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이 선생님은 인생을 후회없이 사신것 같음.. 이정도면 성공했다고 볼수 있지 않을까..
@gimmethat988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출신에 1타 강사면 말 다했죠. 아마 연봉도 몇 억 넘을 듯
@공식-r5q7 жыл бұрын
1타 강사들 계약금 50억 이상..;
@멍충이-v9n7 жыл бұрын
메가스터디 현우진쌤 계약금만 100억
@leejay99537 жыл бұрын
완전 성공한인생이지
@종혀크7 жыл бұрын
단순히 돈만으론 성공 했다고 할 순 없지 않을까요??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행복한,후회없는 삶을 살고있을때 성공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민혁-q6o6 жыл бұрын
3월모고 522343이었는데 5지게 노력하니깐 211111됬어요!!!! 여러분도 포기하지말고 화이팅하세요!!! 포기는 배춧 셀 때나 쓰는 말이라는 생각으로 공부하면 성공할 수 있어요!!! 화이팅!!!!!
@갸갹갹-b9f5 жыл бұрын
와 대박 ㅠㅠㅠㅠ 기받아갑니다
@안지혜-l2p5 жыл бұрын
국어 왜 2인지 알것같음 됬 -> 됐
@anything1615 жыл бұрын
우왕 ㅠㅠ 기 받아갑니다!!!
@Ranocy5 жыл бұрын
됐...
@lat87335 жыл бұрын
@@안지혜-l2p 도랏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ihye09164 жыл бұрын
지금 이지영쌤은 저렇게 이야기하신거 후회해요 너무 몸이 상해보고 죽을뻔하셔서 저렇게 하면 안된다고 먹고싶은거 먹고 자고싶으면 자라고 지금은 이야기하고 계십니다
@gapdol4 жыл бұрын
이지영은 10년을 그렇게 살아서 그런거고, 고3 1년정도는 저렇게 살아도 됨
@ae-cb6yn4 жыл бұрын
이지영t만큼 공부하는 애들이나 해당되는 말 같음
@구구구궁뾰로3 жыл бұрын
@@wodhdavid1227 근데 그 사람은 매일 매일 7시간 자고 10시간 이상 공부했을거임 3년 동안 거의 빠지지 않고
@0o0-h6k3 жыл бұрын
@@gapdol 원래 이렇게 사는게 옳은건 아니지만 행복을 생각하긴 너무 사치인 나이지....그냥 생각없이 하는게 맞음 입시판에서 살아남을려면
@boringmilly3 жыл бұрын
@@wodhdavid1227 같은 시간을 투입해서 공부해도 평범 실력의 학생이랑은 출력이 다를듯
@janded7369 жыл бұрын
정말 저 말은 진리임. 픽 쓰러지기 전까지 무언가를 해야됨.
@goodlifeyo856 жыл бұрын
동의하기힘듬 아마 저 선생은 건강해서 약한다는 걸이해못하는듯
@bssn39665 жыл бұрын
픽쓰러지면 회복하는데 시간 날림
@예림-f4b4 жыл бұрын
@@goodlifeyo85 저쌤 겁나 아프셨는데
@이름쉬운8 жыл бұрын
하루 수면시간을 고려하지 않는다는것 공감되네 세상에서 제일 어리석은게 한계를 정해놓는것. 사람은 정말 빡시게하면 3일밤을샐수도있다던데 한계따위 버리세요 여러분, 전 이것을 대학생때 알았습니다 ㅠㅠ
@ptoapt50246 жыл бұрын
건강도 버려요 그렇게 밤새고 과제하다 제친구는 실려갔습니다
@lazy97026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ㅠㅠㅠㅠㅠ 공감 대학 과제하면서 내 몸의 한계시간을 알아가는듯 ㅋㅋㅋ
@Kim_juuuu6 жыл бұрын
일이 너무 많아서 30시간 근무해봤는데 진짜..밤샘은 건강 진짜 팍 상하는거같아요..
@정재현-c6h6 жыл бұрын
시험기간에 남들 보다 잘 보려고 4일동안 안 자고 밤 샜는데 시험 끝나고 그대로 집가서 옷도 못 갈아입고 쓰러져서 다음날 오후에 일어남..1시에 집와서 바로 자서 다음날 5시 ..물론 오후
@화니킴6 жыл бұрын
공부 못하는 애들 특) 깨어있는 시간 활용못하고 쓸데없이 밤잠줄여 공부하고나서 난 공부열심히 했다라고 자위함 이상 4년 전액장학생이 씀
@wow45067 жыл бұрын
몇몇분들 잠을 몇시간 이상 안 자면 몸 상하고, 이런 경쟁주의 부추기는 발언 부적절하다고 말씀하시는데, 이 강의는 어디까지나 '높은 등급 받아서 명문대 가고싶어하는 수험생' 들을 대상으로 한 강의라는걸 잊고 계신 듯 하네요. 이지영쌤은 그 '수험생들'에게 필요한 말씀만 해주고 있으신거같은데
이렇게 말씀하셨지만 현재 결국 아프고마셨죠 ㅠㅠ 빨리 조속히 쾌차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일로 많이 주무시길 바래요 부디... 쌤이 건강하게 오래사셔야죠 ㅠㅠ
@공부나하자-b5r5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괜찮으시죠??
@박선영-b2f7k9 жыл бұрын
ㄹㅇ마즘여...진짜졸릴때자면 쫌만자두 꿀잠잠
@양딸기-v8n8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졸다가 휴대폰키고 유튜브 봤더니 이영상이 딱
@이이이-j9b8 жыл бұрын
반은 찬성이지만 반은 반대야. 물론 나도 2시간 자고 새벽 1시까지 강의 듣고 자습 해봤지만, 피곤함은 못느꼈지. 하지만 이러한 체력을 갖고 있는 나도 5-6시간 자려고 노력한다. 왜냐, 컨디션에 따라 피곤함을 느낄수있고, 못느낄수도 있지. 강의 시간 졸면 하루 자습도 망하는 거라 어쩔수없이 잠을 청한다. 강사들이 말하잖아, 자습 보다 강의시간 잘 들어라 하는데, 저렇게 공부하라는건 모순적이지 만약 어떤 기본개념 강의를 2-3번 듣고 자습만 하는 사람들은 저렇게 공부하는게 맞는거고, 학원 다니는 사람들한테는 비추천이다.
@호용-l4c6 жыл бұрын
아니 이 빡대가리들은 왜이렇게 3시간에 집착하냐 저분 말씀의 요점은 3시간이 아니라 자야되는 시간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그 아까운 시간에 할 수 있는만큼 뭐라도 해보고 진짜 잠을 못이길 정도가 될때 자보라는거잖아 그니까 그만큼 노력을 해보라고 조언을 해주시는건데 왜이리 3시간만 자면서 노력하고 살아라고 강요했다는듯이 얘기하며 비판하고 그렇게 살다가 병걸린 분들의 이야기를 하는거지? 너네 병걸리라고 3시간만 자라하셨니? 한번쯤은 그렇게 최선을 다해보라고 얘기하시는거잖아 왜이리 이분을 못까서 안달이냐 뭐라도 트집잡으려는거보니 추하다 얘들아..
@EUN._.N6 жыл бұрын
ㅇㅈ 저분은 평생을 적게 잤으니까 무리가 갈만 한거고 개소리다 뻭빽거리는 애들은 평생을 자고 싶은 만큼 처잤으면서 자야된다고 합리화하는 걸로밖에 안보임ㅋㅋㅋㅋㅋㅋㅋ
@권윤주-f6q5 жыл бұрын
진짜 난독자 엄청 많은듯요 그게 핵심이 아닌데 3시간이라는 글자에만 집중들 하고 있어요
@ourdyouth7 жыл бұрын
이 말이 필요한 학생들도 있단거 부정 못합니다. 진짜 한심하게 공부하는 학생이 그렇죠. 근데 열심히 하고 잠 쪼개가면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들어야 하는 얘긴 아니에요. 진짜 일 년, 몇 달을 길게 하는게 수험인데 저런짓 매일 하면 맛 가요. 한번쯤 자신의 수면시간을 의심해볼 필요는 있지만, 한 일주일 독하게 해보고도 아닌건 아닙니다. 저는 고작 이틀 밤새고도 몸 아작나서 회복하는데 일주일 걸렸어요. 고3때 안쓰러울 정도로 열심히 공부하던 친구가 잠을 자꾸 줄이고, 또 줄여야만 한다고 생각하는거 옆에서 보고 정말 마음 아팠는데, 혹시나 그런 학생이 이 영상 보고 자책할까봐 댓글 남겨봐요.
@yyetttky20896 жыл бұрын
lisa Cheong 3시간씩 자면서 수업듣고 하는데 문제가 없다는건 말이 안됩니다 지금까지 괜찮았다는건 그냥 운이 좋았을뿐 사람이 잠을 자는 행동은 욕구를 채우기 위한, 게으름을 표출하기 위함이 아니라 자기 몸에 쌓인 피로와 독소들을 분해하기 위함이에요... 아무리 건강한 사람들도 3시간 수면으론 몸이 위 작용을 하는데에 있어서 터무니 없이 부족한 시간이고 심하면 죽을수도 있습니다. 잠을 줄이고 싶으시면 5~6시간정도가 적당합니다.
@dentalhygienist7 жыл бұрын
잠도 안 오는데 자려고 노력하면서 침대위에 누어서 폰만지고 친구랑 연락하고 그거 할 시간에 공부하면서 잠들어라는 말을 왜 사람들이 비딱하게 받아들이지..
@이동건-s5s5 жыл бұрын
뜨끔하니깐 그런듯
@이하은-q4m8 жыл бұрын
와......신은 선물을 줄때 신문지에 싸서주는데 더 큰선물을 줄때는 더 큰 신문지에 싸서 준다....명언이네요
@Coom-Chuck7 жыл бұрын
이하은 ?
@홍승연-u3g7 жыл бұрын
신문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김민수-c9s6 жыл бұрын
ㅌ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
@Lazernes6 жыл бұрын
신문지 미친ㅋㅋㅋ
@날개-l1n6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ytsejjam8 жыл бұрын
오오~~ 맞아요. 저도 늘 그래요. 술마시면 늘 언제 잤는지도 모르고 왜 내가 침대에 있나 몰라요. 정말 개공감
@러보-o4s8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 이 쌤을 알았다면 좀 변했으려나....요즘은 인강도 좋고 좋은 샘들도 많고 세상 좋네요...
@주휘-u6k8 жыл бұрын
이민경 과연?
@seolip74987 жыл бұрын
지금 현재의 당신도 충분히 아름답습니다.
@user-ou22g8z227 жыл бұрын
pu op ㅇㄱㄹㅇㅋㅋ
@김민혁-f7m4q7 жыл бұрын
이민경 민경이 몇짤?
@박현태-q4x6 жыл бұрын
프로필 사진으로 남을 재단하는 짓은 대체 왜 하는 거지?
@뚜-i1e7 жыл бұрын
왜 이렇게나 많은 댓글들이 강의와 선생님을 극단적으로 비판하고 있나요? 미칠듯이 간절한 목표를 위해서 한번이라도 노력해본적이 없으신걸까요? 평생 그렇게 살으라는게 아니라 어디까지나 '대한민국 고삼'에게 하는 말이랍니다. 특수한 상황이죠. 저 강의실에는 어떤 이상이 생겨도 괜찮으니까 일년만 죽을만큼 고생해서 대한민국 경쟁 사회에서 승리하고 싶은 사람들이 앉아있는거에요. 다들 아시잖아요 헬조선 서민이 노오오오력이라고 아무리 까봤자 계속 노력밖에 할 수 없다는 것... 그런 사람들 다독여주는것도 아무나 할 수 있는게 아닌데, 옳다 그르다를 따지기 전에 저 사람이 왜 저런말을 했을까를 생각해봐야 저 영상 본 20분이 아깝지 않은거랍니다^^~
@팬시차일드7 жыл бұрын
이오 맞는 말입니다..ㅋㅋㅋ 의사들 논문 언급하며 논리에 허점이 있다며 비판하시는 분들이 이해가 안가요.. 정말 경쟁 사회에서 극단적인 노력을 해서라도 성공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하는 말인데.. ㅎ
@Fxhwofndkqncl7 жыл бұрын
저는 경륜 선수 지망생 입니다 저도 하루에 2시간 자면서 자전거를 탄적 있습니다 저는 그당시 2년정도 그렇게 훈련한적 있습니다 하침 7시에일어나서 세벽 5시에 집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다 어느날 저는 자전거릁타다 졸았습니다 그리고 4초후 저는 피법벅이었고 10분후 저는 응급차를 타고 있었고 20분후 X레이 촬영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상황은 시속 87키로로 달리다 졸았고 넘어지고 말았습니다 전치 38두가 나왔고 그때 이후로 저는 경륜을 접었습니다 잠은 정말 중요합니다 저는 21동안살면서 그때 제일 많이 다쳤고 7연을 자전거를 위해 살았지만 저는 단 한순간의 실수로 선수생활을 접었습니다 저는 양쪽 팔뼈 모두 탈골 골절되었고 먹뼈도 부러졌었고 다리한쪽은 거의 잘려나가 너덜너덜 했습니다 아직도 약을 한번에 한사바리씩 먹습니다 평생 그렇게 해야 됩니다 잘 주무시고 건강이 최고입니다 돈을 잃으면 적게 잃은것이고 명예를 잃으면 많이 잃은것이요 건강을 잃은것은 다 잃은것이다
@주님의군사6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이시온-w3g6 жыл бұрын
저도 위에답글남겻는데 진짜 할때하고 잘때자야 맞는거래요 픽쓰러지기전까지 무언가를 한다는거자체가 고3이든 누구든간에 그렇게공부하능거아니래요 그리고 자신의체력 모 한계야 다다르지만 일반적인기준을 이지영샘은 안따르시는데 이것또한 따르는것이 자신의 신체적기준과 비슷하기에 이렇게 정해진시간에 따라 자 주고 그러는게 맞는거같네요..
@EastWood20046 жыл бұрын
진짜 닭대가리네.. 책상에서 잠안자다가 조는거와 잠안자고 자전거나 자동차를 몰다가 조는거와 같냐? 머리가 나쁘니 몸뚱이가 고생하네.
@바보개-x2g6 жыл бұрын
87키로요...?
@아음-u9j6 жыл бұрын
잠 안자다 병이 나든 사고가 나든 건강 해치는 건 마찬가지고 모처럼 경험자가 귀중한 경험담 나눠주시는데 삐뚤어진 사람들이 보이네요.
@offshor7 жыл бұрын
1:35 인간이 자야될 적정 수면시간이라는건 어쩌면 우리가 일종의 억압과 속박과 굴레로 느껴오는 사회적 표준 2:47 나는 있잖아, 버틸수 있는데 까지 책상에서 버티고 필름이 끊겨서 잤어 초 공감200% 17:38 신은 인간에게 선물을 줄 때 시련이라는 포장지에 싸서 준다. 선물이 크면 클 수록 큰 포장지에 쌓여 있다.
@서-f5e7 жыл бұрын
와 왜 애들이 이지영 이지영한줄 알겠다 진짜 너무 멋있다
@꿈은부유한오타쿠8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극단적으로 피곤하면 오히려 더 잠이안오던데..잠에 빠질 체력조차도 안남아있어서 몸은 피곤해서 비명을지르는데 잠을 못자서 다섯시까지 못잔적도 있음 그때앉아서 책보면 머리가 깨질거같고 앞이안보이던데 사람 체력따라 다른거에요 하루 밤꼬박새고 다음날 하루종일 비몽사몽하면 무용지물
@팬시차일드7 жыл бұрын
조네령 맞아요 오히려 잠은 안오는데 전 몸에 바로 이상 오더라고요 위염 걸리고 구내염 걸리고 입술 터지고
@mindoran8 жыл бұрын
잠 3시간 주무신 분이 마가렛 대처입니다. 하지만 지금 그 분 치매앓고 계셔요. 물론 선생님 말씀도 옳은 말씀입니다.
@우석-i8w3 жыл бұрын
@박일ㅋㅋ 그러게요 16년이면 그때보다 3년이나 전 얘기인데 ㅋㅋㅋ
@아응-e1k5 жыл бұрын
진짜 존나 멋있다.. 뭘 했든간에 성공했을듯
@jm84988 жыл бұрын
낮시간에 하루종일 열심히하면 너무 피곤해서 일찍 잘수밖에 없을텐데...잠줄일 생각하지말고 깨어있는시간에 집중해서 공부 해보세요...직업이 그런지라 잠 많이 못자는데 건강 진짜 안좋아지고 별로에요..
@summpoo41229 жыл бұрын
항상 적어도 두시에는 자야겠지, 세시 넘어가면 내일 졸텐데..하고 잠이 쏟아지지도 않는데 침대에 들어가 삼십분뒤에나 겨우 잠들었던 적이 많았어요.. 고등학교에 올라와 왜 한번도 공부에 미쳐보지 못했을 까, 당장 학생의 신분으로 해야하는 공부조차 흐지부지하게 끝낸 뒤 성인이 된다면 또 똑같은 삶을 살지는 않을 까 반성하는 계기가 됐습니다ㅎㅎ 이지영쌤 말씀은 잠을 자지 말아라 에 초점이 맞춰져있는것보다는 자신이 하려는 일에 정말 최선을 다하라는 것에 맞춰있는거 같네요!!ㅎㅎ 앞으로 고3 1년동안 미쳐보겠습니다ㅠㅠㅠㅠ정말 감사합니다!!^^
@박유진-k5m7 жыл бұрын
이야기의 본질을 못잡은 사람이 너무 많은 것같다..
@맹꼬-m5w8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멋있으시다...
@yeonakellqueen4 жыл бұрын
지금의 이지영 선생님께서도 이 영상에서 하셨던 말씀이 틀렸다고 직접 말씀하신 걸 많은 사람들이 알아야 할 텐데
@지니-v2n9 жыл бұрын
진짜 멋있고 존경스럽다
@DalNara5 жыл бұрын
저는 대학원생인데, 보는 내내 눈물이 날 거 같았어요. 정말 언제잔 지 모르게 하루에 2-3시간을 자고 한 학기를 지낸 적도 있었는데, 저도 모르게 요새는 공부하기 싫다는 생각에 계속 핑계를 댄 것 같아요. 긍정. 성실. 발상의 전환 많이 배우고 갑니다. 예전에는 밤 새고, 화장을 하기도 하고, 운동을 하고 살았는데 덕분에 다시 삶을 돌아보게 됬어요. 이지영 선생님처럼 정말 후회없이 가득차고, 더 나은 나를 위해 멋진 삶을 살아가야 겠어요. 고맙습니다.
@earthyungil2 жыл бұрын
하루 2시간 3시간 자고 공부하고 운동하고 했는데 다시 공부하기 싫어지는거로 돌아갈수도있군요
@이연주-x9u8r6 жыл бұрын
잠은 중요해요 사람마다 4시간을 자고 1년을버티는 사람도 있지만 7시간을 자지못하면 몸이 버티지못하는 사람도있어요 이건 노력보다는 체질의문제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패턴을 알아보세요! 쌤 강의는 너무좋습니당
@김현중-y4d1v8 жыл бұрын
수능 공부는 1도 안했던 학생이지만 정말 공감되는 강의 입니다 , 감사합니다 ㅜ.ㅜ
@붉은귀거북-k8g8 жыл бұрын
참...맞는 말이지.... 이 한국이란 사회속에서.... 내가 저짓을 자주햇다가 병원신세를 4달이나 졋지... 수면부족으로 면역력 감퇴...
@bpbp2338 жыл бұрын
이 선생님 너무 좋다!! 이 분한테 가르침 받은 학생들 모두 잘됐으면
@woogistar85296 жыл бұрын
근데너무신기한건 진짜맞는말인게 당시엔 정말 너무 힘들고 나를 망칠것같은 안좋은 시련들이 돌아보고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걸 깨닫게됨 조금만지나면 왜그런고민을했나할정도로 별거아님.넓게보면 심각한 일이라는건 이렇게 넓고 복잡한 세상에서 곧 잊혀지고 작은 사건이라는걸 깨닫게 됨.. 오히려 모든시련들이 각자 어떻게든 나를 좋은방향으로 바꾸어 놓음. 나를 테스트하고 좌절하고 일어나는 과정에서 배우는건 정말 버릴것도 없고 소중한 경험들임. 제발 시련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힘내세요여러분 저도이거깨닫기까지 오래걸렸어요ㅎ 진짜 인생이 지나가는 가벼운 바람이라 생각하면 모든일은 사소하고 또 중요하면서 하나하나 선물같은 삶의 과정이라는걸요.
@queenShining6 жыл бұрын
이지영선생님~~~성인인 제가 우연히 이 방송을 보게 되었어요~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주는 말씀에 잠시 가슴이 울컹했네요~열심히 노력하면 꼭 이룰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rollbackmynick9 ай бұрын
이지영쌤 되게 좋아하고 말씀도 다 맞는데 저런 말을 따를때 주의할 점이 있어요. 지영쌤은 스스로 저렇게 생각할 수 있는 정도의 능력이 있는 사람이였어요. 호소력 있고 매력 있게 설명하셔서 당장이라도 실천해야할것 같지만 내 역량이 너무 부족한 상태에서 따라가려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어요. 내 역량을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어떻게 하면 나 자신을 동기부여 할 지 스스로 탐구해 보는 것도 중요한것 같아요.
@handle-v7r7 жыл бұрын
높이 뛰지 않는 벼룩 이야기도 중요하지만,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가 가랑이 찢어진다는 말도 있어요. 그러니깐 자기가 자기 스타일을 아는 것도 중요한 거 같아요. 잠을 많이 자는게 자신에게 맞으면 그렇게 하는게 좋은거 같아요.
@WOONGCHANIC7 жыл бұрын
진짜 자신과의 타협, 합리화라는게 없으신분이다..... 존경합니다...
@장장장-b1l6 жыл бұрын
수능끝나고봐도 한마디한마디가 너무 와 닿는다.. 내 수험생활 매일 12시에 누워 선생님 영상보며 매일매일을 다짐했던 날들이 떠오른다.. 정말 고3 ,재수까지 나의 정신적 지주이셨다.. 감사합니다ㅜㅜ
@user-lz8gx7qz3e7 жыл бұрын
나폴레옹의 부관이었던 브리엔은 나폴레옹이 절대 조금 잔 적이 없다고 했고,실제로도 전쟁중에 잠든적이 있다고 하네요 나폴레옹이 졸아서 역사를 바꿔놓은 전투도 있고..또 에디슨도 낮잠을 많이 잤다고 합니다 저렇게 안자면 말년에 침대에 누워서 지내야돼요....실제로 마가렛도 말년에 뇌졸증으로 사망했대요.케바케겠지만 조심하세요 _지나가던 역덕후
@이예찬-p7i5 жыл бұрын
전쟁 중에 졸아서 역사를 바꾼 전투는 뭐에요?
@jongpil_beer6 жыл бұрын
근데 결국은 지영쌤 건강이 얼마나 나빠졌었는지도 알아야죠... 지금은 괜찮아져서 복귀 하셨지만 건강문제로 강의중단 하시기 전에 목소리도.. 정말 나빴고
@김단비-y4c8 жыл бұрын
서른 넘은 예체능계 선생님이 이 영상 보고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정신이 번쩍나네요!
@창원남자-s8j6 жыл бұрын
와 말진짜 잘하시고 이해가 잘되요
@Chargeee6 жыл бұрын
이지영 선생님 결국 건강관리에 실패하신...ㅠㅠ 너무 적은 수면시간으로 장기간 버티기는 건강을 해칠수밖에 없는거같아요
@이호랑-q7f6 жыл бұрын
패혈증은 칼이나 오염된 것으로 인해 발생되는 거라 무관함니다...
@dureup6 жыл бұрын
@@이호랑-q7f 하지만 장기적인 적은 수면시간은 면역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아예 무관하진 않아요...
@박성실-c2r6 жыл бұрын
본론은 무엇에 더 가치를 두고 목표와 뜻한바를 이룰거냔 거죠 건강을 더 중하게 생각하시면 건강한 대신 미래는 버리시면 되구, 무언갈 얻으려면 지금 내가 가진 모든것을 걸어야 얻을수 잇잔아요. 아주 당연한 이치인데 이를테면 시간 젊음 열정 전부를 쏟으란 거에요 과해서 좋을 것은 없지만 선생님은 건강에 관해 말하시는게 아니라 목표에 관해 말하시는 거에요:)
@박성실-c2r6 жыл бұрын
요지는 그게 아니란거죠....
@김김-z2l6 жыл бұрын
@@박성실-c2r 아주 급한거 아니면 목표 달성에도 수면이 아주 중요하죠... 나폴레옹 이런 애들 4시간 자고 정상생활 했다는거 다 구라입니다
@skdidufjfndbde2 жыл бұрын
특수 유전자에 따라서 4시간자도 괜찮은 숏슬리퍼가 있고, 6~8시간 자야되는 롱슬리퍼가 있습니다. 각자 적정 수면량이 있으니 잠은 몸에 맞게 충분히 주무시길
@Akstp11404 жыл бұрын
지영쌤 건강은... 수험생떄도 저렇게 독하게 하셨는데 계속 잠을 안자고 일만하셔서 안좋아진거라구 생각해요 나에게 확고한 목표가 있다면 1~2년 정도 노력해야한다면 저정도로 독하게 하려는 생각과 의지는 실행력은 있어야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ceoyang Жыл бұрын
결국 이분은 쓰러진 후 이 발언에 대해 후회하셨다고 합니다.
@chansung48459 жыл бұрын
하루 4시간 수면으로 유명한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 2년전에 뇌졸증으로 돌아가셨습니다 4시간이하 수면으로 알려진 역사적 인물들 대부분이 낮잠보충으로 실제 수면시간은 더 잤습니다 4시간만 자고 집중 가능한 사람인 극단적 쇼트 슬리퍼는 극히 드뭅니다 단기간이면 몰라도 심혈관질환, 탈모 등이 우려되네요 수면 시간은 노력이 아니라 유전입니다
@Luckywinner169 жыл бұрын
+chan sung 맞는 말씀이지만 이 강의의 주된내용은 적게 자라가 아니라 버틸수있으면 할수있는한 최선을 다하고 잠을 자라는것 같습니다
@spaghetti154979 жыл бұрын
하지만 팩트는 알아야죠. 자신의 몸과 맞지도 않는데 무리하게 수면을 3시간으로 줄일경우 몸에 무리가 생깁니다. 결국 건강은 운동, 식사, 위생, 수면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수면을 줄이면 수명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jamkevin019 жыл бұрын
+hongsic eom 노오오오오력이요?
@wbl81009 жыл бұрын
+chan sung 수험생들에게 4시간씩 자라가 아니고 최선을 다하라는 부분을 강조해주고 싶네요... 인류에서 정말 하루 4시간씩 자고 이상없이 생활할수 있는 사람들은 정말 극 소수이고 이런 유인들도 사실 수면 박탈로 읺해 많은 증상과 휴유증을 보인게 알려졌구요. 저도 외국에서 공부했을 시절에 상위건 친구들도 4시간씩 자면서 공부하 않았고 대신 깨어있는 시간에 효율적으로 공부했죠. 물론 어쩔수 없이 밤새가면서 과제를 하고, 시험준비를 해야하는 극박한 상황이 있을수도 있지만, 수면 부족으로 일어나는 생리학적 현상들은 많은 연구와 논문들로 알려져있는게 사실이고 외국에서 더 이런부분이 더 잘 응용되는거 같아요. 어떻게 보면 옛날에 헝그리정신으로 운동 했던 시절이 있었지만 요즘 시대에는 과학적으로 다가가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네요. 하나 목표를 이루려면 희생과 노력이 필요한건 맞습니다
@ori55817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아니 의학논문에 잠을3~4시간 자면서 1년이상 버티는 사람은 전세계 인류의 1프로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혀져있는데도 노력타령하네... 단순히 노력하면 인간이 초인류적인 존재가 될수있냐?
@silver.00k2 жыл бұрын
마가렛대처는 하루 3~4시간 자다가 결국 수면부족으로 인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oops5009256 жыл бұрын
수면의 양과 질은 건강에 직결돼요 선생님 아팠던 것도 이런 날들의 축적일 수 있습니다
@turutur_123456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안해도 자기 스타일대로 매일매일 꾸준히 하면 후회없이 시험칠 수 있습니다. 저런 스타일로 못한다고 죄책감가지지 마세요.. 존경스러운 생각이지만 저렇게 해야지만 다 되는건 아닙니다. 건강도 챙기세요.
@user-modori097 жыл бұрын
우연히 들린 대학생인데 정말 이로운 말을 해주시는 분이다..
@기뻐하는라이언-j2d8 жыл бұрын
진짜소름.. 큰깨달음을주네요..
@김태양-v2f5 жыл бұрын
똑똑하게 공부하세요. 질을 올리는게 1순위고 양이 2순위에요. 질이 떨어지면 하루 공부 16시간 전부에 영향이가요. 식사시간 이동시간 수면에 들기까지의 시간 을 줄일대로 줄여보고 그다음에 수면ㅅ간을 줄이고 질과양을 따져 머리에 남는 양이 줄기 전의 임계값을 찾는게 맞습니다. 새로운걸 배우는 일은 이미 적응되어 최적화된 일보다 과부하가 걸리니 잠을 무조건 줄이는건 비효율적이에요.
@juju0108 жыл бұрын
바보같은 어른들의 말...그 부분 진짜 멋있다...
@goun13039 жыл бұрын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ykj92116 жыл бұрын
오늘 임용떨어졌는데ㅠ 이영상을 빨리볼걸 그랬네요ㅠㅠㅠ 다음 임용은 더 열심히 할겁니다!! 화이팅
@김동윤-u4n9 жыл бұрын
진짜 아름다우시네...
@네오뱅시티6 жыл бұрын
진심이 느껴집니다. 진심어린 조언 감사합니다 이지영 선생님
@지원-d6w6 жыл бұрын
하지만 이지영 선생님 결국 엄청 아프셨죠.
@김상수-h2c7 жыл бұрын
위험한 이야기입니다. 사람마다 다릅니다. 예전에 공부할때 수면시간 생각 안하고 할수 있을때까지 하잔 생각으로 공부해서 새벽4시정도까지하고 잤는데 다음날 피곤에 짤어서 아무것도 못했습니다.
@장재혁-l6b6 жыл бұрын
그것도 케바케더라구요
@gyujinhan44846 жыл бұрын
김상수 그래서 니 대학은
@유세풍-r2l6 жыл бұрын
D_va say GG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그님대 ㅋㅋ
@e_mil_euzen6 жыл бұрын
일찍 일어나는게 나아요...시험기간이라 1시 반에 자고 5시에 일어납니다..
@김지후-w7v6 жыл бұрын
클로에 그거도 케바케 ..
@user-fy7nt5dq9j9 жыл бұрын
멋있으세요.. 깨달음을 주는 말씀이었어요 감사합니다!
@Growing-lv5cv3 жыл бұрын
성인이 되니까 걸러서 듣게 된다 어떤 걸 말씀하시는진 알겠다
@녜-j2n4 жыл бұрын
아니 ,,; 잠을 자지말라는 게 아니잖아 그리고 강의 대상은 수능을 앞둔 수험생들이고. 평생을 그렇게 살라는것도 아니고. 사람마다 체력도 다른데 잠을 별로 안자도 괜찮은사람이 있듯
@greeny57548 жыл бұрын
와...갓지영 선생님...진짜 존경스럽습니다ㅜㅠ
@Jiyu-p5t9 жыл бұрын
성공이라는 선물은 시련이라는 포장지에 쌓여있다는 말 너무 가슴에 와닿네요 정말 노력으로 세상에 보답받는 인생을 살아야겠다는 생각 굳게 드네요ㅠㅠ 존경스럽습니다❤
@채원-k9b6 жыл бұрын
선생님 너무 위로되고 좋아요~
@portd42004 жыл бұрын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정하는 순간 그 한계에도 도달하지도 못한 채 그 언저리만 맴돌게 됩니다. 만약 스스로 "나는 잘 해도 80점이 한계일 거야" 또는 " 2등급만 받아도 소원이 없겠다"라고 생각하는 순간, 그 사람은 6~70점대도 버겁게 성취하는 인생을 살게 될 것이고, 그러한 현실을 세상탓으로 돌리며 살아갈 것입니다. 자신의 무한한 가능성을 믿고 한계가 없는 미래를 꿈꾼다면 그 사람이 이루지 못할 성취는 없습니다. 단, 기억해야 할 명제가 있습니다. 꿈도 꾸지 못할 원대한 목표를 이루고자 한다면, 꿈도 꾸지 못할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누구나 쉽게 이룰 수 있는 것이라면 꿈이라 할 수 없습니다. 원대한 꿈과 그에 상응하는 노력을 담대히 감내할 용기를 가진다면 여러분의 내일은 오늘과 다를 것입니다. 하나만 기억하세요.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사람은 남들이 보기에 비현실적인 미래를 꿈꾸는 담대한 모험가가 아닌, 자신의 한계를 정해놓고 자신이 선택한 현실을 후회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의 내일이 더 나은 미래가 되길 희망합니다.
@김민재-t9j4d4 жыл бұрын
저것도 되는사람이 하지 저대로 해봐라 의지 없이 암 걸려서 20대에 요절한다 의지랑 노력이다 본인이 해내는 거 아닙니까ㅎㅎ 영상 감사합니다 정말 잘보고갑니다
@oasbeatle59886 жыл бұрын
이쌤 존나 멋있고 공부방법 맘에드는데 아픈이후로 신빙성이.... 맨날 자기 늦게자면서까지 공부했다고 3,4시간 잤다던 선생님들 진심으로 나중에 졸라 아프심.....이쌤만이 아니라 다른 쌤들도. 경험해보고 느낀거. 버릇되서 나이먹고도 계속 늦게 자니까 고3끝나면 규칙적이게 많이 자세요
@ab1z25 жыл бұрын
여러분 고3 때 아직 젊어서 지영쌤 말도 맞지만 흔히 애니메이션에서 말하는 악마의 거래가 인간한테는 수면시간과 건강이라고 보시면 돼요. 목표를 위해 잠을 줄이는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큰 손해가 될 수도 있어요 상황에 따라 맞춰 사세요. 몸이 약한데 잠을 줄인다? 엄청 치명적이에요. 평소 운동 꾸준히 하고 건강하게 먹고 체력 비축해놓았다가 필요할 때 잠 줄이고 이런 식으로 하세요. 모든 사람이 몸이 같지 않아서 적정 수면시간이 다 달라요. 연구 결과 적정 수면이 4-5시간인 사람도 있어요. 근데 몸에 맞지 않는다면 7시간을 주무시더라도 휴대폰 덜 보고 엉뚱한 곳에 집중하지 않고 이동 시간도 최대한 줄이면서도 충분히 공부 잘 하는 사람들 많아요.
@다이먹터6 жыл бұрын
이지영쌤같은 생각가지면 무슨일을 하던 성공을 안할수가 없을것같아요.. 정말 많이 배워갑니다 이런말을 들은 계기로 저도 꼭 뭔가 한분야에서라도 성공한 사람이 되도록 할게요 감사해요
@cker03899 жыл бұрын
멋지고 사랑스러운 강의~!
@하리-h6z6 жыл бұрын
진짜 가슴이 울렸어요. 포장지를 뜯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sobulgogibaekban28696 жыл бұрын
삶에 귀감이 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누웠다가 바로 일어났습니다.
@조재형-s2e9 жыл бұрын
3시간씩 자는것도 체력이되야 하는거임 나중에 나이먹어서 힘들어지고 그만큼 나중에 몸아프요
@23123weqwe6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수능을 나이먹고 쳐늙어 골골댈때까지 하냐고ㅋㅋ
@박현태-q4x6 жыл бұрын
비단 수능뿐만이 아니라 본인 개인 공부 뭐 예체능이던 뭐던간 그런 공부 하는 것도 포함 아님? 3시간씩 자면서 몇 년 지속할수도 있는 거지 본인 그만큼 간절하고 이루고 싶은 일이면. 그대신에 그 몇년 혹은 몇십년 생활하다가 몸에 이상 생기는 건 진짜 의아한 일이 아님
@라임-e4g6 жыл бұрын
놉..많은 경험을 해본 결과 8시간이 적정시간이라고 생각함. 4시간 수면습관도 들여보고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다 해봄.. 그런데 7시간까지는 아무리 오래 반복을 해도 알람을 맞춰야만 눈이떠지고 아침에 항상 피곤함 그런데 8시간은 어느정도 습관이드니 정말 정확히 8시간이면 눈이 번쩍 떠짐 .. 정말 신기함 알람맞출 필요가 없음 그냥 일어나기 8시간 전에 자면 되는거임 사람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3시간? 4시간? 이렇게 자서 과연 얼마나 살까 저렇게 말한 이지영쌤조차도 아파서 쓰러졌잖아 잠은 무조건 넉넉히 자야됨 너무자서 더 피곤할 정도만 아니면 됨
@박우림-n6m4 жыл бұрын
이지영 선생님은 맹장터지시고 저렇게 강의하시고 안 주무시다가 대상포진이 얼굴까지 올라오셨는데 그 상태로도 강의를 하셨어요, 그러다가 결국엔 진짜 사경을 헤매실 지경이 되셨고, 지금은 잘 먹고 잘 쉬고 자신을 아껴주면서 수험생활을 하라고, 전에 학생들에게 하셨던 말들에 후회한다고 말씀하십니다
@makermoriarty63636 жыл бұрын
제 인생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지영 선생님
@irun7296 жыл бұрын
지영쌤 진짜 존경해요 진짜 멋지신분..
@김민희-e7j7o6 жыл бұрын
이야기의 본질은, 되도록이면 적게 자라는 것이 아니고 그냥 자신의 한계에 도전해보아라 라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발상의 전환", 우리는 늘 목표를 세울 때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거나 자신에게 불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낮게 세우는 경향이 있습니다. 현실을 직시하라는 말, 너무 긍정적이다라는 말들.. 저는 이런 말들을 권위있는 사람들뿐만아니라 제 또래 친구들에게도 들어보았습니다. 이런 것에서 벗어나 '기적'을 위해 독하게 공부하는 것. 물론 기적을 바라고만 있는 사람은 영원히 바라기만 하겠지만 그것을 향해 이지영 선생님처럼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다면 힘들었던 것 만큼 얻는 것도 더더욱 값질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달라지는 선생님과 친구들의 시선, 모두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나조차도 불안했던 내 꿈과 목표를 이루는 것, 인생에서 고등학교 3년동안은 정말 누구보다도 독하게 보냈고 후회없이 공부했다고 말 할 수 있는 것 모두 더없이 값진 것들을 이룰 수 있겠죠
@judyyum50846 жыл бұрын
대박이당.. 난 지금 세상에서 제일아까운시간에 유튜브보는데 ㅠㅠ 반성해야겠다..
@sunseteverlasting45687 жыл бұрын
이분은 진짜다 우와..... 정말 멋있으시다ㅜㅜ
@owol235 жыл бұрын
이분은 득도하였고, 음... 영감이.. 아니 할아버지 영감이 아니구요 ^^ 뭔가 씌인 분 같으세요. 진~짜 대단하시다는 말밖에 안나와요. 결혼 안한것도, 못한건지, 할 수 없었던 건지 결혼해서 안주하시긴 너무 사회적으로 아까운 분. 다른 누구도 말 안해주는것들, 진심을 담고 모든 사람들, 어린이부터 중장년분들에게까지도 공감받을 수 있는 멘트를 이렇게까지 열정으로..엄청난 에너지를 받고 있습니다.지금부터 사오년쯤전 영상인데 어쩜 이런 분이 있지요^^
@햏해햏-r2s7 жыл бұрын
선생님을 알고는 있었는데 고1이 된 이제서야 이 영상으로 처음 선생님 영상을 접했네요.. 왜 진작에 안 봤을까요 ㅠㅠ 보통 보던 공부자극은 나한테 다급함만 부추길 뿐 전혀 와닿지 않았는데 선생님 말을 듣자마자 딱 마음도 편해지고 자극 됐어요.. 평소에 저는 선생님이 말한 거 처럼 딱 몇시간 정해진 시간 못 자면 정말 피곤하게 느껴지고 의지도 부족했는데 그게 다 제가 세뇌하고 있었던 거 같아요 반성하게 되네요 지금부터라도 한계를 시험해봐야겠어요 쓰러지듯 잠자는 그날까지..! (아침엔 못 일어나겠군
@egoghost42536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앞으로 300일 열심히 살겠습니다
@스폰지밥-m9m6 жыл бұрын
일어나야 하는 시간에 일어날수 있을때, 잠줄이는 생활을 하루하루 지속가능할때 해당되는 얘기인거 같습니다. 원체 체력이 빠방하거나 운동으로 체력을 끌어올린사람이 가능 한거 같고요 운동은 잘 못하고 체력만 쓰면서 공부만 하는 수험생, 고시생은.. 글쎄요 적어도 1년 준비하는 시험이지않나요 다들. 한번 해보고 본인상태에 따라 취사선택 하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똑같이 못한다고 '역시 난 안돼' 안하셨음 좋겠구요. 퍼지지 않는 선에서 컨디션 조절 하면서 열심히들 하셨음 좋겠네요 타고난 머리가 다들 다르듯 타고난 체력도 다들 다른거 같습니다.
@letsgothere87486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도움이 많이 됩니다
@익명김-z6v6 жыл бұрын
시험전날때 잠이 많은 내가 *1시간 30분잤는데* 이 결과가 나왔던건지 시험문제에 모르는게 없었다 물론 아직 답은 안나왔지만 모르는게 없었다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너무 편했음.
@이예찬-p7i5 жыл бұрын
며칠 동안이요?
@김지현-u6l8g Жыл бұрын
전 잘든고 있어요 저 사는데 도움이 될것 같아요. 감사 합니다❤❤❤❤❤.
@주예-i3m7 жыл бұрын
이쌤처음봣는데진짜멋지시다...
@송윤지-z7f7 жыл бұрын
이쌤 지금이랑 성격이 완전 다르시넵..ㅎ그래도 하는말들은 다 맞는말이여서 더좋다ㅋㅋ
@onnanang8 жыл бұрын
무조건 약 7시간 자야 건강에 좋다는 말들은 장수를 위해 몸에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이게 정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진짜 사람마다 필요한 수면, 취침 시간이 다르다고 생각해요. 사실상 자신은 잠이 많은 타입까진 아닌데 몇 시간은 자야되니까, 라고 생각하고 일부러 자다보니 그게 버릇이 되어버린 사람도 봤어요. 저도 초등학생 땐 7~8시간은 자래서 꾸준히 그러다보니 그렇게 자긴 했지만 중학교 올라가자마자 사실 4~5시간 잤을 때가 제일 상쾌해서 매일 2~3시에 잠들었고 (지금도 그러고 있고), 7시간 이상 자면 (물론 잘 수는 있지만) 눈이 뻑뻑하고 왠지 몸이 흐물흐물하더랍니다.
@miheehan50978 жыл бұрын
주열 덱2유전자가 있으면 그렇다네요. 유튜브 동영상이 있었는데...자는동안 머릿속이 정리되는 시간이 엄청 빨라서 그렇다고 하네요. 하루에 잠을 4시간만 잔다면..으로 검색해 보세요.
@onnanang8 жыл бұрын
Mihee Han 오 그렇군요 유익한 동영상이 있다니 참고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seungha776 жыл бұрын
헐 저도요.. 저도 잠을 한 4시간 5시간 자면 학교에서 5교시에 밥먹고나서도 안졸고 정신 말짱하고 괜찮은데 잠많이자야 더 좋은줄알고 7시간 정도 자고 학교간날에는 괜히 더 졸리고 5교시에도 졸고 막 그렇더라구요 진짜 적당하고 좋은 수면시간은 사람마다 다른거같아요
@날개-l1n6 жыл бұрын
우와.... 부럽다아
@dxk267 жыл бұрын
이지영샘 사문강의도 너무 좋아서 이영상 까지 찾아보게 되네요 남들보다 노력을 덜하면서 높은 결과를 바라는 저에게 반성의 시간이 됩니다
@햏해햏-r2s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까말까 내일 학원가는데 몇시간 자야되는데 엄청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말 듣고 바로 밤새야겠단 생각 했어요 진짜 좋은 말이네요... 귀에 쏙쏙들어와요.... 잘려고 누워서 폰만지던 시간이 너무 아깝게 느껴지네요 감사합니다 이거보고 고정된 생각을 완전히 바꾸었어요 조급했는데 한결 편해졌어요
@thinkingfrog81189 жыл бұрын
뭐하나 부족한게 없으시네 다만 잠은 정말 개인마다 다르니 적정 수면 시간 찾아가면서 공부하는게 좋을거같긴하네요. ^^ 정말 말씀도 잘하고 이쁘심
@user-bz1xh5nz2b5 жыл бұрын
불면증은 진짜 졸려 죽겠는데도 잠이 안드는거에요ㅠㅠ 눈뜨면 어디든 누워서 잠들고싶을정도로 졸린데 눈감으면 눈은 졸리지만 정신은 멀쩡한 그런기분ㅠㅠㅠㅠㅠ 스트레스 받으면 불면증은 어쩔수 없는듯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