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현실주의자들은 왜 이상한 그림을 그렸는가 - 꿈을 통해 현실을 뒤바꾸려 한 사람들

  Рет қаралды 17,128

충코의 철학 Chungco

충코의 철학 Chungco

Жыл бұрын

이번에는 미학 영상을 준비해 봤습니다. 영상에서 나온 내용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앙드레 브레통의 '초현실주의 매니페스토 1 & 2', Rosalind Krauss의 'The Photographic Conditions of Surrealism'을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55
@NewPurity
@NewPurity Жыл бұрын
모든것은 환상에서 시작됐죠 예술도 철학도 역사도 발명도 과학도 누군가의 환상이자 누군가의 상상 상상하지 않게함은 지배층에겐 필수적으로 필요한 시대적 흐름일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아이슈타인도 이런말 한적이있죠 '나는 단한번도 이성적 사고를 통해 발견한 적이없다' '지식보다 중요한것은 상상력이다' 수세기 역사를 하나하나 뒤집어봐도 늘 상상력과 환상과 꿈의세상이 존재해왔는데 우리는 늘 경게를 짓고 선를 긋죠 어찌보면 우리가 바라보는게 누군가의 꿈일수있는데..
@user-bq3gr7zd9j
@user-bq3gr7zd9j Жыл бұрын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즐겨 듣고 있습니다
@rinker016
@rinker016 Жыл бұрын
너무나도 재미있는 주제였습니다. 초현실주의자들의 주장에 매우 공감하게 되네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user-hw4zb3ys6x
@user-hw4zb3ys6x 19 күн бұрын
와..너무 흥미롭고 알찬 내용이에요 재밌어요!!
@NewPurity
@NewPurity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늘 찾던내용이네요
@user-eb5mm5nl6f
@user-eb5mm5nl6f Ай бұрын
정말 귀한 채널이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uc_james
@uc_james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yq8361
@yq8361 Жыл бұрын
구독자수가 빠르게느시는거같아요 ! 축하드립니다 영상잘보구가요
@shp5134
@shp5134 Жыл бұрын
연상되게 하는 것들이 많네요 두고두고 생각을 하게 만드는 힘이 느껴집니다
@user-sq7pf5om6l
@user-sq7pf5om6l Жыл бұрын
최근 작업의 방향성 때문에 고민이 많았는데 감사합니다
@jay9090
@jay9090 Жыл бұрын
흠 전에도 몇개보고 흥미로웠는데.. 끊임없이 사고하시는 분같군요. 구독해놉니다
@djjcnnwjj1223
@djjcnnwjj1223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remywoobinlee2596
@remywoobinlee2596 Жыл бұрын
정말 흥미로운 discussion 이네요. 저도 일기를 쓸때 과학자의 마음가짐으로 최대한 내 안에서 느껴지는 raw 한 느낌들 감정들 욕구들을 아무 restraint-이성의 intervention- 없이 써내어가고 기록하려는 하는 마음가짐을 가졌는데 이게 나도 모르게 초현실주의에 도달하려는, 즉 내 안의 가장 순수한 영혼이 하고 있는 말을 pure 하게 꺼내려는 attempt 로 해석 될 수 있겠네요. 어쩌면 이게 모든 인간의 universal 한 감각과 표현의 자유에 대한 subconscious 한 욕구 일 수도 있겠네요. 최근 비트겐슈타인과 사고와 언어에 대한 생각을 하던 와중에 초현실주의가 또 재미있게 연결이 되네요. 항상 멀게만 느껴졌던 초현실주의자들의 where they are coming from 이 이제 이해가 됩니다. 영상 항상 감명 깊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gy6nh3yj4e
@user-gy6nh3yj4e Жыл бұрын
와.. 퀄리티 무엇...
@user-lb6it5vd6g
@user-lb6it5vd6g Жыл бұрын
10만구독자 달성 축하드립니다
@5tw3b45tcf
@5tw3b45tcf Жыл бұрын
이해하고 듣기도 쉽게 풀어지고 깊이를 없앤것도 아닌것 같은 느낌의 재밌는 내용이 있는 동영상인것 같아요.
@ascendo_lee
@ascendo_lee Жыл бұрын
유튜브로 이런 좋은 생각을 쉽게 듣고 배울 수 있지만, 현실의 한계를 깨려면 다양한 경험과 사고가 필요할텐데 유튜브 알고리즘은 그걸 정형화, 고착화시켜버리니 이것도 참 아이러니하네요.
@5tw3b45tcf
@5tw3b45tcf Жыл бұрын
초현실주의에 대한 의논이 더 많이 이뤄지면 좋겠네요.
@vezitamax
@vezitamax Жыл бұрын
초현실주의 미술은 낯설기 때문에 신기하고 흥미롭고 재미있습니다.
@18ml31
@18ml31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이런 질 높은 영상을 볼 수 있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chungco_phil
@chungco_phil Жыл бұрын
더 많이 노력하겠습니다
@user-we4uv7ko6t
@user-we4uv7ko6t Жыл бұрын
와 재밌네
@user-cp8yq9pj1s
@user-cp8yq9pj1s Жыл бұрын
철학은 이 채널에서 영상으로 보는게 가장 재밌다. 책 사서 읽으면 너무 어려워서 못읽음ㅠ
@rrrhhl
@rrrhh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chungco_phil
@chungco_phi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ay9090
@jay9090 Жыл бұрын
모든게 자극일 뿐이고 자극이 아닌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user-oi2hy6yv2n
@user-oi2hy6yv2n Жыл бұрын
환상의 동물, 신이라는 것도 그 당시에는 그런 사고관념으로 만들어졌을거에요. 근데 이런 창작물도 보면 현실의 있는 것들에 재조합이죠. 형태만 다르게 표현한다고 새로운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직선 5cm를 360도로 회전하면 무한한 형태에 새로운 것이 나와요. 근데 새로움을 추구한다는 그분들도 지금 사람의 시야각을 초월한 기법으로 그려볼 생각은 못 했을걸요. 그 옛날 사람들이 지금 기술력을 접해본 적이 없으니까요 또한 지겹고 답답한 현실이니까 목표설정 호르몬 분비로 좀 더 자극을 느끼면서 살고 싶은건 이해하는데, 정해져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목표에 맞게 파해법도 생기는 것이 아닌가 하네여
@user-cp8yq9pj1s
@user-cp8yq9pj1s Жыл бұрын
비바리움이란 영화가 초현실주의 느낌나서 보다가 중간에 너무 무서워서 껐어요. 초현실주의가 이런것인가ㅠ
@user-jn7qo4ou6w
@user-jn7qo4ou6w Жыл бұрын
정말 매력적이고 깊이 있는 사조지만, 정말 위험하고 두려운 사상이네요. 보편성과 필연성이 아닌 개별성과 무작위성을 지향하는 사고방식이 전자를 대신한다는게 두렵습니다.
@sbsnsb
@sbsnsb Жыл бұрын
5분쯤부터 나오는 클래식 음악 제목아시는분 ㅜ ~~!!
@seouldot
@seouldot Жыл бұрын
드뷔시 달빛
@sbsnsb
@sbsnsb Жыл бұрын
@@seouldot 아!!! 감사합니다❤❤❤❤😂❤❤❤❤
@mcred1594
@mcred1594 Жыл бұрын
이성적으로 하는 모든 예술이 사실은 새장안의 새라는 생각이란 의문이 들게 되네요
@NADA-mg3yu
@NADA-mg3yu Жыл бұрын
내가 1번이라니 살면서처음이니 축하좀.. 전혀 예성하지못한 초현실적 현상이군..
@chungco_phil
@chungco_phil Жыл бұрын
제 채널은 1번 상대적으로 쉽게 하실 수 있을 겁니다....ㅎㅎㅎㅎㅎ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그렇게 그는 이 채널에 돌아오지 않았다...
@DSJ-dz2rt
@DSJ-dz2rt Жыл бұрын
@@leechanghyun ㄹㅇㅋㅋ
@lichtundwasser9044
@lichtundwasser9044 Жыл бұрын
토마스 아퀴나스가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이루어낸 것처럼 저도 이상과 현실의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 싶어지네요 ㅎㅎ
@vinci7804
@vinci7804 Жыл бұрын
여러모로 공감이 많이 되는 이야기네요. 제 생각에 지능을 낮추고 표현활동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험하지 않은 선에서 말이죠. 글이나 그림이 이에 해당할 것입니다. 지능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정신줄 놓고 표현 활동을 하다보면, 그것에 무의식이 베어나오게 되곤 한다 생각합니다. 지능이 낮아지는 경로들을 꼽아보자면, 몰입에 의해서 혹은 광기에 의해서 혹은 격정적 감정에 의해서 혹은 잠이 덜 깨어서 혹은 술을 마셔서 혹은 군중심리에 의해서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고요. 그러면 그게 바로 초현실주의 작품과 유사한 것이 되는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이제 정신 차리고 멀쩡한 상태에서 자신이 만들어놓은 표현을 관찰하고 음미하고 사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초현실주의란 그 자체의 표현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그걸 다시 삼켜서 소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거죠. 왜냐하면 그런 과정이 없다면, 그저 망상에 불과하다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도식화하자면 이렇습니다. 이성 → 반이성 → 이성. 이성의 중요한 장점이자 단점이기도 한 것은 통합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모순없도록 하는 것이지요. 그러나 인간 정신이란 모순없이 돌아가는 시계장치가 아니라 생각합니다. 실은 파편적인 온갖 무의식이 있고, 그것들을 그럭저럭 사는데 별 지장없게 통합하고 조화시켜 사는 것이 진실에 가까운 말이 되겠지요. 지능을 낮추고, 정신줄을 놓고, 표현 활동을 하는 것은 그렇게 파편화된 무의식을 활동시키고 자신이 그걸 다시 들여다봄으로써 조화시키는 그런 면이 있는 거라 생각합니다. 그걸 정반합이라 말할 수도 있지 않나 싶고요. 바둑에도 보면 이와 유사한 흐름이 있습니다. 바둑이란게 정확히 수를 읽어서 이성적으로 따져서 두는 수가 있는가 하면, 어떤 수는 직관적으로 이렇게 두면 상대방이 난처해지지 않을까? 하고 떠올리고, 그 다음에 이제 그 수를 이성적으로 따져보거나 혹은 일단 두고 수습해가는 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직관적으로 착점하는 것은 말씀하신 초현실주의와 유사한 느낌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데 이 역시도 직관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다시 이성으로 이어가는 과정이 있는 거라 생각합니다.
@user-gm7tm6wh3c
@user-gm7tm6wh3c 7 ай бұрын
7:35 사진의 역할
@yuuou7542
@yuuou7542 Жыл бұрын
내가 추구하는건 사실적인 것일까 환상적인 것일까
@bioscims
@bioscims Жыл бұрын
웹툰의 릴레이툰이나, 갈틱폰 게임의 릴레이 모드(애니메이션 컷을 여러 사람이 번갈아 가면서 그리는 것)가 우아한 시체 기법의 한 사례에 해당하나 보네요 automatism 글쓰기는 자칫하면 조현병 환자로 오인받을 수 있을 것 같아 조심스럽지만 집에서 혼자 해보고 싶네요
@yeongjunsang
@yeongjunsang Жыл бұрын
"우리는 거대하게 속고 있을 지도 모른다"
@moo2m
@moo2m Жыл бұрын
난 하루 하루가 늘 그래 , 이젠 놀랍지도 않다라는
@doors2888able
@doors2888able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역시 서울대출신의 엘리트는 다르네요. 빨리 유투브도 성공하시고 서울대출신답게 사회지도층으로서의 부와명성을 득하시여 편안한삶을 살기를 기원드립니다
@_kkjg09
@_kkjg09 Жыл бұрын
철학과는 서울대라도 별로 안빡셈
@UndeadTongue
@UndeadTongue Жыл бұрын
초현실을 초현실이라고 말하면 이미 초현실이 아니다 노자ㅋㅋㅋㅋㅋ
@user-mh6vw2do2u
@user-mh6vw2do2u Жыл бұрын
축하합니다
@jay9090
@jay9090 Жыл бұрын
약쟁이가 본 현실일까? 약에 취해서만 고개들수 있는 현실이었을까?
@dj_semmo
@dj_semmo 11 ай бұрын
환상애 속지 마라. 이게 내 삶의 지론이다.
@ghdwpdi
@ghdwpdi Жыл бұрын
초현실주의 = 형상학 = 사이키델릭
@year3_official
@year3_official Жыл бұрын
끌어당김의 법칙
@Miritari-korea
@Miritari-korea Жыл бұрын
커피사드세용
@chungco_phil
@chungco_phil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프로필에 있는 사진을 제가 이용했네요...
小路飞姐姐居然让路飞小路飞都消失了#海贼王  #路飞
00:47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94 МЛН
달리는 왜 녹아내리는 시계를 그렸을까? / 예술가의 이유
11:53
널 위한 문화예술
Рет қаралды 340 М.
조선의 천재 화가가 금강산을 그리면 생기는 일 ㄷㄷ
9:25
그냥 물감 흩뿌린 그림이 무지막지하게 비싼 이유 - 미학 입문
10:57
Mark Rothko : Painter Of The Soul
9:29
예술의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34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