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0.78 현실로 다가오는 인구 소멸, 어른들은 모르는 아이 낳지 않은 2030의 사정│늘어가는 양육비에 골머리 앓는 젊은 부모들│다큐멘터리 K│

  Рет қаралды 574,994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11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23년 6월 15일에 방송된<다큐멘터리 K - 초저출생 2부 결혼·출산·양육 비용 계산 프로젝트>의 일부입니다.
<다큐멘터리 K - 인구대기획 초저출생> 10부작은 현재와 미래, 세대와 지역, 데이터와 심리를 넘나들며 초저출생 현상과 관련된 우리 삶의 전반적 조건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자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결혼·출산·양육 등 생애주기별 경제적 비용, 소셜 데이터로 분석한 세대 심리와 문화, 저출생 관련 미래예측 시뮬레이션과 세대별 모의 투표 실험 등 우리 삶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원인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한다.
세계 최대 양육비의 진실, 아이 낳고 키우는데 얼마나 들까?
-20~60대 다양한 연령대 사례자의 2023 생애주기 비용 및 인식 조사 결과 대공개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김희삼 교수가 말하는 대한민국 양육비의 함정?
2부 ‘결혼·출산·양육 비용 분석 프로젝트’에서는 경제학자 김희삼 교수와 함께 청년들이 출산을 포기하게 하는 경제적인 걸림돌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과연 대한민국에서 아이를 낳고 키우는 데 비용은 얼마나 들까? 결혼, 출산, 양육으로 이어지는 생애주기마다 발생하는 비용을 계산한 <2023 생애주기 비용 및 인식 조사>결과를 공개한다.
2022년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세계 최저를 기록했다. 이와는 반대로 세계 최고를 기록한 것도 있다. 바로 자녀 1명을 키우는 데 드는 양육비용이다. 매년 자녀 1인당 양육비가 3~4억 원에 달한다는 기사가 쏟아진다. 과도한 자녀 양육비 부담을 비롯한 경제적인 어려움은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손꼽힌다. 과연 진실은 무엇일까?
우리는 20대 미혼 청년부터 자녀를 키우고 있는 부모들까지! 10인의 프로젝트 참가자들과 함께 결혼, 출산, 양육 비용을 면밀하게 분석해보기로 했다. 먼저 미혼 청년들과 함께 결혼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분석해본 결과, 결혼과 출산을 주저하게 하는 요인으로 높은 집값이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집값은 출산율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 집값과 출산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청년들에게 집값이 결혼과 출산에 얼마나 큰 제약이 되는지 들여다본다.
2022년 초혼 연령은 남자 33.7세, 여자 31세다. 취업이라는 좁은 문을 지나 결혼한 이들이 쉽게 출산을 결정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육아정책연구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기초 자료를 활용해 만든 <생애 주기 비용 분석기>를 활용해 출산과 자녀 양육에 드는 비용을 예측해보기로 했다. 프로젝트 참가자들이<생애주기연구소>에 모여 계산한 결과는 다소 충격적이었다. 경제학자 김희삼 교수는 1인당 자녀 양육비용에는 ‘평균의 함정’이 숨어 있어 실제보다 부풀려진 측면이 있으며, 청년들이 출산에 대한 자신감을 잃게 하는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사교육비와 대학 등록금 부담만 줄어도 자녀 양육비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부 ‘결혼·출산·양육 비용 분석 프로젝트’에서는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김희삼 교수와 함께 집값과 양육비 부담이 청년들의 출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또 세계 최고로 알려진 양육비에는 어떤 숨겨진 진실이 있는지 살펴본다.
✔ 프로그램명 : 다큐멘터리 K - 초저출생 2부 결혼·출산·양육 비용 계산 프로젝트
✔ 방송 일자 : 2023.06.15
#골라듄다큐 #다큐멘터리K #저출생 #저출산 #2030 #인구절벽 #인구감소 #사회 #시사 #결혼 #출산율

Пікірлер: 4 700
@user-uk4mj4sn1w
@user-uk4mj4sn1w 11 ай бұрын
저는 비용적인 측면의 두려움보다는 태어난 아이가 살아갈 세상이 겁이납니다..무한한 경쟁, 다른사람들과의 비교, 계층사다리를 올라가기 위한 투쟁, 기후위기, 노령화로 인한 비용부담 등 사회가 아이를 낳지 말라고 조장하는것 같아요😭
@yonggeun4222
@yonggeun4222 11 ай бұрын
핑계대지말고 애낳으세요
@user-nj3dy9we3d
@user-nj3dy9we3d 11 ай бұрын
​@@yonggeun4222너나
@user-ys3pt6tu1p
@user-ys3pt6tu1p 11 ай бұрын
@@yonggeun4222니나낳아
@cj1114
@cj1114 11 ай бұрын
​@@yonggeun4222너나잘해 남 참견하지말고 ㅋㅋㅋ 니가 키워줌?
@NurungBobpul
@NurungBobpul 11 ай бұрын
이게 맞지..
@user-dx6pm9vu8p
@user-dx6pm9vu8p 7 ай бұрын
난 어떤 기자가 답한 대답이 너무 와닿음 "아니 내가 위기인데, 지금 내가 위기라니까요? 근데 무슨 결혼을 하고 애를 낳아요?" 참고, 여기서 출연한 사람들은 어찌하였든 이미 취직과 보금자리는 있는 사람들이다
@geohyeonnoh4753
@geohyeonnoh4753 Ай бұрын
ㄹㅇ 저기 나온 사람들은 이미 자리 잡고 돈을 버는 사람들이라 이미 상위 20%일듯
@user-iw4xm5or5n
@user-iw4xm5or5n Ай бұрын
위기? 위기가 아닌데도 위기라생각하는 멘탈약한 2030들. 그냥 작은 리스크도 짊어지기싫은거야. 그래서 그게재밌어? 인생이 그렇게살면 재밌니? 힘든거 다 피해서 몸만편하면 행복해?자살율 젤높은게 2030.. 안쓰럽다 멘탈약한2030들. 부모들이 그렇게키웠지. 아무것도할줄모르는 바보로
@user-iw4xm5or5n
@user-iw4xm5or5n Ай бұрын
위기? 뭐가위기인데? 팔다리가없냐? 태어날때부터 빚1억있었냐. 소말리아에서 태어났냐 뭐가 위기냐고.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Ай бұрын
여성들은 결혼 , 출산 안하겠다고 통계에 나와 있음. 싫다는 사람에게 아무리 지원해준다고 애 낳지 않습니다. 대신 모로코 , 터키 , 그리스 , 폴란드 , 일본 , 러시아 같은 나라는 한국인에게 관심 많고 한국 남자와 결혼 원하는 여자들 많다고 한다. 정부가 싱글 남성들에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는게 인구 감소 , 저출산 해결에 100 배는 더 도움 될겁니다. 장담합니다. 평범한 남자가 이런 나라들에 가서 국제결혼하기 어려우니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어서 쉽게 외국 여성을 사귈수 있게 도와 주어야 합니다. 터키 여행 가서 터키 여자 만나서 결혼하는 사례를 많이 보네요. 한국은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일본인 사유리는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합법적으로 출산.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축구선수 호날두는 총각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짐. 싱글 남자 아나운서나 , 싱글 남성 , 싱글 남자 연예인 중에 결혼은 싫은데 자기 애는 갔고 싶다고 말하는 남자들 많이 봤습니다. 근데 할수가 없죠. 한국은 모든게 불법이고 성과 핏줄에 대해서 옹졸, 편협 , 지독 , 경직된 나라.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법이 완전 남자를 노예화 하는 법이죠. 이혼시 재산분할이 남자에게 너무 불리 하구요. 그래서 남자들이 결혼 안하는 겁니다. 프랑스 팍스(동거 등록 제도)와 똑같은 법이 있어야 남자들도 아무 부담없이 그냥 느낌 가는 대로 동거 할수 있죠. (한쪽이 동록 해제 하면 되고 재산 분할 없음) 한국의 결혼을 생각하면 법 뿐만 아니라 그 어마어마한 의무 , 책임 , 희생 , 눈치 , 시댁 - 처가 인간관계 부담감 ........ 아무도 결혼 안합니다. 팍스가 도입되어야 부담 없이 동거 하는 사람 많아지고 출산은 둘째치고 인간답게 ,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많아질겁니다. 그럼 출산은 자연스럽게 높아지구요.
@P-dice
@P-dice 20 күн бұрын
​@@user-iw4xm5or5n너같은 사람이 주변에 있음 위기감이 들지않겟냐? ㅋㅋㅋ
@user-zv9do8vt5h
@user-zv9do8vt5h 8 ай бұрын
내가 세상에 나와서 살아보니까 절대 살만한 세상이 아니라고 느낍니다, 이게 이유입니다
@user-se4bv5io7j
@user-se4bv5io7j 16 күн бұрын
내일 당장 자살바람
@user-ef9ds8rf4k
@user-ef9ds8rf4k 5 күн бұрын
하... 그눔에 집값, 취업, 소득, 연봉, 경제 지겹다 그냥 "키175 / 대졸 / 중견(사무직) / 연봉4500 / 25평 준신축 / 부모님 노후 준비 완료된 평범한 남자 어디 없나요ㅠㅠ" 가 문제라고 왜 말을 못하냐??ㅋㅋㅋㅋㅋ 진짜 이런건 죽어도 언급을 안하네ㅡ
@user-pz4lp9ci2q
@user-pz4lp9ci2q 2 күн бұрын
하루하루 먹을거 고민하면서 사는 나라에서 태어난것도 아니고 ㅋㅋ 최저시급 받고도 먹고 사는데 지장없는데 다른사람 비교 하고 눈치보고 살아서그럼
@user-dm7ou8nz4c
@user-dm7ou8nz4c 7 ай бұрын
아직도 0.7이나 되나 출산율이 0까지 힘내봅시다
@user-gq4mq9mj1f
@user-gq4mq9mj1f 9 ай бұрын
가난한집 아이가 자라서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으면 어떠한 삶을 살게 되는지 본인들이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user-fl9dz1mw4t
@user-fl9dz1mw4t 9 ай бұрын
ㄹㅇ 돈때문에 싸우는거보고 돈 때문에 우는거보고 대학도 내 돈으로 내는게 현실인 사람이 많은데 뭘 낳고싶겠냐고.. 우리 부모님 세대 돈 없이도 애기 키운분들 많지만 그 애기들은 다 좋은 것만 보면서 컸을까..ㄹㅇ
@daily_sogeum
@daily_sogeum 9 ай бұрын
맞는거같아여
@eo9501
@eo9501 9 ай бұрын
똑똑해져서 그럼
@-markshin-
@-markshin- 8 ай бұрын
사실 가장 큰 문제는 여성의 교육수준이 너무 높아졌다는거임. 졸업하면 24임. 출산율 높은 나라들 대부부분 20-24사이에 아이를 낳음.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여성 대졸의 비중이 높음. 배운 여자들은 자아실현의 욕구가 높음. 아이를 낳으면 모든게 단절인데 애를 낳고 싶겠음? 게다가 여성인권(사실 여성 우위의시대)이 쎄지니 남편과 시댁의 입김이 약해짐. 중동 아프리카가 출산율이 높은건 여성인권과 교육이 형편없이 낮기 때문임. 해결 방법은 여성인권을 낮추고 교육 수준을 낮추는건데 이게 가능함? 그래서 해결 방법이 없는거임. 가난? 돈? 집? 출산율 높은 나라들이 부자라서? 집있어서 애낳는지 아나? 이디오크러시라는 영화를 보면 내 얘기사 뭔지 알게됨. 인간들이 똑똑하다 못해서 태어나지도 않은 애 걱정함. 아기가 불행할까봐? 자수성가할지.어떻개 알아? 아이를 자기 소유로 생각하니까 문제임. 그리고 종교적인것도 있음. 모든 종교는 출산을 성스럽게 여기고 권장하는데 우리는 무교가 절대적임.
@parkchangsik
@parkchangsik 8 ай бұрын
​@@-markshin- 안태어나도되는데 굳이 세상에 나오게하는거는 다 부모욕심임 머저리야
@hp5088
@hp5088 11 ай бұрын
당장 나의 10대, 20대가 입시 경쟁 군대 취준으로 즐거운 추억보단 힘들고 괴로웠던 기억이 훨씬 많았음. 내 자식은 절대로 이렇게 안 살게 하고 싶은데 당장 나부터 노후 준비도 안 되어있음. 도저히 낳을 수가 없다
@haribo_kinga
@haribo_kinga 10 ай бұрын
@@mmorpgk요즘 인생이 많이 힘드시죠? 다 잘될거에요 화이팅
@vivivi2327
@vivivi2327 10 ай бұрын
​@@mmorpgk 너도 ㅇㅇ
@CK-lo2eh
@CK-lo2eh 10 ай бұрын
​@@mmorpgk 사람들한테 해코지하지 말고 살아라.뉴스에 나오지 말고.
@ZeroSugarRiven
@ZeroSugarRiven 9 ай бұрын
그래놓고 유흥주점은 들락거렸을거 생각하면 부아가치미네 ㅋㅋㅋㅋ 세계 1위 명품소비국 대한민국 여름겨울 시기맞춰서 전국민이 여행다니는 나라 대한민국 대학진학률 70%를 넘는 유일무이한 대한민국 스마트폰 보급률 98% 지나가던 애샛기도 들고다니는 대한민국 하지만 난 가난해 라고말하는 대한민국 ㅋㅋㅋㅋㅋ 술쳐먹지말고 비싼의류사지말고 어디 놀러쳐다니질 말고 돈 모아본사람? 당연히 없지 월 180이여도 휴가는 화끈하게가는거잖아 ㅋㅋㅋㅋㅋ
@ZeroSugarRiven
@ZeroSugarRiven 9 ай бұрын
그래놓고 유흥주점은 들락거렸을거 생각하면 부아가치미네 ㅋㅋㅋㅋ 세계 1위 명품소비국 대한민국 여름겨울 시기맞춰서 전국민이 여행다니는 나라 대한민국 대학진학률 70%를 넘는 유일무이한 대한민국 스마트폰 보급률 98% 지나가던 애샛기도 들고다니는 대한민국 하지만 난 가난해 라고말하는 대한민국 ㅋㅋㅋㅋㅋ 술쳐먹지말고 비싼의류사지말고 어디 놀러쳐다니질 말고 돈 모아본사람? 당연히 없지 월 180이여도 휴가는 화끈하게가는거잖아 ㅋㅋㅋㅋㅋ
@passingdog777
@passingdog777 4 ай бұрын
지금 젊은이들중에도, 자신이 태어나지 않을 권리를 침해당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음. 낳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는 시대가 아님.
@user-kg9ow1sp6q
@user-kg9ow1sp6q 3 ай бұрын
마저
@younghee7411
@younghee7411 21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이럴려면 왜 낳았냐고 눈깔 부릅뜨고 자식이 덤벼도 딱히 대답을 해줄수 없는 현실.
@vfnfhnwfnz
@vfnfhnwfnz 17 күн бұрын
오늘 저는 길 걷다가 부모님이 낳았으니 책임지고 죽여도 주셨으면.... 하고 바랐네요. 스스로 고통 없고 확실하게 가기란 참 어려운 일이라
@vfnfhnwfnz
@vfnfhnwfnz 10 күн бұрын
@@berri-cu6zj 호흡 페티쉬라도 있어서 힘들고 불행해도 숨만 쉬면 좋아서 사는가보지.... 나는 그러고 살기가 싫네
@Savage-yr5hw
@Savage-yr5hw 8 күн бұрын
당연한지 ㅋㅋㅋ 누가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건가 우린 그걸 결정할 권리도 없이 낳음당한거다 전혀 감사할 필요도 없다 당신들이 부모에게 받는 대접은 당연히 받아야되는거야
@user-uf2xn4oe4j
@user-uf2xn4oe4j 5 ай бұрын
아이를 키우면서 느끼는 행복보다 못해주는 고통이 더 클거같아요
@user-en6dl4db6k
@user-en6dl4db6k 5 ай бұрын
강남집까지 안가도 일단 초등학교때 주말에 뭐했느냐, 방학때 어디다녀왔느냐도 애들한텐 비교대상이 되요 ,,, 매주 애들 데리고 어디 체험학습 다니고 방학때 해외 나갈 돈 없으면 이미 엄마는 마음아픔
@user-uf2xn4oe4j
@user-uf2xn4oe4j 5 ай бұрын
그쵸.. 그냥 학원하나 더 못보내주는 정도 얘기하는건데 저분은 스케일도 크시네
@codemansionis
@codemansionis 4 ай бұрын
@@user-en6dl4db6kㅈㄴ 피곤할거같아요;;;
@user-yx6ie8xn4h
@user-yx6ie8xn4h 11 күн бұрын
저기 나오는 아이키우는 부부들은 둘중 한명이라도 근무가 유연한 사람들이네요. 저렇게 중간이상가는 사람들도 힘겹게사는데, 일반인들은 유연근무도안되는데 어찌 애키우고 사나요? 한명이 일을 그만둘수밖에요. 그럼 이제 중산층도 안되는겁니다. 이 경쟁사회에서 어떻게 그런선택을?
@user-ef9ds8rf4k
@user-ef9ds8rf4k 5 күн бұрын
하... 그눔에 집값, 취업, 소득, 연봉, 경제 지겹다 그냥 "키175 / 대졸 / 중견(사무직) / 연봉4500 / 25평 준신축 / 부모님 노후 준비 완료된 평범한 남자 어디 없나요ㅠㅠ" 가 문제라고 왜 말을 못하냐??ㅋㅋㅋㅋㅋ 진짜 이런건 죽어도 언급을 안하네
@user-lo3ev2nd6l
@user-lo3ev2nd6l 10 ай бұрын
태어난 아이들이나 잘지켜라. 하루가 멀다하고 성폭력 어린이집학대 음주운전사고 학폭자살 뉴스인데 제대로 처벌도 안하면서. 아이들이 성인까지 무사히 살아남기도 어려운 사회다.
@user-ou2ut8kh9d
@user-ou2ut8kh9d 10 ай бұрын
가정이 무너지고 있는게 가장 근본적인 원인입니다.
@user-pn3th2ho8i
@user-pn3th2ho8i 10 ай бұрын
고독사도 있지..
@jessicalee7291
@jessicalee7291 9 ай бұрын
횡단보도에 민식이놀이 챌린지 하는 애들도 있음. 요즘 애들은 교육 근간부터 다시 시켜야할판...
@user-uw1pt6eb4s
@user-uw1pt6eb4s 9 ай бұрын
오..완전공감 ㅠ
@Deemo.
@Deemo. 9 ай бұрын
오늘도 무사히 퇴근할수 있을지 걱정이다 ㅜㅜ
@user-ch3ee3fv8l
@user-ch3ee3fv8l 10 ай бұрын
지방에는 먹이가 없고 수도권에는 둥지가 없는데 대체 어디서 알을 낳고 키우냐?!! 이말이 진짜 명언
@tv-gd5tm
@tv-gd5tm 9 ай бұрын
와..... 소름돋네요ㅠㅠㅠㅠㅠ
@space-chat-io
@space-chat-io 9 ай бұрын
돈을 많이 준다고 낳진 않을 것 같아요. 윗 베댓에 있는데 우리가 살고 있는 무한 경쟁사회, 그리고 성별갈라치기, 소득에 따른 무시와 차별을 당연히 여기는 등 객관적 물질보다 개개인의 주관적 사회환경이 더 문제죠
@user-ps1le4ig5t
@user-ps1le4ig5t 9 ай бұрын
진짜 맞는말
@user-zx1po4kz5f
@user-zx1po4kz5f 9 ай бұрын
근데 수도권에 살긴해야되고...
@ywkim2382
@ywkim2382 9 ай бұрын
저기요 둥지를 임대 할수 있어요. 그냥 힘들게 사는게 싫을뿐 .
@ssalzoa
@ssalzoa 6 ай бұрын
여기 달리는 댓글들만 봐도 힘들어하는 사람들한테 손가락질하며 패배자들이니 뭐니 하며 남의 인생 살아줄 것도 아닌 사람들이 공감은 커녕 알지도 못하는 사람 평가질을 해대는데 걱정하는 게 당연한 것 아닌가?
@user-wj8nn1zu3q
@user-wj8nn1zu3q 9 күн бұрын
적극적으로공감해요😢
@srk5218
@srk5218 7 ай бұрын
너무 지쳤어ㅠ 유딩때부터 영어유치원 다니기 시작해서 취업해서 자리잡을때 까지 무한 경쟁속에 지금에 겨우 도달했어... 몸이 지친게 아니야 머리가 지친거지..
@user-cd5kr4le4b
@user-cd5kr4le4b 11 ай бұрын
나도 다시 태어나고 샢지 않은데 어찌 자식을 낳을 수 있단 말인가...
@allahuakbarrr
@allahuakbarrr 10 ай бұрын
이게 젤 와닿는다
@10000-Zoe
@10000-Zoe 10 ай бұрын
더 많은 설명 없이 가장 공감가는 댓글이네요.
@user-jn4yt1go1x
@user-jn4yt1go1x 10 ай бұрын
그럼 부모한테 복수는 안하냐
@rychoi0416
@rychoi0416 10 ай бұрын
진짜 너무 인정.. 사는게 너무 지쳐서 이걸 알게하고싶지 않아ㅋㅋㅋ
@adarrikkaddiruu667
@adarrikkaddiruu667 10 ай бұрын
명언이다
@parkhwanhee_
@parkhwanhee_ 11 ай бұрын
아니 현실적인 문제를 다 늘어놓고 거기에 대한 해결책은 하나도 제시하지 않고 당신은 충분히 좋은 부모가 될수 있다니 이게 무슨 낭설이오
@weij664
@weij664 11 ай бұрын
빙고! 원인분석은 결국 돈이라고 해놓고 결론은 애낳는게 행복해 그러니까 많이낳아라 얘들아. 부자들이나 졸라 낳으라고 하쇼. 내가 보기엔 해결책은 결혼하면 20년간 월 100씩 분납 지급하여서 결혼을 유도하고 애기 한명당 20년간 월 200씩 생활비 지급을 해줘야 애기 3낳고 20년간 월600씩 받으니까 남자든 여자든 둘중 하나 퇴사하고 애기보면 된다. 그럼 출산율 유의미하게 높아질거다. 돈은 누가내냐고 따지는데 애기들이 태어나서 살면서 벌고 쓰고 내는게 세금이다.
@marbling3
@marbling3 10 ай бұрын
사교육비는 저~ 구름 위에 사는 분들 기준이고 실제론 그렇게 안든다잖아요. 평균의 함정이라고. 돈이 문제인게 아니고 돈에 집착하는 본인 문제임. 문해력에 문제있으?
@user-vg7eu3he9t
@user-vg7eu3he9t 10 ай бұрын
왜나면 노예가 필요하거든
@user-ug7nh9ug6o
@user-ug7nh9ug6o 9 ай бұрын
감성적인 솔루션에 이마를 탁 치고 갑니다. 충분히 좋은 부모가 될수 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lokj-qj8cr
@lokj-qj8cr 3 ай бұрын
​@@marbling3 문제 있는 건 그 잘난 대가리로 수십년째 출산율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당신 포함 윗세대 아닐까요? 😂
@seeitfar
@seeitfar 3 ай бұрын
노년, 기성세대: 지금의 결과, 사회는 내가 만들었지만 인정하기 싫으니 청년층 탓할게 청년층: 포기할게
@crosang9134
@crosang9134 9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이 다큐엔 결혼이란걸 하는, 할수있는 살만한 분들이 분들이 많이 나오네요
@sdfhnerjwh
@sdfhnerjwh 11 ай бұрын
인생의 대부분을 경쟁에 찌들어 살아온 세대한테 출산율을 기대하는 아이러니한 나라 ..ㅋㅋ
@g_style_jh
@g_style_jh 11 ай бұрын
경쟁이 없던 시기가 있나? 경쟁은 항상 있었고 그게 인류를 더 발전 시켰는데 그것을 고통이라고 한다면 참 딱하다. 당연히 뭘 하던 힘든 부분이 있는데 그걸 이겨 내고 성공 하면 성취감이 있는거야.
@1n762
@1n762 11 ай бұрын
​@@g_style_jh근데 태어나자마자 영유영유 그러고 모두다 1등이 되야 겠다는 압박감이 있는건 이상한 세대이긴하죠.. 평범함은 한국에서 살아가기 힘드니까요
@user-gi1fo5bi4p
@user-gi1fo5bi4p 11 ай бұрын
​@@g_style_jh경쟁만 하려고 태어나는건 아니잖아요 그리고 모두 수도권 아파트 수도권대학만 원하는 것도 정상적인 균형경쟁 발전은 아님
@user-fk5ub6ow9b
@user-fk5ub6ow9b 11 ай бұрын
경쟁만 하려고 태어난 것 같습니다 😢
@underclass8558
@underclass8558 11 ай бұрын
경쟁 피하고 딴 길 가면 되지
@user-vk5jt1np8o
@user-vk5jt1np8o 10 ай бұрын
내가 애를 낳냐 안 낳냐는 둘째 치고, 시간을 돌려서 나의 탄생 여부부터 다시 선택하고 싶은데...
@abc-4474
@abc-4474 10 ай бұрын
미친x
@wxy881
@wxy881 10 ай бұрын
ㅇㅈ
@HID17Riel
@HID17Riel 10 ай бұрын
시간을 돌리면 코인사야지 뭔 ㅋㅋ
@abc-4474
@abc-4474 10 ай бұрын
시간되돌리면 당신 태어나자마자 버려질 인생같은데
@nicechukim5880
@nicechukim5880 10 ай бұрын
부모님이 참 불쌍하다 .. 자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자식을 여지껐키우셨으니...참
@user-wk6uo1ct9e
@user-wk6uo1ct9e 5 ай бұрын
태어나지 않은게 제일 베스트다 제발 얘 고생 시키지 말고.세상은 고통이다.
@user-kg9ow1sp6q
@user-kg9ow1sp6q 3 ай бұрын
마저
@user-nd4mg3en3f
@user-nd4mg3en3f 2 ай бұрын
@user-ik8mx7nu7k
@user-ik8mx7nu7k 2 ай бұрын
굳이 애 낳아서 고통받게 할 필요없지 뭐
@user-bs5gi6ky5d
@user-bs5gi6ky5d Ай бұрын
ㅋㅋㅋ태어나서 노력이란걸 해본적이있냐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Ай бұрын
여성들은 결혼 , 출산 안하겠다고 통계에 나와 있음. 싫다는 사람에게 아무리 지원해준다고 애 낳지 않습니다. 대신 모로코 , 터키 , 그리스 , 폴란드 , 일본 , 러시아 같은 나라는 한국인에게 관심 많고 한국 남자와 결혼 원하는 여자들 많다고 한다. 정부가 싱글 남성들에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는게 인구 감소 , 저출산 해결에 100 배는 더 도움 될겁니다. 장담합니다. 평범한 남자가 이런 나라들에 가서 국제결혼하기 어려우니까 여행 경비를 지원해 주어서 쉽게 외국 여성을 사귈수 있게 도와 주어야 합니다. 터키 여행 가서 터키 여자 만나서 결혼하는 사례를 많이 보네요. 한국은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일본인 사유리는 일본에서 정자 기증 받아서 합법적으로 출산.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우크라이나는 대리모가 합법. 축구선수 호날두는 총각일때 대리모 통해서 애를 가짐. 싱글 남자 아나운서나 , 싱글 남성 , 싱글 남자 연예인 중에 결혼은 싫은데 자기 애는 갔고 싶다고 말하는 남자들 많이 봤습니다. 근데 할수가 없죠. 한국은 모든게 불법이고 성과 핏줄에 대해서 옹졸, 편협 , 지독 , 경직된 나라. 이런 나라는 반드시 국가 소멸 합니다. 법이 완전 남자를 노예화 하는 법이죠. 이혼시 재산분할이 남자에게 너무 불리 하구요. 그래서 남자들이 결혼 안하는 겁니다. 프랑스 팍스(동거 등록 제도)와 똑같은 법이 있어야 남자들도 아무 부담없이 그냥 느낌 가는 대로 동거 할수 있죠. (한쪽이 동록 해제 하면 되고 재산 분할 없음) 한국의 결혼을 생각하면 법 뿐만 아니라 그 어마어마한 의무 , 책임 , 희생 , 눈치 , 시댁 - 처가 인간관계 부담감 ........ 아무도 결혼 안합니다. 팍스가 도입되어야 부담 없이 동거 하는 사람 많아지고 출산은 둘째치고 인간답게 ,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많아질겁니다. 그럼 출산은 자연스럽게 높아지구요.
@user-wc1wb6pc6p
@user-wc1wb6pc6p Ай бұрын
행복하지 않으니까. 가족이 필요 없으니까. 살고 싶지 않으니까. 죽고 싶으니까. 아이가 필요 없지.
@ismgroov4094
@ismgroov4094 Ай бұрын
맞아 ^^ 이게 정답이다. 우리 모두 솔직해지자고 ^^
@BSK_-sz1il
@BSK_-sz1il 10 ай бұрын
매일 뉴스나 매체를 보면 내가 애를 낳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하루에도 매번 몇십개씩 쏟아 지는데 애를 낳아야 겠다는 생각이 드는 기사는 눈을 씻고 봐도 단 한개도 찾을수가 없다. 아이가 살아가야 할 미래는 부모가 입으로 내뱉는 이상이 아니라 그 아이의 잔혹한 현실이 될거다
@coc42458
@coc42458 11 ай бұрын
1. 치열한 경쟁으로 나혼자먹고 살기도 바쁨 2. 낳는다고 해도 사교육비가 어마어마해서 감당가능할지 의문임 3. 감당했다고 해도 노후자금이 없음 폐지주으며 노년을 버티는 기성세대를 보면서 더욱 확신 경쟁에 승리한 극소수외엔 출산은 인생나락으로 가는 직행열차인데 어떻게 낳겠음 내 자신뿐만아니라 자식까지 나락가는데
@abcabcab5861
@abcabcab5861 11 ай бұрын
가장 큰 이유인 부동산이 빠졌네. 가계부채 1위로 쌓은 거대한 거품.. 이거 하나로 앞으로 10년간 출산율이 1 이상 반등할 이유는 없음. 정부는 수 많은 서민들이 피빨리고 죽어나가도 부동산 거품이 터지는 걸 막아야하니깐.
@eclipse1520
@eclipse1520 11 ай бұрын
그런데 부동산 거품이 터지면 경제도 갈려나갑니다. 우리나라 40대의 허리가 아직 부러지지 않은 까닭이 부동산, 예금도 채권도 아닌 오직 수도권, 부동산 때문인데 이미 손대기에는 너무나도 커진 거품입니다. 희망이 없지 않을까요.....
@jinos
@jinos 11 ай бұрын
1. 치열한 경쟁은 천장쪽이고 중간부터 아래쪽은 자리가 남아 돕니다 (돈을 벌기 위해서는 아래가 낫다고봄 전문기술직) 2. 낳는다고 사교육비 감당가능할지 의문이라는데... 사교육을 다 시키려는 이유가 궁금.. 공부는 타고나야하는거임 3. 저걸 감당했다고 해도 노후자금 없다..? 사교육비를 많이 안쓰던 쓰던... 노후자금을 준비할 능력이 필요함 결론.. 200을벌던 300을 벌던 그 수준에 맞춰서 살아가고 60대에 집 하나 남았으면 그 집값이 싸구려 5억정도 집이라고 봅시다 5억을 주택연금으로 65세부터 일 안한다고 보고 따져보면 노인연금이나 주택연금 그리고 국민연금까지해서 부부1인당 100씩 써도 85세까지 충분히 쓰고 남을돈임.... 그리고 65세에 소소한 일이라도 한다면 90세까지는 굶어죽지 않는 시대입니다... 뭐가 문제인지
@user-jb5yl7ib4s
@user-jb5yl7ib4s 11 ай бұрын
저걸 다 극복해도 아이가 제대로 크는게 너무 어려움 학폭은 날마다 뉴스나오고 가해자는 언제나 제대로처벌받지못하고 개진상부모들의 인간미만의 행동을 보고자란 그들의 자식들이 학교곳곳에있다 내 자식이 그들과 같은학교에있을수도있음
@cjcs2002
@cjcs2002 11 ай бұрын
​@@jinos5억짜리 집을 어떻게 싸구려라고 함 ? 이양반야 지방에서는 대기업 다녀야 평생 겨우벌어 사는집이야 200 300버는 인간이 대출받아서 구입한뒤 이자 몇백씩 내면서 못버틴다
@yj_9999
@yj_9999 7 ай бұрын
정말 예전에는 모두가 애를 낳는 시대라 진짜 현명하고 책임감 있고 똑똑한사람들도 자연스업게 애를 낳았는데 요즘은 그렇지않은 사람들이 더 애를 많이 낳는거같아서도 걱정이에요..
@dlrhkdduf111
@dlrhkdduf111 2 ай бұрын
그것보다 노산으로인한 기능고장에디션이 더 큰 문제인모양이던데
@TV-cj7wq
@TV-cj7wq 23 күн бұрын
글쎼요, 똑똑하다기보단 능력이 안되니 애도 못낳고 못키우는거지요..
@cnj8087
@cnj8087 9 ай бұрын
저도 딸키우는 아빠로써 제 딸이 나중에 한아이의 엄마로 인생 대부분을 살아야 한다는 현실에 가슴이 먹먹해요
@user-hk5lf3gt8y
@user-hk5lf3gt8y 7 ай бұрын
왜요? 하나낳고 딸도 성공하면 되죠. 딸은 그 애 보는게 행복일텐데. 본인은 안 행복하셨나! 제 친구도 아버지가 결혼도 출산도 다 반대하고 니 인생 즐겁게 살아라 하시는데 친구는 딸바보네요~~지금 둘째도 반대하시고 하나만 키우라 하시는데 참 사람 가치관마다 행복의 방향이 다른 것 같아요
@user-y894
@user-y894 6 ай бұрын
​@@user-hk5lf3gt8y애낳으면 생각이 바뀜~^^
@user-hk5lf3gt8y
@user-hk5lf3gt8y 6 ай бұрын
@@user-y894 어떻게 바뀐다는 거죠? 사람마다 다르죠.
@SweetPlain
@SweetPlain 6 ай бұрын
엄마로 살거나 노동자로 사장님을 위한 일생을 살거나 평민에겐 선택권이 딱 두 개입니다.
@user-hk5lf3gt8y
@user-hk5lf3gt8y 6 ай бұрын
@@SweetPlain 너무 극단적이네요...😂
@meldiijin6733
@meldiijin6733 10 ай бұрын
불행한 가정환경에서 자랐기때문에 준비가 안된 부모가 얼마나 자식에게 불행인지 알고있음. 심지어 어렵게 학교다 졸업했더니 부모돌보느라 내청춘이 없어졌고 부모는 여전히 내 등골브레이커...수명도 길어져서 노후준비가 안된 부모를 모셔야하는데 내 월급으로는 요양보호소 보내는것도 빠듯함..이런 상황에서 결혼과 출산이 가능하다고봄? 물론 이상이 높아진 것도 있겠지만 가난한 부모밑에서 가난한 지금의 결혼적령기층은 가난을 물려주고 싶지않을 것임. 돈도없고 가진게 없는데 어찌 행복한 가정을 만들겠음. 사랑도 중요하지만 경제적 여유가 있어야 가정이 원만해짐. 생각없이 애만 낳아서 버리거나 제대로 못키워서 문제아를 만들거나 심지어 죽이는 것보다 차라리 가난을 끊어버리는게 더 나음. 방송을 만들려면 현실을 제대로 보길바람.
@llllllllllllllllllllj
@llllllllllllllllllllj 10 ай бұрын
맞는말입니다 저희80년생들부터.그때부터 저희가어른대니깐 글더라고요.지금 20대30대는 더힘들거라고 생각합니다
@changoppa11
@changoppa11 9 ай бұрын
삶이란것이 잠시 잠시 만족에 의해 행복한 것 같아도 결국에는 괴로움의 연속인데 괜히 없는 환경에서 태여나게 하여 생로병사에 괴로움 까지 주고 싶지 않은 마음이 많다고 봅니다 혹자는 자신이 어떻게 세상을 보는냐에 따라 인생이 달라 진다는 멋진 개소리를 하지만 현실을 파악하지 못한 판타지 철학을 하는 것이지요 결국은 나라를 운영하였던 위정자 ㄱㅅㄲ들은 이런 일에 관심도 없었고 이미 버스가 한참 지나 갔다고 봅니다
@hyunwoojin873
@hyunwoojin873 9 ай бұрын
버리면 되잖아
@user-sd8mz4oz1j
@user-sd8mz4oz1j 9 ай бұрын
이거지 부모를 보고 결혼판단함
@robin5249
@robin5249 9 ай бұрын
불행한 가정환경에서 준비가 안된 부모밑에서 태어나 꽃같운 청춘 부모님 부양하느라 고생하셨네요, 이런 인생을 사신분이라면 결혼하고 아이 낳아도 잘 사실듯합니다.
@lpc_mirror
@lpc_mirror 10 ай бұрын
여유있는 상위층분들... 화이팅입니다...
@seungreekim8176
@seungreekim8176 9 ай бұрын
도전해 보겠습니다! 둘 도전!!
@user-jd8db5px6v
@user-jd8db5px6v 2 ай бұрын
ㅇㅇ 그래서 출산정책이 좀 바뀌어야됨 어차피 돈없는 서민들은 백날 지원해줘봐야 결혼 안하고 안낳음 아싸리 상위층 위주로 정책맞춰서 하나 낳을꺼 둘 낳게 만들어야함 지금 대출이며 주택공급이며 세금 투입해서 혜택주는거 싹다 빼고 고소득층 애기낳았을때 소득세 감면시켜주고 대출 소득자격 완화해야함
@user-jt9sm4gl9p
@user-jt9sm4gl9p 2 ай бұрын
자녀는 소위 말하는 하위층에서 더 많이낳음. 다문화가정에 애기 없는 소릴하네
@user-jd8db5px6v
@user-jd8db5px6v 2 ай бұрын
@@user-jt9sm4gl9p 그건 하위층이라기보다 다문화 가정이라서 많이 낳는거 아님? 애초에 한국여자들중에 하위층으로 결혼하려는 사람이 있긴함?
@Musicum091
@Musicum091 7 ай бұрын
사람 귀한 줄 알고 사람들 비교아닌 포용하는 세상에서 살고싶다.. 사기나 괴롭힘 경쟁 등등이 아닌 어느정도 편안하게 살아도 되면 좋겠네요
@jungyoonchoi671
@jungyoonchoi671 8 ай бұрын
여자랑 남자랑 출산후 삶이 너무 달라지는데… 몸도 망가지고 회사는 가야하고 그런데 여전히 사회에서는 아이는 엄마가 돌보는거라고 하고 남편은 자기 인생 살고 책임은 오롯이 여자몫 그렇다고 가정주부하고 있으면 남자들 온갖 모멸적인 말하면서 벌어온다고 유세 떠니 힘들어도 회서 그만 둘 수 없다
@sas-xe7es
@sas-xe7es 8 ай бұрын
꼬우면 혼자살던가
@JiyoonM
@JiyoonM 10 ай бұрын
이 다큐는 출산율이 줄어드는 이유를 완벽하게 기성세대의 시각으로 보고있다. 젊은 세대가 느끼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본인이 겪어온 상황, 가족을 꾸리기엔 너무나도 치솟는 물가, 돈 문제로 하고싶은 걸 못해주는, 남들 다 하는 것 조차 지원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두려움, 우리가 겪어온 돈으로 인한 가족의 불화 이 모든걸 젊은 세대의 기준이 높다며 허영심으로 매도해버리네… 이혼 사유를 자세하게 들여다보면 결국 그 시발점이 돈인 경우가 많은데 가족의 화목도 여유있을때 나오는게 아닐까 결국 자녀를 낳지 않거나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은 대부분 본인이 고통스러운 상황을 겪어왔기 때문일거다. 화목한 가정에서 자란 친구들은 당연하다며 빨리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낳고 싶어한다.
@user-mk3qy2er6k
@user-mk3qy2er6k 10 ай бұрын
보면서 나도 너무 기성세대시각이라고 생각함 이다큐를 보고 기성세대는 뭐야 돈없고 시간없으니 안낳는다는거자나 요즘애들은 약해빠져가지고 어디 못사는나라도 안저런다 생각할게 뻔함
@winwon4128
@winwon4128 10 ай бұрын
경제 파탄난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도 출산율 2명대인데 진짜 돈이 없어서 결혼 못 한다는게 맞나요??
@knox9798
@knox9798 10 ай бұрын
@@winwon4128 보통 못사는 나라일수록 출산율이 높음
@bbr207
@bbr207 10 ай бұрын
기성세대 어차피 못낳는데 희망가득한 개소리나 할줄알지 ㅋㅋㅋ 10년후면 오늘내일 할지도 모르는데
@user-hj2nh4sb6i
@user-hj2nh4sb6i 10 ай бұрын
​@@knox9798와우 우리나라가 미국 영국 일본을 제치고 초강대국 선진국이 되었네요출산률이 가장 낮으니까요😂
@falcon0081
@falcon0081 11 ай бұрын
내가 살아보니, 이 더럽고 힘들고 불합리한 세상속에 내 자녀를 스트레스 받는 노예로 살게 하고 싶지 않습니다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1 ай бұрын
ㄹㅇ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11 ай бұрын
@@user-dp1wn3bx5x 자살율 1위인데요?
@user-zi7cb6np9n
@user-zi7cb6np9n 11 ай бұрын
너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노예구나 ㅋㅋㅋ 셀프인정 축하
@LDS0113
@LDS0113 11 ай бұрын
나도 예전에 이런 생각이었는데ㅋㅋ 취업하고 먹고 살만해지니 생각이 바뀜. 노예 생산하기 싫다? 그런 생각을 하는 본인의 처지를 바꾸려고 노력은 해봤는지 다시 함 되돌아보시길
@taksung7038
@taksung7038 11 ай бұрын
​@@LDS0113네 님말이 다 맞습니다 .. 저는 틀렸으니 ..님이 많이 낳아주세요
@josgoi8992
@josgoi8992 5 ай бұрын
제일 아이들이 귀여울때 물으면 당연히 행복하다하지ㄲㅋㅋㅋㅋ .고등 대학 군대 취업 또 결혼 출산까지 잘키우세요~~ㅋㅋ
@user-pz2nx1ti4i
@user-pz2nx1ti4i Ай бұрын
고등아들 중등아들 2키우는데 행복합니다 ㅎㅎㅎ중2병이라는 둘째도 너무 귀여워요 ㅎㅎ
@k966aa
@k966aa 8 ай бұрын
젊은이들아 잘하는거다~~ 요즘 애들은 똑똑해서 안당하는거야~~
@zzanguya
@zzanguya 10 ай бұрын
맛집도 내가 먹어보고 맛있어서 추천하듯이 내가 인생을 살아보니까 재미보다는 고통이 너무 많고 과정의 행복보다는 결과의 성공만 중시하는 세상, 그걸 어릴적부터 강요하는 교육, 피해자보다 가해자 챙기는 사회, 착하고 정직하게 살기보다 남 등처먹는 인간들이 더 잘 사는 사회, 사람 귀한 줄 모르는 사회 등 살아보니 재미가 없어서 양심이 있으면 애를 안 낳는거다. 내가 살아 보니까 좋은 지 모르겠는데 그 상태에서 애를 낳으면 걔는 뭔 죄임. 보험용임? 낳아진 애는 생각안하나
@misosiru55
@misosiru55 9 ай бұрын
공감
@user-fl9el3qm1x
@user-fl9el3qm1x 5 ай бұрын
그래도 안그런 사람 많기 때문에 사회가 돌아가지 않나요?ㅎ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시길요
@user-kg9ow1sp6q
@user-kg9ow1sp6q 3 ай бұрын
그니까
@user-ei3zf6vg4g
@user-ei3zf6vg4g 5 күн бұрын
​@@user-fl9el3qm1x정보)사회가 안돌아가기 직전이다 4개월전에도 이미 똑같았을건데 알아차리지 못했다는것은 시야가 좁다는 의미
@Twotone_my
@Twotone_my 11 ай бұрын
나 하나 건사하기도 힘든 세상인데 물가는 점점 오르고 월급은 적고, 그렇지만 아기를 잘 키우려면 굉장히 많은 돈이 필요하죠. 또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직장은 적지만 맞벌이를 해야 아기를 키울 수 있는 경제적 여건이 되는 아이러니 ㅠ 저는 아기를 매우 좋아하지만 여러모로 복잡합니다 ㅠ
@user-vv7ot8yq4h
@user-vv7ot8yq4h 11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저도 딸하나 아들하나 낳아 키워보고 싶은데... 월급은 이제겨우 200넘었고 안정적인 직장을 가졌는데... 결혼해서 아이를? 그아이는 누가 키워줘요ㅠㅠ 그리고 나름 깨끗한 집에서 지상에서 키우고싶은데... 집값이 비싼데 어디로가여ㅠㅠ
@Twotone_my
@Twotone_my 11 ай бұрын
@@user-vv7ot8yq4h 맞습니다ㅜ 아이를 낳고싶어도 현실적인 부분을 고려하면..머리가아픕니다ㅜㅜ
@user-vv7ot8yq4h
@user-vv7ot8yq4h 11 ай бұрын
@@Twotone_my 솔직히.... 아주 솔직히 말해서 남편혼자 외벌이로 월 500까지만 벌어주고 집이 전세라고 한다면 그걸로 어찌어찌 아이 한명정도는 키우는건 가능할텐데.... 그외엔 답이 없네요ㅠㅠㅠ
@user-qn2kh1jr9h
@user-qn2kh1jr9h 11 ай бұрын
다른건 모르겠고 물가오르는건 자연스러운 현상이지요
@DRsolochu
@DRsolochu 10 ай бұрын
@@user-vv7ot8yq4h 월 500이 뉘집 개이름도 아니고 지금 이순간에도 솔직히 월 300 외벌이로도 아끼며 잘 키우는 사람 많음 500으로 애 키우는건 상류층의 양육방식이지... 부모가 죄다 케어해주고 돈 퍼다준덕에 한번도 제손으로 돈을 벌어본적이 없어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실수령 월 500받는 근로자는 한국 상위 몇퍼센트 안짝임 비현실적이라는거임 아파트 안살고 빌라살고 주택살면 인간이하의 삶인거고 영어유치원 안가고 일반얼집가면 스타트라인부터 인생망하는거임? 분기마다 해외여행 못가고 국내여행 가면 가난한거야?
@user-on9gr1fm3x
@user-on9gr1fm3x 9 ай бұрын
돈으로만 해결책을 찾으려니 못하지 저출산은 바로 결과가 보이는 영역이 아니니 교육-연금-의료-젠더 등등 하나하나의 문제들에 집중해서 하나씩 개혁을 이루어 가야해요. 저출산 해결을 목표로 걸면 바로 결과를 보여야하기 때문에 불가능 하나 하나 차근 차근 개혁 해갑시다
@user-ie7jp1ve1b
@user-ie7jp1ve1b 9 ай бұрын
현실만 얘기하고 끝내면될걸 완전 용두사미 다큐네 엔딩을 희망차게 가져가고 싶었던것 같은데 그런 포장조차도 지금의 청년들에겐 부담이된다
@janekim1152
@janekim1152 9 ай бұрын
아이가 둘이 되니 아이들을 전적으로 봐 주시는 분 없이는 일을 계속 하기가 어렵네요 아이 아프다고 연차 쓰는 것도 하루이틀이지... 결국 10년 다니던 직장 다음 달에 사직합니다ㅠㅠ 아이들 너무 예쁘지만 쉽지 않네요ㅠ0ㅠ
@JJ-ny6yq
@JJ-ny6yq 4 ай бұрын
곧 결혼인데 이 글을 보니까 더 무섭고 자신이 없어지고 고민이 되네요... 힘내세요
@user-jt9sm4gl9p
@user-jt9sm4gl9p 2 ай бұрын
돈을 좀 포기하면 행복해집니다. 잘한결정이고 응원합니다
@mfyk6806
@mfyk6806 2 ай бұрын
@@user-jt9sm4gl9p 돈을 포기하는게 아니라 10년의 커리어를 포기하는건데요..
@user-zm3jw8hr8l
@user-zm3jw8hr8l Ай бұрын
애들이 좀크면 돈버는 엄마 좋아하는데...아깝
@Lily0bigday
@Lily0bigday Ай бұрын
조금만 더 버티시지...... 그렇게 그만뒀다가 후회 중인 사람이에요. 아이들은 다 컸고 제가 사회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못쓰는 일 뿐이고 예전에 받던 돈 1/5 도 못 벌어요... 게다가 집안일은 내가 전적으로 해왔기 때문에 남편은 '시키지 않는 일은'안해요. 이거 미치고 팔짝 뜁니다..... 애기엄마 일은 꽉 잡고 있으세요.
@inomyyy
@inomyyy 11 ай бұрын
내 한몸 건사하기도 힘든 세상.. 2030이 현명한 선택한듯..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1 ай бұрын
이 대한민국은 내 한몸의 노후준비도 안해쥼
@user-go4xj8uf2e
@user-go4xj8uf2e 9 ай бұрын
마지막 말은 현실과 괴리감이 느껴지네요 출산으로 느껴지는 행복은 잠깐이고 현실이 너무 고된 하루인데 어떻게 행복하게 자식들을 키우겠습니까
@lks210
@lks210 9 ай бұрын
아이를 키우면 의식주 교육 양육비만 필요한게 아닙니다. 아이랑 같이 놀러도 다녀야 하고, 사치품도 사게 됩니다. 아이가 있으면 의도치 않은 생활비가 많이 들어갑니다. 둘째는 지금 엄두도 못내고 있습니다. 😢
@mysunshine779
@mysunshine779 9 ай бұрын
맞아요~~클수록 친구들과 비교하기시작합니다, 누구 친구는 머 샀는데..어디놀러가는데.. 돈을 안쓸수가..없어요😅
@user-zi3ec1lm5b
@user-zi3ec1lm5b 11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여자가 직업 포기하고 살림하면서 애 낳은거고, 요즘은 여자들도 교육시키는데 여자에게 직업 포기시키면 애 안낳는거지. 선진국들이 출산 육아 지원을 전폭적으로 해주는게 그런 이유, 그런데 한국인들은 한국이 이제 선진국이라면서, 정작 선진국에서 출산율을 끌어 올리기 위해서 출산 육아 복지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관심조차 없음, 여자가 직업없이 살림하면서 애낳는 후진국형 롤모델에서 정답을 찾으려고 하면 안되는거
@user-gm8up1ju6z
@user-gm8up1ju6z 11 ай бұрын
이게 정답. 좋은 직장 가지려고 힘들게 살았는데 갑자기 다 그만두고 애 키우란다. 좀 키워놓으면 직장 레벨 다운시켜서 육아, 일 병행하란다. 기가 막힘.
@user-tw5cx7sw3l
@user-tw5cx7sw3l 11 ай бұрын
아닙니다. 출산율 1위나라는 여자가 군복무도 2년하고 여성사회진출도도 엄청 높고 고학력자도 많고 육아지원복지도 더 우리나라보다 적습니다. 그런데 출산율 세계1위입니다. 굳이 한가지 우리나라가 더 안좋은게 있다면 회사에서 보내는 시간이 매우길고 사회 스트레스가 많아 여유가 없다 정도지 다른 이유들은 솔직하지 못한 핑계입니다.
@gkkim345
@gkkim345 11 ай бұрын
@@user-tw5cx7sw3l 회사에서 보내는 시간이 매우 길고 사회적 스트레스가 많다라고 하신 그 부분이 여성에게 “직장 그만두고 애 키우라고 한다”고 느끼게 만드는 그 포인트인 거 같습니다.
@MelodySorrow
@MelodySorrow 11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여자가 직업을 포기해도 남자 외벌이로 먹고 살만하니까 그럴수 있었던 거고 지금은 솔직히 남자 외벌이로 감당히 힘들어 맞벌이를 해야 안정적으로 살수 있는데 그게 힘드니 걍 포기. 선진국들 출산율만 봐도 남자 외벌이보다 맞벌이 하는 집이 아이를 가질 확률이 더 큼.
@keisk9248
@keisk9248 10 ай бұрын
일하고 싶은 여자가 많을까? 놀고 싶은 여자가 많을까? 솔직해지자. 어쩌면 후진국형으로 외벌이 가장을 대폭 지원하는게 더 답일 수도 있다. 엄마는 가정에 집중 할 수 있도록하고 아빠는 외벌이로 4~8인 가족까지 먹여살릴 수 있도록.
@doobu691
@doobu691 11 ай бұрын
그냥 사는게 고통이고 죽지 못해 사는게 맞는 말이다 아마 죽는게 숨 쉬기처럼 쉽다면 벌써 다 죽음을 선택했을꺼다
@swy2797
@swy2797 2 күн бұрын
네 맞는 말씀입니다. 더이상 힘들다고 하지 않고, 징징거리지도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들 조용히 선택을 하고있는거에요. 내 선에서 내가 내릴 수 있는 몇 안되는 옵션 중 하나가 아이를 낳지 않는 것. 그 선택을 하면서 그나마 덜 고통스럽게, 견디면서 살 수 있는겁니다. 결국 본질은 청년들이 행복하지 않고 힘들어서에요. 너만 힘드냐? 이렇게 접근하면 입꾹닫하고 점점 더 출산율 안나옵니다. 아니꼽고 못마땅할지라도 결국 청년들이 물질적/문화적으로 여유가 있어야 아이 낳을 생각을 할거에요. 무슨 기계들도 아니고 생산가능 인구 늘리려고 아이 낳지는 않으니까요.
@user-sl3gp6oq7v
@user-sl3gp6oq7v 5 ай бұрын
꿈 없는 아이들이 너무 많아요. 엄마 아빠 일하는거 힘들다는 소리를 들으니 일하기 싫다는 아이도 여럿 봤어요. 넉넉치 못해도 당당하게 긍정적으로 키울수 있을까 고민돼요. 아이가 해 달라는거 못해줄까봐 겁나기도 해요. 부부가 싸우는것도 자신의 무능함, 돈문제가 크다 생각해요. 취업을 늦게 하는 분위기다 보니 결혼적령기도 늦어지고 결혼은 부모의 힘이라는 말도 나오면서 내 결혼도 벅찬데 자식까지 언제 키우고 준비시키나.. 싶어요. 전 아이들이 주는 행복이 너무 크고 좋아요. 하지만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면서 곤란한 상황에 놓이는 주변분들을 많이 봐서 손바닥 뒤짚듯이 출산에 대해 한다 안한다 매일 마음이 바뀝니다.
@user-gl6el6ol3v
@user-gl6el6ol3v 10 ай бұрын
한국의 상인들이 여우짓하는게 예를들어, 산후조리원 지원을 해준다고 하면 산후조리원 업체들이 그 지원금을 가만해서 더 비싸게 올려받는게 현실이라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지원방법 또한 꼼꼼해야합니다.
@SaeBomIm
@SaeBomIm 4 ай бұрын
가만 > 감안
@user-ze9mk5rh5i
@user-ze9mk5rh5i 10 ай бұрын
2030세대 대다수가 학교 다닐 때 무한경쟁 학업으로 인해 즐거웠던적이 거의 없었을거다 내 아이에게 또 무한경쟁 소굴로 밀어넣기가 겁이 난다 경쟁에서 지면 어떤 삶을 살지 우리는 다 알고 있거든
@justinelee5218
@justinelee5218 15 күн бұрын
투기꾼들부터 좀 막아야함.. 부동산이 15년대비해서 물가 상승률 감안해서라도 넘 미친 듯이 올랐음.. 안정적인 집이 없는데 애를 누가 키우려고함? 집값만해도 평생 벌어도 감당못하는데..
@Yunichoigo
@Yunichoigo 3 ай бұрын
낳지 않는 이유를 알려하지말고 낳아야 하는 이유를 알려달라니까
@hok1049
@hok1049 11 ай бұрын
저는 힘들게 10년 노력해서 낳았고 기르고 있지만 진짜 힘들어요.. 이게 돈이 문제가 아니라 아이가 살아갈 세상이 너무 험해서 걱정입니다. 아이에게 바르고 정직하게 살아가라고 말하는게... 착하게 살라고 말하는게... 이놈에 세상에서 맞는건지... 하지만 최선을 다하고 싶습니다 아이가 행복하게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
@seollunglee235
@seollunglee235 11 ай бұрын
그 세상을 당신이 만들었잖아..
@hok1049
@hok1049 10 ай бұрын
@@seollunglee235 그쪽 말이 맞다고 치고 그럼 그쪽도 만든거지 맞아?
@hok1049
@hok1049 10 ай бұрын
@@csjia0009 뭘바라는지는 써놨는데요.. 아이가 행복했으면 좋겠다고
@user-in4sd7vy1z
@user-in4sd7vy1z 10 ай бұрын
화이팅입니다.
@Sieunworld
@Sieunworld 10 ай бұрын
댓글들 보아하니 걱정하실만 하네요 ㅠ
@chl-kj4rt
@chl-kj4rt 11 ай бұрын
인구감소는 전 세계적 트렌드이며 특히 한국에 희망은 없습니다. 알아서 되겠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정신 차리시구요, 이러한 인구감소에 맞게 우리는 적응해 나가야 할뿐입니다.
@user-zs2pl6sv2o
@user-zs2pl6sv2o 11 ай бұрын
고독사 준비 잘하자
@user-yd7vt6uq4t
@user-yd7vt6uq4t 11 ай бұрын
출생율 자연스럽게 줄다가 다시 늘어날거임. 일본처럼.
@leewilliam8111
@leewilliam8111 11 ай бұрын
​@@user-yd7vt6uq4t웃기는소리 늘이유가 없음 일본은 1억이야 한귝은 경쟁 집값 직장에서 갑질 극소수성공 무고운 세금 보험 질좋은 직장 감소 무한경쟁 천문학적 사교육비 샹활비 등둥~
@jaehoonha6
@jaehoonha6 10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그 자슥들 요구를 다 들어줘도 안 낳을 자슥들은 안 낳습니다. 그냥 핑계입니다.
@samoyed9295
@samoyed9295 10 ай бұрын
국제결혼 가즈아ㅏ
@peterkang2604
@peterkang2604 9 ай бұрын
요즘 애 키우는게 옛날 80~90년대보다 훨씬 더 힘들다. 예전에는 애들 그냥 집앞에 동네만 나가면 부모가 옆에 없어도 밖에서 노는 애들이랑 형동생 하면서 같이놀고 저절로 크다시피했다. 요즘엔 길에 차도 많고 아무나 사람 사귀는 그런 문화가 아니라 부모가 끼고 살아야해서 부모의 양육부담이 더 크지. 어느정도 성장후엔 친구 사귈려면 학원 다니는 방법밖에 없으니 사교육비 부담이 또 크지. 학원을 가지 않아도 아이들이 친구들을 사귀고 즐겁게 뛰어놀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국가가 만들어 줘야 부모의 양육부담도 줄어든다. 이게 해결 안되면 돈을 아무리 쏟아부어도 그 돈의 대부분은 사교육장으로 흘러들어감. 하긴 일단 결혼부터 하게 만들어야하니 신혼부부 주거문제부터 해결해줘야지
@user-hk5lf3gt8y
@user-hk5lf3gt8y 7 ай бұрын
ㅋㅋ진짜 초등학교 입학후에 엄마찾는건 밥먹을때랑 알림장보여주는게 다였는데~~~ 저녁 늦게 놀이터가있고~놀이터가면 맨날 새 친구들있고 ~ 아줌니아저씨들은 슈퍼앞 평상에 앉아 간식먹으면서 애들 싸우면 혼도내고 ㅎㅎ
@user-pm8tn5on4k
@user-pm8tn5on4k 5 күн бұрын
추억이네요,.
@user-rd5fn8sp5b
@user-rd5fn8sp5b 7 ай бұрын
요즘 젊은 새대나 4-50대나 힘든 시기입니다 다들 힘내서 살아요! 태어났으니 어째든 살아 나가야하니까요 ..
@frankham8038
@frankham8038 11 ай бұрын
그야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보다 부모가 누구인지가 더 중요한 사회니까
@nitrojjjini
@nitrojjjini 11 ай бұрын
눈에 보이는 비용때문에 평범한 행복을 포기한게 아니라 그나마 '평범한' 가정을 이루려면 평범한 행복까지 포기해야 합니다.
@user-zi7cb6np9n
@user-zi7cb6np9n 11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야
@user-zl1pu5li1g
@user-zl1pu5li1g 6 ай бұрын
직접적인 통계 연관성은 소득 다들 알면서 그 얘기에서는 답이 없으니까 다른 답을 찾는 느낌
@user-lw5nx5kq2d
@user-lw5nx5kq2d 5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이런영상보면 애낳을생각이 더사라집니다.. 어떤메세지를 주고싶는지 알겠는데 현실이 너무 보이는것같네요
@danne3737
@danne3737 11 ай бұрын
이미 젊은 애들은 해외경험과 사상최대의 학구열로 인해서 눈치빠르게 세상의 이면을 이미 보게 되었단걸. 이 사회는 보이지 않은 계급이 사실상 존재한다는 것을.
@user-ix3dz1gp1d
@user-ix3dz1gp1d 11 ай бұрын
바른 방향으로 가고있다 이 나라는 인구가 너무 많았다. 적절한 인구로 조절될 필요가있다. 지구를 위해 우리는 스스로 인구를 줄여가는 중이다. 아주 현명한 대한민국 국민들이 자랑스럽다.
@yunsangmin4863
@yunsangmin4863 11 ай бұрын
타노스가 흡족해할 나라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1 ай бұрын
🤌
@YokohamaHamako
@YokohamaHamako 11 ай бұрын
나라와 사회가 인구 감소 추세로 행동하고 있으면서 출산율은 증가시키기위해 이중적인 어설픈 정책을 내고 있다고 봐요 인구감소를 하든 늘리고 싶으면 북한인구 흡수하든 두개중 하나라고 봄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11 ай бұрын
​@@yunsangmin4863영화속에 빠져있는 비개화 인간들.ㅉ
@LoveKirby911
@LoveKirby911 11 ай бұрын
@@YokohamaHamako 그런발상은 김대중때 쌀을 원자력으로 바꾸는 연금술 하지 말고 북한 망하게 냅둬서 통일했을때의 일임. 지금이나 미래에 통일한다? 내전일어남. 출산율 0.3될걸? ㅋㅋ
@luvleecha8029
@luvleecha8029 7 ай бұрын
전문가 말에 일리가 있네요.. 의식주 문제라…ㅠㅠ 내 집하나 얻기 힘들고, 내 입하나 책임지기 힘드니.. 나는 몸만 큰 애같고.
@jek-bh7eo
@jek-bh7eo 4 ай бұрын
지금 못살아도 내 자식이 잘 살아갈 수 있을 거란 희망이 있으면 애를 낳죠. 미래에 내 몸 건사하는 것도 불투명한데 자식까지 어떻게 낳나요.. 옛날처럼 자식은 노동력, 지 먹을 건 지가 갖고 태어난다, 이런 세상이 아니잖아요. 옛날처럼 점점 살기 좋아질 거란 희망이 없는데 애를 낳는다는 건 그 자식한테도 몹쓸짓, 저 자신한테도 몹쓸짓이죠...저도 나름 안정적인 직업에 결혼 예정이고 아이들 정말 좋아하지만.. 이런 이유 때문에 자녀계획은 아직까지 모르겠습니다. 낳아주셔서 감사합니다가 아니라, 낳음당하게 한 원망을 들을까봐...
@lilee00
@lilee00 10 ай бұрын
딱 영유아 키우는 부모들 위주로만 촬영해서 감성적 결론으로 마무리하네....... 원래 자식 효도는 3살때까지 다한다는 말도 있으니 저땐 정말 행복감이 절정일듯 ^^
@user-hw5nt5mf4l
@user-hw5nt5mf4l 5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개나 고양이 키우는 이유가 있음 걔들 키우는게 귀여운 영원한 영유아들을 키우는 거니까
@Ccccwwwwmmmm
@Ccccwwwwmmmm 5 ай бұрын
​@@user-hw5nt5mf4l개고양이도 늙으면 아프고 돈 많이들어가고 안귀여움..
@codemansionis
@codemansionis 4 ай бұрын
@@Ccccwwwwmmmmㅠㅠㅠㅠㅠㅠㅠㅠ 와 진짜 개현실;;;
@user-bx8pt6nu8l
@user-bx8pt6nu8l 5 ай бұрын
외환위기를 어릴 때 겪었던 세대로써 당시 아버지가 가장으로써 역할을 못 하면서 받았던 멸시나 대접 그리고 그 스트레스로 아버지가 행했던 안 좋은 모습들이 아직 각인되어 있어요 저도 제 아기를 만나고 싶지만 내가 무너졌을 때 가족이 받을 고통을 생각하면 다시 마음을 접게 되네요
@user-nh7xt9mj1n
@user-nh7xt9mj1n 9 ай бұрын
인공자궁 기술의 발전이나 기대해야죠… 경제적인 지원은 또 별개겠지만…
@user-bd2dt4cy5r
@user-bd2dt4cy5r 11 ай бұрын
나는 그냥 혼자 살란다. 어차피 흙수저고.. 돈때문에 원하는 공부도 못해봤고.. 꿈접고 희망 없이 살다가 이제 겨우 정신 차리고 노가다라도 해서 그냥.. 홀어머니 용돈 주고. 나 혼자 입에 풀칠 할정도로 산다. 이런 조건에..결혼은 무리인것 잘알고. 나도. 내 고생은 그냥 내 선에서 끝내고 만다. 지금 자식 낳아봐야 자식 잘키울 자신 없고. 내 고생 물려주고 싶지 않다. 그냥 마지막 만큼은 쓸쓸해도 민폐 안끼치고 가고싶다.
@JHChoi-zv9oz
@JHChoi-zv9oz 10 ай бұрын
공감 가네요 아마 재동님 같은 처지 분들 많을겁니다
@user-yx6ie8xn4h
@user-yx6ie8xn4h 11 күн бұрын
이거에요 영상만드시는분 이거라고요 가난의대물림이 싫은거라구요
@user-qz1be5of9e
@user-qz1be5of9e 11 ай бұрын
내삶이 더 중요함 애키워봤자 그때뿐이지 커봐라 능력없으면 부모탓함
@bluewater3216
@bluewater3216 11 ай бұрын
50되서 아파서 혼자 병원에 누워있어봐야 애 안낳은거 후회하지ㅋㅋㅋ
@yaeyae-ex8yb
@yaeyae-ex8yb 11 ай бұрын
​​@@bluewater3216 애생각은 어디갔냐 이 이기적인 것아. AI는 폼이고 보호사는 폼이냐? 그리고 애가 무슨 도구냐?! 출산은 죄악임을 명심해라!!
@user-rr6il9ch2f
@user-rr6il9ch2f 11 ай бұрын
​@@bluewater321650되기전 애 한테 들어갈 돈을 내 노후로 준비중에 작은보탬은 될듯ㅋㅋ 횟팅하셈 이왕 낳음 시킨거ㅋㅋ
@user-pi9gr2su7d
@user-pi9gr2su7d 11 ай бұрын
​@@bluewater3216아파서 누워있을때 간병인두면되고 돈없는부모 아파누워있음 자식도 지옥일듯
@user-kk6gd2wj6g
@user-kk6gd2wj6g 11 ай бұрын
@@bluewater3216 애들 간병인으로 이용해먹겠다는거네ㅋㅋㅋㅋ 괜히 불안감 조성하는 조선스러운 설득 방법으로 안 낳겠다는 사람한테 간섭하지 마세요
@user-cd1dl5cs7i
@user-cd1dl5cs7i 8 ай бұрын
20:00 영상과 관련없는 댓글이지만 너무반가워서 남김니다. 이 분 어디서 많이 본것 같다고 생각했었는데 요즘 보는 숏츠에서 "맴매~!" 하면서 나오는 분이시구나!(내적 친밀감느낌 ㅎㅎ) 현실이 내 맘대로 안되는건 알지만 그냥 통틀어서 "안타깝다" 라는 말밖에 안나오네요...
@user-vn9eo8kb1g
@user-vn9eo8kb1g 2 күн бұрын
정말 좋은 프로그램이네요 저와 같은 생각이 많았어요 두려움때문에 아이 낳기를 포기하려했지만 아이를 키워보니 그 두려움을 이겨낼 만큼의 행복입니다.
@user-jh8el2dw3b
@user-jh8el2dw3b 9 ай бұрын
젊은사람들이 똑똑한거임 제발 다들 낳는다고 생각없이 억지로 낳아서 가난함물려주고 고통받게하지 맙시다. 학력,능력좋은 부모밑에서 행복하게 자라는 아이들이 많아야해요
@user-qf5tp4xe5t
@user-qf5tp4xe5t 9 ай бұрын
군대는 어케하나요 사람없는데
@ssibar_jot_that
@ssibar_jot_that 9 ай бұрын
​@@user-qf5tp4xe5t ㅉㅉ
@user-hk9mg5ru4g
@user-hk9mg5ru4g 9 ай бұрын
​@@user-qf5tp4xe5t여자도 강제징병 해야죠
@user-hhf6t82be5j3
@user-hhf6t82be5j3 9 ай бұрын
​@@user-qf5tp4xe5t국민의 절반이 병역의 의무가 없음. 그 사람들 활용하면 된다
@crushonyou2884
@crushonyou2884 9 ай бұрын
여자 보내야지
@user-qi9so2ot5e
@user-qi9so2ot5e 11 ай бұрын
시대는 변했고,시대에 맞는 제도와 정책도 같이 변화 해야되는데...우리나라 젊은이들 의 비명소리는 그들에게 들리지않나봐요.
@user-mt1uu4mi8t
@user-mt1uu4mi8t 11 ай бұрын
들려요 들리는데 무시하는거지 지 밥그릇에 쌀 떨어지는 소리만 신경 쓸 뿐이에요
@user-mt1uu4mi8t
@user-mt1uu4mi8t 11 ай бұрын
@dkinlakorea 2찍이고 1찍이고 여고야고 보수고 진보고 다 븅신이여 뭘 따져 누가해도 좆됨 이나라 국민이 다 ㅂㅅ이라 누굴 뽑아도 소용없어 이와중에 아직도 일찍 이찍 타령나오는 시점에서 이나라는 끝장이야 빨리 떠라
@마이야히
@마이야히 11 ай бұрын
노예는 원래 수입해 오는거라고 생각하나봄.
@user-yg9gn3fj5n
@user-yg9gn3fj5n 11 ай бұрын
@dkinlakorea 1찍해서 북한처럼 되는게 좋냐 그럼?
@fofogogo8755
@fofogogo8755 11 ай бұрын
2022~2024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2024~2027 중국 대만 전쟁 2029~2030 한반도 2차 전쟁 (전쟁 발발 1년만에 패배 한국 멸망) 북한 한반도 적화통일 만일 예상 빗나가면 내 손목아지 짜름
@uangjang7162
@uangjang7162 2 ай бұрын
돈생각하면 연애도 하지맙시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연애는 왜하니? 현실적으로 연애가 생산적인게 없는데 ㅋㅋ
@user-wg6rl2fg3g
@user-wg6rl2fg3g 6 ай бұрын
이 시대 사는 모든 분들 힘내십시오 우리는 힘들게 나라를 지켜주신 어르신들께 감사 할 뿐입니다 나라가 건재함이 감사한 그 후 이제는 잘 키우기 문제를 보며 현실을 무시 할 수 없는 시대가 이해됩니다 서로 서로 위로하며 산다면 자녀가 주는 큰 행복과 부모를 강하게 하는 그 힘과 성숙된 어른으로 사회에 이바지 할거라 생각합니다
@KIMK891
@KIMK891 9 ай бұрын
낳기 싫어서가 아니라 낳으면 안 될 것 같다라는 말이 참 슬프네..
@user-sj7kk7bo1u
@user-sj7kk7bo1u 11 ай бұрын
남들보다 평균보다 못하면 자식이 부모를 원망합니다. 나중에 그걸 감당하기가 힘드네요. 그러니 남들 만큼은 해줘야 돼는데 그게 너무 어려운듯
@user-ev4de5go3q
@user-ev4de5go3q 11 ай бұрын
아이 7낳는 사람도 유투브 나왔어요 뎃글 적었다 한소리 먹었습다
@user-tg4ed9nd2t
@user-tg4ed9nd2t 10 ай бұрын
평균보다 못하면 부모를 원망하게끔 당신이 애를 잘 못키웠으니 애가 그딴 행동을 하는 거겠지요ㅋㅋㅋ
@user-mj6hx6th7y
@user-mj6hx6th7y 10 ай бұрын
​@@user-tg4ed9nd2t너무 쉽게 얘기하시는듯... 누구나 비교속에서 사는데 그걸 가정교육으로 힘쓰는것도 한계가있음.. 애들은 더더욱 학창시절 자존감이 낮을수록 비교하며 남탓하기 쉬운데.. 그걸 애들이 커버하기가 쉬우나.. 어른도 힘든데..
@user-rw2nc1uh2w
@user-rw2nc1uh2w 10 ай бұрын
@@user-tg4ed9nd2t 니가 잘키웠다는 소리느 그소리할때마다 아구창을 갈긴건 아니고 ㅋㅋㅋㅋ
@dxdy-ps2oc
@dxdy-ps2oc 9 ай бұрын
​@@user-tg4ed9nd2t지능장애? 경쟁사회에서 남들보다 못하면 물어뜯긴다
@SeongJu0202
@SeongJu0202 8 ай бұрын
사교육 부분에서는 정말 우리가 강요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젊었을 때, 어렸을 때 놀아봐야지 커서는 그때처럼 놀 수가 없어요. 원한다면 보내야 하겠지만, 부모로서 강제한다면 그건 부모들의 사심을 채우기 위해 아이들을 이용하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shermanben9658
@shermanben9658 7 ай бұрын
저도 미혼이고 결혼할 생각없고 자식 생각도 없습니다. 양심고백하면 ..하고 싶은 게 너무 많고 즐길거리가 너무 많아요. 또 갖고 싶은 것도 많고요. 그런데 그런 걸 다 희생하면서 자식을 키운다? 쉽지 않은 선택입니다. 과거엔 자식이 노후에 대한 보험의 역할을 했지만 이젠 노후자금에 손만 안 대주면 다행이다 싶은 세상이죠. 전 이 점이 가장 큽니다. 대학졸업 후 취직까지 30년을 뒷바라지해도 집 살 때 보태달란 게 자식들인데 이건 도저히 엄두가 안나요. 결국 제가 받은만큼 해줄 자신이 없어서 전 싱글로 살기로 마음 먹었어요. 다른 사람 속마음이야 제가 알 길 없으니 뭐라 말은 못하겠지만 .. 뭐 저 같은 사람도 많을 것 같네요.
@user-rm8pn8ft9s
@user-rm8pn8ft9s Ай бұрын
여유가 안돼서 못낳는건 이해하지만 형편 넉넉한데 지 즐길거 즐긴다고 안낳는건 죄책감 가지고 살아. 이건 자유의 문제가 아니라 엄연히 국민이면 양육의 의무도 있다
@shermanben9658
@shermanben9658 Ай бұрын
@@user-rm8pn8ft9s 네 갖고 살고 있고 미래에 자식이 없단 이유로 세금을 더 걷어더라도 할 말 없다고 생각합니다.
@user-ob2sj3fw4s
@user-ob2sj3fw4s Күн бұрын
@@user-rm8pn8ft9s뭔 양육의 의무 ㅇㅈㄹ하면서 잘 살고 있는 사람한테 죄책감을 가지라 하나요?ㅋㅋ 이런말은 꼭 자궁도 없고 자격도 없는 사람이 하는듯. 애기 맡겨놨어요?
@sinhanglee90
@sinhanglee90 11 ай бұрын
출산률 저조까지 어마어마한 시간과 자원을 들여 0.78이라는 결과를 달성했다. 라고 생각하면 이상할게 없는 현상.
@user-jx6qt5fz3d
@user-jx6qt5fz3d 11 ай бұрын
여성인권을 좀 낮춰야 출산율이 올라감
@whitewhale0225
@whitewhale0225 11 ай бұрын
서울이 평균 깎아먹는데 78이면 아직 꽤 높네요
@Skjsjwndidolf8173
@Skjsjwndidolf8173 11 ай бұрын
@@user-jx6qt5fz3d​​⁠상대가 인권이 낮아진 상태에서 선택지가 없어야만 가치가 낮은 본인들이 선택받고 번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다니… 객관화가 잘 되어있다고 해야하나
@maxkim2739
@maxkim2739 11 ай бұрын
0.78이면 결혼안하는 여성들이 30%라고 보고... 그럼 결혼해서 애 하나 이상은 낳는다는 계산임.. 사실 현실적으로 낮은 출산율이 아님...
@user-ix6hv7yf1g
@user-ix6hv7yf1g 10 ай бұрын
세상살아보니 대한민국은 자본과 권력에 의한 극강신분사회더군요. 우리같은 저임금 월급쟁이들은 사회최하층민이 팩트더군요. 결혼해서 왜 아무죄 없는 귀여운 아가들에게 사회최하층민의 삶을 물려주려 하겠습니까? 세상물정을 알면 알수록 자식을 안 낳는 분들이 현명하고 진정 아이를 사랑하는 분들입니다.
@shalsgur2001
@shalsgur2001 9 ай бұрын
이시대의 청년들이 국가와 사회, 어른들에게 던지는 마지막 최후의 저항권이다 저출산
@user-qx9os7ef3l
@user-qx9os7ef3l 6 ай бұрын
지금같이 변화없는 사회구조는 아이들에게 물려줄수가없는게 가장큰 고민이죠 나혼자도 먹고살기힘든세상 .....
@user-ro5xu3gx6u
@user-ro5xu3gx6u 4 ай бұрын
지금 애 낳는다는건 애를 지옥으로 내미는거죠
@user-fc8ey9oq1d
@user-fc8ey9oq1d 11 ай бұрын
태어날 아기의 관점은 생각안하나 ~ 인생은 결코 쉽지않다
@user-dp1wn3bx5x
@user-dp1wn3bx5x 11 ай бұрын
드럽게 착하네요~ ㅋ
@user-ly4mg9xi9u
@user-ly4mg9xi9u 11 ай бұрын
@@user-dp1wn3bx5x 니는 딸 낳아서 창녀촌에 보내봐라..행복하겠네 ㅉㅉ
@whitewhale0225
@whitewhale0225 11 ай бұрын
알아서 살아야죠
@_10R
@_10R 11 ай бұрын
​@@whitewhale0225 아기낳으면 알아서 살아라라고 할건가보네.ㅋㅋ 느그 자녀가 불쌍하누
@jinos
@jinos 11 ай бұрын
헛소리 오지네 ㅋㅋ 태어날 아기 관점까지 따지고 자빠졌네 ㅋㅋ 니 낳고 살아가는 니 부모관점은 생각안하냐? 자식 낳았더니 아주 헛소리만 하고 댓글다는거보고 먹었던 미역국 다 토하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hn2466
@ahn2466 11 ай бұрын
애 있는 사람한테 효용을 물어보다니요... 그럼 저기서 아니라고 하면 자기인생 애 인생 을 다 부정하는건데 그렇게 하겠어요? 비혼 딩크한테 물어보면 효용 없다 생각하는거지 저런 집단에 물어보는게 무슨 소용입니까?
@user-kn5pp9oe4g
@user-kn5pp9oe4g 11 ай бұрын
비혼 딩크는 이미 효용 없다고 결론 내린 사람이고.. 저기 있는 사람은 양쪽 경험을 다 해본 사람이고.... 고기맛도 먹어본 사람이 알지.. 비건한테 소고기 맛을 물어봅니까? ㅎㅎㅎ 글구 집단중에 딩크도 있던데여 머
@ahn2466
@ahn2466 11 ай бұрын
@@user-kn5pp9oe4g 양쪽다 경험한게 아니라 애낳는쪽만 경험한거죠. 비혼으로 늙어죽어야 비혼쪽이라볼수 있죠.제가 보기엔 애 낳은쪽은 소고기만먹어서 콩고기맛 모르겠네요. 그리고 애낳고 누가 후회한다고 합니까? 아 물론 자식이 개차반으로 커서 후회한다고 할수는있겠지만 저런 유아기 영아기 애들키우며 후회한다는 학부모는 없죠. 후회한다는 생각이 들면 얼굴까고 방송에도 못나오죠. 설사 후회하는 맘이 들어도 아니라고 자기세뇌시키고 살아야지 어쩌겠어요? 이미 낳은걸
@user-kn5pp9oe4g
@user-kn5pp9oe4g 11 ай бұрын
@@ahn2466 방송에서 나온 질문에 모호한면이 있어서, 표본집단이 잘못됐다는 주장이 뭘 근거로 하는지 알긴 하겠는데요. 방송이니까 엄밀한 정의를 기대하는건 어렵다고 보고요. 방송에서 하고있는 연구의 의도를 따져보면.. 효용성 예측값의 표준 크기를 분석 하려는 연구가 아니라, 걍 효용성 실측값의 크기로 표본집단을 이진분류하려는 연구로 보여요. 따라서 실측값이 없는 집단을 대려와서 분석을 시킬 수는 없을거 같네요. 이런 연구에, 말씀하신대로 자식농사 실패한 표본을 모두 따지는건 아웃라이어로 집계될게 뻔한데...... 굳이 모집할 필요도 없을거 같네요. 그리고 말씀하신 논리대로면 비혼으로 늙어죽은 사람 앉혀다가 설문조사를 해야되나요...? 이런식의 주장은 다소 편협하다고 봅니다... 뭘 보고 뭘 들어도 본인 생각하고싶은데로 생각할꺼면 유튜브에 댓글은 왜쓰고 대화는 왜합니까...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1 ай бұрын
ㄹㅇ
@user-tz8yq4wv5g
@user-tz8yq4wv5g 3 ай бұрын
우리 사회가 비교가치를 굉장히 높게두는 사회가 맞긴함 남들 다하는데 나만못하나? 남들 저만큼사는데 나는 뭐하지? 우리애가 더 잘나야되고 우리집이 더 커야되고 외제차 타야 잘사는것같고 내남편이 더 잘나야되고 내와이프가 더 이뻐야 하는.... 그게 아니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그런사회 이쁜여자 잘난남자가 높은 가치이고 아닌사람들은 사실 결혼조차 힘든현실 끊임없이 비교하고 탐욕적이며 질투와 시기 분노와 혐오로 점철된 사회가 대한민국이다
@user-mb6hn9ps1j
@user-mb6hn9ps1j 3 ай бұрын
이거 ㄹㅇ임
@MelodySorrow
@MelodySorrow 2 ай бұрын
그거 이전에 애 낳으면 내 삶의 질이 수직 낙하하니까 안낳는거임. 현재 생활 수준을 유지하는 수준만 되도 저렇게 처참하게 출산율이 떨어지지 않음.
@user-tz8yq4wv5g
@user-tz8yq4wv5g 2 ай бұрын
@@MelodySorrow 그것도 맞는말인듯 근대 낳아본사람들말 들어보면 애기 커가는게 그렇게 좋다고 그러더라구요 근대 왜 안낳냐 키우기 힘드니까 예전보다 살만한데 왜 힘드냐 그 문제로 돌아가면 결국 높은 가치추구라고 생각함
@MelodySorrow
@MelodySorrow 2 ай бұрын
@@user-tz8yq4wv5g 애 커가는게 좋다는 사람들은 애들이 한창 귀여울때 키우니까 그런말 하는거고 나이 30먹은 자식들이 독립도 안하고 결혼도 안하고 부모 등골 빨아먹고 있어보셈. 그 소리가 나오나. 님이 말하는 높은 가치의 추구는 현재 삶의 질의 유지 수준임. 우리가 현재 생각하는 평범한 삶은 생각보다 매우 수준이 높음. 부부가 먹고 사는데 문제 없고 애 키우는데 문제없고 정도인데 애 키우면 강제 외벌이로 전략할 집이 많은데다 맞벌이 한다해도 양육하기 좋은 환경도 아니고 애 봐줄 사람 없으면 복귀 가능해도 외벌이가 될 수 밖에 없음. 나는 외국 사는데 외국은 오히여 맞벌이 집이 출산율이 높음. 그런데 여기도 출산율 낮아서 고민임.
@user-tz8yq4wv5g
@user-tz8yq4wv5g 2 ай бұрын
​@@MelodySorrow 둘이살때보다 아이가 생기면 경제적으로 어려워지는건 어느나라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한국만 출산율이 유독 낮은이유 oecd 자살율 1위인 이유 비슷한 이유인것 같아요 그이유가 비교가치 상대적 박탈감 다른사람이 나를 어떻게 보는가 이게 성공의 척도가 되어서 모두를 옭가메고있는것 같아요 님말이 틀리다는건 아니고 제생각엔 그렇다는거지 제말이 다 맞는것도 아니니 공격으로 받아드리지 않으면 좋겠네요😅
@user-bs7xo9sk9j
@user-bs7xo9sk9j 4 ай бұрын
인구 줄어드는게 맞지... 일자리가 줄어드는데 인구는 그대로면 뭐함
@hansonga
@hansonga 11 ай бұрын
내가 안 먹고 안 입고해서 낳아서 기를수는 있으나 그 아이가 태어나 자라고 살아갈 현실이 너무 무섭고 암흑이라 내가 출산전이라면 고민할 것 같아요.
@user-je3wq1tr9k
@user-je3wq1tr9k 11 ай бұрын
핑계 오지네...태어나지도 않은 아이 걱정까지...그냥 지금이 편하고 아이낳으면 귀찮으니까 그러는거지...30~50년후 지금의 20~30대가 피해볼것이니 알아서들 하셔~
@kolor9648
@kolor9648 11 ай бұрын
​​@@user-je3wq1tr9kㅋ 대한민국 절반이 노후파산 예정인데 뭔 개소리를 하는지 댁이나 신경쓰쇼 어떻게 바뀌나 지금 집 산 사람들 집 갚느라 60대 될텐데 그때면 노후파산이지 지금 젊은 사람들이 애 낳으려면 내가볼땐 웨딩비용 없애고, 원룸 수준에 살아야 하고, 사교육 안해야 노후 준비 가능 할 것 같은데? 참고로 2~300따리 월급은 저렇게 해야 살아 남을 것 같음
@veritas9641
@veritas9641 11 ай бұрын
​@@user-je3wq1tr9k 🫢
@user-kk6gd2wj6g
@user-kk6gd2wj6g 11 ай бұрын
@@user-je3wq1tr9k 얼마나 더 살아야 비존재가 존재보다 낫다는 것을 깨닫겠습니까?
@user-zb7io6mn2h
@user-zb7io6mn2h 11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minercozy5401
@minercozy5401 10 ай бұрын
에고고.. 댓글로 의견 다시는 분들 글 읽어봐도 다들 똑똑하고 착합니다..(대댓글로 지적질 하시는 분들 제외) 지친 삶에 토닥여주고, 힘이 되어줘야 하는데 이전 세대들 보다 훨씬 양심적이고 생각도 깊어서 아이를 가지는 순간 많은 것들을 생각하고 고민하실것 같네요.. 시간을 가지고 올바른 마음가짐 엇나가지만 않았으면 하네요.
@heeseoklee4737
@heeseoklee4737 8 ай бұрын
결론이 이게 뭔가요?ㅠㅠ 충분히 좋은 부모가 될 수 있으니 두려워하지 말고 낳으면 된다라니..ㅠㅠ
@Kate-tk7ko
@Kate-tk7ko 9 ай бұрын
고생하는것이 싫다는 생각과 애기를 어려운환경에서 키운는것을 두려워하는 마음가짐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있는그대로에 만족하기바라며 더무욕심을 내지 말자.
@SeoulVibe7
@SeoulVibe7 11 ай бұрын
31세 갓결혼한 여자인데요 ㅋㅋㅋ 시엄마 친정엄마가 경제적서포트해주던가, 아님 1명이 800~1000만원정도 벌던가,, 아님 2명이 맞벌이로 800만원이상 소득 벌면서, 연차를 쪼깨서 (애 아플때, 애 방학기간때 무조건 다 씀 ㅋㅋ) 아니면 진짜 평범케이스 맞벌이 내친구들이 ㅋㅋㅋ나한테 겁을줌 똥꼬까지 칼로 몸을 째서 애를 낳았는데 그거보다 더 무서운게 언제든지 애아프면, 애방학기간때 휴가 낼수있는 근로환경이안됨. 애 어린이집 5시반에끝남 내퇴근은 집에오면 7시임 ㅋㅋㅋㅋㅋㅋㅋ어쩔건데 애를 어떻게 낳으란건데요 ㅋㅋㅋㅋㅋ 남편이나 내가 한명 하드캐리 천만원벌던가 아님 한명 저렇게 개발자처럼 프리랜서 사업하던가 ?ㅋㅋㅋㅋ애아플때, 애방학기간, 애하원시간 이거나 해결해요 좀!!!!!!!!!!! 아 참고로 애가 뱃속에서 엄마한테 물려받은 면역이 바닥나면서 시도때도아픔 잔병치레 난진짜 ㅋㅋ 하원시간 5시간반에 충격먹음 ㅋㅋㅋㅋㅋㅋㅋ
@user-xq3ry3qs5n
@user-xq3ry3qs5n 10 ай бұрын
제가 유치원 교사인데 보통 유치원은 7시까지 아이를 맡길수 있는데가 많은데요.. 대신 진짜 신기한게 애들 대부분이 5시반에 다 가요.. 서민 동네라 90프로 이상 맞벌이인데 도대체 부모님들은 애들 어찌 데려가고 키우는지.. ㅜㅠ 저는 맨날 10시에 마치는데.. ㅜㅜ 저렇게 데려갈수 없는데 말이죠.. 다들 직업이 좋으신건지 칼퇴하는.. 그래도 말이안되요 6:30에가면 아이가 혼자 남아있거든요 6시 넘으면 270명중 3정도 밖에 안남아요
@SeoulVibe7
@SeoulVibe7 10 ай бұрын
@@user-xq3ry3qs5n 맞아요 친구가 맞벌이에 퇴근해서 데려가면7시인데 맨날 자기애만 덩그러니 혼자 기다리고 있다고 어떻게 다 그렇게 일찍 데려가는지 모르겠다는데 누군가의 희생이있겠죠 엄마던가 아빠던가 ㅠ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10 ай бұрын
똥꼬 ㅡㅡ
@gusdk39
@gusdk39 9 ай бұрын
다 양가 부모님이 데려가더라고요 요새 엄마아빠만 애 키우는 집 잘 없어요ㅠㅠ
@cheholim
@cheholim 11 ай бұрын
돈이 문제가 아님, 나만 해도 태어나기 전으로 돌아갈 수 있으면 진짜 없던 상태로 돌아가고싶은데, 부모에게 차마 할 수 없는 일이니 조용히 살아갈 뿐... 나를 왜 세상에 내놓았나...라는 원망을 또 재생산 한다?
@user-el2sj8cn8i
@user-el2sj8cn8i 7 ай бұрын
이와중에 새봄이 너무 이쁘고 귀엽당 ~ 아프지말고 무럭무럭자라렴~~!
@beraerkkk
@beraerkkk 7 ай бұрын
뭐 가장 큰 문제는 집이겠지만 과거에 사교육에 몸 담가본 입장에서 댓글 적어볼까 함 한쪽이 육아에 집념할 수 있는 상황에서라도(사실 이런집 거의 없지만) 대학 보내고 싶으면 중딩 고딩땐 사교육이 필요함 초딩땐 선행식 사교육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으니 지양하고 대신 독서 토론 학원(1주일에 책 하나 읽고서 모여서 이야기하는 식)이나 실험위주의 과학 수학학원(흥미 위주고 선행이 아닌)을 보내는게 올바름 물론 초딩 때 저런 것들은 부모가 시간 내서 부모가 같이 하는게 베스트임 실험은 장비가 필요하니 못해도 독서토론 정도는 같이 할 수 있으니까 요는 초딩때 필요한건 시간, 중고딩때 필요한건 돈인거고 초딩 때 교육은(사교육이건 가정교육이건) 애가 똑똑해지기 위한 교육, 중고딩 땐 입시를 위한 교육이라 보면됨 글고 초딩 고학년때부터 공부얘기만 하는 부모들도 있다던데 제발 사랑한다는 이야기도 하고 공부 말고 취미도 공유해보고 그러세요 그게 다 중고딩 입시때 멘탈로 이어지는건데 부모들이 애들을 쿠크다스 멘탈로 만들때가 너무 많아 알다시피 이상적인걸 이야기한거고 대부분은 이걸 다 해낼 수는 없음 다만 헤메는 시간만 줄이더라도 많은 학부모님들 부담이 줄어들거임 옛날에 과외할 시절 초딩때부터 입시교육 선행교육 시키다가 애들 망쳐버리고 가족관계도 망친 학부모 많이 봤다... 공정성에 미치는 한국인 특성상 초딩때면 몰라도 중고딩들 시험은 객관식 시험으로 유지될 수밖에 없을거고 그렇다면 학원은 반필수인게 맞음 시험성적 = 본인의 실력 + 시험 테크닉 이라 보면되는데 학문에 대한 실력을 어떻게 본인이 독학으로 한다고 가정해도 테크닉은 학원다닌 학생과 아닌 학생 차이가 큼 그래서 적어도 고딩 땐 학원 다녀야 한다는거임 음...솔직히 나도 아직 애 안 낳은 입장에서 뭔 말을 하나 싶은데 그래도 낳은 사람들 입장에서 부담 조금이라도 덜으라고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싶어서 댓글 적음 나도 결혼도 자식 낳는 것도 선택의 영역이며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입장이지만 낳았다는 부모한테 저지능자라느니 불행만 남을거라느니 저주를 퍼붓는 인터넷 망령들 댓글들 보면 ㅈㄴ 한심할 따름임 응원합니다 힘내십쇼 부담 조금이라도 더시고
@user-uh1wm9ft9i
@user-uh1wm9ft9i 10 ай бұрын
1. 여성들이 돈을 벌고, 똑똑해졌다. 애 낳고 몸 망가지고, 1~2년은 모유수유와 육아, 직장에서도 밀리고, 여성이 희생할 부분이 너무 많다. 옛날처럼 남편 없다고 생활비 없는 게 아니다. 2. 청년 실업, 불안정 고용, 저임금. 본인도 어렵게 취업한 현실. 쥐꼬리 월급으로 결혼비용 마련도 어렵고, 결혼한다해도 애까지 키우기 어려움. 고민없이 애 낳아서 무책임한 것보다 안 낳는 게 나을지도 ...
@user-dove77
@user-dove77 6 ай бұрын
똑똑한게 아니라 이기적인거 ㄴㄴ 지들이 똑똑한줄 착각함 ㅋㅋ
@user-ku3df3fl3d
@user-ku3df3fl3d 5 ай бұрын
절대로 결혼 금지 애도 낳지 말고 사세요
@mnhd6313
@mnhd6313 3 ай бұрын
@@user-dove77이기적인건 그쪽같은 사람한테 쓰는말인데?
@user-kg9ow1sp6q
@user-kg9ow1sp6q 3 ай бұрын
​@@user-dove77이기적인건 너잖아 ㅆ발섹갸 태어나고싶어태어난앤 하나도없다 그만큼신중하고 낳았으면 끝까지최선다해야지
@user-rm8pn8ft9s
@user-rm8pn8ft9s Ай бұрын
애 낳는다고 무슨 몸이 망가져 그거 다 지 망상이고 피해의식이지.. 노산 아닌 이상 젊을때 출산하는건 오히려 건강에 더 좋다 노처녀로 살아도 30후반 넘으면 살 뒤룩뒤룩 찌고 배나온다 출산이 문제가 아니다
@nofx1718
@nofx1718 7 ай бұрын
저도 결혼/출산이 불필요하다 생각했고 한편으론 두려웠던 사람인데요. 좋은 사람 만나 결혼하고 아이도 키우고 있습니다. 좀 빡세긴 한데 그래도 1명은 어찌어찌 됩니다. 학교 가면 혼자 알아서 하기도 하고요. 문제는 요즘 워낙 생활수준에 대한 기본적 눈높이(예컨대 서울 자가 보유같은..)가 워낙 높고 타인과의 비교가 실시간으로 가능한 세계라 이 부분을 어떻게 극복 혹은 해결할지가 관건이겠죠. 남 신경안쓰고 자기 생활수준에 맞춰 살면 되지만... 말이 쉽지 쉽지않겠죠. 특히 부모님 도움 전혀 없이는 정말 순수하게 홀로서기가 쉽지않아요. 아무튼 청년분들 화이팅입니다 ㅜ
@BK-xy7bf
@BK-xy7bf 3 ай бұрын
좋은 사람은 5000만명에 1명.
@user-ow6jj8pi7w
@user-ow6jj8pi7w Ай бұрын
아이를 낳는것은 이기적인 행위다 키울 능력 없으면 절대 낳지마라 80%는 키울 능력 없다고 본다 나중에 자녀가 부모 원망한다
@user-vt6yq8ci6g
@user-vt6yq8ci6g 11 ай бұрын
결혼 하기싫은게 아니라 험한 세상에 가족과 자신을 지킬 자신이 없는거지 ㅠ
@minsaria1035
@minsaria1035 11 ай бұрын
지킬 자신이 없는게 아니라 지킬 수 없어 애초에 ㅋㅋㅋㅋ 애 싸지르면 그 애는 나중에 말기암에 걸려 죽음이라는 끔찍한 고통을 선물받는데 그걸 어떻게 지킴 ㅋㅋㅋ 최소한 지금같은 미개한 과도기 시대를 지나 역노화 AGI 는 나오고 싸지르던말던 해야할것을.
@marleykim2223
@marleykim2223 9 ай бұрын
진심으로 아이들에게 결혼 자체를 하지않아도 된다고 말해줘야한다 만약. 결혼했다면 절대 아이를 함부로 가지면 안된다고 말해줘야한다 그게 정확한 현실이다
@marleykim2223
@marleykim2223 5 ай бұрын
@@Huijhfrddbn 나라걱정이, 아이보다 우선인 인간이 보이네. 한심.ㅉㅉㅉ
@marleykim2223
@marleykim2223 5 ай бұрын
@@Huijhfrddbn 뭔 개.소리를 이렇게나 정성스럽게 하나? 여기저기 시비거는 인생인가본데, 이제 그만 딴 데 가봐. 니 개.소리는 다 읽지도 않아.
@user-wv4cz8sl2v
@user-wv4cz8sl2v 6 ай бұрын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는것과 이미 태어난 생명을 사람답게 살수있게하는것 둘다 중요한것이라면 나는 후자의 관점에서 사회에 기여하는게 더 나에게 맞는 길이라 생각하고 그래서 입양이나 결연후원같은 쪽 생각하는 중. 태어나있는 생명도 제대로 케어를 못하는데 계속해서 무조건 새로운 인간을 만들어내라는게 나에게 설득력이 없다 낳으라고만하지말고 태어난 애한테 최소한의 보호는 보장되겠다싶은 환경이 먼저지. 진짜 인간노동력이 필요해서 낳으라고 하는거면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하고 지원해야한다 기성세대가 생각하는 "정상적인"가족형태와 출생율을 동시에 높이는건 더이상 불가능함
@user-jd9dp7nn4b
@user-jd9dp7nn4b 5 күн бұрын
저출산을 문제라고 생각하지 말고 이미 태어난 사람들 먼저 잘 살게 하면 되고, 더 먼저 태어난 사람은 자기 자식한테만 돈 물려줄 생각, 부동산 투자할 생각하지 말고(부의 세습으로 인한 사회구조 고착화) 차라리 그 돈으로 사업을 해서 일자리라도 만들어라
@simonlee8154
@simonlee8154 11 ай бұрын
사회가 욕심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bluewater3216
@bluewater3216 11 ай бұрын
사회가 아니라 사람 개개인들이 욕심이 많은거지
@user-kk6gd2wj6g
@user-kk6gd2wj6g 11 ай бұрын
@@bluewater3216 그 사람 개개인은 다시 사최를 구성하고요.
@sunaekim6339
@sunaekim6339 11 ай бұрын
​@@bluewater3216 사회의 욕심이죠. 세금을 내야 할 다음세대가 필요한거니
@JWBANS
@JWBANS 11 ай бұрын
누군가 말한다. 아이들을 보면 힘이난다, 세상에서 가장 큰 행복이다. 등등 그러나 애를 낳고 난 후의 판단은 절대 애를 갖기 전의 합리적인 판단을 이길 수 없다.
@user-ug9ys2sn8f
@user-ug9ys2sn8f 10 ай бұрын
뭔소린가?
@user-je7bh6zr7q
@user-je7bh6zr7q 10 ай бұрын
​@@user-ug9ys2sn8f하타치 이해력
@user-iq8up6cf4w
@user-iq8up6cf4w 10 ай бұрын
​@@user-ug9ys2sn8f그만큼 애키우기 힘들다는뜻
@user-gv5cn3yr9t
@user-gv5cn3yr9t 10 ай бұрын
@@user-ug9ys2sn8f 애를 낳고 난 후의 판단이 콩깍지가 씐 상태라는 겁니다.
@AquAAriAlive
@AquAAriAlive 10 ай бұрын
@@user-ug9ys2sn8f 부모님이 널 어떻게 키우셨나 생각해보길 바람.
청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
27:13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
Which one of them is cooler?😎 @potapova_blog
00:45
Filaretiki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2022 필즈상 수상 기념강연 및 해설강연] 필즈상 수상 기념강연_허준이 교수
41:52
고등과학원 수학부 | School of Mathematics, KIAS
Рет қаралды 10 М.
Пробую самое сладкое вещество во Вселенной
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