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밝혀지고만 《양자역학의 치명적인 문제》…

  Рет қаралды 165,673

방구석 과학

방구석 과학

2 ай бұрын

1927년, 세계 최고의 학자들이 모인 제5차 솔베이 회의에서 양자역학을 공개적으로 무너뜨리기 위해 정교한 사고 실험 하나를 제안하는데요
하지만 닐스 보어는 전혀 당황하지 않고 그의 질문을 완벽하게 방어해내며,
제5차 솔베이 회의는 양자역학의 승리로 끝이 났죠
결국 쓰디쓴 실패를 맛본 아인슈타인은 다음을 기약하며 더욱 정교한 실험을 가지고 오게 되는데
오늘 방구석에서 알아볼 과학 "양자역학과 아인슈타인" 입니다

Пікірлер: 175
@user-my9nw8mt5i
@user-my9nw8mt5i 18 күн бұрын
와 설명 굿이네요..디테일한 역사까지 설명해준 영상은 처음 보는것같습니다.
@seongkiehong4300
@seongkiehong4300 2 ай бұрын
서로 다른 관념을 지극히 과학적 논법으로 증명해나가는 이 부분이 참 존경스럽습니다!
@user-qg6nr2fp6z
@user-qg6nr2fp6z 2 ай бұрын
이 영상최고 최고!♥ 방구석 과학자님 정말로 감사합니다
@testone1198
@testone1198 Ай бұрын
설명이 정말 좋네요!!!
@lancekim3666
@lancekim3666 2 ай бұрын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구독합니다~
@user-op7nw1vq5m
@user-op7nw1vq5m 2 ай бұрын
와 이거 진짜 듣고 있으니까요 두뇌의 여기 저기가 자극이 되네요. ㅎㅎ
@user-iv8xh1mz6y
@user-iv8xh1mz6y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AgainAgain-nc3wr
@AgainAgain-nc3wr Ай бұрын
외계어라 생각했던 물리학을 엿볼수있게 해줘서 고마워요
@truekeep6258
@truekeep6258 Ай бұрын
결론: 결국 밝혀진 것은 없다.
@Jehehdh-te8hv
@Jehehdh-te8hv Ай бұрын
역시 인간과학이 아직 한계라는걸 알수있죠
@seafree7
@seafree7 2 ай бұрын
좋아욧
@user-us6tf3uf7r
@user-us6tf3uf7r 20 күн бұрын
관측하는것만으로도 변화가 생길 만큼 아주 예민하며 철저히 물리적인 세상입니다. 우리가 생각을 할때 얼마나 큰 에너지를 만드는지 알수없습니다. 즉, 생각이 생각하지 못할만큼 강력한것일수 있으며, 생각또한 물리적인 것이고, 나의 생각으로 나의 환경, 더 나아가 세상에 영향을 미친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사는대로 살지 말고 생각하는 대로 살아갑시다
@user-my3ej2fq9j
@user-my3ej2fq9j 2 ай бұрын
언제 기회가 된다면 저와 방 구석에서 차 한잔 마시며 대화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user-or7xe4fp9c
@user-or7xe4fp9c 20 күн бұрын
대단한 해석입니다. 이렇게 어려운 것을... 어떻게...
@user-qg6nr2fp6z
@user-qg6nr2fp6z 2 ай бұрын
우왕 대단합니다 -방구석 과학 (구독자 11.5만 )최고입니당 조회수 8.3만회 (10일 전)
@seunghobaek9938
@seunghobaek9938 2 ай бұрын
이 논쟁을 이렇게 쉽게 알려주는 곳은 처음입니다👍
@user-jh6ky1lm8t
@user-jh6ky1lm8t Ай бұрын
상대적으로 쉽군요...ㅋㅋ 상대성 이론?
@shoei0119
@shoei0119 2 ай бұрын
우왕
@user-le1hz4yd8s
@user-le1hz4yd8s 2 ай бұрын
오.. 서울 해석도 있네.. 찾아보니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한 거구나..
@user-up2sz2mx6s
@user-up2sz2mx6s 25 күн бұрын
역설을 발견해내려는 노력이 되려 증명을 확실히 해준 격이군요
@sophie_none_
@sophie_none_ 2 ай бұрын
작년 말 쯤부터 제 최애 채널이 되었습니다. 했던 설명이라도 새 영상이라면 다시금 천천히 시간순으로 재설명해주실 때마다 더 생생하고 좀 더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서 시야를 다각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좋은 영상에 감사드립니다.
@VitorJKhan
@VitorJKhan 2 ай бұрын
색즉시공 공즉시색 관찰되지 않으면 없다
@soohwanoh3483
@soohwanoh3483 2 ай бұрын
이런건 책으로 봐야 함.
@chucky4258
@chucky4258 2 ай бұрын
👍
@oldbbie
@oldbbie 2 ай бұрын
재밌네
@user-km9go2hx3p
@user-km9go2hx3p Ай бұрын
The uncertainty principle, which states that while measuring one thing changes the other,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measurement of position changes momentum, and conversely, measurement of momentum changes position and increases error. This can be solved simultaneously as soon as the structural overlap of 1 and 0 is observed. It has already been proven.
@mitaeking2421
@mitaeking2421 2 ай бұрын
당황하지 않고 ~ 빡
@Alex.NT-1
@Alex.NT-1 2 ай бұрын
결국 “측정”이 문제구만. 신은 인간이 자신을 보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것인가.
@ES-hg4wh
@ES-hg4wh 2 ай бұрын
글쎄...? 신이 그렇게 작나?
@swbaek1214
@swbaek1214 Ай бұрын
@@ES-hg4wh 신을 물리적으로 생각하지 말라구.
@ES-hg4wh
@ES-hg4wh Ай бұрын
@@swbaek1214 그럼 뭘로 증명함
@drefact
@drefact Ай бұрын
일단 신의 정의부터 서로 맞춰야죠
@fefafo1137
@fefafo1137 29 күн бұрын
궤님이 납셨다!!!
@user-lj7np3xx6z
@user-lj7np3xx6z 2 ай бұрын
음 그렇군...
@user-dk8nz9td8h
@user-dk8nz9td8h 2 ай бұрын
역시 그건 줄 알고 있었습니다 흥미롭군요
@ccmt2568
@ccmt2568 2 ай бұрын
영상안봄?
@user-ul1ri4zl5r
@user-ul1ri4zl5r Ай бұрын
아주 자세한설명 잘 들었습니다. 다만 이게 대체 무슨 말이죠? 너무 재밌습니다.근데 이게 무슨말이죠?
@user-vv4oh6le3c
@user-vv4oh6le3c 2 ай бұрын
초반 실험 시계를 예약으로 정지시키면 되지
@user-kl7mc7uw2i
@user-kl7mc7uw2i 15 күн бұрын
상자속 시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창문 밖에서 봐도 되지않나요? 유리로 된 창문이면 굳이 안열고 확인 가능할 것 같은데
@user-ob1gh6cf7q
@user-ob1gh6cf7q 15 күн бұрын
유리로 제작한다면 이미 빛으로 인해서 상자 내부에 값은 달라지겠죠. 관측하는 순간, 즉 내부는 아마 어둠으로 완전히 둘러싸여진 상태라는 가정하일겁니다
@user-sh8nc7vj1k
@user-sh8nc7vj1k 2 ай бұрын
알듯 모를듯... 에잇 모르겠당...
@user-ul2hg3vk3v
@user-ul2hg3vk3v 2 ай бұрын
어질어질
@user-gx4uo6xh2s
@user-gx4uo6xh2s 2 ай бұрын
그 관측자의 정의도 못내리면서 왜 관측해야 존재한다고 하는거야
@roadartj6281
@roadartj6281 6 күн бұрын
전자공학 출신이고.. 전자의 흐름을 연구하는사람인데.. 원자와 전자사이의 거리.. 또는원자를 구성하고있는 전자의 패턴들... 너무나 다양한데.... 해외 네이쳐 학술을 통해 인용한것같은데.. 함 보죠..
@user-bc8di9ct4y
@user-bc8di9ct4y 2 ай бұрын
완벽하게 이해했는지 못했는지 나를 관측하지 않으면 그 누구도 모를거야... 다만 확률적으로 알겠지... 물론 이해 못했을 확률이 99.9%라는 것은 누구나 알겠지?
@user-qm7ve5qb9f
@user-qm7ve5qb9f 11 күн бұрын
입자의 스핀은 무한, 관측한다면 그때마다 다를수 있는겁니다
@dark9459
@dark9459 Ай бұрын
불확정성의 원리는 거시세계에서는 통용되지 않는 거죠?
@CH_Sudal
@CH_Sudal 29 күн бұрын
절대 알아낼 수 없다는 것을 알아낸 것도 과학이지... 하지만 관측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론은 맘에 들지 않는다.
@user-pf3bg6zv4j
@user-pf3bg6zv4j Ай бұрын
잠 안 올 때 들으면 딱. 전자의 스핀도 불확정성이라. 남자의 마음처럼, 모호하네.
@yeong-peomchoe1095
@yeong-peomchoe1095 Ай бұрын
이 분 설명 들으면 좀 알 것같다. 결국은 모르게 되는 건 똑 같지만.
@user-km8yn7ln6f
@user-km8yn7ln6f 25 күн бұрын
재미는 있는데 이해가...ㅠㅠ
@IlIllIlIIlIllIIlIlllIIIllIIlIl
@IlIllIlIIlIllIIlIlllIIIllIIlIl Ай бұрын
댓글에 요약본이 없다는건 이해한 사람이 없다는 뜻
@skylaker7154
@skylaker7154 Ай бұрын
모든 관측은 상호작용이다.
@Kim_Summer
@Kim_Summer Ай бұрын
측정하는 순간 값이 바뀌는 건 측정하기 위한 에너지가 측정대상의 에너지에 영향을 줄정도로 둘의 차이가 적어서 생기는 현상이라면 측정대상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않을 만큼 적은 에너지를 가진 측정단위가 있으면 문제가 해결될 거 같긴한데 과연....
@seungcho1738
@seungcho1738 2 ай бұрын
세포분열하듯이 … 🛸🛸🛸 발광체의. 분열하는 광채 활동은,,, 언제 어느곳에나 … 나타날수있은. 과학의 세계….🐉🐲👁️🐲🐉
@tigredk2269
@tigredk2269 3 күн бұрын
빛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적으로 기록한다면?
@pkwpkw6123
@pkwpkw6123 2 ай бұрын
어렵다 듣긴 들어도 보긴 보아도 뭔소린지..........
@vefveflute8019
@vefveflute8019 9 күн бұрын
플랭크 상수의 너머의 세계는 어떨까?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2 ай бұрын
아~ 그렇구나~!
@oxdoxx
@oxdoxx 21 күн бұрын
졸린다. 잠이 쏟아진다. 깨어있어야 하는데 자고 있다..
@ping-pongcoach1396
@ping-pongcoach1396 Ай бұрын
이해못한 내가 이해되는 신기한 경험.
@doublej7528
@doublej7528 Ай бұрын
그런데 제임스 웹 망원경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행성들이 새로 발견되는건 머냐..
@Choi-Ja
@Choi-Ja 2 ай бұрын
이 세상은 모순으로 존재한다.
@jslee3528
@jslee3528 Ай бұрын
이걸 이해하는 순간.... 4차원의 공간을 인식할듯...
@oOoOoOoOoOoOoO.
@oOoOoOoOoOoOoO. 8 күн бұрын
아마 그게 영적이라고 불리우는 공간 아닐까 하는 생각을 던지고 갑니다
@jkijljbnj7165
@jkijljbnj7165 Ай бұрын
요즘은 왜 아이슈타인이나 보어급 물리학자 없음?
@junsgk
@junsgk Ай бұрын
다들 실리콘벨리로 갔음
@user-yh3nj2nr6b
@user-yh3nj2nr6b Ай бұрын
게이화되고 틱톡화됬지 글고 요새는 사업가로빠짐
@JHYJ02
@JHYJ02 2 ай бұрын
결론은… 우리 상식에선 아무런 영향이 없을거같은 빛조차도 원자수준에선 크게 영향을 받기때문에, 미시세계에서는 어떤 물리량이든 확정값은 있지만, 인간이 측정할 방법은 없다 따라서 확률로서만 파악할 수 있다. 이겁니까? 그럼 나중에 극도로 과학이 발전하면 미시세계도 확률이 아닌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는거에용??
@ES-hg4wh
@ES-hg4wh 2 ай бұрын
아니오. 가 알아낸 결론입니다
@user-qd8jd2fe2v
@user-qd8jd2fe2v 2 ай бұрын
​@@ES-hg4wh아니죠 그거조차 측정할수있는기술이 개발될수있죠
@ES-hg4wh
@ES-hg4wh 2 ай бұрын
@@user-qd8jd2fe2v 당신은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눈 감고' 무언가를 측정을 할 수 있음? 예를 들어 당신한테 줄자를 줄테니, 눈 감고 연필의 길이를 알아낼 수 있음? 그걸 할 수 있으면 불확정성의 원리를 이겨내고 미시세계의 입자를 측정할 수 있을거임. ㅇㅇ 해보셈.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설명 부탁함.
@user-qd8jd2fe2v
@user-qd8jd2fe2v 2 ай бұрын
@@ES-hg4wh 현재 관측하지않고 관측하는방법 고안되고있는데?? 당장은 몰라도 아예안된다고 못박는게 지능이 벌레인듯..
@user-jo1jz2dr4k
@user-jo1jz2dr4k 2 ай бұрын
​@@user-qd8jd2fe2v측정 할수 있는 기술이 개발 된다해도 측정하고 관측하는 순간 변하게 됩니다. 아이슈타인이 끊임없이 보여주던 사고 실험이랑 같은 원리 입니다. 결국 미시세계에서는 관측의 영향으로 정확하게 측정할수 없고 이 세계는 미시세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user-bo5ck9vo7p
@user-bo5ck9vo7p 2 ай бұрын
이해하기 어렵네요. 광자는 질량이 없지 않나요? 근데 광자가 상자 안에 들락날락한다고 어떻게 질량이 변한다는 거죠? 광자 1개만큼의 질량 변화가 생긴다는 설명은 이미 그 자체로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아마 광자가 에너지를 갖기 때문에 상자 내부의 질량의 변화가 생기는 것이겠죠?
@user-bo5ck9vo7p
@user-bo5ck9vo7p 2 ай бұрын
@@kunstk.1857 입자인데 질량은 없죠. 그래서 속도가 항상 일정하고.. 이게 맞지 않나요?
@kunstk.1857
@kunstk.1857 2 ай бұрын
@@user-bo5ck9vo7p 넵 맞습니다. 제가 잘못된 답변을 달았습니다. 또한 말씀하신 이유로 저 광자 상자 사고 실험은 특수 상대성 이론에 대치되어 결과적으로 실패한 사고 실험이 되었습니다.
@okseonhwang3231
@okseonhwang3231 2 ай бұрын
무시할 정도로 작지만 존재한다는건 질량이 있지요.
@kunstk.1857
@kunstk.1857 2 ай бұрын
@@okseonhwang3231 특수상대성 이론의 기본 전제는 광자의 질량은 물리적으로 완벽한 0 이라는 것입니다. 광자의 질량은 없습니다.
@ES-hg4wh
@ES-hg4wh 2 ай бұрын
@@okseonhwang3231 광자는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없음
@user-qr9gq4dy8o
@user-qr9gq4dy8o 28 күн бұрын
밝혀진게 없네.?
@cheeseqwerty
@cheeseqwerty 2 ай бұрын
아아
@yoonhero3701
@yoonhero3701 Ай бұрын
25 수특 비문학에 나온...
@Yoyo-zp2fp
@Yoyo-zp2fp 2 ай бұрын
광학집게로 전자는 못가두나??
@user-lu2bh8pn7z
@user-lu2bh8pn7z Ай бұрын
코펜하겐학파의 주장대로라면 현세계는 시뮬레이션 세계일수도 있는... 우리는 인공지능 NPC이지만. 자각하지 못하는 NPC. 급 슬퍼지네ㅎ
@user-rs6or5ih2b
@user-rs6or5ih2b 2 ай бұрын
자연상태가 자연스러운것이며 자연상태를 숫자로 나열하는 것이며 사람의 태어난 년월일시가 자연상태와 같은 것이며 육체 성질 성격 모든것이 자연과 연결된것입니다.
@user-bl8tv1ud7p
@user-bl8tv1ud7p 2 ай бұрын
타임머신의 존재를 눈으로 확인하기 전까진 타임머신은 존재 한다 라고 보는게 맞나요? 그냥 생각나는데로 적어봄 ㅎㅎ
@ilovesoju2243
@ilovesoju2243 2 ай бұрын
보기 전까지는 확정지을수 없습니당
@blcklst_
@blcklst_ 2 ай бұрын
신중한 과학자들은 항상 ‘현재 알려진 바에 따르면’ 불가능하다 라고 하더라구요 앞으로 알려질 지식에 대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는 답변이라 좋아하는 말이에요
@Fuck_96
@Fuck_96 2 ай бұрын
존재한다(x) 존재할수도 아닐수도 있다(o)
@GaeGeaSeki
@GaeGeaSeki 2 ай бұрын
5:50 이 실험이 현실에서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이해가 정말 하나도 안되네요
@user-oz7co2tk8h
@user-oz7co2tk8h 2 ай бұрын
사고실험이라고 얘기했는데..
@Zerolength_GT
@Zerolength_GT 2 ай бұрын
실제 구현 가능 여부를 떠나서 논리적으로 성립이 되는가를 검증하는 가상의 모의실험이란 이야기에요
@user-gl8fe8ib4w
@user-gl8fe8ib4w 2 ай бұрын
닐스의 과학은 너무철학같음
@user-zj4os5br6g
@user-zj4os5br6g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youngkim5948
@youngkim5948 2 ай бұрын
논리와 수학으로 증명하죠
@Mysteryp7
@Mysteryp7 2 ай бұрын
결론 요약이 몇분 부터 인가요?
@user-lu4fw1mo5w
@user-lu4fw1mo5w 2 ай бұрын
그냥 좀 봐요 ㅎㅎ
@user-hl4eg5kd8q
@user-hl4eg5kd8q 2 ай бұрын
시러요...​@@user-lu4fw1mo5w
@JHBBHL
@JHBBHL 2 ай бұрын
요약충 ㅋㅋ
@user-qg6nr2fp6z
@user-qg6nr2fp6z 2 ай бұрын
흐흐흐 ㅎ
@Ajay-sw6zs
@Ajay-sw6zs Ай бұрын
이건 그냥 잠자기 전에 보는 거예요 꿀잠용
@YDSnim
@YDSnim 2 ай бұрын
아하
@user-ph1rc1vo2w
@user-ph1rc1vo2w 2 ай бұрын
원자생긴게 상상력이였구나...실제로 그렇게 생긴줄알았누
@Azaza
@Azaza 2 ай бұрын
과학이라 하는것은 대부분 '썰' 바꿔 말하면 뻥일 수 있다는거죠.
@ccmt2568
@ccmt2568 2 ай бұрын
최신 전자현미경으로는 원자까지 찍을수 있다고는 하는데 거기서도 동그란 점 정도로밖엔 안보임.
@user-sl2rh8fs6h
@user-sl2rh8fs6h 2 ай бұрын
​​@@Azaza 수 많은 썰 중 가장 논리적이고 그럴싸한 썰이죠.
@Azaza
@Azaza 2 ай бұрын
@@user-sl2rh8fs6h 맞습니다. 학교의 주입식 교육으로, 누군가의 그럴싸한 상상을 모두가 사실로 받아들이고 종교같이 믿고 있다는게 문제. 과학은 항상 의심해야 하는 학문인데, 그걸 의심하고 반문하면 이해가 부족하거나 비과학적인 사람으로 비난받곤 하죠.
@ES-hg4wh
@ES-hg4wh 2 ай бұрын
근거없이 의심하는건 정신병 맞음. 박사학위딴 천재들이 의심하는 것과, 고작 고등학교 수준 조금 아는 일반인이 의심하는건 천지 차이임
@user-ef6bc9ee7m
@user-ef6bc9ee7m 2 ай бұрын
우리가 태양을 안본다고 없는거면 우리가 죽어야되는데 살아있으니까 안보더라도 있는거 아닌가요?
@kwonddolddol
@kwonddolddol 2 ай бұрын
맞죠 일단 태양을 관측할수없는 초기 지구의 바다 밑바닥에 서식하는 박테리아가 있었다 가정하고 거기까진 빛이 안들어갈테니 ... 관측하지 않았지만 태양은 그전에 계속 존재했죠.. 지구가 만들어지기 이전부터 존재했는데...
@user-kx6pb7hn9v
@user-kx6pb7hn9v 2 ай бұрын
여기서 관측이라는건 빛의 영향을 받았느냐 아니냐예요. 사람이 봤냐 안봤냐가 아니라. 사람이 보려면 일단 빛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아주 미세한 입자가 빛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제대로 확인하기 힘들다는 거니까요. 빛의 영향이 없었다면 파동이 입자가 될 일도 없었고, 입자가 중력작용으로 뭉칠 일도, 태양이 될 일도 없었겠죠. 그러니까 관측이라는건 무언가와 상호작용하고 있다는 것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겁니다.
@user-ef6bc9ee7m
@user-ef6bc9ee7m 2 ай бұрын
@@user-kx6pb7hn9v 닐스보어는 달을 보지않으면 있는지 없는지 알수없다고했습니다 그렇지만 우린알죠 안봐도 달은 있다는걸...
@ryancho2966
@ryancho2966 2 ай бұрын
Epr?
@massageseoulkorea
@massageseoulkorea 2 ай бұрын
우리는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으면 됨
@user-yt1gh4cu6g
@user-yt1gh4cu6g Ай бұрын
제목이 ...
@user-pl5pu6it5x
@user-pl5pu6it5x 2 ай бұрын
도가사상을 사랑했던 닐스보어
@user-md4ox1wh2u
@user-md4ox1wh2u Ай бұрын
자기전에 틀고 자는사람 개추 ㅋㅋ
@user-se8vv6si7w
@user-se8vv6si7w Ай бұрын
임신한 와이프 옆이나 자고 있는 부모님 옆에서 담배 필 수 있는 새끼만 길빵 허락함
@user-cp3kh6ze7c
@user-cp3kh6ze7c Ай бұрын
그래서 문제가 뭔가요?
@jiwonlover
@jiwonlover Ай бұрын
시작부터 킹받네 수백만개라니... 너무 작잖아
@donana1028
@donana1028 Ай бұрын
물로켓 찌익~
@morningglory6842
@morningglory6842 2 ай бұрын
그래서 치명적 문제가 뭐냐? 채널 추천 안함 누르고 감
@user-qj3zt9kq2i
@user-qj3zt9kq2i Ай бұрын
한국어인데 왜 이해가 안될까
@user-hs8pk1rz3p
@user-hs8pk1rz3p 2 ай бұрын
광자도 질량이 있나...
@ES-hg4wh
@ES-hg4wh 2 ай бұрын
없지
@essenk9151
@essenk9151 Ай бұрын
불확정성의 원리는 님의 침묵의 원리지!
@user-qz2ow9sv5t
@user-qz2ow9sv5t 2 ай бұрын
이게 문제야
@user-rj4db3ve4w
@user-rj4db3ve4w 2 ай бұрын
사기
@creatiolatino678
@creatiolatino678 9 күн бұрын
거짓 섬네일에 속았다 ㅋㅋ
@user-on2gf7vx4r
@user-on2gf7vx4r 2 ай бұрын
임계여부 그럼 옳다. 좌우선택.
@crystalclear3177
@crystalclear3177 10 күн бұрын
이렇게 위대했던 인류가 지금은 시벌 온리팬스 패미 트렌스 틱톡
@user-tf2lw4nr8u
@user-tf2lw4nr8u Ай бұрын
그냥 다 말꼬리 잡기 같음 이해가 안됨
@spitz2
@spitz2 Ай бұрын
??? : 회의 ㅈ같이 하네...
@poking4389
@poking4389 Ай бұрын
세줄요약 마려운 도파민중독자들은 그만 폰 끄고 자라
@putcall5142
@putcall5142 Ай бұрын
뭔 개소린지, 이해하는 놈들은 외계인인가? 의식있는 생명체의 존재와 무관하게 생명체를 존재케만든 물질세계는 이미 존재한다는 걸 부정하는 느낌이 드는 건 영상을 이해못한 나만의 착각인가?ㅋ 새로운 관념론인가? 의식하든 말든 물질은 의식밖에 존재한다. 의식 이전에 존재가 있었는데, 관측 따위가 뭔 의미가 있다는 건지, 정확한 측정값 따위와 존재가 뭔 상관이 있는데? 내가 뭔 소릴 하는지도 헷갈린다ㅋ
@myongdong
@myongdong 2 ай бұрын
전자겠지... 광자는 질량이 없음..
@capacsis
@capacsis 2 ай бұрын
광자 맞습니다. 광자는 에너지가 있기에 질량을 알수가 있죠.
@heukuk3775
@heukuk3775 2 ай бұрын
광자 질량없는데요. 다만, 에너지와 운동량은 드브로이 파장으로 규율합니다.
@HanSeungKang
@HanSeungKang Ай бұрын
인간이 관측하지 못한 것을 신도 보지 못했을 거라 생각하는 것은 아둔한 판단인 것 같습니다.
@user-ve6wk3kf2i
@user-ve6wk3kf2i Ай бұрын
댓글만 봐도 누가 아둔한지 판단은 어렵지 않습니다
@seungcho1738
@seungcho1738 2 ай бұрын
예수님은 왜 십자가에 박아서 죽게해서?,,,, 수수께끼들을. 풀지못하나 !!! ㅋㅋㅋㅎㅎㅎ 예수님은 왜 죽였을까 ?… ㅋㅋㅋㅎㅎㅎ 🐉🐲🤠🐲🐉…🌞👁️🌞
@ES-hg4wh
@ES-hg4wh 2 ай бұрын
신에게 물어봐 기도 빡세게 하면 답해주시겠찌
@user-wc5ff2ty1p
@user-wc5ff2ty1p 11 күн бұрын
사람은 원래 죽어
@kpho1425
@kpho1425 Ай бұрын
헛소너같은 소리 이해는 하고 말하나??차다리 천사들이 하늘에서 노래부른 원리를 설명하는게 더 과학적임
@user-kb8ov4sk9u
@user-kb8ov4sk9u Ай бұрын
관측하기전엔 실존하는게 아니라는게 몬 개소리인지 지금도 이해못하겠음 아니 우주의 끝은 우리가 관측했든 못햇든 지금도 겁나게 펴지고 있는거 아니냐 거기에 우리의 관측따위가 몬 상관인대
@user-zc7nb8bm3i
@user-zc7nb8bm3i Ай бұрын
관측한다는거 자체가 빛 입자가 반사되는거라 영향을 미치죠
@ES-hg4wh
@ES-hg4wh Ай бұрын
존재할수도 안할수도 있는 상태의 중첩
@user-kb8ov4sk9u
@user-kb8ov4sk9u Ай бұрын
실존은하지만 관측전에는 실체가 불확실하다 하던가해야지 몬 관측안햇다고 존재 자체가 없다하냐고 인간의 관측따위가 몬 대수라고 말장난이지그게
@huri1589
@huri1589 Ай бұрын
​@@user-kb8ov4sk9u관측이라고 말을 하긴 했지만 요는 상호작용을 했느냐 안했느냐의 차이라 할 수 있죠. 저 하늘에 떠있는 달덩이는 달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들이 서로가 서로를 관측(상호작용)하고 있기에 인간들이 관측을 하지 않아도 돌같은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
@gjmc5258
@gjmc5258 Ай бұрын
우주만물의 원력은 인력,중력,자력이며 본질은 회전력이다
@user-ee6fe4lu8z
@user-ee6fe4lu8z 2 ай бұрын
뭐라는거여18
Would you like a delicious big mooncake? #shorts#Mooncake #China #Chinesefood
00:30
NO NO NO YES! (50 MLN SUBSCRIBERS CHALLENGE!)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102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100❤️
00:20
Nonomen ノノメン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The Solvay War! And Schrodinger Cat! - Quantum Mechanics Last Part
23:03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731 М.
드디어 과학자들이 밝혀낸 우주탄생의 순간..ㅎㄷㄷ
55:16
Would you like a delicious big mooncake? #shorts#Mooncake #China #Chinesefood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