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격의 아재 반갑습니다 ,,, 마지막 맨트 ,,, 갈 길이 멀지만 ,,, 그래도 우리는 가야 한다 ~ ~ 감사합니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
@초록세상-k1r11 күн бұрын
@@johnlee4302 가즈아~~~~~^^
@피드백-d2o10 күн бұрын
스포자제요
@빨무대장쉰s11 күн бұрын
모르고 있었던 부분이였습니다 좋은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단순히 전투기 멋있다 라고만 생각했는데 역학적으로 아주좋우 배움이였습니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
@투자중독자11 күн бұрын
이전영상에서의 퀴즈로 인해 궁금 햇던것을 이번 영상에서 풀어 놓으셨군요. KF21 응원합니다
@Dos-z2t11 күн бұрын
kf21 디자인 하나는 기가 막히게 뽑음ㅋㅋ
@땅개-k3o11 күн бұрын
아직도 울나라가 자체개발했따는 사람들이 있네 울나라.터키 뱅기가 비슷한지 아심 미국이 기술을 줬기때문임 미국이 저작권 민갑하시는건 아실거고 비슷하게만 해도 니들 뒤지고싶냐 할거임 그게 미국임 ....고로 설계도 그냥 줬음 울나라는 기술이 좋아서 문제없이 만든거고 터키는 기술이 없어 해매는거고
@티티-x2y11 күн бұрын
벤치마킹😊
@lrh99k11 күн бұрын
@@티티-x2y 뭐...실제로 라매 설계 당시 록마 관계자들이 도와줬다는 얘기가 있으니.....
@totalkim356611 күн бұрын
@@lrh99k 설계시 조언을 받았다고 들었지만 주도는 우리가 했다고 인터뷰에서 봤습니다. 최초 그들이 추천한 것은 단발에 지금 KF-21보다 소형의 기체였다고 하더군요. 뭐 정당한 대가를 지불했고 오히려 중국의 J-35를 베꼈다고 모함 받는데에 반박할수 있어서 더 나을수도 ㅎㅎ
@Cloudstrife-l5b11 күн бұрын
잘뽑게 아니죠... 모든 제작과정을 록히드마틴이 미국 국회 승인으로 도와줬으니.. 보라매가 미국이 허락한 최종스펙입니다.. 그이상의 성능은 뽑아낼수없었습니다. 마틴 관계자가 직접언급
@junkyupark846711 күн бұрын
단,복좌기 둘다 정말 잘만들었네요
@SIMJAEYOON11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전문 지식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ㅎ^_^*🥰😍😎🤠💋💙💯👍🍀🎖🏆🏅🥇💍💎🎼🎵🎶
@착한선장11 күн бұрын
항상 응원합니다. 화이팅!
@ADSO_2111 күн бұрын
확실히 제공 전투기로서의 사상을 명확히 보여주는 기체 설계군요. 잘 배웠습니다.
@Fat_Badger11 күн бұрын
와~~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
@canda835011 күн бұрын
F22는 항상봐도 감탄이 나오는 디자인이다
@조환-v8y11 күн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이승영-h8k7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명절 잘 보네세요.
@AJAEGOGO7 күн бұрын
🙏
@공대나온남자11 күн бұрын
오늘도 하나 배워 갑니다. 🙂
@jujudaddypark936211 күн бұрын
영상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아직 시청전이지만 좋아요 꾹 먼저 누르고 기대하면서 시청하겠습니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언제나 감사합니다!
@초연체육관11 күн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Mungi122611 күн бұрын
KF21 정말 멋있습니다. 선이 예술이네요.. 빨리 배치되었으면 좋겠네요.
@artiste-p9c4 күн бұрын
비행기 참 이쁘네요.
@어르미-m1l11 күн бұрын
역시 전문가께서 설명을 해주시니 이해가 쏙쏙 되네요 ㅎㅎㅎ
@굄돌-v6l11 күн бұрын
LEX라 부르는군요 아재님의 영상은 항상 좋은정보를 배워갑니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정민수-p2v11 күн бұрын
SU-57 J-35(스텔스라는데 모양새가...)포함 중국산 5세대? 전투기 보다 더나은 성능으로 대한민국 상공을 자주 비행하는 모습을 하루빨리 바랍니다
@es421011 күн бұрын
서로 베끼기 하는거 같아요. 즐거운 설 명절 보내세요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
@성김-t1v11 күн бұрын
멋지다 kf-21 대한민국 영공수호의 빈틈이 보이지 않는다!
@skyline016711 күн бұрын
멋지네요 안전하게 성공적으로 개발 완료를 기원합니다
@박창호-m5e11 күн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수고하세요~~~^^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lrh99k11 күн бұрын
아재님도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우리 보~라매라매 라매요 다메 라매요(?)도 빨리 실전배치 되었음 좋겠네요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
@lrh99k11 күн бұрын
@@AJAEGOGO 진짜 우리 라매 덕분에 해결되는 문제가 한두가지가 아니네요 ㅠㅠ
@Gil-Baraki11 күн бұрын
[진격의 아재님]의 친절한 설명에도 여전히 제 이해력에 한계가 있지만,, 설명을 듣고 보니 KF-21 보라매에 대한 자부심과 기대가 더 커집니다. 다음 영상은 어떤 내용일까? 기대가 됩니다. 잘봤습니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Bigwing_J11 күн бұрын
F1에서 접하던 와류 발생기를 여기서도 보네요 잘봤습니다 👍
@tullaetullae67210 күн бұрын
Su-57의 경우는 가동식 스트레이크라 좀 다른 장르죠. F-22가 공력 특성상 좀더 스트레이크에 가깝게 LEX를 더 뽑아내지 못했던 딜레마를 가동식으로 해결한 경우니까요. 구독자 분들께서 영상을 자세히 보시면 스트레이크 전체가 마치 대형 플랩처럼 움직입니다. 전면 추가 플랩 겸 스트레이크인거죠. 이걸로 인해 Su-30,35 급의 기동을 가능하게 하는 마지막 퍼즐을 맞췄죠. 엔진부 후면과 특히 스텔스성이 너무 부족한 동체 하부 곳곳의 질 떨어지는 스텔스 설계와 러시아 특유의 낮은 가공 완성도 때문에 그렇지 설계 아이디어는 YF-23과 비슷한 엔진룸을 벌리고 그 가운데 무장창 등 은근 괜찮은 구석이 많아요. Yak-130 훈련기를 형상만 사와서 서방식 설계와 소재-정밀가공 가술로 전면 재설계한 M-346처럼 이 아이디어를 서방 기술로 왼성시킬 일은 없겠지만요.
@power892111 күн бұрын
유체역학에서.. 난류, 와류를 vortex 라 하는데 흠... 여기서도... 이런경우에도 사용되는군요 흥미롭습니다. 메케니컬 엔지니어 28년차...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
@JeongWonSeo9211 күн бұрын
역쉬 전문가 다운 영상 올려주셨네요. 전투기 조종사를 하려면 항공역학과 설계까지 알고 있어야하는군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제가 감사합니다^^
@Kidd-Alex11 күн бұрын
수호이 57과 J-20 둔해보이네요 ㅎ 수고 많으셨습니다 😁🖐
@방문좀닫아라11 күн бұрын
🎉🎉
@Kidd-Alex11 күн бұрын
송용하님 😅🖐
@kangmini11 күн бұрын
저 흰색 와류가 비행기 날개 위에 또 다른 천공의 날개를 펼치는것 같아서 멋있었는데 ㅎㅎ 솔직히 kf21도 22처럼 완전 최대로 급기동하면 생길것같음 배경화면으로 해두고싶당
@seanlew20511 күн бұрын
SU-57 은 LEX 에도 앞전플랩이 있네요.
@hongboys11 күн бұрын
필승 🫡 62 다음에 반야루카 공중전 한번 해주십쇼
@AJAEGOGO10 күн бұрын
그게 뭔가요! 정렬의 그리핀~
@hongboys10 күн бұрын
@ F-16이랑 J-21 공중전 기록이요
@UNSTOPPABLE-b5j5 күн бұрын
Espero que los KF-21 vuelen pronto los cielos del Perú.
@AJAEGOGO5 күн бұрын
🙏
@Ififlytothemoon11 күн бұрын
J-20, SU-57의 공식적인 RCS 값이 얼마나 될지 궁금하네요 ㅋㅋㅋ 몇십년은 더 지나야 자료가 나올것 같긴한데
@조경진-h9c11 күн бұрын
J20은 미그1.44라 얘기 할것도 없이 라팔정도 수준이거나 못하고 su57은 엔진부분 잘 처리되면 f35 수준은 충분할듯
@yongkim582611 күн бұрын
@@조경진-h9c 아마도 형상적인 부분만 고려한 rcs값이겠지요. 실제 도료성분을 고려하면 한 10배 이상은 차이가 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스텔스도료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가 없으니.
@sungjaecho278111 күн бұрын
비행운이 아니었네요. ^^ 물론 Vortex 때문에 생기기는 하지만, 없어서 꼭 좋다기 보다는 몇몇 항공기, 전투기에서는 Vortex generator의 와류가 안정성을 높여주기도 하는군요. 새롭게 또 배웁니다.
@버디는아미다11 күн бұрын
비행운은 겨울철 공기밀도 높아질때 여객기등이 길게 만들어 내는걸 말해요...
@sungjaecho278111 күн бұрын
@@버디는아미다 아, 이전 영상에서 제가 KF-21에서 안 보이는 것이 비행운이라고 해서 썼던 답글입니다. ^^ 겨울철이 아니더라도 높은 상공의 한랭기단이라면 쉽게 발생하지요.
@nsk741211 күн бұрын
전투기는 보잉도 T-7A에서 실수를 하며 고생하는 것을 보니 참 알수 없는 무기 입니다! ㅎㅎ
@yongkim582611 күн бұрын
기본적인 풍동실험을 생략하고 단지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려고 한 것이 그들의 실수이지요. 기본에 충실했어야 했습니다. 돈을 절약하려다가 되려 더 돈이 들어간 경우 이지요.
@Memo-f7n11 күн бұрын
T-7A는 f-18 축소형인데 실질적인 풍동 실험을 생략하다 보니 무지성으로 날개까지 같은 비율로 줄여 버려서 개판된거죠 이번에 시제기 3대 다시 더 만든다는거 보면 날개 부분 설계 변경이 있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초록세상-k1r11 күн бұрын
영상에 F-15QA 공대공 완장하고 나네요^^
@julianbonues34956 күн бұрын
The first block production will only be air superiority fighter? when will the next block with full capability air to air and air to ground weapons delivery will be done?
@AJAEGOGO6 күн бұрын
Soon~
@이진우-t7g11 күн бұрын
이제 잘 날아다니네~~~ 뿌듯하다.
@space978911 күн бұрын
공기역학과 압축성 공기역학 시간에 turbulent flow와 laminar flow 에 관해 배우면서 전자가 운동에너지가 커서 유동 박리를 막는데 역할을 할 수 있다는걸 알았던기 정말 신기했죠.
@Earth-Ground11 күн бұрын
결국 기동성과 스텔스 서로 절충점을 찾아야 되는 문제 아닐까요?
@김보배-m4y7 күн бұрын
실제로는 보조연료탱크,무장을 주렁주렁 매달고 작전을 해야하니 지금보다 마이너스 해야 하는게..
@방문좀닫아라11 күн бұрын
오늘도 🎉🎉🎉🎉
@saebaeng_e_jjigae59766 күн бұрын
최종 개발 형태면 kf21이 f15k정도는 될까요? 아님 f16블록60 정도?
@나포하11 күн бұрын
갈길이 멀지만, 가야 한다. 멋진!!!!
@skyclan11 күн бұрын
우리 전투기도 멋지당
@잘살아보세-w5u11 күн бұрын
중국도 아직 허접한 전투기들 개발해서 자랑하며 나대고 있는데 대한민국이 이렇게 한번에 문제없이 전투기를 만들수 있다니 너무나 대단합니다. 다만 정부에서 더 적극적으로 생산대수를 50대 이상 발주해서 생산단가를 내렸으면 합니다.
@aigumoney10 күн бұрын
AI는 LEX도 응축증기나 와류를 줄여주지만, 스텔스기 계열이 응축증기나 와류가 적은 이유는 "날개와 동체"의 연결 형태 때문이라고 하던데요. 보면 F-18과 F-16은 동체에서 날개로 갈때 (전면에서 보면) 훅하고 큰 굴곡으로 내려가죠. 반면 F-15와 F-22, F-35,KF-21은 부드럽게 연결되어 있어요.
@skij9911 күн бұрын
f-15도 스트레이크가 있나요? 날카롭게 설계된게 아니라 vortex가 생성되는지 잘 모르겠네요.
@어리바리-l3y8 күн бұрын
비행이 아름답게 느껴짐.
@고창환-k9z11 күн бұрын
KF21의 잠재력은 엔진에 있다고 봅니다. F414엔진 자체는 개발된 지 3~40년 정도 된 완숙한 모델이지만, 업그레이드 계획이 여럿 있고, 이것이 적용되기 시작하면 더 높은 추중비와 더 좋은 연비, 더 빠른 속도와 슈퍼크루징 유제능력의 증대 등... 앞으로의 무긍한 발전이 기대 됩니다!!
@서정헌-y1r11 күн бұрын
외항사로 갔다고하던데...잘 지내시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왔습니다
@서정헌-y1r11 күн бұрын
@@AJAEGOGO경호랑 함 봅시다. 밥사께...
@yongkim582611 күн бұрын
정답이 Vortex였군요. 역시 수퍼소닉을 지향하는 KF-21. 자랑스럽습니다.
@123qazqsx11 күн бұрын
기수쪽이 좀 더 길고 직경이 컸으면 하는데, 그럼 중형이상되어버리려나
@JJ-vg6vt5 күн бұрын
성능은 모르겠고 정말 이쁘게 생겼다
@안알랴줌-x9r11 күн бұрын
생각없이 눌렀는데 1시간도 안되었네!
@LSW-d4s3 күн бұрын
비알못의 질문하나....스텔스기들은 미,러,중 모두 후면 수직날개가 두개이고 v자형인데 이유가 있는건가요? 고수님들 답글좀 부탁드립니다.
@AJAEGOGO3 күн бұрын
레이다 난 반사를 위해서 입니다
@pkim599211 күн бұрын
F22에 배해 선회 기동시 wing tip vortex가 많이 발생함. 미사일을 달면 괜찮은 지는 모르겠음. 개선 사항?
@nuevo_go11 күн бұрын
자 이젠 제대로된 엔진 한번 만들어 봅시다 두산에너와 한화에어로 화이팅
@sungulee70639 күн бұрын
미국 중국 러시아 이런 앞서간 나라들 보다는 문제는 없어보이지만 기술적으로 설계가 미흡하단 뜻 같은.. 이해한게 맞는지 음
@AJAEGOGO9 күн бұрын
설계가 비슷하다는 이야기입니다
@JYC11 күн бұрын
KF-21 파이팅.....
@linktop449511 күн бұрын
보라매가 지금까지 두번 저속기동만 보여줬는데, 화면의 f16처럼 언제 고속기동을 보여줄지, 또 고속기동 성능은 어떨지 궁금하네요
슬랫의 일종이라고 봅니다. 작동이 주로 급상승 때 보이는 걸로 봐선 고받음각에 따른 항력을 줄이고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일 겁니다.
@답십리똥식이-h9e4 күн бұрын
F22랑 F35A는 진짜 디자인이 미쳤네
@UC0MWv5H3ZEOInYVjH1GfEoQ11 күн бұрын
실전에 투입되기 전에는 모른다
@HEALINGSOUND-k5p3 күн бұрын
대형기체로 더키우자
@shha8084 күн бұрын
근데 레이더 러시아 기술 사용 했음
@dawnwalker867211 күн бұрын
혹시 랩터와 보라매의 노즈부터 흡기구까지 이어지는 각진 동체의 형상도 약간의 lex 기능을 하지 않을까요? 스텔스 형상을 한 기체들의 중요한 포인트중 하나인데 블랙버드 처럼 뚜렷한 형태가 아니라서 단순히 스텔스 기능만 있는것이다 라고 생각할수 있지만 비행특성에도 영향을 줄수 있다고 봅니다. 예전에 기아 프라이드가 차제 좌우에 직선의 캐릭터라인을 블리스터 디자인이라고 명명하면서 나사의 새턴5 로켓처럼 공기 흐름을 정류시켜서 고속 주행에 특화되었다는 광고를 많이 했습니다... 솔직히 당시 웬만한 차량들은 고속 주행시 뒤가 흔들거리고 붕붕 뜨는데 프라이드는 유선형이 아님에도 착 가라앉아서 잘 달렸거든요.. 근데 랩터는 주익이 약간 하반각을 갖는듯 보이는데 골든이글이나 보라매는 상하반각이 없는 완전 수평익으로 보입니다. 스텔스 기능이라기 보다는 비행특성때문인듯 한데... 이유가 있을까요?
@adex15711 күн бұрын
제발 누구하나 다치는 사람없이 계획된대로 양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djkim928910 күн бұрын
일단 형상에서 50점은 먹고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kf-21이 이제 시작이라는 거… 창대할 나중이 기대됩니다!
@roage407211 күн бұрын
영상 속 전투기들 엔진 소리가 대부분 비슷한데 F22만 특이한 소리가 나는 것 같아요 서방제 특유의 쉬이이익 소리 같지만 그보다 조금 중저음 슈우욱 이라고 해야하나 같은 계열의 엔진으로 알고 있는데 왜 소리가 다른지 궁금하네요
@정두식-f2n11 күн бұрын
워낙 추력이 좋으니,,, 자동차와 비교하자면, 같은 속도라도 고배기량 고출력 차량이 저rpm 운행하듯? 이런 느낌인듯, 비교 설명이 적절한지 몰겄네요.
@심태홍-o1d10 күн бұрын
궁금하던 내용인데 감사😊카나드도 LEX같은효과가 생기나요?
@AJAEGOGO10 күн бұрын
카나드는 실속? 보다는 기동성 향상을 위해..
@jaysbar4u8 күн бұрын
KF-21에 보텍스 (Vortex, Vortices, Vapour Trail)가 안 보이는 이유는? 날씨가 너무 화창해서 일 겁니다. 수증기 응축현상이라 습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jso59211 күн бұрын
Su-57의 기동은 환상이네요 탑건에 나온 것보다 더 좋네요
@정지운-z4j11 күн бұрын
21 진짜 날렵하네요.
@김보광-d6r9 күн бұрын
설명은 모르겠고 그냥 비행기 멋있어서 계속봄..
@HL--li5us11 күн бұрын
항속과 기상 여건 등이 얼마나 차이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와류는 drag force에 치명적인 바, Pitch/Roll/Yaw 기동 시 최상급 설계임은 명확해 보입니다. 초음속 영역에서와 유사 극초음속 영역까지도 ...^^ 엔지니어로서 뿌듯한 마음 보냅니다.❤❤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
@피레스011 күн бұрын
파일럿 입장에서 봤을 때 kf21 플랫폼 자체로 한계가 있지요? 재설계해서 크기를 f15k급으로 키워야할까요?
인도네시아가 없었으면 사업도 못 갔고요. 인도네시아는 영토도 크고 인구도 많고 지정학적으로 우리의 해상 교역로 입니다.
@SHKim-uv4wo11 күн бұрын
KF21이 F16과 같은 베스트 셀러가 되길 희망합니다.
@___whoops10 күн бұрын
아무리 눈여겨봐도 엄마옷 입은 초딩 같아
@1nvincible41011 күн бұрын
스트레이크 대신 LEX를 채택한 스텔스 전투기들은 일반적으로 기존 전투기들에 비해 아/천음속 영역에서의 기동성능은 떨어지게 되나요?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그렇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아요
@박진수-d5u1b11 күн бұрын
f16 기동성 볼때마다 생각 했는데 이넘이 엔진이 두개 였으면... 어땠을까 하지만 진짜 베스트 셀러 기체다
@songroid484711 күн бұрын
하나인 이유는 단가랑 기동성 때문이었을 것 같지만 조종사들은 최근에 있었던 버드스트라이커든 뭐든 엔진 하나 문제 생겼을때 대비해서 2개 있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 같긴 하더군요.
@bluesky-t9t11 күн бұрын
KF21이 얼마나 잘 만들었는지를 잘 설명해주는 진짜 전문가네요. 지적호기심과 국뽕 둘다를 만족시켜줘서 감사합니다 ^^
@강매숙-b6z10 күн бұрын
박시몽박사에게 우리국민은 영원히 기억하고 감사해야한다.
@Byway-바이웨이9 күн бұрын
산업스파이 박시몽 박사님 감사합니다.. 이런분이 있기에 우리는 소중국과 다름없습니다..
@송종근-h4e11 күн бұрын
그냥 간단하게 말해서 수증기 응축현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MrHm2402889 күн бұрын
Kf-21n 가즈아
@김준석-t3w11 күн бұрын
Kf21이 중국전투기와 맞붙으면 누가더 살확율이 높을까요
@문상현-g8z11 күн бұрын
Kf21 단 하나의 단점 싸도 너무 싸다
@user-hgfrbs79 күн бұрын
10년전에 배치되었어야할 전투기.. 다른나라는 다 무인기 개발할 시간에 뒤늦은 유인기에 몰두라니..
@안달마11 күн бұрын
이건 보라매의 거동에 한정된 이야기입니다. 왜냐면 얼마 전에 su57이 성능을 자랑하는 시연을 중국에서 했었습니다. 연료 소비는 늘었을 것으로 보여지지만 전투기의 추력이랑 형상으로 한계를 무시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 같았습니다. 전투기도 인간이 탑승하는 기계라서 가속하고 정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땅에서처럼 선보였던 러시아의 su57은 기존에 고민했었던 한계를 극복하는 제안을 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엔진이 쎄고 날개가 크면 할 수 있게 되는 영역을 존재한다고 러시아가 보여줬기 때문에 다들 이를 추종하고 있으며 한국은 그런 전투기에 대응해야만 합니다.
@made3rdaccount11 күн бұрын
와 조회수 댓글 없음이라니
@황금어장-i8h8 күн бұрын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초록세상-k1r11 күн бұрын
KF-21, F-22도 LEX가 있다?🤔 F-5나 F-18 처럼 눈에 확 띄는 LEX가 아닌 연장부분이 있다는걸 처음 알았습니다. 아재님 다음 영상에서 자세한 설명 부탁합니다.^^ PS: 광고에 화장품 광고 같은데 배경이 아~파트~ 아파트 나오니 자꾸 아재님 생각남....^^;;
@AJAEGOGO11 күн бұрын
😂
@초록세상-k1r11 күн бұрын
@@AJAEGOGO아~파트 아파트 짜꾸 아재님 얼굴이 ㅋㅋㅋ^^
@lrh99k11 күн бұрын
@@초록세상-k1r 아파트가 알라트가 되는 기적 ㄷㄷㄷ
@초록세상-k1r11 күн бұрын
@@lrh99k 알라트가 뭔지요?
@초록세상-k1r11 күн бұрын
@@lrh99k 사우디아라비아의 기업. 공공투자기금의 자회사로 반도체, 스마트 전자제품, 미래형 건축 등을 생산하는 업체이다. 이건가요? ^^
@참새-p7b11 күн бұрын
밑에 정치글로 발광하는 애들 전부 차단 좀 해줘요.
@박동배-x4h11 күн бұрын
국방과 정치와는 뗄수없는 관계입니다 정치에 무관심은 날씨에 무관심하고 바다를 항해하는것과 같습니다
@참새-p7b11 күн бұрын
@@박동배-x4h 1찍이니 2찍이니 하면서 개인을 숭배하는 극단적인 광신 행위가 국방에 필요한 정치 행위로 보입니까?
@블루로즈-u9z11 күн бұрын
21 은 아직 멀었음 !!! FA -50 업글 계속해서 어느정도 더 제작해서 버티다 21 이 완벽하다 싶으면 이미 필리핀등서 인정 받은 50은 조금 싸게 중고로 필리핀등에 팔면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