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세부사항이 궁금했던 연구결과였는데 해당 분야를 한동안은 선도하기 위한 기밀유지는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면서도 기존 과학계의 방식은 아닌지라 찜찜하기도 하네요ㅋㅋ 하지만 성공했을 때 너무나도 가치가 있는 결과이니만큼 MPI측의 검증이 성공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ㅋㅋ
@진주별290 Жыл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사람-b7b Жыл бұрын
고려대 논문때문에 여기 다시왔으면 개추좀 ㅋㅋㅋㅋㅋ
@유x8메그내릭 Жыл бұрын
ㅇㄷㄴㅂㅌ ㅋㅋ
@hagima Жыл бұрын
세상을 뒤엎을지 사기꾼인지는 시간이 지나면 알게되겠지만..
@Ardllan Жыл бұрын
사기확률 100%
@밤고구마-i8j Жыл бұрын
폭 풍 전 야😂
@aurele1849 Жыл бұрын
@@Ardllan 사기확률 100%라고 매도 하기에는 과학자들 입장에서는 설사 이 결과가 사실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연구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도 있어서 마냥 의미가 없다고도 할 수 없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악의적으로 데이터를 조작했다면 문제가 되겠지만요.
진짜 상온 초전도체가 발명되면 인류 과학은 한방에 수백년 앞서 가게됨. 저항이 있고 없고 만으로도 그 차이가 어마무시함
@dfgadg Жыл бұрын
고려대 초전도체 긴급으로 다뤄주세요 ㅎ
@goldenbuglab Жыл бұрын
당대에는 동료들의 외면을 받았던 위대한 발견도 많이 있지요. 예를 들어 볼츠만의 통계역학 같은 경우.... 이번 이야기는 장시간 기다려봐야 할 것 같네요. 언젠가는 표준조건에서도 초전도체가 발견되길 기대해 봅니다.
@JK-fb4nl Жыл бұрын
라이브 빨리! 급해요! 구우시는중이라 못하시는건가욧! 빨리 구워서 정보를 주세요!!!😂
@phil8022 Жыл бұрын
게재 철회는 단 한번만 있어도 치명적인 거라 한번쯤은 괜찮겠지 라고 생각하기는 어려움. 그리고 기밀유지가 진정 중요했으면 사실 논문 안내고 그냥 특허만 낸후 정보비공개로 돌렸어야됐음.
@humble3343 Жыл бұрын
테뉴어 트랙에 있는 조교수라 논문 실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꼭 그렇지는 않을 것 같아요 (현직 미국 교수입니다) 그리고 1저자는 대학원생인 것 같은데, 제자를 위해서라면 더더욱.
@포플-j7p Жыл бұрын
이래서 과학은 위대한 거임. 믿지 못해도 증명만 하면 진리가 됨. 개구라치면 바로 매장되어 버리고… 사회과학은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인데 자연과학과 공학은 답이 딱 정해져 있음
@트리트리35 Жыл бұрын
자연과학도 답이 없는데요...그래서 이론 하나가 나오면 후속 논문도 나오고 반박논문도 나오는데요
@라라라-f7p Жыл бұрын
@@트리트리35 완벽하지 않은 증명이니까 그런거 아닐까요..? 완벽한 증명, 즉 진리가 되면 그 누구도 반박할 수 없을거 같아요
@저글링-q1u Жыл бұрын
@@라라라-f7p 그런건 사람이 믿기에 따름입니다. 하지만 그 누군가는 완벽한 진리라고 생각하지 않아야 되겠죠. 그러지 않는다면 그건 종교이지 과학이 아니거든요. 사람은 완벽하지 않은 생물이고 인간이 만든 과학도 완벽하지 않습니다. 수많은 증명과 원리와 결론과 명제는 그 신뢰성을 증명하면서 동시에 이런 과학이 옳은가 틀린가 다른가를 알려주어야 합니다.
@정정호-b8h Жыл бұрын
@@트리트리35 물리를 공부했던 사람으로 좀 생각이 다릅니다 님이 말하는 것은 어떤 이론이 정립되는 과정 만을 말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일반역학 전자기학 광학 핵물리 등 물리에서 법칙이라 불리는 것들은 현 시점에서 아무도 태클 거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리고 현대 문명의 수많은 기계 제작에 적용 되지만 단 한건도 법칙이 잘 못 되었다는 보고도 못 보았고요 이정도면 우리 인간 사고로서는 답이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요
@김자운 Жыл бұрын
이래서 이공계가 좋음 답을 찾아가는 과정 그리고 답을 정확하게 알아냈을때 성취감
@Mireu_ Жыл бұрын
고려대 초전도체 이야기보다 더 빠른 상온 초전도체 이야기가 한바탕 휩쓸었었군요
@creaditmr9289 Жыл бұрын
네이쳐지 같은 공인된 논문지에서 저자들에 대한 지적재산권이 보장되도록 지켜진다면 아마 저런 방어적 행동이 나오지 않았을 거란 생각은 하긴합니다. 물론 공익적인 목적으로 연구성과를 공개할 수도 있지만 어떤 과학적 실험이든 연구조사든 긴 시간과 실패, 자금이 들어가는 부분이 있다보니 결과적으로 자금과 연관되지 않을 수가 없는 문제가 되곘죠. 그러한 점에서 더더욱 안전장치가 존재한다면 논문을 게제하는 과학자들도 안심하고 공개하지 않을까 싶네요.
@강효중-t6x Жыл бұрын
과학은 발견 및 발명도 중요하지만 온 인류가 누릴수 있어야 진정한 과학이라 생각합니다~ 제발 진짜이길 바래봅니다
@jonghopark481 Жыл бұрын
받을 확률이 낮은 노벨상을 택하느니 돈이 낫다는 판단을 내린 것일 수도... 양측으로 다 이해가 가는 상황입니다..
@박덕수-q9p Жыл бұрын
상온 초전도체랑 상온 핵융합 모두 빨리 성공했으면 좋겠어요
@던힐-l3o Жыл бұрын
일단 처음에는 그냥 개구라인지 알았는데 지금 까지 연구해오던내용 보니 충분히 가능성은 있어보이긴 함. 내가 살아있는 현생에서 실사용은 일단 힘들어보이고. 저 양반이 노벨상과 투자금을 확보한 부호가 될것인지 아니면 미국 우석이형이 될지 정도는 궁금해지네 ㅋㅋㅋㅋ
@gregory000 Жыл бұрын
사기가능성 오억팔천만퍼샌트. 1. 회사를 차렸다면 지재권으로 등록하던지 논문을 공개하던지 둘중 하나를 해야 펀딩이 됨 2. 둘다 안한다는 것은 펀딩을 포기했다는 것 3. 펀딩을 포기했다는 것은 회사가 성장하지못한다는. 즉 사업에 관심이 없다는 것 4. 즉 논문 신빙성을 꾸미기 위한 회사라고 밖에 볼 수 없음. 그리고..고압 초전도체라면 백기압 단위 이랑은 무의미. 단열유지보다 압력 유지가 비경제적.
@알비노 Жыл бұрын
3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훨씬 어려운 조건에서 성공이라......구린내가 나네요 부디 진실이길 바랍니다🙏
@@jongsookim6487 3000원에서 5800원됨 ㅋㅋㅋㅋㅋㅋ 돈이 복사가 된다고? ㅋㅋㅋ
@GNG45 Жыл бұрын
인도문화자체가 그런가 과학계나 금융계든 인도출신들은 자신 실적 뻥뛰기가 좀 심하더군요. 자신 실적 과대포장하는데 전세계 1인자는 인도계 사람들이군요.
@kiyongkim7651 Жыл бұрын
저도 무역업하면서 인도사람 중국사람 들도 많이 만나봤는데 인도사람들 상대하면서 중국사람들은 아무것도 아니라는걸 깨달았습니다. 문화의 문제인지 환경의 문제인지 교육의 문제인지. 이상하게 모랄의 기준이 우리와는 달라요. 근거없는 허풍은 기본 장착에 거짓말 하는 것에 어떠한 죄책감도 없습니다. 처음에는 개개인의 문제라고 생각했는데 대부분이 그러니 이제는 애초에 인도인과 거래할떄는 눈으로 직접보고 확실한 자료부터 챙깁니다. 무조건 다 증빙남기고.
@kihongkim1824 Жыл бұрын
그렇다면 저 물질을 관에 넣고 압력을 일정수준으로 가해주면 상온에서 전력손실이 0이 된다는 것인데.. 핵융합 등 새로운 무한 에너지의 등장이 코 앞이구나. 하루 한번도 하기 힘든 실험을 인공지능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무한에 가까운 시도를 해보는 요즘 추세를 보면 얼마 안남았다는 생각을 안할 수 없다.
@KludLen Жыл бұрын
만약 이번 상온 초전도체의 개발이 사실이라면 인류가 상상하는 거의 모든 형태의 기술의 가능성이 크게 확대 된다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죽기전에 보고싶던 SF 세계를 볼수있다면 좋겠네요 상온 초전도체의 가능성을 간단히 보자면 요즘 말많은 전기세, 가스비 의 비용이 크게 감소 할수 있고 전기차의 비용이 크게 감소하며 화석연료 차량이 폐기되는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스마트폰도 꺼지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쓸수 있게됩니다. 지금도 연구에 힘쓸 과학자들을 응원합니다.
@박지훈-g9l Жыл бұрын
상온 초전도체라는 엄청나게 대단할 것 같은 연구를 누가 아무런 생각 없이 보여줄 것 같다. 너무 간단하게 말이죠.
@yencmon Жыл бұрын
성지순례왔음다
@댕챙이 Жыл бұрын
진짜 간단하게 보여줌ㅋㅋㅋㅋㅋㅋㅋㅋ 구리 납 인 ? ㅅㅂㅋㅋㅌㅌㅋㅋㅋ 그동안 인류는 초전도체 재료로 사람 죽이는 총알이나 만들고 있었다
@j.p1556 Жыл бұрын
상당히 미래예견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셨습니다! 구리와 납을 적절히 섞어서 그걸 우리팀들이 보여주었네요 다만 이들은 많은 생각을 지녀온채로 보여주었군요!
@jasonyoo182 Жыл бұрын
😮
@pokuytrewq3859 Жыл бұрын
오...
@PaperBackS100 Жыл бұрын
고려대 꺼랑은 상황이 좀 다르긴 하네요. 고려대 논문은 초전도체인지 아닌지도 모를 무언가가 대체 왜인지는 모르겠는데 나와서 다같이 난리중인거 같던데 ㅋㅋ
@alterrrrrrr Жыл бұрын
이게 불과 몇개월전인데, 그 다음 챕터가 한국이 될줄은 정말 몰랐다
@유레카-b2l Жыл бұрын
기밀유지가 중요했으면 그냥 논문과 특허를 함께 냈겠지. 부와 명예를 동시에 얻는 방법인데 지적재산권은 무슨.. 어차피 현실에서 실사용이 불가능한 수준이라 비공개해봐야 아무 이득 없는데
@가가기기-m8y Жыл бұрын
사실이라 해도 대기의 2만6천배 압력이 필요하고 대량 생산이나 제품화까지는 아득히 멀 것 같은데 벌써 스타트업에 비밀 유지라는 게 쫌 이상하네요. 핑곗거리 일지도...
@GlobalYoung7 Жыл бұрын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늘 기다리고 있습니다. 안될과학 최고 👍
@gogetitha1317 Жыл бұрын
남이 개발한걸 쉽게 따라하게 공개하라는 건, 남의 지적재산을 날로 먹겠다는 것
@ColossusCounsel Жыл бұрын
Hello Orbit! the devil's Plan was amazing. I have subscribed to your channel, looking forward to see content in English too, thank you. Gamsabnida
@난나스키난나요 Жыл бұрын
공진님 오랜만이네요 ㅎㅎ
@judge8463 Жыл бұрын
특이한게 쇳덩어리가 자성을 띄지 않다가 특수한 환경에 의해 일반적으로 자성을 띄게 되는 것처럼 초전도체도 특수한 환경을 거치면 일반적으로 초전도성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인감.
@Daejeonbackpacker Жыл бұрын
인사할 시간도 없다는 말이 얼마나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는지 영상 시청을 포기함.
@A_cup_of_life Жыл бұрын
어그로 끌어서 투자 유치하려는 전략일수도 있겠지만… 정말 성공한 실험이고, 우리를 미래로 데려가 줄 시간이 성큼 단축됐으면 좋겠네요!
@aiphdssong Жыл бұрын
바이오 업계에서는 사람 손을 하도 많이 타서 재현성이 없는 결과가 꽤 나온다지만 이쪽 업계에서도 그런가 ....
@장재규-l8y Жыл бұрын
재료과학 쪽은 아님
@hanhan-mp1dc Жыл бұрын
완전 따끈따끈한 핫이슈네요! 결과가 어떻게 될지 궁금합니다! 계속해서 긴급과학으로 알려주세요!😆
@dkvkaldk Жыл бұрын
저게 사실이라면 챗지피티보다 더 위대하다고 볼 수있을 텐데.
@프라미-c2u Жыл бұрын
상온초전도체 발견이 사실이라면 당장 실생활에서 적용될수있는것들이 무엇인지 궁금하군요
@20drain Жыл бұрын
10년동안 충전안해도 유지되는 스마트 폰, 자기부상열차 그것도 에너지가 거의 안드는, 물류와 에너지, 화석연료 사용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수 있습니다 저말이 사실이라면요
@sehani Жыл бұрын
@@20drain 스마트폰 충전이랑 먼 상관이져?
@latteice4424 Жыл бұрын
전기가 흐르면 저항때문에 발열이 필수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이것때문에 전기 운송과정에서도 전력소모가 생기게 되고 효율을 조금씩 잃습니다 이 발열때문에 전기는 제약되는게 엄청 많습니다 근데 전기가 흐르는제 저항이 생기지 않는다? 그냥 끝난겁니다 공상과학 실현 가능해요 예를 들어 컴퓨터 CPU에 발열이 안생긴다고 생각해보세요
@crikce Жыл бұрын
핵융합도 가까워져요.
@crikce Жыл бұрын
@@sehani 지금 충전 속도 못 높이는게 저항 때문에 온도가 올라 폭발할 수 있거든요. 저항 사라지면 순간 풀 충전도 가능
@감기조심-k2s Жыл бұрын
빠른 시일내에 새로운 성과를 낼 자신이 있다면 저래 비밀로 한다는 것도 이해가 갑니다.
@제정신임 Жыл бұрын
근데 성공하면 엄청난 부가 약속된 기술이기 때문에 이해는 됨. 영화 아바타 내용이 언옵테늄이라는 상온 초전도체 때문에 전쟁이 발생한것임. 양자컴퓨터에 필수적인 물질이고. 응용될 분야는 무궁무진함.
@INNGames Жыл бұрын
과학자가 아닌 사람의 입장에서 보자면 만약 정말 상온 초전도체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발견했다면 모든걸 공개하진 않는게 당연할 것 같음. 무려 아바타에 나오는 언옵테늄 같은것 아님?? 그걸 만들어 내는 기술을 알게됬는데 다 공개하라는건 좀... 하지만 이 연구조차 다른 과학자들이 공개한 것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니 완전히 자기꺼라고 주장하기도 좀 그렇긴 하지만...
@yunak85 Жыл бұрын
와 역시 머리좋은사람은 앞서 나가는구나.
@yohank1195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 로봇공학 초전도체 핵융합 이 기술들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상용화 된다면, 죽기전에 어쩌고가 아니라, 죽음조차 초월하는 특이점이 진짜 오겠는데 이거..
@hongsukbeum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면 노벨상이 문제가아니라 디아즈상이 새로 생기지
@mrgil7246 Жыл бұрын
오오 따끈따끈한 영상 ㅋㅋ
@alphago410 Жыл бұрын
죄송하지만 도움은 1도 안됐습니다. 마치 90년대의 상온 수소 핵융합 실험 성공 발표 해프닝과 마찬가지로 재현성이 불가능한 실험은 과학적 성과로 인정될수 없는 해프닝일 뿐입니다. 무속신앙의 기적이 과학이 아닌 이유역시 재현성이 없기 때문것과 같은맥락. 설사 재현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0.001mm^2의 국소적인 환경 내에서만 제한적으로만 가능한 임계전류 측정도 불가한 조건은 상온 초전도체 상용화와는 전혀 무관하기도 하고...
@milesd153 Жыл бұрын
궁금했었는데 감사합니다.
@iwillneverbeamemory5462 Жыл бұрын
안 그래도 너무 흥미로운 연구였는데 깔끔히 정리해주셔서 감사해요
@진주별290 Жыл бұрын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만 하는지 그야말로 주식의정석을 보여주고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clearx7506 Жыл бұрын
곧 다가올 인류사에서 제일 크게기여하는 핵심과학기술중 세가지중 한가지아닌가?ㅋㅋ 1. 인공지능 2. 핵융합 3. 상온초전도체 저세가지만되면 이세상에 못할게없음 에너지가 무한하고 전송하는것도 저항이없다?!! 무엇을상상하든 다 쌉가능
@supernova74 Жыл бұрын
숨쉴시간도 아깝습니다. 긴급과학 초심을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WAVEW-e6l Жыл бұрын
투자금을 위한 사기일 수도 있고 워낙 중요한 내용이라 핵심내용을 공개 못하는 진실일 수도..... 마치 양자처럼....확인 전까지는 모두 공존.
@yww3591 Жыл бұрын
이론으로 밥빌어먹고 살 욕심이면 그냥 하지 말라고 하고 싶군요... 활용법으로 회사 차리는게 아니라 이론자체를 기밀로 가져가버리면 발전하지 말라는말과 같은걸...
@donghokkang Жыл бұрын
상온 초전도체를 보면서 결과에 따른 기술발전과 함께 금값에 어떤 영향일지도 궁금해지네요 ㅎㅎ 금의 가치중 자연 물질중 저항이 낮음으로 인한 활용성도 있다고 본거 같아서요 ㅎㅎ
@Asdf-r1g Жыл бұрын
금의 가격은그대로일것같아요 현재 초전도체는 압력이 대기압의 180배정도라 하는데, 그 조건을 만족하기에는 부피대비 효율이 안나올거같아요
@logner2492 Жыл бұрын
전체 금누적량 대비 금의 산업용 사용량은 5%미만 입니다. 그 외에는 가치저장 수단이라 대체가 된다고 하더라도 금 가격에는 큰 변화는 없을겁니다. 그리고 산업용 금의 활용도는 정밀한 촉매의 도금정도이기 때문에 초전도체 생산비용이 무한에 가깝게 낮아지는 순간까지는 걱정할게 아님.
@저글링-q1u Жыл бұрын
초전도체는 영하 30도 정도면 충분히 일부 과제에서는 실전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문제는 그걸 완성할 고압의 압력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앞에서 보다시피 수소 화합물 같은걸로 다이아와 같은 고경도의 물질로 찍어누르는 수준의 고압을 쓰는데 그게 자그마치 대기압의 100만배니 133GPa 정도다... 강철을 생각해본다면 마의 선이 1000MPa 정도니.. 우리가 쓰는 전선 수준은 커녕 환장의 물질인 탄소나노튜브로 둘러싸면 그나마 가능하겠다 싶은... 그런 수준이다.
@whiteclind1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논문들도 자정작용이 되길 바라며...
@MrjinZin0902 Жыл бұрын
이건 국가를 따져서 이루어지는 게 아닌데요? 단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연구인지 아닌지가 더 중요한 문제일 뿐입니다. 상온 초전도체는 미래를 위한 가장 중요한 난제 중 하나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논문에 관심을 가지고 저렇게 복잡한 실험을 재현해서 검증해 볼려고 할 뿐이고 세상에 발표되는 대부분의 논문은 대부분은 검증없이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그리고 그건 결국 아무 가치도 없는 논문이 되는 거고요. 가치있는 논문들은 다른 연구자들이 더 발전된 연구를 하면서 검증하고 인용하게 되고 그게 널리 인용되고 검증되면 교과서에도 올라가서 대학생들도 학부과정에서 배우는 이론이 되는 것입니다.
@이용-i7z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 하네요 ㅎㅎ
@matthewpark8692 Жыл бұрын
난 왜 보자마자 "엘리자베스 홈즈" 생각이 날까?
@ClTY-HUNTER Жыл бұрын
프로토스: "되는데요?!"
@트라이애슬론-d8y Жыл бұрын
라이브라도 빨리 켜주새요 현기증나요
@원숭이-i5i Жыл бұрын
상온 초전도체가 사실이면 핵융합 성공까지 걸리는 시간이 굉장히 단축되는 거지요?
@응아니야아 Жыл бұрын
고려대에서 나온 소식때문에 설레네요
@폭군르노 Жыл бұрын
숨 쉬세요...저도 숨이 막혀요.ㅠㅠ
@1stlee222 Жыл бұрын
궁금해서 그런데 왜 감추는 거임? 다른 연구실에서 재현할 수 있을 정도는 공개하고 특허 내면 되는 거 아님?
@lumina3914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는 주제내요
@smiletoonart Жыл бұрын
초전도체, 에너지가 지구반대편에서 공유되는 시대가 오게될것인가
@123-y7k Жыл бұрын
어떤 성과물보다 독점하고픈 업적이라 그럴 것.. 마치 석기 시대에 총 만들 방법을 구한 정도의 실적인데 공유하고 싶지 않겠지..
@삶바른10 ай бұрын
초전도체 : NDLH 1:18 7:20
@Xbbcs Жыл бұрын
나도 진실이라고 믿고싶지만 너무 극적인 발전을 한번에 이뤄내서 의심이 가는건 어쩔수없는듯
@효율충-y6c Жыл бұрын
진짜면 노벨상은 따놓은 당상 ㄷㄷ
@ujinkim4098 Жыл бұрын
오 만약 성공하면 판도라 행성까지 갈 필요 없겠네요. 나비족 여럿 살렸네
@hoyok Жыл бұрын
재현이 안되면 논문 철회해야 하지 않을까요;; 연구 자체는 성공적이라 할 지라도 상업적 목적으로 상세 데이터 공개를 꺼릴거면 차라리 기술 리포트 같은 것으로 주장하지
@user-adgsfh0408 Жыл бұрын
반대로 재현에 성공한다면 그전에 논문 기재 취소처리된 것도 철회해야함.
@울산돌고래-q4q Жыл бұрын
현실판 언업테늄이네요. 대단합니다.
@황천의볶음밥 Жыл бұрын
만약 가능하면 핵융합엔진을 드디어 실용화 시킬수 있을려나. 그걸 넘어서는 반물진엔진개발과 태양계를 넘어서 알파센타우리까지가는 제2의 대항해시대를 볼수도 있을려나
@KLee-nb2rj Жыл бұрын
저렇게 과학적 증거 못 내놓는 논문저자는 받아주지 말아야지...
@샛별이-w2f Жыл бұрын
구독해야겟다 양자컴퓨터에 초전도체 ㅋㅋㅋ 이야
@OrangeNet Жыл бұрын
만약 진짜라 해도 온도는 상온이지만 무식할 정도의 압력이 필요하니까 아직은 멀었지...
@michaelchang3234 Жыл бұрын
넷플릭스 다큐소재가 될 지 할리우드의 흔한 영웅 서사시가 될 지....
@감켐 Жыл бұрын
상온 초전도체가 현실이 되면.... 우린 판도라에 가지 않아도 되겠네요...
@sh-eu8nk Жыл бұрын
줄기세포 엔딩이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ykj1630 Жыл бұрын
상온에서 되면 양자컴퓨터 시대가 금방 오것네 ㄷㄷㄷ
@tv-lq5xg Жыл бұрын
상온 초전도 광케이블을 만든다면 더욱 놀랄일이 될 것인데~! 언제나 가능할까?
@hi_ai Жыл бұрын
AI한테 물어보니 그래핀과 결합 가능성도 설명해주네요. ==GPT-4== 가능한 접근법은 질소가 도핑된 루테튬 하이드라이드 화합물과 그래핀을 개별적으로 합성한 다음 제어된 방식으로 적층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기판 위에 그래핀을 성장시킨 다음 그래핀을 질소가 도핑된 루테튬 하이드라이드 화합물로 옮기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적층된 물질의 초전도 특성을 특성화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접근 방식은 화학 기상 증착 또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과 같은 공정을 통해 질소가 도핑된 루테튬 하이드레이드를 그래핀 격자 자체에 통합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그래핀을 성장시키고 질소와 루테튬 원자를 동시에 도핑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생성된 물질의 초전도 특성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을 결합할 때 몇 가지 도전과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질소가 도핑된 루테튬 하이드라이드 화합물은 그래핀과 격자 상수 및 결정 구조가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적층에 영향을 미치고 재료에 결함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질소가 도핑된 루테튬 하이드라이드 화합물과 그래핀의 상호작용이 초전도성을 향상시키지 못할 수도 있으며, 결과 물질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최적화 및 특성화가 필요합니다.
@lsg1111 Жыл бұрын
초전도체 뉴스떠서 궤도님 설명 기다려야지 했는데 이미 있었네
@jhpark9355 Жыл бұрын
흥미진진 하네요
@nadh6907 Жыл бұрын
거짓이든 성공이든 그거랑은 별개로 진짜라면 좋겠네요
@후르츠-w6i Жыл бұрын
흠, 다른 연구자들의 재현 성공 여부와 구체적인 실험 과정이 밝혀질 때까지 기다려 봐야 겠군요.
@seungju2004 Жыл бұрын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것보다 높은 기압을 유지하는게 더 쉽나요?
@ForgottenQ Жыл бұрын
네
@레오나르도디카프림 Жыл бұрын
아니요
@오마-w7g Жыл бұрын
상온이가능해지면 압력캡슐에 스마트폰넣고 충전시키면 풀충전 1초컷 아닌가요?
@ungikim Жыл бұрын
라이브 급해요!
@이영민-w9n3w Жыл бұрын
실용하 시킬수 있다면 믿어 주고.. 헛소리 하는 거면 ..개 무시 하면 되요 !!
@김지호우-l1k Жыл бұрын
아직 영상은 안 봤는데 이거 짜피 1기압에선 작동 안해서 상용화 절대 안됨. 양자 컴퓨터는 먼 미래일 듯
@user-n9999 Жыл бұрын
물론 이실험이 중요하지만 핵육합 무한동력에너지 연구가 완성이되면 그다지 필요없지 않나 생각이드네요.
와... 만약 상온 상압 초전도체를 만들어 낸다면 그건 과연 공개를 해야 할까요 하지 말아야 할까요
@lietz4671 Жыл бұрын
[체인 리액션] 영화처럼 되겠죠....
@irocks1110 Жыл бұрын
저라면 5년동안 제가 독점하고 5년후에 공개할듯
@realdennis79 Жыл бұрын
이거 좀 불안한 논문이네요.
@aziktn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니 지나치게 탐욕스러운 과학자가 인류의 역사를 바꿀 과학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는 것도 문제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저작권을 내세워 어디에도 공개하지 않고 독점해 결과물만을 팔아먹으면 그 기술을 기반으로 더 발전할 수도 있을 다른 가능성들까지도 함께 닫아버리는 결과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ABCDE-i9e Жыл бұрын
그럼 과학자가 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들인 비용과 노력은 뭐가 되죠? 지적재산권, 특허같은 것은 개발자의 온전한 권리입니다. 공개해주면 감사한 것이지, 공개하지 않는 것이 탐욕스러운 것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