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배 높이기

  Рет қаралды 363,338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Жыл бұрын

처음 설명을 들었을 때 예상하는 반응 03:55
하지만 듣다 보면 수학의 재미에 빠져들 겁니다!!
(설마 제목에 0몇 개 인지 세보는 분은 없겠죠....?)
#확률 #수수께끼 #베리타시움
Special thanks to Destin of Smarter Every Day (ve42.co/SED), Toby of Tibees (ve42.co/Tibees), and Jabril of Jabrils (ve42.co/Jabrils) for taking the time to think about this mind bending riddle.
Huge thanks to Luke West for building plots and for his help with the math.
Huge thanks to Dr. Eugene Curtin and Dr. Max Warshauer for their great article on the problem and taking the time to help us understand it: ve42.co/CurtinWarshauer
Thanks to Dr. John Baez for his help with finding alternate ways to do the calculations.
Thanks to Simon Pampena for his input and analysis.
Other 100 Prisoners Riddle videos:
minutephysics: www.youtube.com/watch?v=C5-I0...
Vsauce2: www.youtube.com/watch?v=kOnEE...
Stand-up Maths: www.youtube.com/watch?v=a1DUU...
TED-Ed: www.youtube.com/watch?v=vIdSt...
▀▀▀
References:
Original paper: Gál, A., & Miltersen, P.B. (2003). The Cell Probe Complexity of Succinct Data Structures. BRICS,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Aarhus. All rights reserved. - ve42.co/GalMiltersen
Winkler, P. (2006). Seven Puzzles You Think You Must Not Have Heard Correctly. - ve42.co/Winkler2006
The 100 Prisoners Problem - ve42.co/100PWiki
Golomb, S. & Gaal, P. (1998). On the Number of Permutations on n Objects with Greatest Cycle Length k. Advances in Applied Mathematics, 20(1), 98-107. - ve42.co/Golomb1998
Lamb, E. (2012). Puzzling Prisoners Presented to Promote North America's Only Museum of Math. Observations, Scientific American. - ve42.co/Lamb2012
Permutations - ve42.co/PermutationsWiki
Probability that a random permutation of n elements has a cycle of length k greater than n/2, Math SE. - ve42.co/BaezProbSE
Counting Cycle Structures in Sn, Math SE. - ve42.co/CountCyclesSE
What is the distribution of cycle lengths in derangements? In particular, expected longest cycle, Math SE. - ve42.co/JorikiSE
The Manim Community Developers. (2021). Manim - Mathematical Animation Framework (Version v0.13.1). - www.manim.community/
▀▀▀
Special thanks to Patreon supporters: RayJ Johnson, Brian Busbee, Jerome Barakos M.D., Amadeo Bee, Julian Lee, Inconcision, TTST, Balkrishna Heroor, Chris LaClair, Avi Yashchin, John H. Austin, Jr., OnlineBookClub.org, Matthew Gonzalez, Eric Sexton, john kiehl, Diffbot, Gnare, Dave Kircher, Burt Humburg, Blake Byers, Dumky, Evgeny Skvortsov, Meekay, Bill Linder, Paul Peijzel, Josh Hibschman, Timothy O’Brien, Mac Malkawi, Michael Schneider, jim buckmaster, Juan Benet, Ruslan Khroma, Robert Blum, Richard Sundvall, Lee Redden, Vincent, Stephen Wilcox, Marinus Kuivenhoven, Michael Krugman, Cy 'kkm' K'Nelson, Sam Lutfi, Ron Neal
▀▀▀
Written by Derek Muller and Emily Zhang
Filmed by Derek Muller and Petr Lebedev
Animation by Ivy Tello and Jesús Rascón
Edited by Trenton Oliver
Additional video/photos supplied by Getty Images
Music from Epidemic Sound and Jonny Hyman
Produced by Derek Muller, Petr Lebedev, and Emily Zhang

Пікірлер: 1 100
@user-bq4dr6ue1t
@user-bq4dr6ue1t Жыл бұрын
도저히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돼서 직접 프로그래밍해서 1000만번 테스트 해봤는데, 성공: 3,119,325 실패: 6,880,675. 성공 확률이 약 31.2%가 나오네요. 정말 신기합니다.
@user-yh8fw1xu7s
@user-yh8fw1xu7s 25 күн бұрын
와우 댓글 보고 저도 코드 짜서 1000만번 테스트 해봤는데 성공:3,117,973 실패:6,882,027 나오군요 파이썬으로 짜니 연산만 1시간 걸리네요 ㄷㄷ..
@namhyoungkim5350
@namhyoungkim5350 Жыл бұрын
이거 본 채널에서 봤을때 정말 재미있었는데 이렇게 만들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ㅎㅎ
@VoteKing
@VoteKing Жыл бұрын
하지만 100여명의 죄수들은 이해를 하지 못했고, 결국 모두 처형당했다고 합니다....
@2w051
@2w05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xd9mx8mn1e
@user-xd9mx8mn1e Жыл бұрын
이해해도 죽을 확률이 69%....
@42_cloud
@42_cloud Жыл бұрын
현실은 이게맞다
@bnmy6581i
@bnmy6581i Жыл бұрын
거기 석호필이 있었다..
@HAET_SAL_ACHIM
@HAET_SAL_ACHIM Жыл бұрын
흑흑 너무 슬프다
@perfumeon7447
@perfumeon7447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진짜 올해 본 영상중에 제일 감탄사 나오는 영상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ck2011
@sck2011 Жыл бұрын
본채널에서 본 영상인데 흥미롭고 재밌는 영상입니다ㅎㅎ 유튜브가 있어서 책으로 보면 어려운 문제도 재밌게 접근할수있어서 좋네요
@mbs5828
@mbs5828 Жыл бұрын
4:47 이 계산이 효율적인 결정적인 이유
@wb_0696
@wb_0696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있어요 ㅎㅎ
@user-xj3rb8px6x
@user-xj3rb8px6x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정말 흥미롭고 재밌었어요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uaaaam
@kuaaaam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영상들 너무 재밌습니다
@user-zl7jh2cp8h
@user-zl7jh2cp8h Жыл бұрын
이분 더빙?이 정말 좋은게 약간 재밌는 수학 이야기 할때 목소리에 행복해하고 흥미를 정말 드러내 주시는 것 같아서 좋아요
@PSYsAudiance
@PSYsAudiance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목소리도 좋고
@user-hf8il3gm4g
@user-hf8il3gm4g 3 ай бұрын
@@PSYsAudianceㅆㅇㅈ
@user-oz3lg2cj2e
@user-oz3lg2cj2e Ай бұрын
솔직히 좋은 더빙은 아니죠.. 너무 웅얼웅얼 거리는 게 개선이 쭉 안 되서 아쉬워요 쿠르츠게작트는 진짜 전문 성우 같이 좋던데
@user-hf8il3gm4g
@user-hf8il3gm4g Ай бұрын
@@user-oz3lg2cj2e전 좋은 더빙이라고 생각해요ㅎㅎ
@danmuzzik
@danmuzzik Жыл бұрын
빨리 드음 영상 가져와!!!! 재밌게 수학 배우고 싶단 말이야!!!!!!
@pauljark
@pauljark Жыл бұрын
불규칙의 조건에 규칙으로 대응하는 전략이네요!! 오 정말 멋진 아이디어 입니다. 그 뒤의 확률계산보다 죄수들에게 똑같은 규칙을 만들어주는 부분이 더 놀라웠습니다.
@lllilllililill
@lllilllililill Жыл бұрын
교도소장이 정성껏 번호가 적힌 상자에 하나씩 넣어줘서 그런거임. 그냥 주머니 안에 넣고 하나씩 뽑게 시켰으면 이런일 없었음
@JasonPark-2023
@JasonPark-2023 16 күн бұрын
규칙이 분명 있음에도 사람의 경험과 직관이 불규칙이라고 생각하도록 만드는 상황이네요. 미해결 문제들에는 사실 이런 것들이 많겠죠. 그걸 파악해서 해결해주는 사람은 천재라 불릴 것이고요.
@KINSOO
@KINSOO Жыл бұрын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확률을 30% 라는 어느정도 가능한 확률로 만들어버리네요 대단합니다! 위에 코딩하시는분들도 멋지구요!
@user-gq7gv3pg6i
@user-gq7gv3pg6i Жыл бұрын
자신의 번호를 고른 죄수의 숫자가 이항분포를 따르지 않는것이 인상적이네요. 어치피 100 밑의 결과는 패배니까 성공한 죄수의 수를 0부터 100까지 분포시키는게 아니라 100 아니면 그 밑의 값들로 극단화 시키는게 멋지네요. 다른 "완벽한 성공" 문제에도 충분히 적용시킬 수 있어보여서 더욱 좋은 것 같습니다
@user-qw2rj9rg6r
@user-qw2rj9rg6r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흥미롭고 재밌어요
@user-qh3cz8wq5v
@user-qh3cz8wq5v 7 ай бұрын
제가 죄수였다면 이미 좌절하고 저런생각을 할 시도조차 하지 못했을거 같은데 신기하네요 ㅋㅋㅋㅋ 확률의 신비함을 다시 한번 느낍니다. 처음 설명을 들었을때는 이해가 잘 안됬지만 두세번 돌려보니 이해가 가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groovejudy
@groovejudy Жыл бұрын
애니메이션 덕분에 이해하기 백배 쉬워진 것 같습니다. 쉽고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user-nd3ts2pf1d
@user-nd3ts2pf1d Жыл бұрын
10:55 핵심적 질문에대한 답은 이미 4:40 ~5:14 에 잘 설명돼있네요 너무 신기하네..
@user-ly2hg2tp5m
@user-ly2hg2tp5m Жыл бұрын
게임 하기전에 전략을 정함으로써 독립시행을 종속사행으로 바꾼거군요 루프 말고 더 효율적인 방법도 존재할까요?
@Euler0403
@Euler0403 Жыл бұрын
정말 완벽한 영상입니다! 경이로워요
@user-pg4le1iv5i
@user-pg4le1iv5i Жыл бұрын
진짜 아이디어 좋고 신기하네요
@user-nj2zj2qu1o
@user-nj2zj2qu1o Жыл бұрын
자신의 번호를 고른 죄수의 숫자가 이항분포를 따르지 않는것이 인상적이네요. 어치피 100 밑의 결과는 패배니까 성공한 죄수의 수를 0부터 100까지 분포시키는게 아니라 100 아니면 그 밑의 값들로 극단화 시키는게 멋지네요. 다른 "완벽한 성공" 문제에도 충분히 적용시킬 수 있어보여서 더욱 좋은 것 같습니다 . 맞춘 사람은 살려준다고 했을 때도 루프 전략을 쓰기로 합의 본다면 재밌는 점이 교도관은 1명 이상이 죽을 확률은 사실상 100%라고 생각했을텐데 사실은 70%라는거죠.. 만약에 돈을 걸고 하는 게임 같은건데 교도관 맡으면 질 수가 없다고 생각했다가 틀린 사람이 한명도 없는 순간 이게 가능할리가 없는데 하면서 멘탈 나가
@_Tritium_
@_Tritium_ Жыл бұрын
와 이 채널 열심히 자막 해석하면서 낑낑대다가 한 15분 보고 포기하고 그랬었는데 한국어 채널이 생겼군요 흥해라~~~
@oehe8194
@oehe8194 Жыл бұрын
100루프를 깨기위해 각상자에 5를 더한다고 했는데 특정 선형함수로 박스번호를 바꿔서 무조건 가장 긴 루프를 50이하로 만들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저 랜덤으로 재배열하는거라 31%라는 확률은 변함이 없는걸까요
@_underbar_
@_underbar_ Жыл бұрын
어떠한 방식으로 박스 번호를 정하든 ~31%가 나올 것입니다. 특정 함수로 박스번호를 매기더라도 결국은 루프전략이라는 기본 동작원리는 동일하니까요.
@qhgkk
@qhgkk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교란순열 관련 문제를 풀면서 일대일대응을 집합을 루프들로 분할하는 아이디어를 썼는데... 이런 문제에서도 쓰이는게 신기하네요
@user-sr2nl4cn3f
@user-sr2nl4cn3f Жыл бұрын
오 저도 ㅋㅋ
@doldary
@doldary Жыл бұрын
논리적으로는 그럴수도 있겠다 싶긴 하지만 너무나 직관에 반하는 결과죠. 예전에 직접 시뮬레이션 해보고 받아들이긴 했는데, 여전히 신기합니다.
@user-tr7dz2ll1e
@user-tr7dz2ll1e Жыл бұрын
뭔가 아닌것같은데 2명인걸로 생각해봐도 되는게 신기함
@aerockh
@aerockh Жыл бұрын
@@user-tr7dz2ll1e 두명일 때는... 다른거 아닌가요?
@hodoram
@hodoram Жыл бұрын
​@@user-tr7dz2ll1e 2명일땐 사용불가.. 그냥 50퍼.......
@user-gf7qm9sj1w
@user-gf7qm9sj1w Жыл бұрын
​@@user-tr7dz2ll1e 원태야...
@issummerr
@issummerr Жыл бұрын
2명일때도 적용됩니다 루프전략 안썼을땐 1/2 × 1/2로 25%확률로 생존하지만 루프전략 사용한 경우 1번박스에 1번종이, 2번박스에 2번종이 들어있다면 (루프길이 1인경우) 성공, 1번박스에 2번종이, 2번박스에 1번종이(루프길이 2) 인경우 실패이기 때문에 50% 확률로 생존합니다.
@dontsaymyid
@dontsaymyid Жыл бұрын
13:13 여기서 질문을 한 번 더 할 수 있겠네요. 이 전략마저 엿들은 사악한 간수가 어떻게 번호를 배열하더라도, 죄수들이 임의로 정한 k를 듣지 못했다면 죄수들의 최소 생존 확률이 30%를 넘길 수 있을까요?
@zzxxaa-rk9ju
@zzxxaa-rk9ju Ай бұрын
진짜 빡대가린가
@2003ccccccccccc
@2003ccccccccccc 11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이런 수학퍼즐 나오는 책 좀 추천해주세요!?
@baeknothing
@baeknothing Жыл бұрын
12:06 와 미친 이 부분에서 소름이 쫙.. 천재다
@buzzan
@buzzan Жыл бұрын
100명의 죄수에게 상자를 60번 열라고 하면 전부 생존할 확률이 50%를 넘어가네요 ㄷㄷㄷ
@user-mz4yp9xq2l
@user-mz4yp9xq2l Жыл бұрын
와 이런거 너무 재밌는거 같아요 역시 수학은 대단하네요
@MuiniAster
@MuiniAster 2 ай бұрын
자신이 찾은 쪽지를 가지고 나가버리면 이 문제가 성립이 안되는군요. 영상의 접근방법이 제가 떠올린 의문의 순서와 동일한게 정말 멋졌어요 자신의 번호의 상자부터 시작하면 무조건 그 루프안에 해당번호를 찾을 수 있다는걸 이해했을때 소름이 쫙 ㅋㅋㅋ
@user-hl6ej6ki4o
@user-hl6ej6ki4o Жыл бұрын
이야 재밌네요 ㅋㅋㅋ 각각 개인의 확률은 50퍼지만 전체가 성공할 확률은 31퍼로 극단적이게 되는 확률분포라니 ㅋㅋㅋ 대신 실패할때는 다들 못 찾아버리는 것도 재밌네요. 같이 성공하거나 같이 폭망하거나 10:30 이 그래프 설명 너무 좋았습니다 👍
@lijingnan5409
@lijingnan5409 Жыл бұрын
좀 무식해서 그런데 개인의확률이 50퍼이면 전체 확률도 50%아닌가요 저략을 저렇게 설명하지 말고 그냥 1~50번에서만 찾으라하면 적어도 50명은 사는거 아닌가? 고로 50%
@user-wq2td4dx6u
@user-wq2td4dx6u Жыл бұрын
​@@lijingnan5409 100명이 다 찾아야 살아요
@user-on9jh2or4s
@user-on9jh2or4s Жыл бұрын
@@lijingnan5409 자기 번호 찾은 사람만 살아나가는 규칙이 아니에요
@lijingnan5409
@lijingnan5409 Жыл бұрын
@@user-on9jh2or4s 네 저도 처음에 그렇게 이해했지만 30%가 된들 80%가 된들 죄수에는 속하고 싶지 않네요 좀 태클을 거는거같은데 퍼센트가 늘어나도 도전은 해보고 싶지않습니다 ㅜㅜ
@user-sn6rw6ks5u
@user-sn6rw6ks5u Жыл бұрын
​@@lijingnan5409 ㄹㅇ 멍청한게 킬포네 ㅋㅋㅋㅋㅋ
@rephoenix3375
@rephoenix3375 Жыл бұрын
1명만 틀려도 모두가 죽는 상황을 결국 아무도 안 틀릴 수 있는 전략으로 파훼하는거네요. 그 반대급부로 모두가 틀려버릴수도 있지만, 1명만 틀려도 죽는 상황에서 그건 중요한게 아니니까요.
@user-hv5qu7kz1m
@user-hv5qu7kz1m Жыл бұрын
모두가 틀릴 확률이 아마 저 전략 안쓰고 모두가 살아남을 확률이랑 비슷할듯. 제일 큰 루프가 100이라는건 100개 다열었을때 자기 번호가 맨 마지막에 있다는 거니까
@user-lr7he8ml9d
@user-lr7he8ml9d Жыл бұрын
@@user-hv5qu7kz1m ㄴㄴ 틀림 모두가 틀릴 확률은 약69%임
@ejoo8296
@ejoo8296 Жыл бұрын
@@user-lr7he8ml9d ㄴㄴ 틀림 1%임
@qp6910
@qp6910 Жыл бұрын
그런데 회로의 개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회로의 길이로 나눠주는 이유가 뭔가요?(길이 99짜리면 99로 나누는 등) 원순열 개념은 아는데 저 경우에는 모든 회로가 다 다른 것 아닌가요? 원순열은 회전하면 같지만 저건 한칸만 회전해도 한 박스에 들어간 숫자가 모두 달라지니까요.
@user-tz9hq1tc6r
@user-tz9hq1tc6r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너무 재밌다 최고야
@Summer_isle
@Summer_isle Жыл бұрын
상자 열기 시행의 독립성을 제거하다니 대단하네요 ㅋㅋㅋㅋㅋㅋ 이건 마치 박스의 위치를 가지고 다른 사람과 서로 소통하고 있는 것과 다름 없군요
@lllilllililill
@lllilllililill Жыл бұрын
번호가 새겨진 상자에 하나씩 넣어준 교도소장의 정성엔 다 이유가 있었던거라고....
@leesd-horara
@leesd-horara Жыл бұрын
와 ln2나오는거 개소름돋음..
@SP-kg3gr
@SP-kg3gr Жыл бұрын
혹시 루프전략이 생존가능성이 최대확률임은 증명이 된건가요?
@PSYsAudiance
@PSYsAudiance Жыл бұрын
미쳤다 유튜브 영상 보면서 감탄하는건 처음...
@v.5821
@v.5821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좀 안되는 부분이 있어요 ㅠㅠㅠ 영상 마지막에 모두성공하거나 모두실패하며 소수의 인원만 숫자를 찾는 아쉬움이 없다고 했는데요 만약 1-100까지 중에 예를들어 1-10 11-70 71-100 이렇게 세개의 루프가 있다면 1-10과 71-100의 죄수들은 본인의숫자를 찾을 수있는거 아닌가요??
@v.5821
@v.5821 Жыл бұрын
모두성공이라는게 50이하의 루프에서 30프로 확률로 자기루프에 있는 사람들 전원이 성공하거나 70확률로 전원이 실패하거나 이 말인가요?
@user-gt7ml4vf8k
@user-gt7ml4vf8k Жыл бұрын
루프전략을 사용했을때와 그냥 무작위로 선택했을때의 차이를 말하는거 같아요 그냥 무작위 50%확률로 하면 99명이 찾았지만 1명이 못찾는다던지 해서 아쉽게 실패하는 경우가 있지만, 루프전략은 30% 확률로 ( 루프길이가 50이하일 확률 ) 모두 성공하거나 70%확률로 ( 루프길이가 50 이상일 확률 ) 와장창 실패하니까요, 한명이라도 틀린다면 실패한다는점이 중요한거같아요
@TR-kd7jg
@TR-kd7jg Жыл бұрын
그런의미 같네요 가장 최소치인 루프가 51개만 되도 그때는 숫자 못찾는 사람이 51명이니까 절반이상 박살나냐 운없게 한두명 틀려서 떨어지냐 이런차이?
@y_o_u_t_u_b_e.
@y_o_u_t_u_b_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감방에 들어가서 상자 고르기 전에 99명의 재소자들에게 보여주기 좋은 영상이네요..!
@wizzzaground
@wizzzaground Жыл бұрын
7:55에 이해가 안가는데 여기서는 100의 위치에 따른것만을 경우의 수로 나타낸다는말인가요? 그러니깐 1 2 3 100과 27 24 19 100 을 똑같이 하나의 경우로 본다는말인가요?
@user-gt7ml4vf8k
@user-gt7ml4vf8k Жыл бұрын
ㄴㄴ 1 2 3 ••• 99 100 이거나 2 3 4 ••• 100 1 이렇게 시작점의 위치만 다른건 하나의 루프로 본다는 뜻인거같아요
@wizzzaground
@wizzzaground Жыл бұрын
@@user-gt7ml4vf8k 아하...이해됐다 아 그 어차피 그 한루프에서 그 숫자 모두가 나오니깐 하나의 루프로 아 ㅇㅋ 감사합니다
@kmns112
@kmns112 Жыл бұрын
재밌었습니다 감사합니다
@YONGHA23
@YONGHA23 Жыл бұрын
뭔가 사람이 늘어날수록 중간에 하라는대로 안해서 멸망할것같다ㅋㅋㅋ
@user-jt9nu2fs7s
@user-jt9nu2fs7s Жыл бұрын
그래도 그사람이 50퍼 확률만 뚫어낸다면 사는거 아닌가...?
@user-s1ba1sekk1
@user-s1ba1sekk1 Жыл бұрын
@@unarmed_civilian 50% 병
@PSYsAudiance
@PSYsAudiance Жыл бұрын
@@user-s1ba1sekk1 ㅋㅋㅋㅋㅋㅋㅋㅋ 병 한글자에 감정이 담겨있네
@nayil9244
@nayil9244 Жыл бұрын
상자 안에 무슨 쪽지가 있는지 사전에 알 수가 없으니까 전략을 아무리 짜도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전혀 아니었네 ㅋㅋㅋ 머리가 띵하네요
@lemp715
@lemp715 Жыл бұрын
개쩔어요!
@gengennewnew
@gengennewnew Жыл бұрын
kzbin.info/www/bejne/kGSXppqDrpaEl6M 이거번역해주실수있을까요? 양자역학인데 너무 궁금해요 ㅠㅠ.
@handler12345
@handler12345 Жыл бұрын
못 믿겠어서 코딩으로 실험해봤는데 진짜 0.3보다 조금 높게 나오네... 수학자들은 대단하구나
@HandsomeSukuna
@HandsomeSukuna Жыл бұрын
대단
@handler12345
@handler12345 Жыл бұрын
파이썬입니다 import random N = 100 numbers = [i for i in range(100)] random.shuffle(numbers) summation = 0.0 for k in range(10000): random.shuffle(numbers) is_good = True for i in range(100): my_num = i is_flag = False for j in range(50): if numbers[my_num] == i: is_flag = True break my_num = numbers[my_num] if is_flag == False: is_good = False break if is_good == True: summation +=1.0 print(summation / 10000.0)
@user-ey3mp2hm7i
@user-ey3mp2hm7i Жыл бұрын
@Salida 저런 간단한건 한시간 이내 충분히 만들 수 있어요 특히 간단한 학습용 코딩 프로그램인 블럭코딩 프로그램이라면 훨씬 빨리 만들 수 있죠.
@thevimbol
@thevimbol Жыл бұрын
@Salida 난 비전공자이고 파이썬밖에 모르는데, 전공자가 하면 10분컷도 가능할것 같은데?
@handler12345
@handler12345 Жыл бұрын
@Salida 실험이라고 해봤자 코드 짜고 돌리는건데 몇십줄 짜리코드를 짜는데 몇분 코드 돌리는데 몇초에요..
@withnotbrain
@withnotbrain Жыл бұрын
맞춘 사람은 살려준다고 했을 때도 루프 전략을 쓰기로 합의 본다면 재밌는 점이 교도관은 1명 이상이 죽을 확률은 사실상 100%라고 생각했을텐데 사실은 70%라는거죠.. 만약에 돈을 걸고 하는 게임 같은건데 교도관 맡으면 질 수가 없다고 생각했다가 틀린 사람이 한명도 없는 순간 이게 가능할리가 없는데 하면서 멘탈 나가는거죠...ㅋㅋㅋㅋㅋㅋㅋ
@kuroneco0009
@kuroneco0009 Жыл бұрын
하지만 70프로로 51명 이상 죽는
@eiliosice
@eiliosice Жыл бұрын
라이어게임이나 카이지에 나올법한 게임이네
@sprinter8982
@sprinter8982 Жыл бұрын
@@kuroneco0009 한 명이라도 실패하면 전부 죽으니, 오히려 (사악한) 간수 입장에서는 좋을 지도요.
@catflying5965
@catflying5965 Жыл бұрын
재밌는건 루프전략을 써도 개개인의 생존률은 딱 50%라는거. 고의적으로 51이상 루프되도록 상자를 배치하지 않는 한 아무튼 쓰는게 유리한 전략이긴 하네요.
@tlqkf
@tlqkf Жыл бұрын
아그러면 맞춘사람은 살려준다고 했을때도 쓰는게 이득인거네요 개개인 입장에서 봐도
@user-wy7fo5cn7u
@user-wy7fo5cn7u 10 ай бұрын
그럼 루프의 수가 50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으니까 첫 선수만 50%라는 압도적인 확률을 가지고 랜덤하게 뽑고 루프의 수를 하나 줄이는 건 오류가 생길까요? 루프전략은 100명이 31%고, 제가 말한 건 한 명만 50%이니까 조금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싶어서요 오류가 50% × 31%라는 확률이 될지 아니면 제 생각대로 될지 궁금해요
@user-xh5ev6lv6j
@user-xh5ev6lv6j 8 ай бұрын
그러면 전체 성공확률은 반으로 줄어들죠 루프의 길이가 50을 초과하는 경우 첫선수가 랜덤하게 선택해 50% 확률로 통과하여도 뒤에 죄수들로인해 무조건 실패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루프의 길이가 50 이하인 경우에 사실상 첫번째 선수의 성공확률이 전체 성공확률과 같으니 루프의 길이가 50 이하인 확률 × 1/2 이 되겠죠 따라서 성공률이 약 15%로 줄어들지 않을까요
@GS_25
@GS_25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yb5hd5jq1v
@user-yb5hd5jq1v Жыл бұрын
길이가 51이상인 루프가 있는 경우에도 방법만 바꾸면 손쉽게 재배열이 되어버리네요. 정말 신기합니다.
@user-xq6hc7vd1j
@user-xq6hc7vd1j Жыл бұрын
굉장히 흥미로운데요 12:56 이 문제의 해법에서 숫자를 5를 더한다고 하더라도 결국 루프의 길이는 변하지 않기에 30퍼센트가 아닌것 아닌가요? 루프의 길이가 100이라면 결국 0퍼센트에서 50퍼센트로 올라가지만 각자다른 여러개의 루프가 있다면 본인이 속하지 않은 루프로 빠질 수 있지 않을까요? 최초에 해법이 본인의 루프에서 벗어나지 못하므로 루프가 50이하인 경우에 모두 50회 이하의 도전에서 본인의 번호를 찾을 수 있다는 전제와 다른 것 아닌가요?
@Nn-yj3bh
@Nn-yj3bh Жыл бұрын
3상자에 6이 적혀져있다고 가정했을때 5를 더한 상자를 열게 바꾸면 8상자에서 값을 찾게 되는데 6이 아닌 숫자가 들어있겠죠. 그 번호에서 5를 또 더한 상자를 찾는거고. 즉 섞는 효과랑 똑같아요
@user-sb9rq1gm9f
@user-sb9rq1gm9f Жыл бұрын
퍼즐 자체도 상당히 비 직관적이기 때문에 실제로 어떻게 될지 따져보는 쪽이 빠릅니다. 예를들어 가장 간단한 루프인 1->2->3->... 루프를 생각해봅시다. 여기서 중요한건 상자의 숫자만 바뀌는거지 종이의 숫자가 바뀌지는 않습니다. 만약 상자의 숫자를 모조리 1을 더한다면, 모든 상자 안에 자신의 숫자가 들어있게 됩니다. 잘 생각해보세요. 1이 2를 가리키고 있는 이유는 1상자 안에 2종이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어째서 이런일이 일어났냐하면, 루프의 진행방식이 원래는 1씩 진행이었다면 상자의 숫자를 1 더하는것은 진행 숫자에서 -1을 하는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루프의 진행이 0씩 진행이 되고 루프의 끝이 자기 자신의 숫자라는 규칙에 의해 모든 상자 안에 자신의 숫자가 들어가게 됩니다. 이것을 조금 더 복잡하게 생각해봅시다. 어떤 숫자가 있어서 이 숫자가 1에서 뺐을때, 1이 아닌 100의 최대 공약수를 만들수 있는 숫자라고 생각해봅시다. 가령 숫자를 5 더한다면, 1씩 진행이 1-5=-4씩 진행하게 되니까 최대공약수는 4지요. 이것은 루프의 진행이 정방향이나 역방향이나 루프는 변함이 없고, 성공조건이 루프의 길이뿐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즉 이 루프는 1씩 진행이 아니라 -4씩 진행이고, 최대 루프의 묶음은 25가 될것입니다. 만약에 이 사실을 모른다고 하더라도 100보다 작은 100의 서로소는 1을 제외하고 39개입니다. 조금 더 복잡하게 생각해봅시다. 만약 죄수들끼리 의논해서 만든 새로운 숫자배열이 있어서, (예를들어, 1->33->23->64->71->... 라는 무작위 100길이의 루프형 숫자배열) 그 순서대로 진행한다면? 이걸 반대로 생각했을때 죄수들이 정상적인 숫자를 가지고 있고, 간수가 배열해 놓은 길이가 100인 루프를 아까 말한 새로운 숫자배열이라고 생각한다면? 아주 놀라운 결과입니다.
@nslh3248
@nslh3248 Жыл бұрын
상자에 +5한다면 그렇게 헷갈릴수도있는데 모든 쪽지를 현재 있는 위치에서 -5 숫자의 상자에 넣는다고 생각하면 쉬울듯 결국 상자에 임의로 +5한다는거랑 똑같은 효과를 내니 자기 속하지 않은 루프로 갈확률도 없고 그냥 재배열하는 효과임
@user-gg6ri4fl9n
@user-gg6ri4fl9n Жыл бұрын
와 이번 영상 진짜 재밌다
@whattff
@whattff Жыл бұрын
두번째 이후의 죄수는 자기번호 상자를 연다는 건가요 아니면 첫번째 죄수와 같은 루프를 탄다는 건가요
@whoisbanshigeru
@whoisbanshigeru 27 күн бұрын
자기 번호 상자를 열어서 나온 루프를 탑니다. 소통이 불가능하니 첫번째 죄수가 어떤 루프를 탔는지는 알 수 없죠
@DoTroll5610
@DoTroll5610 Жыл бұрын
운빨X망으로 보이는 게임이라도 수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전략을 사용하면 이렇게까지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게 대단하네요
@nadonadodo
@nadonadodo Жыл бұрын
운빨x망 ㅋㅋㅋㅋ 근데 진짜 신기하네요
@user-ch6nc5lc3c
@user-ch6nc5lc3c Жыл бұрын
그래도 31%의 기적이 일어나야 해요!
@boringstack1980
@boringstack1980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제 솔랭은 운빨x망입니다. 그렇게믿어야 제 맘이 편해요
@user-ks2lu2yx4b
@user-ks2lu2yx4b Жыл бұрын
@@user-ch6nc5lc3c 31%면 개 혜자네 ㅋㅋ
@Beethoven0913
@Beethoven0913 Жыл бұрын
​@@user-ch6nc5lc3c 어차피 죽을 거 31%로 확률을 늘려준 것에 감사해야...
@socks_man
@socks_man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감옥에 들어가지 않기 위해 착하게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user-km1zx9we1c
@user-km1zx9we1c 2 ай бұрын
이렇게 되는 이유는 독립시행이 아니기때문이 아닐까 독립시행이라는건 앞의 결과가 뒤에 영향을 끼치면 안되는데 앞에서 상자를 열었을 때의 결과가 만약 1이라면 그 뒤에 상자는 1이 나오면 안된다는 영향을 주게되니까 결국 독립시행이 아닌거지.
@UJSisAlive
@UJSisAlive Жыл бұрын
질문이 있는데 죄수 한명이 뽑고 찾고 나간후 다시 상자 배치를 임의로 바꾼다는 설정을 한다면 확률은 똑같을까요?
@UJSisAlive
@UJSisAlive Жыл бұрын
아 이미 찾았다는 선에서 끝이구나 깨달아버렸다
@user-dz1ne5zu1w
@user-dz1ne5zu1w Жыл бұрын
그냥 쉽게 100명을 2명으로 줄이기만 해도 이해하기 편할듯. 2명이 상자 두개 중 자신의 번호를 찾는 독립시행을 한다면 둘다 맞출 확률은 25%지만, 자신의 번호가 적힌 상자만 연다는 가정을하면 50%가 되죠.
@jgl3092
@jgl3092 Жыл бұрын
이런 수학은 마지막에 갑자기 익숙한 함수가 나오는게 소름그자체인듯 처음엔 그저 랜덤에서 규칙찾기 인데 갑자기 1/x 함수라니
@PSYsAudiance
@PSYsAudiance Жыл бұрын
맞죠 마지막 그 그래프 나오자마자 소름..
@nmnoooooooo
@nmnoooooooo Жыл бұрын
잘 모르겟어요 7:34 부터 조금 막히네용 졸려서 그런가ㅜㅜ 근데 영상 너무 재밌어용 정주행 하러 갑니당ㅎㅎㅎ
@user-bq4zk1hl2k
@user-bq4zk1hl2k Жыл бұрын
뭔가 1번 들어가서 1부터 50까지 열어보고 나가는 시간을 정해서 몇 분 이전에 나가면 1부터 50 사이에 2가 있는거고 후에 나가면 51부터 100 사이에 있는 거다 이런 식으로 하면 안됨?
@uni1mta852
@uni1mta852 Жыл бұрын
확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좀더 개념적으로 쉽게 설명하면, 죄수들마다 서로 다른 고유 번호 있고 그 번호로 인해 죄수들이 서로 겹치게 않게 시작 번호 상자를 여는 겁니다. 죄수들 모두가 랜덤하게 아무 상자나 열면서 시작하는 것과는 완전 다르죠. 이게 확률을 높이는 키워드입니다. 상자의 시작 번호가 고유적으로 다 다르게 되어 100명이든 100만명이든 그 죄수 만큼 상자 여는 시작 위치가 서로 달라 그 만큼 다시 상쇄됩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죄수가 아무리 늘어나도 상자 50루프 해당되는 1/3정도 확률만 비슷하게 계속 남게 되는 겁니다.
@sunshayun3030
@sunshayun3030 3 ай бұрын
핵심 이해를 잘못하신듯 합니다. 중요한 것은 서로 다른 상자를 열었기 때문이 아니라, 박스를 연 다음 다음 상자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는 겁니다. 영상에 나오는 "링크"가 이 해법의 핵심이죠.
@whoisbanshigeru
@whoisbanshigeru 27 күн бұрын
팩트)둘다 중요함
@earthy00
@earthy00 Жыл бұрын
희한하다면 희한한 게... 막상 개개인이 성공할 확률은 여전히 50%라는 점인 듯. 개개인의 확률은 같지만 전략 변화로 전체의 성공률이 달라진다는 게, 뭔가 수학의 미학 같은 느낌도 들고.
@---qm5yb
@---qm5yb Жыл бұрын
개개인이 성공할 확률이 50이 맞아요?
@user-iy5ev4on5v
@user-iy5ev4on5v Жыл бұрын
​@@---qm5yb 영상을 좀 보세요..
@user-gc8lq6ki2g
@user-gc8lq6ki2g Жыл бұрын
@@---qm5yb 개개인으로 보면 50프로가 맞죠. 전체가 성공할 확률이 30프로라 죄수 한명이 성공할 확률이 50프로라 생각할 수 있지만 죄수 모두가 성공 49명성공, 48명성공 ... 등등에서 개인이 성공할 확률까지 모두 더하게 된다면 결국 50프로가 됩니다
@junkistar
@junkistar Жыл бұрын
​@@---qm5yb 계산기 돌려보니 50정도 나옴. 최대길이가 50이하라 무조건 성공(31퍼) + n->1~50 (50 - n) / {(50 + n) * 100} 하면 약 18.x퍼 부동소수점연산 오차 생각하면 50퍼 나올듯
@zoddkwl2
@zoddkwl2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season2640
@season2640 Жыл бұрын
콜라츠 추측이 생각나는 풀이네요 흥미롭습니다 🤣🤣 저걸 낸 사람은 컴퓨터 데이터 접근 방식 연구하던 사람이었을라나요
@season2640
@season2640 Жыл бұрын
@@TheManaka0504 ㅇㅎ 감사요
@PSYsAudiance
@PSYsAudiance Жыл бұрын
@@TheManaka0504 다른 대댓에서 각각의 성공확률이 69.7%다 라고 하신 분이 다른사람 보고는 제대로보라고하네요 그냥 놀랍
@insectH
@insectH Жыл бұрын
요런거 게임처럼 만들면 수많은 사람이 참여할거고 더 정확히 분석이 될거같네요. 진짜 내 번호가 루프에 포함됐다는 걸 경험해보고 싶어요.
@summercamp_
@summercamp_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ㅋ 방금 그림판으로 그려봤는데도 루프에 내번호가 있는게 와닿지않음
@whitechocomoca
@whitechocomoca Жыл бұрын
@@summercamp_ 모든 박스는 루프를 무조건 만듬 중간에 끊기는건 있을수없음 그렇기때문에 내 번호의 박스를 연다는 것 = 내 번호가 들어간 루프를 시작한다는것
@lllilllililill
@lllilllililill Жыл бұрын
남자들끼리 기차놀이를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첫번째 남자는 두번째 남자 X구멍에 넣어야겠죠? 두번째 남자는 또 다시 세번째 남자 X구멍에 넣구요. 그럼 마지막 남자는 어디에 넣어야 할까요? 첫번째 남자 X구멍만 남았겠죠? 이게 바로 1대1 대응함수의 매력이랍니다.
@nslh3248
@nslh3248 Жыл бұрын
@@lllilllililill 아니 ㅋㅋㅋㅋㅋㅋㅋ
@high__row
@high__row 7 ай бұрын
​@@lllilllililill이게 시발 ㅋㅋㅋㅋㅋ 루프의 직관적인 설명이라는 게 빡치네
@user-yx1dv9wv7u
@user-yx1dv9wv7u Жыл бұрын
내 죄수번호와 "같은" 번호를 가진 박스를 까는 것이 시작이 중요함.
@SH-ip2kn
@SH-ip2kn Жыл бұрын
"루프전략을 사용해도 개개인의 확률은 50%지만 더 이상 독립적이지 않다" 라는게 혹시 수학적으로 타당한 설명인가요? 생소하고 이해가 안되는데 일상에서 들만한 예시가 있을까요?
@SY-xx7by
@SY-xx7by Жыл бұрын
100명이서 동전던지기를 하는데 앞면이 나오면 성공이고 뒷면이 나오면 실패입니다. 100명이 각자 동전을 1개씩 던지면 개개인의 확률이 50%이면서 독립적이고, 100명이서 한 팀으로 1개의 동전을 던지면 모두 50% 확률이지만 독립적이지 않습니다. 루프전략의 핵심은 루프전략을 사용하면 같은 루프에 있는 사람은 같은 결과를 공유한다는 것입니다. 위 예시와의 차이점은 동전의 50% 확률 대신, 자신의 루프의 길이가 50이하일 확률에 승패가 달렸다는 것이죠.
@SH-ip2kn
@SH-ip2kn Жыл бұрын
@@SY-xx7by 그러니까 "전원이 성공하느냐 마느냐"가 관점이기 때문에 독립적이지 않다는거죠?? 감사합니다
@yacosive
@yacosive Жыл бұрын
외부로 정보가 살짝이라도 새어나간다고 할 경우 저 전략을 따르기로 했을 때 만약 누군가가 죽는 소리가 났다면 이후에는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궁금하네요. 또 다른 낮은 확률의 전략이 있을지...
@POIMI_
@POIMI_ Жыл бұрын
1명이라도 틀리면 전부 죽는 조건이니... 누가 죽는 소리가 나면 그냥 바로 폭동날것 같은데요..ㅎㅎ
@dead_game
@dead_game Жыл бұрын
만약 한명만 못 찾아도 전부 처형 당하는게 아니라 자기 번호를 찾은 죄수는 살리고 못 찾은 사람만 죽이는 걸로 규칙을 바꾼다면 살아남는 인원의 평균은 무작위로 뽑든 루프 규칙을 따라 뽑든 50명일까요...?
@SY-xx7by
@SY-xx7by Жыл бұрын
100명 죽을 확률 = 1/100, 100명 죽을 기댓값 = 100×(1/100) = 1명 99명 죽을 확률 = 1/99, 99명 죽을 기댓값 = 1명 ... 51명 죽을 확률 = 1/51, 기댓값 = 1명 50명 죽을 확률 = 0, 기댓값 = 0명 ... 1명 죽을 확률 = 0, 기댓값 = 0명 0명 죽을 확률 = 0.31, 0명 죽을 기댓값 = 0×0.31 = 0명 기댓값을 다 더하면 딱 50명 나옵니다.
@PSYsAudiance
@PSYsAudiance Жыл бұрын
당연하죠....
@PSYsAudiance
@PSYsAudiance Жыл бұрын
@@TheManaka0504 ㅋㅋ..
@SY-xx7by
@SY-xx7by Жыл бұрын
@@TheManaka0504 제가 이미 기댓값 50명인거 증명해서 써놨는데 못보셨나요?
@Hwan_1210
@Hwan_1210 Жыл бұрын
개쩌는 확률업 이벤트인가
@soohyun665
@soohyun665 Жыл бұрын
ㅔ 잘 찾아오셨습니다
@user-zw9mz5zt5b
@user-zw9mz5zt5b Жыл бұрын
주어진 상황이 같더라도 랜덤일 경우와 규칙을 세웠을 경우 확률이 극적으로 달라지는게 재밌네요
@aloer8833
@aloer8833 7 ай бұрын
독립시행으로 했을때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는것이 독립성을 없애고 서로 연결 correlated 시키게 되면 분포가 변화하는 것과 같군요 마치 입자의 움직임을 한방향으로 유도하면, 결과가 가우시안이 아니게 되는 것 처럼요
@user-fy4te3nw8j
@user-fy4te3nw8j Жыл бұрын
처음엔 직관적으로 이해가 안 되었는데 개인이 생존할 확률은 그대로고 전원 생존의 확률이 올라간다니까 이해가 되네요. 재밌게 봤습니다
@user-fy4te3nw8j
@user-fy4te3nw8j Жыл бұрын
개인 성공 확률은 그대로 1/2 아닌가요?
@user-fy4te3nw8j
@user-fy4te3nw8j Жыл бұрын
개인은 결국엔 상자의 절반을 까게 되는데 왜 31퍼센트일까요? 제가 이해를 잘못했나 다시 봐야겠네요
@user-fy4te3nw8j
@user-fy4te3nw8j Жыл бұрын
네 단순하게 결국 모든 개인이 상자의 절반을 깐다는 걸 생각하면 개인의 성공 확률은 1/2이 맞는 것 같아요~
@baehorang
@baehorang Жыл бұрын
둘다 뭐함?
@paq4722
@paq4722 Жыл бұрын
내 번호의 루프가 50보다 클확률이 69/100 니깐 당연히 개개인의 실패확률도 69/100 일수밖에 없는거 아닌가요
@user-cj9pe8oc7g
@user-cj9pe8oc7g Жыл бұрын
상자마다 무작위로 1부터 100까지 숫자를 적어넣었으면 절대 불가능했을텐데, 1부터 100까지의 숫자가 적힌 종이를 1부터 100까지 숫자가 적힌 상자에 넣으면 결국 종이와 상자가 1대1로 매칭된다는 점을 노련하게 이용한 해결법이네여. 굉장히 똑똑합니다 ㅎㅎ
@dayservant
@dayservant Жыл бұрын
근데 상자에 숫자가 안 적혀있어도 죄수들이 왼쪽 위에 있는 것부터 1이고 쭉 번호를 매겨서 오른쪽 아래가 100이라고 하자고 약속하고 루프 전략을 쓰면 같은 거 아닌가요?
@DW01100
@DW01100 11 ай бұрын
​@@dayservant네 맞아요 상자의 위치만으로 번호를 정해도 문제없습니다
@user-dm9ft9wr1j
@user-dm9ft9wr1j 8 ай бұрын
ㅋㅋㅋ원댓글 제대로 이해못한거같은데
@_sodam_
@_sodam_ 8 ай бұрын
영상제대로 안봤지.... ㅋㅋ
@user-lr9uh4rd5y
@user-lr9uh4rd5y 8 ай бұрын
ㅋㅋ정확하게 이해 못했네
@mindset2524
@mindset2524 Жыл бұрын
12:52 만약 100짜리 루프 하나를 나눈다면 루프 50짜리 2개로 쪼개지 않는 이상 하나의 루프는 50보다 크지 않나요? 어떻게 길이가 50보다 짧아진다는 건가요..
@jsy03137
@jsy03137 Жыл бұрын
지적처럼 둘 중 하나가 50보다 커질 수도 있겠네요.
@user-gs1un6rb1n
@user-gs1un6rb1n Жыл бұрын
죄수들 전략에 마지막 상자(50번째)에도 자신의 번호가 없으면 그 상자에 있는 번호 상자를 택하는 전략을 세우면 총 51개의 루프를 가진 경우도 해결이 되니까 1/51만큼의 확률이 추가 될 수 있는거 아닌가요?
@user-td7wi6qy4k
@user-td7wi6qy4k Жыл бұрын
50개의 상자를 열었을때 거기에 내 번호가 포함되어있어야 해요. 내 번호가 든 상자가 뭔지 맞추는게 아니라
@MrTanorus
@MrTanorus 7 ай бұрын
이 영상에서 설명된 문제 규칙만 보면 그 부분을 애매하게 설명하긴 했네요
@asakkkkk2
@asakkkkk2 Жыл бұрын
아쉽게도 0.31의 확률을 뚫지 못하고 모두 처형되었답니다 ㅠㅠ
@ChaengLover
@ChaengLover Жыл бұрын
아주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설명해드릴게요 1. 본인의 숫자가 적힌 상자로 시작한 루프에는 본인의 숫자가 무조건 존재한다 2. 상자는 50개까지 열 수 있기때문에 본인의 루프를 구성한 상자의 갯수가 51개 이상이라면 실패한다 3. 100개의 상자와 숫자를 무작위로 배치했을때 51개 이상의 상자로 구성된 루프가 생성될 확률은 약 70% 이다 4. 그러므로 약 30% 의 확률로 죄수들은 생존할 수 있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답글 ㄱㄱ
@user-cf6jo5qb7m
@user-cf6jo5qb7m Жыл бұрын
? 설명이 아주 직관적으로 1도 안됐는뎁쇼? 그냥 영상에 나온 내용 똑같이 정리해놓은 거잖아요 ㅋㅋㅋㅋ 이해가 안되는게, 내가 루프 방법을 따라서 내 숫자를 찾을 확률이 30% (이거 맞나요?) 그리고 내 다음 죄수가 자기 번호를 찾을 확률도 30%, 이 다음도, 또 그 다음도 30%. 그럼 결국 100명이 다 찾을 확률은 0.3^100 아닌가요? 오히려 무작위로 고르는 것보다 확률이 낮아지는게 아닌지..
@ChaengLover
@ChaengLover Жыл бұрын
@@user-cf6jo5qb7m 루프 방법으로 내 숫자를 찾을 확률은 100%이고 중요한건 그 루프의 길이입니다 열수있는 상자의 갯수가 50개로 제한이 되어있어서 루프의 길이가 50개를 넘어버리면 모두 죽는거구요 무작위로 배열했을때 길이가 50이 넘는 루프가 만들어질 확률이 약 70% 반대로 길이가 50이 넘는 루프가 없을 확률이 약 30%로 이 경우엔 모든 죄수가 본인의 루프에서 숫자를 찾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user-cf6jo5qb7m
@user-cf6jo5qb7m Жыл бұрын
@@ChaengLover 아? 그니까 상자에 숫자를 배포할때 생성되는 모든 루프들의 길이가 50이 안넘을 확률이 30%라는 건가요? 그래서 죄수들이 한명씩 들어가서 어떤 상자에서 시작하든 루프만 따르면 모두 살아나갈 확률이 30%라는거고? 살 확률과 죽을 확률은 교도관이 상자에 숫자를 배치할때 이미 정해지는거기 때문에?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ChaengLover
@ChaengLover Жыл бұрын
@@user-cf6jo5qb7m 거의 다 이해하신것같아요 중요한건 본인의 숫자가 적힌 상자로부터 루프를 시작해야 한다는것이구요 그래야 마지막에 본인의 숫자를 찾으며 루프를 닫게되니까요
@user-cf6jo5qb7m
@user-cf6jo5qb7m Жыл бұрын
@@ChaengLover 엥 왜 굳이 내 숫자부터 시작해야해요? 왜 그래야만 루프가 닫히는거죠? 다른 숫자로 가도 상관 없지 않나요?
@user-gw7zq7xj9r
@user-gw7zq7xj9r Жыл бұрын
왜 각각의 확률은 1/2 고정인가요? 본인이 속한 루프가 50보다 길이가 길 확률은 것보다 낮지 않나요?
@slinky9512
@slinky9512 8 ай бұрын
확률은 진짜 신기한게 파도파도 나오네.. 재밌게 잘보고 갑니다
@nothing_about_me
@nothing_about_me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ㅈㄴ재밌네 ㅋㅋㅋㅋㅋㅋㅋ
@munehuk
@munehuk Жыл бұрын
아 30%면 개혜자 맞지ㅋㅋㅋ
@user-lh4sy8cr9b
@user-lh4sy8cr9b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감사해요 이거 보다가 불면증이 사라졌네요 ㅠㅠㅠ
@diajin3112
@diajin3112 Ай бұрын
13:19 이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는데 설명해주실분? 루프의 길이를 51이하로 만들확률은 30퍼이상이지만 처음 번호는 정해져있으니까 5를더하면 자기루프가 아닌 루프를 돌게 될수도있는것아닌가요? 저렇게 하면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낮아질것같은데
@lollin3436
@lollin3436 Ай бұрын
처음에 뭔 번호를 뽑든 그건 상관없음 다만 교도관이 각각 자기 번호를 뽑을 경우만 선정해서 루프를 변형시킨거기 때문에 1을 더해서 뽑든 2를 곱해서 뽑든 상관없는거
@user-lr1fe2yn7p
@user-lr1fe2yn7p Жыл бұрын
만약 못찾으면 루프의 길이가 51일 확률이 가장 크니까 마지막에 본 숫자가 답일 것이라고 믿고 찍는다면 1/51만큼 확률이 더 커져 33%까지 올릴 수도 있지 않을까요?
@42_cloud
@42_cloud Жыл бұрын
그럼 사실상 100개중 51개의 상자를 열 수 있다는건데 당연히 확률이 다르죠...
@user-tc2tj9qi5f
@user-tc2tj9qi5f Жыл бұрын
잠만 머리가 띵했음. 이거도 맞는듯?
@user-lr1fe2yn7p
@user-lr1fe2yn7p Жыл бұрын
@@42_cloud 저는 몇번째 상자에 자신의 숫자가 들어있는지를 알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제가 문제를 잘못 이해한 건가요?
@42_cloud
@42_cloud Жыл бұрын
@@user-lr1fe2yn7p 1:04 자신의 번호를 모두 "찾으면" "자신의 번호가 있는 상자를 알면"이 아니니까... 번호가 들어있는 상자를 "찾아야" 통과라고 생각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그냥 국어 문제인 것 같긴 한데...
@ChaengLover
@ChaengLover Жыл бұрын
50개를 열어서 본인의 숫자를 찾는겁니다 본인의 숫자가 어디에 있다고 지목해서 맞추는게 아니구요
@Aong1128
@Aong1128 Жыл бұрын
ㅋㅋㅋ현실은 100명중에는 분명 똥멍청이가 있을거기 때문에... 쪽지 찾았다고 신나서 가지고 나오는 놈이 있을거고 루프는 이어지지 않을거임...
@Gundam_RX78-2
@Gundam_RX78-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가지고 나오는 순간 간수 표정 씨익~ ^^
@장제
@장제 Жыл бұрын
루프를 타다보니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상자가 나왔다..
@SuezireKaka
@SuezireKaka Жыл бұрын
13:13 뭔가 죄수들이 단순히 상자번호에 특정 수를 더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루프 전략을 쓰는 걸로는 그 전략을 미리 예상한 간수 입장에서 할 수 있는 게 있을 거 같긴 한데 잘 모르겠네요...... 더하기에 의해 전체 구조가 보존되기에 사실상 안 섞이면서 가장 긴 루프의 길이가 50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을 거 같은데......
@nahyeog
@nahyeog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ek1ig8zh8u
@user-ek1ig8zh8u Жыл бұрын
문제를 보고 즉흥적으로 바로 떠올랐던 생각이 '무작위의 죄수들이 같은 규칙으로 상자를 열게 해서 무작위성을 줄이면 확률이 획기적으로 확 오르지 않나?' 였는데 이렇게 일상적인 언어로 그 방법까지 자세하게 풀이된 걸 정독하니 지적 허영이 채워지는 것 같아 기분이 좋아지네요 이게 교양이 갖는 힘이겠죠. 저같은 멍청이들도 마치 스스로가 똑똑해지는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해 주니 아주 유쾌해지네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PSYsAudiance
@PSYsAudiance Жыл бұрын
굿
@lllilllililill
@lllilllililill Жыл бұрын
수능 확률 문제에서 항상 주머니 안에 넣고 하나씩 뽑게 시키는 이유가 있었음.... 야바위처럼 개별 상자에 넣든지, 컵에 넣든지 하면 순서, 모양, 위치 때문에 연번을 매길 수 있게 되고 루프 전략을 적용시킬 수 있게 됨
@saeonthefox153
@saeonthefox153 Жыл бұрын
수능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말 그대로 "무작위"로 뽑도록 하니까 애초에 "전략"이 개입하지 않았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루프전략을 세운 순간 "무작위"가 아니게 되죠.
@귀별
@귀별 Жыл бұрын
루프전략이 개사기인 이유
@timetree4124
@timetree4124 Жыл бұрын
무작위로 뽑는다고 할때 보통 균등분포임을 생략합니다. 수능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균등분포라고 생각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MASTR_777
@MASTR_777 8 ай бұрын
요컨데 확률을 거의 무한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는 말이군요. 아주 멋진 전략입니다.
@BomBanChan
@BomBanChan 6 ай бұрын
레고 설명이 굉장히 좋네요
@supleehum7656
@supleehum7656 Жыл бұрын
수학보다 정보 분야에서 더 중히 사용될 논문일것 같습니다. 천재적이고, 저는 교도관이 51이상 길이의 루프를 일부러 만들어도, 각 숫자에 무작위 숫자를 더해서 루프를 따라가면 의도성을 리셋하여 다시 30%로 돌아올 수 있다는 부분에서 더 경악했습니다…
@supleehum7656
@supleehum7656 Жыл бұрын
‘닫힌 단방향 연결리스트가 1개 이상 섞여있는 모음’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료를 찾는다는 문제로 치환했을때, 노드가 10개 있고 찾아야하는 숫자도 10개가 있을때, 그냥 앞에서부터 찾으면 평균 50회의 엑세스로 10개 숫자를 모두 찾아낼수 있습니다. 위 해법을 적용할시, 30% 확률(최장 리스트의 길리가 전체 길이의 반이하일 확률)로 50회 이내로 모두 찾을 수 있고, 70% 확률로 50회 이상이 필요해집니다. 그러므로 전체 모음에 섞여있는 리스트 중 최장 리스트의 길이가 전체 모음 길이의 반 이하라는게 보장이 되면 위 해법대로 자료를 찾으면,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찾는것보다 무조건 빠르게 찾을 수 있죠. 그러므로 이 자료 모음의 메타데이터에 최장 리스트 길이를 넣어놓고, 최장 리스트의 길이가 전체 반 이상이면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자료를 찾고, 아니라면 루프해법으로 자료를 찾는다면 자료찾기를 더 효율화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특수한 방식으로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를 잘 모르겠네요 아직…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Жыл бұрын
@@supleehum7656 엑세스->액세스
@7Itruth
@7Itruth 9 ай бұрын
놀랍게도 51개 까지도 살수있습니다! ㅎㅎ 바로 루프에 실패한경우 마지막 상자속 종이가 가르키는 숫자의 상자를 자신의 상자로 지목하는 방법입니다 이로써 길이 51의 루프를 가진 경우까지도 생존이 가능해집니다!
@MrTanorus
@MrTanorus 7 ай бұрын
​@@7Itruthㅋㅋㅋ 그러네요 문제의 조건을 명확히 해서 "자신의 쪽지가 들어있는 상자를 열면" 성공이라고 보완해야할 것 같네요
@productlog5895
@productlog5895 Жыл бұрын
더 놀라운건 이 솔루션이 optimal하다는거
@reryyywwerwghju9549
@reryyywwerwghju9549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증명하죠?
@productlog5895
@productlog5895 Жыл бұрын
@@reryyywwerwghju9549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 게임보다 더 쉬운 버전의 새로운 게임을 가져온 다음에 새로운 게임의 전략이 원래 게임의 루프 전략과 같다는걸 보여서 증명합니다. 자세하세 설명하면, 새로운 게임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하는건데요. 1) 100명의 죄수들이 각자 자기 번호가 나올때까지 상자를 열되 50번 초과하면 실패 2) 이전 죄수들이 연 상자는 다시 닫지 않고 다음 죄수가 모두 볼 수 있다. 이때 열린 상자 중에서 자기 상자가 있다면 바로 다음 죄수 차례로 넘어간다. 3) 100명 모두 통과하면 성공 새로운 게임은 원래 게임보다 정보가 더 많기 때문에 성공 확률의 upper bound라 할 수 있고 이 새로운 게임에서 어떠한 전략들을 쓰더라도 승패는 50개 초과의 루프가 있는지에 따라 갈리게 되므로 upper bound와 같은 루프 전략이 항상 최적의 선택이 됩니다
@BidenBlessesYou
@BidenBlessesYou Жыл бұрын
@@productlog5895 오...
@johnburr4844
@johnburr4844 Жыл бұрын
개인들의 확률을 집단의 확률로 바꿔버리는 마법같은 전략이네요.
@0hamster
@0hamster 10 ай бұрын
모든 죄수가 위 방식으로 진행하지만 각각의 죄수가 한 번씩 상자를 재배치 하여 시도하면 어떻게 될까?
당신이 수학을 모르는 이유. (feat. 불완전성의 정리)
32:59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607 М.
인생에 꼭 필요한 수학 스킬!
19:51
12 Math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제발 풀려고 하지 마세요! (아무도 못푼 쉬운 문제. 콜라츠 추측)
20:54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연산
33:52
DMT PARK
Рет қаралды 340 М.
지면 실업자가 되는 수학 배틀 : 허수는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
22:00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469 М.
이 기계는 무료로 적분 해줍니다.
18:56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을 죽인 과학자
23:41
Veritasium 한국어 - 베리타시움
Рет қаралды 782 М.
CPU는 어떻게 작동할까?
21:48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SNU Catch] Mathematics and Life of Fields Medal Winner June Huh
14:14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How To Unlock Your iphone With Your Voice
0:34
요루퐁 yorupong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Купил этот ваш VR.
37:21
Ремонтяш
Рет қаралды 284 М.
Нашел еще 70+ нововведений в iOS 18!
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