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호박사의 양자역학과 원자 2시간 특강 몰아보기

  Рет қаралды 48,380

STUDIAN

STUDIAN

Күн бұрын

100년의 역사, 뇌가 강해지는 2시간 특강 "양자역학이 쉬워진다"(박문호 뇌과학자 특강 풀영상)
오늘의 게스트:
박문호 뇌과학자
박문호 [빅히스토리 공부]📘
👉product.kyobobook.co.kr/detai...
#박문호 #양자역학 #뇌과학자
📢문의: info@changeground.com
📢스터디언 출연 신청: forms.gle/a2YoNJyU2jpZ1YxSA
--
00:00:00 원자의 원리와 의미 1부
00:41:48 원자의 원리와 의미 2부
01:24:35 방사능과 원자핵 1부
01:49:12 방사능과 원자핵 2부

Пікірлер: 47
@Ikmujn
@Ikmujn 18 күн бұрын
박문호박사 동영상강의를 보고 느낀점. 판서하면서 강의하는데 모든 그림,수식,연표를 일일이 적는다. 그런데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고전물리학, 양자역학, 통계역학, 생화학, 암석학, 물리학, 해양학, 뇌과학, ... 빅뱅부터 생명현상까지 그 방대한 기호와 수식을 보게된다. 한마디로 경이롭다.
@user-xz6dx1ov6s
@user-xz6dx1ov6s 21 күн бұрын
오마이 싸이언스! 저는 박사님 제자로 스스로 입문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user-wv1du5bs7w
@user-wv1du5bs7w 18 күн бұрын
저두요
@user-vw5qs2hd7c
@user-vw5qs2hd7c 16 күн бұрын
너무나 멋진 박문호 박사님! 들을때 마다 놀랍니다! 이런분이 대한민국 과학자라는게 자랑스럽고 신납니다! 들을수록 과학에 놀라고 박사님께 놀라고! 오! 마의 싸이언스! ! 존경합니다. 박문호 박사님 ! 건강 하세요.
@user-td1ql9fe4w
@user-td1ql9fe4w 8 күн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늘 쉽고 명쾌한 설명에 감사합니다.❤🎉🎉
@chungatang01
@chungatang01 19 күн бұрын
❤😂🎉이거 하나로 물리학 다 배웠다,,,,,와 두시간 짜리 영상 하나로10년치 물리학과 내용을 요약됐다,,,박문호 박사님 감사합니다,,, 수천가지 물리학 영상이 있지만 뒤죽박죽 지식이라 먼지 몰랐는데 이걸 두시간짜리로 요약 집대성한 영상은 이거 하나 뿐입니다,,,,
@user-lb6dv6or4h
@user-lb6dv6or4h 21 күн бұрын
미리 감사합니다.💛
@user-cx4bx8ce8d
@user-cx4bx8ce8d 21 күн бұрын
저도요
@user-iz2iy8zy9v
@user-iz2iy8zy9v 20 күн бұрын
박사님 강의 감사합니다. 그리고 박사님의 미괄식 설명에 지친 시청자를 위한 양자역학에 대한 두괄식 설명. 양자역학은 한마디로 '원자내 전자의 운동을 설명하는 역학'입니다. 그리고 양자역학을 대표하는 방정식(역학)은 두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파동역학)이고, 다른 하나는 하이젠베르그의 행렬방정식(행렬역학)입니다.(파인만의 경로적분은 생략) 같은 전자의 운동을 설명하는 역학인데 왜 방정식은 두개인가 하면 전자가 파동이기도 하고 입자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즉 전자를 파동이라고 보고 설명하는 것이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파동역학)이고, 입자라고 보고 설명하는 것이 하이젠베르그의 행렬방정식(행렬역학)입니다. 하이젠베르그는 1925년에 행렬방정식을 발표하고 슈뢰딩거는 1926년에 파동방정식을 발표합니다. 그런데 1927년 폴 디락은 이들의 방정식이 미시세계에 대한 기본법칙을 두가지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 것임을 증명합니다. 전자는 파동이기도 하고 입자이기도 하니까 어찌보면 당연한 결론입니다. 이두 방정식을 풀어서 나온 답이 원자내 전자의 분포를 나타내는 확률함수인 오비탈입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박사님의 강의를 들으면 더 재미있는 시청이 될것입니다. 기타 *왜 운동을 설명하는데 역학이라고 하나? 그건 운동의 원인을 '힘'이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양자역학은 원자에 대한 탐구과정의 결과입니다. 케플러의법칙(브라헤의 관찰결과를 경험법칙으로 일반화 함)이 왜 성립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 뉴톤역학이듯이.. 보어의 원자모형(보어는 수소원자의 선스팩트럼에 대한 뤼드베리공식을 설명할 수 있는 원자모형을 만듬)이 왜 성립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 양자역학입니다. 그래서 박사님이 양자역학에 대한 설명을 아톰(원자)으로 부터 시작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런데 왜 전자역학이 아니고 양자역학이지? 전자의 분포는 에너지가 레고블럭처럼 최소단위가 있다는 플랑크의 발상과 떨어져서 설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막스 플랑크는 흑체복사곡선(흑체가 내뿜는 파장별 에너지분포곡선)문제를 풀다가 에너지의 최소단위를 전제하지 않으면 문제가 풀리지 않음을 발견합니다.그 에너지의 최소단위가 플랑크상수입니다. *각운동량의 최소단위는 '에이치바/2'입니다 * 입자 파동 이중성 빛은 파동인줄 알았는데 광전효과를 통해서 입자이기도 하다는 것이 입증됩니다.(이중슬릿실험,반거울실험을 통해서 추가입증) 그후 드브로이는 전자가 입자인줄 알았는데 파동임을 주장합니다. (이는 이중슬릿실험으로 증명됨)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은 드브로이의 발상에 의해 모티베이션됩니다. *그외에 양자역학의 성립과정에서 전자의 이중성과 연결된 불확정성의 원리, 파울리의 배타원리같은 경험법칙 그리고 광자 전자와 같은 미립자의 양자중첩,양자얽힘등의 현상이 발견되었습니다. *실재성문재 즉 관측행위와 독립된 객관적 실재(전자)의 존재와 관련하여 '존재하지 않는다'는 보어,하이젠베르그 파울리 보른등의 코펜하겐학파(코펜하겐 해석)와 '존재한다'는아인슈타인 슈뢰딩거 포돌스키 로젠등 (숨은 변수이론)이 참여한 논쟁이 벌어집니다. 이후의 실험결과들은 코팬하겐 학파의 손을 들어줍니다. *위 논쟁은 국소성문제(정보전달은 빛의 속도를 넘을 수 있나 없나?)를 포함한 논쟁입니다. 국소성 문제에서도 코펜하겐학파의 승으로 결론남. 이상의 설명은 양자역학에 대한 탐구과정의 '잠정적 결론'임...
@user-ip7ui1gj1p
@user-ip7ui1gj1p 20 күн бұрын
앎을 풀어주셔서 감사 감사 합니다. 복 받으세요~
@user-zz7mx3qz7s
@user-zz7mx3qz7s 2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ndrewpark2363
@andrewpark2363 19 күн бұрын
지식나눔에 감사드립니다
@andrewpark2363
@andrewpark2363 19 күн бұрын
정말고맙습니다.
@gangsanlee4070
@gangsanlee4070 9 күн бұрын
양자역학의 개념을 가장 간결하게 가장 명료하게 설명하신 댓글인것 같습니다! 내가 봐온 댓글중 👍
@sky7star
@sky7star 1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박사님
@UView.
@UView. 13 күн бұрын
최고의 강의!
@user-iu8ox4qe6n
@user-iu8ox4qe6n 20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은 박문호 보유국가입니다..^^
@KjaLooqjy
@KjaLooqjy 5 күн бұрын
박문호박사님은 진짜 유명한 천재임
@theknifemartialarts.9053
@theknifemartialarts.9053 2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tintret
@tintret 18 күн бұрын
본인이 깨달은 바를 이렇게 나눠주시다니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user-pj1iv7fr8g
@user-pj1iv7fr8g 7 күн бұрын
투박한 딕션에 아날로그적인 강의가 고딩때로 돌아간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richrich22
@richrich22 17 күн бұрын
오마이싸이언스🫢 박사님 감사합니다❤
@FUNKY-
@FUNKY- 19 күн бұрын
말씀하시면서 신나하시는 것 같음ㅋㅋㅋ
@dhresearch
@dhresearch 20 күн бұрын
2:05:40 적외선 자외선 바뀐 설명이죠?
@user-lk4qi2ie4k
@user-lk4qi2ie4k 15 күн бұрын
엑쎈트 인터네이션 딕션이 안좋아 계속 듣기가 힘드네요
@user-cl7ju9fo4h
@user-cl7ju9fo4h 21 күн бұрын
도.....파민이요?
@user-jc4lv4pu5e
@user-jc4lv4pu5e 19 күн бұрын
화연 두손가락으로 잡아당기세요. 스케치북 확대돼서 잘 보여요 ㅋㅋㅋㅋ
@user-dn8lb8cg3d
@user-dn8lb8cg3d 21 күн бұрын
오마싸
@TheSucker0050
@TheSucker0050 20 күн бұрын
2시간동안 내가 뭘들은거지~~아 암것도 모르것다
@user-pt9rs6hh9v
@user-pt9rs6hh9v 20 күн бұрын
이거 기획한 사람들아 보드판 하나 없냐
@UView.
@UView. 13 күн бұрын
좋은 영상 기획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 하나 없냐?
@user-pt9rs6hh9v
@user-pt9rs6hh9v 13 күн бұрын
@@UView. 좋은 영상이 아니라고 생각하니깐 없다 왜?
@hoo8231
@hoo8231 13 күн бұрын
그러면서 질문을 오디오 없이 자막으로만 처리함 어째선지 과학 채널은 다 그럼 영상 정보라고는 이야기하고 있는 사람뿐인데 그렇다고 영상 안보고 듣기만 하려 하면 질문을 놓침 다 그러고 있음
@user-uk4ig5km7d
@user-uk4ig5km7d 7 күн бұрын
최근 이분야의 강의중에서 이보다 좋은 강의는 본적이 없다...
@user-pt9rs6hh9v
@user-pt9rs6hh9v 7 күн бұрын
@@user-uk4ig5km7d 카이스트 김갑진 교수 강의 듣고 와라
@NaN_OTL
@NaN_OTL 20 күн бұрын
이 분 전공은 전자공학인데 왜 뇌과학자인거고? 왜 여기서 양자역학을 얘기하는거지?
@eunsukkim6581
@eunsukkim6581 20 күн бұрын
내용만가지고이야가합시다. 전공ㅇ자아니면 공부못합니까?
@getthankyou8650
@getthankyou8650 19 күн бұрын
과학 학문적 요소 보다 과학전체 개념과 역사흐름을 얘기 하시네요 하긴 중학생수준으로 설명한다는 전제를 하셨으니.
@user-yv5cb9cx8u
@user-yv5cb9cx8u 12 күн бұрын
이사람 나오는거마다 다 차단하는데 진짜 여기저기 다 출연함 ㅋㅋㅋ 돌겠음 참 할말 많은데 고소라도 당할까봐 못하겠네
@user-nv7rn9gb8t
@user-nv7rn9gb8t 20 күн бұрын
가창하게 이야기 하시는데..원자에 관해서 아는것은 먼지만큼 밖에 안됩니다.. 한단계만 넘어 그게 왜 그런데? 하고 들어가면 설명할 수 있는것이 단 하나도 없어요
@user-fu3xr2yu3y
@user-fu3xr2yu3y 7 күн бұрын
보고 있자니 정신이 하나도 없네 ... 수화를 하는 건가?
@ohcmas
@ohcmas 20 күн бұрын
무슨말을 하는지...내가 무식한건지..설명을 못하는건지 ...
@beshuah99
@beshuah99 16 күн бұрын
강의 난삽하다
@user-qm7ob8kx1z
@user-qm7ob8kx1z 2 күн бұрын
존경하는 박사님 eeg tms 가능성 잇을까요?
전두엽을 활성화시키는 두 가지 방법
2:19:03
김주환의 내면소통
Рет қаралды 668 М.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73 МЛН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Tom & Jerry !! 😂😂
00:59
Tibo InShape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Can You Draw A PERFECTLY Dotted Line?
00:55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7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