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hen Hawking's last words in his last lecture (shocking)

  Рет қаралды 4,163,632

긱블 Geekble

긱블 Geekble

4 жыл бұрын

If you want to see more about Stephen Hawking

Пікірлер: 4 500
@0rnyes
@0rnyes 4 жыл бұрын
“삶이 아무리 힘들어 보일지라도 여러분이 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는 무언가는 항상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입니다.” 진짜 명언이다,,
@user-bd9nl8tx2z
@user-bd9nl8tx2z 4 жыл бұрын
ᄋᄋ 닥쳐그냥
@user-ed5md6gr3l
@user-ed5md6gr3l 4 жыл бұрын
지렸다..ㄷㄷ
@ZzzCom
@ZzzCom 4 жыл бұрын
정말 힘들때 희망을 주는 말이네요 ㅎ_ㅎ
@user-rr3ly3ub4o
@user-rr3ly3ub4o 4 жыл бұрын
@ᄋᄋ 번역기 돌리지마 임마
@user-mb9sl4jr6h
@user-mb9sl4jr6h 4 жыл бұрын
@@user-rr3ly3ub4o 애초에 말한 게 영어인데 뭣하러 번역기를 돌리나욬ㅋㅋ 들리는 대로 적으면 장땡이지 ㅋㅋ
@user-ss4ro7fi5h
@user-ss4ro7fi5h 4 жыл бұрын
고개를 숙여서 발을 보지 말고, 고개를 들어 별을 보세요..
@Pluto7_vlogs
@Pluto7_vlogs 4 жыл бұрын
망블 명언.
@the_united_states
@the_united_states 4 жыл бұрын
망블?
@user-ie3ef9sb5f
@user-ie3ef9sb5f 4 жыл бұрын
도시라서 별이 안보여요......
@OmegaMW
@OmegaMW 4 жыл бұрын
@@user-ie3ef9sb5f 외계인이 도시에..?
@user-rd6hd9gs9t
@user-rd6hd9gs9t 4 жыл бұрын
별만보지마세요 땅도봐야되요 지구가 아파요 ㅠ
@user-kp5yq7ej2k
@user-kp5yq7ej2k 3 жыл бұрын
@johnmilton9961
@johnmilton9961 3 жыл бұрын
소름돋는 정답..
@flora-cn1gn
@flora-cn1gn 3 жыл бұрын
일반 건강한 사람들은 에너지와 시간을 다른곳에도 쓰니까요..?
@HHKK-wv8nn
@HHKK-wv8nn 3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천재가 아닌사람들이 걸린거잖아 모순에 어긋나는데? 너무
@user-eg9ky9ez7g
@user-eg9ky9ez7g 3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ㅋㅋ 천재 또한 많이 존재함 역사를 바꿀만한 위인들도 대부분 건강하게 살다 죽은사람들도 많음 근데 단지 천재들 중 몇몇이 저런 병에 걸리고 천재들이 주목을 받으니까 우리들이 자연스럽게 아 천재들은 원래 저런병에 걸리는구나 인식하게되는거지 인구 70억중에 당장에 이름 모를 병에 걸린 사람들도 얼마나 많은데 천재들만 저런 병에 걸린다는건 말이 안되는거지
@Fact_Pokuk
@Fact_Pokuk 3 жыл бұрын
천재 말고 다른 장애인들한테는 아무 관심이 없다는말아닌가?
@user-rl7sz2wi6c
@user-rl7sz2wi6c 4 жыл бұрын
모든것을 다 잃으시고도 인류의 과학의 한획을 크게 긋고가셔서 가치있고 존경해야할 인생을 만드셨습니다
@user-xt6im7uc4o
@user-xt6im7uc4o 4 жыл бұрын
한획이 뭡니까 한글자 쓰고가셨지
@sgm4361
@sgm4361 4 жыл бұрын
@@user-xt6im7uc4o 그렇게 따지자면 책한권분량은 쓰셨음
@user-qo3tk6ur7i
@user-qo3tk6ur7i 3 жыл бұрын
@@sgm4361 진짜 존경하는게 블랙홀 열복사를 증명했다는거... 그리고 신이라는 존재는 못밝혔죠...
@user-mv4sl1cl4f
@user-mv4sl1cl4f 3 жыл бұрын
@@user-qo3tk6ur7i 신은 사람들이 상상해서 만든거 아닌가요
@user-qo3tk6ur7i
@user-qo3tk6ur7i 3 жыл бұрын
@@user-mv4sl1cl4f 아뇨 저는 기독굔데 성경을 읽어보고 뉴스를 보니 신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예수님이 진짜 땅에 있었다는것도 알고12제자가 있었다는것도 알았습니다 왜냐 성경이 있었기 때문이죠 올래 우리가 보는 성경은 책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옛날에는 두루마리 형식으로 되어있었죠 그걸변화 시켜서 책으로 만든게 성경이고 성경에는 예언도 있습니다 유대인이 나쁜일을 당할것이라는게 유대인이 예수님을 죽이자 괴이한 형상이 나타나고 죽이기전에 이런맹세를 했는데 내피를 내 자손들에게 대대로 물리겠다 했습니다.. 그래서 유대인은 학살당하고 나라잃고 이런일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저는 천주교를 살짝 안좋게 봅니다 이유:성경에는 내말에 있는 것에 빼지도 말고 더하지도 말아라 라는 명이 있습니다 근데 천주교는 더했습니다 이거는 말씀을 어겼다는거죠...
@user-rr2md6gg1i
@user-rr2md6gg1i 4 жыл бұрын
유명한 물리학자들도 손으로 써서도 하기 힘든 계산을 스티븐 호킹은 병으로 인해 그 계산을 암산으로 했다죠...
@user-je1tv3ei2l
@user-je1tv3ei2l 4 жыл бұрын
컴퓨터 썼겠지 호킹이 쓰는 휠체어에 자판치는 기능있는데ㅋㅋㅋ뭔헛소문을
@user-rr2md6gg1i
@user-rr2md6gg1i 4 жыл бұрын
@@user-je1tv3ei2l 백호쌤한테 들은거여서 따질거면 백호쌤한테 하던가
@user-je1tv3ei2l
@user-je1tv3ei2l 4 жыл бұрын
@@user-rr2md6gg1i ㅇㅇ
@user-je1tv3ei2l
@user-je1tv3ei2l 4 жыл бұрын
@@user-rr2md6gg1i 그리고 호킹은 젊었을적은 와이프가 연구하는거도와주고 장년쯤에는 조교가 옆에서 다 도와줬는데 대체왜 물리학자가 열심히 계산기 두드려가며해도 계산하기 힘든 걸 뭐하러 혼자 암산으로 하는지 이해가안가네 그냥 그 백호라는 사람이 호킹의 천재성강조하고싶어서 어디서 들은거 얘기한듯
@user-rt1qr4ko1k
@user-rt1qr4ko1k 4 жыл бұрын
엥 나도 스티븐 호킹이 3페이지-4페이지 정도 되는 양의 수학 계산을 암산으로 했다고 들었는데
@shannyoh03
@shannyoh03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저렇게 뺨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기계로 말을 전달할수 있는 시대에 태어나서 다행이지 만약 저런 기술이 아무것도 없는 옛날에 태어났다면 그냥 말도 못하고 수많은 아이디어와 발견을 표출하지 못하고 머릿속에만 남아있는 채로 죽었을 거라고 생각 하니까 이 시대의 기술에 감사하게된다.....
@mykim0712
@mykim0712 3 жыл бұрын
그러네 저 좋은 머리로 아무것도못하면 혼자 상상만하다가 죽는거잖어..
@ainnyon36
@ainnyon36 3 жыл бұрын
그런사람들이 많았을수도..
@amazingmong9640
@amazingmong9640 3 жыл бұрын
아니죠 호킹같은 사람은많았을겁니다 호킹이 저런시대에 태어난것뿐이지
@user-mi5mc2fe4f
@user-mi5mc2fe4f 3 жыл бұрын
@@테헹두 예전 시대에도 호킹 같이 천재적인 사람은 있었지만 장애 때문에 잊혀진 사람이 있다는 말
@fsunos98
@fsunos98 3 жыл бұрын
장애로 인해 뛰어난 아이디어가 육체속에 갇히는 경우도 있겠지만 중국이나 인도의 인구와 빈부격차를 생각해보면 현실적인 밥벌이 때문에 갇혀있는 지식들도 많을 것 같습니다.
@user-vt9en1fx7b
@user-vt9en1fx7b 4 жыл бұрын
호킹박사는 헬렌 켈러,루이 브라유를 비롯한 장애를 딛고 이겨낸 인물임 그가 살아 생전에 갖고 살던 그 정신이야말로 21세기의 사람들이 가져야할 정신이 아닌가 싶음
@user-oe8lz9bb8z
@user-oe8lz9bb8z 4 жыл бұрын
좋으신 말씀입니다!
@asdasdasdww6001
@asdasdasdww6001 3 жыл бұрын
한번 루게릭 병 걸려봐 그딴 소리할 수 있나
@user-vt9en1fx7b
@user-vt9en1fx7b 3 жыл бұрын
@@asdasdasdww6001 말뜻부터 이해바람^^
@asdasdasdww6001
@asdasdasdww6001 3 жыл бұрын
@@user-vt9en1fx7b 아무튼 혼자 그 정신 잘 간직하셈.
@user-vt9en1fx7b
@user-vt9en1fx7b 3 жыл бұрын
@@asdasdasdww6001 갑자기 ㅅㅂ 시비쳐걸고 있네?ㅋㅋ 내앞에서 그말 싸재끼나 보자 만날까?
@user-ol7oi7hw5s
@user-ol7oi7hw5s 4 жыл бұрын
8:58 ㅅㅂ 이게뭐라고 눈물이고이냐 항상 실패자라생각하면서 사지멀쩡한채로 될대로되라식으로 살고잇는 내자신이 부끄럽네
@striker7345
@striker7345 4 жыл бұрын
지금부터는 포기하지 마세요.
@zihasoo
@zihasoo 4 жыл бұрын
나랑 같네.....
@swanblue5335
@swanblue5335 3 жыл бұрын
응? 쓰신글 보니 실패자도 아니시고 될대로 되라는 식으로 사신거 아닌데! 그리사셨음 못 울것 같은데.... 그냥 남들보다 다양하고 많은 생각으로 내적 갈등이 좀 많으셨던거라 감히 추측해 봅니다. 행복하세요.
@user-hh6zd6xq2x
@user-hh6zd6xq2x 3 жыл бұрын
많이 힘들었군요 눈물이 난거보니... 님은 멋진 사람인거같네요 자신을 과소평가하지마세요 지위나 돈으로 그사람을 평가하는건 잘못된거에요 인성이 아름답다면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에요 ㅡ♡캣맘이ㅡ
@sophiaj9995
@sophiaj9995 3 жыл бұрын
무엇이든 포기말고 반복 계속하면 되요 단순하지만 엄청난 위력이 있읍니다
@fanPDstudio
@fanPDstudio 4 жыл бұрын
무슨말인지 당최 알아들을수 없는 문과지만 그대와 같은 시대에 살았음에 감사합니다.
@user-rq8bl9kk4h
@user-rq8bl9kk4h 4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우리가 포기하지말고 호기심을 키우라는 말 안들리세요
@user-iy9ts7dn3w
@user-iy9ts7dn3w 4 жыл бұрын
@바바바 ㅇㅈㅋㅋㅋㅋㅋ ㅅ ㅂ 고등학교 과학 나름 존나 열심히 했는데 뭔 개소린지 모르겠음 ㅋㅋㅋ
@minorleg
@minorleg 4 жыл бұрын
@@user-iy9ts7dn3w 뭔 고등학교 과학으로 ㅋㅋㅋㅋㅋㅋㅋ 그냥 지나가려했는데 개웃기네
@user-pc3mk1oy6w
@user-pc3mk1oy6w 4 жыл бұрын
@@user-iy9ts7dn3w 고등과학은 겉핥기도 안됩니다...ㅋㅋㅋㅋ
@user-su9je2mp2y
@user-su9je2mp2y 4 жыл бұрын
@@minorleg 초반에나오는 빅뱅이론이랑 우주가 부피만 팽창하고 질량만 일정하다는것과 상대성이론은 고1고2만 되도 아는데용 ㅎㅎ 물론 저는 그 이외에는 못알아들음
@h.t828
@h.t828 4 жыл бұрын
신이 밸런스 붕괴라고 루게릭 병을 주신건가.. 병만 없었다면 진짜...
@epp1948
@epp1948 4 жыл бұрын
@@Juyoung_ 너무 갔데이
@zi4434
@zi4434 4 жыл бұрын
@@Juyoung_ 너무갔다
@user-in5th1oj7d
@user-in5th1oj7d 4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은 오히려 병때문에 더욱 우주에 몰두할수있는 계기가 생긴것같아요.. 마지막 힘을 다해 사력을 다하듯이..
@user-in5th1oj7d
@user-in5th1oj7d 4 жыл бұрын
@@user-bv9yx3rw9m 사람마다 생각하는게 다를텐데.. 나는 내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댓글을 쓴건데 뭔 심보로 니가 나를 까내리는지 모르겠네.. 저사람이 진심으로 말한지 아닌지 니가 어떻게 아는건데 ㅋㅋ
@user-kx3qw2fv6s
@user-kx3qw2fv6s 4 жыл бұрын
@@user-in5th1oj7d 저분은 님말고 그 위에 너무 갔다 라고 한사람들보고 말한거아닐까요
@user-vv4vo8yk8n
@user-vv4vo8yk8n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쓰면 명언처럼 보인다." - 나-
@tkfkddo403
@tkfkddo403 3 жыл бұрын
@@user-qo6yt7uw6f ?
@Ahri-
@Ahri- 3 жыл бұрын
@@user-qo6yt7uw6f "느금마" - S. BYUNG SIN -
@NOHREH
@NOHREH 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먹보다" - 먹보m.b -
@hollymotherfk
@hollymotherfk 3 жыл бұрын
"함께있기에 아름다운." - 안개꽃
@Sempre_E_Solo_Porza_Inter
@Sempre_E_Solo_Porza_Inter 3 жыл бұрын
ㅗㅜㅑ - garłohej uwsaj -
@user-uj8jj9kp4e
@user-uj8jj9kp4e 3 жыл бұрын
진짜 어릴때 why인물책에서 호킹을 보면서 책마지막에는 아직까지 살아있다고 표현하면서 끝이 났는데 이 영상보고 이책을 보니까 뭔가 마음이 웅클해짐...
@user-nw4fd5sl9z
@user-nw4fd5sl9z 3 жыл бұрын
ㅇㅈ합니다....
@user-rs7pj2qh7q
@user-rs7pj2qh7q 2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rs7pj2qh7q
@user-rs7pj2qh7q 2 жыл бұрын
난사실who?만봄
@yls239
@yls239 8 ай бұрын
와 나도 봤는데ㅎㅎ😊
@user-cb2ow8gm8d
@user-cb2ow8gm8d 8 ай бұрын
헐 저도 그래서 어릴때 호킹 알게 됐어요..
@user-zg2oq6eu1q
@user-zg2oq6eu1q 4 жыл бұрын
내이름은 김망원
@user-gn7mp2gr1z
@user-gn7mp2gr1z 4 жыл бұрын
명언이죠
@suekyounglee3926
@suekyounglee3926 4 жыл бұрын
하나님의 은혜로 사신것을 그때 깨달으셨다면 하나님의 은혜로 많은것을 발견하신것을 하나님께 감사드려야할듯함다. 존경하는 스티븐 홉킨 박사님. 부디 천국에 계시길...
@JohnParker_02
@JohnParker_02 4 жыл бұрын
@@suekyounglee3926 왜 있지도 않은 존재를...
@user-tm1zp2db4s
@user-tm1zp2db4s 4 жыл бұрын
@@JohnParker_02 ...
@user-lv9qm5vf2b
@user-lv9qm5vf2b 4 жыл бұрын
@@JohnParker_02 ㅅㅂ비하발언?
@user-mm5up7gv6n
@user-mm5up7gv6n 4 жыл бұрын
8:43 이거 듣고 울컥했다.. 와 좋아요 700개 샌즈다!
@user-sexsexsexy
@user-sexsexsexy 4 жыл бұрын
오바떠시긴...위를보나 아래를보나 인생에바뀌는건없으니 앞을보셈 ㅋ
@user-mm5up7gv6n
@user-mm5up7gv6n 4 жыл бұрын
@@user-sexsexsexy 그거 ㄹㅇ 팩트긴 하네 왜 현타오냐 갑자기
@sunnyb4324
@sunnyb4324 4 жыл бұрын
@@user-mm5up7gv6n 울컥충 현타왔노? ㅎㅎ
@user-gc1to3xn2p
@user-gc1to3xn2p 4 жыл бұрын
ㅠㅠ
@hayeong686
@hayeong686 4 жыл бұрын
@@user-sexsexsexy 거기 뼈에요
@user-im3ni3ym7o
@user-im3ni3ym7o 4 жыл бұрын
76세의 나이가 젊은 건 아니지만 보면 비록 병이 있었지만 진짜 천재들은 세상을 빨리 떠나는거 같음
@yfantas6500
@yfantas6500 4 жыл бұрын
76세면 남자평균수명만큼 살았는데
@user-tr2ne9nm7y
@user-tr2ne9nm7y 3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아인슈타인도 76세까지사셨어요 ㄷㄷ
@goja425
@goja425 3 жыл бұрын
살만큼 살았구만 개소리누ㅋㅋ
@ryzenpro3637
@ryzenpro3637 3 жыл бұрын
@@goja425 그의미가 아니라 천재들은 아직 자연에 기여할게 많은디 빨리 죽는것..이 의미가 아닌가요
@user-uc5qb9vp8d
@user-uc5qb9vp8d 3 жыл бұрын
@@goja425 진짜 천하의 돌대가린가 말 뜻을 이해 못하네
@user-dh6mm2dc4d
@user-dh6mm2dc4d 3 жыл бұрын
0:17 문과 이과
@kjs829
@kjs829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user-vh5yq8qj8h
@user-vh5yq8qj8h 3 жыл бұрын
@내한국인생 여기까지네ᄉᄇ 낫다, 됐을텐데
@kr5854
@kr5854 3 жыл бұрын
@@user-vh5yq8qj8h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ks1185
@kks1185 3 жыл бұрын
@마 대구빠리 vf125 어디없나 가만히 있는 빌 게이츠는 왜 끌어들이냐ㅋㅋ 그보다 구독 정보 실화노?
@user-iv4mq4jo2s
@user-iv4mq4jo2s 3 жыл бұрын
@user-tz6vy2kt7l
@user-tz6vy2kt7l 4 жыл бұрын
항상 나보다 불편한 사람들이 그 불편함을 잊어내고 성공하네... 어쩌면 저들보다 내가 멀쩡하지 않은 사람인지도..진짜 남은 삶을 의미있게 살아야겠다....
@user-qj5nw4tx6d
@user-qj5nw4tx6d 4 жыл бұрын
@후생노동성 제정신이냐?
@user-tz6vy2kt7l
@user-tz6vy2kt7l 4 жыл бұрын
@Owin (뜨끔)
@nofeelappreciated
@nofeelappreciated 4 жыл бұрын
@厚生労働省후생노동성 ;;;;;;;;;;;;
@user-gu9zo5rf3y
@user-gu9zo5rf3y 4 жыл бұрын
순하!(순돌이하이라는뜻 방가워서 인사한거에요!이상한댓이라고 보지마세요ㅜㅜ)
@anon_ymous0417
@anon_ymous0417 4 жыл бұрын
@@user-gu9zo5rf3y 언급 노노해용
@ayp4390
@ayp4390 4 жыл бұрын
위인분들 말 들어보면 항상 나와 성공은 깊은 연관성이 있는거 같음... 노력한만큼 거머쥘 수 없는 세상이지만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는게 하나를 실패해도 다른 길은 열려있다고 말해주는거 같아서 안도하게 되고 즉흥적이게 됨
@TV-eq8wn
@TV-eq8wn 4 жыл бұрын
본인의 재능도 뛰어나야 그것이 노력과 합쳐져서 더 잘되는 것뿐.. 재능이 0이면 노력해도 안됨. 노력은 시간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재능은 한계가 없다는 것.
@ddd-zi8cd
@ddd-zi8cd 4 жыл бұрын
원래 인생은 수백개의 게임에서 몇가지 부분에서 이길 수 있다면 성공하는 구조
@gmail001man
@gmail001man 4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은 좀 다릅니다. 포기하지 않는한 실패는 없는거고, 다시말하면 죽을때꺼지 포기하지않으면 비록 이뤄내는게 아무것도 없어도 실패하진 않은겁니다. 말장난이 아니라 제 인생관입니다
@ayp4390
@ayp4390 4 жыл бұрын
@@gmail001man 헐 멋진 말이네요...제가 지금 가는 길이 매우 확실치 않고 헷갈리는데 포기 하지않고 실패하지 않는 인생...교훈 감사드립니다ㅠㅠ
@TV-eq8wn
@TV-eq8wn 4 жыл бұрын
@@gmail001man 뭐래 실패한건데ㅋㅋ 위인들 중에서 잘나가다가 그런식으로 지딴에 고집부리고 포기안하다가 망한 케이스가 한둘이 아님ㅋㅋ
@user-xe4mp6ru2i
@user-xe4mp6ru2i 4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은 역사적인 별이 되었다
@user-kj3er1ko3p
@user-kj3er1ko3p 3 жыл бұрын
스티븐호킹은 돌아가시기전 인류가 인공지능을 개발하는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셨습니다.
@ako_o
@ako_o 3 жыл бұрын
우려를 표명한 적은 있어도 개발을 하지 말라는 직설적인 얘기는 와전된 겁니다
@user-kj3er1ko3p
@user-kj3er1ko3p 3 жыл бұрын
제가 잘못알았군요, 죄송합니다 수정하겠습니다.
@yukip8312
@yukip8312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외계인은 존재한다고 했는데 찾아나서진 말라고도 하셨죠
@lazysociety8659
@lazysociety8659 3 жыл бұрын
@@yukip8312 이 광활한 우주에 생명체가 지구에만 있다고 생각하는 게 멍청한 사람이죠
@yukip8312
@yukip8312 3 жыл бұрын
@@lazysociety8659 그리고 우주가 하나가 아닐수도 있고요
@user-vd3os1ge4b
@user-vd3os1ge4b 4 жыл бұрын
0:16 문과 0:18 이과
@Llthoyhod
@Llthoyhod 4 жыл бұрын
구구구 ㅋㅋㅋㅋㄴㅋㅋㅋ미치겠네
@choco9017
@choco9017 4 жыл бұрын
ㅋㅋ
@user-gl9tz3vn6b
@user-gl9tz3vn6b 4 жыл бұрын
여자 표정 킬포 ㅋㅋㅋㅋㅋㅋㅋ
@waff1eyummy
@waff1eyummy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hellowow
@hellowow 4 жыл бұрын
0:2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표정보소
@miniboki
@miniboki 4 жыл бұрын
지구 온난화가 제일 큰 문제가 아니라 인류는 바이러스에 대비해야 한다 라고 하셨다고 방금 얘기 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뜨네ㅜ
@삼한
@삼한 4 жыл бұрын
ㄷㄷ 역시 지식인 이셨네 선견지명
@Awesome-im1sf
@Awesome-im1sf 4 жыл бұрын
빌게이츠도 바이러스에 대한 투자나 전에 바이러스를 겪고도 아직 미흡한게 문제라고 하던데 천재들은 다르긴하네요
@삼한
@삼한 4 жыл бұрын
@@Awesome-im1sf 지식인들은 소리치지만 우리와 그들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사람들한테 늦게 전달되네...
@Awesome-im1sf
@Awesome-im1sf 4 жыл бұрын
@@삼한 그렇죠 현실적으로 생각해보면 일반 시민들대부분은 돈벌고 살아가는데 바쁘지만 저런 사람들은 다른 생각을가지고 살아오기도 했지만 생활이 안정되었으니 더 다른 생각을 하며 살수 있어서 그런것 같아요
@alstjr3316
@alstjr3316 4 жыл бұрын
새로운걸 제시하면 미쳤다고하고 있던걸 제시하면 아무렇지않게 생각하고
@ChGb-qr5zx
@ChGb-qr5zx 3 жыл бұрын
루게릭병 진단 받고 길어야 2년이랬는데 55년이나 살다 2018년 하늘의 별이 되셨다죠... 우주는 당신의 위대한 업적과 삶의 의지를 영원히 기억할것입니다.
@isu0809
@isu0809 4 жыл бұрын
"Can you hear me?" 호킹이 연설을 시작하기전 매일 하던 말인데 처음엔 진심이었던 말이 당연하게 얘기하게 됐고 유머라고 소개하기도 했다죠
@user-cj5lm5ue4u
@user-cj5lm5ue4u 4 жыл бұрын
그의 업적도 엄청존경하지만 병을 짊어지고 힘든 삶을 사는 와중에도 자기가 하고싶은것을 이루었던 멋진그의 인생이 존경스럽다
@ybisang9862
@ybisang9862 4 жыл бұрын
사지가 마비되도 저런 위대한 업적을 남기는 사람이 있는데 나는 팔다리꺼츄 다 멀쩡한데 한게없다
@user-pt6bn4zm7s
@user-pt6bn4zm7s 4 жыл бұрын
저사람이 엄청나게 대단할뿐이지 저희가 못난건 아니죠 다르게 생각하면 저희는 저분보단 머리가 좋지않지만 적어도 할수있는것들은 더 많겠죠 저분은 제한된상태에서도 많은일을 한거구요
@Aespa_official1
@Aespa_official1 4 жыл бұрын
거북이 호킹도 애가 있을껄?
@user-wy5pp9th7y
@user-wy5pp9th7y 4 жыл бұрын
뇌가멀쩡하지 않으니까 ㅇㅈ
@bfrancisco8328
@bfrancisco8328 4 жыл бұрын
세팍타크로 심지어 불륜도 함 ㅋㅋㅋㅋ 그것도 두번이나
@bfrancisco8328
@bfrancisco8328 4 жыл бұрын
자기 담당 간호사였나랑 바람나고
@user-ef2il5nc1t
@user-ef2il5nc1t 3 жыл бұрын
루게릭 병이라는 병에 걸린 몸을 이끌고 천문에 대한 이런 업적들을 이루어 낸 호킹 박사는 정말 대단하고 존경스럽습니다. 몸이 불편한 와중에도 유머를 잃지 않고 살아갔던 모습을 본받고 싶고,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몸이 불편하지만 포기하지 않는 여러 사람들을 응원하고 싶습니다.
@user-gj6rr8rq3m
@user-gj6rr8rq3m 3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초등학생 저학년때 who책으로 접했는데 너무 감명받아서 존경하는 인물로 정했습니다. 2019년이었었나? 그쯤 스티븐호킹 박사님께서 별세하셨다는 소식에 너무 우울하고 생각이 없어졌습니다 현재 고2이며 한국사 수행평가때 스티븐 호킹 박사님을 존경하는 마음으로 ppt를 만들어서 수행평가하고 A맞았어요 우주에서 저를 봐주셨음 좋겠네요 Can you see me please see me
@user-fj4ym7mh4d
@user-fj4ym7mh4d 3 жыл бұрын
박사님께서 큰 우주속에서 바라봐주고 계실거에요:) 화이팅하세요!
@user-rd8yy4hc7q
@user-rd8yy4hc7q 3 жыл бұрын
2018년도에 별세하셨습니다
@muljomjuso
@muljomjuso 3 жыл бұрын
Why 아닌가여?
@user-gj6rr8rq3m
@user-gj6rr8rq3m 3 жыл бұрын
@@muljomjuso 인물책은 who였어요
@user-gj6rr8rq3m
@user-gj6rr8rq3m 3 жыл бұрын
@@user-rd8yy4hc7q 그렇군요..벌써..
@user-tb4ed9mu7n
@user-tb4ed9mu7n 4 жыл бұрын
초등학생때 시작과 끝에 대해 엄청 궁금했었는데 우주가 생겨난 원인이 신에 의한 창조라 가정하면 그 신은 어떻게 생겨난건지 사람이 죽으면 어떻게 되는지 어릴때는 철학적이었는데 나이 처먹어 갈수록 오늘 뭐먹지 회사 가기 싫다 빨리 주말와라 술먹어야지 존나 단순하게 살게 되버렸네..
@sbc7399
@sbc7399 4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알아봐요 제 생각엔 환경을 탓한다는 것은 이미 그것을 할 마음이 없다는 것으로 보이네요 물론 아니면 저는 -꼰- 으로 남겠죠
@psang2367
@psang2367 4 жыл бұрын
초딩땐 그런거 생각할 시간이 있으니깐ㅋㅋㅋ 어른될수록 그딴 쓸데없는 생각 할시간에 다른거 하지
@user-wn1dt0wh4a
@user-wn1dt0wh4a 4 жыл бұрын
디울 니 말대로하면 스티븐 호킹은 평생 쓸데없는 생각만 하다가 얼떨결에 성공해버렸노ㅋㅋㅋ
@user-fr2yh4in9i
@user-fr2yh4in9i 4 жыл бұрын
오 이거 진짜 인정이용
@user-xh2jz6xi3c
@user-xh2jz6xi3c 4 жыл бұрын
근데 시작과 끝에 대해 너무 깊게 파고들려 하면 약간 허무해지거나 두려운 상태로 불안하게 생활하실 수도 있어요. 저는 단순하든 뭐하든 행복하게 사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다만 시작과 끝에 대해 알아가는것이 행복하다고 느껴지신다면 그것도 정말 훌륭하죠!
@asrai215
@asrai215 4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인생을 보고있을때 저분은 세상을 넘어 우주를 보고있었네 우리가 아무리 봐도 모르는 우주의 답을 혼자 평생 풀고 계셨네
@user-qp7vi7zu8d
@user-qp7vi7zu8d 4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no6er2fq6c
@user-no6er2fq6c 4 жыл бұрын
여기 댓글중 가장 와닿네
@user-wy7ck2lg2o
@user-wy7ck2lg2o 4 жыл бұрын
(울컥)
@user-wh6cb5dw4c
@user-wh6cb5dw4c 3 жыл бұрын
아무런 움직임도 없는데 말이 전달되는 것도 신기하지만 저런 기계를 만든 사람도 천재네
@user-wh6cb5dw4c
@user-wh6cb5dw4c 3 жыл бұрын
@@user-ey9rv6dn1v 맞아요
@user-fe1wb7wd2v
@user-fe1wb7wd2v 3 жыл бұрын
동감‥
@MrWaterpolo251
@MrWaterpolo251 3 жыл бұрын
저시대때 저정도 기술이면 지금 언어쟁애가 있을까요?
@공략
@공략 3 жыл бұрын
사실 그럴듯한 개소리 일지도 모름 ㅋㅋㅋ 아니라고 말도 못하고 어쩔꺼여 ㅋㅋㅋㅋㅋ
@user-wh6cb5dw4c
@user-wh6cb5dw4c 3 жыл бұрын
@@공략 헉 맞네요 그럴수도 있겠네요 누구든 모르니까 우와 님 대박
@user-kf9pm6uz4y
@user-kf9pm6uz4y 3 жыл бұрын
"발 밑을 보지말고, 하늘의 별을 올려다봐라" "아무리 힘들더라도 스스로가 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3geek
@3geek 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wd3ii2xs8x
@user-wd3ii2xs8x 4 жыл бұрын
저런 분과 동시대에 살아있어서.. 영광입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것: 포기하지 않은 것
@user-fx2py7cw8c
@user-fx2py7cw8c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저도 동감합니다😄 포기하지 않는 것...!!
@user-kg7nq5ek2w
@user-kg7nq5ek2w 4 жыл бұрын
몸에 마비가 왔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노력하는것이 정말 존경 할 만한 인물인거 같습니다.
@user-ij1ki1gw4x
@user-ij1ki1gw4x 4 жыл бұрын
8:37 내가보려고만든 시간대
@user-jd6ln1lj7i
@user-jd6ln1lj7i 4 жыл бұрын
저는 스티븐 호킹도 호킹이지만 생각을 말로 바꿔주는 저 기계가 너무 신기하더라구요 어떤 원리지..
@iivv5413
@iivv5413 4 жыл бұрын
동영상 첨부터 봐라
@tv-ns7le
@tv-ns7le 4 жыл бұрын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것이 아닌 볼에 미세한 움직임으로 말을 하는 거랍니다
@user-me1no4cm7v
@user-me1no4cm7v 4 жыл бұрын
그게 가능?
@MADunknown666
@MADunknown666 4 жыл бұрын
냥돌이석공 안되면 저 기계가 떠들고 있겠냐?
@user-bd9wn4ht7k
@user-bd9wn4ht7k 4 жыл бұрын
@@MADunknown666 그럴수도잇지까능성이업는건아니야^^
@user-mg2si3zh2p
@user-mg2si3zh2p 4 жыл бұрын
이런 연설도 언잰간 어느학교 영어 외부지문으로 쓰이겠지...
@user-gv1bo9ec9z
@user-gv1bo9ec9z 4 жыл бұрын
감동 와장창
@user-th8xf7oz4o
@user-th8xf7oz4o 4 жыл бұрын
내 감동 돌리도....
@HosPital-gd2yu
@HosPital-gd2yu 4 жыл бұрын
좋긴하지만.. 음.. 분명 좋은건데 왜 좋지가 않냐
@unade7645
@unade7645 4 жыл бұрын
지겨우니까요
@user-mh6nf1mt8i
@user-mh6nf1mt8i 4 жыл бұрын
@@HosPital-gd2yu엉터리 문법 이상하게 조합해서 호킹 연설인지도 모를듯
@whoau2149
@whoau2149 4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 학자님. 공학 계열을 공부하는 학생이기에 강의 내용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순 없었지만, 그저 이런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시대에 제가 있다는 것에 감사함을 느꼈습니다. 어렸을 적 학자님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을 땐 그저 대단한 위인이시겠거니 생각했습니다. 제게 있어 가장 큰 착각이었구요. 최선을 다하고 포기하지 않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i6sd2pi7m
@user-pi6sd2pi7m 2 жыл бұрын
이게 몇십년이 지나면 마치 근의공식처럼 증명을 거치지않고 학생들 뇌에 주입되겠지
@user-by1ts9zv7y
@user-by1ts9zv7y 2 жыл бұрын
@@user-pi6sd2pi7m 근의 공식 증명 교과서에 나와있음 양변에 4a곱하고 b^2 더한뒤 4ac 넘겨서 x에 한 일차식 만드는 거잖음
@user-pi6sd2pi7m
@user-pi6sd2pi7m 2 жыл бұрын
@@user-by1ts9zv7y ㅈㅅ 수학사등급이라 못보느ㅡㅅ
@user-tp5rb7ug6m
@user-tp5rb7ug6m 8 ай бұрын
​@@user-pi6sd2pi7m학교에서 증명도 다 배운다..까먹어서 그렇지 글고 식을 사용할때 모두 증명을 기억하고 쓸 필요는없지 한번 정도 볼필요는있어도
@user-fm6cu5nc6f
@user-fm6cu5nc6f 3 жыл бұрын
지구를 떠날생각말고 지구를 원상복귀시킬생각했으면 좋겠다.. 자연이 회복돼고 온난화를 진행 못하게 완화시키게끔
@user-rj6ct8uz3n
@user-rj6ct8uz3n 3 жыл бұрын
그게 불가능 하니까 그런 선택을 하지 않았을까..? 한명이 열심히 지구를 회복시키는 와중에 또 한명은 더 악화되게 만들고 있을지도 모르지 모두 한마음 모아서 지구를 지켜야 하는데 가능할까
@user-dv9ln3he6w
@user-dv9ln3he6w 3 жыл бұрын
산업발전의 대가임
@simonkim9887
@simonkim9887 3 жыл бұрын
둘다 중요한 부분임
@user-lf6yq4pc5c
@user-lf6yq4pc5c 3 жыл бұрын
지구를 지킬수 있는 유일한 방법=저출생임.. 애를 안낳아야 환경파괴가 조금이나마 억제됨.
@user-cp6jr7wx1e
@user-cp6jr7wx1e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엄청 큰게 지구로 날라온다던가
@cookie_650
@cookie_650 4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이라는 대단한 천재와 짧지만 같은 시대를 살았다는게 큰 영광이였다
@user-sg7ku5rq7h
@user-sg7ku5rq7h 4 жыл бұрын
당신도 스티븐호킹만큼, 아니 더 밝게 빛날수있습니다. 그런 사람이 되어주세요. 제발요.
@raytv8109
@raytv8109 2 жыл бұрын
@@user-sg7ku5rq7h 아인슈타인 이후 최고의 과학자인데 그런 사람이 한 세대에 한 명씩만 나타나도 인류의 발전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감
@panzer8672
@panzer8672 2 жыл бұрын
@@user-sg7ku5rq7h 스티븐호킹처럼 큰시련이 온다 한들 그걸 이겨내기만 해도 좋은삶 산거에요
@raytv8109
@raytv8109 2 жыл бұрын
@cristKJ 그런데 그랬으면 좋은데 당장 우리나라부터는 이런 기초 과학, 과학보다는 단순히 돈 많이 벌는 직업을 원해서 우리나라는 당분간은 안 될 것 같음
@user-kd6ro2ht6o
@user-kd6ro2ht6o 4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 어릴때부터 위인전보면서 대단한 사람이다라고만 생각했는데 크면서 그를 보고 느낀걸 말하기에는 존경스럽다라는 말이 부족한 말인거같다. 삼가고인의 명복을빕니다
@GBDSJD
@GBDSJD 3 жыл бұрын
사후세계 없다 믿는 호킹에게 명복을?!
@user-sc7bf9uw4f
@user-sc7bf9uw4f 3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시고 존경스럽다. 저렇게 큰업적으로 이름을 남기시고 그로인해 감동을 주고 가는 삶을 사신 자체가 경이롭다.
@user-wz5tv5cn1j
@user-wz5tv5cn1j 3 жыл бұрын
역사적인 인물고 한 시대에 같이 살았다는 것이 믿기지 않고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다"는 말이 인상깊었습니다. 항상 이 말을 마음속에 새기며 살아가겠습니다 !!
@user-abcd12346
@user-abcd12346 4 жыл бұрын
09:00 삶이 아무리 힘들어 보일지라도, 여러분이 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는 무언가는 항상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fi6zr6wv6n
@user-fi6zr6wv6n 4 жыл бұрын
ᄋᄋ 느금마
@jeeeunkang6960
@jeeeunkang6960 4 жыл бұрын
@@user-fi6zr6wv6n ㅁㅊ
@KSJ12345
@KSJ12345 4 жыл бұрын
응 아니야 힘들면 계속 힘들어 희망은 없어
@user-it3gb5fh4h
@user-it3gb5fh4h 4 жыл бұрын
@@KSJ12345 최소한 너의 희망은 없어보인다
@Heart_Run
@Heart_Run 4 жыл бұрын
포기할건 포기해야지
@user-yanghyuk77
@user-yanghyuk77 4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박사님을 책에서 보면 19××년~현재 라고 써져있었는데... 이제 바뀌네요... (우와..! 좋아요 1000개..)
@슈나칸
@슈나칸 4 жыл бұрын
이제 2018 3월 14일 까지 ㅠㅠ
@user-yanghyuk77
@user-yanghyuk77 4 жыл бұрын
@@슈나칸 그러게요...
@user-dv4jd2lg3w
@user-dv4jd2lg3w 4 жыл бұрын
ㅠㅠ
@sharky2296
@sharky2296 4 жыл бұрын
벌써 돌아가신지 2년....
@user-yanghyuk77
@user-yanghyuk77 4 жыл бұрын
@@sharky2296 벌써 그렇게 됐네요..
@user-yh2ed4mw2f
@user-yh2ed4mw2f 3 жыл бұрын
진짜 슬프다... 저렇게 멋지신 분이 안타까운 일이 갑작스럽게 일어나니까... 나같으면 무서워서 살지도 못하겠는데.. 강연 시작할때 계속 자기목소리 들리냐고 물어봐주는거부터 정말 착하신분같고 저분이 애초에 계시지 않으셨으면 우리 천문학은 이렇게 발전할수도 없었다 ... 일반상대성이론.. 진짜 물리에서 가장 좋아하는 부분.. 멋지세요 ... 비록 우주로 돌아가셨지만 앞으로 후손들이 많은 연구를 통해 더 많은걸 얻게되겠죠...
@user-rp2zv6js6p
@user-rp2zv6js6p 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진짜 명언이다.. 새벽감성으로 보니 소름돋네
@bluecouple
@bluecouple 4 жыл бұрын
8:14 지구의 수명을 천년미만으로 보고 있는 거구나...
@user-um1sk5qf7n
@user-um1sk5qf7n 4 жыл бұрын
어쩌면 우리가 지구의 수명을 1000년미만으로 만들고 있는걸지도..
@acpteam941
@acpteam941 4 жыл бұрын
@@user-um1sk5qf7n 그건 당연한거고...;;
@ijin01
@ijin01 4 жыл бұрын
@@user-ew4tt4hj9d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냐, 없냐의 기준
@bkim0123
@bkim0123 4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런 영상에 이딴 쓰레기같은 링크좀 달지마요 극혐이네;; 님들 이거 클릭하지마세요
@ijin01
@ijin01 4 жыл бұрын
@@bkim0123 해킹당한 계정 프로그램 돌려서 아무데나 댓글다는거예요. 화내봤자 입만아픔
@goodafternoonbro
@goodafternoonbro 4 жыл бұрын
긱블도, 별을 보세요.
@dpfmfflgl
@dpfmfflgl 3 жыл бұрын
같은 시대에 살았다는 것으로 영광으로 생각 합니다. 인류를 위해 업적을 남겨 주셔서 감사합니다. 편히 쉬시길...
@user-bu4mr8wy9o
@user-bu4mr8wy9o 8 ай бұрын
이렇게 보니까 뭔가 몸은 진짜 껍데기에 불과하고 정신이 인간자체인거 같다는 갱각이 드네,, 몸에 갇혀서 나오지 못하는 정신의 모습같음,,
@isaaclee6719
@isaaclee6719 4 жыл бұрын
충격적인말. 포기하지말라. 이분이 하니까 더 와닿네요.
@user-ce3hf9vu1y
@user-ce3hf9vu1y 4 жыл бұрын
편안한 밤이 되셨기를...
@Awesome-im1sf
@Awesome-im1sf 3 жыл бұрын
중력 경험하실때 진짜 순수한 즐거운 표정 ㅜㅜ
@user-ex3wd8ny1b
@user-ex3wd8ny1b 3 жыл бұрын
저희아빠도 루게릭이신데 스티븐호킹박사처럼 의사표현이 가능하면 바랄게없겠네요.. 스티븐호킹박사 너무대단하고 존경스럽습니다..
@user-kt4wu8un5x
@user-kt4wu8un5x 3 жыл бұрын
@@user-xi7uk8zr1s 이야 저게 속이는거라고 생각이될수가있구나..ㅋ
@jeongjin_official
@jeongjin_official 4 жыл бұрын
아무 연고가 없어도 사람을 위해 모든 열정을 쏟아부으신 위인을 보면 존경심이 든다
@user-sd1sm6qr1p
@user-sd1sm6qr1p 4 жыл бұрын
이런 좋은 강연을 핸드폰따위로 누워서 보다니 ㅠ ㅠ 세상 좋습니다..
@supima30s91
@supima30s91 3 жыл бұрын
따위?
@user-cd1yg8ph6d
@user-cd1yg8ph6d 3 жыл бұрын
잡스한테 다말해 !!
@6-842
@6-842 3 жыл бұрын
@@supima30s91 *핸드폰따위*
@user-dj6tb2yz4u
@user-dj6tb2yz4u 3 жыл бұрын
마자요ㅎㅎ
@user-jh5wg7mn8t
@user-jh5wg7mn8t 2 жыл бұрын
먼훗날에 이 좋은 영상을 우주에서 호킹이 말한 천문현상을 직접 눈으로 보면서 공부자료로 볼 수 있는 시대가 오길 ...
@user-cs4dv4nf3v
@user-cs4dv4nf3v 3 жыл бұрын
나는 스티븐 호킹의 업적이고 뭐고 간에 제일 충격적인건 몸이 저런데도 불구하고 우주에 가는 훈련을 받았다는거다... 보통사람이면 어차피 지구에서 죽을테니까 저런 훈련을 받는다는건 생각도 안했을텐데.. 얼마나 앞선 사람인지를 알 수 있는 부분이었다.
@user-gx4yz1dd5v
@user-gx4yz1dd5v 3 жыл бұрын
우주에가는훈련이요?... 진짜 대단하네요.... 스티븐호킹은 몸이기적일까요 .... 비극을..희망으로바꾸는...
@user-hq7hf8rn8v
@user-hq7hf8rn8v 3 жыл бұрын
와 ㄷㄷ 스티븐 호킹 몸 상태면 진짜 하다가 죽을수도 있었을 것 같은데 ㄷㄷ
@inesshapp5697
@inesshapp5697 3 жыл бұрын
ㅠㅠ정말 대단하신 분..
@user-cz3yg3yw7b
@user-cz3yg3yw7b 4 жыл бұрын
순간의 좌절도했지만 어려운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않고 끝까지달려와주신 호킹님께 정말감사하다고 생각합니다
@ldg970
@ldg970 4 жыл бұрын
8:20 맞아요. 또한 호킹 박사님은 생전에 "우주에 사는 생명체들은 우리와 같은 또다른 고등 생명체들이 당연히 존재한다. 단지 우리처럼 남의 별에 편하게 거주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을뿐"이라는 말도 남겼으니.
@AnikoM374
@AnikoM374 4 жыл бұрын
우리보다 고등생물인데 당연히 다른별에 갈수있는 기술은 있겠죠.
@user-zl1jd7yj9p
@user-zl1jd7yj9p 4 жыл бұрын
@@AnikoM374 우리말고 고등생물이라는데 우리보다 고등생물이라고 해석을 해버리시네.... 우리말고 고등생물=우리와 같은 또다른 고등생물
@user-nv8zz8mb8i
@user-nv8zz8mb8i 4 жыл бұрын
@@AnikoM374 난독증잇나 ㅋㅋ 글좀 제대로 이해하자
@AnikoM374
@AnikoM374 4 жыл бұрын
@@user-nv8zz8mb8i 말 참 싸가지없게하네 부모님이 안계셔서 고아원에서 자라셨나요? 이해하겠습니다.
@user-nv8zz8mb8i
@user-nv8zz8mb8i 4 жыл бұрын
@@AnikoM374 삼도수군통제사
@user-fp9be1cu1d
@user-fp9be1cu1d 4 жыл бұрын
언젠가 사람들이 지구를 떠난다면 그건 그거대로 슬프네
@davidquarson4592
@davidquarson4592 3 жыл бұрын
그상황까지 온다면 인류의 마지막 희망이자 마지막 도전일듯
@777bambam
@777bambam 3 жыл бұрын
@@davidquarson4592 이미 활발히 떠난 이후 남아있는 사람들의 마지막 탈출 일듯
@user-ss1hy1pc5w
@user-ss1hy1pc5w 3 жыл бұрын
그때 살아보고싶네 궁금함..
@777bambam
@777bambam 3 жыл бұрын
@@user-ss1hy1pc5w 멀리서보면 희극이죠
@user-sk8nj3ps3t
@user-sk8nj3ps3t 3 жыл бұрын
삶이 아무리 힘들어 보일지라도 여러분이 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는 무언가는 항상 있습니다. 중요한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 입니다. 힘내세요.
@user-yn2dr7sb7p
@user-yn2dr7sb7p 3 жыл бұрын
저렇게 힘든 상황을 극복한 사람이 하니까 말의 무게가 다르다. 아주그냥 묵직하구만!
@istp_a
@istp_a 3 жыл бұрын
진짜 끈기랑 인내가 제일 중요한듯.. 결과가 어떻든 간에 열심히 해온 그 과정이 더 만족스러울 것 같음
@user-pk5lv4pw4y
@user-pk5lv4pw4y 4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이 쓰는 음성합성시스템 원리가 궁금합니다
@user-qq8rm1kh5h
@user-qq8rm1kh5h 4 жыл бұрын
검색하면 나오는데 안면근육의 조그마한 움직임으로 단어목록중에 단어 선택해서 조합하는거임 나중엔 그것도 힘들어서 ㅈㄴ느렸다고함
@user-qq8rm1kh5h
@user-qq8rm1kh5h 4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f5WQiKioicupn7s
@user-pk5lv4pw4y
@user-pk5lv4pw4y 4 жыл бұрын
서원 오ㅎㅎ 감사해요 예전에는 뇌파로 하는건가 생각했는데
@tundramessier
@tundramessier 4 жыл бұрын
@@user-qq8rm1kh5h 이전에 긱블에서 루게릭 병 환자분을 위해 아이트래커로 장치 만들어서 소통 가능하게 해주셨던 방식과 비슷하네요 kzbin.info/www/bejne/mnS4nYacmphga80
@user-ti7uj7qz4s
@user-ti7uj7qz4s 4 жыл бұрын
@@Schroodinger_s_water_deer Wls...ㅠ
@ss00900
@ss00900 4 жыл бұрын
내가 호킹님이 돌아가셨다는 기사를 본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2년이라니...
@nanakim5117
@nanakim5117 3 жыл бұрын
스티븐호킹 박사님 강연 마무리 말씀 진짜 감동적이었어요. 역시나 멋지신 분이네요.
@koreanroc
@koreanroc 7 ай бұрын
그의 인생이 하나의 행성이자 우주였다. 언제가는 사라질 행성이지만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빛을 잃지않으려 노력한 하나의 별. 존경합니다.
@Sup-yt8rk
@Sup-yt8rk 4 жыл бұрын
나는 우주에 대해 공부하다가 하면 할수록 너무 과학적인게 무서워서 지금껏 피했는데, 막상 하면 호기심있고 재미도 있지만 또 덜컥 무서워지고... 그런데 끝까지 우주에 대해 연구하고 많은 것을 밝혀내신 박사님이 존경스럽습니다. 우주는 저희 인류의 기원이자 저희가 살아가는 곳 그리고 후대 인류가 앞으로 살아갈 곳으로 모두가 알아야 하는 곳입니다.
@powerajw1163
@powerajw1163 4 жыл бұрын
당신이 하늘을 볼수있어 우리는 진보했고 묵묵히 아래를 보며 삶을 살아간 사람들 덕분에 현재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또 다른 천재가 새로운 세상을 보여줄꺼라 믿습니다.
@user-dv5hm5cs8n
@user-dv5hm5cs8n 3 жыл бұрын
고개를 들어서 별을 보고싶은데 현실에 짓눌려 고개를 들기 힘들고 어찌어찌 고개를 들어보면 하늘엔 별이 보이지 않네요
@user-cv2wg6wz4f
@user-cv2wg6wz4f 4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박사님...
@user-go2mz2ym2t
@user-go2mz2ym2t 4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위인전보면 빠지지않았던 분.. 당신과 동시대 살아 영광이었습니다..
@StorkJ
@StorkJ 4 жыл бұрын
난 호킹박사님이 언론에서 툭하면 뭐했다길래 당연한건줄 알았고 계속 살아계실줄 알았죠.. 이래서 익숙함에 속아 소중함을 잃어버리지 말자고 하는거였네요.. 감사 합니다 박사님
@user-cz9ps1dv6b
@user-cz9ps1dv6b 4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님의 위인전 어렸늘때 부터 정말 많이 읽었었는데 볼때마다 대단하다고 느꼈습니다 어느날 뉴스에 돌아가셨다고 나왔을때 믿기지 않았습니다 정말 책을 읽을때마다 존경했었고 '나도 희망을 잃지않는 멋진사람이 되야지'하는 다짐을 주셨어요 감사합니다
@striker7345
@striker7345 4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됬어요?
@jdsjds7
@jdsjds7 4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이번 재수생으로 지구과학에 천체가 빠지고 우주 관련 내용이 많이 들어왔는데 훨씬 더 유익하고 좋은것 같습니다 재미도 있고요! 덕분에 소소하게 호킹 박사님께서 설명해주신것도 재밌게 이해하고 갑니다!
@user-em8nl8fy3y
@user-em8nl8fy3y 3 жыл бұрын
결과가 궁금합니다..! 작수 지1 어떠셨나요?
@user-fz8vu7tr2d
@user-fz8vu7tr2d 4 жыл бұрын
이런강의를 더이상 듣지 못한다는 현실이 많이 슬픕니다 호킹 박사님의 명복을 빕니다
@GBDSJD
@GBDSJD 3 жыл бұрын
호킹은 사후세계를 믿지 않으셨으니 명복을 비는건 실례 아닐까요?
@hiuhriul
@hiuhriul 4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 진짜 대단함
@user-ud7ej8up2c
@user-ud7ej8up2c 3 жыл бұрын
잘보구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gw9gd4hr4u
@user-gw9gd4hr4u 3 жыл бұрын
진짜 안타깝다 마비만 안 오고 건강하셨으면 진짜 더 엄청난 천재가 됬을텐데ㅠㅠ 더 많은 것을 알아내고 다시 태어나신다면 건강히 사세요
@user-rd4gi6ie8j
@user-rd4gi6ie8j 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마비가 와서 역사에 남을 인물이 된 거 일 수도 있다고 봅니다. 윤동주 시인이 일제강점기를 겪음으로서 뛰어난 시집을 창작한 것처럼 역경을 만나 극복한 결과물이라고 생각합니다
@seowall0210
@seowall0210 2 жыл бұрын
@@user-rd4gi6ie8j 명언이네요
@wchack.3162
@wchack.3162 2 жыл бұрын
몸이 문제가 아니라 생각의 차이 입니다..생각을 바꾸면 우리 인생을 바꿀수 있어요 ...자 오늘부터 시작 합시다..천천히 노력만 하면 이세상 안될께 없어요..화이팅
@user-zg9bb3ib7h
@user-zg9bb3ib7h 2 жыл бұрын
@yenkim1071
@yenkim1071 8 ай бұрын
ㅜㅜ 우린 항상 최선의 삶을 살고 있음 더 나은 삶 같은 건 없다
@user-lr7hp4ib4d
@user-lr7hp4ib4d 4 жыл бұрын
이런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많은일을 해내신 스티븐호킹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user-kk6gl6ux8d
@user-kk6gl6ux8d 4 жыл бұрын
호기심을 가지란 말이 나를 다시 어리게 만들어 주네요 호홓..
@user-hg7vz3cd4d
@user-hg7vz3cd4d 3 жыл бұрын
세기에 한분 나올까 하는 분이죠.. 원서도 사서 읽었어요 정말 대단한 분입니다
@user-pn8so6yl9v
@user-pn8so6yl9v Жыл бұрын
공황장애로 죽음의 두려움에 직면할때마다 박사님 말씀을 들으면 위안이 됩니다 원자로 다시 돌아가는 죽음에 의연하고 싶네요
@user-zc1tg3xs7q
@user-zc1tg3xs7q 4 жыл бұрын
연필과 펜이없어도 논문까지 쓰는사람이있으니 우리는 핑계대지말고 공부.... 할수 있었다면 참 좋았을텐데
@MyJJuu33
@MyJJuu33 4 жыл бұрын
인정 그렇게 됬으면 좋겠는데 노는건 잘? 귀찮은가?
@aschente3297
@aschente3297 4 жыл бұрын
그나저나 스티븐 호킹이 내는 논문에 나오는 천문학적인 수의 수식들 계산한 사람들은 누굴까... 대가리 깨졌을듯 ㅋㅋㅋ 호킹:" 이거 맞나 계산해봐." 제자들:" 네..."
@ghp5774
@ghp5774 4 жыл бұрын
@@MyJJuu33 왜 두번쓰시죠?
@MyJJuu33
@MyJJuu33 4 жыл бұрын
@@ghp5774 걍 내맘 왜 꼬우심?
@ghp5774
@ghp5774 4 жыл бұрын
@@MyJJuu33 드립모르심?ㅋㅋ
@user-ey1kb8co2s
@user-ey1kb8co2s 3 жыл бұрын
호킹은 진짜 천재..👍
@pangpang2277
@pangpang2277 3 жыл бұрын
중요한건 포기하지않는거라..멋진말씀입니다
@user-vu6pc8ir5j
@user-vu6pc8ir5j 2 жыл бұрын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하면덕볼일이생긴다네요 ~^^ 덕되는일들이많이있으시길바랍니다 ~^^ 뜻하시는일들~^^ 잘이루시길바랍니다
@ohjienprincess
@ohjienprincess 3 жыл бұрын
진짜 내눈앞에 역사 세계사에 있을법한 호킹 박사님 발자취부터 돌아가신전까지 책으로 엄청 많이 봤는데ㅠㅠ 너무 멋있어요ㅠㅠㅠ
@youngyicify
@youngyicify 3 жыл бұрын
젊었을때 시간의 역사라는 책을 읽고 생각의 범위가 넖어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위대한 학자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sunshine-ww6sh
@sunshine-ww6sh 3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user-yb8cb7nc1r
@user-yb8cb7nc1r 3 жыл бұрын
감동적이고 존경합니다^^
@user-uj1re2hs7v
@user-uj1re2hs7v 2 жыл бұрын
한 인생을 인류문명의 과학 발전을 위해써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존경하고 저의 롤모델 이십니다 저도 언젠가 이 인류 발전의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싶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user-cw8gg2hi6p
@user-cw8gg2hi6p 4 жыл бұрын
이런분과 동일한 세기에 살면서 아무것도 할수없다는게 절망적이닼ㅋ
@user-fl3my7yz1m
@user-fl3my7yz1m 7 ай бұрын
역시 호킹박사님이 설명하시니까 귀에 쏙쏙들어 오네요 이 강의 듣고 내일도 힘내서 배달 열심히 하겠습니다
@user-hh9dl9zu8o
@user-hh9dl9zu8o 3 жыл бұрын
1초도 눈을 뗄 수가 없었습니다. 좋은 영상 공유해 줘 고맙습니다.
@user-gp2xc8ws8w
@user-gp2xc8ws8w 4 жыл бұрын
8:47 와 명언이다. 보자마자 우리나라학생들이 생각났다. 땅만보고걷는학생들의 모습 나도 학생(?)이지만 이 말을 보고 내가 어떻게 돌아다니지는생각해본다. 매일 저녁 학원에서 돌아올때 땅을 보는지 하늘을 보는지... 하늘을 보고 별을 봅시다. 밤하늘에 별을 보면 내가 얼마나 작은존재인지 알게됩니다. 그리고 별들의 반짝임을 보면 저 큰별도 에너지를 방출할려고 노력하는데 나도 노력해야지 생각이 듭니다.
@hahhhhhhhhhh
@hahhhhhhhhhh 4 жыл бұрын
그럼 넘어져요
@byungsin3579
@byungsin3579 4 жыл бұрын
@@hahhhhhhhhhh 내 감동내놔
@user-xx1kx6ym3r
@user-xx1kx6ym3r 4 жыл бұрын
근데 그마저도 안보여... 별이 다 죽었냐..-
@user-uo7jv8bz9b
@user-uo7jv8bz9b 4 жыл бұрын
@@hahhhhhhhhhh 아니ㅋㅋㅋㅋㅋㅋㅋㅋㅋ내감동
@whatshouldeyedo
@whatshouldeyedo 4 жыл бұрын
미세먼지..
@user-nz8bm2es2u
@user-nz8bm2es2u 4 жыл бұрын
8:43 하늘을 보며 별을 보고싶지만 망할 미세먼지때문에.....
@Genshin__Impact
@Genshin__Impact 3 жыл бұрын
어차피 한국인은 대부분은 도시 살아서 잘해봤자 별 30개정도 밖에 못봄
@user-iv8nh3nj8e
@user-iv8nh3nj8e Жыл бұрын
위대한 사람 천재 스티브호킹~~~ 건강한 자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많이 생각하게 하네요 감사합니다
@Welike2party
@Welike2party 3 жыл бұрын
🎉조회수 300만 축하🎉
ISS Tour: Kitchen, Bedrooms & The Latrine
8:42
VideoFromSpace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75 МЛН
Homemade Professional Spy Trick To Unlock A Phone 🔍
00:55
Crafty Champions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Increíble final 😱
00:37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5분만에 보는 욕설 졸업축사  《로버트 드 니로》
5:08
필미필미TV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Masonic Talks - Freemasonry and Enlightenment
20:45
Craftsmen Online
Рет қаралды 10 М.
Making another pickproof lock (but better)
15:14
Works By Design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Face Your Biggest Fear To Win $800,000
22:03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230 МЛН
Illusion of Time !!! (Past, present, and future is already present)
11:58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На кассе с мамой
0:30
Штукенция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