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대 앞 클럽이 알고 싶다

  Рет қаралды 326,273

ARCHIVE-K

ARCHIVE-K

3 жыл бұрын

#홍대 #인디밴드 #전설의무대아카이브K
홍대 앞 클럽이 알고 싶다.
1. 각 클럽의 장르는 사장님 취향따라?
2. 인디 밴드들이 섰던 각 클럽들의 색깔은?
3. 오디션은 어떻게?
4. 홍대 앞 클럽 공연! 출연료는?
5. 인디 밴드들! 생활비는 어떻게?
📺SBS [전설의 무대 아카이브K] 2021년 01월 31일 방송
5회. '홍대 앞 인디뮤직' 편

Пікірлер: 495
@user-hj7zc5nl4n
@user-hj7zc5nl4n 3 жыл бұрын
Sbs가 간만에 정말 참신한 프로를 내놨네
@user-bf7xf8ki4v
@user-bf7xf8ki4v 3 жыл бұрын
@@Amolla-Sense 형님..? 철권말고 또 새로운 꿈이..?
@user-gc2xj2ug6t
@user-gc2xj2ug6t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일베충 씹버러지 소굴인데
@TheKomix1
@TheKomix1 3 жыл бұрын
인정
@nikkei5410
@nikkei5410 2 жыл бұрын
@@Amolla-Sense 찐이네
@greenae9500
@greenae9500 3 жыл бұрын
트로트가 지겹지만 트로트도 아무도 찾지않는 장르인 시절이 있었고, 힙합도 한땐 그랬고 지금 락도 그렇다. 서로 장르 배척하지말고 다양성이 인정받고 함께 흥하는 음악시장이 왔으면 좋겠다.
@xozhd1010
@xozhd1010 3 жыл бұрын
그니까요… 댓글보면 다 화나있어서 좀 무섭네요
@user-tc5um7rz1u
@user-tc5um7rz1u 3 жыл бұрын
트로트는 아무도 찾지않던 시절은 없었습니다 10대20대에게 인기가 없어서 대중음악이지만 주류에서 밀리기 시작한거지 40대 이상 어르신들은 좋아했고 노래방에서 빠지지않는 회식 장르였으며 방송에서 잘나가는 트롯가수 몇명은 계속 나오던 장르죠 80년대 이후 인기가 좀 없다가 지금다시 빵 ~터진거지 90년대 2000년대 남진 김수희 김혜연 태진아 송대관 설운도 박상철 장윤정같은 가수는 왕성한 활동과 티비 음악프로 능에도 많이 나왔고 편승엽 우연희 한혜진 오승근 이광조 최석준 등등 히트곡 떠서 활동하는 트롯가수 많이있었죠 그에 비해 락은 너무 짧은 전성기 뜬가수 몇 안되죠
@user-yc1ei4fz1l
@user-yc1ei4fz1l 3 жыл бұрын
정말 멋진 의견입니다~!
@dragonball2513
@dragonball2513 2 жыл бұрын
반박하기 힘들다
@user-jx3rg5sx8b
@user-jx3rg5sx8b 2 жыл бұрын
트로트는 개씹구린 저질 양산형 음악이 맞는데요
@horangmalcolm
@horangmalcolm 3 жыл бұрын
이런 방송이 나와 다행이다. 밴드 문화가 더 발전했음 좋겠다...
@precisionfender5433
@precisionfender5433 3 жыл бұрын
@@Stockguy777 돌아갈 방법을 안줬어 지금 너무나들 잘하는데
@sunyoon9741
@sunyoon9741 3 жыл бұрын
@@Stockguy777 그러게요. 노출사고 아직도 기억나네.. 불안해서 못부르게 만들었죠 뭐..
@Sangwoo.k
@Sangwoo.k 3 жыл бұрын
@@Stockguy777 tv만 나오면 사고치다뇨... 그 밴드 하나뿐 아닌가요
@gkst3zip
@gkst3zip 3 жыл бұрын
@@Stockguy777 카우치 사건 말고 또 뭐가 있음??
@modanisunflower
@modanisunflower 3 жыл бұрын
@@Stockguy777 이런 건 실질적인 예를 들어야지
@1stimpact197
@1stimpact197 3 жыл бұрын
탑밴드 한번더 보고잡다 트로트는 제발 그만하자 쫌
@BJU82
@BJU82 3 жыл бұрын
사골 우려먹는건 진짜...
@user-xd3iy5jo5i
@user-xd3iy5jo5i 3 жыл бұрын
쇼미더머니도 제발좀
@user-ii1ei7fq7f
@user-ii1ei7fq7f 3 жыл бұрын
시즌3를 너무 말아먹어서 ㅠㅠ 시즌4는 시즌 1이나 2의 퀄리티로 만들어줬으면 좋겠네여
@user-mv2ef3ut9r
@user-mv2ef3ut9r 3 жыл бұрын
엄지엄지척~ 엄지엄지척~!
@user-xd3iy5jo5i
@user-xd3iy5jo5i 3 жыл бұрын
@kang lee 힙합도 누군가에겐 공해임, 내얘기는 아니고..
@user-iw9yf3tx8x
@user-iw9yf3tx8x 3 жыл бұрын
매일 트롯만 나오다가 이런 프로 나와서 좋음~ 다양한 음악 발전해야 한국음악이 발전하고 풍성해지지 않을까?
@user-rk1pl1oo2l
@user-rk1pl1oo2l 3 жыл бұрын
글 지우세요~ 이러다 트로트편 할지도몰라요!!
@tjdrudchlrh
@tjdrudchlrh 3 жыл бұрын
@@user-rk1pl1oo2l 의견 말하는것도 안됩니까 ㅋ
@user-ys6sg5uq5y
@user-ys6sg5uq5y 3 жыл бұрын
같이 헝그리했는데 힙합은 돈자랑 못해 미쳐가고 밴드는 여전히 굶어죽네
@user-yn7ek8cd4s
@user-yn7ek8cd4s 3 жыл бұрын
왜냐면 이젠 밴드음악을 사람들이 많이 안들으니까요.. 이건 어쩔수가 없음
@user-tg4kr2cj3b
@user-tg4kr2cj3b 3 жыл бұрын
ㅁㅊ... 뒤통수한대맞은거같음
@triviagold24
@triviagold24 3 жыл бұрын
FLEX
@raykim9760
@raykim9760 3 жыл бұрын
수년 안에 다시 밴드음악으로 회귀할거에요 ㅎㅎ유행은 돌고도니까요~
@ahnjaechan
@ahnjaechan 3 жыл бұрын
밴드는 근데 집에 좀 여유가 있는 분들이 많아요
@c.d.k.s5594
@c.d.k.s5594 3 жыл бұрын
언젠가는 꼭 인디밴드의 시대가 오길
@icylakepaxphile
@icylakepaxphile 3 жыл бұрын
그런 시대 안 와요... 그럼 인디가 아니죠.
@user-xd3iy5jo5i
@user-xd3iy5jo5i 3 жыл бұрын
@@icylakepaxphile 글치
@eiliosice
@eiliosice 3 жыл бұрын
인디는 소외되고 소수의 음악이 아니라고 생각해요. 거대 대중문화 자본에서 독립된 장르. 그래서 인디펜던스의 인디입니다. 그런 맥락에서는 인디도 충분히 주류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거대 자본과 엔터 회사들이 좌지우지 하는 게 아니라 무수한 장르의 뮤지션들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 시장 속에서 사람들이 각자의 취향을 찾고 서로의 취향을 존중할 수 있다면, 그래서 시장은 커다랗지만 자본의 논리와는 또 다른 논리가 작동하는 시장이 된다면, 그게 인디의 시대 아닐까요?
@user-xd3iy5jo5i
@user-xd3iy5jo5i 3 жыл бұрын
@@eiliosice 그냥 인디밴드의 시대 라는 명제 자체가 모순이져
@eiliosice
@eiliosice 3 жыл бұрын
@@-.-S20 노노 다양한 인디아티스트들이 무엇에 저항하는 지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인디음악이라고 한다면, 대부분 '자본'이 포인트임. 거대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자생적인 음악 지평. 이게 통념적인 인디 개념이고, 뭐 개중에는 대중문화에 저항하는 이들도 있고, 기성 세대에 대한 저항. 상식에 대한 저항. 다양하지.
@user-uj2vq4uv6h
@user-uj2vq4uv6h 3 жыл бұрын
유튜브,ott에 밀린 지금 지상파방송이 살길은 이런방송이지
@Diputs0914
@Diputs0914 3 жыл бұрын
흥민선수 팬이에요
@user-xm4et6de1l
@user-xm4et6de1l 3 жыл бұрын
자우림이 대중앞에 없을뻔했다는 말이 반대로 우리가 모르는 알려지지않은 천재 뮤지션들도 많았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333nayul5
@333nayul5 3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괜히 이런술집가면 나쁜사람 되는거같아서 문앞에서 들어갈까말까 졸라고민하다 안들어갓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엄청 후회됩디다 .. ㅠㅠ
@user-dl6dp7in8z
@user-dl6dp7in8z 3 жыл бұрын
아이돌만 팔아먹는 대한민국 음악계에 이런 프로그램은 단 비 같은 프로그램이다
@user-zb8mj5bw5f
@user-zb8mj5bw5f 3 жыл бұрын
음악을 하면 배고프다고 하지만. 음악을 하는 이들은 상처받은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해주는 음유 시인이라 생각한다. 자기가 하는 음악을 알아주는 사람들을 위해 투잡,쓰리잡을 뛰며 무대위에 오른다는건 사랑과 열정이 가득하기때문이라 생각한다. 인디밴드건,개그건,연기건.. 모든 분야의 사람들이 비상을해 더 좋은 곳에서 날개를 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코로나19도 빨리 종식되어 무대에 많이 오르시길 응원해요.
@ahdb1383
@ahdb1383 3 жыл бұрын
04년 05년에 프리버드에서 공연했던 매주 금요일 공연한 사람인데...그때 화요일에 놀러가면 장미여관 형님들 계셧는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금요일은 메탈, 코어, 펑크였고 화요일은 블루지한 밴드였음.ㅋㅋ그 시절 군대가기전 취미로 밴드할때 매주 금요일에 가서 공연하면 사장님이 고생했다고 병맥주 무한 공짜였는데..오징어랑. 사실 실력은 없는데 그냥 영계라서 맘에든다고 금요일에 꼳아주셧는데.ㅋㅋㅋㅋㅋㅋㅋ아추억 돋네...지금은 그냥 평범하게 회사다닙니다..ㅋㅋㅋ
@superboss331
@superboss331 3 жыл бұрын
이상하다 90년대 초중고를 지내오면서 분명 서태지부터 조성모까지 다 겪었는데 인디편을 보고있자니 가슴이 쿵쾅거린다 내 취향이 인디였나봐 . 홍대클럽나오는장소도 다 알고 다 가봤고 공연도 한번씩은 봤었고... 너무좋다
@haribo3008
@haribo3008 3 жыл бұрын
진짜 지금이야 저분들이 전설이 되었지만 90년대 20대 패기로 지금의 음악을 만드셨으니.. 20대는 그냥 좋다.. 돈이 없어도 안주없이 소주 마셨어도 좋다
@zenniTV
@zenniTV 3 жыл бұрын
그 시절이 그립다... 다양한 장르 다양한 밴드들이 많았는데.. 클럽들이 하나하나 없어질때 마다 문 닫는날 밴드들 모여서 뒤풀이 하는데 거의 초상집 분위기..
@riadahl8544
@riadahl8544 3 жыл бұрын
이제는 굳이 그런 공연장이 필요하지 않은 시대죠. 음악을 위해 인생을 걸어야 할 필요도 없는 시대구요. 우리는 조금씩 자신의 행복을 위해 살아가는 자유로운 시민이 되어가고 있어요
@yoonhyun8069
@yoonhyun8069 3 жыл бұрын
@@riadahl8544 그들에게 음악이 곧 행복이니까 인생을 거는 게 아닐까요...
@user-hi9qn8ht4l
@user-hi9qn8ht4l 3 жыл бұрын
@@riadahl8544 자유란 단어를 남용하는 사람을 멀리하라.
@wonijune1109
@wonijune1109 3 жыл бұрын
당시 20대 홍대주민이었습니다. "클럽마다 다른 분위기가 홍대앞을 풍성하게 했던거 같아요" 라는 김윤아님 말에 격렬하게 공감하며, 그때 우리 삶을 풍성하게 해줘서 고마웠어요!
@user-bj7mh6ek3l
@user-bj7mh6ek3l 3 жыл бұрын
음악의 다양성이 90년대가 제일 황금기 였던것 같아요..
@user-js7ib4wk6j
@user-js7ib4wk6j 3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문화나 패션은 돌고 돈다지만 다시는 안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user-ks4ru9uj4r
@user-ks4ru9uj4r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전 유튜브에 90년대 음악 찾아서 듣고 있는데 의외로 인지도는 낮았지만 숨은명곡이나 앨범들이 많은 것 같음. 2000년대 초까지도 괜찮음.
@wincup
@wincup 3 жыл бұрын
@@user-js7ib4wk6j 사실 한국이고 일본이고 엄청 다양한 시대였죠.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90년에 터진 너바나열풍이 결국 세계적으로 이런 도화선의 심지역할을 한 게 아니었나싶습니다. 80년대 팝문화 (상업적)는 2000년대중반이후 지금하고 아주 닮아있었거든요. 그걸 깨부수고 나온게 그런지 열풍인데, 모두 영향을 받았었죠. 정말 다양한 음악이 터져나온 계기였고. 세계적으로 (영국에서도 이때가 피크였죠- 브릿팝, 일렉트로니카, 빅비트, 애시드재즈.... 솔직히 오아시스도 시부야케이도 홍대도 일정부분 너바나에 빚을 졌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다신 안돌아올거같다는' 말이 참이 될지 거짓이 될지도 사실 이런 혁명적인 뮤지션이 하나 나와주느냐 이대로 가느냐에 달려있는 느낌입니다.
@ejdjrjeif
@ejdjrjeif 3 жыл бұрын
음악은 사실 지금이 더 다양해요 멜론 구석 구석 찾아서 들어보면 옛날보다도 다양하고 사운드 퀄리티 면에서도 더 좋은 음악들이 많아요 좁아진건 리스너의 다양성일 뿐이죠
@user-ks4ru9uj4r
@user-ks4ru9uj4r 3 жыл бұрын
@@ejdjrjeif 아그렇군요 정리하자면 90년대에는 공중파같은 메인스트림에 다양한 장르의 가수들이 출연해서 쉽게 다양한 음악을 들을 수 있었고 지금은 아이돌 음악말고 다른 장르의 음악을 들을려면 직접 찾아서 들어야 되는 것 같네요. 그때보다 매체가 다양해져서 굳이 가수들이 공중파에 출연할 필요가 없어져서 그럴 수도 있겠네요.
@gladmfdnlgo
@gladmfdnlgo 3 жыл бұрын
국카스텐도 뿌리는 홍대인데
@gladmfdnlgo
@gladmfdnlgo 3 жыл бұрын
왜없냐
@user-tu4gw9wm6z
@user-tu4gw9wm6z 3 жыл бұрын
@@gladmfdnlgo 안나온다했겠지 국카스텐 말고도 검정치마도 안나왔던데
@user-su9sh4xu3c
@user-su9sh4xu3c 3 жыл бұрын
쏜애플도...
@Bkbkbkbkbkbkbkbkbkbk
@Bkbkbkbkbkbkbkbkbkbk 3 жыл бұрын
이제는 인디가 아니라서...
@user-hb4pc5pw4b
@user-hb4pc5pw4b 3 жыл бұрын
@@Bkbkbkbkbkbkbkbkbkbk 하현우는 메이저여도 국카스텐은 인디가 맞음
@JaeHwang_Jeff_Lee
@JaeHwang_Jeff_Lee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방송이 있어서 참 고맙다.
@ridgogo
@ridgogo 3 жыл бұрын
지금 이분들은 그나마 인지도가 있고 음반수입이 있어서 지금까지 살아남아 이렇게 훌륭한 뮤지션으로 이름을 남기셨지..... 우리나라 인디음악의 단절은 제일 큰 사건이 생방송 나와서 바지내리고 곧휴 자랑하던 그넘들 때문에 그뒤로 모든 방송에서 밴드음악 심지어 라이브 자체를 손절하게 됐던 일이 치명적이었죠.. 25년동안 밴드를 해오면서 아직도 취미 이상으로는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게 안타깝네요 ㅎㅎ
@icylakepaxphile
@icylakepaxphile 3 жыл бұрын
아니예요, 그 사건 아니었어도 밴드음악과 인디 음악은 계속 비주류였을 거예요. 밴드음악이 대중의 관심을 받았음 그 사건은 그냥 일발성 해프닝이 되었겠죠. 돈이 되는데 왜 안부르겠어요? 대중이 관심 없으니 그렇지.. 대마초 사건도 마찬가지고. 그런 사건으로 밴드음악이 찬 서리 맞았단 얘기는 그만큼 인디 뿌리자체가 약했다는 얘기예요. 그리고 사실 심야 방송과 EBS 중심으로 계속 인디 음악 소개됐어요. 일본 방송이나 미국 메이져 티비 중에 그런 시청률과 별 관계없는 인디 밴드 지속적으로 소개해 주는 프로 없어요. 그래도 그 나라들 팬들이 알아서 다 찾아 들어요. 일본이나 미국 티비에 나온 밴드들은 다들 인디부터 시작해서 메이져로 진출한 다음 방송타는 거예요. 한국은 그렇게 지상파에서 인디밴드를 밀어줘도 안 들어요.
@user-bf7xf8ki4v
@user-bf7xf8ki4v 3 жыл бұрын
중학생 때 나른하고 따뜻했던 날 4~5시쯤 주말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생방으로 보고 얼탱이 없었던 ㅋㅋㅋ
@adonis5172
@adonis5172 3 жыл бұрын
김윤아 살아있는 레젼드
@user-bi9sk8id6c
@user-bi9sk8id6c 3 жыл бұрын
진짜 존나좋다 겪어보지못한 시대를 느낄수있다는건 기획진짜잘했다
@smilesmile6918
@smilesmile6918 3 жыл бұрын
지역이 멀어서 드럭은 못가봤고 어렸을때 울산 딩 클럽에서 공연했던게 생각나네요 저렇게 성공한 밴드들은 진짜 대단한거예요
@sunggilkim7367
@sunggilkim7367 3 жыл бұрын
오.. 딩ㅋㅋ 공업탑에있었던 저도울산사람 반갑네요ㅋ
@user-xc2ok6ef7d
@user-xc2ok6ef7d 3 жыл бұрын
진짜 프로그램 잘 만들었다 아카이브
@bird68ing
@bird68ing 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다. 기다려왔다. 가슴이 웅장해진다...
@disarmyourvoice
@disarmyourvoice 3 жыл бұрын
고딩때 친구들하고 주말마다 드럭가서 놀고왔던게 엊그제같군...
@weponp76
@weponp76 3 жыл бұрын
당신들의 열정에 경의를 표합니다.
@atomicgromit
@atomicgromit 3 жыл бұрын
좋아하는 밴드들이 다 나왔네ㅠㅠ
@user-lf1tx4kz6g
@user-lf1tx4kz6g 3 жыл бұрын
정말 멋지신 분들....
@AliMuhammad-rv4sh
@AliMuhammad-rv4sh 3 жыл бұрын
짠한데 멋있다
@dabret7972
@dabret7972 3 жыл бұрын
와 충격이다. 크라잉넛은 그래도 많이 떠서 돈 많이 벌었을줄 알았는데 3집때도 알바했었다니..
@yjlii2411
@yjlii2411 3 жыл бұрын
저작권이라는 개념이 없었던 때라서ㅠㅠ더 힘들었겠죠..
@user-vh9yb3ro9d
@user-vh9yb3ro9d 3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다녔던 클럽 이름들 진짜 오랫만에 듣네요. 친구랑 항상 금토 매주 갔었는데 ㅎㅎ 넘 그립네요 벌써 20년전이라 이젠 40대가 되었지만 ..그때 공연보던 밴드들도 나와서 너무 좋네요 ㅎㅎ 다들 늙지도 않어 ㅎㅎㅎ
@user-lk5kb9ls3o
@user-lk5kb9ls3o 3 жыл бұрын
아.. 이 프로 너무좋아요!!!!!
@user-vh7hb5pv1f
@user-vh7hb5pv1f 3 жыл бұрын
잔디쌤 너무멋져요~~
@user-mu7wg8rg5x
@user-mu7wg8rg5x 3 жыл бұрын
댄스 음악만 재조명 하시는 게 아니군요 굿굿
@user-ki1zv5jj6s
@user-ki1zv5jj6s 3 жыл бұрын
저 시절 인디음악도 많이 듣고(집에 크라잉넛1집이나 어어부밴드등 시디가 아직도 좀 있네요 ) 홍대도 자주 갔었는데 클럽은 한번인가 밖에 안가 본 듯 클럽 자주갔었다면 방송나온 분들중에 한분정도는 안면있는 분 생겻을지도 몰랐겠네요 ㅋ 그때 당시는 새로운 사람들이랑 많이 만나고 술도 많이 마셨었는데 추억이 새록새록~
@LeeTaeYoung1000
@LeeTaeYoung1000 3 жыл бұрын
너무 추억이다..저들 노래만 듣고 살던 시절이 있었는데...듣고싶어서 들은게 아니라 TV만 틀면 나와서 듣게된건데...계속 듣다보니 너무 너무 좋아져서 오래들었었는데...잊고있었네요. 저 시절을..^^ ㅠㅠ
@bandmustbe
@bandmustbe 3 жыл бұрын
인디밴드 모두가 코로나를 이겨내고 다시 클럽 무대에 오를 수 있기를, 이런 프로그램을 보고 호기심에 단 한 분이라도 더 인디밴드들의 공연을 보기위한 발걸음을 이어주시기를, 지금 즐겁게 음악하는 많은 밴드들이 언젠가 저렇게 마주앉아 공감하고 웃으며 과거를 떠올릴 수 있기를..
@asdlkfjalsk
@asdlkfjalsk 3 жыл бұрын
와ㅜㅜ너무좋네요 좋아하던밴드분들이 모두 모여 클럽얘기라니... 언제 다시 그때가 올지는모르지만 감사합니다
@user-on7bm3ku1c
@user-on7bm3ku1c 3 жыл бұрын
홍대클럽 전성기 시대에 놀줄을 몰라서 혹은 공부하느리 사긴이 없어서 못갔는데 나이들어 관심이 생기니 클럽전성기도 지났고 클럽갈 나이도 지나버렸네요
@user-yi2vr9nu4c
@user-yi2vr9nu4c 3 жыл бұрын
유투브 알고리즘 한건 했구나!! 이런 달달한 오아시스같은 프로그램을 만날수있어서 다행이에요
@hjhjhj1703
@hjhjhj1703 3 жыл бұрын
앗 새소년이 있잖아요ㅠㅜ 자우림 분들까지 있다니ㅠㅜ 이런 프로그램 넘 좋아요!
@user-in5hd5lo5o
@user-in5hd5lo5o 3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 입니다 방송사 고마워요
@user-vq2kq4vj3s
@user-vq2kq4vj3s 3 жыл бұрын
너무 소중한 채널이자 프로그램.
@dnfl-Tkdtks-vbfmrp
@dnfl-Tkdtks-vbfmrp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아카이빙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PD진짜사랑해🥰🥰🥰🥰🥰
@lonelynight816
@lonelynight816 3 жыл бұрын
그때 그 시절 추억속에 자리하고 있는 록커들의 주름들이 흘러간 세월을 실감케 합니다. 뭔가 다른 장르의 아티스트들 보다 록스타들의 나이 먹은 모습이 어색해보이는데 아마도 타 장르에 비해 에너지 넘치던 그 모습들 때문에 그런 것 같기도 하네요. 이른 아침에 보고있자니 어릴적에 홍대에서 밤새 놀다 귀가하던 기분도 나고 가슴이 몽글몽글 해지네요.ㅋㅋ
@user-yp1np8xw1b
@user-yp1np8xw1b 3 жыл бұрын
홍대밴드 너무 없어져서 진짜 마음아프다 ㅠㅠㅠ 재머스 블루데블 고스트 사홀 등등등 왜 왜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ㅜㅜㅠㅜ
@teru8383
@teru8383 3 жыл бұрын
그많던 공연클럽 다 어디로..ㅠㅠㅠ
@user-xn1dh5nr6n
@user-xn1dh5nr6n 3 жыл бұрын
홍대 클럽데이 진짜 좋아했었어요 클럽명들 보니까 반가워요~제가 벌써 40대인데 그립네요 그 시절
@user-co9ic6gu9i
@user-co9ic6gu9i 3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저도 미치도록 그립네요... 저때가 고딩 시절 이었는데... ㅠㅠ
@hsk9291
@hsk9291 3 жыл бұрын
sbs 전설의무대 감사합니다. PD님 훌륭합니다. 이런방송 만들어줘서 너무 감사합니다!!!
@user-gh5gq7dz8f
@user-gh5gq7dz8f 3 жыл бұрын
진짜 방송너무좋다ㅠㅠ
@2shls475
@2shls475 3 жыл бұрын
ㄹㅇ 감성터지는데 나름 진중함도있고 너무좋음
@uzin_seo
@uzin_seo 3 жыл бұрын
요새 인디밴드 하시는 분들은 본업이 따로 있거나 보컬, 악기 레슨 병행하시는 분들도 많죠ㅠ
@Indian9661
@Indian9661 3 жыл бұрын
저기에 있는 사람들 다들 서로의 개성 뚜렷하고 음악사에 남을 사람들이라 너무 좋다
@user-v-zero
@user-v-zero 3 жыл бұрын
아카이브K 가 더욱 큰 의미로 다가왔던 인디편♡ 멋졌어요! 잔나비 너무 반가웠구요~
@user-dw3tr2de4l
@user-dw3tr2de4l 3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전 근 5년간 한달에 두번정도는 클롭공연 보러다니면서 뒤풀이도하고 스트레스 풀었는데 공연쉰지 1년이 훌쩍 넘었네요 ㅠㅠ
@howwegonna
@howwegonna 3 жыл бұрын
이런 프로그램 정말 좋네요..
@zandari3467
@zandari3467 3 жыл бұрын
대학생때 제가 즐겼던 클럽문화들이 사라지고 있는게 너무 슬픕니다 ㅠㅠ 이 save our stage 캠페인을 통해 코로나 이전만큼은 아니더라도 정상적이게 공연을 했으면 합니다
@yuiss9160
@yuiss9160 3 жыл бұрын
좋아하던 클럽들..추억이네요
@kevinseok2400
@kevinseok2400 3 жыл бұрын
아 이 프로그램 너무재밌네 미쳤다...ㅠㅠ
@DRkim-vr3rm
@DRkim-vr3rm 3 жыл бұрын
05:23분 없어보이지 않아요. 본인이하고싶은 일을 하면서 행복하면서 이야기하는 모습 부럽습니당.
@user-mu9dx7sh5p
@user-mu9dx7sh5p 3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프로 너무 좋아요... 궁금했던 이야기들
@byeongjunkim5495
@byeongjunkim5495 3 жыл бұрын
멋있다
@user-cr1zi1ck5n
@user-cr1zi1ck5n 3 жыл бұрын
피아형님들 해체한다고할때 가슴아팠습니다...지금이라도 다시 뭉칠순 없을까요? ㅠㅠ 요한형님 목소리듣고싶어요
@user-zc6bl7yz3i
@user-zc6bl7yz3i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다
@user-yz3ur1nw1r
@user-yz3ur1nw1r 3 жыл бұрын
공연장 못가는 팬과 아티스트들을 위해 이런방송 많이 나왔으면~~
@user-uq6ou9hk4w
@user-uq6ou9hk4w 3 жыл бұрын
뭐야 이런프로가있어 짱짱짱!!!!!
@user-us5nl2si9u
@user-us5nl2si9u 3 жыл бұрын
꼭 락이 아니더라도 분명 음악은 돌고돌아 밴드음악으로 돌아올거에요 저 사운드 성량 폭발력 밴드에 따라올수가 없어 ㅠ
@clubmisiglife
@clubmisiglife 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darciimyeonseo
@darciimyeonseo 3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런 재밌고 유익한 프로그램이 있나
@user-bh5ll7ok4t
@user-bh5ll7ok4t 3 жыл бұрын
이런 방송 너무 좋다ㅋㅋ
@snowltv
@snowltv 3 жыл бұрын
FF 오랜만이네요 ㅎㅎ 과거 뮤직데이 있을때 종종 갔었는데
@lion77809
@lion77809 3 жыл бұрын
그때 그시절 추억을 기억 할수 있어서 젊을 때의 열정이 떠올라서 감사합니다
@user-vi4yl5kk1c
@user-vi4yl5kk1c 3 жыл бұрын
서울 외 지역 클럽과 지역뮤지션들도 다루면 좋을 것 같습니다!
@user-fm8rf8bd2h
@user-fm8rf8bd2h 3 жыл бұрын
존나 멋있으시다ㅠㅠ 고생 하셨네요..
@user_legendary
@user_legendary 3 жыл бұрын
와 ㅠㅠ sbs 오랜만에 프로그램 하나.건졌다!
@user-lr9pi4cl4u
@user-lr9pi4cl4u 3 жыл бұрын
부럽다.... ㅠㅠㅠ 현대 사는 인디러버1은 인디씬 무대는 아주가아아아끔 페스티벌, 코로나이후엔 거의 유투브에서나 보는데 ㅠㅠㅠㅠ 옛날엔 인디무대가 홍대클럽에 쫙 깔렸었다니... 너무너무 부럽다... ㄴㅏ도 옛날사람할래...
@user-cu1dy6gl9h
@user-cu1dy6gl9h 3 жыл бұрын
연습실 만들어드리고싶네여♡
@creammeatball
@creammeatball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nerdguys
@nerdguys 3 жыл бұрын
오 프로그램 좋다
@smilemile925
@smilemile925 3 жыл бұрын
대단한 형님 누님들이다 멋져요~
@user-nt8ox1gj7t
@user-nt8ox1gj7t 3 жыл бұрын
ㅠㅠ 고딩때 부산에서 씨디랑 엠피로만 노래 들었었는데 그때는 진짜 서울 홍대앞 한 번 가보는게 정말 정말 정말 소원이였었음
@user-wv8bf1wm9k
@user-wv8bf1wm9k 3 жыл бұрын
카우치때문에 인디밴드 인기가 고점까지 갓다가 뚝 떨어진걸로 느끼는데
@user-cf7ks2bk3f
@user-cf7ks2bk3f 3 жыл бұрын
고점까지 간건 아니었고 당시 mbc에서 크라잉 넛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공중파에 인디 밴드듣들은 하나씩 올리면서 일반 대중들한테도 인디 음악을 알리기 시작했었는데 미친 카우치 놈들나와가지고 다 끝장나버렸죠 당시 라이브로 직접 봤었던.... 거지 같은 놈들
@Bluehorse_soul
@Bluehorse_soul 3 жыл бұрын
홍대 길거리밴드가 그립다.어른되면 지나다니면서 들을줄 알았는데 지금은 들을수가 없네
@hanboklife
@hanboklife 2 жыл бұрын
캬~~ 추억의 드럭 크~~
@wincup
@wincup 3 жыл бұрын
저는 드럭만 갔었지만 (펑크, 얼터너티브팬이라) 당시 블루~쪽에 언니네이발관도 출연했었다는 소문도 들리곤 했었습니다. 언니네 1집사고 완전히 뻑가서 팬이었는데 거긴 가볼 생각을 못한게 아직도 아쉽네요.
@user-yv2jg5bp3t
@user-yv2jg5bp3t 3 жыл бұрын
크라잉 넛 너무좋다. 옛날 그느낌그대로
@IlkuSeo
@IlkuSeo 3 жыл бұрын
이것이 락스피릿..
@user-fr2hd1cc8f
@user-fr2hd1cc8f 3 жыл бұрын
잠깐 프리버드에서 일했었는데 추억이네요 ㅋㅋㅋㅋ
@user-yx8ns7vn3k
@user-yx8ns7vn3k 3 жыл бұрын
빵에서 오디션 보고 공연했던 때가 생각나네요 ㅋㅋ
@unhwajung6331
@unhwajung6331 7 ай бұрын
진짜 FF가 여기서 막내급으로 보인다는게 진짜 세월이 많이 흐른걸 느끼네요. 사운드데이때 티켓팔찌 얻어가지고 들으러 다녔던 그때가 그립습니다
@BINhookro
@BINhookro Жыл бұрын
10년 전에 비해서도 지금은 길거리 공연 문화가 많이 죽었죠.. 예전엔 홍대 놀이터에서 심심하면 봤던게 밴드 공연이었는데~ 이제는 비스킹존이 4군데 정도로 줄고 그마저도 아이돌댄스 커버 그룹들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지요~ 그나마 클럽FF가 가장 활발한듯요~
@lobosbabe2012
@lobosbabe2012 3 жыл бұрын
인디의 이야기를 다룬 TV다큐는 첨이네요. 인디의 역사가 홍대의 역사고 내 어린 시절의 기억이네요^^
@akiha5920
@akiha5920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고
@user-gp9il7mr6k
@user-gp9il7mr6k 5 күн бұрын
어렸을때부터 피아노.드럼.베이스.기타 다 해왔어서 자연스레 음악을했었지만 현실의벽이 크더군요...내노력이 부족했다...라고 인정하고는 음식점하고있습니다. 지금은 공연장이아닌 한가한시간에 카운터에서 기타치고노네요. 지금도 무대가 그립습니다.
@ostnamy8566
@ostnamy8566 3 жыл бұрын
클럽............ 스페이스에서 락공연 봤던게 잊혀지지 않습니다. 클럽마다 스타일이 달랐군요!! 스페이스는 하드락공연이 주를 이뤘는데;;; 친구가 베이시스트여서 공연보러오라고 사정해서 한번 가봤어요!
@enceladus9502
@enceladus9502 3 жыл бұрын
으아.. 사운드홀릭 드럭 잼머스 에반스.. ㅜㅜ 90년대 홍대가 갑이었지
@Pocari413
@Pocari413 3 жыл бұрын
와 이 프로 너무 좋네요...
@user-kn3ex8ci8r
@user-kn3ex8ci8r 3 жыл бұрын
프리버드 공연서던시절이 그립네요
인디 뮤직의 위기 속 한 줄기 빛✨
10:10
ARCHIVE-K
Рет қаралды 114 М.
ДЕНЬ РОЖДЕНИЯ БАБУШКИ #shorts
00:19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Заметили?
00:11
Double Bubble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Black Magic 🪄 by Petkit Pura Max #cat #cats
00:38
Sonyakisa8 TT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펀디스토리(FUN:D STORY) : 강원래 - 문나이트(MOON NIGHT) 1부
15:09
엘리펀디 (elefun.D) TV
Рет қаралды 8 М.
(ENG SUB) [The Stage Of Legends Archivek] TURBO's behind story
8:00
90년대 홍대 앞 인디 1세대 태동기
14:01
ARCHIVE-K
Рет қаралды 530 М.
I Need Your Help..
0:33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147 МЛН
Final increíble 😱
0:39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Секретный Прием Джиу-джитсу Пошел не по Плану
0:27
ЕГОР СЪЕЛ ИНСТРУМЕНТ? 😳😅  #shorts
0:19
Зубландия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你们家里有这么调皮可爱的孩子吗? #袋鼠妈妈
0:41
袋鼠妈妈育儿记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Школьники в тюряге 😂 #сериал #тренды
0:55
Топ по Ивановым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