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보다 외계행성 관측이 두배는 더 많긴 하네 ㅋㅋㅋ ㄹㅇ 적외선 관측이 신의 한수였구나.. 제9행성도 발견했으면 좋겠다
@이현주-n7u4b2 жыл бұрын
흡.. 진짜.. 아는것이 많아 지는 것이 아닌 모르는 것이 더 많았었다는 것을 깨달게 되는 시간입니다. ㅣ제가 살아온 시간은 정말 우주의 띠끌만큼도 되지 않아서 삶의 무엇인가를 깨닫게 되는 것이기도 하지만 어쩌면 그래서 더 내 삶이 더 소중한지도.. 감사합니다.
@19dufyr2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대박나세요~🥰
@taejinbaek58952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봤습니다!
@전희춘-d3y2 жыл бұрын
수학에서 필요 충분 조건 아시죠? 태양계는 작지만 우리 은하계 구성원이고 일반적이라 자세히 알면 은하계를 아는거죠 수학에서 분포도 확률 이게 중요합니다 태양계와 옆 항성계 그 옆 항성계를 알아가면 성운에서 가스의 성분이 색이 다른 항성계 생성에 어떤 관여를 하며 생명체가 태어날 확률도 알고 집중적으로 연구를 할수 잇겟죠
@daehanmingoook2 жыл бұрын
인공위성이나 제임스웹 같이 멀리 떨어진 우주망원경의 경우 지구와 데이터 송수신을 어떤 방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wz_mz2 жыл бұрын
아주 거대한 전파 안테나로 송수신합니다, 대표적으로 지구 세 대륙에 세워져있는 Deep sapce network 안테나가 있습니다 😄
@mcmt2 жыл бұрын
DSN now 라고 찾아보시면 우주 데이터 송수신 상황을 실시간으로 구경할 수 있습니다
@Littl-t9e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melonaaah2 жыл бұрын
아이고 레퍼런스까지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ㅠㅠㅠㅠㅠㅠㅠ
@필.스콧2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컨텐츠와 영상미에 추천을 안 누를수가 없군요~~
@RedolentOfKorea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이정환-x7p2 жыл бұрын
해왕성과 명왕성사이에 존재할거라 추정되는 10번째 행성을 찾아내주길...
@웅캉캉-z3y2 жыл бұрын
제임스 웹의 성능을 설명 550km 거리에서 축구공과 사람 머리가 구별이가능한 해상도.. 서울에서 창문 열고 웹망원경 들고있으면 제주도에 있는 사람 대가리 보인다는 이야기다 450km
@okgreen222 жыл бұрын
내가 내 일을 하면서 후임들을 보고 느끼는 중요한 점 중 하나가, 뭘 모르는질 아는 사람과 뭘 모르는지도 모르는 사람의 발전 속도는 극명하다는겁니다~
@시드머니-c5j2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 여러분 반갑습니다~~안녕~~
@루루-c9n2 жыл бұрын
문득 드는생각인데 질량보존의법칙에 의한다면 지구의 질량은 항상 같아야하지만 탐사선을 보냄으로써 미비하게 질량이 낮아지고 있는데 이에대한 문제는 없는건가요? 너무 미비해서 상관없나
@IH4TEU2 жыл бұрын
상관 없는 수준입니다
@painkiller29272 жыл бұрын
그보다 현재 지구 자기장이 감소중이라 우리가 연료로 쓰는 가스들이 태양풍에 날라가서 지구가 가벼워지는 게 만배는 될 거 같군요...
@루루-c9n2 жыл бұрын
ㅇㅎ 다들 감사합니당 문득 궁금해졌었어요
@macchoi2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있는데요~! 성간천체. 혜성같은 천체들은 왜 태양계에 있는 행성이나 항성에 붙잡히지않고 날아다니는거죠? 중력을 무시하는이유가 궁금하네요.
@juski58442 жыл бұрын
안정적인 공전궤도를 유지하기엔 진행각도문제도 있고. 너무빠름. 중력영향범위에 비해 항성,행성 크기가 작은것도있고
@juski58442 жыл бұрын
너무느리면 충돌하고. 특정속도에서 궤도안착하는 각도도 너무협소함. 대부분 스치거나 들이박지
@wz_mz2 жыл бұрын
태양의 중력에 포획되기에는 너무 속도가 빨라서 그렇습니다 : )
@seowlite2 жыл бұрын
앞마당 멀티할데가 많네요... 옵져버 성능 미쳤누....
@trysystem94452 жыл бұрын
메탄이 독성을 품고 있는 것은 맞지만 메탄을 필수 요소로 살아가는 외계 생명체도 있지 않을까..??
@bowlfish762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은 혹시 다른 은하계로 통하는 게이트가 아닐까 하는 망상을 해봅니다
@히스-q2c2 жыл бұрын
해설퀄이 정말 좋아요
@h지영2 жыл бұрын
저멀리 안드로메다 같은 다른은하단, 빅뱅직후 얼마안된 별들도 보면서 동시에 태양계도 잘 모른다는게 일반인입장에선 참 신기하고재밌음
@jist75832 жыл бұрын
다음 관측선 개발 착수를 할 예정을 하고 있다는게 더 놀라움.....
@hongwonsuk50572 жыл бұрын
생명이 우연히/저절로 생겨날 확률이 얼마나 낮은 지 안다면 가까운 곳에 생명체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불합리하지 않은가요? 마치 우리 집에서 로또 당첨되었다고 옆 집에서도 당첨될 거라고 생각하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이 되네요.
@muni02 жыл бұрын
프록시마센타우리 관측 좀 해봤으면 좋겠다..
@alsid_2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2호를 10년쯤 뒤에 발사할 준비를 시작해야겠군요.
@냥냥펀치-v2d Жыл бұрын
화성과 지구의 거리만큼 빛이 늦게 제임스웹에 도착할텐데 모래폭풍을 예보한다면 그 만큼 늦게 예보하는거 아닌가요? 지나가던 뭣모르는 일반인의 질문입니다. 궁금하네용.
@wz_mz Жыл бұрын
그래봤자 화성 정도 거리면 거의 실시간입니다. 😊
@냥냥펀치-v2d Жыл бұрын
@@wz_mz 아~~ 그렇군요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7H_SARGU2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천왕성파트네요ㅎㅎ 한쪽극만을 비추던 태양및이 천왕성의 공전에 의해 점점 태양빛에 비춰지는 표면이 이동하면서 대기가 요동치는 부분이 지구에선 당연한 현상인데 왜 천왕성에서도 일어나리라 생각을 못했을까 싶기도하고 대류가 일어나며 천왕선의 대기 분포는 어떻게 달라졌을지도 궁금하네요 어서 태양계행성 관측 결과들이 공개됐으면 좋겠어요
@7H_SARGU2 жыл бұрын
해왕성도 재밌는변화를 일으키는 중이라 기대됩니다 어쩌면 공전궤도로 인해 여름에 더 추워진건가 했더니만 급격한 온도변화라니..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게 재밌네요
@tikba752 жыл бұрын
워프망원경을 만들 수만 있다면, 심우주의 실시간 변화도 자세하게 관측할 수 있을 텐데요.
@무슨일이야2 жыл бұрын
눈이 좋을수록 더욱 먼 과거를 본다니 신기하네요
@dosapark8549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ourneyman51822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으로 알파센타우리를 본다면 어떻게 보일까요?
@윤종민-q6y2 жыл бұрын
해왕성천왕성은 태양 자력에서 멀리 있어서 중심축이 고정적이지 못한듯합니다.
@윤종민-q6y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달이 있어야합니다.
@crex_Blender_Animator5 ай бұрын
달이 있어야된다는건 무슨뜻이죠?
@core974x2 жыл бұрын
근데 제임스웹같은 망원경을 하나더 보내서 보면 좀더 많이 빨리 볼수 있지 않을런지..
@나다-i3d2 жыл бұрын
나사는 항상 같은걸 두대이상 만들기에 보내는것도 가능하겠죠 제임스웹이 기능고장난다면 보내겠죠
@ykj16302 жыл бұрын
로보들이 오랫동안 탐사 했다니만 걔네들이 10여년간 이동하고 탐사한 범위가 생각 보다 사이즈가 작죠 ㅋ 지구보다 훨씬 작은 화성이라고 해도 로보들이 한 탐사로는 거의 탐사를 안한거나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