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하겠습니다.
20:25
14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user-qh7hu1lw8j
@user-qh7hu1lw8j 14 сағат бұрын
너무 다르다
@NamedHwi
@NamedHwi 14 сағат бұрын
밈이란건 모르는사람이 보면 진짜 병신같은거긴하네
@user-kyunbva
@user-kyunbva 14 сағат бұрын
이탈리아인이 보면 ㄷㄷㄷㄷㄷ
@omnibus3335
@omnibus3335 14 сағат бұрын
가격만 괜찮으면 상관 없을거 같은대
@DragonLakeLAB
@DragonLakeLAB 14 сағат бұрын
저 여자는 두시간동안 바퀴에.테이프 발라놓고 힘들다고하는거지??
@JWoo-hk3wo
@JWoo-hk3wo 15 сағат бұрын
첫번째 키트는 20년 전 저희집에 있던 것과 같네요
@ggja0226
@ggja0226 15 сағат бұрын
스펀지에서 봤던건데
@mi2gc
@mi2gc 15 сағат бұрын
최근 포드 VS 페라리 본게 생각나네. 요즘 차보다 옛날차가 혹하면서 볼수록 신기한데.
@SuperFordom
@SuperFordom 16 сағат бұрын
모두의 성양이 다른걸 보여주시는군요. 제믿내요^^
@alive8379
@alive8379 16 сағат бұрын
이 피드백 영상조차 2주가 지나서야 볼 정도로 최근에 긱블에 볼만한 영상이 없어 관심이 없었네여. 다른 분들 의견처럼 긱블이 해주겠죠? 라는 말이 유행했던 시절의 긱블 같은 모습을 팬들은 보고 싶어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초보 메이커의 시행착오 이런거도 재밌긴한데 긱블이 메이커들을 통해 보여줄수 있는 부분은 여타 예능 과학 유투버의 가벼운 장난감 같은 메이킹 보는거랑은 결이 달라야 경쟁력있어야한다고 보거든요. 구독 취소 안하고 그래도 유지하고 기대하고 있으니 앞으로 좋은 컨텐츠부탁합니다 ㅎㅎ 메이커분들 수익구조도 좋아질 수 있는 방안으로 일 잘 풀리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user-di7ud5im2t
@user-di7ud5im2t 17 сағат бұрын
바보들 저 큰 쿠키를 딱봐도 작은 내입으로 한입에 먹을수 있는데...
@KimRyoungChanArtArchi
@KimRyoungChanArtArchi 18 сағат бұрын
봉잡고 돌릴때 생각해보면 가운데잡고 돌려도 손바로옆에 추가있을때 양끝에 추가있을때 돌리는 속도가 차이날꺼같은 느낌이 있지요 실제로도 그렇고~
@user-tu2ql6nt8n
@user-tu2ql6nt8n 19 сағат бұрын
솔직히 잭키 떠난 시점부터 메이킹 퀄 떨어졌지 ㅎㅎ 잭키가 너무 수준을 올려놔서 유치한거 몇개하면서도 하나씩 큰거 나오는거 기대했는데.. 이제는 전부 유치찬란한거만 하니까 기대감도 없고 그냥 잭키 채널이었던걸로 근데 메이커들한테 뭐라 할 것도 아니다 애초에 잭키같은 사람은 거의 없을 뿐더러..왠만한 조건되면 대기업가지 긱블에서 도전하려고 하냐고
@user-ln6vf1go9c
@user-ln6vf1go9c 20 сағат бұрын
붕어빵 오마카세하면 괜춘할듯ㅋ
@user-ik6wv3cu4w
@user-ik6wv3cu4w 20 сағат бұрын
지2에서 부력을 배워 맞춘 나
@SuperFordom
@SuperFordom 20 сағат бұрын
자석차 윗줄을 살짝 짤라서 움직이는 빨대나 실로 연결 할 경우 움직일까요? (자석)쪽에 바키 달고요.
@steven6277
@steven6277 21 сағат бұрын
마이크는 우째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21 сағат бұрын
6:25 문과 타령에 용어의 정의부터 짚고 넘어가자면서 OO하는 시간을 가져보자는 번역체 비문을 쓰냐?
@user-fd5in7ww5o
@user-fd5in7ww5o 21 сағат бұрын
제주도는 왜 문이끼이익 하는거 같냐ㅋㅋㅋ
@user-fv1fz7ir3n
@user-fv1fz7ir3n 22 сағат бұрын
쇠구슬을 외부에서 '들고'있는 것과 같고 물속에서 물건을 들면 원래 무게보다 가볍게 느껴집니다. 그럼 차이나는 무게는 어디로 갈까요? 이렇게 이해했는데... 추가로 물 속 쇠구슬의 무게와 오른쪽 비커가 왼쪽 비커보다 얼마나 더 무거운지 비교가 가능했으면 좋겠네요.
@loveloveguitar2
@loveloveguitar2 Күн бұрын
판매수수료 6천원ㅋㅋㅋ
@user-mt8vk8fd2r
@user-mt8vk8fd2r Күн бұрын
약간 다른거같은데..?
@user-gp3jk8of1v
@user-gp3jk8of1v Күн бұрын
단어의 사전적 정의를 정확히 짚고 넘어가신 것이 너무 좋았습니다. 문제를 보고 왔습니다. 해당문제는 “흐르는 전류의 세기를 크게 하는 방법을 한 가지만 서술하시오.”로 옮겨 적은 것 입니다. 근데 문제를 정확히 다 안 써준 느낌이 있습니다. 옮겨 적으며 조건이나 문제일부가 누락 됐을것 같은데 진짜라면 문제를 대충 만든 겁니다. (의도는 '전체 흐르는 전하량을 많게 하는 방법을 한 가지만 서술 하시오.' 였을 것 같습니다.) 문제대로 라면 촘촘하게는 순간 전류량이 높아집니다. 그러면 학생의 답도 맞는 거죠.(이유는 아래 있습니다.) 하지만 자기장이 가해진 전체 흐른 전하량이나 평균 전압이 높아지는 건 아래 3개 입니다. 1. (교과서 대로면)도선을 촘촘히 많이 감는다. (교과서의 공식 대로면 도선(전선)을 많이 감는다.) 2. 자석을 빠르게 움직인다. 3. 자석의 세기가 큰 것을 쓴다. 여기까지는 수업시간에 정확히 알려줬을 겁니다. 이때 오개념으로 1번이 '촘촘하게'만 써도 맞다고 하겠지만 다음으로 인해 틀린 답입니다. 1. 자석의 세기와 길이가 같다. 2. 도선을 감는 통은 자석의 길이와 같다. 3. 통에 도선을 감은 수는 같다. (촘촘함과 성글함만 비교하기 위해) 4. 자석이 통을 지나는 속도가 같다. (위 조건들이 변한다는 건 문제에서 ‘방법1개만 설명하라’는 것, 즉 ‘하나만 변화시킨다’에 반하게 된다고 볼 것입니다.) 위의 조건이라면 도선에 가해진 자기장의 에너지는 촘촘하나 성글하나 같음에 순간 흐른 전하량은 촘촘함이 클지라도 전체 흐른 전하량은 같아집니다. 그렇다면 많이 감고 적게 감고는 어떤 조건이 되느냐 위의 조건 중 3번이 '통의 처음부터 끝까지 감는다(솔레노이드의 길이가 같다)'가 되겠습니다. 그러면 전체를 많이 감으니 촘촘하게 될 것입니다. 여기서 촘촘하게는 종속적인 표현이 되는 거죠 촘촘해서 많이 감는 게 아닌 많이 감아서 촘촘해 지는 것입니다. 원인과 결과를 따져보면 앞 문장은 촘촘해서 많이 감을 수 있게 된다가 맞는 표현이고 이는 ‘촘촘하게’라는 표현이 ‘많이’와는 뜻이 달라짐을 알 수 있습니다. 때문에 패러데이의 법칙에선 촘촘히 많이 감는다가 답입니다. (단순히 ‘많이’가 아닙니다. 솔레노이드 길이 내에 많이 입니다.) 예시로 (많이, 촘촘) 을 (무겁게, 높은 밀도)로 바꿔 이야기하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상자 안의 물질이 무거울(도선이 많을)수록 전류가 많이 흐른다. 와 상자 안의 물질이 밀도가 높을(밀도가 높을)수록 전류가 많이 흐른다. 로 비교할 수 있겠습니다. 위는 10kg을 철로 구성하나 물로 구성하나 같은 전류로 흐르겠으나 아래는 10kg을 철로 구성한 것과 물로 구성한 것은 다른 전류로 흐른다. 라고 해석할 수 있어 다른 표현입니다. 여담으로 패러데이의 법칙엔 감은 수가 없습니다. -고등학교 과정엔 감은 수에 비례하기에 곱했는데 핵심은 도선전체에 자기선속이 같은 시간에 많이 지나야 유도기전력이 증가하는데 많이 감으면 많이 지나는 효과가 감은 수만큼 배가 되기에 쉽게 이해하라고 한 것 같습니다.
@user-oz1qm4ik2g
@user-oz1qm4ik2g Күн бұрын
..??? 축사에 소가 2천마리면 다를수있자나 ㅋㅋㅋ 그 애들도 각자 다른곳에서 대려온건데 ㅎ
@billykim7179
@billykim7179 Күн бұрын
a=-gsin(theta)/(1+I/MR^2) 유도는 F=ma랑 t=rF=I(alpha) 연립
@user-ic1pw1zy1i
@user-ic1pw1zy1i Күн бұрын
도대체 뭐가 유치해졌다는건지 모르겠네.. 오래된순으로만 봐도 원래 그런 긱스럽다고 하는걸 추구하는 회사인데.. 수준이 오르면 올랐지 떨어지지 않았다고 본다. (수준을 논하는것도 웃기지만..) 불만의 원인은 재키로 인한 상향평준화, 연령대상승 두가지라고 생각한다. 문과대이과, 착시, 메이킹 정도가 내가 재밌게 본 코넌데 메이킹변태 재키가 나가고 나가고 나니 메이킹결과물이 아쉽다는건 동의함. 근데 이건 긱블의 근본적인 문제가 아니잖음. 그냥 재키가 특출났던거고 원래 하던 메이킹도 나름 만족했음. 재밌어요 제 예상이지만 요새 트래픽 자체가 메이킹이나 공학쪽에 몰리지 않는거 같아요. 자랑은 아니지만 유튜브 10년 좀 넘게 매일 8시간씩은 보는데 긱블영상 재밌어요. 댓글에 너무 휘둘리지않았으면하는 심정입니다.
@user-zd4je4zv5t
@user-zd4je4zv5t Күн бұрын
진짜 대학교 때 조별과제 보는듯하다 ㅋㅋ 공학적 감이 없이 수학만 잘하는 1명, 어떻게 할 줄 몰라서 남들보고 대충 따라하다가 오또케 오또케 1명, 결국 혼자 다 만들고 발표까지 다하는 1명
@user-yt6rq4bc7w
@user-yt6rq4bc7w Күн бұрын
돈을 중고나라에서 팔았더니 은행에서 빌리면 이자붙는데 너무 잘팔려서 운영자가 돈을 돈으로 못사게 막았다고 들었는데
@user-hm7vz2me3h
@user-hm7vz2me3h Күн бұрын
산화피막이 없다면 금속들은 다 붙어버리는군요
@user-cq7ww2jr8u
@user-cq7ww2jr8u Күн бұрын
저 거리에서 널판지에서 나오고 갑자기 숙이면 권총을 한손으로 절대 맞출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ㅎ
@maktum2560
@maktum2560 Күн бұрын
뽀로로지프차됬누
@user-mk8iy5fr2u
@user-mk8iy5fr2u Күн бұрын
흥해라 이 컨텐츠
@hong-er
@hong-er Күн бұрын
무게추
@user-sq1lh5ff5n
@user-sq1lh5ff5n Күн бұрын
돛의 모양에 따라 답이 다를거 같아요
@gedwed6715
@gedwed6715 Күн бұрын
5:57
@darknesssaurus
@darknesssaurus Күн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과 영상에 나오는 소리 기준입니다.* 울음소리 경상도:음머~~~(음+옴 느낌) 전라도:음..머~~~!(머에서 소리가 커짐) 섬:음....머~~~~~(음이 잘 안들림) 끝음 경상도:음머~~~!!!(머에서 소리가 높아지며 갈라짐) 전라도:그르릉...음~~~.....(흡사 괴물? 느낌) 섬:음메~(음머보단 작은 소리)
@user-ux2yk6cm6r
@user-ux2yk6cm6r Күн бұрын
왜 제주도만 섬이야....그래 귤보다는 뭐..😢
@darknesssaurus
@darknesssaurus Күн бұрын
@@user-ux2yk6cm6r 영상에도 섬(제주)라고 하길래;;;
@liilliji7057
@liilliji7057 Күн бұрын
이과도 국어를 잘해야하는 이유!
@Dead_or_alive2024
@Dead_or_alive2024 Күн бұрын
어디를 더 길게 늘어뜨리나 차이인거 같아요
@broncokorea
@broncokorea Күн бұрын
음머~라카노
@user-jq7qq2sl6c
@user-jq7qq2sl6c Күн бұрын
경상도는 약간 화난소같고 전라도는 약간 구수한소 같고 제주도는 약불에 구운 소고기 맛있겠다
@user-ug2vj9ru2s
@user-ug2vj9ru2s Күн бұрын
소고기을 약불에 굽다니....
@user-zg9pd8ls1x
@user-zg9pd8ls1x Күн бұрын
돌고래같은 경우에도 사는 곳에 따라 언어가 달라서 무리안에 통역사 역할하는 돌고래까지 있다고 하더라구요.
@vemp8674
@vemp8674 Күн бұрын
옆나라 유학다녀온 돌고래가 통역돌고래가 된다고 하더라구요
@Hoyeon920
@Hoyeon920 17 сағат бұрын
헐 신기한데 뭔가 귀엽네여
@user-pc8pd2jv5k
@user-pc8pd2jv5k Күн бұрын
경상도- 경상도사람마냥 음을 올려 울음 전라도-전러도사람마냥 음을 끌면서 올려울음 제주도-제주도사람마냥 울긴우는데 왜우는지 머르겠음 사실 영상에 사조보면 사료가 비어있는거같은데 배고파서 우는거 같긴한데 어차피 배고파서울고 발정와도 울고 심심해도 우는게 소임
@user-oi6jf8ef3t
@user-oi6jf8ef3t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jck1919
@jck1919 Күн бұрын
경상도소가 우렁차네
@LeeJun8338
@LeeJun8338 Күн бұрын
사람도 동물 중 하나. 그러니까 동물들도 그 환경에 따라 다르겠죠.
@p.0619
@p.0619 Күн бұрын
경상도 - 무어어어어어어어어 전라도 - 무에에에에 엣
@p.0619
@p.0619 Күн бұрын
근데 진짜 다르네 ㅋㅋㅋㅋㅋ 쟤네끼리 소통이 된다는거아녀 ㅋㅋㅋㅋㅋ
@jungunle
@jungunle Күн бұрын
전라도 소는 울음이 굉장히 낮네요 ㅎㅎ
@GaMeShana
@GaMeShana Күн бұрын
페러데이 법칙중 자석의 속도를 빠르게가 촘촘하게랑 사실 같은말이에요
@user-ck1gw9dy7t
@user-ck1gw9dy7t Күн бұрын
"죽은양은 말이없다"
@user-gj3ln7on1z
@user-gj3ln7on1z Күн бұрын
뭐 어쩌라는거지..? 라는 생각만 든다 이런얘기는 내부회의에서나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