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간 물리학자들 머리 쥐어뜯게 만든 난제.. 드디어 밝혀진 실험 결과 (+그동안 잘못 알려진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860,969

긱블 Geekble

긱블 Geekble

Күн бұрын

[문과vs이과 : 끝장탐구]
뜨거운물 vs 차가운물, 어느 쪽이 더 먼저 얼까요?🧊
이과라면 정답을 대부분 알고 계시죠?ㅋㅋㅋㅋ😉
이 아이러니한 현상을 가지고 문과를 한번 골탕먹여 보겠습니다ㅋㅋㅋㅋㅋㅋ 문과 딱 대!
-
긱블의 공대감성이 맘에 든다면?
긱블이 직접 개발한 키트🛠️로 메이킹 도전하기 : bit.ly/3UNg7RW
긱블팬이라면 모두!
긱블이랑 “카카오 플친” 맺기📬 : pf.kakao.com/_...
-
긱블 카페 : cafe.naver.com...
긱블 채용정보 : geekble.team
-
🎨긱블러 인스타그램
갈퀴 / geekble.galque
카프 / geekble_coff
팡 / _j.pang

Пікірлер: 1 700
@geekble_galque
@geekble_galque Жыл бұрын
55년째 학계를 떠들썩하게 하고 있는 논란의 논문(사실은 에세이) 직접 보러가기! 👉iopscience.iop.org/article/10.1088/0031-9120/4/3/312 뜨거운 물이 먼저 어는 실험에 ‘직접’ 성공한 분이 계시다면, 실험 조건과 방법을 꼭 제보해주세요! 저도 너무 해보고 싶어요!!🥛🧊😃 - 영상이 길이가 너무 길어질까봐 다 담지 못 했던 썰✍ 저는 어릴 때 ‘왜요?’라는 질문을 달고 살았습니다. ‘물은 왜 어는 거지?’, ‘태양은 왜 뜨거운 거지?’, ‘식물은 어떻게 자라는 거지?’ 진짜 그냥 궁금했습니다. 그런데 ‘왜요?’를 입에 달고 살다가 한 번은 선생님께 크게 혼난 적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선생님은 제가 선생님을 놀린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질문은 대략 이런 식이었을 겁니다. - 갈퀴 : 형광등은 왜 밝아요? - 선생님 : 전기가 통하기 때문이지 - 갈퀴 : 전기가 통하는 건 뭔가요? 전기가 형광등에 들어가면 어떻게 되나요? - 선생님 : 불이 켜지지 - 갈퀴 : 왜요? - 선생님 : 음… 형광등 안에 형광물질이 있어서 전기가 통하면 빛이 나지 - 갈퀴 : 형광물질은 왜 밝아요? 전기가 통하면 밝아져요? 왜요? - 선생님 : 지금 선생님 놀리는 거? - 갈퀴 : ㅇ_ㅇ? (제가 선생님이어도 귀찮았을 것 같긴 함ㅋㅋㅋ) 제가 ‘왜요?’라는 질문을 할 때마다 가장 많이 들은 답은 ‘그건 원래 그런거야’라는 말이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그 말이 너무 싫었습니다. 이미 알고있는 것 이상의 생각할 거리를 모두 차단해 버리는 말이었기 때문이죠. 모두가 ‘원래’ 지구는 가만히 있고 우주가 회전한다고 이야기 할 때 ‘지구가 회전하고 있는 걸 수도 있지 않을까?’라고 코페르니쿠스가 이야기하지 않았더라면, 모두가 ‘원래’ 물건은 땅으로 떨어진다고 이야기 할 때 ‘왜 사과는 옆이 아닌 아래로만 떨어지는 걸까?’라고 뉴턴이 질문하지 않았더라면 모두가 ‘원래’ 모든 물질은 입자라고 이야기 할 때 ‘입자이면서 동시에 파동일 수도 있지 않을까?’라고 슈뢰딩거가 의심하지 않았더라면 오늘날 우리의 삶은 지금과는 분명 많이 달랐을 겁니다. 모든 과학은 이런 원초적인 질문으로부터 시작했습니다. 질문을 하는 순간에 탐구와 발견이 시작되었고 역사의 수레바퀴가 굴러가기 시작했습니다. 이 모든 순간은 누군가의 사소하고 엉뚱한 질문으로부터 시작했습니다. ‘원래’ 그런 거 ‘당연히’ 그런 거 ‘예전부터’ 그런 거 오늘부터 이런 것들에 한번쯤은 의심해보고, 의문을 품고, 질문을 던져보면 어떨까요? 모든 솔직한 질문이 놀림 받거나 비웃음 거리가 되지 않는 세상이 되길 바라는 이과 갈퀴였습니다! 이-바!😉 - 근데 그.. 탄자니아 진짜 가요?
@차민석-b9t
@차민석-b9t Жыл бұрын
이럴 때 쓸 수 있는 말을 알고있는데 "긱블이 해주겠죠?"
@podonamu1764
@podonamu1764 Жыл бұрын
에이 긱블인데~~~ 설마~~
@xorgate7
@xorgate7 Жыл бұрын
제가 선생님이었다면… 갈퀴: 형광등은 왜 밝아요? 나: 밝다는 게 뭘까? 갈퀴: 밝다는 건…
@카라괴즈
@카라괴즈 Жыл бұрын
리처드 파인만한테 혼나고 오셔야겠네 ㅋㅋㅋ kzbin.info/www/bejne/aaTQlGqgl7qDn6c
@김윤만-z1s
@김윤만-z1s Жыл бұрын
굳이 탄자니아까지 가서 이 실험을 하는 뻘짓을 할 필요가 있을까요?
@yyongdal
@yyongdal Жыл бұрын
음바페 폼 미쳤다
@fkfn-dz5gp
@fkfn-dz5gp Жыл бұрын
0:45?
@geekblekr
@geekblekr Жыл бұрын
탄자니아 같이 가실까요?
@owoeokdjdk28
@owoeokdjdk28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평범한_부계정
@평범한_부계정 Жыл бұрын
​@@geekblekr 가시죠?
@thisiswarthunderbXXXch
@thisiswarthunderbXXXch Жыл бұрын
그냥 음펨바라는 학생 당시 회고처럼 끓인우유랑 그냥우유로 실험하면...
@aigotitfighter6282
@aigotitfighter6282 Жыл бұрын
좋은 실험 잘 봤습니다 ^^ 다만, 저도 밑에 김도현님께서 말씀하신 변인통제가 좀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은 0도씨에 바로 얼지 않고 -40도까지 과냉각되어 액체 상태로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 구름속에서 빙정이 성장하는 과정도 과냉각 수적과 빙정의 충돌로 일어나는 과정이며, 마그마가 굳어서 광물이 생성될때에도 이 과냉각은 중요하게 받아들여집니다. 좀 쉽게 설명하자면 과냉각된 물에 충격을 주면 바로 고체로 바뀝니다. 앞선 영상에서 보였던 갑작스럽게 얼음이 쫙 생기는 현상도 과냉각된 물이 순간적으로 고체가 되는 현상입니다. 다른 예시를 들자면 예전에 많이 사용하던 주머니 난로인데요.. 과냉각 액체가 들어있는 팩속에 있는 금속 똑딱이를 누르면 갑자기 액체가 고체가 되면서 열을 발생하는것 보신적 있을겁니다. 그래서 결론은 과냉각된 액체에 충격을 주면 고체로 바뀌기 때문에 이런 실험에서는 계속 온도계를 넣었다 빼거나 비커나 컵을 움직이는 행위는 실험 결과를 바꿀만하다고 보여집니다. 항상 재미있는 실험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드리고 존경합니다 ^^
@채버애
@채버애 Жыл бұрын
주머니 난로는 과포화 아닌가요???
@Tetra1
@Tetra1 Жыл бұрын
실험에서 표면적이 작기때문입니다 표면적을 넓히면 되는거에요 뜨거운 물뿌리는것도 표면적을 넓히면서 증기 팽창으로 표면적을 넓히고 급격한 냉각을 하게되어 차가운물을 뿌리는것보다 휠신 잘얼게되는겁니다 그래서 이 실험에서 그러한 효과를 제대로 얻으려면 넓은용기에 얇은 깊으로 담는다면 그나마 효과를 보겠지만 알반 용기에 담아 실험하는것은 뿌리는것처럼 아주 넓은 표면적으로부터 빨리어는 효과를 얻기 힘들어 차가운 물이 더 빨리 어는겁니다
@babcho7793
@babcho7793 2 ай бұрын
실기간ㅇ로 보여주기 위한것도 있겟지맘 실험과정이 독립적인것에 약간의 의문이 있네요
@pahkk
@pahkk Ай бұрын
뜨거운 물을 뿌렸을때 expansion 현상이 일어나 순간 과냉각을 유발했을까 생각됨. 더 빨리 얼수있는 물리적 조건을 형성해서 화학적 현상이 빨리 일어난 현상?
@이현동-y1u
@이현동-y1u Жыл бұрын
마음을 복돋아주면서... 대학원의 길로 끌어들인 교수님...
@Thisismyplayground
@Thisismyplayground Жыл бұрын
?ㅋ
@쌀떡국
@쌀떡국 Жыл бұрын
??ㅋㅋ
@robinhi8589
@robinhi8589 Жыл бұрын
어어 야발
@써니맘-d2t
@써니맘-d2t Жыл бұрын
대학교 5학년..
@lamang378
@lamang378 Жыл бұрын
어..어...?
@서포터-h5f
@서포터-h5f Жыл бұрын
나 조금 충격적인게 이 채널 수준이 공대생 논문수준도 못미친다는거에 충격임. 초딩들이 할 만한 놀이를 실험이라고 하는게 .. 변수들 통제 거의안하고 조건도 매번다르고 저 계속 찔러대는 온도계 하며.. 긱블소속원들 이영상보면 안부끄러우려나.. 어쨋든 신뢰감 0이네. 일상생활에선 걍 찬물얼리는게낫겟다 정도의 정보..
@프리즘-e8r
@프리즘-e8r Жыл бұрын
진짜ㅋㅋ 비커에 넣었다가 페트병에넣었다가 냉장고에놨다가 길바닥에놨다가 또한 내용물 전체가 어는걸 확인한건 처음에 냉장고실험뿐 심지어 녹화실패
@채파리-g4q
@채파리-g4q Жыл бұрын
만약 갈퀴님이 탄자니아로 가게 된다면 제안을 하신 빽곰님이 카메라맨으로 따라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yabawiman
@yabawiman Жыл бұрын
그냥 양쪽에 온도계 다 꽂아놓지 계속 왔다갔다 하면서 휘젓네..
@코작은코알라
@코작은코알라 2 ай бұрын
끝까지 보슈
@강창덕-n4r
@강창덕-n4r 2 ай бұрын
변인통제가..
@123abcxyz4
@123abcxyz4 2 ай бұрын
아니 얘네 진짜 과학전문으로하는애들맞냐?? 저추운곳에서 뜨거운물 유리컵에 박으면 당연히 깨지지 변인통제도 걍 하나도안되고 애들장난치듯이 실험하고 영상올려놓네
@1224terror
@1224terror 2 ай бұрын
얘네 영상보면 문과가 봐도 머저리같은 짓거리들 꽤 많음
@huynwoo90
@huynwoo90 Ай бұрын
​@@123abcxyz4그럼니가 쳐 실험하던가 음펨바는 고작 중딩따리가 아이스크림 먹고싶어서 만들다 나온 결과인데 변인통제가 되었겠냐 그집냉장고에 뭐가들어있는지나 알고? 또 냉동실 찬바람 나오는 곳에 뜨거운거 두고 좀먼곳에 차가운거 뒀다가 나온결과일거란 생각은 안해봄? 우연의 산물에 변인 어쩌구하면서 고생해가며 이런저런 환경 바꿔가며 결과값 얻으려고 노력한 사람한테 할 소리냐? 한심하게 키보드 워리어질 하지말고 그렇게 잘 알면 니가 실험해서 영상 올려라
@code_Soo_hyeon
@code_Soo_hyeon Жыл бұрын
위 실험의 진짜 목적은 어떤 변수를 넣어야 위 조건이 실행되는가 를 찾는게 진짜 목적 아닐까 싶음
@머드크랩
@머드크랩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열심히 공부했던 너의 지식이 곧 재산이란다~~ 이런건가요 ㄷㄷ
@박덕수-q9p
@박덕수-q9p Жыл бұрын
@@머드크랩 약간 물의 양도 중요하지 않을까요? 뜨거운물이랑 차가운물 아주 소량으로 실험하면 뜨거운물은 식기 전에 증발하면서 얼음의 양은 적어진다 이런것도 가능할꺼 같은데
@loleiha6574
@loleiha6574 Жыл бұрын
그런듯. 영상 자체의 목적이 음펨바 효과가 사실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실험조건과 논리와 환경이 잘못될 수 있는데 그러한 바탕위에서 실패를 넘어 진리를 찾는, 즉 과학을 탐구하는 과정을 보여주려는게 목적인듯함. 영상에 나온 사람 모두 음펨바 효과가 사실이라는 건 이미 알고 있는 상황으로 보임
@한대흐
@한대흐 7 ай бұрын
​@@박덕수-q9p 실제로 얼려야 하는 액체량이 줄어들어 들어서 빨리 얼은거 아님?
@김진표-f4f
@김진표-f4f Жыл бұрын
역시 교수님은 질이 다르시네 학문으 대하는 태도에서 틀렸다고 말하기 보다 관점과 의도를 더 중시하시는게..역시 리스펙
@podonamu1764
@podonamu1764 Жыл бұрын
갈퀴님 성과급이나 격려급이라도 지급해주세요 요즘 거의 다 갈퀴님 영상이네요! 그것도 거의다 재밌고 유익한 영상이고요 ㅎㅎ
@0124gb
@0124gb Жыл бұрын
ㄹㅇ 그래야할 듯
@half_bottle
@half_bottle Жыл бұрын
ㄹㅇ
@half_bottle
@half_bottle Жыл бұрын
요즘 추퀴 폼 미쳤다
@yamae_J
@yamae_J Жыл бұрын
성과의 댓가로 탄자니아 여행을....
@YOO-lc7fy
@YOO-lc7fy Жыл бұрын
추퀴 근래 ㅈㄴ열심히하는거 호감임 ㅋㅋ
@김도현-i4v9x
@김도현-i4v9x Жыл бұрын
멋진 실험 잘 봤어요. 실험 중 두가지 정도 더 통제해야 하는데, 첫 번째는 실험 도중 어떠한 추가 접촉이 없어야 합니다. 접촉식 온도계를 물 속에 담가서 온도를 재는 행위 자체가 단열환경이 깨지게 됩니다. 온도계가 열을 전달하거나 뺏아가기 때문에요. 두번째로 물이 담긴 비커가 움직여서도 안됩니다. 이것도 주변과 열교환이 가속되거나 느려지는 원인이 되며 특히 0도에 도달해서 얼음 결정이 생길 때 물분자의 움직임이 바뀌어 얼음결정이 자라는데 방해효과를 발생시킵니다. 꼭 다시 한번 제대로 통제된 재실험을 보고싶네요.
@sehun1717
@sehun1717 Жыл бұрын
뇌피셜 같은데
@Coding-CA
@Coding-CA Жыл бұрын
@@sehun1717 뇌피셜이아니라 실험환경에 제대로 통제되지 않은것이 맞습니다. 저도 실험영상을 보면서 해당부분이 상당히 아쉬웠고요. 최대한 실험환경을 통제하기위해 비접촉 온도계를 사용하는게 더욱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beom-seokko7600
@beom-seokko7600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이지만, 그렇다고 실험 결과를 뒤집을 정도의 큰 차이가 아니기에 무시 할정도의 오차에 불과 하다고 생각함. 그보다 더 근본적인무언가..예를들면 정의를 비틀어서 이해하는 말장난..같은게 있어야 할것 같아요.
@aigotitfighter6282
@aigotitfighter6282 Жыл бұрын
일리 있는 말씀이십니다.
@interprokeirin_is_so_sexy
@interprokeirin_is_so_sexy Жыл бұрын
​@@sehun1717 변인통제가 안된건 사실이잖아요; 뇌피셜 문제가 아니고
@A_cantabile
@A_cantabile Жыл бұрын
열역학에 따르면 물질의 상태(고체,액체,기체)는 온도와 압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의 시간대별 온도그래프를 보면 0도씨(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화)구간을 뜨거운 물이 먼저 통과하는데요 이는 뜨거운 물 쪽의 기압이 낮은 조건이 아닐까 합니다. 갈퀴님이 진행하신 모든 실험이 오픈되어 있는(대기압과 유사한) 환경으로 실험 하셨는데 유리병의 입구를 막는 식으로 실험 환경을 구성한다면 온도 하강에 따라 뜨거운 물 쪽이 기압이 더 낮아지고 더 빨리어는 실험환경이 조성될것 같습니다.
@sangminlee868
@sangminlee868 Жыл бұрын
엄청 설득력 있네요. 이게 정답일지도?
@user-tv7pe3vi8e
@user-tv7pe3vi8e Жыл бұрын
맞네 온도 변화에 따른 기압 문제가 있네요.
@정명구-f6z
@정명구-f6z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온도계는 애초에 넣어놓고 측정
@alloffantasy
@alloffantasy Жыл бұрын
저도 상변화 곡선 생각과 계분리 생각했는데요 ㅋㅋㅋ궁금하긴 해요 ㅋㅋㅋㅋㅋ열전대 달고 테스트하시지
@ashmings
@ashmings Жыл бұрын
뜨거운쪽의 기압이 더 높아지죠 아무래도 수증기가 된 물이 압력을 높여줄테니 그리고 압력이 높아진다는건 끓는점과 어는점이 함께 올라가게 되니 상당히 일리있는 말입니다
@noahwhite3964
@noahwhite3964 Жыл бұрын
음펨바효과는 실제 특정한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효과임에도 많은 사람들은 일부분만 보고 무조건 뜨거운 물이 잘 언다고 합니다. 예전에 진짜 답답했던 적이 있었는데요. 겨울에 하수구에 물은 내려야 하고 파이프가 짧은 구간이었는데, 도중에 어는 걸 방지하려고 뜨거운 물을 넣으려고 했었는데 주변에서 뜨거운 물이 빨리 언다면서 바보 만들었던적이 있었는데 말이죠. 진짜 음펨바만 생각하면 10년도 넘었지만 이게 다들 틀린 정보로 알고 있어서 아니라고 말한 거 뿐이었는데 그 당시에 중학생이기도 하였고, 다들 저를 바보 만드니깐 자존심 상하고 나중에는 우기는 형태로 가서 서로 감정까지 소모 했었던 게 기억이 나요. ㅎ 그래도 요즘은 스마트폰이 있어서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어서 이런 억울함은 이제는 없을 거 같기도 하네요. ㅎ
@무상검
@무상검 Жыл бұрын
온도를 잰다고 온도계로 물의 움직임을 주는것은 실험결과에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온도재는건 비접촉식으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이것이 아주 중요한 요건이 아닐지. 온도란건 결국 분자의 움직임을 뜻하니깐요.
@나노나노
@나노나노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하는게 액체가 과냉각되면 작은 충격에도 물이 바로 얼어버리죠. 그런데 아무래도 차가운물이 더 천천히 온도가 하락해서 더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져서 과냉각이 쉽게 되고, 뜨거운 물은 그렇지 않아서 빨리 얼 수도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다보니 온도측정을 위해 자꾸 쿡쿡 찌르는게 신경쓰이네요
@miriyalee2512
@miriyalee2512 Жыл бұрын
네 저도 이 부분 많이 신경쓰였습니다. 동의합니다.
@원영정-g6f
@원영정-g6f Жыл бұрын
좋은 실험 잘 봤습니다 제 짧은 생각으로는 밀봉의 차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낮은 기압에 물이 빨리 끓듯이 높은 온도에 물을 밀봉해서 얼리게 되면 물이 없는 공간이 수축하게 되어 가압을 낮추는 효과로 물을 빨리얼게 가속화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mindeulrae
@mindeulrae Жыл бұрын
중요한 것은... 음바페의 마음
@llllIIIIllllIIIllllIIIIIIIllll
@llllIIIIllllIIIllllIIIIIIIllll Жыл бұрын
음펨바아님?
@tenz_e
@tenz_e Жыл бұрын
님이 뭔데
@tenz_e
@tenz_e Жыл бұрын
음바페는 축구선수고
@myway20638
@myway20638 Жыл бұрын
드립은 드립으로 봐라..
@BummjunJoe
@BummjunJoe Жыл бұрын
드드봐
@김까리-c4y
@김까리-c4y Жыл бұрын
과냉각 관점에서보면 가능할것같습니다 과냉각은 분자구조가 매우 안정된상태에서 결정의 핵이 만들어지지 않아 응고점 이하로 떨어저도 액체상태로있는현상으로 -4도 환경에서 찬물은 거의 0도에 가까운 진동또한 거의 없는 환경에서 실험해보면 나타날수있을듯 합니다 가장좋은 실험장소는 외기온도 -10~-4도정도될때 주차된 자동차안에서 실험을 진행하면 100%까지는 아니라도 80%이상 발생할거라생각합니다
@후야-r4p
@후야-r4p Жыл бұрын
호기심, 또는 의구심을 가지고 수많은 연구 과정을 통해 우리가 아는 과학적인 지식을 쌓게 만들어주신 전세계 수많은 과학자님들께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가슴이 웅장해지네요. 모든 건 호기심에서 시작된다. 이 단순한 진리가 새삼 대단해보입니다.
@mshqwer
@mshqwer Жыл бұрын
그치만 갈퀴는 가야된다 ㅋㅋㅋ
@대부호-u8d
@대부호-u8d Жыл бұрын
일단 뜨거운물 차가운물 온도 기준이 없음..차가운 물이 그냥 1도시 정도 물이면 바로 얼어버릴건데 무슨 의미가
@Lena-07
@Lena-07 Жыл бұрын
대학생 때 음펨바 효과가 항상 뜨거운 물이 빨리 어는게 아니라고 하고 아직 밝혀진게 거의 없다고 알려진걸로 들은 기억이 있는데
@ShiningColdRice
@ShiningColdRice Жыл бұрын
맞음 아직 왜그런지모름 조건이 워낙 까다로워서
@seongheonkim547
@seongheonkim547 Жыл бұрын
현상을 재현해보려는 실험정신에 너무 멋지고 전달하려는 메세지가 너무 멋지십니다.
@kri8142
@kri8142 Жыл бұрын
갈퀴님 실험은 언제나 정확해야 하죠 그니까 탄자니아 갑시다
@Ecoclouds
@Ecoclouds Жыл бұрын
지나가던 대학원에서 음펨바 현상 연구한 a저씨입니다. 음펨바 현상은 '과냉각수의 빙결정 형성 시점 '에 관한 실험입니다. 물이 얼 때 0도씨에 도달하고 바로 어는 것이 아니라 -2~9 도씨 까지 과냉각 된 후 빙결정이 생성되고 0도씨로 온도가 상승하는 과정이 포함됩니다. 즉, 과냉각 현상이 필요하며, 과냉각을 만들기 위해서는 실험에 조건이 필요합니다. 1. 증류수를 사용하여 실험한다. 이 실험은 '빙결정'에 관한 실험입니다. 과냉각이 깨지면서 빙결정이 형성되는데, 증류하지 않은 물을 사용하게 되면 그 안의 불순물들이 빙결정역할을 대신하여 당연히 차가운 물이 더 빨리 얼게 됩니다. 반면, 증류수로 실험을 하게 되면 빙결정이 형성되는 시점을 찾을 수 있으므로 뜨거운물과 차가운물, 둘 중에 어떤 쪽이 빙결정이 빨리 형성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냉각온도는 너무 낮지(급속냉각) 않은 온도로 설정한다. 음펨바 현상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5~-18도 사이 온도가 적정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온도가 너무 낮아지게 되면 과냉각현상 없이 물이 얼어버리기 떄문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과냉각을 발생시키기엔 너무 낮은 온도입니다. 3. 40도씨 물과 20도씨 물로 비교 100도씨 물과 30도씨 물로 음펨바현상이 발생 가능한지 모르겠으나, 안 되실 경우 온도 차이를 좀 낮춰서 진행해보시길 바랍니다. 0도씨까지 도달하는 온도가 비슷해야 해당 현상이 발생할 것입니다. 위 조건을 통제하면 음펨바 현상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Жыл бұрын
와 식견. 존경 ㄷㄷ
@알면다쳐-b1y
@알면다쳐-b1y Жыл бұрын
음펨바는 그냥 물이라자나요. 거기에 증류수가 왜 나옵니까?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Жыл бұрын
@@알면다쳐-b1y 교과서좀 봐얄듯
@asrock767
@asrock767 Жыл бұрын
​@@알면다쳐-b1y 님은 "증류수" 가 무엇인지 제대로 모르면서 댓글을 달았어요. 증류수 에서 '수' 는 한자로 '물 수' 자고요. 이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증류수가 그나마 가장 순수한 H2O에 가깝기 때문에 "불순물" 이라는 변인(변화를 주는 요인)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모르면 반박을 할게 아니라 검색을 하시거나 배우려고 노력을 하세요.
@마르코리오잘삽시다
@마르코리오잘삽시다 11 ай бұрын
​@@알면다쳐-b1y증류수가 물이다..
@pang_pangpang
@pang_pangpang Жыл бұрын
천방지축 갈퀴의 모험~
@volcanoTV01
@volcanoTV01 Жыл бұрын
갈퀴님을 탄자니아로 보내버리십시다
@나이스ww
@나이스ww Жыл бұрын
​@@volcanoTV01 탄자니아로!
@leeshmd
@leeshmd Жыл бұрын
음펨바 실험 직접 해본 사람 입니다. 실험 조건에 따라 음펨바 현상은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합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음펨바가 잘 나타나는 조건은 물 표면에 닿는 냉기로 인해 물이 냉각되어야 하고 다른쪽으로는 냉각되면 안 됩니다. 따라서 옆면과 아랫면이 먼저 냉각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그래서 아랫면에 스티로폼을 깔고 그 위에 플라스틱 그릇을 올려 실험하였을 때 음펨바 현상이 잘 나타났었습니다. 그리고 찬물 따로 뜨거운물 따로 해서 실험하는 것보다 찬물과 뜨거운물을 한 공간의 냉장고에 넣고 실험하면 더 잘 됩니다. 그 이유는 뜨거운 물이 냉장고에 들어가면 주변 공기도 더워지기 때문에 사실상 한동안은 찬물의 냉각이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물론 이러한 상태가 되려면 냉동실에 다른 물건이 없어야 합니다. 다른 물건이 있다면 공기가 쉽게 더워지지 못하겠죠. 이런 상태를 만드는 것은 좀 꼼수인 것 같긴 하지만 이런 상태라 하더라도 더운물이 더 빨리 언다면 음펨바 현상은 분명히 존재한다는 걸 부정할 수 없죠. 저는 개인적으로 음펨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물이 4도에서 가장 부피가 작아지고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부피가 오히려 커지기 때문에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과 연관 있지 않을까 하는 가정을 가지고 실험했습니다. 즉 균질하게 식은 찬물을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냉기가 쉽게 아래로 전달되지 못하는 반면 뜨거운 물에서는 급하게 식는 바람에 균질하지 못하여 대류의 움직임이 계속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냉기가 전달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가설입니다. 이걸 확인하려면 물의 깊이 마다 온도계를 따로 설치하고 시간별로 온도를 측정해야 하는데 이렇게까지는 하지 못하였습니다. 냉각되는 동안 온도를 계속 관측하려면 전자식 온도계를 분해하여 냉장고 문으로 전선을 빼서 바깥에서 온도를 확인하거나 (이건 너무 어려움) 그보다 좋은 것은 아이스크림 냉장고처럼 문이 유리로 된 냉장고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구하지 못해서 못했습니다.) 문이 유리로 되어 있으면 문을 자주 여는 바람에 냉기가 식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물이 어는 순간을 확인하는데도 좋습니다. 레이저를 물에 쏘아서 굴절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죄송하지만 아이스크림 냉장고로 실험 다시 해 주시면 안될까요. ㅋㅋ 탄자니아 보다는 쉬울 것 같은데...
@김하-i6d
@김하-i6d Жыл бұрын
잘쓰긴했는데 가독성이 조큼
@윤상황-p9h
@윤상황-p9h 9 ай бұрын
어쨋거나..뜨거운물이 온도가내려가면 결국 찬물임. 대류? 같은조건도 똑같아지는거 아님?
@Parrot_Kim
@Parrot_Kim Жыл бұрын
좋은 탐구였으나 실험 설계와 변인 통제가 완벽하지 않아 조금 아쉬운 영상이었네요... 귀납적으로 무언가를 만들어가는 데에는 굉장히 강한 채널이지만 연역적 탐구는 조금 아쉽다고 느낍니다 ㅠㅠ
@킴-j8d
@킴-j8d Жыл бұрын
귀두가 얼었어요?
@bic7
@bic7 9 ай бұрын
긴뎃글보다 귀두가 더 와닿네요
@성민김-c4r
@성민김-c4r Жыл бұрын
군대에서 군대 선임이 물리학을 전공으로 하고 있어서 근무 서고 나서 간부와 그 선임과 저는 실험해봤었습니다. 추운 곳에서 실험을 했었는데, 뜨거운 물이 표면이 먼저 얼었고, 내부까지 완벽하게 얼었던 것은 차가운 물인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 선임과 저와 간부는 뜨거운 물의 분자(H2O)의 거리가 급격하게 줄어들어 열 방출이 되어 표면이 살얼음처럼 얼었습니다. 그 후에 물 분자의 거리가 차가운 물과 동일하게 되었을 때, 온도가 떨어지는 속도가 비슷하게 되어, 완벽하게 얼었던 얼음은 차가운 물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리고 음펨바 현상의 예시로 추운 지역에서 뜨거운 물을 뿌리면, 보이는 것은 얼음이 아니라 물방울이라고 하셨는데, 그것이 정답입니다. 물이 얼기까지 시간이 필요한데, 그 시간에 도달하지 못하여, 열 방출의 모습만 관찰되는 것이라고 설명을 들었습니다
@DrCrvs
@DrCrvs Жыл бұрын
부피 확인하신다길래 남은 물 양 비교하시려나 했는데 그냥 촥 버리시길래 깜짝 놀랬네...
@oz6015
@oz6015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물 따라서 부피 재면 되는 것을..
@모라구요
@모라구요 Жыл бұрын
남은 물 양으로 하면 뜨거운 물은 얼음된 양 말고도 증발한 양도 있어서 확실하지 않아서 그러신거 아닐까 싶워요
@Joon_seok___
@Joon_seok___ Жыл бұрын
@@모라구요 동감합니다 암튼 이건 ‘물이 어느냐’의 문제니까 얼음을 보여주는게 보는사람들 입장에서도 확인이 편한 부분이 있을 것 같아요 ㅎㅎ
@minck2376
@minck2376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그냥 세상이 그렇다니까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언다는걸 상식처럼 여기고 살았는데 정말 좋은 실험이네요
@김a-d1j
@김a-d1j Жыл бұрын
영상보면서 중간에 온도계 넣지말고 모든 물이 완전히 얼때까지 실험해줬으면 싶었네요
@bluebrown6672
@bluebrown6672 Жыл бұрын
ㅇㅈ ;; 과학 채널이라면서 변인 통제를 왜케 못하는지 이해가 안됨
@tuiop390
@tuiop390 Жыл бұрын
ㄹㅇ 차라리 맨처음 냉동실 실험이 더 나았던거같음
@아크네가너무크네
@아크네가너무크네 Жыл бұрын
강원도 고성 gop에서 근무했습니다 겨울에 커피포트에 끓인 물을 영상처럼 날리면 언다기보단 그냥 기화되서 사라졌습니다 바닥에 쌓인 눈에 떨어진 물방울은 몇방울 없었습니다
@알비노
@알비노 Жыл бұрын
음펨바효과를 관찰하기가 어렵다고는 하더라고요 그런의미에서 갈퀴님의 탄자니아행을 응원합니다
@정명구-f6z
@정명구-f6z Жыл бұрын
제가 볼땐 중간중간 온도를 측정하는 행위에 대해 영향이 미친거 같네요 지수관련 그래프인데 조금의 영향이 복리적으로 큰 영향이 끼친것 같습니다.
@sehun1717
@sehun1717 Жыл бұрын
양자역학도 아니고 온도 측정하는것 때문은 아닐거 같아요…
@정명구-f6z
@정명구-f6z Жыл бұрын
@@sehun1717 찬물이 뜨거운물보다 더 빨리 언다라는 명제에 반례를 찾는 겁니다. 아주 약간의 역전현상이 생긴다면 의미가 생기는거죠 그래서 변수를 최소한으로 줄이자는 겁니다. 그런데 이게 양자역학? 혹시 양자역학이 뭔지 잘 아시나요?
@kime5000
@kime5000 Жыл бұрын
어.... 그럼 이때까지 데이터로 나온 건 어떻게 측정했던 거죠? 과학자들이? 온도를 측정하는 다른 방법이 있었나요? 그거도 1960년대에?
@3년묵은애벌래
@3년묵은애벌래 9 ай бұрын
​@@kime5000온도계를 처음부터 담가놓는 방법이 있었겠죠
@dukjil_storage
@dukjil_storage Жыл бұрын
온도계를 꽂았다 뺏다하면서 환경을 자꾸 바꾸는거 킹받네...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Жыл бұрын
여러 과학자들이 지금까지 연구하고, 논문을 발표하는 것을 보면, 음펨바 효과 자체는 일어나는 현상인 것 같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도 원인을 명확히 밝혀낸 사람은 없다는 게 문제죠.
@seungdongkim7202
@seungdongkim7202 Жыл бұрын
이과라고 하는데, 한가지 의문을 풀지 못했네요. 논문 영상에서 우유이 어는 것은 사실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고, 정상적 현상은 아니고요. 물을 뿌리는 실험에서는 뜨거운 물은 공중에서 날라가면서 빨리 기화되어버리기 때문에 낮은 온도의 물보다 작은 물 분자 상태가 되지요. 그러면 빨리 열을 빼앗껴 얼어버리는 결과가 나옵니다. 차가운 물이 기화되는 것보다 차가운 물이 기화되기가 안 돼고, 표면 장력의 결과로 물 덩어리들이 큰 상태로 뿌려집니다. / 뿌린 물 중에 뜨껍더라도 물 덩어리들이 큰 상태의 물들은 물론 잘 얼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결론 적으로 두 온도차의 물을 뿌린다면, 뜨거운 물에서 뿌려진 물들이 빨리 어는 것들도 있고, 또 늦게 어는 것들도 있습니다.
@D.M.D.
@D.M.D. Жыл бұрын
물 온도 100도 차이나고 1kg일때 4185J 정도 에너지가 더 필요한데 대략 물 온도 차이 반 정도면 2000J 정도 차이가 필요함. 가끔 냉동실 찬 바람 놔두는곳에 더 가까우면 물이나 커피가 더 빨리 얼때가 있는데 실험할때 뜨거운 물이 그런 기류쪽에 있는거 아닐까 추측
@김인근-l4k
@김인근-l4k Жыл бұрын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대답이다
@김의진-p6e
@김의진-p6e Жыл бұрын
오? 진짜 그럴싸한것 같은데? 뭐지?
@gege2830
@gege2830 Жыл бұрын
영상보면 중간에 냉기 나오는 곳이 더 빨리 얼수도 있다고 하는데 영상 안봣져 ㅋㅋㅋ
@jaewoongko7857
@jaewoongko7857 Жыл бұрын
@@gege2830 스킵하면서 봤더영 ㅋㅋㅋ
@nicechangchang
@nicechangchang Жыл бұрын
와 이렇게 유익한 채널이 있다는게 너무나 반갑네요...이렇게 실험을 하시고 노력하시는 모습이 너무 좋습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채널로 발전하는 이유가 있었네요....감사합니다.
@itisforgaming
@itisforgaming Жыл бұрын
온도를 잰다고 자꾸 물을 건들이면 실험 조건이 완벽하게 달라지는 거 아님?
@ohdang86
@ohdang86 Жыл бұрын
담궈놓지... 온도계가왜하나뿐인가
@itisforgaming
@itisforgaming Жыл бұрын
@BEOMS 여기서 핀드가 왜 그렇게 감 ㄷㄷ 둘 다 건들이니까 조건이 같다 뭐 이거임? 여기서 보고자 하는 건 상대적 특성이 아니라 뜨거운 물의 특성 아님? 양자역학은 관측만으로도 결과가 달라지는데 직접적은 물리적 간섭은 더 심한 결과값의 차이를 보일 수 밖에 없을 거 같은데
@itisforgaming
@itisforgaming Жыл бұрын
@BEOMS 같은 조건이라는게 방해 없는 순수하게 어는 상태를 말하는 거 아님? 뭔 수학적 증명도 아니고 상태를 보는건데 그럼 소금도 넣어보고 흔들고 다 해야되는거 아님?
@공략
@공략 Жыл бұрын
@@itisforgaming 같은 조건이면 같은 조건이지 방해 없는 순수하게 어는 상태라는건 뭔소리지 ㅋㅋ... 본 논문 읽어보니까 걔네들도 그냥 스테이크 같은거 구울때 쓰는 접촉식 온도계 사용했다는데 ㅋㅋㅋ
@Xenon_and_Neodymium
@Xenon_and_Neodymium Жыл бұрын
@@itisforgaming 그냥 단디 차가운 물 뜨거운 물이지 걍 조겅만 같으면 된다고
@not_recommending_this_shorts
@not_recommending_this_shorts Жыл бұрын
다른 연구들에서 '비교적' 따듯한 물과 차가운 물을 실험하였고 온도는 각각 섭씨로 35도와 5도였습니다
@smshamoong
@smshamoong Жыл бұрын
추운기온에서 물을뿌린 실험에 대한 제 그냥 뇌피셜 생각으로는 추운날씨에서 뜨거운물을 뿌렸을때는 뜨거운물의 분자들이 활발하기에 물이 덩어리지기보단 많은 방울들로 퍼지기 때문에 추운기온을 받는 표면적이 많아지기때문에 분자가 덜 활발하여 덩어리져서 표면적이 상대적 적은 차가운물보다 더 빨리 얼었던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cleanwave-cb5op
@cleanwave-cb5op Жыл бұрын
영상속 뜨거운 물을 하늘에 뿌리는 것은 분자운동이 빠른(분자간 거리가 먼) 입자들이 하늘에 뿌려져서 한 번에 확 냉각이 되면서 얼어버리는데, 차가운물은 분자운동이 느려서(분자간의 거리가 가까워서) 물이 하늘에 뿌려져도 한번에 얼지 않는 것 아닐까 싶네요. 냉장고에서 얼리는 것이나 물병에 담아서 얼리는 것, 차가운 곳에 물을 흘려보내는 경우에는 물이 흩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한 번에 확 냉각이 되지 않아서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정리해보면 뜨거운 물을 흩뿌렸을 때 입자들의 거리가 먼 물 분자에 냉기가 한 번에 전해지면서 갑자기 얼어버렸다. (뇌피셜)
@lightbluemoon2
@lightbluemoon2 Жыл бұрын
나도 이걸로 알고 있는데 뜨거운물은 분자운동이 빨라서 차가운 공기를 만났을때 열을 더 빨리 빼앗긴다고 대신, 공기와 닿는 표면적의 크기차이로 더 빨리 얼수도 같은시간대에 얼 수도 더 늦게 얼수도 있다고 봄
@roro4ee
@roro4ee Жыл бұрын
옛날에 호기심의 과학이란 책에서 봤는데 뜨거운물을 공중에 뿌릴때 빨리 어는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김때문에 뜨거운물과 차가운공기가 닿는 표면적이 커지게 되어서 순식간에 얼게 되는것이라고 하네요. 사람들이 관련 영상마다 음펨바 현상이라고 하는데 실제 음펨바 현상이랑 통제조건도 달라서 저는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w
@hhhhhhhhhhhhhhhhhhhhhhhhhhhhhw Жыл бұрын
저거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도 나왔습니다. 그때 실험은 냉동창고에 컵이아닌 직사각형 큰 플라스틱 통에 넣었고 일정시간이 지났쓸때 차가운물보다 뜨거운물이도 많이 얼었던것을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ruinkoo8470
@ruinkoo8470 Жыл бұрын
1월에 -14도에서 4학년 아들이 같은 이야기를 말하길래 같이 나가서 해봤는데요. 차가운 물이 빨리 얼더라구요 ㅎㅎ 40분만에 차가운물은 거의다 얼었고 뜨거울 물은 겉에만 얼었었다는.. 하나해보고 싶었던건 뜨거운 물로인해 완전히 닫혀진 병이 뜨거운 수증기로 차있고 차가운 물이 담긴 병은 찬공기가 있으면 . (물의 양이 적어야함)시간이 지나면 뜨거운 물이 담겨있던 병은 뜨거운 공기가 차지면서 부피가 줄어들고... 이로인해 기압이 낮아지면서 어는 점 역시 더 낮아지겠죠.. 그럼 여전히 찬물이 더 빨리 얼것 같고 뜨거운물이 담긴 병은 ....
@김민수-y2p7i
@김민수-y2p7i Жыл бұрын
기압이 낮아지면 어는점은 올라가기 때문에 더 빨리 얼게 됩니다
@ruinkoo8470
@ruinkoo8470 Жыл бұрын
@@김민수-y2p7i 아 난 기압이 낮아지면 어는점이 내려가는줄 알고있었네요.. 그럼 뜨거운물이 빨리 얼겠군요.. 빙고네요^^
@적막강산-b2m
@적막강산-b2m Жыл бұрын
어설픈 실험으로 음펨바효과 없다고 결론 내는 당신은..... 검색 조금만 해봐도 실제 하는 현상인데 너무나 어설픈 실험으로 내가 해봤는데 안되더라 하고.ㅡ과학이 어떻고 저쩌고 대단한 발견 한거처럼 말하는거 문제 있다고 보입니다. 이 영상 본 사람들은 음펨바 효과는 사기구나 생각할수도 있는데 생각좀 하고 말하시지. 이과 맞음?
@sihyeon7179
@sihyeon7179 Жыл бұрын
ㅇㅈ 실험 수준 너무 실망스러움
@limit_angel
@limit_angel Жыл бұрын
저거 되긴하는데 원인과 조건을 잘 몰라서 됐다 안 됐다하는 신기한 현상이라 봤던거 같은데
@박성일-q1e
@박성일-q1e Жыл бұрын
냉장고가 변수가 더 없는거 아닌가요 ?? 설명좀 부탁합니다
@safrianyoon
@safrianyoon Жыл бұрын
댓글 처음 다는데 언제나 잘 보고 있습니다 ^^ 12:20 갈퀴님 실험이 기시감이 좀 있다 해서 떠올려보니 얼마전 봤던 옛날프로 스펀지에서 했던 눈이 내리는 음료 그거랑 구조가 비슷하네요 kzbin.info/www/bejne/jXXVm5-hiJeFadE 이거 자체가 과냉각 현상을 이용한건데 갈퀴님은 차가운물쪽을 온도계로 충격을 줘서 과냉각 현상 안일어나고 먼저 얼고 그런거 아닐까 싶네요
@IeggI
@IeggI Жыл бұрын
그 뜨거운 물 뿌리는 건 영하 50도 정도에서 해야돼요 직접 해본 적이 있는데 영하40도 정도에서도 흉내는 내지만 물 안얼어요
@hyundongkim3818
@hyundongkim3818 Жыл бұрын
논문 기반으로 만드는 컨텐츠 너무 재밌네요! 앞으로도 이런거 많이 해줘요🥺🥺🥺
@박찬호-i9y
@박찬호-i9y Жыл бұрын
냉장고 화면 중간에 갑자기 얼음이 팍하고 생기는건 이미 얼어있던상태에서 추가로 물이 얼며 부피가 커지면서 얼음이 깨진것으로 보입니다. 물을 얼렸을때 하얗게 보이는건 물에 녹아있던 공기가 밖으로 나오면서 공간이 생기기 때문인데 한번 끓인물의 경우 녹아있던 공기가 없어서 겉으로 보기엔 얼지 않은것 처럼 보일수 있습니다.
@박병준-t4v
@박병준-t4v Жыл бұрын
네이쳐에서 내는 scientific reports에서도 음펨바 효과는 사실이 아니라고 입증을 했네요. 오히려 말도 안되는 효과를 이름으로 부르니 아 그런가보다~했는데 역시 내가 아는 과학이 맞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재밌는 실험이네요
@김하-i6d
@김하-i6d Жыл бұрын
링크
@김길중-z3p
@김길중-z3p Жыл бұрын
*뜨거운 물이 빨리 얼 수 도 있다. 1, 병에 담고서 뚜껑을 잠구고서 실험 2, 아주 추운 곳에서 공중에 뿌렸을때 순식간에 언다. 1, 용기에 담아서 얼게할때 ㄱ, 뜨거운 물은 온도가 올라가서 물 속에 녹아있는 산소등 기체성분이 날아가고 없어서 열전달이 잘된다.(단열재는 공기층이 많을 수록 단열이 잘됨) ㄴ, 온도가 높은 물은 열팽창으로 같은 부피일때 온도를 낮추어보면 실제 부피가 적다. ㄷ, 냉동을 시킬때 필히 뚜껑을 꼭닫고 냉동 시킬것(찬물은 온도가 낮을 수록 물속에 용존산소가 많아 열전달이 잘안된다. 뜨거운 물도 뚜껑을 열어놓으면 차가워지며 산소가 녹아들어 뜨거운 물의 의미가 사라진다. ) 2, 뜨거운 물은 공중에 뿌렸을때 어는데 찬물은 얼지않는현상 ㄱ, 1번을 이해했으면 어는데 방해되는 산소의 영향을 생각나게 한다. ㅡ 뜨거운 물이 산소가 들어있지 않아서 열전도가 잘된다. ㄴ, 물은 꼭 100도에서 증발 하는것은 아니다. ㄷ, 고체, 액체, 기체의 밀도를 생각하면 온도가 높을수록 표면적이 크서 빨리 얼 수 있는데 대기와 온도차가 클 수 록 빨리 기체가 되고, 기체는 큰 표면적을 가진다 외기 온도가 낮을수록 빨리 기화된다. ㄷ, 찬물은 대기와 온도차가 적어 기화되지 않고 액체인 상태로 뿌려지나 90도의 물을 영하 40도의 대기중에 뿌리면 온도차가 130도나 되기에 순식간에 많은 기화가 일으나며 기체는 입자는 작고 표면적이 크서 순식간에 기체가 액체상태를 커치는 동시에 얼어 고체가 된다. 뜨거운 물도 입자가 크게 뿌려진 물은 얼지않고 그대로 액체상태로 땅에 떨어진다. 한겨울 36.5도의 입김을 꽁꽁언 쇠에 호하고 불어주면 바로 성애가 생기는 이치로 뜨거운 물이 온도차에 의해 기화되어 수증기가 얼어 고체가 되는것입니다.
@kwmimooin
@kwmimooin Жыл бұрын
뜨거운물이 빨리 어는것과 뜨거운물을 추운곳에서 뿌렸을 때 수증기처럼 나타나는 현상은 다른 현상입니다
@woohyunkim8377
@woohyunkim8377 Жыл бұрын
저는 임대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제가 항상 궁금해했던 점이 영상의 주제였기에 끝까지 정주행했습니다만 전혀 답을 찾지 못했네요. 다름이 아니라 제가 운영하고 있는 원룸에서는 수도가 얼면 대부분 온수배관만 언다는 것이 팩트입니다. 냉수배관이 언적도 있습니다만 그럴 때는 온수배관도 같이 얼죠. 따라서 두가지 케이스만 존재합니다. 온수만 얼거나 냉온수 같이 얼거나... 영상에서는 냉수 온수 모두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실험을 진행했는데, 수도배관과 같이 밀폐된 용기는 배제되어있어서 아쉽습니다. 온수와 냉수의 온도에 따른 압력차이가 분명 존재할텐데 압력이라는 변수가 적용된다면 다른 결과가 나올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덧붙여서, 설비업계에서는 온수배관이 먼저 언다는걸 상식으로 받아들이더군요.
@user-hi1xk3bs3t
@user-hi1xk3bs3t Жыл бұрын
단순히 온수보다 냉수 사용량이 많아서 그런게 아닐까요
@dh.mashall
@dh.mashall Жыл бұрын
온수배관이 먼저어는것은 둘다 사용을 안했다는 가정 하에 비중이 낮은 온수가 냉각이 되면서 관을 비어지게 만들어 집니다 비중차로 온수관의 물이 적어서 더 먼저 얼게되는것이 아닐까요?
@woohyunkim8377
@woohyunkim8377 Жыл бұрын
@@user-hi1xk3bs3t 동파방지를 위해 약하게 물을 틀어놓는건 아주 좋은 예인데요. 얼지않죠. 달리말하면 얼었다는건 물을 틀어놓지 않았다는거고 해당 시점에서 온수관과 냉수관의 온도를 측정한다면 온수관 온도가 더 낮을거라는 말씀인가요?
@woohyunkim8377
@woohyunkim8377 Жыл бұрын
@@dh.mashall 네. 사용 하지 않을 때 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난방배관이 어는 경우도 가끔 발생하구요. 덧붙여서 난방을 꺼놓은 상태에 난방배관의 물이 식었다해서 관이 비거나 공간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배관이 완벽히 밀폐되어있지 않으면 누수가 발생할테니까요.
@user-hi1xk3bs3t
@user-hi1xk3bs3t Жыл бұрын
@@woohyunkim8377 동파방지를 위해 물을 약하게 틀어놓는걸 얘기하는건 아닙니다. 단순히 소변을 보거나 빨래만 돌려도 냉수는 사용량이 많으니까요. 10도씨의 10L 물과 60도씨의 100ml 물 중 60도씨의 물이 먼저 어는 것을 얘기하고 싶었습니다.
@DeeeepSpace
@DeeeepSpace Жыл бұрын
과학에 상식이 어딨고 당연한게 어딨나요? 항상 의심하고 탐구하는게 중요한 거죠 그런 의미에서.. 갈퀴님의 탄자니아행을 응원합니다!
@dochu8835
@dochu8835 Жыл бұрын
공중에 물을 뿌린 경우, 수증기랑 얼음알갱이랑 구분하기 힘들어 결과를 자세히 알 수 없다는 점도 있지만, 만약 그러한 현상이 일어난다면 아마도 밀도차이이지 않을까. 아무래도 온도가 높은 경우 일반적으로 운동량이 많으므로 더 쉽게 흩어지고 각 분자마다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더 넓어 열교환이 더 빨리 일어나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
@crayfallinsecondlife5329
@crayfallinsecondlife5329 Жыл бұрын
냉장고 내의 병의 배치에 따라 냉기가 더 많이 전달된 병이 그 병이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하품-l9f
@하품-l9f Жыл бұрын
동의!!!
@syj1844
@syj1844 Жыл бұрын
저 현상이 머리가 아픈건 동일한 조건으로 또 다른 사람이 해보면 뜨거운게 빨리 얼기도 함 ㅋㅋㅋ
@threea7760
@threea7760 Жыл бұрын
뜨거운 물도 차가운 물이 되는 물의 상태를 거쳐 얼음 상태가 될텐데. 더빨리 언다는건 믿어지지 않음..
@user-kg8iw2yx1y
@user-kg8iw2yx1y Жыл бұрын
뜨겁다는것은 상대적인 겁니다. 정의로써 몇도이상의 물을 특정한것도 아니구요. 특수한 조건, 습도, 온도, 담고있는용기 등등.. 통제할 변수가 너무많습니다. 음펨바효과를 20년넘게 연구하고 은퇴하신 저희 옆실험실에 계셨던 화학과 교수님이 계신데, 아직도 학계에서 연구하시는분들이 계신거로 알고있습니다. 장난같은 실험 몇번하고서 음모론이니 뭐니 하는 소리는 안해주셨으면하네요. 매우 불쾌합니다.
@diyes4151
@diyes4151 Жыл бұрын
온도 차에 따른 물의 압력... 그리고 대기 중 기압의 차이... 수압에 따른 물 분자의 크기... 그리고 그 논문에서 물이 아닌 수분이 아닌가요? 조건에 따라 다르다고 봄. 또, 냉장고 같은 경우 드레인 호스라는 것이 있는데 이 구멍의 용도는 냉장고 내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김이 나는 뜨거운 음식물 같은 걸 냉장고에 자주 넣으면 이 드레인 호스에 결로가 생겨서 그 구멍이 얼음으로 막혀서 냉장고가 고장나는 경우가 많음. 즉, 04:01 초에 보이는 것과 같이 외부 온도차에 따른 뜨거운 물 쪽이 빨리 증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그렇다면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선 우선 질문을 바꿀 필요가 있음. 그냥 물이 아닌 물과 수분으로 나눌 필요가 있음. 그럼 문과 출신도 아니고 이과 출신도 아닌 현장 출신의 제 결론은 물통이 주체라면 차가 운 물통이 더 빨리 얼고, 주체가 수분 이라고 한다면 차가운 기체보단 뜨거운 기체가 더 빨리 얼게 됨!! ps : 각 나라마다 물이 다 다름. 물에 포함된 아연이라든가 등등.... 특히 외국 같은 경우는 지하수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가장 많음. 하지만 긱블은 정수기 물 사용했져?? 지하수에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 아주 조금이나마 더 빨리 얼겠죠.(맞나?) 그렇기에 과거의 논문에서 잘못 된 것이 우선 물 속에 다른 성분들이 뭐가 들어있고 얼만큼 함유되어 있는 지, 그 양은 얼마나 되는지 그 기준이 없었다는 것임.
@junhwan1886
@junhwan1886 Жыл бұрын
음펨바 효과의 존재 유무에 대해 영상 내에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언급하셔서 댓글 달아봅니다. 실제로 기존에는 음펨바 효과가 실험적으로 재현하기 힘들고 이론적으로도 설명할 수 없어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논문도 많이 나왔었는데 2017년에 이를 열역학적으로 설명하고 동시에 기존 음펨바 효과와 함께 "역 음펨바 효과"(inverse mpemba effect)를 예측한 논문이 있었습니다. 해당 논문은 다른 후속 연구에도 사용되어 2020년에는 비슷한 내용으로 nature에 올라간 논문도 있고요. 음펨바 효과에 대해 말해 주셨는데 이번에 새로 나온 연구 결과에 대해서도 설명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해당 논문을 좀 찾아봤는데 영어에 막혀 이해하기가 힘들더군요... 아마 해당 내용에 대해 설명해주시면 한글로 작성된 글중에서는 최초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good-z3g4d
@good-z3g4d Жыл бұрын
아후 머리아파
@NAGOMOO
@NAGOMOO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음바페가 골 넣었다구요?
@아이스-j6m
@아이스-j6m Жыл бұрын
3줄요약 그이상 안읽음
@김민교-z5r
@김민교-z5r Жыл бұрын
​@@NAGOMOO ㅋㅋㅋㅋㅋ
@Carsella
@Carsella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로는 2013년 싱가포르 연구팀이 음펨바 호과의 원리를 밝혀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온의 물은 물 분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 수소결합의 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이에 의해 수소결합이 저장하고 있던 에너지의 일부는 물 분자의 공유결합의 길이가 짧아지며 저장됩니다. 이를 냉각시키면 다시 공유결합의 길이가 길어지며 에너지가 빠르게 방출됩니다. 즉 방출하는 열량이 커져 온도가 빨리 떨어지고, 이에 따라 먼저 얼게 될 수도 있는 것이죠. 물론 조건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iahimotuvwxy5400
@iahimotuvwxy5400 Жыл бұрын
근데 불났을때는 뜨거운물을 뿌려야 빨리 꺼진다라고 들었는데 이건 맞을까요??
@김경민-j8w
@김경민-j8w Жыл бұрын
전 과학자들의 실험 중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얼었다는것은 뜨거운 물의 총 양이 차가운 물에 비해 적어졌기 때문일수도 있지않을까요?? 찬물 더운물 100ml를 똑같이 냉동고에 넣는다고 가정하면 뜨거운물은 수증기로 인해 날아가는 수분이 존재할것이고 반면 차가운 물은 수증기로 인해 날아가는 수분은 존재 하지 않을것입니다. 그렇기에 냉동고에 넣기전 두컵의 액체 양은 서로100ml로 같다고 말할수 있었겠지만 냉동고에 넣은후에는 그렇지 않죠.왜냐하면 수증기로 인해 날아가는 중량이 존재 할테니까요. 또한 이번 영상에서에서의 모든 실험들은 컵에 크기에 비해 물의 양이 더 적었습니다.이 말은 즉슨 원래대로라면 기화되어 날아가야 했을 증기들이 컵 벽면에 달라붙은 후 다시 액체상태로 컵 속으로 되 돌아올수가 있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물을 컵에 따를때 물을 컵용량에 가득 맞춰 채운다면 증기가 벽면에 붙어 액체로 돌아오는 현상을 줄일수 있기에 어찌보면 차가운 물보다도 더 빨리 얼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로 제 생각대로라면 이 모든 실험은 공기중 습기가 적은 냉동고에서 진행되어야합니다.(사실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단지 저의 생각일뿐이죠.)
@stom1004
@stom1004 3 ай бұрын
실험을 하려면 변수를 없애서해 계속 휘젓고, 기압도 다른 산에가고, 온도계 꽂았다 뺏다.. 2개를 사서 꽂아놓지. 물을 졸졸졸 떨군게 아니고, 확 뿌렸는데. 가운데 얼지않은 물덩어리도 있지만 물 분자의 밀도가 커져있고, 기화+운동 에너지가 있으니 러시아 같은 영하 20~30도씨되는곳에선 순간적으론 더 많은 양의 물이 얼것으로 예상됨
@3nelad
@3nelad Жыл бұрын
뜨거운 물이 빨리 얼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할수도 있다.. 라는게 아닐까요 ?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차가운 물이 당연하게도 빨리 어는거구요. 오히려 뜨거운 물을 빨리 얼게 하는 그 극한의 조건을 찾아보는게 중요한 문제일거 같네요. 만약 이런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것도 나름 의미있는 발견일테구요.
@ddoltop
@ddoltop 2 ай бұрын
위쪽을 제외하고 단열을 해주면 열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어 따뜻한 물이 더 큰 대류 현상이 생겨서 주위 온도에 더빨리 맞춰 집니다.
@gasdfg
@gasdfg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잠열이나 라이덴프로스트 효과도 다뤄주셨으면하네요. 둘은 쉽게 관찰가능한 역설적 현상이기도하고..
@yeeunkim9892
@yeeunkim9892 Жыл бұрын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어는건, 보유한 열을 순식간에 빼앗겨서 폭발하며 얼어버리는 겁니다.
@CosmosHHY
@CosmosHHY Жыл бұрын
제대로 된 실험이 없네요. 끝까지 얼리지도 읺고, 수시로 온도계 넣었다 뺐다.. 기울였다 다시 넣고.. 이렇게 실험계에 계속 영향을 주면 제대로 된 결과가 나올리가 없잖우
@heekyungpark5704
@heekyungpark5704 Жыл бұрын
니가 하던가 틀딱아
@김진우-s3g
@김진우-s3g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차가운물 승인거 같습니다.
@yoon_ytb
@yoon_ytb Жыл бұрын
밑의 댓글보니 증류수를 어느 정도 높은 온도로 과냉각 시키지 않고 얼렸을 때 어느 정도 낮은 온도의 증류수보다 더 빨리 언다라는 건데 조건 다 빼고 일반화해서 여러 현실적인 조건에서 해본 실험결과를 보면 차가운 물이 더 빨리 언다고 말한거죠. 결론은 일반적으로 차가운 물이 빨리 얼지만 특정 조건에서는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얼기도 한다. 이고 우리가 그냥 얼핏 들어서 알고 있는 과학적 사실이 잘못된(or 전제 조건이 많이 필요한) 사실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 영상에서 얻을 수 있는 생각이어서 좋았습니다.
@통닭튜브
@통닭튜브 Жыл бұрын
나도 자꾸 건드리는게 짜증나긴하더라
@TaewooGwon
@TaewooGwon Жыл бұрын
영상 조회수에 미쳐있나 싶음ㅋㅋ 이걸로 21분 짜리를 만드는거 보면
@ccasio9636
@ccasio9636 Жыл бұрын
수 많은 실험에서 음펨바 효과는 실험 오류 또는 착각이었을 것 같다고 추측한다던데~~ 사실 말이 안 되죠. 더욱이 단열 상황인데....
@김상명-m8u
@김상명-m8u Жыл бұрын
쇼츠 영상의 뜨거운 물은 흩뿌려버리면서 수증기 + 물방울이라 물방울만 있는 찬물보다 표면적이 훨씬 더 넓기도 하고 굵은 알갱이랑 미세한 알갱이의 빛 투과율 차이에 의해 티가 확 났다던가 그런 점이 작용할거 같음 보면서 댓글 달았는데 영상에 나오네 ㅋㅋㅋㅋ
@이름-e7k
@이름-e7k Жыл бұрын
물이 어는것과 물방울이 어는것과 확연히 달라서 그래요
@시공석
@시공석 2 ай бұрын
이정도 변인통제면 사실상 뜨거운물이 먼저 어는건 없는 현상임. 어거지로 뜨거운물이 먼저 어는 조건을 만들수도 있겠지만 그건 그저 끼워맞추기임.
@dowonkim3381
@dowonkim3381 Жыл бұрын
뜨거운물이 빨리어는게 아니라 뜨거웠던 물이 빨리어는것입니다,...100도시의물을 식혀서 상온으로 만들고 같은온도의 물을 동시에 얼리면 뜨거웠었던 물이 빨리언미다
@이그레이스-k2i
@이그레이스-k2i Ай бұрын
아무리 일반인이라도 실험 하는거 봐서는 한국인이 노벨 과학상을 못받는 이유를 알겠다. 돈주고 노벨 평화상이 나 받고 말아야지...
@그린-y9k
@그린-y9k Жыл бұрын
국내에도 이런저런 연구소 찾아보면 저온환경챔버가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여료가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컨택한다면 좀더 온도및 습도를 컨트롤 해서 시험할수 있지 않을까요? 뜨거운물 던지는것도 구현이 가능할것 같네요
@uweitjfknlksd
@uweitjfknlksd Жыл бұрын
제목으로 낚시하진 말아주세요 그동안 잘 보고 있었는데 이런식의 제목낚시는 실망이예요...
@anio6402
@anio6402 Жыл бұрын
물 집합이 아닌, 팡 님이 말한 것 처럼 물을 공중에 흩뿌릴 때 뜨거운 물은 물 분자들끼리 서로 밀어내어(운동량이 높아서) 점성이 줄어들어 공기에 의해 냉각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 눈가루가 되는 것 같아요.
@onsaemiiro
@onsaemiiro Жыл бұрын
실제로 학교에서 같은 영하온도에 끓는물을 뿌리니까 바로 눈이되는걸 직접 봤기때문에 저도 이게 맞다고 생각해요
@나한길-w5q
@나한길-w5q Жыл бұрын
사이클로이드 곡선과 같은 원리 사이클로이드 곡선에서 거리의 개념을 온도로 놓으면 델타T/s = v, 델타T/s2 = a 이며 음펨바 실험에서 T1 = 373K, T2 = 298K, T3 = 냉장고 온도(외부 온도, 일단 0도로 설정) 초기 델타T는 각각 100K, 25K임 사이클로이드 곡선을 생각해보면 긴 이동거리를 극복하는 키 포인트는 가속도임 음펨바 실험에서 가속도의 개념을 만들기 위해서는 T3 즉 냉장고 온도가 고정되어서는 어려움 T3가 고정되면 시간당 이동거리는 점점 줄어드는 마이너스 가속도를 갖게 됨 이것을 플러스 가속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T3가 시간에 따라 점점 낮아져야 함 아마도 음펨바 실험은 전기가 귀한 장소에서 전기를 아끼기 위해 샘플을 냉장고에 넣고 그 후에 냉장고 전원을 넣어서 우연히 위 조건을 달성하여 보여진 것이라고 생각 됨 추운 지방에서 뜨거운 물을 흩뿌리는 것도 같은 원리임 흩뿌린다는 행위가 델타T의 가속도를 만들어 나타나는 현상 당연하게도 입자가 작아 표면적이 늘어날 수록 가속도의 개념이 커질 것이므로 큰 입자보다는 작은 입자가 유리 (뜨거운물, 찬물 담은 분무기로 실험하면 차이 생길 듯) 사실 현상적으로는 위와 같은 내용이지만 자세하게 바라본다면 T와 S의 관계에 따른 에너지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타당함
@Net77
@Net77 Жыл бұрын
순수한물 > 물에 녹아있는 미네랄에 따라 어는점이 다를 수 있음 온도계로 온도 측정 금지 > 온도계에 닿으면서 열을 빼앗음, 온도계 때문에 저어지면서 물이 섞임 단열 용기 사용 > 용기에 이슬이 맺히면서 물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
@Carsella
@Carsella Жыл бұрын
제가 알기로는 2013년 싱가포르 연구팀이 음펨바 호과의 원리를 밝혀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고온의 물은 물 분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 수소결합의 길이가 길어지게 됩니다. 이에 의해 수소결합이 저장하고 있던 에너지의 일부는 물 분자의 공유결합의 길이가 짧아지며 저장됩니다. 이를 냉각시키면 다시 공유결합의 길이가 길어지며 에너지가 빠르게 방출됩니다. 즉 방출하는 열량이 커져 온도가 빨리 떨어지고, 이에 따라 먼저 얼게 될 수도 있는 것이죠. 물론 조건에 따라 다르겠지만요.
@민증내놔
@민증내놔 Жыл бұрын
뜨거운물은 공기중에 뿌렸을때 수증기가 발생되 어는것이고, 차가운물은 수증기가 없죠, 골구루 물을뿌리느냐 그냥 두느냐 차이, 물은0도 이하에서 어는 법칙은 변함이없음
@SweetSpider
@SweetSpider Жыл бұрын
멋진 형, 누나, 청년들... 그 순수한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산새도-t1e
@산새도-t1e Жыл бұрын
실험은 어느정도 원리를 신뢰하고 그환경에 맞게 실험 환경을 만들수 있어야 적은횟수의 실험으로 성공할수 있는 것이지 무조건 실험하면 눈감고 새잡는 것 처럼 10만범을 던저도 안된다. 뜨거운 물은 밀도가 낮이 얇은 옷을 입고 있으며 내부로 냉기가 훨씬빠르게 침투 할수 있다. 뜨거운 것을 급속 냉동하면 냉기 급히 참투하여 느스했던 조직이 서서히 좁혀저서 단단한 틀을 가지지 못하고 얼어버려서 냉동해도 너무 당겨버린 고무줄이 원위치 못하듯이 조직이 느슨해서 이다. 우리머리는 이미 일상생활 거시세계에 물들어 있어서 미시에서도 거시차럼 판단한다 이제는 미시가 습관이 되어야 새로운 것을 보고 바른 판단을 할수 있다 그리고 내가 실험 해본것이 아니고 바른 사고 방식 객관적으로 판단 할때 바른 판단 가능성이 현저히 높고 아니면 바른 판단은 요원하다. 모듬이리 다 모두 틀리게 판단하고 살고 있음을 안다.생각 해보니 그렇다는 것 실험 잘 해보시길 미시세계는 미시눈으로 보길 나는 인문고 나온것 밖에 없고 과학이고 모르고 그러나 바른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다 생각함.
@onionsoup485
@onionsoup485 Жыл бұрын
흠.. 아직 어린 친구들이 열심이네요. 실험환경이 좀 아쉽구요.
@버터빵-v1c
@버터빵-v1c Жыл бұрын
음펨바 효과를 직접 관측하기 어려운것은 사실입니다. 아무리 비슷하게 환경을 맞춰도 효과가 나타날때도 있고, 안 나타날때도 있으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더욱 더 난제가 되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엄연히 관측 되는경우도 있기 때문에 또 난제 이기도 한것이죠. 아예 존재 하지 않는, 관측 할 수 없는 것이였다면 난제라고 불리지도 못 했을 겁니다. 또한, 과학에서 항상 의심하고 실험해 보는 자세가 중요하다는것은 가장 과학의 본질을 담고 있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긱블의 실험정신이 많이 인기를 얻는것이겠죠? 다만, 본인도 이렇게 의심하고 실험해보는것이야말로 음펨바효과의 교훈이라고 말씀하시면서, 단순히 본인이 관측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것은 거짓이다라고 결론지어버리시는 모습은 조금 아쉽네요.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정의 내릴 수 있을때까지 노력하는것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자세니까요. 그렇기 때문에 세상의 많은 수학자, 과학자들이 계속해서 여러 문제들에 도전하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jeonhyeonc9444
@jeonhyeonc9444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감사 합니다. 여태까지 내가 억지 주장하는 사람 됬었다니까? 끓인 물이 얼렸을때 더 투명하게 언다고 해서 이왕 하는거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어는지 해보자 하고 했는데 단 한번도 뜨거운물이 먼저 언적이 없었음.... 애초에 언다는것 부터가 열에너지가 없어지는건데 뜨거운 물이 중간 과정 스킵하는것도 아니고 더 빨리 얼 수가 없지....
@크루딩-p1g
@크루딩-p1g Жыл бұрын
7:20 갈퀴님 포항스틸러스 팬이시군요ㅋ축구는 포항이죠 흥해라 K리그
@gloomydreamer
@gloomydreamer Жыл бұрын
물에 열이 가해지고 가열 된 상태에서는 분자간의 거리도 멀어 질테니 그 만큼 열 에너지도 더 많이 뺏겨서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얼거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군요. 다음 영상은 탄자니아에서 찍읍시다. 😄
@정캐현리
@정캐현리 Жыл бұрын
저도 비슷한 생각을 했습니다. 액체상태인 물이 고체상태인얼음으로 바뀔때 부피가팽창합니다. 이 것은 분자간의 거리가 멀어진다라는 사실인데, 뜨거운물이 찬물보다 이점을 유리하게 가져가서 더 빨리 얼거라고 추측을 해보았는데, 현실은 아닌것같네요
@bestchoi7417
@bestchoi7417 Жыл бұрын
열전달은 온도차에 비례....
@davidkim3305
@davidkim3305 Жыл бұрын
뜨거운 물의 분자간 거리가 더 길지만,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분자간 거리도 가까워지고, 게다가 섭씨 4도에서 분자의 밀도가 가장 높아서, 결국 물온도가 내려가는 시간이 결정적인 차이를 만들어내겠죠
@untitled6410
@untitled6410 Жыл бұрын
에이, 그냥 탄자니아로 보내버리세요. ㅋㅋ 커피 로스팅 후 쿨링할 때 더 빠르게 식힐려면 찬물이 아닌 100도씨의 뜨거운 물을 분사한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문제의 핵심은 기화열에 있습니다. 물이 액체 상태에서 기화할 때 잠열 자체가 날라가 버린다는 거죠. 그러니까 물이 기체화 하는 순간 그 표면 온도는 순간적으로 열을 빼앗겨 물의 상대 온도가 낮아지는 겁니다. 그러니까 음펨바는 아마도 팔팔 끓고 있는 우유를 냉동고에 넣었을 겁니다. 같은 조건에서 다시 해 보시죠. 하지만 반드시 탄자니아에 가서 하셔야 합니다. ㅋㅋ
@yunjongsong
@yunjongsong Жыл бұрын
갈퀴님 혼자서 실험, 촬영, 편집은 무리이죠, 두 분이 손 붙잡고 같이 고고
@적막강산-b2m
@적막강산-b2m Жыл бұрын
내가 현미경으로 관찰해봤는데 세균 안보이네---> 세균은 없습니다 여러분. 과학은 나처럼 의심하고 탐구 하고 실험해야 합니다. 내가 방금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봤는데 원자 안보이네--> 여러분 원자는 없습니다. 과학은 나처럼 항상 의심하고 실험하고 탐구 해서 행동해야 합니다. 이거랑 다를게 있나요? 실험도 다들 지적 하는 것처럼 너무 허접한 실험으로..... 차라리 내가 해보니 안되던데 이거 되는거 맞냐? 라고 결론을 내던가 해야지. 내가 해보이 안되던데? 그럼 이거 틀림. 나는야 이과 과학도 하하하!!
@kimda9038
@kimda9038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면서 생각했던거는 뜨거운 물은 가열하면서 물 속에 있던 공기가 제거되면서 물 석 공기양이 달라지고 이로 인한 비열이나 다른 것에 의해 가능할까 생각했는데 역시나 아니네요 쨋든 다음 갈퀴님 영상은 약 2~3개월후 그리스영상, 그 다음은 탄자니아 영상으로 알고 있겠습니다
@SNOWKANG-4404
@SNOWKANG-4404 Жыл бұрын
특수환경에서 얻어지는 실험결과를 보편적인 지식으로 인정하기엔 무리가 따른다..그럼물도 100도씨에서만 끓는것도 아니잖아..더 높을 수도 낮을 수도 있지..결론. 뜨거운물을 차거운물보다 빨리 얼게할 수 있다...
@dokim8011
@dokim8011 8 ай бұрын
뜨거운물은 수소결합수가 적기에 퍼짐성이 높아서 하늘에 흩뿌릴때 보다 표면적이 커집니다. 커진 표면적은 차가운 공기와 접촉면적이 높아져(입자의 반지름) 보다 더 빨리 발열하여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어는 것 같습니다. 같은 의미로 뜨거운 물도 상온보다 밀도가 낮아, 표면적이 커지고 열전도율이 높을 시, 순간적인 냉각으로 더 빨리 얼 수 있지 않을까싶긴한데, 실험 결과로 보면 그건 아닌 것 같네요.
@sorry_earth
@sorry_earth Жыл бұрын
유익하네요 그동안 잘 못 알려진 이유를 실험과 자세한 설명 너무 좋았습니다!!!
@강용석-h5n
@강용석-h5n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하면 구조 문제인데 간단히 뜨거운 물은 덥죠 옷을 벗고 있습니다 쉽게 얼어요 반대로 차가운물은 춥죠 옷을 많이 껴입죠.그러므로 덜 춥겠죠? 이에 반대로 뜨거운물 찬물중에서 찬물이 더 빨리 끓어요 역시 옷을 얼마나 입고있는차이 입니다 열전도가 옷을 많이 입고있는지 안입고있는지 차이겠죠..
@댕냥이-n7m
@댕냥이-n7m Жыл бұрын
오히려 냉장고 안에 있던 뜨거운 물이 갑자기 얼음이 팍 생기는게 궁금하다. 천천히 어는것도 아니고 순간 팍 생긴게 신기하다
@MorningJuiceOrange
@MorningJuiceOrange Жыл бұрын
자꾸 온도계를 찌르면 실험환경이 자꾸 바뀌잖아요...ㅠㅠ
Офицер, я всё объясню
01:00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HAH Chaos in the Bathroom 🚽✨ Smart Tools for the Throne 😜
00:49
123 GO! Kevin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ОТОМСТИЛ МАМЕ ЗА ЧИПСЫ🤯#shorts
00:44
INNA SERG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무조건 이기는 방법 알려드립니다 (구라 아님)
12:55
긱블 Geekble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문과vs이과, 얼음 녹이기 대결ㅋㅋㅋ
12:25
긱블 Geekble
Рет қаралды 861 М.
[궤도X김상욱] 우주와 물리학 기막힌 콜라보
19:35
스페이스 허브 TV (Space Hub TV)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Офицер, я всё объясню
01:00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