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폼 미쳤네.. ㅈㄴ 재밌고 편리한테 또 설명은 이빠이고 그냥 무지성으로 써라 이게 아니라 질문 던지면서 설명해주는게 ㄹㅈㄷ네요 심지어 말하는 속도도 빨라서 안 답답해 형은 참 스승입니다 꿀팁 많이 받고 수학 꼭 1등급 받을게요 사랑해요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파이팅입니당~^^!
@호놀롤로-g4s Жыл бұрын
이걸 바로 가르쳐주셨던 학원 수학 선생님께 지극히 감사드립니다.
@김시현-y4k Жыл бұрын
설명 진짜 예술이다 알고있었지만 신비롭고 특히 대칭부분이 인상적임
@urlichtmahler10 ай бұрын
5:49 선생님 "번역" 이 단어를 쓰셨네요 저도 이과 공부하기에 이런 번역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제가 앞으로 공부할 때도 어떻게 "번역"해야 좋을지 잘 생각할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 ^ (선생님의 열정을 느끼면서 점점 수학에 취하게 되고 있어요😂
@everydaymath_kr10 ай бұрын
도움이 되신 것 같아 다행입니다 😊😊
@Bombro86 Жыл бұрын
요즘 심심해서 수학강의 찾아보는 38살 두아이의 아빠입니다.. 기존의 방법과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서 학생들이 생각하도록 해주시는 거 너무 좋네요... 제 아이가 커서 선생님 강의 들을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래야할텐데요~^^
@이동윤-i7g20 күн бұрын
우연히 알고리즘을 통해 영상을 보게 되었고 홀린듯 15분을 끝까지 다 봤습니다. 제 유튜브 알고리즘에 나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자주 애용할 거 같은 간단한 풀이와 귀에 쏙 박히는 설명까지.. 감사합니다
@방재웅-g4w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설명 듣고 마지막 문제 누워서 암산으로 푸니까 쾌감 지리네여 상수항이 없는 이차식이 등차수열의 합인거 까지는 알았지만 이차식 최대차항이 양수 개형일 때 꼭짓점 다음 자연수 지점부터 일반항이 양수 되는건 뭔가 맹점을 찔린 것 처럼 신선 했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 ˃ ⩌˂)
@user-bt2zv4ss7s Жыл бұрын
보면서 박수를 쳤습니다
@everydaymath_kr11 ай бұрын
😁😁
@holo-n4c Жыл бұрын
잠깐 떠서 보다가 강의를 너무 잘하셔서 끝까지 봤네요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유용한 개념 많이 얻어가세요 😊
@아니-y6z Жыл бұрын
와 진지하게 강의력 지린다ㅋㅋㅋㅋㅋㅋ 어케 동네 학원 강사님 수업 퀄리티가 이정도지? 뉴런 보는줄ㄷㄷ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재하쌤 강의력은 1타급 선생님과 비견되죠.. 안목이 좋으십니다.
@이세진-c9g Жыл бұрын
설명 30초안에 고수라는걸 느끼고갑니다 적절한 예시..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Plumno Жыл бұрын
수능 보고서 군대까지 전역했는데 지금 봐도 정확히 이해될 정도로 전달력이 좋으시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재하쌤 강의는 언제봐도 ..🥺
@흰개미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졸업한 지도 벌써 6년이나 지났지만 되게 재밌어서 가끔 영상 보고 있네요 기억이 날듯 말듯하면서도 내가 학생일 때 이렇게 알려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을까 싶기도 하고 여튼 재밌습니다! 항상 수험생들 도움 주시려고 영상 올려주셔서 대신 감사하네요😊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따듯한 댓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h_0917 Жыл бұрын
진짜 보는내내 감탄만 나온다
@greedy5709 Жыл бұрын
와.. 고2인데 항상 수학모고 1인 입장에서 저게 얼마나 좋은 풀이인지 몸에 전율이 돋네요.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멋진 말씀 감사해요! 좋은 풀이 앞으로도 함께해요😁
@마지-r Жыл бұрын
1도 턱걸이 1인듯 😂
@Zzzc-fw8hb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게 일타강사지
@happykinglim5774 ай бұрын
영상 보기만 하고 나가려고 했는데....나도 모르게 좋아여 구독 눌러버렸네...
@everydaymath_kr3 ай бұрын
좋아요 구독 감사합니다^^
@jaksjak9171 Жыл бұрын
명강의네요 잘 듣고 갑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on8ujskwb8 Жыл бұрын
와 설명 진짜 잘해주시네요 좋은해설 감사드립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
@간다르크-m5x Жыл бұрын
풀이가 예술입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sorbine Жыл бұрын
수업 잘하시네요 굿!!
@carpediem342011 ай бұрын
지린다. 진짜 아름답다 수학도. 설명도
@everydaymath_kr11 ай бұрын
😊😊
@화스-q2r3 ай бұрын
진짜 수업 깔끔하게 한다
@익명-q5m3p11 ай бұрын
진짜 개지려서 감탄이나온다..
@everydaymath_kr11 ай бұрын
😁😁
@박범수-v9gАй бұрын
청원고등학교 학생 박범수입니다. 영상이 정말 보기 좋네요. 수학 공부하는데 정말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개똥아-q1p Жыл бұрын
우와 이거 상급반 기출분석 가야 듣던 기술인데 아주 오래오랜만이네요 고삼땐 대부분 개념도 못끝내서 기출 몇개 풀고 그냥 수능봐서 56등급받던게 태반이었는데(저는 상위권이 아니었습니다) 재수할때 개념다 끝내고 기출풀면서 이런 내용까지 있구나 하고 깜짝 놀랬었더랬죠.. 아마 상위권들은 고12때 이미 몇번씩 봤었던 내용이었겟지만 저한텐 개념과 대표유형 이상의 진짜 문제해결력을 사용하는 수논리의 모습이었습니다.. 이제 서른 중반이 넘어가고 사회생활하다보니 왜 그때 참 힘들었던 재수생활이 그리울까요 비록 불안했지만 하루하루 성취감이 느껴졌던 시절인데..,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개똥님 반가워요. 학창 시절 추억 되새김할겸 저희 영상들 많이 봐주세요..ㅎㅎ🥰
@FIoyd_rose Жыл бұрын
뉴런에 나오는데
@hyeon0II5 Жыл бұрын
진짜 감탄하면서 봤습니다 양질의 강의 감사합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김재하수학 연구실입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 앞으로 더 좋은 강의가 업로드 될 예정이니 많은 시청 부탁드립니다 :)
@Yenniyebbi Жыл бұрын
이제 고등학교 들어가는 예비고1입니다만.., 등차수열이 뭔지도 모르겠는데 설명이 쏙쏙 귀에 잘 들어와서 수박 겉핥기 식으로라도 이해가 되는게 너무 신기해요:) 수학을 그닥 좋아하진 않지만 수학 관련영상 보는 건 좋아해서 우연히 봤는데 나중에 수1을 배운다면 다시 찾아보게될 것 같아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나중에라도 꼭 다시 찾아주세요^^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민-h5b Жыл бұрын
중학생인데 보고 이해했어요... 진짜 설명 굳굳
@masterkrunker1874 Жыл бұрын
이제 고2되는데 앞에 강의만 듣고 혼자 풀어봤더니 정말 쉽게 풀리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혼자 시도해보는 힘 너무 중요해요
@Jaemaeham Жыл бұрын
와 지린다 ㅋㅋㅋㅋ 진짜 수학의신이네
@hanmin2877 Жыл бұрын
폼 미쳤다 발상 ㄷㄷ
@AmyJ-s9k10 күн бұрын
와 진짜 대박
@k_slight2111 Жыл бұрын
진짜 보면서 와....소리 내면서 봄.... 진짜 머리를 망치로 한 대 맞은 느낌이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consideringmath Жыл бұрын
와 16분만에 정말 많이배웠습니디
@Blue1120 Жыл бұрын
아직 수열을 안배우긴 했는데 이해가 어느정도 되는게 신기하네요.. 설명 엄청 잘하시는거같아요!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진짜는 진짜를 알아본다고.. blue님의 실력이 좋기 때문에 김재하 선생님의 실력을 알아봐주시는 것 같습니다.
@illusion302611 ай бұрын
이걸 배워야 알아야 한다는 건 공교육이 많이 잘못된 거 같습니다.. 애초에 수열을 정의할 때 정의역이 자연수 전체 집합인 함수로 정의하는데..
@자과-k1b11 ай бұрын
애들 대답 ㅈㄴ잘하네 ㅋㅋㅋㅋㅋ
@sjk7144 Жыл бұрын
이번 4모 20번에서 이거 비슷한 개념이 쓰여서 맛있게 4점 먹고 갑니다 ㅋㅋ 감사해요!!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CaptainAllRight Жыл бұрын
지나가다 잘 보고 갑니다. 사고력 있는 학생들은 별다른 과정없이 암산으로 바로 공차가 -3인 수열이며 a21=0 임을 파악해 1분 이내로 풀겠네요. 등차수열의 합에 관련된 문제는 미적분과도 연관지어 쉽게 풀 수 있듯 2차 함수를 이용해 풀 수 있죠. 옛날 생각 나네요 ㅎㅎㅎ
@jwh90436 ай бұрын
공차 -3인건 그래프 개형보고 음수인거 파악후 -1 -2 -3 순으로 넣어보는 건가요? 저도 눈풀이 즐겨하는 입장에서 채널 주 님처럼 풀이가 나와서요. 저는 그래프 개형이야 등차수열에서 4개 나오고 조건에 만족하는건 1개밖에 없고 가,나 동시 만족하는 조건 쓰면 T21=T20이니까 a21=0이 바로 나오고요. 그래서 일차함수 떠올리면 아래로 20칸이니(1부터 21까지) d=-3 나왔고 삼각형 넓이 똑같은 부분이 똑같이 우측으로 20칸 가면 되니까 n범위 나왔습니다. 그래서 an 과 d 구할 필요없이 대칭성 이용해서 푸는 풀이가 놀랍네요.
@CaptainAllRight6 ай бұрын
아뇨 그래프는 필요 없습니다 오히려 너무 어렵게 접근하는거에요. (나)를 만족하려면 공차는 음수여야합니다. 공차가 0이상이라면 걍 Tn=Sn 일테고 Tn은 항상 Tn
@jwh90436 ай бұрын
@@CaptainAllRight 출제자는 수열을 만들고 낸다. 머리 한대 맞은 느낌입니다. 우선 거시적으로 쉽고 직관적으로 접근해보는 태도 배워갑니다.
@아잉-y4q3v Жыл бұрын
재하형 사랑해 날가져요
@아잉-y4q3v Жыл бұрын
당신은 나의 우상👍👏🤩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fredericchopin1699 Жыл бұрын
아름답습니다. 늦었지만 존경의 박수 보냅니다. 크게 감명받고 갑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편안한 밤 되세요.^^
@아르테-h3t Жыл бұрын
수열을 그래프로 표현하는 게 가장 막막했는데 덕분에 쉽게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파이팅입니다~^^
@김선생-k9f Жыл бұрын
30대에 보니 수학이 이렇게 재밌는데 고딩, 재수땐 왜 그리 싫었는지 ... 경제적 자유만 있다면 다시 수능 도전해 보고 싶다
@uumuuqoyun Жыл бұрын
와 개쩌네 이거 잘 보고 갑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 감사합니다
@Dea_suk Жыл бұрын
설명 넘 😊잘하신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크리스스몰딕 Жыл бұрын
이게 사교육의 맛이구나
@전투바둑7 ай бұрын
이분 천재인가
@오리온-j4p Жыл бұрын
12:27 20항(축 왼쪽)에서 21항까지 더 하는 게 증감이 있을 순 없고, 12:46 20항(축 오른쪽)이고, 21항의 합이 음수였다는 의미인데, 공차가 음수니까 19번째 항까지 합이 20보다 작다는 게 말이 안 된다. 이렇게 해석해도 될까요? 축 위에 있는 건 바로 이해가 되는 것 같은데, 조금 생각하게 되네요..
@쐅촵쒭 Жыл бұрын
오히려 등차수열은 그냥 교과서에 나온대로 일차식으로 해석하고 일차함수 그려서 해결하는게 더 빠르던데
@gingnangboyzfanclub8 ай бұрын
수학 고정 1등급인데 어느 n제나 모의고사에서도 ㄹㅇ 저거 써본적 한번도 없음 ㅋㅋㅋㅋㅋ
@shin422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 문제 수능 당일저녁에 해설했던 기억이 새록새록..나서 반갑고 또 재밋게 봤습니다! 이차함수 개념으로 설명하는게 상당히 유용하다는 생각이 다시 들게되는 영상이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해당문제 풀 때 조금 다른 접근방법을 사용했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주어진 조건에서 T20과 T21이 동일하다는 말의 의미를, 결국 a21이 더해지는 것이 절댓값에 영향을 줄 수 없다. 따라서 a21이 0이될거고, 그럼 자연스럽게 초항이 60이니 공차가 -3으로 정해진다. 이로인해 그럼 T22부터는 지속적으로 값이 감소된다. 왜냐하면 이때부터 음수가 나오기 때문에. 그럼 앞에 나와있던 a1~a20까지의 항이 a22부터 a41까지의 항과 각각 상계되기 때문에, T42부터는 이전 등차합의 절댓값보다 값이 커지게 된다. 그러니 최솟값은 21이고 최댓값은 40으로 답이 61이다. 이렇게 풀어줬고 작년까지도 수업중에 한 번씩, 수열관련 파트에서의 논리성이 얼마나 문제를 간결하게 만드는가 따지면서 아이들한테 풀어주곤 했었습니다. 혹 여유가 되신다면 이런 풀이에 대해서 생각하시는 부분 피드백을 부탁드려봅니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김재하 수학 연구실입니다. 우선 선생님이 말씀해주신 풀이 방법도 학생들이 꼭 해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논리적으로 하나씩 따지는 것 역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제 사견이지만 굳이 따지자면 선생님께서 말씀해주신 풀이를 먼저 연습하고 이후에 재하쌤 풀이로 넘어와 직관적으로 해석하고 빠르게 답을 내는 것이 좋다고 학생들에게 말해주고 싶습니다.
@이상규-k5v Жыл бұрын
a21이 절대값에 영향을 주지 못해도 0이 아닐수 있을거 같습니다 절대값이 3, -3 구조여도 절대값은 같지 않나요..?
@ph9434 Жыл бұрын
@@이상규-k5v 논리는 맞습니다만, 그렇게 될려면 a21이 a1~a20까지의 합을 모두 상쇄시키는 반대부호의 값이어야 하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이렇게 되면 a21의 절댓값이 너무 커지겠죠?
@shin4225 Жыл бұрын
@@이상규-k5v 지금 예로 들어주신 케이스가 a21=-3, a20=3인 경우를 말씀하신 것 같습니다. 이 경우 S20의 값이 K라고 할 때, S20까지는 모든 항이 양수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증가하는 형태일 것입니다. 따라서 이 때 a21이 최초로 음수가 된다면 S21은 당연히 S20보다 6이 작게 되겠죠. 고로 정의역이 양의정수로 한정된 함수의 초항부터 n항까지의 절대값과 n+1항까지의 절대값이 동일하다면, 필연적으로 n+1번째 항은 0일 수 밖에 없습니다. 좀 더 나가보면, a20=3이기 위해서는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겠네요. 이 때 a21이 -3이 되는건 불가능합니다. 조금 더 나아가서 a20과 a21이 동일한 절대값을 갖는 수열일 경우 과연 S20과 S21이 동일할 수 있는가. 이것이 질문의 요지라 생각됩니다. 이 경우 축의방정식이 20.5인 이차함수를 설계하면 됩니다. 그럼 위 강의영상에 기반하여 이차함수를 생각해봅니다. a20=-a21이 성립해야 하겠네요. 이 경우 공차가 -120/39인 함수가 되겠네요. 이 때 a20=약1.538 a21=약-1.538이 성립합니다. 이 때 수열의 합을 본다면 S21과 동일한 값을 갖는 Sn은 S19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여기까지 가지 않더라도.. a20=k / a21=-k라 가정을 해봅시다. 이 때 k는 양수이며, 공차가 음수인 수열로 잡으면 되겠죠? 그렇다면 당연히 S20의 값은 S19+k입니다. 그리고 S21의 값은 S19+k-k이므로 S19가 될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Blue1120 Жыл бұрын
@@이상규-k5v 제가 이해한 내용으로는 |T20| = |T21|의 경우, 즉 |S20| = |S20+a21| 에서 S20=3, S21=-3 (a21=-6)의 예시처럼 놓으면 S20과 S21의 절댓값이 같을 수 있다라고 이해했습니다. 우선 a의 초항이 60이고 T19
@architect_fox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해요@
@hoooooooooooooollllllly9 ай бұрын
미쳤음..
@Kimjeongdong79 Жыл бұрын
내가 뭘 본거냐.. 눈으로 쭈욱 따라 듣기는 했는데, 신박하다!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ヽ(°〇°)ノ
@굿럭-c2d Жыл бұрын
전달력이 정말 좋으십니다. 지루하지도 않고요. 수투 개념교재 양이 어느 정도 되나요? 총강좌수하고요.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기본 개념 강의인 수뼈세 수2는 총 47강이고 교재는 227페이지입니다. 실전 개념 강의인 실통수 수2는 총 30강이고 교재는 162페이지입니다.
@채민-d8z Жыл бұрын
이 내용 공부한 날 이 영상이 바로 뜨네 ㄹㅈㄷ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굿굿 👍🏻👍🏻
@김겨란-x8b Жыл бұрын
수학을 이렇게 가르쳐줬으면 수학이 더 재밌지 않았을까..? 이런 머리를탁하고 때리는 풀이를 듣고있으면 기분이 좋아짐 ㅋㅋ
@everydaymath_kr Жыл бұрын
(˵¯͒⌄¯͒˵)
@벌레-x9b Жыл бұрын
무쳤다
@단무지-x8z22 сағат бұрын
혹시 이거 연습해볼 문제가 있을까요?(모고나 수능중에)
@kkkepco1441 Жыл бұрын
이건 수학이 아니다 예술이다
@hwoodayo Жыл бұрын
"등차수열의 합은 상수항이 0인 이차식이다"
@uutae Жыл бұрын
윽건
@KD-119 Жыл бұрын
살미살적
@유성민-f9c Жыл бұрын
Theme1
@wolfcutamadwotsu-mozzarell4237 Жыл бұрын
자ㅎ깜마안~ 그래프가 되게 등신같이 그려져서 다시그릴께여
@lunareclipse9100 Жыл бұрын
살-짝 미분
@오주원-e3t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런 수학적인 아름다움에 감탄하고 갑니다.
@Ahong3217 ай бұрын
혹시 실통수에서 다루는 문제들은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어려운 4점 일까요? 수강하고 싶은데 난이도가 어려울까봐 고민이여서요
@포인터를가리키는_포 Жыл бұрын
대학생인데 시험 기간이라 그런가 재밌네요
@아아아아아t8k8 ай бұрын
이 영상이랑 다른 질문인데 등차수열에서 일반항을 등차 합으로 바꿀 때 상수항이 생기는 경우는 없는건가요? 예를 들어서 an=8n+7 -> Sn=4n²+11n 이렇게 할 때 Sn식 뒤에 상수항이 붙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어디서 부터 잘못된 건지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