책을 전에 읽었던 기억이 있는데 이렇게 다시 보니 흥미롭네요. 독재에 관해 영상을 보니까 몇달전 우연히 유고슬라비아의 spomenik라는 세계대전 당시 만들어진 조형물을 알게됐는데 조형적으로 매우 독특하고 앞서 말한 독재의 특징인 대칭성이 두드러졌더라고요. 사회주의 공산권 국기의 폐쇄적인 환경탓에 독특한 건축과 문화가 현시점에선 흥미롭게 보이는데 이같은 내용으로 영상을 만들어도 재밌을 것 같아요
@macclee2354
@macclee2354 4 ай бұрын
젤 궁금했던 독재자 건축물 시리즈네요 ㅋㅋㅋㅋ 드디어 이주제나왔덩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4 ай бұрын
지식의 깊이 캬.. 감사합니다.
@user-tg1ny9hq9v
@user-tg1ny9hq9v 4 ай бұрын
과제가 독재자들의 건축에 대해 쓰는건데 도움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ㅋㅋㅋ이런 우연이 ㅋㅋ
@btc_1217
@btc_1217 4 ай бұрын
잘보고갑니당
@blanche1813
@blanche1813 4 ай бұрын
피터 아이젠만이 쓴 책 내용을 소개해주시다니 유튜브의 순기능이네요
@cindy8099
@cindy8099 4 ай бұрын
영상들 정말 흥미롭게 잘 보고 있어요^^ 얼마전에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에 다녀오게됐는데 건물이 정말 독특하고 너무 성스럽고 멋지더라구요 근데 건물에 대한 설명이 잘 없어서 뭔가 의미하는 게 많은 건물같은데 아쉽더라구요 언제 한번 소개 해 주시면 너무 좋을거 같아요~~~~ 서울 한 도심에 그런 건물이 있다는게 신기하기도 하고 조용히 명상하고 오기 너무 좋더라구요
@user-vx7sr3vu2h
@user-vx7sr3vu2h 4 ай бұрын
허접하고 무지한 권력자들이 세계 곳곳에서 활개치는 요즘,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일깨우는 좋은 방송 감사드립니다
@ajikang9965
@ajikang9965 4 ай бұрын
멋지시네요
@k.joomihyun
@k.joomihyun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heonyhunynight
@heonyhunynight 4 ай бұрын
히틀러가 미대에 떨어진건 유명한데 그 이후에 독일로 건축을 배우러 갔다죠. 아마 그래서 더더욱 건축의 힘을 잘 깨달았던거 같아요.
@user-rb8uk5wm7q
@user-rb8uk5wm7q 4 ай бұрын
광화문 광장이 공사 후 가운데 아일랜드가 없어지고 세종문화회관 앞쪽으로 연결된 아일랜드(? 로 바뀌고 차선이 한쪽으로 합쳐진후 이게 뭔가 경복궁, 광화문 앞으로 이어지던 균형이 깨진거 같고 어색해서 눈에 익지가 않은데요 이전 “광화문” 같지가 않아서요 교수님께서는 디자인적으로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다닐때마다 아쉬워서요..교수님이 설명해주시면 납득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SoupCheesus
@SoupCheesus 4 ай бұрын
교수님 건축 공모전 한번 열어주시죠!
@jsn1142
@jsn1142 4 ай бұрын
흥선 대원군 경복궁 중건도 생각나네요. 궁궐식의 배치, 콘트리트 한옥모양을 21세기에 도입해서 지은 경북 도청도 생각나고
@Steph-mc7os
@Steph-mc7os 4 ай бұрын
예전에 영상중에 도시의 광장은 시민들이 시위를 할 수 있는 곳이라서 좋은 공간이다? 라고 하신것 같은데요, 독재자들은 큰 광장을 만들때 그런 걱정을 안했는지 궁금하네요. 영상 잘 보고 있어요. :)
@DalChoSong
@DalChoSong 3 ай бұрын
이런 광장은 권력자가 서 있는 '무대'가 아닌 '관람석'에선 오히려 눈에 덜 띄지 않을까요? 그냥 유동인구 많은 길거리에서 1인 시위 하는건 눈에 띌 수 있어도 사람들이 이리저리 혼잡스럽게 움직이는 광장 어딘가에서 1인 시위 하는 사람은 마주치기 어려울 것 같네요 요는, 광장은 다양한 의견을 나누기엔 좋은 곳이지만 그 의견을 권력으로 쏘아보낼 정도의 힘이 되려면 어마어마하게 많은 사람이 모여야만 가능한 일이니 권력자 입장에선 사소한 걸로는 티도 안나는 걸 좀 더 선호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리고 그 당시 감성으로 보면 그 정도로 권력을 위협할 수 있는 다수 인원이 정직하게 나 쏘아죽여줍쇼 모이면 땡큐 아닌가... 실제로 역사에 정치적인 학살 보면 죄다 광장이더라,,)
@przvl-oh8nk
@przvl-oh8nk 4 ай бұрын
4:02 muchas gracias aficion esto es para vosotros.
@user-ho2eh7in7z
@user-ho2eh7in7z Күн бұрын
많이 배워갑니다,, 독재자의 건축이라,, 흠,,
@user-gn8cg9ti5p
@user-gn8cg9ti5p 4 ай бұрын
히틀러는 오스트리아 스탈린은 조지아 출생인데 영상에는 독일 러시아로 나와있네요😅
@user-dp4if6lx6c
@user-dp4if6lx6c 4 ай бұрын
김수근의 남영동 대공분실도 말해보시죠?
@user-jc3tc2ix1d
@user-jc3tc2ix1d 3 ай бұрын
ㅋㅋㅋ
@BeomjinKimKor
@BeomjinKimKor 3 сағат бұрын
이미 김수근 이야기 다뤘다 무례한 질문 하기 전에 최소한의 예의와 검색은 해라 애자련아
@oriie38474
@oriie38474 2 ай бұрын
10:23 롤스로이스가 떠오르네요
@jotbob-uq7qt
@jotbob-uq7qt 4 ай бұрын
게르마니아 계획은 진심 낭만 있긴 한 것 같음
@hoseashon8302
@hoseashon8302 5 күн бұрын
현실은 요란한 빈수레의 발악이였음 ㅋㅋㅋ
@MBWA-zr2tb
@MBWA-zr2tb 4 ай бұрын
09:47 미국은 열병식을 크게 하지 않는다. 미군이 가장 강한것을 모두 알기 때문이다
@jaimej499
@jaimej499 4 ай бұрын
열병식은 안하고 함대를 바다에 펼쳐놓고 그걸 촬영하죠. 미군도 자국의 무력을 과시하는 행위는 많이 합니다. 다만 인간 밖에 가진게 없는 국가들과는 달리 압도적인 기술력을 자랑하는 방식일 뿐이죠
@rrrgggbbb
@rrrgggbbb 4 ай бұрын
체스 폰 100개 나열보다 룩 나이트 비숍 퀸 5개씩 꺼내서 보여주는게 더 간지
@user-bh6ry7hl8x
@user-bh6ry7hl8x 4 ай бұрын
​@@junlee5548공화주의 모체인 프랑스도 열병식 합니다
@user-td6mb7qc7b
@user-td6mb7qc7b 4 ай бұрын
​@@junlee5548 프랑스도 정기적으로 하고 미국도 한적은 있어요
@MBWA-zr2tb
@MBWA-zr2tb 4 ай бұрын
@@junlee5548 뭔소리여 열병식이 무조건 나쁜건 아님;ㅋㅋ 과도하게 집착하지만 않으면 열병식으로 적국이 딴 마음 못먹게하거나 국군 홍보에 좋은 행사임. 국민이 국방에 관심없거나 명예없는 군대인 나라는 망하게되어있음.그리고 미국 포함한 자유주의 국가들도 조그만하게나마 다 하는데 ㅋㅋㅋㅋ
@japple5008
@japple5008 4 ай бұрын
오 머리 하셨나요? 가르마 바뀌신거 같은데 멋있어요!!
@Mr.palestine357
@Mr.palestine357 4 ай бұрын
가르마 바꾸신 게 훨씬 젊어보이고 좋네요❤
@japple5008
@japple5008 4 ай бұрын
뭘 해도 멋있으시지만요♥
@AirJuny36
@AirJuny36 2 ай бұрын
시공기술자는 건축가의 설계(그림)를 수많은 사람들과 함께 현실로 구현해내는 사람입니다. 시공기술자들이 더욱 더 인정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user-vx7sy8zc3s
@user-vx7sy8zc3s 3 ай бұрын
혹시 진격의거인에서 나오는 성벽을 현실세계에서 건축이 간능한가요
@rrrgggbbb
@rrrgggbbb 4 ай бұрын
틀러형 건축적으로도 ㄷㄷ
@krystal1304
@krystal1304 4 ай бұрын
과거 인천에도 맘모스체육관이라고 어마어마한 건물이 있었죠
@HEDFUCcom
@HEDFUCcom 2 ай бұрын
거기 권력자는 관장님?ㄷㄷ
@krystal1304
@krystal1304 2 ай бұрын
@@HEDFUCcom 백선엽 백인엽 집안선인재단이 주인이었습니다
@0208-
@0208- 4 ай бұрын
07:20 이거 우리나라도 해당이 되네요?
@BrickBae
@BrickBae 2 ай бұрын
프링스 거울의 방에 있는 거울 대충 30x30 한 가당 그당시 차 한대의 가치였다고 하며 제작은 이탈리아에서 하고 운송을 했다고 하는데요. 운송하다 하나 깨먹으면 그거 깬 사람은 어떻게 될까요 ㅠㅠ
@jeonghanbyul
@jeonghanbyul 4 ай бұрын
독재가 건물 왤케 취향에 맞는지...
@loveisalllll
@loveisalllll 4 ай бұрын
가정집에서도 가장 넓은 안방이 현관에서 멀리 있고, 안방 안에 따로 화장실을 둬서 바깥 공간과 분리시킨것도 집주인의 권력을 표현한거라 볼 수 있나요??ㅎㅎㅎ
@oui4843
@oui4843 4 ай бұрын
방에서도 침대를 가능한 문과 먼 안쪽으로 두고 한 사무실에서도 높은 사람 자리가 문에서 먼 안쪽인 것도 마찬가지인 거고..
@moakim4930
@moakim4930 4 ай бұрын
이정도는 프라이버시에 가까울듯..
@viiitu8006
@viiitu8006 4 ай бұрын
프라이버시를 가질 수 있는것도 권력이니까요
@grx1988
@grx1988 4 ай бұрын
보통 가정집에서는 번식행위가 안방에서 이루어지니..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4 ай бұрын
그럴 수도 있겠네요
@user-yi2xb7yd3h
@user-yi2xb7yd3h 4 ай бұрын
앞으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건축도 설명하는 영상 기대합니다.
@marue2051
@marue2051 4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항상 독제국가들이 허영심이 강하긴 하지 시진핑이라 김정은처럼...
@kdoodoo
@kdoodoo 4 ай бұрын
독일이 입국장과 출국장을 분리한 최초의 공항을 만듬. ㅋㅋ
@SY_37
@SY_37 4 ай бұрын
대칭건축이 멋있던데 왜 요즘은 그렇게 잘 안짖는지 궁금했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user-pv2tf6rt9v
@user-pv2tf6rt9v 4 ай бұрын
권위적 대칭성과 압도적 스케일이 공통점입니다.
@user-gy8ng1hp5l
@user-gy8ng1hp5l Ай бұрын
오 설록
@dokpark5547
@dokpark5547 4 ай бұрын
왕궁과 독재자의 건축물과는 구별할 필요가 있죠. 세종대왕도 어쩔수 없이 선조들이 지은 궁궐에서 살 수 밖에요
@user-dj3ph9hk2p
@user-dj3ph9hk2p 4 ай бұрын
독재자는 건물내부 지하의 방공호도 꼼꼼하게 만들어놨다죠 위급방지용
@user-ur3jo1hf2x
@user-ur3jo1hf2x Ай бұрын
셜록현준님은 한국의 알베르트 슈페어?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4 ай бұрын
칠등분하고 두개 가리고 네줄이고 달력이네
@user-xu4ou1jc2n
@user-xu4ou1jc2n 20 күн бұрын
내가 하는 게임에 독재국가가 나온다. 놀랐던 것은 그 국가의 건물에 위쪽으로 웅장하게 스포트라이트가 쫙 펼쳐져서 높아보이는 구도로 형성되어있는데 이번 영상에서 히틀러 건축물 보고 알았다. 저걸 모티브로 해서 만든 거구나...
@gangseongyoon
@gangseongyoon 3 ай бұрын
광화문광장 지금은 약간 비대칭이지않나요?;ㅎ
@user-fg8sy4zj5j
@user-fg8sy4zj5j 2 ай бұрын
경복궁도 이런 스타일 그대로라고 알고 있습니다. 심지어 경복궁은 남산을 등지는 환경을 이용하기도 했다는군요.
@user-su6cx4gw7d
@user-su6cx4gw7d 3 ай бұрын
동상이나 건물을 압도적이고 휘황찬란하게 지어서 권력을 과시하는 걸 보면 결국 권력의 기본 속성 자체가 부풀려진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user-fk8sz3nw3y
@user-fk8sz3nw3y 4 ай бұрын
히틀러 이분이 보단 이노미로 자막이라도 바꿔주셔요 ㅎㅎ;;
@user-cq9so3gy4b
@user-cq9so3gy4b 3 ай бұрын
@theunionofsovietsocialistr9838
@theunionofsovietsocialistr9838 Ай бұрын
영상 안 봤는데 딱봐도 독일의 게르마니아, 소련의 스탈린 양식 나올 거 같구만 그러니까 딱봐도 겁나 웅장한 건물
@tazmania21
@tazmania21 4 ай бұрын
왜 유럽 독재자들은 로마 양식의 건축물을 지었을까~? 정통성을 주장하고 싶은게 아닐까요~ㅎ
@changsungyub4212
@changsungyub4212 4 ай бұрын
로마가 유럽역사상 최대로 부강했던 나라였잖아요. 그래서 그 영광을 재현하자는 의미가 커요.
@user-vl8tj1io6x
@user-vl8tj1io6x 4 ай бұрын
유럽과 동아시아의 차이가 거기서도 느껴짐. 유럽은 로마에 대한 환상, 추억, 로망, 동경, 선망, 부러움 등등의 여러 복합적인 감정들이 존재하는데 반해 동북아시아는 중국이라는 존재에 대해 그러한 감정들이 없음. 동남아는 인도의 영향권에 속하기 때문에 중국하고 거리가 멀고. 물론 스스로 소중화를 외쳤던 조선이 있긴 하지만.. 다만 조선이 중국에 가지던 감성과 유럽이 로마에 가지는 감성은 결이 좀 다른거 같고.
@user-do9gr2tc9v
@user-do9gr2tc9v 3 ай бұрын
@@user-vl8tj1io6x확실히 소중화는 로마와는 비슷한듯 다른듯 서양은 강대국인 로마를 계승했다 인데 조선은 멸망한 명의 유산을 흡수한 문명국가를 표방했다는 거 조선은 반중 색체가 꽤 세게 보이고 당시 기록에 보면 민중들 사이에서는 ‘중국인은 말투가 마치 개 짖는 듯하고 냄새가 난다’고 하면 박수를 치며 동조하는 사람 뿐이었다고 하니
@walkers4683
@walkers4683 2 ай бұрын
광장에 대해 해주신 정치공학적 설명이 굉장히 인상깊네요 히틀러나 모택동 같은 전체주의의 독재자들은 단순히 무력을 휘둘러 철권통치를 하는 사람이 아니라 대중의 욕망을 가장 잘 구체화하고 실현시킬 수 있는 사람들이죠 그런 대중(혹은 군중)의 정치적 욕망을 결집시키고 흥분시키는 것 또한 바로 광장의 역할이고요 어쩌면 광장에서야말로 진정한 민주주의를 실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사실 그 누구보다 딕테이터쉽에 목마른 사람들일지도 모르겠습니다
@Silver_099
@Silver_099 4 ай бұрын
동상을 크게 만드는 이유에서 웃었습니다. 말 타고 손들고 모자까지 들고 “영혼까지 끌어모아” 우리나라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은 앉아서 손 들고 있고, 이순신 장군은 그냥 서 있는 거 보면 “영혼까지 끌어 모으지 앉았던 거 같습니다.” 😂😂😂
@user-no6ss8dv2d
@user-no6ss8dv2d 4 ай бұрын
이렇게 뜯어보니 독재자들 없어보이네요
@user-wz2ok5gk7b
@user-wz2ok5gk7b 3 ай бұрын
세계에서 제위기간이 제일 긴 왕은 장수왕이지 않을까 싶은데...18살 즉위해서 97세에 죽었으니.. 거의 80여년을 왕위에 있어서.... 일단 이것을 이기기 위해서는 79년이상을 살아야하고... 즉위가 태어나자 마자에 가까워야하는 것이라...고구려 태조왕이 있긴한데 그건 믿기 어려운 기록이라...
@user-vo6eu9yo3g
@user-vo6eu9yo3g Ай бұрын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너무 둥굴둥굴 덩어리져보이고 크기만크고 역동성이나 웅장함이 하나도 안느껴지고 볼 때 마다 마음에 안듭니다. 학생이 과제로 만든것 같습니다. 다시 만드라고 하고싶습니다.
@user-hs1td9dk2w
@user-hs1td9dk2w 5 күн бұрын
워찌보면............프랑스국고를 거덜나게혀서............대혁명이 일어나게한 장본인이 바로 루이14세.........그 영혼이 지금 가 있는곳을 생각하면 불쌍하죠...................
@CITADEL_Offical
@CITADEL_Offical Ай бұрын
3:53
@pasan_37
@pasan_37 4 ай бұрын
독재자 시대때 지어진 건물들이 멋있고 예쁜데 요즘은 저렇게 안지어서 아쉽다
@MoonJeain
@MoonJeain 4 ай бұрын
건축주가 되셔서 하나 지으시죠 ㅋㅋㅋㅋㅋ
@jefferyhanderson7849
@jefferyhanderson7849 4 ай бұрын
루마니아 독재자가 지은 인민궁전 보셨어요? 동유럽의 파리라고 불리던 부쿠레슈티 구시가지를 밀어버리고 지은 허연 돌덩어리에 불과한 흉물이던데요.
@user-cg3jc5qw1j
@user-cg3jc5qw1j 4 ай бұрын
네가 독재해
@Reiner_6
@Reiner_6 4 ай бұрын
권력자의 건축물이 아무래도 권력자들이 돈이 많다보니 멋있긴 한것 같군요 ㅋㅋ
@jungcheon
@jungcheon 4 ай бұрын
각그랜저가 정말 멋있지만 그렇게 만들지않는 그런 느낌인거라 생각합니다.
@Luger_P08
@Luger_P08 4 ай бұрын
빛의 마술사.. 뉘른베르크 전당대회는 지금봐도 소름과 전율이 돋죠...
@user-kx7du6ue8e
@user-kx7du6ue8e 4 ай бұрын
말씀을 듣고 니니 국회의사당의 돔도 다르게 보이네요...
@whisperer1705
@whisperer1705 4 ай бұрын
걍 심심하니깐 만든거랬음
@swe7271
@swe7271 4 ай бұрын
전 얼굴비대칭입니다 ㅜㅜ
@heywestrosen42
@heywestrosen42 4 ай бұрын
14:15 이 건물 이름 뭔가요?
@user-og6ul8gl3g
@user-og6ul8gl3g 4 ай бұрын
모스크바 국립대학입니다
@heywestrosen42
@heywestrosen42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og6ul8gl3g
@user-es7me9bw7v
@user-es7me9bw7v 4 ай бұрын
현준님, 일본의 가장 큰 무덤인 전방후원분의 인덕릉도 권력관점에서 볼수 있겠죠.
@co-musician640
@co-musician640 4 ай бұрын
저는 누구보다 깊고 누구보다 진심인 신앙인인데요, 일부 중앙아시아의 덩구러이 놓여있는 유령도시들, 혹은 이번 영상에 나온 건축물보다 더 고차원의 권력건축물은 교회/성당 건축이리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은 아름답고 위엄있고 경외롭게 보면서 개인 한 사람의 주체성을 잃어버리고 인위적인 위계를 형성하니까요~
@dokpark5547
@dokpark5547 4 ай бұрын
주체성과 자유영혼을 갖인 종교인..
@eejj1515
@eejj1515 3 ай бұрын
왕정 시대 건물갖고 독재자 타령하는 건 좀 그러네 ㅋㅋ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4 ай бұрын
19세기 인물들이 많은 거 보면 자본주의가 독재를 가능하게 한 부분이 있나봄
@user-el4ef9rk2s
@user-el4ef9rk2s 4 ай бұрын
앗싸 6 비었네~ 그럼 난6!!
@user-rb6dt5nh6q
@user-rb6dt5nh6q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최대 좌우 대칭 건물은 조선대학교 본관 인듯
@itsme-wj9yl
@itsme-wj9yl 4 ай бұрын
ㅋㅋ
@blancwhite8583
@blancwhite8583 4 ай бұрын
수렵체집이 커다란 존재에 대한 경외심과 무슨 상관이란 건지?
@yl_merida7203
@yl_merida7203 4 ай бұрын
ㅇㅅ?
@user-bp7on8wn7g
@user-bp7on8wn7g 4 ай бұрын
5
@hjjun7274
@hjjun7274 4 ай бұрын
3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4 ай бұрын
히틀러의 집무실 건물 이야기를 보니 왜 대통령 집무실이 크고 길면 권위주의적이다, 독재자의 발상이다 하면서 개거품을 한 말 통 쳐물어대는지 알 것 같기도 하네요.
@real_eunsan
@real_eunsan 4 ай бұрын
1❤
@user-cc1qw1ut2f
@user-cc1qw1ut2f 3 ай бұрын
곧 별이될 ‘은.산.이.형‘ 그래서 마통론인지 뭔지 님이 만든거 같은데요? ㅋㅋ
@UjSeo-wc2jb
@UjSeo-wc2jb 4 ай бұрын
2인가??
@user-ul1ko7fx9c
@user-ul1ko7fx9c 4 ай бұрын
재벌 회장도 마찬가지 아닌가
@jaimej499
@jaimej499 4 ай бұрын
프랑스 혁명 이전에는 현대적 민주주의라는 개념이 없었습니다. 왕조국가의 군주들을 독재자라고 하는건 의미는 통하지만 부적절한 어휘 선택인 것 같네요. 따지고보면 세종대왕을 더불어 한국 역사 속의 모든 왕들도 독재자인데 독재자라고 부르지는 않잖습니까?
@organic2501chemistry
@organic2501chemistry 4 ай бұрын
올바른 지적이네요. 하지만 건축물에 담기는 심리를 분석하는 거니까, 민주주의의 가능성이 있는데도 독재하는 인간과 왕권주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군림자의 차이보다는 대중을 대하는 개인의 심리가 건축에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재밌게 보는 영상인 것 같습니다.
@user-qs6fj6ml1c
@user-qs6fj6ml1c 4 ай бұрын
하지만 그 성질은 어찌되었든 독재라는 것과 같습니다, 만인지상의 자리의 권력이 타인에 의해 침해당하지 않고 자신이 죽은 다음에야 물러난다는 것은 독재와 똑같다고 볼 수 있지 않겠습니까? 물론 아시아의 유교 왕조 국가들은 왕이 @같이 통치하면 엎어버릴수도 있다는 명분이 있긴 하지만 그 전까지는 정해진 기한 없이 쭉 통치하는 것이 독재와 일맥상통 하다고 할 수 있지요.
@jaimej499
@jaimej499 4 ай бұрын
@@user-qs6fj6ml1c그런 의미가 아닙니다. 독재라는 개념 자체가 민주주의, 즉 프랑스 혁명 또는 미국 독립선언 이후에 제대로 생긴거라 그 이전에는 군주제가 당연했던것이지 그들을 독재자라고 부르지는 않았다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거듭 말하지만 의미상으로는 통하고, 독재 행위를 한 것이 맞긴 하지만 그걸 독재자라고 부르는 것은 시대상을 반영하지 않은 어휘 선택이 아닐까 싶습니다
@user-qs6fj6ml1c
@user-qs6fj6ml1c 4 ай бұрын
@@jaimej499 아 물론 그들을 보고 독재자라고 부르는 것은 명칭에 문제가 있는게 맞습니다. 허나 영상속에서는 왕들의 구조물들(궁전)을 보고 독재자들이 이러한 형식의 건물들을 짓는다, 이는 곧 권력의 상하를 공고히 하는 역할을 하기에 독재자들이 이러힌 건축물들을 선호한다고 논했습니다. 즉슨 영상속에서의 말은 문제가 없다는 것이 제 의견이며, 또한 제가 본 영상속의 내용에선 왕을 가르켜 직접적으로 독재자라고 칭하는 내용을 본 적이 없습니다. 혹여 제가 잘못 본 것일수도 있으니 그러한 네용이 있다면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jaimej499
@jaimej499 4 ай бұрын
@@user-qs6fj6ml1c영상의 내용이 독재자들의 건축과 관련된 것인데, 초반에 보면 부르봉 왕조가 지은 여러 건물들이 언급되고 있죠. 비약일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해석될 수도 있다 봅니다
@user-hs1td9dk2w
@user-hs1td9dk2w 5 күн бұрын
모니 모니 해도.............최악은 북죠센 닌민 거시기지...................
@schwertkreutz1840
@schwertkreutz1840 4 ай бұрын
저걸보면 쓸데없는 거대건축을 하지않고 나라의 개혁과 경제발전에만 힘쓴 우리나라 군사정권 3인방은 성군들이 맞다.
@KORSystem
@KORSystem 4 ай бұрын
남영동 대공분실은 그 인간들만 없었으면 존재하지 않았을 쓸데없는 건축 아닌가?
@user-eq2qm6hh8r
@user-eq2qm6hh8r 4 ай бұрын
​@@KORSystem댓글 내역 참 가관이네
@KORSystem
@KORSystem 4 ай бұрын
@@user-eq2qm6hh8r 어떤 점에서?
@gnouygnod
@gnouygnod 4 ай бұрын
기.습.숭.배
@user-do9gr2tc9v
@user-do9gr2tc9v 3 ай бұрын
박조건축이라는 말이 있음 박씨왕조 건축이라고 한국은 국가사이즈가 작아서 못했을뿐이지 천안 독립기념관 국회의사당 구 광화문 세운상가 여의도광장 소위 ‘독재자건축’의 조건에 부합하는 건축들은 꽤 있음
@ttennisvader
@ttennisvader Ай бұрын
왜 독재를 하면 안되나요?? 능력없고 빈보하고 열등한 거지들과 같은 한표를 가지는게 잘못된거 아닌가요? 자신들이 우민이라는 것조차 인정하지도 않는 파렴치한 것들을 제거해야 한국이 건강해지지 않을까요? 우리는 사실 모두 알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신분제가 필요합니다. 열등한 것들은 열등한 신분을 가져야 진정한 공정함입니다. 라고 생각해볼 수 도 있나요?
@user-fw9ll2md8j
@user-fw9ll2md8j Ай бұрын
본인이 열등하다는걸 인정하는 글이군요
@jin-vl2zr
@jin-vl2zr 5 күн бұрын
그런 생각이 드신다면 단두대로 가세요
@raonJK
@raonJK 4 ай бұрын
독재가 무조건 나쁜건 아닙니다.
@user-bs2yk9rd6x
@user-bs2yk9rd6x 4 ай бұрын
ㅋㅋㅋ 우리도 이번에 열병식을 저녁에 했었지 ? ㅋㅋ우리 썩열이 ㅋㅋ아주 칵현민 말대로 열병식 ㅋㅋ
@user-d37g8vd4sk
@user-d37g8vd4sk 4 ай бұрын
열병식은 문재인 대통령 제외하고 역대 모든 대통령때 다 한번씩 했었는데?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과 관계 악화 이유로 취소시켰고
@stivejin9281
@stivejin9281 4 ай бұрын
열병식 안한거는 문재인때뿐임 ㅋㅋ북한 눈치보느라. 역대 대통령들 다했음 억까 ㄴㄴ
@Yeahitismewhy
@Yeahitismewhy 4 ай бұрын
북한 눈치 보느라 싸바싸바 빌면서 열병식 안한 개재인ㅋㅋㅋ 아 개재인도 아깝다 개도 버렸지 맞다..
@wa.661
@wa.661 4 ай бұрын
심지어 저녁도 아님 무슨 맞는 말이 하나도 없냐
@user-bs2yk9rd6x
@user-bs2yk9rd6x 4 ай бұрын
아야 비오는날 열병식해서 기억에 저녁인줄알았다
@user-ke8fu8vp3u
@user-ke8fu8vp3u 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oq1gz9sf2b
@user-oq1gz9sf2b 4 ай бұрын
4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When Steve And His Dog Don'T Give Away To Each Other 😂️
00:21
BigSchool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150년 전부터 시작된 제로칼로리 전쟁🥄ㅣ돈슐랭 / 14F
10:02
가장 애플스러운 건물, 원형 모양일 때 장단점은?
12:15
동해 유전에 의외의 복병이 나타났습니다 (언더스탠딩 김상훈 기자)
40:3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7 М.
[Full] 건축탐구- 집 - 어서 와, 회장님 집은 처음이지?
46:19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사이버펑크 도시는 왜 이런 모습일까?
17:43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76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