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k 400 hours to make a superconductor... This really works?(LK-99)

  Рет қаралды 1,175,046

긱블 Geekble

긱블 Geekble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 100
@geekblekr
@geekblekr Жыл бұрын
초전도체 실험 디테일이 궁금하신 분은!!! 키쿠의 연구노트 보러 가기 -> cafe.naver.com/geekbleofficial/16805
@happysinthsizer1851
@happysinthsizer1851 Жыл бұрын
해심명 연구소 유튜버 찾아가보세요 잘 만듬...
@happysinthsizer1851
@happysinthsizer1851 Жыл бұрын
진짜 30분 만에 뚝딱 만드심..
@치즈케잌-s1f
@치즈케잌-s1f Жыл бұрын
수고많으셨어요!
@stinksn9287
@stinksn9287 Жыл бұрын
납 가루로 실험하신 것 같은데, 위험하지 않나요? 원래는 글러브박스에서 해야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용하신 공간과 사무실들 납 오염되면 주변에도 굉장히 위험할 것 같은데...
@츄츄2
@츄츄2 Жыл бұрын
그럼이제 여자친구를 만들수있는 건가요?😢🎉
@AmosGreig-z7m
@AmosGreig-z7m 11 күн бұрын
긱블님 실험 진짜 재밌습니다 흥미로운컨텐츠 많이부탁드립니다! 왜안써~~ 매달나가는요금제 시월모바일이 젤싸고 빠름빠름~
@cocobora
@cocobora Жыл бұрын
400시간걸려 만들어낸 결과물에 함께해서 영광이었습니다!! 그리고 마침 주머니에 ... 어,,? 주머니 어디갔지...? 아 맞다 긱블이 만들어주겠지?
@Farpa1t
@Farpa1t Жыл бұрын
긱블만 믿어요
@glglglglglglglglglglglglgl
@glglglglglglglglglglglglgl Жыл бұрын
오!! 코코브라다!
@il.lu.mi.na.ti.
@il.lu.mi.na.ti. Жыл бұрын
06:29 목소리 인증!
@HWAN-환
@HWAN-환 Жыл бұрын
​@@glglglglglglglglglglglglgl 네? 코코...뭐요?
@xyyoutube
@xyyoutube Жыл бұрын
​@@glglglglglglglglglglglglglㅋㅋㅋㅋ?? 코코"브라"??
@스톱
@스톱 Жыл бұрын
초전도체는 사실 현자의 돌이라서 교수님의 피가 없으면 실패한다네요
@mocomoco613
@mocomoco613 Жыл бұрын
산채로 잡아와야겠네요 그럼
@MrSinusu
@MrSinusu Жыл бұрын
아하
@Parrot_Kim
@Parrot_Kim Жыл бұрын
대학원생 100명의 피로 대체 가능하다던데요
@Furry_is_God
@Furry_is_God Жыл бұрын
정답이다 대학원생
@sungtaehong3187
@sungtaehong3187 Жыл бұрын
@@Furry_is_God센스오지네 ㅋㅋㅋㅋㅋ
@rammerkim
@rammerkim Жыл бұрын
일단 일반인으로 실험 과정자체를 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았습니다. 응원합니다.
@KIKURBB
@KIKURBB Жыл бұрын
내가 만든 상온 초전도체 ‘될까?!’ 단순한 호기심으로 시작한 실험이었고, 일주일동안 밤낮 정말 진심으로 실험에 임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사력을 다하고, 실험이 끝나고서는 관련 자료들을 정말 열심히 정리했습니다. 실험이 성공이냐 실패를 떠나서 정말 순수하게 과학을 좋아해 주었으면, 그리고 세상이 발전했으면 해서 입니다. 정말로 누군가는 궁금했을 수도 있고, 누군가는 따라해보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너무 좋습니다. 저는 수많은 사람들이 이런 글들을 읽어주고, 따라해보고, 실험해보고, 직접 호기심을 가지고 더 다양하게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는 세상을 바꾸는 발견이 이루어지지 않을까요?!!?! “나는 특별한 재능이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굉장히 호기심이 많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호기심을 가지고 과학과 공학을 즐겨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너를 위해 구웠지. 긱블 키쿠 올림😋
@kaykim0527
@kaykim0527 Жыл бұрын
찐이다 키쿠~~고생하셨어요!
@thkim3258
@thkim3258 Жыл бұрын
의미 없는 시도는 없습니다. 고생 많으셨습니다
@맑음-t7o
@맑음-t7o Жыл бұрын
멋져요! 올바른 생각이 바른 행동을 낳고 미래가 밝아지는거겠죠!!!
@LAGO_LAGO
@LAGO_LAGO Жыл бұрын
멋있다!!!
@tae_won
@tae_won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그 말밖에 못드리지만 수고하셨습니다 ㅠㅠㅠ
@sukoo3855
@sukoo3855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가능성이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도전을 한다는 것 자체가 대단한거 같아요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선 이런 시행착오를 겪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존경스럽네요
@JiseongKimTS
@JiseongKimTS Жыл бұрын
소 님 평소에 진행도 몹시 잘하고 말씀하시는 딕션도 좋다고 생각했는데, 능력도 엄청 좋으셨네요... 키쿠님도 장난스러운 면과 별개로 실험에 매진하는 모습이 너무 멋있어요. 두 분 모두 리스펙 합니다.
@역전해줄게
@역전해줄게 Жыл бұрын
성수동에서 바로 옆 세븐일레븐 건물에서 살던 사람인데..항상 무슨 요란한 것(?)을 하시나 학생때부터 지나면서 봐왔는데 이제는 진짜 전문적인 실험 영상을 올리시네요! 간간히 영상 뜰 때마다 봐오고 있습니다. 덕분에 눈이 즐겁고 마음이 흥미로운 영상 보게 해주셔서 감사하네요. 응원하고 있습니다!
@Icancancan-ig4nu
@Icancancan-ig4nu Жыл бұрын
이미 물질의 정체가 어느정도 밝혀져서 그렇긴한데 화학전공자로써 보면서 좀 아쉽게 느껴진점이 좀 있는데, 컨텐츠로써는 충분히 흥미로운 내용이었습니다. 영상에서 만드신 물질이 논문에서 말하는 물질이 맞는지는 알 수가 없는데, 보면서 느낀점은 시료양을 좀 더 작게하고 생성물을 몇 몰을 만들지 확실하게 미리 계획한 후에 만드셨으면 더 정확했을 것 같네요. 영상에서는 좀 즉흥적으로 분자량보고 때려넣는 느낌이어서요. 그리고 분석 장비가 있었다면 실험 단계마다 중간 생성물이 의도했던 생성물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으면 좋았을 것 같은데 실험 환경이 열악해서 사실상 불가능하죠 ㅎㅎ 그래도 오랜만에 실험하는 거 보니까 예전 생각나고 해서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음악지기-u8m
@음악지기-u8m Жыл бұрын
당신들과 같은 과학자들 덕분에 우리나라의 과학의 미래는 밝은거 같습니다 당신들의 시간과 노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영상을 제작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철가면-o3l
@철가면-o3l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이런 분들이 계속 있다면 상온 초전도체는 우리가 쓸 날이 오겠죠. 감사합니다.
@냥냥-l1x
@냥냥-l1x Жыл бұрын
아니 이건 그런게 아니라 그냥 논문사기친거라니까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 연구원들은 인류의 과학발전을 방해하는 암적인 존재일뿐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rain.5881
@drain.5881 Жыл бұрын
오바ㄴ
@RuSi_AeNa.
@RuSi_AeNa. Жыл бұрын
​@@drain.5881암것도 안하는거 보단 뭐라도 남.
@임승현
@임승현 Жыл бұрын
​@@RuSi_AeNa.암것도 안하는거보단 낫긴해, 니가 답글단 댓글은 오바떨지 말라는거고 난독있냐?
@최병찬-n5m
@최병찬-n5m Жыл бұрын
​@@drain.5881뭔 오바임 전구도 ㅈㄴ 시도 해서 만들어진건데
@아또뭘귀찮게
@아또뭘귀찮게 Жыл бұрын
연금술이 결국 금을 만들진 못했어도 화학의 발전을 이끌어냈다는걸 보면 이 실험도 결국 초전도체가 아니더라도 다른 유용한 물질을 만드는 발판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두분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내알아할게-l9g
@내알아할게-l9g Жыл бұрын
금만들수 있는걸로 압니다 다만 비용이 너무 비효율적이라 안하는거라고 하더군요
@빛나는_별이_되고파
@빛나는_별이_되고파 Жыл бұрын
​@@내알아할게-l9g금은 특정 분자가 아니라 그냥 금 원소가 있는건데... 인류가 언제 전자 단위로 조작해 원소 생성이 가능한 수준이 되었던가요.. 비꼬는게 아니라 진짜 신기해서요 대박...
@냥냥-l1x
@냥냥-l1x Жыл бұрын
아니 이건 그런게 아니라 그냥 논문사기친거라니까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 연구원들은 인류의 과학발전을 방해하는 암적인 존재일뿐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동영상업로드-i2e
@동영상업로드-i2e Жыл бұрын
@@빛나는_별이_되고파생성이라기보다는 기존에 있는 원자에 중성자를 추가하는 방식으로요. 핵분열을 발견하게 된 계기 자체가 더 무거운 원자를 합성해 나가다가 우라늄에 중성자를 추가했더니 쪼개지면서... 금 같은 경우 백금 원자핵에 중성자를 충돌시키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고, 이건 실험도 성공한걸로 알고있어요. 근데 입자 가속기도 필요하고 백금 자체가 저렴하지 않다보니 단가가 안맞아서 의미가 없을뿐이죠 ㅎㅎ
@겸느-h8d
@겸느-h8d Жыл бұрын
아 금좀 만들고 싶은데 입자가속기 하나 사야겠네요
@dydqjachl123
@dydqjachl123 Жыл бұрын
화이팅 입니다. 도전자체가 아름답습니다.
@윾끾까
@윾끾까 Жыл бұрын
순간 도전자체라는 물질이 있나 했네 ㅋㅋㅋ
@deonggerung
@deonggerung Жыл бұрын
라임 ㄷㄷㄷ
@ASDFASDF-gl6ml
@ASDFASDF-gl6ml Жыл бұрын
상온도전자체 ㄷㄷㄷ
@magical0205
@magical0205 Жыл бұрын
상온자전도체 ㅋㅋㅋㅋㅋㅋㅋ
@VISSEM
@VISSEM Жыл бұрын
@@윾끾까ㅋㅋㅋㅋ 나만 그런게 아니구나
@지유나
@지유나 Жыл бұрын
원소*원소**온도*시간** 수많은 변수들을 조합해서 새로운걸 만들어 낸다는건 정말 로또보다도 대단합니다 과학자분들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sweettoday
@sweettoday Жыл бұрын
과학하시는 분들은 선의로 가득하셔서 보고있는 것만으로도 흐뭇...
@star8958vv
@star8958vv Жыл бұрын
이게 진짜 긱블 정신이지 좋다 재밌다 항상응원해요
@Keromidany
@Keromidany Жыл бұрын
그제는 프응님이랑 비엣남에서 말벌 잡으러 다니는 코코님을 보고 오늘은 긱블에서 초전도체를 나누는 코코님을 보게되네요 코코님 화이팅 ❤
@Proscripter-i2p
@Proscripter-i2p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분단위로만 봐도 성공하는게 0.11%인데 이거 실패했다고 욕하는게 문제다. 이게 진짜 도전의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kwj07
@kwj07 Жыл бұрын
실패했다고 욕할사람 아무도 없죠
@상우이-q7i
@상우이-q7i Жыл бұрын
애쓰셨습니다... 수고하셨어요 ~~^^
@영화관
@영화관 Жыл бұрын
궁금했는데 실험 감사합니다!! 긱블 사랑해요❤❤
@큐리오
@큐리오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어떤 식으로 실험이 진행되는지 볼 수 있어서 좋네요!
@댕-z1p
@댕-z1p Жыл бұрын
고생하셨습니다! step1은 상압에서 가열하는거니 공기중 산소가 반응에 사용되는 반응일듯한데 사용하신 furnace가 진공furnace인듯한데 공기가 충분히 공급됐겠죠? step2는 진공상태에서 가열이니 주변으로부터 공급받는거보다 합성된 파우더물질의 상변이와 확산이 일어나는 공정일듯합니다 그러면 파우더 물질간 얼마나 잘 붙어있냐도 중요할수있습니다 그냥 파우더를 보트에 담기보다 펠렛형태든 프레스로 꾹눌러서 성형하고 (CIP 같은 성형공정까지 하면 더 효과적일수있습니다) 가열하고 나오면 딱딱해진 시료를 다시 갈아서 파우더를 얻는것도 방법입니다 그리고 step2에서 꺼내진 시료를 보면 보트 끝부분과 중간부분 색깔이 다른데 furnace heat zone(내가 setting한 온도가 보장되는 zone) 에 비해 보트와 거기 채워진 powder가 크고 많아서 heat zone 에서 벗어난 부분이 있었을수도 있습니다
@TheAlbatro55
@TheAlbatro55 9 ай бұрын
덧붙여서 step2에서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식지 않은 성태로) 시료를 꺼낸거 아니신지요?
@TheAlbatro55
@TheAlbatro55 9 ай бұрын
덧붙여서 step2에서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식지 않은 성태로) 시료를 꺼낸거 아니신지요?
@TheAlbatro55
@TheAlbatro55 9 ай бұрын
덧붙여서 step2에서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식지 않은 성태로) 시료를 꺼낸거 아니신지요?
@TheAlbatro55
@TheAlbatro55 9 ай бұрын
덧붙여서 step2에서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식지 않은 성태로) 시료를 꺼낸거 아니신지요?
@jyo_1215
@jyo_1215 Жыл бұрын
시도 자체가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냥냥-l1x
@냥냥-l1x Жыл бұрын
아니 이건 그런게 아니라 그냥 논문사기친거라니까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 연구원들은 인류의 과학발전을 방해하는 암적인 존재일뿐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탁동-r5r
@탁동-r5r Жыл бұрын
정말 설레고 두근거리는 실험이였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21분이 아니라 2분영상본것처럼 흥미진진했어요 쓸모없는 도전은없으니까~!
@함형길
@함형길 Жыл бұрын
제작 시도 고생하셨습니다 재미있게 봤음.
@S제이
@S제이 Жыл бұрын
다른 나라에선 직접 실험하는데 왜 우리나라는 없는가!! 왜 입만 털고있는가 지금껏 나온 이론의 장황한 설명뿐.. 이걸 성공하느냐 아니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일단 가봤다는거에 그리고 그 간 길을 보여준것만으로 너무 뿌듯하고 고맙네요 구독박고 갑니다.
@다민-n2i
@다민-n2i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은 아이들의 꿈에 엄청 도움이 되는 작품이라 생각합니다!!! 소님이 말씀하신거처럼 어렸을땐 매체를 통해 접하면서 자연스래 관심을 가지고 꿈을 가지게되고 진로를 잡아가지 않을까 하네요. 초등학생때인가 나로호로 한창 뉴스 등등에서 화제일때 반에서 '우주비행사가 될거야, 과학자가 될거야' 라고 말하던 친구가 종종 있었던거 같네요 하지만ㅜ 제가 고등학생 때 야자시간에는 친구들이 전부 진로 고민을할때 과 얘기보다는 "성적에 맞는" 이란 말만 계속한거 같아요. 성적 또한 중요하지만 자기가 하고 싶은거 되고 싶은거는 빼고요... 다들 더 좋은 대학, 대기업 가기만 바빴죠...ㅎ 틀렸단 얘기는 아니지만요 이 영상을 보면서 다음 세대의 아이들은 어렸을때의 꿈(낭만)을 더 펼칠수 있는 세상이기를 더 다양한 진로를 꿈 꿀수 있기를 기도해요
@took89
@took89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이걸 검증할려고 하는 분들 보면 냉각 과정에 굉장히 신경을 많이 쓰고 있는 걸로 압니다. 이 샘플을 석영관에 넣고 석영관이 터질 정도로 급속 냉각을 시킨다는 말이 있어서 물질의 취성을 의도적으로 높여서 만드는 물질이 아닌가 하는 주장이 있더라고요.
@cpark1590
@cpark1590 Жыл бұрын
이 글에는 왜 긱블 좋아요가 안달리지.....?
@forestrashin
@forestrashin Жыл бұрын
이 영싱은 초전도체냐 아니냐를 떠나서 일반적인 신소재학과 또는 고체물리학 실험 전공을 하는 실험팀에서 하는 일상을 대중에게 소개해주는 영상이라는 점에서 충분힌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논문읽고 파우더 만들고 프레스랑 퍼니스 써서 요리하고 설거지하고(?!) 고민하고 등등
@두돈노우미유툽보자
@두돈노우미유툽보자 Жыл бұрын
간만에 진짜 긱블러의 도전을 다시 본듯하군요. ^^ 박수!
@용무의마크생활
@용무의마크생활 Жыл бұрын
400시간을 투자했는데 정말 아쉽네요ㅠ
@정인택-i2r
@정인택-i2r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안 될거 알고 계셨을겁니다ㅋㅋ
@aMaZinGgEEk-3.14
@aMaZinGgEEk-3.14 Жыл бұрын
아쉽군요.... 노력하는 모습이 멋집니다! 긱블 화이팅!
@oww3685
@oww3685 Жыл бұрын
이걸 진짜로 하다니..
@응애-p9i5m
@응애-p9i5m Жыл бұрын
영상도 재밌지만 소님이랑 키쿠님 케미 너무 잘어울림… 많이 나와주세요😢❤
@jkcontents7280
@jkcontents7280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마음까지 맞는 최고의 파트너들과 학점이나 돈을 떠나 해보고 싶은거 마음껏 해볼 수 있다는 환경이 너무 부럽다. 이런 젊은 탐구자들이 결국은 미래를 이끌게 될거다..
@기파랑-y1x
@기파랑-y1x Жыл бұрын
이런 분들이 있어서 과학이 발전하는것이로군..... 모든 과학자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꾸벅.
@idrislim
@idrislim Жыл бұрын
마지막 포옹은 찐이었다... 덕분에 나도 재미있었다...!!!
@creatijang8219
@creatijang8219 Жыл бұрын
이야~ 이걸 방구석에 앉아서 간접 체험 해볼 수 있게 해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GiruerGi
@GiruerGi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영상으로 보면서 설명해주시니 신기하고 재밌어요😮
@rucca_
@rucca_ Жыл бұрын
4:47 몰.. 화2이후로 참 오랜만에 듣네요... 발견과 발명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발판삼아 만들어진 것.. 언제나 응원합니다.
@눈누난나-o5r
@눈누난나-o5r Жыл бұрын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을까 궁금했는데 덕분에 해결됐습니다~ 영상 잘봤어요~!
@Yu_Jun_1000
@Yu_Jun_1000 Жыл бұрын
이영상을 보시는 모든분들께 말하자면 실험논문은 아주쉽게 작성되는것이 기본입니다. 영상중에 설거지하는 방법까지 작성했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어찌보면 단순한 설거지이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작성된 내용 그대로 따라서 실험을 할경우 논문에서 나온 동일한 실험을 했을때 동일한 결과가 나오게 하기위해서 최대한 자세히 상세하게 작성되게 됩니다. ex) 프라모텔 조각에서 꺼내는방법 사용되는 칼 또는 니퍼,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위해서 사용되는 사포 그리고 프라모델 파츠를 조립하는 순서 이후 도색을한다면 도색하는 색깔과 도색하는 방법등 이것을 글, 표, 그래프 및 결과물관련 사진 첨부등을 이용하여 정리된 글로 작성하는것을 > 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실거 같습니다. 생물관련 실험은 비슷한 결과는 나올수 있지만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주변환경의 영향으로 인해서 차이가 발생 및 실험에 이용되는 생물(미생물, 세포, 식물 동물 등)의 컨디션에 따라 결과가 달라잘수도 있습니다)
@옥수수-u9b
@옥수수-u9b Жыл бұрын
lk99가 초전도체일 가능성이 아직 있나요?
@Yu_Jun_1000
@Yu_Jun_1000 Жыл бұрын
@@옥수수-u9b 전공자는 아니지만 현재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가능성이 있다면 현재 공개된 논문의 내용에 (결과물을 이용해서 추가적인 처리, 또는 비율 등을 변경) 추가되는 내용이 있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영상에도 나왔지만, 강자성체일 확률이 높다고 나왔습니다 또한 공개된 논문은 제출된 논문 즉 최종 논문이 아니며 일종에 이렇게 하면 이렇게 될것 같다 라는 초안논문이라고 보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즉 LK99가 초전도체라면 현재의 논문에 내용이 추가 되어야 됩니다.
@molaresleo721
@molaresleo721 Жыл бұрын
이번 편 진짜 재밌다. 한 번 더 해서 좀 더 좋은 결과물이 나왔으면
@햄도그o
@햄도그o Жыл бұрын
캬..넘 재밌게 보고갑니당
@이렝프
@이렝프 Жыл бұрын
의미가 없지 않다는 것을 다들 알고 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oclis711
@oclis711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응원 합니다. 잘하셨습니다.
@Golden__Cat
@Golden__Cat Жыл бұрын
긱블이 실험하다가 뭔가 하나 살짝 어긋나서 초전도체가 만들어지면 잼나겠다 ㅋㅋㅋㅋㅋㅋ 그래도 도전하는 긱블 멋지다~
@모고-f5d
@모고-f5d Жыл бұрын
세상에 그냥이라는 것은 없다지만 그렇다기엔 그냥이 불러오는 파장이 정말 큰 것 같아요 이런 그냥 이유없이 재밌어보여서 가 흥미를 돋구고 관심을 갖게하는 힘이 있는 것 같아요 그냥이 어쩌면 위대하고 좋은 영향을 끼칠지도 모르갰네요😊
@Yu_Jun_1000
@Yu_Jun_1000 Жыл бұрын
상온 초전도체가 있다면, 생활에 가장 밀접한것으로 간단하게 휴대폰 장시간 사용시 따뜻해지는 발열현상이 없어집니다. 산업적으로는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저항으로 인해서 일부 없어지게 되는게 만들어지는 전기를 99.99999% 이용이 가능하게됩니다. 그만큼 산업전반에 큰영향을 줄수 있는 물질이 초전도체입니다. 상온 초전도체가 생긴다면 제2의 3차 산업혁명일겁니다.
@송제혁-i5j
@송제혁-i5j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진짜 대단하네요
@오이영Oe0
@오이영Oe0 Жыл бұрын
결과상관없이 하셨다는게 굉장히 멋있어요 긱블 리스펙!
@wjdwodbs1
@wjdwodbs1 Жыл бұрын
가루 나눠서 마지막 가열 시간을 쪼개서 해봤으면 어떨까도 싶네요 ㅋㅋㅋ 솔직히 5시간~20간 사이라는게 말도안되긴 하지만 그래도 혹시나..??ㅋㅋㅋ
@아이하루-o6o
@아이하루-o6o Жыл бұрын
소님 진행력이랑 대사 딕션이랑 진행 정리 능력 무슨일이야... 소님이 진행하는 영상마나 너무 깔끔하고 좋은 것 같아요
@rudwieko
@rudwieko Жыл бұрын
그쵸- 긱블이니 이런걸 하죠- ㅎ 좋네요- :) 영상 잘봤습니다.
@i2nu
@i2nu Жыл бұрын
미지 실험 실시에 대한 두근두근함이 같이 느껴지네요!!! 너무 재밌다
@정진혁-e4g
@정진혁-e4g Жыл бұрын
실습을 해봤다는 것에 박수를 보냅니다. 해보셨으니...
@seoglinseo267
@seoglinseo267 Жыл бұрын
소님과 키쿠님 잘 봤습니다. 감동......
@123456tken
@123456tken Жыл бұрын
話題の素材を扱いながら、その話題の背景をわかりやすく解説してくださり、なにより化学の面白さが伝わって来たので観ててワクワクドキドキしました。これからもこの様な動画で楽しませてください。ありがとう。
@GhostRD
@GhostRD Жыл бұрын
현직 강사입니다 칠판에 글쓰고 지울때마다 빡치는데 칠판 자동으로 지워주는 기계 있으면 모든 강사들이 행복해질것같습니다
@2341-y8y
@2341-y8y Жыл бұрын
있자나
@happysinthsizer1851
@happysinthsizer1851 Жыл бұрын
있어요
@Dj-Park
@Dj-Park Жыл бұрын
@@2341-y8y ㅇㅈ 애당초 요즘은 칠판을 안 쓰고 터치 스크린 전자 칠판을 쓰는 시대임ㅋ
@sjmtech7572
@sjmtech7572 Жыл бұрын
라떼는 지우개 들고 나가서 탈탈탈 털었다 이말이야
@Jerison_kor
@Jerison_kor Жыл бұрын
15년전에 이미 있었음
@이푸른밤
@이푸른밤 Жыл бұрын
이과생들 흥분하는 포인트가 넘 귀여움..ㅋㅋ
@달려달려-x7h
@달려달려-x7h Жыл бұрын
도전!! 훌륭하십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재미있네요
@simonc.8737
@simonc.8737 Жыл бұрын
수고 하셨습니다 아름다운 도전 이었습니다 도전이 없으면 성공도 없다
@dongastv
@dongastv Жыл бұрын
해본 것과 안해본 것의 차이는 성공, 실패를 떠나... 굉장한 경험이 된다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정승호-t1b
@정승호-t1b Жыл бұрын
재료공학 세부전공은 세라믹 입니다. 초반부 보다가 댓글 답니디… Mortar와 Pestle을… Porcelain 을 쓰다니……중간중간 XRD 측정도 해보는게 좋았을꺼 같네요.
@user-lucky11
@user-lucky11 Жыл бұрын
긱블에서 실험하길바랬는데 드디어~~!! 굿굿
@reokiki4669
@reokiki4669 Жыл бұрын
기기 빌려주신 분도 대단합니다^^
@yoonchoowh8190
@yoonchoowh8190 Жыл бұрын
초전도체 논문을 통해 한 번 실험해 보고싶었던 것을 대신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400 시간에 장비와 재료구입하려면 엄두도 못낼 실험을 대신 아주 친절하게 보여주셨기에 제가 빚을 졌습니다. 주소를 주시면 차 한 잔 올리고 싶습니다.
@Suy_Su
@Suy_Su Жыл бұрын
시간 표본을 3개로 나누어서 5시간 12.5시간 20시간 3번 돌렸으면 더 좋았을 것 같았습니다.
@Imilia0703
@Imilia0703 Жыл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어요 ㅋㅋㅋ긱블이라면!!!
@유나-m3f
@유나-m3f Жыл бұрын
20:39 과학은 그렇게 발전했따. 존멋...
@흰색-y3k
@흰색-y3k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논문 레시피가 개판이라 보고 만들었다고 해도 실패 할 수 밖에 없음. 지금은 고쳐졌는지 모르겠지만, 굽는시간도 명확하지 않고 초창기 논문은 진공상태인지 산소와 같이 구워야하는지 말이 계속 달라져서 오죽하면 해외에서도 시도하다가 다 포기함. 결론은 퀀텀측이 일부러 알고 레시피를 이렇게 공개했거나 아니면 자기들도 아직 몰라서 한참 연구하고 있는 상태라는 거임
@나의해방일지-u3d
@나의해방일지-u3d 8 ай бұрын
와 중간중간 과정이 정말 흥미롭고 재밌네요 이런 쪽에 문외한이라 ;; 좋은 영상입니다 ㅎㅎㅎㅎ 잘봤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emoriamemoria
@memoriamemoria Жыл бұрын
도전하는 모습이 멋집니다
@GlobalYoung7
@GlobalYoung7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ungtk4467
@jungtk4467 Жыл бұрын
화학관련된거 나와서 신나네요 ㅎㅎ
@접속했어요
@접속했어요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있네요~~~
@lululalahahahoho
@lululalahahahoho Жыл бұрын
긱블님 지금 재현이라는 단어에 민감하신분들이 많아 상처가 될만한 글을 쓰는 분들이 많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크게 심려치 마시고 늘 열심히 하는 모습을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정보없음
@정보없음 Жыл бұрын
음음~
@ddd-q4w
@ddd-q4w Жыл бұрын
재현이 왜
@qbrqkdwldn
@qbrqkdwldn Жыл бұрын
재현이 왜
@andofleika
@andofleika Жыл бұрын
재현아 왜
@minsipark
@minsipark Жыл бұрын
재현아 삐졌니?
@yulimlee8501
@yulimlee8501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시다는 말 밖에 안 나오네요. ㄷㄷ
@선비온달
@선비온달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2024년 1월 9일자로 컨텀에너지 연구소와 연세대 와 양자컴퓨터 협업식이 있었고 20일자로 네이쳐 긍정 논문 발표 되었네요. 그리고 3월4일 기대되는데 미국에서 김현탁 교수님이 초전도체 증명을 보여준다고 하네요.
@김자운
@김자운 Жыл бұрын
하지만 3월4일 행사는 연기될듯
@constant_36
@constant_36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키쿠님 나오셨네요! 키쿠님 나오기를 손꼽아 기다렸습니다ㅎ
@뒤질랜드-q7q
@뒤질랜드-q7q Жыл бұрын
액체질소 다루는데 안전장구 안끼고 다루시다니... 긱블이 사업자인 회사라면 귀찮아도 지켜주시는게 좋을듯합니다. 특히 유투브니까요. 당연히 지켜야 하는일이고, 모범이 되었으면 합니다. 해외 화학공단, LNG플랜트, 조선소 등등 가면 안전장구 없으면 며칠이 걸리든 작업 중단하고 구비해서 합니다.
@enfrlql
@enfrlql Жыл бұрын
So interesting!
@lelelelio164
@lelelelio164 Жыл бұрын
5~20시간 이게 키포인트일거 같은데 그만큼 변수가 클거 같네요 다양한 조건에서 많은 실험이 이루어져야할듯
@호두-y5b
@호두-y5b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아니에요 그냥 저거 쓰레기임 5시간을 굽든 20시간을 굽든 그냥 쓰레기
@yafesgg255
@yafesgg255 Жыл бұрын
​@@호두-y5b자기소개하는건가?
@호두-y5b
@호두-y5b Жыл бұрын
@@yafesgg255 ㅋㅋ 그냥 주가조작 돌이에요
@dalbit321
@dalbit321 Жыл бұрын
​@@호두-y5b세상을 돈 주식으로만 보니 쓰레기 같은 소릴하지 문과충아ㅋㅋ
@Temfree
@Temfree Жыл бұрын
​@@호두-y5b어디 회사 주식을 조작했단거임ㅋㅋ 퀀텀이 상장주도 아니고
@김무경-c3m
@김무경-c3m Жыл бұрын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야 하는 것. 그게 바로 과학.
@skyview7771
@skyview7771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네요 당신들의 실험정신에 경의와 박수를 보냅니다. ~~
@changshiksin4648
@changshiksin4648 Жыл бұрын
일반인이 이런 시험하기 힘들죠.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메텔언니
@메텔언니 Жыл бұрын
전 마지막 단계에서 시간이 좀 걸리더라고 샘플을 3개정도 나눠서 시간을 최소시간, 중간시간, 최대시간 등으로 나눠서 3개 샘플을 맹글었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을 했는데 걍 그냥 중간시간에 몰빵 해서 좀 답답했는데 아쉽군요 ㅠㅠ 그래도 잼나게 봤어요~ㅋㅋ
@이름-e7k
@이름-e7k Жыл бұрын
어차피 초전도체 아닌건 아니까 저항 얼마나 나오나 실험 해주지.. 만드는 과정은 너무 흥미롭게 봤어요
@hwan118
@hwan118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영감이 팍팍 생기네요 ㅎ
@tv-pw1oy
@tv-pw1oy Жыл бұрын
과학자들의 인내를 실감하는 계기였네요
@박Sksj
@박Sksj Жыл бұрын
긱블 언제나 응원합니다
@리키-o1m
@리키-o1m Жыл бұрын
이런 시도 자체가 경험이고 그게 쌓이면 과학이라는 결과로 나타난다 생각 됨.
@wook_7708
@wook_7708 Жыл бұрын
도전 자체가 너무 멋지다.
@YEO5191
@YEO5191 Жыл бұрын
고생 많았습니다 ㅎㅎ 비록 실험은 실패로 끝났지만 그 가운데서도 배우는 모습을 보면서 역시 배운 사람은 다르구나 싶었습니다
@sun-sv2xw
@sun-sv2xw Жыл бұрын
실험이 실패로 끝났다는건 아닌거같아요 논문이 불확실한거고 솔직한 마지막 인터뷰가 너무 좋네요
@cdlhh
@cdlhh Жыл бұрын
1:56 850 mTorr 까지 진공을 만들 수 있다고 했는데 실험조건은 10^-3 Torr 이네요. 진공이 충분히 안잡힌 것 아닐까요??
@옥탑방시장-h4r
@옥탑방시장-h4r Жыл бұрын
그러네. 뭔가 저런거 하면 기체들 접촉안되게 하는건 기본인거같은데. 10^-3 Torr도 그냥 최대한 진공으로 실험해라는 의미인듯.
@청현-s9u
@청현-s9u Жыл бұрын
멋진 실험 좋아요😊
@Do_Chi
@Do_Chi Жыл бұрын
이거 재밌네요
@jashking2665
@jashking2665 Жыл бұрын
시도하는 것 자체가 너무 좋아요
@RK801_
@RK801_ Жыл бұрын
실은 LK99 연구자만의 히든커맨드가 숨어있는게 아닐까..
Леон киллер и Оля Полякова 😹
00:42
Канал Смеха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黑天使只对C罗有感觉#short #angel #clown
00:39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Turning styrofoam into cinnamon candy
52:57
NileRed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그래서 초전도체 어떻게 되는 건데? 5분 만에 알려드림 / 스브스뉴스
6:23
We should use this amazing mechanism that's inside a grasshopper leg
19:19
취미로 로봇 만드는 고등학생…그런데 퀄리티가?ㄷㄷ
17:32
Is It Possible To Completely Fill a Klein Bottle?
7:01
The Action Lab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