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그 아픈 역사를 외면하지 말라!(임진왜란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Рет қаралды 34,009

Daily Humanities

Daily Humanities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2
@kbcthink
@kbcthink 2 жыл бұрын
강혜영 강사님 강연 몰아보기 : kzbin.info/aero/PLny0hGEMqxdde8RpM-WnFUxvNPEEDyvsB
@인생의비밀-t2h
@인생의비밀-t2h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지금 입시라는 잘못된 교육을 받고 잇습니다. 불과 백년전 역사도 잊고 잇어요
@목영길-c1u
@목영길-c1u 2 жыл бұрын
잘 감상 했읍니다. 감사합니다.단지 사람들의 읽는 목소리가 안들려요.ㅠㅠ
@kbcthink
@kbcthink 2 жыл бұрын
피드백 감사합니다!
@무봉tv
@무봉tv 2 жыл бұрын
최고 좋은 강의에 겸손하게 듣지 않고 무지한 자들의 힌소리가 한심하다.
@TV-nat
@TV-nat 2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습니다
@TV-nat
@TV-nat 2 жыл бұрын
읽어주는 말 안들려요
@역사잼
@역사잼 Жыл бұрын
태합전하는 태양의 아들로서 무사의 시대에 서민으로서 정점에 오르셨습니다 그러나 그는 신분이 비천해 사람을 움직이려면 대영주들의 이권을 인정해줘야 했고 본인의 가신들에게.줄 땅이 부족해 대륙정벌을 할수밖에 없었어요 전국의 명장들이 조선에 건너갔지만 이들은 추위와 이순신 명군의 참전으로 실패하지요
@복덩이레오이연규55포
@복덩이레오이연규55포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최고
@kbcthink
@kbcthink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복덩이레오이연규55포
@복덩이레오이연규55포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선조~고종의 시대를잘못태어난국민들께 미안해요 대신
@가나-i2f
@가나-i2f 2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
@소복소복-w7u
@소복소복-w7u 2 жыл бұрын
강의는 너무 잘하는데 감정은 어찌그리 메마르셨는지.. 코무덤 귀무덤 노예 수요공급...
@昌元李
@昌元李 2 жыл бұрын
류성룡이 《징비록》을 썼지만 일본사람들이 잘 읽어봤고 조선인들은 헌신처럼 버렸다고 합니다...
@mylifetime8761
@mylifetime8761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읽어보세요~이후는 소리가작아서 안들려요....ㅜㅜ
@유재영-p2l
@유재영-p2l 2 жыл бұрын
중요한 부분이 안들려서 넘 아쉬워요
@dae-sungkim1193
@dae-sungkim1193 2 жыл бұрын
혹시나 창작이 아닌지 정확한 원본기록자료확인후 강의를 부탁드립니다. 쓰시마해전직후 축하연에서 트라팔가 해전에서 승리한 넬슨제독과 비교하며 군신軍神이라고 칭찬한 것에 대해 도고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다. “내가 생각하기에는 넬슨이란 사람은 대단한 사람이 아니다. 정말 군신이라는 이름의 가치가 있는 제독이 있다면, 그것은 이순신 정도의 인물일 것이다. 이순신에 비하면, 나 자신은 하사관에도 미치지 못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이 말을 나중에 창작된 말이라고 한다. 이종각은 이런 말은 1964년에 처음 나오는 것이라고 했다. 오가사하라가 도고가 직접 물어보고 작성하고, 도고와 일본해군이 체크한 도고 정전正傳 격이라고 할 수 있는 을 비롯하여 오가사하라 편저인 은 물론 여타 수많은 도고 평전에도 이와 관련한 기록이 없다고 한다.(일본인과 이순신/116쪽)
@kanekim2264
@kanekim2264 2 ай бұрын
존칭이나 직위를 함께 써라... 위인이 니 친구냐? 이순신 장군, 곽재우 의병장이라 칭하는 것도 그리 어렵냐?
@RItchman
@RItchman Ай бұрын
@@kanekim2264 별 거지같은
@이순옥-t8k
@이순옥-t8k 2 жыл бұрын
글을 읽어주시는 분이 소리도 작고 따복따복 띄어읽어야 하는데 붙여읽으니 하나도 알아 들을수가 없었습니다
UFC 310 : Рахмонов VS Мачадо Гэрри
05:00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병자호란 15] 청은 왜 조선을 직접 지배하지 않았나?
22:06
황현필 한국사
Рет қаралды 491 М.
김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영원한 문지기
22:33
일상의인문학
Рет қаралды 14 М.
세종대왕의 업적과 인간세종의 모습
55:06
일상의인문학
Рет қаралды 47 М.
부의 역사, 유대인(2012)
1:19:23
강연의 시대
Рет қаралды 9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