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다시마육수 - 물300cc 붇고 다시마 작은거 두장 넣고 불킨다. 물끓기 시작하면 다시마 꺼낸다. 2. 환만식초(보리로 만든식초) 800cc 3.백설탕500g 4.소금(구운소금) 230g 5. 레몬 몇쪽 ㅡ냄비에 모든 재료넣고 오랜시간 저어서 녹인다. 끓이는게 아님. 녹이기 위해 가열하는 것임. 보글보글 끓으려 하면 불을 꺼야함. ㅡ슬라이스된 레몬은 중간과정에 넣는다. ㅡ 다 녹으면 레몬은 제거한다. ㅡ 2-3일 정도 실온에서 숙성시키면 좋다 ㅡ 밥 200그램 : 초대리 소주잔 반잔정도 ㅡ 밥을 빨리 식혀줘야 하고 밥을 너무 쎄게 저으면 떡이되니 주의
@윤희정-s8g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ud8kr7gn2t Жыл бұрын
래시피감사합니다
@올드탱2 жыл бұрын
드디어 오늘 초대리 만들었습니다 기성품 사서 집에서 초밥 만들어 먹었는데 실온보관에 재료도 간단해서 장점 가득한 초대리 쉽게 완성했습니다 ㅎ 감사합니다
@gabrielleoh31984 жыл бұрын
양 1/10 로 줄여서 오늘 저녁으로 유부초밥 만들어 먹었어요! 소스팬에 만들었고 양이 적어서 물이 빨리 끓기 때문에 다시마는 많이 우러나라고 맨마지막까지 뒀어요. 식초는 쌀식초 소금은 죽염꽃소금, 레몬 대신 레몬즙 마지막에 아주 조금만 넣어주었어요! 소금 설탕 넣을때 넘 많아 보여서 긴가민가 후덜거렸는데 결과는 대성공이었네요ㅎㅎ저는 쌀 2컵 분량 밥에 간보면서 3테이블스픈 (45ml) 조금 덜 넣었어요. 근데 진짜 초대리가 너무 짜지도 시지도 달지도 않게 간이 딱 적당하고 감칠맛 나서 진~~~짜 맛있게 먹었어요! 제가 이제까지 만들어본 초밥중에 잴 맛있었고 역시 전문가는 다르다 느꼈습니다. 남은 초대리는 식혀서 작은 병에 넣어두고 다음에 생선초밥이나 마끼 해먹을때 쓸려고 하는데 벌써 기대되요! 귀한 노하우 전수해 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ceojung4 жыл бұрын
초대리 냉장고에서 일년 정도 묵히면 진짜 끝내줍니다
@정희이-r1n2 жыл бұрын
참 자상하신분이시네요감사합니다💝
@ceojung Жыл бұрын
제가 감사합니다
@ditto_20006 жыл бұрын
정대표님 정말 마음에들고 감사합니다.^^
@happymes29826 жыл бұрын
오늘 오전에 만들었어요. 제가 사는 지역이 양식연어로 알려진 곳이라 가끔 연어 팩으로 사다가 초밥이나 회덮밥 만드는데요. 배합초 맛이 항상 일정치도 않고 늘 새로운 양념 비율을 찾았거든요. 정대표님 비율로 연어초밥 만들었는데 남편이 맛있다고 깜짝 ㅎㅎ 감사드립니다 정대표님!!! 해피뉴이어!!!
@ceojung6 жыл бұрын
Sue Shin 좋은 결과였다니 저도 기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임경하-w8eАй бұрын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태연최고잘합니다미 Жыл бұрын
정말 예쁜목소리와. 자세한. 설명 감사하고요 집에서. 꼭해먹겠슴다
@ceojung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tvshorts-cv9ls2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좋은정보 좋은영상 대단히 감사합니다 👍 👍 👍 👍 👍 👍 👍
@임순자-q5t3 жыл бұрын
알기쉽게,자세히잘설명해주셔서 귀에,쏙쏙.들어옵니다 초보지만 잘할수있을것.같아요👍👍👍👍👍👍
@ceojung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irenepark15652 жыл бұрын
자세한설명감사합니다. 한번 도전 해보고싶습니다.^^
@하쿠나마타타-o5x4 жыл бұрын
알려주신 비율로 초밥만들어주었더니 사위 외손주 엄지 척했어요 먹어본 초밥중 너무 맛있다고요 고맙습니다
@ceojung4 жыл бұрын
맛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jeongkyoungae7841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생선초밥을 너무나 좋아하면서도 집에서 한번도 만들생각 안했는데 한번 시도 해 볼려고요 잘 배웠습니다
@ceojung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슬금슬금-q2p3 жыл бұрын
잘배워주네요 짱입니다
@나는행복합니다-o7k5 жыл бұрын
이거 지금 만들었어요!유투브 보고 요리할때 화면이 빠르게 돌아가서 리플레이 할때가 많은데 대표님 방송은 요리교실처럼 선생님과 같이 하는 느낌이라 너무 좋습니다 덕분에 환만식초도 알게되어 감사합니다 식초가 싸서 놀랬슈!
오.. 끝까지 보고 따라하시길 추천드립니다! 가정용 용량이라 하셔서.. 병 하나가 500미리 생수병 얘긴 줄 알았는데 1리터짜리 병얘기였군요...! 첨에 다시마육수 300미리 보고 딱 절반하면 초밥 한 두번 해먹는 양 나오겠다 했는데, 그 다음 식초가 곱절로 들어간다는 생각을 못했어욬ㅋㅋㅋㅋ 절반분량을 만들었지만 2-300미리 만들려고 했던 저는 조금 많이..당황했어요..ㅋㅋㅋ 아핳핳 다른 분들은 끝까지 다 보시고 필요한 만큼 만드시길 바랍니다. 다음에 만들면 1/4 정도 만들 것 같아요. 과연 이 많은 초대리 이후 다음은 올 것인지 궁금하지만... 그리고 요식업 종사하시고 전문인으로서 자신만의 배합을 공개하는 건 참 어려운 일이셨을텐데, 친절히 설명해주시고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초밥 맛있게 만들어 먹겠습니다.😊
@ceojung4 жыл бұрын
넉넉하게 만들어서 냉장고에 놔두면 오래될수록 맛이 좋아집니다 전 일년 지난 초대리를 주로 쓰거든요
@나이스-s6y5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일반적인 초대리보다 훨씬맛있어요~~진짜 감사합니다ㅠㅠ 남편이 진짜 맛있다고 난리났어요 저는레몬을못사서 레몬즙 몇방울 사용했는데 다음엔 진짜레몬넣어봐야겠네요 유튜브댓글 안남기는데 너무감사해서 남깁니다ㅎ
@ceojung5 жыл бұрын
좋은 결과라니 저도 기뻐요
@bonny72616 жыл бұрын
엄청 쉽게 설명해 주시네요 잘봣읍니다
@ceojung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정순-x3s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전문가의 훌륭한 지식을 배움 . 영상이 보기편하고 좋습니다.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사이비 아니고 전문가 스러워서 더 믿음감니다 . 잘 배워 보렴니다.
@Theendyouji2 жыл бұрын
요즘엔 일하느라 요리 관련 유튜브를 거의 못보는데… 이렇게 좋은 유튜브 영상을 왜 이제야 보게 됐는지 ㅜ.ㅜ;;;;;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꼭 한번 따라 만들어 보고 싶네여!!~~ 영상 잘보고 가여!
@유튜브박-p7m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보고 잘 배우고 갑니다. 오늘 애들이 참치를 사온다고 해서 참치초밥 해 먹을 생각입니다.
@Ko-et9d6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레시피 정보 감사합니다 자주 보게되네요 ^^
@손혜경-q4l5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배웠음니다🙇♀️ 오늘은 집에서 튀김과 유부초밥공부하겠음니다🤦♀️
@dudtjqkd124 жыл бұрын
이야.. 안 끓이고 저어서 녹이려가가 계속 고생하다가 정대표님이랑 똑같이 하니까 금방 만드네요ㅠㅠㅠ 감사합니다 항상!!
@ceojung4 жыл бұрын
애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dudtjqkd124 жыл бұрын
일요일에 한 번 써보고 또 말씀드릴게요ㅎㅎㅎㅎ
@dudtjqkd124 жыл бұрын
@@ceojung맛있어요!!!!!!! 정대표님ㅎㅎㅎㅎ
@인우-u7e5 жыл бұрын
정대표님 감사드립니다 ☺☺☺
@Elena-km6jf3 жыл бұрын
감사감사
@zamggurgy4 жыл бұрын
초밥을 좋아하는 사람이라 계속 침을 꼴깍 꼴깍 삼키면서 시청하였습니다. 밥하기가 너무 귀찮아 거의 굶고 살다시피 하긴 하지만 오늘은 냉동 돈가스 튀겨 먹은 지 몇 시간 지나지도 않았건만....
@ceojung4 жыл бұрын
자신을 위한 간단한 요리를 소소하게 해보는 것도 취미로 좋아요
@zamggurgy4 жыл бұрын
전 라면도 열 번을 끓이면 세 번 정도나 먹을 만하고 일곱 번은 실패작이 나오는 요리치랍니다. 부엌에 들어가는 일 자체를 끔찍해 하여 싱크대에 설거지거리가 산더미처럼 쌓인 지 벌써 넉 달째 방치하고 있다는.... 그 설거지거리 아래 어디쯤 밥숟가락이 숨어 있을 텐데 그걸 찾아내려면 설거지를 해야 하니 커피 탈 때 사용하는 큼직한 티스푼으로 밥을 먹곤 하고요. 요리는 내가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치러야 하는 사투이지 취미가 될 수 없을 것 같아요. 요리 잘하는 여자를 유혹하여 같이 사는 게 해결책일 듯한데 이런 변변찮은 낯짝으로는....
@수부타이-r1n6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기대가 됩니다.
@ceojung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영상을 자주 올리진 못하지만 열심히 준비중입니다
@이길순-q1c4 жыл бұрын
대표님 무지 고맙소!!
@ceojung4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uyeonjeong4434 жыл бұрын
즉석밥 210 그램 ㅡ소주잔 반잔 잘섞기 바람으로 식혀주기 밥알이 마르게 한다 ㅡ 바로 만들지 말고 충분히 식은뒤 초밥 하기
@김종선-x2y2 жыл бұрын
식초를 설탕 소금녹인후 넣으면 돠잖아요
@임명숙-o7g9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잘봤습니다, 지금 해보려구요 감사합니다
@ceojung9 ай бұрын
화이팅
@양진희-w1r6 жыл бұрын
잘보고 배우고 갑니다 승승장구 하세요
@JY-vk1ou5 жыл бұрын
환만식초 처음 봤어요 정대표님 말씀 믿고 방금 2병 주문했네요 항상 잘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ceojung5 жыл бұрын
가격대비 좋은 식초라고 생각해요
@회덮밥6 жыл бұрын
정말 섬세하고 알기쉽게 설명잘해주시네요 목소리도 좋으시고요 그리고 어딜가나 불편한사람들은 있는편이니 신경쓰지마시구 정대표님만의 스타일로 영상 많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독버튼눌렀습니다^^
@ceojung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큰 힘이 되네요
@서은경-p9g2 жыл бұрын
저도 만들어 놓을려고요.자세한 설명 정말 좋아요.^^최고
@큰자슥5 жыл бұрын
아;;;ㅋㅋ 환만식초 찾아 삼만리 하다 드뎌 오늘 초대리 만들어서 보관중입니다~~고맙습니다 대표님~~~
@하쿠나마타타-o5x2 жыл бұрын
레시피대로만들어 초밥만드니 너무 맛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윤마루다-k2d3 жыл бұрын
방송에 나오셔도 될분입니다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사랑하고 축복합니다
@김송현-l4z4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봤는데 대표님 요리 맛있어요^^ 구독하고 가요 ㅎㅎㅎ
@의리-y3i5 жыл бұрын
정대표님!!! 福 많이 받으세요.. 너무너무 좋네요.. 동영상 강의.....
@큰바위얼굴-q3n3 жыл бұрын
자세하게 알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다
@eunsilj14 жыл бұрын
꼼꼼히 잘 알려주시네요. 풀청하고 좋아요 구독 꾸욱~~ 누르고 잘 배우고 갑니다. 맛있게 해 먹을것같아요.
@ceojung4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sun40015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어느정도까지 가열을 할거면 굳이 그러지 말고 다시마 끓일때 소금이랑 성탕넣고 같이 끓여서 녹이고 식힌후에 식초를 섞으면 산미도 날아가지 않고 잘 녹일수 있을거 같은데요
@daybreaker96392 жыл бұрын
다시물에 먼저 설탕과 소금을 넣어 녹이고, 식힌후에 식초와 레몬을 넣으면.. 되지 않을까요?
@sunnysunny-pn8dw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 전 미국에 사는데요 ,여긴 환만 식초을 안 파네요.다른 식초 추천 부탁해요. 영상이 너무 좋아요. 너무 쉽게 해주셔서 감사해요.
@ceojung5 жыл бұрын
산도가 비슷하다면 쌀식초나 양조식초도 나쁘지 않습니다
@이경자-o4j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배우고 갑니다 초밥소스사다 먹음좋치만...
@상디-y1v5 жыл бұрын
물 300ml 다시마 2장 넣고 끓여준뒤 다시마 건져내고 식초 800ml 설탕 500g 꽃소금 230g 약불에 설탕이 녹을 정도로 계속저어준다 (물이 끓어오르지않게 주의) 레몬 슬라이스 1/3개 설탕이 절반정도 녹으면 넣어준뒤 전부다녹으면 불을 끄고 레몬을 건져내준다 2~3일 숙성시켜주면 더욱 맛이좋아진다. 초대리 사용 오뚜기밥 1개 210g 초대리 소주잔 1/2잔 섞을때 최대한 식혀주면서 섞어준다
@조은정-u2w6 жыл бұрын
오늘 초대리 맛들어났습니다 감사해요 오늘부터 구독했습니다
@ceojung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맛난 초밥 쉽게 만드는법 정리중입니다 기대해주세요
@crystalbling88916 жыл бұрын
초딩? 철자법은 웬만히 맞춰 씁시다.오타도 그렇고 뭔소린지 해석하느라 짜증나거든요. 민폐에요.
@jungkuou5 жыл бұрын
@@crystalbling8891 사회에 불만이 많으신가봐요?
@김창곤-v7h6 ай бұрын
잘보고있네요 물회소스는 없나요
@ceojung6 ай бұрын
고민해 보겠습니다
@crystalbling88916 жыл бұрын
초밥 기본 양념을 초대리 라부르는데 원래는 물 식초 반반이 기본엿다 다시마육수 물300cc 물끓음 다시마건져 환만식초(보리식초) 모든요리에 무난하다. 백설탕 꽃소금 레몬조금 큰냄비에 육수넣고 식초 800cc 설탕500g 소금 200~250g 끓이면 절대 안돼고 녹이기위한 가열이다.
@miralee99926 жыл бұрын
대단히 감사합니다. 제가 사는 곳에서는 환만 식초를 구매 할 도리가 없군요. 혹시 대체해도 맛의 변화를 많이 느끼지 않고도, 비슷한 맛을 낼수록 있는 법이 있을까요?
@비둘기-q3x6 жыл бұрын
님 정체가?
@ceojung6 жыл бұрын
쌀식초같은 특정한 맛이나 향이 없는 무난한 식초면 괜찮습니다 양조식초도 나쁘지 않구요
@비둘기-q3x6 жыл бұрын
@@ceojung 양조식초는 시중마트에 파나요?
@ceojung6 жыл бұрын
@@비둘기-q3x 웬만한 마트에는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가능하다면 쌀식초가 좋을 듯 하네요
@혀니다-o2y6 жыл бұрын
구독 좋아요 한표입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앞으로 수업영상 기대 합니다 105번째 구독자 ^^
@ceojung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자주 올리진 못하지만 열심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대해 주세요
@탐냥2 жыл бұрын
다시마육수에 넣고 끓인다음 나중에 식초넣고 섞으면 되는거 아닌가요?맛이 차이가 있을라나?그름 잽싸게 끓여서 녹이고 식초 틱 넣어 틱 섞어서 해 봐야징^^야매
@터구자래바고냐자6 жыл бұрын
ㅋ 좋아요..초대리...잘보고 갑니다
@장윤혁-i6y6 жыл бұрын
최고입니다 당장 마트갑니다
@난써니-r9j5 жыл бұрын
이정도면 정말 친절한 서비스 입니다 정말 이상한 유트버들에 비하면
@loveloud44745 жыл бұрын
잘보고 잘듣고 갑니다~😍 자세한 설명감사합니다 👍🤞
@귀찮아-v8n2 жыл бұрын
초대리 만들어 놓으면 도시락 김밥이나 유부초밥 할때 많이 유용할듯 합니다. 환만식초 대신에 사과식초를 쓴다면 식초랑 설탕 소금양을 조절해서 써도 괜찮을까요?
@ceojung2 жыл бұрын
그럼요
@심태봉-j9s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요리 잘만들어먹을게요 전 초밥 짱입니당
@김선미-k9n5 жыл бұрын
진짜 유익한 정보네요!고맙습니다
@난써니-r9j5 жыл бұрын
맛이 어떨지 궁금하네요
@초밥왕쇼타6 жыл бұрын
많은도움이될거같은 채널입니다 구독하겠습니다 ㅎㅎ
@kcl3i5 жыл бұрын
초밥은 말그대로 신맛을 즐기며 단맛과 소금간이 적절하여야하며 숙성된곡초를 사용해야 하므로 레몬을 사용하면 초밥이 일찍 삭어버립니다. 따라서 초밥을 먹을때 밥쪽에 간장을 찍지않고 돌려잡아 네타에 간장을 바르거나 살짝 찍어먹어야 하므로 초밥의 기본간은 너무짜지않게 너무 달지않게 해야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표님의 초밥은 물을섞어서 신맛이 약하겠네요 본연의 식초로만 만드는 나마아와세가 좋은방법 이라 생각합니다. 3천년전 초밥의 기원에서 밥과 생선을 함께 두고 잊어버리고 발효되어 밥에서 식초가 생성되어 생선을 절이게하여 그렇게 계속 만들었다하더군요. 근대초밥은 전후 식초공장 설탕공장이생겨 즉석으로 이렇게 만든 역사가 불과 100년도 채 안됩니다. 지금도 일부인들이 만들어먹는 방법은 항아리에 민물생선과 밥을 켜켜히 넣고 7~8개월 발효시켜 먹지만 냄새가 고약해서 젊은층은 먹지 않습니다. 초밥은 본디 일본음식이아니고 전세계 도처에 벼농사룰 짓는곳에서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전통적 스시가 있습니다 북쪽에가자미 식해나 남쪽의 홍탁도 스시의 종류입니다. 스시의 개념은 반드시 초밥만은 아닙니다. 따라서 물을 섞어 만드는 방법은 화학초를 이용해 살짝끓여 쓰는것인데 온당한 방법이 아닙니다. 그리고 부채질을 하는것은 왜놈들이 더운밥에 초대리를 넣었을때 액체가 흡수되기전에 바람에 의해 표면이 굳어지면 반짝거리는 현상을 보게되면서 밥알 하나허나를 떨어뜨리는데 도움이 되므로 바람을 넣치만 실상 밥이 촛물을 흡수해야하며 30여분의 시간이 필요하고 물량의 조절이 매우 중요합니다.일반적으로 우리가 식사하는 밥으로 초밥을 만들면 질어서 밥알이 형태룰 유지하기 어렵고 따라서 죽은밥이됩니다 탄력이 없고 으깨지기 쉽다는거죠. 밥을 쥐거나 마끼를 말아도 밥알끼리 서로 밀어 부풀어 올라 부드러워 입안에서 끈적거리지않고 흩어저야 한다는것이죠 즉 살아있는 밥 한알 한알의 외형이 그대로있다는것이 중요하다는 말씀 전문가앞에서 번데기 주름잡는소리입니다만 제 짧은 소견을 드려봅니다. 미안합니다.
@ceojung5 жыл бұрын
자세하고 소중한 고견에 고개숙여 깊이 감사드립니다 젊은 후배들이 이런 지식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 많이들 그러지 않는듯 해서 조금 걱정도 됩니다 많은 동료들에게도 알려줘야 할 귀한 이야기 감사합니다
@kcl3i5 жыл бұрын
정대표 대표님께서는 늘 겸허한 성격이시군요. 큰그릇입니다. 사람들은 각기의 다른 민족의문화가 있어서 사람들은 식문화를 즐겨야할 필요가 있지요 따라서 현상황이 일본의 모든것을 배척할수 없습니다. 지금 한국에서 일식과 관련된 요식업에도 타격이 있을줄압니다만, 성숙한 국민의식이 있다면 편협한 행동은 곧 사라지겠지요. 역사속에 일본 섬나라에는 소나말같은 동물이 없었어요. 말은 가야시절에 한반도로부터 군사용도로 얻어 증식했고 소도 우리나라로부터 도입 되었었죠 "우시" "니꾸"가 신생어이며 야끼니꾸는 우리 나라의 불고기 이지만 지금과 같은 국물이있는것이 아니고 숯불위에 석쇠를 얹어 젖은 창호지를깔고 구워먹던것으로 몽고의 맥적에서 도입 되였어요. 몽고인이 쇠고기를 얇게 저며 뜨겁게 돌을 달궈 구워먹는것에서 진화한것이죠. 아무리 눈으로 먹는다는 일식이지만 조악하기보단 조잡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 전통의 궁중 음식에 비하겠습니까. 우리가 좀더 신경써야할부분은 차세대교육개혁을 통해 그들의 장인정신은 배워야할부분입니다. 우리나라는 오랜 옛날부터 섬나라 왜에 많은 문명과 문물을 전수했습니다. 형님의 나라인거죠.늘 뒷통수치는 정치세력들이 문제이죠.영국의 야만인이 짐승가죽을 뒤집어쓰고 손으로 밥먹을때 대륙의 프랑스는 많은 문명을 전달했으나, 어느때부터 더비햇을 만들어쓰고 지팡이를 돌리며 세계의 신사라고 하는 모습은 우습기도하고 1850년 개화를 시작하며 왜놈의 따라하기가 연상되네요.괜히 쓸데없는 험담으로 넘어갔습니다. 열심히 하시는 모습 좋습니다.
@잡초-k9y4 жыл бұрын
@killermunji의 카트라이더 방송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hilosophia5578 Жыл бұрын
일본의 초밥이3천년 전통?
@ok-oj2xb6 жыл бұрын
정대표님 영상은 재료에 대해서 이해할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초대리 보관기간은 대략 얼마나 될까요?
@ceojung6 жыл бұрын
실온에 보관하는데 상한 적이 없어서 잘.......
@냥우히히-o6o5 жыл бұрын
직접 초대리를 만드는게 너무 신기하네요!!😗 초대리 가루(?) 같은거 팔길래 그런거 사용해서 만들어 봤는데 역시 정대표님 입니다!!! 또 배워가용💕
@ceojung5 жыл бұрын
일단 만들어두면 몇년이 가도 안변하니 더 좋지요
@냥우히히-o6o5 жыл бұрын
답글 감사합니당😊❤️❤️ 값진 요리영상들 하나하나 따라해보고 있어요~
@루나-c3o6 жыл бұрын
예전 하이x어 에서 글많이보고 댓글도 많이 달았는데 유튜브로 넘어오셔서 이렇게보니 굉장히 반갑네요 ㅎㅎ
@ceojung6 жыл бұрын
우옷 반갑습니다~~
@hyunjung48624 жыл бұрын
하하하~ 최신영상보고 넘좋아서 옛 영상보는건데 지금과는 많이 다르군요!! 그래도 유익한 정보를 공유하시고 노력하시는 모습 최고입니다!! 잘 보고 감사합니다!!! 짱!!!
@ceojung4 жыл бұрын
애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초롬-q1o5 жыл бұрын
물 300ml 다시마 두조각 넣고 끓이기 물이 끓면 다시마 꺼내기 환만식초 또는 쌀식초 800ml 설탕 500g 꽃소금 230g 레몬 조금 절대로 끓이면 안됩니다! 따뜻한정도로 소금과 설탕을 녹인다 나무로 된 국자로 저어여함 레몬은 오래두지말고 꺼내줌 2~3일정도 숙성 후 사용
@suyeonjeong4434 жыл бұрын
CHOROM CHOI 그냥 집에 잇는 식초 해도 되용?
@TheTheresa23456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달이별이-y7h2 жыл бұрын
정대표님 다시마 + 물 대신 1번다시로도 가능한가요?
@0220-v9q3 жыл бұрын
정대표님 혹시 환만식초 대신에 현미식초를 사용해도 될까요? 혹시 사용해도 된다면 비율은 영상에서 알려주신 비율로 해도 될까요? 사과식초로 예~전에 만들었는데 너무 망했었던 기억이 있어서 ㅜ 식초에 조금 민감하네요
@ceojung3 жыл бұрын
현미식초 괜찮습니다
@희희-s7n6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다다다-s4d5 жыл бұрын
육사시미에 초밥 만들어 먹고 싶어서 만들어 먹어봤었는데 새콤달콤 맛있었어요!오늘도 이 레시피로 만들어 먹으려구요!!감사합니다!
@ceojung5 жыл бұрын
먹을만 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frisebichon15195 жыл бұрын
정대표님의 멋진 레시피 오늘도 잘 봤습니다. 근데 귀찮고 양이 넘 많아서 저는 기성품으로..ㅠㅠ
@ceojung5 жыл бұрын
사실 일부러 양을 좀 많이 잡은거에요 만들어두고 실온에서 일년정도 지나면 아주 좋은 맛이 나거든요
@kelynyim5 жыл бұрын
밥과 섞는 초대리 양이 생각보다 많네요~ 도전해봅니다 ㅎ 감사해용~~~🤩
@ceojung5 жыл бұрын
초대리도 만들어서 실온에 오래 두면 맛이 더 부드러워지고 좋습니다
@suobal86242 жыл бұрын
사과식초는안되겠죠?
@ceojung Жыл бұрын
먹는사람 맘이죠
@잡초-k9y4 жыл бұрын
대표님 여상 잘 보고 구독 누르고 갑니당 그런데 환만식초 대신 사과식초를 사용해도 될까요?
@ceojung4 жыл бұрын
괜찮습니다만 신맛이 좀 더 강할겁니다 양을 조금 줄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잡초-k9y4 жыл бұрын
@@ceojung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jasonchoi8355 жыл бұрын
자세한 설명 늘 감사드립니다가정에서 사용할 만한 소량으로 레시피를 알려주시면 더 좋을거 같아요
@ceojung5 жыл бұрын
사실은 여기서 더 줄일 경우 단위가 세밀한 저울이 필요하게 됩니다 가정에서 쓰기엔 좀...... 제 판단입니다
@adonis51722 жыл бұрын
패트병에 넣어서 냉장보관 하면 몇년정도 쓸수있을가유?
@mianichols92916 жыл бұрын
Mr.Jung, you are the best.
@송춘희-v9f6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좋아요~구독 누르고 갑니다
@hanmilly5 жыл бұрын
쉽게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gajung5516 жыл бұрын
짱. 쉐프 감솨
@user-ud8kr7gn2t Жыл бұрын
레시피 글로좀올려주세요 초보주부임 개량으로
@angeldust_136 жыл бұрын
구독 좋아요 박고갑니닷 261번째 구독자^^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ceojung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하겠슴다
@miralee99926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정대표께서 자세히 설명을 잘 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저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사는데, 환만 식초가 없어요. 현미식초나 사과 식초는 한국 식품점에 있는데, 환만 식초 대신으로, 어떤 것을 사용하면, 좋을까요?
@ceojung6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환만식초 대신 특별한 향이 없는 그리고 산도가 너무 강하지 않은 식초면 가능합니다 현미식초도 괜찮구요 일반 양조식초도 좋습니다 주의할 점은 너무 강한 식초만 피하시면 됩니다 사과식초는 좀 어색한 맛이 나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