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전기차에 쓰이는 양이 압도적으로 많겠지만 사실 높은 에너지 밀도와 높은 사이클, 안전성을 요구하는 배터리 사용처는 매우 많쵸. 적은 배터리 용량으로도 비싼 마진이 허용 되는 분야들. 스마트폰, 와치, 링, 태블랫, 랩탑, 공구, 가전 등등.. 실제로 대만 프롤로지움은 이런 소형 배터리 부터 상용화를 시켰습니다.
@seawolf35529 ай бұрын
전고체가 안되는건 아닌데 단가가 문제임 언젠가는 전고체로 가겠지만 10년내 대중화는 힘듬니다 지금도 하이엔드 차량에는 들어가지만 다들 3~4억씩 하는 차를 사지는 않지요 5천 이하 차량에 들어 가려면 아직도 먼길을 가야 합니다 또한 전고체가 대중화가 되도 양극 음극이 없어 지는건 아닙니다 변할 뿐이조 지금은 LFP가 대중화 됬고 3원계도 대중화 중인데 개발된지 언제 인가요 산업의 속도는 배로 진화 하지만 결국은 가격 입니다
@ahn42889 ай бұрын
전고체는 차량 대중화보다는, 하이엔드 차와 로봇같은 곳이 1차 목표 아닐까요? 테슬라도 고가 -> 대중화를 했으니까요. 하이엔드랑 로봇만 선점해도 기술력의 가치는 엄청날 거 같은데요
@martnmd60598 ай бұрын
그 고가라는건 기술을 만드는 r&d 예산 때문인거고... 전고체는 들어가는 소재 원자재 자체의 가격 때문인데 그게 가능하겠음?
@류형선6 ай бұрын
리튬메탈 적용되면 음극은 없어집니다.
@qwk14824 ай бұрын
잠수함에는 매우 좋을듯요 가격보다 성능이 우선이니
@WinTer7x9 ай бұрын
맞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결국 모른다는 게 결론인거죠? 전고체는 하나같이 쉽지 않다 어렵다. 이건 팩트로 보이네요.
@지미-s5r9 ай бұрын
전고체 바테리는 안보 차원에서 개발되어야 하고, 먼저 가격 부담이 적은 무기에 적용해 나가면 사업화 진행에 디딤돌이 될것 같다. 잠수함이나 드론, 로봇무기, 모터구동 장갑차 등은 바테리의 문제인 폭발 위험이 없어야 하고 무게가 낮은면서 고용량 이어야 하기에 저소음의 모터구동이 요구되는 방산장비에 필수적인 바테리이다
@nickchoi1219 ай бұрын
맞아요ㆍ사용 용도는 무궁무진 합니다ㆍ가격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아요
@김상현-w3b9 ай бұрын
언제는 중국산 lfp싼게 경쟁력 있다면서 이제와서 되집어지죠?
@jacobkim32154 ай бұрын
할배요. 장갑차고 나발이고 실제 양산이 안된다니까요..
@YuhoChu9 ай бұрын
오다 노부나가의 장인인 사이토 도산이 총을 보고 '기예일 뿐'이라고 말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진짜인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당대 사람들에게 총과 활 중 어느쪽 기술이 우월할 지 예측하기는 매우 어려웠을 겁니다. 결국 조선은 활을 선택했고, 일본은 총을 선택했습니다만. PDP와 LCD의 대결에서 PDP가 우월한 점도 굉장히 많았고, 응답속도가 엄청나게 느린 LCD의 승리를 예측하는 사람은 당대 디스플레이 전문가도 거의 없었다고 봅니다. 요새는 LCD와 OLED의 관계가 마치 배터리의 LFP와 NCM계열의 관계와도 비슷해 보이는데, 둘 다 살아남을 듯한 느낌도 있네요. 수년 전 삼성에게 버림받았던 기술인 HBM이 요즘 핫한데, 얼마전에 GDDR7 표준이 발표되었더군요. DDR과 HBM의 관계도 마치 배터리의 LFP와 NCM계열의 관계와도 비슷해 보이는데, 미래는 모르는 일이죠. 요는, 어느 기술이 살아남을지 당대 사람은 절대 알 수 없고, 단정적으로 말하는 사람을 항상 조심해야 하는 법입니다.
@청천고운8 ай бұрын
ㄹㅇ
@sunshine-vj5ui4 ай бұрын
일본이 총때문 임진왜랴ㅈ일으킨거 아니다 그당시 조 총이ㅈ활보다 성능이 떨어졌다 조선이 총때문어 패배한것이ㅈ아니고 워내 군사력이 약했다 그래서 임진왜랴 후에 조총을 더 이상 개발하지 앐고ㅈ일본도ㅈ마찬가지
@ninierr4 ай бұрын
정답 입니다 .
@ninierr4 ай бұрын
@@tfwuputfyebtdx적당한 비유인데 왠태클
@우진우진-m4q9 ай бұрын
한국 애널들 문과라서 기술에 대해서는 모르고 뇌피셜로 지껄이는. 경우가 많다 고객사에 샘플을 주고 시험단계라고 했으면 어느정도 완성 단계라고 보는게 맞는거지. 불가능하다는 것들은 기술은 알고 양산 단계라는 정의는 아나? 삼성 sdi가 사기쳐서 얻는게 멀까? 임직원들은 주식도 마음대로 팔 수 있는것도 아닌데....... 오히려 반대쪽 사람들이 본인 주식 방어하려고 사기치는게 더 신빙성 있지 않을까?
@영어단어매일외워보자9 ай бұрын
?? 이거 뭔 개소리??
@우진우진-m4q9 ай бұрын
@@영어단어매일외워보자 응 너 개솔....ㅋㅋㅋㅋㅋ
@user-zf2oe7vs3h7 ай бұрын
@@영어단어매일외워보자뭐가개소린지를 얘기해야지 초딩이냐
@토닉워터4065 ай бұрын
어휴 현직인데 전고체 한참 멀었다... 샘플 단계는 ㄹㅇ 샘플 단계고 양산은 20년 안에나 될까말까다. 중국이 워낙 앞서나가고 있어서 말도 안되게 차이 날까봐 발만 담구는 격이라 보면 된다. 이거 팩트 인정 시 = 현직이라 보면 된다.
@풍천-i2h4 ай бұрын
인생업적이 이과인가본데 애널들이 기술 모르고 그러는거겠냐 멍청아. 애널들은 세일즈맨이라고 보면 된다. 팔릴만한 주식이면 사탕발라서 팔면되는거고 증권사는 수수료 장사라 손실보든말든 거래만 왕성하게 일어나된 장땡이다. 주식시장에 대한 이해도부터 높여라. 걔네들도 제정신이면 안되는거 다 안다. 테마 만들어서 펌핑하는게 목적이라 실체적 진실 알바노인거다.
@김민균-h4u4 ай бұрын
결론은 힘들다 라는게 맞군요
@guyverpae40948 ай бұрын
전고체 밧데리라는 것 자체가 전하의 이동이 습식 밧데리에 비해 상당히 낮은 것은 실제 사실입니다. 특히 작은 면적에서 전고체 밧데리가 동작하는 것과 상용의 큰 면적에서 동작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실험실 레벨과 상용 레벨은 완전히 다른 문제이죠. 이미 20년전부터 탄소반도체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고 동작도 확인해지만 아직 상용화하지 못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상용화하기 위한 생산라인은 구축하는 문제는 완전히 다른 문제입니다.
@안되는차되게하라8 ай бұрын
솔찍히 2030년은 되어야 상용화 시제품이라도 나올 듯 하네요 많은 배터리쪽 투자자들이 대기업이 돈빵으로 밀어붙이면 진짜 3년정도 안에 다 되는줄아는 모양인데 아직도 넘어야할 산이 너무 많습니다 실험실에서 특수 조건하에 딱 상용화 가능하다 결론이 나오는 시제품은 2030은 되어야하고 그 상태에서 양산화 하기까지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수도 있지요 전고체라는게 되는 순간 충전도 내연기관 기름넣듯이 빠르고 영하 20도에서 효율 전달율도 떨어지지도 않고 그동안 전기차가 겨울에 조루였던 저온성능..... 그냥 우리가 여태껏 불편해왔던 충전시간도 모두 해결되는것인데 이게 막상 양산되서 시판까지 나올려면 2033년은 되어야할듯 싶습니다 첫 시판가격이 2억도 넘을거같은 불길한 예감
@qwk14824 ай бұрын
저 이온전도 액체보다 낮다고 알려졌는데 이미 기술로 돌파해서 액체 이온전도랑 차이가 없는 상태입이다....
@rainbowsea96799 ай бұрын
미래 글로벌 자동차(전기자동차포함)구매 소비자 분류 프 리 미 엄 급 - 20 % 일 반 형 급 - 60 % 경형(초소형포함) - 20 %
@ShonerYT9 ай бұрын
극소수 재벌/지도자 패밀리 : 내연기관 자동차
@돌격-f4y4 ай бұрын
조만간 놀라운 소식이 있을수도 이글은 성지가 될듯
@tullaetullae6726 ай бұрын
애당초 삼성SDI같은 토요타보다도 더 양산에 근접한 업체 조차 최우선 시장이 리튬이온전지에 안전 냉각 케이스로 구성된 항공기용일 정도로 단가가 높죠. 태생적으로 슈퍼카 하이퍼카나 먼저 쓰이고 한참 지나서야 양산차 기대할 수 밖에 없어요.
@martnmd60598 ай бұрын
전고체는 수소차랑 똑같아. 누가봐도 가성비가 안맞아. 생태계 형성도 불가능해. 그냥 전고체에 매달리는 건 수소차처럼 나만 가고싶은 길이라고 홍보하고 싶을 뿐이야. 근데 안되잖아. 안되는 걸 안된다고 하지.
@24시-y6w9 ай бұрын
경제성과 함께 정확히 분석해야지요.. 기술이야 가능하겠지...
@순정-y1o8 ай бұрын
그쵸 ㅋㅋ 경제성이 탑 기준인데 ㅋㅋ
@sinirq8 ай бұрын
화학을 전공하신분들 의견 = 가능은하나 개발사에서 제시한 성능에는 택도 없다...는게 중론이더군요 물리법칙을 뛰어넘으면 NCM 성능이 나올것이라고는 하는데 현재 인류 기술로는 안된다고 하네요
@iron48769 ай бұрын
건식 전극 기술력을 위해 Maxwell 을 인수했다가 근 몇년 사이에 매각했던데 기술력만 흡수하고 내보는 걸까요 아니면 전고체 배터리는 당장에 어려워서 그랬던 판단일까요
@boxzone1239 ай бұрын
테슬라가 맥스웰을 인수했던건 리튬이온전지용 건식 전극 기술을 타겟으로 한거에요. 언젠가는 전고체전지도 건식 전극의 적용처가 될수 있겠지만 아직은 시간이 많이 필요할겁니다. 건식 전극이 전고체에만 쓰이는 기술로 착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요.
@iron48767 ай бұрын
@@boxzone123 답변 감사드립니다
@capkitals9 ай бұрын
박씨및선대머리 엄청까셨네 ㅋㅋ 응원합니다
@baramsolee8 ай бұрын
투자자에게 한 말을 앤지니어가 들으면 이런 스탠스가 되는구나.
@안영권-l8d8 ай бұрын
언제 개미에 덕 되는 주장이 있었던가? 개미가.개미를.먹는 지혜만이...
@최붕재8 ай бұрын
음극제 쪽으로 고성능으로가면 5분 충전에 1000키로 이러면 획기적이지 않나요
@tmvmfpemchqh7 ай бұрын
5분에 1000km를 가려면 대략 5분에 200KWH를 충전해야 하는데 단순히 계산해도 4MW 수준으로 충전해야 합니다. 지금도 불나는데 이 정도면 뭐 그냥 소방차가 옆에서 대기해야 할 듯 하네요.^^
@5h57m3 ай бұрын
@@tmvmfpemchqh충전포트를 10개 독립적으로 갖다 쏘는건 어떤가요
@sisio-p3q9 ай бұрын
전고체 엄청 비싸겠구나....
@dreaddeo59788 ай бұрын
물론 역사적으로 꿈꾸던 것이 '언젠가는' 되었습니다. '대부분'. 하지만 적어도 '그렇게 쉽게'는 안 되었죠. 20세기 중반까지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자신의 무게를 들어올리는 일이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하지만 네오디뮴 자석으로 가능해졌죠. 상온 초전도체나 레이저 무기, 레일건 등 손에 잡힐 듯 하면서도 쉽게 잡히지 않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여기에 들어가는 돈과 노력이 헛된 것은 아니지만 비용 대비 효용성 부분에서는 잘 생각해야죠. 어쨌든 포부로서 로드맵은 좋지만 이걸로 투자를 한다고 하는 것은 저로서는 좀 반대 입장입니다.
@daveneo12469 ай бұрын
요즘은 가격이 전부죠
@woodstar72314 ай бұрын
도요타가 전고체특허를 제일많이가지고있 다는데, 왜 국내배터리 제조사와 합작을하는 이유를 알고싶네요,
@나비-y3w2p9 ай бұрын
삼성은 해내야죠. 황화물계를 비롯해 연구도 오래했습니다. 그런데 역질문 해보시죠. 안전하려고 타는 하이엔드급 전기차. 황화수소 문제는? 양산과 별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복핫9 ай бұрын
몰라서 그러는데 전기차 주행 중 전고체 배터리에서 황화수소가 왜생기나요?
@슙허맨8 ай бұрын
@@복핫주행중에 안생겨요 ㅋㅋ 걍 박순혁 선대인에게 세뇌당한 정신병자들의 헛소리입니다
@qwk14824 ай бұрын
습기와 접촉인데 포집 장치 만들면 쌉가능함
@구르미-h5z9 ай бұрын
가격이...ㅠㅠ
@최붕재8 ай бұрын
전고체 보다는 고성능 리튬이온이 빠를것
@samchannel81998 ай бұрын
조금 명확하게 설명해 주셨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셀 단위 시험 검증이 완료되면 차량 시험도 어느 정도는 예상치는 있습니다. 삼성이 샘플 단계 검증 후 양산이 가능하지 않은데, 전격적으로 발표하지는 않았을 것 같은데요? 현장의 소리가 다들 회의적이기만 한데 왜 샘플 이후가 가능할까요? 단순 앞단에 자신의 커리어가 있어서 끌고 가야하는 것으로 삼성이 전고체를 밀고가지는 않을 것 같은데요?
@jeonggeunkim60024 ай бұрын
국내에서 전기차 화재는 거의 한국산 배터리들을 사용한 전기차 화재 입니다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 화재는 별로없습니다 보도 조차 제대로 안하죠 현대 기아차의 전기차 화재들이고 사람이 순식간에 불에 타서 살아있는 사람을 화장해 버려도 보도조차 제 대로 안됩니다 조그맣게 잠깐 보도하고 말거나 ...이번화재는 워낙크게 벌어진 사건이고 벤츠차에 중국산 베터리니 마음놓고 보도하 는 것입니다 작년한해만 해도 72건의 전기차 화재가 있었고 대부분 90% 이상이 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의 화재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는 한국의 배터리를 흉보고 한국에서는 중국산 배터리를 무시합니다 근본적으로 한국기업들이 주로 생산하는 NCM 베터리가 중국기업들이 생산하는 LFP 배터리보다 화재에 취약한것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지금까지 해마다 두배이상씩 전기차 화재가 급증하였습니다 보급이 많이될수록 전기차 화재가 급격히 증가중입니다 수명도 중국기업들이 생산하는 배터리가 월등히 더 깁니다 중국에서는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는 절대로 사지 않습니다 위험하다고 한국에서도 중국산 배터리 개무시합시다
@qwk14824 ай бұрын
우선 잘못된 정보가 많아서 중국에서 LFP화재는 매일 4건이다 ncm배터리도 4건이다 최근 4개월로 보면 중국 ncm은 하루 평균 7건이다 국내 차 화재만 집중조명 하셨는데 전체 화재중 중국산 배터리 화재가 35프로입니다를 안밝혀서 문제가 되죠
일단 2030년전에 양산한다는것은 완전 희망회로임. 원천기술 미국이고 도요타가 전고체기술단계서 가장 앞서있는데 삼성 SDI가 무슨수로 2027년에 양산한다는것임?? 도요타도 아무 반응없는거 보면 업계관계자들은 뻥카로 보는거지 삼전도 경계현이 Tsmc 2030년안에 앞지르겠다는 말도않되는 비젼 아니 헛소리를 하는것처럼. 업계관계자들 아니 애플만봐도 삼전 안주잖아??
@qwk14824 ай бұрын
도요타 특허 취소된거 알고 계시나요? 예를 들어 황화리튬과 여라가지 물질을 한번에 섞어서 사용하면 안돤다라고 햤는데 국내 기술진이 논문이 허위라는걸 증명했죠 그럼 이 걸 한번에 섞어 쓰니 양산단가가 떨어지리라는건 당연하구요 이거 반도체에서 허위 논문 올렸다가 취소된 일본 논문이랑 매우 유사합니다
@ainislove33227 ай бұрын
왜 `안 된다고`를 `안된다고`라고 하는 것일까?
@박상순-y7f5 ай бұрын
이런사람말듣지맙시다
@우왕국씨3 ай бұрын
그럼 다른기업도 아니고 삼성은 왜 할려고할까 배터리 만들어보지도 못한 분들이 특히 주식한다는 사람들이 된다 안된다 논하는것도 웃김 마치 기업의 영업비밀까지 다 꿴듯 단정짓고 떠드는거 웃깁니다
전고체 안된다는게 아니고 비싸서 대중화되기 쉽지 않다는거임.....까도 좀 제대로 알고 까자
@didiq9 ай бұрын
@@김영욱-m7q시장 주력은 미드니켈인 거 나도 인정하거든. 언제까지 다들 하는 것만 하냐. 늘 국내기업끼리 과당 경쟁, 제살 깍아먹기... 엔비디아 AI시장 알고, 칩개발했냐? UAM 드론 우주항공 방산 같이 신규 시장 창출할 수 있다는 생각은 못하나? 새로운 것도 도전해야지. 이런 시도 정도는 할 수 있다~ 정도로 그치면, 그냥 넘어가는데, 그냥 불필요 정도로 결론내니, 개쓰레기지. 배터리 주식 거품 만든 거는 반성 안하고...ㅉㅉ
@ByungJoonSong9 ай бұрын
뭔 사실을 말해줘도 불만이네.. 많이 투자하세요. 인터배터리에서 삼성 sdi 답변 보니깐 진짜 아~~~ 무것도 정해진거 없드만 2030년에 조차 되는거 맞냐?????
@wasjeud9 ай бұрын
전고체 하느니 미래를 바꿀 수소차 한다고 하는게 더 신뢰가 가겠네요. 전고체는 할 필요없는 분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