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온난화는 지구를 어떻게 바꿔놨을까?

  Рет қаралды 1,248,604

과학드림 [Science Dream]

과학드림 [Science Dream]

Күн бұрын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약 5,600만 년 전인
팔레오세 말부터 에오세 초까지,
20만 년이란 짧은 시간 동안
지구의 평균 기온이 5~8℃나 오르는
역사상 가장 짧으면서도 강력했던
지구온난화 시기가 있었죠.
이른바 “팔레오세-에오세 최대온난기”,
영어로는 이걸 줄여서,
“PETM”이라 불리는 이 시기는
현재 지구온난화와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어,
기후 변화를 연구하는
많은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죠.
도대체 먼 옛날, 이토록 급작스런 온난화는
왜 일어났던 걸까요?
그리고 당시 생태계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또, 기온은 어떻게 다시 낮아지게 된 걸까요?
오늘은 수천만 년 전 있었던
지구온난화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지구온난화 #PETM #팔레오세
=============================================
[참고 자료]
- 『지구 100 2』, 더글러스 팔머
- Kennett, J.P et al., (1991). "Abrupt deep-sea warming, palaeoceanographic changes, and benthic extinctions at the end of the Palaeocene."
- Timothy J. Bralower et al., (2002). "New evidence for abrupt climate change in the Cretaceous and Paleogene."
- Philip D. Gingerich, (2003). "Mammalian responses to climate change at the Paleocene-Eocene boundary: Polecat Bench record in the northern Bighorn Basin, Wyoming."
- Lourens, L.J. et al., (2005). "Astronomical pacing of late Palaeocene to early Eocene global warming events"
- Henk Brinkhuis et al., (2006). "Episodic fresh surface waters in the Eocene Arctic
Ocean."
- Morgan F. Schaller et al., (2016). "Impact ejecta at the Paleocene-Eocene boundary."
- Johann P. Klages et al., (2020). "Temperate rainforests near the South Pole during peak Cretaceous warmth."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외
[음악]
(1) Buccaneers_March
(2) ♬ Credit : Rafael Krux - Video Game Blockbuster
⇒ freepd.com/
FreePD.com - 100% Free Music - Free for Commercial Use, Free Of Royalties, Free Of Attribution, Creative Commons 0
♬ Licence: Creative Commons 0 (CC0 1.0)
⇒ creativecommons.org/publicdom...
⇒ creativecommons.org/publicdom...
(3) Raise your glass to another year by ziggy
(4) Meteor by Roman P
(5) Old circus by envato
(6) Howling at the moon by D Fine Us
Chapter
0:00 역사상 가장 강렬했던 지구온난화
1:18 강력한 온난화는 왜 일어났을까?
3:12 생태계는 어떻게 변했을까?
6:11 어떻게 온난화가 끝났을까?
7:28 PETM 온난화 VS 현재 지구온난화

Пікірлер: 1 000
@jkvibe2616
@jkvibe2616 2 жыл бұрын
항상 지구멸망 이라는 단어를 볼때마다 지구멸망이 아니라 인류멸망 이라는 말이 맞는거 같아요
@goldenbuglab
@goldenbuglab 2 жыл бұрын
인류멸망도 아니예요. 그냥 단순히 지금의 선진국 지역이 기후가 바뀐다는 말이죠. 지금 추운 그린란드 같은 지역이 따뜻해져서 살기 좋아진다는 말이기도 하고요.
@yodkssudgktp_1424
@yodkssudgktp_1424 2 жыл бұрын
@@goldenbuglab ?
@user-nw4rt2ws7w
@user-nw4rt2ws7w 2 жыл бұрын
@@goldenbuglab 따뜻해지는것은 맞는데 살기좋아지는건 아니다
@HwangzziACT4
@HwangzziACT4 2 жыл бұрын
@@goldenbuglab 그린란드: 오우 따뜻하니 살기 좋네^^ 아프리카 여러 국가들: 이건 뭐 맨날있는 날씬데... 한국:K날씨 선넘네....
@user-bf3ze7sl8l
@user-bf3ze7sl8l 2 жыл бұрын
@@goldenbuglab 뭔 논리임 ? 따뜻해지는 지역만 보이는 거임 ? 왜 이리 시야가 좁음. 아니, 이 영상 보고도 어떻게 그런 결과에 도출할 수 있지. 해양 생태계 아작나고 식량과 살아갈 토지가 줄면서 인류멸망이 일어나는 게 맞지. 이게 뭐 부동산 투기인줄 아나. 내 땅만 좋아지면 뭐해. 다른 지역 사람들 다 죽어가고 다른 동식물도 죽어가는데.
@globalrootAluminium
@globalrootAluminium 2 жыл бұрын
지구의 위기가 아니라 인류의 위기라는 말이 확실히 더 정확한것 같네요.
@yahoo30
@yahoo30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엔딩 너무 좋았어요! 우리가 뭔데 자연을 구해준다니! 자연은 스스로를 치유할 것인데, 근데 우리가 그 과정을 처리할 수 있느냐는 거 문제죠! 그래서 자연 위해 아니고 우리 목숨 위해서라도 뭔가 해야되요. 그리고 이 영상 추천해줘서 감사해요, 예성님. 과학에도 관심 있다는거 보니까 기뻐요...^^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2 жыл бұрын
@강수혁 아직도 이런 서리 하는 사람이 있네 ㅋㅋㅋ
@user-qc9oz1mf9s
@user-qc9oz1mf9s 7 ай бұрын
이런 정도가 아니라 그냥 아예 자연은 상관이 없습니다 그냥 인류가 죽는 거에요 지구는 상관이 없어요
@dreamwaters2523
@dreamwaters2523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구절에 동감. 지구를 구하자고 하면 남일 같은 게 인지상정. 실제로 지구가 온난해져도 지구 자체는 또 다시 살아나갈 것임. 인류의 서식지가 변화하고 국경이 변할 압박이 커지면서 전쟁과 차별이 인류를 멸망하게 할 가능성이 높으니까. 결국 그 사태를 막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현실적.
@gnkh6631
@gnkh6631 Жыл бұрын
8:25 매우 공감합니다. '북극곰이 불쌍해서', '멸종위기종을 지켜야 하니까' 같은 동기도 나쁘지는 않지만 '인간이 굶을 판인데 그깟 동물이 문제냐?' 라는 주장에 무력해지죠. 기후 문제는 다른 누구의 문제도 아닌 바로 우리의 문제라는 점을 부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user-wv3qo8hf1h
@user-wv3qo8hf1h 2 жыл бұрын
2주에 하나씩 이렇게 영상만들기도 쉽지않을텐데 항상 잘보고있어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2 жыл бұрын
늘 챙겨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ㅠ 영상 텀이 좀 길어서 죄송하기도 하구요ㅠ
@user-no7nz4op3b
@user-no7nz4op3b 2 жыл бұрын
지구를 멸망으로부터 구하기위해 환경보호에 힘쓴다는 말도 어떻게 보면 인간의 아집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류는 인류 스스로를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안되는거였네요~ 좋은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searchtiangcat
@searchtiangcat 2 жыл бұрын
ㄴ,모 좋앙
@themovementchahwany9868
@themovementchahwany9868 2 жыл бұрын
세입자및 관련
@jsk3013
@jsk3013 2 жыл бұрын
"환경을 유지하겠다"보다는 "바뀐 환경에서 살아남자"가 맞는것 같기도 해요. 외적 요인의 파장을 알면 알수록......
@user-yy9rv6dw9b
@user-yy9rv6dw9b 2 жыл бұрын
환결보호에 힘을써도 이젠 방법이없다고 봅니다 오로지 자동차하나로 온실가스 줄인다 터무니없죠 발전소 각종업체공장 다없어져야합니다
@user-bluering
@user-bluering 2 жыл бұрын
6:25 빅토리아 호수를 뒤덮었다는 부레옥잠이 생각났네요.
@fiercehan6791
@fiercehan6791 2 жыл бұрын
진짜????
@swlee6229
@swlee6229 2 жыл бұрын
지구 보다는 인류의 멸망이다. 정말 핵심을 콕 집어주신 것 같습니다. 지구멸망이 아니라 인류멸망으로 위기를 명확히 인식하는 편이 보다 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주는데에 도움을 줄 것 같네요.
@user-tf2em6pq6p
@user-tf2em6pq6p 2 жыл бұрын
#당혹사
@kjm9036
@kjm9036 Жыл бұрын
8:18 지구온난화에 대해 저와 같은의견을 가지신 것 같습니다.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을 다른생명체의 예를 들어가며 경각심을 깨운다하는데 결국 자연이 망가지면 인간이 살기 힘든 환경이 되는것뿐이라 봅니다.
@YDH32
@YDH32 Жыл бұрын
항상 생각하던건데, 이렇게 말로써 풀이해주시니 마음이 명쾌해졌어요. 재밌는 영상 만들어주셔서 고맙습니다.
@yam_me1086
@yam_me1086 Жыл бұрын
설명너무 잘해주셔서 이해하기 쉬워요!!🥰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2 жыл бұрын
왜 기온이올라가면 톱니모양의 잎이 매끄러운 가장자리를 가지게 되는지 자세히 알고싶어요...
@user-cq3pn7xr7s
@user-cq3pn7xr7s 2 жыл бұрын
식물은 잎으로 산소를 흡수함 기온이 올라가면 산소 흡수율이 떨어짐 그리고 잎사귀는 산소를 흡수함 이때 일부 식물에게 있어서 하나의 잎사귀는 하나의 뾰족한 마무리가 있어야 하는 것이 필수조건임 허나 산소 흡수가 계속 떨어지고 잎사귀는 적당량의 섭취량을 얻지 못 함 다시 말해서 하나의 잎사귀로 얻을 수 있는 산소량이 부족해 지면서 잎사귀가 넓어지면서 하나의 잎사귀르는 인식을 못하고 여러 잎사귀가 썩인 형태라 보면됨 쉽게 말해서 일을 못하니 사람을 추가했고 추가한 만큼 공간이 늘어나하니깐 뾰족해진게 늘어남
@user-cq3pn7xr7s
@user-cq3pn7xr7s 2 жыл бұрын
근데 이건 굉장히 비효율적인 진화임 식물에게 있어서 여러 잎사귀를 생성시키는 게 이득인데 이렇게 하면 하나의 잎사귀에 너무 큰 에너지를 소비함 결과적으로 이렇게 진화한 식물 중에서 다시 원형으로 돌아온 식물이 살아남았거나 그 상태를 유지한 식물이 살아남았기 때문임
@user-cq3pn7xr7s
@user-cq3pn7xr7s 2 жыл бұрын
아직까지 여러 뾰족한 잎사귀를 가진 식물이 남아있으니 전자가 맞을듯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2 жыл бұрын
춥거나 건조한 지방의 식물이 잎을 뾰족하게 만드는 이치랑 반대 아닐까요? 일조량이 적어서 춥거나 물이 부족한 곳은 동사나 고사를 예방하기 위해 불필요한 부피를 줄이는데 반해 덥거나 습한 곳은 최대한 광합성과 수분을 섭취해서 성장을 촉진해야 해서 잎이 넓어져야 하죠. 잎이 넓어야 광합성을 활발히 할 수 있을 테니까요.
@paigekim2702
@paigekim2702 2 жыл бұрын
일단 로키님의 설명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서두에 밝히며…설명을 드리자면, 잎은 산소, 이산화탄소, 수분 등을 흡수 및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때문에 건조한 기후일수록 수분의 배출(증산작용)을 최소화하여 비축해야 하기 때문에 잎사귀의 표면적을 줄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극단적으로 선인장의 가시, 툰드라의 침엽수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결과적으로는 기온이 올라가면 잎의 가장자리가 매끄러워지는 경향이 있으나, 구체적인 원인은 기온이 아닌 기체 중의 수분함유량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user-lo7zm3fz3r
@user-lo7zm3fz3r 2 жыл бұрын
그렇죠... 지구 입장에선 인류는 그저 잠시 다녀간 생물일뿐...
@chucky4258
@chucky4258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영상 덕분에 잘봣습니다👏👏👏👍
@user-ru8hb4gu4q
@user-ru8hb4gu4q 2 жыл бұрын
멋쪄요 과학드림~~~!! 잼나게 시청했습니다!
@user-rn9ly7bd7d
@user-rn9ly7bd7d 2 жыл бұрын
진짜에요???? 헐… 대박 영광입니다 기자님!!! 정말 수년간 과학소년 구독하고 재밌게 봤었는데,,, 어느덧 21살 성인이 되었네요:) 어린 시절의 호기심과 재미를 한 번에 주셔서 고마웠습니다🥰
@user-cj8qq1vq2d
@user-cj8qq1vq2d 2 жыл бұрын
20만년 동안 5~8도 500년동안 5~8도ㅋㅋㅋ 주기적으로 당연히 일어나는 온난화로 치부하기엔 너무 어마어마하다
@user-nm3fl2qz5z
@user-nm3fl2qz5z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하네요 진짜 재밌게 봤어요..퓨ㅜㅠ
@user-lq3ed8pv2c
@user-lq3ed8pv2c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은 늘 유익하네요.
@hyeongrip
@hyeongrip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님 영상 엄청 기다렸는데 올려주셨다ㅠㅠ 오늘도 정말 재밌는 과학 얘기 풀어주셔서 감사해요 ㅎㅎㅎ!!! 너무 좋아요
@Leesquid2718
@Leesquid2718 2 жыл бұрын
오호 5600만년전 지구온난화라... 흥미롭네요. 잘보겠습니다!
@user-xh9nj7vv7z
@user-xh9nj7vv7z 2 жыл бұрын
매번 잘 듣고 보고 갑니다 기분좋은 하루 즐겁게 잘 보내세요 ^^ 감사합니다 💕 😊 😄 😍 😘 ☺ 💕
@cce6544
@cce6544 2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보게됐는데 영상들 너무 재밌고 유익하네요
@user-ze4nv9rt6m
@user-ze4nv9rt6m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마무리 에 하신 말씀 이 제일 크게 와 닿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편 으로는 주변 에서 그리 듣지 못 했던 말 이기도 하네요. 이대로 계속 된다면 지구 가 멸망 할꺼야! ~ 이런 말 은 굉장히 많이 들었던 것 같은데! 사실 지구 가 멸망 한다? ~ 그렇게 쉽게 망할 녀석! 이 아니지않나? 쉽게 망할 녀석 이었으면? 그 뭐냐? 테이아? 그거 랑 충돌했을때 쪼개져서 소행성 되었겠지!
@king_baby806
@king_baby806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님이 과학소년 무리수 김정훈 기자님이었다니..방금 11월호보고 알았어요. 옛날부터 자리잡고있던 무리수기자님이 떠나서 아쉬웠는데. 구독 눌르고 갑니다~
@user-ui8xn9ps2o
@user-ui8xn9ps2o 2 жыл бұрын
????
@jejudo07
@jejudo07 2 жыл бұрын
아 과학소년 기자님? 예전에 과소 많이봤는데 대박...
@user-hk9wp7dh6x
@user-hk9wp7dh6x 2 жыл бұрын
저도 방금 알았어요 초1이었던 2014년1월호부터 지금까지 봐왔는데 무리수 기자님인줄은 몰랐어요
@JH_1012
@JH_1012 2 жыл бұрын
오~~김정훈 기자님이셨군요^^
@user-fu7qc4nf4g
@user-fu7qc4nf4g 2 жыл бұрын
@bkkim5968
@bkkim5968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junbpark
@junbpark 2 жыл бұрын
truly educational! 감사합니다.
@bluepants135
@bluepants135 2 жыл бұрын
과거의 지구온난화를 설명하는 영상… 좋아요
@jetblue22
@jetblue22 2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지구를 지키자, 지구를 보호하자는 사고는 지극히 인간중심의 사고인것 같습니다. 지구를 인류가 지배할수 있다라는 자기과신에서부터 비롯된 기저가 깔려있다고 봅니다. 당장 공룡보다도 더 오래 지구를 지배할 수 있을지도 의문인데 지구가 생명체가 살지못할정도로 멸망하기전에 수도없이 알아서 자정작용을 하고 생태계를 청소&재편할거라 생각해요. 인류는 지구역사상 엄청난 단시간동안 엄청난 발전속도로 지구를 지배했지만 그만큼 지구와 마더네이쳐의 반격을 받을것이 틀림없고 인류가 그것을 거스를수 있을 가능성은 희박할거라 생각합니다.
@user-vm4bn3hz3i
@user-vm4bn3hz3i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게 생각해왔어요! 역시 과학드림님!!
@user-kj3xp1mc3m
@user-kj3xp1mc3m 2 жыл бұрын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 과확드림 !! 최고에요❤️
@user-bc8hx9nm7m
@user-bc8hx9nm7m 2 жыл бұрын
PETM 영상 만들고 싶었는데, 너무 잘 만드셔서 고민되네요. 이거보다 더 재밌게 만들 자신은 없어보이는데요? ㅎㅎ 항상 느끼는건데, 결론을 너무 잘 뽑으세요. @.@
@user-fq6pt1pl8q
@user-fq6pt1pl8q 2 жыл бұрын
지구 : ㅈ되는 건 내가 아니라 너희들이야~ 처신 잘 하라고~
@yefamily
@yefamily 2 жыл бұрын
참 좋은채널 소중한채널♡
@mmmcorp8505
@mmmcorp8505 2 жыл бұрын
과학소년에서 봤어요! 오랜만에 왔네요. 아직도 재밌어요.
@user-vy5ou8en8y
@user-vy5ou8en8y 2 жыл бұрын
지구는 멸망하지 않음. 인류문명이 멸망할 뿐이지 지구는 스스로 회복할 것임
@user-lp6tt2vb9f
@user-lp6tt2vb9f 2 жыл бұрын
지구는 40억년 후에 멸망함
@taxidyne3909
@taxidyne3909 2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우리나라 공중파 방송국 보다 낫다.
@tridish7383
@tridish7383 2 жыл бұрын
잎 가장자리에는 증산작용을 하는 수공들이 많이 분포해 있습니다. 톱니모양이 있으면 가장자리의 표면적이 넓어져 증발속도가 빨라지며, 잎에서 물이 증발하면 모세관 현상으로 뿌리의 수액이 자동으로 잎으로 올라옵니다. 비교적 추운 온대기후에서는 여름철에만 나무가 광합성을 할 수 있는데, 광합성에 필요한 물은 가을과 겨울동안 비축할 수 있으므로 봄에 수분을 아끼지 않고 뿌리의 수액을 끌어올려서 빠르게 잎을 키워야 제한된 생육기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톱니모양 잎이 발달합니다. 반면에 열대기후에서는 늘 여름이기 때문에 생육기간의 제한이 없고, 높은 증발량에 저항하기 위해 잎 가장자리의 표면적을 줄입니다. 열대식물 중에는 잎 한장의 크기가 엄청나게 크고 넓은 식물들도 볼 수 있는데 이런것도 잎 표면적 대비 가장자리 면적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냉대기후로 가면 침엽수가 많아지는 이유는 반대입니다. 추운 지역에서는 증발량이 떨어지지만 그에 맞춰 강우량도 줄어들고 대부분의 물이 얼어있거나 수분흡수속도도 느려지기 때문에 수공이 최대한 적은 바늘잎을 만들게 됩니다. 침엽수는 상록수인것이 많은데 그 이유는 온대기후에서는 가을에 광합성해서 얻을 득보다 벌레먹힐 피해가 많아서 낙엽을 떨구는데, 여기선 파먹을 벌레도 얼어죽어서 없기 때문에 새 잎을 만들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서라도 계속 달고있는게 효율적입니다. 선인장 가시도 이것과 비슷합니다.
@Love-Gratia
@Love-Gratia 10 ай бұрын
퀄리티 좋다~❤
@user-dr7qn2rw4o
@user-dr7qn2rw4o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겨울은 뭐 버틸만한데 여름은 ㄹㅇ ..
@ClTY-HUNTER
@ClTY-HUNTER 2 жыл бұрын
빙하기가 오면 지금 보다 더 난리날껍니다. (지구 역사 전체로 보면 지금도 빙하기임)
@user-bz7pz5tu1s
@user-bz7pz5tu1s 2 жыл бұрын
현재는 간빙기(소빙하기)라서 지질학적으로 볼때 굉장히 한랭한 기후임. 그러나 팔레오기 초기에는 가장 더운 시대 중 하나로 평균기온이 35도 이상이었기 때문에 현재 평균기온 15도와 비교하는거는 터무니없는 생각임
@user-bn2ij6fr2b
@user-bn2ij6fr2b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님 영상 잘보고 있어요!̆̈ 제가 요즘 화석이랑 호박에 관해 빠져있어섷ㅎㅎㅎ혹시 호박에 관해 언젠가 해주실수 있나욤?̊̈!̆̈?̊̈!̆̈
@user-ml2dp7rr1s
@user-ml2dp7rr1s 2 жыл бұрын
이번꺼는 엄청 유익하다
@_9u_
@_9u_ Жыл бұрын
진짜 지구 온난화 이런 이슈를 다룰 때 ‘지구가 아파해요’ 같은 감성에만 기대는 문구는 절대 쓰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구는 지금보다 뜨겁거나 차가운 시기를 거쳐왔는데 지금이 아픈거면 뭐 원시 지구는 중환자일까요 ㅋㅋㅋㅋ
@Mosquitocatching
@Mosquitocatching 2 жыл бұрын
저런걸 알아낼수 있는게 진짜 신기하네요
@user-zr8kn3bn8c
@user-zr8kn3bn8c 2 жыл бұрын
재밋어여 최고
@user-no9rf1ch8r
@user-no9rf1ch8r 2 жыл бұрын
잼잇게 잘보고 있는중입니다^^
@user-iu3ze5ce3t
@user-iu3ze5ce3t 2 жыл бұрын
6:33 졸라! 고마워요에 웃었네요
@gemiman111
@gemiman111 2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답이 나오네요. 최대온난기의 급격한 온도 변화도 20만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서서히 변화했습니다. 하지만 현재 지구온난화는 수천년, 아니 산업혁명 이후 200년입니다. 그마저도 계속 탄소배출량은 점점 늘어나고 있구요. 거의 천배, 10000% 빠른 속도로 온도가 오르고 있는데 어떻게 현대 지구온난화가 과거의 최대온난기랑 비교가 가능하단건지 이해가 안갑니다. 그리고 현대 지구온난화의 끝은 장기간의 온난기가 아니라 지구의 온도유지 시스템이 깨지면서 찾아올 빙하기입니다. 어쩌면 영구적인 기후의 변화가 올수도 있습니다 화성과 금성도 과거에 물이 있었고 생명체가 있었을수도 있었던 환경이었습니다. 하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온실가스 저장시스템에 이상이 생겨서 지금처럼 변했을거라고 추측되고 있어요. 지구도 그렇게 변하지 말란 보장은 없습니다. 때문에 현대의 지구온난화로 지구는 멀쩡하고 인간만 멸종하거나 큰 타격을 입을것이다는 결론은 너무 낙천적인 전망이 아닌가 싶습니다.
@-hellokorea-
@-hellokorea- 2 жыл бұрын
왤케재밌지ㅠ
@user-wx8xi2zx6l
@user-wx8xi2zx6l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띵언이네요..인정합니다
@nhgneojk19
@nhgneojk19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말 진짜 멋지네
@user-fo5eb5bj9l
@user-fo5eb5bj9l 2 жыл бұрын
엄청난 과거의 평균온도까지 구하는게 진짜 신기함
@user-di3vx9rv9l
@user-di3vx9rv9l 10 ай бұрын
구라죠
@usadgyydsiiutrtg
@usadgyydsiiutrtg 2 жыл бұрын
지구의 자정능력은 대단하네요
@fortuna37
@fortuna37 2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이로다.!
@yenabyul_522
@yenabyul_522 2 жыл бұрын
와 지구온난화를 막는건 우리를 위해서이다!! 제가 하고 싶었던 말이 오늘 과학드림님 영상에 담겨있네요..! 잘 보고 갑니다ㅎ 막바지 부분 말 너무 멋져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2 жыл бұрын
앗! 좋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히히
@yenabyul_522
@yenabyul_522 2 жыл бұрын
@@ScienceDream 몇년전엔 과학 엄청 싫어했었는데 1년전쯤에 우연히 이 채널 보고 과학에 관심이 생겼어요...! 재밌더라구요ㅎㅎ
@user-el6vp6sb1p
@user-el6vp6sb1p 2 жыл бұрын
@@yenabyul_522 공부하세요
@88bb43
@88bb43 2 жыл бұрын
명답이네요. 지구를 구한다 라는 사명감 보다 우리 스스로를 위해서. 저는 좀 이기적인 생각이 될줄도 모르겠지만 다음 세대는 생각 안하고 나를 위해서 지구온난화를 막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살 날이 적어도 50년인데
@user-zz9ox4wn1g
@user-zz9ox4wn1g 2 жыл бұрын
와~~짱이다~~
@completion6869
@completion6869 2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DP-ke6pd
@DP-ke6pd 2 жыл бұрын
과학소년 김기자님 안녕하세요 제가 과학소년에서 가장 좋아하던 기자님이 이렇게 거대한 유튜버가 되시다니 정말 대단해요.김기자님 앞으로도 열심히 영상 만들어 주세요^^
@ScienceDream
@ScienceDream 2 жыл бұрын
기대에 부응해 보겠습니다:)
@user-dy7cu2pj1w
@user-dy7cu2pj1w 2 жыл бұрын
@@ScienceDream 이분이 그분이신??? 저 14년동안 곽소친이었습니다! 김정훈 기자님?? 반갑습니다!
@user-tz1vk5pm3d
@user-tz1vk5pm3d 2 жыл бұрын
제가 이분 구독하고 좋아한지 몇년 됐는데.. 이렇게 개인정보를 대놓고 쓰는게 뭔가 팬으로써는 아쉽네요
@user-hn5zm6ni2g
@user-hn5zm6ni2g 2 жыл бұрын
@@user-tz1vk5pm3d 전 이분 안지 며칠 안됐는데 2년전 영상 댓글에도 이런 글 자주 봤어요. 나쁜글도 아닌데 새로운 독자들이 알게 되면 안될것도 없죠.
@user-hn5zm6ni2g
@user-hn5zm6ni2g 2 жыл бұрын
@@user-tz1vk5pm3d 게다가 본인께서 블로그 운영하셨었다고 직접 말씀 하셨습니다.
@julianlee1109
@julianlee1109 2 жыл бұрын
루이스 다트넬의 '오리진'이라는 책을 읽어보시면 지질학적 관점에서 이전 기후변화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을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fiercehan6791
@fiercehan6791 2 жыл бұрын
가장 충실한 과학 채널😁😁😁
@pearl0457
@pearl0457 2 жыл бұрын
잘볼께요^^
@enyoh321
@enyoh321 Жыл бұрын
추운거 보단 따뜻한게 좋다. 지구온난화 환영^^
@user-cm3fp4rb1h
@user-cm3fp4rb1h 2 жыл бұрын
지구온난화가 지구멸망이 아닌 지구리셋이 아닐까요...앞으로 어찌될지 한치앞도 모르겠지만...가속화되는거는 못막겠죠ㅠ
@PJO-jv2so
@PJO-jv2so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타당한 관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구를 위하기 보다는 인류를 위한 접근이 맞는 듯 합니다. 재미있게 봤습니다.
@user-sr3kt6cp2y
@user-sr3kt6cp2y 2 жыл бұрын
아니면 인공적으로 작은화산 여러개를 터뜨려서 기온을 적정히 맞추는건 어떨까요..??
@user-xd7kp1tl7v
@user-xd7kp1tl7v 2 жыл бұрын
지구는 수만년을 주기로 빙하기와 온난기를 오고가는데 현재 지구평균기온을 기준으로 가장 추웠을때는 현재보다 평균 4도가 낮았고 가장 더웠을때는 현재보다 평균 20도가 높았다. 만여년전 빙하기에서 현재의 시간까지 4도가 높아졌다는 이야기이다. 평균기온의 진행방향은 주기설에 따라 가장 뜨거웠던때의 온도로 향해 가고있다. 앞으로 20도가 더 뜨거운온도로 말이다. 이산화탄소가 어쩌구들 하는데 그거와 상관없이 지구는 점점 더워지는 쪽으로 갈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CHOYONG301
@CHOYONG301 2 жыл бұрын
산업화로 인한 200년 동안의 기온 상승을 몇만년 걸쳐 오르내린 과거 기온상승과 같게 보다니.....
@jhc2994
@jhc2994 2 жыл бұрын
제가 요즘 지구온난화에 대한 기사들을 읽으면서 생각한 것과 같은 결론이라 반갑네요 ㅋㅋㅋ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진짜 위험한건 지구보다는 인류인 건데 정부와 환경운동단체들 일부 사람들의 노력으로 해결되길 바랄 것이 아니라 온 인류가 심각성을 인지하고 온난화에 대처해야 할 것 같네요
@istp-a4124
@istp-a4124 2 жыл бұрын
정부는 딱히 노력하는거 같지 않던데...그냥 내 눈에만 안 보이는건가...ㅜ
@po2769
@po2769 2 жыл бұрын
요즘 정부차원에서 계속 신재생에너지 말 많이 나오죠 그런데 아직 많은사람들이 시급함을 모르는것 같아요
@Matak22
@Matak22 Жыл бұрын
중국 인도인만 사라지면 급격하게 줄어듬
@user-nq2jq1ji2r
@user-nq2jq1ji2r Жыл бұрын
@@Matak22 너도 중국인이이 포함되겠네
@seokyi8577
@seokyi8577 Жыл бұрын
​@@po2769 개소리
@user-ni8fq4zd7z
@user-ni8fq4zd7z 2 жыл бұрын
탄소가 늘어나면 식물이 늘어나야 되는데 현재는 탄소는 늘어나고 식물은 벌목으로 줄어드니 불균형의 가속화. 한계를 넘으면 돌이킬 수 없다.
@LDD897
@LDD897 2 жыл бұрын
지구온난화는 걱정되고 출산율 부양은 해야하고 인간의 모순이란 난 늘어가는 인구가 온난화의 주범이라고 생각함
@Jinjin535
@Jinjin535 2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죠. 인류가 현재 문명을 포기하고 다시 중세시대쯤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지 않는 이상 인류가 온난화의 주범입니다.
@doraedang
@doraedang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팔레오세 와 현재 온난화 비교해 주셔서 이해가 참 빨리 되었네요 몇 만년에 걸처 서서히 오르는 것과 불과 현재 단기간에 왕창 오르는 온도를 보면 멸망이 불보듯 합니다. 서식지 파괴와 대멸종 이유에는 "급변화된 기후 환경"이 핵심이네요. 바이러스 발현. 태풍 및 가뭄 . 바다 생물들의 때죽음등. 인간들이 발전이란 이유로 무분별한 아마존 환경 파괴가 불러올 무서운 미래가 끔찍한 결과를 후손들에게 주고 말겠죠
@user-ck4iy3dl3k
@user-ck4iy3dl3k 2 жыл бұрын
전 무리수 김정훈기자님 어디갔나했더니..... 여기계셨군요..ㅎㅎㅎ (과학드림님은 과학소년이란 과학잡지에 생명공학 기사를 쓰던 제 최애 기자님입니다 ㅎㅎ)
@ScienceDream
@ScienceDream 2 жыл бұрын
앗! 기억해 주시고 있군요!^^
@user-rs4zy8ji8r
@user-rs4zy8ji8r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 견해 빼곤 최고의 영상이었습니다~
@hiwseons
@hiwseons 2 жыл бұрын
절지동물의 분화도 궁금해요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2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대도시는 바닷가 강가에 있기에 이대로 진행된다면 대부분의 대도시가 수장 되겠죠 대표적인게 상해,뉴욕 같은 .. 그리고 농경지대부분펴야지대에 있는데 여기도 수장되겠죠 식량위기가 온다는 말입니다. 한정된 식량 늘어난 인구 식량으로 인한 전쟁이 나것 같다는 ..
@kodavid536
@kodavid536 2 жыл бұрын
아이슬란드, 캐나다 북쪽, 러시아 북쪽 등 영구동토층이 드러나면서 경작이 가능해질 겁니다. 어마어마한 농작지가 생기는 겁니다. 반면에 아프리카 같은 적도 주변의 사막 기후 국가나 저지대 국가는 죽음의 시간이 다가오겠죠.
@user-ou8ed1gq3f
@user-ou8ed1gq3f 2 жыл бұрын
(TMI) 이 분은 과학소년에 예전에 글을 연재하시던 무리수 김정훈 기자입니다 ^^
@ScienceDream
@ScienceDream 2 жыл бұрын
들켯답 ㅋㅋㅋ
@user-fv6dk6oz4x
@user-fv6dk6oz4x 2 жыл бұрын
역시 과학드림이 가장 재밌어
@ScienceDream
@ScienceDream 2 жыл бұрын
😁😆
@user-ey8ru4mo9f
@user-ey8ru4mo9f 2 жыл бұрын
과학드림님 지금 공룡인 새는 저희 사람 보다 거이 대부분 작은데 공룡 시대일때는 산소가 많아서 그때 사람이 있었다면 사람의 몸의 크기는 얼마나 클까요? 이것좀 알려주세요!
@coyone
@coyone 2 жыл бұрын
8:27 진짜 이게 맞는 말인데, 항상 지구나 생태계를 위한다는 표현으로 환경 운동하는 거 보면 얼마나 인간중심적인 사상에 찌들어있는지 느끼게 되죠. 마치 인류가 멸종하면 세계가 망한다는 식으로 말하니까
@nyamnyam1366
@nyamnyam1366 2 жыл бұрын
지구를 위협한다는 건 어폐가 있기는 한데 생태계를 위협한다는 건 사실입니다 인간은 생물 역사상 유례없는 영향력을 가진 단일종족이에요
@user-eu5to8lm6o
@user-eu5to8lm6o 2 жыл бұрын
과학영상에 철학적인 글이 맞나 싶긴한데, 일정주기로 계에속 뺑뺑도는 뫼비우스의 띠 같은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때되면 모종의 이유로 엄청나게 더워졌다가 때되면 또 모종의 이유로 엄청나게 추워졌다가. 그렇게 하면서 지구는 자정작용을 하는게 아닐지, 현 인류가 공룡들 바라보는 것 처럼, 미래에 지구에 살게된 어떤 집단이 우리의 뼈를 보고 연구하는ㅋㅋㅋ
@minMin-ju8po
@minMin-ju8po 2 жыл бұрын
유용한 영상입니다.
@peterjun8889
@peterjun8889 2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notasuperiordrag
@notasuperiordrag 2 жыл бұрын
0:33 과학드림 좀 본 사람이면 이 그래프 낯익을 듯 참고: 티타노보아 편에서 한 번 나옴
@ScienceDream
@ScienceDream 2 жыл бұрын
오 찐구독자! 인정입니다:)
@boramskyhan
@boramskyhan 2 жыл бұрын
지구온난화로인해 생태계도 적응하는 동식물이 있듯이 인간도 적응해가리라 봅니다
@user-ho9qo7xo5t
@user-ho9qo7xo5t 2 жыл бұрын
오존층 부숴지면 다 죽어요...
@CHOYONG301
@CHOYONG301 2 жыл бұрын
생태계에서 적응이라고 표현하는 건 대부분이 죽고 극히 소수가 겨우 살아남아서 다시 서서히 생태계를 회복하는 길고 긴 과정인데 그걸 너무 안일하게 생각하는군요. 극소수마저도 적응하지 못하면 그건 멸종이라고 하죠. 종이 적응해서 살아남느냐 멸종하느냐는 종이 한장 차이죠.
@user-fr8yu8ui8l
@user-fr8yu8ui8l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과학소년에 대해 알게됐어용 꿀잼 핵잼
@chip9178
@chip9178 2 жыл бұрын
요새 외계침공 플레그가 지구를 지킨다는 목적이 많죠 인간으로부터 지구를 지킨다는
@ShinH30
@ShinH30 2 жыл бұрын
사람들: 지구온난화로부터 지구를 구하자! 지구: 어리둥절 사람들: 호모 사피엔스를 구하자.....
@user-yb1nc5mz2e
@user-yb1nc5mz2e 2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모든사람들이 지구온난화에 대한 심각성을 알면 좋겠네요
@user-wx6yj4uv2r
@user-wx6yj4uv2r 10 ай бұрын
알아도 답이없음ᆢ 인간이 있는한 지구는 계속아픔ᆢ
@unitedaccountsofme9297
@unitedaccountsofme9297 2 жыл бұрын
제가 본 서적들에선 PETM을 팔레오세-에오세 극열기라 번역하던데 통일되진 않았나보네요
@hyojungkang8179
@hyojungkang8179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당,..
@---kd1xp
@---kd1xp 2 жыл бұрын
인류도 멸망까지는 하지 않음. 그냥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또 돌려막기 해 줄 것으로 예상함..
@user-bw7vm1cx5c
@user-bw7vm1cx5c 2 жыл бұрын
그게 무슨말씀이세요???
@t.ltlrnlllnd
@t.ltlrnlllnd 2 жыл бұрын
신기하게 과학 드림과 수상한 생선채널 영상은 항상 같은 날 비슷한 시간에 업로드되네
@user-fu7ef4tk4f
@user-fu7ef4tk4f 2 жыл бұрын
지구가 죽는게 아니라 우리가 죽는게 무서워 온난화를 막으려고 한거였다니 한번 더 놀랐네요 ㄷㄷ
@NNNNO7
@NNNNO7 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아주 좋음니다.
@user-zw5mn4nm6o
@user-zw5mn4nm6o 2 жыл бұрын
인간이 너무많아... 타노스님 그립읍니다...
@user-fo4uh4fs7c
@user-fo4uh4fs7c 2 жыл бұрын
어쩌피 저출산때문에 한국인구는 곧 반토막남
@pumpmode
@pumpmode 2 жыл бұрын
자연스럽게 인구수 맞춰지는듯
@user-my5xz2ru9b
@user-my5xz2ru9b 2 жыл бұрын
@@user-kv5yn9qv4f 그게 니가 될수도 있어
@user-yl5fq3ym6p
@user-yl5fq3ym6p 2 жыл бұрын
@@user-kv5yn9qv4f 자살을 이렇게 하는방법도 있네
@user-zp4ye5nm9e
@user-zp4ye5nm9e 2 жыл бұрын
근데 문제가 인간은 지금 과학이 발달해서 죽어도 혼자 안죽는다는게... 무슨 전쟁이 날 지를 모르니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가 없음 ㅠㅠ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2 жыл бұрын
인류는 불 겨우 떼던 시기에 슈퍼화산 하나로 멸종 직전까지 갔던것도 버티는데 지금 온난화 정도론 멸종은 택도 없어요. 슈퍼화산 정도의 영향력을 가질만큼 인간이 뭐 대단한 존재가 아니에요 ㅋㅋㅋㅋㅋ
@geobugi-
@geobugi- 2 жыл бұрын
지구의 역사는 진짜 어마어마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구 입장에서는 얼마 되지도 않는 기간일 인간들의 세상에서 현시대의 멸망 위기가 지구의 열망 위기는 아니겠네요
@user-ds3uh6et1m
@user-ds3uh6et1m 2 жыл бұрын
급격한 온난화 이후엔 그 반작용으로 급격한 빙하기가 올 수도 있겠군요
최초의 생명은 어디에서 왔을까?|생명의 기원
8:15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Haha😂 Power💪 #trending #funny #viral #shorts
00:18
Reaction Station TV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МАМА И STANDOFF 2 😳 !FAKE GUN! #shorts
00:34
INNA SERG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옛날 옛적, 사하라 사막이 푸른 초원이었던 시절의 이야기^.^
7:12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백악기 대멸종이 탄생시킨 아마존!|어떻게 가능했을까?
5:26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만약 남극이 녹는다면?(feat.남극 대륙의 민낯)
5:40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대왕고래는 어떻게 지구 역사상 가장 큰 동물이 됐을까?
10:04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사라진 유전자는 인류를 어떻게 진화시켰을까?
9:30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700 М.
[138억 년 연대기]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 문명에 이르기까지!
10:35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페름기 대멸종은 어떻게 지구를 리셋시켰을까?
7:35
과학드림 [Science Dream]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Iphone or nokia
0:15
rishton vines😇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После ввода кода - протирайте панель
0:18
Какой ПК нужен для Escape From Tarkov?
0:48
CompShop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265 М.
Samsung S24 Ultra professional shooting kit #shorts
0:12
Photographer Army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