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우주의 본질이 사실 데이터였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주는 최신 논문

  Рет қаралды 268,813

지식보관소

지식보관소

Күн бұрын

Instagram ID @archiveyoutube
#양자색역학 #시뮬레이션우주 #쿼크 #양자얽힘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얼마전 Brookhaven 국립 연구소의 연구팀은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단위인 원자가 사실 입자라기 보다 시공간 데이터의 양자얽힘 상태로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내용은 Reports on Progress in Physics에 게시되었습니다.
iopscience.iop...
arxiv.org/abs/...
맴버쉽 가입: / @20000s
※ 후원 : toon.at/donate...
--------------------------------------
제보 및 비지니스 문의
E-Mail : asdfg3663@gmail.com
Blog : blog.naver.com/...
Instagram : / archiveyoutube
--------------------------------------
BGM 정보
Savfk - Ultra : • Ultra by Savfk [CC-BY ...
웅장한 느낌의 곡 - TTRM

Пікірлер: 1 300
@20000s
@20000s 12 күн бұрын
얼마전 Brookhaven 국립 연구소의 연구팀은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단위인 원자가 사실 입자라기 보다 시공간 데이터의 양자얽힘 상태로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 내용은 Reports on Progress in Physics에 게시되었습니다. iopscience.iop.org/article/10.1088/1361-6633/ad910b arxiv.org/abs/2408.01259 ------- 제보/소통/질문 ------- Instagram : instagram.com/archiveyoutube/ Blog : blog.naver.com/asdfg3663 ------- 부계정(보관소TV) ------- kzbin.info/door/jjPpn-_LcSQXlOKiQWiiMw ------- 비지니스 문의 ------- E-Mail : asdfg3663@gmail.com
@zaewoos069
@zaewoos069 12 күн бұрын
데이터 우주 어항 속에 있는 인간 형식의 데이터가 데이터를 발표했네. 재미있군.
@zenoth2654
@zenoth2654 11 күн бұрын
우린 메트릭스안에서 살고 있는겁니까?
@봉진조-s2l
@봉진조-s2l 11 күн бұрын
색즉시공 공즉시색 / by 고조선 시대 어느 인도인
@JinKen-tp4jf
@JinKen-tp4jf 11 күн бұрын
작년 10월에 만든 영상이였는데, 절대 정보 불소멸의 법칙과 양자 얽힘 우주 배경에너지의 존재, 그리고 우주 배경에너지의 상태적 단계, 마지막 영상이 입증되거나 공론화 되다니.. 종교를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이래도 신의 존재를 믿지 못한다면,
@ryumomo322
@ryumomo322 10 күн бұрын
??? : 우주는 누군가의 설계로 인한 창조물이며, 창조주가 존재한다. 진화신도 : 개소리 ㅋㅋ 우주는 그냥 우연히 빅뱅을통해 자연적으로 만들어진거임 ㅋㅋㅋ
@qhan3235
@qhan3235 12 күн бұрын
지식보관소는 역시 시뮬레이션 소개할떄가 가장 찰짐. 애니메이션 하고 비슷하다. 현실의 문제 풀기 위해 복제된 가상세계 들어가서 벌어지는 이야기. 그런데 시뮬레이션 속 세상과 인물들도 자신의 세상을 받아들이고 다시 인생 사는 이야기.
@cottue
@cottue 12 күн бұрын
새해 복 데이터 얽힘 많이 받으세요
@SeokhyunYang-e7b
@SeokhyunYang-e7b 1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해피매콤이
@해피매콤이 1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강알리
@강알리 12 күн бұрын
😫😫😫😫👍🏼님두요
@아카시아나무-s5q
@아카시아나무-s5q 12 күн бұрын
님도요 ㅋ
@packer0408
@packer0408 12 күн бұрын
얽힘이 복잡해지는 현상.. 우리는 이걸 꼬임이라 합니다. 제 인생..
@Elijah_Kim
@Elijah_Kim 7 күн бұрын
진짜 흥미롭다. 오래 살아서 이 세상의 진리를 좀 더 이해하고 싶다. 항상 흥미로운 것들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논문 대행스님 법문 추천드림
@Prajñā_432Hz
@Prajñā_432Hz 12 күн бұрын
‘우주는 현의 오케스트라다’ 영사기에 비유 : 필름 = 각각의 데이터(물질)은 파동 떨림으로 일정한 주파수에 따라 무수한 (물체/형상 + 감각/정보 사고/생각 등) 생성, + 이는 우리 인간이 볼 수 없는 형상/생각 관념, 더 나아가 차원 4,5,차원넘게 생길 수 있을 가능성), 광원/빛 =의식 (여러가지 필름에 담긴 내용물, 즉 물체, 생각 등을 빛출 수 있음) *하지만, 광원 빛 자체는 어떠한 속성이 없으며, 텅 비어있음, 불교용어 ‘공’ (=양자물리학이 말하는 미시세계 원자 속 세상 설명 동일) 그리고 이 광원이 켜지면, = 영화 스크린에 모든 것들이 나타남. 즉, 우리가 사는 물질 세계 (시뮬레이션=모두 환상). 따라서, 이 모든 과정이 물리적 거시세계(허상)과 미시세계의 상호작용 (본질) = 양자얽힘 , 실재의 빛이 없으면, 가짜의 우주도 만들 수 없으므로 연결되어 있음. 결론 부처의 깨달음 나= (육체,감정,사고의 물질)자아란 존재 자체도 허상 = 무아 우주의 실재= 광원, 빛이기에 모든 것(데이터) 담을 수 있는 불멸한 의식임을 스스로 깨달아야함. 뇌과학, 우주론, 철학에 관심많은 극 N인데, 이렇게 연결되는거 맞나요? 허허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당 물리적 설명은 여전히 어렵군요..
@소크라테스-n1i
@소크라테스-n1i 12 күн бұрын
혹시 존함이..?
@oceanfrank2677
@oceanfrank2677 12 күн бұрын
정답이다 연금술사
@meel98
@meel98 9 күн бұрын
ㅇㄷ
@MangoDiesel
@MangoDiesel 6 күн бұрын
광자는 속성이 있고 우주는 허상이 아닙니다. 우리가 보는건 상 이니까요. 광원이 켜지면 나타나는 것도 아닙니다. 우주의 다양한 힘들에 의해 결맞음조건이 깨질때 실체화되는것인데 논리가 비약적이고 추상적이네요 조금만 다듬어 보세요
@Jeremy-gb3eg
@Jeremy-gb3eg 6 күн бұрын
이데아론 같기도 하네요. 이데아에서도 본래 세계인 이데아가 있고 현실세계의 모든 인물, 현상, 의식은 그저 그림자일 뿐이죠. 과학자들이 우리가 자유의지가 있는게 아닐수도 있다라고 말하는 근거에 따르면(이미 현재, 과거, 미래는 고정되어있기에) 꼭 틀린관점이 아닌것 같기도 합니다
@푸룽딩딩
@푸룽딩딩 11 күн бұрын
이 논문을 인용해서 우리에 대해 대입해보면 우리의 탄생은 우연이 아니라 양자얽힘에 의해 태어나도록 설계된 것이고, 다만 누가먼저 태어나느냐 하는 순서는 양자얽힘의 법칙에 따라 무언가에게 관측된 순서일수도 있다...즉, 우주를 포함해 이곳을 바라보고있는 무언가가 있다. 라는 말이 되는데...
@ai293h6
@ai293h6 9 күн бұрын
UFO 본적있는데 보고나서부터 인생이 꼬이더만 관측자의 카메라였누 내 관측하고있는놈은 성깔이 드러운듯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무언가가 무얼까요..
@절대무쌍
@절대무쌍 12 күн бұрын
빵먹으면서 봤더니, 내가 데이터를 먹고 배불러지는 기분이다.
@LOL-fd2lz
@LOL-fd2lz 12 күн бұрын
혀 끝에 미각 세포들이 "단맛"이라는 정보를 뇌로 보냈읍니다. 우리는 정밀한 생체 기계일뿐 ㅠ_ㅠ
@DSF3077
@DSF3077 9 күн бұрын
방금 화장실에서 데이타를 많이 배출하고오니 시원하노
@ai293h6
@ai293h6 9 күн бұрын
인체도 데이터
@여름노을
@여름노을 9 күн бұрын
매트릭스같아
@호소-c6w
@호소-c6w 9 күн бұрын
시공강의 왜곡된 패턴인 입자가 들어갔으니 그만큼 입자가 들어갈 곳이 줄어들어서 배가 불러지게된 것이군요
@최정우-v1l
@최정우-v1l 12 күн бұрын
그렇지! 내 인생이 이꼴이 된건 내 탓이 아닌 것이었어!
@dbxbqmtlfgdj
@dbxbqmtlfgdj 12 күн бұрын
긍정적 댓글 남기고 싶은데 공감되는 부분이 너무 많아 잠시 멍함...
@철호-h4k
@철호-h4k 12 күн бұрын
내인생은 가챠실패였구나
@joyparkyful
@joyparkyful 12 күн бұрын
그것은 너의 잘못된 선택이 중첩된 연산의 결과지.
@千-p6m
@千-p6m 12 күн бұрын
@@joyparkyful 개웃기네 ㅋㅋㅋ
@user-yf9fd4is4v
@user-yf9fd4is4v 12 күн бұрын
@@joyparkyful 팩트는 자유의지가 없기때문에 '나' 라는것도 환상이라는거임.. '나'가 없기 때문에 '나의 선택' 은 존재 할 수가 없다는거임...
@jclee5703
@jclee5703 12 күн бұрын
물질이 시공간의 패턴 정보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라면 그 패턴을 만들어 내는 무언가가 있을 것이고, 그것은 시간의 축을 따라 가속이동하는 무언가일 것임. 그렇기에 물질(질량)이 있으면 중력이 반드시 생기는 것이고, 따라서 물질과 중력은 시간의 축을 따라 가속이동하는 무언가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일 뿐이지 않을까 싶네요.
@이현-c6i
@이현-c6i 12 күн бұрын
@dmking709
@dmking709 12 күн бұрын
양자 요동은 단순한 요동이 아니라 우주 구성 형태에 선율 이겠네요
@클릭-c1k
@클릭-c1k 12 күн бұрын
저도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는중입니다. 시간이란 흐름의장때문에 모든현상이 발현되는거 같은...
@지상-j3e
@지상-j3e 11 күн бұрын
오 이건 좀 납득이 가는 가설이다
@동물박제소
@동물박제소 11 күн бұрын
시간의 축을따라 무한 가속이동 하는 건 공간 밖에 없는데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 12 күн бұрын
요즘 발음이 자꾸 정확해지려고 하는데 주의해주세요
@삐약이와치킨의이별
@삐약이와치킨의이별 12 күн бұрын
나쁘다 ㅋㅋㅋ
@tensunbee
@tensunbee 1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킥킥킥-u3x
@킥킥킥-u3x 1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Leo_ne
@Leo_ne 11 күн бұрын
이게 진짜 간신이지
@김우진-g1c
@김우진-g1c 9 күн бұрын
발음 정확하면 좋은거 아님?
@비공개투자
@비공개투자 12 күн бұрын
우주는 시뮬레이션이다 x 우주는 시뮬레이션과 작동 원리가 같다 o
@dbxbqmtlfgdj
@dbxbqmtlfgdj 12 күн бұрын
오~!
@alla-view
@alla-view 12 күн бұрын
그러므로 시뮤레이션이라고 볼수있다
@user-kk8md1ez3s
@user-kk8md1ez3s 12 күн бұрын
우주가 시뮬레이션과 같은게 더 이상한데
@alla-view
@alla-view 12 күн бұрын
@ 우리가 존재한다는 착각 언어는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할수있는 수단이 아님. 그래서 물리학은 이해한다는게 넌센스
@20000s
@20000s 12 күн бұрын
이게 맞다
@레니-j2r
@레니-j2r 8 күн бұрын
사실 시뮬레이션도 아닐듯...하지만 인간이 이해못할수준의 무언가겠지..마치 어항속에 금붕어가 어항밖을 보면서도 탈출할생각조차 하지못하는것처럼...
@xvkim8669
@xvkim8669 12 күн бұрын
영상에서 말씀하셨듯이 우주의 기초가 정보라는 가설은 꽤나 오래 전에 등장했죠. 정보량 불변의 법칙도 있고, 블랙홀로 빨려들어간 물질의 정보가 어떻게 될 것이냐는 연구도 많았으니까요. 한가지 주의할 것은 우리가 '정보'라는 것을 발명했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 아닐까 싶습니다. 학자들은 시뮬레이션 우주가 진짜 최첨단 양자 1000090 그래픽 카드가 꼽혀있는 데스크탑 컴퓨터 위에서 돌아가는 게임이 아니라, '정보'라는게 자연적이고 선행적인 무엇일 수도 있다는 가설을 우선으로 두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즉, 우리가 정보를 발명한게 아니라, '불'처럼 자연에 존재하는 무엇이고, 우리는 그걸 발견했을 뿐이라는 거죠. 그럼 달라질 것은 없습니다. 그저 우주의 본질이 정보인 것 뿐이고, 최신 양자 그래픽 카드를 사서 시뮬레이션 우주를 만들고 우리를 재미있게 지켜보는 외계인 따위는 없고, 여전히 당신의 인생은 당신 책임이라는 거죠.
@dean-lee-archive
@dean-lee-archive 12 күн бұрын
과학은 정의로 보면 보편적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척으로하는 체계적인 지식으로써의 도구이나, 몇몇 사람들은 과학을 자신의 신념이나 종교적 가치로 결부시켜 답을 찾는 것 같아요. 인생을 과학을 통해 성찰하면 어떤 답을 얻을 수 있을까요. 차라리 그런 사람들은 건강한 종교의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인생에 대한 무게의 책임을 회피한다면 마음의 짐을 덜고 좋은 기회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멋진 영상에 멋진 댓글네요. 정보에 대한 견해에 인사이트 얻고 갑니다.
@Jun-ib5lh
@Jun-ib5lh 12 күн бұрын
영상보고 어지러웠는데 님 덕분에 머리가 맑아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에리투라고누라14
@에리투라고누라14 12 күн бұрын
종교는 인간의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학은 정신적 가치가 아닌 물리적 법칙을 찾아내려는 것이다. 이게 무엇이 다르냐고?? "사랑"이라는 것을 설명할 때 종교에서는 숭고하고 지고한 인간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인간이 마땅히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로 여기지만 과학에서는 번식을 위한 호르몬 변화 그리고 신체반응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종교와 과학은 하나의 현상에서 전혀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
@아이스중독임
@아이스중독임 12 күн бұрын
응 개소리ㅋㅋ그럼 그 방대한 정보는 어딨음? 하드라고 할거냐?
@아프켄
@아프켄 12 күн бұрын
ㅋㅋ 내 인생이 실시간으로 죠져지고 있는 중이라고? 내가 사실 통속의 뇌가 아니었다고? 구라도 적당히 쳐야지 ㅋㅋㅋ
@cosmicguy2
@cosmicguy2 12 күн бұрын
친절하게 제공하는 그림과 영상 자막까지 전부 다보고 읽었지만 그저 고개만 미친듯이 끄덕거리다 갑니다.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ㅋㅋㅋ
@호랑좌
@호랑좌 12 күн бұрын
0:17 Opening 7:47 Endcard
@Flowing_8175
@Flowing_8175 10 күн бұрын
우아 전ㅇ말데단ㅇ한타임ㄹ라인ㄴ!!!!!
@metadigital3595
@metadigital3595 12 күн бұрын
평소에 정보가 모든 물질의 근원이이고 정보간의 알고리즘이 시공간과 모든 이벤트들의 운영체제라고 가정하는게 아주 합리적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영상으로 깔끔하게 정리가 되네요~
@SasaGoosam-rd6wi
@SasaGoosam-rd6wi 11 күн бұрын
ㄹㅇ
@jjl8682
@jjl8682 5 күн бұрын
결국 인간은 육체를 버려야 이해할 수 있을듯 신체를 통해 얻는 정보가 굉장히 필터링된 제한적 정보이기에
@raeghim9319
@raeghim9319 Күн бұрын
먼저 해탈해주세요.
@해피매콤이
@해피매콤이 12 күн бұрын
오늘 내용은 특히 더 놀랍네요
@A_cup_of_life
@A_cup_of_life 12 күн бұрын
3:02 이런거 보면 저런분들은 평생을 한 분야에 매진/몰두해서 연구 할텐데, 고정관념에 갇혀있어도 모자랄 판에 창의적 사고로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우주의 비밀을 풀어버리네;; 물론 가설이고 앞으로도 많은 수수께끼를 풀어야 하겠지만, 저런 자유로운 사고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너무 놀랍고 부럽다😮
@junbosim190
@junbosim190 5 күн бұрын
우주가 시뮬레이션이든 십물레이션이든 거기서 못 벗어나면 그 시뮬레이션은 당신의 현실. 그러므로 시뮬레이션이 현실이고 리얼한 것이다.
@dhk42
@dhk42 10 күн бұрын
공의 의미는 양자역학으로 하나씩 밝혀 지겠죠. 없는것이 있는 것이고 있는것이 없는 것이다. 내가 알고 있는 이세상은 내가 눈감는날 어찌 될지? 내가 경험 하는 세상은 플레이어인 내가 선택한 것인지도 모름니다. 게임 특성상 업그레이드는 필수죠. 다음 세상을 위해 플레이 방식을 업그레이드 해야 합니다.
@이기영-y3u
@이기영-y3u 12 күн бұрын
신뢰 할만한 주장인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명절연휴 잘 보내시고 건강 하세요 🎉
@songpyeon7135
@songpyeon7135 12 күн бұрын
오래살면서 세상의 진실이 계속 드러나는게 참 흥미롭습니다.
@raeghim9319
@raeghim9319 Күн бұрын
부처님은 무려 2500년 전에 이 모든 것을 스스로 터득하시고 해탈하셨습니다.
@irchama
@irchama 10 күн бұрын
금강경 4구게 중에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릇 형상이 있는것은 모두가 다 허망하다.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 곧 여래를 보게 되리라. * 여래를 본다 : 깨닫는다. 진리를 알게 된다.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글쓴님은 여래를 혹 보셨는지요
@irchama
@irchama 4 күн бұрын
@@절물사려니 저는 아직 멀었습니다만. 깨달으신 스님을 모시고 있기는 합니다.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irchama 그러시군요 답장 감사합니다
@pky4452
@pky4452 12 күн бұрын
드디어 제대로된 양자역학에 대해 옳은 해석을 제시해주는 영상이 한국에서도 올라왔군요 개인적으로는 감동입니다 수많은 양자역학에 관한 책을 보았지만 2007년즘에 본 2022년노벨상을 받으신 안톤 차일링거 박사님이쓴 아인슈타인의 베일이란 책에 영상과 관련하여 우주의 근본단위는 입자 전자 쿼크가 아니라 더이상 나누어질수 없는 정보단위인 예. 아니오 혹은 0.1이란 것이 자세히 나옵니다 특히나 4:20 이중슬릿실험 해서 기가 막힌 해석을 해줍니다 그 어떤 유튜브 영상에도 나오지 않는데 이번 영상에는 일부분만 나오지만 제가 아는바대로 설명하자면 전자 단 하나가 이중슬릿을지나 스크린에 어느점에 도달하는것인가 질문이 중요합니다 답을 말하면 도달할수 있는 5줄의 영역안에서 완전랜덤하게 도착한다는 것입니다 이중슬럿을 지난 큐비트는 스크린에 다을때는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에 의해 혹은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에 의해 5줄의 영역안에서 랜덤하게 박힙니다 즉 도달할수 있는 5줄 영역에서 완전 랜덤하게 도착합니다 간섭무늬를 만드는 가령 5개줄 어디에 박히는것인가 줄안에서도 아래 위 혹은 중간등 왜 하필 거기 박히는가는 전자는 최소 정보를 가진 양자로서 0.1혹은 예.아니요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는 큐비트 상태이기에 즉 정확히 확정되지 않은상태이기 때문에 스크린에 도달할수 영역중 완전 랜덤하게 도착합니다 하지만 이중슬릿에서 어느쪽으로 통과했는지 알기위해 슬럿뒤에 관측장치로 좌측 또는 우측을 통과했다고 위치 정보를 뱉어낸 전자는 더이상 0.1의 큐비트 상태가 아니라 고정된 값을 가지게 되고 즉 결어긋남이 일어난 상태이므로 결국 스크린에서는 5줄의 간섭무니가 아니라 2줄만을 나타내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이중슬릿을 통과할때 좌.우 통과 여부의 위치정보를 내놓지 않으면 스크린에서는 큐비트 상태로 완전 랜덤하게 부딪히면서 결 어긋남이 일어나면서 즉 전자의 위치 정보를 내놓으면서 5줄의 간섭무늬를 만듭니다 반대로 슬릿 좌우 통과 여부를 관측하면 전자는 정보를 내놓고 결 어긋남이 일어나 스크린에 도달했을때는 이미 결어긋남이 일어났으니 혹은 정보를 내놓았으니 더이상 랜덤하게 정보를 내놓지 못하니 혹은 확정 되었으니 마치 거시세계 당구공처럼 스크린에 2줄만 만들어냅니다 참 쓰다보니 설명이 싶지않내요 관심 있으신분은 안톤 차일링거의 저서 아인슈타인의 베일을보심 양자가 사실 정보이고 정보가 우주의 근본적 본질이자 단위라걸 어렴풋이나마 아실겁니다 저 처럼 양자세계를 여행 하시는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되시길 바라는 마음에 장문을 써봅니다
@ellas2920
@ellas2920 12 күн бұрын
최고의 댓글입니다… 와 감사
@jang9181
@jang9181 12 күн бұрын
저 같은 문외한에게는 굉장히 유용한 정보입니다. 감사합니다.
@nokhyun
@nokhyun 12 күн бұрын
최고의 설명이네요.
@user-slnime
@user-slnime 11 күн бұрын
가슴이 이해를 거부하는데요
@sldoalwwww
@sldoalwwww 11 күн бұрын
1줄요약좀
@진구-s7s
@진구-s7s 12 күн бұрын
양자역학이 계속해서 발전되었으면 좋겠어요.
@메가-m7s
@메가-m7s 12 күн бұрын
원효대사 해골물에 대한 해설임. 세상은 관찰하는 자에 따라서 다르게 보인다는 점.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관찰하는 자가 공하면 공할수록 물질세상 너머 다른 차원과 접속하여 공바탕 그 자체의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
@rmckjy
@rmckjy 12 күн бұрын
시뮬레이션 우주론 들을 때 마다 드는 생각: 시뮬레이션이라 한들 우리가 뭘 할 수 있는데? 손톱 밑에 바늘 하나만 들어가도 질질짜고 이 다빠지고 늙어죽는동안 가까운 항성은 커녕 태양계 도 못벗어나면 그냥 하루하루나 즐겁게 살아나가자
@지니나니
@지니나니 11 күн бұрын
양자역학은 배울수록 재미있어요. 이해하려면 아직 멀었지만...ㅎ
@SYYu-wo4zr
@SYYu-wo4zr 12 күн бұрын
와 정말 설명잘하시네요 .. 이 얘기할줄알았어하면서 듣다가 보면서 배우게되네요
@modotv7330
@modotv7330 10 күн бұрын
우주는 필연적으로 생명체, 고등 생명체를 만들어 냄. 그 고등 생명체는 우주가 시뮬레이션과 동일하게 작동한다는 것을 깨닫게 됨. 결국 그 고등 생명체는 언젠가는 우주를 만들 수 있게 된다는 뜻임. 이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우주 시스템임. 그 과정 속에서 진화하면 우주 밖의 세계로 나가게 되는 것.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디지몬 어드벤처처럼 우리도 언젠가는 디지털 세계를 나와 진짜 리얼 월드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몽-n4s
@몽-n4s 3 күн бұрын
흥미롭네요
@raeghim9319
@raeghim9319 Күн бұрын
힌두교의 우주의 원리와 같은 말씀이네요. 거시에서 미시로 다시 거시로 무한 반복되는 세상.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23 сағат бұрын
@@raeghim9319 브라흐만..
@emiya-moolzomdao
@emiya-moolzomdao 6 күн бұрын
에너지를 넣은만큼 새로운 데이터가 나온다... 거기서 데이터를 컨트롤 할 수 있게 되면 컴퓨터로 치면 거의 EDIT 수준이 될 수도? 줄기세포로 모든 질병 정복, 팔다리 잘린 사람들 다시 복구 등 모든게 가능할 수도 있겠군요
@봉진조-s2l
@봉진조-s2l 11 күн бұрын
색즉시공 공즉시색 >>>>2500년 전 어느 인간이 했던말, 갓부처
@달리는당근-t9c
@달리는당근-t9c 5 күн бұрын
캬..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색은 즉 공이고 공은 즉 색이니 온 세상 공하지 않은 게 없고 내가 아닌 게 없구나 그래서 산은 물이될 수도 물은 산이될 수도 있는 것이로구나
@star-sapphire
@star-sapphire 20 сағат бұрын
심연을 들여다 보면, 심연도 나를 들여다 본다. 너무 빠지지 마시길.. 우리 삶의 실체가 막말로 데이터 쪼가리 라고 해도, 건강과 가족, 직장과 월급은 현실이고 그닥 달라지는 것도 없음.
@양수리라이더
@양수리라이더 12 күн бұрын
부처님과 노자는 이것을 정신수행으로 스스로 세상의 이치를 깨우치고 정신에 세계로 갔다니 대단합니다.
@BANG4444
@BANG4444 10 күн бұрын
부처 노자 정신세계가 시뮬레이션 우주론이랑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거에요?
@choppedyourhead
@choppedyourhead 10 күн бұрын
​​@@BANG4444윤회의 고리에서 벗어나는게 불교 최종목표고 이는 곧 나라는 물리적 존재로부터의 해방을 얘기하는것이기 때문 아닐까요
@user-chan37
@user-chan37 10 күн бұрын
그 정도 수준이 되시니 성인 이라고 불리는 거지요. 부처, 노자 뿐 아니라 예수, 알라 모두 결국 지향하는 바는 비슷 합니다. 그 말은 결국 이 우주가 지향하는 바가 있다는 것이죠.
@양수리라이더
@양수리라이더 10 күн бұрын
@ 두분 모두 깨달음을 통해 이세상의 법칙에서 해탈하여 우주로 가셨습니다. 그리고 부처님이 가르침인 불교가 영화 매트릭스와 뜻이 공통되는 부분이 아주 많습니다. 부처님은 양자역학도 이미 알고 계신 수준의 분이십니다.
@히히-j8s2s
@히히-j8s2s 9 күн бұрын
색즉시공 공즉시색​@@양수리라이더
@김지현-t9t6k
@김지현-t9t6k 12 күн бұрын
우연히 보게 됐는데 정말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가요!
@Light-r2m6n
@Light-r2m6n 12 күн бұрын
깨달은 사람이 물 위를 걷거나 허공에서 없던 물질을 만들어내는 등의 일화는 어쩌면 깨달았다는 것은 이 시뮬레이션 우주를 해킹한 해커가 되었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얘기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고리골
@고리골 12 күн бұрын
그건 자신 혹은 특정인테 대해 대단한 사람이다는걸 묘사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
@UCJBiGyf60O07crbVVuqHJ0Q
@UCJBiGyf60O07crbVVuqHJ0Q 12 күн бұрын
아니지 십새야 마약한거지 물위를 걷는건 마약한놈 뇌속에 착각이고 물가에서 변사체로 발견되는게 현실이지
@오필리아버킹엄
@오필리아버킹엄 12 күн бұрын
@@고리골 영화 매트릭스에서 각성해버린 네오가 물리법칙을 뛰어넘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에 비추어 보면, 그닥 틀린 말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려움. 물론 현실에서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이 있다면 피하는게 상책인 것은 맞음.
@user-heuueujgdm
@user-heuueujgdm 12 күн бұрын
게임속의 마법도 그와 같은 개념이겠죠
@밀크-i9b
@밀크-i9b 12 күн бұрын
깨달은자는 홈페이지 배경세상이 아닌 html로 들어가서 프로그램 언어로 인식하는자를 말함. 대부분의 인간들은 홈페이지안에 세상에서 허우적거리고 나라고 착각하고 살아가는거고요. 빠져나가고 싶으면 내몸을 분해해서 인지하는게 시발점임.갈길이 멀지만..왜냐면 머리로 하는게 아니라서.. 지금말한건 천기누설급 엄청난 팁공개한것임..그래도 사람들이 많이 발전하기 시작했네요^^~
@Mephlonix
@Mephlonix 12 күн бұрын
생각해보면 우주는 닫힌계로 알려져있는데 그 위에 정보적차원의 시스템이 환경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라면 더 큰 의미의 열린계가 아닌지 플라톤의 이데아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비로소 뚜렷히 보이기 시작하는.. 우주는 단순히 순환을 위해 움직이는것이 아닌 정보적 차원의 최적화를 위해 복잡해지고있는 것인지..
@JaeTarot_TV
@JaeTarot_TV 12 күн бұрын
통일장 이론에 더욱 가까워 지고 있네요😮
@sunghoonum9430
@sunghoonum9430 3 күн бұрын
설사 이세상과 내인생이 시뮬레이션이라하더라도 달라지는건 없음..그 안에서 어떻게 살아갈것인지가 중요하지
@user-o8jf68ut6g3g
@user-o8jf68ut6g3g 12 күн бұрын
물질=파동=에너지=정보(의 연산값)= 즉 파동을 통해 정보가 통신처럼 전달된게 물질구현 색(1)즉=시공(0) 공즉시색 예를들어 생명체의 재료(탄소 인 황 수소 등) 통에 넣고 섞는다고 생물이 나오지 않음 (엔트로피는 증가하는데도) 왜냐하면 정보(의연산결과값)가 없기 때문임
@우아한천사
@우아한천사 12 күн бұрын
👍
@dodocat1128
@dodocat1128 10 күн бұрын
@@user-o8jf68ut6g3g 응?
@이즈비-m2e
@이즈비-m2e 10 күн бұрын
불교에서 말하는 색즉시공에서 공이 빌 공이 아니라 존재하는 모든것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라는 의미의 공인걸로 배웠어요 즉 비어있음이 아닌 무상함 덧없음의 뜻이랄까
@송지훈-o5q
@송지훈-o5q 6 күн бұрын
데카르트가 말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이 말조차 내가 생각하는 것마저 양자얽힘에 의한 결과물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나는 무엇인가란 생각까지 들게 되네요
@z_0area
@z_0area Күн бұрын
그 앞에 문장이 "나는 의심한다"에요.
@JohnTheGrandFir
@JohnTheGrandFir 12 күн бұрын
태초부터 모든것이 시공간의 얽힘이라는 정보였다... 마치 불교의 '일체개고' 같은 말이군요. 모든것은 시간에 절대적이지도 않거니와, 공간상에 구분된 존재의 실체가 있는것도 아니며, 결국 모든것이 '고' (괴로움 -> 자극 -> 정보) 였음을 깨닫는것.
@아카시아나무-s5q
@아카시아나무-s5q 12 күн бұрын
불교가 참 특이하죠. 차원을 말하고우주 원리를 말하죠... 불경은 과거의 과학교과서? 근데 불교에서 데이터 수정은 어떻게 하라고 하나요??? 진담으로 그걸 모르겠어요
@jinyoungkim7306
@jinyoungkim7306 12 күн бұрын
@@아카시아나무-s5q 번뇌를 버리고 깨달음에 이르는것이 불교에서 보는 데이터 수정일듯요
@mildaejo
@mildaejo 12 күн бұрын
싯다르타 고타마(석가모니), 당신은 도덕책...
@banyajeong9576
@banyajeong9576 12 күн бұрын
@@아카시아나무-s5q 불교는 여리작의냐 비여리작의냐 가 지옥과 천국의 갈림길이라고 합니다 여리작의는 열반으로 나아가게 하는 데이터의 모음 비여리작의는 감각적 욕망 데이터의 모음이고 그에 대한 집착 이라고 말합니다
@이도-s4j
@이도-s4j 11 күн бұрын
억지로 갖다 붙이는군요
@woong0062
@woong0062 12 күн бұрын
오래 전에 올리신 영상 보면 어떤 분이 댓글로 "시뮬레이션 우주론에 억지로 끼워맞춘다" 같은 내용을 달았던 것 같은데 뭔가 감회가 새로운 부분이네요 잘 보고 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leehyangje
@leehyangje 12 күн бұрын
저기 저는 무교이지만, 부처(석가모니)가 이러한 우주만물 세상이치를 깨우쳤다??
@sunjongyoo3364
@sunjongyoo3364 12 күн бұрын
오늘꺼는 평소보다 더 대단하네...😮
@날개옷
@날개옷 12 күн бұрын
운영자님 제발 제 인생에 치트코드좀 입력해주세요ㅠㅠ
@카피바라-q2u
@카피바라-q2u 12 күн бұрын
어림없는 소리!
@Gwan55
@Gwan55 12 күн бұрын
심즈에 살고있는 npc들이 불행하더라도 개발자들은 아무 신경안쓰듯이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를 만든 개발자가 만약 있다면 마찬가지로 아무 신경안쓸수도.. 아니면 그저 실험용으로 지켜만보던지 ㅠㅠ
@dkdlthf
@dkdlthf 12 күн бұрын
내 인생에 치트는 치팅데이뿐임
@흣-o7w
@흣-o7w 12 күн бұрын
Show me the money
@xero2250
@xero2250 12 күн бұрын
↑ ↑ ↓ ↓ ← → ← → B A
@emilejudas8357
@emilejudas8357 12 күн бұрын
우주가 컴퓨터가 프로그래밍할때 와 같이 최적화루트로 되어있다는 말이 예전부터 있었는데 진짜였네
@vefveflute8019
@vefveflute8019 12 күн бұрын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영상을 보니 이 세상이 생각하는데로 보인다는 글이 생각납니다. 현재의 인간은 인정하지 않거나, 모르는 것이지만, 그 쿼크도 하부 구조가 있고, 이것이 발견되면 또 어떤 생각들을 할지 궁금해 집니다. 초끈이론이 나온 비하인드 스토리가 쿼크 하부구조에 대한 입 맛 다시는 정도는 될 것입니다.
@iamhamzzi2361
@iamhamzzi2361 12 күн бұрын
물질이 아닌 정보라고 가정하고 다시 물리학적 이론을 다듬어본다면 이제는 근사해가 아닌 해답을 구하는것도 이제 가능해질거같아요
@boy1_der
@boy1_der 12 күн бұрын
오 그거 정말 근사해요
@user-o8jf68ut6g3g
@user-o8jf68ut6g3g 12 күн бұрын
그럼 컴퓨터 속 프로그램하고 다를바가 없다능
@샤미네-w2d
@샤미네-w2d 10 күн бұрын
.. ㅎ.. 이번 결과 및 발견은 역대급으로 중요한 내용인것 같네요. 노벨물리학상예상합니다.
@베찌-b3p
@베찌-b3p 12 күн бұрын
시뮬레이션 다중우주가 맞는듯...어떤 의도?목적으로 시뮬을 돌리고있지않나라는 생각이드네요.. 복사 붙여넣기로 무한대로 우주를 만들수도있을거같음..
@jobom0831
@jobom0831 12 күн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eedzg
@eedzg 11 күн бұрын
영상을 보면 떠오를 수 있는 재미있는 상상 1. 정보란 쿼크들의 얽힘으로 해석 되었는데 '어디에 있는' 쿼크와 얽혀 있는가? 2. 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쌍생성과 쌍소멸, 즉 빈 공간에서의 정보의 생성과 소멸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3. 2에서 기반하여 우리가 인지하지 못한 상위 차원에서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정보의 생성과 소멸이 일어난다 가정한다면 해당 고차원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raeghim9319
@raeghim9319 Күн бұрын
1. 빅뱅으로부터 시작된 파동들의 무한한 얽힘의 연속이겠죠. 2. 에테르입니다. 3. 우리 차원은 고차원 실존재의 빅뱅에 의한 파동으로 이루어진 잠시 나타났다 사라지는 허상이고, 실존재들은 시간을 초월한 실존하는 입자들로 된 존재가 아닐까요?
@Eden_Gom
@Eden_Gom 6 күн бұрын
동시성 현상도 양자얽힘😊🙏🏻
@yfantas6500
@yfantas6500 12 күн бұрын
여전히 뭔소리인지 모르겠다
@보광박-l5n
@보광박-l5n 11 күн бұрын
ㅎㅎㅎ
@뽀뽄데혀넣냐-u6w
@뽀뽄데혀넣냐-u6w 11 күн бұрын
ㅈㄴ웃기네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뭔소린지 모르겠다는 정보와 얽히셨음
@순두부-x7m
@순두부-x7m 3 күн бұрын
​@@절물사려니 ㅋㅋ
@heartsignal.official
@heartsignal.official 3 күн бұрын
그렇다면 최소 단위인 입자 (= 정보)가 양자 얽힘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한쪽을 관측할 시 아무리 멀리 떨어진 거리에 있을지언정 다른 한쪽이 반대가 정해진다 라는 뜻. 입자(=정보)란 1,0으로 이루어진 두개의 집합체이며, 양자얽힘으로 이루어 져있는 양자 데이터이다. 이로써 우리는 1,0으로 데이터 (우주의 최소단위)로 이루어져있다.?
@혁-e3u
@혁-e3u 12 күн бұрын
요즘 너무 좋다 그동안의 미스테리가 한번에 풀리는 느낌 우주의 기본단위는 데이터, 정보라는 것이고 데이터의 압축이 빅뱅 폭발로 팽창하고 있고 각 밀도차에 의해 가속팽창의 원인으로 불렸던 암흑에너지가 부정되고 타임스케이프 가설이 대두 되고, 보이지 않는 암흑물질도 사실 데이터들의 중력이라 하면 해결되는게 아닐까 하고 우주 끝까지도 데이터, 정보들이 상호작용 하고 있을테니 양자영역의 미스테리한 깜짝쇼도 설명이 가능하지 않을까ㅎㅎ
@LOL-fd2lz
@LOL-fd2lz 12 күн бұрын
그럼 우주 끝은 게임처럼 이동하지 못하게 막혀있겠군요.
@syL_moo
@syL_moo 12 күн бұрын
게임처럼 이동이 가능하게 플레이어와 npc가 흐르는 것이죠 플레이어와 npc가 있는 것은 랜더링된 자리로서 그 자리는 기호로서 플레이어와 npc를 흐르며 자문자답을 하는 것이죠. 여기서 깨닫는 것은 내가 왜 여기서 '몬스터'를 잡고 있나 더 나아가 플레이어가 '몬스터'가 되어 차원을 이동하는 것이죠. 그렇게 더 나아가면 '철학'적으로 플레이어나 몬스터가 의미 없게 상충하게 되는 그 부분을 존재로서 생각하게 되고 '흐른다' 하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 '모순'을 부르고 그 '모순'은 다시 플레이어와 npc가 흐르는 '신 적인 유희' 놀이가 되는 것이죠 '의미' 의 '의미'가 계속 되풀이 되는 것이 인생이죠 ~! 나는 'npc'인가 라는 기호와 나는 '플레이어'인가 하는 기호로써의 부분과 부분으로써의 그 기호가 세계를 나뉘고 차원을 나뉘고 더 나아가 입자를 나뉘고 파동을 나누고 영장을 나누는 셈이죠. 우주 끝은 게임처럼 이동하지 못하게 막혀있겠군요? 라는 글을 보고 이런 글을 남겼는데 다시 보니 딱! 치니 딱! 하는 문장인 것이죠. 우주의 끝/ 쉽게 간단하게 말해서 나갈 수 없다/ 라는 문장은 다시 나갈 수 있다/ 라는 문장이 되는 귀이한 현상인 것이죠? 근데 나갈 수 없다/ 절대 답안지.........................를 어케 나갈까? "끝은 이동하지 못하게 막혀있는데..........................." "끝은.........." "끝................" "."
@jang9181
@jang9181 12 күн бұрын
생각하게 만드는 댓글 정말 좋네요. 사유는 또 다른 사유를 낳는다고 할까요. 다중우주가 떠오르기도 합니다.
@chenrianc8000
@chenrianc8000 12 күн бұрын
인간이 만들어낸 데이터와 다른개념인것 같아요
@slowook
@slowook 12 күн бұрын
⁠@@syL_moo무슨소린지 정리해서 다시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ㅜㅜ
@hanschoi7166
@hanschoi7166 12 күн бұрын
맞아. 우리 우주는 한번이 아니었던거야. 지금 우리 우주가 생기기 까지 얼마나 수많은 우주가 존재했고 그 수많은 우주에는 또 얼마나 많은 생명과 문명이 존재하고 사라졌을까. 그 우주의 데이터안에서 수많은 물질과 문명, 생명들이 번성했다 소멸하기를 반복해 왔겠지. 그러면 또 앞으로 얼마나 많은 우주가 사라지고 생성되고를 반복할까.
@conel42
@conel42 12 күн бұрын
호킹박사가 말한 '블랙홀에서도 정보는 사라지지 않는다.' 는 맞는 말인거 같군.
@user-yf9fd4is4v
@user-yf9fd4is4v 12 күн бұрын
어쩌면 그냥 휴지통에 들어가는것과 비슷할지도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user-yf9fd4is4v휴지통에 들어가는 거면 복원도 가능할듯
@하하-t6n
@하하-t6n 7 күн бұрын
과학 많이 발전했내 유체이탈해서 상위존재 영혼한테 배운걸 이제는 요기서 듣고있내요
@사자후-l7
@사자후-l7 Күн бұрын
헉 유체이탈은 사실 진실 진리를 깨닫는거라는데
@사자후-l7
@사자후-l7 Күн бұрын
제가 아는 한사람은 유체이탈해서 간곳에서본 장면이 그대로 펼쳐 지는것을 봤다하고 한사람은 밥먹다가 자신을 뒤에서 봤다는데 돌아와 거울보니 머리카락 모양이 진짜 그렇게 하고 있더라는
@하하-t6n
@하하-t6n Күн бұрын
@@사자후-l7 알려주시면 알수있죠 상당히 중요한 경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차원마다 달라요 현실과 별로 차이 안나는곳이면 자기 모습을 볼수있죠 다른 사람 경찰서도 들어가고 지하철도 타고 중국도 가따오고 그 사람이 되어서 감정 기억 경험을 느끼기도하고 엉청 다양해요
@사자후-l7
@사자후-l7 Күн бұрын
@@하하-t6n 저는 예지몽이 현실에 펼쳐지는 것을 봤습니다 그때부터 나는 무엇인가 나는 실지로 아무것도 할수 없는건가 혼란이 왔습니다
@하하-t6n
@하하-t6n 14 сағат бұрын
@@사자후-l7 매번 일어나는것도 아니니까 자신이 살고싶고 꿈꾸는것에 모든 에너지를 보내세요 현실에 반영 되는것은 그 에너지들이 모여서 3차원에 반영되는것입니다 사람마다 에너지 양도 전부 다르지만 우주의 원리가 그렇게 작동합니다 저는 생각을 조심하고 거기에 맞게 행동하면서 살아보세요 몇년뒤에 인생이 바뀌는것을 직접 보게될겁입니다 저는 몇번이나 경험했고 그렇게 삽니다
@dgehedveudvd2612
@dgehedveudvd2612 12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좋은정보 감자합니다 형님!^~^
@minl
@minl 12 күн бұрын
우린 그럼 죽어서 사라지는게 아니라 캐시데이터나 더미데이터로 남는건가?
@20000s
@20000s 12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죽는다고해도 구성성분을 핵융합시키는게 아닌이상 모든 원소는 지구에 그대로 있습니다.
@minl
@minl 12 күн бұрын
@@20000s 몸 장기 같은것들은 온전히 데이터값으로 남아 물, 흙, 가스 등으로 분해되고 혹여나 영혼이라는게 존재하고 그것이 사실 코딩된 데이터라면(저희 개개인이 각자 작은 프로그램 이라면) 데이터파일은 온전히 남아 캐시데이터가 되는건가 생각했습니다
@beingbeingbeing2978
@beingbeingbeing2978 7 күн бұрын
@@minl 데이터파일은 우리 몸속 쿤달리니에 저장되어 있다 죽을때 척추에너지의 조그만 빛알갱이로 응압되면서 육신을 떠나 감. 우주의 수퍼데이터 쎈터에서 재정립하며 잠시 쉬다가 선택한 태아의 첫 심장박동이 작동할때 새로운 그몸으로 다시 들어와 환생하여 데이터파일은 계속 축적되고 갱신되고 진화되어 감
@st.vitus_no666
@st.vitus_no666 5 сағат бұрын
그 캐시데이터에 다시 얽힘을 만들어 새 생명이 나오는 게 아닌지 생각됩니다. 그걸 주도적으로 하는 존재가 있겠지요
@jehun_lee
@jehun_lee 3 күн бұрын
만유인력: 정보들 간에 인력이 발생한다? 블랙홀: 정보들의 처리소? 소각장? 용량 무제한인? 정보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하고, 그게 방출이... 충분히 되고있나요?...
@Sunmyungkim-w8l
@Sunmyungkim-w8l 12 күн бұрын
먼저 해당 논문의 주장은 원자가 아니라 양성자에 대한 연구입니다. 원자는 강한상호작용(QCD)이 아니라 전기적인 작용(QED)에 의해 매우 정확하게 기술됩니다. 물론 양성자는 QED가 아닌 QCD에 의해 기술되어야 하는데 양성자가 양자얽힘 상태에 있다는 것도 이미 여러 입자들의 상태의 얽힘(Fock state)이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지 입작의 부존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ai293h6
@ai293h6 9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시뮬레이션에 대해서 당신이 하고싶은말이 뭐에요? 영상에선 저걸 ‘수단’으로 시뮬레이션이라는 결론을 도출한것이고 그 ‘수단’을 부정하는 댓글을 달았다면 결론을 당연히 말해야하는겁니다. 알림 뜰테니 바로와서 대댓 다세요
@user-sy4fq2cn8e
@user-sy4fq2cn8e 7 күн бұрын
@@ai293h6 너가 이해력이 부족하네 시뮬레이션에 대해 말한게 아니라 원자에 대해서 말한거야 영상 주제가 시뮬레이션이 아닌데 뭔 소리야
@ai293h6
@ai293h6 7 күн бұрын
@@user-sy4fq2cn8e 제3자는 빠져
@ai293h6
@ai293h6 7 күн бұрын
@@user-sy4fq2cn8e 난독증이 있네 병원가서 치료받아라
@user-sy4fq2cn8e
@user-sy4fq2cn8e 7 күн бұрын
@@ai293h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ㅌㅋㅋㅋ 그러니까 타인도 이해못하겠는 글을 왜 싸질렀어 🥹 지능 좀 더 키우고와
@메로이-f2l
@메로이-f2l 7 күн бұрын
이 시점에 중요한 것은 이 시뮬레이션 공간의 정보를 "신" 만이 조절할 수 있는지, 우리가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인데, 보여주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안에 있는 우리가 정보의 최소 단위를 조작할 수 있으니, 우리는 시뮬레이션안에 있는 시뮬레이션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게 합리적 판단이겠군요?
@minl
@minl 12 күн бұрын
양자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되고 양자컴퓨터에 버그를 일으키는 방법을 알게되면 그걸 현실에 대입해 밝혀낼 수 있지 않을까
@starycatz
@starycatz 3 күн бұрын
빛의 기본단위인 photon은 질량이 0임 이론상 질량이 0인 물체는 무한히 가속할수 있음 실제로 photon에게는 시간도 공간도 존재하지 않음 photon에게 우주는 하나의 점일뿐임 그러나 거시세계에서 빛의 속도는 초속 약30만km정도로 정해져있음 이것은 자연계가 정해놓은 한계속도임 또한 절대영도는 -273.15도로 한계가 정해져있음. 이러한 한계들은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는 강력한 증거가 됨
@Leekyunghwan100
@Leekyunghwan100 2 күн бұрын
도대체 이러한 규칙을 누가 정하는지 자연이 정하는건지 어떤 의지가 정하는지 궁금하군요.
@user-g4f6m
@user-g4f6m 12 күн бұрын
그럼 기본단위가 정보면 이게 어떻게 연산이 되어서 물질이 되는거지? 이걸 알면 모든 유기체든 무기물이든 그냥 복제가 되는거 아닌가?
@Aguagu825
@Aguagu825 12 күн бұрын
글게영 데이터가 뭔지? 현실 입자들의 움직임에대한 정보가 데이터인데, 현실의 존재없이 정보가 본질이라고 하다니. 내 언젠간 이 이상한 책상머리에 앉아 이상주의에 빠진 학계 (우주가 수로 이루어졌다는둥)를 뒤집어줄것이야
@brotherjin9725
@brotherjin9725 12 күн бұрын
뇌가 물질로 인식을 하는거지 촉각도 시각도 후각도 미각도 이런 정보 테이터가 있으면 이렇게 인식해라 뭐 이런식 ...뭐 블랙홀도 빨려 들어가면 정보만 남는다고 하니...
@톰아스피린-r8d
@톰아스피린-r8d 12 күн бұрын
​@@Aguagu825책상머리에 앉아있는건 님같네요 저 위대한 실험을 폄하하진 맙시다
@Aguagu825
@Aguagu825 12 күн бұрын
@천둥의븅신츄르 지나가셩 ^^ . 위대하다, 폄하맙시다 라는 단어에서 과학과 진리추구에 어울리지않는 지극히 인간적인 사고가 보여집니다 ^^
@starsong5054
@starsong5054 1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그냥 웃음
@게임나라-j1f
@게임나라-j1f 8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아마 자동으로 돌아가는 시뮬레이션 게임 속의 일부겠죠? 우리보다 훨씬 고등 한 어떠한 존재들이 돌리고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leeeejunki
@leeeejunki 12 күн бұрын
당신은 빨간약, 파란약 어느 걸 드시겠습니까?
@절물사려니
@절물사려니 4 күн бұрын
초록약은 없나요??
@헤라채널
@헤라채널 7 күн бұрын
오~ 요즘 최후의질문의 AC에 대해 생각중인데 AI와 나누웠던 이야기중 하나였음 !; 잘 보았습니다 ~^*^
@tofuski6985
@tofuski6985 12 күн бұрын
이대로라면 엄청난 파급효과가 생기겠네요 오늘 내용은 충격입니다
@아이스중독임
@아이스중독임 12 күн бұрын
저 개소리는 몇십년전터 있었음 개소리니까 입증이 안되지
@Acts29-
@Acts29- 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말 흥미롭게 봤어요. 불교도 그렇고 그리스도의 가르침과도 연이 닿는군요. 과학과 종교는 서로 상대적인것 같지만 근본은 같다는 생각이 드는 영상입니다.
@lehoonlee
@lehoonlee 10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주역에서는 음(- -,0) 양(ㅡ ,1)두개의 2비트 효를 3비트 양자얽힘적 중첩상태 1큐빗으로 배치 중간값을 가지는 (三건,☷곤)궤를 중심으로 각각의 64궤 경우의 수를 형성하고 3비트 양자얽힘 양자비트들의 궤로 8×8=64 또는 9×9=81 개의 미분적 매트릭스(마방진)를 형성한 평면이 x,y,z축으로 3차원 공간을 이루고 이3차원 매트릭스 공간이 4,8,64,128...로 기하급수적 분열을 하며 공간 그 자체가 복소수 허수시각축 i 방항으로 이동하며 벡터값을 가지는 포텐셜을 형성할때 우주가 어떻게 변하는지 각각 미분적요소의 객체들과 미분을 역으로 하는 부정적분적 우주와 인간의 문명은 어떤 운명을 가지게 되는지 그 경우수를 확률론적 측면 및 부정적분 측면에서 주역으로는 어떻게 풀이 되는지 점을치는 거지요. 지금의 2비트 방식으로는 수퍼컴퓨터로도 세월아 네월아 할거고.... 당골레(단군네)같은 인간의 뇌는 방울 몇번 흔드는 시간에 계산해 내던데... (참고) 곤(☰)괘는 순양 곤(☷)괘는 순음 건괘(☰)는 부친, 진괘(☳)는 장남, 감괘(☵) 는 중남, 간괘(?)는 소남 곤괘(☷)는 모친, 손괘(☴)는 장녀, 리괘(☲)는 중녀, 태괘(☱)는 소녀를 의미하지요. 그리고 그것을 뜻 글자로 표현한것이 한자지요 한자는 천부인 원방각 천지인 인내천 음양오행 철학에서 나온 9개의 기본 뜻소패턴을 9X9=81개로 조합 기본글자를 두고 이를 사물의 뜻에 맞게 배치 우리말 음을 넣어놓은것이 한자인겁니다. 고로 한글의 자모 조합원리만 알면 누구나 쓸수 있는것처럼 한자 조합원리를 알고 81개의 기본글자만 알면 모든 한자를 일일이 다외울필요가 없지요. 세종이 뜻 위주가 아닌 음가위주로 특화시킨것이 한글이지요. 하여 한글 모음에 천지인(ㆍㅡ ㅣ)이있고 자음에 원방각이(ㅇ ㅁ ?) 있는겁니다. (?)여기에 뭐가 들어가야 음양이 조화를 이룰까요? 그래서 어떤 사악한 자들이 (?)음소기호를 삭제해버렸지요. 오징어 게임에도 나오더구만... (?)기호는 사람을 상징합니다. 사물에 투영한것이 천부인 즉 청동거울(원) 청동방울9개(사각) 청동검(삼각)이지요. 그리고 청동방울은 문명의 기본물질인 금속조직의 기본입자 체심입방면체 격자구조를 의미합니다. 그 우주 원리를 도식화한게 선천8괘고 단순화하여 태극기에도 넣어 국기로 사용하고 있지요. 고로 주역이나 한자 유교가 현재 중공과는 아무상관 없는겁니다. 더불어 선교 도교 신교 대승불교 등등도 파생되었지요. 서양의 입자론적 물질론의 과학이론 철학은 생각의 한계에 달했으니 동양철학에서 답을 찾으세요. 결국 모든건 사람의 생각 마음에서 나옵니다. 결국 이 우주는 파동론적 유심론의 세계지요. 다만 입자처럼 보일 뿐입니다. 이걸 물질로만보고 접근하니 과학이 느낌적 느낌으로 믿고 따르며 신앙하는 미신이 되는겁니다. 그렇다고 서양입자론을 무시하면 안되고 현상세계에서는 그나름 의미가 있고 지금까지 문명을 이루어준것이니 포용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 해야지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karikoyu137
@karikoyu137 11 күн бұрын
입체적으로 상상해보자면 이런느낌이려나요? 3차원 어항속에 -1과 1이라는 정보가 붙어있는채로 가득차있는데, 그 속에 어떤 판을 넣으면 그 판이 -1과 1을 분리시켜서 1로만 이루어진 정보가 판의 한쪽면에 달라붙어있게 되고 그걸 우리는 입자라부르고 판의 모양을 본딴것을 시공간의 휘어짐으로 부르는
@간달프-h2d
@간달프-h2d 12 күн бұрын
ㄷㄷ무섭네 스미스요원이 이제 지식보관소햄 잡으러갈듯
@kwon-illee6362
@kwon-illee6362 12 күн бұрын
어쨰 스티븐 울프램 아저씨의 이론하고 맞닿아 있네요. 울프람 아저씨가 몇십년쨰 파고 있는게 얼추 모양이 잡혀가는 모양이던데 이런게 다른데서 튀어나오니 좀 무섭습니다.
@Hoons_1018
@Hoons_1018 12 күн бұрын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가설설정은 예술가들의 창작활동과 유사하다고 생각함
@deltax9471
@deltax9471 12 күн бұрын
오... 그러면 물질은 공간을 차지하는개 아니고 좀 이해하기 쉬운 영역에서 끌고와서 보면 전자기력으로 인해 내손이 책상을 뚫고 지나가지 못해서 물건을 인지하고 구분하눈 것인데, 애초에 내 몸뚱이 형태의 정보 모임이 일종의 홀로그램처럼 존재하고 책상의 홀로그램과 공간 좌표를 중첩해서 점유할수없는 그런느낌인건가...
@Ministeryofsound-w5k
@Ministeryofsound-w5k 9 күн бұрын
옥상에서 떨어지면 죽는게 아니라 진짜 현실로 돌으갈수있다
@Yorido_jua
@Yorido_jua 12 күн бұрын
모두 우주 평화를 위해 기도합시다 ❤ㅎ
@jaehoonjung4167
@jaehoonjung4167 12 күн бұрын
정보가 우주의 본질이면 기본 정보로부터 생성된 물질은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만 의미가 있고 정보만이 남는다고 볼 수도 있는데 이는 우리가 실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들이 정보로 존재하는 것이 확실하다면 이 또한 실재한다고 볼 수 있다는 의미로 확장될 수 있지 않을까? 예를 들어 영혼같은 것도 이전에는 그 존재를 믿지않았지만 영혼을 인간 객체를 통해 구현된 고차원적 정보라고 보면 인간 육체는 그저 영혼을 만들기 위한 도구이고 오히려 영혼은 정보로서 계속 남을 수 있다고 볼 수 있나
@raeghim9319
@raeghim9319 23 сағат бұрын
영혼을 그저 담기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완성에 가깝게 좀 더 다듬고 개선하는 도구일지도요. 현생은 영혼의 담금질?
@Limeunjae
@Limeunjae 12 күн бұрын
내 통장잔고에 30분에 100만원씩 늘어나는 버그나 좀 걸렸으면
@Moon-qd9nr
@Moon-qd9nr 12 күн бұрын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인지 알 수는 없지만 적어도 양자얽힘 상태의 정보를 기본 단위로 하는 시뮬레이션을 만듦으로써 이 세상의 복제품은 만들 수 있겠네... 의식을 업로드해서 영원히 살고 싶다.
@익명-k5i3l
@익명-k5i3l 12 күн бұрын
모쏠로 영원히 살아서 뭐하게요?
@철호-h4k
@철호-h4k 12 күн бұрын
@@익명-k5i3l 좀 치네
@alla-view
@alla-view 12 күн бұрын
의식이 있다는 상상
@user7639-x9s
@user7639-x9s 12 күн бұрын
신체 없이 의식만 영생이 의미가 있을까요... 의식이라도 영생하면 무한한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긴 합니다만...
@alla-view
@alla-view 12 күн бұрын
@ 신체가 당신의 의식 그 자체임. 신체를위해 당신의 의식이 존제함. 단편적 예로 당신의 신체에 엄청나 고통이나 자극을 준다면 당신의 의식이 망가짐.
@MoMo-pm8tr
@MoMo-pm8tr 8 күн бұрын
이게 시뮬레이션우주라면 치트키좀주셍요..
@insunghan7120
@insunghan7120 12 күн бұрын
와 브룩헤이븐 제가 다니고 있는 연구소에요
@디디-p7d
@디디-p7d 10 күн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덕분에 세상을 더 잘 알게 되었어요 !!!
@유우정-o2n
@유우정-o2n 11 күн бұрын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의 연구와 QCD 얽힘 엔트로피에 대한 논문을 기반으로 한 설명이지만 몇 가지 오류와 논리적 비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브룩헤이븐 국립연구소의 연구 주장 문제점: "우주의 기본 단위인 원자가 사실 입자가 아니라 시공간 데이터에서 양자 얽힘 상태로 발생했다"고 주장하지만, 논문에서는 양자 색역학(QCD)에서 얽힘 엔트로피를 기반으로 양성자 내부 구조와 하드론의 엔트로피를 설명한 내용입니다. 원자나 시공간 데이터에 대한 논의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논리적 비약: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원자와 시공간 데이터의 얽힘이라는 주제로 과도하게 확장된 듯합니다. 2. 강한 핵력과 얽힘의 관계 문제점: 강한 핵력과 얽힘 엔트로피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강력(글루온)을 입자적 결합으로 설명하며 이를 얽힘 정보로 단순화했습니다. 오류: 강력은 입자(쿼크)를 결합하는 역할을 하며, 얽힘은 시스템의 양자 상관성에 대한 정보입니다. 둘은 물리적 특성이 다릅니다. 3. 쿼크의 본질을 정보로 정의 문제점: 쿼크를 "정적인 입자가 아니라 시공간과 상호작용하는 동적 데이터의 패턴"이라고 단정했습니다. 논리적 비약: 쿼크의 물리적 관측 결과(예: 색가둠 현상)를 정보의 패턴으로 단순화하는 것은 실험적 근거를 무시한 지나친 추론입니다. 4. 양자 얽힘과 이중슬릿 실험 문제점: "쿼크가 이중슬릿 실험에서 얽힘 정보로 간섭 무늬를 만든다"고 설명했지만, 이중슬릿 실험은 전자나 광자 같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을 보여주는 실험입니다. 오류: 쿼크는 직접적으로 이중슬릿 실험의 주체가 아니며, 관련 실험도 없습니다. 5. 결론의 과장 문제점: "우주의 기본 단위는 입자가 아니라 데이터라는 것이 증명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오류: 연구 논문은 얽힘 엔트로피가 QCD에서 양성자와 하드론 구조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결론을 내렸지, 우주 전체의 기본 단위가 데이터라는 주장은 논문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과학적 연구 결과를 대중적으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과도한 해석과 논리적 비약이 많습니다. 논문은 양성자 내부의 얽힘 엔트로피 진화를 다룬 것이지, 우주의 기본 단위를 정보로 재정의하거나 시뮬레이션 우주를 증명하는 내용이 아닙니다. 따라서, 오해를 줄 수 있는 부정확한 정보와 과장된 결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Nick-qv6uo
@Nick-qv6uo 11 күн бұрын
그냥 잘 모르는 주인장이.. 엔트로피만 보고 정보이론쪽으로 생각하고 Data라고 결론지은듯 합니다.
@JAMBU-y6j
@JAMBU-y6j 9 күн бұрын
아는 척 좀 해보겠다고 이게 뭔 말장난인가 쿼크가 최소 단위라는 것 마저 과학의 한계 안에서의 추측 일 뿐이고 쿼크와 강한 핵력 관계를 양자 얽힘으로 이해할 때 자연스럽고 타당하다는 이 쉬운 설명을
@이름-k8h1z
@이름-k8h1z 9 күн бұрын
그럼 해당 영상은 사실이 아니라고 이해해도 되나요?
@련스
@련스 9 күн бұрын
유튜브 영상보다 이 댓이 더 신뢰가 가네
@탐구자-x2b
@탐구자-x2b 9 күн бұрын
​@이름-k8h1z 네. 우주는 없으며, 궁창, 돔으로 막혀있고 세상은 평평합니다. 둥근 원형이고 그 끝은 얼음벽으로 막혀있어요. 이것이 진실입니다. 우주산업은 사람들에게 우주속 먼지라는 생각을 넣기 위한 장치일 뿐입니다.
@Astazantin
@Astazantin 12 күн бұрын
뒷바침에 받침이 빠진듯ㅋㅋㅋㅋ항상 잘보고있슴다 지보님
@강승현-q8q
@강승현-q8q 11 күн бұрын
정보가 뭔지 정의되지 않아 처음부터 끝까지 의구심만 커지는 것 같아요
@raeghim9319
@raeghim9319 23 сағат бұрын
빅뱅에 의한 빛의 파동입니다.
@이현주-x8i8v
@이현주-x8i8v 7 күн бұрын
어릴적 엄마가 점을 보고와 대충 설명했는데..내인생이 거의 똑같이 흘러감..ㅋ
@seolhs
@seolhs 12 күн бұрын
이거 엊그제 다른 유튜브에서 봤던 무슨 가설과 비슷한 거 같은데 거기서는 정보 자체가 곧 질량이라고 주장하는 가설 설명해주던데 그럼 그게 맞는 건가 보네요 ㄷㄷ
@지산장여관
@지산장여관 12 күн бұрын
링크좀~ 궁금해잉
@green_dollar_sign
@green_dollar_sign 12 күн бұрын
여기선 질량(=입자) 은 양자얽힘된 시공간, 즉 정보라는거 같은데요
@20000s
@20000s 12 күн бұрын
kzbin.info/www/bejne/pmG2oXuEqrdnqposi=4KLnwOOP2Oh8k1Ty
@seolhs
@seolhs 12 күн бұрын
@@지산장여관 정보 물리학 이야기였어요
@seolhs
@seolhs 12 күн бұрын
@@green_dollar_sign ? 정보가 질량이다, 질량이 정보다 이 두 가지가 다른 명제라는 거임? 무슨 말이 하고 싶은 거임? ㅋㅋ
@ajaeo
@ajaeo 10 күн бұрын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현상계 우주와 세상(실존이든 시뮬레이션이든 간에)은 분명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인고, 우리는 그 안에 피조물일 꺼란 생각이 듭니다.
@일반인-w2f
@일반인-w2f 11 күн бұрын
우주의 본질을 찾으면 우주가 리셋됩니다
@Dingo3
@Dingo3 12 күн бұрын
난 이렇게 생각함. 우리는 시간과 공간이 따로 떨어질 수 없다는 걸 알았고 그걸 시공간이라 함. 물질과 공간이 또한 따로 존재 할 수 없음. 물질 자체가 공간이고 공간이 곧 물질임. 따라서 물질 또한 곧 시간. 물질, 공간, 시간은 하나이며, 따로 떼어 분리 할 수 있는 것이 아님. 인간의 기준의 지각 능력으로 이걸 따로 구분지으려 하니 자꾸 잘못된 방향으로 생각 하는 것. 우리가 과거로 시간여행을 할 수 없는 이유. 물질(나 자신)만 따로 시간과 공간을 떼어 버리고 이동 할 수 없음.(모순이 생김) 나 자신이 이 거대한 시스템의 일부이자 그 자체임.
@LOL-fd2lz
@LOL-fd2lz 12 күн бұрын
게임이랑 똑같네 ㅋ 빽섭하면 시간(레벨업)과 물질(아이템) 모든게 되돌아감. 시간만 따로 빽섭하지는 않지
@Corea장미
@Corea장미 7 күн бұрын
형 천재 와우
@boralee_kr
@boralee_kr 12 күн бұрын
(아이작 아시모프 최후의 질문) 이후 질문을 던진 인간은 사라지고, 엔트로피는 최대치가 되어 시공간 역시 그 의미를 완전히 상실한다. AI 혼자 남아 인간들이 던지고 간 최후 질문의 답을 찾으니 들을 이가 없었지만 데이터찐천재가 된 AI에게 그것은 문제가 아니었다. "빛이 있으라. 그러자 빛이 있었다." 이런 시뮬레이션??
@찰리망고-b4x
@찰리망고-b4x 12 күн бұрын
불교에서 물질은 궁극적으로 있는것도 아니고 없는것도 아니다 라고 했는데 양자역학을 염두에 두고 말씀하셨나..ㅋ 아무튼 불교에선 이 우주에 지구시간 기준으로 백만년 사는존재, 천만년 사는존재, 일억년 사는 존재도 있다고 함..지금 우리입장에선 도저히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치부 할수 있지만 그렇다고 함..그리고 동양철학에선 지구에서 일어나는 큰사건은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걸 바꾸기는 힘들다고함..그렇다는건 미래는 우리가 기다려야 오는 사건이 아니라 이미 지나간 과거일수도 있고 현재 일수도 있음..
@thrma0518
@thrma0518 12 күн бұрын
태초에 말씀이 계시니라...
@학생증-r4l
@학생증-r4l 12 күн бұрын
그 말씀이 정보였구요.
@靑_花
@靑_花 10 күн бұрын
그럼 시크릿 책에 나오는 끌어당김의 법칙이 진짜라는 거네.. 인간도 인간이 만들어낸 물질도 결국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최신 논문들의 관점으로 다시보는 시뮬레이션 우주론
25:43
Мен атып көрмегенмін ! | Qalam | 5 серия
25:41
How to treat Acne💉
00:31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1초에 3억짜리 슈퍼볼을 수놓은 병맛 광고
5:48
스탠퍼드 뇌과학자가 깨달은 자아의 충격적인 진실
15:38
충코의 철학 Chungco
Рет қаралды 37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