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종의 유전자변형으로 곤충을 인간입맛에 더 맛게 개선하고 영양도 높여야합니다. 하지만 유의할점으로는 돌연변이로 생태계를 위협할수있다는점이고 작은 개채들을 어떤식으로 대량생산하는가 겠네요.
@rlarbtjd88943 жыл бұрын
한번더 가공해야지. 형체를 아예모르게 갈아버리거나 그래야 먹기 쉬워지지 않을까 싶음.
@닥터디지몬 Жыл бұрын
갈어서 3D바이오프린팅을 통해 인공육으로 만들면 어떨까 함...
@유수윤-m4o3 жыл бұрын
가성비 지구온난화 생각하면 곤충 식용이 답이긴함
@s1502김도원학생2 жыл бұрын
어쩌라고
@johnpark9523 Жыл бұрын
@@s1502김도원학생 어쩌라고잼민아
@간드레-o9i3 жыл бұрын
랍스타 같은 애들도 어떻게 보면 벌레인데 안될꺼없죠
@dhkim81042 жыл бұрын
베어형이 좋아하겠네
@모카콜라-e2q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설국열차 생각나네요 난 바쿠벌레는 절대 못먹어😭
@퓨르르르.J2 жыл бұрын
원자크기로 갈아서 만들면 생각해볼게요..
@seokhyeon98432 жыл бұрын
결국 대부분은 갈아서 알약, 비타민 처럼 먹게 될듯
@Euclid30.3 жыл бұрын
확실한건 영화처럼 극한상황까지 안가면 절때 안먹음
@등촌유랑단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한국은 인구감소에 선두주자로 나선건가?
@user-tl1qnrI2fhar4lI3 жыл бұрын
5:32 중국을 보는 느낌이... 우리는 중국과 닮아가는가
@약돌이3 жыл бұрын
식용곤충보단 인공육이 답이지... 저걸 누가먹냐 영양분이 풍부하지만 지금까지 안 먹은건 이유가 있음
@오이비3 жыл бұрын
ㄴㄴ 지금까지는 먹을 필요가 없었지..허나 기후이상 이후에 식량 없어지면 어쩔?
@정식-x9d3 жыл бұрын
@@오이비 냉동육으로 유통도 안돼는데 오히려 인공육보다 효율 떨어짐 그리고 벌레 싫어하는 사람들 많아서 감자,토마토 대중화 되듯이 최소 몇백년은 걸릴듯.
@약돌이3 жыл бұрын
@@오이비 그래서 인공육이 답이라니까.. 저거 내생각에 10원이어도 안 먹을 사람 넘침 음식에 초파리 하나만 들어가도 환불하고싶은데
@Yummie390 Жыл бұрын
@@오이비굶어죽을게요
@전선영-j1g3 ай бұрын
와 정신건강에 안 좋을 둣
@theory-y7c9 ай бұрын
구더기가 갑이다
@김딱뽕3 жыл бұрын
아 요리사인데 손질할께 또 느네...
@hywuwiwjejjejejeuu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업타드맨Ай бұрын
저런거 먹을바엔 독사라도 잡아먹고 말지
@just_appeared7420 Жыл бұрын
별점:1개 ???:음식에서 벌레가 나왔네요...장사 이딴식으로 하지 마세요ㅉ
@오이비3 жыл бұрын
굉장히 무서운게...15년 즘후면...자칫잘못하면..곤충이 대부분이게 될 수 수도 있다구.. 왜냐면...6년후에 만약 1.2도 이상 지구 기온이 상승하면... 한마디로 세상이..뭣될테니... 기후이상으로 인해 농사 못짓고..결국 식량난에 허덕일테니..말이다...
@AI-hp5yw3 жыл бұрын
텃밭가면 군침이 싹돌겠누
@crabflower57292 жыл бұрын
니들이 아무리 호도해도 난 그냥 고기 먹을란다
@자별-w9v Жыл бұрын
곤충이 보급되면 다른 고기랑 대체재 경쟁을 해서 고기도 가격이 내려갑니다. 또 동물성사료로도 활용가능해서 물고기, 돼지, 닭, 오리 같은 동물 비육에 굉장히 유리합니다. 단백질 양 대비 가격은 콩보다 비싸지만 단백질 비율이 높아서 출하 직전 단기적 비육에는 더 좋습니다. 특히나 어류의 생활사를 보면 물고기양식에 굉장히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