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볼때마다 감동입니다. 유투브에서 이 정도 수준의 방송을 볼 수 있다는건 축복이네요... 월드 하이퍼 레벨 브로드캐스터~ 정말 감사합니다.~
@피터피터-m3x4 жыл бұрын
우와. 설명 진짜 쉽게 잘 해 주십니다. 문과출인인데도 귀에 쏙쏙들어 옵니다. 미래에는 결국 전기차도 무선충전으로 되겠네요 ~
@서지니-t2z4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시청했습니다. 감기조심하세요~
@지석강-l6u4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축복합니다
@박현성-q7k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ㅗ
@전건희-v1e4 жыл бұрын
정리가 안되였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무한반복 공부하겠습니다. 꾸벅
@eujinmoon6524 жыл бұрын
전문적인 지식 감사합니다 다는 이해 못하지만 알아는 들었습니다 늘감사합니다
@강석범-n9q4 жыл бұрын
항상 많은 지혜 얻고갑니다. 감사합니다!
@KOGUY-ep4hu4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알찬 내용 감사합니다
@willam5184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엔지니어이신듯 합니다 최고십니다
@wingadiumjun5521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ㅠㅠ 너무 좋은자료들이 많네요 한 영상안에
@nagjung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거꼬범4 жыл бұрын
항상 많이 배워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uggioppa9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김범식-g8t2 жыл бұрын
감사 합니다
@darkstar57564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항상 감사 합니다. 제 주변에도 항상 공유 중입니다.
@블랙라이언-h6p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말 대단한 정보네요. 최고에요.
@도시농부-v4z4 жыл бұрын
항상 수고많습니다
@이찰리-d8d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그래핀을 상용화하면 대단하겠네요. 그리고 미래기술
@김미숙-p8n3o4 жыл бұрын
반가워요 🙌
@teddykim8351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sunghwanlee25874 жыл бұрын
역시 다음 단계에서 뭐가 올지 고민해야 하는군요. 2021년 정부의 충전사업 밸류체인 정보도 좋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강민성-y2v4 жыл бұрын
대학원생인데 재밌게 보고 갑니다
@윤성욱-j6w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정이루어지다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HhHh-hi7xe6 ай бұрын
6:35 보면 이해가 안 가는 게 있습니다. 충전같은 경우 전기차만 봐도 80% 까지 급속도로 충전이 되고 80~100%는 천천히 되는데, 유튜버 주인장님께서 80~100%을 급속도로 충전이 된다고 하셨어요. 전기차랑 비교해봤을 때 안 맞지 않나요!?
@하늘앤-t4h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uemjalee75694 жыл бұрын
값진 정보 감사합나다.
@감사하며살자-g2x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myungheekim3859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parkherenow4 жыл бұрын
지하철이나 전철에서 이미 전력시스탬은 발전되어있는것 아니었나요?
@홈트렌드 Жыл бұрын
무선충전기술을 구매할수있나요?
@권세진-l4z4 жыл бұрын
좋아요~~~
@피치인베스트먼트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자동차 배터리의 경우 사용 연한을 어느정도로 보면 될까요? 2년 ? 3년? 4년?
@eng_tv4 жыл бұрын
배터리 (용량 저하 70%)보증 기간이 있습니다. 보통 7년 이고 배터리 제조사는 10년 보증으로 개발합니다.
@피치인베스트먼트4 жыл бұрын
@@eng_tv 감사합니다~~ 수명 연한이 생각보다 기네요 ㅎ
@bronam-t2m4 жыл бұрын
보통 800v전기차가 나오면 구동장치며 다른 여러부수적인 전력이 쓰이기에 실제로 내부에 적용되는 전력반도체는 1200v정도라는데 고견부탁드립니다
@ynfirst49254 жыл бұрын
800V 350kW 으로 고속충전을 한다면 현재 상용화된 배터리가 이를 버틸수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현대차에서 현재 이야기하는 18분 충전은 배터리 성능을 고려했기 보다는 충전기의 스펙만 높였다고 생각하는데 엔지니어링 TV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현대가 이런 고속충전을 버티는 전기차를 개발했다고 볼수 있을까요? 아직 음극재의 부분이 18분 고속충전을 버틸수 없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여쭤봅니다.
@kim.edward3 жыл бұрын
배터리를 슈퍼캡이나 전고체가 되어야 가능하죠
@Easynun4 жыл бұрын
오늘 니오에서 전고체 배터리를 내년4븐기에 내놓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가능할까요?
@InnoSphere_eddy4 жыл бұрын
지나가다 생각나서 그냥 건물에서 수소로 전지충전하고 차들이 들려서 전지교체하는건 안될까요? 차에서 잔량보여줄거고 베터리 보유현황 스마트하게 알려주면되고 아니면 세워두면 전지배달교체해주는 그럼 전지수명관리해주는 사업도 생길거구.. 그냥 지나가다가 써봅니다
@wcs83704 жыл бұрын
3월에 대전에 150kwh무선 충전소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대전 무선충전 버스 운행을 위해 설치합니다. 관심 갖고 지켜봐 주세요.
@msklee3934 жыл бұрын
12:40 현대차 E-GMP 플랫폼에도 400V를 800V로 충전하기 위한 DC/DC 컨버터가 들어가는 것인가요?
@eng_tv4 жыл бұрын
정진환 상무 / 전동화개발실 //‘E-GMP Digital Discovery Q&A 세션 중’ E-GMP는 800V 충전 시스템을 기본 적용했기 때문에, 외부 충전기를 800V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시장에서 널리 쓰이는 충전 시스템은 400V이기 때문에 400V를 800V로 승압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보통 이런 경우 부스터 컨버터라는 부품을 추가 장착해서 승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E-GMP는 추가적인 부품 없이 구동 모터를 이용해 승압하는 기능을 구현했다. 구동 모터 시스템을 활용해서 부스터 컨버팅 기능을 한 것이 세계 최초인 것이고, 현대차그룹이 특허를 갖고 있다.
@이주운-x6j4 жыл бұрын
800V 고속충전을 했을때 가장 문제가 되는것이 배터리 발열일 것 같은데 소재의 변화말고 쿨링시스템은 어떤 방향성으로 개발중인가요?
@바다사나이-w4j3 жыл бұрын
무선충전을 해야죠
@수정금-s9h4 жыл бұрын
액체배터리는 위험해서 전고체 배터리의 윤곽이 잡힌다음에 지켜봐야 할거같아요.
@텅빔속의충만함4 жыл бұрын
충전속도가 5분이내로 가능해지면 주유소 자체에서 또는 전력회사에서 살치하게 된다. 수지타산이 나오기 때문이다. 현재는 회전률이 안나와서 수익으로 설치비를 뽑지 못하므로 설치를 안한다. 전기차의 겅급속도는 배터리 충전속도에 달렸다고 볼수 있다.
@provider1963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전기차 충전관련 전체 내용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최근 폐배터리를 이용하여 ESS를 만들어 전기차 충전소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 사업적/기술적으로 괜찮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eng_tv4 жыл бұрын
폐배터리 자체가 재산이지요. 안정적 확보만 가능하면 좋은 사업입니다. 기술은 크게 필요없습니다.
@@eng_tv 아이쿠 늦은 시간에 신속한 답변을 해주시니 정말 감사드립니다. ^^: 역시 전기차도 비용 문제에서 자유롭지는 않군요.
@마이크K플린4 жыл бұрын
지금 중요한건 충전소 보다 전기차 시대로 가기 위한 국가 전력망 증설 사업입니다. 인프라가 안되는데 충전소를 건설 하면 뭐합니까. 전기가 없는데. 전기차 30% 보급 시대로 가려면 지금 발전소 20기 추가 건설과 초고압 송배전망 확충을 빠르게 건설해야 합니다.
@KimDeKhan4 жыл бұрын
👍
@지현근-t9k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12/7에 nh에서 올라온 레포트 자료 GaN, rfhic, 전력반도체 관련 내용이었는데.. 받아볼수있을까요?
@지현근-t9k4 жыл бұрын
혹시몰라 주소 남깁니다. gusrms891@naver.com
@김호진-w6i4 жыл бұрын
훌륭한 강의에 감사 드립니다
@현우-m1o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방송 잘보고있습니다 전기차충전에 대한 인프라 확장은 확실해서 기업을 공부하고 있는데 시그넷이브이라는 회사가 기술도 보유하고 있고 점유율도 괜찮아 보이더라고요 혹시 엔지니어님은 1. 시그넷이브이 라는 회사에 충전기술을 어떻게 보시나요? 2. 진입장벽은 높은지 낮은지 ? 3. 시그넷이브이 보다 더 유망해 보이는 기업이 있을까요? 4. 그렇다면 공유 부탁드리겠습니다.
@mabus73674 жыл бұрын
수소-전기 발전기술도 알려주실수 있나요? 대단위 용량 에너지 저장및 전달방식은 결국 수소를 사용할수밖에 없을것 같아서요. 수소차는 망했지만 수소 발전기는 상용화가능할것 같아서요
@jisungpark89524 жыл бұрын
수소차 는 아직 제대로 시작도 안했는데 망했다는 건 좀 아니네요. 트럭 같은 중장거리 대용량 수송에서는 수소가 더 유리하다고 합니다.
@Sflrobot992 жыл бұрын
그냥 모든 기업에서 충전기 설치 사업하면 되지..... 아니면 태양광 자동차 및 풍력충전 자동차 만들던가?
@bakas-lk1pe4 жыл бұрын
전기의 무선화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게 가능하다면 전기차 따위는 기술도 아니겠죠 무선 충전과 전기의 무선화는 전혀 다른이야기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