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에 나와있는 Janissary를 영미식 표현으로 번역했는데... 중간에 나오는 '야니사리'보다, '예니체리'라고 하는게 튀르키예어 발음에 더 가까운 정확한 표현입니다
@20thcenturyfrog-w8k5 ай бұрын
여기서 또 영국이;;
@ShinH305 ай бұрын
@@jisikdrink 아하 그렇군요
@gueng4265 ай бұрын
창세기전 했으면 예니체리라 했을 것을! 엣헴 ㅋㅋㅋㅋㅋㅋ
@김지욱-b5u5 ай бұрын
그니까 비유하자면 우리나라가 전쟁에 져서 서울 경기도 빼고 다 일본,중국,러시아에게 먹혔는데 누군가 나와서 다 이겼단거지?그리고 그사람이 의무교육,한글,정치민주화,경제성장까지 이룩했다는 거지?
@user-uc4px3vu6z5 ай бұрын
@@김지욱-b5u 경기도× 강원도 or 잘쳐주면 평안도○ 제국의 수도이자 현 이스탄불인 콘스탄니예는 공동위원회소속이었음. 사실 그나마도 1차대전 끝나고 다 군대 해산한 판이라서 전력투구는 그리스만 했음. 물론 국토 8할이 뺏긴 터키 대국민회의입장에서는 그것도 개빡센 상태였지만
@nnns36155 ай бұрын
섬은 다 잃었어도 아나톨리아는 지켰잖아 한잔해
@이름성-h1r5 ай бұрын
이스탄불은 지켰잖아 두잔해
@케밥-kr5 ай бұрын
독립전쟁도 이겼잖아 세잔해
@갈리폴리5 ай бұрын
북키프로스 만들었잖아 네잔해
@노창영-v1k5 ай бұрын
로마도 계승했잖아 다섯잔해
@junyounglee52625 ай бұрын
그냥 터키따윈 그리스에게 개발려서 아나톨 토해내고 망해버려야했음
@Protestant7125 ай бұрын
어쩜 평소에 궁금했던 거를 이렇게 잘 집어서 다뤄주시지
@신은Ай бұрын
제국의막바지는 항상처참해지지만 오스만제국도 막바지엔 이빨빠진호랑이에 내부다썩었었고..무스타파케말이 없었다면 현재튀르키예도 역사속으로사라졌거나 갈기갈기뜯겼을지도 에게해말고도 오스만제국 동북부 동남부 동부 다뜯겼었음 쿠르드해방국가도있었고 오스만이무너지고 여러국가탄생혹은 영토가넓어지기도했었음..동로마를 무너뜨리고 중세에서 근세로 바꾼 주역인국가였지만 그 오스만역시도..
@jaehoonha610 күн бұрын
뭘 잘 다뤄? 양놈사관에 갇힌 유튜버
@ShinH305 ай бұрын
그래도 해협 먹고 러시아 목줄 잡은게 튀르키예 입장에선 훨씬 이득이지 그리스는 나라가 한번 붕괴되고도 이길 수 있는 놈이지만 러시아는.....
@인도양의제왕나갈플5 ай бұрын
19세기 내내 러시아한테 개처발리고 영국 도움으로 간신히 목숨줄만 붙잡고 있는건 진짜 14세기 동로마제국이 따로없음ㅋ
@alala42905 ай бұрын
그리스는 소아시아 방면의 저 수많은 섬들이 최전방인지라 GDP 대비 막대한 국방비를 지출하는 걸로 알고 있음 뭐 에게해 제해권 장악에는 그리스가 또 압도적으로 유리한 국면이 있고 키프로슨가 로도스 쪽인가에서는 해저 자원도 개발중이라고 적절하게 밸런스 잘 잡힌 듯 누구 하나 압도적으로 유리한 국면이 아니라서 전쟁도 웬만해선 안 날 것 같음
@배귀재-k9g5 ай бұрын
@@alala4290 맞짱 뜨면 사실 그리스는 터키의 한 주먹이죠. 인구도 터키는 9천만 가까이 되고 그리스는 천 만쯤... 터키의 군사력은 인근에서는 넘사벽 수준 하지만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등이 터키의 그리스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용납하지 않죠. 지난해에 에게해에서 막대한 천연가스가 발견되었죠. 이에 터카가 욕심을 내어 바다의 영유권에 불만을 품고 군사력 투사를 하려하자 프랑스, 이태리가 함대를 파견해 터키에 압력을 가한 일이 있었습니다.
@전쟁과평화의지위를가5 ай бұрын
@@배귀재-k9g터키는 러시아상대로 협박할수 있는대신 어게해쪽 바다를 통째로 잃었고 그리스는 이스탄불을 잃은대신 어게해 아래의 막대한양의 지하자원을 얻은거니 둘다 유불리한 국면이 아니죠 이탈리아 한태 받은섬들은 아예 그리스보다 터키가 훨씬더 가깝기도 하고....
@@유다희-b6w 원래 영국은 이스탄불을 그리스가 가지고, 키프로스를 포함한 해역을 그리스/튀르키예 반반씩 양분하려고 했음.
@shinharu_7275 ай бұрын
뭐? 이스탄불?
@heesuryu99835 ай бұрын
다 듣고보니 불균형이 아니고 균형된거고 당연한 거쟎아. 대부분이 그리스 역사고 그리스인들이고, 그리스가 추진력과 의지가 강했고 시기가 좋았던 거지.
@Brother_Do5 ай бұрын
튀르키예가 그리스에게 섬을 뺏겼다 X 그리스가 튀르키예에게 아나톨리아 반도를 뺏겼다 O
@아파치-l5r2 ай бұрын
@@Brother_Do 튀르키예인들은 튀르크화된 아나톨리아 반도의 선주민들의 후예입니다
@parangcomАй бұрын
@@아파치-l5r 그럴수도 있겠군요! 지금은 원래부터 백인종 이라고 하는거 같지만, 제가 어렸을적에는 지금의 터키는 원래 돌궐시절 동양인 같은 얼굴을 한 사람들 이었지만 저지역에서 혼혈로 백인 처럼 된거라고 배웠었는데!
@wads-lf6wy24 күн бұрын
@@아파치-l5r 그 선주민들이 그리스인이죠
@아파치-l5r24 күн бұрын
@@wads-lf6wy 정확히는 그리스화된 아나톨리아 반도의 민족들입니다
@패미박멸5 ай бұрын
동로마 제국의 심장이자 오스만 제국 수도로서 서기330년 이래 지중해 최대 도시였던 콘스탄티노플 (이스탄불)을 탈환하지 못한 것을 그리스인들에게 천추의 한으로 남아있죠.
@user-pd3fw9qh9r5 ай бұрын
사실 탈환 직전까지 갔다가 그리스가 뇌절해서 내륙으로 진군했다 아타튀르크에게 얻어 맞고 패퇴 된거라 자업자득임
@NH-vz6bb5 ай бұрын
@@user-pd3fw9qh9r터키군 조지고 걔 동상도 박살 냈잖아 그럼 된거지
@Imperator_-sl4zu4 ай бұрын
근데 콘스 못되찾은건 그리스얘들 스킬이슈라 동정은 안됨
@Mangbaksanim5 ай бұрын
반반 먹고있던 상황에서 뺏긴 게 아니고, 아나톨리아 내륙 앙카라에서 그나마 서진해서 복구한 게 저거인거지 ㅋㅋㅋ 튀르키에는 이스탄불만 차지해도 지리빨로 에게 해에서 잃은 몫 복구 가능함
@jaehoonha65 ай бұрын
영국놈들 때문인데 뭔 소린가?
@jjk51795 ай бұрын
보스포루스해협 만으로도 흑해 통제권 지닌게 ㄹㅇ 사기
@Mangbaksanim5 ай бұрын
@@jaehoonha6 누구 때문이라고 얘기를 안했는데 갑자기 딴소리야
@Mangbaksanim5 ай бұрын
@@jjk5179 이스탄불 지리가 개사기임
@Megaaim-i7m5 ай бұрын
애초에 1차 세계대전에 패배할 때부터 터키라는 국가는 멸망하고 쪼개져야 됬는데 케말이란 희대의 개씹사기 장군이 나와서....
@HNL-uf5le5 ай бұрын
그리스로써는 에게해의 섬보다 콘스탄티노플을 회복하지 못한 것이 큰 한이 될듯 하네요
@dri138295 ай бұрын
애초에 콘스탄티노플은 그리스 땅이라기 보다는 아나톨리아 반도 주민들의 땅이죠........ 정복자라서 영유권 주장 하는 거면 그리스 독립부터가 말이 안됨.
@junyounglee52625 ай бұрын
@@dri13829 아나톨리반도주민들의 땅은 뭔 개소리죠? 애초에 콘플이 그리스계 로마인들이 살던땅인데 ㅌㅋㅋ
@Sandbox_official5 ай бұрын
@@dri13829터키인들은 원래 몽골에 살던 사람들인데요ㅋㅋㅋ
@Sandbox_official5 ай бұрын
@lllllIlIllllII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맞는데요?
@engvon92055 ай бұрын
@lllllIlIllllII2000년 아니고 600년 정도인데? 콘스탄티노플은 우리나라로 치면 조선시대에 한성 뺐긴다음 아직도 못찾은 정도임.
@진하3245 ай бұрын
저때 나라를 지키고 그리스를 몰아낸 사람이 바로 아타튀르크 케말 장군이자 튀르키예 초대 대통령으로 나라를 구할뿐 아니라 터키의 문자(아랍어를 알파벳 표기) 개선등 여러 업적을 세워서 튀르키예 여행가보면 온 가게 곳곳에 아타튀르크 초상이 걸려있는걸 볼수 있어요. 앙카라에 그의 무덤이 있고, 그가 사망한 날은 국가추모일이 되어 있죠
@kweon7075 ай бұрын
아타의 세속주의를 업어치고 에르도안이 이슬람 원리주의로 개판치고 있는 투르키예 지금 곳곳에서 케말의 흔적도 지울려고 하고.......곧 터키 폭망합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
@임시노5 ай бұрын
아타튀르크 자체가 튀르크의 아버지라는 뜻이죠.
@김지욱-b5u5 ай бұрын
그니까 비유하자면 우리나라가 전쟁에서 져서 중국,러시아,일본에 의해서 강원도 빼고 다 뺏겼는데 어떤 일본에서 태어난 민족주의 청년이 민병대 대 정규군과 외국군으로 1:6으로 싸워 이겨서 땅을 다시 되찾고 그분이 경제성장,한글창제,의무교육,정치 민주화, 엄청난 줄타기 외교로 이득 볼거 다얻게 한거라는 거지?
@이정훈-g5t5 ай бұрын
본인이 영웅?신격화?되니깐 본인 사후에 독재,세습국가로 변질될수있어서 대통령 초기에 애낳기전에 이혼하고 혼자 살다가 죽은것도 레전드 , 실제로 무스타파 케말은 독재하긴했는데 50대에 비교적 일찍죽어서 독재권력에 정신놓고 맛탱이 가기전에 내려온것도있고 후사도없어서 서구화 완료했는데 에르도안이 다시 서버롤백중ㅋㅋ
@진하3245 ай бұрын
@@김지욱-b5u ㅋㅋㅋㅋㅋㅋ 치트받은 이세계인이거나 회귀자가 확실함
@nothingbe3195 ай бұрын
오히려 콘스탄티노플을 되찾지 못한게 그리스에게는 천추의 한...
@LionMitchell1234 ай бұрын
엄밀히 따지면 콘스탄티노플은 그리스 영토 였던적이 없음. 로마가 세웠던 계획 도시였고 동로마 시절도 그리스는 없었고 그리스자체로 독립 할때 까지도 현재 이스탄불은 그리스 영토 였던적이 아예없었음. 고딩 때 세계사 조금만 알고 있어도 알수 있는 사실임.
@김중동-x4t4 ай бұрын
동로마 시절에 그리스가 없다는 말은 무슨 소리인가요?@@LionMitchell123
@o82744 ай бұрын
동로마제국이 로마인에 의해 세워졌고 그안에 다양한 민족들이 있었긴 했지만 중세이후 쪼그라든 동로마제국 특히 수도인 콘스탄티노플 지역 부근은 사실상 그리스어를 쓰는 그리스인들이 주축임.. 그래서 그리스 역사로 보는 것임. 마치 고구려 시절 대한민국이 없었다고 해도 고구려가 우리나라 역사인 것과 같음..
@cooperation22124 ай бұрын
그리스어도 썼고 당시 서유럽에서 그리스인들과 그들의 제국이라는 인식도 있었음 로마로 아예 안 본 건 아니지만
@이재혁-o2l4 ай бұрын
@@LionMitchell123뭔 개소리냐 고딩수준 k내수교육 배워놓고 뻣대는게 개웃기네. 그리스 도시국가시절에도 아나톨리아서쪽은 그리스인 실던 곳이었고 동로마 자체가 그리스제국인데
@danjjakchinguTV4 ай бұрын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Jacksonpops5 ай бұрын
모든일들은 강대국의 정치 이해관계 속에서 펼쳐지는 것
@랭류로-j5m5 ай бұрын
4년 동안 지식한잔님 보는데 영상들이 전부 다 흥미로운 역사네요ㅋㅋㅋㅋ
@pinklittlemermaid5 ай бұрын
그래서 빡친 당시 터키 지금의 튀르키예는 어딘지도 모르는 나라였던 한국에 군대를 파견합니다. 한국이나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미국과 연합국 승전국에서 자신이 어디에 속할지를 보여줘야 했기 때문이죠. 형제의 나라는 개소리입니다. 다만 이유도 모르고 죽어간 젊은이들의 쥭음은 숭고합니다...
@Dohan065 ай бұрын
그래도 도와준건 달라지지 않음. 그렇게 님처럼 '냉정한 국제정치'를 빙자한 '의리'의 시각으로 본다면 세상살기 피곤해지는건 안비밀
@물댕5 ай бұрын
@@Dohan06ㄹㅇㄹㅇ
@Rootyouton5 ай бұрын
사병들은 대부분 튀르크계가 아닌 동부의 쿠르드족..
@dukasgeorge75845 ай бұрын
그래도 형제의 나라인건 팩트지 21000명이나 파견해서 1000명이나 전사했는데 우리나라 입장에선 정말 고마운일이지. 여기서 형제의 나라 개소리 하는건 냉혹한 분석하는 척 하는 제3자는 그렇게 말할순 있지만 그 혜택을 받은 당사자가 말하는건 정말 배은망덕한 일임. 마치 물에빠진 사람을 지나가던 경찰이 구조해줘서 그 경찰이 승진했는데 경찰이 나중에 친하게 지내자고 했을때 정작 구조받은 사람이 경찰에게 너 승진하려는 목적으로 나 구조한거 아니냐 나는 그런 이기적인 사람이랑 친구하고 싶지 않다라고 말하는격이지.
@phssky775 ай бұрын
@@dukasgeorge7584정치적이용을 한 튀르키예수뇌부는 나쁘지만 한국에서 죽은 튀 군인들은 안타까운 죽음이죠.감사는 죽은자들에게 하고 싶지만 참전했다는 정이 있을뿐이지 "형제의 나라"라는건 또 정치적으로 포장을 한것이다. 전세계의 국경을 없애면 애국심도 없어질것이다.즉 애국심은 필요악이다.
@edwardwonghaupepelutivrusk66665 ай бұрын
그리스인들은 용감하고 현명했네요. 약삭 빠르게만 행동한게 아니라 피를 흘리는 단호함도 보여줬군요.
@박동식-o6v5 ай бұрын
고퀄 영상 감사합니다. 올초에 그리스-터키 여행을 다녀왔는데 직접 찾아서 공부했던 것 +a로 잘 정리해주셨네요. 그리스와 터키 앙숙인 건 알았는데, 야간버스로 테살로니키 -> 이스탄불 건너갈 때는 정말 숨막혔네요. 나라간 사이가 안 좋다보니 왕래하는거 검열도 빡세더라구요.
@박동식-o6v5 ай бұрын
그리스는 사실 로마시대~독립까지 실체가 없던 민족이라, 민족성이란게 있을까 했는데 특유의 여유로운 분위기가 있었습니다. 좋게 말하면 여유고, 나쁘게 말하면 놈팽이긴 합니다. 정말 좋았습니다.
@박동식-o6v5 ай бұрын
터키는 반면에 성격 급한 특유의 분위기가 있습니다. 반면 민족성은 .. 잘 모르겠어요. 종교도 유물도 다 짬뽕인데다, 최근 이슬람 단결 정책 때문에 더 특유의 문화를 느끼기 어려웠네요. 물론 볼 건 많았습니다. 이스탄불이 서울보다 더 큰 도시거든요.
@Baynamicduo6 күн бұрын
질문이 잘못됐네요 그리스는 어쩌다 터키에게 땅을 빼았겼냐 이게 맞지 현대 터키 영토 전체가 원래는 그리스 땅인데 ㅋㅋ
@김진현-s5m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asanato5 ай бұрын
현재 에르도안은 저 그리스 섬들을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죠
@San-gr3vl5 ай бұрын
키프로스도 한번 다뤄주세요~
@사람-x5s8b5 ай бұрын
항상 궁금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kite3725 ай бұрын
영상 만드실때 자료조사는 면밀히 하시는 편인지, 아니면 배경지식과 더불어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영상 퀄이 워낙 높아서 항상 잘 보고 있어요.
@jisikdrink5 ай бұрын
그간 영상을 만들어 오면서 상식으로 알고 있던 것이 잘못된 내용이었던 경우가 꽤 많았어서, 자료 수집 과정에서 배경지식은 최대한 배제하고 있습니다ㅎㅎ
@Lunatday5 ай бұрын
한국도 비슷했습니다. 한반도의 섬은 UN군이 다 점령했었죠. 다만 이후 방어하기 불리할 것을 우려해 38선 밑으론 모두 철수했습니다.
@arslongavitabre5 ай бұрын
설명 고맙습니다. 항상 궁금했어요, 시인 바이런도 참전했다 고 하는 그리스 독립전쟁
@ΜιλτιάδηςΜπαλτατζής23 күн бұрын
Constantinople ☦️ 🇬🇷
@dolee9095 ай бұрын
정부가 몆차례는 바뀌고, 세계 대전을 두번이나 치렀는데도, 그리스는 고토 회복을 포기하지 않았구나. 참으로 부럽다.
@junyounglee52625 ай бұрын
@@dolee909 2000년의 로마뽕을 어케참아 ㅋㅋㅋ
@anidrummer87805 ай бұрын
그리스: 내 체면도 생각해줘야지 이긴 전쟁을 말아먹었는데...
@김지욱-b5u5 ай бұрын
애니제목
@김인호-n9f5 ай бұрын
힘이 없어면 모든걸 빼앗긴다는 말이다
@크림빵크앙크앙5 ай бұрын
근대까지만 봐도 이슬람이 오히려 타문화에 포용적이었고 토착민들이 자신들의 종교를 유지하는데 대해서 존중했음 중세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오히려 카톨릭, 기독교 쪽이 타종교를 심하게 탄압하고 억압했으며 개종을 하지 않으면 그냥 죽였고 개종해도 차별이 심했지 근데 현대에 와서는 이슬람이 더 심각하게 타종교를 배척하고 믿음이 아니면 죽음 사상을 가지고 있는게 시대의 아이러니...........
@evastrinity5 ай бұрын
눈에는 눈 이에는 이지 , 관대한 종교가 극단적이 종교가 되버린건 안타깝다
@2jaemyungE5 ай бұрын
아님. 왜 유대인들이 오스만치하서 대탈출해서 유럽으로 간지 모름?
@크림빵크앙크앙5 ай бұрын
@@2jaemyungE 유대인들은 오스만 치하에서 흩어진게 아니라 로마때 로마에 의해 다 흩어졌습니다 그리고 오스만제국이 제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 또한 넓은 포용력이었고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지방에 살도록 해줬고 종교도 자기네들 그대로 가지게 해줬죠 오히려 유럽이 먼 사건만 하나 터지면 유대인 탓으로 몰아서 심심하면 학살하고 기본적으로 유대인은 땅 소유를 금지해서 아예 정착도 못하게 했습니다
@imprettygirlelf4 ай бұрын
카타르같은사례를보면,그냥그놈의종교근본주의자들이지멋대로교리해석해서그런거같습니다
@hsch-n8l4 ай бұрын
넓은 포용력이 문제가 된거 같은데, 처음부터 그리스인들 섬에서 몰아 냈으면 수백년 지나서 땅 달라고 할 명목이 없어질테니 그리고 유대인이 팔레스타인 땅에 되돌아 가지 않았으면 독일에서 지오니즘을 추구하는 유대인들도 이스라엘 다시 건국할 명목이 없어지고 모득게 다 자업자득. 이스탄불이라도 유지한게 다행.
@간공공장5 ай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
@KoKi-we6mo5 ай бұрын
어떻게 모든 섬을 빼앗겼는가 (x) 왜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이스탄불이 되었는가 (o)
@hyoobee5 ай бұрын
반대로 생각해야 됨. 아나톨리아 서부까지 점령당했다가 겨우 아나톨리아 전토는 수복한거임.
@tonyho63045 ай бұрын
키프로스랑도 상관있는 주제인데 그 내용이 없다니 조금 아쉽네요...
@Dalludan5 ай бұрын
참고로 오스만이 그리스의 종교 문화 자유를 준 이유는 그리스의 지정학적 특성 자체가 섬과 산이 엄청 많아서 구석구석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가 없어서라고도 합니당
@bjm85422 ай бұрын
무신소리? 원래는 터키땅도 거의 그리스 영토이었다네♡♡
@Cyen3genw5 ай бұрын
아 근데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진짜 그리스가 가져야한다 중앙에서 살던 놈들이 갖을 자격은 없다
@@junyounglee5262Turkish people has %60 native anatolian genes while greeks only have around %20 it is clear that Turkish people are the natives of these land who eventually integratated Turkic culture and Greeks are migrated to europe from north africa while Turkish people was always living in anatolia.
@drk97885 ай бұрын
미국과 서방의 입김과 압력 때문에... 뺏긴거지...... 터키 이슬람을 견제하는 서방입김.... 그리스가 강한게 아니라... 그래서, 터키는 다시 뺏어올려고.. 기회만 노리고 있고...
@WertyQ-tv5gb5 ай бұрын
7:45 프랑스 진짜ㅋㅋㅋ
@GreekCypriot335 ай бұрын
우디르급 태세전환
@신동선-q4y4 ай бұрын
원래 그리스 땅입니다 이즈밀같은 해변 도시도 그리스 땡이였어요
@green_._tea5 ай бұрын
콘스탄티노플을 그리스가 다시 수복하는 날에 동로마 멸망당시 석상으로 잠들어버린 콘스탄티누스 11세가 부활한다는 전설이 있는데, 진짜 점령해서 부활했으면 무슨일이 생겼을지 궁금합니다.
@wsk-k2i5 ай бұрын
그래서 여전히 석상으로 남아있습니다.
@user-kg8iw2yx1y5 ай бұрын
흑흑흑.. 살려만다오 11세님 ㅜㅜ
@kimjh03115 ай бұрын
베트남도 다뤄주세요
@lIlIllIlIIIlll5 ай бұрын
빼앗김x 그리스가 되찾음o
@jjon23 ай бұрын
합친 판도가 정말 아름다운데
@ceosealemon5 ай бұрын
오스만 제국 사실 전성기 때 인도의 2배 영토였지만 이교도 이슬람이라는 이유로 영토 대부분 도륙 당했다는. 제국러시아 까지 오스만에 치를 떨게 만들었고 정교도 러시아도 같은 그리스편에 설수 밖에 없지.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오스만은 러시아 상선에 통과비 삥만 뜯지 않았어도.
@전쟁과평화의지위를가5 ай бұрын
북아프리카는 영프에게 뜯기고 남아있던 이슬람은 시리아 이라크 이스라엘등으로 패전국으로 찢기고 마지막으로 섬들이랑 섬들은 다 그리스가 뺏어버리고 뭐본토만 남았지만 전쟁에서 진것치곤 잘했다고봄
@이상현-s1p5 ай бұрын
이오니아 지역은 그리스 세계에 들어가 있긴 했지만, 한 1세기 정도만 아나톨리아 주권 세력으로부터 떨어져 있었을 뿐 그 나머지 시간 동안 영유권은 계속 아나톨리아 쪽에 있었음. 그 1세기 정도라는 것도 까마득한 고대에 델로스 동맹시기 뿐임.
@허건-o3x2 ай бұрын
델로스 이후 헬레니즘시대 알렉때도 자국 영토였고 로마의 그리스 정복 전까지 셀레우코스제국 영토여서 좀 더 오래되지 않았음..??
@펭귄맛쿠키-d8o5 ай бұрын
영국령 채널제도랑 그란 카나리아쪽의 스페인과 포르투갈섬의 역사도 궁금하네요
@sonson-t1s5 ай бұрын
오늘도 야무지게 재밌네
@Collaintp5 ай бұрын
[ 한국 vs 일본 ] 보다 사이가 나쁜 나라 대명사 [ 그리스 vs 튀르키예 ]
@s.90755 ай бұрын
한일은 스포츠등에서 라이벌 의식은 있지만 그래도 젊은 세대간에는 호감을 가진 경우도 많고 나름 교류도 꽤 있는데 저쪽은 서로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하네요.
@미라-b1c5 ай бұрын
???: 그릭 요거트 아니야 튀르키예 요거트야
@Matthew-tj8rf5 ай бұрын
셀주크 때부터 이어져온 악연이죠 1000년의 적
@박지민-l3f7w5 ай бұрын
이번에 지진 때 지원 해줘서 조금 좋아지긴 했데요
@GodSIRrr5 ай бұрын
@@s.9075우리보다 살벌해요 저긴 애초에 키프로스처럼 직접적인 분쟁지역도 있고 지배 역사도 몇십년이 아니라 몇백년이라
@건강습관healthhabits-tschu4 ай бұрын
그리스는 bc 고대국가부터 그바다와 섬들이 영토였고 ac 1100경부터 튀르키에는 아나톨리아반도에 본격진출 터전울 잡은겁니다...
@성이름-v2l3r5 ай бұрын
사실 로잔조약때 이스탄불(콘스탄티노플)을 포기하면 섬을 받을수 있었으나 당연히 터키는 그보단 모든 도시의 여왕을 원했음.
@ShinH305 ай бұрын
10:47 비잔티움 고토 수복해보겠다고 무리하게 진격하다가 의병한테 정규군이 쳐발림 ㅋㅋㅋㅋㅋ
@andy87615 ай бұрын
당시 그리스, 투르키예? 소설을 잠깐 봤는데 그리스군이 이즈미르 등을 확보하고 앙카라 방향으로 진격하다가 아타 튀르크의 국민군에 대패해 지중해로 밀리는 장면이 있더군요.
@mingyeolkim49715 ай бұрын
오? 혹시 소설 제목이 뭔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읽어보고 싶네요.@@andy8761
@김민철-v4s5 ай бұрын
그 지휘관이 아타튀르크니까 어쩔수가업음 아타튀르크가 마케도니아 혈통인데 거기서 알렉산더랑 바실레우스황제가 탄생햇음 ㅋㅋㅋㅋ
@써니텐-z8p5 ай бұрын
이스탄불이 그리스의 고토라고 하는건 좀 이상한데...;
@김민철-v4s5 ай бұрын
@@써니텐-z8p 그리스 고토 맞지않음? 고조선 세워지기 전부터 조선 건국될떄까지 트라키아는 그리스 땅이었는데
@하성김-t3fАй бұрын
짱이다. 진자
@blackdragonangrycat5 ай бұрын
왜 어째서 이 세상은 터키를 튀르키예로 불러주면서 헬라스는 왜 그리스라고 부르는 것일까?
@campsite975 ай бұрын
튀르크가 없었더라면 비잔티움은 아직까지 있었을까
@1cyclohexane5 ай бұрын
육참골단으로 섬을 내주고 이스탄불을 지킨데에 더 큰 의미를 둬야할거 같습니다. 그리고 무스타파 케말이 세속주의 정책을 쓴 게 천만다행이고요.
@bright_energy2 ай бұрын
저기서 석유가 뿜뿜..터키는 배아프다
@J789H6785 ай бұрын
비잔틴제국 멸망 후에 그리스 인들이 어떻게 정체성, 종교를 유지하였는지 몰랐는데 이제 알았네요… 좋은 지식 정보 감사합니다
@홍성표-w4q5 ай бұрын
섬에 대신 이스탄불을 사수한게 신의 한수! 지중해와 흑해의 통로를 지킨게 그리스섬들보다 훨씬 더 가치가 있음
@친구때문에계정폭파함5 ай бұрын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는 속도로 보러왔습니다
@JOUOii5 ай бұрын
너는 나빴다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uc4px3vu6z5 ай бұрын
콘스탄티노플 이스탄불이 된채 발견
@Architecture-d4w5 ай бұрын
살려만다오! 왕관도 여자도 다 주겠다!
@진하3245 ай бұрын
존나 오래걸렸잖아 ㅋㅋㅋㅋ
@Panzerkampfwagen55 ай бұрын
"공포와 두려움" "쌍두독수리의 부활" "비잔틴 테마제도"
@mool_tissue5 ай бұрын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과 오스만제국은 영토는 넓었지만 민족구성이 다양해서 민족주의가 발흥하고나서부터는 살아남기 어려웠지
@아무것도아닌것-k6v5 ай бұрын
솔직히 이거 내용은 알고 있었는데 개인적으로 지식한잔 영상으로 보고 싶던 내용 1순위임 지식한잔님에게서 몰랐던 새로운 사실이나 재밌는 영상 이 내용으로 보고싶었다 ㄹㅇ
@lok230415 ай бұрын
적극적으로 전쟁에 참여한 그리스 (특: 자의는 아님)
@user-vt5wy7vj4e4 ай бұрын
미친 전쟁광 나라 ㄷㄷ
@남자탁용삼5 ай бұрын
튀르키예 VS 그리스 해양분쟁
@kairos60992 ай бұрын
구글어스에서 에게해섬들중 튀르키에섬 찿아본적 있는데 궁금증을 여기서푸네
@icequeen54075 ай бұрын
헐 👀 진짜요?
@jazzboy19765 ай бұрын
결론 : 살려면 줄을 잘 서야 한다
@김우철-w3h5 ай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user-ggagg5 ай бұрын
보기편함
@yolo100422 ай бұрын
하나의 중국을 표방하는 이유가 역사를 보면 이해가 감. 오히려 민족성과 문화를 유지해주는 정치를 표방할 수록 내부에선 독립의지만 커짐
@류승민-t6nАй бұрын
원래 에게해 근방 지역은 로마의 마지막 지역이었던 만큼 그리스인들은 그리스라는 정체성보다 로마인이라는 정체성이 더 강했지만 (튀르키예 내에서는 정교회 믿는사람을 로마인이라 불렀음.) 서유럽 눈치본다고 그리스를 표방할 수밖에 없었음.
@김진태-b1f5 ай бұрын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타로미라클5 ай бұрын
최고입니다
@fabqydka4 ай бұрын
터키랑 그리스는 진짜 사이안좋갰다ㅋㅋㅋ
@jwj27934 ай бұрын
하지만 보스포러스 해협 하나가 터키가 국제무대에서 헛기침 좀 할 수 있는 급이 되게 해주는걸 감안하면 그깟 섬들 내주는게 싸다고 생각할수도... 나토가입도 사실상 저거 하나로 한거나 다름없지요
@sk8ciov72 ай бұрын
한국도 저랬어야함....
@죣HâSűñ8ĜGOOGı짉ŕÅL·Lha그692 ай бұрын
어디나라를?
@WertyQ-tv5gb5 ай бұрын
와 섬은 몰랐는데 재밌네요
@vassilisioannou548824 күн бұрын
first it was not Turkish sea, it was always Greek sea, Greece a 4000 year old country. They loose Aegean see in 1912 from Greek Navy. The Greek Navy ship Averof sink the Turkish Navy.
@chicaquila5 ай бұрын
콘스탄티노플까지 그리스가 먹었다면, 터키는 AFC 소속으로 월드컵을 나갔을 듯.
@user-dq6tf9ms6q5 ай бұрын
그리스가 줄을 잘 서긴했지만 영프러 등 국제정세가 떠 먹여줬네 ㅎㅎ 오스만은 무슨 배짱으로 영프러 연합과 맞짱 뜰려고 했을까 ㅎㅎ
@cyh8312145 ай бұрын
서해가 있는데, 없네...
@ebs-i9u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줄 잘 섭시다
@조준이-s6j5 ай бұрын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는 어쩌다 짧은 해안선을 가지게 되었는지도 만들어주세요😂
@andy87615 ай бұрын
원래 아예 없던 건데 강대국들이 항구 확보 차원에서 얻어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월꼴아봐5 ай бұрын
터키:응 섬 다 가져가 콘스탄티노플만 있으면 그만이야~~
@SneeringImperialist-o5u5 ай бұрын
실제로도 그렇게 쿨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꼬...
@냥냥-l1x5 ай бұрын
@@SneeringImperialist-o5u 정작 쿨하지 못하게 독도도 내 땅이고 북한땅도 다 내 땅이라고 바득바득 욕심부리는건 한국이잖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콘스탄티노플을 회복하지 못한게 너무 큼 로마제국 최후의 수도이자 멸망의 무대라는 상징성이 엄청난 그야말로 역사적 도시인데 결국 이걸 회복하지 못해서 로마제국에 대한 문화적 이익을 이태리가 몽땅 독식함 게다가 흑해의 영향력도 상실해서 국제정세에 미치는 국가적 영향력도 없어짐 그리스가 콘스탄티노플만 회복했어도 지금 유럽에서 꽤나 소리 쳤을듯
@jungbrain59894 ай бұрын
아 이런 역사가 있었구나 우리나라도 근세기에 만주의 동간도 지역을 일제와 청나라의 협약으로 손실된 역사가 있는데 그덕분에 동간도지역에 있던 조선인들이 지금의 조선족의 근간이 된 아픈 역사가 있지 ㅠㅠ
@jameslee35664 ай бұрын
Stack the world 앱 지도 캐릭터 무단으로 써도 되는 건지..
@이종한-m4t5 ай бұрын
낄끔하게 정리
@galryeoktraveler136322 күн бұрын
근데 섬이 너무 많다 다 줘버리기엔 아까울 듯
@youdieee5 ай бұрын
뺏긴게 아니라 나머지를 되찾은게 아닐까?
@alesisoneki75005 ай бұрын
효과음 너~~~~무 커요
@박수칠때떠나자Ай бұрын
그래서 철천지 원수?
@hdk26205 ай бұрын
전쟁 중 중립을 유지한 튀르키예와 달리 전쟁에 적극적으로 참가한 그리스는(원래 중립국으로 있으려 했는데 이탈리아한테 선빵을 맞아)
@WSofPT5 ай бұрын
심지어 친독정부
@junyounglee52625 ай бұрын
@@hdk2620 오스만도 해체되어야했는데 본토에서 유럽군을 몰아낸게 제일컸음 세브르조약으로 오스만은 갈갈이 찢겨버렸고 전범국이니 당연히 벌을받아야했는데.. 이게 뭐랑 비슷하면 연합국점령하 독일이 의용군으로 연합군을 몰아내고 독일본토 수복한거임
@박상용-d3l5 ай бұрын
이야 진짜 오스만 제국때에 비하면 현재 튀르키예는 엄청 쪼그라들었네.
@1234ncwrd5 ай бұрын
13분전 예니체리처럼 달려왔습니다
@진화진-j6dАй бұрын
보스포러스해협 건너 발칸반도 일부를 튀르키에가 먹어,콘스탄티노플이 이스탄불로 바뀌고 동로마의 찬란한 건축물 소피아성당이 튀르키에의 이슬람사원으로 변질된것은 뭘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