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자를 명작 게임제작자로 만들어 준 '광기'(feat. 디스코엘리시움)

  Рет қаралды 4,286

원너겟의 게임 인문학

원너겟의 게임 인문학

Жыл бұрын

자움에서 개발한 디스코엘리시움은 독특한 게임성을 가진 명작 RPG게임입니다. 이 게임을 만든 로버트 쿠르비츠는 연속된 실패로 인해 알코올에 의존하며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었죠. 어느날, 쿠르비츠의 친구가 건낸 한마디가 이 남자안의 '광기'를 깨웠습니다. 디스코엘리시움의 제작비화를 통해 실패를 이겨내는 자세에 대해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모든 게임플레이 영상은 Creative Commons 영상을 사용합니다
*영상내 모든 Stock Footage 비디오: pexels.com
*영상내 모든 PNG 이미지: flaticon
#디스코엘리시움 #인디게임 #게임제작

Пікірлер: 32
@sheamokhim
@sheamokhim Жыл бұрын
해석이 현상보다 강력합니다. 쌉소리 많이 하는 다른 채널들도 많은데 여기는 한마디 한마디가 큰힘이 있네요. 결혼여부는 제가 알지 못 하지만 먼훗날 자녀들이 우리아빠가 이런거 만들었어 하며 자랑스러워할 퀄리티입니다. 늘 감사히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user-eb2fr1my1k
@user-eb2fr1my1k Жыл бұрын
너겟님이 일주일동안 3개의 영상을 업로드 해주시다니..! (감사... 압도적 감사..!) 이번편도 정말 재밌었습니다. 예전에 댓글로 썼을수도 있지만, 이번영상의 주제와 매우 맞기에 또 언급할 명언이 있습니다. "실패... 그래, 실패를 가르쳐라. 그 무엇보다도 위대한 스승이니라..!" - 제다이 마스터 요다
@S2DIO6253
@S2DIO625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게임쪽 창업하고 있는데 원너겟님 영상 도움이 정말 많이 되고 있어요ㅜㅠ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 영상을 올리시는데 대체 왜 구독자가 적은건지 모르겠네여!!*_*
@user-df8wu9sj2i
@user-df8wu9sj2i Жыл бұрын
혀...형?! 일주일에....3개?! 오늘 제 생일인가요?!!
@user-df8wu9sj2i
@user-df8wu9sj2i Жыл бұрын
야무지게 보겠습니다 히히
@user-qm9yd7vh7d
@user-qm9yd7vh7d Жыл бұрын
이런 게임이 있었군요. 정말 세상은 넓게 둘러봐야 많이 알 수 있게 되는듯요. 실패는 누구나 두려워하고 싫어하는 것이지만 누구나 언젠가는 어떤 식으로든 실패를 하게 된다는건 정말 아쉬운 일이죠. 예전에 들은 이야기가 생각나는군요. 어떤 분야의 창작자에게 신(혹은 악마)가 나타나 두가지 제안을 한다는 것이죠. 첫번째는 너의 창작물은 너가 살아있을때는 전혀 인정받지 못하고 상업적으로도 실패하고 평생을 가난에 시달리며 외롭게 살아야 한다. 단 너가 죽은 후 너의 창작물은 재평가를 받게 되고 불멸의 명작이 될 것이다. 두번째는 너의 창작물은 엄청난 인기를 얻고 상업적으로 대성공해 평생 부와 명예를 누리며 살 거이다. 다만 너가 죽은 이후에는 완전히 인기를 잃고 그 누구도 기억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 라는 것중 하나를 선택하라는 것이죠. 과연 이 중에 첫 번째를 과감하게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나요.. ㅡㅡ.. 참고로 저는 예전에 "남해용왕"이라는 별명을 쓰던 사람입니다. 그런데 요 며칠사이 구글 유튜브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댓글 이름이 주소로 변했네요. 아무리 바꿔도 그대로고요..음냐~
@Ertai5613
@Ertai5613 Жыл бұрын
아이러니하게도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둔뒤 크로비츠는 회사에서 쫓겨나고 지금 쫓아낸 투자자들 세력엔 카우어 켄더도 있다죠 ㅎㅎ 과정은 좋았을지 몰라도 결말은 해피엔딩이 아니라 씁쓸합니다 ㅎㅎ
@Sguiik
@Sguiik Жыл бұрын
진짜 영화네요. 크로비츠는 지금 어쩌고 있을지 ㄷㄷ
@hjkoo0707
@hjkoo0707 Жыл бұрын
항상 의미있는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gu_nak
@gu_nak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leetthm5335
@leetthm5335 Жыл бұрын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ㅎㅎ
@한바람
@한바람 Жыл бұрын
게이머가 된 경력이 그리 길지는 않지만, 제 인생을 강하게 흔든 게임 TOP 3을 뽑자면 스카이림, 다크소울과 더불어 디스코 엘리시움을 고르겠습니다. 이 게임에서의 실패가 단순한 게임 오버가 아닌, 가지 않은 다른 길을 것도록 하는 요소로 적용된 것에는 제작자의 이런 비화가 있었군요... 게임을 하면서 감탄했던 점 중 하나가, 게임 배경 너머의 '창백' 이라는 특이한 바다와, 그 세계가 구성되고 있는 개략적인 원리까지도, 인물들의 대화를 통해 깊이 있게 그려냈던 점이었어요. 이렇게 빛 바랜 찬란함을 쓸쓸하게 비추는 아름다운 이야기와 세계관이, 본래는 안 팔리는 소설로 아무도 모른 채 묻혀갈 운명이었다니... 며칠 간 무기력하게 뻗어 있었는데, 덕분에 다시 책상 위에 앉을 수 있는 힘이 생긴 것 같네요. 이번에도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한바람
@한바람 Жыл бұрын
@@prosciutto3332 제게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을 꼽자면, 특유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다. 멸망한 폐허 속을 탐험하며 다니게 되는 다크 소울에서는, 이 세계에서 어떠한 일이 일어났으며 그러한 사건이 발생해야만 했던 세계관이 어떠한지를, 몬스터들과 아이템을 통해 유추하고 상상하게 되기 때문이에요. 한 예로, 로스릭 성에 들어가보면 스스로 목을 자르고 있는 기사들의 동상이 나옵니다. 그런데 상식적으로, 국가의 최정예 전력인 기사들이 자ㅇㅇㅇㅇㅇ살하는 것이 정상국가에서 동상으로 만들 만큼 존중할 일은 아니거든요. 이를 통해, 로스릭 왕가가 일반적이지 않은 어떠한 '희생' 을 통해 다크 소울 세계관에서 묘사되는 질서를 유지해 왔다는 것을 암시하죠. (사실 저도 나무위키를 보고서야 깨달은 요소이지만, 그럼에도 상당히 흥미를 자극하는 디테일이기에 적었습니다) 내가 직접 게임 속에 들어가서 역사를 체험하는 스카이림과는 달리 달리, 다크 소울은 '고고학자' 가 되어 게임속 세계관을 파헤치는 듯한 신선한 체험을 주었기 때문이에요. 이런 스토리텔링을 완성도 높게 구현한 게임은 아직까지는 다크 소울 말고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user-ki7ci4bg8y
@user-ki7ci4bg8y Жыл бұрын
이 게임 처음 봤는데 꼭 사서 플레이 해봐야겠네요
@bumang
@bumang Жыл бұрын
게임 관련 채널 중에서 가장 자주 챙겨보고 있습니다! 화이팅입니다.
@wonnugget
@wonnugget Жыл бұрын
이 댓글보고 이번주 한주도 힘내서 살아갑니다~
@jjll5534
@jjll5534 Жыл бұрын
빠르게 영상 올려주신 거 잘 봤습니다! 디스코 엘리시움 평가가 게임 전문 매체에서 예술이라 평가하고 고평가 받으면서 입소문을 타고 이에 영향을 받아서 국내에 팬 번역으로 시작되어 정식 한글화 적용까지 해내는 등 많은 성과가 있었으나 거기까지는 정말 순탄치 않은 많은 실패의 과정을 겪으며 이뤄냈다는 걸 알게 되니 게임이 남달라 보이네요. 개인적으로 즐겨보던 너무 깐깐한 걸로 유명한 모 해외 게임 리뷰어 조차도 고평가 하면서 '남에게 쉽게 추천은 어렵고 게임계의 역사로 남을 정도로까지 대중에게 인식되기 힘들겠지만 그래도 마음에 든다.'는 식으로 이야기한게 기억이 나는데 기회가 되면 꼭 해봐야 겠네요. 다만 가장 최근 소식이 다소 씁쓸하게도 개발사와 핵심개발자 간의 다툼으로 메인 개발진은 회사에서 잘리게 된 일이 생기고 개발사와 핵심개발진 간의 소송이 진행중이라고 하는데, 다툼의 양쪽 주체인 개발사 측과 핵심개발진 측 둘의 주장이 엇갈리는 상황이라 고생해서 명작을 만든 후 그 다음 행보는 좋게 끝나지 않으니 여러모로 안타까운 기분이네요.
@user-zj8rd1di7o
@user-zj8rd1di7o Жыл бұрын
흥해라 흥!
@kk-rq9nq
@kk-rq9nq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꺾여도 그냥 하는 마음을 ㄹㅇ 현실에서 실천 해보리기 ㅋㅋㅋㅋ
@cozyfin
@cozyfin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들어가면서 게임을 시작하면 실패가 두려워 진도가 나아가지 못함을 느끼고 한두시간만에 게임을 접습니다. 그 실패를 통해 게임이 진행되는것이고 게임이 실패를 거듭해서 얻는 성과를 통해 진행이 되는 것임을 알면서도 게임내의 도전이 점점 힘들어지더군요. 예전에 리니지2라는 게임을 할때 어느 연세드신 분이 50레벨임에도 여전히 초저랩지역의 몬스터만 계속 잡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왜 그런 행위를 하는 가에 대한 의문만 있었는데 어느샌가 저도 점점 그리 되는 것 같아 지더군요. 뭔가 답답함을 느끼고 있었는데, 오늘 영상으로 보고 나서 힘을 얻습니다. ㅋ 빨리 하다만 게임들을 켜고 무작정 들이대봐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toongwoo
@toongwoo Жыл бұрын
진짜 거를 타선 없는 좋은 교훈을 주네요 저도 인디게임을 개발하다 뒤집혀 진 것만 3번인데 역시 다시 일어서서 계속해서 도전하는게 제일 중요한것 같아요
@user-ki7ci4bg8y
@user-ki7ci4bg8y Жыл бұрын
꼭 성공하셔서 원너겟님 영상에서 만났으면 좋겠네요
@toongwoo
@toongwoo Жыл бұрын
@@user-ki7ci4bg8y 안타깝게도 프로그래머 분이 지치셔서 나가시는 바람에 저 혼자 잡고 있는데 아마 소설이나 만화로 보게 되실 확률이 높아요...
@ColBaek
@ColBaek Жыл бұрын
ㅎㅎ. 저는 적은 시간으로 작은 규모의 인디 모바일 게임이나 출시하면서 지내고 있는데... 5년을 투자하여 만든 것이 실패라는 느낌으로 다가온다면 견디지 못할 것 같네요 ㅎㅎ;; 실패해서 잃을 게 없으니 만들고 망해도 괜찮네? 라는 생각이 웃기면서도 긍정적인 생각인 것 같아서 인상적입니다. 잘봤습니다.
@biohazard5512
@biohazard5512 Жыл бұрын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라는 주제 군요
@user-gh2vk9nk6m
@user-gh2vk9nk6m Жыл бұрын
아직 사놓고 안해봤는데.. 군대가기 전에 빨리 해야지
@user-co5vl4rc6l
@user-co5vl4rc6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_ +;; )
@newch6468
@newch6468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김창한 개발자 스토리도 한번 다뤄주세요
@wonnugget
@wonnugget Жыл бұрын
창한이형 한 번 가야겠군요
@LTK-un1ce
@LTK-un1ce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V00DKA
@V00DKA Жыл бұрын
던전앤드래곤 안거쳐간 아조시들이 없네
게임 밸런스를 맞추기 어려운 이유 (feat. 밸런스망겜)
10:58
원너겟의 게임 인문학
Рет қаралды 5 М.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2 МЛН
Sigma Girl Past #funny #sigma #viral
00:20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인디게임 대발자의 삶 11. 스킬 리뉴얼
6:56
머스타드소드 (머발자)
Рет қаралды 1,7 М.
우리 세상이 게임속이라는 가설
12:05
원너겟의 게임 인문학
Рет қаралды 14 М.
게임으로 '진정한 우정' 쌓은 사연 (feat. 테트리스 제작 비화)
18:36
원너겟의 게임 인문학
Рет қаралды 3,8 М.
라스트오브어스2 스토리가 역대급이 된 이유(반어법임)
12:40
원너겟의 게임 인문학
Рет қаралды 57 М.
어디가서 '게임의 신'이라고 소문내라(feat.미야모토 시게루의 배울점)
11:23
СОНИК НУБТАН АЛТЫНҒА АЙНАЛДЫ (GTA V)
12:19
Салли PLAY
Рет қаралды 38 М.
Я прожил 100 Дней ЗА ГЛАДИАТОРА в Майнкрафт…
37:07
TumkaGames / Тумка :3
Рет қаралды 736 М.
НАСТОЯЩАЯ ЖИЗНЬ КОТА В ВР ( I Am Cat )
22:48
perpetuumworld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