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습관적으로 했던 말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전국 100명의 아이들에게 진행한 속마음 인터뷰│부모는 몰랐던 아이의 입장│아동인권│다큐프라임│

  Рет қаралды 253,673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7 ай бұрын

※ 이 영상은 2022년 5월 17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아동인권 4부 역발상 프로젝트 잔소리란 무엇인가>의 일부입니다
"말대꾸가 아니라 의견이에요. 제 말 좀 들어주세요." 라고 말하는 아이들. 아이들은 입이 없고 어른들은 귀가 없다. 존중이 없는 대화를 경험한 아이들이 존중하는 어른으로 자랄 수 있을까?
‘말대꾸’라는 단어는 어떤 대상에게 사용되는가. 말대꾸란 결국 어른(부모)과 아이(자녀) 사이에 관계의 불평등을 보여주는 단어다. 어른과 아이의 관계가 되는 순간, 상호존중보다는 상하관계, 수직관계가 되고 만다. 그래서 아이의 말을 존중해서 듣기보다는 금지시킨다. ‘너 잘 되라’고 하는 부모의 잔소리는 때로 아이들에게 치명적인 말 상처가 된다. 부모의 잔소리가 말상처가 되는 순간, 아동의 의견이 말대꾸가 되는 순간, 아이들은 말문을 닫는다.
이 다큐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전국의 100명의 아동들에게서 들은 속마음 인터뷰를 바탕으로 부모와 자녀 간 존중의 시작점을 찾아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아동을 어리고 미숙한 존재로 보는 우리사회의 인식을 확장하고, ‘존중받는 경험을 한 아동은 존중하는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코자 한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아동인권 4부 역발상 프로젝트 잔소리란 무엇인가
✔ 방송 일자 : 2022.05.17
#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가족 #부모 #아이 #교육 #대화 #대화법 #인생 #드라마 #다큐멘터리

Пікірлер: 567
@bobchapssalLee
@bobchapssalLee 7 ай бұрын
와.. 첫 번째 인터뷰한 친구.. 형으로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 게 아닌데 라는 말은 철학적이고 반박이라는 단어 선택과 차분함까지.. 문장 구사력이 엄청나네요
@flowpark8739
@flowpark8739 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저도 어렸을적부터 독립하기까지 늘 장녀니까 여자니까 그래도 이 아이는 그럼에도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스스로 건강한 사관을 갖고 있네요.
@KMoon-zu9vd
@KMoon-zu9vd 6 күн бұрын
잔소리 엄청나게 많이 듣고 자랐어요. 밖에서 어렴풋이 보면 번듯하게 잘 살고있는 것 같지만, 내면적으로 언제나 부족하고 더 해야될 것 같아 스스로를 갉아 먹게 되요. 아이에게 하는 그 말들이 아이의 뇌신경에 남아 평생의 무의식이 됩니다.
@orriguii
@orriguii 7 ай бұрын
질 나쁜 잔소리 1순위: 집 나가라, 호적에서 판다와 같이 경제적으로 의존적일 수 밖에 없는 애들의 안정, 생존, 가족에 대한 소속감을 위협하는 말들. 너 키우는데 돈이 얼마나 드는데(학원비 등), 앞으로 뭐 될래? 와 같이 내가 잘 하지 못하면 언제든지 버려질 수 있겠구나라는 느낌을 주는 말도 간접적으로 여기에 포함. 2순위: 솔직하게 말하면 용서해줄게 같은 지키지도 않을 말로 부모자식 간의 신뢰를 깨뜨리는 것. 이런 건 한번만 당해도 영구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관계의 손실이 일정량 생겨남. 3순위: 크면 다 안다, 어디서 말대꾸야, 형제자매니까 봐줘라/대들지 마라와 같이 권위와 나이로 합리와 논리를 짓누르는 말. 당장 권위를 내세우려고 하는 말들이지만 효과는 딱 그 순간 뿐, 이런 말들은 하면 할 수록 권위가 떨어져 감.
@user-oj4sd6mo8o
@user-oj4sd6mo8o 20 күн бұрын
😊ㅃ😊ㅂ😊😊😊ㅃㅃㅃ😊ㅃㅃㅂㅃㅂㅃㅃㅃ😊ㅂㅂㅂㅂㅃ
@user-tx9lt7ln6t
@user-tx9lt7ln6t 2 күн бұрын
이거 타인이 하는말!
@user-gx4vs7ng6e
@user-gx4vs7ng6e 16 сағат бұрын
🔺📗
@user-hg1jq1sf8s
@user-hg1jq1sf8s 5 күн бұрын
애들 너무 귀엽고 부모님과 사이 정말 좋아보이네요. 여기에 나오는 사람들은 지극히 정상임.
@Fchekkk
@Fchekkk 7 ай бұрын
부모자격고사는 정말 아이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 이해를 위해서 필요합니다.. 자녀가 자신의 말을 안듣는다랍시고 심한 말 한다는건 솔직히 부모 자격은 물론 어른답지 않은 비인간적인 모습으로 변한다라고 보입니다.
@csh9507
@csh9507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발전하려면 꼭 자녀뿐 아니라 모든 각개 개인이 자신의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남의 평가와 잣대와 시선에 맞추는 삶이 아니라 말이죠. 영상에 나타난 문제도 결국 우리 부모가 자식의 인식을 우리 뜻대로 맞추려는 것 아니겠습니까. 아이들 스스로가 아니라 말이죠. 공부만 해서 인생과 세상을 다 알 수 있는 것도 아니지만, 경험이 없다고해서 인생과 세상을 모르는 것도 아닙니다. 더이상 부모의 지식을 전수받아야 살 수 있는 농사짓는 시절이 아닙니다. 그러니 아이들이 아직 뭘 모른다고만 생각하지 맙시다. 아이들이 미숙하다고만 생각하지 맙시다. 부모 욕심이 부모 마음이라는 것은 변명입니다. 욕심과 이기심은 고통을 낳습니다. 어른이라면 이를 알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부모 욕심을 채우려고 아이를 키운다면 아이 입장에서는 왜 낳았냐는 의문이 절로 들 수밖에 없지요.
@comet-076
@comet-076 7 ай бұрын
맞는말이죠 부모의지식 요즘에 솔직히 ai sns 네이버백과만 쳐도 다나옵니다. 유럽이나 외국처럼 개인을 인정해야죠
@user-sh5dp2zf3r
@user-sh5dp2zf3r 7 ай бұрын
부모의 욕심 채우려는게 진짜 공감
@Whhad
@Whhad 7 күн бұрын
부모조차도 부모의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못한 가정이 많죠
@happyhappy0910
@happyhappy0910 7 ай бұрын
그래도 여기 출연하신 부모님들은 나은편이다 눈에서 이미 사랑이 느껴짐
@MM-hb6bt
@MM-hb6bt 7 ай бұрын
”엄마(아빠) 말 들어서 손해보는 거 없다“에서 자식이 내 인생의 반 이상의 손해를 이 말듣고 봤다라는 말..시대가 워낙 빠르게 변해서 이제 어른들의 지식이나 삶의 노하우는 쓸모없는 경우가 80% 이상인 거 같음. 이젠 더이상 자신들의 이 시대의 주인공이 아닌 걸 인정해야되는데 그게 안되니까 자식한테도 자꾸 자기식을 강요하는거..
@jay12804
@jay12804 7 ай бұрын
80프로 이상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이르지않나..
@user-ru5bh3pt7r
@user-ru5bh3pt7r Күн бұрын
저도 자식키우는 부모로서 공감하네요~~ㅋ
@keehuz7599
@keehuz7599 7 ай бұрын
부모가 자식에게 어떤 말을 해도 되고 하면 안되는지 구분이 안된다면, 전혀 관계없는 제3자에게 그 말을 던져도 되는지 안되는지를 생각해보면 답이 나온다. 자식이 말대꾸를 할 때 듣기 싫다고 소리를 지르면 자식도 커서 부모가 말대꾸를 할 때 소리를 지르게 된다. 말대꾸란 한 사람이 건넨 말에 함께 있는 사람이 대꾸하는 것이다. ^^ 인생은 뿌린대로 거두는 법이다.
@user-mr9jn6gr1j
@user-mr9jn6gr1j 7 ай бұрын
상담을 해보면 대부분의 부모님들이 소통이 아니라 그냥 일방적인 전달을 합니다. 소통은 서로의 공유지만 전달은 그냥 한쪽이 한 방향으로 쏴대는 겁니다. 잔소리일까?라고 생각이 나면 우선 말을 멈추는게 좋습니다.그리고 진심으로 고민을 해보세요. 자식을 지배하려고 하면 결국 그 아이는 굽혀지고 고통 받습니다.
@user-uk3ov3eh9f
@user-uk3ov3eh9f 7 ай бұрын
아이들을 응원하는 말을 더 해주자고 다짐합니다. 내 앞가림 하기도 힘든데 자식들 사람 만들어야 하는 부모님들도 응원합니다.
@user-nalnaebearyeodueo
@user-nalnaebearyeodueo 7 ай бұрын
아이들 인터뷰하는거 보면 벌써 어른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사회생활을 집안에서 먼저 시작하는 느낌도 있네요 지금 임신중인데 나도 나중에 저런 부모가 될까? 라고 생각하면서 봤어요. 저희 시어머니는 저희 남편한테 아직도 어린애한테 말하듯 고자세에서 얘기하셔요.. 남편도 마치 아이처럼 엄마에 대해 맘을 아예닫았어요. 경험있는 어른이다 뭐다 하지만.. 그 경험 지금 쌓고 있는 중인거잖아요.. 아빠말대로만 엄마말대로만 하면 그냥 아바타 키우는건데 인류 발전이 있을까요? 부디 제가 지금의 생각을 기억하고 태어날 제 딸한테 잔소리 안했음 좋겠네요 ㅋㅋ
@user-of8yw
@user-of8yw 7 ай бұрын
하게 될 겁니다 잔소리..
@user-nalnaebearyeodueo
@user-nalnaebearyeodueo 7 ай бұрын
@@user-of8yw 크윽..ㅎ
@hyeseons7929
@hyeseons7929 4 күн бұрын
저도 임신하기 전부터 이런저런 자료 찾아보곤 했어요. 도움 많이 되는 것 같아요. 안 할 수는 없지만…ㅎㅎ 100번 할 거 80번으로는 줄여주는 것 같아…요?! 자신있게 말은 못 하겠네요 ㅋㅋㅋㅋㅋ
@mlmk82
@mlmk82 7 ай бұрын
눈물이 나네요.. 20대가 되어도 여전히 부모님과 '대화'가 안 되는 것 같아 속상해요. 이런 영상은 늘 부모님이 아닌 제가 보고 속상해하고 있네요. 저 혼자 힘으로 한 사람을 바꿀수 없다는 걸 알고 그러고 싶은 마음도 이젠 없어요 그냥 모든 말을 흘려듣기로 마음먹고 상처받지 않기를, 과거의 상처에 무던하기를 되내이며 하루빨리 독립해야지 하는 생각 뿐입니다. 저는 독립할 수 있는 나이가 되기까지 정말 힘들었고 참고 참는 나날이었어요. 그래서 지금 자라고 있는 모든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부모님 대신 스스로를 응원하고 믿는 힘을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싶어요. 제가 먼저 응원합니다 당신을, 그리고 저를요.
@BeALightInTheDarkSea29
@BeALightInTheDarkSea29 7 ай бұрын
결혼하는건 당사자들끼리 합의를 한 결과지만 부모가 되는 건 아이의 의사가 어디에도 없어요. 아이를 낳기 전에 그들이 부모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지, 책임감과 아동교육관에 대해 충분히 배우고 검증하는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음... 부모님은 아이가 처음이지만 아이는 세상 모든 게 처음입니다... (혹시나...그정도까지 노력하기 싫다 내자식 내맘대로 감정쓰레기통 가스라이팅의 대상으로 키우겠다 하면 안전한 돌멩이를 키우십시오 동물도 식물도 키우다가 버리지 말구...🥺)
@BeALightInTheDarkSea29
@BeALightInTheDarkSea29 14 күн бұрын
@@a12873 저 문제에 대한 규제를 논할거면 북한이 아니라 복지선진국이랑 비교해야죠 ㅋㅋ... 다시 읽어보시겠어요? 아이를 위한 '사회적 제도'가 필요하다고 적었는데요. 그정도 책임감 없이 아이를 편하게 양육하고싶다는 뜻으로 말씀하신 건가요?
@jj-ty4zv
@jj-ty4zv 3 күн бұрын
구구절절 공감합니다
@user-kb4rf6xh1f
@user-kb4rf6xh1f 8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이 다큐안 부모님들은 사랑이 가득하고 아이들은 부모에 대한 신뢰가 있어요. 주고받는 눈빛이 참 이쁩니다!
@hy498
@hy498 7 ай бұрын
참으로 부모는 어렵다. 본인도 제대로된 부모와 어른을 경험해 본적 없는데 자꾸 잘못했단 얘기만 듣는다. 그래서 부모가 되는 공부를 해야하는거 같다. 그냥 어물쩡 되는건 아닌거 같다.
@user-bm4es2si6e
@user-bm4es2si6e 7 ай бұрын
근데 그부모들 공부안함
@user-sh5dp2zf3r
@user-sh5dp2zf3r 7 ай бұрын
@@user-bm4es2si6e극성부모 특
@user-bu7hb4sp6h
@user-bu7hb4sp6h 5 күн бұрын
​@@user-bm4es2si6e ㄹㅇ 부모 공부는 안 하면서 애들만 뒤지게 탓함ㅋㅋㅋㅋㅋㅋ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5 күн бұрын
꼭 그런말 하는 부모들이 자식들한테 잘못했다는 얘기만 하더라구요 ㅋ 그럼 좀 잘했다고 해 주지 좀
@vanced4986
@vanced4986 Күн бұрын
공부잘하는애들보면 집에 티비가 없는 경우도 많고.. 부모조차 책을 자주 본다더군요. ​@@user-bu7hb4sp6h
@Gsh114
@Gsh114 7 ай бұрын
분위기 보니 부모들이 정신차릴것 같진 않군요ㅋㅋㅋㅋ
@user-jg8su3nj7z
@user-jg8su3nj7z 4 күн бұрын
애들 태도 보니 부모님이 많이 참으시는듯 ㅎㅎ 니 속상한게 부모속상한 것에 비할까 하는 말을 해주고 싶네요
@user-fm4he7vr6t
@user-fm4he7vr6t 4 күн бұрын
​@@user-jg8su3nj7z 와 진짜... 아이 낳으시지 마세요...
@epartial-wm1vq
@epartial-wm1vq 4 күн бұрын
​@@user-jg8su3nj7z나도 부모지만 적당히 해야죠
@hyeseons7929
@hyeseons7929 4 күн бұрын
@@user-jg8su3nj7z와…. 연세가…?? 😮😮 안타깝네요. 님이 우리나라 노년층의 표본인 것 같습니다.
@ra21119
@ra21119 7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올려주셔서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우리 사랑하는 아이들이 제각각의 고유함으로 잘 자라나기를 응원합니다 이제 우리 어른들이 먼저 변화해야함을.. 사랑하는 우리 아이들이 행복하게 잘 살아가도록
@user-bd4dt3in6j
@user-bd4dt3in6j 7 ай бұрын
졸업도 했고, 부모님 품에서 벗어났다 생각했는데도 아직 여파가 남아있는지 치료를 위해 약을 먹어도 아직도 우울감이 심해요. 최근 일주일동안 눈물이 많이 줄었는데 PTSD라도 온듯 지금 이 영상 보는 내내 눈물이 멈추질 않네요.. 수도꼭지 틀어놓은듯 흘러요 정말... 아직 상처가 아물지 않았나봐요. 마음이 여린탓이 있기도 하지만 수십년동안 외부에서 오는 지속적인 스트레스, 부정적인 언행들이 저를 지금까지도 힘들게해요.. 긴장이되고 경직이 되는 바람에 말수도 많이 줄어 하루에 한마디도 안하던 날들이 살아온 30퍼센트는 되지 싶습니다.. 근육도 경직되니 자주 아프고, 직장에서 혼났을 때에도 타인보다 타격감이 심하더라고요.. 지금은 회복하려 쉬는 중입니다. 죽지 못해 살아가고 있어요. 어머니께서 운전하시다 김창옥씨의 강연을 보고 제 생각을 많이했다며 미안하다고 사과하신적은 있지만 그래도 문득문득 상처주신 말과 상황.. 그것들을 기억하는 제 감정들을 잊고싶은데 너무나도 선명한듯 다시 재생 또 재생 또 재생하고 있네요. 부모님 탓을 하고싶진 않은데 자꾸 탓하게 되어 제가 원망스럽기도 합니다....제가 이후에 부모가 되는 상황이 오겠죠? 저는 제 부모님이 주신 상처를 제 자녀에게도 물려주고 싶지 않으려 애써봐도 잘 안될거같아요.. 이건 유전이란걸 아니까... 그래서 더더욱 비혼을 결심하게 되는 요즘입니다. 그냥 제 선에서 끝났으면 좋겠어요. 다큐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많은 어른들이 보고 깨달은 바가 있었으면 좋겠고, 제 바람으로는 부모가 자녀를 대할 때, 컨트롤 하려는 태도보다는 자녀가 성장할 때까지 인내로 보듬어줄 수 있는 문화가 형성되면 좋겠습니다. 부모도 자녀가 처음이니까, 자녀도 부모가 처음이니까.. 잘 모르는 것들이 많으니 서로 보완해가는 과정에서 행복을 느끼는 가정이 되길 바랍니다. 다들 행복하세요 :)
@user-jj9iy4zm8w
@user-jj9iy4zm8w 7 ай бұрын
[죽지마! 너지금어디야? 내가갈께! 너 하던대로 해!] 김창옥강사가 친구에게 이런말을 듣고 우울증을 극복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하네요.
@user-jb3nz2fb3k
@user-jb3nz2fb3k 7 ай бұрын
포기하지 마시고 쌩판 모르는 타인이 아닌 본인의 행복을 더 찾으세요. 자기 자신에게 충실한 이기적인 사람이 되시길.
@andone5811
@andone5811 7 ай бұрын
부모 탓만이 아닐거라는 생각을 하면 좀 나아질거에요
@Stellalovely
@Stellalovely 23 күн бұрын
잘 지내고 계세요? 청소년기에 얼마나 많은 말들을 참고 사셨을까요? "어른인 나는 너보다 오래 살았으니 내 말이 맞고, 너는 경험이 적으니 내 말을 들어야해."라는 식으로 어른의 생각을 주입시키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문화. 그런 잘못된 인식이 언제쯤 깨질 수 있을까요. 나이 불문하고 소중하고 존중받아야 하는 인격체인 것을.. 성인이 된 글쓴이님, 아프셨던 만큼 주위의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존중해 주는 노력을 우리 모두 해주면 어떨까요? 하나, 둘 그런 어른이 늘어난다면 우리 사회는 분명 전보다 숨쉴만한 곳이 되리라 믿어요.
@ideaboy12345
@ideaboy12345 22 күн бұрын
조먼건 괜찮아지기를 바래요
@user-nk5yx3yt7g
@user-nk5yx3yt7g 7 ай бұрын
저런 말 해도 공부는 전혀 늘지 않는게 펙트 입니다. 아무 소용 없는 거죠. 대부분 부모들이 진짜 자녀보다 자기가 생각하는 자녀 모습을 진짜라고 착각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user-zl6bo8tq8k
@user-zl6bo8tq8k 7 ай бұрын
진짜 그게 답일까.? ...고민하게 되는 글이네요
@david-ji8tw
@david-ji8tw 7 ай бұрын
대부분의 부모들이 제대로 된 공부를 안해봤기에 저런 말들을 하는거. 자기가 박사 논문을 쓰고 해외 유수 기관에서 연구를 했거나 변호사 시험을 치고 활동을 했거나 등등 제대로 공부해본적 없는 부모가 할 수 있는말. 자식한테 공부 시키고 싶으면 자기부터 공부에 관심이 있으면 됨. 5살 애기 본적 있나? 부모가 쓰는 말 그대로 쓰는거 아는지? 식단 부나 모 둘중에 한명 그대로 닮고 평생간다 거의. 부모가 비만이면 자식이 비만일 확률이 크고 부모가 소식가면 자식이 소식할 확률이 크다. 부모 성격 둘중 한명 고대로 뺴닮는다. 반두라의 모방효과라고 과학적으로 자식이 부모를 배끼는거 비슷한 논문만해도 100개 넘을거다. 자 그럼 당신은 뭘 공부하고 있는데? 어느 분야에 호기심이 있는데? 최근에 읽은 책은 뭔데?? 그리고 다시 가슴에 손을얹고 자식에게 공부하라고 해봐라. 지는 안하면서 ㅋ 지는 하기싫으면서 자식한텐 해라 하는게 멍청한거 아닌가? 안철수? 부모가 의사다. 가수 이적 및 서울대 간 형들? 엄마가 여성학자이다. 유시민작가? 아버지가 밥상머리에서 역사 강의를 매번해줬다고 한다. 조승연작가? 어머니가 옛날 여성 아나운서고 책에 대한 토론이나 지식에 대한 대화가 많았다고 한다. 당신은 뭘하고 있는데 지식에 관하여 자식앞에서? 자식이 공부하길 바란다면 당신부터 1주일에 책 1권씩이나 우선읽어라 그럼 이제 다큰 40대 이상 부모들은 7살 애기들처럼 돈벌어야 되서 시간이 없어서 등등 별 같잖은 핑계를 애기처럼 중얼중얼 대겠지..
@Killer__cat
@Killer__cat 7 ай бұрын
이상과 현실을 구분못하는 부모님들
@iam-e-one
@iam-e-one 7 ай бұрын
아이들 너무 귀엽고 웃기네요. 다들 밝고 건강하게 자랐으면 좋겠어요.
@user-vf7wo3en5o
@user-vf7wo3en5o 2 күн бұрын
자기 의사를 좋은 문장으로 표현할 줄 아는 아이들만 섭외됐네요. 자기 감정을 정연하게 풀어낼 수 있다는 건 정말 축복받은 일입니다. 아마 아주 많은 아이들이 속에 자기 표현을 담아 두겠죠. 어른들이 들어주지 않으면 아이들은 입을 열지 않을 겁니다.
@aidio.
@aidio. 7 ай бұрын
일단 부모님이 여기 나왔다는거 자체가 개선의지가 있는거라고 생각함..
@user-de4nc7qp4r
@user-de4nc7qp4r 7 ай бұрын
훈육이 아닌 잔소리를 넘어 매일 혼나던 나의 어린시절.. 지금은 아이를 사랑으로 키워내야 하는 시대.. 그 속에 상처많은 어린 내가 있네요. 답습하면 안 된다고 머리로는 알지만 나도 배운 바 없어서 늘 시행착오 중입니다. 늘 인격적으로 대해야지 하면서도 나도 너무 부족한 사람인지라 안 될 땐 미안함과 자괴감마저 듭니다. 오늘도 아이를 위해 나를 위해 클릭했습니다. 좋은 정서 유산을 물려주고 싶습니다.
@user-id9rr7cs2c
@user-id9rr7cs2c 7 ай бұрын
극 공감입니다 ㅜㅠ
@user-ye9xc8kt9h
@user-ye9xc8kt9h 7 ай бұрын
힘드네요 사춘기 딸 아들 키우느라 집집마다 전쟁😢 말해도 안들어요 어릴땐 육체가 힘들더니 정신이 혼미 롤러코스터 타는 기분 끝없는 터널속을 걷는 기분 그래도 사랑과 인내로 법률스님 김창욱교수 강의들으면서 마음을 다스립니다 따뜻한 정서 친구같은 부모 훈육사이 당근과 채찍 좋은부모 되는건 너무나 오랜 수행임을😅그래도 사랑하기 때문에 포기할수 없다
@user-df7pp8mw3i
@user-df7pp8mw3i 7 ай бұрын
부모가 바라는 좋은사람 훌륭한 사람되는 조건들이 너무 많아서 그런겁니다 공부도 잘해야하고 성실해야 하고 내자식이 잘하길 바라는 욕심이죠
@gaeunkim7716
@gaeunkim7716 12 күн бұрын
아이키우고 있는 입장에서 잔소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이 됐습니다. 여기 나오신 가족은 대화가 되는 가정이네요. 제가 보기에는 화목한 가정들입니다. 아예 대화 단절된 집은 노력 조차 하지 않습니다.
@1714jang
@1714jang 5 күн бұрын
ㅍㅍㅍㅎ ㅡㅗ ㅗㅠ
@user-gb5jo2rq8h
@user-gb5jo2rq8h 7 ай бұрын
늘 응원해주고 사랑받고 자란 40대로써 항상 부모님께 감사합니다. 남이 아닌 부모이기에 그 모든 말들이 더 감사하죠. 아이들에게 늘 사랑해주고 감싸주며 응원해주세요. 더 행복해질거에요.
@dandcc9192
@dandcc9192 7 ай бұрын
음, 이 아이들이 자라서 생각한 것들까지도 설문해보고 그때 영상을 또 만들어보면 어떨까 싶네요. 저도 어렸을때는 불합리다하다고 생각한 잔소리인데, 20, 30대가 되어서 되돌아보면, 당시에는 몰랐지만, "그 잔소리가 있었기에 내가 여기까지 오지 않았나" 하고 생각되는 잔소리 내지는 훈계가 많은 것 같아요.
@user-tm5tm1yi4f
@user-tm5tm1yi4f 7 ай бұрын
극성은 이런거 보려드려도 평생 공감 못하세요. 극성부모를 둔 자녀님들은 서둘러 독립하세요. 진짜 나 자신이 망가지고 밖에서 사회생활할 때도 영향이 가요. 미워하라는게 아니에요. 잠시도 아닌 긴 시간을 대화하지도 말아야해요...
@user-ik7ft6sg9j
@user-ik7ft6sg9j 7 ай бұрын
개나소나 다 싸질러서 개나 소가 인간에게 말을 걸때 인간은 개나 소를 피해다녀야함
@SPRING_DAY.
@SPRING_DAY. 7 ай бұрын
극성은 아니더라도 취직하고1~2년 정도 집에서 출퇴근 하면 보증금 몇 천은 모으니 그걸로 독립하는게 인생에 도움 되는 것 같아요. 독립해서 살아보는 것이 나중을 위해서라도 도움이 되고 가족이랑 떨어져 있어야 오히려 사이 좋은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orriguii
@orriguii 7 ай бұрын
이런 영상은 좋은 부모님들, 변화하려고 노력하는 부모님들만 보지, 개차반들은 보지도 않는다는 게 함정..
@luvleecha8029
@luvleecha8029 7 ай бұрын
그렇긴 해요.. 저도 중학교 때 심리검사지 부모님 드린 적 있는데, 우리가 너 잘못키웠다고 시위하는거냐고 되게 화내시더라구요… 흠.. 😢 지금이야 서로 여유가 생겨서 사이가 좋지만, 서로 힘들고 아플시기엔 서로 눈에 보이는게 없는것 같아요.
@user-uy2qp1lj3l
@user-uy2qp1lj3l 9 күн бұрын
혹시 독립한다고 할 때 어떤식으로 말해야 할까요.. 아빠가 의심이 많고 잘 안 믿으시는데 집안환경으로 인해 우울증,무기력증,자신감 하락을 다 겪고 있거든요 독립하고 싶은데 절 믿질 않으시니 집 나간다고 하면 저한테 일절 관심끄고 남남인 것 처럼 지낸다는 식으로 말하시더라고요 ...
@alzkalzk
@alzkalzk 7 ай бұрын
너무나도 가부장적이고 엄격한 부모 밑에서 말대답 한번 못하고 자라서, 나는 절대 아이낳으면 저렇게 안해야지 하면서 컸습니다.. 사랑을 제대로 받고 자라지 못해서 사랑을 주는게 처음엔 생각보다 어렵더라구요...남편을 만나서 결혼한 이유가 온화한 부모님 밑에서 사랑을 많이 받고자라서 였습니다. 시부모님이 자식둘을 한번도 화안내고 소리한번 안지르고 사랑으로만 키우셨어요..저는 아이를 낳고 육아를 시부모님께 배웠습니다 어떻게 이해하고 사랑하고 기다려줘야 하는지 말이죠..아이 둘을 낳고 정말 화한번 안내고 사랑으로만 키우려 노력했습니다. 초등학교 들어갈때부터 자식이아니라 베프라 생각하면서 키웠어요ㅎㅎ 잔소리 최대한 안하려 하고 의견을 말하면 친구처럼 대등하게 들어주고, 공부도 어디가서 바보소리만 안들으면 된다고 하면서 키웠네요 ㅎㅎ너무 대견하게도 둘다 공부도 잘하고 다시태어나도 엄마아빠 자식으로 태어나고 싶다고 ㅠㅠ항상 사랑한다해주는 사랑이 넘치는 아이들로 자라줘서 너무 고마워요. 제경험상 자식을 잘키우려면 첫째가 부부사이가 좋아야하고, 두번째가 자식말을 잘 들어줘야 하는거 같아요..
@user-pr1kx4ij5r
@user-pr1kx4ij5r 7 ай бұрын
👍
@pingu8952
@pingu8952 26 күн бұрын
정답❤
@pingu8952
@pingu8952 26 күн бұрын
부럽습니다 ㅠㅠ
@user-le1lk6ed1r
@user-le1lk6ed1r 20 күн бұрын
좋은 남편ㆍ시댁을 만나서 부럽습니다
@aidio.
@aidio. 7 ай бұрын
’그럴꺼면 집 나가‘ ‘나가서 니 멋대로 살아’ ‘말대꾸 하지마’ ‘말꼬리 잡지마’ ‘나랑 협상하려고 하지마’ 등등.. 아직도 가슴에 남은말 이런 말 들을때마다 자존감이 낮아지고 내가 왜 이렇게 살아야하지?라는 생각이 듬 내가 소중하지 않은것 같이 느껴지고.. 특히 협상하려고 하지 말라는 말은 엄마는 나를 하나의 사람으로 보고 있지 않구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너무 슬펐음..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5 күн бұрын
그게 쌓이고 쌓이면 나중에 그래 나가주마. 나가서 멋대로 살아주마. 내가 얼마나 알아서 멋대로 살아도 잘 사는지 본때를 보여주겠어. 하고 아얘 나가서 절대로 다시 부모의 품으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도 많죠.
@siruzzing
@siruzzing 7 ай бұрын
열심히 공부하며 살아야 한다는건 부모님의 말씀이 맞지요. 이 힘든세상 노력없이는 살수가 없으니까요. 하지만 그 노력과 공부는 부모님세대의 노력과 공부와는 다른게 현실입니다. 이제는 학업만으로는 살기 힘든 시대가 왔고 점점 고스펙을 요구합니다. 중산층 집안에서도 한두명의 자녀 학원비 교육비 대기도 힘든세상에 왜 다른길이 있음에도 학업만이 정답이라고 생각할까요? 엄마가 아빠가 못했던 학업 욕구 때문이라면 더더욱이 강요해선 안됩니다. 스스로 공부를 포기한 부모 밑에서 아이가 공부를 하기를 원하는게 잘못된 이치입니다. 부모 스스로 공부 하세요. 아이는 그모습을 보며 스스로 공부하고 세상을 헤처나갈 지혜를 배우게 될것입니다. 초등학생때까지 어머니께 맞으며 공부 하란 소리를 들었습니다. 중학생땐 잔소리를 들어가며 공부 하란 소릴 들었죠. 중3 무렵 어머니가 그런말씀을 하시더군요. 부모가 배우지 못해서 때리며 키우고 부모가 가르치지 못해서 잔소리를 하며 키웠다고 앞으로 고등학생, 성인이 되었을때 부턴 자식이 잘되길 바라며 마음으로 키우겠다며 지금까지 믿어주시고 기다려주셨습니다. 많이 대들기도 싸우기도 했지만 항상 마음으로 품어주시며, 기다려주시는 부모님을 보며 저절로 존경심이 생기고, 30살이 된 지금 남부럽지 않게 돈을 벌며, 효도하며 살고있습니다. 부모님은 자녀 인생의 가장큰 서포트 이자, 마음의 안식처 같은 존재 입니다. 부모와 자식이 서로가 꼭두각시가 아님을 인지하고 자식은 스스로 인생을 설계하여 책임질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는것이 비로소 성인이라 할수있겠습니다. 돈으로, 관계로, 지위로 찍어 누르는 부모는 내 자식이 자본주의 사회의 노예가 되길 바라는것과 다름없습니다. 그러지 마세요. 제발 그러지 마세요.
@siruzzing
@siruzzing 7 ай бұрын
4남매중 막내로, 빚독촉과 제대로된 식사하기도 힘든 생활고를 겪으며 자라왔습니다. 누군가에는 그마저도 감사한 인생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방황도 했지만 방황끝에 내린 결론은 내 인생을 바꾸는건 본인 자신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유를 외부에서 찾아 비관하면 내리막 인생에는 끝이 없습니다..
@user-bd4dt3in6j
@user-bd4dt3in6j 7 ай бұрын
자식이 태어났을 때에는 건강과 행복만을 바래왔더라도 무의식적으로 욕심에 욕심을 더하면 더할수록 점점 불행해지는 현실이 되는것 같아 너무 안타깝습니다......
@beuplate9287
@beuplate9287 7 ай бұрын
20대 후반에 우울증과 공황으로 상담다니는데 그 원인이 부모님과의 관계에서 비롯됐다는걸 알았음. 최근까지 통화에서 컴퓨터 쓰러 pc방 간 이야기가 나오니까 너 pc방 게임 하러 다녀온거지? 솔직히 말해봐. 이 소리 듣고 공황이 와서 상담 가게됐고 내 고통을 알게됐음. 본인들은 잘되라고 잘하라고 하는 말버릇에 나는 상처받고 분노가 쌓여왔음. 정말 내 정신건강을 위해서 멀어지고 싶음.
@Tgk1995
@Tgk1995 7 ай бұрын
에고..치료 잘받으시고 이겨내세요 말뿐이지만 행복하시길..
@gooodtaste
@gooodtaste 7 ай бұрын
프랑스의 수능이라는 바칼로레아 논술에서 인상깊었던 것은 행복이나 삶에 관한 질문이 많았다는 거였어요. 잔소리 투표순위를 보니 너무나 비교되는데, 어른들의 삶에서 돈=성공=행복이어서인지 개인의 삶의 질이나 행복보다 성공하기 위한 공부에 치중하고, 이를 통제하려는 게 문제라고 생각이 드네요. 자동차가 굴러가려면 연료를 넣어줘야하는데, 그 연료가 잔소리는 아닐것 같아요. 우리 어릴때를 생각해보세요 엄마가 공부해라 하면 정말 공부하고 싶고 그걸로 성공했는지요ㅎㅎ 정말 아이를 위해 말한건지 진심으로 돌아보고 고쳐나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어른도 결국은 많은게 서툰 아이니까요. 가장 좋은건 부모가 모범을 보이는게 베스트라고 생각합니다✊
@Wiz_Field_J
@Wiz_Field_J 7 ай бұрын
울림이 있는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전국 모든 학부모님이 응시하는 문화가 생기길 바래 봅니다.
@user-te1lm1mi6f
@user-te1lm1mi6f 7 ай бұрын
근데 이런 프로그램에 같이 참여한다는 거 자체가 아예 불가능은 아니란 얘기임. 진짜 심각하게 고려해야되는 집안은 이미 단절됨ㅋㅋㅋ
@user-mh1rl4ec4r
@user-mh1rl4ec4r 8 күн бұрын
인터뷰한 아이들 이삼십년후 다시 인터뷰 했으면 좋겠네요! 그때는 저 아이들 부모가 되있을것같은데 그대로 저런말을 하고 있지 않을지! 저도 부모되기전에는 몰랐어 내가 부모가되보니 나도 어느새 저런말들을하고있더라고요!
@user-yz1mi6ml3p
@user-yz1mi6ml3p 7 ай бұрын
인간의 기본적인 심리가 듣는것(수동적)보단 말하는것(능동적)인 걸 더 좋아하는 겁니다. 아이들의 말하는 것을 잘 들어주세요. 말하는 기회를 많이 주세요. 어른들의 말이 옳다고 아이들의 말을 안 들어주고 무시하지 마세요. 그거 나중에 다 돌아옵니다. 말을 하게끔 질문하고 들어줌으로 아이들의 스트레스 해소에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어줍짢은 지식으로 아이들을 키우지 마세요. 아이들을 키울때는 진리로 키우는 겁니다. 인생멘토 임작가 유튜버 꼭 보세요. 진리는 나의 빛 아이들에게 행복을 주세요.
@minduphelper
@minduphelper 3 күн бұрын
눈물을 보이는 여학생 인터뷰를 보면서 저도 눈물이 나네요. 아이들에게 잘한다 이야기 해줘야겠어요~
@EKJ-oi9dh
@EKJ-oi9dh 7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내용입니다.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모든 것이 비롯되겠죠. 나중에 저도 좋은 부모가 되고 싶네요.
@user-xv4dl3ng8e
@user-xv4dl3ng8e 7 ай бұрын
현재 23 부모님과 연락을 서로 안하고 1달 반이 넘었습니다. 서로간의 합의하에 우린 여기까지다인 관계입니다. 어쩌다 온 경우인지 부모님들께 말씀을 드려보고싶어요...자고로 외동입니다. 1. 선택지 안되는건 안된다고 하지만, 뭐든 반대하고 말에 순응하면 어느덧 크고 내 인생에 내 축이 없다. 무엇을 기준으로 돌아가고 있던거지? 하며 원망은 부모님을 향합니다. 전 공부는 그리 잘하지 않아도, 대학도 과도 휴학 취업 전과도 싹 부모님과 미친듯이 싸웠지만 결국 따르고 취업도 바로했으나 부모님은 우리가 반대했어도 너가 하려했으면 했어야지 이상황이에요. 2. 압박 외동인 저는 말할 곳이 친구밖에 없어요. 저는 부모님의 뜻에 순응하지 않으면 조부모님으로부터 전화가 왔어요. 내 뜻을 완강히 말할 수 있고 설득하는 건 오로지 제 몫인디 그게 없다는 것이죠. 벗어나고 싶은 마음 한가득이었습니다. 숨막혀요. 내년 대학 4년 자녀를 두셨다면 4학년 1학기부터 취업 얘기없니? 이러면서 취업은 특히 압박을 하지 말아야한다 생각해요. 신중해야합니다...첫회사도...옛날처럼 사람 가르치면서 키워주는 회사 없어요. 가고싶다고 뾱 하고 들어가는 것도 아니니 어련히 할 것입니다. 3. 집안과 안맞다면 빠르게 독립시키세요. 언제까지나 자녀는 부모의 아기다 라고 하지만, 보듬어주는 것도 좋고 도와주는 것도 좋지만 부대끼고 살아가려하지 마셨으면 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휴대폰 반납 검사 뭐 저희집은 그랬고 연애같은 경우도 성인된 불과 1달 전까지 없지? 없어라. 연애이르다. 이상한거다 지금하면 이러고 결혼은 해라 해야해 너는 이런다지만 자식은 할 건 다 어련히 하고 다닙니다. 너무 많은 간섭이 어느정도여야하는데 모든 걸 관여하면 서로 피곤해요. 그러다 자주 부딫히면 집을 계속 벗어나던가 저는 주말마다 그래서 놀러다녔어요. 이미 지칠대론 지쳐서 퇴근하고 부모님과 얘기를 하고싶지만 한켠으로 대화가 안될 걸 알아서 입이 쉽게 안떨어지더라구요. 4. 약점 자녀도 사람이에요.. 저희 어머니 같은 경우는 제 약점을 쉽게 건드렸어요. 화가나면 그러니까 너가 그런일을 당하지 라던가 폐소공포증이 있는데 문을 잠구고 불을 꺼버린다던가 후자는 저도 정말 미쳐서 팔짝 뒬 경우엔 뭐 진정시키려 저러신건지 모르겠지만.. 저런말 하나로 와 내 편은 없구나. 결국 부모도 피는 섞였지만 남은 남이다 라는 걸 중학생때 알았습니다. 5. 돈 너한테 쏟은 돈이 얼만지 알아? 널 키운 돈이 얼마가 들었는지 알긴해? 넌 그돈 쉽게 벌수 있을 거 같아? 이런 말...음 솔직히 쉽게는 벌 수 없죠. 물론 자녀가 무슨 일을 하냐에 다르겠지만 눈 깜빡하고 생길 돈은 아니에요. 저는 지금도 제 인생 목표 중 하나는 저 돈을 갚는 것입니다. 다른 분들은 몰라도 제겐 조금 돈독한 비즈니스 관계, 갑을관계라고 생각하는 주의에요. 그전에 부모님이 돌아가실 수도 있지만 배가 아플 거 같을 정도고요. 전 사이가 좋지않지만 그래도 부모님은 건강하시면 좋겠지만요. 무슨 심정인지 애매모호해요. 이 목표가 정상적인지 몰라서 대학생때 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어요. 무엇을 양육하던 돈을 들이는것은 책임 중 일부다. 갚을 이유는 없다. 빌린 것도 아니고 부양하기엔 두분 다 버젓이 직장이 계시지않냐 라는 대답이 돌아왔어요. 저희집이 돈이 없어서 그런거 아니냐고 하시는 분들이 있을 수 있지만, 그건 아니라는 점만 말씀드리고 싶어요. 잘 돌아가는 집안입니다. 6. 너라서 살아간다. 너 아니면 이혼했다. 결혼생활을 왜 애가 전부인 거처럼 할까요..솔직히 살면서 의문이었어요. 제가 결혼을 안해봐서인지 모르지만, 부모님 싸우고 시댁과 사이 안좋고 뭐 이런거 보고 누구는 우시고 하는 거 애들도 상황 인지는 됩니다. 키우기...라는게 커가는 모습을 보며 뿌듯하고 행복하겠지만, 모든 걸 기대하고 반영해서 키우려하면 글쎄요. 과연 부모들의 결혼생활부터 노후까지 아이가 책임을 져야하는 걸까요. 제가 마지막 부모님께 울면서 했던 말은 둘이 꿈꿔왔던 결혼생활은 고작 이거였어? 라는 말이었습니다. 두분 다 화가나면 저를 전화번호 차단해둬요. 그리고 까먹으면 뭐 급한일 있으면 연락 못드립니다. 뭐라 오고 해명하려 하는 순간 조용. 그만. 이 두가지오고 제가 답답해서 미치기 직전에 걍 차단하셔요...ㅎㅎ 지금도 차단 되어있고 하신지도 모를거에요. 부모님간 대화도 많이 하셔야합니다. 쟤 좀 어떻게 해봐. 계속 졸라. 이런게 아닌 얘가 이걸 하고싶대. 이게 맞을까? 이런식이요. 아이가 하고자 하는 분야를 모르면 알아보고 반대를 하던 말던 그정도는 해야 수긍할 수 있습니다. 기껏 설득 준비했더니 아는 사람한테 말해봤더니 어떻다더라. 근데 주변에 분명 관련한 사람이 없는데 아무것도 모르고 나를 그냥 반대하구나. 이러면 자녀 입장에서 할 수 있는 건 독립하고 혼자하는 거에요ㅡ 그럼 독립이 급해지거든요. 시간은 사람을 기다려주지 않아요. 제때 선택을 못내리고 시간이 흐르면 평생 못할 수도 있는 거고요.
@user-hn3sz4qq5w
@user-hn3sz4qq5w 7 ай бұрын
저도 외동이고 많이 공감 되서 댓글달아봅니다. 그동안 고생 많으셨어요.
@user-tk2fv4qd3u
@user-tk2fv4qd3u 6 күн бұрын
독립하세요 경제적 정신적으로 완전한 독립
@funkgos
@funkgos 10 сағат бұрын
여기 나온 부모님들은 용기가 대단하고 마음이 열려있으신 분들이다. 자녀들과 대화하는거 보면 이미 관계가 충분히 좋아보임..
@gottkfdmldkc
@gottkfdmldkc 7 ай бұрын
다 커도 부모님은 먼저 사과하는일이 없음,,, 내가 그 말에 상처받고 세게 나가도 먼저 사과하는 일도 없고 내가 먼저 사과하더라도 그,, 사과라는걸 안하는게 진짜 상처받음,,, 상처받고 엄마한테도 이렇게 내가 이런취급받는거면 그냥 연락 다 끊고 아빠한테만 연락 받고 해야지 하다가도, 먼저 사과 했더니 하는말이 너가 너를 먼저 사랑했음좋겠다 ㅇㅈㄹ~~~~~~ 미안하단말이 그렇게 어려움??? 딸이 우는꼴 보고 소리벅벅지르면서 그래 먼저 집가세요~!! 나는 몸 상하건 말고 담배 쳐 피고 들어갈라니까~! 해도 자기가 나한테 상처줬다 생각안함,,, 난 이미 받을대로 받아서 앞에서 담배얘기도 안했는데 한것부터 상처받았다고 안느껴지나봄,,,, 왜 남의 애기들은 친절하게 잘보면서 딸은 이해못해주는지 시간이 약이라지만,,, 서로 곪을거 다 곪아도, 자식은 사과를 하지만, 왜 부모는 사과를 못하는 병이있나,, 왜 사과를 안하는지 모르겠어요,, 그냥 넘어가지말고 사과를 하라고 자식한테 제발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5 күн бұрын
어머님이 애어른이시네요 나이만 들었지 다섯살... 저도 그런 엄마가 있어서 공감이 많이 됩니다...
@johnlee7763
@johnlee7763 7 ай бұрын
이거 우리 부모님도 꼭 봐야합니다... 내가 알아서 잘하고 있는데 틈만 나면 뭐라고 하고, 내가 다른 식구들 눈치 안보고 갈 길 가겠다는데 무슨 말이 많은지,,, 무엇보다 아버지는 나에게 늘 강압적, 명령적으로 말과 행동을 취하고 이게 어릴 적부터 반복되다보니 버릇이 되어서 지금도 이럼.. 이럴거면 난 부모에게 나를 왜 낳았냐고 물어보고 싶다
@user-qo2vm4ku7w
@user-qo2vm4ku7w 7 ай бұрын
저희집만 그런게 아니었군요
@user-pc7et0us3f
@user-pc7et0us3f 7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있으니 유교문화는 아이들 정서에 좋지않은것 같습니다 부모님이 말씀하시는데, 어른이 말씀하시는데 말대꾸한다는식의 언행이라던지,, 부모가 아이보다 위에 있다는 정서로는 서로 대화할수가 없습니다 그냥 일방적인 통보 혹은 강압,구속이 될뿐입니다 대화는 캐치볼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본인말하기전에 상대의 마음을 먼저 들어주려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건 아이들뿐만 아니라 부모님도 필요합니다 부모님께서 아이들에게 공부해라, 너 또 핸드폰봤지, 숙제는 했냐라고 잔소리하시기전에 오늘하룬 어땠는지, 즐거운일이나 속상한일은 없었는지, 오늘은 뭐가 먹고싶은지 아이들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보시는건 어떨까요 자신만의 목표가 있어 공부에 관심이 있는 아이는 안시켜도 스스로합니다 그닥하기싫어하는 아이에게까지 공부만이 답이라는 잘못된 어른들의 사고방식과 교육도 바뀌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franfran_coco
@franfran_coco 7 ай бұрын
그래도 저기 나오신 부모님들을 정말 좋은 부모님들 같아요~^^
@hosu-jun
@hosu-jun 7 ай бұрын
부모부터 고쳐야 되는 것은 확실하네요
@Ansung_in
@Ansung_in 7 ай бұрын
이영애님 나레이션 너무 좋아요 이렇게 음성이라도 접하게 되어 너무 반가워요
@user-gl1kf8gq5x
@user-gl1kf8gq5x 9 күн бұрын
잘하고 있어~사랑해~수고했어~고마워~말대꾸는 그냥 아이의 말❤ 아이에게 열심히 해줘야겠어요
@user-hk5lf3gt8y
@user-hk5lf3gt8y 7 ай бұрын
자식과 부모는 거리를 두고 부모는 자식이 스스로 설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주는 정도만 하는게 맞는것 같아요
@user-if9le9ms1z
@user-if9le9ms1z 7 ай бұрын
좋은방송 감사합니다 🇨🇦
@iiiIIiiiIiIIIillii
@iiiIIiiiIiIIIillii 7 ай бұрын
그래도 저렇게 저기 나와서 인터뷰 하고 웃는거부터가 좋은집안 같아보이네요 ㅎㅎ
@user-rx9lv6gt4g
@user-rx9lv6gt4g 7 ай бұрын
잔소리 정말 안하고 싶은디 안되네유~~ 한 명 한 명 귀한 아이들, 빛나는 아이들, 모두 예쁘네요.
@hahahoho77
@hahahoho77 7 ай бұрын
이런걸 학교에서 배우고 아기를 낳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정말 가슴아프네요. 이렇게 아들에게 고통스럽게 했던게.
@user-oy1tw7so9b
@user-oy1tw7so9b 7 ай бұрын
사실 알아도 못고치는거 아닌가요?
@Youjin52508
@Youjin52508 8 күн бұрын
부모가 습관적으로 했던말들이 뭘까 그런 콘텐츠 없다 생각하고있었는데 있어서 좋네요❤❤❤❤❤
@user-lw1jx2hb9y
@user-lw1jx2hb9y 7 ай бұрын
부모님들이 집나가라고 하는게 개극혐이고 비겁한게 지가 책임져야할 아이이고 내가 없으면 혼자 못 사는걸 아니까 하는 말임. 내가 나가라하면 진짜 못 나가고 내 말에 따르겠지? 이 생각으로 하는거임 너무 역겨움...
@user-ox8wc1qg6g
@user-ox8wc1qg6g 7 ай бұрын
그래도 여기 나오는 부모님과 아이들은 부모님이 이런부분에 관심도있고 어느정도 기본적인 소통을 하니까 이렇게 나올수있는거다.
@hyunjung1318
@hyunjung1318 7 ай бұрын
누가 어느세대가 어느 사람이 틀렸다 맞다 할 수가 없네요 부모든 자식이든 다 중요한 사람입니다 부모라 해서 무조건 맞는 말하는 것도 아니고 자식이라 해서 무조건 포용해야한다는게 아닌것을 우린 다 알고 있습니다 시대적 상황적 등의 조건이 있고 우리 모두가 사랑하고 신뢰하고 응원해주는 그런 모습을 노력해야하는거 아닐까요
@david-ji8tw
@david-ji8tw 7 ай бұрын
교과서 같은 말. 모두다 이해하면 해결할수 있다. 진심이면 다 잘된다. 열심히 하면 성공한다. 축구를 잘하려면? 연습을 열심히 하면 된다 끝. 공부를 잘하려면? 집중해서 열심히 하면 된다 끝
@user-uc3sw2ih3l
@user-uc3sw2ih3l 7 ай бұрын
대게 부모의 잘못이지요, 집안의 방향성을 정하는것과 힘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죠. 아이는 부모의 거울입니다 부모도 사람이기때문에 실수도하고 완벽할순 없지만 그래도 부모니까요. 간섭을 관심으로, 부모의 욕심을 아이의 미래로 포장하지말고 한 객체로서 존중해주는 마음이 중요합니다. 존중해주지 않고 존중받기를 원하시지 않기를 바랍니다
@letmegogogo
@letmegogogo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다른 가족을 보면서 나 자신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됩니다.
@user-pb3mb3ql3h
@user-pb3mb3ql3h 7 ай бұрын
ㅠㅠ아이도 답답하겠지만 아예 무뚝뚝한 아빠를 둔 사람으로썬 챙겨주려는게 부럽네요 ...그걸 더 채워서 사랑해주던 엄마가 아니었다면 전 많이 사랑을 원하는 사람이 되었을거 같아요 완벽하지 않아서 상처받지만 또 사랑하는거 알아서 ...소중해요 아이들 표현력이 너무 좋네요😊
@sqtw2886
@sqtw2886 7 ай бұрын
여기 나온 부모와 아이들은 실제 현실 관계는 티키타카 가능한 관계 같다.
@jodiealiolio5598
@jodiealiolio5598 7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듣고 싶은 말의 나무는 왜 없을까 했는데 맨 마지막에 나오네요 내 아이가 잘 자라길 바라는 부모의 마음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지상정이지요 엄마 아빠가 나를 많이 사랑하시는구나 라는 확신이 많을수록 잔소리 말대꾸에서 대화로 진화할 것 같습니다
@istp-a4124
@istp-a4124 7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제일 악질적인 말이라고 생각되는게 "집 나가라" 인거 같아요 집 나가라는 말이 애들 입장에서는 '엄마가 나 버리나? 아빠가 나 버리나?' 라고 생각되어 질 수도 잇는거거든요 애들 입장에서는 엄청 상처가 되는 말이에요 애를 낳앗으면 키우는건 당연한 일인데 그 당연한 일 자체를 안 하겟다고 선언하는거나 다름 없죠 아직 어린 애들이라 집 나가도 갈 데도 없고 할 수 잇는 일이 없는데 기본적인 안전도 보장 못해줄거면 왜 낳으신건가 싶네요
@user-zb6zm9mx6e
@user-zb6zm9mx6e 7 ай бұрын
전 귀가 따갑게 들었어요 ㅠㅜ
@SkyDrako
@SkyDrako 7 ай бұрын
니집 아니고 내집이야! 라는 말에 한이 맺혀 결혼후에 어머니가 와서 이건 어쩌고 저건 어떻고 하시길래 냅다 '여긴 내집이야!' 일갈했더니 뭔가 느끼시는게 많으셨던것 같습니다. 그후 같이 이야기를 진지하게 하고 사과도 하셔서 화해도 했지만... 어릴때의 앙금이라는게 대수롭지 않은게 절대 아니었더라고요..
@sayhyun1012
@sayhyun1012 7 ай бұрын
전 그래서 요즘은 제 집으로 나갈 일만 생각하고 있어요 좀만 참자 좀만 더 참자
@bird7086
@bird7086 7 ай бұрын
이건 윤리에 기댈 문제가 아니라 법적, 제도적 장치로 강제력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입자에게도 집주인에 대한 대항력이라는게 있는데 하물며 자신이 선택하지 않았는데 세상 밖으로 나온 자녀에게 주거권은 생존권이에요. 일단 출생신고때부터 법적으로 그 시점에서 부모가 가진 모든 자산, 부동산의 3/1은 자녀 소유로 당연귀속되는 것을 원칙으로 못을 박아야 합니다. 그리고, 정말 그 자녀가 강제로 부모에 의해 집에서 내쫓겨 어렵게 보육시설에라도 맡겨지면 국가가 부모가 보유한 부동산의 자녀 몫은 자동 몰수해야 하고요. 사유재산존중 원칙? 자본주의 사회? 그런거 운운하지 마세요. 자녀한테까지 집에 대해서조차도 '내돈내산' 주장할 사람들은 아예 안낳는게 맞습니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왕놀이 하는거죠. 봉건영주 행세 하는거고요. 순간적 쾌락만 생각한채 인품은 전혀 안 갖춘 짐승들에게는 선의를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이건 강제장치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가정은 사적인 영역이 아닙니다.
@abc-hq2qr
@abc-hq2qr 7 ай бұрын
가장 든든하고 버팀목이 되야할 가정을 안정적이고 안전한 테두리라고 느낄 수 없게 만드는 말... 부모님이 나중에 끈끈하고 살가운 가족관계 원하면서 섭섭해하면 환장합니다
@user-wx6er1gf4n
@user-wx6er1gf4n 4 күн бұрын
저릴적 엄마는 제가 공부를 엄청 못했었어도 공부하란 소리 안하시고 빨리 자라만 하셨어요 그래서 저도 아들 둘한테 잔소리 안하게 되더라구요 공부보단 소통에 집중하는게 가족간 화목의 일등공신입니다^^
@gj9848
@gj9848 7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보면서 이미 상처받고 어른이 된 나를 치유해주는 느낌이 들어서 좋았음
@goongdeeeable
@goongdeeeable 3 күн бұрын
1. 잘되라는 방향성이 상호 동의된 부분인가? 2. 당신이 지금 생각하는 잘 되라는 방향이, 미래의 어느 시점에 왔을 때 여전히 잘 되는 방향이 맞는가? 3. 2번의 내용을 판단할 때 활용된 정보는 충분하며 정확한가? 어떻게 그렇게 반성이 하나 없이 자기가 겪었던 것을 그대로 반복하는지
@goongdeeeable
@goongdeeeable 3 күн бұрын
논리와 근거로 공방을 이어나가는 대화 방식을 전혀 할 줄 모르는 어른과, 그런 대화를 같이 할 자격이 없다는 판단을 하는 어른. 머리에 피도 안마른 것들이랑 겸상도 안한다는 식의 발상 아닌가. 어떻게 2~30년이 지났는데 발전이 하나도 없는 어른이 된 건 지.
@Andromeda-kw2mw
@Andromeda-kw2mw 7 ай бұрын
잔소리들 보고 PTSD와서 울뻔했네요😂 저희 어머니도 저러시다가 제가 어느순간 공부 놔버리니까 잔소리가 훨씬 줄었어요. 그 이후에 공부하고 싶어서 다시하는데 크게 잔소리가 없으니까 공부가 더 잘되더라고요. 일단 누가 시킨게아니라 선택권이 본인에게 있다는게 좋은거같아요. 놀다가 점수 말아먹어도 탓할사람이 없잖아요. 이렇게 놀면 안되겠구나~ 배우는거죠. 점수 잘나오면 스스로가 대견하고요. 반대로 누가시켜서하면 일단 하기 싫은 맘이 커서 잘되지도 않고요, 그대로 점수 말아먹으면 남탓, 혹은 자학하게되고, 잘 봐도 기쁨보다도 안혼나겠다라는 안도의 한숨부터 쉬게되죠.
@user-zg7pz4zy1i
@user-zg7pz4zy1i 21 күн бұрын
잔소리 하는것도 진찌 힘들거든요.ㅠ 진짜 하기 싫어요. 근데 숙제하라고 잔소리 안하면 진짜 안해요 해도 안하긴 하네요. 좋게 말해도 안하지만.. 그냥 안하네요.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5 күн бұрын
안하면 좀 어떤가요? 좀 안하면 안되나요? 숙제를 꼭 항상 백프로 해야 된다 라고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안하면 어떻게 되는지 본인이 한번 겪어 보게 하는것도 방법입니다. 안해가면 대단히 큰일이 날것 같지만 안그래요... 안해가면 자기자신도 죄책감이나 뭔가를 느끼겠죠...
@al-od4vo
@al-od4vo 4 күн бұрын
@@user-qw8dr7xv7x 말 안하면 계속 안하고 말을 해야 겨우 하고 ;;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4 күн бұрын
@@al-od4vo 애가 숙제를 해 가는게 내 숙제 같아서 그러실거에요. 애 인생은 내 인생이 아니에요. 그냥 숙제 아예 안하고 가게 놔둬 보세요. 한학기 내내 숙제를 아예 안해가면 무슨일이 생기는지 본인이 한번 경험해 보게 해 보시면 그걸 통해 배우겠죠. 니 인생 니꺼다. 너가 알아서 해라. 그러면 본인도 생각이 있으면 하겠죠.
@tmfwk31
@tmfwk31 4 күн бұрын
그러다 크게 대단한일은 안생기는구나? 생각하고 안하게 되면요? 모든 부모는 그게 걱정인거예요.​@@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4 күн бұрын
@@tmfwk31 생각보다 애들이 그렇게 막사는 애가 그렇게 많지는 않아요 ㅋ 그리고 애초에 별의별거 가지고 대화를 많이 하는게 중요합니다. 부모도 에라이 너가 하던지 말던지 난 신경 안쓴다! 그러고 내팽개치기보다는 대화를 잘 해 봐야죠. 매일같이 숙제 했어 안했어, 얼른 숙제좀 해~~ 그런식의 잔소리를 하기 보다는 좀 진지하게 숙제를 왜 해야 되는지 해야 되겠다는 생각은 있는지. 매일 잔소리를 해줬으면 좋겠는지. 그거 생각보다 엄마가 숙제할 시간이라는 말을 기다리게 만드는 패턴을 나도 모르게 만들고 있을 수가 있거든요. 아이의 생각이나 계획에 대한 이야기를 좀 들어보세요. 따지지 말고. 애는 무슨 생각인가. 애가 무슨 의견이나 본인의 일에 대한 계획을 세울줄 알고 계획에 따라 행동할줄 알아야 되는데, 계획을 세울 기회를 안주고 그냥 시간이 흘러가는대로 살다가 잔소리를 몇번 들으면 숙제를 하는 식으로 버릇이 들면 본인이 원하는 방식이 아니라도 그렇게 돼 버리죠. 계획이나 의견이 있냐. 물어보고 너 생각에는 그럼 숙제를 언제 어디서 하는게 좋겠냐. 해서 본인이 좀 스스로 계획을 세우는 습관을 들이게 해 주는것도 중요하고.. 본인이 뭐 계획이 있다고 하면 좀 내가 원하는거보다 늦게 하더라도 좀 믿어 주고. 내가 원하는 시간에 숙제를 하라고 짜증을 내기 보다는 좀 진지하게 대화를 해서 애는 도대체 숙제를 하는거에 대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좀 알아야죠. 그리고 대화를 했고 분명히 숙제를 할 의향은 있는데 너무 하기 싫어서 미루다 보니 안해가는 경우가 있다 치면 숙제를 마치고 나서 놀면 얼마나 좋은지 한번 그렇게 해 보는것도 방법이다. 얼마나 홀가분하냐. 그런식으로 시간 관리를 하는 방법도 가르쳐 줘야죠. 이런게 다 가르쳐 줘야 되는거지 저절로 되는 사람은 없습니다. 막 감정 넣어 싸우고 따지고 잔소리 하기 전에 이건 이렇게 하는거란다. 라고 친절하게 설명을 일단 백번 정도 했는지. 그리고 본인이 먼저 할일을 다 해 놓고 노는 모습을 보여줘야 되고요. 엄마가 공부하고 숙제하는 집에서 애들이 숙제 공부 잘 합니다. 그냥 막 숙제를 했냐 안했냐 언제 할거냐 왜 안하냐 지금 빨리 해라 그런식으로 애들이랑 싸우는 구도를 만들지 마시라는 얘깁니다. 본인은 다 하겠다는 계획이 있는데도 실천이 안돼서 숙제를 안한 상태로 학교에 가는 날이 점점 많아진다 그럼 그때 가서 그건 생각을 해 봐야 될 일이죠. 아직 거기에 도착을 안했는데 지금부터 그럴까봐 매일 애랑 싸우는건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됩니다. 그리고 숙제를 잘하면 엄마가 뭘 사줄게 그런식으로 자기가 해야되는 일을 하는건데 보상이 그런 외적인거가 들어오는것도 안좋습니다. 보상은 숙제를 잘 해가서 성적이 잘 나온다거나 수업시간에 이해가 더 잘 된다던가 내가 공부를 잘 하게 되는게 보상이죠. 숙제를 잘하는거 공부를 열심히 하는거 그 자체를 칭찬 해야 합니다. 자기가 할일을 했다고 엄마가 뭐 사줄게. 그런건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게 나이가 들면 들수록 더 할일이 많아지는데 그럼 그때마다 더 큰 선물을 줄것도 아니고 성인이 돼서 직장을 잘 다닌다고 회사에서 월급 이상으로 자 잘 했으니 선물! 이러는데가 없는데 버릇을 잘못 들이게 되는거죠.
@DJkim1205
@DJkim1205 7 ай бұрын
부모들이 어떻게 자녀의 잘되는 길을 100% 알고 있을까… 겁나 대단한다… 개 존경합니다… 신급능력이네요…
@luck7man
@luck7man 2 күн бұрын
좋은 부모님의 케이스를 발굴해서 보여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이렇게 무엇을 잘못하고 있는지 보여줘봤자 본인들은 그렇게 안한다고 착각하는 부모들이 훨씬 많을 겁니다.
@sayhyun1012
@sayhyun1012 7 ай бұрын
어릴때 생각나서 울면서 봤습니다.
@terrychong
@terrychong 7 ай бұрын
맨 마지막 한 문장이 찡하네요... 존중받는 아이가 존중받는 어른으로 자란다... 어른들!!! 아이들이 미래의 주인공이라면서요!!!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를 어둡게 만들지 맙시다!!! (물론 유튜브는 좀 검열이 필요하긴 하겠드라... 애들 말 하는 거 보면 ㅉㅉ)
@lifeisart2146
@lifeisart2146 7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Candyf1022
@Candyf1022 7 ай бұрын
끝까지 보기 너무 괴로운 영상이었어요ㅠㅠ 비단 학생 뿐 아니라 또래 젊은 분들도 다 공감하는 영상일 겁니다. 영상 속 부모들이라도 깨닫는 바가 있었기를..
@user-ge5yr2hg7
@user-ge5yr2hg7 7 ай бұрын
그냥 그래도 저정도면 낫베드부모라고 생각함.사람인 이상 완벽할순없음. 이혼가정 알콜중독 가정폭력 경제문제 건강문제 별의별 사연때문에 말그대로 성장자체를 할수없는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도 적지않음
@rarakids27
@rarakids27 7 ай бұрын
모든 부모들이 봐야할 영상이네요
@skfhrhalsk
@skfhrhalsk 7 ай бұрын
공부 제대로 안해 본 부모님이면 공부가 얼마나 어려운지 모르실거예요. 본인도 못하는걸 왜 아이보고 하라고하나요. 전교1등? 엄마는 몇 번 해봤어요? 그래서 부모님들은 공부를 얼마나 잘하세요? 저는 고시준비하면서 공부가 세상에서 제일 어렵다는걸 정말 몸소 체험했어요. 공부는 자기와의 싸움이예요. 정말 어려운거라구요!
@user-ik7ft6sg9j
@user-ik7ft6sg9j 7 ай бұрын
아니 시벌 지들은 대가리 빻았으면서 그 능지 그대로 물려받은 자녀들한테는 왜 공부하라하노 ㅋㅋ
@ParkJaewoo-oo6sm
@ParkJaewoo-oo6sm 7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 공부 진짜 어려운 건데, 그걸 '해야된다'며 시키고 있어요. 도대체 왜 해야 하는지 알려주지도 않고, 자기는 해본 적도 없으면서 후..
@user-oh4dl6tr4c
@user-oh4dl6tr4c 28 күн бұрын
저도 살면서 공부법을 배운적도 없기도하고 공부를 다시 시작해보니 너무 스트레슨데 진짜 아이한테는 공부해라 공부해라가 아닌 찐 공부법을 알려줘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공부는 해도해도 끝이 없네요ㅠㅠ 공부 어려워요 진짜진짜
@user-gn4bm7yf6t
@user-gn4bm7yf6t 9 күн бұрын
뜻은 알겠다만 공부 잘했던 부모일수록 공부가 제일 쉬운거라고 생각한답니다ㅠ
@user-rc9qr4vu3e
@user-rc9qr4vu3e 3 күн бұрын
설겆이할때 그릇얘기할때 애들 넘귀여워요ㅋ
@euniceyang1006
@euniceyang1006 13 күн бұрын
애들아.!! 잘 하고 있어! 화이팅!!
@user-zz6uu8mv4l
@user-zz6uu8mv4l 7 ай бұрын
어렸을때 가끔 집에서 엄마아빠는 너때 성적이 ~ 어쩌구 하는데 다행히 제가 전교권으로 부모시절보다도 성적이 너무 좋은 바람에 새겨듣지 않았습니다. 대학 와서 집나갔는데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선택이었던 것 같아요 후회하지 않고 부모님 임종도 안지킬 거니까 알아서 살다 죽으십쇼 부모님 덕분에 어른들 말이라고 다 진짜 저 잘되라는 얘기가 아니라는걸 일찍 깨달았던거 같아요. 굳이 감사한다면 이거 감사드리고 싶네요.
@shinkyunpark172
@shinkyunpark172 3 күн бұрын
엄마되기 너무 힘드네요ㅎㅎㅎㅎㅎ잔소리 안하니 왜 공부 안시켰냐던데ㅎㅎㅎㅎㅎ키워보신 분만 이 마음 알거에요ㅠㅠㅠㅠ
@oneteamonespiritonegoal2336
@oneteamonespiritonegoal2336 7 ай бұрын
학생 분들 화이팅~~~ 🍀🍀👏👍모두들 잘하고 있습 니다
@vibehi3898
@vibehi3898 7 ай бұрын
엄마가 맨날 나한테 돈 없다 돈없다해서 이젠 버스카드 충전하는것도 눈치보면서 합니다 전 엄마아빠 보면서 항상 나중에 내 자식한테는 절대로 금전적인 얘기 하지 말아야겠다라고 다짐해요
@vfrtgyuhv33
@vfrtgyuhv33 7 ай бұрын
그거 최악이에요 스스로 돈벌 나이 아닌데 그런 소리 들으면 뭘하든 위축되고 할거나 하고싶은거 못하고 얘기 마저 못꺼내고 눈치보게 되죠
@sylee9839
@sylee9839 7 ай бұрын
이런거 진짜 좋네요
@bookmac6072
@bookmac6072 7 ай бұрын
부모자격고사..? 굉장히 좋아보여요! 가족을 대상으로 개입할 때 상호이해역량 증진으로 적절한 수단같아요!
@jimmysoo1263
@jimmysoo1263 7 ай бұрын
요즘 이런것도 있구나 30년전엔 그냥 두둘겨 팼던 시절이였지.... 부럽다... 슬프다
@user-ve8xc9dm5v
@user-ve8xc9dm5v Күн бұрын
그냥 자식 응원해주는 부모가 최고인 거 같다.
@vanced4986
@vanced4986 Күн бұрын
최선을 다 했다면 결과를 떠나서 칭찬을 해주고 사랑해줘야합니다.
@youngheather5988
@youngheather5988 7 ай бұрын
요즘 아이들 참 똑똑하고 똑부러지네요ㅋㅋ 어른들 말씀 틀린경우 대부분 없지만 항상 예스하는 아이들로 크지 않기를 자신의 의견을 당당히 말하는 아이들로 크기를 바랍니다!
@user-pu3eq8di9y
@user-pu3eq8di9y 7 ай бұрын
아니 전라도 경상도 사투리 쓰는 친구들 너무 귀엽다~~ ㅎㅎㅎㅎ 여기 나오신 부모님들 참 용기가 대단하신것 같아요. 저라면 못나갈듯요😊
@user-mf4hs1po5y
@user-mf4hs1po5y 6 күн бұрын
뜬금없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미드 모던 패밀리처럼 가족이 등장하는 외국 드라마 시리즈를 보며 부모로서의 말과 태도를 타국의 좋은 예시들을 보고 배워야겠다고 생각 들었어요. 그 드라마에서 주인공 부부는 자녀가 잘못한 것이나 자녀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이 있어도 최대한 '우리가 정말 너를 사랑한단 걸 알지? 하지만 이것만큼은 이야기를 했으면 좋겠구나. 라고 운을 떼고 문제라고 인식한 부분에 대해 대화를 나눈 후 타결점으로 이 정도는 해줄 수 있지?고마워 로 귀결되는 대화를 하더라구요.. 한국에서 그렇게 대화한다고 하면 굉장히 교양있는 가정이거나 억지스러워 닭살이라 할 거 같지만요. 역지사지로 우리 부모님이나 시부모님 장인장모님이 나에게 지시적인 말투로 넌 틀렸고 내가 더 오래 살았으니 내 말이 맞다는 듯한 내용으로 잔소리한다면???너무 싫고 오그라들어도 미드의 저런 말투가 역시 우리 부모님은 날 잘 이해해주셔 란 생각이 들어 따르고 싶지 않을까요? 우리나라는 특히나 더욱 가족간 인정과 칭찬에 박하고 자녀에겐 지시 명령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존감도 문제가 생기고 가족 간 관계도 어긋나는 것 같아요. 우리 부모님께 고맙다 사랑한다 잘했다 소리 못듣고 자라서 못배웠으니 당연히 모르죠라고 말하지말고 부모가 된 시점부터 노력을 해야할 것 같습니다. 저도 골수 경상도라 사랑해 소릴 평생 5번도 못들어 봤고 잘했어란 말도 10회 미만인 거 같은데 7개월 아들에게는 거의 매일 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노력하고 고민하시는 모든 부모님들 파이팅입니다
@jhsyshee
@jhsyshee 7 ай бұрын
애들이 다 너무 사랑스럽네요 열두살도 열여덟살도
@smilelee85
@smilelee85 7 ай бұрын
잔소리 안하고 싶어서 좋게 좋게 말하면 말을 안 듣고.. 그래서 자꾸 말하면 그게 잔소리가 되니 애도 짜증내고 나도 싫어서 에휴 그냥 냅두자.. 하면 애를 이렇게 방치해도 되는건가싶고..ㅠㅠ
@jyj0705ify
@jyj0705ify Ай бұрын
부모들의 딜레마ㅜㅜ
@jyson8956
@jyson8956 14 күн бұрын
공감합니다ㅠㅠ
@Youjin52508
@Youjin52508 8 күн бұрын
저런게 아이들 방치 하는게 아니라 애들이 힘들어서 죽어가는 길입니다 나중에는 너무 살기 힘들면 자살해요 잔소리는 그래서 적당히 하세요 사람은 너무 엄청 힘들면 어느 누구든 다 자살해요 그리고 방치라는 단어는 아이들한테 1도 관심없고 잔소리도 없고 대화도 없고 눈도 안보고 얼굴안보고 쉽게 말하면 집에 투명인간 존재감 자체가 아예 없는거예요......
@freecity21
@freecity21 4 күн бұрын
부모도 자녀도 참 어려운것 같습니다. 모두들 인생은 1회차니까요. 그래도 서로 노력하고 이해하려는 모습이 참 좋네요 :)
@shinesun5202
@shinesun5202 10 күн бұрын
이런생각을 똑같이 했던 제가 나름 잘자라(지나고보면 잔소리많았던 부모님덕분이죠ㅎㅎ) 제 자식한테 똑같이하지않으려고 자제하고 자제해서 부모님보다 덜하지만 비슷한 잔소리를 하게되는것을 보고 "언젠가 너랑 똑같은 자식낳아봐라" 하는소리가 왜나온지 알겠어요ㅎㅎㅎㅎ 미안하지만 얘들아 엄마는 분명히 기회를 주었을거고 백번을참았을거야ㅋㅋㅋ아닌분들도있겠지만..부모님이 다 예수님 부처님은아니라 완벽하지 못하다!!!!! 앞으로 덜할께~~~ 사랑한다는표현도 더많이하고~~!!힘내!!!!
@user-lw3bz6iq3q
@user-lw3bz6iq3q 21 күн бұрын
ㅋㅋㅋ어쩜 애들이 저렇게 말을 잘 하니
@TV-xu8jn
@TV-xu8jn 7 ай бұрын
에고…저도 아이의 말을 좀 경청하고 억양도 좀 부드럽게 바꿔야 히는데 쉽지 않아요..아이가 힘들거나 기쁠때 대화하고 싶은 상대가 되고 싶어요
@kimgoogle169
@kimgoogle169 7 ай бұрын
나잇값좀 해라 는 카드를 고른 애가 12살이라니ㅠㅠ 12살이 할 나잇값이 어디있나요
@BeALightInTheDarkSea29
@BeALightInTheDarkSea29 7 ай бұрын
ㅋㅋㅋㅋ할 나잇값이 어디있나요 악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rochet-fairy
@crochet-fairy 21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
@agneshan1017
@agneshan1017 9 күн бұрын
ㅋㅋ있습니다 세수해라 이빨닦아라 이런건 12살 나잇값 못하는거죠 당해보면 속 터집니다 ㅎㅎㅎㅎㅎㄹㄹ
@user-qw8dr7xv7x
@user-qw8dr7xv7x 5 күн бұрын
@@agneshan1017 애가 세수하고 이빨을 안닦으면 부모가 "당하는"거에요? 그걸 그렇게 생각하시면 삶이 많이 힘드실텐데... 애는 부모한테 자 어디 당해봐라! 이러고 세수를 안하는게 아니에요
@agneshan1017
@agneshan1017 5 күн бұрын
@@user-qw8dr7xv7x 웃으라고 한 이야기인데 다큐 찍으시네요
@jihyunkim9891
@jihyunkim9891 7 ай бұрын
울 아이들 정말 다 너무 예쁘네요 저도 아이 둘 키우는데 잔소리 안하고 싶고 잘 전달하고 싶은데 날마다 참을 인 새기며 살아요 안하고 싶은데 안하기 너무 힘들어요 정말 부모 되기 어려워요 오늘도 결국 아이와 싸우고 밤에 또 후회를 반복하네요
@user-zz1le9th2g
@user-zz1le9th2g 7 ай бұрын
일방적으로 말하기가 아니라 상대를 존중하면서 대화하는 게 언제나 선행되어야 할 것 같아요
@user-my1dt3xw8z
@user-my1dt3xw8z 7 ай бұрын
아이들도 보면서 참 안타깝고... 하지만 나이가 들고 돈을 벌다보니까 몇몇 깨닫는 게 있다. 정말 공부할 때가 편했고.. 그걸 부모님은 아시니까 그런 말씀을 하셨던 거고.. 그런 말을 하셨던 게, 그리고 상처를 주신 게 옳았다는 건 아니지만. 뭔가 그 마음이 이해가 되기 시작한다..ㅎㅎ..
Whyyy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4 МЛН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Самая Быстрая BMW M5 vs CLS 63
1:15:39
Асхаб Тамаев
Рет қаралды 4,6 МЛН
2024년 6월 16일 금산장로교회 주일 오후 예배
1:17:56
금산장로교회
Рет қаралды 119
Whyyy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