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대로 현실적인 관점에서 이야기 해봤습니다. 설명을 위하여 다소 무리하게 접근한 부분이 있습니다. 현명하게 필터링 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Пікірлер: 161
@v90cross23 жыл бұрын
자전거 타면서 일년정도 되다보니 이 영상을 다시보게됩니다. 그때는 몰랐던것을 다시보면서 더 많이 알게되네요. 유튭 동영상들이 이야기하신것처럼, 평범한 동호인, 취미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너무 잘 설명이 되어 있는것 같아요
@edshin89254 жыл бұрын
역시 두리아빠 Awesome!!! 무조건 작은것이 우리에겐 큰무기인거 같아요...감사합니다.
@이형민-v3r4 жыл бұрын
이 령상을 보고 드디어 기어비에 대해 이해 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 드립니다.
@22abba4 жыл бұрын
이형민 도움이 되셧다니 기쁩니다~
@diamonddrago50554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역시 두리아빠는 찐입니다. 자전거 유투버중 단연 최고~~~~감사합니다.
@expert05096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kamatoto_cc Жыл бұрын
딱 대기업 연구원 책임급 말투와 분석이시네요 멋집니다. 본업도 치밀하게 잘하실듯 합니다. 근데 요샌 영상이 없어 기다려지네요. 사람들이 질투나서 악플다는거 무시하시구요 ㅎ
@jinhyukjegal23742 жыл бұрын
대형 유튜버 다 필요없고... 진짜 현실적이네요 ㅋㅋㅋ 전체적으로 매우 공감합니다 ㅋ
@ohhyjin4 жыл бұрын
저도 엔진이 70cc라 mtb가 힘들어 로드바이크 기변하려고 준비중인데 이해하기쉽게 설명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이종오-r1l2 ай бұрын
많은걸 공부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ginnunga14 жыл бұрын
와아 정말 좋은정보 입니다. 감사합니다!
@뿌슝빠슝-k7f5 жыл бұрын
엄청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이승명-w6j4 жыл бұрын
초보가 많이 배웠네요 조금 제겐 이해되지 않 는 ㅡ제가 못알아듣는 부분이 있긴하지만 이렇 게 구동계가 복잡한줄 몰랐네요ㅎㅎ 아무튼 이해가 되서 너무감사 합니다 계속 시청하겠 습니다!!^~^
@bornto45518 ай бұрын
오우 설명좋네요.... 예전 고민했을때 이 영상을 봤다면 진짜 더 좋았겠네요..
@박무득-c1i2 жыл бұрын
두리아버님 평소 지식 참 현실적으로 경청하고 있습니다. 저의 기어비는 시마노 크랭크 52-36, 스프라켓 11-30인데요. 업힐보단 평지에서 케이던스위주 기어비가 잘안나옵니다. 시마노는 서브체인링이 안나오기에 50-34하고 스프라켓은 11-34t로 바꾸면 평지 업힐 구분없이 평균 80이상 케이던스위주로 부드럽게 잘나갈까요? 일단 체인링은 무조건 50-34로 가져가야하는데 스프라켓을 현재 11-30에서 11-34로 바꾸면 평지에서 더 부드럽게 나갈까요. 두리아버님의 고견 꼭 부탁드립니다.
@박무득-c1i2 жыл бұрын
아울러 저는 시마노 신형12단 입니다. 크랭크 52-36 스프라켓 11-30 에서 평지 업힐 모두 부드럽게 80-90케이던스로 잘나가는 체인링과 스프라켓 조합 부탁드립니다
@22abba2 жыл бұрын
@@박무득-c1i 본인 파워에 맞는 기어비 구성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보통은 파워가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편한 기어비를 추천드렸습니다. (제가생각하는것과는 다르게 잘타신다면 좀 다를거라고 봅니다만..) 지금 미드컴팩에 11-30 이면 그렇게 편한 기어비는 아닙니다. 업힐기어비 1이 안나오기때문에 장거리나 고경사에서 조금 힘들거라고 봅니다. 그런데 평지 구성도 15-16-17 잘 연결 되어 있지만 그정도 운용하기도 경험에 따라 쉽지 않을걸로 봅니다.. 해서 장거리(그란폰도나 지방투어)를 대비한다면 34t 스프라켓도 고려해볼수 있겟고요. 특별히 그런게 취미가 아니라면 현상태도 나쁘지는 않다고 봅니다.
@cccshark2 жыл бұрын
정말 잘 정리해 주신 것 같습니다. 다만, 동일 속도에서 케이던스가 높은게 왜 '좋은지'에 대한 이해가 없으신 분들은 이 내용 자체가 입력이 잘 안 되실 듯하니 그에 대해 초반부에서 간략한 설명이나 다른 영상 링크가 있었다면 더욱 좋았을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저는 완전 초급인데 공돌이다보니 기계적인 메커니즘에도 관심이 많은 부류입니다. ㅎㅎ)
@유랑민-v5l5 жыл бұрын
시마노 그래블용 체인링 30T~46T GRX RX6OO 좋은 영상에 감사드립니다.
@김용진-v8i4y2 ай бұрын
12-28t듀라스프라켓은 코그t 가 울테그라 는 간격이 다름니다 변속 트라블이 날수 있도록 제작 되어 있어요
@이수-t9p3 жыл бұрын
mtb만 쭉 타다가 로드 입문하게 되었는데 급경사 만나면 mtb로는 껌이지 하고 올라갔는데 로드 컴팩에 11-28T로는 기어를 다 써도 힘들더라구요.. 그래서 이런 질문을 하면 대부분은 엔진을 키우세요 라고 하길래 답답했던 찰나 이런 영상이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namhyungkim12672 ай бұрын
50대 중반입니다. 운동을 너무 안하는것 같아서 아들 자전거 가르쳐주고 같이 타러다니다 보니 덩달아 자전거를 다시 타게 되었는데요. 얼마전 운동을 제대로 해보자하는 마음에 하이브리드에서 로드를 소라로 입문했습니다.(30년만에 로드 타네요.) 앞은 컴팩 34-50T, 뒤쪽은 CS-HG400-9 11-32T가 달려있습니다. 뒤쪽이 11-12-14-16-18-21-24-28-32에요. 설명에 17-19-21을 주로 쓴다고 하셨는데 저는 18-21 밖에 없어서 21로 케이던스 연습하고 한단만 올리려 해도 부하가 너무 심하네요. 운동 시작한지는 2달 정도됩니다. 보통 라이딩하면 왕복 10킬로 총 20킬로 정도 주행하는데 중간 5km평속이 21T로 23Km/h 정도 나옵니다. 18T로 올리면 25Km/h 정도 나옵니다. 케이던스가 유지 않된다는 뜻인데... 당연히 훨씬 힘도 더들더군요. 스프라켓을 17-19-21T가 있는 SUNSHINE 11-32T로 바꿀까 하는데... 어떨까요. 18T가 좋다고 하시는데 버티고 계속 연습하는게 나을라나요?
@22abba2 ай бұрын
@@namhyungkim1267 저도 영상올린지 오래되서 감이 별로 없습니다만… 일년정도 지나실때 까지는 무리하지마시고 가볍게 타시길 권장드립니다
영상보고서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분이 여기 또 계셨다는거에 너무 놀랐어요.. 지금 자전거시장이 너무 선수 위주로 구성되고 일반인들을 위한 구성이 아니더라구요...11t-50t 10단 스프라켓으로 바꿨고 드레일러랑 쉬프트도 따로 샀어요.. 그리고 1x 체인링 한장만 달려고 하는데 주로 평지운행이지만 서울처럼 경사 업힐이 많은 도심에서는 몇t 가 가장 좋을까요? 저역시 평속 40넘는경우가 정말 거의 없어요.. 9키로 짜리 로드 탈때도 아주 빨라야 시속 38 정도...
@sisilli002 жыл бұрын
항속 30 이상 유지시에 아우터 보다 이너 넣었을때 힘이 적게 드는거 같아요 분명 기어비는 거이 같은데 이건 왜 그런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체감상 느낌인건지 ... 다른 사람들은 파워부자들이신가 모두 아우터로만 다니시는지 잘 모르더라구요 전 케이던스 위주의 라이딩이라 마지막 11티는 안쓰고 34 12에 케이던스 100이상 하면 거이 평속이 35이상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약내리막이나 뒷바람 아니고서야 이너로 거이 달리는편이거덩요 이게 왜이런건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체감상인건지 평타35이상 달리기 위해서 체인링을 46 30을 써서 평지에서 아우터 로 50보다 촘촘한 기어비가 나을까요 아님 52 36으로 해서 이너 36에 13이나 12로 평속을 올리는게 나을지 궁금합니다 52 36 11 32 하면 50에 30 쓰는거랑 비슷 하던데요
@joonmoon21394 жыл бұрын
아 좋은 영상이네요 초보라 이해가 되다 안되다 하는데 혹시 제가 크랭크는 50-34t 스프라켓이 11-26t 인데 원래 마라톤을 해서 그런지 평지에서 최대 가민측정으로 시속 54까지 밟고잇습니다 근데 업힐이 조금 밀리더군요 혹여 스프라켓을 바꾼다면 몇t를 가는게 현명한 교체 방 법일까요?ㅜㅜ 사용중인 구동계는 시마노 클라리스 r2000이라 스프라켓 32t까지 지원이더군요 혹시 스프라켓을 바꾼다면 체인또한 바꿔야되는건가요?ㅜ
@샷다이3 жыл бұрын
3번째 봅니다. 밴드형 앞드라서 체인링 46t로 바꿨지만 여전히 스프라켓 아웃터 2개는 제가 다니는 길에서 거의 사용을 한적이 없네요. 엔진을 강화해야겠어요
@jinhyukjegal23742 жыл бұрын
Mct 미만, 동호인 기준 46-30 쓰는게 답인거 같아요 ㅋㅋ 46-30크랭크 12-25스프라켓 주문해놓고 기다리고 있어요ㅋㅋ
@신동혁-n8c6 ай бұрын
2015년식 자이언트 tcr 카본로드자전거 소유중이고 초중급수준 입니다. 남53세 앞 체인링 50s 뒤 10단 입니다 업힐 힘들어서 교정하고자 생각중입니다. 특성상 스프라켓 up 어렵다하고 앞 체인링 구성 추천 부탁드립니다.
@TV-vo4db4 жыл бұрын
초보인 제입장에서 너무 유익한 정보네요. 궁금한게 있는데 지금 컴팩에 11-28t 사용중인데 경사도10이상인 업힐이 너무 힘이 듭니다. 평지 업힐 비율을 8:2정도로 탑니다. 업힐을 좀더 비중을 두고 타고 싶은데 스프라켓을 멀루 바꾸는게 좋을까요?
@22abba4 жыл бұрын
초보때는원래 업힐이 힘듭니다. 업힐을 비율로 정의하기는 어렵고 장거리 업힐을 즐기시는게 아니라면 그냥 타는것도 방법입니다. 드레일러가 숏케이지 일것같은데 최대 30까지 밖에 안되서 바꾸는 의미가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그냥 타면서 실력을 늘리시거나 적응하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초보딱지 떼시고 그다음 장비 고민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kyungbobaek3 жыл бұрын
잘 배웠어요~~^^
@nolbu-qw4db3 жыл бұрын
저는 완전 초보입니다. - 장비빨 생각하지 말고 그 장비 구입할 돈으로 몸을 키우는 것이 답 아닐까요? 누구는 그 힘든 XX재도 미니벨로로 저보다 더 잘 올라요. 아마추어는 너무 속력내지 말고 안전하게 탑시다.
@가람-x1f3 жыл бұрын
쉽게 정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로드 5년 타면서 그냥 아무 생각없이 탔는데 요즘엔 조금씩 부품에 대해 신경쓰게 되네요
@kristianeugene26233 жыл бұрын
Sorry to be offtopic but does anyone know of a tool to get back into an Instagram account?? I stupidly lost my password. I would love any tips you can offer me!
@karterquentin87323 жыл бұрын
@Kristian Eugene Instablaster ;)
@kristianeugene26233 жыл бұрын
@Karter Quentin I really appreciate your reply. I found the site on google and I'm in the hacking process now. Looks like it's gonna take a while so I will reply here later with my results.
@kristianeugene26233 жыл бұрын
@Karter Quentin It worked and I finally got access to my account again. Im so happy:D Thanks so much, you saved my account :D
@karterquentin87323 жыл бұрын
@Kristian Eugene glad I could help :D
@KKim10102 жыл бұрын
1년전 올린 영상을 이제 보는데, 46-36T / 11- 28에서 50-34T / 11-32로 바꾸면, 업힐이 쉬워질까요? 경사로 10%에서 도저히 답 안 나오네요. 살을 빼서 8-9% 경사로까지는 어떻게든 올라갔는데, 10-12%는 답 안 나옵니다. ;;
@22abba2 жыл бұрын
쉬워지는 건 아니고 올라는 가지는 수준으로 하시려면 11-32 혹은 11-34로 교체하면 됩니다. 앞은 컴팩하신다는 가정하에요. 로드라이딩을 주로 하고 고속에서 유지력이 필요하시면 32 하시고 그게 아니고 여행이나 업힐비중이 있으시면 11-34쓰면 됩니다. 교체하실때 드레일러 지원여부 잘 확인하시고요
@KKim10102 жыл бұрын
@@22abba 빠른 답변 고맙습니다. :)
@럭셔리정 Жыл бұрын
촘촘해 진다기 보단.. 전반적으로 속도가 느려 지겠죠...
@김성근-j2e4 жыл бұрын
체중이(76kg) 많이 나가서 급 업힐에서 케이던스가 정말 안 나요.물론 짧은 업힐에서는 탄력을 이용해서 넘긴하는데 긴 급경사 업힐은 항상 부담으로 다가오는데 님 영상을 보고나니 초급은 기어셋팅(전 11--28을 쓰고 있습니다)을 적절히 이용해야 하는 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군요. 주위분들에게 구독 추천할게요 ^^
@22abba4 жыл бұрын
저는 업힐에서 탄력 개념을 생각 잘안하게 되더라고요.. 업힐 나오면 그냥 다 털고 올라가죠. 동네 업힐 pr 세울게 아니라면 그게 효율적이더라구요.
@김성근-j2e4 жыл бұрын
@@22abba 네 맞아요 . 저두 pr보다는 좀더 호율적으로 업힐을 하고 프고 님 영상을 참고해서 개인적인 기록도 좋아 졌으면 해요. 긴급경사는 11_28로는 초급에게는 넘 무리라서. .. (이화령은 긴급경사 아님)
@쿨맨-p7c5 жыл бұрын
제가 현재 컴팩에 11-28t 사용중입니다만, 업힐보강을 위해 11-30t로 교체 하려합니다. 어느정도 차이가 날까요? 영상에서는 케이던스 5차이라고하셨는데요 케이던스5면 체감이 좀 있는건가요? 어느정도 업힐보강 될지요 궁금합니다. (뒷드레일러 ss타입이라 30t까지 가능합니다)
@22abba5 жыл бұрын
그것도 나름대로 체감하실수 잇을까 하고 고민해서 내놓은건데 역시 어렵군요 ㅎㅎ 확실히 조금 나아요 쪼금
@쿨맨-p7c5 жыл бұрын
@@22abba 나름 고민을 많이했던 사항인데요. 두리아빠님의 영상과 답글이 큰 도움됐습니다. 당장 교체 하겠습니다. 빠른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꾸벅~~
@bakjina3 жыл бұрын
같은 기어비가 나온다고 가장하면, 작은 체인링을 쓰는게 유리한가요? 큰 체인링을 쓴는게 유리한가요?
@22abba3 жыл бұрын
체인링 크기가 힘전달에 어떤영향을 끼치느냐... 혹은 큰체인링을 쓰면 작은체인링 쓸때보다 힘을 덜 쓸수 잇느냐 하는질문인가요??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는 큰체인링이 유리하다고는 하지만 근거는 못찾았습니다.
@Terry90245 жыл бұрын
영상 늘 감사히 잘 보고 배우고 있어요 6800 뒷드레일러로도 11~30 쓸수 있나요? 아니면 8000으로 바꿔야 가능한가요?
우선... 현재 쓰시는게 11-28이라면 12-28로 바꿔도 아무문제 없습니다. 평소에 강도높은 팩라이딩이나 주변에서 굇수소리들으시는거 아니라면 아예 안바꾸시는거 추천드립니다. 바꿔도 크게 달라지는건 없을거에요 ㅠㅡㅜ
@KBF-대한자전거연맹 Жыл бұрын
9:53 이런 화면은 어디서 보나요?
@dahlia3451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소라 50/34 11/28(스램)인데 전 18t가 있는데요??
@나산-v9z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cs김교수4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네요 감사합니다 제가 티씨알 34.50 11.34쓰다 프로펠 36.52 11.30 로 갈아탓는데 자전거도 프로펠이 이쁘고 다시 기변하긴 부담스러운데 기어비는 예전 티씨알이 진짜 맘에 들었거든요 어떡해야 예전 기어비와 비슷함 느낌으로 바꿀수 있을까요?
@22abba4 жыл бұрын
TCR이름뒤에 KOM 붙은 모델이엇나봅니다. 기존에 앞뒤로 같아서 기어비 1이엇으니 그에 가깝게 맞춰주면 되는데요. 로드는 제일 낮게 할수 있는게 현실적으로 34라서 체인링을 50/34바꿔 주시면 조금 좋아지고요. 뒤에 30t정도면 그래도 괜찮은편인데요. 만약에 변경을 하고자 한다면 아마 드레일러가 ss 타입으로 숏케이지 일거에요. 34t를 쓰려면 gS미디움케이지여야 되요. 그래서 34는 무리고 32까지는 숏케이지로 세팅잘하면 가능합니다.
아주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속도~체인링/스프라켓X케이던스 (바퀴사이즈는 동일하다고 가정)에서, 예를 들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울테급 사이클에서 35kph~50/13X72rpm 이 나옵니다. 만약 무게가 훨씬 가벼운 기함급 사이클을 타고 동일한 속력을 내기위해, 예를 들어 35kph~50/12X62rpm 로 울테보다 기어비를 무겁게 하지만, 동시에 적은 케이던스(파워)로 동일한 속력을 낼 수 있겠죠. 무게가 가볍고 성능이 좋은 기함급 자전거를 타면서 울테급의 50/13 기어비를 쓴다면 캐이던스가 올라가 당연히 속도가 올라갈 것 같습니다. 따라서 캐이던스가 여유가 생겨 더 무거운 기어비를 사용할 수 있겠지요.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자전거의 속도는 수학적으로 기어비(체인링/스프라켓)와 캐이던스에 비례하지만, 자전거의 성능(무게)와 사람의 파워가 캐이던스에 영향을 준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체인링을 아우터가 아닌 이너를 쓸 때인 것 같습니다. 엄청난 급경사를 올라갈 때, 성능이 좋은 기함급 에어로 자전거(예로 52-36T 또는 53-39T에 11-28t)라 하더라도, 무거운 기어비로 이 급경사를 올라갈 수 없을 때가 문제인 것 같습니다. 물론 이 급경사를 올라갈 수 있는 캐이던스(파워)를 낼 수 있는 선수는 다르겠지만. 20~30% 경사 언덕을 올라갈 수 있으려면, 50-34T에 스프라켓은 34t (기어비 1.0) 정도는 써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사이클을 알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저의 생각에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22abba3 жыл бұрын
제가 내용을 제대로 이해햇는지 모르겟습니다만.... 체인링 및 스프라켓은 비용을 들여 교체하면 되는거라 기함급 모델을 골라도 상관없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고속주행은 기어비가 좀 잘 안맞아도 효율이 낮을 뿐 큰 리스크는 아닙니다 그러나 최저 기어비가 원하는 대로 확보되지 않으면 주행 자체가 안될 수 잇죠
@자유우파-i8d3 жыл бұрын
2018.12.8에 작성하신 '자전거 기어비에 대한 이야기'를 보고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었습니다. 무게가 가볍고 성능이 좋은 자전거를 사면, 11-28t에서 11-34t로 갈 때, 평지에서 고속 기어가 한두개 빠진 공간을 내가 캐이던스를 조절하여 빠진 기어를 커버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docwsju2 жыл бұрын
체인링이 50-34인데 설악그란폰도를 준비하고 있어서 체인링을 인너를 30으로 바꿀려고 생각중입니다. 변속에 어려움이 있을까요?
@cycling-v3l Жыл бұрын
아우터 체인링과 이너 체인링의 톱니 수 차이가 16개를 초과하면 안 됩니다. 트러블이 생깁니다. 그래서 스탠다드 53-39t 14개 차이 미드컴팩 52-36t 16개 차이 컴팩트 50-34t 16개 차이 입니다. 저는 53-36t 시도해 봤었는데요. 16t 보다 1t가 초과된 17t 차이를 시도해 봤는데 역시나 변속이 53-39t에 비해 변속감이 나빠지더라고요. 컴팩에 이너를 30t로 바꾸면 20t 차이가 나기 때문에 무조건 트러블이 생기고 체인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톱니 16t 허용용량에서 1개만 초과해도 변속이 정확하게 이루어 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20t 차이면 무조건! 무조건! 트러블입니다.
@지중해-h4g7 ай бұрын
잘봤습니다.
@johnyi3212 жыл бұрын
실력 초급이 되어보니 비로소 T 에 관심이 갖네요. 업힐하다보니 제가 왜업힐이 안되고 버겨워하는지 T 가 달랐더라구요. 질문입니다. 앞은 52-36T 인데 뒤는 11-30T 입니다. 앞은 그대로 두고 뒤를 11-34T로 바꿔야하나, 뒤를 그대로두고 앞을 서브컴팩으로 바꿔야하나 고민입니다. 어떤게 효율적일까요? (전체 10에서 평지 6.5 업힐 3.5 정도로 타고있습니다.) (롱케이지라 스프라켓 34T 변경 가능합니다.)
@22abba2 жыл бұрын
개인기량에 따라 달라서 정확히 추천드리긴 어려운데요. 11단이시면 11-34는 중간이 너무 듬성듬성해서 평지 고속주행에서 조금 힘들수 있습니다. 저는 50-34에 11-32 운용 했습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입문 초급이고 스프라켓 체인링 그런것 전혀 모르고요. 그냥 구입한 그대로 타고 다닙니다. 때로는 자전거가 안나가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요. 이런 자전거로 입문 한 달만에 아무것도 모르고 힘들게 서울~춘천,아라서해갑문~강정고령보 까지도 갔다왔습니다.(구미보 찍고 시내에서 낙차해서 고령보만 찍고 돌아왔음) 46만원 짜리 MTB고요 이제사 교체하긴 그렇고 이걸로 그냥 저냥 타고 다니다 조만간 트랙의 마린 8로 기변 할려고 합니다. 이 때 스프라켓 11-34, 체인링 어떤 걸로 해야하는지요. 32~34 이런것도 있는걸로 아는데요. PS: 현재 평속 22KM 입니다.(평지 최대속도 35KM 내 보았음 아주 잠시) 처음엔 평속 10~12 나왔었는데 많이 늘었죠. 저도 스프라켓과 체인링 바꾸면 더 잘 달릴 수 있다는데에 기분이 좋아지고 기대감이 만땅입니다. 요새 자전거 타는 재미를 느낍니다. 남산도 여러번 다녀왔고 어제도 서울~경기 103KM 달렸습니다. 좀더 더 잘타고 더 빠르게 달릴 수 있도록 정보 부탁드립니다. 정보 고맙습니다.
@22abba3 жыл бұрын
부족한 영상인데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장비세팅 변경없이 그냥 타셔도 좋습니다.
@travelingdieter67253 жыл бұрын
어제 오랜먼에 1년정도 놀고있던 로드를 탓는데 말씀하시는 내용을 많이 실감하고 지금 찾아 보게 되었습니다 현재 컴팩에 11-30인데 너무 힘들었습니다 저는 주로 MTB를 타는데 1×12로 앞은 32t입니다 보통 속도는 28-30은 내고 스브라켓은 전 구간 다 편하게 이용되고 1단은 조금 부담스럽고 그렇습니다 근데 어제 오랜만에 로드 타면서 느낀건 26~8속도로는 뭔가 조금 허전하고 30부터 조금 넘어가면 힘들고 mtb에서 느껴보지 못한 그런 저항과 부담이 오더군요 말씀하신대로 딱 평지에서 17 19 20? 이거 밖에 못 쓰겠던데 3개중에 소위 스윗 스팟이라고는 하나도 없단걸 느꼈습니다 그래서 오늘 영상을 찾아보다가 이해를 했어요 결국 제가 적응해야 하는걸로 결론 내리고 열심히 타려구요 ㅋ
@kyoungchulkim8956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울테 6800 현재 11-25t 사용중인데 드레일러 교체없이 11-30t 까지 가능한가요? 11-28t 까지는 가능할거 같은데요
@22abba4 жыл бұрын
체인길이가 허락한다면 28까지는 ss타입.. 그러니까 제일 작은것도 원래 가능한 범위구요 저는 숏케이지에 빅풀리 11(가이드)-15(텐션) 달아서 32t스프라켓사용햇습니다
@kyoungchulkim89564 жыл бұрын
30t 는 안된다는 말씀인가요?
@22abba4 жыл бұрын
잘세팅하면 되는데요 원래는 규격범위 밖이에요
@kyoungchulkim89564 жыл бұрын
Cycling두리아빠 감사합니다 그럼 그냥 28t 로 해야겠습니다
@wktrkxdmsgksrnr4443 жыл бұрын
7단 14-28t에 체인링이 41t인데요 속도업하려면 체인링을 몇t가 적당한가요??
@Open_your_brain20223 жыл бұрын
기어비 핸드폰 앱으로 비교해보시면된여
@cyber-backpacker4 жыл бұрын
"체인링은 무조건 작은게 갑이다"에 필요한 전제 조건...엔진힘이 다른 누구보다 허접한 초보일 때...ㅋ 아 내 도가니여...도가니 나가는 소리~
@brianlee8289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52/36에 28t쓸빠엔 50/34 25t 쓰는게 맞다고봐요. 지금 28t안올라가는 105 사용중인데 34t에 11 기어비 3.01 업힐기어비 1.36으로 전부 해결되네요
@22abba3 жыл бұрын
본인에 맞춰서 사용하면 됩니다 보편적인 조건에서 설명하다보니 모두를 만족시킬수는 없겟죠 업힐 기어비 1.36이면 많이 빡빡하네요
@도그마-l9i5 жыл бұрын
52-36 11-28t 사용합니다. 듀라9150사용하고요. 11-34 호환가능한가요?
@22abba5 жыл бұрын
아니요 9150은 30까지로 알고 잇어요
@도그마-l9i5 жыл бұрын
@@22abba 11-34/11-32 사용하려면 멀봐꺼야하나요.
@22abba5 жыл бұрын
전 9070인데 원래 꺼 풀리 떼어내고 11-15빅풀리를 써서 큰 스프라켓 사용하고 잇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