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적으로 제대로 설명해주는 첫번째 동영상이네요. 다른 영상은 아직 이 부분 설명을 잘 안하던데(거기야 무슨 사정이야 있겠죠) 상당히 어려운 부분을 제대로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부분을 직관적으로 받아들이면 좋겠습니다. 고맙습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와(감탄)...바로 이러한 댓글이 제가 영상을 지속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부족한 영상에 과찬이십니다, 비록 허전압 현상을 명확히 설명하고자 피치못하게 맥스웰법칙을 말할 수 밖에 없었는데요, 핵심은 C성분에 의한 것이라는 것! 그리고 그것은 마이클 패러데이가 수학실력 없이도 이해했던 정확하고도 날카로운 여러분들의 번뜩이는 직관력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이해할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이 영상을 보는 구독자분에게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Hyung-Ki Park님, 부족한 제 영상에 깊이있는 댓글을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asomine9 ай бұрын
실무에서 일어나는 이런 오결선의 현상을 발견한적이 있었는데 채널지기님의 원리 설명으로 머리에 쏙 쏙 박히네요. 보통 판넬 업체들이 저압반에 디지털 계량기를 설치할때 당해 배전선로 변성기의 결선 방식에 따라 해당 계량기도 다르게 결선하는데 3상3선식에서는 2개의 PT가 설치되는데 업자분들이 통상적으로 3상4선식만 생각해 이곳에 3개의 PT가 있는 결선방식으로 전압계를 연결하는 실수를 범하기도 합니다. 그때 나타나는 현상중에 하나가 220V로 계측되어야 할 상전압 Vab, Vbc에 각각 서로 다른 159V, 61V 위와 같은 허전압들 처럼 계측된다는 거죠. 이유는 채널지기님 설명대로 중성점 결선부가 중성점 접지가 되어 있지 않은 공허한 단자에 접속되어버린거죠. pt가 3개라면 L1=>p1, L2=>p2, L3=>p3 이렇게 변성되어 pt 2차측으로부터 중성점 p0 (Y결선)가 나와 총 4개의 단자가 나오는데 반해, pt가 2개라면 L1=>p1, L2=>p2 이렇게 변성되어 pt 2차측으로부터 중성점 p0(V결선)가 나와 총 3개의 단자가 나옵니다. 그런데 계량기에 이 3가닥을 p1,p2,p0가 아닌 p1,p2,p3에 물리고 나머지 한단자p0가 비어 있거나 pt중성선을 건너뛴 접지를 직결한 경우를 봤습니다. 실무자 분들께서는 판넬 업자들의 작업만 믿지 마시고 시간되시면 도면 숙지후 천천히 단자전압을 재보시길 권합니다.
@호섭박-x6s2 жыл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이지 전기혁명 맞네요* 이 허전압을 이렇게 설명 으로 가능 하다니 정말 쵝오 이십니다 계속 구독 하겠습니다 파이팅~~~~^^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부족한 영상에 과찬의 댓글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흥미로운 영상이 계속 올라올 예정입니다! 고맙습니다. :)
@김진형-d9x2 жыл бұрын
굿~~~!!!공기라는 큰유전체가 접지가안된전선때문에 큰유전체가 2개로 분할되서 각각의 유전체역활을 해서 전압이 뜬거군요 크...역시 유익한 채널!!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캬....진형구독자님 역시 이해력이 대단하십니다, 덧붙여 설명드리자면 각 도선사이에는 공기라는 유전체도 존재하지만 도체를 감싸고 있는 절연피복물인 폴리올레핀 또는 고무재질 자체도 유전체 역할을 합니다, 공기는 비유전율이 1밖에 안되는 반면 고무는 2.5~3 정도로 공기보다 크죠. 물론 케이블로 넘어가서는 이 유전율을 적게하기 위한 시스를 한다거나, 비유전율이 적은 절연피복물을 사용합니다.
@leeseongje2 жыл бұрын
허전압을 이렇게까지 설명할 수 있다니 대단하네요~.. 이해가 가고 내년이 올때까지 보고 또 봐야겠네요^^ 수고하셨고 감사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소중한 댓글 고맙습니다, 제 부족한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니 큰 보람을 느낍니다.^^
@람세스1216-k6y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얼마나 많이 공부하신건가요? 참으로 감탄사가 나옵니다...
@jaeyoungheo25374 ай бұрын
전기 초보 입니다....허전압 자세한 설명 좋은정보 감사 합니다..
@jamespick57302 жыл бұрын
오늘 대학교 실험실에서 설명과 동일한 현상을 경험 했습니다. 접지만 제대로 해주면 문제가 해결 되겠군요. 꿀팁입니다^^ 전기혁명 굉장히 유익하네요^^
@gyujeonglee50772 жыл бұрын
하!!~~~ 댓글을 안 달 수가 없네요. 설명 감사드리고, 준비된 자료와 실험으로 보여줘서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에 감사드리고 홧팅하세요.
@이병호-d7e2 жыл бұрын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아직은 뭐가 뭔지 구분이 안돼서요 자꾸 반복해서 보면 이해될 날이 오겠죠
@박지원-y2m2h2 жыл бұрын
용량성 결합, 전위 상승 현상.. 소중한 강의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이번에도 그저 빛과도 같은 강의에 이미 공부를 한 번씩 다 해봤는데 영상을 보면 매번 새롭게 배우는 것 같습니다. 그땐 대충 이해하고 외우기만 했었으니..; 평소 점검하며 다니는 타사업체 수용가들 전기도, 대부분 문제 없는데 꼭 몇몇 수용가 건물은 중성선을 상선과 같은 분전함에서 따온게 아니라 타 분전함을 경유해서 온 선을 중성선으로 결선하고 +쓰다보니 생각났는데 상위 분전함 중성선에 물린 접지선을 대충 하위 분전함 중성선의 간선으로 쓰는 어처구니 없는 경우도 있더군요..;; 중성선과 접지부스바 전압이 8V가 떠있길레 혹시몰라 접지선 후크 걸어봤더니 암페어 단위 대전류가 흐르고 있질 않나..; 어쩔땐 눈앞에 보이는 순환전류가 강의속 용량성인지, 단순 누전인지 아니면 건물 전체에 퍼져있는 영상전류에서 비롯된 유도전류인지 분간이 안 가는 경우도 있었고요.. 어차피 각 수용가에 설치해놓은 저희 설비에 문제생기기 전 까지는 점검 권한도 없는 남의 사업장 남의 전기설비라 함부로 뭔가 확인할 수 있는 입장 아니지만, 이번 강의내용 허전압이, 어쩌면 배선 거미줄 같이 어지럽게 해놓은 옛날 전기에는 비일비제 한 일이고, 허전압과 비슷한 원리로 문제 일으키는 전기현상은 어쩌면 저도 모르게 많이 겪어온 것 같습니다. 많이 배우겠습니다.
@행복_바이러스5 ай бұрын
최고의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redcuk2 жыл бұрын
지난 영상에서 폐회로가 구성되지 않는데 전압이 뜨는 이유를 질문했던 사람입니다. 오늘 영상으로 이해가 되었네요. 제가 아직 이론적인 부분은 미흡해서 완벽한 이해는 아니지만 개념적으로 이해가 되었습니다. 작년에 접지문제는 아니고 단상에서 130v정도가 나오는 문제를 이해하려고 엄청 검색했었는데 허접압 얘기만 나올뿐 왜 그런지 설명된곳이 없어서 답답했었는데 깔끔히 해결됐네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HeeSeob님의 탐구열정과 포기를 모르는 과학적 집념이야말로 더욱 대단하고 저보다 몇 곱절은 더 훌륭합니다. 고맙습니다ㅎ.
@배추도사-h1l2 жыл бұрын
전기혁명님 덕분에 항상 정전유도현상의 중요성에 대해서 깊은 감명을 받고 갑니다~
@ACB12347 Жыл бұрын
와우.사부님.맥스웰 방정식을 쉽게 설명해 버리네......맥스웰 그게 몇개 더 있던데, 언제 마저 해 버리시죠..존경합니다.
@carpenter22642 жыл бұрын
전기초보로 귀한 영상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신현학-p3d2 жыл бұрын
전기쪽 일을 하고있습니다 오늘 작업중 접지선에 접압이 떠서 왜 뜨는지 알아보다가 전기혁명님 영상을 보았습니다 다른 쪽에서 접지선 끌어다 연결을 해놓고 기존접지선은 테핑처리하고 와서 찜찜했는데 원인을 알게되어 감사합니다 구독과 추천 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전기혁명에 합류하신 것을 환영합니다. :)
@하봉철-k4m Жыл бұрын
학교 다닐적에는 허전압 자체를 모르고 직장다니면서 제어기를 측정하면서 허전압이 뜬다는것을 알았습니다.. 그때는 이해를 하지 못하고 그냥 전선에 유기되어 나타나는 전압 정도루만 알았는데... 이영상 보구 백퍼 이해했습니다. 오늘도 3번 이상 볼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wsyoon48392 жыл бұрын
누전인가 걱정했는데 훌륭한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minibelotravel32377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합니다. 현장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해서 그 때는 찾지 못했는데... 지금 보니 그때 콘센트의 두선이 접지와 중선선 이었네요.감사합니다.
@santajang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앤트장님! 오랜만에 오셨네요ㅎㅎㅎ
@탑스핀-l1k2 жыл бұрын
실무에서 콘센트의 중성선과 접지선을 측정했을때 60V가 나와서 당황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부하직원에게도 설명을 못해줬는데...... 이동영상을 통해 명확히 알게되었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제가 아는 것을 똑같이 맑게 이해하셨다니 저 또한 보람을 느낍니다, 부하직원들이나 주변 전기인 친구분들에게도 이 영상을 공유해주시고 제 채널을 기회가 될때 알려주신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습니다. 전해석님의 진정성과 노력이 담긴 댓글에 감명합니다 :)
@Timing-x1g2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예전에 현장에서 경험했고 그부분에 대해 알아보다가 어떠한 곳에서 자료를 하나 찿게되어 알게된것이 허전압에 관한것이었고 그것에 관해 알게됬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아니었기에 유도전류에 의해 허전압이 생긴다고만 알고있었습니다 그걸 이번에 상세한 설명으로 보게되서 유익했습니다
@Sundung-momo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메인차단기가 중성선만 고장났었는데 허전압 때문에 고생한 경험이 있어요. 잘 설명해줘서 감사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되셨다니 고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김아큭2 жыл бұрын
현장에서 겪었던 이런 허전압을 만나서 도대체 왜일까 이유를 몰랐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제 부족한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
@nogoosi6213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
@ugp1882 жыл бұрын
전공분야가 아니고 몬말인지도 모르겠는데 그냥 재밌다 할렐루야~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전공분야가 아니신데도 불구하고 흥미를 느끼신다니...전기 하셔야 겠는데요?ㅎㅎ
@kimblackiguana8 ай бұрын
주방 천장 구멍으로 나온 전등 전선 2가닥 중... 중성선에서 70볼트 나와서. 인테리어 했던 업체 불러서 왜 그런지 물어봤더니. 전기 소장이 와서는 원래 그런다고. 모르면 가만히 있으라고 해서... 별 말 안 하고 넘어갔습니다. 며칠 고민하다가. 유도 전압 때문 인걸로 결론 내리고 있었는데. 오늘 이 영상을 봤습니다. 다른 집들도... 다 허전압 뜨고 그러겠군요.
@jaewonyim5282 жыл бұрын
명쾌한 설명이네요! 영상을 보며 설명을 들으니 이해가 바로 되네요.
@digilogkim Жыл бұрын
최고 전자기학 강의 감사합니다.👍👍👍
@electric_revolution Жыл бұрын
격려 감사합니다.
@은길봉5 ай бұрын
와우 최고십니다
@kimchiman5111 ай бұрын
가전압이라고 배웠는데 허전압이군요.
@pplee45032 жыл бұрын
실무에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보람을 느낍니다. :)
@om_WHAT2 жыл бұрын
허전압을 해석하시는데 맥스웰방정식까지 동원하셨군요? 대학교때 배우고 잊고 있었는데..기억을 되살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학교시절에 전자기학,공업수학,전자회로,회로망이론등 매우 좋아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특히 사회에 나와서는 회로해석 하는 것을 즐겨했습니다. 지금도 전자회로 개발업을 하고 있습니다. 완죤 공돌이지요?ㅎㅎㅎ납땜하는 것을 제일 좋아합니다.ㅎㅎㅎ 허전압에 대해서 여러가지로 실험하시고 해석도 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Om님 같은 훌륭한 구독자님이 댓글을 남겨주셔서 영광입니다, Om님에게는 '공돌이?'ㅋㅋㅋ라는 표현보다는 '프로페셔널 엔지니어'가 맞는 듯합니다.ㅎ
@om_WHAT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아닙니다..별말씀을요~ 여기 댓글 다시는 분들의 수준을 보니까 정말 대단하신 분들이 많이 있더군요? 각기 특색도 있고요~백두님처럼요~ㅎㅎㅎ 전 어릴적부터(소년공?ㅎㅎ) 전자 공돌이로 시작해서 지금까지도 공돌이로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그냥 공돌이가 좋습니다.천직이지요.ㅎㅎㅎ 감사합니다^^
@mincheoljeong185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복길똘똘2 жыл бұрын
전기일하면서 항상궁금한부분이었는데 이제알았네요 감사합니다
@마징가-b6m2 жыл бұрын
제어쪽 정비 일을 하고 있습니다. 전단 패널에서 분명히 개방되어 있는 신호선인데 전압을 측정하면 항상 몇 미리볼트씩 측정되곤 해서 이유는 모르겠고 그냥 그런가 했는데 이것도 일종의 허전압 이였던 거군요! 오랬동안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구독 박습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저희 채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마징가제트!!! ^^
@세곡줌마2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
@ytj37942 жыл бұрын
안테나 원리랑 같아보이네요. 핫선이 송신기라하면 접지선은 수신기.
@lhy6923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접지선은 따로 설치하란말이죠?
@최재호-p2k Жыл бұрын
허전압 정보 감사합니다.
@lky426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기전주임이 전압이 잡힌다고 해서 그럴리가 없다고 뭐라고하고, 가서 직접 재어보니 전압이 잡혀서 뻘쭘했음. 다른 선이 연결되어있나 싶었음. ㅎㅎ 감사염.
@페루페루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혹시 태양광발전소에서 가끔 작업자분들이 dc측 과 접지선을 멀티미터로 측정하면서 반전압 이라고 하며 절연저항 검사를 하던데 비슷한 내용인가요? 아직은 잘이해가 안가지만 자주 와서 봐야겠습니다.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1)스위치를 껐다고 말씀하셨는데, 멀티탭에 있는 전원스위치를 껐다고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멀티탭에 전원스위치가 있는 경우 이 전원스위치를 차단시 대기전력이 차단되는 효과가 분명 있지만, 멀티탭에 전원스위치가 없는 경우에는, 가령 벽부콘센트에 바로 꼽은 정수기, 전기밥솥, 세탁기, 에어컨, 텔레비, 특히 컴퓨터 등등은 콘센트에 코드를 꼽은 그 자체로도 대기전력을 아주 미세하게 소모하긴 합니다. 그러면 전기세가 당연히 나가겠죠.(크진 않습니다) 2) 스위치를 오프했는데 112볼트 나옴으로 미루어 보아 전자기기 스위치를 오프하신 것인가요? 그럼 콘센트에 무조건 이 전압(112V)이 뜹니다. 왜냐하면 해당 집은 접지가 없으니까요, 측정하신 112V는 부하가 없어도 무조건 뜨는 것이 맞습니다(영상에서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이것은 누전이 뜨는 것이 아니라 영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지선이 누락되었기에 H-F간에 또는 F-N간에 뜨는 겁니다.(F=접지선인 누락된 접지극을 말해욧)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또한 살고 계신 집은 어떻게 보면 굉장히 위험합니다..전기부하 그 어떤한 제품을 콘센트에 꽂든 간에, 그 전기부하 외함에는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모든 전기부하는 '완벽한 절연저항'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특히 그것이 물을 다루는 제품(에어컨, 세탁기, 정수기, 전기밥솥, 가습기 등등)일수록 외함에서는 전압이 발생합니다. 그동안 해당 집에서 거주하시면서 분명히 가끔 전기제품 만지다가 '찌릿찌릿'경험 하셨을 겁니다.(접지가 되어있는 정상적인 집들보다 확실히 많이 하실 겁니다). 해당 집 접지공사 하루빨리 하시길 권고드립니다. 기억하세요! 누설전류는 빠져나갈 길(정상접지)이 없으면 반드시 전기기기 도전체 외함에서 전압(V)의 형태로 발생합니다.
@youngkookseo2 жыл бұрын
귀한영상 잘보았습니다. 왜 이제서야 이채널을 보게되었는지,, 구독 추천 들어갑니다. 부탁드려도 될지 모르겠지만 중성선과 접지선의 차이를 좀더 쉽게 설명해주실수 있을까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sor님 입장에서 생각해서 아주 쉽게 말씀드리자면, 중성선은 부하에 흐른 전류가 귀로하는 선이고(전기는 들어가는 게 있으면 반드시 나오는 것도 있어야 합니다, 물하고 똑같습니다. 펌프를 예를 들면 펌프속으로 물이 들어가서 날개팬을 움직여서 펌프를 회전시키고(일을 수행) 일을 수행한 물이 펌프에서 다시 나오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접지선은 지락이나 누전시에 발생하는 즉, 특수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전류(위험한 전류)를 땅으로 빼내려는 목적으로 전기기기 외함(금속체) 등에 설치하는 선으로 평상시에는 동작을 안하는 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접지선은 말그대로 죽 따라가보면 땅속에 박혀있습니다. :)
@hamelkim39793 ай бұрын
전기 공사 업체에서 일하고 있는 초보 전공입니다!!! 가끔씩 N선에 검전기를 갖다 대도 울리고, 심지어 N선에 몸이 닿으면 소위 전기를 먹는 경험을 하곤 합니다 ㅠㅠ 제 실력과 상식선에서는 그 원인을 도저히 찾지 못하겠어서 유튜브에서 관련 영상을 찾다보니 허전압을 설명해주시는 혁명님 영상을 접하게 되어 이렇게 댓글 답니다! 영상을 보고 나서 제가 이해하기로는 실제로 제가 느꼈던 N선의 전압은 N선이 아닌 접지가 적절하게 되어있지 않은 접지선에서 발생한다고 이해 했는데요 그래서 일종의 접지선인 신체가 같은 위상의 접지선과 접촉되었을 때에는 위상의 차이가 없어 전압을 못느끼다가 계통접지 되어 이론적으로 전위가 0인 N선과 접촉 되었을 때 전압을 느낀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영상에서는 공중에 떠 있는 접지선이 용량성 결합을 통해 위상을 갖는 것이라고 했는데.. 공중에 뜬 접지선과 바닥에 닿아있는 저의 신체가 같은 위상이 될 수 가 있는가요..? 이 부분이 너무 이해가 안돼요 ㅠㅠㅠ 제가 어디서부터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가요 ㅠㅜ 꼭 좀 알려주세요 ㅠㅠㅠ 아는 척 하는 형들 다 혼쭐 내줘버리게요 ㅠㅠㅠㅠ
@Xcfrsd3 ай бұрын
접지가 잘못 되었으니까 님처럼 땅에 닿아있지 않고 그러면 위상도 같을수가 없죠. 님과는 완벽하게 절연되어있다고 봐야합니다. 이 전제는 이론상 완벽해보입니다. 실제 경험에서 중성선에 감전을 경험하셨던 이유가 궁금하신거 맞죠? 그럼 이론에 의문을 갖지말고 님이 경험하고 분석한 현장을 이론에 대입하는 과정에 오류가있는지 검토해야할것 같습니다. 중성선과 접지선이 바뀌어있었다거나요
@Xcfrsd3 ай бұрын
아 지금보니까 용량성결합된 접지선과 같은전위니까 님몸도 전위를 띄고있는게 맞다고 생각하시는거같은데 님몸이 접지선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전위가 대지로 방전되어야지 어떻게 전위를 높게 가질수있나요? 전제도 잘못되었네요.
@Dontskip4572 жыл бұрын
햐 잘 봤습니다 신기하네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티아모님 방문 감사합니다! 이름이 예쁘시네요!ㅎ^^
@별헤는밤에-d9m2 жыл бұрын
수배전반을 다루는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관련 업계에서 일을 하다 보니 허전압 때문에 난처했던 적이 있어 공감하며 재밌게 보았습니다. 해당 영상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우선, 제가 알고 있는 지식으론 허전압은 접지가 제대로 처리 되지 않아 즉, 플로팅 되어 제대로 된 전압을 측정하지 못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기준점이 제대로 없기 때문에 전위차를 제대로 측정 못하는 것인 것인거죠. 그렇다면 지난번에 핫라인-접지 전압과 접지 - 중성선 전압의 합이 220V 나온것은 멀티미터로 측정하는 것 자체가 폐회로를 만든 것이며 잘못된 접지라하더라도 0V가 아닌 어떠한 기준값이 있어 총 합이 220V나온 것으로 생각 하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접지선을 접지에 완전 물리면 접지가 완전 처리되어 명확한 기준점이 생긴거고 이후에 핫라인과 접지 사이의 전압을 찍으면 220V가 나오게 되는 것이고요.) 금번 영상에서 실험 하신건 단순 노란색 와이어와 접지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한 것이므로 허전압에 대한 설명과는 별개로 생각되어집니다. 측정 장비에 유도되는 전압에 대한 설명에 관련된 내용으로 보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또한 이미 접지선은 상당히 길게 들어오기 때문에 실험에서 보여주신 수준의 길이 변화로는 영향이 전혀 없는게 맞습니다. 전선의 임피던스의 거의 차이가 없을 거고요. 앞서 말씀 드렸지만 단순히 플로팅 되었다 생각하기 때문에 본 사안과는 상관없는 실험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커패시턴스 관점에서 설명하면 실제로 전하가 차있어서 전위차가 있다는 논리인데 그러면 허전압이 아니라 진짜 전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옛날에는 중성선과 접지선을 묶어 썼다 들었지만 분전단에 묶었는지 모르겠지만 변압기에서 분기해서 쓰기 때문에 중성선과 접지선은 별개로 보는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의견 남겨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즉, 말씀하신 사항으로는 접지의 플로팅으로 테스팅의 기준을 잃어버린 것이고 그 잃어버린 기준으로 부정확한 지시값이 나온것으로 이해하였습니다, 주신 의견은 너무나 환영하는 바이고, 추후 보다 면밀하고 객관적인 실험을 통해 함께 토론하고 싶습니다. 또한 말씀주신 사항들과 제가 최종 정리한 내용들을 군더더기 없이 최대한 간결하게 곧 정리해서 커뮤니티에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소중하고 귀한 댓글 고맙습니다. :)
@양국필-w4f2 жыл бұрын
접지선의 전압이 붕뜬다는 것에 대해 용량성 결합과 관련 등가회로로 보여주신 점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다만 그러하다면 마지막에 220V 전압에 VH=114V, VF=110V 로 소스 중간에 전위가 상승했다 하더라도 정확히 부하 측의 전압에 반으로 나뉘지 않는 게 궁금하네요. 막연히 용량성 척도인 C만을 고려할때, C=eps*A/d에서 핫라인과 중성선 사이에 있는 접지선이 정확히 반에 있지 않다고 밖에 생각되지 않아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깊이있는 고찰이십니다, 해당 내용에 대한 부연 설명은 장황한 글보다는 영상제작으로 추후 답변을 해야 할 듯 합니다. 훌륭한 질문 그리고 소중한 아이디어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양국필-w4f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네 무척 기대가 됩니다. 혹 구체적인 설명을 하시게 된다면 등가회로에 빗대어 설명해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혹 실험도 가능하시다면...! 거리 조절 외에 항상 VH가 높은 현상을 의도적으로 피해보고자 중성선과 핫라인 중 한쪽 만 피복을 벗겨내어 접지선과의 유도장을 달리 해봄으로써 이를 조절할법하다면 의미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항상 이런 영상을 보면 VH가 VF보다 높다곤하는데. 이와 다른 반례로써 어떻게 계획할 수있는지 궁금하네요. 전기관련 영상을 죄다 공식설명뿐이라 지루한 면이 큰데 이렇게 흥미로운 실험 영상을 남겨주셔서 감사하다는 말로 맺고 싶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양국필-w4f 매우 기발한 실험아이디어에 또다시 감탄을 합니다. 꼭 기획해드리겠습니다.
@b9x0esshqs312 жыл бұрын
어떻게 허전압이 발생하는지 대략적으로 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자기학을 공부를 하고나서 정확하게 이해를 하겠습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바이어스님, 소중한 댓글 남겨주셔서 고맙습니다. 전자기학을 알면 좋지만 직관적으로 이해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전자기학 관련 내용은 실무영상 만들면서 자꾸 조금씩 언급하면서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b9x0esshqs31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절연피복이 유전체 역할을 하여 C성분이 생성이 되었고, 멀티미터를 연결하면 폐회로 환경이 구성되어 전압이 감지가 되는 것이고, 높은 전압을 전압강하 없이 멀티미터가 측정을 하기 위하여 내부저항이 큰데, 이로 인하여 높은 전압이 측정되는것이군요. 이제 어느정도 이해가 가기 시작합니다. 감사합니다.
@김기덕-b6m2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혹시 나중에 시간되시면 영상 만들어주실까해서 궁금한점 적어봅니다. 제가 일하는 곳에 메인차단기가 떨어져서 확인해보니 분기차단기에 연결된 부하에서 문제가 있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왜 부하차단기가 트립되지 않고 메인차단기가 바로 트립이 된건지 잘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ㅎㅎ 현장에서 실제로 아주 가끔씩 벌어지고 있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이런 것을 두고 흔히 전문용어로 '보호 협조가 안되는구나'라고 말을 하곤 하죠. 이것도 분명 원인이 있습니다. 이것은 제가 예전에 관심있게 보고 분석한 자료가 있습니다, 영상으로 제작하여 올려드리겠습니다, 기대많이 해주세요!
@잘되면내탓5 ай бұрын
와 오늘 펌프뻑나고 점검갔는데 메인차단기내리고도 각상전압잡힌이유가 이거인거같네요 실무에 어떻게 적용할지 고민좀 해봐야겠네요!
@rocknking32 жыл бұрын
앗...갑자기 궁금한게 있어서 다시 왔습니다! ㅋ 허전압을 기기에 연결해서 사용도 가능 한가요? 허전압을 만들수 있다 하니,원하는 전압을 만들어 사용 한다면 트랜스포머 무게가 많이 가벼워 질수 있을거 같아서요..ㅎㅎ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불가합니다. 허전압은 전압의 크기나 파형은 정상적으로 보이나 실제 전기에너지(퍼텐셜)은 지극히 작아서 실제 부하사용으로는 불가합니다. ^^
@rocknking3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아..그렇군요..ㅎㅎ;; 감사합니다~~
@음악한잔2 жыл бұрын
너무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근데 궁금한게 그러면 하트상에 220v 찍히는건 사실 실제로는 220v은 아닌건가요 ?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당연히 실제 220V입니다. F와의 전위차 때문에 하트상의 전위가 헷갈리시면 핫상의 절대적 전위를 판가름해주는 대지(땅)와의 전위차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우리가 어떤 물체의 절대적인 전위를 잴 때 가장 혼돈없이 그 물체의 전기적위치를 물리적으로 판단할 수있는 방법은 바로 테스터기로 오직 '하트와 대지(정확한 접지선=땅)'간 을 재는 것입니다. 즉, 허전압 존재유무에 아무상관없이 허전압이 있든 없든 하트는 하트이며 하트의 전위는 220V 입니다. :)
@음악한잔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감사합니다
@늘여유와미소 Жыл бұрын
우선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전기가 재미있어 집니다. 문의드립니다. 끈어진 접지선과 중성선에 콘덴서를 연결하면 허전압이 사라질까요 ?
@dosungpark4 ай бұрын
헛 안테나 처럼 돼버리네요. 전기는 전파와 자파로 진행한다. 핫상 전압이 진행하면서 인접한 허선에도 전자유도를 해버리는 건가봅니다. 기사필기적 전기자기학 기억을 소환해봅니다😂
@공돌이-e1w2 жыл бұрын
우와 대단합니다 도대체 뭐하시는 분인데 이걸 밝혀내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부족한 영상에 과찬이십니다ㅎㅎ..앞으로 올라올 영상들도 많이 애청해주세요! ^^
@중그이-t7o2 жыл бұрын
전기혁명님 N선F선 사이에 220v가 아니라 90v가 뜨는 이유가 Xc가 꽤 커서 전압계에는 90V만 나눠가진다는거네요? 혹시 맞다면 전압계 내부 저항에 비해 Xc를 너무 크게 보는거 아닌가요?? (선로와 선로 사이라 저항이 큰것은 당연한거일수도 있긴 하겠지만요 ㅎㅎ..)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ㅎㅎ사실 Xc값을 실제로 계산해 보았는데, 영상에는 넣지 못했네요, 오늘 주말이라 영상만 올리고 시골에 잠깐 내려왔습니다, 월요일에 계산 값을 올려드리겠습니다. 핵심은 저항계가 읽을 수 있을 만큼 Xc값은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물론 전선간 저항은 그보다 훨씬 더 더 더 크지만요 :))
@중그이-t7o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bnobno5848 Жыл бұрын
설명 대박이십니다~~ 하나 질문이엤습니다 허전압이뜬 상태에서 부하를 연결하는 즉시 사라지는 이유가 궁굼합니다~
@투알라틴 Жыл бұрын
폐회로가 형성되지않기때문입니다
@달팽이-c5e2 жыл бұрын
정말 궁금하였는데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현장에서 직류에서도 직류 허전압이 가끔 보이던데 이것은 맥스월 유도라기 보다는 저항에 의한 것일 수 있나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물론입니다, 연속 직류에서는 L과 C를 정의할 수 없기에 말씀하신 R성분으로밖에 이해가 안될것입니다. :)
@달팽이-c5e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선생님이세요. 진심입니다. 저도 전기전자계열 석사인데 선생님께서는 정말 생각이 깊으시고 논리적이며 지식의 실전 응용력이 대단하십니다.
@yongsujung4046Ай бұрын
봐도 모르지만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럼 용량이 적은 아날로그 테스트로 전압를 재면 허전압이 나타 납니까???
@electric_revolutionАй бұрын
충분히 나타날 수 있습니다^^
@user-dl1232 жыл бұрын
맥스웰 법칙을 저렇게 설명 할수도잇네. 딱 이해가 되네요. 하하..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되셨다니 보람을 느낍니다, 소중한 댓글 고맙습니다. :)
@산다그낭2 жыл бұрын
지렷...
@최재길-u4b Жыл бұрын
학교에서 자기학 배울때가 생각나네요
@p경찰청철창살10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궁금한것이 있어 댓글남깁니다. 신축아파트며 노출형 1구 콘센트 설치를 위해 터치식 스위치 (대기전력콘센트 포함) 탈거를 해서 전열쪽으로 들어오는 전압을 체크해봤는데 L상과 접지는 230v나오는데 N상과 접지는 45v나오는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칭송받는자2 жыл бұрын
송전선로의 대지전압 대지정전용량이었나 거기서 본거랑 비슷한 느낌인데 맞나요? Xc 였나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네, 바로 이해하셨네요ㅎ, 소중한 댓글 고맙습니다. :)
@흙손-d8n2 жыл бұрын
그리고중선선이차단되면 과전압이걸리기에중성선은차단되지않게되어있는이유도과전압때문입니다
@재마니-v5z9 ай бұрын
전기인은 여기 꼭 구독해야된다 ㅇㅅㅇ
@sg37432 жыл бұрын
대단합니다 그런데 잘 이해가 ㅎㅎ 결론은 자기장에 의해 F선이 유도된다는 말씀이시죠?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네 정답입니다!!^^ 정확히는 C내부 변위전류에 의해서 자기장이 생기고 F선에 전기장이 유도됩니다.
@sg3743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네 감사합니다 많은영상 올려주세요
@박길라-n6l2 жыл бұрын
접지선 단선시 n상과 f 선이 100볼트 나온다는건가여?그렇다하면 n상과 접지선 단선 안될시는 전압이 0볼트인가여?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추석연휴라 답변이 늦었습니다, 네 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물론 전자 질문하신 100볼트는 이때는 허전압이 맞습니다.
정답!~훌륭합니다, 맑게 이해하셨네요. 민우님 깨달음에 저도 보람을 느낍니다. 도움이되셨다면 다른 분들에게도 영상 널리 알려주세요. :)
@산다그낭2 жыл бұрын
해당 허전압은 그러면 안전에대한 문제는 없는건가요? 유도전압의경우 50볼트이하로 제한하는데 해당 경우도 인체감전의 위험은 없다고 볼까요? 궁금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허전압 자체는 안전에 대한 문제는 없습니다, 에너지(퍼텐셜)가 지극히 작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허전압의 원인인 접지불량이 전기안전에 심각한 문제를 실제로 일으킵니다, 접지불량이 결국은 해당 콘센트에 연결되는 부하들 외함의 미접지로 당연히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모든 전기부하는 99.9% 절연이 완벽히 안 되어 있습니다. '완벽한 절연'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외함 미접지된 부하들은 반드시 정상적인 접지극과 찍었을때 무조건 전위차가 존재합니다. 원래 전류란 빠져나갈 구멍이 없을 때 전압의 형태로 반드시 나타납니다. 소중한 댓글 고맙습니다.
@땡드라2 жыл бұрын
제가 경험한 바로는 전기계통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사람한테 감전을 일으키진 않았습니다 다만 소전류로 제어되는 전자제어장치에 오작동을 일으켰습니다 같은cd관에 dc로 제어되는 신호선utp선을 같이 넣었더니 한 몇년간 문제 없다가 갑자기 혼자서 신호를 넣었다가 또 몇시간 후 넣어서 오동작이 되버려서 황당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때 페라이트 코어를 넣어서 괜찮아 질런지 실험해보고 싶었는데 사정이 여의치않아 못했습니다 그나저나 아는 것도 많으시고 정성스런 설명에 놀램을 넘어 좀 충격인데요
@parkgs03252 жыл бұрын
1부 보고 정답이 매우 궁금했었는데, 결국 변위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한거고, 패러데이 법칙에 의해 그 자기장에 의한 유도기전력이 발생했다고 보는거지요? 그럼 저 f선과 중성선에 꼬마전구를 설치한다면 전구에 불이 들어올까요? 이론상 핫선에 의한 유도기전력이 존재는 하는데, 중성선과 f선이 폐회로가 아니니 전류가 흐르진 않는다고 봐야할까요?..연결하는 순간 f선과 중성선은 동전위가 될 것 같은데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f선과 중성선에 꼬마전구를 설치한다면 전구에 불이 들어오지 않습니다. 핫선과 f선이 연결되어 있지않은 개회로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말씀하신 것처럼 f선과 중성선 사이에 꼬마전구를 연결한다면 f선은 그즉시 중성선과 동전위가 됩니다. :)
@잔나비-k5w2 жыл бұрын
테스터기 내부저항까지는 왜 생각을 못했을까...ㅜㅜ 감사히 잘 보고 갑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잔나비님께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댓글에 큰 힘이 됩니다!
@세수코-n9o Жыл бұрын
접지가 단선난 것이아닌 접지가 되어있는데 반전압이 뜨는건 실제로 절연체 파괴로 봐야 하는거 맞나요?? 아니면 제가 잘못본걸까요? ㅎㅎ
전류가 흐를려면 전위차가 있어야 하는데 중성선 전위는 0V인데 어떻게 전류가 흐르나요? 지난번 중성선 손으로 만지는 강좌에서 전류가 몆 암페어가 흐르던데 ? 그리고 허전압 100v에 는 전위만 높고 흐르는 전류는 거의 없나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허전압 100V는 테스터기로 측정은 되나 퍼텐셜은 지극히 작습니다, 허전압이 발생한 도체에 램프를 켜기위해 폐회로를 만들고 부하를 접속하는 순간 허전압은 사라집니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전류가 흐르지는 않습니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작은 네온램프를 점등하기도 합니다, 또한 중성선 전위는 0V인데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우는 H선과의 전위차인 220V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직류가 그 대표적 예인데요, 1.5V 건전지에 꼬마전구를 열결하면 불이 들어옵니다, 이때 꼬마전구의 +부분은 1.5V인 반면 꼬마전구 -부분은 0V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onet0g980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답변 갑사합니다. 이때 꼬마전구의 +부분은 1.5V인 반면 꼬마전구 -부분은 0V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서 -구간 부하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 해서 -구간(중성선 구간)은 전위가 0V 인데 전류가 흐르는 부분이 좀 이해가 안가네요 ? ( 위 질문 내용 에서 이해가 안가는 부분 중성선 구간에서 전위차가 없는데 전류가 흐르는 이유 ? ) 즉 +부분 에서 1암페어가 들어오면(전위차있음) 부하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해서 -부분(중성선 구간)은 전위 차이가 없는데 1암페어가 흐르는 부분이 이해가 좀 어렵네요 ? 제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착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나요
@zelmiinn0909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전기 잘 모르는 주부인데요. 접지선이 연결 됐는지 멀티테스터로 확인해보니 모든 콘센트가 접지구리선과 양쪽 돼지코가 각각 115V정도 나와요. 어느 쪽을 해도 마찬가지로 같은 전압이 나오는데, 이것 역시 허전압인가요? 여기가 오래된 아파트인데 그럼 위험한걸까요?
@electric_revolution Жыл бұрын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라면 주상변압기 2차에서 단상3선식으로 공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상 3선식인 경우 접지와 한쪽 극이 110V, 접지와 다른 한쪽 극도 110V 이 나오게 됩니다. 지극히 정상입니다. 이러한 경우라도 부하측에 누전이 발생하면 누설전류가 대지를 통해 단상 3선식 중성선(접지가 되어 있는)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위험하진 않습니다.
@maximillian72702 жыл бұрын
이런 원리로써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가 작동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맞는지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착하게살자-h2m2 жыл бұрын
강의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회로시험기 기종을 알고 싶습니다.
@dca489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어려운 이론이네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전기는 공통된 이론 하에서 상황만 다를 뿐 일맥상통한 영역입니다, 다음 영상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전력케이블의 정전유도 부분을 보시면 허전압 영상과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 kzbin.info/www/bejne/d4GneWOkfLGhhdk
@us21er-rh2wm9cc8x2 жыл бұрын
단상 차단기를 사용해야 하는곳에 4P 차단기에서 r상에서1선n선에서 하나 이렇게 전원을 사용 할때 과부하 차단이나 누전차단 기능이 정상 작동할까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해당 4P차단기가 누전차단기라면 정상 동작하게 됩니다. 과부하도 마찬가지구요, 그러나 동일 용량에서 가격이 단상보다 비싸서 그렇게까지 사용하진 않습니다. :)
@specialwon4654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영상 후반부에 용량성임피던스가 작아질수록 허전압이 높아진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용량성임피던스가 작아진다는 말은 C값이 커진다는 뜻입니다. 즉, Xc는 C와 반비례관계에 있으니까요, C가 커진다는 말은 쉽게 말해 C 내부공간에서 전달되는 변위전류의 양도 더 많아진다는 뜻이므로 허전압 수치가 실제로 높아집니다.
@specialwon4654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감사합니다.
@백두-m5w2 жыл бұрын
12:16/13:32 국제표기법과 한국산업표준에 의하면 양(量)을 나타내는 기호, 즉, 변수(變數)를 나타내는 기호는 경사체(이탤릭체)로 표기하여야 하지만 π는 상수(常數)이므로 직립체로 표기하여야 합니다. 용량리액턴스를 나타내는 기호 Xc에서 X는 변수를 나타내는 기호이므로 경사체로 표기하여야 하지만 아랫첨자c는 단순히 커패시터를 뜻하는 기호이므로 직립체로 표기하여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사항은 KS A 0001(표준서의 서식 및 작성방법) 부속서L (양과 단위)를 참고하세요. 105~107쪽에 있습니다. 한국산업표준(KS)은 e나라표준인증 www.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 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와....정말 너무 좋은 정보네요! 사이트 들어가서 봤는데 기술기준은 물론 여러인증제도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저는 인증관련은 일자무식이예요ㅎ) 자주 방문해야겠네요ㅎㅎ
@qlehtnf2 жыл бұрын
판넬에 들어오지 말아야 표시등 불이 안꺼지고 계속 불이 들어 온다는 것은 접지 불량이라는 거라고 이해하면 되나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반불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반불의 원인들을 보면 주로 허전압때문이 아닌 결선문제에 있습니다. 누설전류나 접지문제, L선과 N선의 뒤바뀜 등이 있습니다. 반불이 들어오는 램프의 차단기에서 L선과 N선을 한번 바꿔보시고 그래도 불이 희미하게 들어오는지 꼭 피드백해주세요!^^~
@na_zarus88032 жыл бұрын
접지에 전류가 흐르는건 어떻게 할까요 ? 메인접지선을 접지단자에서 떼면 0이나오는데 다시접속하면 3.1암페어가 나와요 메인차단기200a 열이 나서 튜브색도 변하고 전류를 측정했더니 R167 S182 T184정도 나오더군요
@allem492 жыл бұрын
초보라 그런데요 중성선엔 접지를 연결 하면 안된다고 들은거 같은데 단상은 접지를 해야되는 거에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질문을 이해를 못했습니다..'단상은 접지를 해야되는 거예요?'라는 질문이 무슨 뜻인가요? 즉, 단상은 어디를 접지한다는 말씀이신지, 220V 콘센트에서 접지극의 접지를 말씀하시는지, 계통접지를 말씀하시는지 확인해주세요. :)
@junkorea427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전기의 세계를 폭 넓게 해 봅니다ㅣ!!! Thank you so much 전기혁명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전기의 세계가 넓어진다는 표현..정말 감동입니다.ㅜㅜ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Aaasdaa Жыл бұрын
콘센트의 접지핀에서 약 80V정도가 측정됐고, 손가락을 대면 약간 저린듯한 정도의 통증이 있어 열어보니 콘센트의 접지선은 물론 차단기쪽 접지도 연결이 안돼있었습니다. 이런 경우도 이 영상으로 이해하면 되는거 맞는걸까요? 영상에서 f의 길이에 따라 전압이 다르게 측정된다고 하셨는데 저같은 경우 f로 볼만한게 작은 접지핀 같아서요..신기하고 어렵네요 전기 ㅠㅠ
@ppulddak2 жыл бұрын
생산현장에서 콤프레셔의 전원선 4P 케이블에 세가닥선은 380볼트 전원을 한가닥은 접지선으로 사용한것이 있습니다. 전원측의 분전반에 있는 접지단자에 한선을 물리고 3가닥선은 MCCB 3P 에 물려져 있고, 그선의 말단은 3가닥은 콤프레셔의 조작 MCCB 에 물려져 있고 한선은 콤프레셔 몸체에 접지로 물려져 있습니다. 2점식으로 접지저항을 측정하려고 하니 접지측정 바늘이 반대로 움직여 저항 측정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경우 엄청난 허전압이 발생할걸로 보입니다. 선로길이는 15미터 정도 됩니다. 접지선을 설치하려면 별도로 선을 분리해서 해야할것 같은데 그렇게 하지 않은것으로 접지의 효과가 발생 할까요? 이경우 허전압을 측정하려면 접지로 사용한 한가닥을 분전반의 물린부분과 말단의 몸체에 물린부분을 분리하고 허전압 측정을 하면 허전압수치를 알수 있을것 같은데 이건 잘못 설치한 예이겠지요?
@전제동-u8b2 жыл бұрын
부하에 리액터 성분의 부하를 달고 실험했을때도 궁금합니다 전류가 흘렀을때의 유기 기전전력하고 차이점을 알고싶습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수준높은 질문에 감탄합니다, 아주 근원적이고 아주 원초적이고 매우 핵심적인 질문을 해주셨습니다. '부하에 리액터성분(=L성분, 코일 따위 등)의 부하를 단 경우 즉, 질의하신 내용 그대로 '전류가 흘렀을 때 유기기전력(=유입전류에 의해 L에서 발생하는 것은 역기전력임)'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전기에너지의 크기입니다. L에 의해 발생한 전기에너지는 영상의 C에(F선 한가닥) 의해 충전된 전기에너지의 양보다 훨씬 큽니다. 만약 C에 의해 충전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을 L에 의해 발생한 전기에너지만큼 크게 하려면 표면적이 작은(예/영상의 2.5sq)전선 한가닥이 아나라 표면적이 넓은 극판을 써야 하며 동시에 극판간의 간격이 매우 작아야 하며, 또한 두 극판 사이에 있는 유전체의 비유전율(=전기장을 잘 통하게 해주는 정도)이 매우 커야합니다. 결국 전기에너지를 교번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발생(L, 역기전력) 시킬것인가 아니면 전기에너지를 교번전압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충전(C, 정전유도) 시킬것인가의 차이입니다. 따라서 L이든 C이든 이 '자기장'을 얼마만큼 발생시킬것인가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L은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C는 '변위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니까요. 근본 성질은 똑같습니다.
실제 접지가 된 도선만 뜨는거죠?? 접지가 안된상태면 핫 중선 어디하고 콘서트물려도 0 나오는거죠??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접지가(=접지선이 누락된) '안 된' 접지극에서 허전압이 뜹니다. 접지극에 접지선이 누락된 상태더라도, 핫선은 여전히 220V, 중성선도 여전히 0V입니다.
@wooheehee12 жыл бұрын
전기혁명님. 감사합니다. 지금 혁명님 영상 보고있는중입니다. 방금 비접촉식검전기 원리 보고왔습니다. 검전기원리는 전압이 있는 선 찾는거라 생각했는데 그럼, 지금 F선에 정전유도된 선에 허전압이 떴다하더라도 그 F선에 검전기를 되더라도 검전기는 반응이 없는거죠? 폐회로가 되어야지만 되는것이 맞나요? 제가 이해를 한것인지 모르겠습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ㅎㅎㅎ 허전압이 뜬 전선에도 검전기가 왜 동작하느냐 를 물으시는거죠?ㅎ
@wooheehee1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네.맞습니다. 허전압은 검전기로 소리가 나는것입니다
@최용수-n1j Жыл бұрын
허전압도 하자로 볼 수 있는지요
@새시대-g4t Жыл бұрын
콘센트에서 70v가 나오는 것도 n상이 끊어졌다는 거네요~~ 도통 테스트 해도 아무 반응이 없던데..
@wingadiumjun5521 Жыл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저는 현재 전기차 배터리 팩 제조업체인데요.... 전기차 배터리 팩(DC에너지)을 외부 단락시험 후 (약 20,000 A 전류에 의해 Fuse 끊김) 이후, 최종 팩전압이 Fuse가 끊겼으니 안떠야하는데 허전압이 뜨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것도 조금 크게요(원래의 팩전압에 비해서 80%수준)..... 이 경우 사실, 선생님의 경우는 AC전원이니까 그럴수있는데.... DC전원인데도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뭘까요?? Fuse가 미세하기 연결이 되어있다고 봐야할것같은데.... 배터리 팩을 수출하기위해서는 이 최종 전압이 안떠야 안전함을 입증받을 수 있을텐데..... 풀업/풀다운 저항을 해볼까도 하는데 쉽지가않네요.... 단락 시험 후 Fuse가 끊기고 최종 팩전압이 0V로 측정되도록 하는 법이 있을까요??
@kelkelkel66782 жыл бұрын
그럼 허전압은 만져도 전기가 안흐르나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전하의 축적이 충분해지면 흐릅니다 :) 이 영상을 보시면 이해하실 겁니다. kzbin.info/www/bejne/i2PFk4tqo8abmtk
@한우블링22 жыл бұрын
우선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2가지 질문이 있는데 13:00 1. HF, FN 사이의 용량성결합량이 같아서 각각의 Xc값이 같으면 Vh랑Vf는 같은 값을 갖는건가요? 즉,실제 상황에서는 용량성결합량이 같을수 없기때문에 114, 100V 이렇게 다르게 나오는건가요? 2. 1부영상에서 접지를 하게되면 접지선F과 중성선N 사이에 전압이 매우 작아졌는데 접지가 되어있으면 유도현상이 안생기는건가요? 그이유가 뭔가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바로 구독좋아요 했습니다!!
@최영우-g5w Жыл бұрын
직렬저항 분배로 해석하면 되지요 ?
@vitaminscene2 жыл бұрын
허전압을 스피커르 이용해 소리로 출력할수 있나요?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달링턴 증폭회로를 이용해서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
@vitaminscene2 жыл бұрын
@@electric_revolution 그러면 라디오 주파수가 잡힐겁니다
@electric_revolution2 жыл бұрын
스피커의 소리신호 증폭처럼 허전압신호 또한 증폭해서 검출할수 있습니다. 물론, 전기장 자체에 소리는 당연히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