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유신과 다른 혁명의 결정적 차이? 메이지 유신에서 배우는 새로운 시대를 대하는 법 :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Рет қаралды 125,417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5 ай бұрын

#일본 #역사 #메이지 #메이지유신 #유신 #사무라이 #동양사 #동아시아 #일본사 #전쟁
메이지 유신과 다른 혁명의 결정적 차이? 메이지 유신에서 배우는 새로운 시대를 대하는 법
: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1부
✋일당백 공지사항✋
‘광고의 신’ 정프로와 함께 하실 새로운 광고주님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일당백 광고 문의 : 1dang100tv@gmail.com 🔔
다양한 광고 기다리겠습니다!🤝
🌱 오직 3일동안만 몰래 진행! 해양오염으로부터 완벽히 안전한 “플랜트 100% 식물성 콜라겐”
√ 구매링크: bit.ly/47Jq6NX
√ 배송 메모란에 [일당백] 입력하시면, 무조건 한박스 더 선물로 드려요~!
🌈DICTO 초임계 rTG 오메가3
믿을 수 있는 원료로 현직 약사가 직접 구성한 루테인을 만나보세요!
구독자 한정 특별할인(최대 40%)과 연말 선물포장 이벤트 진행중입니다. 👇🏻👇🏻
dicto.life/category/$1/64/
🥩소선당 1++ 한우🥩
최고급 한우를 합리적 가격으로! 선물 세트부터 육회까지 다양한 한우를 만나실 수 있습니다.
현재 할인 행사와 일당백 광고 기념 사골 곰탕 팩 증정 행사를 진행중입니다.
sosundang.co.kr/
☕️ 일당백과 항상 함께하는 1kg커피~~ 쇼핑몰은 구글플레이 혹은 애플 앱스토어에서 1kg커피 검색하셔서 다운 받으셔도 되고,
www.1kgcoffee.co.kr​​​​​ 로 접속하셔도 됩니다 ☕️
🍎 더 맛있고 신선한 영주 은하수 사과와 사과즙! 소백지향 홍삼 💪
m.yjapple.com/
sbjinseng.com
영주 은하수 사과와 사과즙 눌러주세요!
소백지향 홍삼도 눌러주세요.^^
🚘 대박114대리운전
앱 설치 시, 10,000원 적립!
me2.do/x3qhjYfr
대리운전의 신선한 개념. 미래의 대리운전
이제 더욱 편리하고, 저렴한 대리운전을 이용하세요

Пікірлер: 166
@user-vu8du9zc4r
@user-vu8du9zc4r 5 ай бұрын
예전에 댓글 드렸던 이강섭 입니다ㆍ 지난 4년반 집사람 병간호 할때 내 지적 허영심을 달래 주는 일당백에 위로를 많이 받았습니다ㆍ 이제 조금 상황이 조금 호전되어 고향 집으로 돌아왔습니다ㆍ 어떻게 하는게 지난 5년 도움준 일당백에 도움 되는지? 1키로 커피 사면 됩니까?
@user-kz2qp5nw7p
@user-kz2qp5nw7p 5 ай бұрын
좋아요😊😊
@agokrpil8517
@agokrpil8517 5 ай бұрын
이강석 선생님! 좋은 소식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먼 곳에서 응원하고 있습니다!! 올 한해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nlp666ludi
@nlp666ludi 5 ай бұрын
네 커피사세요 .저도 커피샀음
@user-og5hv8xp8i
@user-og5hv8xp8i 5 ай бұрын
축하드려요 저도 그 사연 본적이 있는거 같은데
@younggun7002
@younggun7002 5 ай бұрын
슈퍼챗 또는 1kg 커피구매, 소선당 한우 사기요ㅎ
@laura-kc9xf
@laura-kc9xf 5 ай бұрын
정박님의 일당백 지적 성장 바람으로 지나온 4년의 여정이 인간 성장이 된 것 같은... 묵묵히 자리 지켜온 정박님께 감사할 뿐 입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user-uq1tn2xn1y
@user-uq1tn2xn1y 5 ай бұрын
정박님은 지식도 대단하시지만 마음도 따뜻하고 말씀도 이해하기쉬워서 너무 좋아요.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 5 ай бұрын
동감입니다 😊
@alexh5321
@alexh5321 5 ай бұрын
맞아요 해박한 지식과 통찰력 안에 겸손함과 다정함이 묻어나서 듣기가 참 좋아요
@soonheemin2991
@soonheemin2991 5 ай бұрын
100% 동감입니다.
@wisasta
@wisasta 5 ай бұрын
번외편으로 정박님의 공부법? 해주시면 안될까요? 저도 메모하고 읽고 정리하는 걸 좋아하는데요, 책 정리하시는 루틴이 있으실지요. 저렇게 방대한 양을 매주 이야기해주시는게 정말 대단하세요
@user-ze8rd9wt7h
@user-ze8rd9wt7h 5 ай бұрын
저도 정말 궁금합니다ㅎ
@letranger5212
@letranger5212 5 ай бұрын
주말 아침 일찍 우울하게 출근하다가 쎄금에서 얼마나 웃었는지 운전을 제대로 못 했습니다 ㅋㅋㅋㅋ
@user-qe5by8uk1t
@user-qe5by8uk1t 5 ай бұрын
쎄금으로 살~~~ㅋㅋ
@user-ig8ui1db4b
@user-ig8ui1db4b 5 ай бұрын
정프로. 이지선님도 늘 함께 해주세요.
@user-ig8ui1db4b
@user-ig8ui1db4b 5 ай бұрын
정박님. 정말 대단하세요. 짬짬히 듣고 있는데 감사합니다. 오래 오래 해주세요.
@Elsa0709
@Elsa0709 5 ай бұрын
4년이나 되었군요.. 꾸준히 한다는게 쉽지 않은데 ... 고마운 컨텐츠에요
@tempusfugit2
@tempusfugit2 5 ай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하고... 와이라노와 스미마셍의 연관성?ㅎㅎㅎ 아침의 나른함을 깨워주는 일당백 감사합니다!
@user-zs8su5lr7e
@user-zs8su5lr7e 5 ай бұрын
아 진짜 넘 좋아요. 존경하고 사랑합니다 💜 ❤😊
@avqueen75
@avqueen75 5 ай бұрын
새해가 밝았습니다. 파리에서 일당백 애독자가 된지 5년째 접어드는군요. 세 분의 호흡이 이렇게 잘, 오래가리란 생각을 못했는데 벌써 이년이 넘어가는 것 같애요. 오늘은 제가 이렇게나 사랑하는 채널에 뭘 좀 나눌수 있을까하다가 처음으로 후원을 해보았습니다. 정기후원 클릭이 있으면 더 좋을텐데하는 아쉬움이 있어요 ㅎ 새해에도 지금까지처럼 늘 건강하시고, 채널역시 건강하게 이끌어주시기 바랍니다. 일당백 사랑합니다
@user-qe5by8uk1t
@user-qe5by8uk1t 5 ай бұрын
정 박님 정 프로님 이지선 님 그 외 일당백 만드시는 분들 감사합니다
@user-vd8zf1qn2j
@user-vd8zf1qn2j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johnkim9642
@johnkim9642 4 ай бұрын
좋은 책 소개 고맙습니다.
@user-qv4kp2pm1e
@user-qv4kp2pm1e 5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mio1013
@mio1013 5 ай бұрын
살을 쎄금으로애서 빵 터졌어요 ㅋㅋㅋㅋㅋ 안그래도 살도 많은데.. 얼마든지 세금으로 내고 싶네요 ㅋㅋㅋ
@namlee4522
@namlee4522 5 ай бұрын
😊😊😊넘유익함
@user-fw3wg5bd9l
@user-fw3wg5bd9l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mc3zy7el7t
@user-mc3zy7el7t 5 ай бұрын
일당백?? 너무재미있어요 너무 공부되고 3분 참재미있어요 ㅋ
@pigterian
@pigterian 5 ай бұрын
정박님❤
@user-qy1ju5bu7h
@user-qy1ju5bu7h 5 ай бұрын
오늘 정박님 강의를 들으니, 사람은 역시 배워야 겠구나. 아주 예전에 료마가 간다 라는 소설을 재밌게 본 적이 있습니다. 그때 사카모토 료마, 아이치번, 사쓰마, 조슈.. 이런 말을 옛날 얘기처럼 들은 기억이 나는데.. 그 배경이 바로 이거였네요. 일본을 알면 알수록 심정적인 반일이 아니라 꼭 제대로 일본을 알아야 겠다는.. 그런 각오가 생깁니다. 상대를 제대로 알아야 싸움에도 전략이 생길 것 같아서 일본, 중국, 거기에 북한까지.. 우리는 참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ㅠ
@user-kc9fd1yj5x
@user-kc9fd1yj5x 5 ай бұрын
책두권 제목이뭐에요???
@user-hl5nz3kj1g
@user-hl5nz3kj1g 5 ай бұрын
일당백 감사합니다❤
@user-ic4rr8up9z
@user-ic4rr8up9z 5 ай бұрын
책표지가 박훈교수의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같네요
@myk4504
@myk4504 5 ай бұрын
정박님 지식의 깊이가 대단하셔서 많은 도움을 구하고 있어요. 정프로가 정박의 선한 영향혁에 악영향을 끼치는 듯해서 가끔씩 거부감이 생겨요.
@royalfamilyIH
@royalfamilyIH 5 ай бұрын
멋져요 MC는 밝은 조명을 게스트는 시커멓게 배치하는 조명술
@claymorej8057
@claymorej8057 5 ай бұрын
“상군서”에 대해서도 부탁드립니다 😊
@user-mc3zy7el7t
@user-mc3zy7el7t 5 ай бұрын
메이지유신 너무재미있다 !!!!
@user-oo1gx7yu6n
@user-oo1gx7yu6n 5 ай бұрын
🤣와~~ 부산 사투리, 정듭니더❤ 아무튼, 세 분께 늘 감사합니다😂
@user-fr5wn9eg8c
@user-fr5wn9eg8c 5 ай бұрын
2:10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알기위해 어느 대목에 집중해야 할까요?
@claymorej8057
@claymorej8057 5 ай бұрын
자신의 영달을 위한 리더층과 국가를위한 리더의 차이가 어떤 결과를 보이는가?!
@johnlee4302
@johnlee4302 5 ай бұрын
책 제목 ? 책 저자 ? 구입해서 읽어 볼라 카는데 ,,, 밑에 좀 적어 주면 좋것다요 ,,, 좀 알려 주소
@korealee9286
@korealee9286 2 ай бұрын
지적향연을 나름데로 음미하는 좋은 유튜브임...
@user-kd4el5nu2w
@user-kd4el5nu2w 5 ай бұрын
나라의 보배 정박님~ 2023년 너무 감사했습니다~ 24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앞으로도 좋은 방송 부탁드립니다^^❤🎉😊 보배 정프로 감사합니다^^🎉😊❤
@pon00050
@pon00050 5 ай бұрын
외로움 한 편으로 끝난 건가요? 더 듣고 싶은 주제였는데 ㅎㅎㅎ
@1990s4ever
@1990s4ever 5 ай бұрын
30:17 예전에 최욱이 정박에게 그랬었죠. "쌀은 살인데 왜 소는 쏘야?"
@letsgo2853
@letsgo2853 5 ай бұрын
메이지 유신은 단지 권력 싸움 이었을뿐 어느쪽이 이기던 일본의 근대화는 예정된 거였음.
@narumolhony1954
@narumolhony1954 5 ай бұрын
메이지 유신이 문제가 아니라 메이지 유산을 통해 우리를 반성하자는거지. 우리는 왜 나라빼앗가고 폭망했는지.. 지금도 그때와 똑같이 반도에 갇혀서 폐쇄주의 국가주의 국뽕이 판치고..가당찮은 민족주의로 선동하는 정치인들 거기에 선동당하는 개돼지가 되지 말자는게 이 방송의 목적.
@sixto-rodri-gg5fm
@sixto-rodri-gg5fm 5 ай бұрын
여자분 꼭 영상 봐보시실...화면이 어둡다 확 밝아졌다...보기 얼마나 편한지 직접 꼭 보시길
@molonlabe2477
@molonlabe2477 5 ай бұрын
이 채널은 유투브프리미엄이 아니면 자체 컨텐츠보다 광고가 더 길게 느껴진다
@Avalokiteshvarabodisatva
@Avalokiteshvarabodisatva 3 ай бұрын
어허… 자본주의에서 그럼 흙파서 장사합니까?
@gunsangkachiu
@gunsangkachiu 5 ай бұрын
흉한것도 알아야 자본론처럼 당하지 않죠
@user-zm6hz7yw2m
@user-zm6hz7yw2m 5 ай бұрын
쎄금 빵터졋네 ㅋㅋㅋ
@user-ht1st5km4w
@user-ht1st5km4w 5 ай бұрын
한국의 정체성은 어디에 있을까요?
@_Honganji
@_Honganji 4 ай бұрын
타국에 대한 막연한 혐오라는 민족주의와 전국민 징병하는 군국주의에 있습니다
@BrickCreator
@BrickCreator 3 ай бұрын
댓글이 관련 댓글이 없어
@user-mc3zy7el7t
@user-mc3zy7el7t 5 ай бұрын
넵!!!ㅋㅋㅋ살을 쇠금으로 ㅋㅋ
@user-mc3zy7el7t
@user-mc3zy7el7t 5 ай бұрын
ㅋㅋㅋ 살을 쏴금으로 ㅋㅋㅋ 넘 웃겨요
@inchuljung963
@inchuljung963 5 ай бұрын
메이지유신 을 보면, 유신주역 중 하나인 이토히로부미가 있죠. 우리나라 입장에서보면 침략자이지만, 일본인들은 존경하는 인물이죠.
@cjdixjdnjsn334
@cjdixjdnjsn334 5 ай бұрын
이토가 조선입장에는 나쁜놈이지만 개인사적으로 들여다보면 쉽게 욕할 인물아니죠 "과연 나는 그사람 처럼 현실을 극복하려 노력 하였는가?"라는 질문을 해봐야함.
@user-kj1to5zw8u
@user-kj1to5zw8u 5 ай бұрын
이토 히로부미가 대표적인 정한론, 한국병합론 반대론자인 친한파였는데 안중근이 사살해서 바로 조선병합 ㅋㅋㅋㅋㅋ
@user-ne3ln2gb7o
@user-ne3ln2gb7o 5 ай бұрын
히틀러도 유태인 입장에선 살인마, 네오나찌 입장에선 개혁가. 그래서 살인마 이토를 사살한 대한의군참모중장 안중근은 반일의 한국과 중국에겐 영웅.
@Avalokiteshvarabodisatva
@Avalokiteshvarabodisatva 5 ай бұрын
伊藤 博文
@Chocokara
@Chocokara 5 ай бұрын
@@user-kj1to5zw8u 뭔 헛소리임. 1909년 3월 당시 총리인 카츠라와 외무대신 코무라가 이토와 한일 병합 의논했는데 이때 이토는 병합에 긍정함. 그러고 당해 7월 내각에서 한일병합 과정을 준비함. 이후 이토가 죽은건 1909년 10월이고. 어디서 근거도 없는 헛소리 듣고와서 떠드는건지.
@user-kz2qp5nw7p
@user-kz2qp5nw7p 5 ай бұрын
따땃하겠다 정박 큰눈,단추조끼~
@jaehochoi6790
@jaehochoi6790 5 ай бұрын
얼마전에 아버지 제사때 동생을 만났는데 동생은 세계일주를 다녀온 경험을 이야기해주면서 아프리카에 치안이 안좋은 이야기를 하면서 인권은 중요하지 않다 경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를 하는걸 보면서 먼가 수긍이 가는 이야기 이면서 이질적임을 느꼈는데 메이지 유신이야기를 들으면서 우리가 에도시대 상인이 됐구나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jeinkim30
@jeinkim30 5 ай бұрын
경제 살린다니 다른 유책은 안 보고 투표한 적이 있었죠. 우리 국민들이.ㅜ 경제도 인간성 위에 서야 편안하고 번영할 것 같습니다.
@avqueen75
@avqueen75 5 ай бұрын
Merci !
@user-pu8ct9iz2o
@user-pu8ct9iz2o Ай бұрын
이지선님 귀엽..
@user-qm7mu4hj2i
@user-qm7mu4hj2i Ай бұрын
스타벅스 유투브를 부러워해야합니다
@TV-ms6qh
@TV-ms6qh 5 ай бұрын
결혼부 신설하여 연애수당 월 20만원 결혼 수당 1억 출산 수당 5000만원 주택구입 2억 전업주부 월 100만원 다자녀 부모는 취업에 우선순위를 주는 공영제하자.
@user-oo1gx7yu6n
@user-oo1gx7yu6n 5 ай бұрын
''살을 쎄금으로''🤣🤣 부산 사람, 표준어 마이 힘드네예😂
@bluewings8218
@bluewings8218 5 ай бұрын
아 광고 흐름 조낸 끊네요..그냥 몰아서 해주시면 안되나요
@user-cg9it8rx5u
@user-cg9it8rx5u 5 ай бұрын
규카츠 ㅋㅋ
@colinpark5979
@colinpark5979 5 ай бұрын
30:27 '살'을 '쎄'금으로...
@user-mc3zy7el7t
@user-mc3zy7el7t 5 ай бұрын
さむらいですね?
@blanc1971
@blanc1971 4 ай бұрын
미치가 거리이고 마치는 마을이라는 의미입니다.
@managersequence4724
@managersequence4724 4 ай бұрын
'혁명'의 정의를 두가지 정도로 나누어야 하지 않을까요? 사회과학쪽에서는 혁명의 정의를 계급관계를 뒤바꾸려는 시도를 한 경우에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령, 프랑스 대혁명, 영국의 명예 혁명, 이런것들을 부르주아 혁명, 시민혁명이라고 하죠. 봉건시스템에서 자본주의로 넘어가는. 혹은 스팔타쿠스 반란도 혁명이죠 노예제에서 계급관계를 뒤엎으려고 했으니까. 우리나라는 동학, 4.19등이 봉건에서 계급관계를 타파하는 방향으로 간 자본주의/시민세력이 중심이 되는 혁명이었다고 할 수 있죠. 그런데 이걸 단순히 역성혁명으로만 정의하면, 가령 영국이나 왕이 그대로 있는 유럽의 여러나라들은 혁명이 없었던게 되는 거고. (대통령을 바꾸는 것도 혁명이 될지도. 가령 5.16 ㅎㅎ) 중요한건 왕(과 귀족 등의 특권계층)이 실권을 잃고 시민들 (부르주아 계급)에게 사회적 권력이 넘어가느냐 아니냐이고, 이렇게 보면, 일본도 왕은 그대로 있지만 큰 틀에서는 혁명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jinhyukkim8842
@jinhyukkim8842 5 ай бұрын
5:35 시점의 정박님 : '정프로가 광고하려고 빌드업하는 군.' 6:15 시점의 정박님 : '아니, 왜 광고를 안 하고, 이렇게 끝내는 거지? ㅋㅋ'
@user-iv2jv3ik7o
@user-iv2jv3ik7o 5 ай бұрын
빅토리아3 일본 캠페인 정주행 ㄱㄱㄱ
@user-pu8ct9iz2o
@user-pu8ct9iz2o Ай бұрын
'살을 세금으로' 하셔야지..
@d.h.k.
@d.h.k. 5 ай бұрын
영진이 형 ~ 매불쇼 안나오니깐 개그감 점점 떨어지잖아요
@jeinkim30
@jeinkim30 5 ай бұрын
^^ 개인적으로는 만나고 있다지만, 요즘 우기 옆에 영진이 있어주면 우기한테 의지가 될텐데.
@user-jt2oz6do8x
@user-jt2oz6do8x Ай бұрын
​ ㄱ.ㄱ.
@user-kbj0408
@user-kbj0408 5 ай бұрын
중학교 때 메이지 유신에 대해서 수업할 때 내가 명치 유신이라고 했더니 애들이 낄낄 댔었다.(1975년)
@Avalokiteshvarabodisatva
@Avalokiteshvarabodisatva 5 ай бұрын
meiji ishin
@jeinkim30
@jeinkim30 5 ай бұрын
한자대로 읽었구만.ㅎ
@user-kbj0408
@user-kbj0408 5 ай бұрын
@@jeinkim30 친구들이 명치를 가슴 급소로 생각했습니다.
@jeinkim30
@jeinkim30 5 ай бұрын
@@user-kbj0408 아~~^^
@user-zy3me9pe6f
@user-zy3me9pe6f 5 ай бұрын
무슨 PPL이 이렇게 뜬금없죠 ㅋㅋㅋㅋ
@yeonna2005
@yeonna2005 5 ай бұрын
살을 쎼금으로 ㅋㅋㅋㅋㅋㅋ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5 ай бұрын
쯩영지이, 츠,맞고 싶나! 부싸이 우씁나!!
@user-cr2lf5fh7s
@user-cr2lf5fh7s 5 ай бұрын
깝쭉대지 마라이!
@Hyuchan1002
@Hyuchan1002 4 ай бұрын
완전히 새롭게 설계한다는게 쉬운 일이 아님 ㅋ 국가 뿐만 아니라 회사건 무슨 단체건 다 마찬가지임 모두들 원래하던대로 하지라는 타박만 돌아올 뿐 ㅋ
@user-kj8yl6sn2z
@user-kj8yl6sn2z 5 ай бұрын
성경, 꾸란, 과학이라는 훌륭한 토론 책이 있습니다. 저자 모리스 부카유(Maurice Bucaille) 그는 꾸란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아랍어를 배우고 꾸란과 성경을 현대 과학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한 프랑스 기독교 의사이다. 그는 성경이 현대 과학과 모순되고 꾸란이 현대 과학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여 이슬람으로 개종했습니다.
@pon00050
@pon00050 5 ай бұрын
어쩌라고ㅠㅋㅋㅋㅋ
@user-kj8yl6sn2z
@user-kj8yl6sn2z 5 ай бұрын
@@pon00050 우리는 배우고, 토론하고, 비판하고, 답을 얻습니다. 창조주는 존재하는가, 우리는 왜 살고 죽는가, 창조주는 인류에게 따라야 할 가르침을 가지고 있는가, 창조주의 올바른 책을 아는 기준은 무엇인가, 무엇인가? 완전한 진리에 도달하는 것이 삶의 의미입니다.
@pon00050
@pon00050 5 ай бұрын
@@user-kj8yl6sn2z 번역기 돌리시는 거 같은데 본인의 답을 남한테 정답이라고 강요하지 마세요. Do not force others to subscribe to your idea of what the answer is. There may be other answers too.
@user-kj8yl6sn2z
@user-kj8yl6sn2z 5 ай бұрын
@@pon00050 The truth is one, but a clear and consistent standard must be established to reach the truth. No one imposes his opinion on others, but it is a discussion and dialogue to reach understanding and discover how to reach the absolute truth.
@pon00050
@pon00050 5 ай бұрын
@@user-kj8yl6sn2z No one asked for your opinion in the first place and your initial comment that started the thread was irrelevant to the subject of this video.
@blanc1971
@blanc1971 4 ай бұрын
지금도 일본산 부품,소재 ,장비 없으면 한국산업은 괴멸입니다.
@peterll1038
@peterll1038 3 ай бұрын
메이지 유신은 이토의 설계지 사무라이들은 암것도 모르고 칼질하러 다니고 이토가 무사 계급이었다고 해도 확실히 현실 대응에 빨랐지
@jiwonmoon9083
@jiwonmoon9083 5 ай бұрын
삼국시대 중기 이후 부터 일본에 있는 국가는 항상 한반도에 있는 국가보다 인구수나 경제규모에서 2배에서 3배이상 컸음 아무도 이야기 하지 않는 일본에 대한 이야기 이런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는 일본관의 관계는 이상한 열등감과 그것이 극에 달해 뒤틀려버린 우월감으로 국익에 전혀 도움이 안되는 경로로 흘러갈뿐
@koreanchinese1836
@koreanchinese1836 4 ай бұрын
​@@chin806쫌 국뽕유투부 끊어라 ...
@_Honganji
@_Honganji 4 ай бұрын
​@@chin806삼국시대에 토종이라는 말이 얼마나 멍청한지... 국가가 형성되기 이전에 건너간 사람들을 '한국인' 으로 구분하는건 뭔 방식임?
@user-ph2tf1co5u
@user-ph2tf1co5u 4 ай бұрын
야... 이건 진짜 계획범이고 테러범인데.. 검찰과 경찰이 뭔가를 숨기고 있다는게 맞는 의심인것 같습니다.
@user-uw6pd8qj9c
@user-uw6pd8qj9c 4 ай бұрын
역사적 조건이 한국과 일본이 같았다는데서 황당함을 느낀다.일본은 역사적으로 한국보다 훨씬 잘살았으며 강했다
@oooooo-td9zj
@oooooo-td9zj 5 ай бұрын
우리의 근대화 산업화는 516혁명 이후.
@juyeoungoh4166
@juyeoungoh4166 5 ай бұрын
아직도 516반란을 혁명이라고 하는 비상식적인 말을하다니,,정신차려라
@user-ls8lk7zk9k
@user-ls8lk7zk9k 5 ай бұрын
쳐들어온적 없습니다. 갖다 바쳤습니다
@user-bt3zh3zi6q
@user-bt3zh3zi6q 5 ай бұрын
정프로는 책 전혀 안보고 말장난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질문 수준이나 멘트가 날티난다 너무 바쁜듯한데 방송 줄이고 준비 좀 하세요
@user-uv5cl6sy3e
@user-uv5cl6sy3e 5 ай бұрын
텐노헤이카 반자이
@soncong07
@soncong07 5 ай бұрын
꺼져
@user-lx9yd4cc9x
@user-lx9yd4cc9x 5 ай бұрын
살을 쐐금으로 거둿다~~~~~~ 나에게 경상도 사투리가 밉지 않게 들리는 몇몇 안되는 분.. -토대가 흔들리니 상부구조가 흔들리지 않을 재간이 없다... 칼 막스의 말을 이리도 쉽게 회화에 응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마.. 한국의 지적 재산 정방님!!
@Blackjack21-tf5ug
@Blackjack21-tf5ug 5 ай бұрын
이지선은 왜 있는지 모르겠어
@user-kt3tn2rw2z
@user-kt3tn2rw2z 5 ай бұрын
썬글 좀 벗고 해라
@jayahn5363
@jayahn5363 2 ай бұрын
매불쇼 하차에 어이없슴. 말과 처세가 다른 사람. 과연 잘 나갈까 ??? 삼프로? 이사람 진행 안봄
@user-uf8ti9sw1i
@user-uf8ti9sw1i 4 ай бұрын
100권이면 한달도 안걸리는 분량인대 그걸 일생동안...ㄷㄷㄷ
@user-uw6pd8qj9c
@user-uw6pd8qj9c 4 ай бұрын
정용진이는 왜 조선좌파가 되어서 그 소중한 자신의 영혼과 양심을 팔아먹었을까
@wonsukbae
@wonsukbae 5 ай бұрын
일본은 사카모 토료마의 메이지유신 ,대한민국은 사무라이 박정희(다카키마사오)의 10월 유신과 사무라이 전두환(수베테마수한)의 1212 유신, 호주나 뉴질랜드나. 미국이나 캐나다나, 인도나 파키스탄이나, 일본이나 한국이나 같은나라다.
@user-ci3rg5ei9u
@user-ci3rg5ei9u 4 ай бұрын
사카모 료마 일찍 죽었음 사초동맹 서로가 살아님기 위해 한거지 료마가 한게 아님 정한론 한국침략을 목표로 국가를 세운 조직임 진짜 좆도 모르면 공부좀 하고 오세용
@user-mr2lt7yw8r
@user-mr2lt7yw8r 4 ай бұрын
사회자는 좀 입 다물고 ㅋ
@kimeraadams4338
@kimeraadams4338 4 ай бұрын
아 광고 짜증나 이젠 이방송 아웃이다
@user-ti9nm1sj3q
@user-ti9nm1sj3q 4 ай бұрын
광고는 적당히 해라. 좋은 프로 수준 떨어진다
@user-sy4uh5bn8r
@user-sy4uh5bn8r 4 ай бұрын
메이지를 보고 배워라 친중짓 하지말고
@jkwon5975
@jkwon5975 4 ай бұрын
영진아 말장난도 적당히 해라 몰입방해가 된다
@user-nx1cr5oq8m
@user-nx1cr5oq8m 4 ай бұрын
빌어먹을 메이지유신 없었으면 일제시대 없었을텐데... 도쿠가와 파는 해외진출 생각안함 히데요시 파는 중국대륙 진출에 환장함 메이지유신 에 유신파는 히데요시파
@user-rn4cl1ko4m
@user-rn4cl1ko4m 5 ай бұрын
매불쇼 언제 나오시나요 최욱의 좌빨쇼 조정좀해주세요
@hakyoungkim5963
@hakyoungkim5963 5 ай бұрын
인력동원해서 환영인파세우는거 보니 김일성과 다를게 없는 굥. 진정한 빨갱이가 아닐 수 없다.
@go777hor
@go777hor 5 ай бұрын
선전이 도배되고있네요. 애한테 돈들어갈일이 많아졌나쇼? 집중해서 듣다가 짜증이 올라와 그냥나갈란다.전처름 돌려놓았을때 들어 올께요.
@user-gz8pe5bj4m
@user-gz8pe5bj4m 5 ай бұрын
이 콘텐츠는 무료로 배포중이니, 광고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봐주시면 어떨까요? 정프로가 워낙 재밌게 풀어주기두 하고요~^^
@go777hor
@go777hor 5 ай бұрын
@@user-gz8pe5bj4m 그렇게 생각합니다만 광고가 전보다 너무 많아졌습니다.몇년전부터 양질의 정보 재미나게 듣고있습니다.그냥 매인광고 말고는 자막또는 밴허처리로 하는게 이때까지의 흐름에 방해되지는 않을듯.
@user-ff4dx4dy6r
@user-ff4dx4dy6r 5 ай бұрын
​@@go777hor 밴허에서 한번웃고 대학강연급 컨텐츠를 무료로보면서. 뭔 감놔라 배놔라. 부탁조로 쓰던가 아니 너무건방진거아니요?
@go777hor
@go777hor 5 ай бұрын
@@user-ff4dx4dy6r 내용의 진행이 원만하지 않다라고 느낄정도의 선전입니다. 차라리 유료구독 가입자를 받던지 하시지..
@user-xe3vb7eh6p
@user-xe3vb7eh6p 5 ай бұрын
진증권 교수님 갈수록 미남 되시고 아줌마 볼딱지는 갈수록 튀어나오고 대그빡 앞머리 다빠져 가시구...장님이는 좋게 봤는데 빨갱이 냄새가 살살 나네요. 암튼 감사합니다...
@user-qb7py3fq2q
@user-qb7py3fq2q 5 ай бұрын
와~~~쓰레기다
@unionasone
@unionasone 5 ай бұрын
지도자들이 잘 처신한 나라들 영국 미국 일본, 일본은 전쟁으로 잘못 가긴 했지만
실존주의 철학 두 거장의 대결! 정의의 이름으로 사람을 죽일 수 있는가? : 카뮈, 사르트르 1부
1:00:45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Make me the happiest man on earth... 🎁🥹
00:34
A4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I Need Your Help..
00:33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158 МЛН
동아시아 문화의 저수지! 인물론을 중심으로 다시보는 삼국지 : 삼국지 1부
1:00:07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195 М.
[도]란 무엇인가?  노자와 도가의 핵심 사상 정리! : 노자의 도덕경 1부
1:11:33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224 М.
12·12 군사 반란 앞뒤 상황 총정리! 영화와 역사의 차이점은? : 서울의 봄 1부
52:35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301 М.
일본이 가진 이중성, 그 역사적 근원은 무엇인가? : 일본의 굴레 1부
1:04:45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종교] 신은 존재하는가? 예수의 행적과 가르침에 관한 다양한 관점 : 마가복음 1부
1:04:44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311 М.
이슬람, 유독 문화 충돌이 잦은 이유? 이슬람 문화의 편견과 진실 : 이슬람 문화 1부
48:29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107 М.
신은 왜 죽음을 주었는가? 무신론자였던 이병철 회장의 종교적 물음 : 잊혀진 질문 1부
55:13
일당백 : 일생동안 읽어야 할 백권의 책
Рет қаралды 122 М.