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쿠키를 보면서, 과학 공부에 대한 흥미를 더욱 더 돋구게 되었어요. 과학 공부의 계기를 주신 제작자 분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hyundai425 жыл бұрын
참 유익하네요. ^^ 올해부터 프랑스 ITER 건설공사에 참여하게되었습니다. 이상한 미래연구소. 책 사서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랙쇼랙쇼4 жыл бұрын
멋있는 일 하시네요!
@siwooyun4 жыл бұрын
@@랙쇼랙쇼 ㅇㅈ
@차가운호구4 жыл бұрын
부럽따 나중에 핵융합연구소가 유명해지면 내가 저거지었다 쌉가능이네욬ㅋ 지금은 어느정도 지었나요??
@E_equ_mc_sq3 жыл бұрын
축하!!
@StK_11276 жыл бұрын
이보다 유익한 채널은 본적이 없어요.항상 감사합니다!
@blues505426 жыл бұрын
영상주제는 진짜 무한정하다.. 이 얘기하면 저 얘기할게나오고.. 과학은 위대하다
@snceckie6 жыл бұрын
사실, 자연에서 발생하는 수소의 핵 융합 과정, 즉 태양에서의 과정은 수소 + 중성자 -> 중수소 중수소 + 수소 -> 헬륨 동위원소(중성자 1개) 헬륨 동위원소 + 헬륨 동위원소 -> 헬륨 (중성자 2개) + 수소원자 2개 의 형태가 가장 일반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 이렇게 태양에서 지속적으로 탄생하고 있는 원소라고 해서,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나오는 태양신 '헬리오스'의 이름을 딴 원소가 바로 '헬륨'이죠 :)
@luka70586 жыл бұрын
태양도 무한정은 아니죠.
@jsp72356 жыл бұрын
사이클로이드 곡선이 왜 가장 빠르게 내려오는지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욥!!
@성이름-h8w6 жыл бұрын
@F ADE 이런건 랜들 먼로한테 물어봐야될것같다 ㅋㅋㅋ
@aedky6 жыл бұрын
핵분열 또는 핵융합을 통해서 방출된 에너지는 어떻게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 즉, 전기에너지로 형태를 바꿀 수 있나요? 다른 발전 방식처럼 터빈을 돌리나요? 그런 것이라면 핵분열 핵융합을 통해 방출된 에너지가 터빈을 어떻게 돌릴 수 있나요?
@kentcjh90606 жыл бұрын
@@aedky 미니태양을 만드는 거니까 증기터빈을 돌릴 것같아요
@pmw11296 жыл бұрын
ITER프로젝트는 미국 러시아, 일본같은 선진국들만 참여가능하지만 우리나라는 K-STAR을 만들었던경험으로 참여하게되어 지금은 특정부분에서는 오히려 선두하고있다고 하네요. 저희 교수님이 수업시간에 자랑하셨던게 기억납니다
@@ljh3825 인간이 살려면 인간끼리 모여서 기술을 활용해야만 문명을 이루며 살 수 있음. 인간끼리 관계 맺는 게 문과적 요인이고 활용하는 기술이 이과적 요소임. 어느 하나 없어선 안 되는 거임. 한 분야에 깊이는 얕아지더라도 문이과 구분을 없애고 전인류가 문과공부,이과공부를 어느정도 두루두루 익혀놔야만 하는 이유.
@AgoraAndAgenda6 жыл бұрын
핵융합의 위험성은 없는 건가요??
@100-y1s6 жыл бұрын
@@AgoraAndAgenda 현재의 핵분열발전 같은 돌이킬 수 없는 환경,건강에 치명적인 위해를 가하는 부작용은 없다고 함
@감구방6 жыл бұрын
쿠키님.쿠키가 추천하는 과학서적 같은거 안하시나요?
@황현성-k5b5 жыл бұрын
15:16에 왜 수소 플라즈마를 넣는다는 거죠? 중수소나 3중수소를 넣고 전기충격, 전자기파 조사로 열을 올려 플라즈마 상태를 만들어서 핵융합을 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저기서 플라즈마를 넣으면 플라즈마 상태는 어디서 만들어서 넣는거에요? 이 주제로 대회준비하는데 이해가 안되서 아무나 좀 가르켜주세여
@gealee54864 жыл бұрын
많은 과학유튜브를 보는사람중 한사람으로서 과학쿠키가 내용면에선 일반인대상 퀄리티가 제일좋네요 자주봅니다
@팡팡-i7y6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 정말 좋아요! 앞으로도 흥미로운 주제 쉬운 설명 부탁드려요!!
@약한지식인6 жыл бұрын
요즘 메르스가 유행이라 무서운데 메르스가 정확히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알려주세요! 메르스가 어떤구조고 인간을 어떻게 공격하는지도요!
@이준석-l7l6 жыл бұрын
ㅇㅈ
@judungidal6 жыл бұрын
괜찮네요
@ClTY-HUNTER6 жыл бұрын
중동 감기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우리는 면역력이 없어서 위험하지만 중동 사람들은 그냥 감기 정도??
@bong_996 жыл бұрын
메르스도 바이러스로 감염 되는 질병이라 몸 안으로 들어오면 세포를 통해 필요한 효소를 얻어 RNA든 DNA든 복제를 하고 복제가 끝나면 사용했던 세포를 파괴시키면서 다시 몸 안으로 퍼져나가는 방식으로 공격합니다 메르스를 발병시키는 바이러스가 계속해서 폐쪽으로 갈려는 성질이 있어서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보이는 이유도 이 때문이고요
@akakakak1376 жыл бұрын
바이러스 임..
@집요정-t7z6 жыл бұрын
미래 연구에 대해서 말씀 해 주시니 진짜 가슴이 두근두근 하네요
@TheBemuze6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 구독이후 본 영상 중에서 정말 제일 재밌게, 한순간도 놓치지 않으려고 다시 되돌려가면서 영상을 봤습니다. 신재생 에너지에 관심을 가지면서 미래 에너지는 무엇일까라고 생각하게 되고 행융합에너지에 대해서 알게 됐는데요. 과학쿠키 페이지의 설명은 이해가 쉽고 너무 잘풀어 주셔서 영상 보는 재미가 더했던것 같아요. 미래에 에너지는 자연을 해치지 않으면서 더 더 효율적인 에너지라고 생각하니 너무너무 설레네요. 고맙습니다.
@howagk66472 жыл бұрын
설명 감사드려요 물리는 진짜 궁금증이 생기면 꼬리에 꼬리를 물게 되는 것 같은데 이런 모든 궁금증을 방안에 앉아 유튜브로 그냥 아~~그렇구나 하고 이해할 수 있는게 너무 신기하고 영광?스러워요 저는 편하게 주워먹고 있지만.. 물리학자들은 저런 궁금증 하나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온갖 공식과 수학에 매달렸고 매달리고 있겠죠? 지금 저는 빛이란 무엇일까 -> 전자기파는 무엇일까 -> 핵융합이랑 핵분열 왜 둘다 에너지를 발생시킬까의 과정을 거쳐서 여기까지 흘러들어왔는데 사실 중력도 모르겠고 전자기파도 잘 모르겠고(파동이 왜 직각으로 앞으로 나아가는지...? 장이라는 것 자체를 이해를 못하는 것 같아요..) 암튼 어려운 세계지만 정말 재밌어요 b 그림도 너무 잘 그리시고 중간중간에 정말 스쳐지나가듯이 무수한 물리학들이 ㅋㅋㅋ 강력자는 무엇이고 확률적 존재는 무엇인가 ㅋㅋ 스쳐지나가네요 이렇게 쉽게 설명하시는 것도 존경스러워요!! 영상 감사드립니다~~!!!
@RiseUpKor3 жыл бұрын
흐믓하네요. 수고하셨습니다. 구독! 좋아요! 완료
@jaekyungsung48616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항상 논리적으로 스토리있고 친숙하게 과학에 대해 설명해주시는 과학쿠키님 보면서 '정말 멋있고 뜻이 있는 사람이구나' 라며 감탄하고 존경하고 있습니다. 나중에 자식이 생기면 항상 보게 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코리아쭈니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과학 내용이네요. 설명도 너무 재밌고 쉽게 해주시고 Iter 대한민국이 주도하도록 응원합니다
@BHBima6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ㅎㅎ
@nathanrothchild19745 жыл бұрын
와 진짜잼있다. 처음보는데 나같은 문레기도 쉽게 이해할수있게 그림까지 그려주니 진짜 즐겁게 영상시청했습니다 짱입니다
@bluefighterj6 жыл бұрын
오호 저번 댓글에 제가 핵융합발전에 대해서 궁금하다고 했는데!! 이럴수가!!! 새로운 에너지원은 인류를 급성장 하게 될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설명충-o9p6 жыл бұрын
토카막내부온도는 1억5천만도이상이지만 지진등의 자연재해로인해 토카막이 파손될시 외부온도로인해 급격하게 냉각되 즉시핵융합이 중지되기때문에 원자로파손으로인한 사고가 일어날수없다고하네요ㄷㄷ
@Gong-Dol6 жыл бұрын
그건개소리라고 하지않았나
@설명충-o9p6 жыл бұрын
@@Gong-Dol 왜죠?
@nog.68256 жыл бұрын
와드 쾅쾅
@Gong-Dol6 жыл бұрын
토카막이파손되거나 그런 사고가 일어날시 핵융합 반응이 바로 중단되어버리기때문에 그정도의 사고가 일어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사고가난다고해도 토카막 원자로 벽면 조오오금 녹고 끝날거에요
@설명충-o9p6 жыл бұрын
@@Gong-Dol 제가 그예기하고있었는데요;;;
@KMONQ4 жыл бұрын
태양이 작아질 수 있다면 그 요인에는 무엇이 있나요? 지속적인 핵융합으로 원자의 소멸, 태양 질량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나요?
@참새상3 жыл бұрын
정말 알차고 유익합니다 구독누르고 가요
@윤석현-r1n6 жыл бұрын
2000명일때부터 영상을보기 시작했는데 벌서10만명 이네요 추카추카!!!
@demongle74906 жыл бұрын
광고마저도 매력적으로 만들어버리는 당신은 대체...
@이지은-o9n8n3 жыл бұрын
그림도 잘 그리시고 영상도 잘 만두시네욤 무엇보다도 정보를 정리하고 설명하는 능력이 크으으 (엄지척) 재밌어요
@해피하개5 жыл бұрын
진짜 잘 만드신다!! 과알못도 다 이해되는 친절한 설명
@texver88876 жыл бұрын
인류가 직면한 문제대처방법중 포괄적이고 가장 현실에 적합한 해결방식이 그나마 핵융합이 아닌가싶고 그러하기에 응원합니다. 화이팅!!! 감사합니다. 좋은 밤 되시기 바랍니다^^
@al48peace756 жыл бұрын
절대영도에 대해 알려주세요~ 너무 궁금합니다! 절대영도(섭씨 -273.15도)는 어떻게 측정된 건지, 이보다 낮은 온도는 존재하지 않는 건지, 절대영도 보다 낮은 온도가 존재하는 또는 존재하지 않는 이유 등등 절대영도에 대해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성이름-h8w6 жыл бұрын
열은 입자의 진동인데 -273.15도가 이론적으로 진동이 완전히 멈추는 온도라서 그 이하온도가 없는거임
@하얀고양이-d2v Жыл бұрын
절대영도는 누누의 궁극기입니다
@천사의타락4 жыл бұрын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원자력발전소 및 원자력 기술력과 인프라가 파괴하고 난뒤에 핵융합이 가능합니까? 그리고 또한 핵융합 시설의 경우 원자력발전소 아닌 다른 건설기반 인프라 인가요? 그리고 핵 분열과 핵 융합은 완전히 다른 기술이라서 이것도 탈원전 시 가능 합니까? 인프라 자체가 없는데 어떻게 가능할까요? 만일에 경우 가능하다면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을 부탁드려요 핵융합이 기술이 원자력발전소처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점이 언제인가요? 그리고 핵융합 기술은 어느 정도로 진보된 기술인가요? 아니 탈원전 뜻이 원자력발전소 및 기술 인프라 기술 개발 등을 다 없애겠다는 의미잖아요? 제가 일자무식해서 그리니까 좀 알려주세요
@subokkim20715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해서 구독 좋아요만 누르기 죄송하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 유투부에서 이런채널을 만날 줄 몰랐습니다. 감사합니다..
@Korea_Land_Dokdo3 жыл бұрын
근데 핵융합에서 생긴에너지는 어떻게 추출해서 우리가 써요? 태양광 발전처럼 토카막안에 태양광 판넬로 빛에너너지를 전기로 바꾸는건가요? 아님 원자력 처럼 핵융합할때 생긴열로 물을 끌여 그 수중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건가요?
@젠지e스포츠3 жыл бұрын
핵융합에너지는 터빈을 돌립니다.
@csas2525 Жыл бұрын
정확히는 핵융합 반응으로 발생된 에너지와 함께 핵에서 튀어나온 중성자가 발생된 에너지로 인해 가속된 상태로 토카막 내부에 blanket이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되고 그 열을 통해 물을 끓여서 증기를 만들어 터빈을 회전시켜서 전기를 생산해냅니다.
@서정옥-q6z Жыл бұрын
핵융합에너지에 대해 자세히 알수있었던 영상입니다 현세대와다음세대를 위해 꼭 필요한에너지라고 생각합니다 화이팅
@퍼랭스-i2g4 жыл бұрын
중수소와 충돌시킬때 삼중수소대신 헬륨3도 되지않나요? 둘다 구하기힘들긴하지만...
@hancooksaram23124 жыл бұрын
국가핵융합연구소에 따르면 달에 가면 헬륨3을 구할수 있다고 하네요. 중수소 삼중수소 핵융합보다 효율도 좋고 중성자로 인한 추가적 방사능폐기물도 발생하지 않아 더 이상적인 방식으로 생각되네요. 하지만 지구의 리튬보다는 달의 헬륨3가 훨씬 구하기 힘들겠죠
과학쿠키님 질문 있습니다! 핵융합발전기를 구동시키고 유지하는 데에 드는 에너지 및 비용이 발전기에서 만들어지는 양보다 작나요?? 문득 궁금하네요😆😆
@jooyoungson5104 жыл бұрын
그런건 발전기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핵융합 발전의 Q값(에너지 증폭률)은 이미 1을 넘겼습니다. 핵융합 발전을 위해 쓴 에너지가 핵융합 반응으로 방출되는 에너지가 더 많다는 의미죠. (지금 발전시키면 Q값이 1.25정도라고 본거 같습니다) 핵융합이 상용화되려면 Q값이 10이 넘어야 하고, 일시적인게 아닌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기에 계속 연구하는겁니다. 아직 부족합니다 +대신답변 죄송합니다
@Dfhjjnfrthuye5684 жыл бұрын
@@jooyoungson510 감사합니다!
@syookim_sub2 жыл бұрын
ICF 방식이었나요? 수많은 레이저를 원통으로 거의 동시에 쏘아서 에너지를 만드는 방식으로 알고있는데 그 방식은 다른 방식 대비 어떤 점이 좋은 어떤 점이 보완되어야하나요??
@김용인-r1p5 жыл бұрын
영상 진짜 잘 만듬 잘보고있어요
@박은미-r7c3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요
@gkigki826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재미있게 잘 봤어요 ㅎ 고맙습니다~
@user-hh9ld4zh6o6 жыл бұрын
워 9만 넘기셨네요 추카추카
@rq7247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그런데 0:50 에 전기에너지를 에너지원이라고 표현하셨는데요. 전기 에너지는 에너지의 형태이지, 에너지'원'은 아니지 않을까요? 에너지'원'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1차에너지를 만드는데 투입되는 원료를 말하는 것 같은데...이 부분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ちよちよ-w7f5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유익하고 제스쳐가 재밌는 채널은 처음이네요. 추천 구독!
@jihyechoi2800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Sanghun_Kim6 жыл бұрын
원자력 부터 핵분열, 핵융합에 관한 설명 잘봤습니다.
@김다은-s1w3 жыл бұрын
아이언맨을 좋아하는 아이가 먼저 관심을 보이네요 이해가 쏙쏙 감사합니다
@hangeulrohagosipda-5 жыл бұрын
쿠키님. 원자력발전에 관한 영상보다가 핵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이 나왔는데 다들 지구에서 해결하려는데 태양에 쏘아 올려도 되지 않을까요? 미국에서는 태양계 밖으로 까지 보이저호를 보냈으니 불가능한건아니고 폐기물을 저장하니 따로 모으는 기술도 있으니 가능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turtleking076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과학관련 채널이네요 ㅎ 항상 좋은영상 부탁드립니다
@문문빛섬6 жыл бұрын
와 ~~ 대학원과정동안 저 한국핵융합 속칭 kstar 측정장치 개발을 했는데~~ 정작 핵융합장치의 원리는 잘 몰랐어요. 쿠키님의 영상을 보고 뒤늦게 남아 핵융합원리를 이해할 수 있었네요~~
@이승우-f1u6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님 예전에 인스타에 올리신 분자모형 관련 영상은 언제정도에 나올까요..헤헤 기대되서 궁금해서 그래요 다른 영상 스케줄이 있으시다면 아쉽지만 어쩔 수 없죠..(그나저나 고양이 영상 다른 채널에라도 올려주세요 너무 귀여워요..으어어)
@geonyeoblee55546 жыл бұрын
저 같이 아주 과학에 무지한 사람도 찬찬히 보면서 좋은 정보 얻어갈 수 있는 영상에 감사 드립니다.
@octo_tinyseed6 жыл бұрын
와 형 진짜 존경해요 핵분열이랑 핵융합 말씀하신 그 차이 핵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 차이 이 부분이 진짜 궁금했었어요 어흐흑 그러면 유지하는데 가장 적은 에너지가 드는 원자핵은 철 원자핵인가요? 핵분열, 핵융합 둘 다 결국은 철에서 끝나기 때문에 지구에도 철이 많다고 알고 있어요 아니면 헬륨 원자핵이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에 붕괴 중 알파 붕괴가 헬륨 원자핵으로 나오는 것인가요? 아니라면 그냥 양성자가 붕괴되어 나올 때 수소보다 헬륨 원자핵이 더 안정적인 정도가 헬륨보다 리튬 원자핵이 더 안정적인 정도보다 많이 크기 때문에 다른 원자핵으로도 가끔 붕괴하고 하지만 헬륨 원자핵으로 분열하는 경우가 매우 많아서 따로 알파 입자라고 이름을 붙여준건가요? 또 질문이 하나 더 있어요오 예전부터 가지고 있던 질문 중 하나인데요오 원자들이 공유결합 같은 결합을 하면 에너지가 방출되기 때문에 산소나 질소나 다 O2 N2로 존재하고 연소할 때 탄소 등과 산소가 결합하여 에너지를 방출하고 그런 것이라면 ATP는 어떻게 에너지를 저장하는건가요? 인산이 떨어질때마다 에너지를 방출한다는데 분자들은 결합할 때 에너지를 내뿜어야 하는 게 아닌가요?
@눙이6 жыл бұрын
위 분자들 같은 경우에는 가장 안정한 상태의 에너지 준위를 찾아가기 때문에 특정한 결합을 만들 때까지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하지만 ATP같은 경우는 아데노신에 인산기가 3개가 매우 억지로 붙어있는 경우입니다 그래서 가장 안정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결합 자체에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화2 깁스 자유에너지와 엔탈피 부분을 공부하시면 이해가 편하실 수 있습니다
@눙이6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유지하는데 가장 적은 에너지가 들기 보다는 반응의 종착역이 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무엇을 질문하시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ㅎ 국어가 딸려서)
@octo_tinyseed6 жыл бұрын
@@눙이 우와아아ㅏ 감사해요오 꼭 빨리 고2되서 화2 달릴게요오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ㅏㅏ
@눙이6 жыл бұрын
@@octo_tinyseed 하하 응원하겠습니다
@skyinthe9086 жыл бұрын
초신성같은것이 폭팔할때 폭팔온도에 따라 융합하면서 철 금 다이아 이런게 만들어지는데 가장 안정적인 원소가 철이고 가장불안정한것이 우라늄이라고함 모든물질은 안정적인것으로 향하고 그래서 철이 많다는
@youtnge71635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끝까지 핵융합에너지가 왜 필요한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과학적으로 접근해주시네요. 보는 내내 옛날에 물리를 배우며 알고 있던 지식을 다시 일깨우는 느낌이였어요. 진짜 대한민국 과학유튜브 최고 채널입니다. 과학쿠키님 영상을 통해, 아이들이 더 많은 과학지식을 쉽게 접근해서 꿈을 키워나가면 좋겠네요 ㅎㅎㅎ
@_kei_akela15435 жыл бұрын
쿠키님 그 3가지 방법중 2번째 방법이 외국 어떤 도시 둘레에 지하 깊숙히 관을 묻어서 했던 거 이야기 하는거 맞죠?
@sun-ol5xn6 жыл бұрын
하이퍼루프 기술에 대해 설명 해주세요!! 과학 쿠키님 ㅎㅎ
@배종성-p3v3 жыл бұрын
핵융합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손 쉽게 할 수 있다고 설명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헬륨3가 더 많은 전기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고 하여 우주산업으로 달에 가서 헬륨3를 구하는데 사활을 걸고 있다고 합니다. 그럼 얼마나 경제성이 있길래 헬륨3을 구할려고 하는 건가요?
@aozo78723 жыл бұрын
중수소와 헬륨3의 반응은 방사선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롭고, 터빈을 거치지 않고 전기를 직접 얻을 수도 있습니다. 대신 지금보다 10배 더 높은 10억K의 온도가 필요합니다.
@Qyum56 жыл бұрын
영상들 정주행중인데 점점 잘생겨지심ㅎㅎ
@loveOFmafia-c6t6 ай бұрын
오우 매력있네~설명도잘하고~
@Terpene_limonene6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지진에서 그리 안전한 지대는 아닌 것 같고 최근 몇 년 동안 그를 증명하듯 지진이 자꾸 일어나서 불안했는데, 그나마 비교적 조금 더 방사능에서 안전한 핵융합 에너지가 빨리 상용화 됐으면 좋겠네요. 물론 시간은 많이 걸릴 것 같지만... 쿠키님 영상에는 책 추천이 꽤 나온 것 같은데 읽어보고는 싶은데... 도서관에 없는 책이 없는 것 같아요... 어흑 사야하나... 마지막 쿠키 영상에 나오는 내용 어디서 많이 보고 제가 알고 있길래 음? 했는데 1학기 물리 첫 내용이었더라구요 ㅎ 역학 전에 나오는 유일한 평화로운 파트 'ㅅ'.......
@아아마이크테스트6 жыл бұрын
도서관은 신청하면 책 구해줄겁니다. ㅎㅎ
@쥬뗌므-d6d6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는 지진에 매우 안전합니다. 지진에 방사능이 누출만큼 큰 지진이 우리나라에 닥쳤다? 그러면 방사능 유출이 아니라 지진 그 자체로 이미 끝일겁니다.
@Terpene_limonene6 жыл бұрын
플레이트 우리나라 발전소 그리 안전한 편이 아니라고 알고 있어요... 노후된 시설도 많고요
@쥬뗌므-d6d6 жыл бұрын
그리 안전하지 않으면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국제 원자력 연합기구에서 제제를 가하고 나라는 즉시 시정조치를 해야 합니다. 그렇게 허술하지 않습니다.
@_saero6 жыл бұрын
@@Terpene_limonene 우리나라 원자력기술은 수준급입니다. 여러 선진국을 제치고 중동 등 여러나라에 기술을 수출했던것만 봐도 알 수 있죠.(탈원전 어쩌구 난리피다가 망했지만...)
@대한민국-e1z6 жыл бұрын
와, 이번 영상 너무 재미있게 잘 봤어요. 특히 발전 방식에 관해 설명해주셔서 정돈이 잘 됐어요. 터빈을 돌리는 방식에 의해 화력 발전, 수력 발전, 조력 발전 등으로 구분할 수 있군요. 특히 핵분열 에너지와 핵융합 에너지에 관해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어렸을 적 석유가 고갈되면 인류가 멸종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핵융합 발전이 더욱 개발된다면 그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음에 안심이 되네요. 핵융합 발전이 자리를 잡아 우리의 실생활에 이용될 것을 생각하니 쿠키님 말씀대로 가슴이 두근두근하네요. 그리고 쿠키님께서 추천해주신 책 읽어보고 싶어요. 엇, 이번 영상의 쿠키 영상에 보이는 곳은 MBC인 것 같아요. MBC에서 무엇을 하시려나요? 궁금한데요! 그리고 쿠키 영상에서 언급해주시 내용 너무 궁금하네요.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이번 영상도 잘 봤어요. 다음 영상도 기대되네요. 항상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0^
@aachi184 жыл бұрын
궁금했는데 정말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k1945k16 жыл бұрын
믿고 보는 영상.. 재미와 공부가 함께 하는 과학쿠키. 구독자가 10만이 안 되는 것은 미스테리.. 이런 채널은 적어도 30만은 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아우~
@라비-g6g4 жыл бұрын
30만 넘었네요 ㅋㅋㅋ
@weird-cat6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영상 잘 봤습니다~~ 핵분열 핵융합 중에 핵분열이 에너지를 낸다면 행융합은 오히려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을까 전부터 궁금했는데 핵융합도 왜 에너지를 낼 수 있는지 이번 영상을 통해 알게됬어요~ 핵융합 발전을 할 수 있게 된다면 우리가 별을 하나 만드는 걸까요?ㅋㅋㅋ
@hawk88735 жыл бұрын
네, 그래서 K star 별명이 인공 태양 입니다.
@sempre7272 жыл бұрын
수소를 원료로 사용하는데 현재는 원료가 무한대인것 처럼 보이겠죠! 하지만 핵융합이 완성되어 상용화 된다면 수소는 계속 사용될 것이고 그럼 그 양이 줄어들게 되는데 그때는 수소보다 헬륨이 더 많아지는데 그럼 그 헬륨을 다시 핵분열로 수소를 만드나요???
@csas2525 Жыл бұрын
철을 기준으로 가벼운원소는 분열을 시키면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또한 철을 기준으로 무거운 원소도 융합시키는데 에너지를 흡수하게 됩니다. 그래서 헬륨을 분열시켜서 수소를 만드는게 아니라 인류가 그때 까지 살아 있으며 기술이 발전한 상태라면 그냥 우주에 워낙 많은 원소가 수소이므로 우주에 다른 물이 있는 행성이나 가스 행성 등에서 수소를 이용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형태로 발전하는 방향성을 가지게 될 것 같습니다.
@공부왕뚜껑2 жыл бұрын
중딩때는 진짜 너무 어려워서 알고리즘에 올라와도 피해다녔는데(?) 고딩되고 처음으로 과학 탐구 발표 준비하면서 찾아 들어보니 너.......무........좋........아.......... 행복해..........
@dasik63384 жыл бұрын
정말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
@파전해물-r1r6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컨텐츠 잘 봤습니다 ㅎㅎ 안그래도 핵융합이 잘 이해되지 않았었는데 이영상이 정말 큰 도움이 되었어요. 이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sharin34896 жыл бұрын
진짜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는 채널인대도 구독자 수가 많지 않다는건 그만큼 사람들이 과학에 관심이 없다는 걸까나... 그나저나 물리량중에 재정의 되지않고, 플랑크상수를 이용하여 재정의 되는 물리량이면 혹시 Kg일려나??...
@parkrw2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mariasohn37644 жыл бұрын
스마트함이 넘치다가 쭈그려 앉고 사라지는거 진짠가요?ㅋㅋ 잘 봤어요. 제작에 한 달 걸리게 생겼네요. 감사합니다. 추천 많이 할께요!
@blues505426 жыл бұрын
광고 끝까지 다 보고갑니다!!
@mahleryun78626 жыл бұрын
쿠키님. 훌륭한 명품 영상 감사합니다. 그러면 별에서 지속적으로 수소의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면 우주 전체로 보면 수소의 양이 적어지고 점점 중원소의 양이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까? 그것에 반대되는 현상도 있어서 우주 전체의 경원자와 중원자 절대총량 균형을 이루는 자연 현상도 있을까요?
@snceckie6 жыл бұрын
그렇죠 :) 점점 중원소들이 많아지게 되지요! 그런데 여전히 수소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성이름-h8w6 жыл бұрын
그렇게 계속 변하다가 언젠간 아무 반응도 안일어나는 우주가 되겠죠
@mahleryun78626 жыл бұрын
@@성이름-h8w 그러면 모든 경원소들이 궁극적으로 주기율표 원자번호 끝번 원소로 융합되어 아무런 변화가 더이상 없는 진정한 엔트로피 무한대 평형 상태로 되겠군요. 이 때도 공간적 중원소 분포의 불균일로 기인된 어떤 배경 복사가 있을까요...
@Korea_Land_Dokdo3 жыл бұрын
핵분열할때도 에너지가 생기고 핵융합할때도 에너지가 생기면 헬륨을 핵분열 시켜도 에너지가 생길까요? 핵분열에 사용하고 폐기된 연료봉을 다시 환원(핵융합)시키면 방사능 폐기물도 안생기고 에너지도 얻고 그렇지 않을까요?
@젠지e스포츠3 жыл бұрын
헬륨은 핵분열을 해도 에너지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에너지를 빨아들이죠. 철보다 가벼운 원소들은 핵융합을 할때 에너지를 방출하고 핵분열을 할 때 에너지를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젠지e스포츠3 жыл бұрын
@@레몬밤자몽 아아 잘못 썼네요 핵융합이 아니라 핵분열입니다.
@cosmos3448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쿠키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현재 연구중인 여러가지 핵융합에 대해 자세히 조사해보고 싶은데 자료는 어디서 많이 찾을 수 있을까요??
@snceckie5 жыл бұрын
NFRI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있어요
@레몬향기-q4o6 жыл бұрын
이번 주재도 너무 재밌네요 ^^
@히레의숨겨진레이어4 жыл бұрын
16:05 부터 나오는 브금이 뭔지 알수있을까요?? 설명란의 브금 목록에 있는거 다 찾아봤는데 모르겠네요..
@히레의숨겨진레이어4 жыл бұрын
@민동겸 ㄹㅇ 에버랜드 노래에요?ㄷ
@apple0104 жыл бұрын
시작은 4:13
@김현석-e9k6 жыл бұрын
항상이렇게 열심히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mishu01024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에 비해서 목소리가 너무 작아요~ 그런데 내묭은 너무 너무 유익하네요~ 구독, 좋아요 박고 갑니다. ^^
@이호성-p5o6 жыл бұрын
차원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주세요 항상잘보고있습니다
@dierest6 жыл бұрын
우와...뭔가 소름 돋네요~ 100번정도 봐야 이해되겠지만요 ㅎㅎ 과학 재미있네요! 공부해야겠어영
1. 아크리액터를 만드려면 핵융합 발전기를 그만큼 작게 만들어야하는데 그게 불가능합니다. 2. 에너지를 무한으로 만드려면 매개체가 무한해야합니다. 무한에 가까울 수 는 있어도 무한은 없습니다. 3. 핵융합 발전기의 원자로가 터지면 파편이 아픕니다. 원자로에 파손이 일어날 시 가동이 멈추기 때문에 피해는 없습니다. 4. 많이 있어야죠
@kyoud126 жыл бұрын
진짜 진짜 너무 너무 유익한 영상이였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seunghyunkim58836 жыл бұрын
도화주세요 핵융합과같은 거의 무한대의 에너지를 만들수있는 사회가 오면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요? 단순히 전기비가 싸지는 것에 그칠까요? 아니면 사회구조가 봐뀔까요? 쿠키님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repoleved57676 жыл бұрын
잘 감상하겠습니다!!
@뭐해야하지-q5r6 жыл бұрын
핵분열을 이용한 원전은 우라늄등을 이용하는데 핵융합은 수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만드는것으로 이해했는데 수소말고도 다른 것들을 통해 융합을 일으킬수도 있을까요? 언제나 감사히 영상시청하고 있습니다!!^^ 문과였지만 어깨너머로 과학의 재미를 알아가고 있습니다^^
@atod66886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용 쿠키님!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다름아니라 현재 NFRI(국가 핵융합 연구소)에서 수강하는 강의에서 학습한 내용과는 다른 내용이 있는 것 같아 말씀드리는데요, 영상 끝부분에서 말씀하신 ITER(이터)는 국제 열핵융합 실험 원자로 라는 하나의 '기관'으로 현재 유럽에서 전세계의 7(아마)개국이 참여하여 대형 토카막을 만드는 사업의 관리 기관입니다. 영상에서 설명하신 방법은 아무래도 'ITER 방식' 보다는 원형 핵융합로를 사용한 방식이 맞을거 같습니다! 또한 설명 내용에는 지장이 크게 없지만 영상에 나온 방법은 토카막이라는 융합로를 사용한 방법으로 이 외에 스텔러레이터라는 융합로를 사용한 방식 또한 존재합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가 지연된다고 하기보다는 한번의 연구에 막대한 돈이 투입되며, 예를들어 융합로를 가동시키기 위한 준비 과정만 해도 2달이 걸리고, 일년에 한 시즌밖에 가동하지 못하는 어려운 작업이기에 당연히 느리게 발전되는 것일 뿐이며, 비록 중국에게 깨졌지만 저번년도에 만든 고온 플라즈마 유지 시간 세계신기록이 보여주듯이 결과는 지속적으로 발전중이라고 합니다!(또한 이번 년도에는 현재 준비를 거의 끝마쳤으며 실험을 시작할 시즌이라네요)
@jaeinproduction78846 жыл бұрын
ITER 방식=초전도 토카막 발전이고, 토카막 방식에는 상전도 토카막과 초전도 토카막이 존재함으로 ITER 방식이라 설명하신 부분이 맞는것 같은데요
@hawk88735 жыл бұрын
남 프랑스 카다라쉬에 있지요. namu.wiki/w/ITER
@jupiterj29695 жыл бұрын
제상상으론 최종적인 에너지는 진공에너지 아닐까합니다. 그걸 이용할수있게되면 정말 막대한 에너지를 얻게되지않을까요?
@RedStar-c3y5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님 저 뒤에 원자(전자)모형?? 생각보다 비싸던데.. 그냥 단순한 플라스틱 모형같아서 저렴한줄 알았더만..
@처나-k6g6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과학쿠키님 항상 우주에 대해서 관심은 있었지만 뭔가 심도있는 책을 읽어보고싶은데 추천 해주시면 안될까 여쭙니다. 우주가 어디까지 알려져있는지, 우주에 대한 일반적인 상식을 떠나 새로운 지식들을 접할 수 있는 곳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_saero6 жыл бұрын
읽기 쉬운책은 아니지만(사실 굉장히 어려운 책이지만) 그쪽 분야에 관심이 많다면 스티븐 호킹의 저서들을 추천합니다.
@youngshinyun55174 жыл бұрын
핵융합으로 인한 열에너지로 물을 끓이고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건가요?
@llililliiilllilll6 жыл бұрын
네이버에서 보는 과학 보다 이 과학쿠키 님이 더 재미있고 더 유익한것 같음
@엘사-n4s6 жыл бұрын
진짜 최에고...쿠키님 항상 응원할께요! 제 교양과학 과외쌤이시네요 ㅎㅎㅎ고마워요♡
@sera03195 жыл бұрын
과학쿠키님! 애독자 입니다. 혹시? 아이슈타인이 생전에 언급했다던? 인간의 뇌에 인생에 관한 모든 기억 관한 이론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Suhan10946 жыл бұрын
토카막 핵융합발전에 대해 좀더 자세히 다뤄주실수 있나요? 뉴턴하이라이트라는 책에서 핵융합에너지에 대해 읽어봤는데 이해가 안되는게 많아서요....
@snceckie6 жыл бұрын
다뤄드릴게요 :)
@찬영-m1v6 жыл бұрын
핵융합에 대해 찾아보고 있었는데 마침 영상이 올라왔네요~
@Korea_Land_Dokdo3 жыл бұрын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중수소에서도 방사능이 나온다는 뉴스 본거 같은데 또한 핵융합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에서도 방사능을 발산한다고 아는데 핵융합발전도 원자력발전보다는 미미할지 모르겠지만 방사능이 생기는거 아닌가요?
@젠지e스포츠3 жыл бұрын
핵융합 에너지에서는 저준위 방사성 물질이 만들어지는데 이게 피부도 뚫지 못할 만큼 약하고, 위험하다고 여겨지는 원자력에너지의 문제점은 강력한 고준위 방사성 물질이 만들어지는 것인지라 안심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미로-c1g5 жыл бұрын
우왕 필기 너무 예쁘게 하시는듯 초기 영상과 비교해 퀄리티가 엄청 높아졌네요
@땅다람쥐-c5e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너무 재밌었어요
@themonarchy8735 жыл бұрын
전자를 떼어놓으면 어떻게 전자기 반발력이 줄어드나요?
@이민석-v9j6 жыл бұрын
중력과같이 어떠한 힘에의해서 물질들이 한점으로 모여들때 왜 최단거리인 직선이 아닌 회전하면서 수축 하나요?
@bum-junkim10915 жыл бұрын
정확히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과, 서로위 위츠의 관계가 일직선이 아니기 때문이죠. 정확하게 서로 가까워 지는 방향이 정확하게 서로를 향해 간ㅈ다면, 마치 자석처럼, 그러면 자석에서 보듯이 일직선으로 가까워 지죠. 그런데 이 선이 조금만 어긋나도, 그동안 오던 관성떄문에, 조금 지나치게 되고, 그러나, 인력에 의해 끌어단겨지면서 서로 소용돌이 처럼 회전하면서, 충돌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