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sub) 10-minute summary of the Hittites

  Рет қаралды 160,374

지식트리

지식트리

3 жыл бұрын

◈ Turn on the KZbin subtitles. ◈
(English subtitles)
#Hittites #Ancient_Anatolia
The owner of ancient Anatolia was the Hittites, who are rarely seen in history books.
The Hittites existed from B.C. 1600 to B.C. 1200.
And when they were falling, the Trojan war happened in Anatolia.
The Hittites, who lived in ancient Anatolia, weren't really known for their achievements
such as competing equally with the golden days of Egypt and Babylonia until 200 years ago because of lacking records.
Kevin MacLeod's A Little Faith - Bitter Suite is licensed by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creativecommons.org/licenses/....
Source: www.amazon.com/Bitter-Suite-Ke...
Artist: incompetech.com/

Пікірлер: 170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 유튜브 자막기능을 켜보세요. ◈ - 한국어 자막/English subtitles 스마트폰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점 3개를 누르시면, 자막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 유튜브 자막기능을 켜보세요. ◈ - 한국어 자막/English subtitles 스마트폰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점 3개를 누르시면, 자막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user-hb4uf3ws1t
@user-hb4uf3ws1t 3 жыл бұрын
중학생때 하늘은붉은강가 만화책 보고 한동안 히타이트역사 공부했엇는데 오랜만에 보는 이름이네요 히타이트 ㅎㅎ 너무 좋은영상이에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오. 그렇죠. 90년대에 유명한 만화였죠. 여고생이 히타이트로 ^_^ 영상 재미있게 봐주셔셔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
@scipio9292
@scipio9292 3 жыл бұрын
저도 재밌게 봤는데
@bakelee257
@bakelee257 3 жыл бұрын
찌찌뽕 맞아요~ 히타이트하면 하늘은 붉은강가
@hyeonjingwak1501
@hyeonjingwak1501 3 жыл бұрын
저도 잼있게 봤는데
@user-vk6zj7kh2h
@user-vk6zj7kh2h 2 жыл бұрын
워..하늘은 붉은 강가 와 ...아는 분 얼마 없는데
@writer550
@writer550 3 жыл бұрын
전혀 모르고 있던 부분을 영상과 함께 자세한 설명을 들으니 모르는 문물을 느끼게 되네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히타이트에 대해서는 거의 잘 알려지지 않은 편이죠. ^_^ 재미있게 봐주셔셔 감사드립니다.~
@nere4210
@nere4210 3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어용 ❣❣❣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봐주셔셔 감사드립니다. ^___^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user-rl7zx6qh7f
@user-rl7zx6qh7f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 법. 현대 그것도 민주주의 사회와 비교해도 크게 손색이 없네. 그 먹고살기 살벌하고 전쟁과 약탈 강도 살인질이 일상인 고대에 저런 사고를 하고 있었다니 놀라울 따름.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그렇죠. 특히나,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었는데도 상당히 고도로 발달된 법체계를 갖고 있었는 것 같습니다.
@borio982
@borio982 3 жыл бұрын
나라 이름도 길고, 왕 이름도 길고, 역사도 복잡한데 잘 정리해주셨네요. 숨 한번 안 쉬고 말씀 한번에 막히지도 않고 술술 하시는 것 대단해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오후 시간 보내세요. ^^
@jinjoo227
@jinjoo227 2 жыл бұрын
구약을 공부하며 아나톨리아 땅에 대해 늘 궁금했어요. 매우 감사합니다. 간결하고 신뢰가 가는 내용이 특히 감사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2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봄날이 다가온 3월. 평안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gypgoodandtruth6783
@gypgoodandtruth6783 3 жыл бұрын
오오 히타이트 역사는 이렇게 디테일하게는 처음 보았어요 잘 보았습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오오오 재밌게 봐주셔셔 감사합니다. ^_^ 행복한 밤 되세요~
@slow0303
@slow0303 3 жыл бұрын
아...이거보니 갑자기 하늘은 붉은강가 마렵네요... 당장 보러가야만...!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오! 안그래도 이 영상을 보고, 붉은강가 떠오르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_^ 추억의 명작. 즐감하세요~
@helen5732
@helen5732 2 жыл бұрын
ㅋㅋ저는 반대로 거기서 이쪽으로 왔네유 키키키키 비슷한 이름과 시기별 다툼과 병까지 큰 틀이 비슷해 설레이는 10분이었습니닼ㅋㅋㅋㅋㅋ
@user-mo8bz3ip6f
@user-mo8bz3ip6f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 너무 궁금 했었는데 감사합니다 세계사 책에 나오는 잠깐 나오고 사라지는 나라나 민족들 이렇게 다뤄주세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재미있게 봐주셔셔 감사합니다. ^_^ 말씀하신대로 잠깐 나오고 사라지는 나라나 민족들에 대해 차차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도 공부도 하며, 부담없이 재밌는 채널을 만들어가려구요. ㅋㅋ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주말 보내세요. ^_^
@johnnyzone72
@johnnyzone72 3 жыл бұрын
정말 완벽한 정리네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알차게 봐주셔셔 감사드립니다. 일요일 오후 평안한 시간 보내세요.
@RAIN-rv9kr
@RAIN-rv9kr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어용
@G_seektree
@G_seektree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
@user-vq1uq4fc3x
@user-vq1uq4fc3x Жыл бұрын
진짜 최고십니다~
@G_seektree
@G_seektree Жыл бұрын
김나은님 칭찬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_^ 부지런히 열심히 영상을 제작해 나가겠습니다. 기분 좋은 하루 보내세요~
@garden0901ify
@garden0901ify 3 жыл бұрын
외국 사는 초4 엄마입니다. 아이가 역사를 배우는데 한국 엄마입장에서 낯선 역사라 설명햐주기가 어려웠는데...더구나 히타이트로 발표한가길래..이래저래 혼자 공부하다 귀한자료를 보고 구독하고 갑니다 초기 4대 문명을 4학년 내내 하네요....계속 보게 될듯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 생각해주셔셔 감사합니다. 회사나 전문 기관이 아니라 집에서 제작하는 부분이라 참고바랍니다. 아울러, 재생목록중 10분 세계사를 보시면 좀 더 용이하게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centurionkwk
@centurionkwk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의 법제도 얘기는 처음 접하는 이야기였습니다. 아주 좋은 정보 잘 배우고 갑니다. 채널 구독할게요. 감사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 생각해주셔셔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알찬 채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평안한 밤 되세요.
@soc7009
@soc7009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감사드립니다. ^_^ 따뜻한 하루 보내세요.
@adamkarlmon8115
@adamkarlmon8115 3 жыл бұрын
그나저나 도대체 바다민족은 어느정도 규모였길래..... 아무리 히타이트가 내부혼란으로 휘청거렸다고는 하지만 엄연히 대도시를 거느린 고대 국가인데 한순간에 멸망에 이르고 미케네 이집트 할 것 없이 동지중해 고대문명사회가 하나같이 작살이 나는걸까.... 우연찮게 영상을 접하게 되었는데 진행이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좋네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그렇죠. 항상 고대사에서 빠지지 않는 바다민족은 히타이트 미키네와 이집트 그리고 메소포타미아 지방까지 초대규모의 해적같은 느낌이랄까요 -_-;; 영상 칭찬해주셔셔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nni9310
@nni9310 3 жыл бұрын
Rare to see a mini-documentary on the Hittites by someone from Korea or East Asia.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Thank you for watching. Korean is correct. :) Have a happy day!
@user-nl1ee8qd3s
@user-nl1ee8qd3s 3 жыл бұрын
고대 사회인데도 그 당시 다른 강대국들보다 상당히 개방적었네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아주 오래전 시대인데도 문화적으로 발전을 많이 한 국가로 여겨집니다.
@helen5732
@helen5732 2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선진국이 아닐까 싶습니다! 올바른 판단과 역량! 믿고 함께하는 사람들! 그 시대의 사회는 어떤 생각을 갖고 있었을지 궁금하네요 ㅎㅎ
@hongwonsuk5057
@hongwonsuk5057 3 жыл бұрын
오 재미있네요. 히타이트. 성경에는 헷 족속이라고 나오죠.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셔 감사드립니다. 성경에 대한 참고 말씀도 감사드리며 평안한 오후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jelee1897
@jelee1897 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아주 옛날 철기문화하면 히타이트였던 기억에 봤는데 대단한 나라였네요 ㅎㅎ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이른 철기 문화의 도입으로 상당한 강대국 중 하나였습니다.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_^
@user-uv2mg2dg6g
@user-uv2mg2dg6g 3 жыл бұрын
고대사에서 끊임없이 등장하는 바다민족에 대한 내용도 한 번 다뤄주세요! ㅎㅎ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ㅎㅎ 넵. 언젠가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노력을 해보겠습니다 ^^; 바다민족에 대한 이야기는 워낙 자료 등이 없어서 난이도가 많이 높네요. ㅋㅋ 재밌게 봐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저녁 시간 보내세요.
@junpark4007
@junpark4007 3 жыл бұрын
이걸 보니까 무심코 옛날 사람들이 더 무식했을거라고 여겼던 제 자신이 부끄럽네요;; 잘 보고 갑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 시청해주셔셔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go6by9cc1m
@user-go6by9cc1m 3 жыл бұрын
나중에 되신다면 이솝우화의 이솝에 대해서도 다뤄주시기 바랍니다. 소아시아 출신이라는 말이 있는 데 아직도 출신에 대한 말은 나오더군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영상 시청해주셔셔 감사합니다. ^^ 이솝이 워낙 정보가 적은 인물이라... 나중에 고민하면서 여러 이야기로 엮어보겠습니다..^^; 현재, 많은 분들이 원하는 이야기들도 많아서..아마 이솝 관련 이야기는 내년 봄쯤에 대본을 구상해보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 즐겨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밤 되세요~
@user-tn1yw7uo9p
@user-tn1yw7uo9p 3 жыл бұрын
그리스인 아닌가요?
@user-rw8rq1li1y
@user-rw8rq1li1y 3 жыл бұрын
10초 전이면 못참지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저녁 시간 되세요.
@leociel0414
@leociel0414 2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는 굉장히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선진적이였고 당시 다른 문화권에 비해 진보적인 성격을 띄어서 인상깊은 국가. 왠지 우리민족의 국가인 단군조선, 고구려, 발해가 떠오르는 강인한 철의 국가
@G_seektree
@G_seektree 2 жыл бұрын
넵.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zr7jq7bh5g
@user-zr7jq7bh5g 3 жыл бұрын
카메라를 보면서 얘기하는 게 좋을 거 같네요 다른 곳을 보고있으니깐 뭔가 산만한 느낌이 들어서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groove1y462
@groove1y462 3 жыл бұрын
문화나 개방적인 태도가 21c급이였다는 생각이들 정도네요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팍팍했던 규정보다는 새로운 문물에 대해서도 오픈하는 국가였던 것 같습니다.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juniehk1
@juniehk1 3 жыл бұрын
힛타이트에 엄청나게 큰 도서관이 있었다는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셔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
@user-gp4iv2be4g
@user-gp4iv2be4g 3 жыл бұрын
람세스2세.. 역사소설 에서 이집트와 자주 전쟁하던 군사강대국...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히타이트가 빠른 철기문명의 도입으로 인해 군사강대국이었죠.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user-gp4iv2be4g
@user-gp4iv2be4g 3 жыл бұрын
@@G_seektree 네~ 감사합니다 좋은 역사강의 계속 부탁 드립니다
@zigiss
@zigiss 3 жыл бұрын
왕비가 제사장이라. 모계사회의 흔적이 조금이라도 남아있던 사회인듯.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1967IlIlIl
@1967IlIlIl 3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외부민족이 세운 국가다보니 유목국가의 체계가 일부포함된듯
@user-ot6wg6oz2h
@user-ot6wg6oz2h 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드립니다. 좀더 히타이트에 대한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첨언하자면 히타이트는 제국이라고는 하지만 판쿠라는 귀족회의에 의해 견제를 받는 연합왕국에 더 가까운 나라입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가야와 같이 수많은 도시국가가 모인 연맹왕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히타이트의 쇠락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이 있지만 최근 의견으로는 바다민족의 침입 이전에 이미 내분으로 인해 하투샤가 황폐화되었다는 게 대세입니다. 카데시 전투 이후에 적장자 계승이 아닌 동생에 의한 왕위 찬탈이 한 번 더 이루어졌고 판쿠에서 이런 왕위의 명분에 대해 많은 이의를 제기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바다민족이 침입하기 얼마 전 하투샤의 마지막 왕이었던 수필룰라우마 3세의 파병요청에 바빌로스의 왕이 넌 나의 왕이 아니다라고 하며 거절했던 편지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수필룰라우마 3세는 이후 알 수 없는 내분으로 하투샤를 떠났고 바다민족이 하투샤를 침공하게 됩니다. 이후 떠난 히타이트 왕족들이 어딘가에 도시를 세운 흔적은 발견되었지만 그 이상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아주 자세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좀 더 영상을 알차게 제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_^ 유익한 댓글로 저도 배워갑니다.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행복한 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bryanhfuller7937
@bryanhfuller7937 3 жыл бұрын
Before the Hittites it was Urartu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Yep. Thank you. Have a peaceful day.
@user-pj7le9oe1o
@user-pj7le9oe1o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와 불교수용 전의 신라가 유사한 점이 꽤 많은 듯 여겨집니다. 신라 금관은 왕비가 제사장 자격으로 쓴 관으로 거의 학설이 굳어지고 있고 왕은 한 체급 아래인 은관 왕관을 썼다는 것으로 역사스페셜에서 유골 발굴을 토대로 결론 내리더군요. 왕이 아들이 없으면 사위가 계승하는 것도 신라와 같은데 진평왕이 선덕여왕을 후계로 삼은 건, 백제 무왕(선화공주의 남편일 경우)이 후계자 지위를 요구할 것으로 우려해 고육지책으로 천명공주의 남편도 배제하고서 딸을 왕으로 세울 수 밖에 없었던 게 아닐까 하는 추정을 역사스페셜에서 조심ㅈ스럽게 제기하더군요. 의자왕이 집요하게 신라를 공격한 건, "(의자왕이 선화공주의 아들일 경우) 신라는 내꺼다"는 이맹희 씨가 이건희 회장을 상대로 벌였던 상속 소송과 같은 논리일 수도 있었지 않았을까요?^^ 왕조국가에선 다 왕의 재산이니만큼, 영국ㅡ프랑스간의 백년전쟁의 시작 배경과도 맥락은 유사한 게 아니었을까요? 프랑스 노르망디 공국의 공작이 영국을 정복하고서 영국왕이 되었지만 꽤 오랫동안 프랑스 왕에겐 '신하'였듯이요^^ 삼국사기에선 선화공주 자체를 아예 언급도 안 했지만, 삼국유사에선 진평왕의 세째공주로 언급한 건 양쪽 다 '정치적' 그리고 가문 상의 고려를 한 게 아닐까 추정 됩니다^^ 선덕여왕이 장녀이고, 선화공주는 둘째, 천명공주가 세째였을 개연성이 크다고 봅니다. 김부식이 신라 정통론에 입각해 삼국사기를 집필한 건 다 아는 바이고, 그래서 선화공주 자체도 언급 안 한 듯 보이고요, 일연스님도 신라 왕족인 경주김씨이기에 세째로 언급한 듯 보입니다. 백제 성왕과 의자왕의 신라 후계자 시비를 피해가면서 미륵사 창건이 선화공주의 공이란 걸 내세워 '지역감정'을 잠재우려는 고도의 정치적 장치란 거죠 ^^ 만일 제가 김부식의 위치였다면 일연스님처럼 세째공주로 기록하는 역사왜곡을 했겠다고 실토합니다 ^^ 저의 조상들도 3국통일 때 신라인이었으니까요^^ 이 정도의 역사왜곡은 '귀요미' 아닐까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히타이트의 존재 시기는 기원전 1600 년경에서 기원전 1200년경까지 정도로 인류 문명의 최초 문명에 속한다고도 할 수 있는데 남겨진 기록이 거의 없어서 이집트 문명이나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비해 그 인지도가 떨어지더라구요. 후세로 가면서 기원 후 쯤 되면 전 세계의 대부분의 나라가 왕 자체가 국가인 경우가 많은데, 히타이트의 정치 체계는 왕과 왕비, 귀족회의의 세 주체 자체가 권력이 분산되었다고 하네요. 왕비가 왕의 종속적인 위치나 대체제로 군림했다기 보다는 왕과 왕비 자체가 서로 별개의 위치였다는 거죠. 그러니까, 왕의 정비라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타와난나(제사장+왕비)가 된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고대 사회에서는 보기 드물과 여성의 지위에 대해 독립적으로 마치 현대 사회에서 추구하는 삼권분립같은 모습을 보였다고 하네요. ^^
@user-pj7le9oe1o
@user-pj7le9oe1o 3 жыл бұрын
@@G_seektree 감사합니다😍
@jpjp1202
@jpjp1202 3 жыл бұрын
뭐하시는 분이신대 이렇게 잘 아시는지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회사나 전문기관이 아니고 ^^; 집에서 공부하며 제작하는 일반인입니다. 촬영도 모두 방에서 촬영하는거에요. ㅎㅎ 좋게 봐주셔셔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오후 시간 보내세요.
@user-tv3xd4sz3l
@user-tv3xd4sz3l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가 더 오래유지됬었다면 하는 생각이드네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아주 고대사회 기준에서 상당히 발달된 사회질서 의식이었다고 할 수 있죠.
@sukim0418
@sukim0418 3 жыл бұрын
깊이 있는 방송 감사드립니다. 바다민족에게 여러 제국들이 멸망하는데 도대체 바다민족의 정체가 뭘까요? 도리아족에게 밀린 그리스반도에 있던 민족이 아닐까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바다민족은 기원전 18세기에서 기원전 12세기쯤에 주로 활동한 민족이라고 합니다. 히타이트를 비롯하여 주변의 메소포타미아 문명에 대한 공격, 이집트, 그리스에 대해서도 영향을 끼치다가 사라진 아직 거의 밝혀진 바가 없는 민족들이라 하네요. 말씀하신 시기와 맞물려 그리스반도에서도 자취를 감춘 것 같습니다. 재미있게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
@sukim0418
@sukim0418 3 жыл бұрын
자세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user-ph9ou1ny6n
@user-ph9ou1ny6n 3 жыл бұрын
우랄 알타이어족은 더 이상 지지를 받지 못하는 학설입니다.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감사합니다. 좀 더 노력하겠습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hyunwoohan9517
@hyunwoohan9517 3 жыл бұрын
지구 생성이 40억년 역사. 지금 알고 있는 것은 겨우 1만년의 역사. 4억년 사이 지구에서 어떤 일들이 일어났는 지를 자세히 알 수 없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waffeluft2839
@waffeluft2839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우리의 언어가 알타이 어족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에는 그것도 아닌 고립어로 인정받는 추세라 교과서에서도 해당 내용이 빠진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G_seektree
@G_seektree Жыл бұрын
부족한 영상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좀 더 노력하는 채널이 되겠습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wx7ox8tx1z
@user-wx7ox8tx1z 3 жыл бұрын
삼권분립 지리넹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 재밌게 봐주셔셔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qc6wd5dk7w
@user-qc6wd5dk7w 3 жыл бұрын
디테일하다 → 자세하다. 세밀하다 디테일하게 → 자세하게, 세밀하게, 상세하게 글씨수도 적어 경제적이고, 정확하고 아름다운 한국어를 발굴하여 강의를 하면 더욱 좋은 영상이 되겠네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user-pj7le9oe1o
@user-pj7le9oe1o 2 жыл бұрын
오늘 다시 경청해보니~ 신라와 닮은꼴이 너무 많네요^^ 황남대총에서 금관은 왕비(제사장)가 썼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 왕은 은관을 썼을 것이란 점 등등~^^ 감사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2 жыл бұрын
강대봉님덕에 저도 참 많이 배우고, 몇번씩 봐주신다니 너무 큰 감동을 받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취미삼아 제작하고 있는데 이렇게 찐~하게 즐겨주시는 덕에 큰 보람을 느끼게 되네요. ^_^
@user-pj7le9oe1o
@user-pj7le9oe1o 2 жыл бұрын
@@G_seektree 🍀🌺💜
@kskdlxmable
@kskdlxmable 3 жыл бұрын
하늘은붉은강가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여고생이 무르실리 2세와 사랑에 빠진 작품으로 아주 유명한 작품이더군요. 저도 소싯적에 꽤나 많은 만화책을 보긴 했지만, 아무래도 순정풍은 상대적으로 덜 본 케이스입니다.
@kskdlxmable
@kskdlxmable 3 жыл бұрын
@@G_seektree 하투샤에서 바람의계절에 철기를 생산하는 내용도 나오고, 이집트와의 관계도 나오는 등 꽤 고증에 충실한 작품이에요
@user-pt1uw9em2l
@user-pt1uw9em2l 3 жыл бұрын
저 법은 현재의 스웨덴법과 비슷하네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스웨덴 법에 대한 관심도 많으시군요 +_+ 시청 및 말씀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_^
@user-sh4jm3se3d
@user-sh4jm3se3d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 혼자서 문화트리찍고있었네 ㄷㄷ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오우 스타크래프트가 생각나는 트리군요. 문화의 발달을 보여준 히타이트 입니다 +_+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저녁 시간 보내세요.
@user-op7nw1vq5m
@user-op7nw1vq5m 3 жыл бұрын
방송을 보고 이야기를 듣고 하니 놀라우리 만큼 고구려와 비슷 합니다. 고구려는 계루부가 왕족. 소노부가 왕비족. 5부제 는 귀족 회의. 개념과 같고 법이야 엄격하고 그랬지만 여성의 위치는 분명히 조선 왕조 보다 나았으니 또한 비슷해 보이구요. 그 영토의 크기 하며 강력한 군사력. 중심 문명권 세력 국가 와의 대립 경쟁 갈등 의 역사. 많이 오버랩 되는 군요. 고스트 바스터 영화에 나오는 최종 보스가 히타이트의 악마 인가 그렇구요 시고니 위바가 나오는 영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오. 그렇군요. 고구려 역사에 대한 이야기 감사드립니다. 예전에 우리나라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들도 참 잘보고 그랬는데, 덕분에 추억도 새록새록 떠오르네요. 고스트바스터에 시고니 위버까지 아주 반가운 댓글입니다. ^_^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밤 되세요~
@snutea7505
@snutea7505 3 жыл бұрын
신라의 왕비들이 초기에 제사장 역할을 했습니다 신라 초기에 사위가 상속하는 사례들이 나오죠. 박혁거세의 왕비 알영을 왕과 함께 즉위하거나 가야의 시조 설화를 봐도 한반도 남부 세력은 왕비가 제사장이나 독립적 권력집단의 대표성을 띠는 것 같아요. 고대사회에 흔히 나타나는 양상이기도 하고요
@user-hw4io4fj5g
@user-hw4io4fj5g 3 жыл бұрын
여성의 위치가 조선보다 나았다는 표현은 틀린 표현이에요. 조선 초중기인지, 말기인지 정확하게 표현을 해 주는게 올바른 표현인거 같아요.
@user-lk4ty8yw9o
@user-lk4ty8yw9o 3 жыл бұрын
@@G_seektree 계통으로 따지면 흉노계 북방민족이죠. 뭐 그렇다고 한민족은 아님. 같은계통의 다민족으로 봐야됌 이걸 한민족으로 보니 환빠들이 까이고 안받아들여지는거쥬. 신라는 투르크계고 투르크계 공동역사서에 신라가 들어갈수도 있음
@lowlanz
@lowlanz 3 жыл бұрын
바다민족은 대체 뭐였...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기원전 18세기에서 기원전 12세기경의 기록에 등장해, 히타이트를 멸망시키고 일대 오리엔트 문명, 그리스, 이집트를 공격해 막대한 피해를 입혔던 정체불명의 민족이라고 합니다.
@gisoohur5973
@gisoohur5973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는 유목민족의 특성을 가진것 같네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시청 및 말씀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fj2pr7sk7n
@user-fj2pr7sk7n 3 жыл бұрын
나는 영상 뜨자 말자 주욱 시청!👍👏🙏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우오오오오 ~~ 완전 감동의 응원. 크으으!! 눈물납니다 ㅜㅜ 양씨형님 수요일 밤 건강 잘 챙기는 저녁 시간 되세요~
@chojsandsol
@chojsandsol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 라는 이름은 누가 붙였나요? 궁금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라는 명칭은 이 국가를 건설했던 '하티족'에서 유래한다고 합니다. 이집트 상형문자 파편에서 'ht'라는 표기가 있어 이집트학 전문가들이 이를 하티라고 해석했습니다.
@chojsandsol
@chojsandsol 3 жыл бұрын
@@G_seektree 감사합니다. 그러니까 당시에 불린 이름이 아니고 후대에 역사가들이 붙인 이름이군요?
@kimjunggee
@kimjunggee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가 망하지 않았던들 세계는 좀더 관대하고 평화로웠을 꺼라 본다 그이후 로마가 계승하고 지금은 미국이 뒤를 따르고 있지만~ 위대한 인간의 정신을 거의 모든 나라는 알지도 못하고 알아도 욕심으로 포악한 정치를 택했다 미국이 계속 주도하는 세계가 되길 ~ 중공 러시아 인도 등 보다는 백만배 나으니~ 유튜버님의 영상은 짜임새 있게 잘 구성해서 시간 가는줄 모르겠다 ^^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히타이트 이후에 나타나는 여러 국가들에 대한 세계적인 흐름에 대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맛점하시고, 따뜻한 가을 햇살 만끽 하시는 하루 되세요 ^_^
@3white464
@3white464 3 жыл бұрын
성경에서는 힛타이트인을 헷족속이라 소개함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hp7zb2mm9e
@user-hp7zb2mm9e 2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 문명이 오늘날 터키군요. 요한계시록 일곱 교회도 터키에 있었고, 사도 바울의 고향 다소도 터키에 있는 데, 오늘날 터키가 이슬람 국가인 것은 안타까움.
@G_seektree
@G_seektree 2 жыл бұрын
넵. 고대 히타이트에 대한 이야기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paxyujina2024
@paxyujina2024 10 ай бұрын
이슬 람 은 안되는 감요
@user-hk7rb9sz4k
@user-hk7rb9sz4k 3 жыл бұрын
정말,,윗 영상을 보니 크리스티앙 자크가 얼마나 히타이트 사람들과 역사를 이집트랑 비교하면서 폄훼하고 왜곡했는지 확실히 알겠어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모든 국가에서는 장단점이 같이 존재하니 특정한 단점만을 부각시키는 묘사는 그리 좋은 습관은 아닌듯 합니다.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
@catndice
@catndice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가 바다민족에 의해 멸망한 걸로 알았는데 기원전 717년까지 존속되었군요..그리스도 바다민족에 의해 멸망수준이여서 그때는 암흑기였으니.. 바다민족의 정체는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여러 설이 있는 걸로 아는데 ...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바다 민족에 대해서는 많은 역사학자들의 의견이 분분한것 같아요. 언제 정보들을 취합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qw9qs2ld3k
@user-qw9qs2ld3k 3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이네요👍🏻 구독과 좋아요 했습니다. 다만 목소리녹음을 좀 신경써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약간 먹어들어가는?? 사투리섞인??? 목소리여서 호불호갈릴것 같아요. 남성보다 여성이면 더 좋을듯..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타고난 발음이 안 좋아서, 본의 아니게 죄송합니다. 전문 기관이나 회사가 아니고 집에서 대본, 녹음, 자료서치, 편집 하는 작업이라 부족하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편의를 위해 youtube 우측 상단 점 3개를 누르시면 모든 영상에 한글 자막 처리를 해놓았으니, 참고해주세요.
@user-qw9qs2ld3k
@user-qw9qs2ld3k 3 жыл бұрын
아 그렇군요!! 말씀을 또박또박 크게 해주셔서 자막없어도 잘들려요^^ 한가지더, 영상분류를 경제/문화/역사/세계 이런식으로 나누시면 더 깔끔하실 것 같아요~~애청할게요!
@Dong9.H.k
@Dong9.H.k 8 ай бұрын
나도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라고 하는대 그러한 말이 이시대에 있었구나 우리선조가 법규를 관리하고 있었나봐 맞불도 그보다 더위가 있어야 이길수 있다는건 어디에서 유래된걸까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3 жыл бұрын
한국어 일본어는 우랄알타이어족이 아니고 고립어나 한일어족으로 구분됩니다. 우랄알타이어와 한일언어는 근본적으로 완전히 다른 언어임. 어순만 같을뿐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저녁 시간 보내세요.
@kiwoonyoonknowledge6955
@kiwoonyoonknowledge6955 3 жыл бұрын
중국어와 베트남어가 중국티베트어족이라고 설명하신 시점부터 엥?하고 봤습니다. 베트남어는 중국티베트어족이 아닌데엽..아니라고 알고있는데 어떤 자료를 참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한국어와 일본어를 우랄알타이어족이라고 설명한 것 까지 들으니 뭔가 옛날 자료를 참조하신것 같은데...뭐를 참조하셨는지 궁금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해당 내용은 'Basic 고교생을 위한 지리 용어사전'라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관심있게 봐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오후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user-jy6ii7lx6c
@user-jy6ii7lx6c 3 жыл бұрын
우랄 알타이어족은 음운대응 규칙 못 발견되어서 사장된 이론입니다 알타이어족은 없어지고 우랄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튀르크어족 네가지로 나뉘고 한국어와 일본어는 단일어족 즉 한국어족과 일본어족을 구성합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부족한 영상 시청 및 말씀 감사드립니다. 편안한 주말 보내세요.
@user-ul3tq9pb8j
@user-ul3tq9pb8j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우랄 알타이어족 설은 폐기 되었다는데 사실인가요?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저도 예전에 배울 때는 우랄 알타이어라고 배웠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한국어는 고립어라는 주장이 주류인듯 합니다.
@faintcorona1726
@faintcorona1726 3 жыл бұрын
학자들이 미친것 같아요. 한국어와 일본어는 어순도 같지만 문법이 90%이상 일치합니다. 근데 뭔 고립어가 되죠? 알타이계가 맞습니다.
@tskk614
@tskk614 3 жыл бұрын
@@faintcorona1726 1930~50년대까지 최초로 우랄알타이어설을 만든 핀란드, 헝가리 학자들이 60년대 들어 일제히 한국어와 일본어의 우랄 알타이어설은 현 싯점까지(60년대) 증거가 전혀 나오지 않았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하며 확실한 연구가 진행되기 전까진 보류해야한다고 자신들의 학설을 수정함. 이렇게 원조 학자들이 한국어와 일본어의 우랄알타이설을 부정해왔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어학자들은 초기의 학설만 아는 바람에 정말 한국어가 알타이계인줄 알았음.
@tblfs
@tblfs 2 жыл бұрын
내용은 너무 좋은데 사투리 땜에 그런지 잘 못알아 듣겠습니다
@G_seektree
@G_seektree 2 жыл бұрын
타고난 발음이 안 좋아서, 본의 아니게 죄송합니다. 전문 기관이나 회사가 아니고 집에서 대본, 녹음, 자료서치, 편집 하는 작업이라 부족하더라도 양해 바랍니다. 편의를 위해 youtube 우측 상단 점 3개를 누르시면 모든 영상에 한글 자막 처리를 해놓았으니, 참고해주세요.
@Miles_Link
@Miles_Link 3 жыл бұрын
아낙수나문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tjsghd788
@tjsghd788 2 жыл бұрын
캡틴 동생같아 외모나 지식이나 말투나 목소리나
@G_seektree
@G_seektree 2 жыл бұрын
ㅎㅎ 그런가요. 아마 캡틴님이 30 대 후반쯤인것 같은데 저는 40대 중반이거든요. ^^; 캡틴님 영상 보면 부산분이신것 같은데 제가 고향이 대구이다보니 경상도 억양이 있죠 ^^
@user-st8xo8ex5j
@user-st8xo8ex5j 3 жыл бұрын
도대췌 바다민족은 뭐하는 놈들이여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그렇죠. 고대사에서 어김없이 등장하는 바다민족은 수백년동안 여러 국가에 타격을 입힌 민족이더라구요.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st8xo8ex5j
@user-st8xo8ex5j 3 жыл бұрын
@@G_seektree 찾아보니 바다민족이 우리 한민족라는 사이비도 있네요 쿠르드족이 우리랑 같은 민족이라고 하네요 코레아= 코레=크루
@krauskim7662
@krauskim7662 3 жыл бұрын
@@user-st8xo8ex5j 쿠르드족은 기본적으로 유목민족입니다. 그래서 터키-몽골-만주까지 광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던거죠. 지금도 그렇지만 그 당시는 유목과 해양선박은 극과극의 문화임
@kwjeong5637
@kwjeong5637 3 жыл бұрын
지금 우리나라보다도 더 민주적이고 합리적이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고대 국가에서 보기드물게 법이 민주적으로 발달한 국가로 여겨집니다.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user-iz1gq7oq3p
@user-iz1gq7oq3p 2 жыл бұрын
혀가 짧은건지 축농증인지..열심히 하시길
@G_seektree
@G_seektree 2 жыл бұрын
비인님.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쌀쌀한 가을 날씨. 건강 잘 챙기시는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paxyujina2024
@paxyujina2024 10 ай бұрын
난잼나는데 댁은 이것도 못하잖아 남 흉보지 마삼 격려 해주지 못할 망정
@user-rn2qn3ik5f
@user-rn2qn3ik5f Жыл бұрын
사투리 ㅋㅋ
@G_seektree
@G_seektree Жыл бұрын
루루님. 시청 및 말씀 감사합니다. 무더운 여름, 건강 잘 챙기시는 하루 보내세요.
@shim2517
@shim2517 3 жыл бұрын
히타이트가 인도유럽 어족일까? 오히려 한국 사람처럼 보이는데? 분류법이 맞는 것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일입니다.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넵. 감사드립니다. 찾아본 자료를 바탕으로 영상을 제작했으나 오류가 있을 수 있죠.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하루 보내세요.
@tskk614
@tskk614 3 жыл бұрын
전세계의 고대문명은 환단고기에 나온것처럼 단군 할아버지가 만든겁니다. 당시 이집트, 히타이트, 바빌로니아, 중국은 대조선의 식민지였었고, 나중에 말을 잘 안듣는 바람에 단군 할아버지가 100만 대군을 보내서 멸망시켰다고 합니다. 이건 클레오파트라의 속옷게 적혀있는 비사인데, 학자들이 수천년동안 숨겨왔다고 합니다. 환빠들은 모여라~~~!
@_behbae_
@_behbae_ 3 жыл бұрын
뭔가 말투가 문재인 같음 (비방x)
@G_seektree
@G_seektree 3 жыл бұрын
발음이 먹는 발음이라 비슷한 측면이 있죠. 시청해주셔셔 감사드리며, 평안한 밤 되세요.
(English.sub) Story of the brutal Assyrian Empire in 10 minutes
11:37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65 МЛН
Omega Boy Past 3 #funny #viral #comedy
00:22
CRAZY GREAPA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잘나가던 스페인은 어쩌다가 몰락했을까?
9:23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The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earliest Big Bang to the earliest civilization
15:52
쏨작가의지식사전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세계 최초의 제국. 수메르 (부제 : 에덴쟁탈전)
15:01
저스티스
Рет қаралды 157 М.
[세계사] 문명의 탄생!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 곰브리치 세계사 1부
58:01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503 М.
신바빌로니아 역사 속 바빌론
24:53
인문학이랑
Рет қаралды 790 М.
(English.sub) Cyrus the Great of Persia and The Media Empire
14:10
지식트리
Рет қаралды 31 М.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6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