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반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하루에 한 개씩 만들고 싶습니다만, 그러다가는 큰일 납니다. 일해야 합니다;;;;;
@강아지최고-t3z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유학 준비중인 17살 학생입니다. 사회과학부를 희망하는 학생으로서 유익한 지식 많이 얻어 갑니다.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제 선생님은 현생보다 유튜브에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짧은 영상이지만 많이 배워갑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보람을 느낍니다.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TV-ip8xs7 ай бұрын
코디정님 채널의 영상하나하나가 정말 아껴보고 싶은 영상들입니다. 학교다닐때 이렇게 배웠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아쉬우면서도 지금이라도 배울수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어떤 이야기들이 나올지 기대되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정성껏 만들기는 합니다만,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앞으로도 노력해서 올리겠습니다~
@studyrank49807 ай бұрын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어요. 마지막 예시의 사례와 비슷한 중소기업(고등학생 출원)이 제기한 레터링 특허소송을 보면, 대기업에서 파견하여 협력한 중소기업이 있고, 이로 인한 서비스가 3가지 정도 출시된 상황, 하지만 해당 중소기업은 금전전 이득이나 계약적 손익을 보지 못하여 특허를 무효소송을 했고, 막을 길이 없은 대기업은 전자도서관에서 발행된(현재도 마음껏 수정가능한) 것을 바탕으로 얍삽하게 취하시킨 것으로 나옵니다. 참 아이러니 하죠. ESG를 외치는 기업이라기엔 경악 할 일이구요. 레터링 특허 없이도 레터링 등의 사업을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어쩌면 강의와도 상반된 의견이지만 작은 하나의 현실이 마음아파 적어보았어요.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네. 사실관계를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제가 함부로 판단할 수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지 못하겠네요. 특히 언론에 보도되는 것과 달리, 실제 사건의 속살은 우리의 지식 너머에 있어서 제가 다가갈 수가 없습니다. 대체로 양심과 교양이 실정법보다 중요하지만, 비즈니스 세계에서 실정법을 더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경우가 많아서, 항상 쓸쓸하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9m-thursday7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어제 토론중 대전제라는 단어를 제가 사용하였는데... 신기하네요. 덕분에 대전제의 중요한 위치를 더 잘 알게 되었습니다. 쉬운 이해를 돕는 재밌는 강의에 감사드려용.😊
@codyjeong7 ай бұрын
네. 저도 신기하네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생강레몬-g2h7 ай бұрын
사고의 지평이 넓어지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다행이에요. 보람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Itwc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귀한 강의를 둗게되어 큰 힘이 됩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좋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큰 보람을 느낍니다.
@packaging_blue7 ай бұрын
페북에서 늘 좋은 느낌 받았었는데~ 유튜브로 보니 또 반갑네요!!ㅋㅋ 화이팅입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페친인가 보군요. 제가 페이스북에서 이루어지는 실시간 교류는 잘 못하는 성정인데요... 유튜브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보다는 저한테는 좀더 편안한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kellykim2862 ай бұрын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니 대전제가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됩니다. 대전제가 어떻느냐에 따라서 소전제(행위) 에 대한 판단(주장) 이 달라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러면 좋은 대전제를 머릿속에 지니고 있는게 중요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좋은 대전제들을 책을 통해서 가지고싶은데요, 이러한 책을 추천해주실수있나요? 예컨대 탈무드는 좋은 대전제를 갖고있는 책이라고 할수 있을까요?
@codyjeong2 ай бұрын
네. 그런 것 같아요. 좋은 대전제가 머릿속에 있는 게 참 좋겠고, 저도 그러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 것 같아요. 책도 좋고, 책이 아니어도 좋겠지요. 대전제는 완고해지는 경향이 있는 듯해서, 사고의 유연성을 위해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기도 하고요. 논리학은 무엇이 더 좋은 대전제인지 지침을 주지는 않습니다. 그냥 그런 형식과 구조가 있으니, 참고하라는 수준의 가르침이거든요. 어떤 '우월한' 대전제인가는 결국 가치관이나 철학 문제이고, 이것은 꽤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 같아요... 저도 젊었을 때부터 상당히 많은 책을 읽은 것 같고(아주 많지는 않습니다), 20대 시절에 읽고 배운 책으로부터의 대전제는 거의 대부분 버려졌습니다. 돌이켜 보면 책 그 자체가 항상 좋은 것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나이를 먹으면서 다양한 경험과 생각이 퇴적되다 보니까 책을 수용하는 마음도 달라지더라고요... 근래에는 칸트철학과 영국 사상에서 더 많은 대전제 원리를 가져온 것 같아요. 칸트 고전과 밀의 고전, 모든 책을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악의구렁텅이-t2p7 ай бұрын
아니 왜 알고리즘에 이제 뜨셨습니까? 유죄입니다 !
@codyjeong7 ай бұрын
죄송합니다. 제가 유튜브를 대신에서 죄책감을 느끼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환영합니다~~~
@까비-z8e7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올라올때마다 흥미롭게 듣고 있습니다 어렴풋이 느끼고있었던 것을 명료하게 설명해주시니 이제서야 큰틀이 보이고 기반에 대한 확신이 생겨서 너무 감사합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다행입니다. 큰 보람을 느낍니다~~~ 앞으로도 정성껏 영상을 준비하겠습니다.
@richrich223 ай бұрын
선생님 이번 영상도 잘봤습니다❤
@codyjeong3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하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아주 좋아하는 내용의 영상이에요~~
@지우박-u1y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고등학교 논리학 보고서 쓰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codyjeong5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저의 보람입니다.
@Joon81176 ай бұрын
연역추론이란, 각자의 근거(대전제)를 바탕으로 사실판단(소전제)을 통해 결론(주장)을 도출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연역법에 대한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codyjeong6 ай бұрын
네. 그렇습니다. 그것이 우리 인간의 기본적인 논리 프레임인 것 같아요. 작동하는 대전제가 많다는 게 문제입니다만;;; 감사합니다~
@shynn27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늘 지켜보고 있습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부끄럽습니다;;;; 감사합니다~
@gwonday17 ай бұрын
어제 논리 시리즈 통합본 본 후 바로 구독했습니다. 양질의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해주는 귀한 체널이네요. 알고리즘 타고 더 멀리 소문 날 수 있도록 좋아요 꾹 꾹 누르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codyjeong7 ай бұрын
환영하고 반갑습니다. 좋게 평가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아직 여러모로 부족하지만 채널이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다 하는 희망을 저도 품습니다^^
@jdr54377 ай бұрын
논리가 이렇게 재밌는 분야라고는 생각을 못해봤습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재미있는 얘기가 계속 이어집니다 *^^*
@지금여기에-d1u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네. 저도 감사합니다.
@돈까스-p1m7 ай бұрын
한주한주 기다려지겠네요 감사합니다
@codyjeong7 ай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기다리시는 분의 마음까지 생각해서 정성껏 영상 준비하겠습니다^^
@aufheben6 ай бұрын
13:54에서 나는 죽는다가 아니라 나는 사람이다 여야 하는것 아닌가요? 제가 무언가 잘못 이해한 것이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codyjeong6 ай бұрын
아아, 제가 실수했어요;; 대전제가 “사람이 죽으면 천국에 간다”네요. 그다음 (사람인) 나는 죽는다, 가 되고요. 죄송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qweasdzxc123-y3f7 ай бұрын
천국은 발견된적이 없기에 존재하지 않는다. "발견되지 않은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대전제가 생략된걸로 볼수 있겠네요. 암흑에너지나 암흑 물질을 상정하는 현재 과학계로 볼때 잘못된 대전제라고도 볼 수 있구요 물론 암흑에너지나 암흑물질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는 대전제를 생략햇습니다ㅋㅋ
@codyjeong7 ай бұрын
우리가 실제로 경험할 수 없는 것들, 너무 먼 것들은 알 수가 없어요. 99% 이상의 확률로 추측할 수 있겠습니다만... 너무 가까이에 있는 작은 것들도 우리가 알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사람들은 각자가 저마다 다른 대전제를 선택하는 모양이에요. 사람들의 머릿속에 '그런 구조로 되어 있다' 정도를 유념하는 것 자체가 논리적인 사고 같아요.
@Mephlonix6 ай бұрын
논리는 결국 대전제에 달렸다는 것에 크게 공감합니다. 침략자에게도 명분이 있고 논리가 있지요. 대전제를 부수기 위해선 더 큰 대전제가 필요합니다. 그 대전제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또 논리가 필요합니다. 논리는 굉장히 자기닮음꼴입니다. 저는 그래서 좋아합니다. 세상과 닮아있기 때문입니다.
@codyjeong6 ай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그런데 대전제를 부수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에요. 머릿속에는 대전제가 아주 많아서 우선순위가 달라지도록 전략을 짜는 게 더 효과적인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