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 모르면 공부해도 남는 게 없다." 문해력을 키워주는 현실적인 방법 (박문호 박사 2부)

  Рет қаралды 120,942

지식인사이드

지식인사이드

Күн бұрын

오늘은 박문호 박사님을 모시고
책 읽을 때 머리 멍해지는 느낌의 실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박문호 #지식인사이드 #문해력
00:00 인트로
00:20 최근 한국인이 긴 글을 못 읽는 ‘2가지’ 이유 - 1
01:25 최근 한국인이 긴 글을 못 읽는 ‘2가지’ 이유 - 2
08:23 젊은 세대의 문해력 부족 현상이 사회적으로 문제인 이유
09”23 우리 아이의 떨어진 문해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
11:26 수많은 전문가들이 ‘독서’하라고 강조하는 이유
-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u4LxVcwFdhvkLH8m6
knowledgeinside7@gmail.com
👇 다양한 채널에서 지식인사이드의 지식을 얻고 싶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인스타그램: / knowledgeins_kr
페이스북: knowledgeIns...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contents.premium.naver.com/mo...
네이버 TV: tv.naver.com/purejboy2
틱톡: www.tiktok.com/@allstorieskr?...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knowledgeins

Пікірлер: 276
@majimakbajirak9506
@majimakbajirak9506 Ай бұрын
어렸을 때 문해력을 키울 수밖에 없었던 환경에 노출되었던 세대는 그 자체로도 축복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저를 가르쳐주셨던 선생님들, 특히 제 글을 일일이 읽고 첨삭을 해주셨던 선생님들의 노력에 다시 한 번 고마움을 느낍니다. 내가 이 아이의 생각에 간섭해도 되는 걸까, 내가 이 학생의 사고를 제한하는 것이 아닐까, 내가 이 아이의 글을 재단할 자격이 있는가, 온갖 고민을 하면서도 결국 학생을 위해서라는 목표 하나로 지도를 해주셨던 모든 선생님들의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sokchung1
@sokchung1 Ай бұрын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아주 근본적인 통찰이 집약된 훌륭한 영상입니다. 문해력의 가장 기본은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입니다. 한국인들이 책은 읽되 문해력이 떨어지는 것은 단어를 소리로는 발음을 해도 그 낱낱의 깊은 뜻까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책을 읽어나가면서 머리속에서 뜻이 정리되지 않고, 정리 되지 않는 상태에서 무작정 읽어나가다 보니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단어든 문장이든 이해가 되지 않을땐 깊이 생각하고 모르는 단어는 암기하는 정체의 시간과 반복의 시간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끈기가 없으면 문해력을 올리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닌 것입니다.
@user-ei6cr3ek1w
@user-ei6cr3ek1w 9 күн бұрын
제가 귀에 담아두어야 할 말씀입니다. 박문호박사님 말씀과 함께 감사합니다 🙏
@EMKIM-mz9nd
@EMKIM-mz9nd 10 күн бұрын
5년동안 매일 새벽 책을 읽었습니다. 지금 문자 중독되어 틈틈히 책이 늘 함께 있습니다. 삶의 통찰력이 생기고 생각도 긍정적으로 바뀌고 마음이 단단해지기도 합니다. 삶의 방향이 바뀌니 꼭 책읽기를 시도해보세요. 배움과 성장은 인생을 살아가는 이유가 되는 것 같습니다.
@user-ix8ip7rn8s
@user-ix8ip7rn8s 20 күн бұрын
아.정말 이분의 지혜와 지식의 깊이는 어느정도인지 가늠도안됨.모든분야를 다 꿰뚫어보는듯
@official_0
@official_0 16 күн бұрын
그러면 온갖 분야에 혁신적인 논문 쓰고 노벨상 타야지 ㅋㅋ 폰노이만, 아인슈타인, 뉴턴같은 저사람보다 훨씬 뛰어난 인간들 역사적으로 수두룩빽빽이다
@user-ix8ip7rn8s
@user-ix8ip7rn8s 16 күн бұрын
@@official_0 으이구.꼬이기는.그걸그렇게 받아드리기도 힘들것다
@pjy627
@pjy627 11 күн бұрын
@@official_0사회생활가능???
@user-er7bc4be1e
@user-er7bc4be1e 5 күн бұрын
​@@official_0깊은 통찰력을 가지고 있는것과 그 이상의 혁신을 구현해내는것은 또 다른 문제죠
@arnshutain
@arnshutain Ай бұрын
'가장 큰 문제는 소통 자체가 안될 수 있다.' 공감합니다.
@klesa4152
@klesa4152 Ай бұрын
진짜 어이가 없죠
@pallowwecha5330
@pallowwecha5330 Ай бұрын
위 영상이랑 약간 다른 맥락의 경험담입니다. 할머니댁에 놀러가면 할머니가 아버지께 "우리 아들 많이 대간하지?" 라는 말을 자주 하셨습니다. 처음엔 사투리인줄 알았는데, 2000년대 후반에 유행했던 '상상플러스'라는 예능 프로그램에서 '대간하다'라는 뜻이 나오더군요. 할머니가 자주 얘기했던 단어가 TV에 나온게 신기해서 아직도 그 뜻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소통 자체가 안될 수 있다'는 말을 보고 생각나서 써봤습니다.
@DonBoksaMan
@DonBoksaMan 29 күн бұрын
@@pallowwecha5330 사투리 맞아요.
@user-qs5lf3pl5v
@user-qs5lf3pl5v Ай бұрын
어릴적 우연히 다녔던 한문학원에 흥미를 느껴 1년간 공부했던 한자가 지금도 문해력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40대 중반 지금 아이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말에는 한자를 모르면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너무 많더라고요. 제가 체감하니 자녀들에게도 시키게 되더군요.
@cybi8056
@cybi8056 Ай бұрын
“우리가 읽는 책이 머리를 주먹으로 내리쳐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무엇 때문에 그 책을 읽어야 할까? 한 권의 책은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여야 해"
@user-wo9bu9tm7v
@user-wo9bu9tm7v Ай бұрын
너도 우리가냐
@johndenber3512
@johndenber3512 Ай бұрын
도끼 사진만 찾을걸? 국민 수준 높게 보오지 마라.
@poorbird2023
@poorbird2023 Ай бұрын
어디서나온 말이쥬??
@user-pc8yn5cm9o
@user-pc8yn5cm9o Ай бұрын
프란츠 카프카가 한 말이에요! 카프카가 쓴 책은 아닌데 책은 도끼다에서도 인용하는 등 많이 인용되는 문장이래요.
@ArtistsStay
@ArtistsStay Ай бұрын
@@poorbird2023카프카의 편지에서 쓴 말이에요
@dreamroot0301
@dreamroot0301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강의는 같은 편을 여러번 봐도 깨닫는 바가 달리 나오네요. 존경합니다!
@user-eg6cq2tt3h
@user-eg6cq2tt3h Ай бұрын
진부한 표현이지만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문해력의 중요성을 어렴풋이 느끼고 있었는데 영상보면서 확실히 깨닫게 됐어요!😊
@mindsglee3320
@mindsglee3320 Ай бұрын
박사님, 훌륭한 말씀 항상 감탄하며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junateacher9084
@junateacher9084 21 күн бұрын
이 시대의 참 지성인들 중에 또 한 분이라 여겨지는 박문호 박사님! 언제나 유익한 영상 잘 보고 숙지하고 실천하고 있습니다. 품어 왔던 의문들이나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던 또 나름대로 알고는 있으나 묘사하지 못했던 전문적인 언어 표현등 여러면에서 고마우시고, 감사히 잘 시청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시민들의 올바른 의식과 진취적 삶을 위한 소양을 체계적으로 쌓아갈 수 있도록 조력해 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건강하시어 언제나 즐겁게 만나뵙고 싶습니다. 박사님 동영상 시청할 때마다 재미있고 흥미롭습니다. ^^*
@user-np8lw8ep6e
@user-np8lw8ep6e Ай бұрын
동시대를 살고 있어서 행복합니다! 유툽에서 만난 제 스승이십니다. 늘 건강하시길..
@user-gs6if8hb7k
@user-gs6if8hb7k Ай бұрын
역시... 박사님...... 진짜 박사님이십니다... 매우 중요한 말씀.. 감사합니다.
@dbakduehak
@dbakduehak 19 күн бұрын
한자를 배우지 않았서 그렇다라는 거 공감. 모르는 단어를 타이핑 해놨다가 암송햐보기. 써보기.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user-gw8rh7yu2q
@user-gw8rh7yu2q Ай бұрын
총명한 인간이 되기 위해 꾸준히 책을 읽겠습니다. 박사님 존경합니다!
@user-hi4hh9ng9y
@user-hi4hh9ng9y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 박사님 늘 많은 지식을 배웁니다❤
@user-pm2td1cy4k
@user-pm2td1cy4k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말씀입니다
@user-vk9ot5tc5y
@user-vk9ot5tc5y Ай бұрын
박문호 박사님 강의는 재생속도를 0.75로 느리게 봐야 겠네요... 말씀을 너무 잘하시고 빨라요
@user-og2pc7jz3z
@user-og2pc7jz3z 20 күн бұрын
대단하신 가르침이십니다. 감사드립니다.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 Ай бұрын
요즘에 책을 읽어도 집중을 못하거나 내용 파악이 어렵다는 사람이 많네요. 문해력을 키우는 방법을 통해 책과 친해지며 생각하는 시간도 많이 갖길 바랄게요. 책도 알고보면 소중한 지식의 창고니까요!
@user-gi3xq1ni5b
@user-gi3xq1ni5b Ай бұрын
오 마이 사이언스! 인간은 아직 문자 언어생활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했고 모든 것을 꿰뚫어보는 힘은 문해력에서 나온다. 그리고 문해력을 키우는 유일한 방법은 오로지 독서다! 이해도 쏙쏙 잘되고 독서의 중요성을 다시 깨닫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hyosooklee4150
@hyosooklee4150 22 күн бұрын
❤지당하신 말씀이십니다!!
@globalnuri
@globalnuri 27 күн бұрын
이 분의 지식은 참 대단하다. 좋은 강의 자주 부탁합니다. 고맙습니다.
@Jsrmana
@Jsrmana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박사님!!
@shinetwinkle2273
@shinetwinkle2273 Ай бұрын
선추 후감 감사드립니다😊
@user-qs6ic6kc2t
@user-qs6ic6kc2t Ай бұрын
제발 영어 유치원에만 목숨걸지 말고 한자 학습지라도 좀 시켜라... 자식 인생이 달라짐. 한국에 살거면 한자는 필수임.
@user-en7be5ht8g
@user-en7be5ht8g 2 күн бұрын
박사님 너무 멋지십니다 문자와 친해지겠습니다 ❤
@user-js3dx3be6p
@user-js3dx3be6p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내일 조회는 이거다 기다려라 2학년 1반
@JiwoongJeon-vq4iw
@JiwoongJeon-vq4iw 21 күн бұрын
오마이 사이언스!
@JHS-gu4lw
@JHS-gu4lw 21 күн бұрын
Oh my science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zo1li2pb9j
@user-zo1li2pb9j 20 күн бұрын
쿨!
@user-mo7ww1gq6n
@user-mo7ww1gq6n 11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getthankyou8650
@getthankyou8650 Ай бұрын
박사님의 지식 설명은 압도적 입니다.
@Hioyat
@Hioyat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yong20387
@yong20387 20 күн бұрын
박사님 정말 총명한 인간이십니다 또 배웁니다
@user-nw5zf6cp8m
@user-nw5zf6cp8m 11 күн бұрын
결국 공부를 어떻게 해야하는 것인가의 문제를 설명하시는구먼요.결국은 공부를 통해서 인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고,언어 즉 문자는 인간의 논리구조와 직결되어 있다는 이야기로군요.참으로 명쾌하십니다.공부의 목적,방법론까지 한방에 다 건져갑니다.
@Jina.0228
@Jina.0228 Ай бұрын
잘듣고가요 감사합니다❤
@via_eunis
@via_eunis 26 күн бұрын
박문호박사님 강의는 그 어떤편을 들어도 단 한번도 놀랍지 않은적이 없음. 진심 인류의 스승이심 👍
@user-so1fp5yd7y
@user-so1fp5yd7y 25 күн бұрын
아~~~~교수님 최고의 인문학 강의 입니다 업드려 절합니다
@pure9073
@pure9073 6 күн бұрын
엎..
@KL-ys5vm
@KL-ys5vm 25 күн бұрын
이 분의 강의를 듣다보면 그저 놀라울 뿐,,,, 내 두 아들이 이 강의를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기를 ...
@seungminlee-ir3ch
@seungminlee-ir3ch Ай бұрын
박사님의 지식의 근본을 살짝 들여다본 느낌이 드네요 책 열심히 읽겠습니다
@Small69Korea
@Small69Korea 23 күн бұрын
한자를 알면 재밌음 금융(金融)이라는 단어를 한자를 알기전엔 돈을 다루는 뜻인줄 알았지만 돈이 녹는거였음. 그래서 내 잔고가 맨날 녹는거였음. 이해완료
@user-pb9bt2cq9p
@user-pb9bt2cq9p Ай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문해력이란 글의 흐름을 이미지화해서 연속적으로 쌓을 수 있는 능력이겠지요. 단순히, 사물의 변화를 이미지화하고 연속적나열하는 능력에서 추상적인 개념을 지적으로 이미지화하고 연속적 나열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으로 나아가야 하겠지요.
@user-wb2gn7fk5o
@user-wb2gn7fk5o 19 күн бұрын
공부를 잘하진 못했지만 어릴때 심심하면 사전을 보는 습관이 있었어요. 모르는 단어를 접하면 궁금해서 찾아보는 습관도 있었고요. 지금 생각해보면 그게 정말 좋은 습관이었던거 같아요.
@overwhelmingly7
@overwhelmingly7 9 күн бұрын
정말 멋지세요!
@user-uz9kl6lo4g
@user-uz9kl6lo4g Ай бұрын
문해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을 위해 쉽게 풀어 콘텐츠를 만들면 경쟁력을 가질수 있겠네요 ㄷㄷ
@junghyunjun1012
@junghyunjun1012 Ай бұрын
2:30 즈음. 궁금한것이 있는데, 사람이 낮동안 생각할때 이미지가 아닌 언어로 생각하나요? 언어보다는 이미지로 떠올리면서 생각할때가 많지 않나요?
@user-nf7zm1lc1n
@user-nf7zm1lc1n Ай бұрын
감명깊은 강의 감사합니다.
@yangsam1216
@yangsam1216 26 күн бұрын
감탄스럽습니다
@seunghyeonmoon8274
@seunghyeonmoon8274 2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mariej7859
@mariej7859 Ай бұрын
저는 어릴때 문학전집같은걸 많이 안읽고 자라서 인지 책을 빨리 읽지는 못하는 거 같았어요. 지금도 그런편인데 대신에 책을 읽으면서 중간중간에 생각해보고 천천히 다시 읽어보고 그러는 편입니다. 빨리 많은 책을 읽는 것이 좋은 건가요? 전 책을 천천히 음미하듯이 읽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Hea_Bo_Ja
@Hea_Bo_Ja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KKumKKum-cv9kz
@KKumKKum-cv9kz Ай бұрын
오마이싸이언스... 감사합니다!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17 күн бұрын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찾아보는 노력조차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소한 걸로 트집 잡는다고 오히려 적반하장 화내거나 째째하게 따지지 말라고 거꾸로 핀잔 주는 게 다반사죠. 그리고 시대가 달라져서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여러 전자기기 다루는 게 중요해지다 보니 한자는 디지털 이용에 불편한 문자가 됐죠. 실제로 불편한 것도 사실이고, 획이 많은 글자는 가독성이 떨어져서 크기를 많이 키워야 합니다. 학생들은 학원 다니느라 지쳐있어서 독서할 여지조차 없죠. 설령 독서 시간이 있더라도 어차피 익숙하고 재밌는 스마트폰만 들여다볼 게 뻔합니다. 이건 부모들 잘못도 있는 게 제가 어릴 때 애들한테 삐삐나 핸드폰 사주는 부모님들이 있었습니다. 사준 이유야 모르겠지만 이런 식으로 어릴 때부터 폰 같은 전자기기에만 익숙해지고 애들이 자신도 갖고 싶다는 생각이 더욱 강하게 들게끔 하는 게 문제입니다. 애들한테 원활하게 연락하려고 사준 것이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사회에 그리 좋은 영향은 아닙니다. 그리고 책값이 많이 비싼 것도 있습니다. 책을 읽으라고 해도 경제가 어려워지니 점점 가계지출을 줄여야 하는 쪽으로 갑니다. 그러면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책은 안 읽는 게 됩니다. 책을 사놓으면 그 자체로 공간을 차지하는데 이사가 잦을수록 책은 무겁고 많은 짐이 됩니다. 책들 중에는 오탈자도 은근 많고, 감수를 하긴 하는지 의심스러운 문법상으로도 매우 어색하고 내용상 앞뒤가 이상한 책도 종종 보입니다. 오탈자가 한둘 있을 때 적어서 알려주곤 했는데 이게 너무 많은 읽다가 지칩니다. 책을 읽을 때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며 즐거웠는데 이런 게 자꾸 눈에 띠니까 가뜩이나 책을 안읽는데 짜증나서 더 안 읽게 됩니다. 게다가 책이 한두 푼 하는 게 아니라서 그냥 시간 낭비, 돈 낭비 하는 느낌만 들죠. 독서량도 늘려야 하지만 책값도 조정이 필요해보입니다. 독서량 부재가 예전 제가 어릴 때부터 지적되어온 사회 문제라서 특정 세대만 가지고 나무라기 어렵더군요.
@asyrfkriugfjkh
@asyrfkriugfjkh Ай бұрын
책 가까이하는 사람과 멀리하는 사람은 차이 나게 마련입니다.
@user-th6kb1iy6m
@user-th6kb1iy6m Ай бұрын
과학보다 소설 뇌피셜 선동을 믿는 우리 국민들이 꼭 봐야될 영상이네요
@user-ux5lr5dr9w
@user-ux5lr5dr9w 10 күн бұрын
궁금한 게 있습니다! 오디오북도 문해력향상에 도움될까요?
@user-qk9xi4ek5c
@user-qk9xi4ek5c 25 күн бұрын
친할아버지께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님이셨습니다 . 저는 5살때부터 무릎 꿇고 앉아 내용의 절반이 한자로 적힌 옛신문을 하루에 4페이지씩 한글로 해석하고 적도록 강제로 시키셨습니다. 정말 그 어린나이 10살에 한자 만자를 알지 못하면 우리집 자식이 아니다 라는 소리를 듣고 자랐고 남들 태권도 다니고 축구하고 다닐 때 저는 서예학원과 바둑학원을 다녀야 했습니다. 덕분에 30먹은 지금 다른과목은 몰라도 수능국어는 매해 나올때 마다 풀어보는데 소주 2병을 먹고 풀어도 1등급은 나오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기관의 사회복무요원에게 바늘 한 쌈을 사오라고 시켰더니 한 쌈이 몇개인지를 모르는 수준이 아니라 단어 자체를 뭔지 모르는 20대 친구를 보고 굉장히 충격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manjubeolpan
@manjubeolpan Ай бұрын
한가지 빠졌는데 집중력도 큰 영향을 줍니다 . 단어의 뜻을 다 알아도 글이 길어지면 맥락을 놓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Eustrath10
@Eustrath10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강의입니다...!
@user-jh2wr8ls3m
@user-jh2wr8ls3m Ай бұрын
문해력보다 어휘력!!기본 단어를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user-th6kb1iy6m
@user-th6kb1iy6m Ай бұрын
읽을줄만 아는 거지 내용 파악을 못함
@xxxyyyzzz612
@xxxyyyzzz612 Ай бұрын
모르는 것은 죄가 아니죠! 알면 되니깐요! 문제는? 해당 단어의 뜻을 자기가 모른다라는 것을 몰라요! 그게 문제예요! 그래서,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는 것! 최소, 국어사전에서 해당 단어를 한번씩 찾아보고 말하고 글을 쓰면 참 좋은데...
@user-jh2wr8ls3m
@user-jh2wr8ls3m Ай бұрын
@@xxxyyyzzz612네,맞습니다.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게 얼마나 무서운 일인지를😭느낄 때가 있습니다.그래서 항상 배우고 또 배우고 겸손하고 또 겸손하고...그런 마음가짐으로 살아야 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user-je4lt5rg4c
@user-je4lt5rg4c Ай бұрын
한문을 알면 어휘력이 늘어나요 우리나라말은 대부분 한문에서 나온거라
@JL-fd2hs
@JL-fd2hs Ай бұрын
박사님, 10대, 20대, 30대끼리 대화를 할 때도 문해력 차이 때문에 소통이 안 될 때가 있습니다.... 같은 세대 안에서도 각자 문해력 차이가 크더군요. 그런데 우리나라 독서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2023 독서실태조사 기준 20대 74.5%, 40대 47.9%, 60대 이상 15.7%)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 Ай бұрын
사전을 놓고 책한권을씩 제대로 이해하며 읽고, 글쓰기, 토론, 인문철학이 필수 선잔국 교육과정, 소리글과 뜻글자가 합쳐진 과학적 언어 훈민정음
@Gloria_Aria
@Gloria_Aria Ай бұрын
”도대체“라는 단어도 한자어임. 한자어 모르면 문해력이 낮을 수밖에 없음 ㅠㅠ 한자어를 모른다>단어를 모른다>문해력이 낮아진다>이해를 못해서 이미지화 되지 않는다> 말귀를 못알아 듣는다>뇌 발달이 덜 된다> 멍청해진다 ㅠㅠㅠ + 외국어도 이해를 못하게 된다 ㅠㅠ
@daehanminkuksaram
@daehanminkuksaram Ай бұрын
02 학번인데 중 고등학교때 한문이 매학년 주1단위 수업이였던것 같은데 요즈음은 한문 없나봐요?
@seungbyeongchae5431
@seungbyeongchae5431 Ай бұрын
많이들 물어보는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의 최고의 답변!
@user-yg7ye7dy7c
@user-yg7ye7dy7c Ай бұрын
교육공헉이란 쉽게 설명, 알아둗게 말하는 연습, 내가 아는것을 설명을 쉽게 하는것
@hoseoklee24
@hoseoklee24 13 күн бұрын
여기서 궁금한점 문자보내는건 도움이 되지않는다고 하셨는데 일기를 쓰는건 도움이 될까요? 소설이라고 하니 뭔가 장대한거 같아 선듯 행동을 못하겠네요 ㅎ
@globalmagicyoon
@globalmagicyoon Ай бұрын
선생님은너무재미있어요❤
@life_care_respect
@life_care_respect Ай бұрын
문해력이 딸리면 잘못된 판단, 선택을 하게되고 그 뒤에 따르는 위험도미노 현상을 수습하지 못하여 함께하는 공동체를 고통에 빠트리는 경우가 많아짐.
@homo8454
@homo8454 Ай бұрын
의사결정능력 저하
@xxxyyyzzz612
@xxxyyyzzz612 Ай бұрын
극단적으로 말하면, 문해력 = 어휘력이지! 한국인들중에 자기가 쓰는 한국어 단어들의 의미로 제대로 모르고 쓰는 이들 엄청 많아! 특히, 젊은 사람들! 자신이 지적으로 뛰어난 사람이다라고 과시하고 싶어서, 형이상학적인 단어들을 많이 쓰는데... 내가 글을 읽는 동안, 과연 지은이는 해당 단어의 참뜻을 알고나 썼나라는 의문점을 매번 느낀다. 젊은이들의 문해력 하락은 어떻게 보면 객관식 문제에서 정답찾기에 길들여져있어서 그래! 정확하게 어휘나 문장을 알 필요가 없지! 정해진 시간안에 가장 요구된 답만 찾으면 그만이니깐! 내가 보기엔, 가장 좋은 방법은 글쓰기같다! 글을 자주 쓰는 버릇이 있어야, 국어사전에서 자기가 쓸 단어의 뜻을 한번 찾아보고 그러지!
@Gloria_Aria
@Gloria_Aria Ай бұрын
책도 어떤 책을 읽느냐도 중요함.
@hyunjupark6227
@hyunjupark6227 Ай бұрын
선생님. 진짜 멋집니다.
@nayutainjapan
@nayutainjapan 10 күн бұрын
한자어를 어느정도 알아야 문해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user-zg9jo5yf8f
@user-zg9jo5yf8f Күн бұрын
한글의 우수성이 증명되고 있고 세계문화유산에 선정되었습니다.
@ShineWhite-bb1fg
@ShineWhite-bb1fg 23 күн бұрын
엄청나네요
@henujo
@henujo Ай бұрын
이 영상 보고 읽다만 라이트노벨을 다시 폈습니다..
@user-ek2qo9ww6m
@user-ek2qo9ww6m 8 күн бұрын
6:01 시-이미지를 연결하는 논리 9:20 어휘력-한자어 10:42 은유-의미 11:48 독서-태권도vs축구 12:46 문해력-창의력 /독서 15:06 문자생활-의미-꿰뚫어 봄
@user-sg3fm5cg8c
@user-sg3fm5cg8c 7 күн бұрын
혹쉬 고3..?
@taewankim5749
@taewankim5749 9 күн бұрын
오 마이싸이언쓰 나올 때 마다 좋아요를 누르게 된다. 오늘 좋아요는 홀수 인가, 짝수 인가 ㄷㄷ
@strategist1837
@strategist1837 16 күн бұрын
존경하는 박문호 박사님께서 놀라운 정도로 정확히 분석해주셨는데요. 안타까운점은 결국 공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자기 생각을 말할 시간을 주지 않고 주입식 교육을한 결과물이 문해력 저하라고 생각되네요. 사람은 듣기보다 말하고 싶은 욕구가 더 강한데요. 자기표현을 하는데서 상대방을 이해시키기 위한 능력이 발달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이러한 능력이 발달 되지 않으면 들을때 상대방이 말하고자 하는 의미도 알기 어렵게 되는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영상을 보시고 문해력의 비밀을 독서로만 생각하시고 추억을 회상하시는데요. 역사를 생각해보면 일제 강점기 이전 조선의 양반 문화에서 일제 강점기후 발언권을 잃고 해방후 강대국이 설계한 물품을 대행생산하는 국가가 되면서 공교육이 학생에게 발언권을 주지않았는데요. 정말 오랜세월동안 청소년들에게 자기 생각을 길게 말할수 있는 발언권을 주지 않은것 같습니다. 학생들끼리는 깊은 대화를 나눌수 있는 정서가 형성 될수 없고 결국 자기혼자 골방에 들어가서 혼자 생각만하고 끝나는거지 그걸 사용하지 못하게 되니까요. 극소수의 학생들이 자기생각을 글로 옮겨적거나 자기생각을 발언할수 있는 대회에 나가면서 문해력이 발달 되는것 같습니다.
@andrewnathan629
@andrewnathan629 Ай бұрын
요즘 20대들보면 인터넷 글이든 책이든 읽고나서 감상을 적는다기보다 늘 적는 댓글 패턴이 있습니다. "재미도 없고 감동도 없고 이 글 보고 웃는건 저능아들 뿐이다" 라고 긴 장문의 글에는 항상 달리는 댓글이 있습니다. 이런 인간들보고 요즘들어 쿨찐이라고 이야기를 많이하죠. 쿨찐은 결국 문해력이 약해 긴글을 읽어도 이해를 못해서 글에서 오는 감정을 못느끼기에 저런 댓글을 적는게 아닐까 요즘 생각이 드네요. 그외 "길어서 안읽었다" "이해가 안된다" "문법 맞춤법 다 틀렸다"는 소리도 늘 긴글에 이런 댓글이 달리는데 글을 쓴 목적을 봐야되는데 전혀 엉뚱한걸 보면서 지적질하는걸 보면 새삼 글 못읽는 사람이 많구나하고 느낍니다.
@user-cp2hc2xk5o
@user-cp2hc2xk5o Ай бұрын
2:40 저는 이미지부터 떠오르고 언어로 정리하는 편인데 신기하군요
@user-sh9zx7fm4q
@user-sh9zx7fm4q Ай бұрын
나도 이미지로 생각하는데 언어는 깊이를 키우지만 불안을 형성할 확률이 높고 명확도를 떨어트린달까 실제를 못보게 어느정도 막아버림 나는 어릴 적부터 책을 많이 읽었는 데 책 읽는 건 타고나는거라는 생각이 있음 나는 몰입해서 10시간 넘게 한자리에서 책 읽고 있는데 10분도 책 못 읽는 사람이 태반 나는 어릴 적 책 읽기전부터 중력이나 고무줄 길이에 따른 음변화등에 의문점을 품음 책 읽는 사람 도서관에 오는 사람 극소수 회백질의 밀도가 유전자나 사회환경에 의해 어느정도 정해지고 그것이 성격을 형성하고 그 성격이 책 읽는 사람을 만드는게 아닐까?
@shawnlee3104
@shawnlee3104 7 күн бұрын
이 영상마저 다 안보고 댓글 결론 없나 찾아보는 한국인
@ryanpark1107
@ryanpark1107 10 күн бұрын
문해력. 글을 이해하는 능력. 여기서 글은 긴 글을 의미한다, 호흡이 긴. 문자메시지, 톡, 소셜미디어 등은 글이 아니다. 말에 더 가깝다. 문해력을 높이는 길은, 글에 많이 노출되는 것이다. 글은 생긴 지 오래되지 않았다. 5천년, 한국의 경우 2천년 정도이다. 즉 자연스럽지 않다.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책을 읽어야 한다.
@via_eunis
@via_eunis 26 күн бұрын
하..이미 30살이 넘어버린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하는겁니까? 흑흑 지금이라도 독서 죽어라하면 좋아질까요? 제발 그렇다고 말씀해주세용~~ 😭
@joafin19
@joafin19 Ай бұрын
어릴때 공부 안하고 주구 장창 무협지만 읽은 애덜이 언어 수능 시험은 비교적 잘 보더라. 거기에 한문도 나오고 많이 읽다보면 문해력이 올라가나 봄. 요즘엔 꼭 읽지 않아도 책 읽어 주는 프로그램으로 들으면서 해도 문해력 올라 갈듯. 결국엔 기본은 많은 단어의 깊은 이해와 그 단어들이 모여서 문장이 모여서 책이 된 긴 맥락을 얼마나 깊게 파악하는게 문해력인듯. 그래서 평생 공부해야 되나 봄.
@user-go9zb8sj3l
@user-go9zb8sj3l Ай бұрын
물론 주변 상황 이런 거를 전체적으로 따져서 '이 말이 이런 상황 나올 만한 게 아니다'를 생각하는 게 있어야한다는 건 동의하는데 대신할 수 있는 직관적인 단어들이 많은데 그걸 굳이 쓰면서 못 알아들었다고 수군대고 불이익을 주는 사회도 문제가 많다고 봄. 불필요한 갈등을 초래하는 일임. 심심한의 경우는 어릴 때부터 사용하지 않은 사람들은 확실히 혼동이 될 만한 단어고, 금일은 '오늘'이라는 일상에 더 잘 쓰이는 단어가 있는데 굳이 안 써도 되는 말이라고 생각함. 쓰는 사람들이 대체로 갑의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으니까 그냥 넘어가는 거지ㅋㅋ 게다가 '금일'은 애초에 일제식 표현임. 일제 시대랑 까마득한 차이가 있는 젊은 사람은 못 알아듣는 게 정상임. 대신할 수 있는 단어가 있으면 굳이 어려운 단어 안 쓰고 알아들을 만한 단어를 쓰는 거야말로 또 다른 어휘력이라고 봄.
@SheeP-sc2ud
@SheeP-sc2ud 26 күн бұрын
어원이라는 차원에서 한자를 어릴때부터 접해야되는것같아요. 어원을 알아야 그것에서 파생되는 단어와 함축적이고 중의적인 의미를 알수있으므로... 언어유희의 세계로가는 첫걸음
@fartymal7831
@fartymal7831 9 күн бұрын
와. 빙고❤❤❤ 정확한 말씀
@user-je8xb8rj9i
@user-je8xb8rj9i Ай бұрын
책을 잘 안 읽는 한국인들 문해력이 떨어지는 이유가 있었네요. 그래서 아이한테 독서를 많이 시키고 있어요. 독서를 많이 시키니까 이야기 책을 만들어 놀더라구요.
@HJ-xt3cm
@HJ-xt3cm Ай бұрын
근래들어 단편적인 정보전달 차원에서 책과 유튜브를 동일선상에 놓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되는데, 이미 책을 읽어낼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많아졌다(정확히는 좋은 책을 골라 제대로 읽어본 경험이 없다)는 방증이 아닐까 싶네요. 물론 책도 책 나름이겠습니다만
@na-bx7mn
@na-bx7mn 11 күн бұрын
머지 않아 한자세대가 다 물러가고 났을 때 울나라의 언어생활은 굉장히 달라질거라는 생각이 드네요.한자 모르는 시대가 오고있습니다 지금도 기자들에게 이역만리를 한자로 써보라면 二億萬里 라고 쓴 기자들이 많다네요.
@user-ve6um8bd2m
@user-ve6um8bd2m Ай бұрын
제 자식도 키우면서 어려서 한자5급까지 겨우 습득 시켰습니다. 지금은 어른이 되도록 시험공부에 메달려 독서는 안했습니다. 아이가 대학교 다닐때 한자글을 어려워 하더라구요.....영어는 졸라 하면서.....독서의 중요성을 깨닫게 됩니다.
@user-fu9ur7mg6d
@user-fu9ur7mg6d 19 күн бұрын
찬반이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인 한자를 배워두면 우리말과 글의 뜻을 쉽게 알 수 있고 훗날 일본어나 중국어를 배우고자 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rumi7076
@rumi7076 Ай бұрын
와우 이 강의를 40대에 듣게되다니 ~ 이제라도 총명해질 수 있으려나 ㅎㅎ
@user-th6kb1iy6m
@user-th6kb1iy6m Ай бұрын
유튜브 볼 시간에 신문과 책을 보시면 가능해질 듯
@user-es3vf5fv1u
@user-es3vf5fv1u Ай бұрын
뇌의 가소성을 믿고 해봅시다!
@kbkre56
@kbkre56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user-th6kb1iy6m
@user-ng2cw3ry8j
@user-ng2cw3ry8j 23 күн бұрын
기본적인 한자를 모르니 우리말 단어가 무슨 뜻인지 모릅니다. 문해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user-vq4em8le3i
@user-vq4em8le3i Ай бұрын
박사님이 말씀하시는건 100배 옳습니다. 그리고 너무 뻔한 얘기이지요. 중요한건! 책을 잡으면 집중못해서 잘 읽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책을 읽기싫어하는 거에 앞서서 1차적인 문제는 책을 잡고 오래 읽지못하는 이들에 대한 해결책을 알려주시는게 이 영상의 의미가 더 클거같습니다.
@user-lw4yx3hy3y
@user-lw4yx3hy3y Ай бұрын
스마트폰이 요물입니다 책보다 손쉽게 접할수 있는 자극적인게 너무 많아요
@geerapiujrpiun
@geerapiujrpiun Ай бұрын
자기가 재밌게 읽고 싶은 책들부터 시작하세요. 사서 바로 안 읽어도 되고, 쟁여두었다가 나중에 조금씩 읽어도 됩니다. 읽다가 지루하면 다른 책으로 넘어 갔다가 나중에 다시 읽어도 됩니다. 힘들면 몇달 쉬어도 돼요. 대신 눈에 보이는 곳에 전시하세요. 독서는 재밌어야 해요.
@jiktong
@jiktong Ай бұрын
책을 읽으면서 네이버 어학사전을 켜라 그리고 모르는 낱말의 한자어가 무슨 뜻을 갖고 있는지 한번쯤 찾아봐라 그럼 어휘력 문해력이 크게 늘어난다. 결국 이 문제는 한자교육을 완전히 등한시한 결과다... 한자를 읽고 외울 필요는 없는데 최소한 어떤 발음에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는 알게 했어야지...
@Alex.NT-1
@Alex.NT-1 Ай бұрын
길게 푸셨지만 한마디로 말하자면 ‘유튜브 때문이다’ 문해력 떨어지는 이유도 유튜브로 보고 있으니 원.
@user-fu9ur7mg6d
@user-fu9ur7mg6d 19 күн бұрын
문해력이 떨어지는 대표적인 예.
@diakonia2
@diakonia2 21 күн бұрын
축구와 태권도 다르지 않습니다 골프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세 안 배우면 나중에 고치기 힘들고 레벨 업 안 됩니다😊
@kiwonlee3794
@kiwonlee3794 Ай бұрын
괜찮습니다. 시대 상황에 맞게 다음 세대는 잘 진화할 것입니다. 이거 보고 아~ 우리 아이들 어쩌지 하면서 죄책감과 조바심에 억지로 책읽으라고 아이들 닦달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독서는 스스로 재밌어서 하는 겁니다. 급변하는 시대속의 세대간의 단절은 자연스러운것입니다. 그 원인이 언어에만 있겠습니까? 살아온 배경이 극단적으로 다르니 당연한 것이지요. 단지 반성해야하고 조바심 가져야할 곳은 교육시스템을 만드는 분들이어야죠. 우리가 해야할 일은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로 시대에 맞는 질 좋은 교육시스템을 가꾸어가는 것에 있지 않을까요?
@user-gd3wc5qr1x
@user-gd3wc5qr1x Ай бұрын
ai 와 맞서 싸우고 잘 사용하고 스카이넷이 인류를 향해 핵을 날리지 않게 교육시켜야 합니다
@user-yi8mo8kv2o
@user-yi8mo8kv2o Ай бұрын
최근 20.30대와 일을 하면서 대화가 안된다는 느낌이 많아지니 아예 말을 안걸게 됩니다. 업무상 짧은 대화에도 고스란히 묻어나오는 답답함이 과연 저만의 문제일지 궁금하네요. 시험으로 평가만 하면 된다는 우리 교육이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user-gd3wc5qr1x
@user-gd3wc5qr1x Ай бұрын
@@user-yi8mo8kv2o 저도 2030대와 말을 안해요 엠쥐세대라고 하죠 답답하고 개인주의적인데다가 귀차니즘에 빠져있는 무기력한 세대라고 밖에 안보여요 이들에게 내 노후를 맡길 생각을 하면 차라리 ai로봇이 상용화 되고 인류의 에너지자원전쟁이 우주시대로 열려 서민들도 그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랄 뿐입니다
@user-michaella
@user-michaella 23 күн бұрын
질 좋은 교육시스템이라고 말씀을 하셨고, 박사님이 독서를 하라는 말과 결국은 일맥상통하는 게 아닐까요? 지난 20년 가까이 질 좋은 교육시스템을 만든답시고 토론과 발표 교육, 쉽게 이해하는 교육을 만들어왔더니 교과서의 글의 양도 현저히 줄었습니다. 적게 읽게 해놓고, 말과 글로 자기 표현하라고 시킵니다. 그러니까 잘 안되는 거에요. 그리고 또 하나, 오히려 초중고생들은 대입때문에 읽어요. 오히려 성인이 된 20-30대가 독서를 거의 안하게 되었고 이 때가 유튜브 들어온 시기랑 맞물린다네요. 문해력은 우리 아이들의 얘기가 아니에요. 되려 90년대생,2000년대 이후 성인들의 얘기에요.
@user-fu9ur7mg6d
@user-fu9ur7mg6d 19 күн бұрын
강요는 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러운 환경은 만들어 줄 수 있으리라 봅니다.
@user-re4tl2qp7b
@user-re4tl2qp7b 18 күн бұрын
요약좀요
@ScientificAnalyses
@ScientificAnalyses 17 күн бұрын
현실이 법칙으로이루어져있다면, simple is the best. 기존패러다임이 그 생명과 영광을 위해 쓰잘데기없이 덧씌워지고 인공호흡기 달고 헉헉대는 고인물세상이 되어있음을 새싹들이 방증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만.
@seungjinbaek3703
@seungjinbaek3703 19 күн бұрын
한글 문해력이라는데 한글이 아니라 한자어 문해력이겠지...!!!!! 한저어표기를를 한글로 표기한 단어들의 뜻을 모르는거지...
@jihwan7822
@jihwan7822 19 күн бұрын
오! 마이 사이언스!!
@hodococo
@hodococo Ай бұрын
오 마이 사이언스!
Each found a feeling.#Short #Officer Rabbit #angel
00:17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Смешиваем Разные Цвета 2!
1:00
КОЛЯДОВ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路飞一家人都变成丧尸了#海贼王#路飞
0:38
路飞与唐舞桐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Pedro 😰😰😰😰😰
0:59
Jane & Sergio 🥰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Кровоточащее Дерево 🤯
0:28
MovieLuvsky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