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는 왜 발정기가 없을까?

  Рет қаралды 165,017

김포퍼

김포퍼

Жыл бұрын

인류가 번식과정에서 집중과 효율을 선택하지 않게 된 이유
#과학 #연애 #결혼 #출산율 #진화론

Пікірлер: 482
@smoothp
@smoothp 28 күн бұрын
항상 꼴려있기 때문입니다. 수고하세요.
@kim_popper
@kim_popper 28 күн бұрын
ㅖ..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bone1446
@bone1446 24 күн бұрын
안다다쒸는 항상 꼴려있다 메모..
@kennybae
@kennybae 24 күн бұрын
그게 제 비밀입니다 캡틴. 전항상 꼴려있어요 (대충 헐크짤)
@user-jv6ff2ib8k
@user-jv6ff2ib8k 24 күн бұрын
헐크야?
@Kuper_Khoe
@Kuper_Khoe 23 күн бұрын
왜 남자와 남자 사이에서 아이가 나오지 않는걸까요
@danameadbh5960
@danameadbh5960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과학이 가진 치명적인 단점에 대해서 들은 적이 있습니다 과학도 결국엔 이익을 위해 발전하게 된다고 즉 인간이나 과학자 개인의 수요에 반응할 수 밖에 없다고 마치 피타고라스가 무리수의 존재를 은폐한 것처럼 말이죠 과학이 완벽할지라도 그 과학을 연구하는 인간은 완벽하지 못하죠 그렇기에 권위에 의존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한거겠죠 비판적 사고를 위해 항상 끊임없이 배워야겠습니다 언제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학자들이 인류에 대해 깊게 파고들지 않는 것, 특히 성별 문제에 대한 언급을 꺼리는 것은 별다른 이익이 없는데 반해 리스크가 막대하기 때문입니다. 맞는 말입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accessiblemacroactive 이또한 맞는말입니다. 아무도 관심이 없어할 것이기에 영상으로 만들지 않았습니다만 영미권의 경험주의적 전통이 만들어낸 과학적 방법론이 이전에 비해 어마어마한 성과를 낸 것은 사실이며, 따라서 현대 주류학계는 대부분 이를 기반해 세워졌지요.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accessiblemacroactive 사실 심리학계도 한때 과학의 범주에 들어가기위해 기존의 전통(정신분석 등)을 폐기하고 신경과학과 융합하려 노력하였으나, 또 최근에 들어서는 임상쪽에서 촉발된 반발로 인하여 회의감이 팽배하다는 점은 실로 재밌다 할 수 있겠습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accessiblemacroactive 주로 진화심리학계가 공격받는 점이 이것이며(수리통계적 근거가 미약하다는점에서), 나아가 큰 틀에서 보면 촘스키와 지젝의 충돌이 이를 대변한다 할 수 있겠습니다. 즉 사실 학자들은 사회와 과학적 전통을 쌍방으로 등져야하는 엄청난 리스크를 지게 되는 것이지요. 특히 이 과정에 윤리 문제가 끼어들기 때문이 더욱더 그러한데, 인간에게 문화적 변인을 제거한다는 것은 윤리상 아예 불가하기 때문입니다. 실험설계 자체가 봉쇄되는 것이지요. 해당 영상은 진화심리학보다는 계통발생학이나 인류학쪽에 좀 더 가깝긴 합니다만.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accessiblemacroactive 그러나 이것이 탐구를 막아야한다는 것은 또 아니므로 고명한 학자들은 보통 이렇게 대처합니다. 프랜시스 크릭처럼 '놀라운 가설들' 이라고 말이지요. 학계에 계신분 같습니다만 뒤늦게 보아 답변해보았습니다. 사실 취미로 올리는 영상들인지라 큰 의미를 두지는 않았는데 모두 정당한 비판입니다.
@honeyfunpedia2329
@honeyfunpedia2329 Жыл бұрын
퉁퉁이 곁에 금태양 애 하나 숨어있는 거 킹받네. ㅋㅋ
@user-oo4xb9er5t
@user-oo4xb9er5t Жыл бұрын
쇼펜하우어 생몰연대 부분에 수정이 필요한거 같습니다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뒤늦게 발견했습니다 감사합니다
@KARRY0406
@KARRY0406 Жыл бұрын
유투브 덕분에 책읽어야만 알 수 있을법한 고급진내용들을 간결하게 영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게 참 고맙네요. 좋은 영상 보고갑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학술적인 내용이라 잘 안보시는 영상인데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user-kr4zx9gi4t
@user-kr4zx9gi4t 24 күн бұрын
9:54에서 인류는 유아의 생존성을 이유로 일부일처제로 번식방법을 바꿨다고 나왔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전환도 오늘날로부터 상당히 오래된 사건이지 않습니까? 일부일처제가 자리 잡기에 충분했을 겁니다. 그런데도 인류는 완전한 일부일처로 전환하지는 않았습니다(체적차이와 여러 욕구들로 보건데). 혹시 그 이유는 이전 영상에서 나온 알파남(?)과 성실남의 부인사이의 바람이 원인인가요? 그러니까 일부일처로의 전환이 유리해서 표면적으로 1쌍의 번식파트너가 결합했지만, 막상 결합하고 보니 알파남과 성실부인의 생물학적 이해관계가 일치했기 때문에 바람을 많이 펴서 생물학적으로는 일부다처가 혼합된 형태가 유지된 걸까요?
@gosegu_like
@gosegu_like 24 күн бұрын
당장 60~70년대만 해도 한국 시골 지방에서 첩을 두는 일이 상당히 흔했다는 걸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얼마 안 됐습니다.
@user-uw1gr2ib6v
@user-uw1gr2ib6v 14 күн бұрын
​@@gosegu_like어쩌면 인류는 일부일처제가 아니라 일처일부제로 진화한 것일지도...
@Skbmzic
@Skbmzic Жыл бұрын
진화생물학 이야기는 언제나 재미있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저야말로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zc4pq2gt7g
@user-zc4pq2gt7g 29 күн бұрын
0:34 사자 커플은 뭔가 잘못 되었다..
@issyeboi8538
@issyeboi8538 27 күн бұрын
Gay
@user-if4lc3yh9m
@user-if4lc3yh9m 27 күн бұрын
형님 혹시 사자는 왜 두마리 다 수컷인가요?
@user-ut1go2sn8k
@user-ut1go2sn8k 26 күн бұрын
육식남이기 때문이지
@Jjw224
@Jjw224 26 күн бұрын
구멍이 두개보다는 한개가 더귀해서그런거아님?
@kko_ma
@kko_ma 26 күн бұрын
@@Jjw22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닠ㅋ
@user-xk4ez3gx1h
@user-xk4ez3gx1h 25 күн бұрын
​@@Jjw224 따흐흙
@user-nn3ue9ml4d
@user-nn3ue9ml4d 25 күн бұрын
​@@Jjw224와 씨 명문이다
@user-oc5jg6sp2s
@user-oc5jg6sp2s Жыл бұрын
소름돋습니다 ... 잘보고갑니다 진짜로 이런 유튜버 첨봐서 머리 후려맞은 기분이 드네요 정말로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학술적인 내용이라 잘 안보시는 분들이 많은데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ob_0029
@Bob_0029 Жыл бұрын
항상 볼때마다 목소리 남도일 느낌남 한 30대 중후반 된듯한 남도일 ㅋㅋㅋㅋ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말씀하셔서 놀랐는데 그런소리를 종종 들었었습니다. 녹음상태에서도 그렇게 들리나보군요. 항상 감사합니다. 근데 생각보다 젊을 수 있습니다..
@choe7146
@choe7146 29 күн бұрын
알고리즘이 또 나를 이곳으로 인도하셨네 할렐루...
@6won42
@6won42 Жыл бұрын
고퀄의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저야말로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ook2847
@book2847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저야말로 항상 감사드립니다.
@user-nu6rl5mo3n
@user-nu6rl5mo3n 8 ай бұрын
포퍼님, 저와 생김새가 아예 다른 외국남자들이 한국여자랑 같이 있는걸 볼때 심기가 불편한 이유는 뭘까요? 한국남자는 크게 상관없는데 외부인에 대해선 거부감이 들더라구요. 과거부터 내 부족의 여자를 타부족에 빼앗기는 느낌이랑 비슷한거 같더라구요. 그리고 반대로 한국여자들도 한국남자들이 자기와 생김새가 다른 외국여자들이랑 만나는걸 보고 본능적인 거부감이 들까요?
@kim_popper
@kim_popper 8 ай бұрын
추측하신 바가 맞습니다. 후자의 경우는 남성들보다는 훨씬 빈도가 적습니다.
@user-nu6rl5mo3n
@user-nu6rl5mo3n 8 ай бұрын
@@kim_popper 포퍼님 그럼 송중기 국제결혼에 대해 여자들이 부정적인 이유는 뭘까요? 열애설 나기전까지만 해도 그리 여자들이 부정적이진 않았던거 같은데 말이죠. 또 심형탁 결혼도 아니꼽게 보는 여자들이 많은거 같고요. 자기들이 안만날 도태남들이 결혼하는건 그냥 본능적으로 싫은거지만 연예인정도면 외국여자에게 경쟁심리 느낌이 들어서일까요?
@kim_popper
@kim_popper 8 ай бұрын
송중기의 경우는 반대편에 이입하기 때문이고, 심형탁의 경우는 괜찮은 재원이고 정치적으로 반대포지션을 잡은 측에서 헤게모니성 공격으로 사용할 요인이 있기 때문입니다.
@kim_popper
@kim_popper 8 ай бұрын
아무도 신경쓰지않고 지금도 그러한 정준하씨의 결혼과 비교해보면 저분들의 사고가 어떤 매커니즘으로 움직이는지 대번에 아실 수 있을 겁니다.
@user-nu6rl5mo3n
@user-nu6rl5mo3n 8 ай бұрын
@@kim_popper 선생님, 제가 이해력이 부족해 잘 이해를 못하겠네요.. 정준하의 경우는 여자들이 관심없는 존재라 국제결혼 하건말건 신경을 안쓰는거 같다는거 같긴한데 송중기랑 심형탁은 무슨뜻이신지 잘 모르겠네요 쉽게설명 가능하신가요??
@user-pu9pl2xi9t
@user-pu9pl2xi9t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봐주신다니 정말 다행입니다. 지나치게 학술적인내용으로 전개하지 않았는지 걱정하고 있었거든요.
@user-rp6ms1os5h
@user-rp6ms1os5h 26 күн бұрын
이렇게 고퀄정보를 유튭에 보고 감탄함😮
@khaj6732
@khaj6732 26 күн бұрын
영상 너무 재밌게 잘 시청했습니다! 혹시 참고하신 문헌 알 수 있을까요?
@yeonggyeongsir8301
@yeonggyeongsir8301 19 күн бұрын
다른 책에서 본 거긴 한데, 인간은 생식기의 크기나 모양, 행위 성향 등을 따져보았을 때 난혼에 가장 가까웠다고 합니다. 그런데 뇌의 비대화로 출산과 양육 난이도가 지나치게 어려워지면서 난혼을 포기하고 일부일처로 갔다고 봐야죠. 배란일 전후가 발정기에 가깝긴 하지만, 남자들이 그걸 알지 못하게 숨기는 건 가장 교활한 전략 중 하나라고 생각. 그나저나 이분 영상에 나오는 사자는 왜 항상 수컷끼리 ㅋㅋㅋ 실제로도 외로운 수사자들이 전우애를 나누는 일이 있다고 합니다.
@gjthwo
@gjthwo 25 күн бұрын
........최근 사회적으로 본 사건들로 보면 둘다 포함된걸로 생각됩니다. 묘하게 사회 취급이 누구 남편분은 atm기 취급이고 분명 결혼했을 누구 아내분이 클럽에... ..... 여러모로 난처한 뉴스가 좀 많더라고요
@Surprise_S.E
@Surprise_S.E 25 күн бұрын
철학과 지망중인 학생입니다. 단순 교미와 거기에서 나오는 쾌락에 대한 고찰이 아닌 무언가 더깊게 인간은 왜 발정기가 없을까 라는 주제에 대하여 여러 학자들도 생각을 나눴군요.. 밥 먹으며 급하게 쓰느라 무언가 말이 뒤죽박죽 할 수 있겠지만 양해 부탁 드립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흔히들 철학자들이 동물과 인간에게 있어서 이성에 차이점을 두는데, 이 이성의 존재 때문에 동물과 다르게 여성이 배란일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도록 진화한것 같습니다. 초기 인류에게 발정기 신호가 있었을지 없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는 이성이 있는 인류 여성에게 있어서 불리한 조건이였을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제 나름대로 해석한 이에대한 근거를 제시 하겠습니다. 초기인류든, 현대문명사회의 인류든 이성에 의해서 인식이 가능한 선한 행동과 악한 행동이 본능적으로 내제 되어있었을텐데, 그중 악한 행동에 속하는것중 하나가 강간이였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동물은 발정기때 수컷과 눈이 맞으면 교미를하고 암컷이 원치 않더라도 암컷이 수컷에게 범해지는 일이 있을것인데, 이를 이성이 없는 동물들은 어찌 법적으로나 제도적으로나 제재할 수단이 없다는 겁니다. 그냥 암컷은 수컷이 싸지르면 받아들일뿐이겠죠 하지만 인간은 다릅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이성이라는것이 존재합니다. 동물의 기본적 욕구는 자신의 유전자를 세상에 퍼뜨리는것인데, 범죄를 저지를 각오가 된 간절한 수컷에게 인간 여성의 배란일이 눈에 보인다는것은 곧 사냥감, 확실한 목표를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는것을 뜻하는 것일겁니다. 이러한 남성에게 강간을 당한 여성은 이성에 의해 판단되는 성적으로 느끼는 수치심, 사회적으로 느끼는 수치심, 박탈감 등등이 동물과는 비교가 안돼게 압도적인 절망으로 찾아올것 입니다. 초기 인류에게도 강간은 수치스러웠을것이며 문화적 토대와 제도가 형성되어 강간은 수치스러운 일 이라고 배우고 또한 그런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 되어있는 고대, 중세, 근대, 현대의 여성들에게도 그 수치심은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았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과적으로 인간여성은 자신의 약점기간을 드러낼 필요가 없으니 발정기를 알리는 신호가 사라지게 된것이라고 생각 합니다. 지구에서 가장 고등하다고 생각되며, 지금 지구를 지배하고 있다고 보는 인간은 시간적 여유로움, 풍요로움이 있으니 굳이 유전자 남기기에 급급하여 발정기를 드러낼 필요없이, 그저 느긋하게 교미의 쾌락을 즐기다가 때가 되면 임신하게 되겠지~ 마인드가 탑제되어도 상관 없고, 또한 그러한 마인드가 은연중에 탑제 되어있을것이라고 전 봅니다. 두서 없이 장황하게 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독성이 떨어지신다면 사과드리겠습니다. 좋은 컨텐츠 제작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mrgamza
@mrgamza 26 күн бұрын
kzbin.info/www/bejne/sKXNYoeubtNsoJY 쇼펜하우어 1788 ~ 1760. 어떻게 산건가요
@onemorefromyourlimit
@onemorefromyourlimit 26 күн бұрын
벤자민 버튼인거죠.
@kim_popper
@kim_popper 25 күн бұрын
예 제 실수로 시간을 달리는 소녀가 되었습죠
@user-oo1ig9uc5r
@user-oo1ig9uc5r 25 күн бұрын
기원전입니다
@user-dv2py7dy8f
@user-dv2py7dy8f Ай бұрын
흥미롭네요
@niea_7
@niea_7 25 күн бұрын
흥미깊은 탐구였습니다
@g9star
@g9star 27 күн бұрын
아니 이렇게 좋은 채널이 왜 여태 안보였지?? 활동은 왜 접었나요ㅠㅠ
@Nameis2yj
@Nameis2yj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최근에 채널 알게 되어 너무 재밌게 보면서 정주행 하고 있어요 영상 보다 보니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왜 인류는 동물들과 다르게 교미 하는 것을 숨기는 걸까요?? 그것이 단지 우리가 만들어 낸 사회적인 어떤 것 때문일까요??? 그렇다면 문명이 발달하지 않은 인류는 동물들처럼 숨김 없이 교미를 할까요 ??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일부일처를 강화해 불륜요소를 문화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입니다. 교미과정에서 암컷이 내지르는 신음소리를 고려할때, 생물학적으로는 오히려 주변 수컷을 불러모으는걸 권장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있으며- 이것은 농경사회의 결속을 심히 해칠 우려가 있습니다.
@sz-kn6rp
@sz-kn6rp 8 ай бұрын
​​​@@kim_popper그럼 신음소리에 남자가 흥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유독인간만이 신음소리가 큰거같은데요
@kim_popper
@kim_popper 8 ай бұрын
@@sz-kn6rp 동물도 교성을 내는 종들이 있는데, 거북이가 대표적입니다. 신경학적으로는 남성이 더 많은 자극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technologicalsingularity1788
@technologicalsingularity1788 Ай бұрын
​@@kim_popper그래서 10계명에 간음하지 말라고 먼저 박고 시작하죠 ㅋㅋㅋ 귀두 형태도 난교간 남의 정자 빼내는 펌프역할을 하도록 진화했다고 하네요
@user-hc6bb2lv6r
@user-hc6bb2lv6r 26 күн бұрын
​@@sz-kn6rp별 다른동물에 대한 정보도 없으면서 인간만이 그렇다고 착각하는게 문제네요
@user-oe7hu6ty7f
@user-oe7hu6ty7f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슬슬 채널 떡상할 때 됐는데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항상 시청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user-zr9jr9vs2k
@user-zr9jr9vs2k 27 күн бұрын
재밌네요 ㅋㅋ
@jsa89888
@jsa89888 Ай бұрын
다른 이론도 있음 수컷이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싸우듯이 암컷도 후손을 남기기 위한 다른 암컷의 견제와 공격을 최소화 하기위해 배란을 숨기게 됐다는 이론 현재 인류도 남자건 여자건 자신이 좋아하는 이성을 두고 동성의 견제로 연적이 되는경우가 많은것처럼
@kim_popper
@kim_popper Ай бұрын
좋은 보충설명 감사합니다.
@user-re4zr6uy5w
@user-re4zr6uy5w 27 күн бұрын
0:37 품격이 돋보이네요
@jungsihwan2018
@jungsihwan2018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dlb5201
@dlb5201 Жыл бұрын
유익하네요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일주일 되세요
@user-uo6sx7ik6v
@user-uo6sx7ik6v Жыл бұрын
결국 양육도 진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네요. 그런데 아직도 일부 여성들에게 배란시기에 통증이 오는 “배란통”이 존재하는데, 이는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으니 배란신호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까요? 그리고 05:18초 즈음 쇼펜하우어의 생존년도에 오타가 있는 것 같습니다!
@isuy7892
@isuy7892 Жыл бұрын
일단 복통이라는 증상은 원인이 매우 다양한데 식중독, 장염 등의 질병이나 단순한 배탈, 심리적인 요인, 그리고 이런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등 인간의 복통이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지는 진단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맹장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았던 것도 단순 배탈과 맹장염을 구분하지 못해 치료가 늦어졌던 점에서 나타난 만큼 복통이라는 증상 하나만 가지고는 해당 환자가 어떤 상태인지 진단하기는 무리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여성에게는 월경통이라는 배란통 이상으로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배란통과 마찬가지로 복부에 발생하는 통증이며 주기적이고 출혈을 동반하는 등 비전문가가 시각적 정보만으로 판단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통증을 느끼는 당사자인 여성도 자궁내막증을 월경통으로 오인해 방치하는 사고가 나기도 하는데 이를 보더라도 배란통을 남성이 눈으로 진단하는 것은 더욱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월경이나 심리적, 병리학적 원인으로 인한 복통을 배란 신호로 오인할 경우 치료 혹은 회복의 기회를 놓칠 위험도 있고 성병이 원인이 될 경우 남성에게도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월경기간 성관계는 세균감염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만큼 복통을 배란신호로 삼는 것이 효과적인 진화라 보기는 어렵다는 점도 하나의 근거가 될 것입니다 무엇보다 배란통은 아마도 배란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부작용일 가능성이 큽니다. 월경의 생리혈과 마찬가지로 의도된 증상이라 보기는 어렵다는 거죠. 실제로 명확한 원인은 재대로 밝혀지지 않았으나 배란 과정에서 난소에 부종이 발생하여 일어나는거라는 학계의 추측을 미뤄볼때 아무래도 난포의 성장에서 나타난 예기치 못한 부작용으로 호르몬에 의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지는 기능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영상에서도 나오듯 배란신호가 은폐된 이유가 난혼이나 하렘의 상황에서 영아 살해 방지를 목적으로 발생했다는 학계의 추측을 기반으로 할 때, 배란통이 진정으로 배란신호였다면 이것이 사라지지 않은 이유를 알 수 없다는 점에서 배란통을 배란신호라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배란신호는 전부 영아살해를 막기 위해 없앴고 그 이후에도 인류는 일부일처제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 더더욱 배란신호를 감춰야 했는데 배란통 정도로 뚜렷한 변화를 남겨두었다면 그러한 진화 방향을 설명할 수 없는 문제가 생깁니다. 배란통이 정말 배란신호라면 지금까지 감춰온 것이 무의미해질 뿐더러 인류에 관한 기존의 학설들이 설득력을 상실할태니깐요 이는 배란통이 의도적인 배란신호로라기보다는 일종의 생리현상이기에 다른 배란신호와 달리 감출 이유가 딱히 없었거나 혹은 그렇게 하지 못했다고 해석하면 기존의 학설을 유지하면서 깔끔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3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복통을 배란신호로 구분하기에는 복통의 원인이 너무 다양하고 시각적으로 확실히 강조되는 증상은 아니다 2. 복통을 배란신호로 간주할 경우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배란통의 매커니즘을 고려할 때 정상적인 기능이라기에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3. 현대 인류는 은폐 배란을 특성으로 가진다는게 학계의 정설인데 복통은 지나치게 눈에 띄는 만큼 이것이 정말 배란신호라면 기존의 학설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user-uo6sx7ik6v
@user-uo6sx7ik6v Жыл бұрын
@@isuy7892 맞네요 전문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식으로 접근하면 설득력을 유지시키며 설명이 가능하네요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정확하게 설명해주셔서 제가 더이상 할말이 없군요. 말씀하신대로 여기서 나타나는 신호란 시각, 후각 등으로 상대 성별이 즉각적으로 알아차릴 수 있는 명백한 증거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배란통은 이것이 배란과 연관되어있는 것인지 자기 자신도 잘 모릅니다. 수컷은 더더욱 알아차릴 수 없습니다. 특히 말씀하신대로,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는 시각정보에 다른 종보다 대단히 많은 의존을 하고 있기 때문에 isu님께서 써주신 첫번째 논거가 더 정확한 것이 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댓글 인상깊게 잘 보고 갑니다. 영상은 해봤자 스크립트 길이로 따지면 a4 세네장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 논리구조를 전부 담을 수 없는데(담아도 그다지 좋아하시지 않습니다), 댓글로 달아주시니 정말 감사하네요. 담코님도 isu님도 모두 감사합니다.
@sjoooooooo
@sjoooooooo 8 ай бұрын
여자도 다른 여자의 배란기를 알 수 없어요 오히려 수컷이 더 잘 느낄것같아요 본능적으로
@No_MinjuDang
@No_MinjuDang Жыл бұрын
빨리 다음편 올라왔으면 하네요 본영상을 몇번이나 돌려보는지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정말로 감사합니다 좋은 저녁되세요
@user-cm8lm5rv7h
@user-cm8lm5rv7h Жыл бұрын
포퍼님 목소리가 남도일 + 이선균 같아요 듣기 좋습니다ㅎㅎ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bn1pf8ry4p
@user-bn1pf8ry4p 14 күн бұрын
재미있고 신기하네요 시간이 지나면서 용도변경이 되었네요 ㅋㅋ
@user-ii2qg3rr4v
@user-ii2qg3rr4v Жыл бұрын
포퍼형 이야기가 참 재밌는데, 혹시 인생 책 있어요?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본 책이 너무 많아서 특정하기 어렵습니다만, 제가 고등학생때 읽었던 앨빈 토플러 부의 미래라는 책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왜냐하면 여기에 60만엔 짜리 주식을 1주 팔아야 하는데 1엔에 60만주 팔아버린 일본 증권사 직원의 이야기가 나오거든요.
@user-ii2qg3rr4v
@user-ii2qg3rr4v Жыл бұрын
@@kim_popper ㅇㅋ 도서관 가서 빌려볼게 형 고마워!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nicezic
@nicezic 25 күн бұрын
진화 심리학 쪽이긴 한데... 저는 매트 리들리의 [이타적 유전자, the origins of virtue(원제는 선의 근원?인데 망할 출판사) ], 와 같은 저자의 붉은 여왕... 붉은 여왕은 좀 많이 전문적이라.. 좀 그렇고... 이타적 유전자는 쉽게 읽을 수 있고 재밌음.
@storymaker9249
@storymaker9249 Ай бұрын
진짜 일리 있는 말이다. 우리는 아니라고 하지만, 우리의 행동은 항상 번식과 생존이라는 키워드에 맞춰 움직이고 있는 건 아닐까.
@user-yw3sw4qw2b
@user-yw3sw4qw2b Жыл бұрын
투배럭 ㅋㅋㅋㅋㅋㅋ 비유가 찰떡이네요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한 자궁에 세남자의 아이를 다르게 임신하는 매우 드물고 케이스가 있기도 한걸보면... 아예없지는 않을수도?? 있지요
@Fidlestick
@Fidlestick Жыл бұрын
@@kim_popper 헐 그건 개들이 그런거 아닌가요? 사람도 그런 경우가 있나요??!!
@dustjd654
@dustjd654 23 күн бұрын
이런것까지 연구해서 결과를 도출해내고야마는... 학자들의 호기심은 정말 대단해
@int4734
@int4734 Жыл бұрын
한 여성이 배란일과 배란일이 아닌 날에 찍은 사진을 남성들에게 보여주면 동일인임에도 배란일에 찍은 사진을 선택한다던데, 이건 서서히 은폐하기 시작한 여성에 맞춰 남성이 유전자를 남길 가능성을 높히기 위해 구분 능력이 향상된 걸까요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실렌툴베리와 묄레르는 배란신호 구분을 완전공개 약한은폐 완전은폐로 세분류로 나누었는데, 약한은폐조차도 수컷과 암컷은 배란이 시작되었다는 대부분 즉시 사실을 알아챌 수 있었습니다.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냄새가 변한다거나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따라서 구분능력이 향상되었다기보다는 흔적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user-nu6rl5mo3n
@user-nu6rl5mo3n 8 ай бұрын
인간이 과거 일부다처제를 했다는건 사자같은 방식이 아니라 보노보 같은 번식방법을 택했었다는거죠? 그 후 일부일처제로 변함에 따라 여성들은 절대다수의 남성의 성욕에 반감을 갖는 본능도 갖게됐구요. 그렇다면 인간이 일부일처를 택한이후 일부다처의 본능과 특성이 조금씩 사라져야하는게 아닌가요? 체적이 비슷해지는 등.. 진화할 시간이 부족했을라나요?
@kim_popper
@kim_popper 8 ай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반적으로 이해가 아주 살짝 잘못되셨는데, 보노보는 난교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인류는 사회문화적 변화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적응할 시간이 매우 부족했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암컷은 임신이 경합성을 갖는 자원이기 때문에 파트너를 항상 좀 더 까다롭게 선택하나, 인간의 경우 이를 뒷받침할만한 물리력이 없기 때문에 반대 케이스를 두려워하는 것으로 다른 영상이나 댓글에 설명되어있습니다.
@_INUIT
@_INUIT Ай бұрын
모두가 아버지이고 모두가 어머니야 ㅋㅋ
@user-jo4ix9me3m
@user-jo4ix9me3m 14 күн бұрын
참고로 배란을 은폐했다고는 하지만 모든 남성은 본능적으로 가임기 여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같은 사람 사진을 줘도 배란기였던 사진이 더 예뻐보이거든요.
@yomtube-494
@yomtube-494 28 күн бұрын
그냥 자료보고 수집하고 말하는 유투브인가 했더니 이해나 설명력이 좋으신거같네요 관련 분야 학자신가요?
@kim_popper
@kim_popper 28 күн бұрын
아니오 학자라니 택도없고 그냥 목격자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oohorhie2882
@soohorhie2882 Жыл бұрын
제목을 퍼가기 좋게 부탁을 ㅎ 많이 알려야할 고퀄의 유튜버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참 감사합니다. 그런데 사실 지나치게 학술적인 내용이라 아마 퍼가셔도 큰 흥미를 느끼는 분들은 많이 없을 겁니다. 진입장벽이 꽤 큰 영상이거든요. 물론 제 편집이 미숙한것도 한몫 합니다.
@user-km3wx6vd8q
@user-km3wx6vd8q 26 күн бұрын
진화의 관점에서보면 암수의 전략은 결국 종 혹은 유전자의 관점이지 각 성별의 관점에서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 추가해주시면 좋겠네요. 남자는 남자만 낳고 여자는 여자만 낳아서 각 성별이 따로 유전이 되는게 아니니까요. 성별갈등 프레임에 넣어서 안좋게 해석될 여지가 많아요.
@kim_popper
@kim_popper 25 күн бұрын
제가 잘못올린 탓이지요.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delurechan3502
@delurechan3502 29 күн бұрын
썸네일로부터 포퍼의 취향을 알 수 있다.
@kim_popper
@kim_popper 29 күн бұрын
(하트를 준다면 수긍하는게 되는걸까?)
@user-rh4mv3jv6o
@user-rh4mv3jv6o 17 күн бұрын
-암내 나도좋아-
@user-my7hc4rs8u
@user-my7hc4rs8u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저야말로 항상 감사합니다.
@user-my7hc4rs8u
@user-my7hc4rs8u Жыл бұрын
@@kim_popper 포퍼님 안녕하세요~ 저 궁금한게 있는데요... 주변사람들보면 모계집안에서 양육에 힘쓰는 모습을 많이 보거든요. 예를들면, 이모들이 같이 육아를 해준다거나 그런모습을 볼때, 유전자 보전에는 부계집안에서 애를써야하는데 보통 고모나 삼촌은 이모보다 덜 챙기는듯한 느낌이거든요 . 물론 편향된 생각일 수 있는데 이부분은 어떻게 이해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진화심리학의 가장 유명한 예입니다. 친가는 해당 자손이 자기 혈통인것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투자를 줄이는겁니다. 인류는 약 5-10% 정도의 부성불일치를 보이기 때문이죠.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통 아이와 외가의 intimacy가 친가보다 높습니다. 이는 아이 부모 쌍방향에서 발생합니다. 아이도 외가를 더 가깝게 여기고, 성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user-my7hc4rs8u
@user-my7hc4rs8u Жыл бұрын
@@kim_popper 아.....맞네요 저도 어릴때나 지금이나, 모계쪽 이모랑 외삼촌이 더 친하거든요. 부계는 거의 명절에나 한번 보고 왕래도 없구요. 그러고보니, 모계쪽은 아이의 50%의 유전자는, 확실히 어머니의 유전자라는걸 알기때문에, 의심의 여지가 없는거네요... 제가 어느정도 이해한게 맞을까요???
@for_premium_service
@for_premium_service 26 күн бұрын
6:57 유아살해본능이 억제된다기 보다 유아살해를억제하는유전자가 자연선택된다는것이 더 맞는 표현 같습니다. 동물들이 저런 확률을 계산하여 의식적으로 행동하는것이 아니니 말이죠.
@user-hh8pf7fv1e
@user-hh8pf7fv1e Жыл бұрын
썸네일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잘봤습니다 ㅋㅋㅋㅋㅋㅋ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항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dp3go5ly5f
@user-dp3go5ly5f 24 күн бұрын
현대에 유전적 확인이 가능하다면 말도 안될 얘기지만 예전의 이론이니 설득이 되네요 암컷의 생식주기 은폐는 ㅋ 근데 제일 중요한 부분이 생식에 쾌락이 제공되는게 가장 다른 부분 아닐까요 정말 번식을 위한 행위가 아니라 즐기는 행위 중 하나이며 그 행위의 부산물중 하나가 번식이니 전 그 이론이 가장 설득력 있었다는 시스템을 만든 건 단지 그 후 과학 발전과 무리생활에 법을 세우고 난 뒤이고
@g9tv785
@g9tv785 28 күн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번식에 성공했어요!!
@user-fs5gr5fl5p
@user-fs5gr5fl5p 28 күн бұрын
😮
@yumyumwiki
@yumyumwiki 28 күн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저도 영상을 돌려봐야겠습니다.
@kim_popper
@kim_popper 28 күн бұрын
축하드립니다
@yumyumboink3262
@yumyumboink3262 Жыл бұрын
포퍼님 감사합니다. 여기서 좀더 나가서 생리와 생리통 그리고 오로 까지 생각해 보면 좋을거 같아요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저야말로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osegu_like
@gosegu_like Ай бұрын
제가 왜 고세구 씨를 좋아하는지에 대해서도 영상으로 만들어주세요.
@kim_popper
@kim_popper Ай бұрын
재밌는 양반이기 때문입니다.
@RandomDice111Percent_loveU
@RandomDice111Percent_loveU 25 күн бұрын
세!세구 라이드!
@user-wm2rh5ww7b
@user-wm2rh5ww7b 25 күн бұрын
발정기가 없는 이유는 .. 항상 24시간 발정기 때문
@user-ty5op5vq9w
@user-ty5op5vq9w 26 күн бұрын
질문이 반대여야 하는거 아닌가요? 안정기가 언제인가요?
@baterii
@baterii 19 күн бұрын
독특한 썸네일이군요...
@user-xi7jv3er7i
@user-xi7jv3er7i Жыл бұрын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동물의 세계에선 암컷이 원하지 않아도 교미를 할 수 있지 않나요? 그것이 인간처럼 안된다고 법으로 정해져있어서 안하는건지 왜 안하고 암컷의 허락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다른 댓글에 설명되어있는데, 해당 논점은 male competition 과 female choice에 관한 찰스다윈의 논문과 로널드 피셔의 논문을 참조하면 좋습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본디 female choice가 주가 되는 일부일처동물은 수컷의 물리적 우위가 존재하지 않거나 도주경로가 다양하기 때문에 암컷의 성선택이 주가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male competition이 우위에 섭니다. 체적차나 근육량 발달, 골격등을 보건대 인간은 후자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보통 침팬지를 통해 이를 설명하지요. 수컷들끼리 동맹을 이뤄 암컷을 쟁탈하는.
@user-hc6bb2lv6r
@user-hc6bb2lv6r 26 күн бұрын
강간범의 질문같아서 섬뜩하네요. 동물도 개만 봐도 암컷 허락없이 수컷이 교미 못 합니다. 거부 다 해요 심지어 성폭행 개념도 있어서 번식장에서 강제로 임신시킨 암컷 강아지들은 정신병에 걸리기도 합니다. 원래 인간은 여성의 선택 필요없고 남자 맘대로 교미하는게 맞지않냐는게 이게 질문..? 그런 유전자는 요즘 현대문명에서는 감옥보내던가 거세하던가 도태시키죠ㅋㅋ
@user-wo4en6gc1c
@user-wo4en6gc1c 19 күн бұрын
근데 진짜 이상하긴 함 다른 동물들은 발정기에 안 하면 고통스러워서 못 견딜 정도인데 인간은 왜 사춘기 이후 평생이 발정기이면서 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고통이 없는 걸까
@kim_popper
@kim_popper 19 күн бұрын
재미있는 점이지요.
@user-xn3hh8pe1g
@user-xn3hh8pe1g 16 күн бұрын
자위가 있잖아요.
@user-xn3hh8pe1g
@user-xn3hh8pe1g 16 күн бұрын
인류는 개체수를 어느정도 조절할줄 아는 동물인거임. 만약에 무지성으로 교미하고 다니고 본능에 충실하다면, 감당할 수 없는 많은 아이들이 태어나고 그 아이들이 커서 더 많은 아이를 낳겠죠.
@user-dx1ry4ph3s
@user-dx1ry4ph3s Жыл бұрын
알락딱새 얘기도..!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스크립트는 이미 존재하는데, 흥미로운 주제가 생각나서 올리는 타이밍이 참 고민이네요.
@DS-us4rj
@DS-us4rj 29 күн бұрын
5:16 짝녀에게 차이고 한말ㅋㅋㅋㅋㅋㅋㅋㅋㅋ 쇼펜하우어 형님 짠합니다
@gosegu_like
@gosegu_like 28 күн бұрын
쇼붕이 소리가 괜히 나온 게 아님
@user-gq7dr6ly4z
@user-gq7dr6ly4z Ай бұрын
헐크 명대사가 생각나네 - 나는 항상 화나있어
@over_count
@over_count 25 күн бұрын
와우 썸네일 우마이
@meticulous8535
@meticulous8535 Ай бұрын
3:37 하렘이 왕국이죠?
@user-wy8qb6wg9i
@user-wy8qb6wg9i Ай бұрын
1:46 ‘응’해 줄 수 있게 ㅋㅋㅋㅋㅋㅋㅋㅋ
@entp0
@entp0 Ай бұрын
겨드랑이 드러내면 발정기 완료인건가 ㅋㅋㅋ
@user-xk4ez3gx1h
@user-xk4ez3gx1h 21 күн бұрын
일종의 신호 호감 드러내는 머리묶는자세
@nonono5650
@nonono5650 Жыл бұрын
오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사사
@move9196
@move9196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미쳤다
@chotukgayanolja3867
@chotukgayanolja3867 Жыл бұрын
그와중에 퉁퉁이 뒤에 금태양애기 ㅋㅋ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숨겨놓았는데 정확히 보셨군요
@iyw25253
@iyw25253 16 күн бұрын
흠..인간에게 정말 발정기가 없나? 난 있다고 보는데..예전에 스펀지였나 거기서 배란일에 가까운 여성의 체취나 골반, 가슴 모양이 달라진다고 그랬음. 비록 현대의 인류는 옷에 의해서 그게 거의 드러나지 않지만, 여성이 가임기가 왔을 때 가슴이 부푸는 것만 봐도 여성의 발정기가 있다고 생각함. 또한 가임기에 가까워질수록 성욕 또한 올라가고. 우리가 평상시에도 몸에 굴곡이 드러난 옷을 입을 보면 한번 더 쳐다보는 것처럼 여성의 생리주기가 다르니 남성은 항상 발정기에 가까워지고, 여성은 접근하는 남자에 대해 파악을 하기 위해서 자연스레 직접적인 배란신호를 감출 수도 있다고 생각함.
@JOHN_SMITH-bq7hh
@JOHN_SMITH-bq7hh 16 күн бұрын
흔한 선정적 내용인가 했더니 과학얘기였음! 야한 얘기도 좋지만 과학 얘기도 좋습니다!
@user-pi2uq1mg6q
@user-pi2uq1mg6q 26 күн бұрын
고릴라 빵디 비비는거 개웃기네 진짜ㅋㅋㅋㅋㅋㅋㅋㅋㅋ
@myjy0305
@myjy0305 23 күн бұрын
순결함 제공이 남성에게 어떤 메리트가 있나요? 일단 임신하고나면 여전히 다른 여성과 교미를 하려고 떠나는거 아닌가요?
@user-qi1pr8pk4n
@user-qi1pr8pk4n 17 күн бұрын
이 아이가 남성 본인의 아이라는 확신이 생겨서 아닌가요?
@myjy0305
@myjy0305 17 күн бұрын
@@user-qi1pr8pk4n 굳이 남성 본인이 양육 하지않고 여성이 키워도 되지 않나요? 영상에서도 교미가 끝나고나면 다른 여성을 찾으러 떠나간다는데.. 영상에서 앞뒤 근거가 겹치는 것 같아서 잘 이해를 못하겠네요
@user-qi1pr8pk4n
@user-qi1pr8pk4n 17 күн бұрын
@@myjy0305 일단 순결함 때문에 이 여성이 임신한 아이가 내 아이다라는 확신이 생기고 나면 애를 마냥 맡겨놓고 살기에도 신경 쓰이지 않을까요 태어나자마자 걷거나 모이를 먹을 수 있는 다른 동물과 달리 인간은 미숙아로 태어나기 때문에 훨씬 많은 돌봄이 필요하고, 내 자식이 남에게 살해되거나 험한 환경에서 사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해야죠 게다가 교미한 여성이 많아질 수록 신경써야될 점이 배로 늘어나니까요..? 저도 이쪽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순전히 제 추론으로 말해보았습니다
@Uzia07
@Uzia07 26 күн бұрын
갑자기 알고리즘에 나와 보게되었슴다 정말 유익하네용
@meticulous8535
@meticulous8535 Ай бұрын
아아 5:24 쇼펜하우어가 짝사랑 한테 차이고 한말 인가요?ㅋㅋ 아 ㅋㅋ
@kim_popper
@kim_popper 29 күн бұрын
예 사실입니다.
@user-on5go5vz5d
@user-on5go5vz5d Жыл бұрын
그러나 대한민국은.......
@user-xp9ze5on1n
@user-xp9ze5on1n 24 күн бұрын
0:35 사자가 둘다 수컷인거 같은데..boi~
@legendofattack
@legendofattack Жыл бұрын
인트로가 역대급으로 웃겼습니다 ㅋㅋㅋ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웃으셨다니 다행이네요 항상 시청해주시는걸로 감사하고 있습니다
@gold99xx
@gold99xx 8 ай бұрын
인류학 시간이나 하다못해 과학철학 수업에도 튀어나왔던 hunter-gatherer 모델은 여전히 유효한 담론인가 보네요. 그리고 저 모델에 대한 해석을 들을때마다 서로의 주장들이 어딘가 정치적이라 느낀것이 괜한게 아니었습니다. 사실 어느 쪽이 진실이 가까운지는 이미 중요한(=돈이 되는, 정치적인) 문제가 아닌지 한참됐기 때문에 그저 프로파간다적으로 쓰는 모습이 너무 많아 짜증이 났는데, 이걸 다 덜어낸 설명을 오랜만에 보니 반갑습니다. 과거 성선택이란 개념을 처음 접했을때는 이것이 남성이든 여성이든 선택권을 쥔 쪽의 번식 우월성을 얘기하는 것인가? 생각했었는데 영상들을 점점 보니 모든 결론들은 그래서 유전자가 후대로 전해지는가 그렇지 못하는가로 정리될뿐, 선택 같은 권리는 주어지지도 않은 비루한 유전자 전달매개만 남아있는것 같네요. 지나친 환원주의적 생각은 경계해야한다지만, 가끔은 이런 생각으로 본질이 무엇인가 따져볼 시간도 필요한것 같습니다.
@kim_popper
@kim_popper 8 ай бұрын
그렇습니다. 시청해주셔서 제가 다 감사합니다. 채널의 구성이 이전에 보셨던 영상들과 같이 된 것은 본 영상처럼 구성하면 잘 안보시기 때문(중도 이탈률이 매우 높습니다)입니다. 사실 이런 영상들이 뒤에 나오는 영상의 논리적 베이스가 되는 것인데... 보통은 잘 안보시고, 그렇다고 매번 설명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 골치가 아픕니다.
@kim_popper
@kim_popper 8 ай бұрын
해당 모델에 대한 견해는 상당히 갈리는 편이나, 반대의 경우 말씀하신대로 프로파간다성 지지에 가깝다고 보이는데- 인류의 계통발생학적 증거들이 성역할이 존재했음을 상당부분 지지하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암수의 체적차(내지 근력과 지방축적도)가 그렇습니다.
@gold99xx
@gold99xx 8 ай бұрын
​@@kim_popper모든 내용이 들어간 3시간 영상보다는 10분짤짤이 영상을 정주행할 확률이 더 높은게 사람이니까요 ㅎㅎ 정말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하려면 책을 읽어야죠. 커뮤니티에 좋은 참고문헌들 올려놓으셨으니 찾아보실 분들은 다 보실겁니다:)
@gold99xx
@gold99xx 8 ай бұрын
​@@kim_popper살아남은 신체적 특징은 어떤 유전자가 살아남았는지 말해주는 증거겠죠. 이걸 무시하면서 전개하는 논리가 프로파간다인건 당연할 듯 합니다 ㅋㅋ
@user-wo2pz9gc4k
@user-wo2pz9gc4k Ай бұрын
매일이..
@kim_popper
@kim_popper Ай бұрын
그렇습니다..
@user-dd7cz1gv8l
@user-dd7cz1gv8l 19 күн бұрын
0:37에..... 왜 숫사자끼리... 그리고 멧돼지는 왜 코뿔소랑....
@gosegu_like
@gosegu_like 26 күн бұрын
남자인데 이 영상을 보고 임신에 성공했습니다. 포퍼님 감사합니다.
@user-ox9ob4ll6u
@user-ox9ob4ll6u 26 күн бұрын
남자가 어케 임신함(?)
@user-pe6ex1je8k
@user-pe6ex1je8k 26 күн бұрын
​@@user-ox9ob4ll6u 왜 안됨?
@kim_popper
@kim_popper 25 күн бұрын
예 방광에 임신하셨다는 소식 들었습니다.
@gosegu_like
@gosegu_like 25 күн бұрын
@@kim_popper 음낭이 아니라 방광에 임신했다는 것부터 성인지감수성이 부족하시군요.
@kim_popper
@kim_popper 25 күн бұрын
참고로 아놀드가 나온 영화가 있을 겁니다. 정재승씨가 쓴 책에도 나오는 영화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user-fm4ge6yr9b
@user-fm4ge6yr9b 15 күн бұрын
0:40 왜 사자는 수컷끼리 하고 있나요
@user-lk8ze6vz5z
@user-lk8ze6vz5z 25 күн бұрын
여러분 저 발정기왔어요
@Kimbosong0080
@Kimbosong0080 27 күн бұрын
항상 발정기입니다
@dongchoi7890
@dongchoi7890 25 күн бұрын
썸네일은 왜 겨드랑이죠?
@kim_popper
@kim_popper 25 күн бұрын
일단 무슨 일이 생길 것 같으면 가장 먼저 준비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user-od6of1bs7u
@user-od6of1bs7u 25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yn5tz1so8k
@user-yn5tz1so8k 16 күн бұрын
매일 하니깐…
@user-kh9ng9zt3x
@user-kh9ng9zt3x 27 күн бұрын
잠만 그리 생각해보니 과거 조상들은 될때까지 했었던걸까, 아님 지혜로 생리 하는거 보면서 배란일 예측했을까…
@ililllilil3230
@ililllilil3230 15 күн бұрын
항상 발정기이기 때문에 엄청난 개체수와 진화를 이뤄낸거 아닌가
@letmegogogo
@letmegogogo 17 күн бұрын
1혼 1처제가 진화적 결과라기 보단 사회학적인 결과라도고 생각드네요
@jangsubin0921
@jangsubin0921 17 күн бұрын
전 있던데요..?
@user-os3sq4xd4l
@user-os3sq4xd4l 27 күн бұрын
발정기는 없어도 발정난 놈들은 많던데 ㅋㅋ
@user-uw1gr2ib6v
@user-uw1gr2ib6v 14 күн бұрын
5:15 쇼펜하우어는 -28년을 살았구나
@yumyumwiki
@yumyumwiki 7 күн бұрын
쇼펜하외와..
@user-vz7tq8be4h
@user-vz7tq8be4h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엔 일부다처제가 사실상 지금도 존재하나, 이를 많은 국가에서 법으로 처벌할 뿐이라 여기고 있습니다. 설거지론이 그 예시 아니겠습니까? 유대가 없기도, 난혼에 가까울때도, 자기 자식이 아닐때도 있으니 말입니다.
@kim_popper
@kim_popper Жыл бұрын
실제로 학계의 의견도 같습니다. 인간은 지금도 일부다처와 일부일처가 섞인 번식을 하고 있으며- 이것은 해당 본능을 가장 크게 조져놨던 중세시대마저도 예외는 아니었다, 라는 것입니다. 암암리에 뒤에서 다했다는 겁니다.
@user-hc6bb2lv6r
@user-hc6bb2lv6r 26 күн бұрын
설거지 여자한테 다 시켜놓고 싹 긁혀먹었단 소리하며 설거지 퐁퐁 단어쓰는데 요즘 출산율이나 연애 자체가 왜 줄었는지 알거같네요
@na650012
@na650012 24 күн бұрын
난 그래도 매일 하고 있지~리스따윈 이제 없다~
@sherlockholmes293
@sherlockholmes293 Ай бұрын
항상이니까
@user-yz7oy7ry3i
@user-yz7oy7ry3i 27 күн бұрын
무슨 소리야 난 항상 24시간 5분대기조
@user-qt6be9lp2h
@user-qt6be9lp2h 16 күн бұрын
0:34 ?사자는 왜 수컷끼리 하고 있냐?
@bergheisen2227
@bergheisen2227 25 күн бұрын
아니 진구는 어디가고 퉁퉁이가 이슬이랑...?? ㅜㅜ
고양이는 왜 미적분을 풀지 못할까?
10:37
김포퍼
Рет қаралды 41 М.
여성들은 정말로 큰 꽈추를 엄청 좋아할까?
7:57
Countries Treat the Heart of Palestine #countryballs
00:13
CountryZ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29 МЛН
小女孩把路人当成离世的妈妈,太感人了.#short #angel #clown
00:53
지금보다 매력적인 사람이 되는 방법 3가지
3:43
비치키
Рет қаралды 273 М.
여자들은 왜 아이폰을 좋아하게 되었을까?
12:33
똑똑한 남자 좋아하는 여자의 심리
9:44
유리멘탈의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3,6 М.
이대로 가면 인류는 정말 100년도 안 남았습니다...
21:35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외모로 성욕 높은 여자 알아보는 방법
13:10
심리학자 차희연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여성들이 리얼돌 수입에 반대하는 진짜 이유
5:58
Cadiz smart lock official account unlocks the aesthetics of returning home
0:30
Девушка и AirPods Max 😳
0:59
ОТЛИЧНИКИ
Рет қаралды 15 М.
📦Он вам не медведь! Обзор FlyingBear S1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