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어째서 사람들은 오류에 빠지고, 어째서 소통이 어려운지

  Рет қаралды 8,738

코디정의 지식채널

코디정의 지식채널

19 күн бұрын

논리 시리즈 여덟 번째 이야기입니다.
논리 심화편 2번째 강의
인간 공통의 머리 구조는 연역논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토대-구조 모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예를 준비했습니다.
[논리의 기초편]
제1강 논리란 무엇인가
제2강 논리를 공부해서 무엇을 얻는가
제3강 논리의 전체 구조
제4강 개념이란 무엇인가
제5강 판단이란 무엇인가
제6강 추론이란 무엇인가
[논리의 심화편]
제7강 무엇이 근거이며 무엇이 주장인가 (지난 영상)
제8강 연역에 대하여 (지금 영상)
제9강 귀납에 대하여 (다음 영상)
제10강 경험에 대하여 (다다음 영상)

Пікірлер: 34
@user-un2vv3ck7e
@user-un2vv3ck7e 17 күн бұрын
아니 왜 알고리즘에 이제 뜨셨습니까? 유죄입니다 !
@codyjeong
@codyjeong 17 күн бұрын
죄송합니다. 제가 유튜브를 대신에서 죄책감을 느끼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환영합니다~~~
@ziahseom4107
@ziahseom4107 17 күн бұрын
한주 또 언제 기달려....... 하루에 한개씩 만들어주세요ㅋㅋㅋㅋㅋㅋㅋ
@codyjeong
@codyjeong 17 күн бұрын
그렇게 반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하루에 한 개씩 만들고 싶습니다만, 그러다가는 큰일 납니다. 일해야 합니다;;;;;
@user-zb1vj5oh6d
@user-zb1vj5oh6d 6 күн бұрын
사고의 지평이 넓어지는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codyjeong
@codyjeong 6 күн бұрын
다행이에요. 보람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TV-ip8xs
@TV-ip8xs 16 күн бұрын
코디정님 채널의 영상하나하나가 정말 아껴보고 싶은 영상들입니다. 학교다닐때 이렇게 배웠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아쉬우면서도 지금이라도 배울수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어떤 이야기들이 나올지 기대되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odyjeong
@codyjeong 16 күн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정성껏 만들기는 합니다만,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앞으로도 노력해서 올리겠습니다~
@user-wk6vb3re7u
@user-wk6vb3re7u 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codyjeong
@codyjeong 5 күн бұрын
네. 저도 감사합니다.
@Joon8117
@Joon8117 4 күн бұрын
연역추론이란, 각자의 근거(대전제)를 바탕으로 사실판단(소전제)을 통해 결론(주장)을 도출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연역법에 대한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codyjeong
@codyjeong 4 күн бұрын
네. 그렇습니다. 그것이 우리 인간의 기본적인 논리 프레임인 것 같아요. 작동하는 대전제가 많다는 게 문제입니다만;;; 감사합니다~
@Itwc
@Itwc 14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귀한 강의를 둗게되어 큰 힘이 됩니다
@codyjeong
@codyjeong 14 күн бұрын
좋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큰 보람을 느낍니다.
@packaging_blue
@packaging_blue 15 күн бұрын
페북에서 늘 좋은 느낌 받았었는데~ 유튜브로 보니 또 반갑네요!!ㅋㅋ 화이팅입니다!
@codyjeong
@codyjeong 15 күн бұрын
반갑습니다😊 페친인가 보군요. 제가 페이스북에서 이루어지는 실시간 교류는 잘 못하는 성정인데요... 유튜브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보다는 저한테는 좀더 편안한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studyrank4980
@studyrank4980 17 күн бұрын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어요. 마지막 예시의 사례와 비슷한 중소기업(고등학생 출원)이 제기한 레터링 특허소송을 보면, 대기업에서 파견하여 협력한 중소기업이 있고, 이로 인한 서비스가 3가지 정도 출시된 상황, 하지만 해당 중소기업은 금전전 이득이나 계약적 손익을 보지 못하여 특허를 무효소송을 했고, 막을 길이 없은 대기업은 전자도서관에서 발행된(현재도 마음껏 수정가능한) 것을 바탕으로 얍삽하게 취하시킨 것으로 나옵니다. 참 아이러니 하죠. ESG를 외치는 기업이라기엔 경악 할 일이구요. 레터링 특허 없이도 레터링 등의 사업을 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어쩌면 강의와도 상반된 의견이지만 작은 하나의 현실이 마음아파 적어보았어요.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codyjeong
@codyjeong 17 күн бұрын
네. 사실관계를 모르는 것에 대해서는 제가 함부로 판단할 수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지 못하겠네요. 특히 언론에 보도되는 것과 달리, 실제 사건의 속살은 우리의 지식 너머에 있어서 제가 다가갈 수가 없습니다. 대체로 양심과 교양이 실정법보다 중요하지만, 비즈니스 세계에서 실정법을 더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경우가 많아서, 항상 쓸쓸하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shynn2
@shynn2 17 күн бұрын
존경합니다. 늘 지켜보고 있습니다.
@codyjeong
@codyjeong 17 күн бұрын
부끄럽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bj8yl7zc6x
@user-bj8yl7zc6x 17 күн бұрын
한주한주 기다려지겠네요 감사합니다
@codyjeong
@codyjeong 17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기다리시는 분의 마음까지 생각해서 정성껏 영상 준비하겠습니다^^
@jdr5437
@jdr5437 17 күн бұрын
논리가 이렇게 재밌는 분야라고는 생각을 못해봤습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codyjeong
@codyjeong 17 күн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재미있는 얘기가 계속 이어집니다 *^^*
@user-nx3jn3bc2b
@user-nx3jn3bc2b 14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유학 준비중인 17살 학생입니다. 사회과학부를 희망하는 학생으로서 유익한 지식 많이 얻어 갑니다.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제 선생님은 현생보다 유튜브에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짧은 영상이지만 많이 배워갑니다!
@codyjeong
@codyjeong 14 күн бұрын
보람을 느낍니다.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kq4jf9rg1e
@user-kq4jf9rg1e 16 күн бұрын
어제 논리 시리즈 통합본 본 후 바로 구독했습니다. 양질의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해주는 귀한 체널이네요. 알고리즘 타고 더 멀리 소문 날 수 있도록 좋아요 꾹 꾹 누르겠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codyjeong
@codyjeong 15 күн бұрын
환영하고 반갑습니다. 좋게 평가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아직 여러모로 부족하지만 채널이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다 하는 희망을 저도 품습니다^^
@user-qw5ut4jr5y
@user-qw5ut4jr5y 17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올라올때마다 흥미롭게 듣고 있습니다 어렴풋이 느끼고있었던 것을 명료하게 설명해주시니 이제서야 큰틀이 보이고 기반에 대한 확신이 생겨서 너무 감사합니다
@codyjeong
@codyjeong 17 күн бұрын
다행입니다. 큰 보람을 느낍니다~~~ 앞으로도 정성껏 영상을 준비하겠습니다.
@Nicolai2024
@Nicolai2024 17 күн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어제 토론중 대전제라는 단어를 제가 사용하였는데... 신기하네요. 덕분에 대전제의 중요한 위치를 더 잘 알게 되었습니다. 쉬운 이해를 돕는 재밌는 강의에 감사드려용.😊
@codyjeong
@codyjeong 17 күн бұрын
네. 저도 신기하네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kyj880821
@kyj880821 15 күн бұрын
천국은 발견된적이 없기에 존재하지 않는다. "발견되지 않은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대전제가 생략된걸로 볼수 있겠네요. 암흑에너지나 암흑 물질을 상정하는 현재 과학계로 볼때 잘못된 대전제라고도 볼 수 있구요 물론 암흑에너지나 암흑물질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는 대전제를 생략햇습니다ㅋㅋ
@codyjeong
@codyjeong 15 күн бұрын
우리가 실제로 경험할 수 없는 것들, 너무 먼 것들은 알 수가 없어요. 99% 이상의 확률로 추측할 수 있겠습니다만... 너무 가까이에 있는 작은 것들도 우리가 알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사람들은 각자가 저마다 다른 대전제를 선택하는 모양이에요. 사람들의 머릿속에 '그런 구조로 되어 있다' 정도를 유념하는 것 자체가 논리적인 사고 같아요.
(10) 경험은 논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29:04
코디정의 지식채널
Рет қаралды 3,2 М.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Pray For Palestine 😢🇵🇸|
00:23
Ak Ultra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11) 경험할 수 없는 것을 추론하는 방법
23:21
코디정의 지식채널
Рет қаралды 729
(7) 논리 심화편 시작합니다. 설명과 설득의 세계에 들어갑니다
23:54
(9) 귀납법의 진짜 의미를 살펴봅니다
18:19
코디정의 지식채널
Рет қаралды 1,8 М.
논리적으로 삽시다. 논리의 기초 통합편
1:58:54
코디정의 지식채널
Рет қаралды 152 М.
강남 엄마들이 아동 지능검사 꼭 하려는 이유 (feat. 이병훈 소장)
54:00
정전부부 : 난장판육아
Рет қаралды 37 М.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