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생명을 희생 시킨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비극

  Рет қаралды 1,202,701

tvN Joy

tvN Joy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736
@lady333666
@lady333666 3 жыл бұрын
첫째 임신중일때 가습기 사러갔다가 가습기 살균제도 옆에 있길래 살려고 했는데 마트 일하시는 아주머니가 굳이 이런거 안쓰는게 났다고 해서 가습기만 사왔어요. 그 다음 해에 살균제로 난리가 났었죠ㅠㅠ진짜 그분께 너무너무 감사드려요.
@참새가짹짹짹
@참새가짹짹짹 3 жыл бұрын
곰팡이 때문에 다들 살균제 사려 하는데 사실 청소만 잘 해주고 장기적으로 안쓸 때 건조만 시키면 아무 문제 없긴 해요 마트직원분이 물건 팔겠다기 보다 현실적인 조언해주신게 두 생명을 구했네요
@yeomssi
@yeomssi 3 жыл бұрын
이건 진짜 조상신이 도운 듯 하네요
@dadakmy3415
@dadakmy3415 3 жыл бұрын
저도 마트갔다 신랑이 보더니 그때 첫째 임신 중이었던 11년도겨울에 사준다고하길래....느낌이 쎄해서 안 샀어요. 우리신랑이 가끔 너의 촉은 무서울때가 있다고 하네요.
@zia-jia
@zia-jia 3 жыл бұрын
@@참새가짹짹짹 두 사람이 아니죠....세 사람 네 사람이 될수 있고....가족들 마저 살린거니....한 집안을 살린 거죠...
@너구리-d9r
@너구리-d9r 3 жыл бұрын
조상신이 보내신 분인가 보네요~~
@chounical
@chounical 3 жыл бұрын
본방 다 봤는데 이 부분 너무 좋았음 '환경문제는 우리 모두가 좀더 불편해야 해결할 수 있다'
@goout_key
@goout_key 3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이네요. 함께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우리에게도 좋은 것인데...
@minjeongggggk
@minjeongggggk 3 жыл бұрын
@want bean ‘다’라고 표현하는 건 지나친 일반화라고 생각해요. 일회용품은 편리하죠. 그런 일회용품이 환경을 파괴하고 있고요. 그런 것들을 쓰지 않는 삶은 우리를 불편하게 할 것이지만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줄 거예요. 그래서 아예 별개의 문제로 여길 순 없죠.
@easychordsong
@easychordsong 3 жыл бұрын
@want bean 불편함과 환경은 상관없는 영역 같이 보이지만,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많은 영역에서 불편함을 감수하면 해결 할수 있다는게 논지의 핵심인것 같아요. 영상의 DDT도, 화석 연료를 이용한 이동 수단들에도, 플라스틱도.. 인간이 편리를 추구하다 탄생된 것들이잖아요. 편리함을 주는 모든것들이 환경을 해친다라고 이해하면 안되고, 편리함을 주는 것들 중에는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들이 많으니, 환경을 생각한다면 불편함을 감수하는것도 고려해야한다 정도가 맞지 않을까요.
@artcubeinfo
@artcubeinfo 3 жыл бұрын
@want bean 다는 아니지만 상당한 부분이 그렇죠. 모든 세제들도 그렇고 플라스틱, 냉방기, 온풍기 다 그렇잖아요. 생각해 졸만한 문제입니다.
@치즈-v9c
@치즈-v9c 3 жыл бұрын
@want bean 친구야 왜이러고사니,,,
@mmimipopo
@mmimipopo 3 жыл бұрын
알쓸신잡부터 느꼈지만 김상욱교수님 너무 인간적이고 따뜻하시고 차분히 설명에 주시는 모습 너무 좋아요.
@thediceiscast
@thediceiscast 3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과제로 침묵의 봄 읽어서 독후감 쓰기 같은 거 내주셨었는데 침묵의 봄은 정말 책 한 글자 한 글자가 너무나도 적나라한 사실들만 빼곡히 적어놓아서 보는 내내 머리가 띵하면서 교훈이 정말 많았음 시간 있으신 분들 '침묵의 봄' 책 읽어보세요ㅜ 지금 우리 앞에 놓여져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 알려줍니다 망치로 뒤통수 한 대 맞은 거 같은 기분...
@똣똣-d4b
@똣똣-d4b 3 жыл бұрын
물리학 교수님이 독후감을 내주셨다는게 학생들은 싫고 의아해 할 수 있지만 교수님이 학생들에게 알려주고싶은 것은 전공의 지식이 아닌 또 다른 무언가를 학생들이 느꼈으면 하는 마음이셨을꺼 같네요
@Chino0701
@Chino0701 3 жыл бұрын
우와 김상욱선생님 진짜 대박 ...집중력이 나도 모르게 진지하게 끝까지 듣고 있음 ! 침묵의 봄 꼭 읽어야겠다 ...지구의 세입자 진짜 그날이 딱인듯!
@뱌뱌룸
@뱌뱌룸 3 жыл бұрын
근데 실제 피해자들도 많은데 굳이 자기 엄마가 귀찮음 마다하고 가습기 닦아서 안전했다는글 써야되냐;; 피해자 부모님들 마음 미어지게;;;;
@ROCK_godlife
@ROCK_godlife 3 жыл бұрын
ㅇㅇ 이 또한 인간의 특성 중 하나.. 귀차니즘으로 가족 죽게 만든 사람처럼 프레이밍 될 수 있단 것도 고려 못 한 채 그저 경솔하게 "우리 부모는 현명해서 난 살아있다"..
@hayden_song
@hayden_song 3 жыл бұрын
군대에서도 한창 가습기로 응급실 많이 가니 아예 가습기 금지를 해버렸는데
@HHH-ue4mo
@HHH-ue4mo 3 жыл бұрын
애기 키우는것고 힘든데 가습기까지 하나하나 닦아쓰면 부모는 언제쉬냐... 편한게있으면 편한거쓰고 싶지..
@Minch_57
@Minch_57 3 жыл бұрын
절대 피해자의 부모때문이 아님.... 마음 미어지겠다 ㅜ
@Dorayun
@Dorayun 3 жыл бұрын
ㅇㅈ.. 저희 엄마도 저걸 쓰기엔 몸에 안좋을거같고 직접 닦긴 귀찮다고 가습기 아예 안쓰셨다는데 너무 다행인거같아요 ㅠㅠ
@khr777
@khr777 3 жыл бұрын
인간의 가장 큰 적은 "편리" 이다. 너무너무 공감합니다!!
@이현기-r4b
@이현기-r4b 3 жыл бұрын
더 무서운건 가습기 살균제와같은 해로운지 모르고 쓰고있는것들이 지금도있을수 있고 앞으로도 더 나올수있다는거...편리를 찾다보면 이란 말에 공감
@헿-c4t
@헿-c4t 3 жыл бұрын
제가 일하는 곳에서 분사형 소독제를 뿌립니다 일하는 직원들이 별다른 보호장비없이 뿌려요. 눈도따갑고 목도따가운데 아직도 인식이 무서운게 윗선에 얘기를해도 위험성을 못느끼는거같아요. 얘기하는 사람만 예민해지는...ㅠㅠ 계속 코로나 소독만 강조하는데 이런 부분도 드러나면 좋겠어요. 몇년후에 이것도 어떤 부작용이 생길지 무서워요
@메론코코-n3m
@메론코코-n3m 3 жыл бұрын
노동부에 신고해요 문제를 느꼈고 조치가 필요하다면 본인이 총대를 메셔야되요
@Lim_Korea
@Lim_Korea 3 жыл бұрын
어딘가요
@happy247forever
@happy247forever 3 жыл бұрын
닦아내는 것으로 해결해야하는 것 아닌가요.
@jooH92
@jooH92 3 жыл бұрын
선스프레이도 기관지에 안좋다해서 화장품회사 큰회사들 거의 단종시키는 판인데 독한 소독제를 ;;;
@너구리-d9r
@너구리-d9r 3 жыл бұрын
@@jooH92 선스프레이 나왔을때, 호흡기에 안좋은거같은데... 란 생각했었는데... 처음 제품 만들때 그런 생각하는 연구원이 하나도 없었다는게 정말 놀라움.
@Black_Tread
@Black_Tread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많은 사람들이 봐줬으면 하는 내용이네요.
@이성현-g5r6r
@이성현-g5r6r 3 жыл бұрын
봐도 안달라져요 여름에 모기안잡을꺼임?
@황태경-m4y
@황태경-m4y 3 жыл бұрын
비하라기보다도 비판이라 하면 좋을것 같네요
@naaamee
@naaamee 3 жыл бұрын
이제라도 화학제품을 줄이고 친환경 제품을 사용해야겠어요
@이성현-g5r6r
@이성현-g5r6r 3 жыл бұрын
crash landing • 6년전 그 단순한거 하나도 못지키면서 뭐가 변한단거임? 인간은 원래 이기적인데 벌레 동물 다같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자는거?? 아니면 벌레는 징그러우니 죽이고 동물만? 대책없이 이상만 쫓는게 더 단순한거아님?
@수스-v8i
@수스-v8i 3 жыл бұрын
@@이성현-g5r6r 본인이 그런식으로 생각하니까 대책이 없다고 단정짓는거지 일상생활하다가 문득 이 영상이 생각나서 가까운 곳은 함 걸어가볼까? 테이크아웃 컵대신에 텀블러 쓰는 그런게 변화지.. 갑자기 만물을 사랑하는게 변화라고 생각한다면 인류는 지금까지 발전없이 퇴화만 했다
@파파-g4n
@파파-g4n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설명은 진짜 개쩐다... 존경함니다
@mimlyeee
@mimlyeee 3 жыл бұрын
“여기봐요 안에 우리밖에 없잖아요” 소름돋았다
@hoojeon770
@hoojeon770 3 жыл бұрын
Do enjoy your party
@너구리-d9r
@너구리-d9r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인간이 얼마나 오만하고 이기적인 존재인지 우리 스스로 너무나 모르고 살고있구나...
@TheKevJung
@TheKevJung 3 жыл бұрын
모기는 열외
@오레오-l1v
@오레오-l1v 3 жыл бұрын
진짜로요,,,,,
@김원준-f3t
@김원준-f3t 3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이런것도 자연의 섭리임
@Moosaheinz
@Moosaheinz 3 жыл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 옥시클린 이던가? 둘째 갓 태어났을때 가습기에 그거 타거 넣어준거 생각하면 치가 떨린다 천만 다행으로 애엄마가 습한거 싫다고 가습기를 자주 껐고 난 왜 자꾸 끄냐고 뭐라했던 기억이 난다.;; 다행이 아이는 지금 괜찮고 당시 나만 내방에서 잘때 펑펑 틀었고 그뒤로 기관지가 안좋아졌다 감기라도 걸려서 기침 한번 하면 체감상 5분동안 멈추지 않았다. 그땐 담배도 안피우는 내가 왜 이러는지 몰랐다. 나같이 경미한 사람은 피해자 등록도 못했고 옥시놈들은 아직도 잘먹고 잘살고 있지 옛날에 DDT 뿌리는 트럭이 동네를 돌면 아버지는 집안 창문 모두 닫게 하고 절대 저 트럭 쫓아가지마라 독약이다 라고 당부하셨던 아버지는 현명하셨는데 난 가족을 죽일뻔 했다.
@Mia-w6b6z
@Mia-w6b6z 3 жыл бұрын
죄책감에 살지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가족을 사랑하는 당신탓이 아니라 위험성에 대한 부분을 깊게 알아보지않고 출시한 일부업체들의 탓입니다.
@레몬트리-l5l
@레몬트리-l5l 3 жыл бұрын
정말 큰일날뻔 하셨네요 너무다행이십니다 저도 아이낳고 한창키울당시 건조한겨울에 가습기틀었는데 대형마트가니 가습기의 균을 잡아준다는 살균제를 처음보았고 저걸씀 더깨끗한물이 분사되나보다하고 사려는데 생각보다 가격대가 좀비싸다는 느낌이들어서 살까말까하다 이돈주고 가습기살균제를 사느니 물넣을때 솔로닦고 쓰자는생각이 들어서~~당시 경제적사정이 좀 어려웠던때라 진짜 아끼며살았거든요 그때 생각없어 사서 계속썼더라면 상상만해도 넘 끔찍해요 제대로 보상도못받은 피해자들도 너무안타깝고 징계받지않은 가해자들까지 어떻게 그런살인무기급의 제품을 일상생활에 쓰는제품화 할수있는지 이해가되질않습니다 대체 처음만든인간이 누구인지 정말 인체에 유해하다는걸 100%몰랐을까 싶기도하네요
@리듐이-r9z
@리듐이-r9z 3 жыл бұрын
인과관계가 증명되지도 않았음;;
@쌓기놀이
@쌓기놀이 3 жыл бұрын
피해자가 스스로 탓하게 만드는 가장 못된 사건. “다행히 아이는 괜찮고 나만.. “ 이라는 말에서 누구보다 가족부터 생각하시는게 느껴집니다. 다른분 댓글처럼 죄책감갖지 마세요.
@s1aaack3r
@s1aaack3r 3 жыл бұрын
@@리듐이-r9z 증명되지 않은 게 아니라 인정하지 않는 겁니다 제조사 관계자세요?
@나는내일어제의너-n5h
@나는내일어제의너-n5h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그알에..애기엄마 보고 엄청 울었내요..태아상태에서 죽고 그다음에 또 똑같은 증상인뎀...애를 낳았는뎀...진짜 애기가 세상에 태어나서 고통만 느끼다 죽었다고 말하면서 애기 귀저기도 못버리고 가지고 있는거 보고 얼마나 울었던지
@옭
@옭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말씀에 많은 생각을하게 됩니다. 정말 중요한 메세지를 전해주시는거같아요.
@zenmode7
@zenmode7 3 жыл бұрын
분명 나는 과거에 회사에서 집에서 가습기 달고 살아서 가습기 살균제도 많이 썼는데 뉴스를 보고도 다행히 나는 그 영양을 안 받는 운좋은 몸이었나보다(?)라고만 생각하고 넘어갔는데... 어느날 정기검진에서 의사가 폐엑스레이보고 폐렴이나 결핵같은 폐관련 질환을 앓은 적이 있냐 물었을때도 그냥 그런적 없는데 이상하다 라고만 생각했는데... 언제부턴가 유독 계단 올라가면 숨이 많이 가쁘고 잠깐의 뜀박질도 많이 힘겹다 느끼면서도 살이 많이 쪄서 그런거라고 생각했고... 어느날 문득 아 이게 가습기 살균제의 영향이었나보다 나는 영향이 없었던게 아니었구나 깨달았다는... 이미 많이 지나버린 후고 어떻게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인정을 받을 수 있는지도 모르겠고 이미 몇년전 일이라 제품도 영수증도 내가 그걸 썼다는 증거도 낼 수 있는 자료가 없었고, 아직도 관련 재판도 결론이 안 나고 있다니 그냥 알아보기는 포기하고 살고 있고, 사망자나 산소호흡기를 달고 사는 심각한 피해자들에 비하면 나는 많이 다행인 편이다 생각하고 살고 있는데... 나 같은 사람이 많지 않을까...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고있지만 피해를 입은 사람들... 그리고 결국 아무도 책임지고 있지 않은거 같더라...
@슬기로운양평생활-i7m
@슬기로운양평생활-i7m 3 жыл бұрын
저도 가습기살균제 몇번 썼었어요 화학제품이나 인공향을 좋아하지 않아 10번이내로 쓴거같은데 몇년전부터 건강검진에서 똑같은 말 들었어요 폐렴이나 폐결핵 걸린적 없냐고 폐에 흔적이 있다고 몇군데서 얘기하시더라고요
@gina_han1
@gina_han1 3 жыл бұрын
인간의 가장 큰 적은 편리. 새를 새장에 가두는 것이 아닌 마당에 풀과 나무를 가꾸는 것. 이 말씀에 너무 공감이 되었습니다. 자연환경을 어떻게 대하고 가꾸어나가야 하는지의 지표를 알려주는 말인 것 같아요. 좋은 말씀을 해주신 김상욱 교수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twinibini5727
@twinibini5727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박사님 설명하시는데 귀에 쏙쏙 박히고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 잘하시는거 같아요 이런 프로그램 너무 좋다 자극적이지 않고 잔잔하게 정보도 주고 교육도 받는거 같은 느낌이네용
@곰도리-c7g
@곰도리-c7g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새는 정말이지 자유를 상징하고 하늘을 나는건데 내 쾌락을 위해 작은 창에 가둔다라... 정말 지인들집 갈때마다 계속 생각하게됨
@kantengolo8443
@kantengolo8443 3 жыл бұрын
뭐 그거야 모든 동물에.다 적용되는거아님? ㅋㅋ
@thisgrace23
@thisgrace23 3 жыл бұрын
@@kantengolo8443 영상에 나오는 내용을 말하는건데 다른 동물 얘기를 왜 합니까
@thisgrace23
@thisgrace23 3 жыл бұрын
@@kantengolo8443 10:02
@손죵
@손죵 3 жыл бұрын
알쓸범잡 프로그램 정말 좋아요. 눈 여겨 보지 사회 문제에 대해 관심을 많이 갖고 스스로 찾아보려는 노력을 하게 됐어요~ 앞으로도 좋은 방송 보여주세요!
@saycluaa
@saycluaa 3 жыл бұрын
9:50 김상욱 "우리 모두가 조금 불편해져야 해결되는 것" 아!!! 메세지 너무 좋다. 일회용 플라스틱을 줄인답시고 텀블러 없는 날에는 테이크아웃도 안할 정도로 유난 떨고 있는데 요즘은 점점 텀블러 뿐 아니라 모든 테이크아웃 음식을 직접 용기를 가져가서 담아오는 "용기내" 캠페인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게 바름직한 방향이라고 봅니다. kzbin.info/www/bejne/aKDEoZZ3rq2GjsU
@JEEE333L
@JEEE333L 3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의 김상욱 교수님의 이야기는 정말 강한 울림을 주었음..
@핑크레인-i5g
@핑크레인-i5g 3 жыл бұрын
우리 아이도 가습기 살균제 가끔 썼어요. 당시에 천식을 달고 살았는데 이유를 몰랐죠. 커서 이제는 괜찮은 것 같은데 후유증이 남을까 봐 불안해요. 우리 어머니가 살균제 사다 쓴 사람들이 멍청한 거라 해서 또 상처를 받았죠.
@davidfincher4118
@davidfincher4118 3 жыл бұрын
9:12 "우리가 지구의 주인 인가?, 우리는 지구의 세입자 에요"
@긱테도
@긱테도 3 жыл бұрын
ㄴㄴ 집주인이 따로 없기 때문에 세입자가 집주인 행세해도 상관없어요.
@파도-q5k
@파도-q5k 3 жыл бұрын
@@긱테도 상관없다 믿는군요
@ailaoot
@ailaoot 3 жыл бұрын
세입자 에요 -> 세입자예요
@byurackobamathelightning8230
@byurackobamathelightning8230 3 жыл бұрын
@백승민 집주인이 따로 존재하는데 집주인 행세를 하면 처벌을 받죠. 근데 부동산의 주인이 따로 없어서 무주부동산이 된 곳을 누군가가 일정기간 점유하고 있으면 점유자가 주인이 됩니다.
@ey9886
@ey9886 3 жыл бұрын
지구의 주인은 지구죠. 그리고 그렇게치면 개미가 더 오래 점유하고 있었는데 개미가 주인아닌가?? 지구의 주인은 지구이고, 지구안에 있는 모든 생명체들은 세입자로써 모두와 어울려 잘 살아간다는 말을 하는 거 같은데.
@justitia5794
@justitia5794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이 확실히 강의를 잘하시네
@에덴의불칼
@에덴의불칼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스미스가 인간은 지구에서 없어 져야 한다고 네오에게 말 함 모든 포유류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지만,오직 인간만은 서식지를 파괴하고 다른 생명체를 없앤다고...
@itbeat7899
@itbeat7899 3 жыл бұрын
자연과 조화란 자연에게 먹히는것도 포함인데 그렇게 살래?
@Doooboo
@Doooboo 3 жыл бұрын
자연과 조화한다는건 먹이사슬에도 자연스럽게 낀 다는 개념이에요. 인간은 그럴 수 없죠. 단순히 생명연장이 인생의 목적이 아니고, 사랑하는 사람들과 평생 함께하고 자아실현을 하고자 하는 게 다른 종들과 다른 특징이죠. 정말 괴이하게 들릴지 몰라도 인간이 인위적으로 자연을 변형시키는 행위 전체가 어떻게 보면 거시적인 관점에서 자연적인 것일지도 모르는 일이죠.. 탄소중립이라든가 어땠든 나름대로 대체 에너지 개발을 하고 동물 보호운동을 하고 지구에 떨어지는 혜성을 미리 관측하고 하는것도 이로운 점이기도 하니까..
@Doooboo
@Doooboo 3 жыл бұрын
이 모든 일들이 우주의 관점에서 보면 그저 그냥 자연스러움 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dri13829
@dri13829 3 жыл бұрын
@@Doooboo 동물은 자아 실현이나 사랑하는 자들과 평생 같이 있고 싶다는 걸 느끼지 않는다고 확신할 수 있음?
@인생은한번뿐-r8w
@인생은한번뿐-r8w 3 жыл бұрын
@어아니 저는 이렇게 환경을 개척하고 하는것또한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스러운거라 생각됩니다. 인간이 다른동식물들에 비해 초월자라도 된거처럼 말하지만 사실 지구입장에서는 공룡처럼 지나가는 하나의 번성한 생명체일뿐이며, 언젠가 사이클에의해 빙하기가 오면 인간도 멸종하겠죠. 그럼 다시 지구는 처음부터 새로운 생명체들과 새로운시대를 열어갈꺼고...지구가 태양에 의해 사라지기전까지 이 사이클을 반복해나가겠죠.
@seungyeonkim5321
@seungyeonkim5321 3 жыл бұрын
미국 FDA가 신뢰받게 된 가장 큰 이유죠.. 탈리도마이드사건
@nizkymunofficial0331
@nizkymunofficial0331 3 жыл бұрын
인간은 진짜 최고로 이기적임. 근데 다수가 같은 생각이라서 그게 정의라고 생각함.
@마루마루-h2j
@마루마루-h2j 3 жыл бұрын
그런게 공리주의같은거아님?
@nizkymunofficial0331
@nizkymunofficial0331 3 жыл бұрын
@@coronavirus2120 생존을위한이기심과 편리를위한이기심은 다르다고생각합니다. 뭐..사실 동식물에게 의견을 물을수없고 표현을하더라도 이해할수없으니 그게생존을위한건지는 알수없으나..인간의 편리를위한이기심은 분명 문제라 생각합니다.
@nizkymunofficial0331
@nizkymunofficial0331 3 жыл бұрын
@어아니 왜 화가 나셨죠? 저도 그렇지만 본인도 지금 겸양떨고계시면서✌✌
@nizkymunofficial0331
@nizkymunofficial0331 3 жыл бұрын
@어아니 충분히 화나셨습니다.✌✌
@nizkymunofficial0331
@nizkymunofficial0331 3 жыл бұрын
@어아니 겸양🤞🤞
@fgsword
@fgsword 3 жыл бұрын
끝없는 자기성찰을 해오며 대부분의 많은 말들은 생각하며 듣고 말하고 읽어왔던것 뿐인데.. 인간이 다른 종과 함께 협력하지 못한다는 말은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오네요. 많은 생각이 들게하는 영상이었습니다.
@두메산골-o6h
@두메산골-o6h 3 жыл бұрын
모든 화학약품은 당장은 안전한것처럼 인증된것처럼 나오지만 아무생각없이 시간이 지나서 언제 어디서 뒤통수칠줄 아무도 모름.....그래서 될수있으면 안쓰는게.....
@goldb3298
@goldb3298 3 жыл бұрын
담배의 유해성이 알려진것도 그렇게 오래된게 아니죠
@sang-hwayi4715
@sang-hwayi4715 3 жыл бұрын
계란후라이 잘되는 테프론 후라이팬, 미끌미끌한 영수증, 제조사주장에 피부에좋다고만 하는 화장품, 방향제, 세정제, 치약알갱이, 하얀 종이, 맛있어보이는 가공식품.. 본인은 안쓰고 있다고 생각함. 얼굴에 납 바르고 수은 비소 바르고 우라늄 가지고 놀았던 예전 분들도 무식해서가 아님. 지금 우리도 똑같음 ㅋㅋ
@호롤롤로-o1y
@호롤롤로-o1y 3 жыл бұрын
농약을 모든 국가에서 안쓰면 수많은 사람들이 굶어죽을겁니다. 지금은 PLS 제도 덕에 농약을 써도 안전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인간이 평생 먹어도 피해가 없을 성분과 용량만 허용하는 제도라서요. 농약을 안쓰고 재배하려면 일단 인구도 엄청 줄어야하고, 인공지능이 발달해서 인간 대신 농사를 지어줘야합니다. 농약을 안쓰면 노동력은 무지막지하게 많이 필요할테니까요.
@팩트폭력배-v3c
@팩트폭력배-v3c 3 жыл бұрын
세제 쓸때 희석해서 쓰지 않으면 서너번 물로 행궈도 잔류세제가 남는걸 모르고 스펀지에다 세제 짜서 그냥 쓰는 사람들도 많죠
@HAND_AXE
@HAND_AXE 3 жыл бұрын
너 화학 안 배웠지?
@동물사랑-c6c
@동물사랑-c6c 3 жыл бұрын
15:20 인간은 지구의 세입자 고 다른 생명을 배척하는것이 아닌 같이 살아가야한다는 말씀 정말 좋은말같습니다
@김밤톨-t6u
@김밤톨-t6u 3 жыл бұрын
8:27 되게 당연한건데 한번도 생각해본 적 없는... 깨달음이 생긴 한 마디였다
@J1n_1221
@J1n_1221 3 жыл бұрын
올해로 19살 되는 고등학생입니다. 어머니에게 얘기를 전해 들은걸로는 아버지가 구해오셔서 사용하려했는데 , 어머니가 예감이 좋지 않다고 그냥 버리셨고 어떻게 그 불안한 예감이 딱 들어맞았습니다.전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는 않았습니다만 만약 그때 어머니가 버리시지않으셨다면 일가족이 전부 사망하는 대참사가 벌어질뻔했다는 생각에 아직도 무섭고 소름돋습니다. 직접적인 피해를 받으신분들은 안보이시나요?만드신분들.제대로 처벌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60sclassic
@60sclassic 3 жыл бұрын
인트로 시작 노래 정보 쇼팽 왈츠 kzbin.info8moGiT4QoS8?feature=share
@조여름-f8h
@조여름-f8h 3 жыл бұрын
와 충격 받았습니다 ..유해동물과 해충은 단순히 인간에게만 해당되는 말이였군요 지구에게는 그저 인간과 같은 하나의 생명체일텐데..
@uhwi1675
@uhwi1675 3 жыл бұрын
유해동물과 해충은 다른 동물들한테도 피해주는데? 온갖 기생충이나 모기가 동물들 죽이는거 몰라 븅아?
@HS-kt3oz
@HS-kt3oz 3 жыл бұрын
근데 같은 생명이라고 다 살려두면 우리나라는 아직도 호랑이한테 물려가고, 그것도 옹호하는 삶을 살고 있었을까요? 말은 좋은 얘기지만 사실 허울입니다. 죽이지 않으면 죽는게 ‘자연’ 의 섭리죠.
@Hex_Flash
@Hex_Flash 3 жыл бұрын
결국 다 인간의 시각에서 만든 기준이니까요. 인간의 생활 영위에 해를 끼치는 경우 그렇게 규정해왔죠.
@Hex_Flash
@Hex_Flash 3 жыл бұрын
@@Pocaromoffetnocturn 전 그걸 악으로 규정한 적은 없습니다. 솔직하게 인간은 순수한 신체능력만 따지면 먹이사슬에서 최상위가 될 수 없지만 인간의 지적 특성을 통해 그걸 극복했잖아요. 그 과정에서 인간만의 생활방식이 정립되고 발전했고 그걸 위협하는 걸 유해조수나 해충으로 분류를 했다는 걸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Awesome-im1sf
@Awesome-im1sf 3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오만함에서 생긴 사건같음 만든사람도 그렇고 문제가 없을지 생각조차 안한것도
@jiin1807
@jiin1807 3 жыл бұрын
편집자님 더 자주 더 길게 올려주심 안될까요... 일에 치이는 직장인들은 본방사수가 너무 힘들어요...
@d-.-bbb
@d-.-bbb 3 жыл бұрын
돈 주고 다시보기 보세요......
@불고삼-f4q
@불고삼-f4q 3 жыл бұрын
@@d-.-bbb ㅋㅋㅋㅋㅋㅋㅋㅋ사이다 좋다~~!!!
@근데-c3f
@근데-c3f 3 жыл бұрын
콘텐츠에 대한 정당한 지불의식 제발쫌...
@gkst3zip
@gkst3zip 3 жыл бұрын
이 많은 사람들이 돈 주고 봐야겠다는 생각 자체를 할 줄 모르는구나..
@달콤한인생-p3l
@달콤한인생-p3l 3 жыл бұрын
8:08 심지어 요즘은 서로같은 종인데도 색깔이 다르다고 죽이고 미워하고 있음 씁쓸하네요
@너구리-d9r
@너구리-d9r 3 жыл бұрын
색깔 다르다고 미워하고, 색깔이 같으면 사는 지역에 따라 미워하고, 사는 지역이 같으면 생각이 다르다고 미워하고... 인간은 죽을때까지 누군가를 미워하기위해 태어난것처럼 삶.
@냥냥스-q7t
@냥냥스-q7t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의 생각을 많은 사람들이 해봤으면 좋겠다. 나의 오랜 꿈은 인간이 다른 생명체와 공존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성이름-z5i3c
@성이름-z5i3c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원맨쇼
@MeteorGOD1
@MeteorGOD1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siin7132
@siin7132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subway_slave
@subway_slave 3 жыл бұрын
잼있는데ㅜㅜ
@MeteorGOD1
@MeteorGOD1 3 жыл бұрын
@@subway_slave 재미없다는 뜻으로 쓴거 아니에요 이번 화는 김상욱 교수님 지분이 엄청 많아서 쓴 댓글이에요.
@YJ-gw4ou
@YJ-gw4ou 3 жыл бұрын
역시 교수님이라 그런가 전달력 좋으시다
@조진학-f3w
@조진학-f3w 3 жыл бұрын
티빙 프리미엄 결재하고 가장 돈값하는프로그램.. 매주 기다리며 보고있습니다. 이번편은 사실 4.3에대한충격이 컸어요..
@seun8761
@seun8761 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지구의 세입자다 ...많이 와닿습니다 ..
@hauoli.hanayuki
@hauoli.hanayuki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교수님 존경합니다 가슴을 울리는말씀에 눈물이 나오네요...
@middleplace3732
@middleplace3732 3 жыл бұрын
📍자막 오류 있어요! 박주은 시인X -> 박준 시인O 시집 궁금해서 찾다가 검색해도 안나와서 힘들었어요.
@윤-c5h
@윤-c5h 3 жыл бұрын
우리엄마도 가습기 살균제 사용했었음 딱 1주일. 쓰기 한 3일 째 되던 날부터 유독 예민했던 우리오빠가 기침을 자주하고 심했던 알레르기도 더 심해졌다 했음 아무래도 피부 발진은 증기로 나온 걸 신기하다고 계속 만져서 그런거 같음 엄마가 너무 이상하다고 생각해서 그 일주일 새에 집 안에 새롭게 바꾼걸 다 버리고 바꿨는데 지금 생각해보니까 엄마가 가습기 살균제같다고 했음...나도 그때 신생아였어서 지금도 기관지가 약간 안 좋음ㅠ 난 진짜 엄마한테 감사함 빨리 알아채주시고 바꿔주신게...
@윤-c5h
@윤-c5h 3 жыл бұрын
다른 엄마들 멍청해 우리 엄마 최고 라는 뜻이 아닙니다 그냥 단지 엄마의 관찰력과 사랑에 대해 감사할 뿐입니다
@hahahohoo
@hahahohoo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물리학자님 진짜 말씀을 조리있게 잘하십니다..!
@ggglm1004
@ggglm1004 3 жыл бұрын
이 부분이랑 제주 4.3 사건 관련 설명은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하네요. 감사합니다
@llllll0000
@llllll0000 3 жыл бұрын
와.. 이번 영상 생각을 되게 많이 하게 되네요... 지구에 주인처럼 오만하게 살고있는 나와.. 자연을 파괴하면서 살아가다보면 몇백년 후엔 멸망만이 없을 것 같아서 좀 불편하게 살더라도 협력해서 살아가는 것이 옳은 방향이라는 걸 사람들이 함께 깨닫는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
@TV-mu4fm
@TV-mu4fm 3 жыл бұрын
소름돋는건, 새 죽이려는 분들 아직도 있습니다. 나이좀 지긋하신 할머니가 약국에 들어오더니 쥐약 달라고 하셔서 어디에 쓰려고 그러냐고 물어봤더니, 집 옥상에 새가 많아서 먹이에 넣어서 뿌릴려고 한다더군요.... 너무 소름돋았습니다.
@너구리-d9r
@너구리-d9r 3 жыл бұрын
아마, 전쟁을 겪고 힘든 격동의 시대를 살아오시면서 '나만, 내 가족만' 이라는 생각이 굳어져서 그런거같아요~ 저도 가끔 그 연세쯤 되신 어르신들이 작은 동물들의 생명을 너무 가볍게 생각하실때 충격받게 되더라구요~
@Lea_been
@Lea_been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어떻게 하셨어요?
@자승자강-u3b
@자승자강-u3b 2 жыл бұрын
그거 불법아닌가...약사가 벌금 낼수잇다고 얘기해주면 할머니들은 바로 안하실텐데
@ssongi7066
@ssongi7066 3 жыл бұрын
7:23 공무원이, 나라가 일을 이렇게 해야지.. 가습기 성분 제대로 검사도 안하고 허가 내줬다가 수만명이 피해입었잖아..
@식빵을먹으면이런식빵
@식빵을먹으면이런식빵 3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똑똑한 사람도 별 의심없이 썼으니 다른 사람들도 그랬겠지 더 좋아지라고 쓴 것 때문에 사람이 죽어나가리란 생각은 아무도 못했지ㅜㅜ
@mylifebravo998
@mylifebravo998 3 жыл бұрын
와 지성미 멋있다
@유진-g9o
@유진-g9o 3 жыл бұрын
친정이 시골인데 엄마는 농사지을 때 약을 잘 안해요. 그래서 밭에 두더지가 있어요 . 동네분들 밭에는 없다고 하더라구요. 페트병으로 두더지 퇴치기 만드는 거 깜빡하고 있었는데 빨리 만들도록 해야겠어요.
@Im_rarara
@Im_rarara 3 жыл бұрын
아...진짜...인간으로 태어나서 우리가 젤 이기적인거 맞음.....갑자기 뼈맞았다
@용용이-l7m
@용용이-l7m 3 жыл бұрын
그니까 뭐든 사람들이 이거 다들 쓴다 좋다더라 써봐라 해도 항상 신중하게 생각하고 사용하라는 거임.. 모든 부작용이 있을수 있다고 생각하고...
@myoungsonlee4337
@myoungsonlee4337 3 жыл бұрын
이 책을 4년 전인가 읽게 되어 그후로 화학제품을 쓰지 않으려고 하는데 쉽지가 않습니다. 각종 플라스틱 제품, 세제 등등 우리 주변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어요~ 오늘도 비닐 봉지 하나 줄였습니다.
@ROCK_godlife
@ROCK_godlife 3 жыл бұрын
우린 기막힌 마케팅에 속고 있습니다. 모두가 화학 물질에 대한 경계심을 갖는 건 좋습니다. 그런데 기업이 생산 활동에 플라스틱, 화학약품을 줄이지 않으면 의미 없습니다. 그럼에도 은근하게 책임은 소비자에게 돌아가고 있죠. 소비자끼리 서로 싸우게 만들면서요.
@happyendingismine6976
@happyendingismine6976 3 жыл бұрын
@@ROCK_godlife 제 말이요. 소비자로서 생각없이 마구 소비하잔 소리는 아니에요. 그치만 소비자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쓰는 사람이 잘못됐다는 인식만 퍼트리는건 잘못된 거죠. 대표적인게 플라스틱 빨대라고 봐요.
@맹그라미-t4l
@맹그라미-t4l 3 жыл бұрын
9:57 시 구절이 좋아서 찾아보는데 안나와서 구절 통째로 다시 찾아보니 박준 시인이라고 나오네요!
@zaggang
@zaggang 3 жыл бұрын
자막에는 박주인 이라고 써놨네요. ㅋㅋ 박준 시인의 광장 이라는 시네요.
@comdulz
@comdulz 3 жыл бұрын
8:13 자막수준이 너무 떨어져요. "희안한"이라고 쓴 거 보고 굉장히 놀랐는데, 시인 이름도 틀린 걸 보면... PD가 기본적인 맞춤법 검사나 간단한 검색도 안 하나 봐요. 가끔 보면 숫자도 간혹 틀리구요.
@헤이-q9x
@헤이-q9x 2 жыл бұрын
와 근데 이 말 너무 인상 깊다 ‘겨울 내내 마시고 봄에 죽었다’ 차고 시린 겨울 끝에 따뜻한 봄에 죽다니…..
@siin7132
@siin7132 3 жыл бұрын
소독차가 어느순간부터 안보이기 시작한 이유가...
@dangcoco
@dangcoco 3 жыл бұрын
그 소독차는 다른 성분일거에요 ddt는 72년부터 전면금지니까요
@이건희-b5y
@이건희-b5y 3 жыл бұрын
소독차는 말만 소독차이지 실제론 벌레를 잠시 쫒아내는것뿐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lattelatte0707
@lattelatte0707 3 жыл бұрын
소독차는 지금도 있어요. 벌래가 급증하기전 동튼지 얼마안됐을때 뿌리고 갑니다. 그래서 그나마 모기가 줄어든거죠
@user-mc8kv2bb7u
@user-mc8kv2bb7u 3 жыл бұрын
방역차는 여전히 많아요. 이제 무색무취의 성분으로 바뀌어서 저런 뿌연연기 내뿜는 방역소독약품 쓰는 지자체가 이제는 얼마 없죠
@함서현-y4k
@함서현-y4k 3 жыл бұрын
나 어렸을 때 비염심하고 폐렴 자주 걸리고 했었는데 그때 가습기를 엄마가 항상 틀어놨었음 엄마가 세상 청소하는거 귀찮다고 하는 사람인데 가습기 살균제 안 쓰시고 일일히 다 닦아서 씀 엄마가 가습기 살균제 쓰려다가 안 쓴이유가 살균제를 공기 중에 흩뿌리는 건데 폐에 들어가면 안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셨다함
@마루마루-h2j
@마루마루-h2j 3 жыл бұрын
와 다행이시네요. 어머님의 정성이 님을 살리셨네
@ll8555
@ll8555 3 жыл бұрын
근데 어찌보면 당연한거기는 한데 판매할때 유해하다 표기가 안되어있으면 헷갈릴것 같네요
@그레이스-i7q
@그레이스-i7q 3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으로 사용하지 않았었습니다.
@근데-c3f
@근데-c3f 3 жыл бұрын
어머님께 감사한 마음은 알겠지만. 피해자들은 기업과 싸워야 하는데. 이런 댓글은 정치적이게 될 수 있어요. 귀찮아서 사용했다, 라는 프레이밍을 자칫 하게 될 수 있습니다. 삼가주시는게 어떨까요
@dri13829
@dri13829 3 жыл бұрын
@@ll8555 애초에 살충제, 살균제라는 단어 자체가 경고성 의미라 생각합니다. 세균과 벌래를 죽이는 데 사람에게 영향이 없을 것이라 생각 하는 것 자체가 무지한 것이라 봅니다. 진짜 사람에게 영향이 없으면 왜 사람이 바퀴벌래 잡는 약을 흡입 하지 말도록 할까요?
@누들로드
@누들로드 3 жыл бұрын
8:12 희안한(x) 희한한(o) 지식전달 예능이니만큼 맞춤법에 더 신경써줬으면.
@Kim_jeju
@Kim_jeju 3 жыл бұрын
예능이니만큼 > 예능인만큼
@ghdalsrl3528
@ghdalsrl3528 3 жыл бұрын
@@Kim_jeju 명사 + -이(서술격조사) + -니만큼(연결어미)이므로 현 맞춤법에 어긋나지 않습니다.
@너구리-d9r
@너구리-d9r 3 жыл бұрын
김김김, 홍민기 이 두 분... 여기서도 맞춤법으로 싸우고 계시네~~ㅋㅋㅋ
@마음-m7s
@마음-m7s 3 жыл бұрын
9:56 박주인이 아니라 박준 시인이던데요... 시가 좋아서 찾아봤음 광장/박준 빛 하나 들여보내는 창(窓)이면 좋았다 우리는, 같이 살아야 같이 죽을 수도 있다는 간단한 사실을 잘 알고 있던 시절에 만났다 네가 피우다 만 담배는 달고 방에 불 들어오기 시작하면 긴 다리를 베고 누워 국 멸치처럼 끓다가 '사람이 새와 함께 사는 법은 새장에 새를 거두는 것이 아니라 마당에 풀과 나무를 키우는 일이었다' 정도의 글귀를 생각해 너의 무릎에 밀어넣어두고 잠드는 날도 많았다 이불은 개지도 않고 미안한 표정으로 마주앉아 지난 꿈 얘기를 하던 어느 아침에는 옥상에 널어놓은 흰 빨래들이 밤새 별빛을 먹어 노랗게 말랐다
@ghdalsrl3528
@ghdalsrl3528 3 жыл бұрын
8:12 희안>희한 자막 맞춤법 좀 지켜주셨으면.. 전문가분들 모신 프로그램이 공신력이 떨어지게 보이면 안 되잖아요.
@Kim_jeju
@Kim_jeju 3 жыл бұрын
떨어지게 보이면 > 떨어지면
@ghdalsrl3528
@ghdalsrl3528 3 жыл бұрын
@@Kim_jeju 님 이건 단순히 오탈자를 지적하는 맞춤법의 영역이 아니고 문장을 글쓴이의 입맛에 맞추어 다듬는 문체 교정의 영역이죠. 전 저렇게 쓰고 싶었고 딱히 틀리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떨어져, 떨어지면, 다양한 선택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BumHong
@BumHong 3 жыл бұрын
@@ghdalsrl3528 ㅋㅋㅋㅋ지적당하는건 못 참는편
@ROCK_godlife
@ROCK_godlife 3 жыл бұрын
자막에 정말 신경 많이 쓸 거예요. 특히 예능 장르에서 자막은 방송 내기 직전까지도 CP나 메인피디에 의해서 갈리고 또 갈립니다. 맞춤법 검사는 기본 중에 기본이지만... 비몽사몽 하다 보면 또 인간이기에 실수가 나오기도 한답니다..
@ghdalsrl3528
@ghdalsrl3528 3 жыл бұрын
@@BumHong 네 따박따박 말대답 하는 편이라..
@junghwashin4686
@junghwashin4686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님 말씀에 정말정말 깊이 동의 합니다. 집에 들어온 파리나 바퀴 벌레가 싫어 약을 뿌리고 죽기도 전에 잡아서 변기에 넣고.... 그런 제가 부끄럽네요. ㅠㅠ 인간이 고요한 지구에서 가장 많은 죄를 지었는데... 이기적이고 무서운 존재....
@ehdehdqkd
@ehdehdqkd 3 жыл бұрын
과학은 끊임없이 의심하고 감시해야 된다는 말 요즘 백신 보면서 느낀다..
@suoh7442
@suoh7442 2 жыл бұрын
인간도 동물인데 해충과 유해동물만 죽는다는 살충제가 어딨냐? 치명적일수는 있겠지만 사람도 영향이 있지 인간도 지구를 빌려쓰는 동물일뿐 정말 거만한 생명체다
@김민수-k1p
@김민수-k1p 3 жыл бұрын
상욱 과학자님... 정말 좋은 말씀이시다ㅠㅠㅜㅠ
@밤잭귤
@밤잭귤 3 жыл бұрын
코로나 백신도 화학 약품이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돼요... 부작용이 몇년후에 나타날수도 있는거고ㅠ
@단발머리라푼젤
@단발머리라푼젤 3 жыл бұрын
시골에 살고 있는데요 며칠전 벌레를 죽이겠다고 살충제를 뿌렸는데 장미나무가 죽어버렸어요... 그게 우리 가족을 죽일 수도 있는 건데 말이죠...
@BbunBbuni
@BbunBbuni 3 жыл бұрын
알쓸범잡에서도 이런 얘기가 ㅠㅠㅠㅠ 너무 좋아요너무좋아요 생각이 많아지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julialee547
@julialee547 3 жыл бұрын
오래 전에 저도 아이를 키울때 몹시 고민에 빠졌던 적이 있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아파트 또래 엄마 중 저만 사용을 하지 않아서 유별나다는 은근한 비난을 듣기도 했엇죠.. 아토피를 앓던 울애들 땜에 유기농 제품을 먹기 시작하면서 벌레들도 먹을수 있어야 인간에게도 해롭지 않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무조건 케미컬 성분이 들어가 있는것은 배제 시켰죠. 섬유 유연제 대신 식초, 가습기는 아침이 되면 무조건 물을 빼서 건조만 시켜놓기, 심지어 청소할때도 락스나 염소 성분들어 있는 것들 제외, 물론 아토피를 앓는 아이들때문이었지만 ... 자본으로 무장하고 안전 검증도 없이 시장에 마구 풀어 놓고, 소비자를 현혹시키고, 정부 기관들은 침묵으로 일관하고.....많은 엄마들을 고통속으로 밀어 넣었던 가슴 아팠던 일들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으려면 덜 깨끗해도 케미컬을 쓰지 말아야 되고, 덜 부드러워도 화학 제품 절대로 쓰지 말아야 되고, 알수 없는 식품 첨가물들로 무장된 맛있는 가공 식품들 사먹지 말아야 됩니다.
@rfskoreayoutube
@rfskoreayoutube Жыл бұрын
9:19 이 말씀에 공감되는 게 어떤 생명체든 태어나서 살다가 수명이 다하면 사라지게 되니 인간 역시 수명이 다하면 자연으로 사라지는 많은 지구 생물계의 한 종류라고 생각되네요.
@favdeeds
@favdeeds 3 жыл бұрын
정말 집중해서 보고있었는데 희'안'하다라니 깜짝 놀랐습니다 ㅋㅋㅋㅋ
@Tren-g7jt
@Tren-g7jt 3 жыл бұрын
지금 소독제 뿌리면서 소독하는것도 폐섬유화 걸리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요즘 락스성분이랑 같은거 많이쓰는데
@고미강-r8p
@고미강-r8p 3 жыл бұрын
정말 우리는 좀 불편하게 살 필요가 있는듯 하다. 이렇게 살아도 되는건지 걱정이 될때가 요즘은 자주있다... 그리고 영화로운 부산편 다른 영상들도 유툽에 많던데 보면 장항준감독님만 계속 드시고 계시고 오물오물 씹고 있네 ㅎㅎㅎ 저분 저 해맑은게 너무 귀엽다 ㅎㅎ
@뉴미-x9u
@뉴미-x9u 2 жыл бұрын
이조합 너무 좋아요~~~ 늘 잘보고있습니당🙇‍♀️🙇‍♀️ 감독님 씹는모습 왜케 귀여워여ㅋㅋㅣㄱ
@user-or3rs8tx7c
@user-or3rs8tx7c 3 жыл бұрын
뜬금없는데 상욱?교수님 피부 되게 좋으시다,,
@wildworld6133
@wildworld6133 3 жыл бұрын
뜬금없는데 여기서 나오는 내용에 피부 얘기는 좀 아닌거 같네요
@ey9886
@ey9886 3 жыл бұрын
저도 보다가 이생각 들긴함ㅋㅋㅋㅋ
@organic2501chemistry
@organic2501chemistry 3 жыл бұрын
그 얘기 하시니까 얼마전에 아이라이너에서 발암물질 나온거 생각나네요 ㅠㅠ 그것도 잘 안지워지는 편리를 추구하다 잘못을 범한건데...ㅠㅠ
@user-or3rs8tx7c
@user-or3rs8tx7c 3 жыл бұрын
@@wildworld6133 네😞
@이미희-j8y
@이미희-j8y 3 жыл бұрын
뜬금없는게 어딨슴? 상대를 비난하고 수치주는 것도 아닌데 내맘대로 내생각대로 자유롭게 사는 거임 진짜 교수님 피부 좋소
@Qwertt-g8o
@Qwertt-g8o 3 жыл бұрын
저도 우리가 지구의 세입자라는 말에 동감... 이성이 있고 지능이 뛰어나다고 해서 우리가 지구의 주인인 건 아닌데 무조건 사람이 제일 중요하고 사람이 주인이고 사람이 사람이... 사람이 안 중요하다는 게 아니라 우리가 다른 종들 그리고 지구를 마음대로 이용하고 죽여도 된다는 생각을 조금은 버렸으면 하는 마음...
@jungmin-hl3yh
@jungmin-hl3yh 3 жыл бұрын
알쓸신잡도 너무좋았는데 알쓸범잡까지.. 이런프로그램 더 많이 방송해주세요 ㅠㅠ
@candypiece8474
@candypiece8474 3 жыл бұрын
와.... " 이 안에 보세요 우리밖에 없잖아요... " ㄷㄷㄷㄷㄷㄷㄷㄷㄷ
@KimDawun
@KimDawun 3 жыл бұрын
8:10 자막 희안한 이 아니라 희한한 이어야 할텐데요...
@딱똑콱-z9c
@딱똑콱-z9c 2 жыл бұрын
7:23 멋있다…이런 분들이 윗선에 많이 계셔야되는데
@magnum.045
@magnum.045 3 жыл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를 쓰지 않았던 이유 - 고교시절 화학 선생님이 해준 한 마디가 항상 기억났기 때문입니다. '모기, 파리, 바퀴는 작은 벌레, 사람은 큰 벌레. 작은 생명체에게 안 좋은 물질이 큰 생명체에게라고 해서 좋을 리가 없다.' 곰팡이가 안 생기게 해준다는 약품이 수증기와 함께 폐로 직접 들어갔을 때 몸에 좋을 리가 없다고 생각해서 쓰지 않았습니다. 그 때의 화학 선생님 덕에 저와 제 가족이 피해자가 되지 않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로얄샬루트-l7e
@로얄샬루트-l7e 3 жыл бұрын
요즘 코로나때문에 살균 소독제 많이 쓰실텐데 어지간하면 쓰지마세요 살균 소독하면 좋을꺼라고 생각하는데 오히려 몸에 안 좋습니다 청소 한번 더 하고 손 발 비누로 한번 더 씻는게 몸에 훨씬 좋아요 무슨 살균제 화학약품은 절대 몸에 좋을수없습니다.
@소라게-g3t
@소라게-g3t 3 жыл бұрын
인간의 가장 큰 적은 편리다
@향진詩낭송AI송방경희
@향진詩낭송AI송방경희 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방송 감사히 봤습니다.
@love_the_moments
@love_the_moments 3 жыл бұрын
지구의 세입자인 호모사피엔스...격공
@stern121
@stern121 3 жыл бұрын
2001년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나도 가습기 살균제를 마트에서 사왔었습니다. 그리고 가습기 통에 물과 함께 넣었는데 순간 이 살균물질이 뿜어져서 방에 골고루 뿌려지고 우리 아이들도 흡입할텐데....하는 생각이 들어서 아깝다 생각하지 않고 모두다 버렸습니다. 그리고 가습기 물통을 몇번이나 씻어서 다시 물만 부어 사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 잠시 그 생각이 들지 않았다면 겨울 내내 가습기 살균제를 썼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오싹 해지네요.
@그레이스-i7q
@그레이스-i7q 3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해에 같은 생각으로 살균제를 버렸습니다 몇번 사용을 한후에 버렸어요ㅠㅠ
@stern121
@stern121 3 жыл бұрын
@@그레이스-i7q 그래도 천만 다행이셔요. 아주 조금이라 큰 영향은 없을거에요. 인간은 생각보다 강해서 ㅎㅎ
@cooksim4039
@cooksim4039 3 жыл бұрын
참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혜윰-t3z
@혜윰-t3z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다들 조금씩만 편리함을 놓고 공존했으면 좋겠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박사님
@반세진-q3n
@반세진-q3n 3 жыл бұрын
와, 이런논재를 상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하네요.
@Awesome-im1sf
@Awesome-im1sf 3 жыл бұрын
8:10 핵심 안에 모여있을때 마음에 안드는 사람이 있으면 같은 사람조차 따시키고 배척함
@박워니-r3f
@박워니-r3f 3 жыл бұрын
인간만 없으면 지구가 행복해진다고 혼자늘 생각한다 진짜ㅜ ㅜ ㅜ 인간말곤 ‘악’한 존재가없어
@hya2783
@hya2783 3 жыл бұрын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네요 말씀을 너무 흡입력있게 잘하세여 ㅋㅋ
@ca-ge4jk
@ca-ge4jk 3 жыл бұрын
[[이정권에 투표한 이들은 들어라!]] 몇 년 전 돌아가신 우리 외할머니는 말했다. 왜정 때, 그래도 이 땅보단 뭔가 나을 듯해 만주로 갔단다. 그리고 뙈놈들한테 갖은 무시를 당하다가, 내 나라가 독립됐단 소리 듣고 이고 지고 다시 고향으로 내려왔단다. 그때 우리 어머니는 외할머니 어깨 위에서 두만강을 건넜단다. 그래, 우리 어머니는 만주에서 태어났다. 어느 놈들 논리라면 뙈년이겠구나, 어쨌든 중국 땅에서 태어났으니. 누구는 일본에서 태어났고, 그래서 친일파란 소리 들었다니 그렇겠구나. 1917년 태어난 박정희도 만주로 갔지, 그리고 군인이 되었다. 그래서 친일파라더구나. 그런데 그가 태어났을 때 그가 속할 나라는 이미 일본뿐이었다. 태어난 게 태어난 자의 죄인 거냐? 너희들은 부모를 골라서, 나라를 골라서 태어날 수 있었더냐? 태어난 게 어매 잘못이냐? 박정희 잘못이냐? 못 먹고 못 살아 찢어지게 가난하여 조국도 없던 그 시절이 잘못 아니더냐? 청나라로 끌려갔던 여인들이 환향녀로 매도되어 지금도 그 이름이 남아있지, 화냥년. 지켜지지 못해 피해 받은 그들이 무슨 잘못이더냐? 일제 때 이 나라 꽃다운 처녀들이 성노예로 끌려갔다고 분개하더라! 그게 누구 잘못이냐? 그녀들의 잘못이냐? 일본 놈의 잘못이냐? 그러지 않게 지켜줄 나라가 없어지게 된 탓 아니냐? 그런데 나라를 일제에 넘기고도 이씨 왕가 일족들은 일제가 망하는 그날까지도 호의호식했다 하더라. 그래 우리 외할머니는 수꼴이었다. 아니 우리 할말머니도 할아버지도 수꼴이었다. 나라가 없다는 건, 지킬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는 걸 경험으로 알았기 때문이지. 그래, 너희들이 비웃는 늙어서 죽어야 하는 80~90대는 내 나라가 없어 서럽던 그런 분들이다. 그래서 그분들은 경험으로 안다. ‘내 나라’라는 게 울타리라는 것을, 나라가 없이는 나도 없다는 것을. 그래서 안보, 안보 하며 지팡이를 짚고 꼬부라져서라도 태극기를 들고 나서는 것이다. 이제 80을 앞둔 우리 어머니는 말한다. 나무껍질 벗겨서 먹어봤냐고. 부황이 들어 온몸이 퉁퉁 부어봤냐고. 쌀 한줌에 고구마 줄기를 한 솥 넣어 풀죽 끓여 먹어봤냐고. 전염병이 돌면 픽픽 죽어 나가는 사람을 본 적 있냐고. 공부하고 싶어도 학교가 없었던 그 시절을 겪어 봤냐고. 미국? 양키? 우리 어머니는 그런 거 모른다. 시골 초봄, 누렇게 떠서 죽어가다가 학교에서 배급으로 나눠준 우유가루로 죽을 끓여 먹고 설사를 할 망정 그 덕분에 살았다 한다. 우리 어머니도 6.25는 이제 가물가물 하다 한다. 벌써 70년 전 일이다. 그래도 우리 어머니는 단 하나는 안다. 배고픔이 사람을 얼마나 짐승으로 만드는지를. 우리 아버지는 말한다. 5.16혁명을 국민들은 반겼다고. 전쟁은 끝났지만, 먹고 살길은 막막했고 못 먹고 못살던 국민들의 패배감은 끝이 없었는데, 민주주의 하겠다던 4.19 다음에 나라는 되레 난장판 데모 천지가 되었다고. 그래서 그때는 또 한 번 세상이 뒤집어졌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가득했다고. 그럴 때 난장판인 나라에서 질서를 유지하고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고 배고픔을 면하게 해준 건 박정희였다고. 그래! 그래서 우리 어머니도 아버지도 태극기를 들고 나섰다. 너희들이 말하는 것처럼 늙어 빠져서 뇌가 마비되어서, 세뇌되어서가 아니라 다시는 나라를 빼앗기지 말아야겠다는 트라우마 때문에, 그래도 이만큼 살게 해주어서 감사하다는 은혜 갚음 때문에, 그 뼈저린 경험 때문에 그러하다. 너희들이 보기에는 우습게 보이느냐? 판단력이 흐려진 늙은이들로 보이느냐? 장기집권이 잘못됐다고 하느냐? 유신독재 잘못됐다고 하느냐? 그러나 그 시대를 열심히 일하며 살았던 사람들은 하나같이 말한다. 그래도 고마웠다고. 먹고 살 만하게 되었기에 그 다음에 저들이 말하는 민주주의고 뭐고가 있게 되었다. 나라 뺐긴 서러움을 아는 사람, 6.25를 겪은 사람들이 바로 너희들이 말하는 늙은 노인네들이다. 너희들이 결코 알지 못하는 경험을 했던 사람들이 바로 늙은 수구들이다. 그들이 가난을 원수처럼 여겨 나라를 일으키는 초석이 되었다. 자기 한 몸 희생해서 나라를 위해 살아왔다. 나라 없는 설움, 약해서 겪은 전쟁, 그 참상을 알기 때문이다 박근혜 밉다고 앞뒤 가리지 않고 쫓아내고 문재인 좋다고 ‘대깨문’해서, 그래 지금 만족스럽느냐? 니들 일자리부터 날아가고 경제는 난장판인데 니들의 ‘이니’는 ‘정으니’에게 퍼줄 생각에 여념이 없더구나. 그게 니들이 바라던 거냐? 그래 좋다, 촛불, 민주주의. 그런데 그러다 나라의 경제가 안보가 다 깨지든 말든 그래도 좋다는 거냐? 알아 두어라. 나라가 있어야 하고 나라가 강해야 너희들도 있다는 것을. 너희들이 때로 나라를 욕하고 촛불을 들 자유도 그 나라가 있고서야 비로소 있을 수 있다는 것을. 그리고 또 알아 두어라. 장미꽃은 향기롭지만 결코 수프를 끓여 먹을 수 없다는 것을. 배추 시래기로라도 배를 든든히 하고서야 장미향을 맡을 수 있다는 것을. 무엇이든 기본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너희들도 알 것이다. 그 기본은 바로 '나라' 이다. 그 나라는 바로 대한민국이다. 차라리...문죄인에게 투표한 그~손을 잘라라!!!!!!!!!!!!!!!!!
@latteice4424
@latteice4424 3 жыл бұрын
와 어릴때 소독차 도로에 나오면 아무것도 모르고 따라다녔는데 헐
@mjhong994
@mjhong994 3 жыл бұрын
DDT는 72년에 금지되었다고 하네요. 멀쩡한 것을 보면 인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 같습니다.
@u-ne99
@u-ne99 3 жыл бұрын
피부에 닿으면 큰 피해는 없지만 DDT가 농축되어 있는 음식을 섭취하면 암유발을 할 수 있다고 알고 있어요. 당장 큰 해가 되지는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문제가 많이 들어나는 것 같아요.
@라시얀
@라시얀 3 жыл бұрын
김상욱 교수가 대단한건 어떤 자료도 없이 말하는데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명확히 전달된다는 것이다
@djduwoahxnkshdbs
@djduwoahxnkshdbs 3 жыл бұрын
나도 저 옥시 제품 썼는데 구매 영수증도 없고 그냥 돈 주고 암때나 가서 사서 아무런 증빙 자료가 없어서 항의못하고 걍 넘어감. 저 당시에 계속 몸이 피곤했음
@junghyuncho8821
@junghyuncho8821 3 жыл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에 대한 정부의 대책 그리고 법원의 판결 정말이해가 가지않는다. 새월호 침몰 사건보다도 몇백배나 많은 사망자 피해자들이 지금까지도 현재진행형으로 가고있는데 왜왜왜 잘못한 사람은 없는지 도저히 이해가지 않는다... 가해기업의 책임 정부의 관리부재 그리고 법원의 판결이 삼박자가 잘맞아 떨어지니까 이런 참담하 결과가 일어나는거 같아요.
@StarRing4
@StarRing4 3 жыл бұрын
약품과 가습기 얘기에서 공존까지 자연스럽게 이야기가 넘어가는게 참 대단한듯
黑天使只对C罗有感觉#short #angel #clown
0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When you have a very capricious child 😂😘👍
00:16
Like Asiy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Human beings are inherently selfish
12:35
법륜스님의 희망세상만들기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유성호 교수님을 화나게 한 시신없는 살인사건. 이건 밝혀야 돼!!!
27:22
유성호의 데맨톡(Deadmantalk)
Рет қаралды 83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