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왕이나 전쟁같은 굵직한 세계사 영상은 많지만 이런 세세한 세계사에 대한 영상은 거의 없죠 중세 유럽에 가장 관심있는데 늘 올려주시는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퀄리티 정말 좋아요
@hyosshin3 жыл бұрын
중세인들은 갈등이 생겼을때 그냥 서로의 뚝배기를 걸고 결투 재판을 한다고만 생각했습니다
@이링공뎌링공3 жыл бұрын
어흐흑...ㅋㅋㅋㅋ 어흑 ㅋㅋㅋㅋㅋ
@성이름-v7v8v3 жыл бұрын
저도 ㅋㅋㅋ
@_redundant_3 жыл бұрын
ㅋㅋㅋ공감요
@채호석-b4m3 жыл бұрын
근데 그게 맞긴함. 지금도 그라야됨 절도같은 비겁한 범죄는 걍 국가에다가 좀 위탁해주고 처벌까지하고 서로싸워놓고 좀 더 다쳣다고 고소? ㅋㅋㅋ 니가 먼저 쳣니 뭐니 롤이서 패드립 먹었는데 고소를 하니마니 ㅋㅋㅋ 공권력 낭비지림그냥
@이링공뎌링공3 жыл бұрын
아이케 법전은 처음 듣는 것이라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1981년까지라...놀라운 생명력의 법전이라는 생각이 들었네요 감사합니다~~~
@지식전당포3 жыл бұрын
독일어 발음 개멋집니다 …ㄷㄷㄷ
@gogo77033 жыл бұрын
동감~ 진짜 멋져요~^^b 저도 배우고 싶은데 많이 어렵겠죠;ㅅ;
@simplenothing88323 жыл бұрын
ㅇㅈ
@장재우-s5k3 жыл бұрын
다른 유튜브 채널에선 찾아볼 수 없는 내용과 퀄리티 항상 감사합니다
@housekeeper79103 жыл бұрын
지금 나오는 판례들도 이해안가는게 꽤 돼죠~ 너무 가볍거나 너무 차별적이거나.... 오늘도 잘 보고갑니다
@합격을기원-b1q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채널입니다 목소리도 좋아요
@김정수-j4e3x3 жыл бұрын
독일 작세의거울에 대한 재미있는 영상 아주 좋았어요! 당시의 중세인들의 법을 어떠한지 알수 있어 좋았어요.
@2401ja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굉장히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을 보게되어 감사합니다.
@양씨형3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
@q-onelee24432 жыл бұрын
오오, 넘 유익하고 재밌다..
@포르테피아노-y1g3 жыл бұрын
와... 엄청 재밌고 유익하게 봤습니다 유럽의 법의 역사가 궁금했었는데 재밌고 쉽게 봤어요
@tsardoletsamvon76923 жыл бұрын
"요즘 법학이 유행이라며? 그거 뭐 우리가 따르는 규칙을 글로 써서 남기면 되는거 아니야? 임자가 맡아서 해봐"라고 했을것같은 느낌적인 느낌입니다
@산넘어산-n3p3 жыл бұрын
군대식 보직배정ㅋㅋㅋ
@tsardoletsamvon76923 жыл бұрын
@@산넘어산-n3p 영주는 군인이 맞으니까요... 지난 영상에서 '궁정생활'에 염증을 느끼는 기사가 많았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재미있는거 없냐? 뭐 하나 해봐라"같은 느낌이었을수도 있을것같습니다...
@강대봉-e9d3 жыл бұрын
오래전에 본 어느 책에 의하면, 착할 선 자와 법 법 자의 기원을 풀이하였는데요~고대엔 어떤 분쟁이 생기면 마을 원로들이 화해를 시키고 화해가 안 되면 재판으로 가고 재판에서도 결론을 내리기 어려울 땐 마지막으로 '양'에게 판단을 맡겼다고 합니다. 즉 재판을 가릴 양을 데려와 두 개의 단에다 소금을 놓아두고서 그 양이 어느 쪽 소금을 먹는지 보고 유무죄 또는 승패의 결론을 내렸다더군요. 그 양이 오른쪽 소금을 먹으면 원고가 승소하고 왼쪽 소금을 먹으면 원고패소로 판단했기에 착할 선 자에 양 양자가 들어가고, 밑의 점 두 개와 입 구 자는 소금 두 그릇을 놓아둔 단을 상징한다더군요. 즉 그 양이 선악을 가린다고 믿은 거죠^^ 더 무서운 건, 패소한 쪽 사람은 사슴가죽 부대에 넣고 밀봉한 후 깊은 강물에 수장시켜 죽였답니다. 법 법 자를 '물이 흐르듯' 법은 공정해야한다는 의미로 물 수 변에 갈 거 자를 써서 법 법 자가 되었다고, 모든 법학개론 첫장에 나오지만 그 해석은 역사에 무지한 '개구라' 라네요. 그래선지 원래의 법 법 자 정자엔 '사슴록 변에 법 법 자'를 쓰거든요. 강원도 법흥사 사찰에 갔었을 때 '법 당'에 그 정자 법 법 자가 쓰여 있더라구요. 동행한 사람들이 "저 글 자가 무슨 뜻이냐?"길래 이 얘기를 했더니 다들 놀라더라구요^^ 원래 법적 다툼엔 목숨을 걸었던 거지요^^ 솔로몬의 재판도 착할 선 자와 법 법 자가 융합된 거 아닐까요?^^
@user-nx6nl2xb9m3 жыл бұрын
중세 일상생활 너무너무 재밌어요!
@이남경-o5h3 жыл бұрын
중세 결투재판을 다룬 영화 라스트 듀얼 !! 개봉을 기다리고 있는데, 마침 중세 재판에 대한 영상을 올려주시네용 ㅎㅎ 결투재판 외에도 중세 법에 대해 배경지식 쌓고 갑니당
@버클리김박사3 жыл бұрын
하. 오늘 내용도 재미 있네요. 배우고 갑니다~~
@임현우-j6t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옛날 이야기 듣듯이 재밌게 새로운 지식을 얻었습니다
@kimout-3 жыл бұрын
0:50 독일어 개멋있다
@King-Jade-Iron3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가욬ㅋㅋㅋ
@belleepoquela32713 жыл бұрын
인류의 역사가 전쟁의 역사라고 하지만, 그 안에는 역시 법의 역사도 같이 있네요.
@cedarred5050 Жыл бұрын
이제서야 보았지만 정말 흥미롭습니다. 완벽할수야 없었겠지만 당시에 농노제와 그에 관련된 사회적 불의에 대해 정확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는점이 무척 놀라운데, 동시에 여러 전근대적 인식과 한계도 보여주는 모습으로, 인간과 사회의 이성이나 합리의 발전상이 결코 단순하거나 쉽게 판단할수 없다는걸 느끼게 해주는거 같네요.
@조현진-u1w3 жыл бұрын
동아시아의 율령, 형벌체제가 중앙집권을 돕기 위해 국가단위로 받아들여진 성문법이라면 아이케의 법전은 봉건통치를 돕고 지역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널리 퍼진 사례라고 볼 수 있겠군요!
@szp28923 жыл бұрын
3:17 바람의 나라 ㅋㅋㅋ 옛날에 많이 했는데
@문성국-i3z3 жыл бұрын
영화 '라스트 듀얼' 보기 전에 좋은 영상👍👍👍
@lee-true2 жыл бұрын
개꿀잼 채널
@user-historyexpress3 жыл бұрын
중세의 해결법... 이란 문구와 미리보기 이미지 보고 결투구만 ㅋ 이랬는데.. 영상보고 제 무지를 반성했습니다 ㅎ;; 잘 보았습니다. 진정한 참교육👍
@var-f1g3 жыл бұрын
아주좋아
@jasonkim35943 жыл бұрын
1 빠. 고대-중세-근대-현대. 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해 주시고 그런 구분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anetteseong9873 жыл бұрын
언어를 보편화되어 사용은 누가 하나요?
@CentralParkish3 жыл бұрын
법을 만드는 입법부가 참고해야 할 영상인 것 같군요.
@보노보노-q6e3 жыл бұрын
신성로마제국의 동쪽 국경에 대해서 다뤄주세요
@김상규-x6d3 жыл бұрын
Markgraf 변경백도요!
@crouchingstone3 жыл бұрын
3:37 묘하게 무지의 베일이 떠오르네요 ㅎㅎㅎ 나이와 연륜 많은 첫째가 막무가내로 분할 소유 하는 걸 막으려고.
@김상규-x6d3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시기 칼레인근의 저지대에선 기사의 아내들은 남편이 죽으면 결혼 전 자신의 몫으로 지정된 땅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주지 않으려는 기사의 아들들과의 갈등도 있었고요
@그니까요-i5y3 жыл бұрын
유튜버가 어떤 분인지 궁금ㅎㅎ
@름이-s8n3 жыл бұрын
중세 기사들 무장 같은 것도 가능한가요?
@ZamBokSaw3 жыл бұрын
흔히 영미법에 대척지점에 있는 대륙법의 기초에 영향을 많은 준게 저건가 보네?
@anetteseong9873 жыл бұрын
중세시대에는 독일어를 사용하지못하는 독일사람도 많았나요? 독일어 말고 어떤 언어를 사용했나요?
@CLASIC-1004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죽은 자의 온기가 남아있습니다.
@ABCD-xc6nm3 жыл бұрын
죽은자의 온기가 남아있습니닼ㅋㅋㅋㄱ
@이응-f6x3 жыл бұрын
우왕
@안강현-u2e3 жыл бұрын
'작센슈피겔'을 현대 학교에서 표준독일어 교육을 받은 사람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나요? 아이케가 구 동독 안할트 지역 사람이라고 하셨죠?
@매렁-n1i3 жыл бұрын
이런걸 성문법이라고 하나요? ㅎㅎ 암튼 독일 성문법의 시작을 오늘 공부한 것 이군요 ㅎㅎㅎ
@anetteseong9873 жыл бұрын
중세시대에는 언어를 읽고 쓸 줄도 몰랐나요?
@user-v385bad38glj3 жыл бұрын
컴컴한 중세시절에 농노제에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이가 집필한 법전이라서 그런지 오랫동안 유럽곳곳에서 받아들여졌나보네요
@최지후-i8y3 жыл бұрын
중세는 볼수록 흥미롭다
@aidencorea5953 жыл бұрын
채널명은 바꿔야할듯
@늅-u9f3 жыл бұрын
결투재판이라는 좋은 방법이 있습죠 죽으면 그놈이 잘못했다는 매우 확실한 방법입니다
@채호석-b4m3 жыл бұрын
지금도 그렇게 해야함. 절도같이 갈등이 아니라 몰래 일방적으로 한 범좌는 제외하고 맞짱까놓고 좀 더 다쳣다고 고소하거나, 롤에서 싸우다 패드립먹어서 고소한다거나... 진짜 공권력낭비오짐 거의 대부분의 갈등은 1대1데스매치 결투시켜주면 알아서풀림 ㅋㅋ
@최현준-j4g Жыл бұрын
@@채호석-b4m 그러면 너같은 새끼들은 동네 노약자들 수금하러 댕기겠지 이새끼야ㅋㅋ
@tiger86283 жыл бұрын
독일어 발음 들으러 옵니다
@2311ANKK53 жыл бұрын
영혼의 맞다이를 했을거 같다
@anidrummer87803 жыл бұрын
세계에는 크게 3가지 법체제가 있지 대륙법, 영미법, 샤리아 근데 샤리아는 인간적으로 빼고 싶네요
@김기연-y7f3 жыл бұрын
과거의 법전들을 보면 현대의 법전이 더 미개 한거 같은....
@성이름-r7k1i3 жыл бұрын
홀리쉣
@supercjh3 жыл бұрын
어디 누가 또 발음가지고 코멘트하나하고봤더니 역시나 누군가는 꼭 mention하는군... 발음나쁘면 어쩔건데... 어느 채널가나 외국어 발음 칭찬/지적. 왜 한국인들은 발음에 꼿혀있는지.
@_redundant_3 жыл бұрын
발음이 못알아듣겠다고 지적하는게 아닌 이상 발음 멋지다는건 좋은 칭찬 같아요! 같은 언어라도 능숙하게 구사하는 것과 어색하게 구사하는건 들리는게 다르니 그만큼 구독자 입장에선 능숙한게 좋아 칭찬한게 아닐까 싶습니다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