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인사말 00:07 열풍기로 화면 떼어내기 01:03 드라이버세트 소개 02:23 구글픽셀 분해 07:09 배터리 모듈 분해 11:45 전원어댑터 선개조 13:42 GVDA 인두기 소개 14:43 배터리 모듈 납땜 작업 17:59 스탭다운모듈 23:50 줄질 작업 24:54 조립 25:40 결과물 보기 25:49 자동팬 예고
@phoenixnexflix4764 ай бұрын
Thank you very much for your video. I successfully modified the Pixel as well. 😁
@tanokoo9 ай бұрын
상시전원은 여기가 원조 정보처군요. 많은 도움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messmediak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sm07sw06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hspec1Ай бұрын
Thanks! I did basically the same mod using the same buck converter, but using an old laptop 19.2V charger and a female adaptor for laptop plug (so no need to cut the plug). I need to plug in a usbA charger to usbc cable to make it boot. However, there is a strange hissing sound from the buck converter. Did you get the same?
@sweetspot_piano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하나 있는데요. 혹시 12V를 쓰신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전 상시전원 글들 읽어보면 USB선으로 할 경우 5V밖에 인가 전원이 안들어가서 높은 전압의 아답터를 사용하는 것 같은데.. 그럼 대략 생각해 봤을 때 9V 이상이면 될 듯해서요~ 혹시 전류치까지 확인한 결과일까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12V로 하는게 가장 안정적이었고 1년 넘게 사용을 해 봐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원래는 스텝다운모듈을 사용시 5V를 이용해서 3.8V를 만들어도 문제가 없어야하지만, 실제로 테스트 해보면, 처음에는 잘 되는것 같아도 사용하다보면 다운되어있고 (재부팅증상) 또는 처음 부팅시 재부팅이 되기도 합니다. 처음 스마트폰이 켜질 때 전력을 꽤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전압은 맞춰도 실제로 전류값이 도달하지 못해서 결국 전압이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론 그래서 콘덴서가 입력 출력단에 들어가 있긴 하나, 5V로는 불안할때가 많았구요. 9V로 해도 될 것 같긴 하지만, 12V로 한 것이긴 합니다. 수돗꼭지에서 물이 약하게 나오는데 손가락으로 좀 막으면 수압이 좀 강해져서 나와야하지만 물줄기가 애초에 강하지 않으면 그렇게 막았는데 물이 오히려 안나오는것과 비슷하게 그렇더라구요. 다른 스마트폰은 전압만 맞추면 생각보다 다운 안되고 잘 동작하긴 하는데 저도 구글픽셀 몇대를 이런 개조를 여러번 해보니 생각보다 좀 까다로웠습니다. 정해진 부분을 맞춰주지 않으면 잘 동작하는 것 같아도 사진을 한꺼번에 많이 업로드 하거나 하다보면 결국 재부팅 되거나 문제가 되더군요. 이런 저런 테스트를 여러번 해보다가 그래도 알려드릴려면 가장 안정적이고 누가 해도 대부분 성공을 할만한 방법을 알려드려야해서 이런 방식을 쓴것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user-kw4tx4sr7p10 ай бұрын
@@cdmanii ㄷㄷ...대박
@ndolson Жыл бұрын
진짜 전문가 다. 필요한데 감사합니다.
@DBDcoach Жыл бұрын
유용하게 사용했던 픽셀 배터리가 부풀어 올라 해결 방법을 찾던 중 씨디맨님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감사 말씀 드립니다. 손재주가 별로 없어서 배터리 부분에 모듈이라고 할까요? 그걸 떼어내다가 노란 부분이 뜯겨졌습니다. 이거는 절연 테잎이나 납땜 같은 걸로는 연결할 수가 없겠지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사진이 있음 좋을듯합니다 다만 배터리모듈에 붙어있는 노란 테이프면 떼어내도 됩니다 제 영상도 보시면 떼어 냅니다
@DBDcoach Жыл бұрын
@@cdmanii8:58 씨디맨님이 집으신 (구부러진) 노란색 부분입니다. 이게 끊어졌습니다. ㅠㅠ
@cdmanii Жыл бұрын
@@DBDcoach악 노란 테이프가 아니라 그건 모듈에 케이블입니다. 그 부분을 쓰려고 모듈을 빼는거라 그게 뜮어지면 안됩니다 ㅠㅠ 그걸 연결시키는 방법도 있긴하지만 어려워서 쉽게 하려면 배터리를 새로 구매해야합니다(글을 다시 읽어보니 제가 걷다가 글을 본거라 노란테이프로 제가 잘못읽은듯하네요ㅜ 여튼 폐배터리라도 구해서 다시 모듈을 떼어야할것 같습니다)
@DBDcoach Жыл бұрын
@@cdmanii픽셀 배터리를 국내에서 발송해주는 업체는 없는 것 같아 알리에서 주문하긴 했습니다만 예상 배송일이 11월 말이더라고요. ㅠ 배터리 도착하면 다시 씨디맨님 영상 보면서 도전해보겠습니다. 바쁘실텐데 답변주셔서 감사드립니다!
@kuru-dt1cz4 ай бұрын
너무 유용합니다 ^^ 감사합니다.
@paul.j478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EternalEDC4 ай бұрын
모든 폰이 간단하게 무배터리모드로 구동가능하게끔 의무화해야한다고 봄.
@프리미엄-k4z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친절히 설명해 주셔서 그대로 따라하니 성공했어요!!!!! 감사합니다 ㅠㅠㅎㅎ 그런데 기존 충전 단자에 아무 것도 안하고 작업한대 로만 쓰니까 배터리 잔량 표시가 계속 뚝뚝 떨어지면서 2프로대까지 가는데...(아예 0프로가 되어 꺼지는지는 확인 안함) 충전 단자에 충전하듯 꽂으니 충전중 표시가 뜨면서 잔량 표시도 올라가거든요... 뭔가 잘못되어서 그런걸까요??원래 이런가요? 이대로 작업한 콘센트+충전 단자(옆구리, 아래) 둘 다 같이 꽂아 놓아도 무방한걸까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충전잔량은 중요하진 않습니다. 그래서 원래는 USB-C 단자는 연결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 추측이지만 충전량이 낮다고 판단해서 배터리 잔량이 떨어졌을 듯 한데요. 사실은 배터리가 없으므로 배터리 잔량을 확인을 할 수 없어서 껏다 켤 때마다 아마 배터리 잔량이 재각각으로 나올겁니다. 다만 배터리 잔량은 원래는 신경을 안써도 됩니다.
@프리미엄-k4z Жыл бұрын
@@cdmaniic단자 그냥 빼고 둬봤는데 2프로에서 계속 멈춰있네요 안꺼지고 ㅎㅎ 넘 감사해요~!!!
@dhlee35917 күн бұрын
보고 작업했는데 잘되던 폰이 무한리부팅 됩니다😂 3.88V로 맞췄는데 흰화면에서 꺼지면서 4.3V로 갔다가 다시 부팅되는데..원인이 무엇일까요? 다른건 다하고 납땜은 안하고 전기테이프로 세게 붙였습니다. 이게 원인일까요?
@초귀족5 ай бұрын
전 5v 아답터 하나 만으로도 잘 되던데요. rw6100 때 들어있던 5v 2a 아답터(3A이상도 출력가능 열받으면 꺼짐) 하나로 배터리 쪽과 충전단자 쪽 병렬로 연결해서 입력하니까 잘 되던데요. 용도는 cctv 녹화용. 처음에 켤 때 3A이상으로 전류가 들어가지만 완전히 다 켜지고 난 후에는 별로 안 잡아 먹어요.
@ar1pa123 Жыл бұрын
아 전 배터리에서 단자 뽑아내느라 결국 배터리 내부가 노출되서 화학적인 냄새 나고 난리났었는데, 단자를 니퍼로 자르는군요
@cdmanii5 ай бұрын
네 배터리를 분해하는건 위험하기 때문에 단자를 잘라야 합니다.
@jsson95923 ай бұрын
갤럭시21 침수폰 살려 데이터만 복구할려고 밧데리만 새로구입했는데 4개째 급방전 계속 방전되서(메인보드가 쇼트가 난듯) 방법을 찾다가 오~ 이런 방법~~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근데 일반 충전기로 연결하니 전압이 문제인가요?? 영상에서 얘기하신거처럼 재부팅현상이 생기네요~!!ㅠㅠ
@cdmanii3 ай бұрын
사진이나 영상이 있으면 좋을 것 같긴 하네요. 데이터 복구가 목적이면 데이터 복구를 할 수 있는 곳에 맡기는게 맞구요. 직접 복구를 하고 싶다면 그리고 부팅이 될 가능성이 보인다면 , 쇼트난 곳을 테스터기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먼저 찾아서 그부분을 해결을 하고 하셔야할듯 하구요. 뭐 여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죠. 문제 부품을 직접 쇼트가 났는지 측정해보는 방법도 있고, 액화가스 같은것을 뿌려서 순간적으로 차갑게 만든 뒤 쇼트를 시켜서 어느 부품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도 가능하구요. 초기 부팅이 안되고 재부팅 문제가 생기는거면 일단 화면이 들어오면 , 스마트폰에 USB 포트로도 전원을 넣고 배터리 전원도 넣어서 켜보세요.
@dhlee359Ай бұрын
인두기없이 선을 길게빼서 테이프로 감으면 어떨까요?
@cdmaniiАй бұрын
인두기는 쓰시는게 좋습니다. 선을 감는 방법은 사용하다가 선을 건드릴 경우 접촉불량이 날 수 있어서 폰이 전원 문제로 망가질 수 도 있습니다.
@윤영철-u2u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씨디맨님 덕분에 픽셀1 주문해서 이제 곧 배송 받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올려주신 상시전원 따라 해보는 김에 온도조절 팬까지 해보려고 하는데요 온도감지 모듈은 스탭다운모듈 옆에 놓고 온도센서를 배터리부분에 넣을까 하는데요, 혹시 온도 설정을 몇도 정도에 켜지고 꺼지게 설정 하셨는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
@cdmanii2 ай бұрын
온도 센서까지 이야기하시니 좀 아시는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조언드리면, 상시 전원 보다는 kzbin.info/www/bejne/maLGfJiFoJeAmq8si=JO0Y02WvZjRxNa9O 이 방법을 써서 배터리를 관리하는 형태로 쓰는게 더 좋긴 합니다. 스마트폰이 항상 같은 전압으로 들어가는게 아니라 배터리에서 전원이 들어갈 때 충전중일때와 전원을 쓸 때 , 부하가 걸릴 때 전압이 좀 다릅니다. 그래서 기기의 수명 즉 픽셀1을 오래 안전하게 쓰기 위해서는 댓글에 링크건 그런 장치 쓰셔서 하는게 더 안전합니다. 실제로 제가 그렇게 오랫동안 계속 픽셀1을 켜둔 상태로 사용 중이지만 잘 사용중이구요. 그리고 제가 더 좋은 FTP 서버 방법과 더 빠르게 계속 수시로 업로드 하는 방법 (최신 업데이트 상태에서 더 빠르게 업로드 가능) 을 추가로 찍어서 올릴 생각 입니다. 그리고 온도센서에 따라 충전을 제한하는것은 온도가 높지만 배터리가 부족하면 꺼질 수 있어서 온도 센서를 안에 넣는것은 좀 생각해봐야할 점이 있을듯 하구요. 그 외에 외부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팬을 강제로 켜주고 꺼주는 부분까지 설명해서 한꺼번에 대용량의 파일을 업로드를 자주 하는 분들에게 더 어울릴만한 방법을 최대한 정성들여 찍어서 하나 더 올려볼 생각 입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점 있으면 질문 올려주세요.
@윤영철-u2uАй бұрын
@@cdmanii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픽셀1이 도착 했습니다 ㅎㅎ 새로운 FTP 영상 고대하고 있겠습니다 !! ㅎㅎ 감사합니다 : )
@cdmaniiАй бұрын
@@윤영철-u2u 구글픽셀1 최종판 더 좋은 셋팅 설명을 하는것을 조만간 찍어서 올릴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YounghyeunPark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chargie 제품 사서 지금은 잘 쓰고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배터리로부터 좀 자유로워지기 위해 본 영상의 방법대로 해보려고 합니다. 이미 수명을 다한 배터리에서 모듈은 안전하게 분해해놓은 상태입니다. 다만 (제 기억으로는) 몇번 언급하셨던, 특정 온도에서 Fan 이 작동하도록 만드시는 중이고 영상을 공유한다고 하셨는데, 혹시 영상 공유하실 계획이 있는지 궁금해서 댓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 저는 발열은 아이폰/아이패드 쿨러로 나온 제품을 이용해, 백업 진행할 때만 켜두고 끝나면 끄고 있긴 한데요, 사실 팬 소음이 작지 않다보니 계속 켜두긴 좀 그래서... 말씀하신대로 온도에 따라 전원을 켜고 끄는 모듈이 있다면 이용하고 싶습니다.
@cdmanii Жыл бұрын
아직 확실히 안나온 부분이 있어서 저도 기다리는 중이라 언급을 안한 부분이 있는데요. 미리 좀 적어보겠습니다. 상시전원을 쓰는 방법은 배터리를 배제하고 동작하기에 좋은 부분이 있으나, 계속 높은 전압으로 메인보드에 전원이 공급되는 방식이라 굳이 비교하면 chargie를 쓰는게 더 좋긴 합니다. 문제는 chargie를 쓰면 유선랜선을 연결하거나 외장 SSD를 연결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가 없습니다. 전원을 강제로 끊고 연결하기 때문에 허브를 사용하는게 제한이 생겨서이죠. 근데 chargie에 저도 이 부분 때문에 안드로이드 오토 모드에서도 전원 공급이 원활하게 되는 즉 데이터와 전원 공급을 별도로 처리하는 부분이 있으면 좋겠다고 건의를 했는데요. 지금 노트북에 적합한 모델로 나온 출시예정인 모델이 (사이트에 보니까 지금은 출시예정으로 사전예약을 받는 중) 데이터와 전원공급이 다른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고 하더라구요. 구글픽셀1에서도 되느냐고 물어봤는데 된다고는 하는데.. 직접 해본건 아니라서 어떻게 될지 몰라서 저도 그냥 기다리는 중이긴 합니다. 그게 나오면 안전하게 배터리를 관리하면서도 허브를 연결해서 다양한 저장장치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서 사용가능할 것 같구요. 그리고 chargie가 특정 온도 이상이면 전원을 끊는 방식으로 동작을 하는데 반대로 특정온도 이상이 되면 전원을 넣는 방식은 안되냐고 문의를 넣어둔 상태입니다. 근데 역시나 그렇듯 chargie에서 대답이 없네요. 유럽사람들 마인드가 좀 느긋해서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그게 되면 제가 구상한 팬이 특정 온도 이상이 되면 동작하게 해서 픽셀1을 안전하게 온도를 유지하면서 동작 가능할 것 같더라구요. 지금은 온도 센서가 달린 모듈을 준비해놓고 스마트폰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팬이 동작하게 하는것을 구현해두긴 했는데 온도 센서 위치에 따라 이게 동작하기도 하고 안하기도 해서 , 정확히는 스마트폰 내부 PCB 온도를 확인해서 팬이 동작하고 멈추는게 가장 좋긴 해서요. 저도 이걸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고민 중이었습니다. chargie에서 다 처리가 한번에 되면 가장 좋긴 한데요. 그래서 아직 영상 공개가 늦어지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상시전원 개조를 하셔도 되긴 하지만, 생각보다 막상해보시면 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구글픽셀1이 전압이 좀 달라져도 재부팅 증상이 생길 수 도 있고, 좀 까다로운편이라 실패할 수 도 있다는 것을 염두해두시고 하셔야 합니다.
@이슈리-s8y6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영상 잘보았습니다. 저는 겔s4 배터리없이 동일하게 감압모듈로 usb어뎁터 5v 2a정격사용해서 상시연결해서 카메라설치 쓰는데요. 초기 부팅시 여러번 재부팅될경우 과열현상으로 셋팅이힘들어 usb 냉각훤 달아논상태인데, 보통 상시로 작동할경우 배터리표시는 100% 그대로인데 20일 전후 폰 전원이 항상 저절로 꺼져버립니다. 전압이 의심스러워 초기3.8에서 순차적으로 4.2~34까지 올려서 테스트 했는데 같은 현상이구요. 폰문제일까요? 아님 모듈제게하고 직결로 연결 하면 문제될지 궁금합니다.cctv카메라와 연결시 적정 전압이 얼마쯤 조정해야되는지 궁금합니다.
@cdmanii6 ай бұрын
Ampere 앱을 설치하면 실제로 내부에서 (PCB에서) 들어가는 전압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외부 전압을 높게 넣어줘도 실제로는 낮게 들어갈수도 조금 더 높게 들어갈 수 도 있습니다. 다만 참고하셔야할 것은 스마트폰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전압이 항상 일정하게 높게 유지하고 있지 않습니다. 배터리가 정규전압이 3.7V라고 해도 실제로 3.7V가 내부로 계속 들어가고 있는게 아니라 4.1V 이상 올라가기도 하고, 반대로 3.5V 이하로 떨어지기도 합니다. 이것은 스마트폰의 부하 상태마다 다르고, 또 USB 전원을 연결한 상태에서 또 다르긴 합니다. 근데 그런부분은 순전히 무시하고 컴퓨터 오버클러킹 할 때 처럼 그냥 전압을 계속 높게 넣어주는것이죠. 전압이 높으면 다운되는 부분은 횟수가 줄수는 있으나, 대신 필요이상의 전압 때문에 과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과열을 해결해주지 않으면 다운 될수 있구요. 제가 상시전원으로 개조하는 방법을 올리긴 했으나 이게 작업할때마다 폰 상태에 따라서도 수치가 달라질 수 있고, 사용하는 어댑터의 안정성에 따라서도 결과물이 좀 달라질 수 있긴 합니다. 그래서 일단 스마트폰이 켜지면 안정화 하는 부분은 부하를 걸어주는 앱을 켜서 테스트를 해보거나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셔야 합니다. 문제는 그렇게 해서 이제는 괜찮다 되겠다 싶어서 켜놔보면 갑자기 그냥 다운되어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CCTV처럼 부하를 계속 걸어야하는 앱이 켜져 있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상시전원 개조를 하면 오히려 안정성이 많이 떨어질 수 는 있어서요. 다른 방법을 권하고 싶어요. kzbin.info/www/bejne/maLGfJiFoJeAmq8si=MhexECalEX1XhHg4 이 방법을 이용하는 것인데요. 제가 예전에 올려둔 영상이지만 최근 제품이나 앱도 사용법은 비슷합니다. 루팅 없이 스마트폰의 배터리 잔량과 발열을 확인해서 충전을 제한 할 수 있는 툴 입니다. 툴과 앱이 서로 통신을 하면서 전원을 연결했다가 끊었다가 하면서 배터리수명을 최대로 연장 합니다. 이렇게 하면 CCTV 용도로 폰을 계속 충전하면서 연결해둔다고 해도 배터리가 망가지거나 하는일이 없습니다. 배터리의 전압도 적절하게 이용하므로 스마트폰 발열도 걱정하지 않아도 되긴 하구요. 기기값이 조금 나가긴 하지만, 제가 정말 별별 기기를 다 테스트 해 봤지만 이것을 대체할만한 제품이 아직 없긴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방법이 가장 이상적인것 같습니다.
@DavidLim-w3n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너무 감사합니다. 덕분에 부풀어 오른 픽셀 기기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감이 잡히네요.. 혹시 쿨러와 알루미늄 받침대 정보도 부탁 드릴 수 있을지요?
@DavidLim-w3n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부분에 쿨러 관련 영상을 추후에 올려 주시겠다고 하셨네요.. ^^ 다음 영상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dmanii Жыл бұрын
알루미늄 마우스패드 중에 저렴한것을 구매하시면 될 것 같아요. 근데 그것 위에 스마트폰을 올리면 약간은 열해소에 도움은 되지만 구글픽셀1으로 수천장씩 사진 올릴 때 발열이 나는 문제는 막지는 못합니다. 이것은 구글픽셀1이 한번도 안뜯은 정상적인 상태라고 하더라도 발열이 나면서 열이 식을 때까지 업로드가 제한이 됩니다. 이 때는 미니 선풍기를 옆에 켜주거나 영상에 나오는 노트북 쿨러 같은 것을 쓰는 방법이 있는데요. 문제가 직접 켜주고 꺼줘야해서 이게 좀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제가 특정 온도에서 알아서 팬이 켜졌다가 멈췄다가 하는 팬을 만드는 방법을 곧 영상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DavidLim-w3n Жыл бұрын
@@cdmanii 자세한 댓글 감사합니다. 다음 영상 기대할게요~ ^^
@manjillejonson-ib6bx Жыл бұрын
12v 2a 스텝다운으로 3.8~4.2 까지 조절해봐도 추가로 충전기 연결 하지않으면 부팅이 안되는데 문제가 뭘까요?ㅠㅠ 충전기 연결해서 부팅만 하고 단독으로 사용이 되긴했는데 시간지나보면 꺼져있더라구요 지금은 충전기 빼면 바로 꺼집니다
@cdmanii Жыл бұрын
부품들은 영상에 나온것과 같은 것 인가요? 가능성 있는건 전압이 낮아서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할 수 있다면 암페어 앱을 설치 후 실제로 전압이 몇이 들어가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테스터기도 별도로 써야 정확한 전압 확인이 가능하긴 해요.
@wjn0009 ай бұрын
와 천재다
@akaiinuku Жыл бұрын
Are you able to connect your modified pixel to a computer?
@cdmanii Жыл бұрын
The USB-C port can be used normally, allowing a wired connection with the computer. Of course, you can connect to the network through the app.
@홍예돼지5 ай бұрын
이 영상 보고 배부른 픽셀1 살려냈어요.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왜 저는 왜 처음 부팅할때 usb 충전포트에 충전케이블 꽂아야만 부팅이 될까요? 부팅이 된 후에는 케이블을 뽑아도 잘 살아있습니다.
@cdmanii5 ай бұрын
저도 추측이지만 실제 인가되는 전압이 달라서 일 수 있습니다. 멀티테스터기로 정확히 맞춰서 전압을 넣어도 픽셀1 픽셀1XL에 따라서 좀다른듯하고 디바이스 상태에 따라서도 전압이 좀 다르게 들어가는듯 합니다. 뭐 이건 저도 모든 폰을 같이 놓고 동일테스트를 해본건 아니지만 추측이구요. Ampere 앱을 설치하면 실제 들어가는 전압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그게 조금 낮게 들어가서 그럴 수 도 있습니다. 다만 지금 그러게 켜진다면 당분간 그렇게 쓰는것도 괜찮을듯해요. 전압이 높게 들어간다고해서 좋을건 없거든요. 열이 그만큼 많이 발생하게 되고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제가 올려둔 chargie를 이용하는 방법을 쓰면 내부 배터리를 이용해서 전압이 가변적으로 조정되면서 발열을 제어를 어느정도 하지만 상시 전원으로 개조를 해서 전압을 넣는 경우 어떻게 보면 항상 normal 이상의 전압을 넣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됩니다. 아무래도 발열을 좀 더 신경을 써줘야합니다. 구글포토를 이용해서 많은 사진을 업로드 시킬 때는 미니선풍기를 켜서 열을 식혀주면 좋습니다.
@phoenixnexflix4764 ай бұрын
I have the same issue. During the first boot, I need to also plug in the USB power supply for it to boot up properly. After the boot is complete, the USB can be unplugged.😅
@katelisa9255 Жыл бұрын
혹시 노트북도 가능한가요? 개인적으로 구형 맥북프로12년도꺼11년도껄로도 가능하면 한번 씨디맨님꼐 부탁하고싶네요.맥북을 이제 집에서만 하다보니 그냥 맥미니처럼 사용하고싶어서 배터리 스웰링이 걱정이되어서
@cdmanii Жыл бұрын
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노트북은 배터리가 없어도 보통은 전원이 연결된 상태면 켜져 있습니다. 다만 아주 예전 맥북 경우에는 배터리가 없는 경우 성능제한이 걸리는 부분은 있는듯 하니 이부분은 체크를 하셔야할 것 같아요. 간단하게는 그냥 맥북 하단 커버 분리 후 배터리 선만 분리를 하고 켜보면 체크가 가능합니다.
@chaya1257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았습니다. 실력이 대단하시네요. 현재 오래되어 배터리 충전이 안되는 갤럭시 노트 PRO 12.2(SM-P900)를 2대 보유중입니다. 알리에서 배터리를 구매하여 교체해 사용해봤으나 첨엔 잘되는듯 하다가 몇개월 지나면 다시 충전도 안됩니다. 이에 상시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법을 검색해서 여러 시도를 해 보았는데 도저히 되질 않네요. 그나마 씨디맨님이 알려주신 방법대로 하면 기존 충전선을 함께 연결해야 켜지며, 그마저도 켜지는듯 하다가 몇초후 다시 꺼져버립니다... 제가.영 소질이 없어서 혹시 가능하시다면, 이 제품을 보내드리면 제작 구현을 해 주실 수 있으실지요? 해주신다면 비용은 어느정도일지도 대략 말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부탁문의드립니다.
@cdmanii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귀한 제품 가지고 계시네요. 제가 지금은 개인적인 사전으로 바빠서 작업을 하거나 하진 못하고 있습니다. ㅠ 다만 궁금한게 배터리를 새제품으로 교환을 했는데도 충전이 잘 안된다는 뜻인가요? 충전하는데도 배터리 잔량이 떨어져서 결국 꺼진다는뜻일까요? 글에 켜지는듯 하다가 꺼진다고 봐서 만약 충전기를 고속충전기로 바꿔서 해봐도 마찬가지로 켜지자마자 꺼진다면 (충분이 충전했음에도 그렇다면) 이 경우에는 손상된 배터리 때문에 기기가 손상된 경우가 아닐까 싶습니다. 전원이 불안정하면 기기 자체가 손상되는 경우가 가끔 있긴 하거든요. 이 경우 기기 공장초기화 blog.naver.com/okayjune/221066839237 (여기 자세히 글이 있네요) 를 해보거나 그래도 마찬가지 증상이 있다면 배터리 문제가 아니라 기기 손상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근데 두대 다 마찬가지 증상인가요?
@chaya1257 Жыл бұрын
@@cdmanii안녕하세요. 답변 감사드려요. 2대라 말씀드렸는데, 이것저것 시도하려고 구하다보니 현재 4대가 되어 버렸어요. 1. 일단, 배터리를 새제품으로 교환 하면 잘됩니다. 배터리가 알리에서 구매했는데 한 6개월? 정도 되면 금방 이상이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전원 연결로 하고 싶습니다. 2. 다른 정상 기기에서 배터리만 빼서 연결해보면 제대로 되는걸 보면 기기 자체 손상은 아닌것 같아요. 3. 두대 다 마찬가지 증상입니다. ㅠㅠ 충전기는 고속충전기인지 잘 모르겠어요. 주변에 어댑터 몇개 사서 해보고 전압조절어댑터까지 사서 해봤는데 마찬가지로 켜게 되면(자체적으로는 안켜짐 충전케이블을 함께 연결해야함) 부팅중 와이파이 잡는 부분쯤 되서 꺼져버려요... 혹시 차후에라도 작업하실 의향 있으시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앗 그러고보니 오늘이 2024년 1월 1일이네요.;;;; 씨디맨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행복한 한해 되세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chaya1257 배터리 교체 후 잘 쓰시다가 고장난다는거죠? 상시충전으러 계속 쓰면 배터리가 망가질수는 있을텐데요. 실제 픽셀1 배터리기 문제가 있어서 상시 충전시 3개월도 못 버티고 망가지는 경우가 있긴합니다. 그 배터리 때문에 기기가 망가지는 경우고 있구요. 실제로 제가 격어본 이야기 이구요. 제 생각이지만 무리하게 상시충전을 위해서 개조를 하지 마시구요. kzbin.info/www/bejne/maLGfJiFoJeAmq8si=JsOCaj-HNqv_cpsQ 이 빙법을 이용해서 충전을 제한해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이 경우 배터리 부하가 적어 상시충전하면서 사용해도 망가질일이 없으며, 잠깐 장소를 이동하기 위해서 태블릿을 옮겨도 배터리 모드로 꺼지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상시충전개조시 기기에 전압이 계속 높게 들어가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어서 이방법이 더 안전합니다.
@chaya1257 Жыл бұрын
@@cdmanii 답글 감사합니다. 알려주신 방법 잘 보았습니다. 그렇게 하려면 Chargie 제품과 배터리를 각각 그 수량만큼 사야하네요. ㅠㅠ 이미 상시전원을 구사하기 위해 모듈이랑 이것저것 사놓은게 많고, 점점 배터리는 정이 안가서 상시전원 개조로 생각을 굳혔기에 방법을 찾아보려 하였습니다. 고장나도 어쩔수 없다는 마음으로요... 배터리를 또 구입해서 사용할 마음이 별로 없어서 어떻게 해야할지 좀 더 고민해봐야겠네요. 신경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cdmanii Жыл бұрын
@@chaya1257 네 기기는 태블릿 갯수만큼 필요합니다. 근데 모든 태블릿을 다 동시에 쓰는것 아니면 켜둔 태블릿에 빼서 꽂는 형태로 돌려가며 사용 가능하구요. 다른 방법으로는 태블릿을 루팅을 해서 배터리 충전 제한해주는 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긴 합니다. 물론 루팅을 하는 방법이라 보안에는 좀 취약해지긴하구요
@AI-tg2ke8 ай бұрын
배터리모듈을 꼭 연결해야 하나요? 감압모듈만 연결하면 안되나요?
@cdmanii8 ай бұрын
물론 그래도 되지만, 기판에 있는 작은 단자에 선을 연결할 방법이 그 방법 밖에 없어요 (영상에 그부분 나옵니다)
@gjh62668 ай бұрын
잘 봣습니다 전원공급은 usb 5v로는 안될까요? 상시전원 만들어서 usb테더링 사용하려고합니다
@cdmanii8 ай бұрын
픽셀은 제가 여러대 작업 해봤지만 좀 까다로워서 5V로 작업하시면 처음에는 잘 작동할 수 있으나 금방 망가질 수 있습니다.
@gjh62668 ай бұрын
@@cdmanii 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작업할 기기는 s8 이나 s9 입니다
@cdmanii8 ай бұрын
삼성폰이면 괜찮을거예요
@gjh62668 ай бұрын
@@cdmanii 답변 감사합니다
@ar1pa123 Жыл бұрын
앗 저도 이미 두번이나 실패해서 픽셀 화면이 아예 안 들어오는데... 혹시 보내서 맡길수 없을까요 ㅠ 실패하셔도 상관 없습니다.
@cdmanii5 ай бұрын
글을 이제 봤네요. 지금은 개조작업은 따로 안하고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ㅠ
@찌니뽕-b2c9 ай бұрын
가장 중요한 궁금한 점 밧데리 없이 바로 전원 연결시 충전하면 자동으로 전원 켜지는건가요? 그리고 기존 폰에 어플.파일 apk 등 그대로 유지되는건가요?
영상에 나오는 내용이라 보시면 될듯하구요. 당연 기존에 있던 파일이 날라거거나 하는일은 없습니다. 그냥 전원만 외부에서 넣는거라서요.
@사진-m2p4 ай бұрын
새 배터리로 교체했는데도 화면이 켜지고 구글로고 나온후 계속 꺼져서 상시전원 도전해보려 합니댜. 납땜을 꼭 해야할까요? 선으로 감아서 사용하면 안되나요?
@cdmanii4 ай бұрын
선으로 감싸는건 좀 움직이면 접촉불량이 생길 수 있고, 기기가 그대로 망가질수도 있어서 납땜하는것을 추천합니다.
@rmdgg6 ай бұрын
아이패드 프로에도 가능하다고 보시나요?
@cdmanii6 ай бұрын
할 수는 있으나 애플계열은 배터리를 빼면 노트북도 패드 계열도 성능 제한하는 모드가 동작하는걸로 압니다. 그래서 권장하지는 않구요. 아이패드 경우에도 배터리 잔량을 제한해서 배터리를 오래 쓰면서 상시충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kzbin.info/www/bejne/maLGfJiFoJeAmq8si=du3V2uzqVD2hXf9F 위 영상의 방법을 쓰시는것을 권합니다.
@liajin1227 Жыл бұрын
열풍기대신 드라이기 사용가능한가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가능하긴 한데,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처음에 떼어낼때는 생각보다 어렵기 때문에 열풍기가 있으면 좋습니다.
@대장집사-l5u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늘잘보고있는 구독자입니다 혹시 lg 스텐바이미 go의 배터리용량 업구레이드 가능 할까요? 제품은 제공 가능합니다 비용도요 가능하다면 usb pd충전도 가능하면 좋을것 같아요 컨텐트로 만들면 좋울것 같아서요 제품은 대여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dmanii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생각을 좀 해 봤는데요. 개조를 해서 배터리를 아무리 늘린다고 해도 공간때문에 한계가 있구요. 드라마틱하게 2배 이상 오래가는게 아니라면 굳이 A/S를 포기해가면서 까지 개조를 하는것은 추천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조만간 제가 파워뱅크 리뷰를 올리긴 할텐데요. 파워뱅크를 이용해서 전원을 추가로 연결해서 동작시간을 늘리는 안전한 방법을 선택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benedict6452 Жыл бұрын
혹시 유상으로 개조해주시는건 불가능하실까요? 이 쪽으로는 영 똥손이어서요 ㅠㅠ
@cdmanii Жыл бұрын
문의가 많이 오는 편 인데요. 제가 지금 여러가지 사정으로 좀 시간이 없다보니 , 작업이 여의치 않습니다. 죄송 합니다. 시간적 여유가 생기면 모집공고를 하거나 하겠는데요. 지금은 아직 계획이 없습니다. 안전하게 하실거라면 kzbin.info/www/bejne/maLGfJiFoJeAmq8si=Awa2SOOhlcVqirTH 이 방법을 이용해서 충전제한을 해서 쓰시는게 좋긴 합니다.
갤럭시s7을 .. 이 방법으로 시도해서 제대로 한거 같은데 usb 안꽂으면 로고에서 계속 재부팅 되고 usb 꽂으면 정상 부팅은 되는데 얼마 안가서 꺼지네요... 삼성꺼는 좀 다른건지.. 4.0v 까지 올려봐도 똑같네요.. 결국엔 배터리사서 껴놨습니다.ㅠㅠ
@cdmanii6 ай бұрын
coolenjoy.net/bbs/36/211771 삼성폰은 물론 기판 (BMS부분) 이용해야겠으나 좀 더 높은 전압에서 동작하는듯해요. 4.4V 이상을 줘야할듯 싶긴 하네요. USB 포트로 전원 넣어야 구동되는것 봐서는 전압이 부족한듯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전압을 임의로 높게 넣더라도 발열이 높아지므로 결국 팬을 달거나 해서 발열제어는 해야할겁니다. 그렇지 않으면 스마트폰이 빨리 망가질 수 있어요. 그런 이유로 폰을 오래쓰면서 상시전원으로 쓰시려면 결국 kzbin.info/www/bejne/maLGfJiFoJeAmq8si=bSjMknEhYjj9yvQy 이런 방법을 쓰시는게 더 안정적이긴 할겁니다.
@YounghyeunPark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씨디맨님, 온도에 따라 쿨러 온/오프에 대해 여쭤봤던 사람인데요, 무슨 이유에선지 제 댓글이 여기에 보이지가 않네요 ㅠㅠ 제가 확인할 수 있는건 유튜브 알림 댓글에 씨디맨님께서 "아직 확실히 안나온 부분이 있어서..."로 시작하는 답변을 달아주셨습니다. ㅠㅠ 아이고 궁금한 내용이었는데 왜 제 댓글이 보이지 않을까요.. 그래서 씨디맨님 답글도 못 읽는 중입니다..
@cdmanii Жыл бұрын
그러네요. 댓글 보고 저도 답댓글 남겼던 기억이 있는데 지금 보니 댓글이 없네요. 너무 장문으로 적어서 저도 다는 기억은 안나지만, 먼저 온도에 따라 동작하는 부분은 만들어두었으나 온도 센서 위치에 따라 동작이 정확치 않아서 chargie에 건의를 몇가지 해둔 상태 입니다. 앱에서 스마트폰 온도를 확인하고 그 온도에 따라 팬이 동작하는게 가장 좋으니까요. 근데 아직 chargie에서 대답은 없는 상태이구요. 추가로 chargie 신제품 중에 데이터 USB 3.0 파이프라인과 전원 공급 파이프라인을 독립적으로 운용가능한 모델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하더라구요. 그걸 이용하면 충전을 하면서 허브 등을 연결해서 데이터 통신도 가능한 것 같았습니다. 그게 되면 굳이 이렇게 위험한 방식으로 상시전원을 안써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긴 합니다. 다만 직접 실험해본건 아니고 아직 제품도 안나온상태라. 제가 뭐라고 영상이나 글을 미리 올리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좀 기다리는 중이긴 합니다.
@YounghyeunPark Жыл бұрын
@@cdmanii 답변 감사드립니다! 정말 말씀하신 기능으로 신제품이 나오면 훨씬 효과적이고 안정적이겠네요. 허브가 연결되는게 저에게도 관건이라..
@온새미로꿀벌이야기 Жыл бұрын
혹시 열풍기말고 드라이어기 사용해도 될까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영상에 나오긴 하지만, 추천하진 않습니다. 헤어드라이기로 하면 열을 단시간에 빠르게 올리기 어렵고 (헤어드라이기는 온도 제어가됨) 너무 오랫동안 열을 가해서 망가질수도 있고, 반대로 충분한 열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화면을 열면 화면이 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sunho016 ай бұрын
정격입력 전압. Dc 12v. 60헤르츠. 정격출력전압dc12v. 2.5a. 직류전원장치 사용가능할까요?
@cdmanii5 ай бұрын
네 그렇게 성능 좋은 어댑터를 쓰면 문제 없습니다.
@sunho015 ай бұрын
@@cdmanii 다하긴했는데 폰 충전표시가 100계속충전안뜨고. 100프로에서 계속떨어지는데 방법 있나요??
@DEGUL_5 ай бұрын
멀티테스터기 없이 작업하는 방법은 없을까요ㅠㅠ
@cdmanii5 ай бұрын
영상에 나오는 작업도구들은 있어야 합니다. 그게 있어도 어려운데 없으면 작업이 거의 불가능해요. 좀 안전한 방법으로 배터리 관리 하고 싶다면 따로 만들어둔 영상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kzbin.info/www/bejne/maLGfJiFoJeAmq8si=TXn2xQYAYzvYT1Kc
@DEGUL_5 ай бұрын
이미 배터리가 부풀어있어서 멀티미터랑 기타 공구류 구입하여 영상의 방법대로 진행하였습니다. 부팅 잘 되고 배터리 40%인 상태로 구동도 잘 되네요. 혼자하면 엄두도 못냈을 작업인데 영상 덕분에 시도해보고 성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iiiillllliiii Жыл бұрын
아답터 12v가 없어서 9v로 대체하려고 하는데 괜찮겠죠? 암페어는 무조건 2여야 하나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9V로는 안해봤습니다만, 일단 있는 어댑터로 해보시고, 안되면 그 때 제가 영상에 링크 올려둔 제품 구매하셔서 해보셔도 될 것 같아요. 9V면 2A 이상이여야 합니다. 9V에 1A면 9W 밖에 안되니 충분히 전력공급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ryongchoi99929 ай бұрын
너무 늦은 답변인지 모르겠지만, 저는 전원 공급을 USB C로 하고 있는데 9V입력으로 사용중입니다. USB C 충전 어댑터는 25W짜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압 레귤레이터는 씨디맨님이 처음 보여주시는 작은 모듈인 Mini360을 사용하고 있고요. 꺼지지 않고 잘 작동합니다. 전원 공급 쪽에 모니터링 장치 달아 봤었는데, 전원을 켤때 1.5A 정도는 들어갑니다. 1.5A로도 될것 같긴한데 어댑터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원하신다면 2A 이상하시는게 좋을 것 같네요.
@찌니뽕-b2c10 ай бұрын
공기계 있는데요. 오래되서 그런지 충전해도 배터리 충전이 안됩니다. 이런 폰도 가능한가요?
@cdmanii9 ай бұрын
이론상 가능합니다
@sungsuhan9461 Жыл бұрын
시디맨님 질문잇는데 연락처없을까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여기 적어주셔도 되고 , 카톡 주셔도 됩니다 카톡 cdmanii
@lim9323 Жыл бұрын
아이폰 상시 전원은 안되는 걸까요? 관련 영상 찾다가 안드로이드만 있는것 같아서요
@cdmanii Жыл бұрын
아이폰도 가능합니다. 아이폰 경우에는 전문적으로 배터리 수리킷 자체가 있어서 그냥 제품화된것을 구매하는 방법도 있더라구요. s.click.aliexpress.com/e/_Ddamp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