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하 중심, 진짜 모습을 공개합니다! | 페르미 버블을 둘러싼 천문학자들의 새로운 논쟁!

  Рет қаралды 281,510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11 ай бұрын

👍 #우리은하 #페르미버블 #FermiBubble #블랙홀 #초거대질량블랙홀 #Blackhole #supermassiveblackhole #페르미
📝 칼럼 링크
m.post.naver.com/my/series/de...
🎤 NAVER 오디오클립 팟캐스트 링크
audioclip.naver.com/channels/143
🎁 BODA X 우주먼지, 콜라보 우주덕후들을 위한 굿즈!
smartstore.naver.com/aweplay
레퍼런스
news.northwestern.edu/stories...
www.nature.com/articles/310557a0
iopscience.iop.org/article/10...
www.nature.com/articles/d4158...
iopscience.iop.org/article/10...
iopscience.iop.org/article/10...
www.nature.com/articles/s4158...
www.nature.com/articles/s4155...
www.nature.com/articles/s4155...
www.mpe.mpg.de/7540556/news20...
archive-gw-1.kat.ac.za/public...
본 컨텐츠는 NAVER 네이버 & 비즈한국의 지원으로 제작됩니다.

Пікірлер: 129
@user-dv5gi7hv5f
@user-dv5gi7hv5f 11 ай бұрын
새로운 논문급 발표를 거진 예전 실시간급(관계학문 권위자이며 관련국제학회잡지를 받을 수 있는 소수)으로 볼 수 있는 그것도 유튜브로 공짜로... 엄청난 정보의 시대를 감사하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user-iw3vr2jj6l
@user-iw3vr2jj6l 11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저게 단순하게 사진한장 찍어서 분석하는게 아니고 수천 수만장을 찍고 스펙트럼분석하고 이어붙여서 조사한걸텐데... 이렇게 쉽게 보고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시대군요.
@user-iz7ql1vs1v
@user-iz7ql1vs1v 10 ай бұрын
ㅌ😮❤ㄹㄹㅅ6😮😮😂666😂2툐😢555😢2ㄴ3😢😮ㅅㅁ😮ㅌ😮22222222ㅊ666😮😢😢😢7😢😮🎉😢
@user-et7in9lw4k
@user-et7in9lw4k 11 ай бұрын
요즘은 정말 우주과학 관련 교과서가 어떻게 바뀌나 궁금할 정도로 우주 지식이 쏟아져 나오네요. 재밌는 나날 입니다.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dgboy00
@dgboy00 10 ай бұрын
천문학만으로 한정하면 여기가 한국 최고의 채널이다....
@noctiss_x
@noctiss_x 11 ай бұрын
인간의 조상들 머리 위로 훨씬 밝게 빛나는 은하 중심의 사진은 가슴을 뜨겁고 웅장하게 만드네요. 고맙습니다.
@user-yn3ox9ok5t
@user-yn3ox9ok5t 11 ай бұрын
보다에서 뵙고 구독했어요 말 너무 잘 하셔서
@tiger2566
@tiger2566 7 ай бұрын
우주관련 이렇게 좋은 유튜브 사이트가 있었다니 반갑고 고맙습니다^^
@rlawnqls159
@rlawnqls159 10 ай бұрын
잘 보고갑니다
@gomdorij3213
@gomdorij3213 11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en5zq3pv8d
@user-en5zq3pv8d 11 ай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정보 잘 얻고 가요! 감사합니다~
@hoy8027
@hoy8027 11 ай бұрын
아주 느리지만 분명 한 발짝씩 우리은하 중심부를 향해 가는 천문학자들의 발걸음에 박수를 보냅니다👍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cottagelife_withdogs
@cottagelife_withdogs 8 ай бұрын
우주웅배님 이 어려운 현상을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당🎉😊
@sammaditthika
@sammaditthika 11 ай бұрын
은하 중심의 모양과 전자 분포의 오비탈이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서 흥미롭습니다.
@user-fn5tc3ny1b
@user-fn5tc3ny1b 10 ай бұрын
우주먼지, 땡큐! 부럽당~
@user-ct5xz2yo6x
@user-ct5xz2yo6x 11 ай бұрын
알고싶은 정보들 너무너무 잘 봤습니당~@@
@user-sw4ed1jn5r
@user-sw4ed1jn5r 10 ай бұрын
휴 덕분에 잘잤다~~
@user-ri1ix6pu3y
@user-ri1ix6pu3y 7 ай бұрын
우주숭배님 항상 감사합니다
@mingtube8470
@mingtube8470 11 ай бұрын
단순한 지식 전달 뿐만이 아니라 마음의 힐링까지 주는 것 같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주먼지 현자 타임 안녕~~~!
@GaRang_Be
@GaRang_Be 11 ай бұрын
언제 들어도 항상 새롭고 신기하네요. 물론 제가 가지고 있는 지식의 한계임이 분명하지만요. ㅋㅋㅋ
@senouis
@senouis 11 ай бұрын
혹시 현 페르미 버블과 필라멘트의 구조가 과거 우리 은하에서 벌어졌던 다른 은하와의 은하 간 충돌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은 없을까요?😮 다른 은하를 잡아먹는 과정에서 저런 구조를 만들 정도로 별 탄생과 초신성 폭발이 활발하게 일어났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user-un2vv3ck7e
@user-un2vv3ck7e 11 ай бұрын
우리 은하의 구조에 대하여 새로운것을 더 알게되었군요 감사합니다!
@AwakeningDesignerTV
@AwakeningDesignerTV 10 ай бұрын
은하 중심 - 은하적도 광자대 나선 이오 강력한 에너지가 우리 태양계 영향을 줄 것이고 곧 태양계 내부가 물병자리에 도달하게 될 것입니다. 지구온난화 또한 이것과 관련이 있고 지구 자기장 약화현상도 겪었고, 슈만공진이 7.83~ 13HZ까지 진동 25~ 40HZ까지 태양풍경계면은 더욱 확장했고요
@user-dn7ry1bc3l
@user-dn7ry1bc3l 11 ай бұрын
오늘도 재밌게 보고 갑니다. ^^
@user-zf6gk3il1t
@user-zf6gk3il1t 11 ай бұрын
최고
@truth1472
@truth1472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muna8298
@muna8298 11 ай бұрын
넘 멋지심 ❤❤
@Anthem_of_light
@Anthem_of_light 11 ай бұрын
현자타임즈 "우리은하의 심장부" 재밌어요
@mark2011
@mark2011 11 ай бұрын
@user-pp8wg3du4v
@user-pp8wg3du4v 11 ай бұрын
마이러브 웅배❤❤❤🎉🎉
@HJ-xt3cm
@HJ-xt3cm 11 ай бұрын
기회되면 기본적인 천문학 내용을 체계적으로 숙지(물론 교양수준에서)해 두는 과정이 있어야 이런 전문적 내용의 소개를 더 잘 음미할 수 있을텐데, 그런 생각을 한지 몇 년이 지나도 크게 바뀐 건 없으니 시간이 참 아쉽습니다.
@user-iw3vr2jj6l
@user-iw3vr2jj6l 11 ай бұрын
유투브 영상보고 체계적인 지식을 숙지할 수 있으면 ...ㅋㅋㅋ 대학 교양과목 듣는 수준으로도 수박 겉핥기도 어려울걸요? ㅋㅋㅋ
@CH-tz5eq
@CH-tz5eq 11 ай бұрын
K-mooc에서 '우주로의 여행' 강의와 기초 물리학 관련 강의 추천합니다. 아무나 들으실 수 있고, -학점을 받으실 수도 있고 청강만 할 수도 있고-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았지만 대학 교양 수준으로 천문학을 한 번 훑어보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signdj79
@signdj79 11 ай бұрын
​@@CH-tz5eq이런 과정이 있었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gn2nm3no9t
@user-gn2nm3no9t 10 ай бұрын
​@@user-iw3vr2jj6l유튜브 영상을 보고 체계적으로 지식을 공부한다는 게 아니라 미리 기본적인 지식을 숙지하고 있었더라면 이 영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을 거라는 얘기인데;;
@jonsimon2210
@jonsimon2210 11 ай бұрын
당췌 무신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지만 ... 여튼 뭔가 우주의 신비의 껍질을 벗기는 거대한 작업에 일개 ‘먼지’가 내밀하고도 깊숙히 참여하고 있다는 이 알수없는 뿌듯함 !! 뿜뿜-- 요로콤 이쁜 우주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happyhan608
@happyhan608 11 ай бұрын
늘근 문송은 두세번 더 봐야지 도통 ㅋ. 암튼,항상 땡큐여! 지쌤 언제 시간되면 암흑에너지와 표준촛대의 오류 가능성을 지적한 교수님 이론 좀 소개해 주세요!❤
@8oso_lbbl
@8oso_lbbl 11 ай бұрын
@xodidrP
@xodidrP 11 ай бұрын
우주는 참 신비롭네요
@user-bn2mi9ni9e
@user-bn2mi9ni9e 11 ай бұрын
이형 멋지다..탐난다...
@user-xm5qv9tx5r
@user-xm5qv9tx5r 10 ай бұрын
전문가로 인정합니다❤❤❤
@user-sm6jf2to1s
@user-sm6jf2to1s 8 ай бұрын
전파망원경 이름이 미어캣이라니! 너무귀엽당
@user-kx6qc8op7n
@user-kx6qc8op7n 5 ай бұрын
9:35 블랙홀 제트가 약간의 각도로 벗어나는 궁수자리A* 블랙홀 수직축을 따라 분출되는 결과 (초속9만Km=광속30%정도로 자전속도 11분)
@코더
@코더 3 ай бұрын
저같은 잼민이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좋네요.
@soo415
@soo415 9 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집에 필라멘트 갈아야되는거 잘 배웠습니다.
@wadecho5428
@wadecho5428 11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상온초전도체 얘기가 뜨거운데 그게 개발되면 우주에서는 어떻게 사용가능한지 얘기해주세요!!
@veranoestaaqui
@veranoestaaqui 11 ай бұрын
😊
@duddjehrgo
@duddjehrgo 11 ай бұрын
아, 그리고 버블과 필라멘트의 형태와 우리은하의 중력분포-암흑물질 포함-를 비교해서 볼 수 있다면 현상에 대한 해석을 더 정확하게 할 수도 있겠네요. 눈에 보이는 성간물질이나 블랙홀의 회전원반도 분명 물질의 분출형태나 방향에 영향을 끼쳤을테지만, 덤프트럭이 밀면 승용차는 저항해도 같이 밀리는 것처럼, 그 전에 혹시 있었을 소형은하와의 충돌에서, 충돌각 그대로 진행한 거대한 암흑물질의 이끌림에 의해 중심블랙홀의 회전축 어긋남이나 물질분출 방향이 유도되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user-ky1cy7iu1r
@user-ky1cy7iu1r 8 ай бұрын
강착원반으로 서서히 빨려 들어간 밀도 높은 에너지들이 블랙홀 속에 계속 갇혀 있는것이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다시 뿜어져 나가는거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user-kb2wq9tz3o
@user-kb2wq9tz3o 3 ай бұрын
저 애너지는 왜 블랙홀로 안빨려들어가고 뿜어져 나오는거지??? ㅜㅜ
@user-po9cj4pn8o
@user-po9cj4pn8o 10 ай бұрын
00:48 과녘에 화살이 꽂힌 느낌?
@loves-life
@loves-life 8 ай бұрын
신은 어떻게 이렇게 만드신걸까....그저 대단하다고 말밖엔....와....
@yaeilik0760
@yaeilik0760 10 ай бұрын
영화 더문 보셨어요? 우주먼지님의 감상이.궁금합니다😮
@user-sw4wg6og3r
@user-sw4wg6og3r 6 ай бұрын
요약정리 : 2010년 우리은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우리은하 크기에 가까운 감마선,X선 버블(페르미버블, e로지타버브)이 발견됨. 이 버블의 원인은 우리은하 중심의 초거대질량 블랙홀인 궁수자리A*가 과거 활발한 활동을 하던 당시에 분출된 제트에 의한 것으로 여겨짐 (여기까진 이미 잘 알려진 내용) 하지만 최근 우리은하 중삼부에서 은하면에 수직한 방향과 수평한 방향의 2개의 필라멘트 구조가 되는데...
@Mweol_bwa
@Mweol_bwa 11 ай бұрын
미국이 현재 UAP, UFO에 대해 핫하던데 영상으로 다뤄주실 수 있나요?
@user-nt2uu1jj6i
@user-nt2uu1jj6i 11 ай бұрын
유튜브의 순기능
@whirlwhirlfly
@whirlwhirlfly 10 ай бұрын
블랙홀에서는 자기장 편향도 발생합니다. 블랙홀은 고압의 특이점을 갖고 있으므로 초전도체와 같이 자기장을 천체 바깥으로 밀어냅니다. 자기장은 중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일어나지만 중력 편향의 영향을 받아서 휘어지고 시공의 왜곡에 의한 자기장 자체의 편향 또한 일어납니다. 이것은 M87에서 편광으로 관측됐죠.
@jerrykw3839
@jerrykw3839 10 ай бұрын
뭔가 우리 은하의 중심부 거대한 블랙홀과 뿜어져 나오는 제트를 .. 마치 전기밥솥 증기가스랑 비교한다면 그 제트가 상하좌우로 마구 움직인게 아닐까요? ㅋㅋ 수평으로 전기밭솥 수중기가 뿜여졌다 수평으로 뿜어졌다 회전??
@user-ue1ss5jm2h
@user-ue1ss5jm2h 11 ай бұрын
오 우주먼지님 프로필 사진 바꾸셨네요.
@pporri
@pporri 11 ай бұрын
블랙홀의 수직점 방향은 중력이 아주 약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jjyy1716
@jjyy1716 11 ай бұрын
원반쪽은 별들이 빽빽하게 밀집되어 있어서. 안개낀 날 불빛이 멀리 안나가죠.
@whirlwhirlfly
@whirlwhirlfly 10 ай бұрын
블랙홀에서는 중력 편향이 발생합니다. 모든 물질이 블랙홀 중심을 향하여 떨어지지만 내 주변 물질 중력도 커서 휘어져 들어가게 되죠. 지구 중심으로 떨어질 때 옆에 거대한 산이 있는 경우 그 산도 나를 잡아당기는 원리입니다. 이 중력 편향에 의해 강착 원반이 형성됩니다.
@ik964
@ik964 5 ай бұрын
우리은하 중심은 자신의 시간으로 얼마나 흘렀을까요?
@sevenifive2522
@sevenifive2522 3 ай бұрын
은하 중심영역에 p오비탈 모양의 고에너지전자기파 영역이 있다는 것은,성간물질이 은하 중심부에 희박하지만 상당한 밀도로 분포하고있고, 은하중심에서 분출한 고에너지 하전입자가 제동복사를 통해 감마선, 엑스선을 방출하는 걸로 보입니다. 학계에서는 어떻게 이야기하나요?
@orlein
@orlein 10 ай бұрын
망원경 이름 겁내 귀엽다 미어캣 ㅋㅋㅋㅋ
@gugeanirang
@gugeanirang 11 ай бұрын
안녕~
@yjack5800
@yjack5800 11 ай бұрын
우주 먼지들~
@user-gd2se8kd9c
@user-gd2se8kd9c 4 ай бұрын
또 다른 지적생명체가 존재하기엔 우리 우주는 너무 작다
@warriet29
@warriet29 3 ай бұрын
이름 잘 지었네요. 미어캣...ㅎㅎㅎ
@user-lu4hz9io2o
@user-lu4hz9io2o 3 ай бұрын
우리 은하계는 오랫동안 안정적인 위치에 있는듯
@twins1225t
@twins1225t 11 ай бұрын
3dz2 오비탈이랑 비슷하게 생겼네요 ㄷ
@user-gh5vt6yj9p
@user-gh5vt6yj9p 11 ай бұрын
게임 같은걸 만들때 처음 맵을 만들면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걸까?
@user-gk2zq2ni8w
@user-gk2zq2ni8w 11 ай бұрын
이번에 미국ufo청문회 어떻게보세요
@user-vu8yj6st1i
@user-vu8yj6st1i 4 ай бұрын
닥른 곳에 있는 나에게 말한다. 거기서는 좀 잘 살아가라......
@freebell6467
@freebell6467 10 ай бұрын
우리은하를 더 빨리 관측하려면 은하 원반의 수직방향으로 우주선을 발사하면 수평으로 가는 거리보다 더 조금 가도 될텐데요. 왜 수평방향으로만 우주선을 보낼까요.
@Neky_Hina
@Neky_Hina 8 ай бұрын
수직 방향으로 발사해서 일단 은하를 훤히 찍는 게 가능한지 알아보시면 전혀 의미가 없단 걸 아실 겁니다. 지금 우리가 쏘아보낸 우주선은 우리 몸으로 치면 세포 하나짜리 공간도 못 벗어난 상태입니다. 이런데 가슴이나 등 쪽으로 우주선 빠져나가게 해서 신체 훤히 찍는 건 언감생심이죠. 설령 거기에 우주선이 있다 한들 우리는 평생 기다려도 신호 하나 못 받습니다. 우리 은하 직경만 10만 광년이에요. 빛의 속도로 10만 년 걸린다 이거죠. 수직 방향, 즉 두께가 엄청나게 얇다고 가정해서 1/100이라 해도 1000 광년, 즉 1000년짜리입니다. 전기적 신호는 빛보다 훨씬 느립니다. 그런데 우주선 속도는? 빛의 속도의 발톱 때만도 못합니다. 즉, 우리은하를 훤히 관측하는 것 자체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우주선이 우리은하를 훤히 조명하며 찍을 수 있을 때쯤이 되면 이미 지구를 포함해 태양계는 사라진 뒤일 겁니다.
@user-nb6op7yl3e
@user-nb6op7yl3e 6 ай бұрын
이걸 내가 왜 보고있지
@user-np7gt7yg3p
@user-np7gt7yg3p 11 ай бұрын
신기하구만...
@user-rw8yj7ru7v
@user-rw8yj7ru7v 11 ай бұрын
다른 블랙홀과 충돌후에 나올수도 있지
@therock79983
@therock79983 11 ай бұрын
즐감
@MCJS4440
@MCJS4440 11 ай бұрын
강착원반을 제외한 블랙홀 자체에도 각운동량이 존재한다고 하는건 질량이 있기 때문인건가?
@mannie.k3304
@mannie.k3304 11 ай бұрын
웜홀과 화이트홀 연결 흔적 아닐까요. 우리가 보는 3차원에서의 흔적과 오류일뿐 우주차원서 보면 우주는 생각보다 작을듯..
@user-on2gf7vx4r
@user-on2gf7vx4r 28 күн бұрын
계네.. 저 중앙이 태양인거고.. 더 당겨보지.. 누군 북극성이라카던데..중심이..
@user-on2gf7vx4r
@user-on2gf7vx4r 27 күн бұрын
나선팔 중첩이던지..
@user-on2gf7vx4r
@user-on2gf7vx4r 27 күн бұрын
붉은선이 젯 또는 적도척력 파란선도 젯 또는 적도척력 리겔급 즉 태양의 모 나선팔 중첩 또는 중앙에도 계가있다 근데 중앙 모체는 젯 적도값이 없다 상상도상엔 저래빛나는데도.. 검출기를 조절더해보면 중앙에 굵은선보이지싶은데..
@book6076
@book6076 Ай бұрын
수백만년 수천만년전에 우리 은하의 페르미버블이 일어났다면 지구가 45억 년이라면 지구도 그 영향을 받았을수 있겟는데? 그래서 생명이 생겻나? 저기에 산소가 있다면서요?
@est1t
@est1t 10 ай бұрын
결론 : 그 누구도 모름
@koppee1093
@koppee1093 11 ай бұрын
빛도 못빠져나오는 블랙홀에서 z는 그 중역을 무시하고 분출되는 힘은 어떻게 되는 거죠?
@Neky_Hina
@Neky_Hina 8 ай бұрын
블랙홀에서 나오는 게 아니고 블랙홀 바깥(사건의 지평선 바로 바깥)을 휘리릭 감듯이 해서 나오는 겁니다. 사건의 지평선 바깥은 빛이 빠져나오는 구간이고 제트는 거의 빛의 속도로 나옵니다(빛의 속도의 99.999%). 다만 이 제트가 정확하게 어떻게 해서 생기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가스 먹방을 찍고 있는 블랙홀이 자주 보인다는 것이죠. 공식적으로 블랙홀이 집어삼킨 것 중 일부가 자체적으로 튀어나와 빠져나가는 건 밝혀진 바 없습니다.
@ggghhhhhhhjkjkkkkk
@ggghhhhhhhjkjkkkkk 8 ай бұрын
우주의크기가 150억광년이라고? 그안에 수천억개의 은하가 있을수 있을까? 우주의크기가 적어도 수천억광년은 되지않을까
@mr.h5512
@mr.h5512 10 ай бұрын
유튜브 둘러보다가 어미 양자홀 우주론이라는 것을 발견했는데 제 지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데 그 이론에 영상 만들어 주실 수 있나요?? 우리나라 사람이 만든 이론이랍니다
@dr.k4260
@dr.k4260 11 ай бұрын
너무 값비싼 경험을 이렇게 방구석에서 앉아서 공짜로 보고있으니 죄송스럽네요 ㅠ
@ailestudio
@ailestudio 10 ай бұрын
우주는 위아래의 방향이 없다고 하는데 영화에서는 우주 전투씬에서 항상 같은 위아래로 싸우는데 이건 잘못된거 아닌가요? 전혀 다른 방향에서 비행해서 오는 적들과 만났을때 완전히 거꾸로 뒤집혀서 만나게 되는경우도 발생할것 같은데~ ㅎ 이영상과는 상관없이 갑자기 궁금해서 댓글 남겨봅니다.. ㅎ
@user-xe6uf1sr2m
@user-xe6uf1sr2m 4 ай бұрын
어 그럼 은하에 수직 제트류가 있으면 블랙홀 위치 알수 있는거 아님?궁수자리블랙홀 말고 우리은하 다른 부분에서 관측한 제트류 모양
@myungdalkim6586
@myungdalkim6586 10 ай бұрын
필라멘트가 무슨말이고?
@user-ix6xq8fr1n
@user-ix6xq8fr1n 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우주먼지님. 평소 영상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궁금한 게 있어서 댓글을 달게 되었습니다. 각 항성계는 각자의 행성을 가지고, 행성은 각자의 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의문점은 태양은 해왕성까지 미치는 거대한 중력을 가지고 있는데, 어떻게 각 행성의 위성은 행성에 잡혀있는지입니다. 해왕성보다 거리가 가까운 위성들은 태양 중력에 잡혀있을만한데 말이죠. 어떻게 기가막히게 위성이 행성 중력에 딱 붙잡혀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sunworldlim3415
@sunworldlim3415 10 ай бұрын
각각의 위성에 미치는 중력은 태양보다 그 위성을 잡고있는 행성의 중력이 훨씬 큽니다. 쉽게 말해 지구는 태양 주변을 돌지만 님이 태양에 끌려가지 않고 지구에 붙어 있는 것과 같은 이유죠.
@user-hr5xp4kh6x
@user-hr5xp4kh6x 11 ай бұрын
대형 은하 중심에 있었던 quasi-star의 정확한 발음이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영상에서는 퀘이사라고 하던데, 정확한 발음이 궁금합니다. ( 쿼시 스타, 쿼지 스타라고도 하고, 쿠아자이 스타라고도 하는 영상도 있고...)
@rlawnqls159
@rlawnqls159 10 ай бұрын
kweɪ.zaɪ-
@user-hr5xp4kh6x
@user-hr5xp4kh6x 10 ай бұрын
@@rlawnqls159 그러면 퀘이자이 스타인가요.. 어렵네요.
@gsk6996
@gsk6996 11 ай бұрын
조금 천천히 말하셨으면 좋겠습니다❤
@tearsrucifer8239
@tearsrucifer8239 11 ай бұрын
영상에서 제일 취약한 부분이 블랙홀에서 z선이 활동하다 멈췄다는 부분인데 이건 상식적으로 불가능하지 않은지?? 소주병에 회오리 만들다가 멈춘것도 아니고 .. 우주공간에선 운동방향이 결정되면 계속 진행될터인데~~ 은하중심의 필라멘트 모양은 공간이 압축을 받고 있다는 증거인거 같아요. 마치 피자반죽을 볼링공에 한장 한장 붙여나가는 것처럼 공간이 압축을 받고 있다는 영상처럼 보이는데 ^^;; 아직 블랙홀의 생성과 마무리수순의 성장과정이 정립이 안되어 있다는 증거인거 같네요. 페르미 버블은 z선이 품어져 나갈 방향으로 아직 아기단계인 몽둥인걸로 보이며..(우리은하가 수축을 시작했다는 전자기적 현상) 은하가 수축을 더욱 진행하고 압력이 가중되면 몽둥이모양이 직선모양으로 쏘는 개념인걸로 느껴집니다. 우리은하의 나사손모양으로 보아 아직 중앙블랙홀이 커가고 있는 단계(수축단계)인거죠. 수축단계가 99면 z선 폭발단계는 1인정도의 시간대. 그리고 은하중심의 분출각이 흔들리는건 마치 팽이처럼 회전속도가 느리면(수축이 느리고 압축력이 약하면) 원불형이다가 속도가 빨라지면(수축력이 강하고 압축력이 증가되면) 직각측양방향(전자기적 특성) 으로 분출되는건 기본으로 느껴집니다.
@Neky_Hina
@Neky_Hina 8 ай бұрын
Z선 같은 건 금시초문이고 Jet입니다. 블랙홀이 먹방 찍는 동안 아래위로 빛의 속도로 방귀 뀌고 트림하는데 그게 제트고 지금은 먹방 끝나서 자고 있다는 것. 은하 수축은 또 뭔 소리인지... 이상한 데서 유사과학 이론을 접하신 것 같습니다.
@tearsrucifer8239
@tearsrucifer8239 8 ай бұрын
@@Neky_Hina 진공상태의 우주에서 공간이 식으면 수축할테이고 수축에 중심이 생길것이고요. 압력이 가해지면 중심이 비틀어질것이며 비틀림은 곧 회전으로 발전하고..압력은 증가되다 임계점에 다달으면 양갈래로 분출할 것이고. 진공속에서 관성에 따라 은하횡면이 줄어들며 zer선 방향으로 소멸되어 사라진다는 말이죠. 1의 은하에서 양갈래로 증식해 두개의 공간으로 확장한다는 거.. 그냥 상식적인 뇌피셜입니다. 무한한 시간의 우주시간을 짧은 머리속 시간으로 재봤습니더.
@kartlight
@kartlight 11 ай бұрын
우주는...결국 폭발과 반죽....
@ccc5152
@ccc5152 11 ай бұрын
저기 가까이 가면 타 죽겠는 걸? 우리 은하 중심까지 무려 2.5만 광년이나 떨어져 있어서 정말 다행이야.
@jean_kong5837
@jean_kong5837 11 ай бұрын
채널 보면서 느끼는 건데 보면 볼 수록 잘생기셨어요ㅎㅎㅎ❤ 하핳
@proworldcon
@proworldcon 10 ай бұрын
우리은하 터지고있는가보다
@FLOWERWAY_
@FLOWERWAY_ 10 ай бұрын
이쯤이면 유퀴즈 출연안해요?ㅋ
@user-vg7yu7rr2e
@user-vg7yu7rr2e 10 ай бұрын
빅뱅의 중심은 어딘가요?
@ultrabnss
@ultrabnss 10 ай бұрын
빅뱅은 절대 좌표가 없어요. 우주 모두가 빅뱅좌표 입니다.
@user-water2024
@user-water2024 3 ай бұрын
👇지구내부에도.우주도.경험.외계인들 데이비드월콕과코리굿의 우주폭로🎉 코리굿님은 SF영화급이죠..화성식민지. 네이버 블로그 무위이화 네이버 블로그 기른장
@hjatgmwadtm
@hjatgmwadtm 11 ай бұрын
그럼 뭐함 못가는데
@user-mk3qi3ot8r
@user-mk3qi3ot8r 11 ай бұрын
아이고 ㅠ 말하는 속도가 점점 빨라져서 못알아듣겟어요ㅠ 두세번들어도 듣는 사람이 숨만차고 알아(이해?)듣긴 힘드네요 구독한진 오래됫는데 점점 빨라지시는듯 아무리 딕션이 좋아요 비전공 일반인인 저는 뭔소린지ㆍㆍㆍ 보다에서는 그나마 천천히 애기하시던데 초창기영상보다 점점빨라지심ㅎ 재생속도 조절하면 뭐가 늘어지고ㅡ 영상길이가 좀 길어지더라도 천천히 (일반속도) 안될까요??
@Canberra92
@Canberra92 4 ай бұрын
진짜 우주의 모습인지 어떻게 확신하고 말씀하심??
@user-lu1sx2sp5s
@user-lu1sx2sp5s 5 ай бұрын
자료, 사진 데이타는? 출처는. 이론이던 가설이던 과학기사? 출처.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
бесит старшая сестра!? #роблокс #анимация #мем
00:58
КРУТОЙ ПАПА на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드디어! 빅뱅 직후, 태초의 어둠이 끝나던 순간을 포착하다!
18:14
우주먼지의 현자타임즈
Рет қаралды 110 М.
정말 아홉 번째 행성이 또 있을까? | 누구도 예상치 못한 최신 근황 공개
13:00
Урна с айфонами!
0:30
По ту сторону Гугл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Купил этот ваш VR.
37:21
Ремонтяш
Рет қаралды 294 М.
Неразрушаемый смартфон
1:00
Status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Secret Wireless charger 😱 #shorts
0:28
Mr DegrEE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