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올 여름 고생 많으셨네요...올 겨울 한파 내년 여름 더욱 심해질 폭염 계속 발생할 텐 데 잘 버티시길 바래요...
@을지이도Ай бұрын
60년 대 후반의 초등학교 시절 8월 여름방학 날씨를 지금도 기억합니다. 8월 15일쯤 되면 저수지에 들어가지도 못할 만큼 물이 차가웠습니다. 실컷 놀다가 이때부터 대개 여름방학 숙제를 하기 시작했거든요 지금은 10월에 들어섰는데도 옛날 8월 중 후반 날씨보다 더 덥습니다.
@foreverblue5173Ай бұрын
쥐치 역시 해파리의 천적입니다. 남획으로 쥐치 개체수가 급감한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mwfy-birchАй бұрын
무너진 생태계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가지의 어려움들.. 어쪄나요...ㅜ 모든 상황이 인간들의 소행 임이 크니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annechoi3378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송송인프렌즈Ай бұрын
교수님 오늘 안색이 안좋으세요~ 환절기 건강 조심하셔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권진현-l9rАй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고맙습니다~^^
@puppy3227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악의 기원 최재천교수님 번역책이 나왔네요 오늘신문에 나와서 반갑습니다^^
@유투브안함Ай бұрын
7:55 또 이런 수족관들이 우후죽순 생기다보면 망하는 수족관도 있을테고 그 수족관에서 키우던 생물들 무단 방류가 생기지 않을가 하는 걱정이 듭니다. 그렇게 또 그동네 생태계가 망가지지 않을까 하네요..
@mi_dongАй бұрын
바다 오염은 왜 세계 각국이 정부차원에서 행동하지 않는 것 같죠? 희한해요...
@로잉-f2oАй бұрын
바다는 워낙 넓고 깊어서 많은 흔적을 감춰주기도하고 땅보다 경계가 불분명하잖아요 바닷물이 고여있지 않고 계속 움직이니 어떤 문제가 나타나도 남의 나라에 책임을 떠넘기기 좋고요 인간들이 직접적으로 모여사는 땅위 보다 바다는 전세계가 뭉쳐서 해결해야되는 부분이 많아서 어떤 합의나 이해가 더 어려운게 당연할 겁니다
@226-y2hАй бұрын
조별과제라서요
@76roseАй бұрын
저도 휴가를 동해갔다가 해파리땜시 촉수가 뿌려진다구? 하드라구요 온 몸이 따끔따큼해서 잘 못 놀았어요ㅠ몇년전만해도 이런적이 없었는데요. 지구 온도가 심각하구나를 느꼈습니당
@이민준-q3tАй бұрын
제주 동쪽 해안에서 들어간지 5분만에 가족중 2명이 해파리에 쏘였어요. 처음이었어요. 채찍으로 맞은거같은 자국이 생겨요. 식염수로 세척하고 수영을 못했어요. 심각한 해파리는 아니어서 다행이었는데 바닷물이 갈수록 따뜻하긴해요.
@kimmay23407 күн бұрын
교수님 힘이 없어 보여서 걱정 되네요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써 교수님의 여러 채널 에서의 말씀에 공감 또 공감 합니다. 제가 살고 있는 곳은 호주 시드니 인데요 며칠전 강아지와 산책 하는데 작은 새가 날아와서 강아지 머리위 부분을 살짝 공격 했어요.아마도 나무위에 새끼들이 있는 둥지가 있는것 같았어요 잠시 놀랐지만 이런 동물들의 본능이 발현되는 곳에서 그들과 함께 산다는 것이 무척 행복 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옆집 호주 친구는 물건과 음식을 구입할때 꼭 필요한 만큼만 몇번 생각하고 구매 한다고 합니다. 쇼핑백도 헝겊 으로 만들어서 찢어진 부분은 꿰매서 쓰고 있어요. 절대 경제적 으로 궁핍해서 아닙니다.이곳 동네 쇼핑센터에 가면 입구 한면벽에 사람들이 쓰다가 걸어놓은 종이 또는 헝겁쇼핑봉투가 있어서 새것을 구입하지 않아도 가져다 쓰도록 하고 있어요.아주 작은 일이지만 저도 동참하고 있어요. 교수님께 항상 감사 합니다 힘내시라고 말씀 드리고 싶어요
@쉐마청력재활센터Ай бұрын
학문, 일반상식의 차원을 넘어서 인류 생존의 문제인데 사회 관심의 정도는 너무 낮습니다. 교수님, 김형석 교수님처럼 오랫동안 사회의 큰 종, 울림이 되어주세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jitwo2002Ай бұрын
해파리에 사람이 쏘여서 문제가 됐다는 소식 들을 때마다 저는 바다수영은커녕 수영 자체를 못 해서 물에 들어가지 못 하는 거를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교수님 이야기 듣다보니 바다가 해파리로 가득해져서 해변으로 몰려 올라오고 그러다보면 그 중에 육상생물로 진화하는 녀석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이 생기기도 하네요.. 인간이 일조를 한 문제이니 자연적으로 조절이 안 된다면 인간이 해결방법을 잘 찾아냈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영상 감사했습니다.^^
@바나나-c5t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태랑-s9hАй бұрын
˗ˋˏ 와 ˎˊ˗ 교수님 열일하시네용 🫶🫶
@김민수-w3l4wАй бұрын
portuguese man of war은 작은 종류로 알고 있었는데 뭔가 자료화면이랑 매치가 안 되네요
@눙찡Ай бұрын
정말로 거북이의 개체수를 보호 해야 한다고 생각을 해요.
@바나나-c5t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베이비샤크18호Ай бұрын
지구 온난화와 바다 오염으로 바다의 생물들이 더 빠르게 멸종해 가는 듯!!
@막몽Ай бұрын
월정리 해수욕장에서 거북이 새끼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이한별-w6r8 күн бұрын
맞아 해파리를 왜이렇게 좋아해요?
@차돌이-b2oАй бұрын
문제가 되는 노무라입깃해파리는 DNA 측면에서 보면 대성공을 이루었군요. 가끔 전원주택 풀들을 보고 DNA 종족 보존 대성공이란 생각을 하곤 했습니다
@여김춘단-u4mАй бұрын
우리 어려서는 해파리먹었는데 식재료로 사용은 어려운가요?
@nonameknitterАй бұрын
오늘따라 교수님의 표정이 많이 씁쓸해 보이시네요.. 그렇죠. 다 인간들 때문입니다.. 언제쯤 대다수의 인간들이 깨닫게 될까요?
@dr.sheldon7883Ай бұрын
대안이랄까 해결책이 없어서 그럴까요... 맥이 빠져보이십니다...
@issong8362Ай бұрын
벌들의 개체수가 많이 줄고...그많큼 자연도 줄어드는거라고 하니...저출산도 문제지만 기후변화 자연 생태계에서 자랄 아이들도 힘들듯하네요.
@poong322Ай бұрын
해파리라도 있는게 다행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몇 년 후면 해파리 조차 사라지게 될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