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ет қаралды 29,956
화니의 중국요리 쿠킹클래스
hclass101.app/e...
※ 본 영상은 '유료광고(주방칼 전문점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제품 및 소정의 제작료를 지급받았습니다.
칼자루
스기모토, 슌, 글로벌나이트, 마사히로 등등 주방칼을 전문적으로 수입 및 판매하는 샵 입니다.
kaljaroo.com
본 영상에서 사용한 제품&장비
스기모토 3040 CM 중식칼(스테인레스 스틸)
kaljaroo.com/pr...
스기모토 6호 중식도(탄소강)
kaljaroo.com/pr...
글로벌나이프 중식도 G-49/B 180(스테인레스 스틸)
kaljaroo.com/pr...
사용장비
카메라
파나소닉 GH5 + 라이카 DG VARIO ELMARIT 12-60mm F2.8-4 POWER OIS
파나소닉 G85 + 라이카 DG Summilux 15mm F1.7 ASPH
파나소닉 S1(FF) + 파나소닉 S1 24-105mm F4 MACRO OIS
소니 A6400 + 소니 E PZ 18-105mm F4 G OSS
Gudsen MOZA SlyPod(슬라이더)
마이크
ZooM F1+SP
소니 UWP-D11 무선마이크
조명
빌트록스 VL-D85B 2대
호루스벤누 룩스라이트 116T 2대
비지니스 문의
gorsia83@gmail.com
-----------------------------------------------------------------------
안녕하세요~ 화니입니다.
오늘 이야기는? 칼 이야기 그 두번째 입니다.
그리고 탄소강 식칼 관리법에 대한 부분도 함께 다루어져 있답니다.
작년에 주방칼 전문점 칼자루의 의뢰를 받아 스기모토 6호, 클로벌 나이프 사이 등의 영상을 제작한적 있었습니다.
당시 탄소강과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이야기가 다루어졌었는데요, 유용하게 보신 분들도 계셨지만 아쉬워하시는 분들도 계셨습니다.
전체적으로 큼직하게, 그리고 단순하게 다루었기 때문이죠.
단순한 분류에서 좀 벗어나는 강재(녹이 잘 안생기는 탄소강, 경도가 높은 수퍼스텐 등등..)를 쓰는 일반인들은 그리 많지 않거든요.
이 정도 급을 쓰시는 분들은, 본 채널 고정 시청층이 아니기에 디테일한 정보는 다루지 않았었습니다.
그렇지만 '경도가 높으면 최고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댓글을 다시는 분들이 있다보니, 여기에 대한 이야기가 필요할것 같더군요.
작년 영상에서 다룬 '스기모토 6호'는 탄소강 중식칼입니다.
그립감, 무게중심, 절삭력 등등 매우 뛰어났지만 딱 한가지 단점이 있지요.
이 단점은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치명적으로 작용할수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바로 '녹' 입니다.
이 녹은 탄소강 나이프의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다소 터프한 용도로 쓰이는 전술용 나이프의 경우 관리 약간만 잘못해도 녹이 생겨버리거든요.
특히 물을 가까이 두고 쓰는 식칼은 더더욱 그러합니다.
음식 만들때 쓰는 칼이니 호닝오일이나, 터프글라이드, 밀리텍 같은것을 사용해 관리할수도 없죠.
일단 식칼에 많이 쓰는 탄소강재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SK, 황지, 백지, 청지, 수퍼청지
이렇게 다섯종류가 있습니다.
유명 중식칼 브랜드의 대부분이 일본 브랜드이기도 하고 일식칼 역시 동일한 라인의 강재를 사용하기에 여기에 맞추어 설명하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K
도끼, 망치, 낫, 등등을 만들때 사용하는 공구강 입니다.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녹이 잘 생기는 편이며 탄소강 중에서 무른 축에 속합니다.
황지
SK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강재입니다. 역시 녹에 취약합니다.
백지
황지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강재입니다. 탄소와 철 외에 다른 첨가물이 거의 없으며 탄소량에 따라 넘버가 붙습니다.
백일강 : 백이강에서 탄소량을 늘려준 강재
백이강 : 황지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통상 '백지'라 부르는 강재
백삼강 : 백이강에서 탄소를 약간 빼 준 강재
청지
백이강에서 크롬과 텅스텐을 첨가한 강재입니다. 이 두 금속의 영향으로 녹에 저항성이 생기며 내식성도 높아짐니다.
청일강 : 청이강에서 탄소량을 늘려준 강재
청이강 : 백이강에서 크롬과 텅스텐을 늘려준 강재로 '청지'하면 이것을 의미
수퍼청지
청이강에서 크롬, 텅스텐, 탄소량을 늘려준 강재입니다. 주방칼용 강재 중에 경도가 가장높고 내식성도 높습니다.
참고로 내식성은 산이나 기타 물리적인 요소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합니다.
즉, 칼을 세워주면 날이 오래 유지됩니다.
그냥 얼핏 보면 수퍼청지가 최고인것 같아 보입니다. 그러나 여기에 함정이 있습니다.
첫째, 경도가 높아지면 그만큼 깨지기 쉽다.
수퍼청지 소재의 칼은 험하게(?) 쓰는 그런 칼이 아닙니다. 절삭력 높은 칼 쓰고 싶은데 관리 귀찮아서 선택할만한 강재가 아니라는거죠.
둘째, 내식성이 높은만큼 날 연마가 어렵다.
황지나 백지에 비해 잘 안갈리는 편 입니다. 자기 손으로 칼을 갈아본 경험이 충분한 사람들에게 적합한 강재이죠.
셋째,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내식성이 높은 강재인만큼 칼 장인이 들여야 할 수고가 늘어납니다.
요약하면, 녹 잘 안생긴다고 무턱대고 지르기에는 유지비가 좀 드는 칼이라는거죠.
게다가 수퍼청지라도 녹이 아예 안생기진 않습니다.
그렇다면 수퍼스텐은 어떨까요?
ZDP-189라고 하는 이 강재는 수퍼청지와 동일한 경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생이 스테인레스 스틸인만큼 녹에도 강하죠.
그러나 ZDP-189 역시 비슷한 이유 때문에 초보자들이 택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일단 강재 자체의 가격은 수퍼청지보다 비싸며, 이러한 고탄소 스텐은 동일한 경도를 가진 탄소강에 비해 연마가 더 어렵습니다.
이보다 한단계 아래인 R2 강재만 하더라도, 연마 난이도가 상당한 것으로 유명하죠.
즉, 완벽한 강재 완벽한 식칼은 없습니다.
사람에 따라 상황이 다르고 상황에 맞는 칼이 있을 뿐이죠.
그러나 '상황에 맞는 '칼을 고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스펙상으로 뭔가 뛰어나서 그걸 선택하면 그 스펙 때문에 다른 부분에서 불편해지는 일이 생기거든요.
예1 ) R2 강재 사용한 중식칼 선택해서 녹, 날 유지력 잡았지만 가끔 하는 연마 때문에 돈이나 시간 깨짐
예 2) 백일강 강재 사용한 중식칼 선택해서 연마, 절삭력 잡았지만 녹관리 때문에 에너지 소모
그나마 적절한 방법이라면 '중간' 스펙을 가진 칼을 선택하는 것 정도?
이번 영상에서 등장한 '스기모토 4030 CM'이 그러한 중식칼중 하나입니다.
스기모토에는 SF(탄소강), CM(스테인레스 스틸) 제품 두가지가 있는데요, 이 식칼은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스텐소재입니다.
강재 종류는 '은삼(은박 3호)'으로 탄소강인 황지에 크롬, 텅스텐, 몰리브덴을 첨가한 합금강 입니다.
이보다 높은 스펙을 가진 강재로는 VG10, R2, ZDP-189가 있지요.
즉, 그렇게 고급 강재는 아닙니다.
그렇지만 스펙이 전체적으로 딱 균형이 잡힌 강재라 할수 있죠.
첫째, 연마가 수월한 편 입니다.
내식성이 적당합니다. 그래서 연마에 드는 수고도 적당히 들죠. 물론 그만큼 날유지력은 덜하지만 보급형 중식도에 비할바는 아닙니다.
둘째, 녹 방지력
태생이 스테인리스 스틸입니다. 굳이 언급할것도 없겠죠?
셋째, 적당한 경도
묘하게 어중간한 경도 덕분에 이나감이 별로 없습니다.
넷째, 괜찮은 절삭력
탄소강 급은 아니지만, 제법 괜찮은 절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 하나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크기' 역시 장점이 되기도 합니다.
190cm이 넘어가는 중식칼은 손이 작은 사람에게 좀 불편합니다.
그렇지만 이 식칼은 그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손이 작은 사람이 쓰기 딱 좋습니다.
게다가 뛰어난 무게중심과 그립감은 그대로 입니다.
스펙상으로는 '적당함', '괜찮음' 등 뭔가 어정쩡하게 보이지만 오히려 이 점이 장점이 되기도 합니다.
관리할때 딱히 손 타는게 없거든요.
M4 카빈소총의 중식칼 버전 느낌이랄까요?
TIP. 화니식 식칼 녹 관리법
저는 양털유를 사용합니다. 양털을 증기로 쪄서 추출한 기름인데요, 녹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단점이라면 냄새가 좀 안좋다는 것이죠. 인체에 무해하긴 하지만, 요리용은 아니니 작업 후 다른 기름으로 피니싱 해 주세요~
1. 식칼에 양털유를 뿌린다.
2. 가스불을 사용 열로 데워준다.(직화로 굽지 마세요. 헤어드라이기 사용도 가능합니다.
3. 칼이 식을때까지 그대로 둔다.(일주일간 방치하면 더욱 좋습니다.)
4. 종이, 키친타올을 사용해 칼을 말끔하게 닦아준다.
5. 동백유나 도마관리용 기름을 사용해 서너번 닦아주면 OK!
식칼을 사용한 후에는 기름묻은 천이나 키친타올로 닦아주세요.
칼을 간 후에는 양털유 작업을 다시 해 줘야 한답니다.
또한 칼을 간 후에는 기름을 사용, 칼에 있는 쇠 분말을 잘 닦아주도록 하세요.
▬▬▬▬▬▬▬▬▬▬▬▬▬▬▬▬▬▬
BGM 정보
Inspire World
[perepilka]/MotionElements.com으로부터 제공된 스톡 미디어
Presentation
[evzmeniy]/MotionElements.com으로부터 제공된 스톡 미디어
a ri ga to u Japan Kyoto shrine Japanese style
[djcoollkmixtribe]/MotionElements.com으로부터 제공된 스톡 미디어
Journey to the Top (Short Version)
[PinkElephantLab]/MotionElements.com으로부터 제공된 스톡 미디어
Uplifting and Motivatio
[beepcode]/MotionElements.com으로부터 제공된 스톡 미디어
Koto House Uplifting Inspiring [Full] - JP Promotion 5
[Kobat]/MotionElements.com으로부터 제공된 스톡 미디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