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정말 매트릭스 세계에 살고 있는 걸까?

  Рет қаралды 2,357,680

리뷰엉이: Owl's Review

리뷰엉이: Owl's Review

2 жыл бұрын

이 세상은 정말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고 0과 1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세상일까? 특이점을 넘는 세상이 올까? 시뮬레이션 이론, 매트릭스 세계에 대해서 알아보자.
참고 자료 및 서적 정보
www.simulation-argument.com/s...
users.wfu.edu/cottrell/ope/arc...
www.umsl.edu/~philo/People/Fa...
web.archive.org/web/201411271...
web.archive.org/web/200806070...

Пікірлер: 3 900
@h-hwanja
@h-hwanja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 할지라도 나에겐 현실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user-mq1cq5wm8h
@user-mq1cq5wm8h 2 жыл бұрын
현실과 시뮬의 차이는 뭐라 생각하세요? 왜 현실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씀하셨는지 궁금해요. 왜 시뮬 세상과 현실 세상을 대하는 자세가 다르다고 말하는지가요.
@crazy-20000
@crazy-20000 2 жыл бұрын
@@user-mq1cq5wm8h 시뮬세상에서 캐릭터가 죽는다고 현실에선 죽지않죠 하지만 입장이 시뮬세상속에 존재하는 캐릭터라면 시뮬세상에서 죽으면 그냥 죽는거에요 게임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게임캐릭은 죽지만 플레이어는 멀쩡히 살아있죠 여기까지 저의 개논리였습니다
@vinylstage
@vinylstage 2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주말이끝나면 출근을 해야된다는 소리군요
@Tesla_Stock_Sucks
@Tesla_Stock_Sucks 2 жыл бұрын
@@user-mq1cq5wm8h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고 해도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 이순간은 현실이니까요
@Whatsubbrooooooooo
@Whatsubbrooooooooo 2 жыл бұрын
몰입 깨졌노
@sjlee3438
@sjlee3438 2 жыл бұрын
피씨방에 가면 왠지 마음이 편안해지는것도 그곳이 진짜 우주이기 때문이군요
@VradNorton
@VradNorton 2 жыл бұрын
이쁜 알바생이란 호환되지 않는 프로그램도 가동중
@toky2545
@toky2545 2 жыл бұрын
ㅋㄱㅋ 현자네
@user-yy7ht7df6h
@user-yy7ht7df6h 2 жыл бұрын
ㅋㄱㄱㄲㅋㅁㅊ
@user-xt4wg8yc8f
@user-xt4wg8yc8f 2 жыл бұрын
또다른 시뮬속에 내가 댓글을 달았나..??
@asrada0625
@asrada0625 2 жыл бұрын
Aㅏ...!
@HaNaDulsex
@HaNaDulsex Жыл бұрын
불교에서 말하는 것과 비슷하네요 내가 있음으로 저것이 있다. 즉 내가 없으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user-hj4bu2rc4j
@user-hj4bu2rc4j 2 ай бұрын
헐 내가 평소에하던 생각인데
@user-gv6xd1hr7m
@user-gv6xd1hr7m Ай бұрын
불교는 종교가 아닌 철학이라고 불라는 이유
@Taiwan_nomber1
@Taiwan_nomber1 Ай бұрын
참 힙한 철학이여
@ionlolnz
@ionlolnz Ай бұрын
나도 맨날 이 생각했는데
@user-gz5fz9oj7w
@user-gz5fz9oj7w Ай бұрын
@@user-hj4bu2rc4jㄹㅇ 나도 맨날 하던 생각
@user-ut3op4jw7n
@user-ut3op4jw7n Жыл бұрын
스티븐 호킹이 했던말이 떠오르네요 “알수없는 무언가가 시간의 역행을 막고있다”
@user-nn5ny5nv4j
@user-nn5ny5nv4j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면서 시뮬레이션세상에 대한 깊은 고민을 3초 정도 했는데 머리가 아프고 생각하기 귀찮아지네요 금방 포기하도록 프로그래밍 되있는 듯
@user-zb1uo6ue4b
@user-zb1uo6ue4b Ай бұрын
아 그런 거였나? ㅋㅋ
@ttatmouse
@ttatmouse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ogos223
@logos223 2 жыл бұрын
Matrix를 극장에서 처음 보고 충격을 받았었죠. 어떻게 인간의 머리에서 이런 생각이 나올 수 있는거지?? 라면서요. 그후 이 모든게 실제 과학으로 연구되고있는 내용이라는 걸 알게 되고 또 충격을 받았죠. 아무튼 이런 것들을 연구하는 사람들.. 감사하고 존경합니다.
@dksdndrl
@dksdndrl 2 жыл бұрын
영화 매트릭스는 이미 조선시대 구운몽에서 비슷하게 다룬 내용입니다. ㅋㅋㅋ 내가 나비인가 나비가 나인가?ㅋㅋㅋ 구운몽도 노장사상에서 나온거지만요...
@paradox0128
@paradox0128 2 жыл бұрын
@@dksdndrl 그래서요?
@dksdndrl
@dksdndrl 2 жыл бұрын
@@paradox0128 그렇다구요....
@user-vf5zr9ls2m
@user-vf5zr9ls2m 2 жыл бұрын
@@paradox0128 시비노
@user-dv3hp9oj4s
@user-dv3hp9oj4s 2 жыл бұрын
@@paradox0128 시비노2
@user-jv8se1qf1o
@user-jv8se1qf1o Жыл бұрын
입자와 파동 이중슬릿 실험까지 잘 설명해주셨네요
@selynkimxx
@selynkimxx Жыл бұрын
요즘따라 "현실"이 여러 모로 너무 꿈처럼 느껴지고 이질감이 들면서 철학적 과학적 의문이 많아졌는데 이런 영상과 담론을 파고드니까 흥미롭기도 하고 버겁기도 하고 ㅋㅋㅋ 시간 가는 줄 모르겠네요... 이렇게 쉽게 정리된 거 볼 수 있어서 좋아요
@user-to4te8xk7c
@user-to4te8xk7c Жыл бұрын
걍 중2병
@Limayou_wecando
@Limayou_wecando Жыл бұрын
@@user-to4te8xk7c ?ㅋㅋㅋ
@user-xz4yf8lc2o
@user-xz4yf8lc2o Жыл бұрын
@@user-to4te8xk7c 맞긴해 초6때 이런 거 ㅈㄴ 봤었는데 고등학교 곧 가니까 그딴 거에 대해 고민할 시간도 없다
@user-et8zj9rs2x
@user-et8zj9rs2x Жыл бұрын
@Eddie 앞날창창한 젊은놈한테 틀딱짓하는 그쪽은 늙어서도 딱히 진전은 없는거같네요
@Retro_LetGo
@Retro_LetGo Жыл бұрын
이인증이라는 정신질환입니다 전문의와 상담해보세용…
@story_sales
@story_sales 2 жыл бұрын
통속의 뇌 이론이군요.. 그래서 데카르트는 모든 것을 의심해야하고 모든 것이 가짜일수 있지만 그것을 생각하고 의심하고 있는 나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 만큼은 진짜이기 때문에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고 한 것 같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ii4dh1mv9i
@user-ii4dh1mv9i 2 жыл бұрын
‘나’가 존재할까요 정말?
@Hi-xl2ec
@Hi-xl2ec Күн бұрын
@@user-ii4dh1mv9i내가 존재할까? 의심하고 생각한 순간 나라는 존재는 이미 증명된것ㅇ,
@user-ii4dh1mv9i
@user-ii4dh1mv9i Күн бұрын
@@Hi-xl2ec 애초부터 그렇게 인식하도록 받아왔으니까 ‘나’라는 환상을 만든 것 아닐까요?
@Hi-xl2ec
@Hi-xl2ec Күн бұрын
@@user-ii4dh1mv9i 그럴수 없음. 조종당한다면 자신의존재를 의심하는게 불가능.
@PaniBottle
@PaniBottle 2 жыл бұрын
진짜가 뭔데? -> 매트릭스라는 영화를 표현하는 한마디인듯...?
@user-mc7ls7cm6b
@user-mc7ls7cm6b 2 жыл бұрын
오찐이다
@user-zs6mo3nc6p
@user-zs6mo3nc6p 2 жыл бұрын
안자고 뭐하노
@user-be6cy9bp6o
@user-be6cy9bp6o 2 жыл бұрын
빠하
@user-ui2yi9vr1q
@user-ui2yi9vr1q 2 жыл бұрын
형님 잠좀 주무십쇼...
@lessachoi
@lessachoi 2 жыл бұрын
아니 감자밭에 계실분이ㅡ왜 여기에ㅡ계신가오?
@SweetCracker1
@SweetCracker1 27 күн бұрын
제발 내 주인아 현질좀 해라
@TLS9723
@TLS9723 22 күн бұрын
이미 망캐라 버림 ㅅㄱ
@user-tp3ru4tr8g
@user-tp3ru4tr8g 21 күн бұрын
'망한 라인은 가는거 아니다'
@user-kd6bw3ur6g
@user-kd6bw3ur6g Жыл бұрын
완전대박이네요..공감합니다. 어릴적에 온 세상이 가짜일것같다고 단지 프로그램된 세상일것같고 영화 트루먼쇼에 한부분일것이다라고 생각에 꼬리의 꼬리를물고 그렇게 하루를 지내며 살앗는데 그생각이 맞을수도있는거네요..그걸 어떻게 극복하고 해결에 나가는지 지켜보는 설계자의 뜻으로 지내곤했습니다. 좋은영상매번감사합니다 부엉님ㅎ
@PABLOESCOBAR-fs8lc
@PABLOESCOBAR-fs8lc Жыл бұрын
실명임?
@user-zf1cn6rx7c
@user-zf1cn6rx7c Жыл бұрын
신기.. 나도 9살? 때까지 어짜피 이세상은 다 거짓이야 라고 생각을 엄청많이했음 왜 그런 생각이 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즐거울때나 슬플때나 알수없는 느낌인지 생각인지 ..계속들었음 30년전이네.. 근데 아직도 믿지못하겠음..
@user-bu9xq4jj8o
@user-bu9xq4jj8o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렸을적에 이 세상이 다 가짜 아닐까하는 생각을 몇번 했었는데, 이런 생각을 했던 사람들이 한둘이 아닌게 신기하네요 실제로 정말 이 현실이 시뮬레이션일지도 모르겠고..
@user-tn1he7jb5g
@user-tn1he7jb5g 11 ай бұрын
​@@user-bu9xq4jj8o 아무도 보지못한 신이 있다고 대부분이 믿는게 더 신기하지않나요
@gogo-ql8cw
@gogo-ql8cw 9 ай бұрын
와이런생각을 어렸을때부터했다니 대단
@johnlim7470
@johnlim7470 2 жыл бұрын
인간 스스로 자신이 캐릭터라는걸 알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해주신 자비로운 시뮬레이터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갑시다.
@mason7645
@mason7645 2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터야 여친 하나만 제발!!!! 개샛기야!!!!!@
@user-pf9bl8hk9x
@user-pf9bl8hk9x 2 жыл бұрын
@@mason7645 ㅋㅋㅋㅋㅋ나도
@user-st8xo8ex5j
@user-st8xo8ex5j 2 жыл бұрын
@@mason7645 형님 혹76년생이시면 아드님의 여친 즉 며느리감을 바라시는 거죠
@mason7645
@mason7645 2 жыл бұрын
@@user-st8xo8ex5j 76이 76년생인줄 아는 애들은... 뭘까
@krnyorga
@krnyorga 2 жыл бұрын
@@mason7645 그럴 수도 있지 그걸 이상하게 여기는 니가 더 이상함 ㅋㅋ
@Chleosl
@Chleosl 2 жыл бұрын
요즘들어서 영상 퀄리티가 엄청나게 발전한 것 같네요 ㄷㄷ 예전에는 리뷰엉이님이 영상에서 철학적인 내용을 다룰 때 약간 중구난방한 감이 없지않아 있었지만 요즘들어선 정말 내용이 딱딱 한방에 이해되고 있어요!
@user-oo3pc5vl8p
@user-oo3pc5vl8p 2 жыл бұрын
ㅇㅁㅇㅁㅇㅁㅇㅁㅇㅁㅇ
@user-yp1ep9bj5w
@user-yp1ep9bj5w 2 жыл бұрын
전 이해가 않가네요. 그럼 우리가 이 게임세상에서 게임을 하겟냐고요.!
@user-yp1ep9bj5w
@user-yp1ep9bj5w 2 жыл бұрын
그냥 이 공간에서 놀면 되지않나요?
@Chleosl
@Chleosl 2 жыл бұрын
@@user-yp1ep9bj5w 말씀대로 우리 사는 공간에서 재밌게 놀면서 사는 사람도 많답니다. 비단 컴퓨터나 핸드폰 게임 뿐만 아니라, 자기가 이 세상에서 무엇을 하는 것이 "재미있을까" 를 한번 생각해 보는거지요.
@Chleosl
@Chleosl 2 жыл бұрын
@@user-yp1ep9bj5w 우리가 삶에서 느낄 수 있는 재미는 영화를 보고 느끼는 재미나 게임을 하며 느끼는 재미같은 행복 뿐만 아니라, 내가 하고싶은 것을 오랜 노력 끝에 완성시키는 성취감이라던지, 내가 이 세상에서 왜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나만의 목적을 드디어! 발견했다든지 하는 보다 더 한 차원 위의 재미도 많아요 ㅎㅎ
@user-do5ng5fn2d
@user-do5ng5fn2d Жыл бұрын
와 영상퀄리티..장난없네요. 충격받으면서 봤습니다
@jj7
@jj7 Жыл бұрын
와... 인셉션이 괜히 연장선이 된게 아니군요... 미스터 노바디 이해가 됩니다...
@user-ui4vw2ux5c
@user-ui4vw2ux5c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님 영상도 시뮬레이션의 한 과정으로서 시뮬레이터가 이 세상은 시뮬레이션이라고 힌트주는 것일 수 있다는 재밌는 상상도 하게 되네요ㅎㅎ
@user-qv9sq7wr6d
@user-qv9sq7wr6d 2 жыл бұрын
재밋는 '상상'이라고 까지만 생각하게 하는 것도 설계
@gaddatee717
@gaddatee717 2 жыл бұрын
@@user-qv9sq7wr6d 라고 답글을 적는것도 설계
@user-xw1bx1zy2j
@user-xw1bx1zy2j 2 жыл бұрын
정교하게 짜여진 시뮬레이션을 통해 과거뿐만아니라 미래도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겠네요. 시뮬레이션 세계를 통해 미래를 미리 내다 볼 수 있으면 원우주의 과학기술 수준을 뛰어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을까요?
@lililioo
@lililioo Жыл бұрын
와 통찰력 대박이시네 우리는 느끼지 못하지만 시뮬레이션을 n배정도 가속하고 있는 거 아닐까요
@rayderray210
@rayderray210 Жыл бұрын
라플라스의 악마 논리..... 문학적으로는 아자토스 문제는 그 정보량을 받아 낼 수 있는 매체가 있냐는 겁니다. 약 1천년의 시간을 넘어 미래를 예측한다 가정해 봅시다. 뭐 가령 1천년 뒤 미래의 유튜브가 어떻게 되었을 지 시뮬을 했다고 상상해보죠. 실질적으로 그 데이터를 추론 할 수 있는 근사값의 영역에도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 할 겁니다. 1천년 동안 지구가 아니라 우주 전체가 서로 상호작용 하고 있으니까요. 지구로 부터 수천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먼지 하나까지도 전부 계산해야 하는 겁니다. 그런거 하나 빼면 그것만으로도 이 시뮬레이션의 계측은 '오류'가 축적 되어 있는 결과물이 되는거죠. 실질적으로 이 시뮬레이터 이론은 사실상 불가능의 영역 인 겁니다. 그 어떤 우주건 간에 그 어떤 다중 차원이든 간에 무수히 많은 것을 착안하고 생각해야 하며 그걸 담아 낼 기능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걸 알려면 진짜로 물질에 담긴 모든 정보를 전부 읽을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을 라플라스의 악마라고 합니다. 이게 왜 악마냐구요? 그런 존재가 있다면 그건 인지의 영역을 초월한 존재 즉 악마나 신이니까요. 크툴루 세계관에서도 이러한 모든 것 자체를 알고 있는 존재가 아자토스고 우리가 사는 우주는 아자토스의 꿈에 지나지 않는다는 설정이 있습니다. 그래서 아자토스가 잠에서 깨어나면 꿈이 끝나니 모든 것이 멸망한다는 이야기죠. 실질적으로 이 모든 영상 자체의 내용, 현재 과학 기술의 영역은 오로지 상상에서 이루어집니다. 상상하는 것 만이 인간이 가진 가장 강력한 도구이며 그것으로 진화를 했고 현존 세상에 존재하는 진정한 법칙을 깨닫는 거죠. 모든 세상이 시뮬레이터로 구동이 가능하다.....? 상상력을 시뮬레이터 할 수 있습니까?
@chopinballade2614
@chopinballade2614 Жыл бұрын
@@rayderray210 라플라스의 악마에 나오는것처럼, 당신은 자유의지를 가진 존재라고 스스로 착각하고 있는 걸 수도..? 당신이 자유의지로 행한다고 여기는 생각 혹은 상상력이 사실은 모두 사전에 시뮬레이터가 설계해놓은 값에 불과하다면? 그리고 오류가 누적되기 때문에 미래를 예측하는 수단으로 쓰일 수는 없다했죠? 그 오류 오차값을 줄이기 위해 수천, 수만개의 시뮬레이터를 돌려서(통계학에서 실증분석을 할때 최소자승법을 이용하듯이) 오차항으로 구분될만한 사항들을 추려내고 이들 오차항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추세선을 구해 인류의 미래에 대한 대략적인 방향성을 알아내는 용도로 쓰일수도 있지 않을까요? 덧붙임) 계산값이 많아서 실현불가능하다는 건 기술의 발전으로 얼마든 극복가능한 얘기이니 논외로 합니다. 현재의 비트 컴퓨팅 시스템 말고, 양자역학 컴퓨터가 개발되어 큐비트 컴퓨팅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면 인류 문명의 탄생 이후부터 지금까지 이 세상에 존재해왔던 그야말로 모든 인간이 행한 수학적, 물리학적 연산은 단 몇초만에 계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양자컴퓨터가 개발된다면 인류를 달에 보내기 위해 수십년간 노력했던 나사의 프로젝트나 F22랩터를 개발했던 록히드마틴의 개발진들의 노력은 갓난애기들 장난보다도 못한 수준으로 전락한다는거죠. 그정도 기술이면 이세상과 똑같은 수준으로 구현된 시뮬레이터 수천 수만개도 돌릴 수 있을겁니다.
@user-gy5dr1ux7j
@user-gy5dr1ux7j Жыл бұрын
@@rayderray210 상상력을 시뮬레이션하는건 당연히 불가능하죠. 만약 세상이 진짜 시뮬레이션이라면 우리는 못하지만 시뮬레이션을 만든 누군가는 할수있지않을까요? 우리가 알고있고 알아야하는 모든것들을 이미 알고 자유자재로 다루는존재면 적어도 우리입장에서는 전지전능인데 그걸못할리가없죠. 단지 왜 했는지 이해하지못할뿐
@user-yw8zp5ip7d
@user-yw8zp5ip7d Жыл бұрын
@@user-gy5dr1ux7j 상상력이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할 수 있는겁니다. 이우주에 없는걸 상상하라고 하면 결국 이우주에 여러 요소를 배합하는 상상일뿐입니다
@user-bj6bc1in8bf
@user-bj6bc1in8bf Жыл бұрын
6:04 이부분.. 나 초딩때부터 이런 생각 매순간마다 했었는데 말로 설명할수가 없었는데 내가 느꼇던걸 그대로 설명 잘해주시는 기분..
@sjun6343
@sjun6343 8 күн бұрын
나 거짓말 안치고 유치원때 이생각했음. 유치원생이라 말로 설명하기 힘들어서 어른들한테 아무리 말해도 이헤들을 못하더라
@NS-sh9qd
@NS-sh9qd Жыл бұрын
깊이있는 생각을 할수있었어요, 흥미롭고 와닿게 설명해주셔서 구독도 했습니다.
@jeongk958
@jeongk958 2 жыл бұрын
주제 넘 재밌고 흥미로워요 ㅎㅎㅎ 요즘 미드 웨스트월드보는데 그것도 시뮬레이션 도시를 만들어 테마파크로 이용하는데 재밌어요ㅋㅋ
@128idd
@128idd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이 제일 중요한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든 아니든, 우리한텐 이 세계가 진짜입니다. 만약 시뮬레이션이라는 것이 밝혀져도 '전부 부질없는 일이다'라고 하는 건 말도 안 되는 거죠.
@bhlee_
@bhlee_ Жыл бұрын
그럼 뭐함... 어차피 가짜 세계인데 가짜는 가짜일뿐
@godchul
@godchul Жыл бұрын
과학으로 접근했는데 증명을 못하니 문학적이게 되는게 굉장히 재밌고 흥미롭네요
@niju4724
@niju4724 Жыл бұрын
이 세상이 메트릭스이면 내 생각도 메트릭스 자유의지도 없는 것이고 모든 사람이 허상이라고 생각이 들어 허무함을 느끼고 관련 영상을 찾아보던 중 리뷰엉이님 영상을 찾아보게 되었는데 좋은 결론 얻어가는 것 같아 감사합니다!! 메트릭스 든 아니든 내가 사는 세상이 진짜 세상인건 변하지 않는 다는 것!
@user-cd9uu4jo9j
@user-cd9uu4jo9j Жыл бұрын
😮😮😊😊😊😊😊😊😊😊
@user-eh8jo7ks2x
@user-eh8jo7ks2x 2 жыл бұрын
세기말에 개봉한 매트릭스... 매트릭스를 보기전까지 인생 최대 충격작은 터미네이터였는데 매트릭스를 본 이후 지금까지도 매트릭스만큼의 충격을 준 작품은 없었다... 부디 새롭게 개봉하는 4가 그동안의 모든것을 망치지않기를...
@using_namespace
@using_namespace 2 жыл бұрын
매트릭스는 2부터 뇌절 아니었나요
@drmphy
@drmphy 2 жыл бұрын
@@using_namespace 니가 뭘 몰라서 뇌절이라고 생각하는 거지ㅋㅋ 그게 뇌절이었다면 사람들이 아직까지도 열광하겠냐 메트릭스는 3편까지 아주 체계적으로 기획된 세계관이다 스스로 그런 걸 이해할 능력이 안되면 사람들이 리뷰해놓은 걸 찾아봐라
@user-ie7ro4cl2y
@user-ie7ro4cl2y 2 жыл бұрын
미국 대통령이나 교황이 세상 종말한다고 선언좀 해줬으면 좋겠음 세기말 분위기 때문에 당시 명작 많이 나왔지 매트릭스, 카우보이 비밥, 테크노 , 스타크래프트, 에반게리온 등등 종말이 구라라는거 증명되니까 예술가 애들이 헝그리정신(?) 이 부족해짐
@user-zp4ye5nm9e
@user-zp4ye5nm9e 2 жыл бұрын
@@drmphy 넘모 급발진 하시는데 ㅋㅋㅋㅋㅋ
@holysite
@holysite 2 жыл бұрын
내침대 매트릭스나 바꿔줬으면 낳겠다
@user-nb8ke5yk4f
@user-nb8ke5yk4f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멘트가 좋네요….”이 세상이 우리한테는 진짜자나요”ㅎㅎ
@jibagmyo
@jibagmyo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당🥝
@user-gj7tz4wc9o
@user-gj7tz4wc9o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을 먼저 접하게되면 이영상이 장난이아니고 진지하게 다가오더라구요
@Octamino
@Octamino 2 жыл бұрын
만약 세계가 시뮬레이션이라면 네오처럼 물리법칙을 비틀 수 있는 존재도 있을 수 있겠네요. 그리고 그건 뇌를 통한 생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네요. 뇌라는 게 시뮬레이션 안에서 돌아가는 양자컴퓨터 같은 존재인데.... 이게 단방향으로 정보를 시뮬레이션에서 받기만 하는 게 아니라 시뮬레이션으로 정보를 보낼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말이죠. 다만 현재 인류는 정보를 보내는 방법을 아직 발견하지 못해서 물리법칙을 벗어나진 못하고 있는 것일지도요. 어디까지나 가설입니다. ㅎㅎ 재미있는 영상 잘봤습니다.
@duekk02
@duekk02 2 жыл бұрын
정말 우리의 과학이 많이 발전해서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의 물리법칙을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된다면 그때는 확실히 우리우주가 시뮬레이션 인지 아닌지 알 수 있게 될것 같네요
@bw-ee2of
@bw-ee2of 2 жыл бұрын
우주 지배하는 힘이 총 4가지가 있고 이에따른 법칙이 있는데 이중 두가지 결합도 못하고있는게 현 인류입니다.. 까마득하네요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결합시켜야 우주비밀을 풀수있는데 이게 안됨 암흑에너지란 뭔가? 결국 이걸 모르니 우주비밀을 못품 이 암흑에너지가 우주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bw-ee2of
@bw-ee2of 2 жыл бұрын
물론 암흑에너지도 학계의 주류의견(노벨상 수상) 일 뿐 사실인지는 모름 사실이라고 가정해야 더 나아갈수가 있기에 인정받은거뿐
@dmdxhltkz
@dmdxhltkz 2 жыл бұрын
@@bw-ee2of 우왕 그렇군요...
@aevs
@aevs Ай бұрын
@@bw-ee2of상대성 이론이랑 양자역학을 결합한다는 말은 태어나서 처음 듣네요. 각 각 완전성과 확률성을 나타내는 학문으로 단순히 인류의 과학과 논리력의 부재가 문제인게 아닙니다. 개념 자체가 상충되는 개념이에요. 암흑 에너지는 가상이 아니라 실재하는 에너지입니다. 아인슈타인이 우주 상수로 증명해냈죠
@user-lj9dc2zl1q
@user-lj9dc2zl1q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어요
@user-mo3qg6qt2s
@user-mo3qg6qt2s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네요^^
@jonathanjason5119
@jonathanjason5119 2 жыл бұрын
17:20 지금껏 이 모든것이 현실일까라는 생각자체는 종종 했었지만, 그걸 찾기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해도 결국은 그 초월적 존재를 직접적으로 마주하기전까진 글, 영상등등 모든 정보들도 결국 시뮬의 일부분일거라곤 생각못했네요..내가 이 세상이 가짜는 아닐까라는 추측을 누군가가 동의하고 그 추측에 힘을 실어주는 말을 해준다고해도 그사람 그 정보역시 디지털의 일부..당연한거인데도 이렇게 깨닫게되니 좀 무섭네요 ㅠ 재미있게봤습니다
@user-qh7cs2zp7u
@user-qh7cs2zp7u 2 жыл бұрын
여기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우주론의 증거로 블랙홀이 있다면, 블랙홀 주변 시간지연현상은 수많은 오브젝트를 띄워야하기에 발생하는 렉이라면, 충분히 시간지연이 일어난 블랙홀 인근에서 이중슬릿 실험을 진행한다면 전자가 파동->입자로 변하는 연산과정에서도 렉이 걸릴것이고, 그 과정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TV-od9vx
@TV-od9vx Жыл бұрын
이론상 알수있겠지만 조건자체가 성립이불가능해서 알수가없을듯..
@Superman_Channel
@Superman_Channel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입자가속기를 통해 미니블랙홀을 만들려는 이유죠.
@user-kp4fy4oj8n
@user-kp4fy4oj8n 27 күн бұрын
블랙홀의 개념을 재정립할겁니다
@user-gf6sv5pi7y
@user-gf6sv5pi7y Жыл бұрын
용기얻고 이번생마감할게요 ㅎㅎ
@GuardianangelOfJones
@GuardianangelOfJones Жыл бұрын
빛보다 빠른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가, 빛보다 빠른 물질에 대한 연산이 빡세서 시뮬레이터의 컴퓨터에 무리가 갈까봐 리미트를 걸어 둔 것이 아닐까..?
@user-wj6vy4ts6l
@user-wj6vy4ts6l 2 жыл бұрын
와... 1분과학님하고 같은 주제를 다루지만 느낌이 확 다르네요..ㄷㄷ 항상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inggunam
@inggunam 2 жыл бұрын
ㅇㅈ
@novice9771
@novice9771 4 ай бұрын
1분 과학님은 이제 과학이 아니게 되어버린 것 같기도 한...
@user-ee2io4lu8z
@user-ee2io4lu8z Ай бұрын
​@@novice97711분과학님은 이런 주제들을 철학적으로 다루죠 ㅋㅋ
@hazsang
@hazsang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갑니다! 11:53는 복잡계에서 흔히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로렌츠 시스템에서 증명하듯이 반올림한 근사치와 실제값의 작은 차이 (
@user-pt8fc4lr3y
@user-pt8fc4lr3y 2 жыл бұрын
우...왕......?
@chucky4258
@chucky4258 2 жыл бұрын
응 이럼 안되는데 우리 영화유투버…😭😭😭
@lillili1li1
@lillili1li1 2 жыл бұрын
세계최초 자기만족형 유튜버..
@SH_Lee7420
@SH_Lee7420 2 жыл бұрын
그...네? 외국인... 이시죠? 어... Where are you from?... Can you speak korean?
@user-bw9qu4cr4d
@user-bw9qu4cr4d 2 жыл бұрын
그러면 현실은 그 오류들을 어딘가로 미루는건가요?
@user-er4vl3qg7f
@user-er4vl3qg7f Жыл бұрын
이런 생각 때문에 우울감을 느끼는 정신병이 있다고 들었는데 부정적인 생각에 빠지지 않고 이렇게까지 연구하고 있다는 게 진짜 신기하네
@user-zb1uo6ue4b
@user-zb1uo6ue4b Ай бұрын
난 우울하긴 한데 그냥 포기하면 편해~ 메타로 살고 그래도 어쨌든 현실이니까 라는 생각으로 받아들인 상태라 ㄱㅊ음
@english0579
@english0579 2 жыл бұрын
멋진 내용입니다... 불교에서는 우리는 가아[가짜 나, 시뮬로 만들어진 나 ㅋ] 로 살고 있는 데, 진아[참나]를 찾아야 한다고 합니다. 찾는 방법으로 나를 계속 들여다 보면, 진짜 나 ,실체가 나온다고 하죠. 기도, 명상 ,참회 등 결국 그것을 찾는 과정 같아요
@pky4452
@pky4452 2 жыл бұрын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도 해도 우리에게는 이 세상이 진짜라는 말 정말로 공감합니다 ㅎㅎ
@Healthy_Body_and_Mind
@Healthy_Body_and_Mind 2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 우주관에 관심 있으시면 매트릭스는 많이들 아실테니 영화 '13층' 추천해봅니다. 개인적으로 이쪽 장르에서 수작이라고 생각합니다.
@first6418
@first6418 2 жыл бұрын
다크시티도 포함.
@Nakwon0312
@Nakwon0312 2 жыл бұрын
13층 명작이죠 미드 데브스, 웨스트월드도 추천
@Harmony_Korea
@Harmony_Korea 2 жыл бұрын
우리는 14층..
@Cro-cop
@Cro-cop 2 жыл бұрын
바닐라스카이
@Harmony_Korea
@Harmony_Korea 2 жыл бұрын
@@Cro-cop 케이 팩스
@mrlee9252
@mrlee9252 Жыл бұрын
20:42 각각의 시뮬레이션 마다 우주의 법칙이 다르다면, 우리지구 시뮬레이션에서는 이게 시뮬레이션인지 결국 알아낼수 없을수도 있을것 같음.(애초에 풀어나가는 전제 법칙이 리얼월드와 다를수 있어서) 리얼월드와 우주의 법칙이 유사하게 구현된 다른 시뮬레이션 세계에서는 이미 풀어냈을 수도 있고...
@hyukgoo
@hyukgoo 2 жыл бұрын
빛이 연속적인 파동과 불연속적인 입자의 성질을 동시에 갖는것도.. 이런거보면 납득이 되네요.
@10g_plate
@10g_plate 2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그렇네요... 세상이 만들어지려면 많은 재료가 필요한데 이 재료는 어디서 왔을까요? 모든것은 누군가로부터 만들어졌는데 그러면 세상도 누군가로부터 만들어졌어요 하지만 그 누군가는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모든 이치를 깨부시고 창조하는 힘을 가진 사람일꺼에요 갑자기 땅을 만들고 중력을 만들수 있는 사람은 존재할 확률이 없으니까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 아니라면 애초에 세상은 존재하지 않네요 소름끼쳐...ㅠㅠㅠ
@user-ko7tq5dm6h
@user-ko7tq5dm6h 2 жыл бұрын
매트릭스와 동일 맥락인 공각기동대, 13층, 블레이드 러너 같은 류의 영화들 그리고 이런 철학을 대표하는 장자, 플라톤, 데카르트, 장보드리야드, 닉 보스트롬, 니체 같은 이야기도 많이 섞어 다뤄주세요 ㅎㅎㅎ
@gottimegotmoney
@gottimegotmoney 2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에 약간 오류가 발생하면 시뮬레이션 여러개를 연결시켜서 각 시뮬레이션의 오류를 중화시킬순 없을까요?
@user-ue2on2fc5r
@user-ue2on2fc5r Жыл бұрын
나도 가끔 우주가 시뮬레이션이거나 아주 작은 세포라고 생각했는데 과학자들도 이렇게 생각했구나…그런데 시뮬레이션이라는걸 알아내도 이 시뮬레이션을 빠져나올 방법은 없을듯
@respect-qc1fy
@respect-qc1fy Жыл бұрын
사후세계가 시뮬레이션을 벗어난 진짜 삶이 아닐까요?
@user-ue2on2fc5r
@user-ue2on2fc5r Жыл бұрын
@@respect-qc1fy 저도 그런 생각 해봤어요 ㅋㅋㅋ 우리가 흔히 말하는 그 사후 세계가 죽고나면 모든 궁금증이 해결 될 것 만 같기도 하네여
@gentleman_3
@gentleman_3 2 ай бұрын
​@@respect-qc1fy그러게요.. 우리가 죽으면 어디로 갈까요? 죽으면 뇌가 멈추니 아무생각도 안드는 어둠일까요? 아니면 새로운 인생을 다시 살아갈까요?
@ajwonderland
@ajwonderland 24 күн бұрын
코드가 사라지니(저의) 그냥 존재했었다로 끝날 것 같네요 그것도 기록에 남는다면 업그레드된 코드로 남아있겠죠
@bisa2072
@bisa2072 2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 안의 시뮬레이션 안의 시뮬레이션 이렇게 계속 무한히 이어진다는 견해도 있지만 가장 최상위 최초의 시뮬레이션을 가동한 컴퓨터의 리소스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안의 시뮬레이션으로 한단계씩 들어갈수록 그 이전 시뮬레이션보다는 더 단순화되고 정보량도 작아질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Scid-jf6rs
@Scid-jf6rs 2 жыл бұрын
모델링이 더 단순화되고 정보량이 적어져도 그 속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인식할 수는 없지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아직도 발견되지 않은 정보들이 있을 정도로 수없이 광활하고 넓지만 이 곳이 시뮬레이션이라면 그 시뮬레이션을 돌리고 있는 위의 세계는 우리가 알지못하는 더 큰 정보들로 가득차 있고 더 정교한 세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태글은 아니고 평소 저도 했었던 생각인지라 주저리주저리...
@user-of9eb8do7h
@user-of9eb8do7h 2 жыл бұрын
@@Scid-jf6rs 오 저랑 같은 생각을 가지고 계셨군요!
@user-sz6mb1bt1g
@user-sz6mb1bt1g 2 жыл бұрын
@@Scid-jf6rs 생각은 좋은데 여기서말하는 정보는 님이 생각하는 그런 정보가 아니에요...
@user-sz6mb1bt1g
@user-sz6mb1bt1g 2 жыл бұрын
@@Scid-jf6rs 님이 말하는거는 지금 컴퓨터에 데이터가 더 많이 저장되는걸 말하는거같은데 이러면 엔트로피가 감소해요.. 저 정교하지 못하게 되는거죠
@Scid-jf6rs
@Scid-jf6rs 2 жыл бұрын
@@user-sz6mb1bt1g 제가 문해력이 딸려서 님의 말씀을 잘 이해하지는 못하겠으나 제가 말하고자 하는건 하위 시뮬레이션 세계로 내려갈 수록 모델링이 단순화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진다 한들 그 세계속에 살고 있는 존재들이 그것을 인식할 수 있을까 에 대한 고찰이었습니다. 또한 우리가 사는 세계가 시뮬레이션이라면 위의 세계, 즉 시뮬레이터의 세계는 더 정교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정보들이 여기보다 더 많을 것이라는 의견이었는데... 제 글을 잘못 읽으신건 아닌지....?
@muchun77
@muchun77 2 жыл бұрын
평소에 이런생각 진짜 많이하는데.. 많은 사람들도 이런 생각을 한다는게 신기함
@dabl5141
@dabl5141 Жыл бұрын
매트릭스와 잠깐나온 어벤져스 리뷰 잘 봤습니다 ㅎㅎ
@user-nm2wz2kw2g
@user-nm2wz2kw2g Жыл бұрын
우리세상이 시뮬레이션 이라고 치고 우리세상을 만든 현실세계마저도 시뮬레이션중 하나 일수도 있겠네 이게 끝도없이 반복..어지럽다
@user-cn3wn9cx4y
@user-cn3wn9cx4y 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특이하게 영화 리뷰를 하시네요 ㅋㅋ 역시 믿고 보는 리뷰엉이!!!
@user-qx1mp2gr9z
@user-qx1mp2gr9z 2 жыл бұрын
최적화라는것을 생각하다보니까 생명체의 수면상태라는 것도 최적화의 일부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대부분의 생명체는 밤에 잠들고 낮에 활동하니 간단하게 보면 지구의 반쪽이 실행하고 있을때 남은 반쪽은 비교적으로 많이 최적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고 보다 많은 데이터를 운용 할 수 있다고 생각할수도 있겠네요
@user-gm5kk2ke6i
@user-gm5kk2ke6i 2 жыл бұрын
강남 클럽 가보면 그건 아닐걸..? 밤샘 죽돌죽순이들이 얼마나 많은데
@user-nu8ju8pc6o
@user-nu8ju8pc6o 2 жыл бұрын
오늘부터 잠을 나눠서 자볼까?
@user-zz8cb4uq9h
@user-zz8cb4uq9h 2 жыл бұрын
위에 두명 생각의 다양성을 좀 펼쳐봐라... 너네는 스테미너가 정해진 게임할때 밤에만 스테미너가 제로가된가 생각하냐? 또 각 캐릭터 능력치마다 고유 스테미너 총량이 다르다면? 클럽 죽순이들도 일주일내내 잠을 안잘수있을까? 생각을 좀 넓고 길게해볼 필요가있다.
@user-pf9bl8hk9x
@user-pf9bl8hk9x 2 жыл бұрын
오 되게 흥미롭네요
@user-rx4cm6hf6e
@user-rx4cm6hf6e 2 жыл бұрын
집구석에서만 살면 가능하지 근데 한번이라도 사고 당하거나 병걸리거나 해봐라 현실을 알게 돼지
@cider_soda_summer
@cider_soda_summer 10 ай бұрын
죽었더니 VR 기기를 갑자기 벗고 1만년이라는 시간이 지나있는 100세기가 눈 앞에 있다던가 아니면 죽었더니 나를 플레이 하고 있는 유저가 있다던가 뭔가 있긴 할듯
@user-ox1qy1pp5z
@user-ox1qy1pp5z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라면 .. 주인아 나 능력치좀 올려줘라
@2-hoon
@2-hoon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부터 우리가보는 밥솥 사이즈가 전우주라고 생각했었고 우리는 밥솥(우주)밖의 사람을 볼순없고 그 사람도 우릴 볼수없을 정도의 양자학처럼 엄청 미세한 입자가 우리라 생각했네요 그러면서 모든자연현상은 시뮬처럼 운영되고 있다라고 생각했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잊혀져있던기억이 떠오르네요
@user-jv8kq8nq2u
@user-jv8kq8nq2u 2 жыл бұрын
볼츠만 두뇌, 푸앵카레 재귀정리에 대해서도 컨텐츠 나오면 좋겠네요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2 жыл бұрын
저 푸앵카레 이름 볼때마다 푸애애애앵 카레!! 하면서 떼 쓰는 아이가 떠오른다
@Harmony_Korea
@Harmony_Korea 2 жыл бұрын
볼프강파울리
@user-iueun00
@user-iueun00 2 жыл бұрын
푸앵카레는....사람들이 꼭 봤으면 하는 정리임♡ 알고 계시다니 너무 젛으네여
@user-fb9rz8zv2c
@user-fb9rz8zv2c 4 ай бұрын
시뮬레이션 이고 나발 이고, 지구온난화 먼저 해결 못하면, 아무것도 못한다
@user-mr1ti9kf2r
@user-mr1ti9kf2r 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을보기전 세상의 모든 지식,비밀을 알고싶었는데 본 후 모르는게 축복인것일수도 있지않을까싶어요.
@it_3o
@it_3o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이 정답이라고 생각하며 살진 마세요
@user-zb1uo6ue4b
@user-zb1uo6ue4b Ай бұрын
아는 걸 감당할 수 있으면 아는 게 축복이죠 멘탈적으로 감당 못할거 같으면 모르는 게 축복이고요...
@gaddatee717
@gaddatee717 2 жыл бұрын
지구에 있는 인류가 시뮬레이션에 대한 가설을 최초로 떠올린 순간에 지구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만약 우리 우주가 어떤 존재에 의해 시뮬레이션 돌려지고있는 실험과정의 일부분 이라면 이건 실험 과정에서 발견 된 중대한 결과 중 하나일텐데... 우리가 이걸 알아차리는 것이 실험의 가장 마지막 목표쯤 되지 않을까...? ㅋㅋㅋㅋ 말그대로 우리가 시뮬레이션 이니까.
@술덕후
@술덕후 2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 세계관 맹신중!
@cyescience
@cyescience 2 жыл бұрын
술 채우다 지갑 거덜난 현실이 시뮬레이션 아님 뭐겠어... 시뮬레이션이어야해..
@user-td8gc1on5w
@user-td8gc1on5w 2 жыл бұрын
ㅉㅉㅉ…차라리 지구평평설 믿는게 나을 듯
@Gunta87
@Gunta87 2 жыл бұрын
@@user-td8gc1on5w 최근 댓글은 과학이네 ㄹㅇ 무슨 지구 외에는 생명체가 없어
@abcdefg-kl4be
@abcdefg-kl4be 2 жыл бұрын
술덕후형 자주보이네요 여러 유튜버 댓글에 ㅋㅋ
@waltherWA2000
@waltherWA2000 2 жыл бұрын
@@user-td8gc1on5w ㅋㅋㅋ,,, 차라리 니가 잼민이라고 믿는게 나을듯
@Daddyschool
@Daddyschool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든 아니든 열심히 살아야하는것은 똑같다
@australianoh5304
@australianoh5304 11 ай бұрын
그러면, 지구만한 컴퓨터와 맥북만한 양자컴퓨터 둘중에 뭐가 낫다? 성능이 우월 할까요?
@user-sd3ni4fi9x
@user-sd3ni4fi9x 2 жыл бұрын
놀라울 정도로 자세하게 시뮬레이션 이론을 전개하는군요...
@user-zt7ui2pd2j
@user-zt7ui2pd2j Жыл бұрын
수상할 정도로 시뮬레이션 이론을 잘 아는 리뷰엉이
@the2051
@the2051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너무너무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이 세계가 시뮬레이션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만약에 시뮬레이션이라면 제가 죽을 때 까진 그 걸 깨닫지는 못했으면 좋겠네요. 제 삶은 누군가의 시뮬레이션에 의해 만들어진 게 아니라 고유의 삶이었으면 하거든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errykw3839
@jerrykw3839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현실이 더 잔혹할수있고 꿈이라도 깨지않는게 좋을수도 있습니다. 취생몽사.호접지몽.장자의꿈 ㅋㅋ
@user-jg5pt5wh9t
@user-jg5pt5wh9t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아는게 좋지 않을까요? 깨달은 순간 삶이 고유해질것 같은데요
@user-tg8lq2ue4s
@user-tg8lq2ue4s Жыл бұрын
너무 무서워요ㅎㅎ 그냥 모른척 지금 삶에 충실하고 싶어요^^
@user-bn3qk1kk1k
@user-bn3qk1kk1k Жыл бұрын
그걸 정신승리 또는 자기합리화라 부르죠. 멍청한류의 특징이기도 하구요.^^
@respect-qc1fy
@respect-qc1fy Жыл бұрын
육체의 죽음 이후가 진짜 삶이죠. 이것이 시뮬레이션의 결정적 증거라 봅니다.
@user-jl8gm1ld4y
@user-jl8gm1ld4y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본인이 이 모든걸 예상한게 진실일수도 있다는걸 가정하면 이 시뮬레이터 우주를 만든 사람이 리뷰엉이 본인이고 스뮬레이션 우주에 한사람으로 태어나 모든 사실을 알려주는게 아닐까요(?)
@user-kz8uh5pj3x
@user-kz8uh5pj3x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컨텐츠네요...근데 한가지 동의 못하겠어요. 만약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는 것을 안다면...전 오히려 더 신나게 살 것 같아요...마치 꿈 속에서 내가 꿈을 꾼다는 걸 알면 신나게 꿈을 즐기듯이...
@user-jh6by5ic1q
@user-jh6by5ic1q 2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 우주냐 아니냐를 따지기 전에 무엇이 '시뮬레이션 우주'냐는 질문이 먼저겠죠... 진짜로 신이 존재한다고 가정했을때 신이 만든 우주도 보는 관점에 따라선 무언가로 만든 시뮬레이션 공간일 수도 있으니까요. 결국 '가장 바깥의 진짜 세상'이라는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레퍼런스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어느게 시뮬레이션이고 어느게 진짜 세상인지를 구분하는건 매우 어렵거나 무의미하겠죠.
@leedg3208
@leedg3208 2 жыл бұрын
메트릭스 뿐만 아니라 그 이전에 시뮬레이션 속의 시뮬레이션을 그린 13층이라는 영화가 생각나네요 트루먼쇼도 얼핏 생각나고 신이란 존재보단 시뮬레이션우주가 더 설득력있는것 같기도 하고 여러가지 생각에 잠기게되는 밤입니다
@pingping5497
@pingping5497 10 ай бұрын
설명 지립니다
@user-tz7cc1vk8h
@user-tz7cc1vk8h Жыл бұрын
chat GPT에대한 영상도 만들어주세요. 과연 GPT는 무엇인지. 시뮬레이션인지 홀로그램인지.. 그리고 SOD님과도 콜라보로 영상한번 만들어주세요
@user-lk5hr5zk1u
@user-lk5hr5zk1u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덕분에 저희는 시뮬레이션이 아니라는걸 확정할수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ㅋ
@user-vm4ic1dw7u
@user-vm4ic1dw7u 2 жыл бұрын
정말어려운 얘긴데. 그럴듯 하네요. 나도 어렸을 때 이세상이 진짜일까? 라고 생각한적이있는데 내가보고 느끼고 내가족 학교친구들 마저 모두 어떤 특정한 이치로 돌아가는 기어박스속에 허상이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을한적이 있었네요. 그러다 쓸데없는 망상으로 시간을허비 하지말자 하고 대학생이되었는데 그때 톰행크스에 영화를 보고 나와 비슷한 생각을한사람이 미국에도 있구나 했죠. 물론 영화는 티비주인공이고 모든 환경은세트이고 친구가족은 조연이고 하는 설정이었지만 큰틀에서는 내생각과 비슷 하더이다. 허구이거나 설정이거나. 결국 내가믿는것이 사실이아니지 않을까하는 의심에서 만들어진 가설들이니까. 근데 또 20년이 지나니 매트릭스 라는 가상현실이 아닐까하는 주장들을 접하게되네요. 참신기하고 아리송합니다. 만일 세상이 허구이고 내가 만들어진 장난감이라 하더라도 나는 내가 아는 모든것들을 소중히여기고 성실히 살아갈겁니다. 내부모님으로사는 허구 내가족 내주변 허구들에게 나는 감사한마음이 커다라니까요. 나라는 아이콘이 신호같은 아이콘으로 사라지는 것이 억울하니까요. 언젠가 사라지는 신호가 되더라도 인간다운 신호로 사라지고싶네요
@user-vo6vn2xr9v
@user-vo6vn2xr9v 2 жыл бұрын
짐 캐리 트루먼쇼 말하는거임? 웬 톰행크스?
@Upper_east
@Upper_east Ай бұрын
법상스님의 목탁소리 유튜브 채널에서 자세하게 풀어주십니다
@user-pc2gy2by8n
@user-pc2gy2by8n 11 ай бұрын
삶은 공간과 시간이 아니라 진동과 파동이다. 우리의 삶은 공간과 시간에 따른 이동이 아니라 진동과 파동으로 이뤄진 우리 앞에 펼쳐진 순간 순간의 현상으로 살고 있다. 우리는 살면서 세상의 모든 나라,사람들을 다 만나고 갈수 있을 거 같은 착각을 하지만 실제로 우리의 삶은 그렇지 않다. 그리고 매 순간 사건마다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그러므로 공간과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는 단지 우리의 앞에 나타나고 펼쳐진 것들 만이 우리의 삶이고 우리의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순간을 살아라 현재에 충실해라 하는 말이 있는 것이다. 내가 보고 겪는 것들 이외의 것들은 허상이라 봐도 무방하다 . 인터넷에 있는 전세계의 뉴스들을 보고 우리 모두가 걱정을 하고 나에게도 같은 일이 일어날 거 같은 착각이 들 수 있지만 그것들은 나에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니 눈앞에 펼쳐지고 해야만 하는 일 그리고 나에게 오는 인연들에게 집중하고 살면 된다. 그리고 바람처럼 스쳐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들과 장면들을 보며 그저 즐기며 살면 되는 것이다. 내가 없으면 우주도 없는 것이다.
@user-uw8wu9fb6p
@user-uw8wu9fb6p Жыл бұрын
죽는것이 곧 이 시뮬레이션에서 나가는 방법일수도 있겠네요 알고보면 우리는 처음 세포부터 죽고 새로운 캐릭터를 생성하는것처럼 죽고 살고를 반복하지만 시뮬속에 있는 우리는 모르고 우리를 조종하는 그들이 알겠죠
@mibeak7165
@mibeak7165 2 жыл бұрын
양자 역학보다가 재미있어서 여기까지 왔네요. ㅎㅎ 세상이 시뮬레이터라면, 영화나 상상 속에 멀티버스 혹은 평행 우주는 사실일 수있다는 거네요. 가끔 삶에 데자뷰를 느끼거나 사실이 아닌 기억이 마치 사실처럼 기억나거나 꿈에서 경험하는 신기한 일들은 사실 다른 시뮬레이터의 일들이 중앙 컴퓨터의 오류로 혼선이 되거나 버그가 생긴 것일 수있겠네요. 그리고 고도화된 확률계산기(예언자)나 버그를수정하기 위한 백신(영매,같은 영적능력자 혹은 기존 법칙으로 이해가어려운 초능력자나 돌연변이)들이 우리 주변에 나타나 문제들을 수정하거나 진실을 가려서 의도한대로 시뮬레이션을 계속 진행하도록 하는 거지요. 그럼 이렇게 시뮬레이션을 끝없이 만들고 돌려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지금의 인류처럼 목표가 생존일까요? 그렇다면 세상에 남는 건 결국 컴퓨터라는 하드웨어를 가지고 인간의 지능과 감정이라는 소프트웨어(AI?)를 가진 새로운 인류로의 진화인걸까요? 아니면 모든 시뮬레이션이 시발된 최초의 컴퓨터가 있는 곳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험장에 불과하고 그 속에 생물들은 변수를 넣으며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실험체에 불과한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이렇게 생각하니 정말 오싹 하네요. 과학을 정리한 영상이 많은 재미있는 상상을 하게 하는 영상들이라 웬만한 영화 리뷰보다 재미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즐겁게 보고 갑니다.
@whoaryung
@whoaryung 2 жыл бұрын
결론에 심히 공감합니다... 재미있는 점은, 시뮬레이션 우주론이 신빙성을 얻으면 얻을 수록 시뮬레이터의 존재역시 신빙성을 얻게 된다는 것이고, 그것은 결국 그 존재가 적어도 우리 우주에 있어서는 신 (종교에서 말하는 신의 특성과 다를지는 모르겠지만)이라고 불리는 존재일 것이고, 우리 우주는 시뮬레이터의 목적에 맞게(또는 그것을 실험하기 위해)설계된 것이라는 지적설계론이 다시 힘을 얻는 방향으로 간다는 점이 제게는 흥미롭더군요.
@user-ih5ch3oz9v
@user-ih5ch3oz9v 2 жыл бұрын
이런 우주가 우연히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면 이 리뷰처럼 끝없는 의문과 모순이 무한대의 방향으로 방사되지만 신이라는 존재를 대입하면 모순을 매우 간단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많은 과학자들이 신은 그자체로 트릭이라고 보는 것이죠
@user-tx4ek6sz5z
@user-tx4ek6sz5z 2 жыл бұрын
@@user-ih5ch3oz9v 저는 그냥님 의견에 100퍼 동감합니다~
@happinessthegreat9999
@happinessthegreat9999 2 жыл бұрын
'신성력' 설정이 진짜 있을수도요. 그러면 각종 영적체험 등도 설명이 됩니다.
@user-ih5ch3oz9v
@user-ih5ch3oz9v 2 жыл бұрын
@@user-tx4ek6sz5z히브리서 11장의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 구절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의견이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말씀으로 세계가 창조되었다는 개념은 시뮬레이터에 의한 프로그램 창조와 일맥 상통합니다. 어떻게 지어졌건 존재 방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존재 이유가 중요하겠죠... 무신론은 왜 이런 시물레이션이 존재하는지 도대체 납득할 설명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만 유신론은 매우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반복적으로 성경에서 주장하고 있지만 이생(시뮬레이션)은 덧없다 (중요하지 않다) 저생(천국)이 진짜이다.
@tggfsevv133
@tggfsevv133 2 жыл бұрын
베르나르베르베르의 신이라는책의 내용도 이 이론을 바탕으로 써진것이였네요
@stms4331
@stms4331 Жыл бұрын
0과 1은 아니지만 다수의 생각을 조종하려드는 것은 확실한 삘입니다
@user-mo8uw5ru8h
@user-mo8uw5ru8h Жыл бұрын
옛날 사람들은 일식을 보고 신이 노하셨다고 생각했다. 그 정도의 과학기술과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갖고 있는 시대에 살고있다.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는 주장은 그냥 시대적 발상인 것 같다. 시뮬레이션보다 더 큰 뭔가가 있을 것 같다.
@user-ev9ug4yp9c
@user-ev9ug4yp9c 2 жыл бұрын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면, 시뮬레이션 돌리는 사람은 시뮬레이션속 인공지능들이 지네가 시뮬레이션인지 아닌지로 토론하는거 보면 개꿀잼일 듯
@ohminseok6651
@ohminseok6651 2 жыл бұрын
궁금해서 그런데 양자역학 관련 영상보면 시간은 현재 과거 미래가 동시에 존재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럼 이 우주가 그 법칙에 따르게 설계되어있다면 시뮬레이션을 돌리는 이유가 뭘까요? 어짜피 결과는 정해진 루트대로 움직이니 결과 값을 이미 알수 있을텐데.
@user-cp6fr5ej2x
@user-cp6fr5ej2x 2 жыл бұрын
개미가 인간을 이해할 수 있나?
@Adel-bq1zh
@Adel-bq1zh 2 жыл бұрын
제일 이해가안되는 과거 현재 미래가 동시에 존재한다 ㅠㅠㅠ
@user-st3tc8wu8v
@user-st3tc8wu8v 2 жыл бұрын
현재 과거 미래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은 모든것이 모든 경우의 수로 다 있다는 얘기 아닐까요 게임에서 여러가지 상황 고르는 데로 흘러가듯이 인간이 선택한 데로 펼쳐지는 거죠 결국 시뮬을 돌리고 있는 것은 신이 아니라 자기 자신 아닐지
@Adel-bq1zh
@Adel-bq1zh 2 жыл бұрын
@@user-st3tc8wu8v 경우의수라면 다중우주론? ㅎㅎ ㅠ
@manduking5364
@manduking5364 2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에서 다루는 미시세계에서는 시공간이 아닌 물질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해석하고, 상호작용의 원인과 결과는 과거와 미래에서 대칭적으로 관찰되고, 대칭이기 때문에 과거와 미래를 구분할 필요가 없다고 하네요 시뮬레이션을 하는 이유는 불확정성의 원리에 의해서 관측 전에는 확률만 존재하고 관측 후에 물질의 측정값이 정해지기 때문에 확률에 의한 무수한 가능성을 시험해보기 위함이 아닐까요? 여러가지 가능성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몇십억개 돌리고 그 중 하나가 우리 우주라고 하면 아다리 맞을듯?
@user-nw5pd1ev2l
@user-nw5pd1ev2l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이라는 하에 최소시간과 최소거리가 있기 때문에 무한대로 계산할 필요도 없을 뿐더러 한프레임을 계산하는데 얼마가 걸리든 우리는 끊김을 경험할 수 없을겁니다
@user-le9wg7ws4l
@user-le9wg7ws4l 10 ай бұрын
빅뱅이란 우리 우주프로그램의 부팅돼는 순간이었고 슈뢰딩거 고양이 처럼 불확정성 원리는 개임화면에서 안 보이는 장면들과 같음(그 안보이는 장면의 데이트가 렌드링이 안되므로 컴 작동용량을 절약) 게임의 다른 장면을 우리가 띄워야 그 장면의 데이터가 활성화 되어 모니터에 보이는거 처럼 고양이 상자를 열어 봐야 고양이 상태의 데이터가 활성화 됨...저 멀리 우주의 장면도 마찬가지... 안드로메다성운 영역의 데이터는 꺼져있다가(불확정) 우리가 보는 순간 활성화 되어 나타남...고로 우리 우주프로그램을 돌리는 컴의 용량이 무한대가 아닐거라는거...그래서 불확정 원리가 필요했을거임...인간의 눈 혹은 계측기가 측정하는 것이 곧 본다는 것인데... 허블망원경이 안드로메다를 본(찍은) 현재까지 인류에게 나타난 최대 용량인 4기가 정도 의 데이터인데, 우주프로그램이 안드로메다의 데이터를 그 정도만 현재의 우리(허블 망원경)에게 활성화 해서 보여준거 임... 안드로메다의 특정 항성의 한 행성의 사막에 있는 수박 크기의 다이아몬드의 데이터는 불확정성, 파동함수의 범위 안에서 비활성 상태로 있슴. 인간이나 탐사선이 그곳 까지 가서 관측하면 다이아몬드의 데이터가 활성화 되어 그 존재가 현실화 됨...물론 그 과정 까진 허블의 4기가가 아니라 수천억×억 × 억 테라의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활성화되어 관측자가 그곳까지 갈 동안 현실화되어 보여 줄거임...그 이유는 우주 프로그램을 돌리는 컴의 한계 때문(즉 우리 우주를 돌리는 컴의 용량이 무한대가 아닐거라는걸 유추할 수 있다) 고로 불확정성원리는 우리 우주를 돌리는 컴의 효율을 높이는 수단임.
@TV-jc8mr
@TV-jc8mr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그러게요. 시뮬이라고 어쩌겠어요? 그냥 지금 살아가는대로 살아 가는거지요. 좋은 영상 늘 감사합니다.
@StockEconomy
@StockEconomy 2 жыл бұрын
빛의 속도보다 빠른 물질을 만들거나 발견한다 하더라도 최대값을 늘리는 등의 최적화를 하면 알아차리기가 힘들겠네요. 만일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면 개발자를 한번 만나고 싶네요 ㅋㅋ
@user-oo3ul2lu7i
@user-oo3ul2lu7i 2 жыл бұрын
시뮬레이션 개발자가 자기자신인데 스스로 자신을 어찌 만날까 스스로 만나있는데 이미 시뮬레이션 되고 만나있는데 만나기를 바라는 꼴 만나고싶다는 생각만없음 이미 만났지 그생각때문에 못만나 ㅋ
@lililioo
@lililioo Жыл бұрын
@Harpajo TV 신이 무능하거나 방관하거나 악질이란건 확실하단거임 그건 신이 아니라 인간이겠지
@lililioo
@lililioo Жыл бұрын
@Harpajo TV 이 세계가 시뮬레이션이 맞고 개발자가 하나님이라면 결국 인간을 숭배하는게 아닌가요
@lililioo
@lililioo Жыл бұрын
@Harpajo TV ㅋㅋ 뻘소리를 하시네
@lililioo
@lililioo Жыл бұрын
선교사가 그 거룩한 신의 말씀을 전하려고 아마존 밀림을 찾았다. 4천여명의 이 작은 부족들은 그 선교사가 가지고온 외부 바이러스에 의해 전부다 죽고 말았다. 왜 신은 아무 죄없는 저들을 죽였을까? 자신을 전파하러온 선교사의 충성에 감명 받아 그를 도와도 모자를 판에 왜 몰살을 했을까? 신이 없기 때문이다. 그냥 외부 바이러스에 의해 저 밀림의 사람이 죽었을 뿐이다. 저들이 바이러스로 죽든 말든, 선교사가 기독교를 전파하든 말든 신은 관심이 없다. 신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왜냐하면 신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user-pg3zm8tv8r
@user-pg3zm8tv8r Жыл бұрын
근데 먼 미래에 인간세상이랑 똑같이 만들수는 있어도 … 인간이 생각하는 미래는 예측할수 없다 가 정답인듯 … 아무리 우주 과학기술이 발달해도 .. 어떠한 생명체의 미래는 내다볼수 없는거죠 … 미래까지 알면 그사람이 다음 행동이 뭐가 나올지 안다면 그것은 정말 대단한거겟죠 .. 본인조차 다음 내가 해야될 행동을 가늠 못할때가 많죠 .. 정신이 없을때 말이죠. 본인조차 무슨행동과 말을 내뱉엇는지 본인조차 모를때가 잇어요 .. 살다보면 .. 그것조차 컴퓨터가 알아낼순 없죠 .. 똑같이 만들수는 잇어도
@sihyunny
@sihyunny 10 ай бұрын
이게 시뮬레이션이라도 우리가 뭘 할수 있는데 ㅋㅋㅋ 걍 열심..히 살아야지
@joovengers
@joovengers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ㅠ 너무 어려워요ㅠㅠ 첫사랑 얘기 해쥬세여~~~
@Luka-mt3fg
@Luka-mt3fg 2 жыл бұрын
씨뮬레이션 세상에 굉장히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진짜 우리 세상 지구 우주의 실체를 알고 싶네요
@messileo8860
@messileo8860 Жыл бұрын
무겐츠쿠요미 그냥 지금이라도 난 행복하니 시뮬레이션이든 뭐든 좋다
@0000._.
@0000._. 6 ай бұрын
꿈이라 쳐도 왜이렇게 아픈걸까요 약육강식에 살육을 기반으로 생태계가 돌아가고 지금도 어떤 존재는 살점이 뜯겨나가고 죽어가고 있네요 이런 잔인한 굴레에서 벗어나는게 영원한 소망입니다
@JYTMMA
@JYTMMA 2 жыл бұрын
우주가 마치 사람 몸 안의 세포처럼 생겼다고 하던데 전 누군가의 몸 안에 있는 세포일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가끔 합니다 ㅋㅋ
@user-ux4yr5cs4b
@user-ux4yr5cs4b 2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user-ks8dp8vh4w
@user-ks8dp8vh4w 2 жыл бұрын
좀 다른 이야기 일 수고 있는데 세포 하니까 생각나는게 ... 박진영 씨가 예전에 힐링캠프에서 였나 거기서 우리 인간의 의지대로 심장과 허파가 숨쉬는게 아니라 누군기 조종을 해서 심장 뛰어 심장 뛰어 ~ 허파 쉬어 허파 쉬어 라고 하는 거일 수도 있다고 말한게 생각나네여
@SWG_slatt
@SWG_slatt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눈
@user-loft
@user-loft 2 жыл бұрын
엉이님 마지막 말씀처럼, 이 세상이 시뮬이든 아니든 그게 중요하진 않죠. 당장 배고프고 희노애락이 있는 이 현실이 중요하죠. 현실을 의심하고 부정하기 시작하면 그 순간부터 현실은 그 사람에게 그저 배경에 불과해지고 자기 스스로에게 지나친 값어치를 부여하게 되죠. 그런 이들이 할 수 있는 거라곤 시뮬 세상을 조정하려는 지배행위 혹은 이 배경 따위를 떠나려는 탈출 시도 뿐이에요. 그러니 그냥 여기서 등 비비고 사는 게 여러모로 좋다고 봅니다 ㅎㅎㅎ
@user-bu3rv2vs7e
@user-bu3rv2vs7e 2 жыл бұрын
말씀 진짜 잘하시네요, 동감입니다 ㅎㅎ
@cyberides
@cyberides 2 жыл бұрын
현실을 부정해서 배가 안고파 진다면 믿을 수 있을지도요...ㅋ
@user-kd4is3iy3l
@user-kd4is3iy3l 2 жыл бұрын
니가말한 희노애락마저 뇌호르몬 분비로 얼마든 조작 가능
@cyberides
@cyberides 2 жыл бұрын
@@user-kd4is3iy3l 니가 니껄 조작해서 해보라구 그럼 받들어 모실께
@user-im2tj3bs5g
@user-im2tj3bs5g 2 жыл бұрын
@뭘보노일마야 알긴 뭘 알아 정신차려
@duerahan
@duerahan Жыл бұрын
리셋을 시도해서 좀 더 좋은 스탯을 가질수 있게 시험해볼수 있겠내요
@betterthannothing255
@betterthannothing255 Жыл бұрын
세상은 시뮬 아니고 현실입니다 살기 힘들다고 현실도피 찾으면 더 힘들어져요 다만 컴퓨터 시뮬은 아니지만 먼 외계에 혹은 우리가 모르는 곳에 더 높은 문명이 우리를 보고 있을 수는 있겠지요 짧은 인생 헛논리에 휘둘리지 말고 열심히 사는게 정답
@kbw6223
@kbw6223 2 жыл бұрын
우주의 기준으로, 이렇게 작은 뇌로 이정도의 통찰이 가능하다니. 우린 아직 많은 가능성이 있는듯하지만 이걸 볼 수있는 시간이 100년 남짓이라는게 너무 아쉽네요
@noname-pu9te
@noname-pu9te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 귀신이 있고, 영혼이 있으며, 환생이 있다면 오히려 메트릭스 세계관이 더 설득력있음. 우리라는 존재는 모두 저 배터리라는 부품으로써 저 안에서 기억, 소거, 삶, 죽음, 꿈, 현실을 체험하며 살아가는 거임. 죽는다고 해도, 우리는 다시 또다른 삶의 반복. 혹은 똑같은 인생의 똑같은 반복일수도 있고...
@user-fl9eb6rn6w
@user-fl9eb6rn6w 2 жыл бұрын
뭔소리 매트릭스세계관은 걀국 다시 인간인데,,;;;
@무기징역리째이밍
@무기징역리째이밍 2 жыл бұрын
지금 살고있는 생명체가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ai의 최종버전이 아닐지요? 지금 나 본인이 ai일수있구나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2 жыл бұрын
@@무기징역리째이밍 소름
@user-kh6fd6gj7q
@user-kh6fd6gj7q 2 жыл бұрын
사실 이주제가 중2병 걸리기 딱 좋은 소재임
@user-rk6ec8eq4o
@user-rk6ec8eq4o 2 жыл бұрын
불교철학 불이법과 윤회사상과 비슷하네요
@farisa2890
@farisa2890 Жыл бұрын
적당한 내용과 생각할 거리를 주는 것은 상상력을 억제시키는 것 같다 어쩌면 열린 결말은 정해진 결말보다 훨씬 내용을 단정시키는 것일지도 모른다
@user-xw8yv1qn1l
@user-xw8yv1qn1l Жыл бұрын
만약 가상현실이면 어차피 고작 코드에 불과한 공간이니 얼마든지 만들 수 있을 테고 그러므로 여긴 오직 플레이어 한명만을 위해 만들어진 세상일 수도 있겠지 그럼 그 플레이어는 대체 무엇 떄문에 들어온걸까?
인류 역사상 최악의 원전 사고!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56:20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Please be kind🙏
00:3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73 МЛН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우리가 사는 세상은 시뮬레이션인가
28:1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지구의 진화: 다음 1억년의 타임라인
1:52:10
밝은 면 Bright Side Korea
Рет қаралды 236 М.
이대로 가면 인류는 정말 100년도 안 남았습니다...
21:35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마키아벨리 《군주론》 제대로 읽기
42:37
인문학이랑
Рет қаралды 394 М.
Телефон в воде 🤯
0:28
FATA MORGANA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1$ vs 500$ ВИРТУАЛЬНАЯ РЕАЛЬНОСТЬ !
23:20
GoldenBurst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Asus  VivoBook Винда за 8 часов!
1:00
Sergey Delaisy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Gizli Apple Watch Özelliği😱
0:14
Safak Novruz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Урна с айфонами!
0:30
По ту сторону Гугл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