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냐 원자력이냐 | 최신 원자로가 깨끗한 전기를 만들어 줄까?

  Рет қаралды 129,263

Jisik is Knowledge : Everything you want to know

Jisik is Knowledge : Everything you want to know

Жыл бұрын

기후위기 대응에 있어
빌게이츠가 가장 강조한 '무탄소 전기 생산'
그리고 그걸 위한 신재생 에너지와 원자력
하지만 체르노빌, 후쿠시마와 같은 무시무시한 원전 사고로
원자력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과 공포는 어마어마하게 커진 상황.
이런 상황에서 과연 소형 모듈 원자로(SMR)와 같은
최신 원자로들은 신재생 에너지와 함께
기후위기의 구원투수가 될 수 있을까요?
세계적인 SMR 개발 추세에 맞춰
우리나라도 2023년, 작년 대비 SMR의 국가R&D 예산을
50% 확대하며 차세대 원자로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국가R&D 사업과 과제의 현황이 궁금하다면
국가R&D에 관한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서비스 하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NTIS를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R&D의 모든 것, NTIS : m.ntis.go.kr/ThMain.do

Пікірлер: 1 100
@user-oo8ud8qi8o
@user-oo8ud8qi8o Жыл бұрын
원자력을 못믿는게 아니라 인간을 못믿을뿐
@HUI2650
@HUI2650 Жыл бұрын
설계시 안전성을 보장해도 관리가 개판이면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성은 낮아짐. 알려진 관리부실보다 숨겨진 부실이 더 많을거라 추측되니 사람들이 불안해 하는것임. 특히 원전들이 동해, 남해 인구밀집 및 국가 핵심 산업단지 근방이라서 문제가 터지면 국가단위의 경제적 타격이 옵니다. 원전이 안전한 만큼 더 집중적이고 더 압박수준의 관리 및 검토 그리고 투명성을 확보해주었으면 합니다.
@ssibal-why-hanguel-andoe
@ssibal-why-hanguel-andoe Жыл бұрын
ㅇㅇ 후쿠시마 체르노빌 다 인재임 ..
@funkygentleman7370
@funkygentleman7370 Жыл бұрын
이거지
@boongbong
@boongbong Жыл бұрын
ㅁㅈㅁㅈ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시스템을 잘 설계하고 관리체계를 잘 정립해서 해결해야할 일임 인간을 못믿는다고 원자력을 없애자고 말하면 인간은 아무것도못함
@user-jk7xw1rg7g
@user-jk7xw1rg7g Жыл бұрын
첫 장면 부터 느껴지는 날리지님의 퀄리티...웅장하다 진짜 내 최종학력 지날임.
@Hometown-VideoRoom
@Hometown-VideoRoom Жыл бұрын
와ㅏㅏㅏ 너무나 유익하고 지식 충만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gy8sg8jz3q
@user-gy8sg8jz3q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se6if6pv6q
@user-se6if6pv6q Жыл бұрын
기후와 에너지 관계 잘 봤습니다. NTIS 들어가면 유용한 정보가 더 많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ym4zu5hw7f
@user-ym4zu5hw7f Жыл бұрын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주제도 재밌고 퀄리티도 최고고 그림 예시도 너무 좋은데 이게 왜 100만 구독자가 못되는지 궁금함
@immof44
@immof44 Жыл бұрын
이유야 많겠지만, 그림체에 호불호가 살짝 있을 수 있다고 봄.
@SQRT9824
@SQRT9824 Жыл бұрын
나도 그 이유가 크다고 생각하고 100만은 시간도 필요하고
@user-ut2pu3wr6g
@user-ut2pu3wr6g Жыл бұрын
100만은 결코 적은 수가 아닙니다 선생님
@user-lg3zr4vj1l
@user-lg3zr4vj1l Жыл бұрын
곧될지도
@neip_clover
@neip_clover Жыл бұрын
여기 몇달전까지만해도 몇천명이었고 그때부터 구독자인데 지금 엄청 가파르게 상승하고있는겁니다 ㅋㅋㅋㅋ 성장세 ing임 100만은 시간문제
@user-qz2dn2lf4p
@user-qz2dn2lf4p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yeongdoryu462
@byeongdoryu46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잘되는 영상이네요. 여러가지 생각하게 만드는군요. 잘보고 갑니다.
@Twochickenleg
@Twochickenleg Жыл бұрын
핵분열 발전이 두려울수록 배제하는것이 아니라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PRIMITIAE_030
@PRIMITIAE_030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blyatguy2441
@blyatguy2441 Жыл бұрын
정치적으로 특정집단(환경단체, 신재생에너지 업자, 전교조)이 이익을 위해 핵분열을 핵폭탄인 것 마냥 억압해왔고, 현재도 그렇기 때문에 어쩔 수가 없음.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blyatguy2441 애플은 이미 RE100 선언하고 자사 제품 100%를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하고 있음. 그래서 아이폰에 납품하는 회사도 RE100으로 생산해서 납품하기를 요구하기 시작했음. RE100 여부로 애플이 삼성전자 부품을 선택할 지 소니 부품을 선택할 지 결정될 상황. 삼성도 버티다 얼마전에 RE100 선언한 것이고. 현재 대한민국에는 삼성전자 하나 돌릴 RE100 에너지도 없음. 삼성전자 하나로 우리나라 경제가 들썩인다는 건 알테고
@agent_urus
@agent_urus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sgwuqgeuqjahdjwydjw4434
@sgwuqgeuqjahdjwydjw4434 Жыл бұрын
​@@blyatguy2441태양광 독점하는게 중국이라서 무지성 원자력은 안된다는것들 보면 좀 많이 의심이가긴함
@leechanghyun
@leechanghyun Жыл бұрын
광고 많이 받으셨으면 좋겠다 ㅎㅎㅎㅎㅎ 이 그림체 스토리로 유익한 내용 보니까 너무 좋아 ㅎ
@kanglight5588
@kanglight5588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해요.
@Desire_Store
@Desire_Store Жыл бұрын
원전은 사실 폐기물 문제만 해결하면 가장 좋은 대안이라 생각합니다. 기존에 이미 존재하는 폐기물 때문에라도 폐기물을 최대한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식이 개발되길 바랍니다. 온칼로처럼 매장을 하는 방법도 있지만 10만년이 누구 애이름도 아니고 ㄷ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폐기물이 해결 안되도 가장 좋은 대안입니다 한국에서 50년간 해결 안되었는데 해결안된다고 얼마나 대단한문제가 생겼죠? 폐기물처리보다 지구온난화가 더 급합니다
@KSST-111
@KSST-111 Жыл бұрын
폐기물 해결 가능한데 제처리 시설 건설 못합니다 미국이 규제해서
@Ros303
@Ros303 Жыл бұрын
그냥 핵융합 발전 성공할때까지 핵분열 발전으로 버티다가 갈아타면 될듯
@KSST-111
@KSST-111 Жыл бұрын
@@Ros303 불가능 핵폐기물 처리 해야하는데 규제 때문에 불가능 이미 저장 능력 한계임
@be734
@be734 Жыл бұрын
핵융합이 미래
@hayeonkim7838
@hayeonkim7838 Жыл бұрын
와..국가기관에 광고 받으신 거 진심으로 축하해요! ㅎㅎ 지식은 날리지도 메이저구나..
@poleh6377
@poleh6377 Жыл бұрын
이제 곧 40만이야...
@user-rn9kz5rw5p
@user-rn9kz5rw5p Жыл бұрын
유튜버 통해서… 전정권지우기 들어가네… 탈원전은 필수인데
@user-mv4ip7sz9r
@user-mv4ip7sz9r Жыл бұрын
@@poleh6377 뭐 이건 거절하기엔 너무 큰돈이었어 이런거야??
@sywore0
@sywore0 Жыл бұрын
​@@user-rn9kz5rw5p탈원전 필수는 맞음 ㅇㅇ 타이미이 지금이 아닐 뿐이지 지금은 원전 더 짓는게 맞음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sywore0 응 우리 정부는 원전'만' 지원하고 있어서 문제. 앞으로 RE100으로 생산 안하면 수출도 안되는데, 지금 현재 우리나라에는 삼성전자 하나 돌릴 RE100 에너지도 부족함
@user-de8fr4kt9u
@user-de8fr4kt9u Жыл бұрын
오홍 흥미로운 영상이네여.. 특히 NTIS라는 기관을 처음 알게 되었는데 국가R&D나 과학기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라 자주 들여다 볼 것 같아요~
@Warm_Wind_TTEOK
@Warm_Wind_TTEOK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가 점점 좋아지시네
@apusdark6091
@apusdark6091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 봐..... 따봉!
@HyunBin_Kim
@HyunBin_Kim Жыл бұрын
영상 봤는데 이 내용을 핵융합에 대입하면 그대로 통용되는듯. 그러면 궁극적으로는 핵분열 발전에서 핵융합을 가는게 맞는 방향일듯
@seungwonlee9917
@seungwonlee9917 Жыл бұрын
NTIS에 이런 정보가 다 있나봐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nomon808
@nomon808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도 아름답고 목소리도 은은하고.....애정해요 지식의 날리지님♡
@cloudless_day
@cloudless_day Жыл бұрын
혹시 0:32 에 나온 IPCC 6차 보고서에서 어떤 부분에 저 내용이 나왔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읽어봐도 저 부분이 안나오네요..
@user-yl2ss6ed2t
@user-yl2ss6ed2t Жыл бұрын
환경 ㅇㅈㄹ 하면서 원전 가동 멈춘 결과가 삼림 훼손 + 화력발전 몰빵인거보면 우린 찬밥 더운밥 가릴 처지가 못됨
@AlexJChoi
@AlexJChoi Жыл бұрын
텍소노미라는 가장 중요한 문제가 빠졌네요. 우리가 RE100을 해야하는 이유가 기후변화 대응도 있겠지만 관련된 관세장벽 회피 목적도 있습니다(e.g., 탄소국경세). 전세계 텍소노미의 표준인 EU는 원자력을 친환경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을 마련하지 않는다면요. 고준위성 방폐장은 전세계에 핀란드 딱 한 곳 있으며, 한국은 저준위성 방폐장도 근 30년동안 아직 결론내지 못해서 지지부진 하고 있습니다. 정부기관이라 그런지 이 내용은 쏙 빼먹고 광고의뢰 했나보네요. 물론 원자력도 기후위기를 피하는데 필요하지만 폐기물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은 못됩니다.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자꾸 탄소국경세를 들먹이며 가짜뉴스를 퍼트리네요 원전으로 탄소국경세를 절감할수없다고 누가 그러나요? 원전이 EU택소노미에 해당되든 않든 탄소국경세는 별개이고 탄소국경세는 탄소가 기준이랍니다 재생이든 원전이든 탄소만 적게나오면된다고요 아시겠어요? ㅎㅎ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아니면 관세장벽중에서 원전은 안되고 재생에너지만 허용되는게있나요? RE100도 관세가 아니고 EU택소노미도 관세가 아닌데 한번 말해보시죠?
@Mincho_Hater
@Mincho_Hater Жыл бұрын
Eu가 원자력 발전을 친환경 발전에 포함시킨지 1년이 넘어가고 있는데 아직도 아직도 eu 타령하는거 보면 참... 이래도 정신병이 아니야?
@AlexJChoi
@AlexJChoi Жыл бұрын
아 네 다시 생각해보니 CBAM이나 관세장벽은 다소 부적절한 예시일 수도 있겠습니다. 1) 현재 CBAM이 텍소노미를 기준으로 쓴다는 레퍼런스는 찾을 수 없네요. 2) 관세장벽은 아직 CBAM 말고는 나온게 없죠. 하지만 텍소노미에서 그린으로 인정되지 못한다는 것은 영향이 적을 것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Scope 2 emission에서 불리하게 측정되어 국내기업들이 금융권 GP들의 녹색 투자대상 선별 기준에서 밀려날 가능성도 있는거구요. 또한 지금은 적용 안 된다고 하더라도 추후에는 CBAM의 기준도 텍소노미가 될 수도 있죠. 이전에는 그런 시각이 있었던 것 같은데...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AlexJChoi 가짜뉴스라고 말한건 좀 강하게 말했긴했네요 저도 부적절했습니다 다만 재생에너지대신 원자력을 택해서 불이익이 있을수있지만 그렇다하더라도 그건 국가보다 기업이 주도해서 스스로 판단해야할 내용이라고 판단됩니다 녹색투자가 필요한 기업이 있는거고 투자 필요없이 저렴한 전기요금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얻고싶어하는 기업이 있을텐데 이건 국가가 판단할일은 아니라고봅니다
@user-tp1cf1kl3q
@user-tp1cf1kl3q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raveler_to_the_world
@traveler_to_the_world Жыл бұрын
나는 확실히 핵융합이 나오기전까지 원전을 써야한 다는것을 강력히 지지한다.
@user-us6jc9oe3m
@user-us6jc9oe3m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관점에서 보면 원전 증설도 중요하지만 그걸 위해 ESS에 대한 연구도 같이 병행되어야함. 하지만 둘 다 쉽게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임. 사용 후 핵연료 또한 원전이 가지고 있는 큰 디메리트이자 해결해야할 숙제인데,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에 대한 연구나 사업은 국제정치적으로 가로막혀 있어서 원전 증설을 저해하는 큰 요인 중 하나임. 결론은 현재로써는 원전 증설은 이미 계획 외 추가적인 증설이 어렵고, 해결해야할 문제가 많음. 그러므로 현시점에서는 답이 아님.
@andrew3870ify
@andrew3870ify Жыл бұрын
ess는 왜... 발전소 경제적인 운용 보조하는 역할이면 굳이 원전 아니어도 ess 가치가 있는데시리
@user-us6jc9oe3m
@user-us6jc9oe3m Жыл бұрын
@@andrew3870ify 원전의 전력은 기저전력으로 사용되는데, 전력수요의 변동에 따라 잉여전력과 전력부족이 발생함. 전력부족은 화력발전으로 일부 커버가 가능하나 그 폭이 수용범위를 초과하면 정전이 발생하고, 잉여전력은 활용하지 못하면 그냥 버림. 원전 증설은 기저전력의 비중을 늘리겠다는 건데, 마따한 ESS가 없으면 오히려 전력낭비가 일어나 에너지효율이 떨어지고, 심각한 경우에는 원전사고로 이어짐. 때문에 기저전력 강화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려면 ESS가 먼저 연구되어야함.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user-us6jc9oe3m 차라리 대형원전의 부하추종운전과 SMR로 전기출력을 조절하는게 낫지 ESS는 결국 배터리기술인데 배터리계열은 기술발전자체가 많이 더딤
@user-us6jc9oe3m
@user-us6jc9oe3m Жыл бұрын
@@user-ul4kb4yd6i SMR의 장단에 대한 내용은 영상에 있고, 또 영상에서 SMR은 완벽한 해결책이 아니라고 결론내림. SMR과 ESS를 비교한다면 임시방편과 해결책의 대결이 됨. ESS의 활용가치는 단순히 전력조절에 머물지 않고, 전체 배터리분야의 발전을 가져옴. 장기적인 안목에서는 ESS가 정답임.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user-us6jc9oe3m SMR이 임시방편이라고 폄하되는게 맞나? 이 세상에 완벽한 해결책은 없고 일장일단이 있는거지 에너지저장장치는 반대로 발전수단이 없으면 사용할수없다는 단점이 있는거고 오히려 소형발전소가 더 진화해서 더 작게 가능하다면 배터리저장장치와 다를바가없고
@user-me8nt1wp8h
@user-me8nt1wp8h Жыл бұрын
영상 좋아요
@dubi8171
@dubi8171 20 күн бұрын
자연과 인류가 공생 가능한 방안을 빨리 모색하지 않으면 자연도 인류도 희망을 기대하기란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식은 날리지님의 영상을 보고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사안, 예전부터 문제가 되어오고 있지만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은 사안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되어 좋은 영상을 만들어 주심에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porouri
@porouri Жыл бұрын
그런데 핵분열로는 어쩔 수 없는 폐기물 문제 때문에 ...
@GoB_Lin
@GoB_Lin Жыл бұрын
기후문제 VS 원자력발전을 똥 VS 설사로 아는 사람이 많은데, 이건 청산가리 VS 설사임 시간이라도 벌어야 가능성이 있는데 그걸 모르니까 시간도 못 버는 중...
@andrew3870ify
@andrew3870ify Жыл бұрын
눈에 안보이는 독가스 vs 눈에 잘보이는 폭죽 아 ㅋㅋ 폭죽이 더 위험하다고 ㅋㅋㅋㅋㅋ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원자력발전이 폭죽인 건 아네ㅋㅋ 전세계에 독가스가 골고루 퍼져있어도 우리집 안에 폭죽이 더 무섭다.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도, 미국의 쓰리마일 원전도, 일본의 후쿠시마원전도 안전하다고 자신하면서 지었지만 결국 터졌지
@andrew3870ify
@andrew3870ify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타닥타닥 사람을 향해 겨냥하지 마십시오 폭죽 많이 위험하죠. 소리도 그렇고 이렇게 사람을 향해 쓰지 말라는거보면 ㅋ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무섭다=위험하다는 아니지ㅋㅋㅋㅋㅋ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user-ul4kb4yd6i 궤변 어지간하다 ㅉㅉ
@user-xu8zk6bs6e
@user-xu8zk6bs6e Жыл бұрын
수준높은 주제와 졸라 재밌는 만화
@Jaundae
@Jaundae Жыл бұрын
이런 광고 좋아요
@user-hm8ql9uc7w
@user-hm8ql9uc7w Жыл бұрын
어차피 끝일꺼 원자력으로 도전하고 망하는것도 ㄱㅊ을듯
@user-ng1go8xx5j
@user-ng1go8xx5j Жыл бұрын
지구:세계 멸망?ㅋ 나 안죽어 ㅈ간 니들이 죽지
@Virtual_GoAengIn_GeoNyang
@Virtual_GoAengIn_GeoNyang Жыл бұрын
맞긴함 ㅋㅋ
@Virtual_GoAengIn_GeoNyang
@Virtual_GoAengIn_GeoNyang Жыл бұрын
그냥 우리 인간도 공룡처럼 멸망할 뿐이지 지구가 죽진 않지ㅋㅋ 사실상 전세계 핵무기 다터져도 쥐나 바퀴나 개미 박테리아 곰벌레같은 종들은 알아서 잘 살거임
@user-ng1go8xx5j
@user-ng1go8xx5j Жыл бұрын
@@Virtual_GoAengIn_GeoNyang ㄹㅇㅋㅋ
@agent_urus
@agent_urus Жыл бұрын
핵융합은 너무 먼 미래같아서 시간이 더 오래 걸릴것 같고 오히려 더욱 핵분열에 투자해서 발생하는 방사능 폐기물만 어떻게 처리하는 기술이라도 발전하면 좋을것 같네요
@Baam_m
@Baam_m Жыл бұрын
화산 다뤄주세용....🥺🥺
@angpangjonmat
@angpangjonmat Жыл бұрын
그… 폐연료 재처리 시설은 증식로라는 형식의 원전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는 플루토늄등 핵폭탄을 만들기 위한 핵심기술이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제가 심합니다
@MyNineTails
@MyNineTails Жыл бұрын
원자력 폐기물을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50년전에도 생각했는데, 지금도 해법이 없죠.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11 ай бұрын
영구처분이 해법이지
@hawk8873
@hawk8873 11 ай бұрын
해결 가능합니다. 재처리까지 하면 극단적으로 최소화도 가능하고요. 앞으로 백년간 운영해도 폐기물 보관장소 면적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축구장 몇개 면적 안되죠.
@user-jb2ht8jm8t
@user-jb2ht8jm8t 11 ай бұрын
오 원자력이 대세로 굳어질거 같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Imyrs
@Imyrs Жыл бұрын
이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게 환멸이 날 정도로 경제 정치 전쟁 기후.... 요즘 이런 소식들만 보다보니 스트레스 받지만 저희가 풀어나가야 할 과제는 맞는 것 같습니다 사실 원시인들도 매머드 보고 막막하다 생각했겠지 생각하면 묘하게 위로가 됩니다 다들 화이팅
@Mincho_Hater
@Mincho_Hater Жыл бұрын
그쵸 결국 태산같던 메머드도 사냥하는데 성공한게 인류였으니...
@andrew3870ify
@andrew3870ify Жыл бұрын
​@@Mincho_Hater다른 인류보다 못한 인류는 사라졌으니까..
@hy7kim184
@hy7kim184 Жыл бұрын
풍력빼고 온갖 발전 방식이 결국 물 끓여서 터빈을 돌린다 라서 노답이긴함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유니크한건 오히려 태양광이지 그거 빼곤 결국 전부 터빈돌리는건데
@jungyeonho
@jungyeonho Жыл бұрын
관련 학부생으로서 눈물이 나는 영상입니다...
@jp5862
@jp5862 Жыл бұрын
애니메이션 퀄리티... 겁나... 좋음....
@user-jv6ev1yk4f
@user-jv6ev1yk4f Жыл бұрын
저도 처음에는 원자력 발전 반대했지만 생각해보니 다함께 피할 수 없는 죽음의 길로 향하는 것 보다는 죽을 위험이 있긴해도 그나마 살 가능성이 있는 방법을 택하는게 나은거 같더군요 원자력이 위험하네 어쩌네 이런걸 따지기에는 인류는 이미 선택권이 없을정도로 너무 멀리 왔습니다... 일딘 발등에 떨어진 불부터 끄고 논해야할 문제인거 같아요
@taenggu7454
@taenggu7454 Жыл бұрын
왜 미국이 개발한 smr을 미국 사막이 아니라 한국에서 테스트하냐 라는 핵심 논란을 이야기 안하네
@7721forvalue
@7721forvalue Жыл бұрын
먼소리여 이건또 ㅋㅋㅋ. 반미 선동에서 좀 벗어나자 ㅎㅎ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원자력 인재와 산업이 매우 발달해있으니까 빡아
@user-ko7lb5xf5d
@user-ko7lb5xf5d Жыл бұрын
@@user-ul4kb4yd6i실리콘 밸리는 부럽지만 우라늄 밸리는 싫다구욧!!! ㅋㅋ
@taenggu7454
@taenggu7454 Жыл бұрын
@@user-ul4kb4yd6i 그럼 smr을 만들던지 겨우 남이 만든거 테스트 하는게 자랑임 위험 떠 앉는 거지
@taenggu7454
@taenggu7454 Жыл бұрын
@@user-ko7lb5xf5d 희안하네 원자력 밸리가 뭐가 좋냐
@user-ss4os4ku3p
@user-ss4os4ku3p Жыл бұрын
내용도 좋지만 그림이 너무귀엽고 창의적이네요^^
@oclis711
@oclis711 11 ай бұрын
R&D에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합니다. 지금 반도체 처럼 20년 후에 원자력 에너지가 우리를 먹여 살릴 수 있습니다.
@user-kk5hp3bc2k
@user-kk5hp3bc2k Жыл бұрын
얏후 ~! 종말 가즈아~~~~~~~
@user-dq2dm9dv5p
@user-dq2dm9dv5p Жыл бұрын
30개월이면 진짜 얼마 안남았는데 .. 쉽게 볼 문제가 아닙니다 진심으로요
@user-jv6ev1yk4f
@user-jv6ev1yk4f Жыл бұрын
근데 30개월 안에 그만한 원자력 발전소를 지을 수 있냐도 문제긴 합니다...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user-jv6ev1yk4f신재생이면 더 힘들겠지...
@VermilionRey
@VermilionRey Жыл бұрын
폐기물 재활용이 전혀 안된다는게 너무 아깝다.
@Iron-Gnar
@Iron-Gnar Жыл бұрын
빌게이츠 그는 대체.. 최고다 ㄹㅇ
@user-px1fm8ft7b
@user-px1fm8ft7b 7 ай бұрын
0:31 기후변화로 인한 멸망 7:47 원자로 수출국 뭐라고 할까 인류가 멸망한다고 해서 진심으로 모두가 하나가 될수 있을까요?
@youdieee
@youdieee Жыл бұрын
원자력을 버리는건 인류 최대의 열기관을 버리는 것과 같죠.
@user-qw5pu2rg3j
@user-qw5pu2rg3j Жыл бұрын
버리려 하더라
@see-han.3sfa9gejw
@see-han.3sfa9gejw Жыл бұрын
최대한 빨리 버려야된다. 사고터져버리면 정말 답이없다... 일대가 죽음의 땅된다. 체르노빌도 수십만이 희생되가면서 겨우 정상화 시킨건데... 차세대 에너지 개발이 빨리되야됨
@Bexel147
@Bexel147 Жыл бұрын
​@@see-han.3sfa9gejw그 차세대 에너지 개발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원자력을 쓰자는거죠
@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 Жыл бұрын
@@see-han.3sfa9gejw사고 안 터져도 탄소 이 상태로 계속 배출되면 망하는 건 똑같음 확정적으로 망할 것이냐 확률적으로 망할 것이냐 선택하라면 당연히 확률적으로 망하는 경우를 선택하는게 현명한 선택이지 않을까?
@sd68127
@sd68127 Жыл бұрын
​@@see-han.3sfa9gejw라고 말하면서 누구보다 전기를 필요로하는 모순적인 그들
@someday341
@someday341 Жыл бұрын
빌 게이츠가 SMR을 믿는다면 그게 해결책이 되는 건가? 빌 게이츠는 단지 잡스가 만든걸 옆에서 베낀거고, 잡스는 제록스가 만든걸 훔쳐온건데...
@user-kc3nx5og8q
@user-kc3nx5og8q Жыл бұрын
너가 해결책 좀 고안해봐
@someday341
@someday341 Жыл бұрын
@@user-kc3nx5og8q 이미 독일부터 모두가 답을 내고 달려가는데, 뜬금 원자력이라니...어이가 없음. 독일은 당대에 최고의 엔지니어링 민족, 근데 원전을 왜 포기했을까? 그리고 비디오 내용을 한번 다시봐봐... 그냥 빌게이츠가 이랬다. 그게 다 잖아. 왜 그게 더 나은지에대한 근거는 없고, 주장의 나열이지... 이 채널 내용에 대해 괜찮게 봤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지식을 이해하고 전달한다기 보다는 핫한 내용을 읽어주더라고, 그러고는 그게 진리인것 처럼 포장하지. 그게 안타까울 뿐이야.
@andrew3870ify
@andrew3870ify Жыл бұрын
​@@someday341독일 땅에서는 천연가스를 쓰고, 그것때문에 러시아한테 강하게 말할수 없습니다. 그리고 바로 옆에 국가들중 최대의 원전비율을 가진 프랑스가 독일로 전기를 많이 팔아주고 있는데 탈원전? 그냥 쇼한거고, 그것도 독일 국민들은 이제 차츰 후회하기 시작했습니다. 선진국이면 모두가 이성적인 판단을 하고 최선의 판단을 하는걸로 착각하지 마세요.
@someday341
@someday341 Жыл бұрын
@@andrew3870ify 독일이 탈 원전쇼를 한다구요? ^^ 어이쿠 그랬군요... 독일 에너지 산업계 한자리 하시나 봅니다. 그냥 말 한마디로 독일 및 유럽 친환경 산업계를 쇼라고 해 버릴 만큼의 "호연지기"에 무릎을 칩니다.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someday341 팩트 프랑스는 다시 원전늘리는중 미국도 늘리는중 영국도 늘리는중 중국도 늘리는중 일본도 늘리는중 독일혼자서만 탈원전하겠다 웅앵됨
@user-js1ok2uh9j
@user-js1ok2uh9j Жыл бұрын
아 오늘 드립 폼 미쳤네 형 사랑해
@DuncanKim
@DuncanKim Ай бұрын
빌게이츠의 SMR은 기존의 핵발전소에서 나온 핵폐기물을 원료로 사용하여 1/10으로 폐기물을 줄인다고 합니다.
@Jerison_kor
@Jerison_kor Жыл бұрын
4세대 원전의 조속한 상용화가 절실합니다.
@user-hf4pg8du1n
@user-hf4pg8du1n Жыл бұрын
체르노빌도 후쿠시마도 사실 인재인 측면이 커서... 터지면 좆되지만 터질 일이 없으니 괜찮다는 설득력없는 설득을 믿어야 하는 슬픈 현실이네요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매우낮은 확률로 터질일이 생기더라도 그동안 재생에너지로 죽은사람이 더 많을겁니다
@user-re7zi5fb4g
@user-re7zi5fb4g Жыл бұрын
@@user-ul4kb4yd6i 재생에너지로 사람이 왜 죽어요?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user-re7zi5fb4g 수력발전소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댐이기 때문에 댐으로는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 이상의 사망자가 난 사고들도 있고 풍력이나 태양광을 정비하거나 태양광으로 인한 산사태 풍력으로 인한 화재 풍력발전소를 건설하다가 추락해서 사망한 근로자들이요 이게 원자력에비하면 별거아니라 생각할수있지만 발전량대비 사망자수로 따지면 원전하고 재생에너지는 별차이없음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태양광의 산사태라든가 수력의 댐붕괴 풍력의 화재 희토류 채굴할때 노동자 풍력 태양광제작하다가 죽은 산업재해등등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글씨를 읽을줄모름? 바로위에 있는데?
@starworksco
@starworksco 6 ай бұрын
지구인들이 고생많네요.
@user-db8gg2pe8y
@user-db8gg2pe8y Жыл бұрын
현대의 문명을 이어나가려면 점점 더 많은 전기가 필요할거고 친환경 발전으로는 "절대" 이 요구량을 맞출 수 없음. 저탄소 발전으로 현대 인류가 유일하게 가능한게 원전밖에 없음. 탈원전이란건 그냥 우린 석기시대로 돌아가겠다 선언한 수준이었음
@jakesteinfeld8126
@jakesteinfeld8126 Жыл бұрын
대통령후보가 토론에 나와서 공포마케팅하는거보고 아무리 시국이 어지러워도 저런 사기꾼은 안되겠다고 생각했다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애플은 이미 RE100 선언하고 자사 제품 100%를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하고 있음. 그래서 아이폰에 납품하는 회사도 RE100으로 생산해서 납품하기를 요구하기 시작했음. RE100 여부로 애플이 삼성전자 부품을 선택할 지 소니 부품을 선택할 지 결정될 상황. 삼성도 버티다 얼마전에 RE100 선언한 것이고. 현재 대한민국에는 삼성전자 하나 돌릴 RE100 에너지도 없음. 삼성전자 하나로 우리나라 경제가 들썩인다는 건 알테고
@jakesteinfeld8126
@jakesteinfeld8126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진짜 가짜뉴스가 이렇게 무섭다ㅋㅋㅋㅋ 자 설명해줄게 잘들어봐. RE100이라는건 2014년에 한 민간환경단체가 자기들끼리 만든 규약이고 여기에 개별기업들이 가입하는 형태임. 여기까진 알지? 근데 그 규약이란건 뭐냐? 삼전을 예를 들자면, 삼성전자에서 쓰는 전기를 100퍼센트 친환경 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쓰겠다는거임. 2050년까지. 그럼 가입하는 조건은? 별거없음. 그냥 2023년 현재 전기를 많이 쓰는기업이고+저 약속을 하면된다. 2050년까지 100퍼센트 친환경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쓰겠다고. 자 그럼 이게 왜 머리에 총맞은 생각인지 보자^^ 전기를 기업과 공장에 전달을 하려면 그게 수력발전으로 만든 전기인지 원자력발전으로 만든전기인지 상관없이, 가까운 발전소에서 전기를 가져옴. 엥? 그럼 어떻게 친환경에너지로 전기를 만든것만 써?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Re100을 만든 환경단체에서 돈을주고 티켓을 사면된다. 무슨 티켓? 친환경에너지는 화력이나 원자력보다 몇갑절~수십배는 더 비싸다. 이 간극에 준하는 만큼을 기업이 환경단체로부터 그냥 티켓을 산다. 그럼 환경단체에서 "너넨 친환경전기를 썻다"고 "인정"을 해주는거다. 실제로는 화력발전을 썼으면서. 그냥 돈을 주면 친환경이라고 말해주고 훈장을 주는거임. 이게 그렇게까지 기업생사에 중요한가? 아니지ㅋㅋㅋ 실제로 너가 알만한 대기업들은 이런 규약을 수십개씩 가입한다. 그리고 그 환경단체들도 그놈이 그놈들이고 황금알을 낳는 기업의 배를 가를 생각도없다. 그리고 법적인 채권이 아니기에 돈을 안줘도 소송을 걸수도없다. 이게 RE100의 현실임. 친환경을 한다는 인정을 받으려면, 우리에게 돈을 줘라. 이게 그 옛날 조폭하고 뭐가다르지?
@jakesteinfeld8126
@jakesteinfeld8126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그리고 머리깨진 소리좀 그만해라. 니가 지금 쳐다보고있는 피씨나 핸드폰화면에 들어가는 반도체가 전기를 얼마나 처먹는지알아? 원래 세상에서 전기를 가장 많이 들어가는 사업이 알루미늄이었는데 그게 반도체로 바뀐지가 수십년째다ㅋㅋㅋ 반도체공장이 친환경한답시고 쥐꼬리만한 태양에너지로 만든 전기로 돌아갈거같아? 머리가 왤케 꽃밭임? 장마오면 공장 가동 멈출까? 외국바이어한테 "아 저희가 지금 장마가 예상보다 길어져서 햇빛이 안들어 약속한 시일까지 물량을 못맞추게됬습니다."하면 외국애들이 퍽이나 아 그렇구나 하겠다ㅋㅋㅋ 친환경은 좋은데 이건 자리가 좋아야함. 태양광을 하려면 사막, 그것도 모래폭풍이 적은 미국이나 파타고니아 사막 일부에서나 "사람이 사용할만한" 발전이 되는거고 수력도 한국처럼 하상계수가 1000넘어가는곳에서는 꿈도꾸지말아야지ㅋㅋㅋ 저기 노르웨이같은데서나 하상계수가 작으니까 가능한거고. 풍력? 풍력은 편서풍지대에서 하는거다.지구의 자전때문에 24시간 내나 끊임없는 강풍이 불어닥치는 그곳. 우리는? 계절마다 바람의 크기와 방향이 바뀌는 대륙성기후임 지열은? 우리나라에서 화산이나 지진난다는 소리들었냐? 없지? 그럼 삼척동자도 안될거라는건 알테고 조력발전->이건 좀 괜찮지. 근데 문제가 뭐냐면ㅋㅋ 조력발전소 함 가봐. 규모가 작아도 너무 작다. 한국 수출경제를 버티는 그정도는 턱도없고 그냥 주의에 농가들에게 전기좀 공급하면 끝남. 막 정의롭고싶지? 막 똑똑해보이고싶지? 다른 사람들은 악하고 너네는 선하다고 믿지? 뒷짐 딱 지고 턱짓으로 이렇게 이렇게하면 천국이 되는데 막 사악한 악마들이 그걸 막는걸로 보이지 세상이?ㅋㅋㅋㅋㅋ 나이 똥꼬로 먹었냐? 이상주의자는 늘 이런식이야. 진짜 공부도 안하면서 지들끼리 시원한 에어컨밑에서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잔씩 마시면서 친환경에 대해서 이러쿵저러쿵만하지. 정작 왜 할수없는지 그 이유엔 눈감은채 말이야. 너같은 사람이 삶이 고되어 환경운동 이런거 모르는 소시민들하고 다른게 뭔데? 결국 에너지는 똑같이 쓰면서 왜 선민의식가지고 RE100같은 그럴듯한 사기뉴스 퍼다나름?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그럼 RE100 원하는 기업들 스스로 돈부담하고 나머지기업 국민은 원자력쓰면되겠네
@yoseop02
@yoseop02 Жыл бұрын
중국이 배출량을 현저히 줄이지 않으면 무의미한 것 아닌가싶다...
@la-2la625
@la-2la625 11 ай бұрын
만약 SMR 발전과 보급이 보편화되서 각 가정에 보급되고, 지금의 자택형 태양광 발전처럼 남는 전기를 한전에 다시 파는 구조로 간다면?
@hawk8873
@hawk8873 11 ай бұрын
비효율적이라 한국에서 채택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대규모 원전 단지에서 전력선 파워그리드 유지하는것이 훨씬 싸게 먹히죠.
@sa-lam
@sa-lam Жыл бұрын
원자력발전의 문제점이 비단 원전 사고 뿐만 아니라 핵폐기물 배출과 삼중수소 배출 때문에.....
@RickyKalook
@RickyKalook Жыл бұрын
원자력의 위험성보다 원자력 관리 주체의 비리가 더 위험합니다. 그게 보장되지 않는이상 아무리 좋은 기술이라도 인류에게 큰 위험이 될것입니다.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그럼 비리를 잡자고해야지 원전을 없애자하지말고
@user-xv8nl1dl7z
@user-xv8nl1dl7z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 한국에 비리가 있으니까 나라를 없애자는 거죠? 동의합니다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IAEA도 최근 뇌물 스캔들 터졌죠. IAEA의 발언은 더 이상 과학적이지 않습니다
@yuiopot
@yuiopot 9 ай бұрын
​@@user-ul4kb4yd6iㄹㅇㅋㅋㅋㅋㅋ
@Park-vm9bl
@Park-vm9bl Жыл бұрын
인간이 멸종해도 지구는 지구입니다.
@eondeoggilbigrock
@eondeoggilbigrock Жыл бұрын
재처리는 미쿡성님이 허락 해주지 않는 이상 우리는 못함.
@privatenumber2299
@privatenumber2299 9 ай бұрын
What if to enforce to convert all the existing and future roofs in the world to solar panels?
@kjyshawn
@kjyshawn Жыл бұрын
신뢰성과 홍보성은 함께 갈 수는 없다고 봅니다. 아쉽습니다.
@molsal
@molsal Жыл бұрын
여러분 신재생 빨지마세요.. 신재생이 할수있는건 원전이 다할수있지만 원전이 할수있는건 신재생이 못합니다. 근데 단점은 둘이 공유합니다. 폐기물.. 생태계파괴.. 비리.. 관리부실로 인한 재해.. 전부 두 쪽에 다 있죠. 근데 발전단가를 못따라갑니다. 아예 슈퍼태풍이 상시로 부는수준이거나 적색거성으로 진화한 태양이 있는게 아니고서는 메인으로 못써요. 나중에 우주진출했을때 써먹을려고 연구개발하는겁니다.. 태양풍 발전같은게 나올수있으니까요.
@user-hu9fd4vc4r
@user-hu9fd4vc4r Жыл бұрын
두산에너빌리티 화이팅!!
@Finlandiamall
@Finlandiamall Жыл бұрын
핵 폐기물 문제가 소형원자로 보다 더 시급한거 같지만 뭐든 기술발전 한다는건 환영 할 일이지.
@hhhh-ln3ur
@hhhh-ln3ur Жыл бұрын
원전위험하니 없애자=자동차 위험하니 없애자,불 위험하니 없애자
@sdf0302
@sdf030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2개의 원자로 재건축 한다니 너무 좋았습니다.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원전 마피아들이 아주 좋아하겠죠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11 ай бұрын
@@user-tm1fm5jg4j 재피아들이 좋아히는것보단 남
@DDiiiiiing
@DDiiiiiing Жыл бұрын
사물궁이처럼 버스에서 보고싶어요
@故_라니
@故_라니 11 ай бұрын
핵융합이 제대로 상용화 되려면 이번 세기 말은 되어야 할 거 같은데 급한불은 끄고 봐야지 않을까
@sinju628
@sinju628 Жыл бұрын
사실 지금의 원자로도 충분히 안전합니다. 사람들이 착각하는 부분은, 옛날 원전은 후쿠시마처럼 위험하지만 요즘 원전은 더 안전해졌다는 거죠. 그건 사실이 아닙니다. 옛날 원전도 후쿠시마보다 안전했습니다. 일본의 원전은 더 좋은 효율을 위해 안전을 버리는 방향으로 변했기 때문이죠. 영상 중에 소형원자로의 장점이라 불린 것들 대부분이 현재 가동중인 원자로에서도 작동됩니다. 후쿠시마가 이상한 겁니다.
@Mottminyoku
@Mottminyoku Жыл бұрын
그놈의 돈 때문에,, 도쿄전력이 잘못된 위치에 원전을 지어버린거죠
@taenggu7454
@taenggu7454 Жыл бұрын
ㅇㅇ 지금의 캐나다형 원전 엄청 안전한데 도쿄 전력 ㅂㅈ 들이 규격 병신의 케이블 써서 생긴 문제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Mottminyoku 처음 사고 났을 때 바닷물만 퍼부었어도 이렇게 까지는 오염되지 않았음. 원전 살려보겠다고 시기를 놓치는 바람에
@Quarky_Investment
@Quarky_Investment Жыл бұрын
그걸 떠나서 비상 발전기를 방파제 밑에다가 설치해서 동일본 대지진대의 쓰나미가 원전을 덮치면서 방파제 밑에 있던 비상발전기가 박살이 났고, 그 상황에서 전력이 끊기니 온도가 안내려간거임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Quarky_Investment 비상 방파제 밑에다가 설치한 것 부터가 잘못된 설계였음. 비상 발전기 침수되고 외부 전력까지 차단 되었더라도 바로 그 시점에 헬기로 바닷물 퍼다 부었어야 함. 당시 도쿄전력이 소금물 부으면 망가진다고 지연시켰다는
@strichcode1230
@strichcode1230 Жыл бұрын
우주방사선이 있는 우주공간에서는 방사는 문제도 냉각제 문제도 상관하지 않고 돌릴 수 있으려나...? 핵융합이 빠를까 영상처럼 소형화- 단가 문제에서 해결점을 찾는게 빠를까 우주세기(?)가 빠를까?(= 우주 엘리베이터든 뭐든 우주공간에 갈 수 있는 단가를 엄첨나게 내리기) 암튼 과학자에몽 빨리 해결책 해줘
@andrew3870ify
@andrew3870ify Жыл бұрын
우주공간에서는 태양광을 하는게 베스트고, 핵융합은 치트키처럼 외계인이 나타나서 기술 전해줄거 아니라면 인류가 요구하는 기한 내에 맞추긴 힘들어보입니다.
@user-fw6jl8rh9l
@user-fw6jl8rh9l Жыл бұрын
국가기관에서 광고를 받은 건가요?
@user-er1ry1ni4n
@user-er1ry1ni4n Жыл бұрын
서울에도 원전 생겨서 싸게 전기 사용하면 좋겠어요 그리고 서울 땅값이 떨어져서 나도 내 집 마련하고 싶다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서울이 원전짓기에 좋은점은 송전비용절감 딱하나인데?
@user-xv8nl1dl7z
@user-xv8nl1dl7z Жыл бұрын
아따 짓는 데 필요한 땅값은 자네가 다 묵어브렸으어야
@user-er1ry1ni4n
@user-er1ry1ni4n Жыл бұрын
@@user-ul4kb4yd6i 발전소에서 소비지역 까지 거리가 멀면 전력 손실을 줄이고자 변전소에서 전압을 올려서 송전탑으로 보네고 소전탑에서 다시 변전소가서 전압을 나추어 배전 합니다. 그래서 보네주는 변전소+변전소 직원 받는 변전소+변전소 직원2 그리고 송전탑도 정기적으로 사람들이 정검하고 고압으로 세척 합니다
@GoB_Lin
@GoB_Lin Жыл бұрын
@@user-er1ry1ni4n 그게 송전비용이지 현재 땅값이 너무 높아서 불가능함 짓고 나면 땅값 내려가겠지만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몇일전 그동안 월성 원전 주위에 암 발생률 높은 것을 숨기고 있었다는 보도가 있었죠
@user-ss4os4ku3p
@user-ss4os4ku3p Жыл бұрын
혹시 일러스트기반에 책쓰실 생각은 없으신가요? 쉽게해서 아이들교육책을 내셔도 엄청 좋을꺼같아요
@rafina2276
@rafina2276 Жыл бұрын
SMR 정말 안전한거같아요. 용산에 설치하면 딱 좋겠습니다.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하수처리장 교도소도 안전하니 니네집에 짓는건 어떰
@user-tq6kh3qh7d
@user-tq6kh3qh7d Жыл бұрын
이런식으로 정치적 문제로 가져가는 사람들이 가장 한심함 ㅋㅋㅋ 전 지구적 미래가 달린 문제인데 그저 한심하게 정치싸움이나 해대는 당신같은 사람들을 보니 그저 한심하다고밖에 생각이 들지않네요 ㅋㅋㅋ 오늘도 저 대신 아래에 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SEVEN-tq5rk
@SEVEN-tq5rk Жыл бұрын
멀쩡한 해안가지역 놔두고 왜 내륙에다가 지을려고하지? ㅋㅋㅋ
@andrew3870ify
@andrew3870ify Жыл бұрын
니가 용산에 짓자고 땅값 내면 하자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user-tq6kh3qh7d 원자력을 누구보다 정치적 문제로 끌고 가는 것이 윤석열 대통령과 국힘당인데?
@dogmaster01
@dogmaster01 Жыл бұрын
그런데 그건 있어요. 기후가 변해도 '지구'가 위험한게 아니라 아둔한 생물인 '인간'만이 위험할 뿐 이에요.....
@user-rd8hb2zn9g
@user-rd8hb2zn9g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진짜 첫 부분부터 개웃기네 ㅋㅋㅋㅋㅋ
@tarcoon814
@tarcoon814 Жыл бұрын
? 우리 미래 모습입니다
@hannibal9230
@hannibal9230 Жыл бұрын
신재생의 환경파괴와 비효율성, 들쭉날쭉한 발전량은 괜히 지었다 화력에 더 의존하게 만들 것이라고 봅니다. 당장 독일만 봐도 원전 부수고 프랑스보다 탄소 배출 더 높고.
@user-mv4ip7sz9r
@user-mv4ip7sz9r Жыл бұрын
크크크 룬한태 광고 받은영상이네
@owleyez
@owleyez Жыл бұрын
아무 액션을 취하지 않으면 30개월 남았다고요오? 와... 인류가 참.
@Gamgyull
@Gamgyull Жыл бұрын
상태가 생각보다 좋..... 된것 같습니다. 마음의 준비를 하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acuscline
@Racuscline Жыл бұрын
탈원전.. 어휴..
@user-rp8kd9wh6v
@user-rp8kd9wh6v Жыл бұрын
서양은 reactor라 부르는데 동양쪽은 원자+난로 붙여서 부르니까 느낌이 뭔가 중이중이해서 좋음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미화된 측면이 있지. 사실 '핵발전'인데 근본도 없이 '원자력발전'이라고 두루뭉술한 호칭을 붙임. 다분히 의도적인 느낌
@Bocho123
@Bocho123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그럼 방사선도 존나강력하게 핵빔이라 안했으니 다분히 의도된 미화인가요..?
@Bocho123
@Bocho123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원자력은 Nuclear power에서 나온 단어고, 핵력은 Nuclear force에서 나온 단어에요. 이 둘은 엄연히 다루는 의미가 다르고요. 원자력 발전도 Nulcear power에서 파생된 용어이기 때문에, 그 뜻에 전혀 문제가 없는것이에요. Reactor도 단순히 반응로이기 때문에 Nuclear 가 앞에 붙지 않으면 뜻이 불충분하고요. 생물학적 화학적 반응로는 많으니까요. 우리 몸도 그렇고요. 핵 이라는 단어에 대해, 더티밤 류의 이미지만 편협하게 가지신거 아닐까요? 보통 그런 분들이 핵융합도 반대하시더라구요.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Bocho123 Nuclear가 핵이지 원자입니까. Atomic라는 단어가 따로 있는데? Nuclear Force는 핵력이고 Nuclear Power는 핵에너지(핵동력)이죠. 미화해서 쓰는 것 맞음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Bocho123 핵융합 말 나와서 말인데... Nuclear Fusion(핵융합)은 핵융합인데 Nuclear Fission(핵분열)은 원자력이에요?ㅎㅎ
@impoorunii3795
@impoorunii3795 11 ай бұрын
원자력이 차라리 낫죠. 문제는 전기세를 낮출 방법을 찾아야 할 거 같아요
@podonamu1764
@podonamu1764 Жыл бұрын
어느나라 대통령은 영화 한 편보고 원자력발전소 폐기를 진지하게 추진 하더라고요 ㅎㅎ참 어느나라인지 궁금하네요
@user-dz4mx8wd4t
@user-dz4mx8wd4t 10 ай бұрын
중국대통령 문짜이니대까이문 애기하시는 겁니꽈??
@soeasy1
@soeasy1 10 ай бұрын
지성이 느껴지는 댓글이네요. 영화한편 보고 핵 폐기를 진지하게 추진한 대통령이 누군가요? 조롱을 하려면 사실로 하세요. 디씨에서 님들끼리 낄낄거리며 놀면 그곳의 이야기가 곧 사실 같지만 현실은 생각보다 동떨어져 있습니다. 커뮤가 아닌 현실을 보세요
@sunsetjesus
@sunsetjesus 9 ай бұрын
⁠​⁠​⁠​⁠​⁠@@soeasy1 현실은 탈원전 외치면서 가동률은 역대 최대로 돌린 미친대통령 말씀이시지요? 원전 비전문가로 탈원전 정책 만들고 북학 원전 추진한 대통령은 커뮤인가봅니다 ㅋㅋㅋ 트위터에 근친야동표지나 올리니 커뮤같기도 하네요 ㅋㅋ 아~ 네네 또 해킹이겠지요 ㅋㅋㅋㅋㅋ 무지성으로 조롱하는게 아니랍니다~
@MonDeaSSang
@MonDeaSSang 9 ай бұрын
​​​@@soeasy1사실을 부정하고 싶은 건 알겠는데, 이미 공공연한 사실이고 현실이야 ㅋㅋ 대깨문 진짜 안쓰럽네. 같은 당의 찢갈이들한테도 무시당하니 ㅋㅋ
@user-mk6zd4ht9x
@user-mk6zd4ht9x 9 ай бұрын
훠훠~~
@fart-eater
@fart-eater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반지성주의가 사라지길 기원합니다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역겨운 친일 뉴라이트의 논리
@jedclub-
@jedclub- 11 ай бұрын
핵심은 핵융합 발전 만큼이나 아직 발전 중 이라는게 핵심이지.... 결국 이권의 문제이고 그렇게 국가입장에서 기후 위기가 정말 위기라고 생각된다면 원자력에만 투자 할게 아니라 SMR 및 동원 가능한 모든 신재생 에너지 생산에 투자해야 맞는거임...
@fight_myself
@fight_myself Жыл бұрын
영상이 너무 웃겨욬ㅋㅋㅋ
@rafina2276
@rafina2276 Жыл бұрын
지금 원전도 10만년에 한번, 100만년에 한번 고장난다는 놈들이지만 7번인가 터졌죠.. 천배 안전하다? 다 지들 맘대로 하는 말입니다.
@tridish7383
@tridish7383 Жыл бұрын
용법 용량대로 사용해도 그렇게 고장나는건데 인간들이 말을 안들어 쳐먹어서.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에휴 이래서 중고등학교를 나와야한다니까.... 확률과 통계 안배웠냐? 니가 번개 맞고 죽을확률이 10만년에 1번이어도 10만명씩있으면 100퍼인거지 무식한소리한다
@Ros303
@Ros303 Жыл бұрын
현재까지 7등급 원전사고는 후쿠시마,체르노빌 2번 있었습니다 이 발전소들은 각각 비등수형 경수로와 rbmk 흑연 감속 원자로를 사용했는데 비등수형 경수로와 rbmk 원자로 모두 구식이라 지금은 대체로 더 안전한 pwr 가압 경수로를 사용해서 크게 문제 없습니다
@rafina2276
@rafina2276 Жыл бұрын
@@user-ul4kb4yd6i 확률과 통계 배운 사람이 하루 300만번 친다는 번개랑 전세계 400여개 있는 원자력 발전소를 비교합니까.. 말을 말아야지..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rafina2276 니 확통 못배웠지? 원전갯수하고 원전역사 50년넘게 지난거 계산하면 진짜 그정도 확률나오는데 ㅋㅋㅋㅋ
@user-sr1ki7oh9v
@user-sr1ki7oh9v Жыл бұрын
탈원전 자체가 우린 다시 원시시대로 돌아 가겠다 라고 선언 한거나 마찬가지 인데 전 정권서 그거 좋다고 지지 하던 애들 보면서 뒷골 좀 많이 당겼었던 기억 나네요
@bryanlee5397
@bryanlee5397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무식한 댓글에 좋아요까지 달리네... 탈원전 = 원시시대 복귀라고 보다니.... 무식하다 무식해....
@7721forvalue
@7721forvalue Жыл бұрын
@@bryanlee5397 너가 더 무식해보여 ㅋㅋㅋ
@user-sr1ki7oh9v
@user-sr1ki7oh9v Жыл бұрын
@@bryanlee5397 무식하다고 하고 본인 의견 안 말하고 뒤로 빼고 그러면 본인이 더 무식해 보입니다~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Жыл бұрын
@@bryanlee5397 원시시대까지는 아니고 북한정도로 경제가 폭망할것같은데? 재생에너지만으로 전기쓰면 툭하면 전기 끊겨서 나라 마비되지
@nhd-hl4uc
@nhd-hl4uc Жыл бұрын
Fallout 세계관이 온다...!
@user-co2dp1cy2g
@user-co2dp1cy2g Жыл бұрын
지금당장 뒤지기vs 10만년동안 책임지기
@Hermit1920
@Hermit1920 Жыл бұрын
태양광발전이 원자력발전보다 탄소배출이 적다는 헛소리 하는애들이 이영상 보고 사라졌으면 좋겠습니다.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영상에는 신재생에너지가 무탄소라는 내용은 없음. 발전량이 일정하지 않고 면적이 많이 필요하다는 내용임
@Hermit1920
@Hermit1920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Carbon footprint of solar panels라고 검색하면 태양광 발전이 탄소중립적 에너지라는 환상에서 벗어날수 있음. 면적이 많이 필요한것 이전에 애초에 태양광 패널 만들때부터 탄소배출이 확정된 에너지원임. 단위 에너지당 배출하는 탄소량이 수력발전의 1.5배, 핵발전의 3.5배 정도인데, 이건 어디까지나 발전소 부지가 평지일때 기준이고 우리나라같이 국토의 대부분이 산림인 나라에서는 더 차이가 날수밖에 없음.
@Hermit1920
@Hermit1920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사실상 우리나라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선 원자력이 필수불가결인데 어느 멍청이가 원전 다 때려부수면서 탄소중립 외치고 있으니 진짜 할말이 없음 ㅋ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Hermit1920 왜 탄소중립으로 논점을 비트는지 모르겠는데, 세계는 탄소중립이 아니라 RE100을 무역장벽화 하고 있으며 당연히 태양광 핵심임. 뇌피셜로 땅이 없다 이러고 있는데 공간은 만들기 나름이며 서울시는 이미 시내 건물과 아파트 옥상 곳곳에 태양광 설치 정책을 추진해서 낮2시 에너지 부족 현상을 해소한 바 있음. 요즘 블랙아웃 어쩌고 하는 뉴스가 없어진 이유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Hermit1920 문재인 정부 시절 때려부순(?) 원전 단 1개도 없는데 뭔 망상임. 탈원전이라고 부르던 에너지 정책은 앞으로 60년간 천천히 줄여가면서 신재생 에너지에도 투자하자는 정책인 것도 모르고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원전은 웨스팅하우스 기술을 쓰는 까닭에 수출이 불가능 합니다. 얼마전 윤석열 대통령 미국 방문에서 확인까지 해주고 왔죠. 게다가 미국 벤처기업이 만든 검증되지 않는 소형 원자로 5기를 국내에 짓겠다는 엄청난 약속도 해주고 옵니다. 우리나라에 이미 개발된 소형 원전 모델이 있는데도 말이죠. 우리나라가 미국의 원자력 발전 시험장이 되는 것은 막아야 합니다
@user-ns5di9nk1m
@user-ns5di9nk1m Жыл бұрын
웨스팅하우스 기술은 대형원전기술이고 웨스팅하우스 자체가 사모펀드에 먹힌 수주능력이 없는 기업이라 한수원과 협의를 해야합니다. smr기술은 뉴스케일 파워에서 기술개발을 하고 있는데 뉴스케일파워가 밴쳐기업이라뇨... 그리고 smr 기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러시아 중국 프랑스에서도 지금 현재 진행형으로 만들어가고 있는 기술입니다. 정치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시는거 같네요.
@user-dr5nt2is7f
@user-dr5nt2is7f Жыл бұрын
@@user-ns5di9nk1m선동당할뻔했는데 감사합니다
@user-ns5di9nk1m
@user-ns5di9nk1m Жыл бұрын
@@djekskdjalhedeq 시총7000억이 벤쳐라고 보인다면 어쩔수 없지요.
@user-ns5di9nk1m
@user-ns5di9nk1m Жыл бұрын
@@djekskdjalhedeq smr기술하나로만 시총7000억원이고 대체에너지시장을 지배할수도 있는 잠재력이 있는데 마치 작은 중소기업하나처럼 표현을 하시니까 그렇죠.
@user-ns5di9nk1m
@user-ns5di9nk1m Жыл бұрын
@@djekskdjalhedeq 기업을 깎아내리려는 의도도 알겠고 무엇을 경계하시는지도 알겠지만 중요한건 기저에너지산업에서 원전에너지를 무시하고 갈수는 없어요.
@neykol2
@neykol2 8 ай бұрын
데드라인 확실한 프로젝트군...
대체 이 둥근 지붕 안에는 뭐가 있을까? | 과학쿠키 다큐 단편
17:43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197 М.
물이 판다 모양이기에 일어난 스노우볼 | 지구 생명 탄생부터 인류 흥망성쇠까지
7:05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когда повзрослела // EVA mash
00:40
EVA mash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Fentanyl, Just use once and that's the end of you | Why is drug addictive and dangerous?
5:41
지식은 날리지 [Jisik is Knowledge]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What is fusion energy? - 'Strange Future Institute'
20:11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439 М.
대한민국의 원전은... 정말로 안전할까? (원자력 2부)
12:12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214 М.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